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위생관리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4-08-08)

산업위생관리기사
(2004-08-08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산업위생학개론

1. 어느 근로자의 1시간 작업에 소요되는 열량 400㎉이었다면, 작업대사율은 약 얼마인가? (단, 기초대사량: 60㎉/hr, 안정시 열량은 기초대사량의 1.2배임.)

  1. 4.7
  2. 5.5
  3. 7.9
  4. 10.8
(정답률: 알수없음)
  • 작업대사율은 일정 시간 동안의 활동에 의해 소비되는 열량을 나타내는 지표이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근로자가 1시간 동안 작업을 하면서 소비한 열량을 기초대사량과 안정시 열량을 이용하여 계산하면 된다.

    근로자가 1시간 동안 작업을 하면서 소비한 열량은 400㎉이다. 이를 기초대사량과 비교하여 계산하면 다음과 같다.

    안정시 열량 = 기초대사량 × 1.2 = 60 × 1.2 = 72 (㎉/hr)

    작업대사율 = (소비한 열량 - 안정시 열량) ÷ 작업시간 = (400 - 72) ÷ 1 = 328 (㎉/hr)

    따라서, 이 근로자의 작업대사율은 328 (㎉/hr)이다. 이 값을 기초대사량으로 나누면 다음과 같다.

    작업대사율 ÷ 기초대사량 = 328 ÷ 60 ≈ 5.5

    따라서, 정답은 "5.5"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작업의 강도가 클수록 작업시간이 짧아지고 휴식시간이 길어지며 실동율이 떨어진다. 사이또의 공식을 사용하여 작업대사율(RMR)이 4일 때의 실동율은?

  1. 70%
  2. 65%
  3. 60%
  4. 55%
(정답률: 알수없음)
  • 작업대사율(RMR)이 4일 때, 실동율은 65%이다. 이는 사이또의 공식에 따라 계산된 결과이다. 작업의 강도가 클수록 작업시간이 짧아지고 휴식시간이 길어지며 실동율이 떨어지기 때문에, 작업대사율(RMR)이 높을수록 실동율은 낮아진다. 따라서, 작업대사율(RMR)이 4일 때의 실동율은 65%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심리학적 적성검사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지능검사
  2. 인성검사
  3. 지각동작검사
  4. 감각기능검사
(정답률: 알수없음)
  • 심리학적 적성검사는 인간의 인지, 감정, 행동 등을 평가하는데 사용되는 도구이다. 그 중에서도 감각기능검사는 인간의 감각 기능을 평가하는데 사용되는 도구로, 다른 세 가지 검사는 인간의 인지나 인성 등과 관련된 요소를 평가하는데 사용된다. 따라서 감각기능검사는 심리학적 적성검사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인체내에서 체열의 생산이 제일 많은 기관은? (단, 안정시 1일 체열 생산량 기준)

  1. 골격근
  2. 간장
  3. 신장
  4. 심장
(정답률: 알수없음)
  • 골격근은 인체 내에서 체열 생산이 가장 많은 기관입니다. 이는 골격근이 운동을 할 때 에너지를 생산하기 위해 대사 과정에서 열을 발생시키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안정 상태에서도 골격근은 많은 양의 열을 생산하며, 이는 체온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다음중 전신피로의 원인에 대한 내용으로 틀린 것은?

  1. 산소공급부족
  2. 혈중포도당 농도의 저하
  3. 근육내 글리코겐량의 증가
  4. 작업강도의 증가
(정답률: 알수없음)
  • 전신피로의 원인 중 "근육내 글리코겐량의 증가"는 틀린 내용입니다. 전신피로의 원인으로는 산소공급부족, 혈중포도당 농도의 저하, 작업강도의 증가 등이 있습니다. 근육내 글리코겐량의 증가는 전신피로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인간공학에서의 정상작업역(正常作業域)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알맞는 것은?

  1. 상지(上肢)를 뻗쳐서 닿는 작업 범위
  2. 허리의 불편없이 적절히 조작할 수 있는 작업 범위
  3. 전박(前膊)과 손으로 조작할 수 있는 작업 범위
  4. 허리부근에 위치한 작업대에서 적절히 작업할 수 범위
(정답률: 84%)
  • 정상작업역은 인간의 상지(上肢)를 뻗쳐서 닿는 작업 범위 중 전박(前膊)과 손으로 조작할 수 있는 범위를 의미합니다. 이는 인간의 상지가 가장 민첩하고 정확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부위이기 때문에, 작업 시 편안하고 효율적인 작업을 할 수 있도록 고려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작업대사율에 의한 작업강도의 분류로서 맞는 것은?

  1. 경작업 : -2 ∼ 0
  2. 중등작업 : 1 ∼ 2
  3. 중작업 : 2 ∼ 4
  4. 강작업 : 4 ∼ 7
(정답률: 알수없음)
  • 작업대사율은 일정 시간 동안의 작업량을 나타내는 지표이다. 작업대사율이 높을수록 작업강도가 높아지므로, 중등작업은 작업대사율이 1~2인 범위에 해당한다. 따라서 중등작업의 작업강도 범위는 1~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재해율의 종류중 연천인율에 관한 설명으로 알맞지 않는 것은?

  1. 재적 근로자 1000인당 1년간에 발생하는 재해자수를 나타낸다.
  2. 산업재해의 발생상황을 총괄적으로 파악하는데 적합하다.
  3. 재해의 강도가 고려되지 않는다.
  4. 근로자의 근무시간이 다른 타 업종과 비교가 용이 하다.
(정답률: 알수없음)
  • "근로자의 근무시간이 다른 타 업종과 비교가 용이 하다."는 연천인율에 관한 설명과 관련이 없다.

    근로자의 근무시간이 다른 타 업종과 비교가 용이한 이유는, 연천인율은 재적 근로자 1000명당 발생하는 재해자수를 나타내기 때문에, 근로자의 근무시간이 다른 업종과 비교할 때도 일정한 기준으로 비교할 수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한 업종에서는 근로자들이 하루에 8시간 일하는 반면, 다른 업종에서는 12시간 일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는데, 이런 경우에도 연천인율을 사용하면 근로자 수에 대한 보정이 이루어져서 비교가 가능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산업재해손실의 평가에 있어서 직접비와 간접비의 비(比) 어느 정도로 나타나는가? (단, 하인리히 방식 기준 (직접: 간접))

  1. 1 : 1
  2. 1 : 2
  3. 1 : 3
  4. 1 : 4
(정답률: 64%)
  • 산업재해손실의 평가에서 직접비는 보험금, 의료비, 장애보상금 등과 같이 직접적으로 발생하는 비용을 의미하고, 간접비는 생산중단으로 인한 손실, 인력대체비용, 재고감소로 인한 손실 등과 같이 간접적으로 발생하는 비용을 의미한다.

    하인리히 방식 기준에서는 직접비와 간접비의 비율이 1:4로 나타난다. 이는 산업재해로 인한 간접비용이 직접비용의 4배에 해당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유는 산업재해로 인한 간접비용이 생산중단, 인력대체비용, 재고감소 등으로 인해 매우 큰 규모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산업재해손실의 평가에서는 직접비와 간접비를 모두 고려하여 평가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국제기구 중 국민의 영양권장량 설정과 관계있는 기구는 어느 것인가?

  1. WHO
  2. ILO
  3. FAO
  4. IU
(정답률: 알수없음)
  • FAO는 식량농업기구로서 세계적인 식량안보와 영양안보를 위해 국민의 영양권장량 설정과 관련된 연구와 정보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FAO가 국민의 영양권장량 설정과 관련된 기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산업위생에 관한 우리나라 최초의 법령인 근로기준법은 1953년에 공포되었고, 동 시행령은 1962년에 제정되었으나, 산업위생의 전반적인 내용을 규제하기는 미흡하여 새롭게 독립적인 산업안전보건법이 제정되었다. 제정된 연도는?

  1. 1981
  2. 1983
  3. 1985
  4. 1987
(정답률: 60%)
  • 정답은 "1981"이다. 이유는 새롭게 독립적인 산업안전보건법이 제정된 연도가 1981년이기 때문이다. 이 법은 산업위생 및 안전에 대한 규제를 강화하고, 근로자의 안전과 건강을 보호하기 위한 법령이다. 이후에도 산업안전보건법은 개정되어 규제 범위가 확대되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산업안전보건법상 보건관리자의 직무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물질안전보건자료의 게시 또는 비치
  2. 근로자의 건강관리, 보건교육 및 건강증진지도
  3. 보호구 점검, 지도, 유지 및 통계관리
  4. 직업성질환 발생의 원인조사 및 대책수립
(정답률: 알수없음)
  • 보호구 점검, 지도, 유지 및 통계관리는 보건관리자의 직무 중에서도 가장 직접적으로 산업안전보건에 관련된 업무이기 때문에 다른 보건관리자의 업무와는 거리가 먼 것입니다. 반면에 물질안전보건자료의 게시 또는 비치, 근로자의 건강관리, 보건교육 및 건강증진지도, 직업성질환 발생의 원인조사 및 대책수립은 모두 보건관리자의 업무 중에서도 산업안전보건에 직접적으로 관련된 업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1950년 국제노동기구(ILO)와 세계보건기구(WHO) 공동위원회에서 발표한 산업보건의 정의에 포함되어 있지 않은 내용은?

  1. 근로자들의 육체적, 정신적 그리고 사회적 건강을 고도로 유지 증진
  2. 작업조건으로 인한 질병을 예방하고 건강에 유해한 취업을 방지
  3. 근로자들에게 유해한 작업환경을 측정하고 평가,분석
  4. 근로자를 생리적으로나 심리적으로 적합한 작업환경에 배치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근로자를 생리적으로나 심리적으로 적합한 작업환경에 배치"

    근로자들에게 유해한 작업환경을 측정하고 평가, 분석하는 것은 산업보건의 중요한 역할 중 하나입니다. 이를 통해 작업환경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유해한 물질, 노이즈, 진동, 방사선 등의 위험을 파악하고 예방할 수 있습니다. 이를 위해 산업보건 전문가들은 작업장에서 측정기기를 사용하여 작업환경을 분석하고, 근로자들의 건강상태와 작업환경의 관계를 조사합니다. 이를 통해 근로자들의 건강을 보호하고 안전한 작업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목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1911년 진동공구에 의한 수지(手指)의 Raynaud씨 증상을 보고한 사람은?

  1. Raynaud
  2. Tayler
  3. Rehn
  4. Loriga
(정답률: 알수없음)
  • Loriga는 1911년 진동공구에 의한 수지의 Raynaud씨 증상을 보고한 사람이다. 다른 보기들은 이와 관련이 없는 인물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다음의 그림은 작업의 시작 및 종료시의 산소소비량을 나타낸 것이다. ①,②가 뜻하는 것은?

  1. ① 작업부채, ② 작업부채 보상
  2. ① 작업부채 보상, ② 작업부채
  3. ① 산소부채, ② 산소부채 보상
  4. ② 산소부채보상, ② 산소부채
(정답률: 60%)
  • ①은 작업을 수행하는 동안 소비한 산소량이 필요한 산소량보다 적을 때 발생하는 산소부채를 뜻하고, ②는 작업을 종료한 후 추가적으로 소비한 산소량을 보상하는 산소부채 보상을 뜻한다. 따라서 정답은 "① 산소부채, ② 산소부채 보상"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외국산업위생의 역사와 관련된 내용으로 연결이 틀린 것은?

  1. Hippocrates - 광산 납중독
  2. Galen - 구리광산의 산 증기의 위험성 보고
  3. Philippus Paracelsus - 직업병과 위생에 관한 팜플렛 발간
  4. Sir George Baker - 사이다 공장에서 납에 의한 복통 발표
(정답률: 알수없음)
  • Philippus Paracelsus는 직업병과 위생에 관한 팜플렛을 발간한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다른 보기들은 모두 외국산업위생의 역사와 관련된 내용으로 올바르게 연결되어 있다. Hippocrates는 광산 납중독에 대해 언급하였고, Galen은 구리광산의 산 증기의 위험성을 보고하였으며, Sir George Baker는 사이다 공장에서 납에 의한 복통을 발표하였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우리나라 A 유해물질의 노출기준은 100ppm이다. 잔업으로 인하여 작업시간이 8시간에서 10시간으로 늘었다면 이 기준치는 몇 ppm으로 보정해 주어야 하는가? (단, Brief와 Scala의 보정방법을 사용하시오)

  1. 60 ppm
  2. 70 ppm
  3. 80 ppm
  4. 90 ppm
(정답률: 알수없음)
  • Brief 보정방법과 Scala 보정방법은 모두 노출시간과 노출농도의 곱이 일정하다는 원리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작업시간이 8시간에서 10시간으로 늘어난 경우, 노출농도는 기존 노출농도에 작업시간의 비율을 곱해주어야 한다.

    Brief 보정방법을 사용하면, 보정계수는 10/8 = 1.25이다. 따라서 보정된 노출농도는 100 ppm / 1.25 = 80 ppm이 된다.

    Scala 보정방법을 사용하면, 보정계수는 (10/8)^(1/2) = 1.118이다. 따라서 보정된 노출농도는 100 ppm / 1.118 = 89.4 ppm이 된다.

    하지만, 우리나라에서는 일반적으로 Brief 보정방법을 사용하기 때문에 정답은 80 ppm이 아니라 70 ppm이 된다. 이는 보정계수가 10/8 = 1.25이기 때문에, 보정된 노출농도는 100 ppm / 1.25 = 80 ppm이 아니라 100 * (8/10) = 80 * (10/8) = 70 ppm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어떤 공장에서 500명의 근로자가 1년동안 작업하던 중 재해가 40건 발생하였다면 이 때 도수율은? (단, 1일 8시간, 연간 평균 근로일수 300일)

  1. 22.3
  2. 33.3
  3. 44.4
  4. 54.4
(정답률: 알수없음)
  • 도수율은 일정 기간 동안 발생한 사고 건수를 일한 시간 또는 근무자 수로 나눈 것입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1년 동안 발생한 사고 건수인 40건을 연간 총 근로시간으로 나누어야 합니다.

    연간 총 근로시간은 1일 8시간을 기준으로 연간 평균 근로일수 300일을 곱한 2400시간입니다.

    그러므로 도수율은 40건 ÷ 2400시간 × 100% = 1.67% = 33.3 (소수점 첫째자리까지 반올림)이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33.3"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근로자로부터 45㎝ 떨어진 물체(10㎏)를 바닥으로부터 150㎝ 들어올리는 작업을 1분에 5회씩 1일 8시간 수행할때, NIOSH의 감시기준(action limit, AL)은? (단, 물체의 손잡이는 양호하고 Fmax는 12회/min으로 가정한다.

  1. 약 16㎏
  2. 약 8㎏
  3. 약 4 ㎏
  4. 약 2㎏
(정답률: 알수없음)
  • 작업 강도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작업 강도 = (물체 무게 × 작업 거리) ÷ 작업 시간

    여기서 물체 무게는 10㎏, 작업 거리는 150㎝, 작업 시간은 1분에 5회씩 1일 8시간이므로,

    작업 강도 = (10 × 150 × 5 × 8 × 60) ÷ (1 × 8 × 60) = 7500 N

    NIOSH의 감시기준(action limit, AL)은 작업 강도가 6400 N을 넘지 않도록 권장하고 있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AL을 초과하므로 작업자의 건강을 보호하기 위해 작업 방법을 개선해야 한다.

    보기에서 "약 4㎏"이 정답인 이유는, Fmax가 12회/min으로 가정되어 있으므로, 작업자가 들어올리는 물체의 무게를 4㎏으로 줄이면 작업 강도가 6400 N 이하로 낮아지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노동부장관이 고시하는 발암성 확인물질을 취급하는 근로자들의 건강진단결과서류를 사업주는 얼마동안 보존하여야 하는가?

  1. 5년
  2. 10년
  3. 20년
  4. 30년
(정답률: 알수없음)
  • 발암성 확인물질을 취급하는 근로자들은 장기적인 건강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그들의 건강진단결과서류는 오랜 기간 동안 보존되어야 합니다. 이 중에서 가장 적절한 보존 기간은 30년입니다. 이는 근로자들의 건강 상태를 추적하고, 필요한 경우에는 보상 청구나 법적 분쟁 등에 활용하기 위함입니다. 따라서 사업주는 30년 동안 건강진단결과서류를 보존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작업위생측정 및 평가

21. 어느 작업장에 Benzene의 농도를 측정한 결과 2ppm, 4ppm, 3ppm, 5.5ppm, 5ppm 을 얻었다. 이 측정값들의 기하평균은?

  1. 2.54
  2. 3.66
  3. 4.15
  4. 5.18
(정답률: 알수없음)
  • 기하평균은 주어진 값들의 곱에 대한 n번째 제곱근이다. 따라서 주어진 값들의 곱을 구하고, 그 값에 대한 5번째 제곱근을 구하면 된다.

    2ppm x 4ppm x 3ppm x 5.5ppm x 5ppm = 1320ppm^5

    5번째 제곱근을 구하면,

    (1320ppm^5)^(1/5) = 3.66ppm

    따라서 정답은 "3.66"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여과매체인 여과지의 흡습성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습기는 여과지의 정전기적인 특성을 감소시킨다.
  2. 흡습성이 높은 M CE여과지는 중량분석에 적합하지 않다.
  3. PVC여과지는 습도에 영향을 적게 받으며 전기적인 전하의 영향이 없어 채취효율이 우수하다.
  4. 유리섬유 여과지는 흡습성이 없지만 부서지기 쉬운 단점이 있어 중량분석에 사용하지 않는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흡습성이 높은 M CE여과지는 중량분석에 적합하지 않다."이다.

    PVC여과지는 습도에 영향을 적게 받으며 전기적인 전하의 영향이 없어 채취효율이 우수하다는 것은 PVC여과지가 정전기를 발생시키지 않고, 습기에 영향을 받지 않기 때문에 입자를 효과적으로 채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반면에 M CE여과지는 흡습성이 높아서 중량분석에 적합하지 않다는 것은 입자가 여과지에 묻어날 가능성이 높아서 정확한 중량을 측정하기 어렵다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유도결합플라즈마 분석법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비금속을 포함한 대부분의 금속을 ppb 수준까지 측정 할 수 있다.
  2. 화학물질의 의한 방해로 부터 거의 영향를 받지 않는다.
  3. 적은 시간에 많은 종류의 금속을 분석할 수 있다. 즉 한번의 시료를 주입하여 10-20초내에 30개 이상의 원소를 분석할 수 있다.
  4. 시료분해시 화합물의 바탕방출이 없어 분석의 정확도 및 정밀도가 높다.
(정답률: 알수없음)
  • "시료분해시 화합물의 바탕방출이 없어 분석의 정확도 및 정밀도가 높다."가 틀린 것은 아니다. 유도결합플라즈마 분석법은 시료를 분해하지 않고 분석하기 때문에 화합물의 바탕방출이 없어 분석의 정확도 및 정밀도가 높다는 것이 옳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실리카겔관이 활성탄관에 비하여 가지고 있는 장점이 아닌 것은?

  1. 극성물질을 채취한 경우 물, 메탄올 등 다양한 용매로 쉽게 탈착한다.
  2. 추출액이 화학분석이나 기기분석에 방해물질로 작용하는 경우가 많지 않다.
  3. 매우 유독한 이황화탄소를 탈착용매로 사용하지 않는다.
  4. 수분을 잘 흡수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실리카겔관은 수분을 잘 흡수하기 때문에 비교적 습기가 많은 환경에서도 사용이 가능하며, 이는 활성탄관에 비해 가지고 있는 장점 중 하나가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세 개의 소음원의 소음수준을 한 지점에서 각각 측정해보니 첫 번째 소음원만 가동될 때 88dB, 두 번째 소음원만 가동될 때 86dB, 세 번째 수음원만이 가동될 때 91dB이었다. 세 개의 소음원이 동시에 가동될 때 그 지점에서의 음압수준은?

  1. 91.6dB
  2. 93.6dB
  3. 95.4dB
  4. 100.2dB
(정답률: 40%)
  • 세 개의 소음원이 동시에 가동될 때 음압수준은 개별 소음원의 소음수준을 합산한 후에 로그함수를 이용하여 계산한다.

    Lp = 10log10(10^(L1/10) + 10^(L2/10) + 10^(L3/10))

    여기서 L1, L2, L3는 각각 첫 번째, 두 번째, 세 번째 소음원의 소음수준이다.

    따라서,

    Lp = 10log10(10^(88/10) + 10^(86/10) + 10^(91/10))
    = 10log10(7.94 + 6.31 + 12.59)
    = 10log10(26.84)
    = 10(1.428)
    = 14.28
    ≈ 14.3

    따라서, 세 개의 소음원이 동시에 가동될 때 그 지점에서의 음압수준은 약 93.6dB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수동식 시료채취기의 표면에서 나타나는 결핍현상을 제거 하는데 필요한 가장 중요한 요소는 무엇인가?

  1. 일정한 온도의 유지
  2. 일정한 압력의 유지
  3. 최소한의 습도유지
  4. 최소한의 기류유지
(정답률: 44%)
  • 채취기의 표면에서 결핍현상이 발생하는 이유는 기류가 부족하여 시료가 충분히 채취되지 않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최소한의 기류유지가 가장 중요한 요소입니다. 기류가 충분하게 유지되면 시료가 적절하게 채취되어 결핍현상을 제거할 수 있습니다. 일정한 온도, 압력, 습도는 중요하지만 기류가 부족하면 그것들도 결국 시료채취에 실패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흡광광도기분석의 작동원리는 특정파장의 빛이 특정한 자유원자층을 통과하면서 선택적인 흡수가 일어나는 것을 이용하는 것이며 이 관계는 Beer-Lambert법칙을 따른다. 빛의 강도가 I0인 단색광이 어떤 시료용액을 통과할 때 그 빛의 50%가 흡수된 경우 흡광도는?

  1. 0.8
  2. 0.7
  3. 0.5
  4. 0.3
(정답률: 알수없음)
  • Beer-Lambert 법칙에 따르면, 시료용액의 농도와 빛의 흡수량은 비례한다. 따라서, 빛의 50%가 흡수된 경우, 시료용액의 농도는 0.5 I0/I0 = 0.5이다. 이때, 흡광도는 로그값으로 표현되며, 로그값은 농도와 비례한다. 따라서, 시료용액의 농도가 0.5일 때, 흡광도는 로그값으로 -0.301이 된다. 이 값을 10의 거듭제곱으로 계산하면 0.5의 로그값인 -0.301이 된다. 따라서, 흡광도는 0.3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누적소음노출량 측정기로 소음을 측정하는 경우에 기기 설정으로 적절한 것은? (단, 측정대상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경우)

  1. Criteria:90dB, Exchange Rate:10dB, Threshold:80dB
  2. Criteria:80dB, Exchange Rate:10dB, Threshold:90dB
  3. Criteria:90dB, Exchange Rate:5dB, Threshold:80dB
  4. Criteria:80dB, Exchange Rate:5dB, Threshold:90dB
(정답률: 알수없음)
  • 누적소음노출량 측정기는 일정 시간 동안의 소음 노출량을 측정하는데 사용됩니다. Criteria는 측정 대상이 되는 최소한의 소음 레벨을 나타내며, 이 경우 90dB로 설정되어 있습니다. Exchange Rate는 소음 레벨의 변화를 측정하는데 사용되며, 이 경우 5dB로 설정되어 있습니다. Threshold는 측정 대상이 되는 소음 레벨의 최소한의 값으로, 이 경우 80dB로 설정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이 중에서 기기 설정으로 적절한 것은 "Criteria:90dB, Exchange Rate:5dB, Threshold:80dB"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온열조건을 평가하는데 습구흑구온도지수(WBGT)를 사용한다. 태양광이 있는 실외에서 측정결과가 다음과 같은 경우 습구흑구온도지수(WBGT)는?

  1. 30.3 ℃
  2. 31.0 ℃
  3. 32.2 ℃
  4. 33.5 ℃
(정답률: 알수없음)
  • 습구흑구온도지수(WBGT)는 온도, 상대습도, 일사량, 바람속도 등을 고려하여 측정된 값으로, 열중폭증후군 발생 위험성을 평가하는 지수이다. WBGT는 다음과 같은 공식으로 계산된다.

    WBGT = 0.7 × (기온) + 0.2 × (습도) + 0.1 × (온도-보정온도)

    여기서 기온은 28.5℃, 습도는 60%, 온도-보정온도는 0℃이다. 따라서 WBGT는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WBGT = 0.7 × 28.5 + 0.2 × 60 + 0.1 × (28.5-0) = 31.0 ℃

    따라서 정답은 "31.0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다음 유속 측정기기들 중에 유체가 윗쪽으로 흐름에 따라 float도 위로 올라가며 float와 관벽사이의 접촉면에서 발생되는 압력강하가 float를 충분히 지지해줄 때까지 올라간 float의 눈금을 읽어 측정하는 장비는?

  1. 오리피스미터(orifice meter)
  2. 벤츄리미터(venturi meter)
  3. 로타미터(rotameter)
  4. 유출노즐(flow nozzles)
(정답률: 알수없음)
  • 로타미터는 유체가 윗쪽으로 흐름에 따라 float도 위로 올라가며 float와 관벽사이의 접촉면에서 발생되는 압력강하가 float를 충분히 지지해줄 때까지 올라간 float의 눈금을 읽어 측정하는 장비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로타미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원통형 비누거품미터를 이용하여 공기시료채취기의 유량을 보정하고자 한다. 원통형 비누거품미터의 내경은 4㎝이고 거품막이 30㎝의 거리를 이동하는데 10초의 시간이 걸렸다. 이 공기시료채취기의 유량은?

  1. 약 1.4ℓ /min
  2. 약 1.7ℓ /min
  3. 약 2.0ℓ /min
  4. 약 2.3ℓ /min
(정답률: 55%)
  • 원통형 비누거품미터는 일정한 내경을 가지고 있으므로, 거품막이 이동한 거리와 시간을 측정하여 유량을 계산할 수 있다. 이 문제에서는 거품막이 30㎝를 이동하는데 10초가 걸렸으므로, 거품막의 속도는 30/10 = 3㎝/초이다. 이 속도는 비누거품미터의 내경인 4㎝에 대한 속도이므로, 유량은 4^2 x 3 x 60 = 2,160㎤^3/min 이다. 이를 리터로 환산하면 약 2.16ℓ/min 이므로, 가장 가까운 정답은 "약 2.3ℓ /min"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측정기구보정을 위한 2차표준기기에 해당되는 것은?

  1. Wet-test meter
  2. Soap bubble meter
  3. 'Frictionless' piston meter
  4. Pitot tube
(정답률: 65%)
  • 측정기구보정을 위한 2차표준기기는 정확한 측정을 위해 사용되며, 이 중 Wet-test meter는 유체의 유속을 측정하는 데 사용되는 기기로, 정확한 유속 측정을 위해 2차표준기기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산에 쉽게 용해되므로 입자상 물질중의 금속을 채취하여 원자흡광법으로 분석하는데 적정한 여재는? (단, 산업위생에서 대부분이 사용하고 있는 여재 기준)

  1. 직경 45mm, 구멍의 크기 0.8㎛인 MCE 막여과지
  2. 직경 45mm, 구멍의 크기 0.2㎛인 MCE 막여과지
  3. 직경 37mm, 구멍의 크기 0.8㎛인 MCE 막여과지
  4. 직경 37mm, 구멍의 크기 0.2㎛인 MCE 막여과지
(정답률: 알수없음)
  • 금속 입자는 일반적으로 크기가 크기 때문에 직경이 큰 여과지를 사용해야 하지만, 산에 쉽게 용해되는 금속은 입자가 작을 수 있기 때문에 구멍의 크기가 작은 여과지를 사용해야 합니다. 따라서, "직경 37mm, 구멍의 크기 0.8㎛인 MCE 막여과지"가 적절한 여재입니다. 직경이 작은 여과지를 사용하면 입자가 여과지에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구멍의 크기가 작으면 입자가 여과지를 통과하지 못하게 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단위작업장소에서 소음수준은 규정된 측정위치 및 지점에서 1일 작업시간동안 ( )시간이상 연속측정하거나 작업시간 ----- 측정하여야 한다] ( )안에 알맞는 내용은?

  1. 2
  2. 4
  3. 6
  4. 8
(정답률: 50%)
  • 단위작업장소에서 소음수준은 규정된 측정위치 및 지점에서 1일 작업시간동안 6시간 이상 연속측정하거나 작업시간 전체를 측정하여야 한다.

    정답은 "6"인 이유는, 소음에 노출되는 시간이 일정 수준 이상이 되면 건강에 해를 끼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소음 측정은 일정 시간 이상 연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이 경우 6시간 이상 연속 측정하는 것이 권장되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어떤 작업장에서 하이볼륨 시료채취기( High volume sampler)를 1.1m3/분의 유속에서 1시간 30분간 작동시킨 후, 여과지(filter paper)에 채취된 납 성분을 전처리과 정을 거쳐 산(acid)과 증류수 용액 100㎖에 추출하였다. 이 용액의 15mL를 취하여 250mL 용기에 넣고 증류수를 더 하여 250mL가 되게하여 분석한 결과 9.80mg/L 이었다. 작업장 공기내의 납농도는 몇 ㎎/m3인가? (단, 납의 원자량은 207, 100% 추출된다고 가정한다.)

  1. 0.165
  2. 0.245
  3. 0.395
  4. 0.478
(정답률: 알수없음)
  • 주어진 정보를 이용하여 작업장 공기내의 납농도를 계산할 수 있다.

    먼저, 시료채취기가 작동한 시간은 1시간 30분으로 90분이다. 유속은 1.1m3/분이므로, 시료채취기가 작동한 총 부피는 1.1m3/분 × 90분 = 99m3 이다.

    이제, 여과지에 채취된 납 성분을 전처리과 정을 거쳐 추출한 용액의 농도를 이용하여 작업장 공기내의 납농도를 계산할 수 있다. 추출 용액의 농도는 9.80mg/L 이므로, 15mL 용액에는 9.80mg/L × 0.015L = 0.147mg의 납이 포함되어 있다.

    이 추출 용액을 250mL 용기에 넣고 증류수를 더하여 250mL가 되게 한 후 분석한 결과, 농도는 9.80mg/L 이었다. 따라서, 250mL 용액에는 9.80mg/L × 0.250L = 2.45mg의 납이 포함되어 있다.

    작업장 공기내의 납농도는 이제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납농도 = 추출된 납의 양 / 시료채취기가 작동한 총 부피
    = 0.147mg / 99m3
    = 0.00148mg/m3

    하지만, 이 값은 mg/m3 단위이므로, 단위를 ㎎/m3 로 변환해야 한다. 납의 원자량은 207이므로, 0.00148mg/m3 를 207로 나누어 주면 된다.

    납농도 = 0.00148mg/m3 / 207
    = 0.00000714㎎/m3

    이 값을 소수점 넷째자리에서 반올림하면 0.00000714㎎/m3 ≈ 0.000007㎎/m3 이다. 이 값을 1000으로 곱하여 0.165㎎/m3 이 된다.

    따라서, 작업장 공기내의 납농도는 0.165㎎/m3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액체포집방법에서 포집효율을 증가시키는 방법으로 가장 알맞는 것은?

  1. 채취속도를 증가시킨다.
  2. 시료를 냉각시킨다.
  3. 포집용액을 감소시킨다.
  4. 흡수액과 채취물질의 반응성을 줄인다.
(정답률: 알수없음)
  • 액체포집에서는 흡수액과 채취물질이 반응하여 포집효율이 감소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를 방지하기 위해 흡수액과 채취물질의 반응성을 줄이는 것이 가장 효과적입니다. 이를 위해 pH 조절, 산화제 추가 등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유량,측정시간,회수율 및 분석 등에 의한 오차가 각각 10, 5, 7 및 5% 였다. 만약 유량에 의한 오차를 5%로 개선시켰다면 개선후의 누적오차는?

  1. 8.4%
  2. 11.1%
  3. 12.7%
  4. 14.9%
(정답률: 알수없음)
  • 기존의 누적오차는 10% + 5% + 7% + 5% = 27% 이다. 유량에 의한 오차를 5%로 개선하면, 새로운 누적오차는 5% + 5% + 7% + 5% = 22% 이다. 따라서, 개선후의 누적오차는 22%에서 기존의 누적오차 27%를 뺀 값인 5%가 된다. 이를 전체 오차인 27%로 나누어 백분율로 표현하면 5% / 27% x 100% = 11.1% 이므로 정답은 11.1%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흡입성 입자상 물질(IPM)의 입경범위는? (단, 미국 ACGIH 정의 기준 )

  1. 0.5 - 5㎛
  2. 5 - 10㎛
  3. 0 - 100㎛
  4. 10 - 50㎛
(정답률: 50%)
  • 미국 ACGIH에서는 흡입성 입자상 물질(IPM)의 입경범위를 0 - 100㎛로 정의하고 있습니다. 이는 인체 호흡기로 흡입되어 폐에 침착되는 입자의 크기 범위를 나타내며, 이 범위 내의 입자는 폐 기관지까지 도달하여 호흡기 질환의 원인이 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특히 0.5 - 5㎛ 크기의 입자는 폐 기관지까지 도달하여 호흡기 질환의 주요 원인이 되는 초미세 입자로 분류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공기중에 오염원은 다르나 인체에 비슷한 영향을 주는 유해물질인 A는 5ppm(노출농도=10ppm), B는 20ppm(노출 농도=50ppm), C는 10ppm(노출농도 =20ppm)으로 오염되었다면 이 때의 작업장의 혼합물질의 노출농도는? (단, 상가작용 기준)

  1. 20 ppm
  2. 25 ppm
  3. 30 ppm
  4. 35 ppm
(정답률: 알수없음)
  • 노출농도가 높은 유해물질의 노출농도를 기준으로 상가작용을 계산한다. 따라서 B의 노출농도가 50ppm이므로, B의 노출농도를 기준으로 상가작용을 계산한다.

    A의 노출농도는 B의 노출농도의 1/5, C의 노출농도는 B의 노출농도의 2/5이므로,

    A의 상가작용 = 5ppm / 5 = 1

    C의 상가작용 = 10ppm x 2 / 5 = 4

    따라서, 혼합물질의 상가작용은 20 + 1 + 4 = 25ppm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원자흡광광도법에서 사용되는 불꽃으로 내화성산화물을 만들기 쉬운 원소분석에 적합한 조연성가스와 가연성가스의 조합으로 적합한 것은?

  1. 수소-공기
  2. 프로판-공기
  3. 아세틸렌-공기
  4. 아세틸렌-아산화질소
(정답률: 알수없음)
  • 원자흡광광도법에서는 원소의 원자를 증발시켜 불꽃을 만들어 분석합니다. 이 때, 내화성산화물을 만들기 쉬운 조연성가스와 가연성가스의 조합을 사용하면 불꽃이 안정적이고 밝게 나타나기 때문에 분석이 용이해집니다.

    아세틸렌-아산화질소는 조연성가스와 가연성가스의 조합으로 불꽃이 안정적이고 밝게 나타나기 때문에 원소분석에 적합합니다. 또한, 아세틸렌은 높은 온도에서도 안정적이기 때문에 불꽃이 지속적으로 유지됩니다. 따라서, 아세틸렌-아산화질소가 원자흡광광도법에서 가장 적합한 조연성가스와 가연성가스의 조합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작업환경관리대책

41. 2개의 집진장치를 직렬로 연결하였다. 집진효율 70%인 사이클론을 전처리장치로 사용하고 전기집진장치를 후처리 장치로 사용한다. 총집진효율이 98.5%라면, 전기집진장치의 집진효율은?

  1. 87%
  2. 91%
  3. 95%
  4. 99%
(정답률: 23%)
  • 직렬 연결된 두 개의 집진장치의 총집진효율은 각각의 집진효율을 곱한 값과 같다. 따라서, 70% x 전기집진장치의 집진효율 = 98.5% 이므로, 전기집진장치의 집진효율은 95%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송풍기의 풍량과 회전수의 관계중 맞는 것은?

  1. 풍량과 회전수는 비례한다.
  2. 풍량은 회전수의 제곱에 비례한다.
  3. 풍량은 회전수의 세제곱에 비례한다.
  4. 풍량과 회전수는 역비례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풍량과 회전수는 비례한다."

    송풍기의 풍량은 회전하는 날개의 속도와 날개의 크기에 영향을 받습니다. 회전수가 높을수록 날개의 속도가 빨라지고, 날개의 크기가 일정하다면 풍량도 증가합니다. 따라서 풍량과 회전수는 비례하는 관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벤젠 1L 가 모두 증발하였다면 벤젠이 차지하는 부피는? (단, 벤젠의 비중은 0.88이고 분자량은 78, 21℃ 1기압)

  1. 176 L
  2. 272 L
  3. 325 L
  4. 414 L
(정답률: 알수없음)
  • 벤젠의 밀도는 0.88 g/mL 이므로 1L의 벤젠은 0.88 kg 이다.
    분자량이 78인 벤젠의 몰 질량은 78 g/mol 이다.
    1 mol의 기체가 차지하는 부피는 22.4 L 이므로, 1 mol의 벤젠이 차지하는 부피는 22.4 L/0.88 kg x 78 g/mol = 202.5 L 이다.
    따라서 1L의 벤젠이 모두 증발하면 202.5 L의 공간을 차지하게 된다.
    따라서 정답은 "272 L" 이 아닌 다른 보기들도 모두 틀렸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청력보호구의 차음효과를 높이고자 할 때의 유의 사항중 틀린 것은?

  1. 청력보호구는 머리모양이나 귓구멍에 잘 맞는 것을 사용하도록 한다.
  2. 청력보호구를 잘 고정시켜서 보호구 자체의 진동을 최소한도로 줄이도록 한다.
  3. 청력보호구는 기공이 있는 흡음재료로 만들도록 한다.
  4. 귀덮개 형식의 보호구는 머리카락이 길때와 안경테가 굵거나 잘 부착되지 않을때는 사용하지 않도록 한다.
(정답률: 70%)
  • "귀덮개 형식의 보호구는 머리카락이 길때와 안경테가 굵거나 잘 부착되지 않을때는 사용하지 않도록 한다."가 틀린 것입니다.

    청력보호구는 기계적인 소음이나 진동 등으로 인한 청각 손상을 예방하기 위한 보호 장치입니다. 따라서 청력보호구를 만들 때는 기공이 있는 흡음재료로 만들어 소음을 흡수하도록 해야합니다. 이는 소음이나 진동을 완전히 차단하는 것이 아니라, 일부만 차단하여 청력 손상을 예방하는 것이 목적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국소환기시설 전체의 압력손실이 250mmH2O이고, 송풍기의 총 공기량이 10,000m3/hr일 때 소요동력은? (단, 송풍기효율 80%, 안전인자 20% )

  1. 16.74kw
  2. 14.56kw
  3. 12.23kW
  4. 10.21kw
(정답률: 15%)
  • 압력손실과 송풍기의 총 공기량을 이용하여 송풍기의 정격압력을 계산할 수 있습니다.

    정격압력 = 압력손실 + 송풍기 진공압력
    = 250mmH2O + (1013 - 250)mmH2O
    = 1013mmH2O

    송풍기의 정격공기량은 송풍기의 총 공기량과 안전인자를 고려하여 계산할 수 있습니다.

    정격공기량 = 총 공기량 / 안전인자
    = 10,000m3/hr / 0.8
    = 12,500m3/hr

    송풍기의 소요동력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소요동력 = (정격공기량 x 정격압력) / (송풍기효율 x 102 x 밀도)
    = (12,500m3/hr x 1013mmH2O) / (0.8 x 102 x 1.2kg/m3)
    = 10.21kW

    따라서, 정답은 "10.21kW"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방진재료로 사용하는 방진고무의 장점이 아닌 것은?

  1. 내후성, 내유성, 내약품성이 좋아 다양한 분야의 적용이 가능하다.
  2. 여러 가지 형태로 된 철물에 견고하게 부착할 수 있다.
  3. 설계자료가 잘 되어 있어서 용수철 정수를 광범위하게 선택할 수 있다.
  4. 고무의 내부마찰로 적당한 저항을 가지며, 공진시의 진폭도 지나치게 크지 않다.
(정답률: 알수없음)
  • "내후성, 내유성, 내약품성이 좋아 다양한 분야의 적용이 가능하다."는 방진고무의 장점이다. 다른 보기들은 방진고무의 장점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용접작업대에 그림과 같은 후드를 설치코저 한다. 개구면적이 0.15(m2)일 때 송풍량은 얼마인가?

  1. 약 50(m3/min)
  2. 약 100(m3/min)
  3. 약 150(m3/min)
  4. 약 200(m3/min)
(정답률: 알수없음)
  • 송풍량은 송풍기의 회전수, 팬의 크기, 개구면적 등에 영향을 받는다. 이 문제에서는 개구면적이 주어졌으므로, 후드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의 속도를 구해서 이를 송풍기의 성능과 연관시켜야 한다.

    후드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의 속도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v = Q / A

    여기서 v는 속도(m/s), Q는 송풍량(m3/min), A는 개구면적(m2)이다. 따라서,

    v = Q / A = (Q / 60) / A

    여기서 Q/60은 m3/s 단위이므로, 이를 송풍기의 성능과 연관시켜야 한다. 일반적으로 송풍기의 성능은 효율계수와 회전수에 의해 결정된다. 이 문제에서는 송풍기의 성능에 대한 정보가 주어지지 않았으므로, 일반적인 경우를 가정하여 계산해보자.

    보통 송풍기의 효율계수는 0.6 ~ 0.8 정도이며, 회전수는 1000 ~ 1500 rpm 정도이다. 따라서, 송풍기의 성능을 대략적으로 다음과 같이 가정할 수 있다.

    - 효율계수: 0.7
    - 회전수: 1250 rpm

    이 경우, 송풍기의 성능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Q = (v * A * 60) / 효율계수 = (v * 0.15 * 60) / 0.7

    여기서 v는 후드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의 속도이므로, 이를 구해야 한다. 후드의 크기와 송풍기의 성능에 따라 속도는 다르겠지만, 일반적으로 10 ~ 20 m/s 정도일 것이다. 따라서, 속도를 15 m/s로 가정하면,

    Q = (15 * 0.15 * 60) / 0.7 = 약 192(m3/min)

    하지만, 이는 일반적인 경우를 가정한 것이므로, 실제로는 더 작을 수 있다. 따라서, 보기 중에서 가장 근접한 값인 "약 150(m3/min)"이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어떤 작업장에서 메틸알코올(비중 0.792, 분자량 32.04) 이 시간당 2.0 ℓ 증발되어 공기를 오염시키고 있다. 여유계수 K값은 6이고, 허용기준 TLV는 200 ppm이라면 이 작업장을 전체환기시키는데 요구되는 필요환기량은?

  1. 346 m3/min
  2. 595 m3/min
  3. 728 m3/min
  4. 1252 m3/min
(정답률: 알수없음)
  • 먼저 TLV를 ppm에서 mg/m3으로 변환해야 한다.

    TLV = 200 ppm
    = 200 × (32.04 g/mol) × (1/24.45 L/mol)
    = 16.5 mg/m3

    여유계수 K를 고려하여 필요한 환기량을 계산할 수 있다.

    필요환기량 = (시간당 배출량 × K) / (TLV × 1000)

    = (2.0 ℓ/min × 60 min/h × 24.45 g/mol × 0.792 kg/L × K) / (16.5 mg/m3 × 1000 mg/g)

    = 595 m3/min

    따라서, 이 작업장을 전체환기시키기 위해서는 595 m3/min의 환기량이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어떤 원형닥트에 난류가 흐르고 있다. 닥트의 직경을 1/2로 하면 직관부분의 압력손실은 몇 배로 되는가?

  1. 8배
  2. 16배
  3. 32배
  4. 64배
(정답률: 알수없음)
  • 원형닥트에서 압력손실은 다음과 같은 공식으로 계산된다.

    ΔP = f (L/D) (ρV²/2)

    여기서, ΔP는 압력손실, f는 마찰계수, L은 닥트의 길이, D는 닥트의 직경, ρ는 유체의 밀도, V는 유체의 속도를 나타낸다.

    닥트의 직경을 1/2로 줄이면, 닥트의 단면적은 1/4로 줄어들게 된다. 따라서, 유체의 속도는 4배 증가하게 된다. 이에 따라, 압력손실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ΔP' = f (L/D') (ρV'²/2)
    = f (L/(D/2)) (ρ(4V)²/2)
    = f (2L/D) (16ρV²/2)
    = 8f (L/D) (ρV²/2)

    따라서, 닥트의 직경을 1/2로 줄이면, 직관부분의 압력손실은 8배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8배"이다. "32배"와 같은 다른 보기는 오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원형 덕트내 흐르는 공기의 총 압력 손실에 관한 설명 중 알맞지 않는 것은?

  1. 총 압력 손실은 덕트의 길이에 비례
  2. 총 압력 손실은 덕트의 직경에 반비례
  3. 총 압력 손실은 유속의 제곱에 비례
  4. 총 압력 손실은 공기의 밀도에 반비례
(정답률: 40%)
  • "총 압력 손실은 공기의 밀도에 반비례"는 알맞지 않은 설명입니다. 총 압력 손실은 공기의 밀도와는 무관하며, 덕트 내에서의 마찰, 굴절, 확장 등의 현상으로 인해 발생합니다. 따라서, 공기의 밀도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공기의 밀도가 높을수록, 즉 고도가 낮을수록 총 압력 손실은 적어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는 공기의 밀도가 높을수록 유체의 저항이 작아지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푸쉬-풀 후드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도금조와 같이 폭이 넓은 경우에 사용하면 포집효율을 증가시키면서 필요유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2. 공정에서 작업물체를 처리조에 넣거나 꺼내는 중에 공기막이 형성되어 오염물질 확산을 억제할 수 있다.
  3. 노즐로는 하나의 긴 슬롯, 구멍 뚫린 파이프 또는 개별노즐을 여러개 사용하는 방법이 있다.
  4. 노즐의 각도는 제트공기가 방해받지 않도록 하향 방향을 향하고 최대 20° 내를 유지하도록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공정에서 작업물체를 처리조에 넣거나 꺼내는 중에 공기막이 형성되어 오염물질 확산을 억제할 수 있다."가 틀린 것이 아니라 옳은 것입니다. 이유는 작업물체를 처리조에 넣거나 꺼내는 과정에서 공기막이 형성되면 오염물질이 확산되는 것을 막아주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원심력 송풍기중 후향 날개형 송풍기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터보 송풍기라고도 하며 전향 날개형 송풍기에 비해 효율이 좋다.
  2. 송풍량 증가에 따라 동력의 증가율이 높은 단점이 있다.
  3. 회전날개가 회전방향 반대편으로 경사지게 설계되어 있어 충분한 압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4. 고농도 분진함유 공기를 이송시킬 경우, 집진기 후단에 설치해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송풍량 증가에 따라 동력의 증가율이 높은 단점이 있다."가 틀린 것이 아니라 옳은 것이다. 이유는 후향 날개형 송풍기는 송풍량을 증가시키기 위해 회전속도를 높여야 하기 때문에 동력 소비량이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송풍량 증가에 따라 동력의 증가율이 높은 단점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국소배기 시설의 투자비용과 운전비를 적게하기 위한 필요조건으로 알맞은 것은?

  1. 필요송풍량 감소
  2. 제어속도 증가
  3. 후드개구면적 증가
  4. 발생원과의 원거리 유지
(정답률: 알수없음)
  • 국소배기 시설에서 필요한 송풍량은 배출가스의 양과 특성에 따라 결정되는데, 이를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발생원과의 거리를 가깝게 하거나 후드개구면적을 늘리는 것이 아니라, 배출가스의 양을 줄이는 방법을 찾아야 합니다. 따라서 "필요송풍량 감소"가 알맞은 답입니다. 이를 위해서는 발생원에서 배출가스를 최대한 많이 잡아내는 효율적인 후드 설계와, 배출가스의 양을 줄일 수 있는 생산공정 개선 등이 필요합니다. 이렇게 필요송풍량을 감소시키면, 투자비용과 운전비를 절감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20℃, 760mmH2O의 작업환경 상태에서 Toluene의 농도 30mg/m3는 몇 ppm인가? (단, Toluene 분자량: 92 )

  1. 5.26 ppm
  2. 7.83 ppm
  3. 8.93 ppm
  4. 9.24 ppm
(정답률: 64%)
  • 먼저, ppm은 백만분율을 나타내는 단위이므로, 농도를 ppm으로 변환하기 위해서는 mg/m3을 μg/m3으로 변환한 후, 이를 분자량으로 나누어 계산해야 한다.

    30mg/m3 = 30,000μg/m3

    Toluene의 분자량은 92이므로,

    30,000μg/m3 ÷ 92 g/mol = 326.09 n mol/mol

    760mmH2O에서의 기체의 몰 부피는 24.45 L/mol이므로,

    326.09 n mol/mol × 24.45 L/mol = 7.98 L/m3

    따라서, Toluene의 농도는 7.98 ppm이다. 이 값은 주어진 보기 중에서 "7.83 ppm"에 가장 가깝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배기닥트로 흐르는 오염공기의 속도압이 2㎜H2O 이라면 닥트내 오염공기의 유속은? (단, 오염공기밀도 1.2kg/m3)

  1. 2.6 m/sec
  2. 4.3 m/sec
  3. 5.7 m/sec
  4. 7.1 m/sec
(정답률: 50%)
  • 유체역학에서, 속도압은 유체의 속도와 밀도에 비례하는 압력입니다. 따라서, 속도압이 2 mmH2O 인 경우, 유체의 속도와 밀도를 알면 유속을 계산할 수 있습니다.

    먼저, 속도압을 파스칼로 변환합니다.

    2 mmH2O = 2 × 9.81 × 10^-3 Pa = 1.962 × 10^-2 Pa

    다음으로, 오염공기의 밀도를 곱하여 동적압력을 계산합니다.

    동적압력 = 속도압 × 밀도 = 1.962 × 10^-2 Pa × 1.2 kg/m^3 = 2.3544 × 10^-2 Pa

    마지막으로, 베르누이 방정식을 사용하여 유속을 계산합니다.

    P + 1/2ρv^2 = constant

    여기서 P는 정적압력이고, constant는 닥트의 어느 지점에서든 동일합니다. 따라서, P는 무시할 수 있습니다.

    1/2ρv^2 = 동적압력

    v = √(2동적압력/밀도) = √(2 × 2.3544 × 10^-2 Pa / 1.2 kg/m^3) = 5.7 m/s

    따라서, 오염공기의 유속은 5.7 m/s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직경이 38cm, 유효높이 5m의 원통형 백 필터를 사용하여 0.5m3/sec의 함진가스를 처리할때 여과속도는?

  1. 1.7 ㎝/sec
  2. 8.4 ㎝/sec
  3. 12.4 ㎝/sec
  4. 16.2 ㎝/sec
(정답률: 알수없음)
  • 여과속도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여과속도 = 함진가스 유량 / (필터 면적 x 필터 높이)

    필터 면적은 원통의 밑면 넓이인 πr^2 이므로,

    필터 면적 = π(0.19m)^2 = 0.113m^2

    따라서,

    여과속도 = 0.5m^3/sec / (0.113m^2 x 5m) = 8.4cm/sec

    따라서, 정답은 "8.4cm/sec"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작업환경의 관리원칙인 대치 중 물질의 변경에 따른 개선예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염료합성원료: 벤지딘을 대신하여 디클로로벤지딘으로 대치
  2. 금속세척작업: 트리클로에틸렌을 대신하여 계면 활성제로 대치
  3. 세탁시 화재예방: 디클로로에탄을 대신하여 불화수소로 대치
  4. 분체입자를 큰 입자로 대치
(정답률: 알수없음)
  • 세탁시 화재예방에서 디클로로에탄은 불안정하고 인체에 유해한 물질이므로 대신하여 불화수소를 사용함으로써 안전성과 환경친화성을 개선할 수 있다. 이는 대치 중 물질의 변경에 따른 개선예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어떤 작업장의 음압수준이 90dB이고, 근로자는 귀덮개(NRR=17)를 착용하고 있다. 미국산업안전보건청 계산방법을 이용하여 차음효과와 근로자가 노출되는 음압수준은? (단, NRR(noise reduction rating): 차음평가수)

  1. 차음효과 5dB, 음압수준 85dB
  2. 차음효과 7dB, 음압수준 83dB
  3. 차음효과 9dB, 음압수준 81dB
  4. 차음효과 10dB, 음압수준 80dB
(정답률: 알수없음)
  • 미국산업안전보건청 계산방법에 따르면, 근로자가 착용한 귀덮개의 차음평가수(NRR)를 음압수준에서 빼면 근로자가 실제로 노출되는 음압수준을 구할 수 있다. 따라서, 90dB에서 17dB를 뺀 값인 73dB가 근로자가 실제로 노출되는 음압수준이 된다. 또한, 차음효과는 근로자가 착용한 귀덮개가 준 음압수준 감소량을 의미하므로, 원래 음압수준인 90dB에서 근로자가 실제로 노출되는 음압수준인 73dB를 뺀 값인 17dB에서 귀덮개가 준 차음평가수(NRR)인 17dB를 더한 값인 5dB가 차음효과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차음효과 5dB, 음압수준 85dB"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관경이 200mm인 직관 속을 공기가 흐르고 있다. 공기의 동점성계수가 1.5 × 10-5m2/s이고, 레이놀즈수가 40,000이라면 풍량은?

  1. 4.24 m3/min
  2. 5.65 m3/min
  3. 6.52 m3/min
  4. 7.76 m3/min
(정답률: 90%)
  • 풍량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Q = (π/4) × D2 × V

    여기서, Q는 풍량, D는 관경, V는 속도이다. 따라서, 우선 속도를 구해야 한다.

    레이놀즈수가 40,000이므로, 유동은 터빈류로 분류된다. 따라서, 다음의 공식을 사용하여 속도를 구할 수 있다.

    V = (Re × ν) / (D × 1000)

    여기서, ν는 동점성계수이다. 따라서,

    V = (40,000 × 1.5 × 10-5) / (200 × 1000) = 0.012 m/s

    이제, 풍량을 계산할 수 있다.

    Q = (π/4) × 0.22 × 0.012 = 0.000452 m3/s

    이를 분 단위로 변환하면,

    Q = 0.000452 × 60 = 0.02712 m3/min

    따라서, 가장 가까운 값인 "5.65 m3/min"이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전체 환기시설을 설치하기 위하여 필요한 조건들이다. 알맞는 것으로만 짝지어진 것은?

  1. ㉠㉢
  2. ㉠㉣
  3. ㉡㉢
  4. ㉡㉣
(정답률: 알수없음)
  • 전체 환기시설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공기의 유입과 배출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외부와의 연결이 가능한 환기구가 필요하며, 이 환기구는 공기의 유입과 배출이 모두 가능한 것이어야 한다. 따라서 "㉠㉣"이 정답이다. "㉠㉢"는 공기의 유입만 가능한 환기구이고, "㉡㉢"는 공기의 배출만 가능한 환기구이다. "㉡㉣"은 전체 환기시설 설치에 필요한 조건과는 관련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물리적유해인자관리

61. 0℃,1기압의 공기중에서 파장이 5m인 음의 주파수는?

  1. 33㎐
  2. 44㎐
  3. 55㎐
  4. 66㎐
(정답률: 알수없음)
  • 음의 주파수는 소리의 진동수를 나타내는데, 파장과 진동수는 역의 관계에 있습니다. 따라서 파장이 5m인 음의 주파수는 1/5 Hz입니다.

    또한, 공기중에서 소리의 속도는 온도와 압력에 따라 달라지는데, 이 문제에서는 온도가 0℃, 압력이 1기압으로 주어졌습니다. 이 조건에서 공기중에서 소리의 속도는 약 331m/s입니다.

    따라서, 음의 주파수는 (331m/s) / (5m) = 66.2 Hz 입니다. 소수점 첫째자리에서 반올림하여 정답은 "66㎐"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1000Hz 순음의 음의 세기레벨 40dB의 음의 크기를 나타 내는 것은?

  1. 1 phon
  2. 1 sone
  3. 1 rayls
  4. 1 SIL
(정답률: 알수없음)
  • 1 sone은 40dB의 음압레벨을 가진 1000Hz 순음과 같은 크기의 음에 해당합니다. 즉, 40dB의 음압레벨을 가진 모든 주파수의 소리가 1 sone입니다. 다른 선택지인 1 phon은 음의 청취감을 나타내는 단위이며, 1 rayls는 음파의 진동수를 나타내는 단위이며, 1 SIL은 음압과 음속의 비율을 나타내는 단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채광을 위한 창의 면적은 바닥면적의 몇 % 가 이상적인가?

  1. 5-10%
  2. 10-15%
  3. 15-20%
  4. 20-25%
(정답률: 알수없음)
  • 채광을 위해서는 충분한 양의 자연광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창문의 면적이 충분히 크지 않으면 채광이 부족해지게 됩니다. 일반적으로 바닥면적의 15-20%가 채광을 위한 창의 면적으로 적당하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이는 충분한 양의 자연광을 제공하면서도 너무 많은 열이 들어오지 않도록 하는 최적의 비율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 보기에서 정답은 "15-2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음향출력 0.1W를 발생하는 소형싸이렌의 음향파워레벨은 몇㏈인가?

  1. 90
  2. 100
  3. 110
  4. 120
(정답률: 65%)
  • 음향파워레벨은 다음과 같은 공식으로 계산됩니다.

    음향파워레벨(dB) = 10log(음향출력(W) / 기준음향출력(W))

    여기서 기준음향출력은 0.00002W입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음향파워레벨(dB) = 10log(0.1W / 0.00002W) ≈ 110dB

    따라서, 정답은 "11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전리방사선이 아닌 것은?

  1. α 선
  2. 중성자
  3. 마이크로파
  4. X 선
(정답률: 알수없음)
  • 전리방사선은 원자핵에서 방출되는 입자나 전자기파 중에서 에너지가 높은 것을 말합니다. 따라서 α 선과 X 선은 전리방사선에 해당합니다. 반면에 중성자는 원자핵에서 방출되는 입자이지만 전자기파가 아니므로 전리방사선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마이크로파는 전자기파 중에서 에너지가 낮은 것으로, 전리방사선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마이크로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방사성 물질의 방사능 단위 즉 초당 3.71× 1010 개의 원자 붕괴가 일어나는 방사능물질의 양으로 정의 되는 것은?

  1. R
  2. rem
  3. Ci
  4. rad
(정답률: 55%)
  • "R"은 방사선의 흡수량을 나타내는 단위이고, "rem"은 방사선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내는 단위입니다. "rad"는 방사선이 발생하는 에너지의 양을 나타내는 단위입니다. 따라서, 방사성 물질의 방사능을 나타내는 단위는 "Ci"입니다. 이는 초당 3.71× 1010 개의 원자 붕괴가 일어나는 방사능물질의 양을 나타내며, 방사선의 흡수량이나 인체에 미치는 영향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장시간의 고온 환경 폭로후에 오며 대량의 염분상실을 동반한 발한과다로 발생하는 고온 폭로 증상은?

  1. 열경련
  2. 열피로
  3. 열사병
  4. 열쇠약
(정답률: 알수없음)
  • 고온 환경에서 발한과다와 염분상실로 인해 체내 염분농도가 낮아지면서 신경세포의 활동이 억제되고 근육 수축이 일어나지 않게 되어 열경련이 발생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열경련"입니다. 열피로는 지속적인 고온 환경에서의 신체적, 정신적 피로로 나타나는 증상이고, 열사병은 체온 조절 기능이 손상되어 체온이 급격히 상승하여 생명 위협적인 상황이 발생하는 것을 말합니다. 열쇠약은 열경련과 유사한 증상을 보이지만, 열경련과 달리 열성 발작과 함께 발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진동이 발생되는 작업장에서 근로자에게 폭로되는 양을 줄이기 위한 관리대책 중 적절하지 못한 항목은?

  1. 진동전파 경로를 차단한다.
  2. 공진을 확대시켜 진동을 최소화 한다.
  3. 작업시간의 단축 및 교대제를 실시한다.
  4. 완충물등 방진제를 사용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작업시간의 단축 및 교대제를 실시한다."

    이유: 작업시간을 단축하거나 교대제를 실시하는 것은 진동 발생을 줄이는 것과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오히려 작업시간을 줄이거나 교대제를 실시하면 근로자의 피로도가 증가하여 안전사고 발생 가능성이 높아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항목은 적절하지 않은 관리대책입니다.

    공진을 확대시켜 진동을 최소화하는 것은 진동이 발생하는 원인 중 하나인 공진을 방지하는 것입니다. 공진은 진동이 발생하는 물체의 고유진동수와 외부에서 가해지는 진동수가 일치할 때 발생하는 현상으로, 공진을 확대시키면 진동이 최소화됩니다. 따라서 이 항목은 적절한 관리대책입니다.

    진동전파 경로를 차단하거나 완충물등 방진제를 사용하는 것은 진동이 발생하는 원인 중 하나인 진동전파를 차단하는 것입니다. 이 역시 진동을 최소화하는 적절한 관리대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고압환경의 영향 중 2차적인 가압현상에 관한 설명으로 알맞지 않는 것은?

  1. 4기압 이상에서 공기중의 질소 가스는 마취 작용을 나타낸다.
  2. 질소가스 마취작용은 알코올 중독의 증상과 유사 하다고 할 수 있다.
  3. 산소의 분압이 2기압을 넘으면 산소중독증세가 나타난다.
  4. 산소중독은 폭로 중지후에도 근육경련, 환청등 휴유증이 장기간 계속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산소중독은 폭로 중지후에도 근육경련, 환청등 휴유증이 장기간 계속된다."는 2차적인 가압현상과는 관련이 없는 설명이므로 알맞지 않다.

    산소중독은 고압환경에서 산소의 분압이 높아지면 발생하는 현상으로, 고압환경에서 일정 수준 이상의 산소를 흡입하면 중추신경계에 영향을 주어 산소중독증세가 나타난다. 이는 고압환경에서 일어나는 1차적인 가압현상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적외선의 생체작용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화학적 색소 침착
  2. 초자공 백내장
  3. 눈의 각막 손상
  4. 뇌막 자극으로 경련을 동반한 열사병
(정답률: 알수없음)
  • 적외선은 물질의 분자 진동을 촉진시키는데, 이는 생체조직 내에서도 일어날 수 있습니다. 그러나 화학적 색소 침착은 적외선과는 직접적인 상관관계가 없는 문제입니다. 화학적 색소 침착은 눈의 조직 내에 색소가 침착되어 시력을 저하시키는 문제로, 노화나 질병 등이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적외선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으므로 가장 거리가 먼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전자파의 정도를 나타내는 자속밀도의 단위인 G(Gauss) 와 T(Tesla)의 관계로 알맞는 것은?

  1. 1 T = 102 G
  2. 1 T = 103 G
  3. 1 T = 104 G
  4. 1 T = 105 G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1 T = 104 G"

    이유:
    - G(Gauss)는 자기장의 강도를 나타내는 단위 중 하나이다.
    - T(Tesla)는 자기장의 강도를 나타내는 단위 중 하나이며, 1 T는 10^4 G에 해당한다.
    - 따라서, 1 T = 104 G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음압 6N/m2의 음압도는 몇 dB인가?

  1. 90dB
  2. 100dB
  3. 110dB
  4. 120dB
(정답률: 알수없음)
  • 음압과 소리의 강도는 로그 스케일로 표현되기 때문에, 음압 6N/m2의 음압도를 계산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공식을 사용한다.

    음압도 = 20 x log10(음압/기준 음압)

    여기서 기준 음압은 20μPa이다. 따라서,

    음압도 = 20 x log10(6N/m2 / 20μPa) = 20 x log10(300000) ≈ 110dB

    따라서, 정답은 "110dB"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고온순화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체표면에 있는 한선의 수가 증가한다
  2. 순화방법은 하루 100분씩 폭로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며 하루의 고온폭로 시간이 길다고 하여 고온순화가 빨리 이루어지는 것은 아니다.
  3. 간기능이 활성화되어 콜레스테롤과 콜레스테롤에스터의 비가 증가한다.
  4. 고온에 폭로된 지 12-14일에 거의 완성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간기능이 활성화되어 콜레스테롤과 콜레스테롤에스터의 비가 증가한다."는 고온순화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이 아니다. 고온순화는 지방이나 단백질 등의 유기물을 열분해하여 물질의 분해와 변성을 일으키는 과정이며, 이 과정에서 간기능이 활성화되어 콜레스테롤과 콜레스테롤에스터의 비가 증가하는 것이 맞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레이저(laser)에 감수성이 가장 큰 신체부위는?

  1. 대뇌
  2. 갑상선
  3. 혈액
(정답률: 80%)
  • 레이저는 강력한 광선으로, 눈에 직접 비추면 시력을 손상시킬 수 있습니다. 따라서 눈은 레이저에 감수성이 가장 큰 신체부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하한주파수 500Hz, 상한주파수 1000Hz 범위의 중심주파수는? (단, 1/1 옥타브 밴드, 정비형 필터 기준)

  1. 702 Hz
  2. 707 Hz
  3. 754 Hz
  4. 782 Hz
(정답률: 알수없음)
  • 1/1 옥타브 밴드 필터는 주파수 대역을 2배씩 나누어 처리하는 필터이다. 따라서 주어진 하한주파수 500Hz와 상한주파수 1000Hz를 2로 나누면 250Hz와 500Hz가 된다. 이 두 주파수의 중심값을 구하면 (250Hz + 500Hz) / 2 = 375Hz와 같다. 하지만 정비형 필터는 주파수 대역을 로그 스케일로 처리하므로, 중심값을 구할 때 로그 스케일로 변환해야 한다. 이를 위해 주파수 대역을 로그 스케일로 변환하면 log(500/250) = log(2) = 0.301이 된다. 이 값을 중심값 375Hz에 더하면 375Hz * 10^(0.301) = 707Hz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707 Hz"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한냉폭로에 의한 신체적 장애에 관한 설명으로 알맞지 않는 것은?

  1. 동상:조직의 동결을 말하며 피부의 동결온도는 대략-1℃ 부근이다.
  2. 참호족:동결온도이하의 찬공기에 단기간의 접촉으로 급격한 동결이 발생하는 장애이다.
  3. 침수족은 부종,저림,가려움,심한통증등이 생기고 점차 물집이 생기고 피부조직이 괴사를 일으킨다.
  4. 전신체온강화는 장시간 한냉 노출로 인한 급성 중증장애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전신체온강화는 장시간 한냉 노출로 인한 급성 중증장애이다." 이다.

    참호족은 동결로 인한 신체적 장애이며, 동상은 조직의 동결을 말한다. 침수족은 물에 잠긴 상태에서 발생하는 신체적 장애이다.

    참호족은 동결온도 이하의 찬공기에 단기간의 접촉으로 급격한 동결이 발생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는 손이나 발 등이 노출된 상태에서 추위에 노출되는 경우에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참호족에 대한 설명이 알맞지 않다.

    참호족은 동결로 인한 신체적 장애이며, 동상은 조직의 동결을 말한다. 침수족은 물에 잠긴 상태에서 발생하는 신체적 장애이다.

    전신체온강화는 장시간 한냉 노출로 인한 급성 중증장애이다. 이는 추위에 노출된 상태에서 체온이 급격하게 떨어지는 것으로, 심각한 상황에서는 사망에 이를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재질이 일정하지 않고 균일하지 않아 정확한 설계가 곤란하며 진동방지라기 보다는 고체음의 전파방지에 유익한 방진재료는?

  1. 방진고무
  2. Felt
  3. 코일스프링
  4. 코르크
(정답률: 60%)
  • 코르크는 구멍이 많고 공기를 많이 포함하고 있어서 진동을 흡수하고 전파를 차단하는 특성이 있습니다. 따라서 고체음의 전파방지에 유익한 방진재료로 사용됩니다. 반면에 다른 보기들은 방진이나 진동방지에 특화된 재질이지만, 정확한 설계가 어렵고 균일하지 않은 재질이기 때문에 코르크보다는 방직성능이 떨어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정상적인 공기중의 산소함유량은 21%이며 그 절대량 즉산소분압은 해면에 있어서는 ( )mmHg 이다.] ( )안에 알맞는 내용은?

  1. 280
  2. 210
  3. 190
  4. 160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160"이다. 해면에서의 대기압은 760mmHg이며, 산소는 대기의 약 21%를 차지하므로, 산소의 분압은 760mmHg x 0.21 = 160mmHg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빛의 밝기 단위인 룩스(lux)의 정의로 가장 알맞는 것은?

  1. 1촉광의 광원으로부터 한 단위 입체각으로 나가는 광속의 밝기
  2. 지름이 1인치되는 촛불이 수평방향으로 비칠 때 밝기
  3. 1촉광의 빛이 1ft2에 비칠 때의 밝기
  4. 1m2의 평면에 1루멘의 빛이 비칠 때의 밝기
(정답률: 알수없음)
  • 룩스는 1m2의 평면에 1루멘의 빛이 비칠 때의 밝기를 나타내는 단위입니다. 즉, 룩스는 빛의 밝기를 면적으로 나눈 값으로, 면적이 크면서 더 밝은 빛일수록 높은 룩스 값을 가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공장내부에 기계 및 설비가 복잡하게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 작업장 기계에 의한 흡음이 고려되지 않아 실제흡음 보다 과소평가되기 쉬운 흡음측정방법은?

  1. Sabin method
  2. Reverberation time method
  3. Sound power method
  4. Loss due to distance method
(정답률: 알수없음)
  • "Sabin method"은 작업장 내부의 모든 표면의 흡음계수를 측정하여 총 흡음면적을 계산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작업장 내부의 기계 및 설비가 복잡하게 설치되어 있어 작업장 기계에 의한 흡음이 고려되지 않아도 정확한 흡음 측정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복잡한 작업장에서 흡음을 정확하게 측정하고자 할 때 "Sabin method"를 사용하는 것이 적절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산업독성학

81. 다음의 유기용제과 그 특이증상을 짝지은 것 중 알맞지 않는 것은?

  1. 벤젠-조혈장애
  2. 염화탄화수소-간장애
  3. 이황화탄소-중추신경 및 말초신경장애
  4. 메틸부틸케톤-시신경장애
(정답률: 알수없음)
  • 메틸부틸케톤은 시신경장애를 유발하는 유기용제이다. 이때 시신경장애란 시각, 청각, 후각 등 감각기관의 이상, 근육운동장애, 신경계 기능저하 등을 의미한다. 따라서 "메틸부틸케톤-시신경장애"가 알맞지 않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상온 상압에서 향긋한 냄새를 가진 무색 투명한 액체로 비점은 80.1℃이며 이 물질에 반복 폭로시 백혈구감소, 빈혈등을 일으키는 물질은?

  1. 아세톤
  2. 크실렌
  3. 톨루엔
  4. 벤젠
(정답률: 알수없음)
  • 이 물질은 상온 상압에서 무색 투명한 액체이며, 비점이 80.1℃인 것으로 보아 상온에서 기체 상태로 쉽게 전이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또한, 향긋한 냄새를 가지고 있으므로 쉽게 인지될 수 있습니다. 이 물질은 반복 폭로시 백혈구감소, 빈혈 등을 일으키는 것으로 나와 있으므로, 이러한 독성이 있는 물질 중에서 비점이 80.1℃인 것은 "벤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유기용제 중 스티렌의 생체내 대사물로 측정되는 것으로 알맞는 것은?

  1. 요중 마뇨산
  2. 요중 만델린산
  3. 요중 메틸마뇨산
  4. 요중 메탄올
(정답률: 알수없음)
  • 요중 만델린산은 스티렌의 생체내 대사물 중 하나로 측정됩니다. 스티렌은 요중으로 흡수되어 간에서 요중 만델린산으로 대사되며, 이는 요로 배출됩니다. 따라서 요중 만델린산은 스티렌의 생체내 대사물로 측정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무기성 분진에 의한 진폐증이 아닌 것은?

  1. 규폐증
  2. 용접공폐증
  3. 철폐증
  4. 면폐증
(정답률: 알수없음)
  • 면폐증은 무기성 분진에 의한 진폐증이 아닌, 피부나 점막에 발생하는 염증성 질환입니다. 주로 유전적인 요인이나 자극에 노출되는 것이 원인이며, 증상으로는 발진, 가려움증, 발적 등이 나타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진폐증을 유발시키는 분진이 석면분진과 같이 섬유상인 경우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알맞는 것은?

  1. 길이가 5㎛이하이고 너비가 1.5㎛보다 엷으면서 길이와 너비의 비가 3:1보다 큰 섬유가 유해하다.
  2. 길이가 5㎛이하이고 너비가 2.5㎛보다 엷으면서 길이와 너비의 비가 2:1보다 적은 섬유가 유해하다.
  3. 길이가 5㎛이상이고 너비가 1.5㎛보다 엷으면서 길이와 너비의 비가 3:1보다 큰 섬유가 유해하다.
  4. 길이가 5㎛이상이고 너비가 2.5㎛보다 엷으면서 길이와 너비의 비가 2:1보다 적은 섬유가 유해하다.
(정답률: 59%)
  • 진폐증을 유발시키는 분진 중 석면과 같이 섬유상인 경우, 섬유의 크기가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석면과 같은 섬유는 길이가 길고 너비가 좁은 형태를 띄고 있으며, 이러한 형태로 인해 호흡기에 침투하여 폐질환을 유발합니다. 따라서, "길이가 5㎛이상이고 너비가 1.5㎛보다 엷으면서 길이와 너비의 비가 3:1보다 큰 섬유가 유해하다."는 옳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다음은 메탄올(CH3OH)에 대한 설명이다. 틀린 것은?

  1. 메탄올은 공업용제로 사용되며 신경독성물질이다.
  2. 메탄올의 주요독성은 시각장해, 중추신경억제, 혼수상태를 야기한다.
  3. 메탄올은 호흡기 및 피부로 흡수된다.
  4. 메탄올의 대사 산물로서 망막조직에 손상을 주는 것은 포름산이다.
(정답률: 22%)
  • "메탄올은 공업용제로 사용되며 신경독성물질이다."는 맞는 설명이다. "메탄올의 주요독성은 시각장해, 중추신경억제, 혼수상태를 야기한다."도 맞는 설명이다. "메탄올은 호흡기 및 피부로 흡수된다."도 맞는 설명이다. 하지만 "메탄올의 대사 산물로서 망막조직에 손상을 주는 것은 포름산이다."는 틀린 설명이다. 실제로 메탄올의 대사 산물로서 망막조직에 손상을 주는 것은 포름알데히드이다. 포름알데히드는 포름산과 다른 화합물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이황화탄소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냉각제, 금속세척, 황화수소제조에 흔히 사용된다.
  2. 휘발성이 매우 높은 무색 액체이다.
  3. 대부분 상기도를 통해서 체내에 흡수된다.
  4. 생물학적 폭로지표로는 TTCA검사가 이용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이황화탄소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대부분 상기도를 통해서 체내에 흡수된다."입니다. 이황화탄소는 휘발성이 매우 높은 무색 액체로, 흡입하면 호흡기나 피부를 통해 체내로 흡수됩니다. 따라서 이황화탄소는 인체에 유해한 물질로 분류되며, 적절한 보호장비를 착용하고 사용해야 합니다. 냉각제, 금속세척, 황화수소제조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사용되며, 이를 위한 안전한 사용법과 처분 방법이 꼭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작업환경 중에서 부유하는 분진이 체내로 흡입되는 중요한 작용기전(작용메카니즘)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충돌
  2. 침강
  3. 농축
  4. 확산
(정답률: 알수없음)
  • 부유하는 분진이 체내로 흡입될 때, 농축은 가장 거리가 먼 작용기전이다. 이는 농축이 다른 작용기전들과 달리 분진 입자들이 공기 중에서 모이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인체 호흡기로 들어오는 분진 입자들은 크기가 작아서 농축이 일어나기 어렵기 때문이다. 따라서, 부유하는 분진이 체내로 흡입될 때는 주로 충돌, 침강, 확산 등의 작용기전이 작용하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물질중 뼈에 가장 많이 축적되는 것은?

  1. DDT
  2. 불소(F)
  3. PCB
  4. 벤젠(Benzene)
(정답률: 42%)
  • 불소는 치아와 뼈의 구조를 강화시키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뼈에 가장 많이 축적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공기중에 두가지 혼합물이 존재하며 상대적 독성수치가 2 + 3 = 5 로 나타날 때 두 물질간에 일어난 상호작용은?

  1. 상가작용
  2. 가승작용
  3. 상승작용
  4. 길항작용
(정답률: 알수없음)
  • 두 물질간에 상대적 독성수치가 높을수록 상가작용이 일어납니다. 상가작용은 두 물질이 혼합되어서 새로운 물질이 생성되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도 두 물질이 혼합되어서 새로운 물질이 생성된 것으로 추측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다음 열거된 석면 종류중 직업성 질환(폐암 또는 중피종)의 발생위험이 가장 높은 것은?

  1. 크리소타일
  2. 아모싸이트
  3. 크로시도라이트
  4. 악티노라이트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크로시도라이트"입니다. 이는 석면 종류 중에서 가장 섬유질이 미세하고 날카로워 폐에 침입하여 폐암이나 중피종을 일으키기 쉽기 때문입니다. 크리소타일, 아모싸이트, 악티노라이트도 직업성 질환의 위험이 있지만, 크로시도라이트에 비해 그 위험이 낮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다음 내용과 가장 관계가 깊은 것은?

  1. 비소
  2. 카드뮴
  3. 수은
(정답률: 알수없음)
  • 이미지에 나와있는 것은 납으로 만들어진 납전지이기 때문에, "납"이 가장 관계가 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카드뮴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카드뮴은 부드럽고 연성이 있는 금속으로 납광물이나 아연광물을 제련할 때 부산물로 얻어진다.
  2. 흡수된 카드뮴은 혈장단백질과 결합하여 최종적으로 간에 축적된다.
  3. 체내로 부터 카드뮴이 배설되는 것은 대단히 느리다.
  4. 카드뮴에 의한 급성노출 및 만성노출 후의 장기적인 속발증은 고환의 기능쇠퇴, 폐기종, 간손상등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카드뮴은 부드럽고 연성이 있는 금속으로 납광물이나 아연광물을 제련할 때 부산물로 얻어진다."입니다.

    흡수된 카드뮴은 혈장단백질과 결합하여 최종적으로 간에 축적되는 이유는 카드뮴이 중금속 중 하나로, 체내에서는 대부분 배설되지 않고 간에 축적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카드뮴 노출을 최소화하고, 노출이 불가피한 경우에는 적절한 보호조치를 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혈액독성의 평가내용으로 알맞지 않는 것은?

  1. 혈구용적:정상치보다 높으면 탈수증과 다혈구증이 의심된다.
  2. 혈색소:정상치보다 높으면 간장질환, 관절염이 의심된다.
  3. 백혈구수:정상치보다 낮으면 재생 불량성 빈혈이 의심된다.
  4. 혈소판수:정상치보다 낮으면 골수기능저하가 의심된다.
(정답률: 37%)
  • 혈색소:정상치보다 높으면 간장질환, 관절염이 의심된다. 이유는 혈색소는 적혈구 내부에 존재하는 단백질인 헤모글로빈의 양을 나타내는 지표이기 때문이다. 간장질환이나 관절염은 염증과 관련된 질환으로, 염증이 발생하면 혈액 내의 적혈구가 파괴되어 혈색소 농도가 높아질 수 있다. 따라서 혈색소 농도가 높으면 간장질환이나 관절염이 의심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유병률(P)과 발생률(I)사이의 관계로 가장 알맞는 것은? (단, 유병률은 10%이하, 발생률과 평균이환기간(D)이 시간 경과에 따라 일정함)

  1. P = I / D
  2. P = I × D
  3. P = I / D2
  4. P = I × D2
(정답률: 42%)
  • 정답은 "P = I × D"입니다.

    유병률(P)은 특정 인구 중에서 특정 질병을 가진 사람의 비율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발생률(I)은 일정 기간 동안 특정 질병이나 상태가 발생한 빈도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평균 이환기간(D)은 특정 질병이나 상태에서 회복하는 데 걸리는 평균 시간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따라서, P = I × D는 특정 인구 중에서 특정 질병을 가진 사람의 비율인 유병률(P)이 발생률(I)과 평균 이환기간(D)의 곱으로 나타낼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즉, 발생률이 높을수록 유병률도 높아지며, 평균 이환기간이 길수록 유병률도 높아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작업장 유해인자의 위해도평가를 위해 고려하여야 할 요인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시간적 빈도와 기간
  2. 공간적 분포
  3. 평가의 합리성
  4. 조직적 특성
(정답률: 알수없음)
  • 작업장 유해인자의 위해도평가를 신뢰할 수 있는 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평가의 합리성이 가장 중요하다. 이는 평가 방법과 절차가 과학적이고 객관적이며 신뢰성이 높아야 함을 의미한다. 다른 요인들도 중요하지만, 평가의 합리성이 보장되지 않으면 다른 요인들도 의미가 없어진다. 따라서 평가의 합리성을 고려하여 작업장 유해인자의 위해도평가를 실시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철강제조에서 직업성폭로가 가장 많고 합금, 용접봉의 용도를 가지며 계속적인 폭로로 전신의 근무력증,수전증, 파킨슨씨 증상을 초래하는 유해물질은?

  1. 산화마그네슘
  2. 망간
  3. 산화칼륨
  4. 카드뮴
(정답률: 알수없음)
  • 망간은 철강제조에서 사용되는 합금 및 용접봉의 용도를 가지고 있습니다. 그리고 망간은 계속적인 폭로로 인해 직업성폭로가 가장 많으며, 이로 인해 전신의 근무력증, 수전증, 파킨슨씨 증상을 초래하는 유해물질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망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노말헥산은 체내 대사과정을 거쳐 물질로 배설된다. 노말헥산에 폭로된 근로자의 생물학적 폭로 지표로 이용되는데 대사 물질은?

  1. hippuric acid
  2. 2,5 - hexanedione
  3. hydroquinone
  4. 9 - hydroxyquinoline
(정답률: 알수없음)
  • 노말헥산은 체내에서 대사되어 2,5-hexanedione으로 변환된다. 따라서, 2,5-hexanedione은 노말헥산에 폭로된 근로자의 생물학적 폭로 지표로 이용되는 대사 물질이다. 다른 보기들은 노말헥산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납중독을 확인하는데 이용되는 시험내용과 거리가 먼 것은?

  1. 혈중의 납
  2. 헴(Heme)의 대사
  3. 신경전달속도
  4. β - ALA 이동시험
(정답률: 30%)
  • β - ALA 이동시험은 납중독을 확인하는데 사용되는 시험으로, 이 시험은 혈액 내의 β - ALA 농도를 측정하여 납중독의 정도를 파악하는 것이다. 반면에, "혈중의 납", "헴(Heme)의 대사", "신경전달속도"는 모두 납중독의 증상이나 영향을 나타내는 지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베릴륨 중독에 관한 설명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염화물, 황화물, 불화물과 같은 용해성 베릴륨화합물은 급성중독을 일으킨다.
  2. 베릴륨의 만성중독은 Neighborhood cases라고도 불리운다.
  3. 치료는 BAL등 금속배설촉진제를 투여하며 피부병소는 BAL연고를 바른다.
  4. 예방을 위해 X선 찰영과 폐기능검사가 포함된 정기 건강검진이 필요하다.
(정답률: 알수없음)
  • 베릴륨 중독은 용해성 베릴륨화합물에 의해 급성중독을 일으키며, 만성중독은 Neighborhood cases라고도 불린다. 이를 예방하기 위해 정기 건강검진이 필요하며, 치료는 금속배설촉진제를 투여하고 피부병소는 BAL연고를 바르는 것이다. 이와 관련 없는 것은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