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과목: 산업위생학개론
1. 주로 정적인 자세에서 인체의 특정부위를 지속적, 반복적으로 사용하거나 부적합한 자세로 장기간 작업할 때 나타나는 질환을 의미하는 것이 아닌 것은?
2. 육체적 작업 시 혐기성 대사에 의해 생성되는 에너지원에 해당하지 않은 것은?
3. 산업안전보건법령상 발암성 정보물질의 표기법 중 ‘사람에게 충분한 발암성 증거가 있는 물질’에 대한 표기방법으로 옳은 것은?
4.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작업환경측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5. 온도 25℃, 1기압 하에서 분당 100mL씩 60분 동안 채취한 공기 중에서 벤젠이 5mg 검출되었다면 검출된 벤젠은 약 몇 ppm인가? (단, 벤젠의 분자량은 78이다.)
6. 화학적 원인에 의한 직업성 질환으로 볼 수 없는 것은?
7. 다음 ( )안에 들어갈 알맞은 것은?
8. 산업위생전문가의 윤리강령 중 “근로자에 대한 책임”에 해당하는 것은?
9. 주요 실내 오염물질의 발생원으로 보기 어려운 것은?
10. 산업피로의 종류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1.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사업주가 사업을 할 때 근로자의 건강장해를 예방하기 위하여 필요한 보건상의 조치를 하여야 할 항목이 아닌 것은?
12. 육체적 작업능력(PWC)이 16kcal/min인 남성 근로자가 1일 8시간 동안 물체를 운반하는 작업을 하고 있다. 이 때 작업대사율은 10kcal/min이고, 휴식 시 대사율은 2kcal/min이다. 매 시간마다 적정한 휴식 시간은 약 몇 분인가? (단, Herting의 공식을 적용하여 계산한다.)
13. Diethyl ketone(TLV=200ppm)을 사용하는 근로자의 작업시간이 9시간일 때 허용기준을 보정하였다. OSHA 보정법과 Brief and Scala 보정법을 적용하였을 경우 보정된 허용기준 치간의 차이는 약 몇 ppm인가?
14. 산업위생의 역사에서 직업과 질병의 관계가 있음을 알렸고, 광산에서의 납중독을 보고한 인물은?
15. 피로의 예방대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16. 직업성 변이(occupational stigmata)의 정의로 옳은 것은?
17. 생체와 환경과의 열교환 방정식을 올바르게 나타낸 것은? (단, △S: 생체 내 열용량의 변화, M: 대사에 의한 열 생산, E: 수분증발에 의한 열 방산, R: 복사에 의한 열 득실, C: 대류 및 전도에 의한 열 득실이다.)
18. 작업적성에 대한 생리적 적성검사 항목에 해당하는 것은?
19. 다음 ( )안에 들어갈 알맞은 용어는?
20. 근로시간 1000시간당 발생한 재해에 의하여 손실된 총 근로 손실일수로 재해자의 수나 발생빈도와 관계없이 재해의 내용(상해정도)을 측정하는 척도로 사용되는 것은?
2과목: 작업위생측정 및 평가
21. 분석용어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22. 벤젠으로 오염된 작업장에서 무작위로 15개 지점의 벤젠의 농도를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을 때, 이 작업장의 표준편차는?
23. 방사선이 물질과 상호작용한 결과 그 물질의 단위질량에 흡수된 에너지(gray; Gy)의 명칭은?
24. 두 개의 버블러를 연속적으로 연결하여 시료를 채취할 때, 첫 번째 버블러의 채취효율이 75%이고, 두 번째 버블러의 채취효율이 90%이면 전체 채취효율(%)은?
25. 시료채취매체와 해당 매체로 포집할 수 있는 유해인자의 연결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26. 작업환경측정 및 정도관리 등에 관한 고시상 시료채취 근로자수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27. 고성능 액체크로마토그래피(HPLC)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28. 18℃ 770mmHg인 작업장에서 methylethyl ketone의 농도가 26ppm일 때 mg/m3단위로 환산된 농도는? (단, Methylethyl ketone의 분자량은 72g/mol이다.)
29. 작업장에 작동되는 기계 두 대의 소음레벨이 각각 98dB(A), 96dB(A)로 측정되었을 때, 두 대의 기계가 동시에 작동되었을 경우에 소음레벨(dB(A))은?
30. 어떤 작업자에 50% acetone, 30% benzene, 20% xylene의 중량비로 조성된 용제가 증발하여 작업환경을 오염시키고 있을 때, 이 용제의 허용농도(TLV; mg/m3)는? (단, Actone, benzene, xylene의 TVL는 각각 1600, 720, 670mg/m3이고, 용제의 각 성분은 상가작용을 하며, 성분 간 비휘발도 차이는 고려하지 않는다.)
31. 시간당 약 150kcal의 열량이 소모되는 작업조건에서 WBGT 측정치가 30.6℃일 때 고온의 노출기준에 따른 작업휴식조건으로 적절한 것은?
32. 검지관의 장·단점으로 틀린 것은?
33. MCE여과지를 사용하여 금속성분을 측정, 분석한다. 샘플링에 끝난 시료를 전처리하기 위해 회화용액(ashing acid)을 사용하는 데 다음 중 NIOSH에서 제시한 금속별 전처리 용액 중 적절하지 않은 것은?
34. kata 온도계로 불감기류를 측정하는 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35. 실리카겔 흡착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36. 작업장에서 어떤 유해물질의 농도를 무작위로 측정한 결과가 아래와 같을 때, 측정값에 대한 기하평균(GM)은?
37. 접착공정에서 본드를 사용하는 작업장에서 톨루엔을 측정하고자 한다. 노출기준의 10%까지 측정하고자 할 때, 최소시료채취시간(min)은? (단, 작업장은 25℃, 1기압이며, 톨루엔의 분자량은 92.14, 기체크로마토그래피의 분석에서 톨루엔의 정량한계는 0.5mg/m3, 노출 기준은 100ppm, 채취유량은 0.15L/분이다.)(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38.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막여과지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39. 작업장 소음에 대한 1일 8시간 노출 시 허용기준(dB(A))은? (단, 미국 OSHA의 연속소음에 대한 노출기준으로 한다.)
40. 코크스 제조공정에서 발생되는 코크스오븐 배출물질을 채취할 때, 다음 중 가장 적합한 여과지는?
3과목: 작업환경관리대책
41. 덕트에서 평균속도압이 25mmH2O일 때, 반송속도(m/s)는?
42. 덕트 합류 시 댐퍼를 이용한 균형유지 방법의 장점이 아닌 것은?
43. 송풍기의 송풍량과 회전수의 관계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44. 동일한 두계로 벽체를 만들었을 경우에 차음효과가 가장 크게 나타나는 재질은? (단, 2000Hz 소음을 기준으로 하며, 공극률등 기타 조건은 동일하다 가정한다.)
45. 다음 보기 중 공기공급시스템(보충용 공기의 공급 장치)이 필요한 이유가 모두 선택된 것은?
46. 동력과 회전수의 관계로 옳은 것은?
47. 강제환기를 실시할 때 환기효과를 제고하기 위해 따르는 원칙으로 옳지 않은 것은?
48. 점음원과 1m 거리에서 소음을 측정한 결과 95dB로 측정되었다. 소음수준을 90dB로 하는 제한구역을 설정할 때, 제한구역의 반경(m)은?
49. 층류영역에서 직경이 2㎛이며 비중이 3인 입자상 물질의 침강속도(cm/s)는?
50. 입자상 물질을 처리하기 위한 공기정화장치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51. 공기가 흡인되는 덕트관 또는 공기가 배출되는 덕트관에서 음압이 될 수 없는 압력의 종류는?
52. 다음의 보호장구의 재질 중 극성용제에 가장 효과적인 것은?
53. 귀덮개 착용 시 일반적으로 요구되는 차음 효과는?
54. 움직이지 않는 공기 중으로 속도 없이 배출되는 작업조건(예시: 탱크에서 증발)의 제어 속도 범위(m/s)는? (단, ACGIH 권고 기준)
55. 기류를 고려하지 않고 감각온도(effective temperature)의 근사치로 널리 사용되는 지수는?
56. 안전보건규칙상 국소배기장치의 덕트 설치 기준으로 틀린 것은?
57. Stokes 침강법칙에서 침강속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단, 자유공간에서 구형의 분진 입자를 고려한다.)
58. 호흡용 보호구 중 마스크의 올바른 사용법이 아닌 것은?
59. 21℃, 1기압의 어느 작업장에서 톨루엔과 이소프로필알코올을 각각 100g/h씩 사용(증발)할 때, 필요 환기량(m3/h)은? (단, 두 물질은 상가작용을 하며, 톨루엔의 분자량은 92, TLV는 50ppm, 이소프로필알코올의 분자량은 60, TLV는 200ppm이고, 각 물질의 여유계수는 10으로 동일하다.)
60. 닥트에서 속도압 및 정압을 측정할 수 있는 표준기기는?
4과목: 물리적유해인자관리
61. 지적환경(potimum working environment)을 평가하는 방법이 아닌 것은?
62. 감압환경의 설명 및 인체에 미치는 영향으로 옳은 것은?
63. 진동의 강도를 표현하는 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64. 전리방사선의 흡수선량이 생체에 영향을 주는 정도를 표시하는 선당량(생체실효선량)의 단위는?
65. 실효음압이 2×10-3N/m2인 음의 음압수준은 몇 dB인가?
66. 고압 작업환경만으로 나열된 것은?
67. 다음 ( )안에 들어갈 내용으로 옳은 것은?
68. 저온에 의한 1차적인 생리적 영향에 해당하는 것은?
69. 실내 작업장에서 실내 온도 조건이 다음과 같을 때 WBGT(℃)는?
70. 다음 중 살균력이 가장 센 파장영역은?
71. 고압환경의 인체작용에 있어 2차적 가압현상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72. 다음 중 차음평가지수를 나타내는 것은?
73. 소음성 난청에 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74. 소음계(sound level meter)로 소음측정 시 A 및 C특성으로 측정하였다. 만약 C특성으로 측정한 값이 A특성으로 측정한 값보다 훨씬 크다면 소음의 주파수영역은 어떻게 추정이 되겠는가?
75. 전리방사선 방어의 궁극적 목적은 가능한 한 방사선에 불필요하게 노출되는 것을 최소화 하는 데 있다. 국제방사선방호위원회(ICRP)가 노출을 최소화하기 위해 정한 원칙 3가지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76. 현재 총 흡음량이 1200sabins인 작업장의 천장에 흡음물질을 첨가하여 2800sabins을 더할 경우 예측되는 소음감소량(dB)은 약 얼마인가?
77. 레이노 현상(Raynaud’s phenomenon)과 관련이 없는 것은?
78. 작업장 내 조명방법에 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79. 럭스(lux)의 정의로 옳은 것은?
80. 유해한 환경의 산소결핍 장소에 출입 시 착용하여야 할 보호구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5과목: 산업독성학
81. 유해물질의 생리적 작용에 의한 분류에서 질식제를 단순 질식제와 화학적 질식제로 구분할 때 화학적 질식제에 해당하는 것은?
82. 화학물질 및 물리적 인자의 노출기준에서 근로자가 1일 작업시간동안 잠시라도 노출되어서는 아니 되는 기준을 나타내는 것은?
83. 생물학적 모니터링을 위한 시료가 아닌 것은?
84. 흡인분진의 종류에 의한 진폐증의 분류 중 무기성 분진에 의한 진폐증이 아닌 것은?
85. 3가 및 6가 크롬의 인체 작용 및 독성에 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86. 다음 중 만성중독 시 코, 폐 및 위장의 점막에 병변을 일으키며, 장기간 흡입하는 경우 원발성 기관지암과 폐암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진 대표적인 중금속은?
87. 독성물질 생체내 변환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88. 다음 중금속 취급에 의한 대표적인 직업성 질환을 연결한 것으로 서로 관련이 가장 적은 것은?
89. 다음 중 가스상 물질의 호흡기계 축적을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인자는?
90. 중금속에 중독되었을 경우에 치료제로 BAL이나 Ca-EDTA 등 금속배설 촉진제를 투여해서는 안되는 중금속은?
91.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석면 및 내화성 세라믹 섬유의 노출기준 표시단위로 옳은 것은?
92. 피부독성 반응의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93.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사람에게 충분한 발암성 증거가 잇는 물질(1A)에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것은?
94. 단백질을 침전시키며 thiol(-SH)기를 가진 효소의 작용을 억제하여 독성을 나타내는 것은?
95. 동물을 대상으로 약물을 투여햇을 때 독성을 초래하지는 않지만 대상의 50%가 관찰 가능한 가역적인 반응이 나타나는 작용량을 무엇이라 하는가?
96. 이황화탄소(CS2)에 중독될 가능성이 가장 높은 작업장은?
97. 다음 사례의 근로자에게서 의심되는 노출인자는?
98. 유기용제의 중추신경 활성억제의 순위를 큰 것에서부터 작은 순으로 나타낸 것 중 옳은 것은?
99. 다음 입자상 물질의 종류 중 액체나 고체의 2가지 상태로 존재할 수 있는 것은?
100. 벤젠을 취급하는 근로자를 대상으로 벤젠에 대한 노출량을 추정하기 위해 호흡기 주변에서 벤젠 농도를 측정함과 동시에 생물학적 모니터링을 실시하였다. 벤젠 노출로 인한 대사산물의 결정인자(determinant)로 옳은 것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