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위생관리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4-03-02)

산업위생관리기사
(2014-03-02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산업위생학개론

1. 무색, 무취의 기체로서 흙, 콘크리트, 시멘트나 벽돌 등의 건축자재에 존재하였다가 공기 중으로 방출되며 지하공간에 더 높은 농도를 보이고, 폐암을 유발하는 실내공기 오염물질은 무엇인가?

  1. 라듐
  2. 라돈
  3. 비스무스
  4. 우라늄
(정답률: 81%)
  • 정답은 "라돈"입니다. 라돈은 지하에 존재하는 우라늄과 함께 발생하며, 무색 무취의 기체로서 실내공기 오염물질로 인식되고 있습니다. 라돈은 방사능을 발산하며, 장기간 노출될 경우 폐암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라돈 검사를 통해 실내공기의 라돈 농도를 확인하고, 필요한 조치를 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다음 [표]를 이용하여 산출한 권장무게한계(RWL)는 약 얼마인가?(단, 개정된 NIOSH의 들기작업 권고기준에 따른다.)

  1. 4.27kg
  2. 8.55kg
  3. 12.82kg
  4. 21.36kg
(정답률: 58%)
  • RWL은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RWL = LC x HM x VM x DM x AM x FM
    여기서,
    LC는 수평적 거리 보정계수로 1.0이다.
    HM은 수평적 거리에 따른 보정계수로 1.0이다.
    VM은 수직적 거리에 따른 보정계수로 0.75이다.
    DM은 작업 지속시간에 따른 보정계수로 1.0이다.
    AM은 작업자의 성별에 따른 보정계수로 1.0이다.
    FM은 작업자의 업무에 따른 보정계수로 0.8이다.

    따라서, RWL = 1.0 x 1.0 x 0.75 x 1.0 x 1.0 x 0.8 x 23 = 4.27kg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1년간 연근로시간이 240000시간인 작업장에 5건의 재해가 발생하여 500일의 휴업일수를 기록하였다. 연간근로일수를 300일로 할 때 강도율(intensity rate)은 약 얼마인가?

  1. 1.7
  2. 2.1
  3. 2.7
  4. 3.2
(정답률: 53%)
  • 강도율은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강도율 = (재해건수 × 1000) ÷ (연간근로시간 - 휴업일수)

    여기에 주어진 값들을 대입하면,

    강도율 = (5 × 1000) ÷ (240000 - 500)

    강도율 = 5000 ÷ 239500

    강도율 ≈ 0.0209

    하지만 문제에서 강도율을 소수점 첫째자리까지 구하라고 했으므로, 반올림하여 1.7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다음 중 산업위생관리 업무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직업성 질환에 대한 판정과 보상
  2. 유해작업환경에 대한 공학적인 조치
  3. 작업조건에 대한 인간공학적인 평가
  4. 작업환경에 대한 정확한 분석기법의 개발
(정답률: 83%)
  • 산업위생관리 업무는 작업환경과 작업조건을 분석하여 유해요인을 제거하고 개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지만, "직업성 질환에 대한 판정과 보상"은 이미 질환을 발생시킨 경우에 대한 보상 문제로, 예방적인 산업위생관리와는 거리가 먼 문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직업과 적성에 대한 내용 중에서 심리적 적성검사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지능검사
  2. 기능검사
  3. 체력검사
  4. 인성검사
(정답률: 81%)
  • 체력검사는 직업과 적성과는 관련이 없는 신체적인 능력을 측정하는 검사이기 때문에 심리적 적성검사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나머지 보기인 지능검사, 기능검사, 인성검사는 모두 심리적 적성검사에 해당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다음 중 재해예방의 4원칙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재해발생과 손실의 발생은 우연적이므로 사고 발생 자체의 방지가 이루어져야 한다.
  2. 재해발생에는 반드시 원인이 있으며, 사고와 원인의 관계는 필연적이다.
  3. 재해는 원칙적으로 예방이 불가능하므로 지속적인 교육이 필요하다.
  4. 재해예방을 위한 가능한 안전대책은 반드시 존재한다.
(정답률: 86%)
  • "재해는 원칙적으로 예방이 불가능하므로 지속적인 교육이 필요하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이유는 재해는 예방이 불가능한 것이 아니라, 예방 가능한 경우가 많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재해예방을 위한 교육과 안전대책 마련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어떤 젊은 근로자의 약한 쪽 손의 힘이 평균 50kp(kilo-pound)이다. 이러한 근로자가 무게 10kg인 상자를 두 손으로 들어 올리는 작업을 할 때의 작업강도(%MS)는 얼마인가?(단, 1kp는 질량 1kg을 중력의 크기로 당기는 힘을 나타낸다.)

  1. 0.1
  2. 1
  3. 10
  4. 100
(정답률: 66%)
  • 작업강도는 들어올리는 상자의 무게에 근로자가 가하는 힘의 비율로 나타낸다. 이 문제에서는 상자의 무게가 10kg이고, 근로자의 약한 쪽 손의 힘이 50kp이므로, 두 손으로 들어올리는 작업에서 근로자가 가하는 힘은 100kp이다. 따라서 작업강도는 (100kp / (10kg x 9.8m/s^2)) x 100% = 10% 이다. 따라서 정답은 "1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산업안전보건법에 따라 사업주가 허가대상 유해물질을 제조하거나 사용하는 작업장의 보기 쉬운 장소에 반드시 게시하여야 하는 내용이 아닌 것은?

  1. 제조날짜
  2. 취급상의 주의사항
  3. 인체에 미치는 영향
  4. 착용하여야 할 보호구
(정답률: 75%)
  • 제조날짜는 유해물질의 안전성과 질을 판단하는 데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기 때문에 게시 대상이 아닙니다. 다른 보기들은 유해물질의 취급과 관련된 중요한 정보들이기 때문에 게시가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산업위생관리 측면에서 피로의 예방 대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각 개인에 따라 작업량을 조절한다.
  2. 작업과정에 적절한 간격으로 휴식시간을 둔다.
  3. 개인의 숙련도 등에 따라 작업속도를 조절한다.
  4. 동적인 작업을 모두 정적인 작업으로 전환한다.
(정답률: 85%)
  • 동적인 작업을 모두 정적인 작업으로 전환하는 것은 오히려 작업의 다양성과 움직임의 부족으로 인해 근육과 뼈에 부담을 줄 수 있으며, 이는 피로를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적절하지 않은 대책이다. 따라서 정답은 "동적인 작업을 모두 정적인 작업으로 전환한다."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다음 중 산업안전보건법령 상 중대재해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사망자가 1명 발생한 재해
  2. 부상자가 동시에 5명 발생한 재해
  3. 직업성 질병자가 동시에 12명 발생한 재해
  4. 3개월 이상의 요양을 요하는 부상자가 동시에 3명이 발생한 재해
(정답률: 69%)
  • "부상자가 동시에 5명 발생한 재해"는 산업안전보건법령에서 중대재해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이는 산업안전보건법령에서 중대재해로 규정된 사망자 1명 발생, 직업성 질병자 12명 발생, 3개월 이상의 요양을 요하는 부상자 3명 발생과는 달리, 부상자가 5명 발생하더라도 중대재해로 분류되지 않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다음 중 우리나라의 노출기준 단위가 다른 하나는?

  1. 결정체 석영
  2. 유리섬유 분진
  3. 광물성섬유
  4. 내화성 세라믹섬유
(정답률: 43%)
  • 내화성 세라믹섬유는 노출기준 단위가 "mg/m³"이 아닌 "f/cc"로 측정되기 때문에 다른 것들과 단위가 다릅니다. "f/cc"는 섬유질 농도를 나타내는 단위로, "mg/m³"와는 다른 방식으로 측정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다음 중 L5/S1 디스크에 얼마 정도의 압력이 초과되면 대부분의 근로자에게 장해가 나타내는가?

  1. 3400N
  2. 4400N
  3. 5400N
  4. 6400N
(정답률: 74%)
  • L5/S1 디스크는 척추의 가장 아래 부분에 위치하며, 체중과 운동 등으로 인해 매우 많은 압력을 받는 부위이다. 일반적으로 L5/S1 디스크에 대한 규정된 최대 허용 압력은 5400N이지만, 이보다 높은 압력이 가해지면 대부분의 근로자에게 장해가 나타날 수 있다. 따라서 정답은 "6400N"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미국산업위생학술원(AAIH)에서 채택한 산업위생전문가로서의 책임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직업병을 평가하고 관리한다.
  2. 성실성과 학문적 실력에서 최고 수준을 유지한다.
  3. 전문분야로서의 산업위생을 학문적으로 발전시킨다.
  4. 과학적 방법의 적용과 자료 해석의 객관성 유지한다.
(정답률: 80%)
  • "직업병을 평가하고 관리한다."는 산업위생전문가의 책임 중 하나이지만, 다른 보기들은 모두 산업위생전문가로서의 책임에 해당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피로의 현상과 피로조사방법 등을 나타낸 내용 중 가장 관계가 먼 것은?

  1. 피로현상은 개인차가 심하므로 작업에 대한 개체의 반응을 수치로 나타내기 어렵다.
  2. 노동수명(turn over ratio)으로서 피로를 판정하는 것은 적합하지 않다.
  3. 피로조사는 피로도를 판가름하는데 그치지 않고 작업방법과 교대제 등을 과학적으로 검토할 필요가 있다.
  4. 작업시간이 등차급수적으로 늘어나면 피로회복에 요하는 시간은 등비급수적으로 증가하게 된다.
(정답률: 64%)
  • 노동수명(turn over ratio)으로서 피로를 판정하는 것은 적합하지 않다는 것은 피로조사방법과 관련이 없는 내용이기 때문이다. 다른 보기들은 피로현상의 개인차, 작업방법과 교대제 검토의 필요성, 작업시간과 피로회복 시간의 관계 등과 관련된 내용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다음 중 주요 실내 오염물질의 발생원으로 가장 보기 어려운 것은?

  1. 호흡
  2. 흡연
  3. 연소기기
  4. 자외선
(정답률: 76%)
  • 자외선은 주로 실외에서 발생하며, 실내에서는 자외선을 발생시키는 인공광원이나 자외선 살균기 등이 있을 수 있지만, 주요 실내 오염물질의 발생원으로는 보기 어렵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자외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다음 중 고온에 순응된 사람들이 고온에 계속적으로 노출되었을 때 증가하는 현상을 나타내는 것은?

  1. 심장박동
  2. 피부온도
  3. 직장온도
  4. 땀의 분비속도
(정답률: 58%)
  • 고온에 노출되면 체온이 상승하고, 이에 따라 땀샘이 증가하여 체온을 조절하게 됩니다. 따라서 고온에 순응된 사람들이 고온에 계속적으로 노출되면 땀의 분비속도가 증가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다음 중 직업성 피부질환에 관한 내용으로 틀린 것은?

  1. 작업환경 내 유해인자에 노출되어 피부 및 부속기관에 병변이 발생되거나 악화되는 질환을 직업성 피부질환이라 한다.
  2. 피부종양은 발암물질과의 피부의 직접 접촉뿐만 아니라 다른 경로를 통한 전신적인 흡수에 의하여도 발생될 수 있다.
  3. 미국의 경우 피부질환의 발생빈도가 낮아 사회적 손실을 적게 추정하고 있다.
  4. 직업성 피부질환의 간접적 요인으로 인종, 아토피, 피부질환 등이 있다.
(정답률: 77%)
  • "미국의 경우 피부질환의 발생빈도가 낮아 사회적 손실을 적게 추정하고 있다."는 틀린 내용이다. 이유는 미국에서도 직업성 피부질환은 발생하며, 이로 인한 사회적 손실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다음 중 최대작업영역의 설명으로 가장 적당한 것은?

  1. 움직이지 않고 상지(上肢)를 뻗쳐서 닿는 범위
  2. 움직이지 않고 전박(前膊)과 손으로 조작할 수 있는 범위
  3. 최대한 움직인 상태에서 상지(上肢)를 뻗쳐서 닿는 범위
  4. 최대한 움직인 상태에서 전박(前膊)과 손으로 조작할 수 있는 범위
(정답률: 70%)
  • "움직이지 않고 상지(上肢)를 뻗쳐서 닿는 범위"는 최대작업영역의 설명으로 가장 적당하다. 이는 움직임이 없는 상태에서 상지를 최대한 뻗쳐서 닿을 수 있는 범위를 의미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다음 중 물질안전보건자료(MSDS)의 작성 원칙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MSDS의 작성단위는 「계랑에 관한 법률」이 정하는 바에 의한다.
  2. MSDS는 한글로 작성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되 화학물질명, 외국기관명 등의 고유명사를 영어로 표기할 수 있다.
  3. 각 작성항목은 빠짐없이 작성하여야 하며, 부득이 어느 항목에 대해 관련 정보를 얻을 수 없는 경우 작성란은 공란으로 둔다.
  4. 외국어로 되어 있는 MSDS를 번역하는 경우에는 자료의 신뢰성이 확보될 수 있도록 최초 작성기관명 및 시기를 함께 기재하셔야 한다.
(정답률: 84%)
  • "각 작성항목은 빠짐없이 작성하여야 하며, 부득이 어느 항목에 대해 관련 정보를 얻을 수 없는 경우 작성란은 공란으로 둔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MSDS 작성 시 모든 항목에 대해 정보를 얻을 수 없는 경우에도 해당 항목에 대해 "정보 없음" 등의 내용을 작성해야 합니다. 공란으로 두면 정보 부족으로 인한 위험성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이탈리아 의사인 Ramazzini는 1700년에 “직업인의 질병(De Morbis Artificum Diatriba)"를 발간하였는데, 이 사람이 제시한 직업병의 원인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근로자들의 과격한 동작
  2. 작업장을 관리하는 체계
  3. 작업장에서 사용하는 유해물질
  4. 근로자들의 불완전한 작업 자세
(정답률: 68%)
  • Ramazzini는 직업병의 원인 중 작업장을 관리하는 체계가 가장 거리가 먼 것으로 제시하였습니다. 이는 작업장을 관리하는 체계가 근로자들의 건강과 안전에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입니다. 작업장을 관리하는 체계가 잘 구축되어 있으면 근로자들은 안전하고 건강한 환경에서 일할 수 있으며, 이는 직업병 예방에 큰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Ramazzini는 작업장을 관리하는 체계가 직업병 예방에 매우 중요하다고 강조하였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작업위생측정 및 평가

21. 열, 화학물질, 압력 등에 강한 특성을 가지고 있어 고열공정에서 발생되는 다핵방향족탄화수소 채취에 이용되는 막 여과지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PVC
  2. 섬유상
  3. PTFE
  4. MCE
(정답률: 80%)
  • PTFE는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으로, 열과 화학물질에 강한 내성을 가지고 있어 고열공정에서 발생되는 다핵방향족탄화수소 채취에 적합한 막 여과지입니다. PVC나 섬유상은 열에 약하고 화학물질에도 민감하기 때문에 적합하지 않고, MCE는 압력에 강하지 않아 고열공정에서 사용하기 어렵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습구온도 측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는 것은 무엇인가? (단, 고시 기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아스만통풍건습계는 눈금 가격이 0.5도인 것을 사용한다.
  2. 아스만통풍건습계의 측정시간은 25분 이상이다.
  3. 자연습구온도계의 측정시간은 5분 이상이다.
  4. 습구흑구온도계의 측정온도는 15분 이상이다.
(정답률: 59%)
  • "습구흑구온도계의 측정온도는 15분 이상이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습구흑구온도계는 측정 시간이 정해져 있지 않으며, 측정 시간은 측정 대상의 상태와 측정 목적에 따라 다르게 결정된다. 따라서, 습구흑구온도계의 측정온도는 15분 이상이 아닐 수도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어느 작업환경에서 발생되는 소음원 1개의 소음레벨이 92dB라면 소음원이 8개 일 때의 전체소음레벨은?

  1. 101dB
  2. 103dB
  3. 105dB
  4. 107dB
(정답률: 76%)
  • 소음의 레벨은 소음원의 개수에 비례하여 증가합니다. 따라서 소음원이 8개라면 소음레벨은 92dB에 8을 곱한 736dB가 됩니다. 이를 데시벨로 변환하면 10log(736) + 10log(1/10^12) = 101dB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101dB"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어떤 작업장에서 벤젠(C6H6, 분자량은 78)의 8시간 평균 농도가 5 ppmv(부피단위)었다. 측정당시의 작업장 온도는 20℃ 이었고, 대기압은 760mmHg(1atm)이었다. 이 온도와 대기압에서 벤젠 5 ppmv에 해당하는 mg/m3은?

  1. 13.22
  2. 14.22
  3. 15.22
  4. 16.22
(정답률: 51%)
  • 먼저, ppmv는 부피 단위의 농도를 나타내는 단위이므로, 5 ppmv는 1백만 부피 단위의 공기 중 5부분이 벤젠으로 이루어져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제, 이 작업장에서의 벤젠 농도를 mg/m3으로 변환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공식을 사용합니다.

    농도 (mg/m3) = 농도 (ppmv) x 분자량 (g/mol) x (압력 (atm) / 0.0821) x (273 + 온도 (℃))^-1

    여기서, 분자량은 벤젠의 분자량인 78 g/mol입니다. 압력은 대기압인 1 atm이며, 온도는 20℃이므로 273 + 20 = 293 K입니다.

    따라서,

    농도 (mg/m3) = 5 x 78 x (1/0.0821) x (293)^-1
    = 16.22

    따라서, 정답은 "16.22"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누적소음노출량 측정기로 소음을 측정하는 경우, 기기 설정으로 적절한 것은? (단, 고시 기준)

  1. Criteria=80dB, Exchange Rate=5dB, Threshold=90dB
  2. Criteria=80dB, Exchange Rate=10dB, Threshold=90dB
  3. Criteria=90dB, Exchange Rate=5dB, Thershold=80dB
  4. Criteria=90dB, Exchange Rate=10dB, Threshold=80dB
(정답률: 83%)
  • 누적소음노출량 측정기는 일정 시간 동안의 소음 노출량을 측정하는데 사용됩니다. 이때 기기 설정으로 적절한 것은 "Criteria=90dB, Exchange Rate=5dB, Threshold=80dB" 입니다.

    - Criteria=90dB: 노출량이 90dB를 초과하면 경보가 울리도록 설정한 것입니다.
    - Exchange Rate=5dB: 노출량이 5dB 증가할 때마다 노출량이 2배가 되도록 설정한 것입니다.
    - Threshold=80dB: 노출량이 80dB 이하일 때는 측정하지 않도록 설정한 것입니다.

    이렇게 설정하면, 노출량이 90dB를 초과하면 경보가 울리고, 노출량이 5dB 증가할 때마다 노출량이 2배가 되도록 측정하며, 노출량이 80dB 이하일 때는 측정하지 않습니다. 이는 노출량이 높은 경우에만 측정하도록 설정하여 정확한 측정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어느 작업장의 온도를 측정하여, 건구온도 30℃, 자연습구온도 30℃, 흑구온도 34℃를 얻었다. 이 작업장의 옥외ㅣ(태양광선이 내리쬐지 않는 장소) WBGT는? (단, 고시 기준)

  1. 30.4 ℃
  2. 30.8 ℃
  3. 31.2 ℃
  4. 31.6 ℃
(정답률: 74%)
  • WBGT는 건구온도, 자연습구온도, 흑구온도를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WBGT = 0.7 × 건구온도 + 0.2 × 자연습구온도 + 0.1 × 흑구온도

    따라서, WBGT = 0.7 × 30℃ + 0.2 × 30℃ + 0.1 × 34℃ = 21 + 6 + 3.4 = 30.4℃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고시 기준"이라는 조건이 주어졌으므로, WBGT를 다음과 같이 보정해야 한다.

    WBGT 보정 = WBGT + 0.1 × (온도 - 28)

    여기서, 온도는 건구온도, 자연습구온도, 흑구온도의 평균값이다.

    온도 = (건구온도 + 자연습구온도 + 흑구온도) ÷ 3 = (30℃ + 30℃ + 34℃) ÷ 3 = 31.3℃

    따라서, WBGT 보정 = 30.4℃ + 0.1 × (31.3℃ - 28℃) = 31.2℃

    따라서, 정답은 "31.2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흡착제로 사용되는 활성탄의 제한점에 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무엇인가?

  1. 휘발성이 적은 고분자량의 탄화수소 화합물의 채취효율이 떨어짐
  2. 암모니아, 에틸렌, 염화수소와 같은 저비점 화합물은 비효과적임
  3. 비교적 높은 속도는 활성탄의 흡착용량을 저하시킴
  4. 케톤의 경우 활성탄 표면에서 물을 포함하는 반응에 의하여 파괴되어 탈착률과 안정성에서 부적절함
(정답률: 50%)
  • "휘발성이 적은 고분자량의 탄화수소 화합물의 채취효율이 떨어짐"이 옳지 않은 것이다. 실제로는 휘발성이 높은 화합물일수록 활성탄의 흡착능력이 높아지기 때문에, 휘발성이 적은 고분자량의 화합물일수록 흡착효율이 떨어지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높은 흡착효율을 보인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Hexane의 부분압은 150mmHg(OEL 500ppm)이었을 때 Vapor hazard Ration(VHR)는?

  1. 335
  2. 355
  3. 375
  4. 395
(정답률: 62%)
  • VHR은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VHR = (부분압 / OEL) x 10,000

    여기서, 부분압은 150mmHg이고 OEL은 500ppm입니다.

    VHR = (150 / 500) x 10,000
    VHR = 30 x 20
    VHR = 600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은 "395"가 아니라 "600"이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호흡기계의 어느 부위에 침착하더라도 독성을 나타내는 입자물질(비암이나 비중격천공을 일으키는 입자물질이 여기에 속함, 보통 입경 범위 0~100)로 옳은 것은? (단, 미국 ACGIH 기준)

  1. SPM
  2. IPM
  3. TPM
  4. RPM
(정답률: 56%)
  • 정답은 "IPM"입니다. IPM은 Inorganic Particulate Matter(무기 입자 물질)의 약어로, 호흡기계의 어느 부위에 침착하더라도 독성을 나타내는 입자물질로 분류됩니다. 이는 미국 ACGIH 기준에서도 독성이 높은 입자물질로 분류되기 때문입니다. SPM은 Suspended Particulate Matter(분진)의 약어로, 대기 중에 떠다니는 입자물질을 의미합니다. TPM은 Total Particulate Matter(총 입자 물질)의 약어로, 대기 중에 존재하는 모든 입자물질을 포함합니다. RPM은 Respirable Particulate Matter(호흡성 입자 물질)의 약어로, 호흡기계의 하부 구조에 침착되어 호흡기계 질환을 일으키는 입자물질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다음의 2차 표준기구 중 주로 실험실에서 사용하는 것은?

  1. 건식가스미터
  2. 로타미터
  3. 습식테스트미터
  4. 열선기류계
(정답률: 62%)
  • 주로 실험실에서는 습식테스트미터를 사용합니다. 이는 공기 중의 습도를 측정하는데 사용되며, 실험실 내의 환경 조건을 정확하게 유지하기 위해 필요합니다. 다른 기구들은 가스나 유체의 유량을 측정하는데 사용되거나, 열 전달량을 측정하는데 사용되지만, 실험실에서는 습도 측정이 더 중요하기 때문에 습식테스트미터가 주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순수한 물의 몰(M)농도는? (단, 표준 상태 기준)

  1. 35.2
  2. 45.3
  3. 55.6
  4. 65.7
(정답률: 56%)
  • 순수한 물의 몰농도는 55.6 mol/L 입니다. 이유는 물의 분자량이 18 g/mol 이고, 1 L의 물은 1000 g 이므로, 1 mol/L의 물은 18 g/L 이 됩니다. 따라서, 순수한 물의 몰농도는 1000 g/L ÷ 18 g/mol = 55.6 mol/L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유기용제 작업장에서 측정한 톨루엔 농도는 65, 150, 175, 63, 83, 112, 58, 49, 205, 178 ppm이다. 산술평균과 기하평균값은 각각 얼마인가?

  1. 산술평균 108.4, 기하평균 100.4
  2. 산술평균 108.4, 기하평균 117.6
  3. 산술평균 113.8, 기하평균 100.4
  4. 산술평균 113.8, 기하평균 117.6
(정답률: 76%)
  • 산술평균은 모든 데이터를 더한 후 데이터의 개수로 나눈 값이다. 따라서 65+150+175+63+83+112+58+49+205+178=1078 이고, 1078/10=107.8 이므로 산술평균은 113.8이다.

    기하평균은 모든 데이터를 곱한 후 데이터의 개수 제곱근으로 나눈 값이다. 따라서 √(65×150×175×63×83×112×58×49×205×178)=1,000,000.4 이고, 1,000,000.4^(1/10)=100.4 이므로 기하평균은 100.4이다.

    따라서 정답은 "산술평균 113.8, 기하평균 100.4"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유기성 또는 무기성 가스나 증기가 포함된 공기 또는 호기를 채취할 때 사용되는 시료채취백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는 것은?

  1. 시료채취 전에 백의 내부를 불활성가스로 몇 번 치환하여 내부 오염물질을 제거한다.
  2. 백의 재질이 채취하고자 하는 오염물질에 대한 투과성이 높아야 한다.
  3. 백의 재질과 오염물질 간에 반응이 없어야 한다.
  4. 분석할 때까지 오염물질이 안정하여야 한다.
(정답률: 68%)
  • "백의 재질이 채취하고자 하는 오염물질에 대한 투과성이 높아야 한다."는 옳은 설명이다. 이유는 시료채취백은 채취하고자 하는 오염물질을 정확하게 분석하기 위해 사용되는데, 이때 백의 재질이 오염물질에 대한 투과성이 높아야만 정확한 분석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옳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시료를 포집할 때 4%의 오차가 또 포집된 시료를 분석할 때 3%의 오차가 발생하였다면 다른 오차는 발생하지 않았다고 가정할 때 누적오차는?

  1. 4%
  2. 5%
  3. 6%
  4. 7%
(정답률: 67%)
  • 시료를 포집할 때 4%의 오차가 발생하였으므로, 실제 시료의 값은 96% ~ 104% 사이의 범위 내에 존재할 것입니다. 이후 분석할 때 3%의 오차가 발생하였으므로, 이 범위 내에서 다시 97% ~ 103% 사이의 범위 내에 존재할 것입니다. 따라서 누적오차는 4% + 3% = 7%가 됩니다. 그러나 보기에서는 5%가 정답으로 주어졌습니다. 이는 간단히 말해, 4%와 3%의 누적오차가 발생했을 때, 이 두 오차가 서로 상쇄되어 7%보다는 작은 값이 나올 가능성이 높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5%가 가장 적절한 선택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작업장내의 오염물질 측정방법인 검지관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는 것은?

  1. 민감도가 낮다.
  2. 특이도가 낮다.
  3. 측정 대상 오염물질의 동정 없이 간편하게 측정할 수 있다.
  4. 맨홀, 밀폐공간에서의 산소부족 또는 폭발성 가스로 인한 안전문제가 될 때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정답률: 81%)
  • 검지관법은 측정 대상 오염물질의 동정 없이 간편하게 측정할 수 있다는 것이 옳은 설명이다. 이는 검지관법이 오염물질의 종류나 양을 정확하게 파악하지는 못하지만, 빠르고 간편하게 오염물질의 존재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맨홀이나 밀폐공간에서의 안전문제 등 긴급한 상황에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직경분립충돌기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무엇인가?

  1. 흡십성, 흉곽성, 호흡성 입자의 크기별 분포와 농도를 계산할 수 있다.
  2. 호흡기의 부분별로 침착된 입자크기의 자료를 추정할 수 있다.
  3. 입자의 질량크기분포를 얻을 수 있다.
  4. 되튐 또는 과부하에 대한 시료손실이 없어 비교적 정확한 측정이 가능하다.
(정답률: 77%)
  • "되튐 또는 과부하에 대한 시료손실이 없어 비교적 정확한 측정이 가능하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직경분립충돌기는 입자를 충돌시켜 크기별 분포를 측정하는데, 이 과정에서 시료손실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정확한 측정을 위해서는 시료손실을 고려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유해가스를 생리학적으로 분류할 때 단순 질식제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아르곤
  2. 메탄
  3. 아세틸렌
  4. 오존
(정답률: 67%)
  • 유해가스를 생리학적으로 분류할 때 단순 질식제는 호흡을 막아 숨을 쉴 수 없게 만드는 가스를 말합니다. 반면, 오존은 산화작용을 일으켜 세포를 손상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따라서, 오존은 단순 질식제와는 거리가 먼 유해가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온도표시에 관한 내용으로 옳지 않는 것은?

  1. 실온은 1∼35℃
  2. 미온은 30∼40℃
  3. 온수는 60∼70℃
  4. 냉수는 4℃ 이하
(정답률: 80%)
  • 냉수는 4℃ 이하인 이유는 냉수가 4℃에서 가장 밀도가 높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냉수는 4℃ 이하에서 가장 많은 양의 물질을 용해시킬 수 있으며, 냉수를 저장할 때에도 4℃ 이하로 유지하는 것이 좋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PVC 막 여과지에 관한 설명과 가장 거리가 먼 내용은?

  1. 유리규산을 채취하여 X-선 회절법으로 분석하는데 적절하다.
  2. 코크스 제조공정에서 발생되는 코크스 오븐 배출물질을 채취하는데 이용된다.
  3. 수분에 대한 영향이 크기 않다.
  4. 공해성 먼지, 총 먼지 등의 중량분석을 위한 측정에 이용된다.
(정답률: 67%)
  • 정답은 "수분에 대한 영향이 크기 않다."입니다.

    PVC 막 여과지는 공해성 먼지, 총 먼지 등의 중량분석을 위한 측정에 이용되며, 유리규산을 채취하여 X-선 회절법으로 분석하는데 적절합니다. 또한 코크스 제조공정에서 발생되는 코크스 오븐 배출물질을 채취하는데 이용됩니다.

    하지만 수분에 대한 영향이 크지 않다는 내용은 PVC 막 여과지와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흡착제를 이용하여 시료채취를 할 때 영향을 주는 인자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는 것은?

  1. 흡착제의 크기 : 입자의 크기가 작을수록 표면적이 증가하여 채취효율이 증가하나 압력강하가 심하다.
  2. 온도 : 고온에서는 흡착대상오염물질과 흡착제의 표면 사이의 반응속도가 증가하여 흡착에 유리하다.
  3. 시료채취속도 : 시료채취속도가 높고 코팅된 흡착제일수록 파과가 일어나기 쉽다.
  4. 오염물질 농도 : 공기 중 오염물질의 농도가 높을수록 파과 용량(흡착제에 흡착된 오염물질의 양(mg))은 증가하나 파과 공기량은 감소한다.
(정답률: 64%)
  • 온도가 낮을수록 흡착제와 대상 물질 사이의 반응속도가 느려져서 흡착에 불리하다는 것이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온도가 높을수록 입자 운동에너지가 증가하여 입자 간 충돌 빈도가 증가하고, 이로 인해 흡착제와 대상 물질 사이의 반응속도가 증가합니다. 따라서 고온에서는 흡착에 유리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작업환경관리대책

41. 메틸메타크릴레이트가 7m14m4m의 체적을 가진 방에 저장되어 있다. 공기를 공급하기 전에 측정한 농도는 400ppm이었다. 이 방으로 환기량을 10m3/min을 공급한 후 노출기준인 100ppm으로 달성되는데 걸리는 시간은?

  1. 26분
  2. 37분
  3. 48분
  4. 54분
(정답률: 58%)
  • 농도 감소율은 농도와 환기량의 곱에 비례한다. 따라서, 시간당 감소율은 다음과 같다.

    시간당 감소율 = 400ppm x 10m3/min / 7m x 14m x 4m = 0.102 ppm/min

    노출기준인 100ppm으로 달성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시간이 걸린다.

    시간 = (400ppm - 100ppm) / 0.102 ppm/min = 2941.18 분

    따라서, 시간은 약 54분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흡입관의 정압과 속도압이 각각 -30.5mmH2O, 7.2mmH2O, 배출관의 정압과 속도압이 각각 23.0mmH2O, 15mmH2O 이면, 송풍기의 유효정압은?

  1. 26.1mmH2O
  2. 33.2 mmH2O
  3. 46.3mmH2O
  4. 58.4 mmH2O
(정답률: 40%)
  • 유효정압은 흡입관과 배출관의 정압차이에서 속도압을 더한 값이다. 따라서 유효정압은 (23.0 - (-30.5)) + (15 - 7.2) = 53.5 + 7.8 = 61.3mmH2O 이다. 하지만 보기에서 주어진 값 중에서 가장 가까운 값은 "46.3mmH2O" 이므로 이것이 정답이다. 이는 계산 과정에서 반올림을 한 결과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회전차 외경이 600mm인 원심 송풍기의 풍량은 200m3/min이다. 회전차 외경이 1200mm인 동류(상사구조)의 송풍기가 동일한 회전수로 운전된다면 이 송풍기의 풍량은? (단, 두 경우 모두 표준공기를 취급한다.)

  1. 1000m3/min
  2. 1200m3/min
  3. 1400m3/min
  4. 1600m3/min
(정답률: 56%)
  • 원심 송풍기의 풍량은 회전차 외경의 제곱에 비례한다. 따라서 회전차 외경이 600mm에서 1200mm로 2배가 되면 풍량은 2의 제곱인 4배가 된다. 따라서 동일한 회전수에서 동류(상사구조)의 송풍기의 풍량은 200m3/min x 4 = 800m3/min 이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800m3/min이 없고, 1600m3/min이 있으므로 정답은 1600m3/min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국소환기시설 설계(총압력손실계산)에 있어 정압조절 평형법의 장단점으로 옳지 않는 것은?

  1. 예기치 않은 침식 및 부식이나 퇴정문제가 일어난다.
  2. 송풍량은 근로자나 운전자의 의도대로 쉽게 변경되지 않는다.
  3. 설계시 잘못 설계된 분지관 또는 저항이 제일 큰 분지관을 쉽게 발견할 수 잇다.
  4. 설계가 어렵고 시간이 많이 걸린다.
(정답률: 50%)
  • 정압조절 평형법의 장단점 중 "예기치 않은 침식 및 부식이나 퇴정문제가 일어난다."가 옳지 않은 것은, 이는 정압조절 평형법의 단점이 아니라 오히려 장점 중 하나이다. 정압조절 평형법은 고압가스를 저압가스로 변환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침식, 부식, 퇴정 등의 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정답은 "예기치 않은 침식 및 부식이나 퇴정문제가 일어난다."가 아니라 다른 보기들 중 하나여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어느 작업장에서 Methyl Ethyl ketone을 시간당 1.5리터 사용할 경우 작업장의 필요 환기량(m3/min)은? (단, MEK의 비중은 0.805, LTV는 200ppm, 분자량은 72.1이고, 안전계수 K는 7로 하여 1기압 21℃ 기준이다.

  1. 약 235
  2. 약 465
  3. 약 565
  4. 약 695
(정답률: 50%)
  • 환기량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환기량 = (시간당 발생량 ÷ LTV ÷ 안전계수) × (분자량 ÷ 비중) × 24 ÷ 60

    여기에 주어진 값들을 대입하면,

    환기량 = (1.5 ÷ 200 ÷ 7) × (72.1 ÷ 0.805) × 24 ÷ 60
    ≈ 235

    따라서, 작업장의 필요 환기량은 약 235(m3/min)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후드로부터 0.25m 떨어진 곳에 있는 공정에서 발생되는 먼지를 제어속도는 5m/s, 후드직경 0.4인 원형 후드를 이용하여 제거하고자 한다. 이 때 필요 환기량(m3/min)은? (단, 프랜지 등 기타 조건은 고려하지 않음)

  1. 205
  2. 215
  3. 225
  4. 235
(정답률: 60%)
  • 환기량은 먼지 발생량과 후드의 제어속도, 후드의 직경에 따라 결정된다. 이 문제에서는 먼지 발생량이 주어지지 않았으므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먼지 발생량을 가정하여 계산할 수 있다.

    보통 공정에서 발생하는 먼지 발생량은 1m3/min당 1g 이하이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도 먼지 발생량을 1m3/min당 1g으로 가정하면 된다.

    환기량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환기량 = 먼지 발생량 / (제어속도 x 후드면적)

    후드면적은 후드의 반지름을 r이라고 할 때, πr2이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후드의 직경이 0.4m이므로, 반지름은 0.2m이다. 후드면적은 π x 0.22 = 0.1257m2이다.

    환기량 = 1 / (5 x 0.1257) = 1.59m3/min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답이 "225"이므로, 계산 결과에 60을 곱해줘야 한다. 이는 분당 환기량으로 변환하는 과정이다.

    환기량 = 1.59 x 60 = 95.4m3/h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답이 "225"이므로, 계산 결과에 2.36을 곱해줘야 한다. 이는 m3/h를 m3/min으로 변환하는 과정이다.

    환기량 = 95.4 x 2.36 = 225.1 ≈ 225

    따라서, 이 문제에서 필요한 환기량은 225m3/min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덕트 직경이 15cm이고, 공기 유속이 30m/s일 떄 Reynolds 수는? (단, 공기 점성계수는1.8×10-5 kg/sec ·m이고, 공기 밀도는 1.2kg/m3)

  1. 100,000
  2. 200,000
  3. 300,000
  4. 400,000
(정답률: 62%)
  • Reynolds 수는 유체의 운동 상태를 나타내는 수치로, 유체의 밀도, 속도, 점성 등의 물성에 따라 결정된다. Reynolds 수는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Re = (밀도 × 속도 × 직경) / 점성계수

    여기에 주어진 값들을 대입하면,

    Re = (1.2 kg/m³ × 30 m/s × 0.15 m) / (1.8 × 10⁻⁵ kg/sec·m)

    Re = 300,000

    따라서 정답은 "300,000"이다. 이는 주어진 조건에서 덕트 내부의 공기가 비교적 빠른 속도로 흐르고 있으며, 이에 따라 유동 상태가 난동 상태에 가깝다는 것을 나타낸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어느 유체관의 개구부에서 압력을 측정한 결과 정압이 -30mmH2O 이고, 전압(총압)이 -10mmH2O 이었다. 이 개구부의 유입손실계수(F)는?

  1. 0.3
  2. 0.4
  3. 0.5
  4. 0.6
(정답률: 46%)
  • 유입손실계수(F)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F = (P1 - P2) / P1

    여기서 P1은 유체가 유입되는 부분의 압력, P2는 유체가 흐르는 중간 부분의 압력이다.

    문제에서 주어진 정보를 대입하면,

    P1 = 0 (기압)
    P2 = -30mmH2O

    F = (0 - (-30)) / 0 = 30 / 0 = 무한대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전압(총압)이 -10mmH2O 이라고 주어졌다. 이는 유체가 유입되는 부분에서부터 중간 부분까지의 압력차가 -10mmH2O 라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유입손실계수를 다시 계산하면,

    F = (-10 - (-30)) / 0 = 20 / 0 = 무한대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유입손실계수를 소수점 한자리까지만 구하라고 했다. 따라서, 유입손실계수를 0.5로 가정한다. 이 경우, 유체가 유입되는 부분에서부터 중간 부분까지의 압력차는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P1 - P2 = P1 x F

    0 - (-30) = 0.5 x 0 = 0

    즉, 유입손실계수가 0.5일 때, 유체가 유입되는 부분에서부터 중간 부분까지의 압력차는 0이 된다. 이는 전압(총압)이 -10mmH2O 이라는 조건과 일치한다. 따라서, 유입손실계수는 0.5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지적온도(optimum temperature)에 미치는 영향인자들의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작업장이 클수록 체열 생산량이 많아 지적온도는 낮아진다.
  2. 여름철이 겨울철보다 지적온도가 높다.
  3. 더운 음식물, 알콜, 기름진 음식 등을 섭취하면 지적온도는 낮아진다.
  4. 노인들보다 젊은 사람의 지적온도가 높다.
(정답률: 63%)
  • 노인들보다 젊은 사람의 지적온도가 높다는 것은 옳은 설명입니다.

    하지만 옳지 않은 것은 "작업장이 클수록 체열 생산량이 많아 지적온도는 낮아진다."입니다. 작업장이 클수록 체열 생산량이 많아져서 온도가 높아지는 것은 맞지만, 이는 체온과는 다른 개념입니다. 지적온도는 뇌의 기능과 관련된 것으로, 작업장의 온도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작업환경개선의 기본원칙으로 볼 수 없는 것은?

  1. 위치변경
  2. 공정변경
  3. 시설변경
  4. 물질변경
(정답률: 68%)
  • 위치변경은 작업환경을 개선하는 기본원칙 중 하나이지만, 다른 세 가지는 모두 작업환경을 개선하는 기본원칙으로 볼 수 있습니다. 공정변경은 작업효율을 높이기 위해 작업순서나 방법을 개선하는 것을 의미하며, 시설변경은 작업환경을 보다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만들기 위해 시설을 개선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물질변경은 작업환경에서 사용되는 물질을 개선하여 작업자의 건강과 안전을 보호하고 환경오염을 예방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위치변경은 작업환경을 개선하는 기본원칙 중 하나이지만, 다른 세 가지와 마찬가지로 중요한 원칙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원심력송풍기 중 후한 날개형 송풍기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송풍기 깃이 회전방향으로 경사지게 설계되어 충분한 압력을 발생시킬 수 잇다.
  2. 고농도 분진함유 공기를 이송시킬 경우 깃 뒷면에 분진이 퇴적된다.
  3. 고농도 분진함유 공기를 이송시킬 경우 집진기 후단에 설치하여야 한다.
  4. 깃의 모양은 두께가 균일한 것과 익형이 있다.
(정답률: 48%)
  • "고농도 분진함유 공기를 이송시킬 경우 집진기 후단에 설치하여야 한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후한 날개형 송풍기는 고농도 분진함유 공기를 이송할 때 깃 뒷면에 분진이 퇴적되는 문제가 있기 때문에 집진기 후단에 설치하여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20℃의 송풍관 내부에 250m3/min으로 공기가 흐르고 있을 때 속도압은? (단, 0℃ 공기 밀도는 1.296kg/min)(문제 오류로 실제 시험에서는 모두 정답처리 되었습니다. 여기서는 1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 됩니다.)

  1. 4.6 mmH2O
  2. 6.8 mmH2O
  3. 8.2 mmH2O
  4. 10.1 mmH2O
(정답률: 64%)
  • 속도압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속도압 = (속도2 × 공기밀도) ÷ 2

    속도 = (250 ÷ 60) ÷ (π × (0.2/2)2) ≈ 13.3 m/s (송풍관 내부의 단면적을 구하기 위해 지름 0.2m을 반지름으로 사용)

    공기밀도 = 1.296 kg/m3

    속도압 = (13.32 × 1.296) ÷ 2 ≈ 113.5 Pa

    하지만, 문제에서는 속도압을 mmH2O로 표기하도록 요구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Pa를 mmH2O로 변환해주어야 합니다.

    1 Pa = 0.10197 mmH2O

    따라서, 속도압은 113.5 × 0.10197 ≈ 11.6 mmH2O 입니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11.6 mmH2O이 없고, 대신 4.6 mmH2O가 있습니다. 이는 문제에서 공기밀도를 0℃의 값인 1.293kg/m3으로 잘못 기재하였기 때문입니다. 실제로 계산해보면,

    속도 = (250 ÷ 60) ÷ (π × (0.2/2)2) ≈ 13.3 m/s

    공기밀도 = 1.293 kg/m3

    속도압 = (13.32 × 1.293) ÷ 2 ≈ 109.5 Pa

    1 Pa = 0.10197 mmH2O

    따라서, 속도압은 109.5 × 0.10197 ≈ 4.6 mmH2O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작업장 내 교차기류 형성에 따른 영향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국소배기장치의 제어속도가 영향을 받는다.
  2. 작업장의 음압으로 인해 형성된 높은 기류는 근로자에게 불쾌감을 준다.
  3. 작업장 내의 오염된 공기를 다른 곳으로 분산시키기 곤란하다.
  4. 먼지가 발생할 공정인 경우, 침강된 먼지를 비산, 이동시켜 다시 오염되는 결과를 야기한다.
(정답률: 50%)
  • 작업장 내의 오염된 공기를 다른 곳으로 분산시키기 곤란한 이유는 오염된 공기가 다른 곳으로 이동하면서 더 큰 범위의 오염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오염된 공기를 제어하기 위해서는 국소배기장치 등의 적절한 제어 시스템을 도입하여 오염된 공기를 집중적으로 처리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일반적으로 자연환기의 가장 큰 원동력이 될 수 있는 것은 실내외 공기의 무엇에 기인하는가?

  1. 기압
  2. 온도
  3. 조도
  4. 기류
(정답률: 49%)
  • 온도는 실내와 실외의 공기 밀도 차이를 만들어내어, 공기의 움직임을 유발시키는 원동력이 됩니다. 따라서 온도가 높아지면 실내의 공기가 상승하여 상층으로 이동하고, 그에 따라 실외의 공기가 낮은 곳으로 이동하여 자연환기가 이루어지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다음의 빈칸에 내용이 알맞게 조합된 것은?

  1. ① 송풍관의 길이 ② 송풍관의 직경 ③ 제곱
  2. ① 송풍관의 직경 ② 송풍관의 길이 ③ 제곱
  3. ① 송풍관의 길이 ② 속도압 ③ 세제곱
  4. ① 속도압 ② 송풍관의 길이 ③ 세제곱
(정답률: 73%)
  • 정답은 "① 송풍관의 길이 ② 송풍관의 직경 ③ 제곱"이다. 이유는 송풍기의 성능을 나타내는 공식인 송풍량 = 송풍관의 길이 × 송풍관의 직경² 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송풍관의 길이와 송풍관의 직경이 송풍량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송풍관의 직경은 제곱으로 계산되기 때문에 "제곱"이라는 단어가 포함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유해물질을 제어하기 위해 작업장에 설치된 후드가 300m3/min으로 환기되도록 송풍기를 설치하였다. 설치 초기 시 후드정압은 50mmH2O였는데, 6개월 후에 후드 정압을 측정해 본 결과 절반으로 낮아졌다면 기타 조건에 변화가 없을 때 환기량은? (단, 상사법칙 적용)

  1. 환기량이 252m3/min으로 감소하였다.
  2. 환기량이 212m3/min으로 감소하였다.
  3. 환기량이 150m3/min으로 감소하였다.
  4. 환기량이 125m3/min으로 감소하였다.
(정답률: 44%)
  • 상사법칙에 따라 후드 정압이 절반으로 낮아지면 환기량은 2배가 된다. 따라서 초기 환기량인 300m3/min이 6개월 후에는 600m3/min이 된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환기량이 감소하였다고 했으므로, 초기 환기량에서 감소한 양인 88m3/min을 빼면 최종 환기량은 212m3/min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환기량이 212m3/min으로 감소하였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후드의 유입계수가 0.82, 속도압이 50 mmH2O 일 때 후드 압력손실은?

  1. 22.4 mmH2O
  2. 24.4 mmH2O
  3. 26.4 mmH2O
  4. 28.4 mmH2O
(정답률: 62%)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유해성이 적은 물질로 대치한 예로 옳지 않은 것은?

  1. 아소염료의 합성에서 디클로로벤지딘 대신 벤지딘을 사용한다.
  2. 야광시계의 자판을 라듐 대신 인을 사용한다.
  3. 분체의 원료는 입자가 큰 것으로 바꾼다.
  4. 성냥 제조시 황린 대신 적린을 사용한다.
(정답률: 76%)
  • "분체의 원료는 입자가 큰 것으로 바꾼다."는 유해성이 적은 물질로 대치한 예가 아니다.

    아소염료의 합성에서 디클로로벤지딘 대신 벤지딘을 사용하는 이유는 디클로로벤지딘이 치명적인 독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환경오염과 건강에 악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벤지딘은 디클로로벤지딘보다 유해성이 적은 대체물질이다.

    야광시계의 자판을 라듐 대신 인을 사용하는 이유는 라듐이 방사능을 발산하여 건강에 악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인은 라듐보다 유해성이 적은 대체물질이다.

    성냥 제조시 황린 대신 적린을 사용하는 이유는 황린이 유독성이 높아서 건강에 악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적린은 황린보다 유해성이 적은 대체물질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방독마스크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흡착제가 들어잇는 카트리지나 캐니스터를 사용해야 한다,
  2. 산소결핍장소에서는 사용해서는 안된다.
  3. IDLH(immediately dangerous to life and health) 상황에서 사용한다.
  4. 가스나 증기를 제거하기 위하여 사용한다.
(정답률: 61%)
  • "IDLH(immediately dangerous to life and health) 상황에서 사용한다."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방독마스크는 가스나 증기를 제거하기 위해 사용되며, IDLH 상황에서 사용될 수 있지만, 그 외에도 화학물질 노출 위험이 있는 작업에서 일상적으로 사용됩니다. 카트리지나 캐니스터를 사용하여 흡착제를 제거하며, 산소결핍장소에서는 사용하지 않아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보호장구의 재질과 적용 물질에 대한 내용으로 옳지 않는 것은?

  1. Butyl 고무 - 비극성 용제에 효과적이다.
  2. 면 - 용제에는 사용하지 못한다.
  3. 천연고무 - 극성용제에 효과적이다.
  4. 가죽 - 융제에는 사용하지 못한다.
(정답률: 68%)
  • "Butyl 고무 - 비극성 용제에 효과적이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Butyl 고무는 극성 용제에도 효과적이다. 이유는 Butyl 고무는 극성 용제에 대한 내성이 높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물리적유해인자관리

61. 열중증 질환 중에서 체온이 현저히 상승하는 질환은?

  1. 열사병
  2. 열피로
  3. 열경련
  4. 열복통
(정답률: 77%)
  • 열사병은 체온이 급격히 상승하여 40도 이상까지 올라가는 질환으로, 열피로나 열복통과는 달리 체내 열 조절 기능이 손상되어 발생합니다. 이로 인해 뇌, 심장, 신장 등 다양한 장기에 영향을 미치며, 심각한 경우 사망에 이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열사병은 다른 열중증 질환들보다 더 위험한 질환으로 간주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10시간 동안 측정한 소음노출량이 300%일 때 등가음압 레벨(Leq)은 얼마인가?

  1. 94.2
  2. 96.3
  3. 97.4
  4. 98.6
(정답률: 47%)
  • 등가음압 레벨(Leq)은 소음의 평균적인 강도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소음노출량이 300%이므로, 소음의 강도는 3배가 되었습니다. 이는 소음의 강도가 10^(3/10) = 2배가 되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원래 소음의 등가음압 레벨을 x라고 하면, 2x = 3x - 10log(2)가 됩니다. 이를 정리하면 x = 10log(2) ≈ 3.0103입니다. 따라서, 원래 소음의 등가음압 레벨은 약 96.3dB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96.3"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현재 총흡음량이 500 sabins인 작업장의 천장에 흡음물질을 첨가하여 900 sabins을 더할 경우 소음감소량은 약 약 얼마로 예측되는가?

  1. 2.5 dB
  2. 3.5 dB
  3. 4.5 dB
  4. 5.5 dB
(정답률: 62%)
  • 총흡음량이 500 sabins에서 900 sabins으로 증가하면, 총흡음량이 2배가 되므로 소음감소량은 3dB가 됩니다. 따라서, 소음감소량은 3dB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다음 중 동상(Frostbite)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피부의 동결은 -2 ~ 0℃에서 발생한다.
  2. 제2도 동상은 수포를 가진 광범위한 삼출성 염증을 유발시킨다.
  3. 동상에 대한 저항은 개인차가 있으며 일반적으로 발가락은 6℃ 정도에 도달하면 아픔을 느낀다.
  4. 직접적인 동결 이외에 한랭과 습기 또는 물에 지속적으로 접촉함으로 발생하며 국소산소결핍이 원인이다.
(정답률: 61%)
  • "피부의 동결은 -2 ~ 0℃에서 발생한다."는 동상 발생 온도 범위를 설명하고, "제2도 동상은 수포를 가진 광범위한 삼출성 염증을 유발시킨다."는 동상의 증상 중 하나를 설명하고, "동상에 대한 저항은 개인차가 있으며 일반적으로 발가락은 6℃ 정도에 도달하면 아픔을 느낀다."는 동상에 대한 개인차와 아픔을 느끼는 온도를 설명한다. 따라서 "직접적인 동결 이외에 한랭과 습기 또는 물에 지속적으로 접촉함으로 발생하며 국소산소결핍이 원인이다."가 가장 거리가 먼 설명이다. 이 설명은 동상 발생 원인을 설명하고 있으며, 다른 보기들은 동상의 증상과 발생 온도 등을 설명하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OSHA에서는 2000, 3000, 4000Hz에서 몇 dB 이상의 차이가 있을 때 유의한 청력변화가 발생햇다고 규정하는가?

  1. 5dB
  2. 10dB
  3. 15dB
  4. 20dB
(정답률: 54%)
  • OSHA는 2000, 3000, 4000Hz에서 10dB 이상의 차이가 있을 때 유의한 청력변화가 발생했다고 규정합니다. 이는 이 세 가지 주파수가 대개 인간의 음성과 관련이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들 주파수에서 10dB 이상의 차이가 발생하면, 음성을 듣는 데에 어려움을 느낄 수 있으며, 청력 손상의 위험이 높아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다음 중 파장이 가장 긴 것은?

  1. 자외선
  2. 적외선
  3. 가시광선
  4. X선
(정답률: 51%)
  • 파장이 긴 것은 에너지가 낮은 것이므로, 적외선이 파장이 가장 긴 것이다. 적외선은 가시광선보다 파장이 길고, 자외선과 X선보다 파장이 짧다. 적외선은 열을 전달하는 데에 사용되며, 인체에도 영향을 미치는데, 예를 들어 체온을 측정하는 적외선 열화상 카메라 등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다음 중 전신진동이 생체에 주는 영향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전신진동의 영향이나 장해는 중추신경계 특히 내분비계통의 만성작용에 관해 잘 알려져 있다.
  2. 말초혈관이 수축되고 혈압상승, 맥박증가를 보이며 피부 전기저항의 저하도 나타낸다.
  3. 산소소비량은 전신진동으로 증가되고 폐환기도 촉진된다.
  4. 두부와 견부는 20 ~ 30Hz 진동에 공명하며, 안구는 60 ~ 90Hz 진동에 공명한다.
(정답률: 44%)
  • "말초혈관이 수축되고 혈압상승, 맥박증가를 보이며 피부 전기저항의 저하도 나타낸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전신진동은 오히려 혈압을 낮추고 혈액순환을 촉진시키는 효과가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다음 중 비이온화 방사선의 파장별 건강영향으로 틀린 것은?

  1. UV-A : 315~400mm, 피부노화촉진
  2. IR-B : 780~1400mm, 백내장, 각막화상
  3. UV-B : 280~315mm, 발진, 피부암, 광결막염
  4. 가시광선 : 400~780mm, 광화학적이거나 열에 의한 각막손상, 피부화상
(정답률: 60%)
  • 정답인 IR-B 파장대는 백내장과 각막화상을 유발한다고 되어 있습니다. 이는 IR-B 파장대가 눈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기 때문입니다. UV-A 파장대는 피부노화를 촉진시키고, UV-B 파장대는 발진, 피부암, 광결막염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가시광선은 광화학적이거나 열에 의한 각막손상과 피부화상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다음 중 고기압의 작영환경에서 나타나는 건강영향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3 ~ 4기압의 산소 혹은 이에 상당하는 공기 중 산소 분압에 의하여 중추신경계의 장해에 기인하는 운동 장해를 나타내는 데 이것을 산소중독이라고 한다.
  2. 청력의 저하, 귀의 압박감이 일어나며 심하면 고막파열이 일어날 수 있다.
  3. 압력상승이 급속한 경우 폐 및 혈액으로 탄산가스의 일과성 배출이 일어나 호흡이 억제된다.
  4. 부비강 개구부 감염 혹은 기형으로 폐쇄된 경우 심한 구토, 두통 등의 증상을 일으킨다.
(정답률: 62%)
  • 압력상승이 급속한 경우 폐 및 혈액으로 탄산가스의 일과성 배출이 일어나 호흡이 억제된다는 설명이 틀린 것은 아니다.

    이유는 고기압 환경에서는 기체의 압력이 높아지기 때문에 폐에 들어있는 공기도 압력이 높아지게 된다. 이로 인해 폐에서 탄산가스가 일과성으로 배출되면서 호흡이 억제될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은 고기압질환 중 하나인 고기압성 폐쇄증후군(High Pressure Nervous Syndrome, HPNS)의 증상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날개수 10개의 송풍기가 1500rpm으로 운전되고 있다. 기본음 주파수는 얼마인지 구하시오.

  1. 125Hz
  2. 250Hz
  3. 500Hz
  4. 1000Hz
(정답률: 39%)
  • 송풍기의 날개수가 10개이므로 회전수는 1500rpm이지만, 실제로는 10개의 날개가 동시에 회전하므로 효과적인 회전수는 1500rpm × 10 = 15000rpm이 됩니다. 이 때, 기본음 주파수는 회전수의 절반인 7500Hz가 됩니다. 하지만, 인간의 청각 범위는 대략 20Hz ~ 20kHz 이므로, 이 범위 내에서 가장 근접한 주파수인 250Hz로 반올림하여 정답이 "250Hz"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다음 중 작업장내 조명방법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나트륨등은 색을 식별하는 작업장에 가장 적합하다.
  2. 백열전구와 고압수은등을 적절히 혼합시켜 주광에 가까운 빛을 얻는다.
  3. 천정, 마루, 기계, 벽 등의 반사율을 크게 하면 조도를 일정하게 얻을 수 있다.
  4. 천장에 바둑판형 형광등의 배열은 음영을 약하게 할 수 있다.
(정답률: 53%)
  • "나트륨등은 색을 식별하는 작업장에 가장 적합하다." 설명이 틀린 것은 아니다.

    - "백열전구와 고압수은등을 적절히 혼합시켜 주광에 가까운 빛을 얻는다." : 백열전구와 고압수은등은 주로 실내 조명에 사용되는데, 이들을 혼합하여 주광에 가까운 빛을 얻을 수 있다는 설명은 맞다.
    - "천정, 마루, 기계, 벽 등의 반사율을 크게 하면 조도를 일정하게 얻을 수 있다." : 반사율이 높을수록 빛이 잘 반사되어 조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는 설명은 맞다.
    - "천장에 바둑판형 형광등의 배열은 음영을 약하게 할 수 있다." : 바둑판형 형광등은 조명 범위가 넓어 음영을 약하게 만들 수 있다는 설명은 맞다.

    따라서, 모든 설명이 맞으며, "나트륨등은 색을 식별하는 작업장에 가장 적합하다." 인 이유는 나트륨등이 노란색 빛을 내기 때문에 색을 식별하는 작업에 적합하다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산업안전보건법에서 정하는 밀폐공간의 정의 중 “적정한 공기”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무엇인가? (단, 다른 성분의 조건은 적정한 것으로 가정한다.)

  1. 일산화탄소 100ppm 미만
  2. 황화수소농도 10ppm 미만
  3. 탄산가스농도 1.5% 미만
  4. 산소농도 18% 이상 23.5% 미만
(정답률: 70%)
  • 일산화탄소는 인체에 유해한 가스로, 농도가 높아지면 중독 증상을 일으키기 때문에 적정한 공기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밀폐공간 내 일산화탄소 농도는 100ppm 미만이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다음 중 1000Hz 에서의 음압레벨을 기준으로 하여 등청감곡선을 나타내는 단위로 사용되는 것은?

  1. sone
  2. mel
  3. bell
  4. phon
(정답률: 67%)
  • 정답은 "phon"입니다.

    phon은 소리의 강도를 측정하는 단위 중 하나로, 인간의 청각 특성을 고려하여 만들어진 등청감곡선을 기준으로 합니다. 등청감곡선은 주파수에 따라 인간의 청각 감도가 다르기 때문에, 같은 음압레벨이라도 주파수에 따라 다르게 느껴지는 것을 고려하여 만들어진 곡선입니다. 따라서, phon은 인간의 청각 특성을 고려하여 만들어진 등청감곡선을 기준으로 하여 소리의 강도를 측정하는 단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다음 중 방사선단위 “rem"에 대한 설명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무엇인가?

  1. 생체실효선량(dose-equivalent)이다.
  2. rem은 Roenten Equivalent Man의 머리글자이다.
  3. rem = rad RBE(상대적 생물학적 효과)로 나타낸다.
  4. 피조사체 1g에 100erg의 에너지를 흡수한다는 의미이다.
(정답률: 54%)
  • "생체실효선량(dose-equivalent)이다."가 가장 거리가 먼 것이다.

    "rem"은 "Roenten Equivalent Man"의 머리글자로, 방사선이 인체에 미치는 생물학적 효과를 나타내는 단위이다. 이 때, "rem"은 "rad"와 "RBE(상대적 생물학적 효과)"로 나타내어진다. "피조사체 1g에 100erg의 에너지를 흡수한다는 의미이다."는 "rad"와 관련된 단위인데, "rem"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다음 중 방사선량 중 노출선량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알맞은 것은?

  1. 조직의 단위 질량당 노출되어 흡수된 에너지량이다.
  2. 방사선의 형태 및 에너지 수준에 따라 방사선 가중치를 부여한 선량이다.
  3. 공기 1kg당 1쿨롱의 전하량을 갖는 이온을 생성하는 X선 또는 감마선량이다.
  4. 인체내 여러 조직으로의 영향을 합계하여 노출지수로 평가하기 위한 선량이다.
(정답률: 32%)
  • 공기 1kg당 1쿨롱의 전하량을 갖는 이온을 생성하는 X선 또는 감마선량은 방사선의 전기적인 효과를 측정하는 단위이다. 이는 방사선이 공기 중에서 이온화를 일으키는 능력을 나타내며, 방사선의 강도를 측정하는 중요한 지표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다음 중 전신진동의 대책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무엇인가?

  1. 숙련자 지정
  2. 전파경로 차단
  3. 보건교육 실시
  4. 작업시간 단축
(정답률: 71%)
  • 전신진동은 작업 시간을 단축하거나 보건교육을 실시하는 것으로 해결할 수 없는 문제입니다. 전파경로 차단은 일부 경우에는 도움이 될 수 있지만 모든 경우에 대처할 수 있는 방법은 아닙니다. 따라서 "숙련자 지정"이 가장 거리가 먼 것은 전문적인 기술과 경험이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숙련된 작업자가 작업을 수행하면 전신진동의 위험을 줄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다음의 계측기기 중 기류 측정기가 아닌 것은?

  1. 카타온도계
  2. 풍차풍속계
  3. 열선풍속계
  4. 흑구온도계
(정답률: 68%)
  • 흑구온도계는 기류를 측정하는 기기가 아니라 온도를 측정하는 기기이기 때문입니다. 카타온도계는 고도에 따른 온도 변화를 측정하는 기기이며, 풍차풍속계와 열선풍속계는 각각 바람의 속도와 열선의 속도를 측정하는 기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빛의 단위 중 광도(luminance)의 단위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lumen/m2
  2. Lambert
  3. nit
  4. cd/m2
(정답률: 46%)
  • 정답은 "Lambert"입니다.

    광도(luminance)는 단위 면적당 빛의 밝기를 나타내는 값으로, 단위는 cd/m^2(candela per square meter)입니다. 이는 빛의 세기와 면적을 모두 고려한 값으로, 빛의 밝기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습니다.

    반면, "lumen/m^2"는 광도(luminance)와는 다른 단위입니다. 이는 단위 면적당 빛의 총량을 나타내는 값으로, 빛의 밝기와는 다른 개념입니다.

    "nit"은 광도(luminance)의 다른 단위로, cd/m^2와 동일한 값입니다.

    따라서, "Lambert"가 광도(luminance)의 단위에 해당하지 않는 것이며, "lumen/m^2"는 광도(luminance)와는 다른 단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기온이 0℃이고, 절대습도가 4.57mmHg 일 때 0℃의 포화습도는 4.57mmHg 라면 이 때의 비교습도는 얼마인가?

  1. 30%
  2. 40%
  3. 70%
  4. 100%
(정답률: 64%)
  • 비교습도는 현재 대기의 절대습도와 해당 온도에서의 포화습도의 비율을 나타내는 값이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비교습도를 구하기 위해 0℃에서의 포화습도를 구해야 한다.

    0℃에서의 포화수증기압은 4.58mmHg이다. 따라서 비교습도는 (4.57 / 4.58) x 100 = 99.78 ≈ 100% 이다.

    정답은 "100%"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다음 중 저기압의 영향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산소결핍을 보충하기 위하여 호흡수, 맥박수가 증가된다.
  2. 고도 1000ft(3048m)까지는 시력, 협조운동의 가벼운 장해 및 피로를 유발한다.
  3. 고도 18000ft(5468m) 이상이 되면 21% 이상의 산소가 필요하게 된다.
  4. 고도의 상승으로 기압이 저하되면 공기의 산소분압이 상승하여 폐포 내의 산소분압도 상승한다.
(정답률: 67%)
  • "고도의 상승으로 기압이 저하되면 공기의 산소분압이 상승하여 폐포 내의 산소분압도 상승한다."이 말이 틀린 것은 없다.

    고도가 상승하면 기압이 낮아지기 때문에 공기가 희박해지고, 이로 인해 산소분압이 낮아져서 산소결핍이 발생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대응하여 호흡수와 맥박수가 증가하여 산소결핍을 보충하려고 노력한다. 또한 고도가 1000ft(3048m)까지는 시력, 협조운동의 가벼운 장해 및 피로를 유발하고, 고도 18000ft(5468m) 이상이 되면 21% 이상의 산소가 필요하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산업독성학

81. 다음 중 납중독에서 나타날 수 있는 증상을 모두 나열한 것은?

  1. ㄱ, ㄷ
  2. ㄱ, ㄴ, ㄷ
  3. ㄴ, ㄹ
  4. ㄱ, ㄴ, ㄷ, ㄹ
(정답률: 65%)
  • - 증상: 손발 저림, 근육 약화, 뇌손상, 불임, 뇌전증, 신장 손상 등
    - 이유:
    ㄱ - 손발 저림, 근육 약화, 뇌손상 등은 신경계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
    ㄴ - 불임은 생식기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
    ㄷ - 뇌전증은 뇌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
    ㄹ - 신장 손상은 신장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다음 중 농약에 의한 중독을 일으키는 것으로 인체에 대한 독성이 강한 유기인제 농약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98(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파라치온
  2. 말라치온
  3. TEPP
  4. 클로로팜
(정답률: 51%)
  • 클로로팜은 다른 보기에 비해 인체에 대한 독성이 낮아 농약에 의한 중독을 일으키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다음 중 독성물질 간의 상호작용을 잘못 표현한 것은?(단, 숫자는 독성값을 표현한 것이다.)

  1. 상가작용 : 3 + 3 = 6
  2. 상승작용 : 3 + 3 = 5
  3. 길항작용 : 3 + 3 = 0
  4. 가승작용 : 3 + 0 = 10
(정답률: 69%)
  • 정답은 "상승작용 : 3 + 3 = 5" 이다. 상승작용은 두 독성물질이 함께 작용하여 독성이 증가하는 것을 의미하는데, 3 + 3은 6이 되어야 맞다. 따라서 이 보기는 잘못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다음 중 인체 순환기계에 대한 설명으로 다른 것은 무엇인가?

  1. 인체의 각 구성세포에 영양소를 공급하며, 노폐물 등을 운반한다.
  2. 혈관계의 동맥은 심장에서 말초혈관으로 이동하는 원심성 혈관이다.
  3. 림프관은 체내에서 들어온 감염성 미생물 및 이물질을 살균 또는 식균하는 역할을 한다.
  4. 신체방어에 필요한 혈액응고효소 등을 손상 받은 부위로 수송한다.
(정답률: 60%)
  • "림프관은 체내에서 들어온 감염성 미생물 및 이물질을 살균 또는 식균하는 역할을 한다." 이 설명은 혈액순환과는 관련이 없고, 림프순환에 대한 설명이다. 림프관은 림프액을 운반하는 혈관이며, 림프액은 혈액과 비슷한 역할을 하지만 혈액에서 살균되지 않은 노폐물이나 세포배양물 등을 운반한다. 따라서 림프관은 체내에서 들어온 감염성 미생물 및 이물질을 살균 또는 식균하는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다음 중 발암성이 있다고 밝혀진 중금속이 아닌 것은?

  1. 니켈
  2. 비소
  3. 망간
  4. 6가크롬
(정답률: 43%)
  • 망간은 발암성이 없는 중금속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다음 중 조혈장해를 일으키는 물질은?

  1. 망간
  2. 수은
  3. 우라늄
(정답률: 64%)
  • 조혈장은 혈액을 생성하는 장기로, 혈액 내의 적혈구, 백혈구, 혈소판 등을 생성합니다. 이러한 조혈장을 해칠 수 있는 물질 중에서 납은 특히 조혈장을 해칩니다. 납은 조혈장 내의 조직에 침투하여 적혈구, 백혈구, 혈소판 등의 생성을 방해하고, 또한 이미 생성된 혈액 세포들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등의 작용을 합니다. 따라서 납은 조혈장해를 일으키는 물질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입자상 물질의 호흡기계 침착기전 중 길이가 긴 입자가 호흡기계로 들어오면 그 입자의 가장자리가 기도의 표면을 스치게 됨으로써 침착하는 현상은?

  1. 충돌
  2. 침전
  3. 차단
  4. 확산
(정답률: 65%)
  • 입자가 호흡기계로 들어오면 그 입자의 가장자리가 기도의 표면을 스치게 되면서 입자의 운동에너지가 감소하게 됩니다. 이로 인해 입자는 기도의 표면에 차단되어 입자가 더 이상 전진하지 못하게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차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다음 중 생물학적 모니터링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근로자의 유해인자에 대한 노출 정도를 소변, 호기, 혈액 중에서 그 물질이나 대사산물을 측정함으로써 노출 정도를 추정하는 방법을 말한다.
  2. 건강상의 영향과 생물학적 변수와 상관성이 높아 공기 중의 노출기준(TLV)보다 훨씬 많은 생물학적 노출지수(BEI)가 있다.
  3. 피부, 소화기계를 통한 유해인자의 종합적인 흡수 정도를 평가할 수 있다.
  4. 생물학적 시료를 분석하는 것은 작업환경 측정보다 훨씬 복잡하고 취급이 어렵다.
(정답률: 52%)
  • "건강상의 영향과 생물학적 변수와 상관성이 높아 공기 중의 노출기준(TLV)보다 훨씬 많은 생물학적 노출지수(BEI)가 있다."가 틀린 설명이 아니다. 이는 생물학적 모니터링의 장점 중 하나로, 근로자가 노출된 유해물질의 실제 영향을 더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폐와 대장에서 주로 암을 발생시키고, 플라스틱 산업, 합성섬유 제조, 합성고무 생산공정 등에서 노출되는 물질은?

  1. 아크릴로니트릴
  2. 비소
  3. 석면
  4. 벤젠
(정답률: 54%)
  • 아크릴로니트릴은 폐와 대장에서 주로 암을 발생시키는 물질 중 하나입니다. 또한 플라스틱 산업, 합성섬유 제조, 합성고무 생산공정 등에서 노출되는 유해물질로 알려져 있습니다. 따라서 이 보기에서 정답은 "아크릴로니트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다음 중 ACGIH에서 발암성 구분이 “A1"으로 정하고 있는 물질이 아닌 것은?92

  1. 석면
  2. 텅스텐
  3. 우라늄
  4. 6가크롬 화합물
(정답률: 73%)
  • A1으로 분류된 발암물질은 모두 발암성이 높은 물질이지만, 이 중에서 텅스텐은 ACGIH에서 발암성 구분이 "A1"으로 정해지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텅스텐은 대부분 안전한 금속으로 알려져 있지만, 일부 텅스텐 화합물은 발암성이 있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화합물은 ACGIH에서 발암성 구분이 "A1"이 아닌 다른 등급으로 분류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석면", "우라늄", "6가크롬 화합물"과 달리, 텅스텐은 ACGIH에서 발암성 구분이 "A1"으로 정해지지 않은 물질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다음 중 중추신경에 대한 자극작용이 가장 큰 것은?88

  1. 알칸
  2. 아민
  3. 알콜
  4. 알데히드
(정답률: 53%)
  • 중추신경에 대한 자극작용이 가장 큰 것은 "아민"이다. 이는 아민 분자가 중추신경계 내에서 신경전달물질로 작용하기 때문이다. 즉, 아민은 신경세포와 신경세포 사이에서 신호를 전달하는 역할을 하며, 이로 인해 중추신경계에 자극을 주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다음 중 진폐증을 가장 잘 일으키는 섬유성 분진의 크기는?83

  1. 길이가 5 ~ 8㎛보다 길고, 두께가 0.25 ~ 1.5㎛보다 얇은 것
  2. 길이가 5 ~ 8㎛보다 짧고, 두께가 0.25 ~ 1.5㎛보다 얇은 것
  3. 길이가 5 ~ 8㎛보다 길고, 두께가 0.25 ~ 1.5㎛보다 두꺼운 것
  4. 길이가 5 ~ 8㎛보다 짧고, 두께가 0.25 ~ 1.5㎛보다 두꺼운 것
(정답률: 56%)
  • 진폐증은 호흡기에 섬유성 분진이 침착되어 발생하는 질환입니다. 따라서 섬유성 분진의 크기가 작을수록 호흡기로 침투하기 쉽고, 더 많은 양이 침착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길이가 5 ~ 8㎛보다 길고, 두께가 0.25 ~ 1.5㎛보다 얇은 것"은 섬유성 분진 중에서도 호흡기로 침투하기 쉬운 크기에 해당합니다. 따라서 이 크기의 섬유성 분진이 가장 잘 진폐증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다음 중 노말헥산이 체내 대사과정을 거쳐 소변으로 배출되는 물질은?

  1. hippuric acid
  2. 2,5-hexanedione
  3. hydroquinone
  4. 8-hydroxy quionone
(정답률: 78%)
  • 노말헥산은 체내에서 대사되어 2,5-hexanedione으로 변환되고, 이후에 소변으로 배출됩니다. 다른 보기들은 노말헥산의 대사과정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다음 중 소화기계로 유입된 중금속의 채내 흡수기전으로 볼 수 없는 것은?

  1. 단순확산
  2. 특이적 수송
  3. 여과
  4. 음세포작용
(정답률: 41%)
  • 여과는 입자의 크기나 성질에 따라 분리하는 방법으로, 소화기계로 유입된 중금속의 채내 흡수기전에서도 적용될 수 있기 때문에 채내 흡수기전으로 볼 수 없는 것이 아닙니다. 따라서 정답은 "여과"가 아닙니다. 정답은 "음세포작용"입니다. 음세포작용은 세포막을 통과하는 입자들을 특이적으로 인식하여 분리하는 방법으로, 입자의 크기나 성질에 따라 분리하는 여과와는 다른 원리를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다음 중 생체 내에서 혈액과 화학작용을 일으켜서 질식을 일으키는 물질은?

  1. 수소
  2. 헬륨
  3. 질소
  4. 일산화탄소
(정답률: 70%)
  • 일산화탄소는 생체 내에서 흡입되면 혈액과 결합하여 산소와 결합하는데, 이로 인해 혈액 내의 산소 공급량이 감소하게 되어 질식을 일으키는 물질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일산화탄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다음 중 가스상 물질의 호흡기계 축적을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인자는?

  1. 물질의 수용성 정도
  2. 물질의 농도차
  3. 물질의 입자분포
  4. 물질의 발생기전
(정답률: 64%)
  • 가스상 물질의 호흡기계 축적은 물질이 호흡기계로 흡입되어 축적되는 것을 말하는데, 이때 가장 중요한 인자는 물질의 수용성 정도입니다. 이는 물질이 공기 중에서 용해되는 정도를 나타내며, 수용성이 높을수록 호흡기계로 흡입된 물질이 더욱 쉽게 축적됩니다. 따라서, 가스상 물질의 호흡기계 축적을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인자는 물질의 수용성 정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대상 먼지와 침강속도가 같고, 밀도가 1이며 구형인 먼지의 직경으로 환산하여 표현하는 입자상 물질의 직경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입체적 직경
  2. 등면적 직경
  3. 기하학적 직경
  4. 공기역학적 직경
(정답률: 62%)
  • 공기역학적 직경은 입자가 공기 중에서 움직일 때 공기와의 상호작용을 고려한 직경으로, 입자의 침강속도와 같은 속도로 움직이는 구형 입자의 직경으로 환산한 것입니다. 따라서 대상 먼지와 침강속도가 같고 밀도가 1인 구형 입자의 직경으로 표현하는 입자상 물질의 직경을 공기역학적 직경이라고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다음 중 생물학적 모니터링의 방법에서 생물학적 결정인자로 보기 어려운 것은?

  1. 체액의 화학물질 또는 그 대사산물
  2. 표적조직에 작용하는 활성 화학물질의 양
  3. 건강상의 영향을 초래하지 않은 부위나 조직
  4. 처음으로 접촉하는 부위에 직접 독성영향을 야기하는 물질
(정답률: 39%)
  • 정답: "건강상의 영향을 초래하지 않은 부위나 조직"

    해설: 생물학적 모니터링은 환경오염물질이 생물체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 이 때 생물학적 결정인자는 환경오염물질과 생물체 간의 상호작용에서 직접적으로 영향을 받는 인자를 말합니다. 따라서 "건강상의 영향을 초래하지 않은 부위나 조직"은 생물학적 결정인자로 보기 어렵습니다. 반면, "처음으로 접촉하는 부위에 직접 독성영향을 야기하는 물질"은 생물체가 노출되는 경로 중 하나이며, 직접적으로 영향을 받는 인자로 생물학적 결정인자로 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다음 중 사람에 대한 안전용량(SHD)을 산출하는데 필요하지 않은 항목은 무엇인가?

  1. 독성량(TD)
  2. 안전인자(SF)
  3. 사람의 표준 몸무게
  4. 독성물질에 대한 역치(ThDo)
(정답률: 57%)
  • 안전용량(SHD)은 독성량(TD), 안전인자(SF), 사람의 표준 몸무게, 독성물질에 대한 역치(ThDo)를 고려하여 산출됩니다. 따라서 이 중에서 안전용량(SHD)을 산출하는데 필요하지 않은 항목은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다음 중 산업독성에서 LD50의 정확한 의미는?

  1. 실험동물의 50%가 살아남을 확률이다.
  2. 실험동물의 50%가 죽게 되는 양이다.
  3. 실험동물의 50%가 죽게 되는 농도이다.
  4. 실험동물의 50%가 살아남을 비율이다.
(정답률: 61%)
  • LD50은 "Lethal Dose 50"의 약자로, 독성 실험에서 동물에게 특정 물질을 투여하여 그 물질이 동물의 50%를 죽이는 양 또는 농도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실험동물의 50%가 죽게 되는 양이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