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물보호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9-03-03)

식물보호기사
(2019-03-03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식물병리학

1. 토마토 풋마름병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토마토에만 감염된다.
  2. 담자균에 의한 병이다.
  3. 병원균은 주로 병든 식물체에서 월동한다.
  4. 병원균이 뿌리로 침입하면 뿌리가 흰색으로 변한다.
(정답률: 62%)
  • 토마토 풋마름병은 병원균이 월동하여 다음 시즌에 다시 감염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병든 식물체에서 월동한다는 것이 옳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식물병을 일으키는 병원체 중 핵산으로만 구성되어 있으며 크기가 가장 작은 것은?

  1. 바이러스
  2. 바이로이드
  3. 파이토플라스마
  4. 스피로플라스마
(정답률: 87%)
  • 바이로이드는 핵산으로만 구성되어 있으며, 크기가 가장 작은 식물병원체 중 하나입니다. 이는 바이러스와 마찬가지로 세포 내부에서 번식하며, 호스트 세포를 감염시켜 병을 일으킵니다. 하지만 바이러스와 달리 바이로이드는 핵산 외부에 단백질 코팅이 없어서 호스트 세포 내부에서 번식할 때 보다는 외부에서 번식하는 것이 더 효과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포도나무 새눈무늬병균의 월동 형태는?

  1. 균핵
  2. 균사
  3. 담자포자
  4. 후막포자
(정답률: 48%)
  • 포도나무 새눈무늬병균의 월동 형태는 균사입니다. 이는 병균이 지상부에서 죽지 않고 지속적으로 생존하기 위해 생산하는 성체로, 지하에서 겨울을 견디며 다음해 봄에 감염을 일으키는 역할을 합니다. 균사는 지하에서 덩어리를 이루며, 이를 통해 병균이 번식하고 확산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배추 무름병을 일으키는 병원체는?

  1. 세균
  2. 곰팡이
  3. 바이러스
  4. 파이토플라스마
(정답률: 65%)
  • 배추 무름병은 세균에 의해 일으키는 병이기 때문에 정답은 "세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세균의 변이 기작이 아닌 것은?

  1. 접합
  2. 형질 전환
  3. 형질 도입
  4. 이핵 현상
(정답률: 70%)
  • 이핵 현상은 세균의 변이 기작이 아닙니다. 이는 세포 분열 중에 염색체가 두 개의 세포로 분리되지 않고 하나의 세포에 남아있는 현상으로, 세균의 유전자 변이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접합, 형질 전환, 형질 도입은 모두 세균의 유전자 변이 기작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보리에 발생하는 줄기녹병의 중간기주는?

  1. 잣나무
  2. 향나무
  3. 배나무
  4. 매자나무
(정답률: 77%)
  • 보리에 발생하는 줄기녹병의 중간기주는 매자나무입니다. 이는 매자나무가 줄기녹병의 원인균인 Fusarium graminearum과 밀접한 관련이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매자나무는 보리의 재배지에서는 가능한한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대추나무 빗자루병 방제를 위하여 옥시테트라사이클린 수화제로 수간주사를 하려고 할 때 유의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사용 적기는 4월초이다.
  2. 수확 30일 전까지 사용한다.
  3. 흉고직경이 10cm인 경우 1회에 1L를 주입한다.
  4. 물 10L에 약제 200g을 정량한 후 잘 녹여 사용한다.
(정답률: 59%)
  • "사용 적기는 4월초이다."는 대추나무 빗자루병 방제와 관련이 없는 다른 정보이므로 유의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이 아니다.

    "수확 30일 전까지 사용한다."는 대추나무 빗자루병 방제를 위한 유의사항으로 옳은 정보이다.

    "흉고직경이 10cm인 경우 1회에 1L를 주입한다."는 대추나무 빗자루병 방제를 위한 유의사항으로 옳은 정보이다.

    따라서 유의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물 10L에 약제 200g을 정량한 후 잘 녹여 사용한다."가 아니다. 이는 약제와 물의 비율을 정확히 맞추어 사용하기 위한 정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식물병원균에 대한 길항균으로 많이 사용되는 것은?

  1. Rhizoctonia solani
  2. Steptomyces scabies
  3. Penicillium expansum
  4. Trichoderma harzianum
(정답률: 64%)
  • Trichoderma harzianum은 식물병원균을 제어하는데 효과적인 생물학적 방제제이기 때문에 많이 사용됩니다. 이 균은 식물의 뿌리에 붙어서 식물의 성장을 촉진하고, 동시에 식물병원균의 성장을 억제하여 식물을 보호합니다. 또한, Trichoderma harzianum은 환경 친화적이며, 인간과 동물에 해로운 영향을 미치지 않기 때문에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1970년에 미국에서 발생하여 옥수수 생산에 큰 피해를 준 식물병은?

  1. 역병
  2. 맥각병
  3. 도열병
  4. 깨씨무늬병
(정답률: 77%)
  • 1970년에 미국에서 발생한 식물병은 "깨씨무늬병"입니다. 이 병은 옥수수를 감염시켜 수확량을 줄이고 작물의 품질을 떨어뜨리는 바이러스성 질병입니다. 이 병은 바이러스가 전파되는 벡터인 벌레들에 의해 전파되며, 감염된 옥수수는 잎이 노랗게 변하고 깨씨에 검은 무늬가 생기는 증상을 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배나무 검은별무늬병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잎에서 처음에 황백색의 병무늬가 나타난다.
  2. 배나무 인근에 향나무가 많은 경우 발병하기 쉽다.
  3. 배나무의 잎, 잎자루, 열매, 열매자루, 햇가지 등에 발 한다.
  4. 낙엽을 모아 태우거나 땅 속에 묻어 발병을 예방할 수있다.
(정답률: 65%)
  • "낙엽을 모아 태우거나 땅 속에 묻어 발병을 예방할 수 있다."는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배나무 검은별무늬병은 질병균이 배나무의 잎, 잎자루, 열매, 열매자루, 햇가지 등에 발생하여 나타나는 병이며, 처음에는 황백색의 병무늬가 나타납니다. 이 병은 배나무 인근에 향나무가 많은 경우 발병하기 쉽다는 것은 맞습니다. 이는 향나무가 병균을 매개체로 전파시키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향나무와 배나무를 서로 떨어뜨려 심는 것이 좋습니다. 하지만 낙엽을 모아 태우거나 땅 속에 묻어 발병을 예방할 수 있다는 것은 잘못된 정보입니다. 이 병은 이미 발생한 후에는 예방이 어렵기 때문에, 예방을 위해서는 병균의 전파를 막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병에 걸린 식물의 단면을 잘라서 점액의 누출 여부로 진단하는 경우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세균에 의한 병
  2. 선충에 의한 병
  3. 곰팡이에 의한 병
  4. 바이러스에 의한 병
(정답률: 72%)
  • 세균에 의한 병이 가장 적합한 이유는 세균이 식물의 조직 내에서 증식하면서 점액을 생성하고 누출시키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병에 걸린 식물의 단면을 잘라서 점액의 누출 여부로 세균에 의한 병을 진단할 수 있습니다. 선충에 의한 병은 식물의 조직 내에서 선충이 증식하면서 식물 조직을 파괴하므로 점액의 누출은 없습니다. 곰팡이에 의한 병은 식물의 조직 내에서 곰팡이균이 증식하면서 표면에 덮이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단면에서는 점액의 누출을 확인하기 어렵습니다. 바이러스에 의한 병은 바이러스가 식물의 세포 내에서 증식하면서 식물 조직을 파괴하지만 점액의 누출은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바이로이드에 의한 식물병의 주요 병징은?

  1. 위축
  2. 부패
  3. 점무늬
  4. 줄무늬
(정답률: 76%)
  • 바이로이드에 의한 식물병의 주요 병징 중에서 "위축"은 바이러스가 식물의 세포를 침범하여 세포 내부의 물질을 파괴하고, 이로 인해 식물 조직이 수분을 잃어들어 물리적으로 축소되는 현상을 말합니다. 따라서 식물의 잎이 부드럽고 늘어지며, 전체적으로 쇠약해 보이는 것이 특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그램음성세균에 해당하는 것은?

  1. 토마토 궤양병균
  2. 감자 더뎅이병균
  3. 벼 흰잎마름병균
  4. 감자 둘레썩음병균
(정답률: 65%)
  • 그램음성세균은 그람음성인 세균을 말하는데, 벼 흰잎마름병균은 그람음성세균에 해당한다. 따라서 정답은 "벼 흰잎마름병균"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기주식물의 면역 또는 저항성 개선을 위해 약독 바이러스를 미리 감염시켜 식물체를 강독 바이러스의 감염으로부터 보호하는 것은?

  1. 교차보호
  2. 식물방어
  3. 유도저항성
  4. 저항성 품종
(정답률: 62%)
  • 교차보호는 약독 바이러스를 미리 감염시켜 식물체를 강독 바이러스의 감염으로부터 보호하는 방법이다. 이는 감염된 식물체가 강독 바이러스와 유사한 항원을 생산하게 되어, 이후 강독 바이러스가 식물체에 침입하더라도 이미 항체가 생산되어 있어 감염을 막을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방법은 식물방어, 유도저항성, 저항성 품종 등과 함께 기주식물의 면역 또는 저항성 개선을 위한 방법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사과나무 뿌리혹병의 주요 발생 원인은?

  1. 세균 감염
  2. 토양 선충
  3. 사상균 감염
  4. 생리적 장애
(정답률: 60%)
  • 사과나무 뿌리혹병의 주요 발생 원인은 세균 감염입니다. 이는 뿌리 부분에 있는 세균이 나무를 침범하여 병을 유발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초승달 모양의 대형 분생포자와 원 모양의 소형 분생포자를 형성하는 병원균은?

  1. 벼 도열병균
  2. 벼 오갈병균
  3. 벼 키다리병균
  4. 벼 흰잎마름병균
(정답률: 54%)
  • 벼 키다리병균은 대형 분생포자와 소형 분생포자를 형성하는 병원균으로, 이 분생포자들이 초승달 모양과 원 모양을 띠기 때문에 이러한 이름이 붙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벼 키다리병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벼 잎집무늬마름병의 방제 방법으로 옳은 것은?

  1. 감수성 품종을 재배한다.
  2. 고습도 상태로 재배한다.
  3. 만생종 품종을 재배한다.
  4. 칼리질 비료를 가급적 적게 준다.
(정답률: 68%)
  • 벼 잎집무늬마름병은 만생종 품종에 대한 저항성이 높기 때문에, 만생종 품종을 재배하는 것이 방제 방법으로 적합하다. 감수성 품종을 재배하거나 고습도 상태로 재배하는 것은 오히려 병의 발생을 촉진시킬 수 있으므로 피하는 것이 좋다. 칼리질 비료를 가급적 적게 준다는 것은 벼의 생장을 적절하게 유지하기 위한 조치이지, 벼 잎집무늬마름병의 방제 방법과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바이러스로 인한 식물병의 생물학적 진단방법은?

  1. 슬라이드법
  2. 형광항체법
  3. 괴경지표법
  4. X-체 검경법
(정답률: 64%)
  • 괴경지표법은 바이러스에 감염된 식물의 잎을 괴경(마름)시켜서 바이러스에 대한 반응을 확인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간단하고 빠르게 진단이 가능하며, 바이러스에 감염된 잎이 괴경되는 것은 바이러스가 식물의 세포를 파괴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괴경지표법은 바이러스 감염을 빠르게 확인할 수 있는 유용한 방법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바이러스로 인한 식물병의 증상 중 세포 조직의 괴사로 나타나지 않은 것은?

  1. 반점
  2. 위축
  3. 줄무늬
  4. 둥근겹무늬
(정답률: 69%)
  • 정답: 위축

    설명: 위축은 세포 내부의 수분이 감소하여 세포가 축소되는 현상으로, 바이러스로 인한 식물병의 증상 중 하나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세포 조직의 괴사와 관련된 증상이지만, 위축은 괴사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벼 도열병균이 분비하는 독소는?

  1. 빅토린(Victorin)
  2. 피리큘라린(Piricularin)
  3. 후사릭 산(Fusaric acid)
  4. 라이코마라스민(Lycomarasmine)
(정답률: 52%)
  • 벼 도열병균은 피리큘라린(Piricularin)이라는 독소를 분비합니다. 이 독소는 벼의 세포막을 파괴하여 식물의 세포사멸을 유발하고, 이로 인해 식물의 성장을 방해합니다. 따라서 벼 도열병균은 이 독소를 이용하여 식물을 감염시키고 생존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농림해충학

21. 봄에 수목 주변의 잡초를 제거하여 피해를 줄일 수 있는 해충은?

  1. 꽃매미
  2. 소나무좀
  3. 박쥐나방
  4. 포도뿌리혹벌레
(정답률: 65%)
  • 박쥐나방은 봄에 수목 주변의 잡초를 제거하여 피해를 줄일 수 있는 해충입니다. 이는 박쥐나방이 수목 주변의 잡초에 서식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잡초를 제거함으로써 박쥐나방의 서식지를 없앨 수 있어 피해를 줄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딱정벌레목의 특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종이 다양하다.
  2. 불완전변태를 한다.
  3. 앞날개가 두껍고 날개맥이 없다.
  4. 대부분 외골격이 발달하여 단단하다.
(정답률: 75%)
  • 딱정벌레는 완전변태를 한다. 즉, 애벌레, 유충, 어린이 등의 단계를 거쳐 성체가 되는 것이 아니라, 애벌레와 성체로 직접 변태하는 것이다. 따라서 "불완전변태를 한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곤충의 천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바이러스가 아닌 것은?

  1. 과립 바이러스
  2. 베고모 바이러스
  3. 핵다각체 바이러스
  4. 세포질다각 바이러스
(정답률: 69%)
  • 베고모 바이러스는 식물을 감염시키는 바이러스이기 때문에 곤충의 천적으로 활용할 수 없습니다. 다른 보기들은 곤충을 감염시키는 바이러스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성충과 유충이 모두 잎을 가해하는 해충은?

  1. 박쥐나방
  2. 솔잎혹파리
  3. 미국흰불나방
  4. 오리나무잎벌레
(정답률: 74%)
  • 오리나무잎벌레는 성충과 유충 모두가 잎을 가해하는 해충입니다. 성충은 잎의 표면을 먹고, 유충은 잎의 내부를 먹어서 식물의 생장을 방해하고, 심한 경우에는 식물이 죽을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오리나무잎벌레는 성충과 유충 모두가 해충으로 작용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식도하신경절에 의해 운동신경과 감각신경의 지배를 받지 않는 기관은?

  1. 큰턱
  2. 작은턱
  3. 더듬이
  4. 아랫입술
(정답률: 65%)
  • 식도하신경절은 운동신경과 감각신경을 지배하는데, 더듬이는 이 신경절의 영향을 받지 않기 때문에 운동과 감각이 불가능한 기관이다. 따라서 더듬이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애멸구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천적은 날개집게벌, 애꽃노린재 등이 있다.
  2. 2모작 맥류재배를 하면 애멸구가 많이 발생한다.
  3. 약충과 성충은 벼의 즙액을 빨아먹어 피해를 준다.
  4. 중국으로부터 비래하지만 우리나라에서 월동은 불가능 하다.
(정답률: 80%)
  • 중국으로부터 비래하지만 우리나라에서 월동은 불가능 하다는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애멸구는 겨울철에도 살아남아 월동을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애멸구는 우리나라에서도 월동이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벼룩잎벌레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번데기로 월동한다.
  2. 성충은 주로 열매를 가해한다.
  3. 고추에 주로 발생하는 해충이다.
  4. 일반적으로 작물이 어린 시기에 피해가 많다.
(정답률: 70%)
  • 벼룩잎벌레는 일반적으로 작물이 어린 시기에 발생하며, 작은 벌레들이 잎을 먹어서 작물의 성장을 방해하고 열매의 생산량을 감소시키기 때문에 피해가 많이 발생합니다. 이들은 번데기로 월동하며, 성충은 주로 열매를 가해합니다. 이해하기 쉽게 말하면, 벼룩잎벌레는 작물의 어린 시기에 먹이를 찾아다니며, 잎을 먹어서 작물의 성장을 방해하고 열매의 생산량을 감소시키는 해충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외국으로부터 유입되어 우리나라에 정착한 해충이 아닌 것은?

  1. 벼밤나방
  2. 벼물바구미
  3. 온실가루이
  4. 꽃노랑총채벌레
(정답률: 57%)
  • "벼밤나방"은 우리나라 원산의 해충으로, 외국에서 유입되어 정착한 것이 아닙니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외래해충으로, 외국에서 유입되어 우리나라에 정착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곤충의 배설을 담당하는 기관은?

  1. 알라타체
  2. 존스톤기관
  3. 말피기소관
  4. 모이주머니
(정답률: 85%)
  • 곤충의 배설물은 말피기소관을 통해 배출됩니다. 말피기소관은 소화기관과 연결되어 있으며, 소화된 음식물과 함께 배설물이 이곳을 통해 배출됩니다. 이때 말피기소관은 소화효소와 함께 작용하여 배설물을 처리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거미와 비교한 곤충의 일반적인 특징이 아닌 것은?

  1. 머리에는 입틀, 더듬이, 겹눈이 있다.
  2. 배마디에는 3쌍의 다리와 2쌍의 날개가 있다.
  3. 곤충은 머리, 가슴, 배 3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4. 곤충은 동물 중에 가장 종류가 많으며, 곤충강에 속하는 절지동물을 말한다.
(정답률: 72%)
  • 거미는 곤충이 아니므로, 곤충의 일반적인 특징과는 관련이 없다. 따라서 "배마디에는 3쌍의 다리와 2쌍의 날개가 있다."가 정답이다. 이는 곤충의 일반적인 특징 중 하나인데, 곤충은 세그먼트별로 한 쌍의 다리를 가지고 있으며, 일부 종류는 날개를 가지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곤충의 생식 기관이 아닌 것은?

  1. 심문
  2. 저장낭
  3. 부속샘
  4. 송이체
(정답률: 61%)
  • 심문은 곤충의 생식 기관이 아닙니다. 심문은 곤충의 소화 기관 중 하나로, 음식물을 갈아서 소화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저장낭은 음식물을 저장하는 역할을 하고, 부속샘은 성적인 활동에 필요한 액체를 분비하는 역할을 합니다. 송이체는 수컷 곤충의 생식기로, 정자를 생산하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과변태를 하는 것은?

  1. 가뢰과 곤충
  2. 파리과 곤충
  3. 풍뎅이과 곤충
  4. 날도래과 곤충
(정답률: 76%)
  • 과변태란, 곤충의 발생과정 중에서 애벌레와 성충이 완전히 다른 형태를 가지는 것을 말합니다. "가뢰과 곤충"은 애벌레와 성충이 완전히 다른 형태를 가지는 곤충으로, 애벌레는 땅속에서 생활하며 먹이를 먹고, 성충은 날개를 가지고 비행하며 꽃의 꿀을 먹습니다. 따라서 "가뢰과 곤충"은 과변태를 하는 곤충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톱밥같은 배설물을 밖으로 내보내지 않고 수피 속의 갱도에 쌓아 놓아 피해를 발견하기가 어려운 해충은?

  1. 알락하늘소
  2. 미끈이하늘소
  3. 향나무하늘소
  4. 털두꺼비하늘소
(정답률: 59%)
  • 향나무하늘소는 수피 속의 갱도에 배설물을 쌓아 놓기 때문에 밖으로 내보내지 않아 피해를 발견하기가 어렵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생육 중인 마늘이 하엽부터 고사하기 시작하여 포기의 인경을 파내어 보았더니 구더기 같은 회백색의 유충이 발견되었다면 어느 해충의 피해인가?

  1. 파밤나방
  2. 고자리파리
  3. 담배거세미나방
  4. 아메리카잎굴파리
(정답률: 74%)
  • 고자리파리는 마늘과 양파 등의 식물을 해충으로 공격하는 해충 중 하나이다. 이 해충은 마늘의 하반부에서 유충으로 발견되며, 이러한 증상은 고자리파리의 피해로 인한 것이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발견된 회백색의 유충은 고자리파리의 유충일 가능성이 높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해충의 밀도와 농작물 피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경제적 피해허용수준은 어느 경우에나 일반평형밀도보다 높다.
  2. 경제적 피해수준은 경제적 피해허용수준보다 높게 관리해야 한다.
  3. 일반적인 환경 조건에서 형성된 해충의 평균밀도를 일반평형밀도라고 한다.
  4. 경제적 손실이 나타나는 해충의 최저밀도를 경제적 피해수준이라고 한다.
(정답률: 53%)
  • "경제적 피해허용수준은 어느 경우에나 일반평형밀도보다 높다."는 옳은 설명입니다. 이유는 경제적 피해허용수준은 농작물 생산량과 판매가격, 해충 방제 비용 등을 고려하여 결정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경제적 피해허용수준은 일반적인 환경 조건에서 형성된 해충의 평균밀도보다 높을 수 있습니다. 경제적 피해수준은 경제적 피해허용수준보다 낮게 관리해야 하며, 경제적 손실이 나타나는 해충의 최저밀도를 경제적 피해수준이라고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단위생식이 가능한 것은?

  1. 밤나무혹벌
  2. 배추흰나비
  3. 송충알좀벌
  4. 잣나무넓적잎벌
(정답률: 61%)
  • "단위생식"은 한 쌍의 유전자를 가진 개체가 자신과 같은 유전자를 가진 개체와 교배하여 새로운 개체를 만들어내는 형태의 생식 방식을 말합니다. 이러한 생식 방식은 동일한 유전자를 가진 개체끼리 교배하므로 유전적 다양성이 낮아지는 단점이 있습니다.

    그러나 "밤나무혹벌"은 단위생식이 가능한 이유는, 이들은 동일한 유전자를 가진 개체끼리 교배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유전자를 가진 개체끼리 교배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밤나무혹벌"은 단위생식이 가능한 것입니다. 반면에 "배추흰나비", "송충알좀벌", "잣나무넓적잎벌"은 동일한 유전자를 가진 개체끼리 교배하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단위생식이 불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노린재목의 형태적 특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더듬이는 4~5개 마디로 구성된다.
  2. 뚫어 빠는 입이 있으며 미모는 없다.
  3. 겹눈은 대부분 잘 발달하고 홑눈은 없거나 2~3개이다.
  4. 다리의 발마디는 1~5개 구성되지만 대체로 5개 마디이다.
(정답률: 48%)
  • 다리의 발마디가 대체로 5개 마디인 것은 옳은 특징이다. 다른 보기들도 대체로 맞는 특징들이지만, "더듬이는 4~5개 마디로 구성된다."는 틀린 특징이다. 노린재목의 더듬이는 2~3개 마디로 구성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카이로몬에 의한 곤충의 행태로 옳은 것은?

  1. 개미 군집에서 계급을 분화하여 생활
  2. 배추흰나방가 유채과 식물을 찾아 섭식
  3. 노린재가 분비하는 고약한 냄새물질에 대한 포식자 회피
  4. 수컷 나방이 멀리 떨어져 있는 암컷 나방을 찾아가는 행동
(정답률: 53%)
  • 배추흰나방은 유채과 식물을 찾아 섭식하는 행태를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유충이 열매 속으로 뚫고 들어가 가해하는 해충은?

  1. 사과혹진딧물
  2. 포도유리나방
  3. 복숭아심식나방
  4. 배나무방패벌레
(정답률: 79%)
  • 유충이 열매 속으로 뚫고 들어가 가해하는 해충은 "복숭아심식나방"입니다. 이는 복숭아 열매를 식물의 성장절기에 침입하여 열매 내부에서 유충이 성장하면서 열매를 소실시키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복숭아 열매를 보호하기 위해서는 복숭아심식나방에 대한 예방적인 조치가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식물체 내에 농약 성분을 흡수시킨 후 식물체의 즙액을 빨아먹는 해충을 방제하는데 가장 적합한 것은?

  1. 훈증제
  2. 접촉제
  3. 소화중독제
  4. 침투성 살충제
(정답률: 77%)
  • 침투성 살충제는 식물체 내부로 침투하여 해충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기 때문에 가장 적합하다. 다른 성분들은 식물 표면에만 작용하거나 소화로 인한 중독 등 부작용이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적합하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재배학원론

41. 벼의 생육 중 냉해에 의한 출수가 가장 지연되는 생육단계는?

  1. 유효분얼기
  2. 유수형성기
  3. 감수분열기
  4. 출수기
(정답률: 57%)
  • 냉해는 벼의 생육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데, 그 중에서도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단계는 유수형성기입니다. 유수형성기는 벼가 뿌리를 통해 물과 영양분을 흡수하여 줄기와 잎, 귀 등의 조직을 형성하는 단계입니다. 냉해로 인해 뿌리가 충분히 발달하지 못하면 물과 영양분을 흡수하는 능력이 저하되어 유수형성기가 지연되고, 이는 출수를 지연시키는 원인이 됩니다. 따라서 냉해에 의한 출수 지연은 유수형성기에서 가장 큰 영향을 받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다음 중 작물의 주요온도에서 '최적온도'가 가장 낮은 작물은?

  1. 보리
  2. 오이
  3. 옥수수
  4. 멜론
(정답률: 70%)
  • 보리는 온도가 낮은 지방에서 재배되는 작물로, 최적온도가 다른 작물들보다 낮습니다. 보리는 대략 15~20도 정도에서 가장 잘 자라며, 이보다 높은 온도에서는 생육이 둔화됩니다. 따라서 보리는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에서 재배되는 작물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질산 환원 효소의 구성 성분으로 콩과작물의 질소고정에 필요한 무기성분은?

  1. 몰리브덴
  2. 마그네슘
  3. 규소
(정답률: 70%)
  • 질산 환원 효소는 질소고정에 필요한 효소 중 하나로, 이 효소는 모두 몰리브덴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콩과 작물의 질소고정에 필요한 무기성분은 몰리브덴입니다. 철, 마그네슘, 규소는 다른 물질과 상호작용하는 등 다른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작물의 내동성을 감소시키는 생리적 요인은?

  1. 전분함량이 많다.
  2. 원형질의 수분투과성이 크다.
  3. 원형질의 점도가 낮다.
  4. 원형질의 친수성 콜로이드가 많다.
(정답률: 57%)
  • 전분은 식물 내부에서 에너지 저장소로 사용되는 중요한 탄수화물입니다. 그러나 전분이 많아지면, 식물 내부의 수분과 영양분을 흡수하는 능력이 감소하게 됩니다. 이는 작물의 내동성을 감소시키는 생리적 요인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전분함량이 많다."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다음 중 감자의 휴면타파에 가장 유효한 것은?

  1. AMO-1618
  2. 페놀
  3. gibberellin
  4. 2,4-D
(정답률: 77%)
  • 감자의 휴면타파를 유발하는 주요 인자는 광합성과 호르몬인데, 그 중에서도 가장 효과적인 것은 gibberellin이다. Gibberellin은 광합성을 촉진시켜서 감자가 자라고 성장하도록 유도하며, 또한 산화적인 프로세스를 촉진시켜서 휴면 상태를 탈출하게 만든다. 따라서 gibberellin은 감자의 휴면타파에 가장 유효한 성장호르몬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군락의 수광태세가 좋아지고 밀식 적응성이 높은 콩의 초형으로 틀린 것은?

  1. 잎이 크고 두껍다.
  2. 잎자루가 짧고 일어선다.
  3. 꼬투리가 원줄기에 많이 달린다.
  4. 가지를 적게 치고 가지가 짧다.
(정답률: 72%)
  • 정답은 "잎이 크고 두껍다."입니다. 이유는 군락의 수광태세가 좋아지고 밀식 적응성이 높은 콩의 초형은 잎이 작고 얇고, 잎자루가 길고 편평하며, 꼬투리가 적게 달리고 가지가 길다는 특징을 가지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특징은 광합성을 최대화하고 수분과 영양분을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위한 적응형태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다음 중 토양 유효수분의 범위로 가장 옳은 것은?

  1. 흡습수 이상의 토양수분
  2. 영구위조점과 흡습수사이의 수분
  3. 최대용수량과 포장용수량사이의 수분
  4. 포장용수량과 영구위조점사이의 수분
(정답률: 62%)
  • 정답은 "포장용수량과 영구위조점사이의 수분"입니다.

    토양 유효수분은 식물이 성장하는 데 필요한 수분의 양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이 중에서도 포장용수량은 토양이 충분한 수분을 보유할 수 있는 최대한의 양을 의미하며, 영구위조점은 토양이 완전히 말랐을 때의 상태를 나타내는 지점입니다.

    따라서 포장용수량과 영구위조점사이의 수분이 유효수분의 범위에 해당하게 됩니다. 이 범위 내에서는 식물이 적절한 수분을 공급받아 성장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다음 중 T/R율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

  1. 감자나 고구마의 경우 파종기나 이식기가 늦어질수록 T/R율이 감소한다.
  2. 일사가 적어지면 T/R율이 감소한다.
  3. 질소를 다양시용하면 T/R율이 감소한다.
  4. 토양함수량이 감소하면 T/R율이 감소한다.
(정답률: 50%)
  • 정답은 "토양함수량이 감소하면 T/R율이 감소한다." 이다. 이유는 토양함수량이 감소하면 식물이 물과 영양분을 흡수하는 데 제한이 생기기 때문에 T/R율이 감소한다. 즉, 물과 영양분을 더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위해서는 충분한 토양함수량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다음 중 재배종과 야생종의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야생종은 휴면성이 약하다.
  2. 재배종은 대립종자로 발전하였다.
  3. 재배종은 단백질 함량이 높아지고 탄수화물 함량이 낮아지는 방향으로 발달하였다.
  4. 성숙시 종자의 탈립성은 재배종이 크다.
(정답률: 58%)
  • 재배종은 대립종자로 발전하였다. - 재배종은 인간의 선택에 의해 특정한 성질을 강화시키는 과정을 거쳐 발전하였기 때문에 대립종자로 발전하였다. 이는 야생종과는 달리 인간의 개입이 크게 작용한 결과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다음 중 굴광현상에 가장 유효한 광은?

  1. 자외선
  2. 적색광
  3. 청색광
  4. 적외선
(정답률: 68%)
  • 굴광현상에서는 청색광이 가장 유효합니다. 이는 청색광이 다른 광에 비해 파장이 짧아 광자의 에너지가 높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높은 에너지는 광자가 물질과 상호작용할 때 더 많은 전하를 확산시키고 더 많은 전자-홀 쌍을 생성하게 되어 광전기효과를 증폭시키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다음 중 벼의 비료 3요소 흡수 비율로 가장 옳은 것은?

  1. 질소 5 : 인산 1 : 칼륨 1.5
  2. 질소 5 : 인산 2 : 칼륨 4
  3. 질소 4 : 인산 2 : 칼륨 3
  4. 질소 3 : 인산 1 : 칼륨 4
(정답률: 61%)
  • 정답은 "질소 5 : 인산 2 : 칼륨 4"이다.

    벼는 생장과 수확량에 있어서 질소, 인산, 칼륨 세 가지 요소가 모두 중요하다. 하지만 벼는 다른 작물에 비해 칼륨 요구량이 높기 때문에, 칼륨 비율이 높은 비료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따라서 "질소 5 : 인산 2 : 칼륨 4"가 가장 적절한 비율이다. 질소와 인산은 칼륨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은 비율로 사용되기 때문에, 칼륨 비율이 높아도 문제가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다음 중 2년생 식물로만 구성되어 있는 것은?

  1. 가을보리, 코스모스
  2. 가을밀, 국화
  3. 옥수수, 호프
  4. 무, 사탕무
(정답률: 67%)
  • 정답은 "무, 사탕무"입니다. 이유는 무와 사탕무는 모두 2년생 식물이기 때문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1년생 식물이나 다름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다음 주 에틸렌의 전구물질에 해당하는 것은?

  1. tryptophan
  2. methionine
  3. acetyl CoA
  4. phenol
(정답률: 47%)
  • 에틸렌의 전구물질은 아미노산인 methionine입니다. Methionine은 에틸렌 생합성 경로에서 S-adenosylmethionine (SAM)의 전구체로 사용되며, SAM은 에틸렌 생합성의 핵심 전구체입니다. 따라서 methionine은 에틸렌 생합성에 필수적인 전구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강산성이 되면 가급도가 감소되어 작물 생육에 불리한 원소는?

  1. Cu
  2. Zn
  3. P
  4. Mn
(정답률: 65%)
  • 강산성이 높아지면 pH 값이 낮아지므로, 이온화가 쉬운 양이온인 수소 이온(H+)이 많아지게 됩니다. 이에 따라, 음이온인 인산염 이온(H2PO4-, HPO42-)은 더욱 쉽게 이온화되어 수용액에서 더 많은 양을 형성하게 됩니다. 이는 작물이 흡수하는 인의 양을 증가시켜 작물 생육에 유리한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P"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다음 중 식물의 광합성에 가장 효과적인 광색은?

  1. 주황색
  2. 황색
  3. 녹색
  4. 적색
(정답률: 79%)
  • 정답은 "녹색"이 아니라 "적색"입니다. 이는 광합성에서 사용되는 광화학적 반응에서 피그먼트인 엽록소가 흡수하는 광선의 파장이 주로 빨간색과 파란색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빨간색을 포함한 적색 광선이 광합성에 가장 효과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저온 버널리제이션을 실시한 직후 고온처리를 하면 버널리제이션 효과가 상실되는데, 이 현상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이춘화
  2. 등숙기춘화
  3. 종자춘화
  4. 재춘화
(정답률: 71%)
  • 정답은 "이춘화"이다. 이는 저온 버널리제이션 후 고온처리를 하면서 생기는 현상으로, 버널리제이션 과정에서 생성된 화합물들이 고온에서 분해되어 버널리제이션 효과가 상실되는 것을 의미한다. "등숙기춘화"는 열처리 과정에서 씨앗이 발아하는 현상을 말하며, "종자춘화"는 씨앗의 발아를 촉진시키기 위한 처리 방법을 말한다. "재춘화"는 이미 한 번 버널리제이션을 한 물질을 다시 버널리제이션하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다음 중 천연 지베렐린에 해당하는 것은?

  1. IPA
  2. GA2
  3. PAA
  4. CCC
(정답률: 70%)
  • GA2는 식물에서 자라는 데 필요한 호르몬인 지베렐린의 하나로, 천연적으로 발생합니다. 따라서, 보기 중에서 천연 지베렐린에 해당하는 것은 GA2입니다. IPA, PAA, CCC는 모두 합성 호르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다음 중 작물의 기원지가 지중해 연안 지역에 해당하는 것으로만 나열된 것은?

  1. 조, 참깨
  2. 사탕수수, 당근
  3. 감자, 고구마
  4. 유채, 사탕무
(정답률: 64%)
  • 유채와 사탕무는 모두 지중해 연안 지역에서 기원한 작물이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조와 참깨는 동남아시아, 사탕수수와 당근은 남미, 감자와 고구마는 남미와 중앙아메리카 지역에서 기원한 작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무기원소 결핍 시 사탕무의 속썩음병, 순무의 갈색속썩음병 등을 유발하는 원소는?

  1. 질소
  2. 망간
  3. 붕소
(정답률: 81%)
  • 사탕무의 속썩음병과 순무의 갈색속썩음병은 모두 무기원소 결핍으로 인해 발생하는 질병입니다. 이러한 질병을 유발하는 원소는 붕소입니다. 붕소는 무기원소 중 하나로, 식물의 성장과 발달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붕소 결핍은 식물의 성장을 방해하고, 병해균의 감염에 취약해지는 원인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다음 중 이랑을 세우고 이랑에 파종하는 방식은?

  1. 휴립휴파법
  2. 성휴법
  3. 휴립구파법
  4. 평휴법
(정답률: 68%)
  • 이랑을 세우고 이랑에 파종하는 방식은 "휴립휴파법"이다. 이 방식은 밭을 일정 기간 휴식시킨 후, 그 다음 기간에는 밭을 파서 씨앗을 심는 방식이다. 이를 통해 밭의 토양을 휴식시켜 토양의 건강을 유지하고, 씨앗이 잘 자라도록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농약학

61. 다음 제형 중 주로 병해충 예방용 약제를 대상으로 하며 단위면적당 농약 투입량이 가장 적은 것은?

  1. 종자처리수화제(WS)
  2. 유현탁제(SE)
  3. 액상수화제(SC)
  4. 미립제(MG)
(정답률: 59%)
  • 종자처리수화제(WS)는 액체를 분말로 변환하여 사용하는 제형으로, 단위면적당 농약 투입량이 가장 적습니다. 이는 분말 형태로 사용하기 때문에 물에 녹여서 사용할 수 있어 농약의 효율성을 높이면서도 투입량을 줄일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주로 병해충 예방용 약제를 대상으로 하며 환경오염을 최소화하는데에 효과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카복시아니라이드계 살균제로서 담자균류에 의한 병해에 효과가 뛰어난 약제는?

  1. 아이비(카타진)
  2. 베나솔(오리자)
  3. 부라딘(금보라)
  4. 메프로닐(논사)
(정답률: 50%)
  • 메프로닐(논사)은 카복시아니라이드계 살균제 중 하나로, 담자균류에 효과가 뛰어나기 때문에 담자균류에 의한 병해에 효과가 높은 약제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메프로닐(논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갯지렁이에서 천연 살충물질을 추출하여 농약으로 개발한 살충제는?

  1. 아바멕틴(avamectin)
  2. 벤설탑(bensultap)
  3. 메소밀(methomyl)
  4. 엔도설판(endosulfan)
(정답률: 48%)
  • 갯지렁이에서 추출한 천연 살충물질은 벤설탑(bensultap)이다. 이는 갯지렁이의 신경계를 마비시켜 살충 효과를 나타내는데, 이를 합성하여 농약으로 개발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식물체 내에서 베타산화(β-oxidation) 여부로 선택성을 나타내는 것은?

  1. 2,4,5-T
  2. 2,4-DES
  3. 2,4-DB
  4. UDPG
(정답률: 69%)
  • 베타산화는 지방산 분해 과정 중 하나로, 지방산을 에너지원으로 사용하기 위해 이루어지는 과정입니다. 따라서, 베타산화를 하는 데 필요한 효소가 있는 식물체에서는 베타산화를 하지 않는 화합물이 선택적으로 제거됩니다. 이 중에서도 2,4-DB는 베타산화를 하는 데 필요한 효소를 억제하는 효과가 있어, 식물체 내에서 선택적으로 제거됩니다. 따라서, 2,4-DB는 식물체 내에서 선택성을 나타내는 화합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다음 살충제 중 유기인제가 아닌 것은?

  1. 테트라디폰(테디온)
  2. 디디브이피(DDVP)
  3. 파라치온
  4. 파프(PAP)
(정답률: 44%)
  • 테트라디폰(테디온)은 유기인제가 아닌 무기인제이다. 이는 테트라디폰(테디온)이 유기화합물이 아닌 무기화합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환경오염이 적고 안전성이 높은 장점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R – Hg – X 로 표시되는 유기수은제에서 X 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HPO4
  2. -Cl
  3. -OH
  4. -CH3
(정답률: 46%)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석회 보르도액은 어느 것에 해당하는가?

  1. 황제
  2. 염소제
  3. 구리제
  4. 비소제
(정답률: 74%)
  • 석회 보르도액은 "구리제"에 해당한다. 이는 석회와 구리설페이트를 혼합하여 만든 것으로, 식물병 원인균을 죽이는 효과가 있다. 구리는 식물에게 필요한 미량원소 중 하나이며, 식물의 성장과 대사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하지만 과다한 양의 구리는 식물에게 해로울 수 있기 때문에 적정량으로 사용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다음 살균제 중 유기유황제가 아닌 것은?

  1. 프로피
  2. 지람
  3. 네오아소진
  4. 만코지
(정답률: 50%)
  • 유기유황제는 유기화합물과 유황을 함유한 살균제를 말합니다. 따라서 "네오아소진"은 유기유황제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어류에 대한 농약의 독성 및 감수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전착
  2. 성장단계
  3. 수온
  4. 제제형태
(정답률: 43%)
  • 전착은 어류의 표면에 묻어나는 미생물, 부유물, 유기물 등이 쌓여서 생물의 호흡, 영양공급, 물류 등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말합니다. 이러한 전착은 농약의 독성 및 감수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 하나로 작용합니다. 전착이 많이 쌓인 어류는 농약 등의 독성물질에 더 취약해지며, 농약 등의 흡수 및 배출에도 불리한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전착은 어류의 건강과 생존에 매우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유제(乳劑)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수화제보다 살포액의 조제가 편리하다.
  2. 수화제보다 약효가 다소 낮다.
  3. 수화제보다 제조비가 높다.
  4. 수화제보다 포장 · 수송 · 보관이 어렵다.
(정답률: 61%)
  • "수화제보다 약효가 다소 낮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유제는 수화제와 비슷한 역할을 하지만, 수화제보다 높은 약효를 가지고 있다. 이는 유제가 물 대신 유를 기반으로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유제는 수화제보다 높은 약효를 가지고 있으며, 이는 약물의 흡수와 효과에 큰 영향을 미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보리 껕깜부기병의 종자소독에 가장 효과적인 약제는?

  1. 지네브(Zineb)제
  2. MAFA(neozin)제
  3. 캡탄(captan)제
  4. 카아복신(carboxin)제
(정답률: 50%)
  • 카아복신은 광합성을 억제하여 광합성 미생물의 성장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습니다. 이로 인해 보리 껕깜부기병의 종자에 카아복신을 적용하면 껕깜부기의 번식을 억제하여 병 발생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카아복신은 보리 껕깜부기병의 종자소독에 가장 효과적인 약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농약이 갖추어야 할 사항으로 틀린 것은?

  1. 인축에 대한 독성이 낮아야 한다.
  2. 토양 및 수질 오염을 유발시키지 않아야 한다.
  3. 작물 또는 토양에 대한 잔류성이 없어야 한다.
  4. 적용 해충의 범위가 넓고 비선택적이어야 한다.
(정답률: 85%)
  • 적용 해충의 범위가 넓고 비선택적이어야 한다는 것은 틀린 사항입니다. 농약은 대상 해충에 대해서만 효과가 있어야 하며, 다른 생물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아야 합니다. 따라서 적용 범위가 넓고 비선택적인 농약은 사용되어서는 안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싸이토키닌계의 식물호르몬제로써 콩나물의 생장촉진제로 가장 적합한 약제는?

  1. 페노프롭(fenoprop)
  2. 육-비에이(6-BA)
  3. 지베렐린(gibberellin)
  4. 아토닉(atonic)
(정답률: 64%)
  • 콩나물은 생장과 근무늬 형성에 육-비에이(6-BA)가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육-비에이(6-BA)가 콩나물의 생장촉진제로 가장 적합한 약제입니다. 페노프롭은 제초제로 사용되는 화학물질이며, 지베렐린은 식물의 생장을 촉진하는 호르몬이지만 콩나물에는 육-비에이(6-BA)가 더 효과적입니다. 아토닉은 식물의 세포벽을 느슨하게 만들어 세포의 확장을 촉진하는데 사용되는 호르몬으로, 콩나물의 생장촉진에는 육-비에이(6-BA)가 더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BP(밧사)원제 0.4kg으로 2% 분제를 만들려고 할 때 소요되는 증량제의 양은? (단, 원제의 함량은 94% 이다.)

  1. 1.84kg
  2. 4.60kg
  3. 18.4kg
  4. 46.0kg
(정답률: 66%)
  • 원제 0.4kg 중 94%가 실제 유효한 성분의 양이므로, 유효한 성분의 양은 0.4kg x 0.94 = 0.376kg 이다. 이를 2% 분제로 만들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계산을 해야 한다.

    0.376kg / 0.02 = 18.8kg

    즉, 18.8kg의 증량제가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농약의 검사방법에서 저비산분제(DL)의 검사항목이 아닌 것은?

  1. 분산성
  2. 분말도
  3. 입도
  4. 가비중
(정답률: 35%)
  • 저비산분제(DL)의 검사항목은 분말도, 입도, 가비중이지만, 분산성은 검사항목이 아닙니다. 분산성은 농약의 미립자 크기 분포와 관련된 성질로, 농약의 효과와 안전성에 영향을 미치지만, 검사항목으로는 포함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농약은 종류별로 병뚜껑의 색깔을 달리하여 농민이 농약을 쉽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하고 있는데 살균제의 병뚜껑은 다음 중 어떤 색인가?

  1. 분홍색
  2. 녹색
  3. 황색
  4. 청색
(정답률: 80%)
  • 살균제의 병뚜껑은 분홍색이다. 이는 살균제가 대부분 박테리아와 같은 미생물을 제거하기 위해 사용되기 때문이다. 박테리아는 보통 분홍색으로 물들어 있기 때문에, 농약 회사들은 이를 참고하여 살균제의 병뚜껑을 분홍색으로 만들었다. 이렇게 함으로써 농민들은 쉽게 살균제를 식별할 수 있게 되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다음 중 생장 조정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은?

  1. Oxadiazon
  2. Butachor
  3. Molinate
  4. 2,4-D
(정답률: 69%)
  • 2,4-D는 식물 성장을 조절하는 호르몬과 유사한 구조를 가지고 있어 생장 조정제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다른 보기들은 제초제로 사용되는 화학물질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농약 안전살포 방법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바람을 등지고 살포
  2. 바람을 안고 살포
  3. 바람의 도움으로 살포
  4. 바람 방향을 무시하고 살포
(정답률: 85%)
  • 바람을 등지고 살포하는 것은 바람이 불어오는 방향과 반대로 농약을 살포함으로써 바람에 의해 농약이 날아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 방법은 주변 환경에 농약이 퍼지는 것을 최소화하고, 농약을 적절하게 사용하여 작물과 인체에 대한 안전을 보장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다음 중 농약제제의 품질불량이 원인이 되는 약해가 아닌 것은?

  1. 원제 부성분에 의한 약해
  2. 불순물의 혼합에 의한 약해
  3. 섞어 쓰기 때문에 일어나는 약해
  4. 경시변화에 의한 유해성분의 생성에 의한 약해
(정답률: 68%)
  • 섞어 쓰기 때문에 일어나는 약해는 농약제제에 다른 농약이나 화학물질이 함유되어 사용됨으로써 발생하는 약해입니다. 이는 농작물에 대한 효과를 감소시키거나 인체에 유해한 물질이 함유될 수 있으므로 매우 위험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다음 중 요소계 제초제는?

  1. 아파론(Iinuron)
  2. 2,4-D
  3. 벤설라이드
  4. 론스타(Oxadiazon)
(정답률: 62%)
  • 아파론은 요소계 제초제 중 하나로, 식물의 뿌리와 잎사귀에 작용하여 식물의 성장을 억제시키는데, 이는 식물의 뿌리와 잎사귀에서 발생하는 인산화된 화합물의 합성을 방해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아파론은 농작물의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 사용되는 제초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잡초방제학

81. 뿌리가 토양에 고정되어 있지 않고 물 위에 떠다니는 부유성 잡초에 해당하는 것은?

  1. 가래
  2. 네가래
  3. 생이가래
  4. 가는가래
(정답률: 72%)
  • 정답은 "생이가래"입니다. 생이가래는 뿌리가 토양에 고정되어 있지 않고 물 위에 떠다니는 부유성 잡초로, 물이 맑은 곳에서 자라며 물고기의 먹이가 됩니다. 다른 보기인 "가래", "네가래", "가는가래"는 모두 뿌리가 토양에 고정되어 있는 지상성 잡초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작물과 비교한 잡초의 특성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종자 생산량이 많다.
  2. 전파수단이 다양하다.
  3. 휴면성이 없어 연중 생장한다.
  4. 불리한 환경에서 적응성이 높다.
(정답률: 82%)
  • 잡초는 휴면성이 없어 연중 생장한다는 것이 옳지 않다. 일부 잡초는 겨울철에는 씨앗이 휴면 상태에 빠져 생장하지 않는 경우도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잡초의 예방적 방제 방법이 아닌 것은?

  1. 관배수로 관리
  2. 재식밀도 조절
  3. 작물종자 정선
  4. 농기구(농기계) 청결 관리
(정답률: 65%)
  • 재식밀도 조절은 잡초의 예방적 방제 방법이 아닙니다. 이는 작물 생육을 조절하기 위한 방법으로, 작물이 더욱 건강하게 자라도록 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이 방법은 작물 생산성을 높이는 데에는 도움이 되지만, 잡초 예방에는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토양 환경과 잡초의 출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종자가 무거울수록 발생심도가 깊다.
  2. 토양이 과습하면 출현율이 낮아진다.
  3. 토양이 건조하면 출아율이 낮아진다.
  4. 사질토는 중점토보다 발생심도가 얕다.
(정답률: 68%)
  • "사질토는 중점토보다 발생심도가 얕다."라는 설명이 옳지 않은 것은 아래와 같은 이유 때문입니다.

    사질토는 중점토보다 발생심도가 얕다는 것은 잡초가 더 얕은 토양에서 자라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러나 이는 일반적인 규칙이 아니며, 토양의 조건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설명은 옳지 않습니다.

    그 외의 보기들은 모두 옳은 설명입니다. 종자가 무거울수록 발생심도가 깊다는 것은 종자가 무거우면 더 깊은 토양까지 침투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토양이 과습하면 출현율이 낮아진다는 것은 과습한 토양에서는 잡초가 잘 자라지 않기 때문입니다. 마지막으로, 토양이 건조하면 출현율이 낮아진다는 것은 건조한 토양에서는 씨앗이 잘 발아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선택성 제초제가 아닌 것은?

  1. 벤타존 액제
  2. 세톡시딤 유제
  3. 나프로파마이드 유제
  4. 글리포세이트암모늄 입상수용제
(정답률: 69%)
  • 선택성 제초제는 특정 작물에만 영향을 미치고 주변 작물이나 환경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제초제를 말합니다. 그러나 "글리포세이트암모늄 입상수용제"는 선택성 제초제가 아닙니다. 이는 일반적인 제초제로, 적용된 지역에 있는 모든 식물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일년생 잡초와 비교한 다년생 잡초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방제하기 어렵다.
  2. 영양번식을 한다.
  3. 생육기간이 길다.
  4. 대부분 종자로 번식한다.
(정답률: 69%)
  • "영양번식을 한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다년생 잡초는 일년생 잡초와 달리 지속적으로 생장하며, 대부분 종자로 번식하지만 뿌리, 줄기, 덩굴 등으로 번식하기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작물의 수량 감소가 가장 클 것으로 예상되는 조합은?

  1. C3 잡초와 C3 작물
  2. C4 잡초와 C3 작물
  3. C3 잡초와 C4 작물
  4. C4 잡초와 C4 작물
(정답률: 80%)
  • C4 잡초는 C3 작물의 근처에서 광합성을 하면서 방출하는 CO2 농도가 높아져 C3 작물의 광합성에 방해를 줍니다. 이로 인해 C3 작물의 생산량이 감소하게 됩니다. 따라서 C4 잡초와 C3 작물의 조합이 작물의 수량 감소가 가장 클 것으로 예상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벼와 잡초간의 경합으로 인한 피해가 가장 적은 시기는?

  1. 출수기부터 수확기
  2. 착근기부터 수잉기
  3. 착근기부터 분얼기
  4. 파종기부터 최고 분얼기까지
(정답률: 63%)
  • 출수기부터 수확기는 벼가 이미 출수를 하여 잡초와 경쟁하지 않고 자라는 시기이기 때문에 피해가 가장 적다. 착근기부터 수잉기는 벼와 잡초가 함께 자라는 시기이므로 피해가 크다. 착근기부터 분얼기는 벼가 자라는 동안 잡초도 자라는 시기이므로 피해가 크다. 파종기부터 최고 분얼기까지는 벼가 아직 자라지 않아 잡초와 경쟁하지 않는 시기이지만, 이 시기에는 벼를 키우기 위한 작업이 많이 필요하므로 피해가 크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상호대립억제작용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제초제를 오래 사용한 잡초에 대한 내성을 나타내는 것이다.
  2. 죽은 식물 조직에서 나오는 물질에 의해서도 일어날 수 있다.
  3. 다른 종의 생육을 억제하는 주된 기작은 주로 차광에 의해 일어난다.
  4. 잡초가 다른 작물의 생육을 억제하는 것은 아니며 잡초 간에만 일어나는 현상이다.
(정답률: 69%)
  • 상호대립억제작용은 한 종의 작물이 다른 종의 생육을 억제하는 현상을 말한다. 이는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으며, 그 중 하나는 죽은 식물 조직에서 나오는 물질에 의해서도 일어날 수 있다. 이는 죽은 식물 조직에서 분해되는 물질이 다른 작물의 생장을 방해하는 경우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쌍자엽 잡초의 특징으로 옳은 것은?

  1. 잎은 평행맥이다.
  2. 뿌리는 직근계이다.
  3. 산재된 유관속의 관상경을 가지고 있다.
  4. 생장점이 줄기 하단의 절간 부위에 있다.
(정답률: 58%)
  • 쌍자엽 잡초는 뿌리가 직근계이기 때문에 뿌리가 직선적으로 성장하며, 뿌리 끝에는 작은 뿌리털이 많이 붙어 있어서 흙을 잘 고정시키고 영양분을 흡수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광발아 잡초에 해당하는 것은?

  1. 강피, 바랭이
  2. 냉이, 소리쟁이
  3. 별꽃, 참방동사니
  4. 메귀리, 광대나물
(정답률: 66%)
  • 강피와 바랭이는 모두 잡초 중 하나로, 농작물을 침해하고 생육을 방해하는 광발아 잡초에 해당합니다. 다른 보기들은 잡초 중에서도 다른 종류의 식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잡초의 생태적 방제 방법이 아닌 것은?

  1. 윤작 실시
  2. 재배양식 변경
  3. 피복 작물 재배
  4. 잡초만을 골라 먹는 생물 이용
(정답률: 62%)
  • 잡초만을 골라 먹는 생물 이용은 생태적 방제 방법이 아닙니다. 이는 생물학적 방제 방법으로 분류됩니다. 이 방법은 잡초를 먹는 생물을 도입하여 잡초를 제어하는 것입니다. 이 방법은 다른 방법들과 함께 사용될 수 있지만, 단독으로 사용되는 것은 효과적이지 않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지면을 피복할 경우 잡초에 미치는 영향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빛과 산소 공급이 차단된다.
  2. 잡초의 발아심도가 깊어진다.
  3. 잡초가 물리적으로 질식하거나 출아가 억제되기도 한다.
  4. 주 · 야간의 온도 차가 커져 잡초 종자의 발아 수가 격감된다.
(정답률: 58%)
  • 주 · 야간의 온도 차가 커져 잡초 종자의 발아 수가 격감된다는 이유는, 잡초 종자가 낮은 온도에서는 발아가 어렵기 때문에 밤에는 발아율이 높아지는데, 지면을 피복하면 지면 온도가 높아져서 낮과 밤의 온도 차이가 커져서 잡초 종자의 발아율이 감소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트리아진계 제초제의 주요 이행 특성은?

  1. 비대 성장
  2. 조기 결실
  3. 광합성 저해
  4. 신초 생장 억제
(정답률: 72%)
  • 트리아진계 제초제는 광합성 과정을 억제하여 식물의 생장을 저해시키는 특성이 있습니다. 이로 인해 광합성이 억제되어 식물은 영양분을 충분히 생산하지 못하고, 결국 비대 성장이나 조기 결실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또한, 신초 생장도 억제되어 식물의 생장 속도가 느려지는 특성도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두 제초제를 혼합하여 사용할 때 나타나는 길항적반응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혼합의 효과가 단독 처리의 효과와 같은 것을 의미한다.
  2. 혼합의 효과가 단독 처리의 효과보다 크지도 작지도 않은 것을 의미한다.
  3. 혼합의 효과가 활성이 높은 물질의 단독처리의 효과보다 큰 것을 의미한다.
  4. 혼합의 효과가 활성이 높은 물질의 단독처리의 효과보다 작은 것을 의미한다.
(정답률: 64%)
  • 혼합의 효과가 활성이 높은 물질의 단독처리의 효과보다 작은 것을 의미한다. 이는 두 제초제가 함께 사용될 때 상호보완적인 효과를 나타내지 않고, 오히려 서로의 효과를 감소시키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현상을 길항적 반응이라고 하며, 이는 제초제 사용 시 효과적인 방법을 찾는 데 있어서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작물, 잡초, 제초제의 연결이 옳지 않은 것은?

  1. 벼, 피, 뷰타클로르 입제
  2. 잔디, 크로바, 디캄바 액제
  3. 콩, 방동사니, 이사-디 액제
  4. 사과나무, 쇠비름, 시마진 수화제
(정답률: 61%)
  • 콩은 제초제로 사용되는 작물이 아니기 때문에, 콩과 제초제의 연결은 옳지 않다. 방동사니와 이사-디 액제는 모두 제초제로 사용되는 것이 맞지만, 방동사니는 제초제에 내성을 가지고 있어 효과가 떨어지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이사-디 액제와 함께 사용하는 것은 권장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잡초 종자의 산포 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바랭이 : 성숙하면서 흩어짐
  2. 소리쟁이 : 물에 잘 떠서 운반됨
  3. 가막사리 : 바람에 잘 날려서 이동함
  4. 메귀리: 사람이나 동물 몸에 잘 부착함
(정답률: 48%)
  • 정답은 "가막사리 : 바람에 잘 날려서 이동함" 입니다. 이유는 다른 보기들은 각각 성숙하면서 흩어지거나 물에 떠서 운반되거나 사람이나 동물 몸에 부착되는 방법으로 잡초 종자가 산포되지만, 가막사리는 바람에 잘 날려서 이동하는 것이 아니라 땅에 붙어있는 잎사귀나 가지 등을 통해 이동합니다. 따라서 가막사리는 잡초 종자의 산포 방법으로 옳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유기제초제와 비교한 무기제초제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처리 약량이 작다.
  2. 대사물의 독성이 낮다.
  3. 경엽에 처리할 때 활성이 낮다.
  4. 가격이 비싸며 살초 효과가 적다.
(정답률: 50%)
  • 무기제초제는 유기제초제에 비해 처리 약량이 작고, 대사물의 독성이 낮아 인체나 환경에 미치는 영향이 적습니다. 또한 경엽에 처리할 때 활성이 낮아 작물에 미치는 영향도 적습니다. 하지만 가격이 비싸며 살초 효과가 유기제초제에 비해 적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화본과 잡초로만 올바르게 나열한 것은?

  1. 강피, 나도겨풀
  2. 마디꽃, 매자기
  3. 쇠털골, 알방동사니
  4. 가막사리, 올챙이고랭이
(정답률: 71%)
  • "강피, 나도겨풀"은 둘 다 잡초이며, 화본에도 자주 나타나는 종류이기 때문에 올바르게 나열한 것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화본이 아닌 다른 식물들도 포함되어 있거나, 잡초가 아닌 식물이 포함되어 있어 올바르게 나열한 것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논에서 잡초의 군락천이를 유발시키는 데 가장 큰 영향을 주는 것은?

  1. 장간종 품종 재배
  2. 동일 작물로만 재배
  3. 동일한 제초제 연속 사용
  4. 지속적인 화학 비료 사용
(정답률: 79%)
  • 동일한 제초제 연속 사용은 특정한 종류의 잡초에 대해 저항성을 발생시키기 때문에, 이를 제거하기 위해 더 강한 제초제나 더 많은 양의 제초제를 사용해야 하므로, 잡초의 군락천이를 유발시키는 가장 큰 요인 중 하나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