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과목: 산업위생학개론
1. 화학물질 및 물리적 인자의 노출기준상 사람에게 충분한 발암성 증거가 있는 물질의 표기는?
2. 미국산업안전보건연구원(NIOSH)에서 제시한 중량물의 들기작업에 관한 감시기준(Action Limit)과 최대허용기준(Maximum Permissible Limit)의 관계를 바르게 나타낸 것은?
3.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작업환경측정에 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4. 근골격계질환 평가 방법 중 JSI(Job Strain Index)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5.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특징이 아닌 것은?
6. 체중이 60kg인 사람이 1일 8시간 작업 시 안전흡수량이 1mg/kg인 물질의 체내 흡수를 안전흡수량 이하로 유지하려면 공기 중 유해물질 농도를 몇 mg/m3이하로 하여야 하는가? (단, 작업 시 폐환기율은 1.25m3/hr, 체내 잔류율은 1로 가정한다.)
7. 업무상 사고나 업무상 질병을 유발할 수 있는 불안전한 행동의 직접원인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8. 산업위생의 목적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9. 교대근무에 있어 야간작업의 생리적 현상으로 옳지 않은 것은?
10. 미국에서 1910년 납(lead) 공장에 대한 조사를 시작으로 레이온 공장의 이황화탄소 중독, 구리 광산에서 규폐증, 수은 광산에서의 수은 중독 등을 조사하여 미국의 산업보건 분야에 크게 공헌한 선구자는?
11.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작업환경측정 대상 유해인자(분진)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단, 그 밖에 고용노동부장관이 정하여 고시하는 인체에 해로운 유해인자는 제외한다.)
12. RMR이 10인 격심한 작업을 하는 근로자의 실동률(A)과 계속작업의 한계시간(B)으로 옳은 것은? (단, 실동률은 사이또 오시마식을 적용한다.)
13. 다음 중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제조 등이 허가되는 유해물질에 해당하는 것은?
14. 직업병 진단 시 유해요인 노출 내용과 정도에 대한 평가 요소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5. 직업적성검사 중 생리적 기능검사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6. 산업재해 통계 중 재해발생건수(100만 배)를 총 연인원의 근로시간수로 나누어 산정하는 것으로 재해발생의 정도를 표현하는 것은?
17. 직업병 및 작업관련성 질환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8. 미국산업위생학술원(AAIH)이 채택한 윤리강령 중 사업주에 대한 책임에 해당되는 내용은?
19. 단기간의 휴식에 의하여 회복될 수 없는 병적상태를 일컫는 용어는?
20. 사무실 공기관리 지침 상 오염물질과 관리기준이 잘못 연결된 것은? (단, 관리기준은 8시간 시간가중평균농도이며, 고용노동부 고시를 따른다.)
2과목: 작업위생측정 및 평가
21. 금속탈지 공정에서 측정한 trichloroethylene의 농도(ppm)가 아래와 같을 때, 기하평균 농도(ppm)는?
22. 공기 중 먼지를 채취하여 채취된 입자 크기의 중앙값(median)은 1.12㎛이고 84%에 해당하는 크기가 2.68㎛일 때, 기하표준편차 값은? (단, 채취된 입경의 분포는 대수정규분포를 따른다.)
23. 입경이 20㎛이고 입자비중이 1.5인 입자의 침강 속도(cm/s)는?
24. 어느 작업장에서 시료채취기를 사용하여 분진 농도를 측정한 결과 시료채취 전/후 여과지의 무게가 각각 32.4/44.7mg일 때, 이 작업장의 분진 농도(mg/m3)는? (단, 시료채취를 위해 사용된 펌프의 유량은 20L/min이고, 2시간 동안 시료를 채취하였다.)
25. 근로자 개인의 청력 손실 여부를 알기 위해 사용하는 청력 측정용 기기는?
26. Fick법칙이 적용된 확산포집방법에 의하여 시료가 포집될 경우, 포집량에 영향을 주는 요인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27. 옥내의 습구흑구온도지수(WBGT)를 산출하는 식은?
28. 87℃와 동등한 온도는? (단, 정수로 반올림한다.)
29. 입자상 물질을 채취하는 방법 중 직경분립충돌기의 장점으로 틀린 것은?
30. 공기 중 유기용제 시료를 활성탄관으로 채취하였을 때 가장 적절한 탈착용매는?
31.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소음 측정방법에 관한 내용이다. ( Ⓐ )안에 맞는 내용은?
32. 산업안전보건법령상 단위작업장소에서 작업근로자수가 17명일 때, 측정해야 할 근로자수는? (단, 시료채취는 개인 시료채취로 한다.)
33. 실리카겔과 친화력이 가장 큰 물질은?
34. 시료채취방법 중 유해물질에 따른 흡착제의 연결이 적절하지 않은 것은?
35. 직독식 기구에 대한 설명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36. 측정값이 1, 7, 5, 3, 9일 때, 변이계수(%)는?
37. 어느 작업장에서 작동하는 기계 각각의 소음 측정결과가 아래와 같을 때, 총 음압수준(dB)은? (단, A, B, C기계는 동시에 작동된다.)
38. 검지관의 장ㆍ단점에 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39. 어떤 작업장의 8시간 작업 중 연속음 소음 100dB(A)가 1시간, 95dB(A)가 2시간 발생하고 그 외 5시간은 기준 이하의 소음이 발생되었을 때, 이 작업장의 누적소음도에 대한 노출기준 평가로 옳은 것은?
40. 유해인자에 대한 노출평가방법인 위해도평가(Risk assessment)를 설명한 것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3과목: 작업환경관리대책
41. 호흡기 보호구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42. 흡입관의 정압 및 속도압은 –30.5mmH2O, 7.2mmH2O이고, 배출관의 정압 및 속도압은 20.0mmH2O, 15mmH2O일 때, 송풍기의 유효전압(mmH2O)은?
43. 환기시설 내 기류가 기본적 유체역학적 원리에 의하여 지배되기 위한 전제 조건에 관한 내용으로 틀린 것은?
44. 전기도금 공정에 가장 적합한 후드 형태는?
45. 보호구의 재질에 따른 효과적 보호가 가능한 화학물질을 잘못 짝지은 것은?
46. 슬롯(Slot) 후드의 종류 중 전원주형의 배기량은 1/4원주형 대비 약 몇 배인가?
47. 터보(Turbo) 송풍기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48. 밀도가 1.225kg/m3인 공기가 20m/s의 속도로 덕트를 통과하고 있을 때 동압(mmH2O)은?
49. 정압회복계수가 0.72이고 정압회복량이 7.2mmH2O인 원형 확대관의 압력손실(mmH2O)은?
50. 유기용제 취급 공정의 작업환경관리대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51. 송풍기의 풍량조절기법 중에서 풍량(Q)을 가장 크게 조절할 수 있는 것은?
52. 회전차 외경이 600mm인 원심 송풍기의 풍량은 200m3/min이다. 회전차 외경이 1200mm인 동류(상사구조)의 송풍기가 동일한 회전수로 운전된다면 이 송풍기의 풍량(m3/min)은? (단, 두 경우 모두 표준공기를 취급한다.)
53. 송풍기 축의 회전수를 측정하기 위한 측정기구는?
54. 20℃, 1기압에서 공기유속은 5m/s, 원형덕트의 단면적은 1.13m2일 때, Reynolds 수는? (단, 공기의 점성계수는 1.8×10-5kg/sㆍm이고, 공기의 밀도는 1.2kg/m3이다.)
55. 유해물질별 송풍관의 적정 반송속도로 옳지 않은 것은?
56. 신체 보호구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57. 국소환기시설 설계에 있어 정압조절평형법의 장점으로 틀린 것은?
58. 전체 환기의 목적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59. 심한 난류상태의 덕트 내에서 마찰계수를 결정하는데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60. 호흡용 보호구 중 방독/방진 마스크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4과목: 물리적유해인자관리
61. 다음 파장 중 살균 작용이 가장 강한 자외선의 파장범위는?
62. 산업안전보건법령상 고온의 노출기준 중 중등작업의 계속작업 시 노출기준은 몇 ℃(WBGT)인가?
63. 다음 중 레이노 현상(Raynaud’s phenomenon)의 주요 원인으로 옳은 것은?
64. 일반소음에 대한 차음효과는 벽체의 단위표면적에 대하여 벽체의 무게가 2배될때마다 약 몇 dB씩 증가하는가? (단, 벽체 무게 이외의 조건은 동일하다.)
65. 전기성 안염(전광선 안염)과 가장 관련이 깊은 비전리 방사선은?
66. 한랭노출 시 발생하는 신체적 장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67.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적정한 공기”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단, 다른 성분의 조건은 적정한 것으로 가정한다.)
68. 인체와 작업환경 사이의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조건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69. 심한 소음에 반복 노출되면, 일시적인 청력변화는 영구적 청력변화로 변하게 되는데, 이는 다음 중 어느 기관의 손상으로 인한 것인가?
70. 방진재료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71. 전리방사선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에 관여하는 인자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72.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소음작업의 기준은?
73. 비전리 방사선이 아닌 것은?
74. 음원으로부터 40m되는 지점에서 음압수준이 75dB로 측정되었다면 10m되는 지점에서의 음압수준(dB)은 약 얼마인가?
75.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정밀작업을 수행하는 작업장의 조도기준은?
76. 고압환경의 2차적인 가압현상 중 산소중독에 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77. 빛과 밝기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78. 감압병의 예방대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79. 이상기압의 영향으로 발생되는 고공성 폐수종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80. 1000Hz 에서의 음압레벨을 기준으로 하여 등청감곡선을 나타내는 단위로 사용되는 것은?
5과목: 산업독성학
81. 다음 중 무기연에 속하지 않는 것은?
82. 접촉에 의한 알레르기성 피부감작을 증명하기 위한 시험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83. 피부는 표피와 진피로 구분하는데, 진피에만 있는 구조물이 아닌 것은?
84. 근로자의 소변 속에서 마뇨산(hippuric acid)이 다량검출 되었다면 이 근로자는 다음 중 어떤 유해물질에 폭로되었다고 판단되는가?
85. 카드뮴의 중독, 치료 및 예방대책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86. 접촉성 피부염의 특징으로 옳지 않은 것은?
87. 대사과정에 의해서 변화된 후에만 발암성을 나타내는 간접 발암원으로만 나열된 것은?
88. 직업성 피부질환에 영향을 주는 직접적인 요인에 해당되는 것은?
89. 호흡기계로 들어온 입자상 물질에 대한 제거기전의 조합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90. 노말헥산이 체내 대사과정을 거쳐 변환되는 물질로 노말헥산에 폭로된 근로자의 생물학적 노출지표로 이용되는 물질로 옳은 것은?
91. 근로자가 1일 작업시간동안 잠시라도 노출되어서는 아니 되는 기준을 나타내는 것은?
92. 대상 먼지와 침강속도가 같고, 밀도가 1이며 구형인 먼지의 직경으로 환산하여 표현하는 입자상 물질의 직경을 무엇이라 하는가?
93. 다음 중 규폐증(silicosis)을 일으키는 원인 물질과 가장 관계가 깊은 것은?
94. 방향족 탄화수소 중 만성노출에 의한 조혈장해를 유발 시키는 것은?
95. 금속열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96. 납이 인체에 흡수됨으로 초래되는 결과로 옳지 않은 것은?
97. 유해물질의 경구투여용량에 따른 반응범위를 결정하는 독성검사에서 얻은 용량-반응곡선(dose-response curve)에서 실험동물군의 50%가 일정시간 동안 죽는 치사량을 나타내는 것은?
98. 카드뮴에 노출되었을 때 체내의 주요 축적 기관으로만 나열한 것은?
99. 인체 내에서 독성이 강한 화학물질과 무독한 화학물질이 상호작용하여 독성이 증가되는 현상을 무엇이라 하는가?
100. 무색의 휘발성 용액으로서 도금 사업장에서 금속표면의 탈지 및 세정용, 드라이클리닝, 접착제 등으로 사용되며, 간 및 신장 장해를 유발시키는 유기용제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