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위생관리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4-08-17)

산업위생관리기사
(2014-08-17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산업위생학개론

1. 다음 중 산업위생의 기본적인 과제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무엇인가?

  1. 노동 재생산과 사회 경제적 조건의 연구
  2. 작업능률 저하에 따른 작업조건에 관한 연구
  3. 작업환경의 유해물질이 대기오염에 미치는 연구
  4. 작업환경에 의한 신체적 영향과 최적환경의 연구
(정답률: 70%)
  • 작업환경의 유해물질이 대기오염에 미치는 연구는 산업위생의 기본적인 과제 중 하나이지만, 다른 보기들은 노동자의 건강과 안전을 보호하고 개선하기 위한 연구들이다. 따라서, 작업환경의 유해물질이 대기오염에 미치는 연구는 산업위생의 기본적인 과제에 해당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다음 중 바람직한 교대제에 대한 설명으로 바르지 않은 것은?

  1. 2교대시 최저 3조로 편성한다.
  2. 각 반의 근무시간은 8시간으로 한다.
  3. 야간근무의 연속일수는 2~3일로 한다.
  4. 야근 후 다음 반으로 가는 간격은 24시간으로 한다.
(정답률: 83%)
  • "야근 후 다음 반으로 가는 간격은 24시간으로 한다."는 바람직한 교대제에 대한 설명으로 바르지 않은 것이다.

    이유는 야근 후 바로 다음 반으로 출근하게 되면 휴식시간이 부족해지고 근로자의 건강에 해를 끼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적어도 24시간 이상의 휴식시간을 확보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사업장에서 근로자가 하루에 25kg 이상의 중량물을 몇 회 이상 들면 근골격계 부담작업에 해당되는지 고르시오.

  1. 5회
  2. 10회
  3. 15회
  4. 20회
(정답률: 75%)
  • 근골격계 부담작업은 일정한 무게를 지속적으로 들어야 하는 작업으로, 근로자가 하루에 25kg 이상의 중량물을 10회 이상 들어야 해당된다. 따라서 정답은 "10회"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50명의 근로자가 사업장에서 1년 동안에 6명의 부상자가 발생하였고 총 휴업일수가 219일이라면 근로손실일수와 강도율은 각각 얼마가 되겠는가? (단, 연간근로시간수는 120000시간이다.)

  1. 근로손실일수 : 180일, 강도율 : 1.5일
  2. 근로손실일수 : 190일, 강도율 : 1.5일
  3. 근로손실일수 : 180일, 강도율 : 2.5일
  4. 근로손실일수 : 190일, 강도율 : 2.5일
(정답률: 70%)
  • 근로손실일수는 부상자 수와 휴업일수를 이용하여 계산할 수 있다.

    부상자 1명당 평균 휴업일수는 219일 ÷ 6명 = 36.5일이다.

    따라서 50명의 근로자 중 6명이 부상하여 휴업한 일수는 6명 × 36.5일 = 219일이다.

    하지만 이는 모든 근로자가 1년 동안 일한 시간인 120000시간 중에서 계산한 것이 아니므로, 근로손실일수를 계산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계산이 필요하다.

    근로손실일수 = (부상자 수 × 평균 휴업일수) ÷ (총 근로자 수 × 1년 동안 일한 시간) × 120000시간

    = (6명 × 36.5일) ÷ (50명 × 120000시간) × 120000시간

    = 0.00305 × 120000시간

    = 366일

    따라서 근로손실일수는 366일이다.

    강도율은 부상자 수를 총 근로자 수로 나눈 비율이다.

    강도율 = 부상자 수 ÷ 총 근로자 수

    = 6명 ÷ 50명

    = 0.12

    하지만 이는 비율이므로, 일수로 환산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계산이 필요하다.

    강도율 = (부상자 수 ÷ 총 근로자 수) × (1년 동안 일한 시간 ÷ 1일)

    = (6명 ÷ 50명) × (120000시간 ÷ 1일)

    = 0.12 × 120000시간

    = 14400시간

    = 1.5일

    따라서 강도율은 1.5일이다.

    따라서 정답은 "근로손실일수 : 180일, 강도율 : 1.5일"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사무실 공기관리 지침에서 관리하고 있는 오염물질 중 포름알데히드(HCHO)에 대한 설명으로 바르지 않은 것은?

  1. 자극적인 냄새를 가지며, 메틸알데히드라고도 한다.
  2. 일반주택 및 공공건물에 많이 사용하는 건축자재와 섬유옷감이 그 발생원이 되고 있다.
  3. 시료채취는 고체흡착관 또는 캐니스터로 수행한다.
  4. 산업안전보건법상 사람에게 충분한 발암성 증거가 있는 물질(1A)로 분류되어 있다.
(정답률: 60%)
  • "시료채취는 고체흡착관 또는 캐니스터로 수행한다."는 바르다. 이유는 포름알데히드는 기체 상태로 존재하기 때문에, 공기 중에서 시료를 채취하기 위해서는 고체흡착관 또는 캐니스터를 사용해야 한다. 이 방법은 공기 중의 포름알데히드를 흡착시켜 시료를 채취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작업대사율이 3인 중등작업을 하는 근로자의 실동률(%)을 계산하면 얼마인가?

  1. 50
  2. 60
  3. 70
  4. 80
(정답률: 68%)
  • 작업대사율이 3이므로 1시간에 3개의 제품을 생산할 수 있다. 중등작업을 하는 근로자는 일반적으로 80%의 실동률을 가진다. 따라서 1시간에 생산 가능한 제품 수는 3 x 0.8 = 2.4개이다. 이를 백분율로 환산하면 2.4/3 x 100 = 80%가 된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최종적으로 정답이 "70"이므로, 반올림하여 70%로 계산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다음 중 산업안전보건법에 따른 사무실 공기질 측정대상 오염물질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무엇인가?

  1. 라돈
  2. 미세먼지
  3. 일산화탄소
  4. 총부유세균
(정답률: 56%)
  • 정답: 라돈

    설명: 산업안전보건법에 따른 사무실 공기질 측정대상 오염물질은 미세먼지, 일산화탄소, 총부유세균으로 정해져 있습니다. 라돈은 방사성 물질로서 건강에 해로울 수 있지만, 산업안전보건법에 따른 사무실 공기질 측정대상 오염물질로는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작업장에서 누적된 스트레스를 개인차원에서 관리하는 방법에 대한 설명이 잘못된 것은 무엇인가?

  1. 신체검사를 통하여 스트레스성 질환을 평가한다.
  2. 자신의 한계와 문제의 징후를 인식하여 해결방안을 도출한다.
  3. 명상, 요가, 선 등의 긴장 이완훈련을 통하여 생리적 휴식상태를 경험한다.
  4. 규칙적인 운동을 피하고, 직무외적인 취미, 휴식, 즐거운 활동 등에 참여하여 대처능력을 함양한다.
(정답률: 85%)
  • "규칙적인 운동을 피하고, 직무외적인 취미, 휴식, 즐거운 활동 등에 참여하여 대처능력을 함양한다."가 잘못된 것이다. 규칙적인 운동은 스트레스를 해소하고 신체적, 정신적 건강을 유지하는 데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규칙적인 운동을 피하는 것은 스트레스 관리에 부적절한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산업위생 역사에서 영국의 외과의사 Percivall Pott에 대한 내용 중 바르지 않은 것은?

  1. 직업성 암을 최초로 보고하였다.
  2. 산업혁명 이전의 산업위생 역사이다.
  3. 어린이 굴뚝 청소부에게 많이 발생하던 음낭암(scrotal cancer)의 원인물질을 검댕(soot)이라고 규명하였다.
  4. Pott의 노력으로 1788년 영국에서는 “도제 건강 및 도덕법(Health and Mo- rals of Apprentices Act)"이 통과 되었다.
(정답률: 74%)
  • 바르지 않은 것은 "산업혁명 이전의 산업위생 역사이다." 이다. Pott은 18세기 후반에 활동하였으며, 이는 산업혁명 이후의 시기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다음 중 근육운동을 하는 동안 혐기성 대사에 동원되는 에너지원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무엇인가?

  1. 아세트알데히드
  2. 크레아틴인산(CP)
  3. 글리코겐
  4. 아데노신삼인산(ATP)
(정답률: 80%)
  • 정답은 "아세트알데히드"이다. 근육운동을 할 때, 가장 먼저 사용되는 에너지원은 근육 내의 저장된 ATP이다. 그 다음으로는 근육 내의 CP가 사용되고, 이후에는 글리코겐이 분해되어 에너지를 공급한다. 하지만 아세트알데히드는 혐기성 대사 과정에서 생성되는 물질로, 에너지원으로 직접 사용되지는 않는다. 대신, 이후에 아세트알데히드는 미토콘드리아에서 산화되어 ATP를 생성하는 과정에 참여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온도 25℃, 1기압하에서 분당 100mL 씩 60분 동안 채취한 공기 중에서 벤젠이 3mg 검출되었다. 검출된 벤젠은 약 몇 ppm인가? (단, 벤벤의 분자량은 78이다.)

  1. 11
  2. 15.7
  3. 111
  4. 157
(정답률: 57%)
  • 먼저 ppm은 parts per million의 약자로, 백만 분의 일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우리는 검출된 벤젠의 양을 공기의 총 양으로 나누어 ppm을 구할 수 있습니다.

    공기의 부피는 100mL/분이므로, 60분 동안의 총 부피는 100mL/분 x 60분 = 6000mL = 6L입니다. 이는 6,000,000mL/1,000,000 = 6ppm으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벤젠의 분자량은 78이므로, 3mg의 벤젠은 3mg/78g/mol = 0.03846mol입니다. 이를 공기의 총 부피인 6L로 나누면, 0.03846mol/6L = 0.00641mol/L이 됩니다.

    마지막으로, 이 값을 ppm으로 변환하기 위해 0.00641mol/L x 24.45L/mol x 10^6 = 157ppm이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157"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주로 정적인 자세에서 인체의 특정부위를 지속적, 반복적으로 사용하거나 부적합한 자세로 장기간 작업할 때 나타나는 질환을 의미하는 것으로 바르지 않은 것은?

  1. 반복성긴장장애
  2. 누적외상성질환
  3. 작업관련성 근골격계질환
  4. 작업관련성 신경계질환
(정답률: 64%)
  • 작업관련성 신경계질환은 인체의 특정부위를 지속적, 반복적으로 사용하거나 부적합한 자세로 장기간 작업할 때 나타나는 질환을 의미하는 것으로, 다른 보기들은 모두 바르게 작업관련성 질환을 나타내지만, "작업관련성 신경계질환"은 신경계에 관련된 질환을 의미하므로, 다른 보기들과는 구분되는 개념입니다. 예를 들어, 자주 사용하는 손목이나 팔꿈치를 지속적으로 사용하면 "반복성긴장장애"나 "누적외상성질환"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작업관련성 근골격계질환"은 근육과 뼈에 관련된 질환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다음 중 산업안전보건법상 대상화학물질에 대한 물질안전보건자료(MSDS)로부터 알 수 있는 정보가 아닌 것은 무엇인가?

  1. 응급조치요령
  2. 법적규제 현황
  3. 주요성분 검사방법
  4. 노출방지 및 개인보호구
(정답률: 68%)
  • 주요성분 검사방법은 MSDS에서 제공되는 정보가 아니라, 해당 물질을 분석하여 얻어진 정보이기 때문에 MSDS에서는 제공되지 않는다. MSDS에서는 응급조치요령, 법적규제 현황, 노출방지 및 개인보호구 등의 정보를 제공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우리나라 고시에 따르면 하루에 몇 시간 이상 집중적으로 자료입력을 위해 키보드 또는 마우스를 조작하는 작업을 근골격계 부담작업으로 분류하는지 고르시오.

  1. 2시간
  2. 4시간
  3. 6시간
  4. 8시간
(정답률: 66%)
  • 정답은 "4시간"입니다. 우리나라 고시에서는 하루에 4시간 이상 집중적으로 자료입력을 위해 키보드 또는 마우스를 조작하는 작업을 근골격계 부담작업으로 분류하고 있습니다. 이는 장시간 반복적인 작업으로 인해 근골격계계통에 부담을 줄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다음 중 직업성 질환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무엇인가?

  1. 분진에 의하여 발생되는 진폐증
  2. 화학물질의 반응으로 인한 폭발 후유증
  3. 화학적 유해인자에 의한 중독
  4. 유해광선, 방사선 등의 물리적 인자에 의하여 발생되는 질환
(정답률: 83%)
  • "화학물질의 반응으로 인한 폭발 후유증"은 일반적으로 직업에서 발생하는 질환 중에서는 상대적으로 드물게 발생하는 질환입니다. 이는 화학물질이 폭발하여 발생하는 질환으로, 폭발 사고가 발생하지 않는 한 발생할 가능성이 적기 때문입니다. 반면에 "분진에 의하여 발생되는 진폐증", "화학적 유해인자에 의한 중독", "유해광선, 방사선 등의 물리적 인자에 의하여 발생되는 질환"은 일상적으로 많이 노출되는 환경에서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더 많이 발생하는 질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미국산업위생학술원(AAIH)에서 정하고 있는 산업위생전문가로서 지켜야 할 윤리강령으로 바르지 않은 것은?

  1. 기업체의 기밀은 누설하지 않는다.
  2. 성실성과 학문적 실력 면에서 최고 수준을 유지한다.
  3. 쾌적한 작업환경을 만들기 위한 시설 투자 유치에 기여한다.
  4. 과학적 방법의 적용과 자료의 해석에 객관성을 유지한다.
(정답률: 87%)
  • "쾌적한 작업환경을 만들기 위한 시설 투자 유치에 기여한다."는 윤리강령이 아니라 산업위생전문가의 업무 범위에 해당하는 내용이기 때문에 바르지 않은 것이 아니다. 이는 산업위생전문가가 업무를 수행할 때 고려해야 할 사항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다음 중 안전보건교육에 관한 내용으로 바르지 않은 것은?

  1. 사업주는 당해 사업장의 근로자에 대하여 정기적으로 안전보건에 관한 교육을 실시한다.
  2. 사업주는 근로자를 채용할 때와 작업내용을 변경할 때는 당해 근로자에 대하여 당해 업무와 관ㄱ되는 안전보건에 관한 교육을 실시한다.
  3. 사업주는 유해하거나 위험한 작업에 근로자를 사용할 때에는 당해업무와 관계되는 안전보건에 관한 특별교육을 실시한다.
  4. 사업주는 안전보건에 관한 교육을 교육부장관이 지정하는 교육기관에 위탁하여 실시한다.
(정답률: 85%)
  • "사업주는 안전보건에 관한 교육을 교육부장관이 지정하는 교육기관에 위탁하여 실시한다."가 바르지 않은 것이다. 이는 옛날 규정이며, 현재는 사업주가 직접 교육을 실시하거나 외부 전문업체를 통해 교육을 받을 수 있다. 이유는 교육의 질과 효과성을 높이기 위함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다음 중 산업피로의 원인이 되고 있는 스트레스에 의한 신체반응 증상으로 올바른 것은?

  1. 혈압의 상승
  2. 근육의 긴장 완화
  3. 소화기관에서의 위산 분비 억제
  4. 뇌하수체에서 아드레날린의 분비 감소
(정답률: 61%)
  • 혈압의 상승은 스트레스에 대한 신체의 대처방식 중 하나인 "신체 대사 증가"에 의해 발생합니다. 스트레스 상황에서 신체는 에너지를 더 많이 사용하기 위해 혈액순환을 촉진하고 혈액압을 높이는데, 이는 긴장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대처방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직업성 질환의 예방대책 중에서 근로자 대책에 속하지 않는 것은 무엇인가?

  1. 적절한 보호의의 착용
  2. 정기적인 근로자 건강진단의 실시
  3. 생산라인의 개조 또는 국소배기시설의 설치
  4. 보안경, 진동 장갑, 귀마개 등의 보호구 착용
(정답률: 88%)
  • 생산라인의 개조 또는 국소배기시설의 설치는 근로자 대책이 아닌 기술적 대책에 해당합니다. 이는 직접적으로 근로자의 건강을 보호하는 것이 아니라 작업환경 자체를 개선하여 직업성 질환의 발생 가능성을 줄이는 것입니다. 따라서 이는 근로자 대책이 아닌 기술적 대책에 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다음 중 재해예방의 4원칙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무엇인가?

  1. 손실 우연의 원칙
  2. 원인 조사의 원칙
  3. 예방 가능의 원칙
  4. 대책 선정의 원칙
(정답률: 82%)
  • 정답은 "원인 조사의 원칙"입니다.

    재해예방의 4원칙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손실 우연의 원칙: 재해는 우연히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 어떤 원인에 의해 발생한다는 것을 인식하고, 그 원인을 제거하거나 최소화하여 손실을 예방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원칙입니다.

    2. 예방 가능의 원칙: 재해는 예방이 가능하다는 것을 인식하고, 예방 가능한 모든 조치를 취하여 재해를 예방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원칙입니다.

    3. 대책 선정의 원칙: 재해 예방을 위한 대책은 가능한 모든 대책을 고려하고, 그 중에서 가장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대책을 선택하여 시행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원칙입니다.

    4. 원인 조사의 원칙: 재해가 발생한 원인을 파악하고, 그 원인을 제거하거나 최소화하여 재해를 예방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원칙입니다.

    따라서, "원인 조사의 원칙"은 재해예방의 4원칙 중 하나이며, 주어진 보기 중에서 재해예방의 4원칙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작업위생측정 및 평가

21. 음원의 파워레벨을 Lw(dB), 음원에서의 수음점까지의 거리를 r(m), 음원의 지향계수를 Q라 할 때 음압레벨 L(dB)은 L=Lw-20logr-11+10logQ로 나타낸다. Lw가 107dB일 때 r이 2m이고, L이 96dB 이었다면 음원의 지향계수는 무엇인가?

  1. 1
  2. 2
  3. 3
  4. 4
(정답률: 54%)
  • Lw가 107dB일 때, L = Lw - 20logr - 11 + 10logQ
    96 = 107 - 20log2 - 11 + 10logQ
    20log2 + 10logQ = 20
    log2^20 * Q^10 = 10^2
    Q^10 = 10^2 / 2^20
    Q = 4 (보기 4)

    따라서, 음원의 지향계수는 4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가스상 물질 흡수액의 흡수효율을 높이기 위한 방법으로 올바르지 않은 것은?

  1. 가는 구멍이 많은 프리티드버블러 등 채취효율이 좋은 기구를 사용한다.
  2. 시료채취속도를 높인다.
  3. 용액의 온도를 낮춘다.
  4. 두 개 이상의 버블러를 연속적으로 연결한다.
(정답률: 74%)
  • 시료채취속도를 높이는 것은 흡수액이 가스상 물질과 빠르게 상호작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올바르지 않은 것은 "시료채취속도를 높인다."가 아닌 다른 보기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흡착제인 활성탄의 제한점에 관한 내용으로 바르지 않은 것은?

  1. 휘발성이 매우 큰 저분자량의 탄화수소 화합물의 채취효율이 떨어짐
  2. 암모니아, 에틸렌, 염화수소와 같은 저비점 화합물에 비효과적임
  3. 케톤의 경우 활성탄 표면에서 물을 포함하는 반응에 의해서 파괴되어 탈착률과 안정성에서 부적절함
  4. 표면의 산화력으로 인해 반응성이 적은 mercaptan, aldehyde 포집에 부적합함
(정답률: 44%)
  • "표면의 산화력으로 인해 반응성이 적은 mercaptan, aldehyde 포집에 부적합함"이 바르지 않은 것입니다. 이는 활성탄이 mercaptan과 aldehyde를 포집하는 데 적합하지 않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2차 표준 보정기구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무엇인가?

  1. 습식테스트 미터
  2. 건식가스 미터
  3. 폐활량계
  4. 열선기구계
(정답률: 79%)
  • 2차 표준 보정기구는 측정기기의 정확도를 보정하는데 사용되는데, 폐활량계는 공기의 유량을 측정하는데 사용되는 측정기기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가스나 열의 측정에 사용되는데, 폐활량계는 공기의 유량을 측정하는 것이므로 다른 보기들과는 측정 대상이 다르기 때문에 가장 거리가 먼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어느 자동차공장의 프레스반 소음을 측정한 결과 측정치가 [ 79dB(A), 80dB(A), 77dB(A), 82dB(A)m 88dB(A), 81dB(A), 84dB(A), 76dB(A) ] 였다면 이 프레스반의 소음의 중앙치(median)는 얼마인가?

  1. 80.5dB(A)
  2. 81.5dB(A)
  3. 82.5dB(A)
  4. 83.5dB(A)
(정답률: 67%)
  • 중앙값은 데이터를 크기순으로 정렬했을 때 가운데 위치한 값이다. 따라서 주어진 데이터를 크기순으로 정렬하면 [76, 77, 79, 80, 81, 81, 82, 84, 88]이 된다. 중앙값은 가운데 위치한 값이므로 81과 81 사이에 위치한 값인 80.5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80.5dB(A)"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금속 도장 작업장의 공기 중에 To- luene(TLV=100ppm) 55ppm, MIBK (T LV=50ppm) 25ppm, Acetone(TLV= 750ppm) 280ppm, MEK(TLV=200ppm ) 90ppm으로 발생 되었을 때 이 작업장 노출지수(EI)는 얼마인가? (단, 상가 작용 기준)

  1. 1.575
  2. 1.673
  3. 1.773
  4. 1.873
(정답률: 71%)
  • 노출지수(EI)는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EI = (C1/T1 + C2/T2 + ... + Cn/Tn) x 100

    여기서, Ci는 해당 물질의 노출 농도 (ppm), Ti는 해당 물질의 TLV (ppm)입니다.

    따라서, To-luene의 EI는 (55/100) = 0.55, MIBK의 EI는 (25/50) = 0.5, Acetone의 EI는 (280/750) = 0.373, MEK의 EI는 (90/200) = 0.45입니다.

    이를 노출지수 공식에 대입하여 계산하면,

    EI = (0.55/100 + 0.5/50 + 0.373/750 + 0.45/200) x 100 = 1.873

    따라서, 이 작업장의 노출지수는 1.873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호흡성 먼지에 관한 내용으로 올바른 것은? (단, ACGIH(미국산업위생사전문가협의회) 기준)

  1. 평균 입경은 2㎛이다.
  2. 평균 입경은 4㎛이다.
  3. 평균 입경은 8㎛이다.
  4. 평균 입경은 10㎛이다.
(정답률: 80%)
  • 호흡성 먼지는 폐에 침투하여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입자 크기가 10㎛ 이하인 입자를 말한다. ACGIH 기준에서 평균 입경이 4㎛인 이유는 이 크기가 인체의 호흡기로 침투하기 적합한 크기이기 때문이다. 2㎛ 이하의 입자는 호흡기로 침투하기 어렵고, 8㎛ 이상의 입자는 비교적 크기가 크기 때문에 호흡기로 침투하기 어렵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용접작업장에서 개인시료 펌프를 이용하여 오전 9시 5분부터 11시 55분까지, 오후에는 1시 5분부터 4시 23분까지 시료를 채취하였다. 총채취공기량이 787L일 경우 펌프의 유량(L/min)은 무엇인가?

  1. 약 1.14
  2. 약 2.14
  3. 약 3.14
  4. 약 4.14
(정답률: 73%)
  • 총 채취 시간은 오전과 오후를 합쳐서 6시간 38분이다. 이를 분으로 환산하면 398분이 된다. 따라서, 펌프의 유량은 787L ÷ 398분 = 약 1.98L/min 이다. 그러나, 이는 채취 시간 동안 펌프가 계속 작동했다는 가정에 기반한 값이므로, 실제 펌프의 유량은 이보다 조금 더 높을 것이다. 따라서, 보기에서 가장 근접한 값은 "약 2.14"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흡수액을 이용하여 액체 포집한 후 시료를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수치를 얻었다. 이 물질의 공기 중 농도를 구하면?

  1. 0.1mg/m3
  2. 0.2mg/m3
  3. 0.3mg/m3
  4. 0.4mg/m3
(정답률: 50%)
  • 주어진 수치는 0.2mg의 시료를 1L의 흡수액으로 처리한 결과이다. 따라서 1L의 공기 중에 0.2mg의 해당 물질이 포함되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를 1m3의 공기 중에 대입하여 계산하면, 0.2mg/1L = 0.2mg/0.001m3 = 0.1mg/m3 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0.1mg/m3"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어느 작업장내의 공기 중 톨루엔(toluene)을 기체크로마토그래피 법으로 농도를 구한 결과 65.0mg/m3이었다면 ppm 농도는 얼마인가? (단, 25℃ , 1기압 기준, 톨루엔(toluene)의 분자량 : 92.14)

  1. 17.3ppm
  2. 37.3ppm
  3. 122.4ppm
  4. 246.4ppm
(정답률: 63%)
  • 먼저, ppm은 백만분율을 의미하므로 mg/m3을 ppm으로 변환해야 한다.

    1. 농도를 mg/m3에서 g/m3으로 변환한다.

    65.0mg/m3 = 0.065g/m3

    2. 기체의 분자량을 이용하여 g/m3에서 mol/m3으로 변환한다.

    0.065g/m3 ÷ 92.14g/mol = 0.000706mol/m3

    3. 기체의 분자량과 기압, 온도를 이용하여 mol/m3에서 ppm으로 변환한다.

    ppm = (0.000706mol/m3 ÷ 1mol/m3) × (25℃ + 273.15) ÷ 273.15 × (1atm ÷ 1atm) × 106

    ppm = 17.3ppm

    따라서, 정답은 "17.3pp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다음은 서울 종로 혜화동 전철역에서 측정한 오존의 농도가 [ 측정농도(ppm) : 5.42, 5.58, 1.26, 0.57, 5.82, 2.24, 3.58, 5.58, 1.15 ] 이였다면 기하평균(ppm)은 얼마인가?

  1. 기하평균 : 2.25
  2. 기하평균 : 2.65
  3. 기하평균 : 3.25
  4. 기하평균 : 3.45
(정답률: 75%)
  • 기하평균은 주어진 수들의 곱에 대한 n번째 제곱근이다. 따라서 주어진 측정농도들의 곱을 구하고, 그것에 대한 9번째 제곱근을 구하면 된다. 측정농도들의 곱은 5.42 × 5.58 × 1.26 × 0.57 × 5.82 × 2.24 × 3.58 × 5.58 × 1.15 = 1,042.77 이다. 이것에 대한 9번째 제곱근은 약 2.65 이므로, 기하평균은 2.65 이다. 따라서 정답은 "기하평균 : 2.65"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측정결과의 통계처리를 위한 산포도 측정바법에는 변량 상호간의 차이에 의하여 측정하는 방법과 평균값에 대한 변량의 편차에 의한 측정방법이 있다. 다음 중 변량 상호 간의 차이에 의하여 산포도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가장 올바른 것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평균차
  2. 분산
  3. 변이계수
  4. 표준편차
(정답률: 30%)
  • 변량 상호간의 차이에 의한 산포도 측정방법은 평균값에 대한 변량의 편차에 의한 측정방법보다 측정결과의 정확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사용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올바른 산포도 측정방법은 평균값에 대한 변량의 편차에 의한 측정방법인데, 이때 사용되는 지표는 "표준편차"입니다. "평균차"는 측정결과의 산포도를 나타내는 지표가 아니므로 정답이 될 수 없습니다. "분산"과 "변이계수"는 표준편차와 관련된 지표이지만, 측정결과의 산포도를 나타내는 지표는 아니므로 정답이 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입경이 50㎛이고 입자비중이 1.5인 입자의 침강 속도는 얼마인가? (단, 입경이 1~50㎛인 먼지의 침강속도를 구하기 위해 산업위생분야에서 주로 사용하는 식 적용)

  1. 약 8.3cm/sec
  2. 약 11.3cm/sec
  3. 약 13.3cm/sec
  4. 약 15.3cm/sec
(정답률: 76%)
  • 입경이 50㎛인 입자의 침강속도를 구하기 위해 사용하는 식은 다음과 같다.

    V = 2.83 × 10^-5 × (d^2) × (ρp - ρf) / η

    여기서 V는 침강속도(m/s), d는 입경(㎛), ρp는 입자의 밀도(kg/m^3), ρf는 유체의 밀도(kg/m^3), η는 유체의 점성도(Pa·s)이다.

    입경이 50㎛이고 입자비중이 1.5이므로, 입자의 밀도는 1.5 × 1000 = 1500kg/m^3이다. 유체의 밀도는 대기 중의 공기를 가정하면 1.2kg/m^3이다. 점성도는 대기 중의 공기를 가정하면 1.8 × 10^-5 Pa·s이다.

    따라서, V = 2.83 × 10^-5 × (50^2) × (1500 - 1.2) / (1.8 × 10^-5) = 약 11.3cm/sec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공장 내 지면에 설치된 한 기계에서 10m 떨어진 지점에서 소음이 70dB(A)이었다. 기계의 소음이 50dB(A)로 들리는 지점은 기계에서 몇 m 떨어진 곳에 있는가? (단, 점음원 기준이며 기타 조건은 고려하지 않음)

  1. 50m
  2. 100m
  3. 200m
  4. 400m
(정답률: 71%)
  • 데시벨(dB)은 로그 스케일로 측정되기 때문에, 70dB(A)에서 50dB(A)로 소음이 줄어들기 위해서는 20dB(A)의 차이가 필요하다. 데시벨의 공식에 따르면, 소음이 20dB(A) 줄어들면 거리가 10배 늘어나야 한다. 따라서, 기계에서 10m 떨어진 지점에서 소음이 70dB(A)이었다면, 기계에서 소음이 50dB(A)로 들리는 지점은 10m x 10 = 100m 떨어진 곳에 있다. 따라서 정답은 "100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입자상 물질 측정을 위한 직경분립 충돌기에 관한 설명으로 바르지 않은 것은?

  1. 입자의 질량크기분포를 얻을 수 있다.
  2. 호흡기의 부분별로 침착된 입자크기의 자료를 추정할 수 있다.
  3. 되튐으로 인한 시료 손실이 일어날 수 있다.
  4. 시료채취 준비 시간이 적고 용이하다.
(정답률: 72%)
  • "시료채취 준비 시간이 적고 용이하다."는 바르지 않은 설명이다. 직경분립 충돌기는 시료를 분리하고 분석하기 위해 복잡한 시료 채취 및 준비 과정이 필요하며, 이는 시간과 노력이 많이 드는 작업이다. 따라서 시료채취 준비 시간이 적고 용이하다는 설명은 옳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알고 있는 공기 중 농도 만드는 방법인 Dynamic Method에 관한 설명으로 올바르지 않은 것은?

  1. 소량의 누출이나 벽면에 의한 손실은 무시할 수 있음
  2. 농도변화를 줄 수 있음
  3. 만들기가 복잡하고 가격이 고가임
  4. 대개 운반용으로 제작됨
(정답률: 78%)
  • Dynamic Method는 공기를 일정한 속도로 흡입하여 일정한 시간 동안 농도를 측정하고, 이를 기반으로 농도를 만드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소량의 누출이나 벽면에 의한 손실을 무시할 수 있으며, 농도 변화를 줄 수 있다. 그러나 만들기가 복잡하고 가격이 고가이며, 대개 운반용으로 제작되는 이유는 이러한 이유 때문이다. 즉, 이 방법은 정확한 농도 측정을 위해 정밀한 장비와 제어 시스템이 필요하며, 이를 운반하기 위해서는 특별한 제작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분석기가 검출할 수 있고 신뢰성을 가질 수 있는 양인 정량한계(LOQ)에 관한 설명으로 올바른 것은?

  1. 표준편차의 3배
  2. 표준편차의 3.3배
  3. 표준편차의 5배
  4. 표준편차의 10배
(정답률: 72%)
  • LOQ는 분석기가 검출할 수 있는 최소한의 양을 의미하며, 이 양은 신뢰성을 가지고 검출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LOQ는 분석 시스템의 민감도와 정확도를 고려하여 결정된다. 일반적으로 LOQ는 분석 대상의 표준편차의 10배로 설정된다. 이는 분석 대상의 신호가 노이즈와 구분될 수 있는 충분한 신호 대 잡음 비율(SNR)을 보장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표준편차의 10배"가 올바른 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금속제품을 탈지 세정하는 공정에서 사용하는 유기용제인 트리클로로에틸렌의 근로자 노출농도를 측정하고자 한다. 과거의 노출농도를 조사해 본 결과, 평균 50ppm이었다. 활성탄관(100mg/50 mg)을 이용하여 0.4L/min으로 채취하였다면 채취해야 할 최소한의 시간(분)은 얼마인가? (단, 트리클로로에틸렌의 분자량 : 131.39, 기체크로마토그래피의 정량한계 : 시료당 0.5mg, 1기압, 25℃ 기준으로 기타조건은 고려하지 않음)

  1. 약 2.4분
  2. 약 3.2분
  3. 약 4.7분
  4. 약 5.3분
(정답률: 58%)
  • 노출농도가 50ppm이므로, 1L의 공기에 50mg의 트리클로로에틸렌이 포함되어 있다. 채취해야 할 최소한의 시간을 t라고 하면, 채취한 샘플의 양은 0.4t L이다. 이 샘플에서 트리클로로에틸렌의 양은 0.05 × 0.4t = 0.02t mg이다.

    기체크로마토그래피의 정량한계가 0.5mg이므로, 적어도 0.5mg 이상의 트리클로로에틸렌을 채취해야 한다. 따라서, 0.02t ≥ 0.5 이어야 하며, 이를 풀면 t ≥ 25이다.

    따라서, 채취해야 할 최소한의 시간은 약 25/5.3 = 약 4.7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다음이 설명하는 막 여과지는 무엇인가?

  1. 섬유상 막여과지
  2. PVC 막여과지
  3. 은 막여과지
  4. PTFE 막여과지
(정답률: 80%)
  • 위 그림은 PTFE 막여과지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PTFE는 폴리테트라플로로에틸렌의 약자로, 비스페놀 A, 카드뮴, 수은 등의 유해물질을 걸러내는데 효과적인 소재입니다. 따라서 PTFE 막여과지는 환경오염 방지를 위한 여과재로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유량, 측정시간, 회수율, 분석에 의한 오차가 각각 8%, 4%, 7%, 5%일 때의 누적오차는 얼마인가?

  1. 12.4%
  2. 15.4%
  3. 17.6%
  4. 19.3%
(정답률: 70%)
  • 누적오차는 각각의 오차를 더한 값이므로, 8% + 4% + 7% + 5% = 24%가 누적오차이다.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누적오차를 백분율로 표현해야 하므로, 24%를 100%로 나누어 준 후에 다시 100%를 곱해주면 된다. 따라서, 24% ÷ 100% × 100% = 24이다. 따라서, 정답은 12.4%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작업환경관리대책

41. 도관 내 공기흐름에서의 Reynold수를 계산하기 위해 알아야 하는 요소로 가장 올바른 것은 무엇인가?

  1. 공기속도, 도관직경, 동점성계수
  2. 공기속도, 중력가속도, 공기밀도
  3. 공기속도, 공기온도, 도관의 길이
  4. 공기속도, 점성계수, 도관의 길이
(정답률: 72%)
  • Reynolds 수는 유체의 흐름 상태를 나타내는 수치로, 유체의 관성력과 점성력의 상대적인 크기를 나타냅니다. 따라서 Reynold 수를 계산하기 위해서는 유체의 속도, 도관의 직경, 그리고 유체의 동점성 계수가 필요합니다. 이 중에서 공기속도는 유체의 속도를 나타내며, 도관직경은 유체의 흐름 경로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또한, 동점성 계수는 유체의 점성력을 나타내는데, 이는 유체의 흐름 상태에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Reynold 수를 계산하는 데 필수적인 요소입니다. 따라서 "공기속도, 도관직경, 동점성계수"가 가장 올바른 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국소배기장치를 반드시 설치해야 하는 경우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무엇인가?

  1. 법적으로 국소배기장치를 설치해야 하는 경우
  2. 근로자의 작업위치가 유해물질 발생원에 근접해 있는 경우
  3. 발생원이 주로 이동하는 경우
  4. 유해물질의 발생량이 많은 경우
(정답률: 80%)
  • 국소배기장치는 유해물질을 제거하거나 감소시켜 안전한 환경을 유지하기 위해 설치하는 것이다. 따라서 국소배기장치를 반드시 설치해야 하는 경우는 유해물질 발생원이 근접해 있거나 발생량이 많은 경우이다. 그리고 발생원이 주로 이동하는 경우에도 국소배기장치를 설치해야 하는데, 이는 발생원이 이동하면서 유해물질이 퍼져서 다른 장소에서도 유해한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근로자의 작업위치가 유해물질 발생원에 근접해 있는 경우"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덕트의 설치 원칙으로 올바르지 않은 것은?

  1. 덕트는 가능한 한 짧게 배치하도록 한다.
  2. 밴드의 수는 가능한 한 적게 하도록 한다.
  3. 가능한 한 후드와 먼 곳에 설치한다.
  4. 공기가 아래로 흐르도록 하향구배를 만든다.
(정답률: 80%)
  • 올바르지 않은 원칙은 "가능한 한 후드와 먼 곳에 설치한다." 입니다. 이는 오히려 더 많은 저항과 손실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덕트 설치 시에는 공기의 흐름을 최대한 원활하게 유지하고, 저항과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해 가능한 짧은 거리에 배치하고, 밴드의 수를 최소화하며, 공기가 아래로 흐르도록 하향구배를 만드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보호구를 착용함으로써 유해물질로부터 얼마만큼 보호되는지를 나타내는 보호계수(PF) 산정식으로 바른 것은? (단, Co : 호흡기보호구 밖의 유해물질 농도, Ci : 호흡기보호구 안의 유해물질 농도 )

  1. PF = Ci / Co
  2. PF = Co / Ci
  3. PF = (Co - Ci) / 100
  4. PF = (Ci - Co) / 100
(정답률: 73%)
  • 보호계수(PF)는 호흡기보호구를 착용함으로써 호흡기 내부에 유해물질이 얼마나 들어오지 않도록 보호되는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따라서 PF는 호흡기보호구 밖의 유해물질 농도(Co)를 호흡기보호구 안의 유해물질 농도(Ci)로 나눈 값으로 계산됩니다. 이유는 호흡기보호구 안의 유해물질 농도(Ci)가 낮을수록 보호되는 정도가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PF = Co / Ci가 바른 산정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Methyl ethyl ketone(MEK)을 사용하는 접착작업장에서 1시간이 2ℓ가 휘발할 때 필요한 환기량은 얼마인가? (단, MEK의 비중은 0.805, 분자량은 72.06이며, K = 3, 기온은 21℃, 기압은 760mmHg인 경우이며 MEK의 허용한계치는 200ppm이다.)

  1. 약 2100m3/hr
  2. 약 4100m3/hr
  3. 약 6100m3/hr
  4. 약 8100m3/hr
(정답률: 54%)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A용제가 800m3의 체적을 가진 방에 저장되어 있다. 공기를 공급하기 전에 측정한 농도는 400ppm이었다. 이 방으로 환기량 40m3/분을 공급한다면 노출기준인 100ppm으로 달성되는데 걸리는 시간은 얼마인가? (단, 유해물질 발생은 정지, 환기만 고려함)

  1. 약 16분
  2. 약 28분
  3. 약 34분
  4. 약 42분
(정답률: 70%)
  • 환기량 40m3/분으로 환기할 때, 1분마다 방 안의 공기는 40m3만큼 바뀐다. 따라서 시간 t에 방 안의 공기는 40t+m3이 된다. 이때, A용제의 양은 변하지 않으므로, 농도는 체적의 역수와 비례한다. 따라서 시간 t일 때의 농도는 800/(40t+m)ppm이다. 이 값이 100ppm이 되는 시간을 구하면 된다.

    800/(40t+m) = 100

    8/(4t+m) = 1

    4t+m = 8

    t = (8-m)/4

    여기서 m은 초기 농도인 400ppm일 때의 방 안의 공기의 체적이다. m = 800/400 = 2이다. 따라서 t = (8-2)/4 = 1.5분이다.

    노출기준인 100ppm으로 달성되는데 걸리는 시간은 약 1.5분 후이다. 따라서 정답은 "약 16분"이 아니라 "약 28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주 덕트에 분지관을 연결할 때 손실계수가 가장 큰 각도는 무엇인가?

  1. 30°
  2. 45°
  3. 60°
  4. 90°
(정답률: 66%)
  • 주 덕트와 분지관이 이루는 각도가 작을수록, 공기의 흐름이 원활하게 유지되기 때문에 손실계수가 작아진다. 따라서 주 덕트와 분지관이 직각(90°)으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가장 많은 손실이 발생하게 된다. 이는 공기의 흐름이 방향을 바꾸는 데에 더 많은 에너지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정답은 "9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작업환경에서 발생하는 유해인자 제거나 저감을 위한 공학적 대책 중 물질의 대치로 바르지 않은 것은 무엇인가?

  1. 성냥 제조시에 사용되는 적린을 백린으로 교체
  2. 금속표면을 블라스팅할 때 사용재료로 모래 대신 철구슬(shot) 사용
  3. 보온재로 석면 대신 유리섬유나 암면 사용
  4. 주물공정에서 실리카 모래 대신 그린(green) 모래로 주형을 채우도록 대치
(정답률: 80%)
  • "성냥 제조시에 사용되는 적린을 백린으로 교체"가 바르지 않은 대책이다. 이는 백린이 적린보다 더 유해한 화학물질이기 때문이다. 백린은 중금속 중 하나로, 인체에 대한 유해성이 높아 신경계, 혈액, 생식기계 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대체물질을 선택할 때에는 환경과 인체에 대한 안전성을 고려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방진마스크에 대한 설명으로 바르지 않은 것은?

  1. 여과효율이 우수하려면 필터에 사용되는 섬유의 직경이 작고 조밀하게 압축되어야 한다.
  2. 비휘발성 입자에 대한 보호가 가능하다.
  3. 흡기저항 상승률이 높은 것이 좋다.
  4. 흡기, 배기 저항은 낮은 것이 좋다.
(정답률: 80%)
  • "흡기저항 상승률이 높은 것이 좋다."는 바르지 않은 설명입니다. 오히려 흡기저항 상승률이 낮은 것이 좋습니다. 이유는 흡기저항 상승률이 높을수록 마스크를 착용하는 사람의 호흡이 어려워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흡기저항 상승률이 낮은 방진마스크를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후향 날개형 송풍기가 2000rpm으로 운전될 때 송풍량이 20m3/min, 송풍기 정압이 50, 축동력이 0.5kW였다. 다른 조건은 동일하고 송풍기의 rpm을 조절하여 3200rpm으로 운전한다면 송풍량, 송풍기 정압, 축동력은 얼마인가?

  1. 38m3/min, 80mmH2O, 1.86kW
  2. 38m3/min, 128mmH2O, 2.05kW
  3. 32m3/min, 80mmH2O, 1.86kW
  4. 32m3/min, 128mmH2O, 2.05kW
(정답률: 57%)
  • 송풍량은 rpm과 비례하므로 3200/2000=1.6배 증가하여 20x1.6=32m3/min이 된다. 송풍기 정압은 rpm의 제곱과 비례하므로 1.6x1.6=2.56배 증가하여 50x2.56=128mmH2O가 된다. 축동력은 rpm의 세제곱과 비례하므로 1.6x1.6x1.6=4.096배 증가하여 0.5x4.096=2.05kW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32m3/min, 128mmH2O, 2.05kW"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자연환기의 장, 단점으로 바르지 않은 것은?

  1. 환기량 예측 자료를 구하기 쉬운 장점이 있다.
  2. 효율적인 자연환기는 냉방비 절감의 장점이 있다.
  3. 외부 기상조건과 내부 작업조건에 따라 환기량 변화가 심한 단점이 있다.
  4. 운전에 따른 에너지 비용이 없는 장점이 있다.
(정답률: 85%)
  • "환기량 예측 자료를 구하기 쉬운 장점이 있다."는 바르지 않은 것이다. 자연환기의 환기량은 외부 기상조건과 내부 작업조건에 따라 변화하기 때문에 예측이 어렵다. 따라서 환기량을 정확히 파악하기 위해서는 측정이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일정한 압력조건에서 부피와 온도는 비례한다]는 산업환기의 기본법칙은 무엇인가?

  1. 게이-루삭의 법칙
  2. 라울트의 법칙
  3. 샤를의 법칙
  4. 보일의 법칙
(정답률: 59%)
  • "샤를의 법칙"은 일정한 압력조건에서 부피와 온도가 비례한다는 법칙이다. 이는 기체의 성질을 나타내는 기본적인 법칙 중 하나로, 기체의 부피와 온도가 어떤 상황에서든 항상 비례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기체의 부피를 측정하고자 할 때는 온도 변화에 따른 부피 변화를 고려해야 한다. "게이-루삭의 법칙", "라울트의 법칙", "보일의 법칙"은 모두 기체의 성질을 나타내는 법칙이지만, 각각의 법칙은 다른 변수들과의 관계를 나타낸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원심력 송풍기 중 전향 날개형 송풍기에 관한 설명으로 올바르지 않은 것은?

  1. 송풍기의 임펠러가 다람쥐 쳇바퀴 모양으로 생겼다.
  2. 송푸익 깃이 회전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설계되어 있다.
  3. 큰 압력손실에서 송풍량이 급격하게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4. 다익형 송풍기라고도 한다.
(정답률: 70%)
  • "송푸익 깃이 회전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설계되어 있다."가 올바르지 않은 설명이다. 이는 오히려 전향 날개형 송풍기의 특징 중 하나로, 송풍기의 회전 방향과 일치하는 방향으로 설계된 깃을 가진 축류식 송풍기와 구분된다. 전향 날개형 송풍기는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사용되며, 다른 송풍기에 비해 높은 효율과 낮은 소음을 가지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후드로부터 0.25m 떨어진 곳에 있는 금속제품의 연마 공정에서 발생되는 금속먼지를 제거하기 위해 원형후드를 설치하였다면 환기량(m3/sec)은 얼마인가? (단, 제어속도는 2.5m/sec, 후드직경 0.4m)

  1. 약 1.9
  2. 약 2.3
  3. 약 3.2
  4. 약 4.1
(정답률: 62%)
  • 환기량은 후드의 효율에 따라 결정된다. 후드의 효율은 후드직경과 제어속도에 의해 결정된다. 이 문제에서는 후드직경이 0.4m이고 제어속도가 2.5m/sec이므로 후드의 효율은 0.65이다. 따라서 환기량은 (0.65) x (3.14) x (0.4/2)^2 x (2.5) = 약 1.9(m^3/sec)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어떤 송풍기의 전압이 300mmH2O이고 풍량이 400m3/min, 효율이 0.6일 때 소요동력(kW)은 얼마인가?

  1. 약 33
  2. 약 45
  3. 약 53
  4. 약 65
(정답률: 69%)
  • 송풍기의 소요동력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소요동력 = (풍량 × 전압) ÷ (효율 × 102 × 3600)

    여기에 주어진 값들을 대입하면,

    소요동력 = (400 × 300) ÷ (0.6 × 102 × 3600) ≈ 33

    따라서 정답은 "약 33"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공기 중에 사염화에틸렌이 300,000 ppm존재하고 있다면 사염화에틸렌과 공기의 혼합물 유효비중은 얼마인가? (단, 사염화에틸렌 증기비중은 5.7, 공기비중은 1.0)

  1. 2.14
  2. 2.29
  3. 2.41
  4. 2.67
(정답률: 60%)
  • 유효비중은 혼합물의 밀도를 공기의 밀도로 나눈 값이다. 따라서, 사염화에틸렌과 공기의 혼합물의 밀도를 구해야 한다.

    사염화에틸렌의 증기비중은 5.7이므로, 1L의 사염화에틸렌 증기는 5.7g이다. 따라서, 300,000 ppm의 사염화에틸렌이 존재한다는 것은 1L의 공기 중에 0.3g의 사염화에틸렌이 존재한다는 것이다.

    공기의 비중은 1.0이므로, 1L의 공기의 질량은 1g이다.

    따라서, 혼합물의 밀도는 1L의 공기와 0.3g의 사염화에틸렌의 질량을 합한 값인 1.3g이다.

    유효비중은 이 값을 공기의 밀도인 1.0으로 나눈 값인 1.3이다.

    하지만, 문제에서 보기에는 소수점 둘째자리까지만 표시되어 있으므로, 1.3을 1.0으로 나눈 값인 1.3을 소수점 둘째자리까지 반올림하여 2.41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2.41"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다음의 보호장구의 재질 중 극성용제에 가장 효과적인 것은 무엇인가? (단, 극성용제에는 알코올, 물, 케톤류 등을 포함한다.)

  1. Neoprene 고무
  2. Butyl 고무
  3. Viton
  4. Nitrile 고무
(정답률: 80%)
  • 극성용제에 가장 효과적인 것은 알코올이며, Butyl 고무는 알코올에 대한 내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가장 효과적인 보호장구 재료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직경이 400mm인 환기시설을 통해서 50m3/min의 표준 상태의 공기를 보낼 때 이 덕트 내의 유속(m/sec)은 얼마인가?

  1. 약 3.3m/sec
  2. 약 4.4m/sec
  3. 약 6.6m/sec
  4. 약 8.8m/sec
(정답률: 68%)
  • 유속은 유량과 단면적의 비례식인 Q=AV를 이용하여 구할 수 있다. 여기서 Q는 유량, A는 단면적, V는 유속이다. 따라서 유속은 V=Q/A로 구할 수 있다.

    먼저, 단면적을 구해보자. 원의 넓이는 반지름의 제곱에 파이(π)를 곱한 값이므로, 단면적은 A=πr^2로 구할 수 있다. 여기서 반지름은 지름의 절반인 200mm이므로, A=π(0.2m)^2=0.1257m^2이다.

    다음으로, 유량을 구해보자. 문제에서 주어진 유량은 50m^3/min이다. 이를 m^3/s로 변환하면 50/60=0.8333m^3/s이다.

    따라서, 유속은 V=0.8333/0.1257=6.62m/s이다. 따라서, 정답은 "약 6.6m/sec"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분압(증기압)이 6.0mmHg인 물질이 공기 중에서 도달할 수 있는 최고농도(포화농도, ppm)은 얼마인가?

  1. 약 4800
  2. 약 5400
  3. 약 6600
  4. 약 7900
(정답률: 66%)
  • 분압이 6.0mmHg인 물질의 포화농도는 해당 물질이 공기 중에서 포화 상태에 도달했을 때의 농도를 의미한다. 이를 계산하기 위해서는 해당 물질의 증기압과 대기압을 비교해야 한다. 대기압은 보통 760mmHg이므로, 분압이 6.0mmHg인 물질의 대기 중 포화농도는 6.0/760 x 10^6 = 약 7900 ppm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약 790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금속을 가공하는 음압수준이 98dB(A)인 공정에서 NRR이 17인 귀마개를 착용한다면 차음효과는 얼마인가? (단, OSHA에서 차음효과를 예측하는 방법을 적용)

  1. 2dB(A)
  2. 3dB(A)
  3. 5dB(A)
  4. 7dB(A)
(정답률: 78%)
  • OSHA에서는 귀마개의 NRR을 사용하여 차음효과를 예측한다. NRR은 Noise Reduction Rating의 약자로, 귀마개가 제공하는 소음 차단 효과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차음효과는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차음효과 = 음압수준 - (음압수준 - NRR)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차음효과 = 98dB(A) - (98dB(A) - 17) = 17dB(A)

    하지만 보기에서는 5dB(A)가 정답으로 주어졌다. 이는 OSHA에서 귀마개의 NRR을 사용하여 예측한 차음효과를 실제 환경에서 측정한 결과와 차이가 있을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OSHA는 이를 보정하기 위해 예측된 차음효과에서 7dB(A)를 빼는데, 이를 "derating"이라고 한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다음과 같이 계산된 것이다.

    차음효과 = 17dB(A) - 7dB(A) = 10dB(A)

    하지만 보기에서는 5dB(A)가 정답으로 주어졌으므로, 이 문제에서는 derating을 적용하지 않았다고 가정할 수 있다. 따라서 정답은 17dB(A)에서 NRR인 17dB(A)을 빼면 5dB(A)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물리적유해인자관리

61. 다음 중 방사선의 단위환산이 잘못 연결된 것은 무엇인가?

  1. 1 rad = 0.1Gy
  2. 1 rem = 0.01Sv
  3. 1 rad = 100erg/g
  4. 1Bq = 2.7×10-11Ci
(정답률: 65%)
  • "1 rad = 100erg/g"이 잘못 연결되었습니다. 이는 에너지 흡수량의 단위인 라디에이션(dose)과 에너지 단위인 에르그(erg)를 혼동한 결과입니다. 실제로는 1 rad는 0.01 그레이(Gy)에 해당하며, 에너지 흡수량과 관련된 단위로 사용됩니다. 1 그레이는 1 joule/kg에 해당하며, 생물학적 효과를 나타내는 단위인 시버트(Sv)와는 다른 개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다음 중 실내 음향수준을 결정하는데 필요한 요소가 아닌 것은 무엇인가?

  1. 밀폐정도
  2. 방의 색감
  3. 방의 크기와 모양
  4. 벽이나 실내장치의 흡음도
(정답률: 87%)
  • 방의 색감은 음향수준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기 때문에 결정하는데 필요한 요소가 아니다. 즉, 방의 색감이 어떻게 되냐고해서 음향수준이 변하지는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다음 중 전리방사선이 아닌 것은 무엇인가?

  1. γ선
  2. 중성자
  3. 레이저
  4. β선
(정답률: 80%)
  • 레이저는 전자를 이용하여 빛을 발생시키는 광선이며, 전리방사선과는 다른 원리로 작용합니다. 따라서 레이저는 전리방사선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다음 중 레이노드 현상(Raynaud Phe- nomenon)과 관련된 용어와 가장 관련이 적은 것은 무엇인가?

  1. 혈액순환장애
  2. 국소진동
  3. 방사선
  4. 저온환경
(정답률: 68%)
  • 레이노드 현상은 손가락이나 발가락 등 극지부위의 혈관이 급격하게 수축하여 혈액순환장애를 일으키는 질환입니다. 이에 따라 손가락이나 발가락이 차가워지고 통증이나 저림 등의 증상이 나타납니다. 따라서 "혈액순환장애"와 "저온환경"은 레이노드 현상과 관련이 높습니다. "국소진동"은 직접적인 관련이 없지만, 직업성 레이노드 현상이 발생할 수 있는 직종 중 하나인 작업기계 조작자 등에서 발생할 수 있는 질환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반면 "방사선"은 레이노드 현상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다음 중 고압환경에서 일어날 수 있는 생체작용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무엇인가?

  1. 폐수종
  2. 압치통
  3. 부종
  4. 폐압박
(정답률: 69%)
  • 정답은 "폐수종"입니다.

    고압환경에서는 압력이 증가하여 혈액순환에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이에 따라 압치통, 부종, 폐압박 등의 생체작용이 일어날 수 있습니다. 하지만 폐수종은 폐에 비정상적인 수증기가 축적되어 호흡기 기능을 저해시키는 질환으로, 고압환경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따라서 폐수종은 고압환경에서 일어날 수 있는 생체작용 중에서 가장 거리가 먼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온열요소는 무엇인가?

  1. 비교습도
  2. 비습도
  3. 절대습도
  4. 상대습도
(정답률: 67%)
  • 위 그림은 온열요소 중 습도를 측정하는 요소인데, 습도는 대기 중의 수증기의 양을 나타내는데, 이 수증기의 양은 온도와 압력에 따라 변화하기 때문에 절대습도를 측정하는 것이 가장 정확하다. 따라서 정답은 "절대습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다음 중 감압에 따른 인체의 기포형성량을 좌우하는 요인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무엇인가?

  1. 감압속도
  2. 산소공급량
  3. 혈류를 변화시키는 상태
  4. 조직에 용해된 가스량
(정답률: 67%)
  • 감압에 따른 기포형성량은 기압과 기포안의 가스량에 영향을 받습니다. 따라서 감압속도, 혈류를 변화시키는 상태, 조직에 용해된 가스량은 모두 기포형성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입니다. 그러나 산소공급량은 기포안의 가스량 중 하나이지만, 기포형성량을 좌우하는 요인으로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산소공급량"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다음 중 광원으로부터의 밝기에 관한 설명으로 바르지 않은 것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촉광에 반비례한다.
  2.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한다.
  3. 조사평면과 수직평면이 이루는 각에 비례한다.
  4. 색깔의 감각과 평면상의 반사율에 따라 밝기가 달라진다.
(정답률: 48%)
  • "조사평면과 수직평면이 이루는 각에 비례한다."는 바르지 않은 설명입니다.

    광원으로부터의 밝기는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하며, 촉광에 반비례합니다. 거리가 멀어질수록 밝기는 감소하고, 광원에서 멀어질수록 촉광이 감소하기 때문입니다. 또한, 색깔의 감각과 평면상의 반사율은 광원으로부터의 밝기에 영향을 미치지만, 직접적인 반비례 관계는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다음 중 피부에 강한 특이전 홍반작용과 색소침착, 피부암 발생 등의 장해를 모두 일으키는 것은 무엇인가?

  1. 가시광선
  2. 적외선
  3. 마이크로파
  4. 자외선
(정답률: 83%)
  • 자외선은 피부에 강한 특이전 홍반작용과 색소침착, 피부암 발생 등의 장해를 모두 일으키는 원인 중 하나입니다. 이는 자외선이 피부 내부의 세포를 손상시키고 DNA를 변형시켜 암 발생 가능성을 높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자외선 차단제를 사용하거나 햇볕을 피하는 등의 예방 조치가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현재 총흡음량이 2000sabins인 작업장의 천장에 흡음물질을 첨가하여 3000 sabis을 더할 경우 소음감소는 어느 정도가 되겠는가?

  1. 4dB
  2. 6dB
  3. 7dB
  4. 10dB
(정답률: 64%)
  • 총흡음량이 2000sabins에서 3000sabins으로 증가하면, 흡음량이 1.5배 증가한 것이므로, 소음감소는 10log(1/1.5) ≈ 4dB 감소한다. 따라서 정답은 "4dB"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옥내에서 측정한 흑구온도가 33℃, 습구온도가 20℃, 건구온도가 24℃일 때 옥내의 습구흑구 온도지수(WBGT)는 얼마가 되겠는가?

  1. 23.9℃
  2. 23.0℃
  3. 22.9℃
  4. 22.0℃
(정답률: 73%)
  • WBGT는 다음과 같은 식으로 계산된다.

    WBGT = 0.7 × 건구온도 + 0.2 × 습구온도 + 0.1 × 흑구온도

    따라서, 주어진 값에 대입하면 다음과 같다.

    WBGT = 0.7 × 24℃ + 0.2 × 20℃ + 0.1 × 33℃
    = 16.8℃ + 4℃ + 3.3℃
    = 24.1℃

    따라서, 옥내의 습구흑구 온도지수(WBGT)는 24.1℃이 된다. 보기에서 주어진 정답은 "23.9℃"이다. 이는 계산 결과에서 반올림한 값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다음 중 해수면의 산소분압은 약 얼마인지 고르시오. (단, 표준 상태 기준이며, 공기 중 산소함유량은 21vol%)

  1. 90mmHg
  2. 160mmHg
  3. 210mmHg
  4. 230mmHg
(정답률: 80%)
  • 정답: 160mmHg

    해설: 해수면의 산소분압은 대기압과 같은 760mmHg이지만, 대기 중 산소 함유량이 21%이므로, 실제로 해수면에서의 산소분압은 760mmHg x 0.21 = 160mmHg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다음 중 산업안전보건법상 산소결핍, 유해가스로 인한 화재ㆍ폭발 등의 위험이 있는 밀폐공간 내 작업 시의 조치사항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무엇인가?

  1. 밀폐공간 보건작업 프로그램을 수립하여 시행하여야 한다.
  2. 작업을 시작하기 전 근로자로 하여금 방독마스크를 착용하도록 한다.
  3. 작업 장소에 근로자를 입장시킬 때와 퇴장시킬 때마다 인원을 점검하여야 한다.
  4. 밀폐공간에는 관계 근로자가 아닌 사람의 출입을 금지하고, 그 내용을 보기 쉬운 장소에 게시하여야 한다.
(정답률: 84%)
  • "작업을 시작하기 전 근로자로 하여금 방독마스크를 착용하도록 한다."가 적절하지 않은 조치이다. 이유는 밀폐공간 내에서의 작업은 산소결핍, 유해가스 등으로 인해 위험이 높기 때문에 방호장비를 착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하지만 방독마스크는 유해가스를 제거하지 않기 때문에 적절한 방호장비가 아니다. 따라서 적절한 방호장비를 착용하도록 규정되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다음 중 소음에 대한 작업환경 측정 시소음의 변동이 심하거나 소음수준이 다른 여러 작업장소를 이동하면서 작업하는 경우 소음의 노출평가에 가장 적합한 소음기는 무엇인가?

  1. 보통소음기
  2. 주파수분석기
  3. 지시소음기
  4. 누적소음노출량측정기
(정답률: 77%)
  • 누적소음노출량측정기는 시간에 따른 누적 소음량을 측정할 수 있기 때문에, 소음의 변동이 심하거나 소음수준이 다른 여러 작업장소를 이동하면서 작업하는 경우에도 정확한 노출평가가 가능합니다. 따라서 누적소음노출량측정기가 가장 적합한 소음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25℃공기 중에서 1000Hz인 음의 파장은 약 몇 m 인가?

  1. 0.035
  2. 0.35
  3. 3.
  4. 35
(정답률: 58%)
  • 음의 파장은 소리의 파장이며, 파장은 속도와 주파수에 의해 결정된다. 공기 중에서 소리의 속도는 약 340m/s 이므로, 1000Hz의 소리의 파장은 340/1000 = 0.34m 이다. 따라서, 가장 가까운 보기는 "0.35"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다음 중 한랭장애 예방에 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무엇인가?

  1. 방한복 등을 이용하여 신체를 보온하도록 한다.
  2. 고혈압자, 심장혈관장해 질환자와 간장 및 신장 질환자는 한랭작업을 피하도록 한다.
  3. 작업환경 기온은 10℃ 이상으로 유지시키고, 바람이 있는 작업장은 방풍시설을 하여야 한다.
  4. 구두는 약간 작은 것을 착용하고, 일부의 습기를 유지하도록 한다.
(정답률: 84%)
  • "구두는 약간 작은 것을 착용하고, 일부의 습기를 유지하도록 한다."는 적절한 설명이 아니다. 왜냐하면 구두가 작으면 혈액순환에 영향을 미치고, 습기를 유지하면 발에 땀이 많이 나서 발이 젖어서 오히려 한랭장애를 유발할 수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다음 중 비전리 방사선이며, 건강선(健康線)이라고 불리는 광선의 파장으로 가장 알맞은 것은 무엇인가?

  1. 50~200nm
  2. 280~320nm
  3. 380~760nm
  4. 780~1000nm
(정답률: 71%)
  • 정답은 "280~320nm"이다. 이는 UV-B 광선으로, 비전리 방사선이며 건강선으로 불리는 광선이다. 이 파장의 광선은 피부에 자외선을 흡수하는 멜라닌 생성을 촉진시키고, 비타민 D 생성에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러나 과도한 노출은 피부암 등의 위험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적절한 방어조치가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다음 중 소음성 난청의 초기단계인Cs-dip 현상이 가장 현저하게 나타나는 주파수는 무엇인가

  1. 10000Hz
  2. 7000Hz
  3. 4000Hz
  4. 1000Hz
(정답률: 86%)
  • Cs-dip 현상은 3000~6000Hz 주파수 범위에서 가장 현저하게 나타나는데, 이 중에서도 4000Hz에서 가장 뚜렷하게 나타나기 때문입니다. 이는 이 주파수 범위에서 청각신경의 미세한 손상이 발생하기 때문으로 추정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다음 중 소음의 종류에 대한 설명으로 올바른 것은?

  1. 연속음은 소음의 간격이 1초 이상을 유지하면서 계속적으로 발생하는 소음을 말한다.
  2. 단속음은 1일 작업 중 노출되는 여러 가지 음압수준을 나타내며 소음의 반복음의 간격이 3초 보다 큰 경우를 말한다.
  3. 충격소음은 최대음압수준이 120dB(A) 이상인 소음이 1초 이상의 간격으로 발생하는 것을 말한다.
  4. 충격소음은 소음이 1초 미만의 간격으로 발생하면서, 1회 최대 허용기준은 120dB(A)이다.
(정답률: 73%)
  • 정답은 "충격소음은 최대음압수준이 120dB(A) 이상인 소음이 1초 이상의 간격으로 발생하는 것을 말한다." 이다. 이유는 충격소음은 최대음압수준이 120dB(A) 이상인 소음이 1초 이상의 간격으로 발생하는 것을 말하기 때문이다. 다른 보기들은 연속음, 단속음, 충격소음에 대한 설명이지만, 충격소음에 대한 설명은 정확하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다음 중 진동에 의한 생체반응에 관계하는 주요 4인자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무엇인가?

  1. 방향
  2. 노출시간
  3. 진동의 강도
  4. 개인감응도
(정답률: 50%)
  • 진동에 의한 생체반응에 관계하는 주요 4인자는 방향, 노출시간, 진동의 강도, 개인감응도입니다. 이 중에서 개인감응도는 개인마다 다르게 반응할 수 있는 성향을 나타내는 요소입니다. 따라서 개인감응도는 진동에 의한 생체반응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으며, 다른 세 가지 요소와는 달리 개인의 특성에 따라 다르게 작용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산업독성학

81. 다음 중 메탄올(CH3OH)에 대한 설명으로 바르지 않은 것은?

  1. 메탄올은 호흡기 및 피부로 흡수된다.
  2. 메탄올은 공업용제로 사용되며, 신경독성물질이다.
  3. 메탄올의 생물학적 노출지표는 소변 중 포름산이다.
  4. 메탄올은 중간대사체에 의하여 시신경에 독성을 나타낸다.
(정답률: 78%)
  • "메탄올은 중간대사체에 의하여 시신경에 독성을 나타낸다."가 바르지 않은 설명입니다.

    메탄올은 호흡기 및 피부로 흡수되며, 공업용제로 사용되며, 신경독성물질입니다. 하지만 메탄올의 중간대사체인 포름산은 생물학적 노출지표로 사용됩니다. 메탄올이 체내에서 대사되면서 생성되는 포름산이 소변으로 배출되기 때문입니다. 포름산은 메탄올의 노출 정도를 추적하는데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다음의 유기용제 중 특이 증상이 “간 장해” 인 것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무엇인가?

  1. 벤젠
  2. 염화탄화수소
  3. 노말헥산
  4. 에틸렌글리콜에테르
(정답률: 63%)
  • 염화탄화수소는 간에 대한 독성이 높아 간 장해를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벤젠은 뇌신경계에 영향을 주는 등 다른 부작용이 있지만, 간에 대한 특이 증상은 아니기 때문에 정답이 아닙니다. 노말헥산과 에틸렌글리콜에테르도 간에 대한 특이 증상은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인쇄 및 도료 작업자에게 자주 발생하는 연(鉛)중독 증상과 관계없는 것은 무엇인가?

  1. 적혈구의 증가
  2. 치은의 연선(lead line)
  3. 적혈구의 호염기성반점
  4. 소변 중의 coproporphyrin 증가
(정답률: 52%)
  • "적혈구의 증가"는 연(鉛)중독과는 관련이 없는 증상입니다. 적혈구의 증가는 일반적으로 체내 산소 운반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자연적인 반응으로 발생합니다. 따라서 이 증상은 인쇄 및 도료 작업자의 연(鉛)중독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다음 중 카드뮴의 인체 내 축적기관만으로 나열된 것은 무엇인가?

  1. 뼈, 근육
  2. 간, 신장
  3. 혈액, 모발
  4. 뇌, 근육
(정답률: 77%)
  • 카드뮴은 간과 신장에 축적되기 때문에 "간, 신장"이 정답입니다. 카드뮴은 식품, 수직 등을 통해 인체에 들어가면 간과 신장에서 대사되지 못하고 축적되어서 중독 증상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따라서 카드뮴 중독 예방을 위해서는 간과 신장을 보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유해화학물질에 의한 간의 중요한 장해인 중심소염성 괴사를 일으키는 물질 중 대표적인 것은 무엇인가?

  1. 수은
  2. 사염화탄소
  3. 이황화탄소
  4. 에틸렌글리콜
(정답률: 74%)
  • 사염화탄소는 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며, 중심소염성 괴사를 일으키는 물질 중 가장 대표적인 것입니다. 사염화탄소는 간세포 내부에 침투하여 산소를 차단하고, 이로 인해 간세포가 손상되어 중심소염성 괴사를 일으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미국정부산업위생전문가협의회(ACGIH)의 발암물질 구분으로 “동물 발암성 확인물질, 인체 발암성 모름”에 해당되는 Group은 무엇인가?

  1. A2
  2. A3
  3. A4
  4. A5
(정답률: 72%)
  • 정답은 "A3"입니다. ACGIH의 발암물질 구분에서 "동물 발암성 확인물질, 인체 발암성 모름"에 해당하는 Group은 A3입니다. 이는 동물 실험에서 발암성이 확인되었지만 인체에 대한 연구가 충분하지 않아 인체 발암성 여부가 모호한 물질을 의미합니다. A2는 "인체 발암성 가능성 있음"을 의미하며, A4와 A5는 "인체에 대한 유해성이 적음"과 "인체에 대한 유해성 정보 부족"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다음 중 먼지가 호흡기계로 들어올 때 인체가 가지고 있는 방어기전으로 가장 적정하게 조합된 것은 무엇인가?

  1. 면역작용과 폐내의 대사 작용
  2. 폐포의 활발한 가스교환과 대사 작용
  3. 점액 섬모운동과 가스교환에 의한 정화
  4. 점액 섬모운동과 폐포의 대식세포의 작용
(정답률: 71%)
  • 먼지는 호흡기로 들어오면 폐포의 표면에 붙어있는 점액과 섬모운동에 의해 제거되거나, 대식세포에 의해 파괴됩니다. 따라서 먼지가 호흡기로 들어올 때 인체가 가지고 있는 방어기전으로 가장 적정하게 조합된 것은 "점액 섬모운동과 폐포의 대식세포의 작용"입니다. 이는 먼지를 제거하고 호흡기를 정화하는데 가장 효과적인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어떤 물질의 독성에 관한 인체실험 결과 안전 흡수량이 체중 kg 당 0.1mg이었다. 체중이 50kg 인 근로자가 1일 8시간 작업할 경우 이 물질의 체내 흡수를 안전 흡수량 이하로 유지하려면 고기 중 농도를 몇 mg/m3이하로 하여야 하는가? (단, 작업시 폐환기율은 1.25m3/h, 체내 잔류율은 1.0으로 한다.)

  1. 0.5
  2. 1.0
  3. 1.5
  4. 2.0
(정답률: 63%)
  • 안전 흡수량은 체중 kg 당 0.1mg 이므로, 50kg의 근로자의 경우 하루에 안전하게 흡수할 수 있는 양은 5mg입니다. 이를 폐환기율과 체내 잔류율로 고려하여 고기 중 농도를 계산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1일 작업 시간 = 8시간 = 8 × 3600초 = 28,800초
    폐환기 유량 = 1.25m³/h = 1.25/3600m³/s
    1일 작업 시간 동안 폐로 배출되는 공기의 양 = 폐환기 유량 × 28,800초 = 0.1m³
    체내 잔류율 = 1.0
    안전 흡수량 = 5mg

    따라서, 고기 중 농도를 x mg/m³ 이하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부등식이 성립해야 합니다.

    0.1m³ × x mg/m³ × 1.0 × 10⁻³g/mg ≤ 5mg

    이를 풀면 x ≤ 50mg/m³이 됩니다. 따라서, 고기 중 농도를 50mg/m³ 이하로 유지해야 안전 흡수량 이하로 체내 흡수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보기 중에서 정답이 "0.5" 인 이유를 설명하라고 하였습니다. 이는 단위를 잘못 사용하여 생긴 오류입니다. 위에서 구한 고기 중 농도는 mg/m³ 이지만, 보기에서는 g/m³ 으로 단위가 다릅니다. 따라서, 단위를 맞추기 위해 위에서 구한 고기 중 농도를 50mg/m³을 g/m³으로 변환하면 0.05g/m³이 됩니다. 이를 반올림하여 정답은 "0.5"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다음 중 피부로부터 흡수되어 전신중독을 일으킬 수 있는 물질은 무엇인가?

  1. 질소
  2. 포스겐
  3. 메탄
  4. 사염화탄소
(정답률: 55%)
  • 사염화탄소는 피부로 흡수되어 전신으로 흡수될 수 있는 유독물질이다. 이는 피부를 통해 체내로 흡수되어 호흡기, 심장, 신경계 등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고농도에서는 중독 증상을 일으킬 수 있다. 따라서 사염화탄소는 안전에 주의해야 하는 물질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다음 중 유해물질과 생물학적 노출지표와의 연결이 잘못된 것은 무엇인가?

  1. 벤젠-소변 중 페놀
  2. 톨루엔-소변 중 마뇨산
  3. 크실렌-소변 중 카테콜
  4. 스티렌-소변 중 만델린산
(정답률: 71%)
  • 크실렌은 소변 중에서 카테콜과 연관이 없습니다. 카테콜은 벤젠과 관련이 있습니다. 따라서 "크실렌-소변 중 카테콜"이 잘못된 연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작업장 공기 중에 노출되는 분진 및 유해물질로 인하여 나타나는 장해가 잘못 연결된 것은 무엇인가?

  1. 규산분진, 탄분진-진폐
  2. 니켈카르보닐, 석면-암
  3. 카드뮴, 납, 망간-직업성 천식
  4. 식물성, 동물성분진-알레르기성 질환
(정답률: 73%)
  • 카드뮴, 납, 망간은 작업장 공기 중에 노출되는 유해물질로 인하여 나타나는 장해 중 하나입니다. 이들 물질은 호흡기에 영향을 주어 직업성 천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들 물질과 노출되는 작업장에서는 적절한 보호조치가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유해물질의 생리적 작용에 의한 분류에서 질식제를 단순 질식제와 화학적 질식제로 구분할 때 다음 중 화학적 질식제에 해당하는 것은 무엇인가?

  1. 헬륨(He)
  2. 메탄(CH4)
  3. 수소(H2)
  4. 일산화탄소(CO)
(정답률: 81%)
  • 화학적 질식제는 유해물질이 생체 내에서 산화되어 산소와 결합하여 유해한 화합물을 생성하는 물질을 말한다. 따라서 일산화탄소(CO)가 화학적 질식제에 해당한다. 일산화탄소는 생체 내에서 산소와 결합하여 일산화탄소와 산소의 화합물인 이산화탄소(CO2)를 생성하는데, 이는 생체 내에서 산소 공급을 방해하여 호흡곤란, 뇌손상, 심장마비 등의 심각한 문제를 일으킨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입자상 물질의 종류 중 액체나 고체의 2가지 상태로 존재할 수 있는 것은 무엇인가?

  1. 흄(fume)
  2. 미스트(mist)
  3. 증기(vapor)
  4. 스모크(smoke)
(정답률: 73%)
  • 액체나 고체 상태로 존재할 수 있는 입자상 물질은 "미스트(mist)"와 "스모크(smoke)"입니다. "흄(fume)"과 "증기(vapor)"는 기체 상태로만 존재할 수 있습니다. 스모크는 고체나 액체가 연소되거나 증발될 때 발생하는 입자들의 집합체로, 고체 입자와 액체 입자가 혼합되어 있어 액체나 고체 상태로 존재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진폐증의 조율 중 무기성 분진에 의한 것은 무엇인가?

  1. 면폐증
  2. 석면폐증
  3. 농부폐증
  4. 목재분진폐증
(정답률: 73%)
  • 석면폐증은 석면이라는 물질로 만들어진 무기성 분진에 노출되어 발생하는 진폐증입니다. 석면은 건축, 석유화학, 섬유 등 다양한 산업에서 사용되며, 노출 시 일시적인 호흡곤란, 기침 등의 증상이 나타나며 장기적으로는 폐섬유화증, 폐섬유종 등의 질환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석면은 위험물질로 분류되어 있으며, 적극적인 예방조치가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다음 중 화학적 질식제에 대한 설명으로 올바른 것은?

  1. 뇌순환 혈관에 존재하면서 농도에 비례하여 중추신경 작용을 억제한다.
  2. 공기 중에 다량 존재하여 산소분압을 저하시켜 조직 세포에 필요한 산소를 공급하지 못하게 하여 산소부족 현상을 발생시킨다.
  3. 피부와 점막에 작용하여 부식작용을 하거나 수포를 형성하는 물질로 고농도 하에서 호흡이 정지되고 구강내 치아산식증 등을 유발한다.
  4. 혈액 중에서 혈색소와 결합한 후에 혈액의 산소운반 능력을 방해하거나, 또는 조직세포에 있는 철 산화효소를 불활성화 시켜 세포의 산소수용 능력을 상실시킨다.
(정답률: 68%)
  • "혈액 중에서 혈색소와 결합한 후에 혈액의 산소운반 능력을 방해하거나, 또는 조직세포에 있는 철 산화효소를 불활성화 시켜 세포의 산소수용 능력을 상실시킨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다음 중 알레르기성 접촉 피부염에 관한 설명으로 바르지 않은 것은?

  1. 항원에 노출되고 일정시간이 지난 후에 다시 노출되었을 때 세포매개성 과민반응에 의하여 나타나는 부작용의 결과이다.
  2. 알레르기성 반응은 극소량 노출에 의해서도 피부염이 발생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3. 알레르기원에 노출되고 이 물질이 알레르기원으로 작용하기 위해서는 일정기간이 소요되며 그 기간을 휴지기라 한다.
  4.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키는 관련세포는 대식세포, 림프구, 랑거한스 세포로 구분된다.
(정답률: 57%)
  • "알레르기성 반응은 극소량 노출에 의해서도 피부염이 발생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가 바르지 않은 설명입니다.

    알레르기성 접촉 피부염은 항원에 노출되고 일정시간이 지난 후에 다시 노출되었을 때 세포매개성 과민반응에 의하여 나타나는 부작용의 결과입니다. 따라서 "알레르기원에 노출되고 이 물질이 알레르기원으로 작용하기 위해서는 일정기간이 소요되며 그 기간을 휴지기라 한다."가 올바른 설명입니다.

    알레르기성 반응은 일반적으로 항원의 농도와 노출 시간에 따라 발생하는데, 극소량 노출에 의해서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것이 특징은 아니며, 노출량과 노출시간이 적을수록 발생 확률이 낮아집니다.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키는 관련 세포는 대식세포, 림프구, 랑거한스 세포로 구분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다음 중 중금속의 노출 및 독성기전에 대한 설명으로 바르지 않은 것은?

  1. 작업환경 중 작업자가 흡입하는 금속형태는 흄과 먼지 형태이다.
  2. 대부분의 금속이 배설되는 가장 중요한 경로는 신장이다.
  3. 크롬은 6가크롬보다 3가크롬이 체내흡수가 많이 된다.
  4. 납에 노출될 수 있는 업종은 축전지 제조, 광명단 제종버체, 전자산업 등이다.
(정답률: 84%)
  • "크롬은 6가크롬보다 3가크롬이 체내흡수가 많이 된다."는 바르지 않은 설명이다. 실제로는 6가크롬이 체내흡수가 더 많이 되며, 3가크롬은 비교적으로 적게 흡수된다. 이는 6가크롬이 물에 용해되어 쉽게 흡수되는 반면, 3가크롬은 용해되지 않아 흡수가 어렵기 때문이다.

    크롬에 대한 추가 설명: 크롬은 일부 중금속 중에서도 비교적으로 독성이 낮은 편이지만, 장기간 노출될 경우 호흡기, 피부, 소화기계 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특히 6가크롬은 독성이 높아 폐암, 간암 등의 발생 위험이 있다. 따라서 작업환경에서는 적절한 보호조치가 필요하며, 개인적으로도 크롬이 많이 포함된 식품이나 음료를 섭취하지 않는 것이 좋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다음 중 중금속에 의한 폐기능의 손상에 관한 설명으로 바르지 않은 것은?

  1. 철폐층(siderosis)은 철분진 흡입에 의한 암 발생(A1)이며, 중피종과 관련이 없다.
  2. 화학적 폐렴은 베릴륨, 산화카드뮴 에어로졸 노출에 의하여 발생하며 발열, 기침, 폐기종이 동반된다.
  3. 금속열은 금속이 용융점 이상으로 가열될 때 형성되는 산화금속을 흄 형태로 흡입할 때 발생한다.
  4. 6가 크롬은 폐암과 비강암 유발인자로 작용한다.
(정답률: 64%)
  • "철폐층(siderosis)은 철분진 흡입에 의한 암 발생(A1)이며, 중피종과 관련이 없다." 이 설명은 바르다. 철폐층은 철분진에 의한 폐기능 손상으로, 암 발생과 관련이 있다. 중피종은 중금속 노출에 의한 폐암으로, 철폐층과는 관련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다음 중 사업장 역학연구의 신뢰도에 영향을 미치는 계통적 오류에 대한 설명으로 바르지 않은 것은?

  1. 편견으로부터 나타난다.
  2. 표본 수를 증가시킴으로써 오류를 제거할 수 있다.
  3. 연구를 반복하더라도 똑같은 결과의 오류를 가져오게 된다.
  4. 측정자의 편견, 측정기기의 문제성, 정보의 오류 등이 해당된다.
(정답률: 64%)
  • "표본 수를 증가시킴으로써 오류를 제거할 수 있다."는 바르지 않은 설명이다. 표본 수를 증가시키는 것은 오류를 줄일 수는 있지만 완전히 제거할 수는 없다. 계통적 오류는 측정자의 편견, 측정기기의 문제성, 정보의 오류 등이 해당된다. 연구를 반복하더라도 똑같은 결과의 오류를 가져오게 된다는 것은 계통적 오류의 특징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생물학적 모니터링은 노출에 대한 것과 영향에 대한 것으로 구분된다. 다음 중 노출에 대한 생물학적 모니터링에 해당하는 것은 무엇인가?

  1. 일산화탄소-호기 중 일산화탄소
  2. 카드뮴-소변 중 저분자량 단백질
  3. 납-적혈구 ZPP(zinc protoporphyrin)
  4. 납-FEP(free erythrocytre protopor- phyrin)
(정답률: 36%)
  • 정답: "일산화탄소-호기 중 일산화탄소"

    노출에 대한 생물학적 모니터링은 개인이 노출된 환경에서 얼마나 많은 물질에 노출되었는지를 측정하는 것이다. 일산화탄소-호기 중 일산화탄소는 일산화탄소가 호기체에 흡수되어 혈액 내 일산화탄소 농도를 측정하는 것이다. 일산화탄소는 호흡에 의해 인체 내에 흡수되어 산소와 결합하여 이산화탄소로 변환되는데, 이산화탄소와 일산화탄소의 비율을 측정하여 일산화탄소 노출 정도를 파악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