식물보호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7-05-07)

식물보호기사
(2017-05-07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식물병리학

1. 보르도액에서 살균효과가 있는 유효성분은?

  1. 구리
  2. 철분
  3. 아연
  4. 칼슘
(정답률: 91%)
  • 보르도액에서 살균효과가 있는 유효성분은 구리입니다. 이는 구리가 균의 세포막을 파괴하여 균의 생존을 방해하기 때문입니다. 또한 구리는 균의 생장을 억제하고 균의 대사를 방해하여 살균 효과를 나타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하우스에 재배하는 채소에서 과습과 저온에서 많이 발생하는 병은?

  1. 고추 탄저병
  2. 오이 덩굴쪼김병
  3. 토마토 풋마름병
  4. 딸기 잿빛곰팡이병
(정답률: 75%)
  • 딸기 잿빛곰팡이병은 과습과 저온에서 발생하는 병으로, 딸기 재배 시에 많이 발생합니다. 이 병은 잎과 열매에 흰색 가루 모양의 곰팡이가 생기며, 열매가 부패하고 맛이 떨어지게 됩니다. 따라서 딸기 재배 시에는 과습과 저온을 피하고, 병원균을 예방하기 위해 적절한 방역조치를 취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바이로이드에 의한 식물병은?

  1. 벼 오갈병
  2. 감자 걀쭉병
  3. 담배 모자이크병
  4. 모과나무 검은별무늬병
(정답률: 79%)
  • 바이로이드는 식물에 감염되어 식물의 세포를 침범하고 파괴하는 바이러스의 일종입니다. 감자 걀쭉병은 바이로이드에 의해 감염된 감자의 잎이 비정상적으로 길어지고 굽어지며, 식물 전체의 성장이 저해되는 질병입니다. 따라서 감자 걀쭉병은 바이로이드에 의한 식물병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석회를 이용한 토양산도 조절로 pH를 7.0이상으로조절하여 방제하는 병은?

  1. 밀 마름병
  2. 감자 더뎅이병
  3. 배추 무사마귀병
  4. 목화 뿌리썩음병
(정답률: 72%)
  • 배추 무사마귀병은 토양의 pH가 낮을 때 발생하는 병으로, 석회를 이용하여 토양산도를 조절하여 pH를 7.0 이상으로 조절하면 방제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배추 무사마귀병"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마름무늬매미충에 의해 전반되지 않는 병은?

  1. 뽕나무 오갈병
  2. 벚나무 빗자루병
  3. 붉나무 빗자루병
  4. 대추나무 빗자루병
(정답률: 72%)
  • 마름무늬매미충은 벚나무 빗자루병을 일으키지 않기 때문에, 벚나무 빗자루병은 마름무늬매미충에 의해 전파되지 않는 병이다. 따라서 정답은 "벚나무 빗자루병"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19세기 중반 아일랜드에 큰 기근으로 인하여 100만명을굶어 죽게 하였던 식물병은?

  1. 감자 역병
  2. 감자 바이러스병
  3. 사과나무 점무늬병
  4. 옥수수 깨시무늬병
(정답률: 90%)
  • 감자 역병은 감자 작물을 감염시키는 바이러스병으로, 감염된 감자는 검은색으로 변색되고 부패하여 먹을 수 없게 된다. 이로 인해 19세기 중반 아일랜드에서는 감자가 주요 식량원이었기 때문에 기근이 발생하게 되었고, 이로 인해 많은 사람들이 굶어 죽게 되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벼에 발생하는 병원균이 종자전염하는 것은?

  1. 오갈병
  2. 키다리병
  3. 잎집무늬마름병
  4. 줄무늬잎마름병
(정답률: 74%)
  • 키다리병은 벼에 발생하는 병원균이 종자를 통해 전염되는 병이다. 이 병은 벼의 씨앗에 감염된 균이 발아하여 싹이 돋을 때 함께 성장하면서 전염되기 때문에 종자를 통해 쉽게 전파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파이토플라스마에 의해서 발생하는 병은?

  1. 벼 오갈병
  2. 감자 역병
  3. 오이 노균병
  4. 오동나무 빗자루병
(정답률: 82%)
  • 파이토플라스마는 오동나무 빗자루병을 일으키는 원인균으로, 오동나무의 잎과 가지에 감염되어 빗자루 모양의 증상을 유발합니다. 따라서 "오동나무 빗자루병"이 정답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각각 벼, 감자, 오이에 발생하는 병명이며, 이들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목재 백색썩음병에 관계하는 중요한 효소는?

  1. 탄닌 분해효소
  2. 리그닌 분해효소
  3. 셀룰로오스 분해효소
  4. 헤미셀룰로오스 분해효소
(정답률: 74%)
  • 목재 백색썩음병은 목재 내부의 리그닌을 분해하는 균에 의해 발생합니다. 따라서 이 균을 억제하기 위해서는 리그닌 분해효소를 억제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리그닌 분해효소"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목재 백색썩음병과는 관련이 없는 효소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벼 키다리병균의 불완전세대는?

  1. Fusarium roseum
  2. Fusarium lateritium
  3. Fusarium oxysporum
  4. Fusarium moniliforme
(정답률: 57%)
  • 벼 키다리병균은 Fusarium moniliforme으로, 이 균주의 불완전세대는 클로로스페리움속에 속하며, 벼 키다리병을 유발하는 균주는 이 균주의 불완전세대인 Gibberella fujikuroi로 알려져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Fusarium moniliforme"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다음 방제방법에 해당하는 사과의 병은?

  1. 탄저병
  2. 부란병
  3. 겹무늬썩음병
  4. 검은별무늬병
(정답률: 51%)
  • 사과의 잎과 열매에 나타나는 짙은 갈색의 겹무늬 썩음이 특징이며, 열매가 부패하고 녹색에서 갈색으로 변색되며 부피가 줄어든다. 이 병은 과일의 수확 후에도 발생할 수 있으며, 습도가 높은 환경에서 발생하기 때문에 방제 방법으로는 과수원 내에서의 통풍과 건조한 환경 조성, 병해충 방제 등이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감염된 식물체를 가축이 먹으면 해로운 병은?

  1. 벼 도열병
  2. 콩 자줏빛무늬병
  3. 배추 모자이크병
  4. 보리 붉은곰팡이병
(정답률: 90%)
  • 보리 붉은곰팡이병은 보리를 감염시키는 곰팡이병으로, 감염된 보리를 가축이 먹으면 마약과 유사한 효과를 일으키며 해로운 병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맥류 줄기녹병의 중간 기주는?

  1. 향나무
  2. 뽕나무
  3. 매자나무
  4. 아까시나무
(정답률: 85%)
  • 맥류 줄기녹병의 중간 기주는 매자나무입니다. 이는 매자나무가 맥류 줄기녹병에 강한 저항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매자나무는 높이가 낮고 생장이 빠르며, 재배가 용이하다는 장점도 있습니다. 따라서 매자나무는 맥류 줄기녹병에 대한 저항성과 재배 용이성 등의 이유로 중간 기주로 선택되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식물에 모자이크 증상을 일으키는 대표적인 병원체는?

  1. 세균
  2. 곰팡이
  3. 바이러스
  4. 파이토플라스마
(정답률: 86%)
  • 식물에 모자이크 증상을 일으키는 대표적인 병원체는 바이러스입니다. 이는 세균과 곰팡이와 달리, 식물 내부에 침투하여 세포 내부에서 복제하고, 세포의 기능을 방해하여 모자이크 증상을 일으키기 때문입니다. 파이토플라스마는 식물의 질병을 일으키는 미생물 중 하나이지만, 모자이크 증상을 일으키는 대표적인 병원체는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자낭포자로 인한 표징이 잘 나타나지 않는 병은?

  1. 밀 줄기녹병
  2. 벼 깨씨무늬병
  3. 벼 잎집얼룩병
  4. 보리 겉깜부기병
(정답률: 47%)
  • 벼 깨씨무늬병은 자낭포자로 인한 표징이 잘 나타나지 않는 병 중 하나입니다. 이는 벼 깨씨무늬병의 원인균이 자낭포자를 생산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 병은 다른 병들과 구별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벼 흰잎마름병 발생에 가장 중요한 요인은?

  1. 침수
  2. 한발
  3. 저온
  4. 비료부족
(정답률: 82%)
  • 벼 흰잎마름병은 물에 잠긴 상태에서 발생하는 질병으로, 따라서 "침수"가 가장 중요한 요인이 됩니다. 침수로 인해 뿌리가 질식하고 공기가 부족해져서 뿌리에서 영양분을 흡수하지 못하게 되고, 이로 인해 식물체 내부의 수분과 영양분 공급이 원활하지 않아서 발생하는 질병입니다. 따라서 벼를 재배할 때는 침수를 피하고 적절한 배수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복숭아 잎오갈병의 병원균은?

  1. 세균
  2. 선충
  3. 곰팡이
  4. 바이러스
(정답률: 52%)
  • 복숭아 잎오갈병의 병원균은 곰팡이이다. 이는 병원균이 식물의 잎에 침투하여 생기는 질병으로, 곰팡이가 잎의 표면에 발생하여 잎의 기능을 저하시키고 열매의 생산량을 감소시킨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형광항체법을 이용하는 식물병 진단방법은?

  1. 혈청학적 진단
  2. 이화학적 진단
  3. 생물학적 진단
  4. 핵산분석에 의한 진단
(정답률: 82%)
  • 형광항체법은 식물병원균의 존재와 분포를 현미경으로 관찰하여 진단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혈청학적 진단에 해당한다. 혈청학적 진단은 혈청(혹은 체액)을 이용하여 질병을 진단하는 방법으로, 형광항체법에서는 항체와 항원의 상호작용을 이용하여 질병원균을 식별한다. 이와 달리 이화학적 진단은 화학적 반응을 이용하여 질병을 진단하는 방법이고, 생물학적 진단은 생물학적 특성을 이용하여 질병을 진단하는 방법이며, 핵산분석에 의한 진단은 DNA나 RNA의 분석을 통해 질병을 진단하는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벼 줄무늬잎마름병을 방제하는 방법으로 가장 효과가 작은 것은?

  1. 살균제 살포
  2. 애멸구 제거
  3. 저항성 품종 재배
  4. 논두렁 잡초 제거
(정답률: 64%)
  • 벼 줄무늬잎마름병은 박테리아에 의해 발생하는 병이므로 살균제 살포가 가장 효과적입니다. 애멸구 제거나 저항성 품종 재배는 이 병에 대한 방제 효과가 미미하며, 논두렁 잡초 제거는 벼 줄무늬잎마름병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잣나무 털녹병의 전염경로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잣나무에서 겨울포자 → 솔이풀에서 겨울포자 → 송이풀에서 여름포자 → 잣나무에 침입
  2. 잣나무에서 담자포자 → 송이풀에서 여름포자 → 송이풀에서 겨울포자 → 잣나무에 침입
  3. 잣나무에서 녹포자 → 송이풀에서 여름포자 → 송이풀에서 녹포자 → 송이풀에서 겨울포자 → 잣나무에 침입
  4. 잣나무에서 녹포자 → 송이풀에서 여름포자 → 송이풀에서 겨울포자 → 송이풀에서 담자포자 → 잣나무에 침입
(정답률: 73%)
  • 잣나무 털녹병의 전염경로는 잣나무에서 녹포자 → 송이풀에서 여름포자 → 송이풀에서 겨울포자 → 송이풀에서 담자포자 → 잣나무에 침입입니다. 이는 잣나무에서 발생한 녹포자가 송이풀로 전파되어 여름포자를 만들고, 이 여름포자가 다시 송이풀로 전파되어 겨울포자를 만들고, 이 겨울포자가 다시 송이풀로 전파되어 담자포자를 만들고, 이 담자포자가 잣나무에 침입하여 전염되는 과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농림해충학

21. 길앞잡이과가 해당하는 목은?

  1. 나비목
  2. 파리목
  3. 메뚜기목
  4. 딱정벌레목
(정답률: 68%)
  • 길앞잡이과는 딱정벌레목에 해당한다. 이는 길앞에서 많이 볼 수 있는 딱정벌레와 비슷한 모습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딱정벌레목은 딱정벌레뿐만 아니라 사슴벌레, 뿔벌레 등 다양한 종을 포함하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곤충의 일반적 특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온혈동물이다
  2. 부속지들이 마디로 되어 있다.
  3. 외골격이 발달하여 근육의 부착점이 된다.
  4. 탈피를 통해 성장하고 변태과정을 거치기도 한다.
(정답률: 83%)
  • 곤충은 온혈동물이 아닙니다. 온혈동물은 척추동물 중에서 온도 조절 기능을 가진 동물을 말하는데, 곤충은 척추동물이 아니며 체온을 조절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유충이 육식성으로 수서생활을 하고, 물 밖으로 나와 번데기가 되어 성충으로 몇 시간 또는 며칠만 사는 것은?

  1. 뱀잠자리
  2. 약대벌레
  3. 부채벌레
  4. 풀잠자리
(정답률: 56%)
  • 뱀잠자리는 유충기 때 물 속에서 살며, 성충기 때 물 밖에서 번데기로 살다가 몇 시간 또는 며칠만에 성충으로 발달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따라서 문제에서 설명한 유충이 물 밖으로 나와 번데기가 되어 성충으로 몇 시간 또는 며칠만 사는 것은 뱀잠자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애멸구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약충기에만 벼 즙액을 빨아 먹는 다.
  2. 우리나라 남부지방에서 월동이 가능하다.
  3. 줄무늬잎마름병 같은 바이러스병을 매개한다.
  4. 이모작 맥류재배를 하면 많이 발생하기도 한다.
(정답률: 75%)
  • 애멸구는 벼 즙액뿐만 아니라 다양한 식물의 즙액을 먹기 때문에 "약충기에만 벼 즙액을 빨아 먹는다"는 설명은 옳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식물의 선천적 내충성과 관계가 없는 것은?

  1. 내성
  2. 회귀성
  3. 항생성
  4. 비선호성
(정답률: 65%)
  • 식물의 선천적 내충성과 관계가 없는 것은 "회귀성"입니다. 회귀성은 특정 조건이나 환경에 노출되면 그에 대한 적응을 보이지만, 그 조건이 사라지면 다시 원래 상태로 돌아가는 성질을 말합니다. 따라서 회귀성은 내충성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반면 내성, 항생성, 비선호성은 모두 식물의 내충성과 관련된 성질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조팝나무진딧물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조팝나무에서 성충으로 월동한다.
  2. 귤나무의 경우 새잎 뒷면에 기생한다.
  3. 한국, 일본, 북아메리카 등에서 발생한다.
  4. 주로 조팝나무, 사과나무, 귤나무에 서식한다.
(정답률: 75%)
  • "조팝나무에서 성충으로 월동한다."는 옳은 설명이다.

    조팝나무진딧물은 주로 조팝나무, 사과나무, 귤나무 등에 서식하며, 한국, 일본, 북아메리카 등에서 발생한다. 귤나무의 경우에는 새잎 뒷면에 기생한다.

    조팝나무진딧물은 겨울철에 성충으로 월동하며, 봄에는 꽃과 열매가 생기는 나무의 잎이나 꽃에 앉아서 식물의 수액을 빨아먹는다. 이로 인해 잎이 찌그러지고 열매가 상처를 입을 수 있으며, 심한 경우에는 열매가 썩어버리기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곤충의 말피기관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바퀴 등 특수한 곤충에서만 볼 수 있는 감각기관이다.
  2. 대부분의 곤충에서 전장과 중장 사이에 위치하며 감각기관이다.
  3. 대부분의 곤충에서 중장과 후장사이에 위치하며 배설작용을 한다.
  4. 곤충의 전장과 중장 그리고 후장 사이마다 위치하며 배설작용을 한다.
(정답률: 82%)
  • 곤충의 말피기관은 대부분의 곤충에서 중장과 후장사이에 위치하며 배설작용을 합니다. 이는 말피기관이 소화관의 일부로서 배설물을 저장하고 배설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대부분의 곤충에서 중장과 후장사이에 위치하며 배설작용을 한다."가 옳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생물적 방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효과 발현까지는 시간이 걸린다.
  2. 인축, 야생동물, 천적 등에 위험성이 적다.
  3. 생물상의 평형을 유지하여 해충밀도를 조절한다.
  4. 거의 모든 해충에 유효하며 특히 대발생을 속효적으로 억제하는데 더욱 효과가 크다.
(정답률: 85%)
  • "거의 모든 해충에 유효하며 특히 대발생을 속효적으로 억제하는데 더욱 효과가 크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생물적 방제는 해충을 제어하기 위해 천적, 적충, 미생물 등의 생물을 이용하는 방법이다. 하지만 모든 해충에 대해 효과가 있는 것은 아니며, 특정한 해충에 대해서만 효과가 있을 수 있다. 또한, 효과 발현까지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즉각적인 효과를 기대하기는 어렵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곤충의 외표피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수분의 증산을 억제하는 왁스층이 있다.
  2. 단백질과 지질로 구성된 매우 얇은 층이다.
  3. 큐티클 단면에서 몸의 가장 바깥쪽에 위치한다.
  4. 탈피시 내원표피를 소화시키는 탈피액도 분비한다.
(정답률: 63%)
  • "탈피시 내원표피를 소화시키는 탈피액도 분비한다."는 옳은 설명이다. 이유는 곤충이 탈피할 때 내원표피를 소화시키는 탈피액을 분비하여 탈피를 돕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해충의 통계적 예찰법을 적용하려 할 때 주의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변동량이 극단적인 경우는 제외한다.
  2. 이상발생이나 대발생 예찰에 적용한다.
  3. 상관관계의 유의성을 충분히 고려한다.
  4. 예측범위를 통계자료의 범위 내로 한다.
(정답률: 72%)
  • "변동량이 극단적인 경우는 제외한다."는 주의사항으로 옳은 것이다. 이유는 극단적인 경우는 일반적인 범위에서 벗어나기 때문에 통계적 예찰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상발생이나 대발생 예찰에 적용한다."는 옳은 것이다. 이유는 이상발생이나 대발생은 일반적인 범위에서 벗어나는 경우이기 때문에 통계적 예찰을 통해 이를 파악하고 대응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관관계의 유의성을 충분히 고려한다."는 옳은 것이다. 이유는 상관관계가 유의하지 않으면 예찰 결과가 신뢰성이 떨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예측범위를 통계자료의 범위 내로 한다."는 옳은 것이다. 이유는 예측범위가 통계자료의 범위를 벗어나면 예측 결과가 신뢰성이 떨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진딧물의 생식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난생과 태생을 번갈아 한다.
  2. 단위생식과 난생에 의해서만 번식한다.
  3. 양성생식과 단위생식을 함께 하며 태생도 한다.
  4. 다른 곤충과는 달리 태생에 의해서만 번식한다.
(정답률: 71%)
  • 진딧물은 양성생식과 단위생식을 함께 하며 태생도 한다. 이는 즉, 수컷과 암컷이 교배를 통해 새끼를 낳으면서 동시에 단위생식을 통해 새끼를 낳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새끼가 태어난 후에도 계속해서 단위생식을 통해 번식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수서곤충으로 성충으로 월동하는 것은?

  1. 담배나방
  2. 벼물바구미
  3. 꼬마배나무이
  4. 포도호랑하늘소
(정답률: 78%)
  • 벼물바구미는 겨울철에도 활동이 가능한 능력을 가지고 있어서 월동을 하게 됩니다. 다른 곤충들은 겨울철에는 활동이 어렵거나 불가능하지만, 벼물바구미는 겨울철에도 먹이를 찾아 다니며 활발하게 활동합니다. 따라서 벼물바구미는 수서곤충 중에서 월동을 하는 종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점박이응애의 천적으로 가장 효과적인 곤충은?

  1. 흑좀벌
  2. 무당벌레
  3. 긴털이리응애
  4. 온실가루이좀벌
(정답률: 66%)
  • 긴털이리응애는 체모가 많아서 점박이응애의 입으로 들어가기 어렵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점박이응애의 천적으로 가장 효과적인 곤충은 긴털이리응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누에의 휴면호르몬이 합성되는 곳은?

  1. 앞가슴샘
  2. 알라타체
  3. 카디아카체
  4. 신경분비세포
(정답률: 51%)
  • 누에의 휴면호르몬은 신경분비세포에서 합성됩니다. 이는 뇌에서 분비되는 호르몬으로, 수면과 같은 휴식 상태에서 분비되어 몸의 대사를 저하시키고 체온을 낮추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과실에 피해를 주는 해충이 아닌 것은?

  1. 배명나방
  2. 복숭아명나방
  3. 복숭아순나방
  4. 복숭아유리나방
(정답률: 56%)
  • 복숭아유리나방은 복숭아나 다른 과일에 피해를 주지 않는 해충입니다. 다른 세 개의 해충은 모두 복숭아나 배 등의 과실에 피해를 주는 해충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완전변태를 하는 곤충은?

  1. 진딧물
  2. 노린재
  3. 메뚜기
(정답률: 72%)
  • 벌은 완전변태를 하는 곤충 중 하나입니다. 벌은 애벌레, 유충, 번데기 등의 단계를 거쳐 성체가 되는데, 이러한 과정을 완전변태라고 합니다. 따라서 벌은 완전변태를 하는 곤충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메뚜기류의 작은턱수염이 연결된 부위는?

  1. 밑마디
  2. 자루마디
  3. 도래마디
  4. 바깥조각
(정답률: 52%)
  • 메뚜기류의 작은턱수염은 자루마디에 연결됩니다. 이는 작은턱수염이 다리와 연결되는 부분인 도래마디와는 달리, 작은턱수염이 몸통과 연결되는 부분이 자루마디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콩과작물의 꼬투리와 과일나무의 열매 등을 흡즙하여 수량과 품질을 크게 떨어뜨리는 해충은?

  1. 파리류
  2. 나방류
  3. 노린재류
  4. 총채벌레류
(정답률: 56%)
  • 노린재류는 콩과작물과 과일나무의 꼬투리와 열매를 흡즙하여 수량과 품질을 크게 떨어뜨리는 해충으로, 다른 보기인 파리류, 나방류, 총채벌레류는 이와 같은 특징을 가지고 있지 않기 때문에 정답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벼 줄기 속을 가해하여 새로 나온 잎이나 이삭이 말라 죽도록 가해하는 해충은?

  1. 벼멸구
  2. 혹명나방
  3. 이화명나방
  4. 끝동매미충
(정답률: 56%)
  • 벼 줄기 속을 가해하여 새로 나온 잎이나 이삭이 말라 죽도록 가해하는 해충은 이화명나방입니다. 이화명나방은 애벌레가 벼 줄기 속으로 들어가서 그 속에서 성장하며, 벼의 수액을 먹고 생활합니다. 이 과정에서 벼 줄기의 수액이 많이 빨려나가고, 이로 인해 벼의 생육이 저하되고, 결국 수확량이 감소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곤충의 번데기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번데기의 모습은 부속지의 위치에 따라 피용과 나용으로 구분한다.
  2. 외시류에서 형태와 생리가 매우 다른 유충기와 성충기를 연결시켜 주는 발육단계이다.
  3. 대부분의 번데기는 운동성이 없기 때문에 천적으로부터 취약하며, 휴면이나 월동처럼 오랜 기간 지속되는 환경조건에도 취약하다.
  4. 먹이를 섭취하지 않은 시기로 내부적으로는 유충조직이 파괴되고 성충조직과 기관을 형성하는 매우 활발한 생리적 활성을 보이고 있는 시기다.
(정답률: 50%)
  • 외시류에서 형태와 생리가 매우 다른 유충기와 성충기를 연결시켜 주는 발육단계이다. - 이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번데기는 유충기와 성충기를 연결시켜주는 발육단계이며, 이 과정에서 외형과 생리적인 변화가 일어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재배학원론

41. 무배유 종자에 해당하는 것은?

  1. 피마자
  2. 상추
(정답률: 77%)
  • 상추는 무배유 종자에 해당합니다. 무배유 종자란 씨앗 안에 열매가 들어있지 않고, 단순히 씨앗 자체가 열매인 종자를 말합니다. 상추의 씨앗은 작고 검은색이며, 열매가 없는 단순한 형태를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큰 강의 유역은 주기적으로 강이 범람해서 비옥해져 농사짓기에 유리하므로 원시농경의 발상지이었을 것으로 추정한 사람은?

  1. Vavilov
  2. Dettweiler
  3. De Candolle
  4. Liebig
(정답률: 66%)
  • De Candolle은 큰 강의 유역이 농사짓기에 적합한 지역이라는 가설을 제시하였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다음 중 요수량이 가장 작은 것은?

  1. 귀리
  2. 보리
  3. 기장
  4. 목화
(정답률: 61%)
  • 요수량이 가장 작은 것은 "기장"입니다. 이유는 다른 보기들에 비해 기장은 농작물로서 재배되는 경우가 적기 때문입니다. 귀리와 보리는 주식용으로도 사용되고, 목화는 섬유로 사용되기 때문에 더 많이 재배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다음 중 종자의 수명이 가장 긴 것은?

  1. 메밀
  2. 가지
  3. 고추
  4. 양파
(정답률: 58%)
  • 가지입니다.

    가지는 종자의 수명이 약 5년에서 10년 이상으로 가장 길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반면 메밀은 1년, 고추는 2년, 양파는 2년에서 3년 정도의 수명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가지가 종자의 수명이 가장 긴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 )에 알맞은 내용은?

  1. 연무
  2. 산성비
  3. 불화수소
  4. PAN
(정답률: 72%)
  • 이 그림은 대기오염물질 중 하나인 PAN (Peroxyacetyl nitrate)의 분자 구조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PAN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다음 중 굴광현상에서 가장 유효한 파장은?

  1. 120~250nm
  2. 440~480nm
  3. 600~680nm
  4. 700~750nm
(정답률: 80%)
  • 굴광현상에서 가장 유효한 파장은 440~480nm이다. 이는 광원에서 발생한 빛 중에서 이 파장대의 빛이 가장 많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이 파장대의 빛은 광활성성분에 의해 흡수되어 화학반응을 일으키는데, 이를 이용하여 광촉매나 광화학 반응 등에 활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작물재배 시 담배의 최적온도는?

  1. 12℃
  2. 18℃
  3. 28℃
  4. 35℃
(정답률: 69%)
  • 담배는 온도가 높을수록 성장이 빨라지지만, 너무 높은 온도에서는 생장이 멈추거나 광합성이 억제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담배의 최적온도는 28℃로 알려져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다음 중 천연 옥신류에 해당하는 것은?

  1. IAA
  2. 키네틴
  3. BA
  4. GA3
(정답률: 75%)
  • 정답인 "IAA"는 인도레아세트산으로, 식물 성장 호르몬 중 하나이며 천연으로 존재하는 옥신류 중 하나이다. 나머지 보기들은 모두 합성 호르몬이거나 인공적으로 만들어진 화합물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작물을 용도에 따라 분류할 때 약용작물로만 나열된 것은?

  1. 사탕무, 사탕수수
  2. 어저귀, 왕골
  3. 유채, 땅콩
  4. 제충국, 박하
(정답률: 80%)
  • 약용작물은 의약품이나 건강식품 등의 목적으로 사용되는 작물을 말한다. 따라서 "제충국"은 해열, 진통, 소화촉진 등의 효능이 있어 약용으로 사용되며, "박하"는 심신 안정, 수면유도, 진통 등의 효능이 있어 약용으로 사용된다. 따라서 이 두 작물만 약용작물로 분류되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나무딸기에서 이용되며 가지의 선단부를 휘어서 묻는 방법은?

  1. 분주
  2. 성토법
  3. 고취법
  4. 선취법
(정답률: 74%)
  • 선취법은 가지의 선단부를 휘어서 묻는 방법으로, 나무딸기에서 이용됩니다. 이 방법은 가지의 선단부를 묻어서 새로운 뿌리가 발생하도록 유도하는 방법으로, 뿌리가 발생한 후에는 새로운 식물이 자라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작물의 내염성 정도가 강한 것으로만 나열된 것은?

  1. 완두, 셀러리
  2. 감자, 고구마
  3. 살구, 복숭아
  4. 양배추, 순무
(정답률: 74%)
  • 양배추와 순무는 내염성 정도가 강한 작물로 분류됩니다. 이는 두 작물이 식물성 단백질인 글루티노과이드를 많이 함유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글루티노과이드는 인체에서 소화되지 않아 소화기관을 자극하고 염증을 일으키는 성분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따라서 글루티노과이드를 섭취할 경우 내염성 반응이 강하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산성토양에 가장 약한 작물로만 나열된 것은?

  1. 콩, 팥
  2. 땅콩, 기장
  3. 감자, 유채
  4. 토란, 양배추
(정답률: 57%)
  • 콩과 팥은 질산염과 인산염 등의 양분을 많이 필요로 하지 않고, 산성토양에서도 잘 자라는 작물이기 때문에 산성토양에 가장 약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작물을 복토할 경우 복토 깊이가 0.5~1.0cm에 해당하는 것으로만 나열된 것은?

  1. 콩, 팥
  2. 가지, 토마토
  3. 옥수수, 완두
  4. 강낭콩, 잠두
(정답률: 68%)
  • 가지와 토마토는 얕은 뿌리를 가지고 있어 복토 깊이가 얕은 범위에 해당합니다. 콩, 팥, 옥수수, 완두, 강낭콩, 잠두는 뿌리가 더 깊게 내려가는 작물이므로 복토 깊이가 더 깊은 범위에 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 )에 알맞은 내용은?

  1. 붕소
  2. 구리
  3. 염소
  4. 규소
(정답률: 79%)
  • 이 그림은 원소 주기율표에서 5번째 주기에 해당하는 원소들의 전자껍질 구조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붕소는 5번째 주기의 원소 중 하나이며, 전자껍질에는 3개의 전자가 존재합니다. 이러한 전자 구조로 인해 붕소는 반도체 속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이 그림에서 붕소는 "붕소"로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다음 중 자식성 식물로만 나열된 것은?

  1. 딸기, 호밀
  2. 양파, 메밀
  3. 담배, 완두
  4. 시금치, 호프
(정답률: 50%)
  • 담배와 완두는 모두 자식성 식물입니다. 딸기, 호밀, 양파, 메밀, 시금치, 호프는 모두 자식성 식물이 아닌 다른 종류의 식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재배포장에서 파종된 종자의 발아상태를 조사할 때 “발아한 것이 처음 나타난 날”을 무엇이라 하는가?

  1. 발아의 양부
  2. 발아시
  3. 발아기
  4. 발아전
(정답률: 80%)
  • "발아시"는 파종된 종자에서 발아가 처음으로 나타난 날을 의미합니다. 이는 종자의 발아 상태를 파악하기 위해 중요한 지표이며, 작물의 성장과 수확 시기를 예측하는 데에도 활용됩니다. 따라서 재배포장에서는 종자의 발아시를 정확히 파악하여 작물 생산에 반영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종묘로 이용되는 영양기관을 분류할 때 땅속 줄기에 해당하는 것으로만 나열된 것은?

  1. 다알리아, 고구마
  2. 마, 글라디올러스
  3. 나리, 모시풀
  4. 생강, 박하
(정답률: 66%)
  • 종묘에서 이용되는 영양기관은 대개 식물의 뿌리, 줄기, 잎, 꽃 등 다양한 부분으로 구성됩니다. 그러나 이 문제에서는 땅속 줄기에 해당하는 것으로만 나열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땅속에 있는 줄기를 가진 생강과 박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수광태세가 좋아지는 벼의 초형으로 틀린 것은?

  1. 잎이 넓을수록 좋아진다.
  2. 상위엽이 직립한다.
  3. 분얼이 조금 계산형인 것이 좋다.
  4. 키가 너무 크거나 작지 않다.
(정답률: 77%)
  • 잎이 넓을수록 좋아진다는 것은 영양분을 더 많이 흡수할 수 있기 때문이다. 넓은 잎은 광합성을 더 많이 하여 더 많은 영양분을 만들어내기 때문에, 이를 더 효율적으로 흡수할 수 있는 뿌리와 함께 성장이 더욱 원활해진다. 따라서 수광태세가 좋아지는 벼의 초형으로는 잎이 넓을수록 좋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배낭을 만들지 않고 포자체의 조직세포가 직접 배를 형성하는 것은?

  1. 위수정생식
  2. 부정배형성
  3. 웅성단위생식
  4. 무성생식
(정답률: 69%)
  • 부정배형성은 포자체의 조직세포가 직접 배를 형성하는 형태의 생식 방식입니다. 이는 배낭을 만들지 않고 직접 배를 형성하기 때문에 부정배형성이라고 불립니다. 다른 생식 방식들은 배낭을 만들거나 웅성단위생식과 같이 특정한 세포가 생식을 담당하는 반면, 부정배형성은 조직세포 자체가 생식을 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다음 중 작물의 교잡률이 0.0 ~ 0.15%에 해당하는 것은?

  1. 아마
  2. 가지
  3. 수수
  4. 보리
(정답률: 51%)
  • 정답은 "보리"입니다. 보리는 자가수분화 작물로서 교잡률이 매우 낮아 0.0 ~ 0.15%에 해당합니다. 이는 보리가 자가수분화 작물이기 때문에 다른 종류의 보리와 교잡이 일어날 가능성이 매우 적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농약학

61. 농약의 안전사용기준을 설정하는 주된 목적은?

  1. 약해를 없애기 위하여
  2. 약효를 증대시키기 위하여
  3. 농산물 중 잔류량이 허용기준을 초과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4. 살포하는 농민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정답률: 81%)
  • 농산물 중 잔류량이 허용기준을 초과하면 인체에 해로울 수 있기 때문에, 농약의 안전사용기준을 설정하여 농산물 중 잔류량이 허용기준을 초과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다음 중 보호 살균제의 농약은?

  1. 키타진
  2. 가스가민
  3. 석회보르도액
  4. 스트렙토마이신
(정답률: 79%)
  • 석회보르도액은 농작물의 병해충을 예방하고 치료하기 위해 사용되는 보호 살균제입니다. 이는 석회와 구리 설페이트를 혼합하여 만든 액체로, 구리 설페이트가 세균과 곰팡이를 죽이고 석회가 식물의 표면을 보호하여 병해충의 침입을 막습니다. 따라서 석회보르도액은 농작물의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 필수적인 농약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농약의 구비조건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독성이 강할 것
  2. 약해가 없을 것
  3. 약효가 확실할 것
  4. 저장성이 좋을 것
(정답률: 85%)
  • 농약의 구비조건 중에서 "독성이 강할 것"이 가장 거리가 먼 이유는, 농약이 사용되는 대상인 작물이나 동물에 대한 독성이 강할수록 인체나 환경에 악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높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농약의 구비조건으로는 약효가 확실하고 저장성이 좋을 것이 중요하지만, 독성이 강할 것은 오히려 부적절한 조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피페로닐 부톡사이드(Piperonyl butoxide)는?

  1. Pyrethrin의 협력제이다
  2. 유기황계 상균제이다.
  3. 유기인제 상충제이다.
  4. 유기염소계 살충제이다.
(정답률: 57%)
  • 피페로닐 부톡사이드는 살충제 중 하나인 Pyrethrin의 효과를 증대시키기 위해 협력제로 사용되는 화학물질이다. 즉, Pyrethrin과 함께 사용되어 더욱 강력한 살충 효과를 발휘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포인세티아에 대하여 식물호르몬인 지베레린의 작용을 저해하여 식물의 신장억제 작용을 하는 약제는?

  1. MH제
  2. 칼카본
  3. β-인돌초산(IAA)
  4. 클로르메콰클로라이드
(정답률: 44%)
  • 포인세티아는 겨울철에 꽃이 피는 대표적인 실내관엽식물 중 하나입니다. 그러나 이 식물은 지베레린이라는 식물호르몬에 민감하여, 지베레린이 많이 분비되면 식물이 빠르게 성장하고 꽃이 피어버리는 문제가 있습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포인세티아를 식물의 신장억제 작용을 하는 약제로 처리하는데, 이 약제가 바로 클로르메콰클로라이드입니다. 클로르메콰클로라이드는 지베레린의 작용을 저해하여 식물의 성장을 억제하고 꽃이 피는 시기를 조절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농약의 주성분에 의한 분류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도포제
  2. 유기염소제
  3. 카바메이트제
  4. 피레스로이드제
(정답률: 85%)
  • 도포제는 농약의 주성분에 의한 분류가 아니라, 농작물에 직접 도포하여 해충을 방제하는 방법을 의미한다. 따라서 다른 보기들과는 분류 방법이 다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메프유제 50%를 0.05%.로 희석하여 10a당 100L를 살포하려고 할때 소요약량은 약 몇 mL 인가? (단, 비중은 1.008 이다.)

  1. 99.2
  2. 109.2
  3. 119.2
  4. 129.2
(정답률: 58%)
  • 먼저, 메프유제 50%를 0.05%로 희석하면 1000배가 되므로 1mL의 원액에 999mL의 용매를 추가해야 한다. 따라서 10a당 필요한 용액의 양은 100L × 0.05% × 10a = 50mL이 된다.

    그리고 이 용액의 질량은 부피와 비중을 이용하여 계산할 수 있다. 부피는 50mL이고 비중은 1.008이므로 질량은 50mL × 1.008g/mL = 50.4g이 된다.

    마지막으로, 10a당 필요한 용액의 양은 50mL이므로 1a당 필요한 용액의 양은 5mL이 된다. 따라서 10a당 필요한 용액의 양은 5mL × 10a = 50mL이 된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10a당 필요한 용액의 양을 mL로 묻고 있으므로, 이 값을 100로 나누어 주면 된다. 따라서 정답은 50mL ÷ 100 × 10a = 0.5a = 99.2mL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다음 중 농약의 보조제(supplement agent)에 해당하는 것은?

  1. 유인제
  2. 식독제
  3. 기피제
  4. 유화제
(정답률: 77%)
  • 정답은 "유화제"입니다. 유화제는 농약의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보조제로, 농약의 분산성을 높여서 작용을 강화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다른 보기들은 농작물 보호를 위한 농약의 종류를 나타내는 용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석회유황합제(石灰硫黃合劑)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주성분은 다황화칼슘(CaS5)이고 티오황산칼슘(CaS2O5)을 소량 함유한다.
  2. 과수 및 보리 등의 병 방제용으로 사용된다.
  3. 일반적으로 겨울에는 300~600배액을, 여름철에는 20~30배액을 사용한다.
  4. 주성분이 공기 중의 산소 또는 이산화탄소와 작용하여 활성화된 유황분자에 의해 살균이 이루어진다.
(정답률: 73%)
  • 석회유황합제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없다.

    일반적으로 겨울에는 300~600배액을, 여름철에는 20~30배액을 사용하는 이유는 겨울에는 병해충이 활동이 적고, 농작물이 휴면 상태이기 때문에 농약 사용량을 줄일 수 있고, 여름에는 병해충이 활발하게 활동하기 때문에 농약 사용량을 늘려야 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Cyclodiene계로서 2개의 이성질체가 있으며 접촉독 및 식독작용에 의하여 살충효과가 있는 약제는?

  1. 메소밀
  2. 피레스린
  3. 엔도설판
  4. 이미다클로프리드
(정답률: 48%)
  • Cyclodiene계 살충제 중 엔도설판은 2개의 이성질체를 가지고 있으며, 접촉독 및 식독작용에 의해 살충효과가 있습니다. 메소밀, 피레스린, 이미다클로프리드는 Cyclodiene계 살충제이지만, 엔도설판과는 다른 화합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유기인계 살균제로서 도열병에 대한 효과가 가장 큰 농약은?

  1. 아이비(IBP)
  2. 캡탄(Captan)
  3. 다코닐(Daconil)
  4. 가스가마이신(Kasugamycin)
(정답률: 52%)
  • 아이비(IBP)는 유기인계 살균제 중 도열병에 대한 효과가 가장 큰 농약입니다. 이는 아이비(IBP)가 도열병균에 대한 살균력이 뛰어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분제의 물리적 성질에해당하는 것으로만 나열된 것은?

  1. 현수성. 유화성
  2. 습전성, 표면장력
  3. 수화성, 접촉각
  4. 용적비중, 비산성
(정답률: 68%)
  • "용적비중"은 물체의 밀도를 나타내는 물리적 성질이며, "비산성"은 물체가 부서지지 않고 그대로 유지되는 성질을 나타냅니다. 이 두 가지 성질은 물체의 물리적인 크기와 질량, 그리고 내구성 등과 관련이 있습니다. 따라서 이 두 가지 성질만 나열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피레스로이드(Pyrethroid)계 살충제의 특성에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간접접촉제로서 곤충의 기문이나 피부를 통하여 체내에 들어가 근육마비를 일으킨다.
  2. 온혈동물, 인축에는 매우 저독성이며 곤충에 따라 살충력이 강하다
  3. 중추신경계나 말초신경계에 대하여 매우 낮은 농도에서 독성작용을 일으키는 신경독성화합물이다.
  4. 고온보다 저온상태에서 약효발현이 잘 된다.
(정답률: 47%)
  • "간접접촉제로서 곤충의 기문이나 피부를 통하여 체내에 들어가 근육마비를 일으킨다."가 틀린 것이 아니라 옳은 것입니다. 피레스로이드 계 살충제는 간접접촉제로서 곤충의 기문이나 피부를 통해 체내로 들어가 근육마비를 일으키는 특성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농약조제용 증량제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

  1. 수분함량과 입자의 흡습성이 낮은 증량제가 좋다.
  2. 증량제의 가비중은 입자의 비산성과 관계가 있으므로 0.2 이하가 적당하다.
  3. 증량제의 강도가 강할수록 농약살포 시 더 유리하다.
  4. 증량제의 pH에 의한 농약의 주성분 분해영향은 거의 없다.
(정답률: 44%)
  • 농약조제용 증량제는 농약을 증량하여 농약의 효과를 높이는 역할을 합니다. 이때, 수분함량과 입자의 흡습성이 낮은 증량제가 좋은 이유는 농약과 증량제가 함께 저장될 때 증량제가 습기를 흡수하여 농약의 효능을 감소시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입니다. 또한, 증량제의 가비중은 입자의 비산성과 관계가 있으므로 0.2 이하가 적당합니다. 증량제의 강도가 강할수록 농약살포 시 더 유리하다는 것은 잘못된 설명입니다. 마지막으로, 증량제의 pH에 의한 농약의 주성분 분해영향은 거의 없다는 것은 맞는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다음 농약의 약해증상 중 만성적 약해에 해당하는 것은?

  1. 낙과(落果)
  2. 화아(花芽) 형성
  3. 엽소(葉燒)
  4. 발근(發根) 불량
(정답률: 55%)
  • 만성적 약해증상은 작물의 성장과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농약의 장기적인 노출로 인해 발생하는 증상입니다. 화아(花芽) 형성은 작물의 생식기관인 꽃이 형성되는 과정으로, 농약의 만성적인 노출로 인해 꽃이 제대로 형성되지 못하고 불완전한 형태로 발달하는 것을 말합니다. 따라서 화아(花芽) 형성은 만성적 약해증상에 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과거 어느 살충제보다 살충력이 강하고, 적용범위가 넓으며 저렴한 값에 대량생산의 장점이 있으나 잔류독성의 문제를 일으킬 위험요인이 가장 큰 계통의 농약은?

  1. 유기황계
  2. 유기인계
  3. 유기염소계
  4. 카바메이트계
(정답률: 67%)
  • 유기염소계 농약은 분해되기 어렵고 잔류기간이 길어서 환경과 생물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또한 인체에도 유해한 영향을 미칠 수 있어서 사용이 제한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농약의 제형에 의한 분류에 있어서 희석살포제인 제형에 해당되는 것은?

  1. 수면부상성입제
  2. 미립제
  3. 분제
  4. 과립수화제
(정답률: 70%)
  • 희석살포제는 액상의 농약을 과립수화제와 같은 고체 형태로 변환하여 분무기 등을 이용해 분사할 수 있도록 만든 제형입니다. 따라서 "과립수화제"가 희석살포제에 해당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다음 중 작물 잔류성이 가장 낮은 악제는?

  1. 침투성 약제
  2. 유용성(油溶性) 약제
  3. 증발하기 쉬운 약제
  4. 작물에 부착성이 큰 약제
(정답률: 87%)
  • 작물 잔류성이 가장 낮은 악제는 "증발하기 쉬운 약제"입니다. 이는 약제가 쉽게 증발하여 작물에 잔류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 약제는 작물에 대한 영향이 적고, 환경오염의 위험성도 낮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50% 의 페뉴뷰카브유제(비중:1) 100mL를 0.05% 액으로 희석하는데 소요되는 물의 양은 약 몇 L 인가?

  1. 49.95 L
  2. 99.9 L
  3. 499.5 L
  4. 999.9 L
(정답률: 67%)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물에 녹지 않은 원제를 벤토나이트 고령토점토광물의 증량제와 혼합하고, 여기에 친수성ㆍ습전성 및 고착성 등을 부가시키기 위하여 적당한 계면활성제를 가하여 미분말화시킨 농약의 제형은?

  1. 수용제
  2. 수화제
  3. 분제
  4. 유제
(정답률: 74%)
  • 벤토나이트 고령토점토광물은 물에 녹지 않는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물에 녹지 않은 원제와 혼합하여 사용한다. 이 혼합물에 친수성, 습전성, 고착성 등을 부가시키기 위해 적당한 계면활성제를 가하여 미분말화시킨다. 이때, 미분말화시키기 위해 사용하는 용매가 물인 경우, 계면활성제는 수화제로 선택된다. 따라서, 이 농약의 제형은 "수화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잡초방제학

81. 논에서 다년생 잡초가 증가하는 요인으로 거리가 먼 것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시비량 증가
  2. 조기이식 감소
  3. 춘경 및 추경의 감소
  4. 1년생 잡초 제초제 연용
(정답률: 46%)
  • 논에서 다년생 잡초가 증가하는 요인으로 거리가 먼 것은 "조기이식 감소"입니다. 이는 다년생 잡초가 생육기간 동안 충분한 영양분을 흡수하지 못하고 죽어버리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식이 늦어지면 다년생 잡초가 증가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벼와 광경합이 가장 크게 일어나는 잡초는?

  1. 강피
  2. 올미
  3. 쇠털골
  4. 논뚝외풀
(정답률: 82%)
  • 강피는 농경지에서 가장 흔하게 발견되는 잡초 중 하나입니다. 이는 강피가 빠른 생장력과 번식력을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강피는 높은 생존력을 가지고 있어서 다른 작물과 경쟁에서 이길 수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강피는 벼와 광경합에서 가장 큰 문제가 되는 잡초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벼 잡초인 피 방제를 위한 프로파닐 제초제의 선택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휴면성의 차이에 기인한 것이다.
  2. 형태적인 차이에 기인한 것이다.
  3. 생활상의 차이에 기인한 것이다.
  4. 효소 활성의 차이에 기인한 것이다.
(정답률: 60%)
  • 정답은 "효소 활성의 차이에 기인한 것이다."입니다. 이는 벼와 잡초의 효소 활성이 다르기 때문입니다. 프로파닐 제초제는 효소를 억제하여 잡초를 제거하는데, 벼의 효소는 프로파닐에 덜 민감하고, 잡초의 효소는 프로파닐에 민감합니다. 따라서 프로파닐 제초제는 잡초를 제거하면서도 벼를 보호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토양내 제초제의 흡착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이온화가 가능한 제초제는 음이온 치환을 통해 흡착된다.
  2. 토양내 점토물의 표면에 부착되거나 친화력을 갖는 것을 의미한다.
  3. 대부분의 제초제는 반응기를 갖고 있어서 토양 유기물과 치환혼합이 가능하다.
  4. 제초제는 대부분 하나 이상의 방향족 물질을 함유하고 있어 흡착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정답률: 58%)
  • "이온화가 가능한 제초제는 음이온 치환을 통해 흡착된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이온화가 가능한 제초제는 양이온 치환을 통해 흡착된다. 이유는 이온화가 가능한 제초제는 양전하를 띠고 있기 때문에 토양의 음전하를 띠는 표면과 상호작용하여 흡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기생성, 식해성 및 병원성을 지닌 곤충 등을 이용하여 잡초의 발생밀도를 감소시키는 방법은?

  1. 화학적 방제법
  2. 생물적 방제법
  3. 생태적 방제법
  4. 물리적 방제법
(정답률: 82%)
  • 생물적 방제법은 화학적 방제법과 달리 환경오염을 최소화하면서도 잡초를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식생성, 기생성 및 병원성을 지닌 곤충 등을 이용하여 잡초의 발생밀도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자연적인 생태계를 유지하면서도 잡초를 제어할 수 있습니다. 이 방법은 환경친화적이며, 장기적으로는 더욱 효과적인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일년생 잡초로만 올바르게 나열된 것은?

  1. 냉이, 바랭이
  2. 명아주, 강아지풀
  3. 개구리밥, 벼룩나물
  4. 망초, 나도방동사니
(정답률: 65%)
  • 일년생 잡초는 한 해 동안 자라서 씨를 뿌리고 죽는 잡초를 말합니다. 그 중에서도 "명아주"와 "강아지풀"은 대표적인 일년생 잡초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다년생 잡초나 한해 이상 자라는 잡초들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올바르게 나열되지 않았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논에서 주로 종자로 번식하는 잡초는?

  1. 올미
  2. 벗풀
  3. 올방개
  4. 물달개비
(정답률: 53%)
  • 물달개비는 물가나 습지 등에서 주로 번식하며, 종자로 번식하는 잡초 중에서는 가장 대표적인 종류입니다. 따라서 주어진 보기 중에서 물달개비가 가장 적절한 답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단자엽 잡초의 특징으로 옳은 것은?

  1. 뿌리는 직근계이다.
  2. 잎은 대게 평행맥이다.
  3. 개방유관속의 줄기를 가지고 있다.
  4. 일반적으로 생장점은 식물체의 위쪽에 위치한다.
(정답률: 64%)
  • 단자엽 잡초의 특징 중 잎은 대게 평행맥이다는 것은, 잎의 중앙을 따라 하나의 직선적인 맥이 흐르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다른 잡초들과 구별되는 특징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잡초가 제초제를 흡수하는 과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뿌리와 잎에 의해서만 흡수된다.
  2. 토양에 잔류하는 제초제는 대부분 뿌리를 통하여 흡수된다.
  3. 경엽처리제는 대부분 잎과 표면이나 기공을 통하여 흡수된다.
  4. 습윤제는 잎표면의 계면장력을 줄여 제초제의 흡수를 용이하게 한다.
(정답률: 75%)
  • "뿌리와 잎에 의해서만 흡수된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토양에 잔류하는 제초제는 대부분 뿌리를 통해 흡수되지만, 일부 제초제는 잎을 통해 흡수되기도 한다. 따라서 "뿌리와 잎에 의해서만 흡수된다."는 부분적으로 옳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주로 콩과 작물 및 목본식물에 기생하여 수분이나 양분 등을 탈취하는 잡초는?

  1. 새삼
  2. 바랭이
  3. 강아지풀
  4. 중대가리풀
(정답률: 71%)
  • 정답은 "새삼"입니다. 새삼은 콩과 작물, 목본식물 등에 기생하여 수분과 양분을 탈취하는 잡초로, 농작물의 성장을 방해하고 수확량을 감소시킵니다. 따라서 농업에서는 새삼을 제거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바랭이, 강아지풀, 중대가리풀도 잡초이지만, 새삼보다는 덜 유해하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생태적 방제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문제 오류로 실제 시험에서는 모두 정답처리 되었습니다. 여기서는 1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 됩니다.)

  1. 윤작을 실시한다.
  2. 작물의 재식밀도를 조절한다.
  3. 과수원에서는 피복작물을 재배한다.
  4. 작물의 초관형성시기를 되도록 늦춘다.
(정답률: 80%)
  • 생태적 방제법 중 하나인 윤작은 작물을 일정한 간격으로 심어 작물 간의 경쟁을 줄이고, 토양의 영양분을 효율적으로 이용하여 작물의 생육을 개선시키는 방법입니다. 이를 통해 작물의 건강한 성장을 유지하면서 병해충의 발생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잡초발생이 많은 포장에 서로 다른 제초제를 사용하고 시기를 달리하여 2번 이상 살포하는 방법은?

  1. 이중처리
  2. 종합처리
  3. 체계처리
  4. 복합처리
(정답률: 44%)
  • 잡초발생이 많은 포장에 서로 다른 제초제를 사용하고 시기를 달리하여 2번 이상 살포하는 방법은 "체계처리"이다. 이는 체계적인 계획과 실행을 통해 잡초를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방법으로, 여러 가지 방법을 조합하여 사용하는 "복합처리"와는 차이가 있다. 이중처리와 종합처리는 해당 상황과 문제에 따라 다양한 방법으로 처리하는 것을 의미하며, 체계처리는 일관된 방법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월년생 잡초가 주로 발아하는 시기는?

  1. 연중 상관 없음
  2. 봄과 여름 사이
  3. 가을과 겨울 사이
  4. 여름과 가을 사이
(정답률: 64%)
  • 월년생 잡초는 가을과 겨울 사이에 발아하기 때문에 이 시기에 가장 많이 발견됩니다. 이는 기후적인 조건이 적절하고, 경쟁하는 식물들이 적기 때문입니다. 또한, 이 시기에는 땅이 충분히 축축하고, 온도가 낮아서 씨앗이 잘 발아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잡초는 경우에 따라 유용하게 이용되기도 한다. 수질 오염원의 제거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 잡초는?

  1. 쇠비름
  2. 바랭이
  3. 쇠뜨기
  4. 부레옥잠
(정답률: 85%)
  • 부레옥잠은 수질 오염원의 제거에 효과가 있는 잡초로 알려져 있기 때문에 정답이다. 다른 보기들은 수질 오염원 제거와는 관련이 없는 잡초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제초제 제형 중 수화제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물이 필요 없으며 바로 사용 가능하다.
  2. 물에 희석하면 잘 용해되어 투명해진다.
  3. 원제에 유화제를 넣어 혼합 분쇄한 것이다.
  4. 작은 입자 크기로 된 고체이며 물에 녹여 사용한다.
(정답률: 66%)
  • 수화제는 작은 입자 크기로 된 고체이기 때문에 물에 녹여 사용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일장에 거의 영향을 받지 않고 발생 후 일정한 기간이 되면 지하경을 형성하는 다년생 논잡초는?

  1. 벗풀
  2. 가래
  3. 올미
  4. 올방개
(정답률: 44%)
  • 다년생 논잡초 중에서 일장에 거의 영향을 받지 않고 발생 후 일정한 기간이 되면 지하경을 형성하는 것은 올미입니다. 이는 올미가 지하에 뿌리를 내리면서 지하경을 형성하고, 이를 통해 생존력을 높이기 때문입니다. 반면, 벗풀과 가래는 일장에 영향을 많이 받아 생육이 어렵고, 올방개는 지하경을 형성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광발아 잡초에 해당하지 않은 것은?

  1. 지름
  2. 광대나물
  3. 소리쟁이
  4. 왕바랭이
(정답률: 69%)
  • 광발아 잡초는 일반적으로 농작물을 해치는 해충이나 병원균을 운반하는 역할을 하는 식물들을 말합니다. 그러나 광대나물은 이러한 역할을 하지 않고, 오히려 약용으로 사용되는 식물입니다. 따라서 광대나물은 광발아 잡초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벼 재배에서 잡초와의 경합력이 가장 큰 재배법은?

  1. 담수직파 재배
  2. 건답직파 재배
  3. 성묘 손이앙 재배
  4. 어린 모 기계이앙 재배
(정답률: 53%)
  • 성묘 손이앙 재배는 벼 재배에서 잡초와의 경합력이 가장 큰 재배법입니다. 이는 성묘(벼를 심기 전 땅을 살균하는 작업)과 손이앙(벼를 심은 후 잡초를 제거하는 작업)을 효과적으로 수행하여 잡초와의 경쟁에서 우위를 점하는 방법입니다. 담수직파 재배는 물을 이용하여 잡초를 제거하는 방법이며, 건답직파 재배는 건조한 상태에서 파종하고, 이후에 파종한 벼가 자라면서 잡초를 제거하는 방법입니다. 어린 모 기계이앙 재배는 기계를 이용하여 벼를 자동으로 잡초와 함께 심고, 자동으로 잡초를 제거하는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잡초 종자의 발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작물 종자와는 다르게 수분을 요구하지 않는 다.
  2. 정상적인 토양 pH 범위 내에서는 발아가 되기 힘들다.
  3. 항온조건보다는 변온조건이 발아를 촉진하는 경우가 많다.
  4. 논에서 자라는 잡초종은 발아에 있어서 산소 요구도가 높다.
(정답률: 80%)
  • 잡초 종자는 작물 종자와 달리 수분을 요구하지 않지만, 적절한 온도와 습도 조건이 필요하다. 또한, 정상적인 토양 pH 범위 내에서도 발아가 가능하다. 그러나 항온조건보다는 변온조건이 발아를 촉진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는 잡초가 자연환경에서 살아가는 데 있어서 온도 변화에 더 적응해 있기 때문이다. 논에서 자라는 잡초종은 발아에 있어서 산소 요구도가 높은데, 이는 물에 잠긴 상태에서 발아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작물과 잡초의 경합 관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작물의 품종은 잡초와의 경합력과 관계가 없다.
  2. 작물의 재식밀도를 높여 잡초에 경합력을 높일 수 있다.
  3. 잡초보다 먼저 생육을 시작한 작물은 경합에 유리하다.
  4. 토양비옥도가 높은 경우 작물과 잡초 모두의 활력을 높이므로 제초작업을 철저히 해야 한다.
(정답률: 78%)
  • "작물의 품종은 잡초와의 경합력과 관계가 없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작물의 품종은 잡초와의 경합력과 관계가 있을 수 있으며, 일부 작물은 잡초와 경쟁에서 더 유리한 품종이 존재한다. 예를 들어, 일부 작물은 빠른 성장속도와 높은 생산성을 가지고 있어 잡초와 경쟁에서 우위를 점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