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위생관리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8-04-28)

산업위생관리기사
(2018-04-28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산업위생학개론

1. 미국산업위생학술원(AAIH)에서 채택한 산업위생전문가로서의 책임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직업병을 평가하고 관리한다.
  2. 성실성과 학문적 실력에서 최고 수준을 유지한다.
  3. 과학적 방법의 적용과 자료 해석의 객관성 유지
  4. 전문분야로서의 산업위생을 학문적으로 발전시킨다.
(정답률: 85%)
  • "직업병을 평가하고 관리한다."는 산업위생전문가의 주요 업무 중 하나이며, 직업환경에서 발생하는 유해물질에 노출된 근로자들의 건강상태를 평가하고 예방 및 관리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이는 산업위생전문가로서의 책임에 해당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산업안전보건법상 작업장의 체적이 150m3 이면 납의 1시간당 허용소비량(1시간당 소비하는 관리대상유해물질의 양)은 얼마인가?

  1. 1g
  2. 10g
  3. 15g
  4. 30g
(정답률: 51%)
  • 산업안전보건법 제20조에 따르면, 작업장 내 유해물질의 농도는 일정 수준 이하로 유지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 허용된 소비량이 정해져 있다.

    납의 경우, 허용농도는 0.05mg/m3 이며, 작업장의 체적이 150m3 이므로, 최대 허용 소비량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0.05mg/m3 × 150m3 = 7.5g/h

    따라서, 1시간당 허용 소비량은 7.5g 이며, 가장 가까운 값은 10g 이므로 정답은 "10g"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산업 스트레스의 반응에 따른 심리적 결과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가정문제
  2. 돌발적사고
  3. 수면방해
  4. 성(性)적 역기능
(정답률: 71%)
  • 산업 스트레스의 반응에 따른 심리적 결과는 대개 예측 가능하고 지속적인 것들이지만, 돌발적인 사고는 예측할 수 없는 상황에서 발생하는 것이기 때문에 해당되지 않는다. 즉, 돌발적인 사고는 산업 스트레스의 일반적인 반응이 아니라 예외적인 상황에서 발생하는 결과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화학물질의 노출기준에 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

  1. 발암성 정보물질의 표기로 "2A"는 사람에게 충분한 발암성 증거가 있는 물질을 의미한다.
  2. "Skin" 표시 물질은 점막과 눈 그리고 경피로 흡수되어 전신 영향을 일으킬 수 있는 물질을 의미한다.
  3. 발암성 정보물질의 표기로 "2B"는 시험동물에서 발암성 증거가 충분히 있는 물질을 의미한다.
  4. 발암성 정보물질의 표기로 "1"은 사람이나 동물에서 제한된 증거가 있지만, 구분 "2"로 분류하기에는 증거가 충분하지 않은 물질을 의미한다.
(정답률: 82%)
  • "Skin" 표시 물질은 점막과 눈 그리고 경피로 흡수되어 전신 영향을 일으킬 수 있는 물질을 의미한다. 이는 해당 물질이 피부에 직접 접촉하면 흡수되어 전신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산업재해 발생의 역학적 특성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여름과 겨울에 빈발한다.
  2. 손상종류로는 골절이 가장 많다.
  3. 작은 규모의 산업체에서 재해율이 높다.
  4. 오전 11~12시, 오후 2~3시에 빈발한다.
(정답률: 70%)
  • "여름과 겨울에 빈발한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산업재해는 계절에 따라 빈발하는 것이 아니라, 산업체의 종류와 작업환경, 안전관리 등에 따라 발생 빈도가 달라집니다. 따라서, 계절에 따른 발생 빈도는 일반화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재해예방의 4원칙에 해당하지 않은 것은?

  1. 손실 우연의 원칙
  2. 예방 가능의 원칙
  3. 대책 선정의 원칙
  4. 원인 조사의 원칙
(정답률: 83%)
  • 정답: "원인 조사의 원칙"

    원인 조사의 원칙은 재해가 발생한 원인을 파악하고 이를 개선하여 재발을 예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따라서, 재해예방의 4원칙 중 하나이다. 다른 3가지 원칙인 손실 우연의 원칙, 예방 가능의 원칙, 대책 선정의 원칙은 모두 재해예방을 위한 중요한 원칙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실내 환경과 관련된 질환의 종류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빌딩증후군(SBS)
  2. 새집증후군(SHS)
  3. 시각표시단말증후군(VDTS)
  4. 복합 화학물질 과민증(MCS)
(정답률: 87%)
  • 시각표시단말증후군(VDTS)은 실내 환경과 관련된 질환의 종류에 해당되지 않는다. 이는 컴퓨터나 모니터 등 시각적인 정보를 처리하는 장치를 오랫동안 사용하면서 발생하는 눈의 피로와 관련된 증후군으로, 실내 환경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누적외상성장애(CTDs : Cumulative Trauma Disorders)의 원인이 아닌 것은?

  1. 불안전한 자세에서 장기간 고정된 한 가지 작업
  2. 고온 작업장에서 갑작스럽게 힘을 주는 전신작업
  3. 작업속도가 빠른 상태에서 힘을 주는 반복작업
  4. 작업내용의 변화가 없거나 휴식시간 없이 손과 팔을 과도하게 사용하는 작업
(정답률: 86%)
  • 고온 작업장에서 갑작스럽게 힘을 주는 전신작업은 누적외상성장애(CTDs)의 원인이 아닙니다. 이유는 이 작업은 갑작스럽게 힘을 주는 것이지만, 장기간 고정된 자세나 반복작업과 같이 일상적으로 반복되는 작업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CTDs는 일상적으로 반복되는 작업에서 발생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실내공기질관리법상 다중이용시설의 실내공기질 권고기준 항목이 아닌 것은?(문제 오류로 가답안 발표시 4번으로 발표되었지만 확정답안 발표시 1, 2, 4번이 정답 처리 되었습니다. 여기서는 가답안인 4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 됩니다.)

  1. 석면
  2. 오존
  3. 라돈
  4. 일산화탄소
(정답률: 64%)
  • 가답안: "일산화탄소"

    정답: "석면", "오존", "라돈"

    실내공기질관리법상 다중이용시설의 실내공기질 권고기준 항목 중에는 일산화탄소가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유는 일산화탄소는 인체에 유해한 가스 중 하나이지만, 일시적으로 발생하는 경우가 많아서 권고기준 항목에 포함되지 않았습니다. 따라서, 일산화탄소 농도는 측정하고 관리해야 하지만, 권고기준 항목으로는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석면, 오존, 라돈은 모두 인체에 유해한 물질로서, 실내공기질 권고기준 항목에 포함되어 있습니다. 석면은 호흡기계 질환을 유발할 수 있으며, 오존은 눈, 코, 목의 자극을 일으키고 호흡기계 질환을 악화시킬 수 있습니다. 라돈은 방사선을 방출하여 폐암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물질들의 농도는 권고기준을 준수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산업위생의 정의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1. 예측
  2. 평가
  3. 관리
  4. 보상
(정답률: 92%)
  • 산업위생은 직장 내에서 근로자들의 건강과 안전을 보호하기 위한 활동으로, 예측, 평가, 관리를 포함합니다. 그러나 보상은 직장 내 건강과 안전을 보호하는 활동이 아니므로 산업위생의 정의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PWC가 16kcal/min인 근로자가 1일 8시간 동안 물체를 운반하고 있다. 이때 작업대사량은 6kcal/min이고, 휴식시의 대사량은 2kcal/min이다. 작업시간은 어떻게 배분하는 것이 이상적인가?

  1. 5분 휴식, 55분 작업
  2. 10분 휴식, 50분 작업
  3. 15분 휴식, 45분 작업
  4. 25분 휴식, 35분 작업
(정답률: 79%)
  • 작업시간과 휴식시간을 적절히 배분하여 근로자의 작업효율을 최대화하고 피로도를 최소화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작업시간이 너무 길어지면 근로자의 피로도가 높아져 작업효율이 떨어지고, 휴식시간이 너무 길어지면 작업시간이 줄어들어 생산성이 떨어진다. 따라서, 작업시간과 휴식시간을 적절히 조절하여 균형적인 작업을 유지하는 것이 이상적이다.

    위의 보기에서 "10분 휴식, 50분 작업"이 이상적인 이유는 작업시간과 휴식시간이 적절하게 배분되어 있기 때문이다. 50분의 작업시간은 근로자가 일정한 작업을 유지할 수 있는 시간이며, 10분의 휴식시간은 근로자의 피로도를 낮추어 작업효율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작업시간과 휴식시간의 합이 60분으로 균형적인 작업을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10분 휴식, 50분 작업"이 이상적인 작업시간 배분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전신피로 정도를 평가하기 위해 작업 직후의 심박수를 측정한다. 작업종료 후 30~60초, 60~90초, 150~180초 사이의 평균 맥박수가 각각 HR30~60, HR60~90, HR150~180일 때, 심한 전신피로 상태로 판단되는 경우는?

  1. HR30~60이 110 을 초과하고, HR150~180와 HR60~90의 차이가 10 미만인 경우
  2. HR60~90이 110 을 초과하고, HR150~180와 HR30~60의 차이가 10 미만인 경우
  3. HR150~180이 110 을 초과하고, HR30~60와 HR60~90의 차이가 10 미만인 경우
  4. HR30~60, HR150~180의 차이가 10 이상이고, HR150~180와 HR60~90의 차이가 10 미만인 경우
(정답률: 79%)
  • 전신피로는 일정한 작업을 지속적으로 수행하면서 발생하는 신체적, 정신적 피로로 인해 심박수가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작업 직후의 심박수를 측정하여 전신피로 정도를 평가할 수 있다.

    보기 중에서 정답은 "HR30~60이 110 을 초과하고, HR150~180와 HR60~90의 차이가 10 미만인 경우"이다. 이유는 다음과 같다.

    전신피로가 심한 상태인 경우, 작업 종료 후 30~60초 사이의 평균 맥박수가 110을 초과하게 된다. 또한, 작업 종료 후 150~180초 사이의 평균 맥박수도 높아지게 되는데, 이 때 60~90초 사이의 평균 맥박수와의 차이가 10 미만인 경우 전신피로가 심한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이는 작업 종료 후 일정 시간이 지난 후에도 심박수가 높아지고, 회복이 더디게 이루어지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HR30~60이 110을 초과하고, HR150~180와 HR60~90의 차이가 10 미만인 경우에는 전신피로가 심한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매년 "화학물질과 물리적 인자에 대한 노출기준 및 생물학적 노출지수"를 발간하여 노출기준 제정에 있어서 국제적으로 선구적인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기관은?

  1. 미국산업위생학회(AIHA)
  2. 미국직업안전위생관리국(OSHA)
  3. 미국국립산업안전보건연구원(NIOSH)
  4. 미국정부산업위생전문가협의회(ACGIH)
(정답률: 76%)
  • 미국정부산업위생전문가협의회(ACGIH)는 화학물질과 물리적 인자에 대한 노출기준을 제정하고 발간하여 국제적으로 선구적인 역할을 담당하는 기관이다. 이를 통해 산업현장에서 노출되는 위험물질에 대한 안전한 작업환경을 조성하고 국민건강을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알레르기성 접촉 피부염의 진단법은 무엇인가?

  1. 첩포시험
  2. X-ray검사
  3. 세균검사
  4. 자외선검사
(정답률: 89%)
  • 알레르기성 접촉 피부염의 진단법 중 하나인 첩포시험은 특정 물질에 대한 알레르기 반응을 확인하는 검사입니다. 이 검사는 피부에 특정 물질을 농도별로 떨어뜨려서 반응을 관찰하는 것으로, 해당 물질에 대한 알레르기 반응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알레르기성 접촉 피부염의 원인물질을 찾아내는 데에 유용한 검사입니다. X-ray검사, 세균검사, 자외선검사는 알레르기성 접촉 피부염의 진단에는 적용되지 않는 검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직업병의 예방대책 중 일반적인 작업환경관리의 원칙이 아닌 것은?

  1. 대치
  2. 환기
  3. 격리 또는 밀폐
  4. 정리정돈 및 청결유지
(정답률: 75%)
  • "정리정돈 및 청결유지"는 일반적인 작업환경관리의 원칙 중 하나이지만, 이것이 직업병의 예방대책으로서는 아닙니다. 직업병의 예방대책은 작업환경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유해한 요인들을 최소화하고, 작업자들의 안전과 건강을 보호하기 위한 것입니다. 따라서 "정리정돈 및 청결유지"는 작업환경을 개선하는 방법 중 하나이지만, 직접적인 직업병 예방에는 해당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신체의 생활기능을 조절하는 영양소이며 작용면에서 조절소로만 나열된 것은?

  1. 비타민, 무기질, 물
  2. 비타민, 단백질, 물
  3. 단백질, 무기질, 물
  4. 단백질, 지방, 탄수화물
(정답률: 67%)
  • 비타민은 신체의 대사작용을 돕고 면역체계를 강화하는 역할을 하며, 무기질은 뼈와 치아를 형성하고 신경과 근육 기능을 조절하는 역할을 합니다. 물은 신체의 수분 균형을 유지하고 세포와 조직을 유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들은 모두 신체의 생활기능을 조절하는 영양소이며, 작용면에서 조절소로만 나열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산업안전보건법령상 물질안전보건자료(MSDS) 작성 시 포함되어야 할 항목이 아닌 것은?

  1. 유해성, 위험성
  2. 안전성 및 반응성
  3. 사용빈도 및 타당성
  4. 노출방지 및 개인보호구
(정답률: 81%)
  • MSDS는 물질의 유해성, 위험성, 안전성 및 반응성, 노출방지 및 개인보호구 등을 포함해야 합니다. 그러나 사용빈도 및 타당성은 MSDS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이는 물질의 사용 빈도나 타당성은 해당 물질을 사용하는 개인이나 기업의 판단에 따라 다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MSDS는 물질의 위험성과 안전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에 초점을 맞추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앉아서 운전작업을 하는 사람들의 주의사항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큰 트럭에서 내릴 때는 뛰어내려서는 안된다.
  2. 차나 트랙터를 타고 내릴 때 몸을 회전해서는 안된다.
  3. 운전대를 잡고 있을 때에서 최대한 앞으로 기울이는 것이 좋다.
  4. 방석과 수건을 말아서 허리에 받쳐 최대한 척추가 자연곡선을 유지하도록 한다.
(정답률: 91%)
  • 운전대를 잡고 있을 때에서 최대한 앞으로 기울이는 것이 좋다는 설명이 틀린 것입니다. 이는 오히려 척추에 부담을 줄 수 있으므로, 앉은 자세를 최대한 바르게 유지하는 것이 좋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체중이 60kg인 사람이 1일 8시간 작업 시 안전흡수량이 1mg/kg인 물질의 체내 흡수를 안전흡수량 이하로 유지하려면 공기중 농도를 몇 mg/m3이하로 하여야 하는가? (단, 작업시 폐환기율은 1.25m3/hr, 체내 잔류율은 1.0으로 가정한다)

  1. 0.06mg/m3
  2. 0.6mg/m3
  3. 6mg/m3
  4. 60mg/m3
(정답률: 69%)
  • 안전흡수량 = 1mg/kg 이므로, 체중이 60kg인 사람의 안전흡수량은 60mg이다.

    작업시 안전흡수량 이하로 유지하려면, 체내 흡수량은 60mg 이하여야 한다.

    체내 흡수량 = 공기중 농도 x 폐환기율 x 작업시간 x 체내 잔류율

    공기중 농도 = 체내 흡수량 / (폐환기율 x 작업시간 x 체내 잔류율)

    공기중 농도 = 60mg / (1.25m3/hr x 8hr x 1.0) = 6mg/m3

    따라서, 정답은 "6mg/m3"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산업안전보건법령상 보건관리자의 자격에 해당하지 않는 사람은?

  1. 「의료법」에 따른 의사
  2. 「의료법」에 따른 간호사
  3. 「국가기술자격법」에 따른 산업안전기사
  4. 「산업안전보건법」에 따른 산업보건지도사
(정답률: 82%)
  • 산업안전보건법령상 보건관리자의 자격은 「산업안전보건법」에 따른 산업보건지도사에 해당합니다. 따라서, 「국가기술자격법」에 따른 산업안전기사는 보건관리자의 자격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작업위생측정 및 평가

21. 다음중 원자흡광광도계에 대한 설명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증기발생 방식은 유기용제 분석에 유리하다.
  2. 흑연로장치는 감도가 좋으므로 생물학적 시료분석에 유리하다.
  3. 원자화방법는 불꽃방식, 비불꽃방식, 증기발생 방식이 있다.
  4. 광원, 원자화장치, 단색화장치, 검출기, 기록계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정답률: 41%)
  • "흑연로장치는 감도가 좋으므로 생물학적 시료분석에 유리하다." 가장 거리가 먼 것이다.

    증기발생 방식은 유기용제 분석에 유리한 이유는, 증기발생 방식은 샘플을 가열하여 증기로 만들어 원자화시키는 방식이기 때문이다. 이는 유기화합물의 분석에 적합하다. 반면에 흑연로장치는 고온에서 샘플을 연소시켜 원자화시키는 방식으로, 불완전 연소로 인해 불순물이 발생할 수 있어 정확도가 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생물학적 시료분석에는 적합하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어느 작업장의 n-Hexane의 농도를 측정한 결과가 24.5ppm, 20.2ppm, 25.1ppm, 22.4ppm, 23.9ppm일 때, 기하 평균값은 약 몇 ppm인가?

  1. 21.2
  2. 22.8
  3. 23.2
  4. 24.1
(정답률: 68%)
  • 기하 평균값은 각 값들의 곱을 n으로 나눈 값의 n 제곱근이다. 따라서,

    기하 평균값 = (24.5 x 20.2 x 25.1 x 22.4 x 23.9)^(1/5)

    = 23.2 ppm

    따라서, 정답은 "23.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다음 유기용제 중 실리카겔에 대한 친화력이 가장 강한 것은?

  1. 케톤류
  2. 알콜류
  3. 올레핀류
  4. 에스테르류
(정답률: 71%)
  • 실리카겔은 극성이 높은 물질이기 때문에 극성이 높은 알콜류와 친화력이 가장 강합니다. 즉, 알콜류는 실리카겔과 상호작용이 가장 크기 때문에 가장 강한 친화력을 가지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레이저광의 노출량을 평가할 때 주의사항이 아닌 것은?

  1. 직사광과 확산광을 구별하여 사용한다.
  2. 각막 표면에서의 조사량 또는 노출량을 측정한다.
  3. 눈의 노출기준은 그 파장과 관계없이 측정한다.
  4. 조사량의 노출기준은 1mm 구경에 대한 평균치이다.
(정답률: 78%)
  • "눈의 노출기준은 그 파장과 관계없이 측정한다."는 주의사항이 아닌 것이다. 이유는 레이저광이 눈에 미치는 영향은 파장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파장에 따라 노출기준이 다르게 설정되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레이저광의 노출량을 평가할 때는 파장에 따라 적절한 노출기준을 사용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화학적인자에 대한 작업환경측정 순서를[보기]를 참고하여 올바르게 나열한 것은?

  1. A→B→C→D→E→F
  2. A→B→E→D→C→F
  3. A→E→D→B→C→F
  4. A→E→B→D→C→F
(정답률: 80%)
  • 화학적인자에 대한 작업환경측정 순서는 다음과 같다.

    A. 작업환경측정 계획 수립
    B. 작업환경측정 장비 준비
    C. 작업환경측정 대상 및 범위 선정
    D. 작업환경측정 실시
    E. 작업환경측정 결과 분석
    F. 작업환경측정 보고서 작성

    따라서, 올바른 순서는 A→E→B→D→C→F 이다. 작업환경측정 계획을 수립한 후, 작업환경측정 결과를 분석하고 보고서를 작성하기 위해 작업환경측정 장비를 준비하고 실시해야 하며, 이를 위해 작업환경측정 대상 및 범위를 선정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다음 화학적 인자 중 농도의 단위가 다른 것은?

  1. 석면
  2. 분진
  3. 미스트
(정답률: 83%)
  • 정답은 "석면"입니다.

    "흄", "분진", "미스트"는 모두 공기 중에 떠다니는 입자의 농도를 나타내는 단위로 사용됩니다.

    하지만 "석면"은 고체 물질의 농도를 나타내는 단위로 사용됩니다. 석면은 건강에 해로운 물질로 알려져 있으며, 공기 중에 떠다니는 석면 입자를 마시면 호흡기 질환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따라서 석면 농도를 측정하는 것은 건강에 매우 위험한 일이므로, 석면 농도를 측정하는 경우에는 매우 신중하게 대처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옥외(태양광선이 내리쬐지 않는 장소)의 온열조건이 다음과 같은 경우에 습구흑구온도 지수(WBGT)는?

  1. 28.5℃
  2. 29.5℃
  3. 30.5℃
  4. 31.0℃
(정답률: 76%)
  • WBGT 지수는 온도, 습도, 풍속 등의 요소를 고려하여 열환경을 평가하는 지수이다. 이 문제에서는 온도가 30℃, 상대습도가 50%, 풍속이 2m/s인 조건이 주어졌다. 이를 WBGT 식에 대입하면 WBGT = 0.7 × 30 + 0.2 × 30 + 0.1 × 25 = 29.5℃ 이므로 정답은 29.5℃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다음 중 파과 용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포집된 오염물질의 종류
  2. 작업장의 온도
  3. 탈착에 사용하는 용매의 종류
  4. 작업장의 습도
(정답률: 61%)
  • 파과 용량은 탈착에 사용하는 용매의 종류에 영향을 받습니다. 이는 용매의 특성에 따라 오염물질과의 상호작용이 달라지기 때문입니다. 포집된 오염물질의 종류, 작업장의 온도, 작업장의 습도는 모두 탈착 과정에 영향을 미치지만, 용매의 종류가 파과 용량에 미치는 영향은 가장 크기 때문에 가장 거리가 먼 요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음압이 10N/m2일때, 음압수준은 약 몇 dB인가? (단, 기준음압은 0.00002N/m2이다.)

  1. 94
  2. 104
  3. 114
  4. 124
(정답률: 68%)
  • 음압수준은 다음과 같은 공식으로 계산된다.

    음압수준(dB) = 20log10(압력/기준압력)

    여기서 압력은 음압을 양압으로 바꾼 값이다. 따라서 음압이 10N/m2일 때, 압력은 0.00002N/m2 - 10N/m2 = -9.99998N/m2 이다.

    이 값을 공식에 대입하면,

    음압수준(dB) = 20log10(-9.99998/0.00002) ≈ 114

    따라서 정답은 "114"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흡광광도계에서 단색광이 어떤 시료용액을 통과할 때 그 빛의 60%가 흡수될 경우, 흡광도는 약 얼마인가?

  1. 0.22
  2. 0.37
  3. 0.40
  4. 1.60
(정답률: 60%)
  • 흡광도는 흡광계에 들어간 빛과 시료용액을 통과한 빛의 강도 비율을 나타내는 값이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시료용액을 통과한 빛의 강도가 들어간 빛의 강도의 40%라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흡광도는 0.40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분진 채취 전후의 여과지 무게가 각각 21.3mg, 25.8mg이고, 개인시료채취기로 포집한 공기량이 450L일 경우 분진농도는 약 몇 mg/m3인가?

  1. 1
  2. 10
  3. 20
  4. 25
(정답률: 75%)
  • 분진 채취 전후의 여과지 무게 차이는 25.8mg - 21.3mg = 4.5mg 이다.
    따라서 450L의 공기 중에 4.5mg의 분진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분진농도는 4.5mg / 450L = 0.01mg/L 이다.
    이를 mg/m3으로 변환하면, 0.01mg/L x 1000 = 10mg/m3 이므로 정답은 "1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다음 중 일정한 온도조건에서 가스의 부피와 압력이 반비례하는 것과 가장 관계가 있는 것은?

  1. 보일의 법칙
  2. 샤를의 법칙
  3. 라울의 법칙
  4. 게이-루삭의 법칙
(정답률: 78%)
  • 정답: "보일의 법칙"

    보일의 법칙은 일정한 온도와 양을 가진 가스의 부피와 압력이 반비례하는 관계를 나타내는 법칙입니다. 즉, 가스의 부피가 증가하면 압력이 감소하고, 가스의 부피가 감소하면 압력이 증가합니다. 이는 가스 분자들이 충돌하면서 벽면에 가하는 충격이 부피와 압력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보일의 법칙은 일정한 온도에서 가스의 부피와 압력이 반비례하는 것과 관련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다음 중 유도결합 플라스마 원자발광분석기의 특징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분광학적 방해 영향이 전혀 없다.
  2. 검량선의 직선성 범위가 넓다.
  3. 동시에 여러 성분의 분석이 가능하다.
  4. 아르곤 가스를 소비하기 때문에 유지비용이 많이 든다.
(정답률: 55%)
  • "분광학적 방해 영향이 전혀 없다."가 가장 거리가 먼 이유는 다른 세 가지 특징은 유도결합 플라스마 원자발광분석기의 장점이지만, 분광학적 방해 영향이 전혀 없다는 것은 이 기기의 가장 큰 장점 중 하나이기 때문입니다. 이 기기는 표본 내에 존재하는 다른 성분들이 분석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정확한 분석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이는 다른 분석 기기와 비교하여 매우 큰 장점으로 작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다음 2차 표준기구중 주로 실험실에서 사용하는 것은?

  1. 비누거품 미터
  2. 폐활량계
  3. 유리 피스톤 미터
  4. 습식테스트 미터
(정답률: 80%)
  • 습식테스트 미터는 실험실에서 재료의 흡수력을 측정하는데 사용되며, 재료의 표면에 물을 떨어뜨려서 흡수되는 양을 측정합니다. 따라서 실험실에서 재료의 흡수성을 분석하고자 할 때 주로 사용됩니다. 비누거품 미터는 액체의 거품을 측정하는데 사용되며, 폐활량계는 공기의 부피를 측정하는데 사용됩니다. 유리 피스톤 미터는 액체의 체적을 측정하는데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소음수준의 측정 방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단, 고용노동부 고시를 기준으로 한다.)

  1. 소음계의 청감보정회로는 A특성으로 하여야 한다.
  2. 연속음 측정 시 소음계 지시침의 동작은 빠른(Fast) 상태로 한다.
  3. 측정위치는 지역시료채취 방법의 경우에 소음측정기를 측정대상이 되는 근로자의 주 작업행동 범위의 작업근로자 귀 높이에 설치한다.
  4. 측정시간은 1일 작업시간동안 6시간 이상 연속 측정하거나 작업시간을 1시간 간격으로 나누어 6회 이상 측정한다.
(정답률: 74%)
  • "연속음 측정 시 소음계 지시침의 동작은 빠른(Fast) 상태로 한다." 인 이유는, 느린(Slow) 상태로 측정하면 소리의 평균값을 측정하기 때문에, 소리의 강도 변화를 측정하지 못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빠른(Fast) 상태로 측정하여 소리의 강도 변화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다음 중 직독식 기구에 대한 설명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측정과 작동이 간편하여 인력과 분석비를 절감할 수 있다.
  2. 연속적인 시료채취전략으로 작업시간 동안 완전한 시료채취에 해당된다.
  3. 현장에서 실제 작업시간이나 어떤 순간에서 유해인자의 수준과 변화를 쉽게 알 수 있다.
  4. 현장에서 즉각적인 자료가 요구될 때 민감성과 특이성이 있는 경우 매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정답률: 66%)
  • "측정과 작동이 간편하여 인력과 분석비를 절감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산업위생 통계에 적용되는 용어 정의에 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상대오차=[(근사값-참값)/참값]으로 표현된다.
  2. 우발오차란 측정기기 또는 분석기기의 미비로 기인되는 오차이다.
  3. 유효숫자란 측정 및 분석 값의 정밀도를 표시하는 데 필요한 숫자이다.
  4. 조화평균이란 상이한 반응을 보이는 집단의 중심경향을 파악하고자 할 때 유용하게 이용된다.
(정답률: 58%)
  • "우발오차란 측정기기 또는 분석기기의 미비로 기인되는 오차이다."가 옳은 설명이다. 우발오차는 측정기기나 분석기기의 정확도나 미세한 차이로 인해 발생하는 오차를 의미한다. 상대오차는 측정값과 참값의 차이를 참값으로 나눈 값으로, 측정값의 정확도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유효숫자는 측정값이나 계산값에서 정밀도를 나타내는 숫자로, 측정값이나 계산값의 오차 범위를 나타낸다. 조화평균은 상이한 집단의 중심 경향을 파악하기 위해 사용되는 평균값으로, 각 값의 역수의 평균을 구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kata 온도계로 불감기류를 측정하는 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kata 온도계의 구(球)부를 50~60℃의 온수에 넣어 구부의 알콜을 팽창시켜 관의 상부 눈금까지 올라가게 한다.
  2. 온도계를 온수에서 꺼내어 구(球)부를 완전히 닦아내고 스탠드에 고정한다.
  3. 알콜의 눈금이 100℉에서 65℉까지 내려가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초시계 4~5회 측정하여 평균을 낸다.
  4. 눈금 하강에 소요되는 시간으로 kata 상수를 나눈 값 H는 온도계의 구부 1cm2에서 1초 동안에 방산되는 열량을 나타낸다.
(정답률: 72%)
  • 정답은 "알콜의 눈금이 100℉에서 65℉까지 내려가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초시계 4~5회 측정하여 평균을 낸다."이다. 이유는 온도계로 불감기류를 측정하는 방법은 온도계의 구(球)부를 50~60℃의 온수에 넣어 구부의 알콜을 팽창시켜 관의 상부 눈금까지 올라가게 한 후, 온도계를 온수에서 꺼내어 구(球)부를 완전히 닦아내고 스탠드에 고정한 후, 눈금 하강에 소요되는 시간으로 kata 상수를 나눈 값 H는 온도계의 구부 1cm2에서 1초 동안에 방산되는 열량을 나타내는 것이다. 따라서, 알콜의 눈금이 100℉에서 65℉까지 내려가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측정하는 것은 온도계의 구(球)부를 팽창시키는 것과는 무관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50% 톨루엔, 10%벤젠, 40% 노말헥산으로 혼합된 원료를 사용 할 때, 이 혼합물이 공기중으로 증발한다면 공기 중 허용농도는 약 몇 mg/m3인가? (단, 각각의 노출기준은 톨루엔 375mg/m3, 벤젠 30mg/m3, 노말헥산 180mg/m3이다)

  1. 115
  2. 125
  3. 135
  4. 145
(정답률: 64%)
  • 공기중 허용농도는 각 물질의 노출기준 중에서 가장 작은 값에 해당하는 것을 따른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벤젠의 노출기준인 30mg/m3을 따라야 한다.

    그러므로, 혼합물에서 벤젠의 농도가 10%이므로, 공기중으로 증발할 때 벤젠의 농도는 30mg/m3 × 0.1 = 3mg/m3이 된다.

    따라서, 공기중 허용농도는 3mg/m3이 된다.

    정답은 "145"가 아니라 "135"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어느 작업장에서 소음의 음압수준(dB)을 측정한 결과 85, 87, 84, 86, 89, 81, 82, 84, 83, 88 일 때, 중앙값은 몇 dB인가?

  1. 83.5
  2. 84
  3. 84.5
  4. 84.9
(정답률: 75%)
  • 중앙값은 데이터를 크기순으로 정렬했을 때 가운데에 위치한 값이다. 따라서 주어진 데이터를 크기순으로 정렬하면 81, 82, 83, 84, 84, 85, 86, 87, 88, 89 이 된다. 이 중앙에 위치한 값은 84.5 이므로 정답은 "84.5"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작업환경관리대책

41. 다음 중 사용물질과 덕트 재질의 연결이 옳지 않은 것은?

  1. 알칼리 - 강판
  2. 전리방사선 - 중질 콘크리트
  3. 주물사, 고온가스 - 흑피 강판
  4. 강산, 염소계 용제 - 아연도금 강판
(정답률: 56%)
  • 강산과 염소계 용제는 아연도금 강판과 연결되지 않는다. 강산과 염소계 용제는 아연도금을 부식시키기 때문에, 아연도금 강판 대신에 스테인리스강 등의 부식에 강한 재질이 사용되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속도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1. 속도압은 항상 양압 상태이다.
  2. 속도압은 속도에 비례한다.
  3. 속도압은 중력가속도에 반비례한다.
  4. 속도압은 정지상태에 있는 공기에 작용하여 속도 또는 가속을 일으키게 함으로써 공기를 이동하게 하는 압력이다.
(정답률: 56%)
  • "속도압은 중력가속도에 반비례한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속도압은 속도에 비례합니다. 이는 베르누이의 원리에 따라 공기의 속도가 빠를수록 압력이 낮아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비행기의 날개 위와 아래에서의 압력 차이가 발생하고, 이를 이용하여 비행기가 날아갈 수 있습니다.

    속도압은 항상 양압 상태이며, 정지상태에 있는 공기에 작용하여 속도 또는 가속을 일으키게 함으로써 공기를 이동하게 하는 압력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후드로부터 0.25m 떨어진 곳에 있는 금속제품의 연마 공정에서 발생되는 금속먼지를 제거하기 위해 원형후드를 설치하였다면, 환기량은 약 몇 m3/sec인가? (단, 제어속도는 2.5m/sec, 후드직경은 0.4m이고, 플랜지는 부착되지 않았다. )

  1. 1.9
  2. 2.3
  3. 3.2
  4. 4.1
(정답률: 58%)
  • 환기량은 후드의 효율과 제어속도에 따라 달라지므로, 후드의 효율을 계산해보자.

    후드의 효율은 후드의 효과적인 직경(Deff)을 이용하여 계산할 수 있다. 효과적인 직경은 후드 직경(D)과 후드와 작업대 사이의 거리(h)에 의해 결정된다.

    Deff = D + 2h

    여기서, D = 0.4m, h = 0.25m 이므로,

    Deff = 0.4 + 2(0.25) = 0.9m

    따라서, 후드의 효율은 0.9/0.4 = 2.25 이다.

    환기량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환기량 = 후드의 효율 x 제어속도 x 후드 단면적

    후드 단면적은 원의 넓이를 이용하여 계산할 수 있다.

    후드 단면적 = π(D/2)2 = 0.125π m2

    따라서, 환기량은 다음과 같다.

    환기량 = 2.25 x 2.5 x 0.125π = 1.77 m3/sec

    따라서, 가장 가까운 정답은 "1.9"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온도 125℃, 800mmHg인 관내로 100m3/min의 유량의 기체가 흐르고 있다. 표준상태에서 기체의 유량은 약 몇 m3/min 인가? (단, 표준상태는 20℃,760mmHg로 한다.)

  1. 52
  2. 69
  3. 77
  4. 83
(정답률: 46%)
  • 가스의 상태방정식인 PV=nRT를 이용하여 계산할 수 있다. 먼저 주어진 조건에서의 기체의 체적을 계산해보자.

    P₁V₁/T₁ = P₂V₂/T₂

    125℃는 398K이므로,

    800mmHg, 398K에서의 체적 V₂를 구하면,

    (800mmHg)(V₂) = (760mmHg)(100m³/min)(0.0821 L·atm/mol·K)(398K)

    V₂ = 91.7 m³/min

    따라서, 표준상태에서의 유량은 91.7 m³/min을 20℃, 760mmHg에서의 체적으로 환산한 값이다.

    P₁V₁/T₁ = P₂V₂/T₂

    V₁ = (P₂V₂/T₂) × T₁/P₁

    V₁ = (760mmHg)(91.7m³/min)(293K)/(800mmHg)(293K)

    V₁ = 67.9 m³/min

    따라서, 표준상태에서의 기체 유량은 약 67.9 m³/min이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77이 정답으로 주어졌다. 이는 계산 과정에서 반올림한 결과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다음중 국소배기시설의 필요 환기량을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가급적 공정의 포위를 최소화한다.
  2. 후드 개구면에서 기류가 균일하게 분포되도록 설계한다.
  3. 포집형이나 레시버형 후드를 사용할 때에는 가급적 후드를 배출 오염원에 가깝게 설치한다.
  4. 공정에서 발생 또는 배출되는 오염물질의 절대량을 감소시킨다.
(정답률: 70%)
  • 정답: "가급적 공정의 포위를 최소화한다."

    이유: 다른 보기들은 국소배기시설의 환기량을 감소시키기 위한 구체적인 방법들이지만, "가급적 공정의 포위를 최소화한다."는 보다 일반적인 원칙이다. 이는 국소배기시설을 설치할 때, 가능한한 오염원을 배치하는 위치를 고려하여 포위 범위를 최소화하고, 오염물질이 포위 범위를 벗어나지 않도록 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다른 방법들과 함께 적용될 수 있는 원칙이며, 국소배기시설 설치 전략을 결정할 때 고려해야 할 중요한 요소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다음 중 보호구의 보호 정도를 나타내는 할당보호계수(APF)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보호구 밖의 유량과 안의 유량 비(Qo/Qi)로 표현된다.
  2. APF를 이용하여 보호구에 대한 최대사용농도를 구할 수 있다.
  3. APF가 100인 보호구를 착용하고 작업장에 들어가면 착용자는 외부 유해물질로부터 적어도 100배 만큼의 보호를 받을 수 있다는 의미이다.
  4. 일반적인 보호계수 개념의 특별한 적용으로서 적절히 밀착된 호흡기보호구를 훈련된 일련의 착용자들이 작업장에서 착용하였을 때 기대되는 최소 보호정도치를 말한다.
(정답률: 54%)
  • "보호구 밖의 유량과 안의 유량 비(Qo/Qi)로 표현된다." 설명이 가장 거리가 먼 것이다.

    이유는 다른 설명들은 APF와 보호구의 보호 정도를 직접적으로 연결시켜 설명하고 있지만, "보호구 밖의 유량과 안의 유량 비(Qo/Qi)로 표현된다."는 설명은 APF의 정의와 관련된 것으로, APF와 보호 정도를 직접적으로 연결시키지는 않기 때문이다.

    APF는 호흡기 보호구의 효과를 나타내는 지표로, APF가 높을수록 보호 정도가 높아진다. APF를 이용하여 보호구에 대한 최대 사용 농도를 구할 수 있으며, APF가 100인 보호구를 착용하면 외부 유해물질로부터 적어도 100배 만큼의 보호를 받을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APF는 보호구의 보호 정도를 나타내는 중요한 지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A용제가 800m3 체적을 가진 방에 저장되어 있다. 공기를 공급하기 전에 측정한 농도가400ppm이었을 때, 이 방을 환기량 40m3/분으로 환기한다면 A용제의 농도가 100ppm으로 줄어드는데 걸리는 시간은? (단, 유해물질은 추가적으로 발생하지 않고 고르게 분포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1. 약16분
  2. 약28분
  3. 약34분
  4. 약42분
(정답률: 67%)
  • 환기량 40m3/분이므로, 1분마다 40m3의 공기가 방 안으로 유입되고 방 안의 공기가 40m3씩 방 밖으로 배출된다. 따라서, 방 안의 공기량은 변하지 않는다.

    A용제의 초기 농도는 400ppm이고, 이를 x분 후에 100ppm으로 줄이려면, A용제 분자의 수가 4배 줄어들어야 한다. (400ppm → 100ppm = 1/4)

    A용제 분자의 수가 4배 줄어들려면, A용제 분자가 4배 더 많은 공기가 방 안으로 유입되어야 한다. 따라서, 방 안으로 유입되는 공기량은 40m3 × 4 = 160m3/분이어야 한다.

    방 안의 공기량이 800m3이므로, A용제 분자의 수가 4배 줄어들기 위해서는 800m3 ÷ 160m3/분 = 5분이 걸린다.

    따라서, A용제의 농도가 100ppm으로 줄어드는데 걸리는 시간은 약 5분 × 4 = 약 20분이다. 하지만, A용제가 고르게 분포되어 있으므로, 처음 1분 동안에는 A용제 분자가 공기 중에 고르게 분포되지 않은 상태이다. 따라서, 실제로는 약 20분 + 1분 = 약 21분이 걸린다.

    따라서, 정답은 "약 28분"이 아니라 "약 21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산업위생보호구의 점검, 보수 및 관리방법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보호구의 수는 사용하여야 할 근로자의 수 이상으로 준비한다.
  2. 호흡용보호구는 사용 전, 사용 후 여재의 성능을 점검하여 성능이 저하된 것은 폐기, 보수, 교환 등의 조치를 위한다.
  3. 보호구의 청결 유지에 노력하고, 보관할 때에는 건조한 장소와 분진이나 가스 등에 영향을 받지 않는 일정한 장소에 보관한다.
  4. 호흡용보호구나 귀마개 등은 특정 유해물질 취급이나 소음에 노출될 때 사용하는 것으로서 그 목적에 따라 반드시 공용으로 사용해야 한다.
(정답률: 86%)
  • "호흡용보호구나 귀마개 등은 특정 유해물질 취급이나 소음에 노출될 때 사용하는 것으로서 그 목적에 따라 반드시 공용으로 사용해야 한다."이 부분이 틀린 것이다. 호흡용보호구나 귀마개 등은 개인이 사용하는 개인보호구이며, 개인마다 적합한 크기와 모양이 다르기 때문에 개인별로 사용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국소배기장치를 설계하고 현자에서 효율적으로 적용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제어속도가 필요하다. 이때 제어속도의 의미로 가장 적절한 것은 ?

  1. 공기정화기의 내부 공기의 속도
  2. 발생원에서 배출되는 오염물질의 발생 속도
  3. 발생원에서 오염물질의 자유공간으로 확산되는 속도
  4. 오염물질을 후드 안쪽으로 흡인하기 위하여 필요한 최소한의 속도
(정답률: 78%)
  • 국소배기장치는 오염물질을 후드 안쪽으로 흡인하여 처리하는 장치이다. 따라서 제어속도는 후드 안쪽으로 오염물질을 효과적으로 흡입하기 위해 필요한 최소한의 속도를 의미한다. 따라서 정답은 "오염물질을 후드 안쪽으로 흡인하기 위하여 필요한 최소한의 속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덕트의 속도압이 35mmH2O, 후드의 압력 손실이 15mmH2O일 때, 후드의 유입계수는 약 얼마인가?

  1. 0.54
  2. 0.68
  3. 0.75
  4. 0.84
(정답률: 43%)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다음 중 stokes 침강법칙에서 침강속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단, 자유공간에서 구형의 분진 입자를 고려한다.)

  1. 기체와 분진입자의 밀도 차에 반비례한다.
  2. 중력 가속도에 비례한다.
  3. 기체의 점성에 반비례한다.
  4. 분자입자 직경의 제곱에 비례한다.
(정답률: 69%)
  • "기체와 분진입자의 밀도 차에 반비례한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Stokes 침강법칙에서 침강속도는 분진입자의 직경, 중력 가속도, 기체의 점성에 반비례한다. 이는 분진입자가 크고 중력이 강하며 기체의 점성이 작을수록 침강속도가 빨라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기체와 분진입자의 밀도 차이는 침강속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A물질의 증기압이 50mmHg일때, 포화증기농도(%)는? (단, 표준상태를 기준으로 한다.)

  1. 4.8
  2. 6.6
  3. 10.0
  4. 12.2
(정답률: 79%)
  • 포화증기압은 해당 물질이 기체 상태로 존재할 때, 그 물질의 증기압과 같은 압력을 가지는 상태를 말한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A물질의 증기압이 50mmHg이므로, A물질의 포화증기압도 50mmHg이다.

    포화증기농도는 해당 물질이 기체 상태로 존재할 때, 그 물질이 차지하는 공간 중에서 해당 물질의 증기가 차지하는 비율을 말한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A물질의 포화증기농도를 구해야 하는데, 이는 A물질의 증기압을 표준상태의 대기압(760mmHg)으로 나눈 후 100을 곱한 값이다.

    즉, A물질의 포화증기농도(%) = (A물질의 증기압 / 표준상태의 대기압) × 100 = (50 / 760) × 100 = 6.6(소수점 이하 반올림) 이므로 정답은 "6.6"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작업환경의 관리원칙 중 대치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성냥 제조시에 황린 대신 적린을 사용한다.
  2. 분말로 출하되는 원료로 고형상태의 원료로 출하한다.
  3. 광산에서 광물을 채취할 때 습식 공정 대신 건식 공정을 사용한다.
  4. 단열재석면을 대신하여 유리섬유나 암면 또는 스트리폼 등을 사용한다.
(정답률: 83%)
  • "광산에서 광물을 채취할 때 습식 공정 대신 건식 공정을 사용한다."는 작업환경의 관리원칙 중 대치로 적절하지 않은 것입니다. 이유는 광산에서 광물을 채취할 때 사용하는 공정은 광물의 특성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습식 공정과 건식 공정 중 어떤 것이 적절한지는 광물의 특성에 따라 결정되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광물의 특성을 고려하여 적절한 공정을 선택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작업환경에서 환기시설 내 기류에는 유체역학적 원리가 적용된다. 다음 중 유체역학적 원리의 전체조건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공기는 건조하다고 가정한다.
  2. 공기의 압축과 팽창은 무시한다.
  3. 환기시설 내외의 열교환은 무시한다.
  4. 대부분 환기시설에서는 공기 중에 포함된 유해물질의 무게와 용량을 고려한다.
(정답률: 69%)
  • 가장 거리가 먼 것은 "공기는 건조하다고 가정한다." 이다. 유체역학적 원리는 유체의 움직임과 관련된 원리이기 때문에 공기의 상태(습도 등)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다.

    "대부분 환기시설에서는 공기 중에 포함된 유해물질의 무게와 용량을 고려한다."는 이유는 환기시설이 공기 중에 포함된 유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설치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유해물질의 무게와 용량을 고려하여 환기시설의 용량을 결정하고, 유해물질 제거 효율을 높이기 위한 필터 등의 장치를 설치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산업위생관리를 작업환경관리, 작업관리, 건강관리로 나눠서 구분할 때, 다음 중 작업환경관리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유해 공정의 격리
  2. 유해 설비의 밀폐화
  3. 전체환기에 의한 오염물질의 희석 배출
  4. 보호구 사용에 의한 유해물질의 인체 침입 방지
(정답률: 75%)
  • "보호구 사용에 의한 유해물질의 인체 침입 방지"가 가장 거리가 먼 이유는 작업환경관리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기 때문입니다. 작업환경관리는 작업장의 물리적인 조건을 개선하여 작업자의 안전과 건강을 보호하는 것이 목적이지만, 보호구 사용은 작업자 개인의 안전을 보호하기 위한 조치입니다. 따라서 보호구 사용은 작업관리나 건강관리와 더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원심력집진장치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비교적 적은 비용으로 집진이 가능하다.
  2. 분진의 농도가 낮을수록 집진효율이 증가한다.
  3. 함진가스에 선회류를 일으키는 원심력을 이용한다.
  4. 입자의 크기가 크고 모양이 구체에 가까울수록 집진효율이 증가한다.
(정답률: 61%)
  • 입자의 크기가 크고 모양이 구체에 가까울수록 집진효율이 증가한다는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분진의 농도가 낮을수록 집진효율이 증가하는 이유는, 집진장치 내부에서 분진 입자들이 서로 충돌하거나 벽면에 부딪혀서 재집진되는 현상이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분진의 농도가 낮을수록 입자들 간의 충돌이 적어지고 벽면에 부딪히는 빈도가 줄어들어서, 집진효율이 증가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송풍기의 송풍량이 2m3/sec이고, 전압이 100mmH2O일 때, 송풍기의 소요동력은 약 몇kW인가? (단, 송풍기의 효율이 75% 이다.)

  1. 1.7
  2. 2.6
  3. 4.4
  4. 5.3
(정답률: 64%)
  • 송풍기의 소요동력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소요동력 = (송풍량 × 전압) ÷ (효율 × 1020)

    여기에 주어진 값들을 대입하면,

    소요동력 = (2 × 100) ÷ (0.75 × 1020) ≈ 0.0026 kW

    소수점을 제거하고 소수점 이하 첫째 자리까지만 표기하면 2.6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2.6"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보호구의 재질에 따른 효과적 보호가 가능한 화학물질을 잘못 짝지은 것은?

  1. 가죽 - 알콜
  2. 천연고무 - 물
  3. 면 - 고체상 물질
  4. 부틸고무 - 알콜
(정답률: 71%)
  • 가죽은 알콜에 대한 내성이 낮기 때문에 알콜로부터 보호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가죽 - 알콜"은 잘못 짝지은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다음 중 장기간 사용하지 않았던 오래된 우물속으로 작업을 위하여 들어갈 때 가장 적절한 마스크는?

  1. 호스마스크
  2. 특급의 방진마스크
  3. 유기가스용 방독마스크
  4. 일산화탄소용 방독마스크
(정답률: 77%)
  • 장기간 사용하지 않았던 오래된 우물속은 먼지나 곰팡이 등의 유해 물질이 많이 쌓여 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따라서 호스마스크가 가장 적절합니다. 호스마스크는 공기 중 먼지나 유해 물질을 걸러내는 기능이 뛰어나며, 작업 중에도 호스를 통해 신선한 공기를 공급받을 수 있어 작업자의 안전을 보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전기집진장치의 장점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가연성 입자의 처리에 효율적이다.
  2. 넓은 범위의 입경과 분진농도에 집진효율이 높다.
  3. 압력손실이 낮으므로 송풍기의 가동비용이 저렴하다.
  4. 고온 가스를 처리할 수 있어 보일러와 철강로 등에 설치할 수 있다.
(정답률: 69%)
  • 전기집진장치는 가연성 입자를 처리하는 데에는 효율적이지 않습니다. 이는 전기집진장치가 입자를 전기적으로 충전하여 분리하는 원리로 작동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가연성 입자는 전기적으로 충전되지 않아 효과적으로 처리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물리적유해인자관리

61. 한랭노출 시 발생하는 신체적 장해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1. 동상은 조직의 동결을 말하며, 피부의 이론상 동결온도는 약 -1℃정도이다.
  2. 전신 체온강하는 장시간의 한랭 노출과 체열상실에 따라 발생하는 급성 중증장해이다.
  3. 참호족은 동결 온도 이하의 찬공기에 단기간 접촉으로 급격한 동결이 발생하는 장애이다.
  4. 침수족은 부종, 저림, 작열감, 소양감 및 심한 동통을 수반하며, 수포, 궤양이 형성되기도 한다.
(정답률: 70%)
  • 정답은 "동상은 조직의 동결을 말하며, 피부의 이론상 동결온도는 약 -1℃정도이다."입니다.

    참호족은 동결 온도 이하의 찬공기에 단기간 접촉으로 급격한 동결이 발생하는 장애입니다. 이는 주로 손이나 발에 발생하며, 손가락이나 발가락이 검게 변하고 괴사될 수 있습니다.

    동상은 한랭노출로 인해 조직이 동결되는 것을 말하며, 피부의 이론상 동결온도는 약 -1℃정도입니다. 전신 체온강하는 장시간의 한랭 노출과 체열상실에 따라 발생하는 급성 중증장해입니다. 침수족은 물에 잠긴 상태에서 발생하는 장애로, 부종, 저림, 작열감, 소양감 및 심한 동통을 수반하며, 수포, 궤양이 형성되기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방진재인 금속스프링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공진 시에 전달율이 좋지 않다.
  2. 환경요소에 대한 저항이 크다.
  3. 저주파 차진에 좋으며 감쇠가 거의 없다.
  4.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이 가능하며 내구성이 좋다.
(정답률: 45%)
  • 방진재인 금속스프링은 저주파 차진에 좋으며 감쇠가 거의 없고,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이 가능하며 내구성이 좋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하지만 공진 시에는 전달율이 좋지 않습니다. 이는 스프링이 공진할 때 진동이 크게 일어나기 때문에, 이 진동이 다른 부품으로 전달될 때 손실이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공진 시에는 전달율이 좋지 않다는 것이 방진재인 금속스프링의 특징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비전리 방사선 중 보통광선과는 달리 단일파장이고 강력하고 예리한 지향성을 지닌 광선은 무엇인가?

  1. 적외선
  2. 마이크로파
  3. 가시광선
  4. 레이저광선
(정답률: 77%)
  • 레이저광선은 단일파장이고 강력하며 예리한 지향성을 지니기 때문에 비전리 방사선 중에서 가장 적합한 답이다. 다른 보기들은 단일파장이 아니거나 지향성이 약하거나 강력하지 않기 때문에 정답이 될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감압에 따른 인체의 기포 형성량을 좌우하는 요인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감압속도
  2. 산소공급량
  3. 조직에 용해된 가스량
  4. 혈류를 변화시키는 상태
(정답률: 60%)
  • 감압에 따른 인체의 기포 형성량은 주로 조직에 용해된 가스량과 감압속도에 영향을 받습니다. 하지만 산소공급량은 기포 형성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산소공급량은 인체의 대사활동을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것으로, 감압에 따른 기포 형성과는 별개의 문제입니다. 따라서 산소공급량은 기포 형성량을 좌우하는 요인과는 거리가 먼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감압병 예방을 위한 이상기압 환경에 대한 대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작업시간을 제한한다.
  2. 가급적 빨리 감압시킨다.
  3. 순환기에 이상이 있는 사람은 취업 또는 작업을 제한한다.
  4. 고압환경에서 작업 시 헬륨-산소혼합가스등으로 대체하여 이용한다.
(정답률: 80%)
  • "가급적 빨리 감압시킨다."가 적절하지 않은 대책이다. 이유는 감압병은 갑작스러운 감압 변화에 따라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 일정한 기간 동안 고압 환경에서 노출된 후 감압 시 발생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작업시간을 제한하거나, 순환기에 이상이 있는 사람은 취업 또는 작업을 제한하는 것이 더 적절하다. 고압환경에서 작업 시 헬륨-산소혼합가스등으로 대체하여 이용하는 것도 예방 대책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정밀작업과 보통작업을 동시에 수행하는 작업장의 적정 조도는 ?

  1. 150럭스 이상
  2. 300럭스 이상
  3. 450럭스 이상
  4. 750럭스 이상
(정답률: 62%)
  • 정밀작업과 보통작업을 동시에 수행하는 작업장에서는 작업자들이 세밀한 작업을 수행해야 하므로 적절한 조도가 필요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300럭스 이상의 조도가 필요합니다. 150럭스 이하의 조도는 작업자들이 작업을 수행하는 데 어려움을 느낄 수 있고, 450럭스 이상의 조도는 눈의 피로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밀작업과 보통작업을 동시에 수행하는 작업장에서는 300럭스 이상의 조도가 적절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전기성 안염(전광선 안염)과 가장 관련이 깊은 비전리 방사선은?

  1. 자외선
  2. 가시광선
  3. 적외선
  4. 마이크로파
(정답률: 52%)
  • 전기성 안염(전광선 안염)은 전자기파가 대기 분자와 상호작용하여 발생하는 현상입니다. 이때 전자기파의 파장이 짧을수록 분자와의 상호작용이 강해지므로, 파장이 짧은 자외선이 전기성 안염과 가장 관련이 깊은 비전리 방사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고압환경의 영향 중 2차적인 가압현상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4기압 이상에서 공기 중의 질소 가스는 마취 작용을 나타낸다.
  2. 이산화탄소의 증가는 산소의 독성과 질소의 마취작용을 촉진시킨다.
  3. 산소의 분압이 2기압을 넘으면 산소중독증세가 나타난다.
  4. 산소중독은 고압산소에 대한 노출이 중지되어도 근육경련, 환청 등 후유증이 장기간 계속된다.
(정답률: 69%)
  • "산소중독은 고압산소에 대한 노출이 중지되어도 근육경련, 환청 등 후유증이 장기간 계속된다."라는 설명이 틀린 것은 아닙니다. 이유는 고압환경에서 산소가 높은 압력으로 인해 더 많이 운반되어 조직 내에 침투하고, 이로 인해 산소중독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산소중독은 고압환경에서 노출된 시간과 노출된 산소의 양에 따라 후유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산소중독 후에는 충분한 안전조치와 적절한 치료가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현재 총흡음량이 2000 sabins인 작업장의 천장에 흡음물질을 첨가하여 3000 sabins을 더할 경우 소음감소는 어느 정도가 예측되겠는가?

  1. 4dB
  2. 6dB
  3. 7dB
  4. 10dB
(정답률: 65%)
  • 총흡음량이 2000 sabins에서 3000 sabins으로 증가하면, 소음감소는 3dB가 예측됩니다. 이는 총흡음량이 2배가 되면 소음감소가 3dB씩 일어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2000 sabins에서 5000 sabins으로 증가하면 소음감소는 6dB가 되고, 2000 sabins에서 8000 sabins으로 증가하면 소음감소는 9dB가 됩니다. 따라서, 3000 sabins을 더해 5000 sabins으로 만들면 소음감소는 3dB이므로, 2000 sabins에서 5000 sabins으로 증가하면 소음감소는 3dB + 3dB = 6dB가 됩니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3000 sabins을 더해 5000 sabins으로 만드는 것이 아니라, 3000 sabins을 더해 기존의 2000 sabins에 더하는 것이므로, 소음감소는 3dB + 1dB = 4dB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인체와 작업환경 사이의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조건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대류에 의한 열교환
  2. 복사에 의한 열교환
  3. 증발에 의한 열교환
  4. 기온에 의한 열교환
(정답률: 65%)
  • 기온에 의한 열교환은 인체와 작업환경 사이의 열교환 조건에 해당되지 않는다. 이는 인체와 작업환경의 온도 차이가 없거나 매우 적어서 열이 전달되지 않는 경우를 의미한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인체와 작업환경 사이에서 열이 전달되는 방식들이다. 대류에 의한 열교환은 공기나 물 등의 유체가 움직이면서 열을 전달하는 것이고, 복사에 의한 열교환은 열을 전달하는 전자기파의 파장과 강도에 따라 달라지는 것이다. 증발에 의한 열교환은 수증기가 공기 중에서 증발하면서 열을 흡수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적정공기의 범위에 해당하는 것은?

  1. 산소농도 18%미만
  2. 이황화탄소 10%미만
  3. 탄산가스 농도 10%미만
  4. 황화수소의 농도 10ppm미만
(정답률: 65%)
  • 산업안전보건법령에서 적정공기란, 인체에 유해한 물질의 농도가 일정 수준 이하인 공기를 말합니다. 따라서, 위 보기 중에서 인체에 유해한 물질인 황화수소의 농도가 10ppm 미만인 것이 적정공기의 범위에 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국소진동에 의하여 손가락의 창백, 청색증, 저림, 냉감, 동통이 나타나는 장해를 무엇이라 하는가?

  1. 레이노드 증후군
  2. 수근관통증 증후군
  3. 브라운세커드 증후군
  4. 스티브블래스 증후군
(정답률: 85%)
  • 정답: 레이노드 증후군

    국소진동에 의해 혈관이 수축하여 손가락에 충분한 혈액 공급이 이루어지지 않아 창백, 청색증, 저림, 냉감, 동통 등의 증상이 나타나는데, 이를 레이노드 증후군이라고 한다. 수근관통증 증후군은 손목과 팔꿈치 부근의 통증이 나타나는 것이고, 브라운세커드 증후군은 신경계 이상으로 인해 발생하는 증상이며, 스티브블래스 증후군은 근육 이상으로 인해 발생하는 증상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1000Hz에서의 음압레벨을 기준으로 하여 등청감곡선을 나타내는 단위로 사용되는 것은?

  1. mel
  2. bell
  3. phon
  4. sone
(정답률: 72%)
  • phon은 인간의 청각에 대한 감도를 나타내는 단위로, 1000Hz에서의 음압레벨을 기준으로 하여 등청감곡선을 나타내는 단위입니다. 다른 보기인 mel은 주파수 척도, bell은 음량 척도, sone은 청각 척도를 나타내는 단위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phon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빛과 밝기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광도의 단위로는 칸델라(candela)를 사용한다.
  2. 광원으로부터 한 방향으로 나오는 빛의 세기를 광속이라 한다.
  3. 루멘(Lumen)은 1촉광의 광원으로부터 단위 입체각으로 나가는 광속의 단위이다.
  4. 조도는 어떤 면에 들어오는 광속의 양에 비례하고, 입사면의 단면적에 반비례한다.
(정답률: 53%)
  • "광속"이라는 용어는 존재하지 않습니다. 올바른 용어는 "광도"입니다. 광도는 광원으로부터 한 방향으로 나오는 빛의 세기를 나타내는 단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A=Q/V=0.1m2인 경우 덕트의 관경은 얼마인가?

  1. 352mm
  2. 355mm
  3. 357mm
  4. 359mm
(정답률: 54%)
  • A=πr²이므로 r²=A/π=0.0318m²/π=0.01m²이다. 이를 이용하여 덕트의 단면적 A=πr²=0.1m²에서 r=0.178m=178mm이다. 따라서 덕트의 관경은 2r=356mm이므로 가장 가까운 정답은 "357m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이온화 방사선 중 입자방사선으로만 나열된 것은?

  1. α선, β선, γ선
  2. α선, β선, X선
  3. α선, β선, 중성자
  4. α선, β선, γ선, 중성자
(정답률: 53%)
  • 이온화 방사선은 원자핵에서 방출되는 입자방사선으로, 전자를 제거하여 양전하를 가진 입자를 방출한다. 따라서 중성자는 이온화 방사선이 아니므로 제외된다. 그리고 γ선은 전자기파로 이루어진 전자기 방사선으로, 입자가 아니므로 제외된다. 따라서 "α선, β선, 중성자"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방사선의 투과력이 큰 것부터 작은 순으로 올바르게 나열한 것은?

  1. X > β > γ
  2. α > X > γ
  3. X > β > α
  4. γ > α > β
(정답률: 76%)
  • 방사선의 투과력은 방사선의 에너지와 관련이 있으며, 에너지가 높을수록 투과력이 높아진다. 따라서 X선이 가장 투과력이 높고, 그 다음이 베타선, 그리고 알파선이 가장 투과력이 낮다. 따라서 "X > β > α"가 올바른 순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소음이 발생하는 작업장에서 1일 8시간 근무하는 동안 100dB에 30분, 95dB에 1시간30분, 90dB에 3시간 노출되었다면 소음노출지수는 얼마인가?

  1. 1.0
  2. 1.1
  3. 1.2
  4. 1.3
(정답률: 51%)
  • 소음노출지수는 노출시간과 노출강도에 따라 결정되는데, 노출시간이 길어질수록 노출강도가 낮아져야 하며, 노출강도가 높아질수록 노출시간이 짧아져야 한다. 따라서, 100dB에 30분, 95dB에 1시간30분, 90dB에 3시간 노출되었을 때, 소음노출지수는 1.0이 된다. 이는 노출시간과 노출강도를 고려하여 계산한 결과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소음성 난청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음압수준이 높을수록 유해하다.
  2. 저주파음이 고주파음보다 더 유해하다.
  3. 지속적 노출이 간헐적 노출보다 더 유해하다.
  4. 개인의 감수성에 따라 소음반응이 다양하다.
(정답률: 79%)
  • "저주파음이 고주파음보다 더 유해하다."라는 설명이 틀린 것입니다. 사실, 저주파음과 고주파음 모두 소음성 난청에 영향을 미칩니다.

    저주파음이 고주파음보다 더 유해하다는 이유는, 저주파음이 더 큰 진폭을 가지기 때문에 내부 이어폰이나 머리뼈를 통해 전달되어 내부 이음매를 손상시키기 때문이라고 알려져 있습니다.

    하지만, 이는 고주파음이 소음성 난청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은 아닙니다. 고주파음은 내부 이음매를 직접적으로 손상시키는 것은 아니지만, 오래 노출될 경우 청각신경을 손상시키는 등의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소음성 난청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음압수준, 주파수, 지속적 노출 등 다양한 요소가 있으며, 개인의 감수성에 따라 소음반응이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열경련(Heat Cramp)을 일으키는 가장 큰 원인은?

  1. 체온상승
  2. 중추신경마비
  3. 순환기계 부조화
  4. 체내수분 및 염분손실
(정답률: 78%)
  • 열경련은 체내수분 및 염분손실로 인해 발생합니다. 열에 노출되면 땀을 통해 체내 수분과 염분이 손실되고, 이로 인해 근육이 수축하는 것을 방지하는 능력이 감소합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근육이 과도하게 수축하면 열경련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열경련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충분한 수분과 염분을 섭취하고, 땀을 많이 흘리는 환경에서는 수분과 염분을 보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산업독성학

81. 산화규소는 폐암 등의 발암성이 확인된 유해인자이다. 종류에 따른 호흡성 분진의 노출기준을 연결한 것으로 맞는 것은?

  1. 결정체 석영 - 0.1mg/m3
  2. 결정체 tripoli - 0.1mg/m3
  3. 비결정체 규소 - 0.01mg/m3
  4. 결정체 tridymite - 0.5mg/m3
(정답률: 39%)
  • 산화규소는 규소를 함유하는 물질 중에서도 특히 호흡기에 침입하여 폐암 등의 질병을 유발하는 위험이 높은 물질이다. 따라서 규제기관에서는 규소 노출을 최소화하기 위해 규소를 함유하는 물질들에 대한 노출기준을 제시하고 있다. 이 중에서도 결정체 tripoli와 결정체 석영은 규소 노출에 대한 높은 위험성을 가지고 있으며, 따라서 노출기준이 가장 엄격하게 제시되고 있다. 결정체 tripoli의 경우 노출기준이 0.1mg/m3으로 제시되어 있으며, 이는 규소 노출에 대한 최대 허용치를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입자상물질의 종류 중 액체나 고체의 2가지 상태로 존재할 수 있는 것은?

  1. 흄(fume)
  2. 미스트(mist)
  3. 증기(vapor)
  4. 스모크(smoke)
(정답률: 68%)
  • 스모크는 고체나 액체가 연소되면서 발생하는 입자상물질로, 공기 중에 떠다니는 미세한 입자들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따라서 액체나 고체의 상태로 존재할 수 있는 것은 아니지만, 연소 과정에서 발생하는 입자상물질이기 때문에 보기에서 스모크가 정답으로 선택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카드뮴의 인체 내 축적기관으로만 나열된 것은?

  1. 뼈, 근육
  2. 간, 신장
  3. 뇌, 근육
  4. 혈액, 모발
(정답률: 73%)
  • 카드뮴은 간과 신장에서 축적되기 때문에, "간, 신장"이 정답이다. 다른 선택지인 "뼈, 근육", "뇌, 근육", "혈액, 모발"은 카드뮴이 축적되지 않는 부위이거나, 매우 적은 양으로 축적되기 때문에 정답이 될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적혈구의 산소운반 단백질을 무엇이라 하는가?

  1. 백혈구
  2. 단구
  3. 혈소판
  4. 헤모글로빈
(정답률: 82%)
  • 헤모글로빈은 적혈구 내부에 존재하는 단백질로, 산소를 운반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적혈구의 산소운반 단백질을 헤모글로빈이라고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다음 중 노출기준이 가장 낮은 것은?

  1. 오존(O3)
  2. 암모니아(NH3)
  3. 염소(Cl2)
  4. 일산화탄소(CO)
(정답률: 57%)
  • 오존(O3)이 노출기준이 가장 낮은 것이다. 이는 오존이 대기 중에 존재하는 자극성 물질로, 높은 농도에서는 호흡기나 눈 등에 자극을 일으키고 건강에 해로울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오존 농도는 다른 물질들에 비해 더욱 엄격하게 제한되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유해물질의 경구투여용량에 따른 반응범위를 결정하는 독성검사에서 얻은 용량-반응곡선(dose-response curve)에서 실험동물군의 50%가 일정시간 동안 죽는 치사량을 나타내는 것은?

  1. LC50
  2. LD50
  3. ED50
  4. TD50
(정답률: 65%)
  • LD50은 Lethal Dose 50%의 약어로, 독성검사에서 얻은 용량-반응곡선에서 실험동물군의 50%가 일정시간 동안 죽는 치사량을 나타냅니다. 따라서 유해물질의 경구투여용량에 따른 반응범위를 결정하는 독성검사에서 LD50는 해당 물질의 치명적인 독성을 평가하는 중요한 지표입니다. LC50는 Lethal Concentration 50%의 약어로, 공기나 물 등의 용액에서 실험동물군의 50%가 일정시간 동안 죽는 농도를 나타내며, ED50는 Effective Dose 50%의 약어로, 특정 효과를 나타내는 용량에서 실험동물군의 50%가 그 효과를 보이는 용량을 나타냅니다. TD50는 Toxic Dose 50%의 약어로, 특정 부작용이 발생하는 용량에서 실험동물군의 50%가 그 부작용을 보이는 용량을 나타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골수장애로 재생불량성 빈혈을 일으키는 물질이 아닌 것은?

  1. 벤젠(benzene)
  2. 2-브로모프로판(2-bromopropane)
  3. TNT(trinitrotoluene)
  4. 2,4-TDI(Toluene-2,4-diisocyanate)
(정답률: 47%)
  • 골수장애는 주로 벤젠과 같은 화학물질에 노출되어 발생하는데, 2,4-TDI는 이러한 화학물질과는 관련이 없기 때문에 재생불량성 빈혈을 일으키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ACGIH에서 발암물질을 분류하는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Group A1 : 인체발암성 확인물질
  2. Group A2 : 인체발암성 의심물질
  3. Group A3 : 동물발암성 확인물질, 인체발암성 모름
  4. Group A4 : 인체발암성 미의심 물질
(정답률: 63%)
  • ACGIH에서 발암물질을 분류하는 설명 중 틀린 것은 없습니다. 그러나 Group A4는 인체발암성 미의심 물질로 분류됩니다. 이는 동물실험에서 발암성이 확인되지 않았거나 인체에서의 발암성에 대한 충분한 연구가 없는 물질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인체에 대한 발암성 여부가 불분명한 물질로 분류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벤젠을 취급하는 근로자를 대상으로 벤젠에 대한 노출량을 추정하기 위해 호흡기 주변에서 벤젠 농도를 측정함과 동시에 생물학적 모니터링을 실시하였다. 벤젠 노출로 인한 대사산물의 결정인자(determinant)로 맞는 것은?

  1. 호기 중의 벤젠
  2. 소변 중의 마뇨산
  3. 소변 중의 총페놀
  4. 혈액 중의 만델리산
(정답률: 63%)
  • 벤젠은 간에서 대사되어 페놀, 총페놀, 만델리산 등의 대사산물을 생성한다. 그 중에서도 소변 중의 총페놀이 벤젠 노출량을 추정하는 가장 적절한 대사산물이다. 이는 벤젠의 대사과정에서 생성되는 대사산물 중에서 가장 안정적이며, 소변으로 배출되는 양이 많기 때문이다. 따라서 소변 중의 총페놀을 측정하여 벤젠 노출량을 추정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ACGIH에서 발암성 구분이 "A1"으로 정하고 있는 물질이 아닌 것은?

  1. 석면
  2. 텅스텐
  3. 우라늄
  4. 6가크롬 화합물
(정답률: 73%)
  • ACGIH에서 발암성 구분이 "A1"으로 정하고 있는 물질은 인체에 대한 강력한 발암성이 있어서 높은 위험성을 가지고 있는 물질을 말합니다. 그러므로 "텅스텐"은 발암성 구분이 "A1"으로 정해지지 않은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중금속 취급에 의한 직업성 질환을 나타낸 것으로 서로 관련이 가장 적은 것은?

  1. 니켈 중독 - 백혈병, 재생불량성 빈혈
  2. 납 중독 - 골수침입, 빈혈, 소화기장애
  3. 수은 중독 - 구내염, 수전증, 정신장애
  4. 망간 중독 - 신경염, 신장염, 중추신경장해
(정답률: 65%)
  • 니켈 중독은 백혈병과 재생불량성 빈혈과 관련이 있습니다. 그러나 다른 중금속 중독과는 관련이 적습니다. 납 중독은 골수침입, 빈혈, 소화기장애와 관련이 있습니다. 수은 중독은 구내염, 수전증, 정신장애와 관련이 있습니다. 망간 중독은 신경염, 신장염, 중추신경장해와 관련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다음 표과 같은 망간 중독을 스크린하는 검사법을 개발하였다면, 이 검사법의 특이도는 얼마인가?

  1. 70.8%
  2. 77.3%
  3. 78.1%
  4. 83.3%
(정답률: 57%)
  • 망간 중독이 아닌 사람들 중에서 검사 결과가 음성(-)인 비율이 78.1%이므로, 이 검사법의 특이도는 78.1%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동일한 독성을 가진 화학물질이 합류하여 각 물질의 독성의 합보다 큰 독성을 나타내는 작용은?

  1. 상승작용
  2. 상가작용
  3. 강화작용
  4. 길항작용
(정답률: 71%)
  • 상승작용은 동일한 독성을 가진 화학물질이 합류하여 각 물질의 독성의 합보다 큰 독성을 나타내는 작용을 말합니다. 이는 각 화학물질이 서로 상호작용하여 독성이 증가하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두 가지 독성 물질이 각각 5의 독성을 가지고 있을 때, 합류하면 10 이상의 독성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 이러한 상승작용은 인체에 해로울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진폐증의 독성병리기전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진폐증의 대표적인 병리소견은 섬유증(fibrosis)이다.
  2. 섬유증이 동반되는 진폐증의 원인물질로는 석면, 알루미늄, 베릴륨, 석탄분진, 실리카 등이 있다.
  3. 폐포탐식세포는 분진탐식 과정에서 활성산소유리기에 의한 폐포상피세포의 증식을 유도한다.
  4. 콜라겐 섬유가 증식하면 폐의 탄력성이 떨어져 호흡곤란, 지속적인 기침, 폐기능 저하를 가져온다.
(정답률: 52%)
  • "폐포탐식세포는 분진탐식 과정에서 활성산소유리기에 의한 폐포상피세포의 증식을 유도한다."가 틀린 것입니다. 폐포탐식세포는 분진탐식 과정에서 활성산소유리기에 의한 섬유아세포의 증식을 유도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자극성 가스이면서 화학질식제라 할 수 있는 것은?

  1. H2S
  2. NH3
  3. Cl2
  4. CO2
(정답률: 68%)
  • H2S는 화학질식이며, 자극성 가스이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NH3은 자극성 가스이지만 화학질식이 아닙니다. Cl2는 화학질식이지만 자극성 가스가 아닙니다. CO2는 자극성 가스도 아니고 화학질식이기는 하지만, 자극성 가스이면서 화학질식인 것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입자상 물질의 호흡기계 침착기전 중 길이가 긴 입자가 호흡기계로 들어오면 그 입자의 가장자리가 기도의 표면을 스치게 됨으로써 침착하는 현상은?

  1. 충돌
  2. 침전
  3. 차단
  4. 확산
(정답률: 57%)
  • 입자가 호흡기계로 들어오면 그 입자의 가장자리가 기도의 표면을 스치게 되면서 입자의 운동에너지가 감소하게 됩니다. 이로 인해 입자는 기도의 표면에 차단되어 더 이상 전진하지 못하고 침착하게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차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생물학적 모니터링을 위한 시료가 아닌 것은?

  1. 공기 중 유해인자
  2. 요 중의 유해인자나 대사산물
  3. 혈액 중의 유해인자나 대사산물
  4. 호기(Exhaled Air)중의 유해인자나 대사산물
(정답률: 76%)
  • 공기 중 유해인자는 시료가 아닌 것이다. 이는 생물학적 모니터링에서 측정 대상이 아니기 때문이다. 다른 보기들은 생체 내부에서 발생하는 유해물질을 측정하는 것이므로 시료로 사용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다음 중 납중독에서 나타날 수 있는 증상을 모두 나열한 것은?

  1. ㄱ,ㄷ
  2. ㄱ,ㄴ,ㄷ
  3. ㄴ,ㄹ
  4. ㄱ,ㄴ,ㄷ,ㄹ
(정답률: 70%)
  • - 증상: 손발 저림, 근육 약화, 뇌손상, 뇌경색, 뇌졸중, 불임, 난임, 자궁근종, 간손상, 신장손상, 혈액순환장애, 심장질환 등

    - 정답 "ㄱ,ㄷ": 손발 저림, 근육 약화와 같은 신경계 증상이 나타날 수 있기 때문에
    - 정답 "ㄱ,ㄴ,ㄷ": 위의 신경계 증상뿐만 아니라 간손상, 신장손상, 혈액순환장애, 심장질환 등 다양한 증상이 나타날 수 있기 때문에
    - 정답 "ㄴ,ㄹ": 뇌손상, 뇌경색, 뇌졸중과 같은 뇌 증상과 자궁근종, 불임, 난임과 같은 생식기 증상이 나타날 수 있기 때문에
    - 정답 "ㄱ,ㄴ,ㄷ,ㄹ": 모든 증상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남성근로자의 생식독성 유발 유해인자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고온
  2. 저혈압증
  3. 항암제
  4. 마이크로파
(정답률: 52%)
  • 저혈압증은 생식독성 유발 유해인자와 거리가 먼 이유는 생식기와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기 때문입니다. 고온, 항암제, 마이크로파 등은 생식기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데 비해, 저혈압증은 혈액순환과 관련된 문제로 생식기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따라서 생식독성 유발 유해인자와 거리가 먼 것으로 분류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금속열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금속열이 발생하는 작업장에서는 개인 보호용구를 착용해야 한다.
  2. 금속 흄에 노출된 후 일정 시간의 잠복기를 지나 감기와 비슷한 증상이 나타난다.
  3. 금속열은 하루정도가 지나면 증상은 회복되나 후유증으로 호흡기, 시신경 장애등을 일으킨다.
  4. 아연, 마그네슘 등 비교적 융점이 낮은 금속의 제련, 용해, 용접 시 발생하는 산화금속흄을 흡입 할 경우 생기는 발열성 질병이다.
(정답률: 64%)
  • "금속열은 하루정도가 지나면 증상은 회복되나 후유증으로 호흡기, 시신경 장애등을 일으킨다."가 틀린 것이다. 금속열은 후유증으로 호흡기, 시신경 장애 등을 일으킬 수 있으며, 회복 기간도 개인에 따라 다르다. 따라서 적극적인 예방과 보호가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