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과목: 식물병리학
1. 십자화과 작물에 발생하는 배추 무 사마귀병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것은?
2. 식물병 방제 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3. 작물 돌려짓기에 의한 경종적 방제효과가 가장 높은 것은?
4. 종자로 인한 병균 전염이 가장 잘 되는것은?
5. 오이 노균병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6. 밤나무 줄기마름병의 병반 부위의 전형적인 병징은?
7. 생물학적 방제의 단점으로 옳지 않은 것은?
8. 국내에 발생하는 채소류의 균핵병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9. 식물병으로 인한 피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0. 배나무 붉은별무늬병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1. 우리나라에서 참나무 시들음병을 일으키는 병원균을 매개하는 것으로 알려진 곤충은?
12. 뽕나무 오갈병의 치료제로 주로 쓰이는 것은?
13. 다른 생물의 사체나 죽은 조직에서만 영양분을 섭취하는 것은?
14. 병원균이 기주식물에 침입을 하면 병원균에 저항하는 기주식물의 반응으로 항균 물질 및 페놀성 물질 증가 등의 작용을 무엇이라 하는가?
15. 식물 바이러스병을 진단하는 방법이 아닌 것은?
16. 식물병을 일으키는 곰팡이 중에서 균사에 격막이 없는 병원균으로만 올바르게 나열된 것은?
17. 주로 혈청학적 방법에 의해 진단하는 식물병은?
18. 병원균이 담자기와 담자 포자를 형성하는 것은?
19. 도열병이 다발하는 조건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20. 사과 겹무늬썩음병의 병원균은?
2과목: 농림해충학
21. 성충의 입틀 모양이 서로 다른 것으로 짞지어진 것은?
22. 4령충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23. 곤충 체벽의 진피층(epidermis)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24. 우리나라에 비래하지만 월동하지 않는 것은?
25. 1년에 2회 이상 발생하고 수피 사이나 지피물 밑 등에서 번데기로 활동하는 해충은?
26. 소나무좀의 방제를 위하여 티아클로프리드 액상수화제를 살포하려 할 때 가장 효과적인 시기는?
27. 발생 계통적으로 기원이 다른 곤충 조직은?
28. 마늘 수확 후 저장 과정에서 피해를 주는 것은?
29. 거미와 비교한 곤충의 특징이 아닌 것은?
30. 유충이 탈피를 못하게 하여 해충을 방제하는 것은?
31. 벼를 가해하여 오갈병을 매개하는 것은?
32. 어떤 곤충을 상규하였을 때 25℃에서 10일이 걸렸다. 이 곤충의 발육영점온도가 13℃이면 유호적산온도(DD, Degree-Days)는?
33. 다음 중 유시류에 속하는 것은?
34. 간모를 통해 단위생식을 하는 것은?
35. 진딧물을 포식하는 천적이 아닌 것은?
36. 완전변태를 하지 않는 것은?
37. 복숭아심식나방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38. 이화명나방의 가해 형태 및 기주 피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39. 온실가루이가 속하는 목은?
40. 곤충의 배에 있는 부속기관이 아닌 것은?
3과목: 재배학원론
41. “파종된 종자의 약 40%가 발아한 날”에 해당하는 것은?
42. 포장을 수평으로 구획하고 관개하는 방법은?
43. 포장용수량의 수분범위로 알맞은 것은?
44. 다음중 C3작물에 해당하는 것은?
45. 재배의 기원지가 중앙아시아에 해당하는 것은?
46. 가지를 어미식물에서 분리시키지 않은 채로 흙을 묻거나, 그 밖에 적당한 조건을 주어 발근시킨 다음에 잘라서 독립적으로 번식시키는 방법을 무엇이라 하는가?
47. 작물의 주요 생육온도에서 최고온도가 28~30℃에 해당하는 것은?
48. 3년 휴작이 필요한 작물은?
49. 다음 중 복토깊이가 1.5 ~ 2.0cm에 해당하는 것은?
50. N : P : K 흡수비율에서 5: 1: 1.5 에 해다하는 것은?
51. 박과 채소류 접목의 특징으로 틀린 것은?
52. 다음 중 단명종자에 해당하는 것은?
53. 다음 중 중성식물에 해당하는 것은?
54. 다음 중 혐광성 종자에 해당하는 것은?
55. 완효성 비료에 해당하는 것은?
56. ( ) 에 알맞은 내용은?
57. 다음 중 천연 에틸렌에 해당하는 것은?
58. ( )에 알맞은 내용은?
59. 다음 분 장과류에 해당하는 것으로만 나열된 것은?
60. 다음 중 알줄기에 해당하는 것은?
4과목: 농약학
61. 제초제, 생장조정제, 살충제, 살균제 등으로 분류하는 농약의 기준은?
62. 다음 중 해충의 저항성을 가장 잘 유발시킬 수 있는 경우는?
63. 약해를 일으키는 요인 또는 원인이 아닌 것은?
64. 피리다명, 페나자퀸은 일반적으로 어떤 농약에 속하는가?
65. 농약의 제제에 있어서 계면활성제의 역할은 매우 크다. 계면활성제의 작용에 해당하지 않는것은?
66. 살충제 파라티온(Parathion)의 성상 및 특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67. 피레트린(Pyrethrin) 살충제는 충체의 어느 부분에 작용하여 효과를 내는가?
68. 다음 급성독성 중 그 강도의 순서가 옳게 나열된 것은?
69. 농약 제조 시 고체증량제로 일반적으로 사용되지 않는 것은?
70. 살포한 약제가 작물에서 씻겨 내려가지 않고 표면에 붙어 있는 성질을 가장 잘 나타낸 것은?
71. 자체검사 및 신청검사 시 입제에 대한 최대모집단 수량은 얼마로 정해져 있는가?
72. 분제 농약 조제 시 가장 충분하게 고려하여야 하는 농약의 물리성은?
73. 유기인계 살충제의 작용상의 특징이 아닌 것은?
74. 농약의 생물농축의 정도를 수치로 표현한 생물농축계수(BCF)를 바르게 설명한 것은?
75. 석회유황합제의 주된 유효성분은?
76. 보호살균제의 특성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77. 제초제의 살균 기작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78. 다음 중 전착효과를 나타내는 물질은?
79. 다음 중 농약의 혼용에 있어서 불합리한 경우는?
80. 다음 농약 중 사과의 부란병에 주로 적용되는 것은?
5과목: 잡초방제학
81. 주로 논에 발생하는 잡초로만 올바르게 나열한 것은?
82. 제초제가 식물체에 흡수 이행을 저해하는데 관여하는 요인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83. 광합성 저해형 제초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84. 잡초 방제법 중에서 예방적 방제법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85. 생태적 방제법으로 환경제어법에 대한 설명이 옳은 것은?
86. 우리나라 논에서 발생한 설포닐우레아(sulfonylurea)계 제초제의 저항성 잡초가 아닌것은?
87. 일년생 잡초로만 올바르게 나열한 것은?
88. 잡초 군락의 변이 및 천이를 유발하는데 가장 크게 작용하는 요인은?
89. 월년생 잡초로만 올바르게 나열한 것은?
90. 물리적 방제법으로 토양을 피복하는 주요 이유는?
91. 잡초 종자에 돌기를 갖고 있어 사람이나 동물에 부착하여 운반되기 쉬운 것은?
92. 벼 재배에 주로 사용하지 않는 제초제는?
93. 생물적 방제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94. 농경지에서 잡초로 인하여 발생하는 피해가 아닌 것은?
95. 논에 다년생 잡초가 증가하는 요인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96. 잡초가 작물보다 경쟁에서 유리한 이유로 옳지 않은 것은?
97. 잡초의 밀도가 증가되면 작물의 수량이 감소되고, 어느 밀도 이상으로 잡초가 존재하면 작물의 수량이 현저히 감소되는 수준까지의 밀도를 무엇이라 하는가?
98. 주로 괴경으로 번식하는 잡초로만 올바르게 나열한 것은?
99. 암발아 잡초 종자에 해당하는 것은?
100. 일반적으로 작물과 잡초의 경합으로 작물에 가장 큰 피해를 주는 시기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