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접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5-08-16)

용접산업기사
(2015-08-16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용접야금 및 용접설비제도

1. 재가열균열시험법으로 사용되지 않는 것은?

  1. 고온인장시험
  2. 변형이완시험
  3. 자율구속도시험
  4. 크리프저항시험
(정답률: 53%)
  • 재가열균열시험법은 재료의 내구성을 평가하는 시험법 중 하나이며, 고온인장시험과 변형이완시험은 재료의 인장 및 변형 특성을 평가하는 시험법으로 재가열균열시험법과 함께 사용됩니다. 자율구속도시험은 재료의 충격 흡수 능력을 평가하는 시험법입니다. 그러나 크리프저항시험은 재료의 시간에 따른 변형 특성을 평가하는 시험법으로, 재가열균열시험법과는 다른 시험법입니다. 따라서 크리프저항시험은 재가열균열시험법으로 사용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강의 표면경화법이 아닌 것은?

  1. 불림
  2. 침탄법
  3. 질화법
  4. 고주파 열처리
(정답률: 62%)
  • 강의 표면경화법이 아닌 것은 "불림"이다. 불림은 강재를 가열하여 표면에 탄화물 층을 형성시키는 방법으로, 강의 표면경화법과는 다른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용접하기 전 예열하는 목적이 아닌 것은?

  1. 수축 변형을 감소한다.
  2. 열영향부의 경도를 증가시킨다.
  3. 용접 금속 및 열영향부에 균열을 방지 한다.
  4. 용접 금속 및 열영향부에 연성 또는 노치 인성을 개선한다.
(정답률: 79%)
  • 열영향부의 경도를 증가시키는 것은 예열하기 전의 목적이 아니라는 것은, 예열은 열영향부의 경도를 감소시켜 용접 후 균열 발생을 방지하고 연성 및 노치 인성을 개선하기 위한 것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용융금속 중에 첨가하는 탈산제가 아닌 것은?

  1. 규소 철(Fe-Si)
  2. 타탄 철(Fe-Ti)
  3. 망간 철(Fe-Mn)
  4. 석회석(CaCO3)
(정답률: 61%)
  • 용융금속에 첨가하는 탈산제는 금속 내부의 불순물을 제거하여 금속의 순도를 높이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석회석은 금속 내부의 불순물을 제거하는 역할을 하지 않기 때문에 탈산제로 사용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철강 재료의 변태 중 순철에서는 나타나지 않는 변태는?

  1. A1
  2. A2
  3. A3
  4. A4
(정답률: 57%)
  • 순철에서는 결정구조가 단순하고 균일하기 때문에 변태가 나타나지 않습니다. 따라서 모든 보기 중에서 가장 단순한 결정구조를 가지고 있는 A1이 변태가 나타나지 않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γ고용체와 α고용체의 조직은?

  1. γ고용체 = 페라이트조직, α고용체 = 오스테나이트조직
  2. γ고용체 = 페라이트조직, α고용체 = 시멘타이트조직
  3. γ고용체 = 시멘타이트조직, α고용체 = 페라이트조직
  4. γ고용체 = 오스테나이트조직, α고용체 = 페라이트조직
(정답률: 66%)
  • γ고용체는 고온에서 형성되는 조직으로, 오스테나이트조직이다. α고용체는 저온에서 형성되는 조직으로, 페라이트조직이다. 따라서 정답은 "γ고용체 = 오스테나이트조직, α고용체 = 페라이트조직"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고장력강 용접시 일반적인 주의사항으로 틀린 것은?

  1. 용접봉은 저주소계를 사용한다.
  2. 아크 길이는 가능한 길게 유지한다.
  3. 위빙 폭은 용접봉 지름의 3배 이하로 한다.
  4. 용접 개시 전에 이음부 내부 또는 용접할 부분을 청소한다.
(정답률: 89%)
  • 정답: "아크 길이는 가능한 길게 유지한다."

    설명: 고장력강 용접시 아크 길이는 짧을수록 용접봉과 용접부 사이의 전압이 높아져 용접봉이 녹아내리거나 용접부가 파손될 수 있기 때문에 가능한 길게 유지해야 한다. 따라서 이 보기가 틀린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비열이 가장 큰 금속은?

  1. Al
  2. Mg
  3. Cr
  4. Mn
(정답률: 42%)
  • 비열은 단위 질량당 열에너지 변화량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비열이 가장 큰 금속은 단위 질량당 열에너지 변화량이 가장 큰 금속입니다. Mg는 다른 보기인 Al, Cr, Mn보다 비열이 크기 때문에 가장 큰 금속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용접 후 잔류응력이 있는 제품에 하중을 주고 용접부에 소성변형을 일으키는 방법은?

  1. 연화 풀림법
  2. 국부 풀림법
  3. 저온 응력 완화법
  4. 기계적 응력 완화법
(정답률: 88%)
  • 기계적 응력 완화법은 제품에 하중을 가해 용접부에 소성변형을 일으켜 잔류응력을 완화시키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제품의 크기나 형태에 상관없이 적용이 가능하며, 특히 대형 제품에 적용하기 용이합니다. 또한, 다른 응력 완화법에 비해 비용이 저렴하고 효과가 뛰어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이종의 원자가 결정격자를 만드는 경우 모재원자보다 작은 원자가 고용할 때 모재원자의 틈새 또는 격자결함에 들어가는 경우의 고용체는?

  1. 치환형고용체
  2. 변태형고용체
  3. 침입형고용체
  4. 금속간고용체
(정답률: 81%)
  • 이종의 원자가 결정격자를 만들 때 모재원자보다 작은 원자가 고용될 경우, 작은 원자는 모재원자의 틈새나 결함에 들어가게 됩니다. 이렇게 작은 원자가 모재원자의 틈새나 결함에 들어가서 고정되는 형태를 침입형고용체라고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침입형고용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평면도법에서 인벌류트곡선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원기둥에 감긴 실의 한 끝을 늦추지 않고 풀어나갈 때 이 실의 끝이 그리는 곡선이다.
  2. 1개의 원이 직선 또는 원주 위르 굴러갈 때 그 구르는 원의 원주 위의 1점이 움직이며 그려 나가는 자취를 말한다.
  3. 전동원이 기선 위를 굴러갈 때 생기는 곡선을 말한다.
  4. 원뿔을 여러 가지 각도로 절단하였을 때 생기는 곡선이다.
(정답률: 52%)
  • 원기둥에 감긴 실의 한 끝을 늦추지 않고 풀어나갈 때 이 실의 끝이 그리는 곡선이 인벌류트곡선이다. 이는 원기둥의 옆면을 따라서 올라가다가 원기둥의 윗면을 한 바퀴 돌고 다시 내려와서 옆면을 따라 내려가는 곡선이다. 이 곡선은 평면도법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며, 다양한 도형을 그릴 때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한 도면에서 두 종류 이상의 선이 같은 장소에 겹치게 될 때 우선순위로 옳은 것은?

  1. 숨은선→절단선→외형선→중심선→무게중심선
  2. 외형선→중심선→절단선→무게중심선→숨은선
  3. 숨은선→무게중심선→절단선→중심선→외형선
  4. 외형선→숨은선→절단선→중심선→무게중심선
(정답률: 79%)
  • 도면에서 우선순위는 외형선 → 숨은선 → 절단선 → 중심선 → 무게중심선입니다. 이는 다음과 같은 이유로 설명할 수 있습니다.

    1. 외형선: 도면에서 가장 먼저 그려지는 선으로, 제품의 외형을 나타냅니다. 따라서 다른 선들보다 우선순위가 높습니다.

    2. 숨은선: 제품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선으로, 외형선 위에 그려집니다. 외형선과 마찬가지로 중요한 정보를 담고 있으므로 우선순위가 높습니다.

    3. 절단선: 제품을 자르는 위치를 나타내는 선으로, 숨은선 위에 그려집니다. 제품의 형태와 내부 구조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므로 우선순위가 높습니다.

    4. 중심선: 제품의 중심축을 나타내는 선으로, 절단선 위에 그려집니다. 제품의 정확한 위치와 방향을 나타내므로 우선순위가 높습니다.

    5. 무게중심선: 제품의 무게중심을 나타내는 선으로, 중심선 위에 그려집니다. 제품의 안정성과 균형을 나타내므로 우선순위가 가장 낮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다음 중 용접기호에 대한 명칭으로 틀린 것은?

  1. : 필릿 용접
  2. : 한쪽면 수직 맞대기 용접
  3. : V형 맞대기 용접
  4. : 양면 V형 맞대기 용접
(정답률: 79%)
  • " : 한쪽면 수직 맞대기 용접"이 틀린 것이 아니라 올바른 명칭입니다. 이 용접은 두 개의 금속판을 수직으로 맞대고 용접하는 방법으로, 한쪽 면에서만 용접을 하기 때문에 "한쪽면"이라는 표현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다음 용접 기호 중 이면 용접 기호는?

(정답률: 81%)
  • 정답은 "" 이다. 이는 이면 용접 기호로, 두 개의 금속을 이어붙이는 용접 방법 중 하나이다. 이면 용접은 두 개의 금속을 각각 45도 각도로 절단한 후 이를 서로 맞붙여 용접하는 방법으로, 강도와 내구성이 뛰어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용접부 보조기호 중 제거 가능한 덮개판을 사용하는 기호는?

(정답률: 84%)
  • ""는 "용접부 보조기호 중 제거 가능한 덮개판을 사용하는 기호"이다. 이 기호는 용접 부위에 덮개판을 사용하여 용접 후 덮개판을 제거할 수 있도록 표시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 기호는 용접 후 덮개판을 제거해야 하는 경우에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도면에 치수를 기입하는 경우에 유의사항으로 틀린 것은?

  1. 치수는 되도록 주 투상도에 집중한다.
  2. 치수는 되도록 계산할 필요가 없도록 기입한다.
  3. 치수는 되도록 공정마다 배열을 분리하여 기입한다.
  4. 참고 치수에 대하여는 치수에 원을 넣는다.
(정답률: 73%)
  • "참고 치수에 대하여는 치수에 원을 넣는다."는 틀린 내용입니다. 참고 치수는 치수선 위에 작은 글씨로 표기하며, 원을 넣지 않습니다. 이유는 참고 치수는 주요 치수와는 다르게 중요도가 낮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척도에 관계없이 적당한 크기로 부품을 그린 후 치수를 측정하여 기입하는 스케치 방법은?

  1. 프린트법
  2. 프리핸드법
  3. 본뜨기법
  4. 사진촬영법
(정답률: 82%)
  • 프리핸드법은 척도에 구애받지 않고 자유롭게 부품을 그린 후에 치수를 측정하여 기입하는 방법이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각각 프린터를 이용한 법, 본을 뜨는 법, 사진을 찍어서 그리는 법으로 다른 방법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3각법에서 물체의 위에서 내려다 본 모양을 도명네 표현한 투상도는?

  1. 정면도
  2. 평면도
  3. 우측면도
  4. 좌측면도
(정답률: 92%)
  • 투상도는 3차원 물체를 2차원으로 표현한 것으로, 물체의 위에서 내려다 본 모양을 나타냅니다. 이러한 투상도는 물체의 모든 면을 보여주지 않기 때문에, 물체의 특정한 면을 보여주기 위해서는 다양한 각도에서의 투상도가 필요합니다. 이 중에서도 물체의 위에서 내려다 본 모양을 나타내는 것이 평면도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평면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가는 실선으로 규칙적으로 줄을 늘어놓은 것으로 도형의 한정된 특정 부분을 다른 부분과 구별하는데 사용하며 예를 들면 단면도의 절단된 부분을 나타내는 선의 명칭은?

  1. 파단선
  2. 지시선
  3. 중심선
  4. 해칭
(정답률: 66%)
  • 해칭은 도면상에서 단면을 표시하기 위해 가는 실선으로 규칙적으로 줄을 늘어놓은 것을 말합니다. 이를 통해 단면에서의 형상과 크기를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절단된 부분을 나타내는 선의 명칭은 해칭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도면에서 척도를 기입하는 경우, 도면을 정해진 척도값으로 그리지 못하거나 비례하지 않을 때 표시방법은?

  1. 현척
  2. 축척
  3. 배척
  4. NS
(정답률: 86%)
  • 정답은 "NS"이다. "NS"는 "Not to Scale"의 약자로, 도면이 정해진 척도값으로 그려지지 않았거나 비례하지 않을 때 사용하는 표시방법이다. 이 경우 도면에 척도를 표기하지 않고 "NS"라는 표시를 함으로써 도면이 비례하지 않음을 알리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용접구조설계

21. 맞대기 용접이음에서 각 변형이 가장 크게 나타날 수 있는 홈의 형상은?

  1. H형
  2. V형
  3. X형
  4. I형
(정답률: 60%)
  • 맞대기 용접이음에서 각 변형이 가장 크게 나타날 수 있는 홈의 형상은 V형입니다. 이는 V형 홈에서 용접을 할 때, 두 조각이 만나는 지점이 매우 좁아져서 용접이 쉽게 깨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V형 홈에서 용접을 할 때는 특히 조심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가접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본 용접 전에 용접물을 잠정적으로 고정하기 위한 짧은 용접이다.
  2. 가접은 아주 쉬운 작업이므로 본 용접사보다 기량이 부족해도 된다.
  3. 홈 안에 가접을 할 경우 본 용접을 하기 전에 갈아낸다.
  4. 가접에는 본 용접보다는 지름이 약간 가는 용접봉을 사용한다.
(정답률: 92%)
  • "가접은 아주 쉬운 작업이므로 본 용접사보다 기량이 부족해도 된다." 이 설명이 틀린 것이다. 가접은 본 용접 전에 용접물을 잠정적으로 고정하기 위한 용접으로, 기술적인 요구사항이 있으며 경험과 기술이 필요하다. 따라서 가접을 할 때에도 충분한 기술과 경험이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용접에 의한 용착효율을 구하는 식으로 옳은 것은?

(정답률: 70%)
  • 용접에 의한 용착효율을 구하는 식은 "용착효율 = (용접길이 x 용접속도) / (용접전력 x 용접시간)" 이다. 이 식에서 용접전력과 용접시간은 고정값이므로 용접길이와 용접속도가 증가하면 용착효율은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맞대기 용접에서 제1층부에 결함이 생겨 밑면 따내기를 하고자 할 때 이용되지 않는 방법은?

  1. 선삭(turning)
  2. 핸드 그라인더에 의한 방법
  3. 아크 에어 가우징(arc air gouging)
  4. 가스 가우징(gas gouging)
(정답률: 74%)
  • 맞대기 용접에서 제1층부에 결함이 생겨 밑면 따내기를 하고자 할 때 이용되지 않는 방법은 "선삭(turning)"입니다. 이는 제1층부를 밀어내는 방식이 아니기 때문에 결함을 제거할 수 없습니다. 선삭은 회전하는 공구를 이용하여 불순물을 제거하는 방법으로, 결함을 제거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다른 방법들인 핸드 그라인더, 아크 에어 가우징, 가스 가우징 등을 이용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용접구조물에서의 비틀림 변형을 경감시켜주는 시공상의 주의사항 중 틀린 것은?

  1. 집중적으로 교차 용접을 한다.
  2. 지그를 활용한다.
  3. 가공 및 정밀도에 주의한다.
  4. 이음부의 맞춤을 정확하게 해야 한다.
(정답률: 90%)
  • "집중적으로 교차 용접을 한다."는 오히려 비틀림 변형을 증가시킬 수 있는 요인이므로 틀린 것이다. 교차 용접은 용접부의 길이가 길어지고 열이 축적되어 비틀림 변형을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비틀림 변형을 경감시키기 위해서는 단일 용접을 사용하거나, 교차 용접을 사용해야 할 경우에는 용접 간격을 좁게 하여 용접부의 길이를 최소화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불활성가스 텅스텐 아크용접 이음부 설계에서 I형 맞대기 용접이음의 설명으로 적합한 것은?

  1. 판 두께가 12mm 이상의 두꺼운 판 용접에 이용된다.
  2. 판 두께가 6~20mm 정도의 다층 비드용접에 이용된다.
  3. 판 두께가 3mm 정도의 박판용접에 많이 이용된다.
  4. 판 두께가 20mm 이상의 두꺼운 판 용접에 이용된다.
(정답률: 85%)
  • 정답은 "판 두께가 3mm 정도의 박판용접에 많이 이용된다." 이다. 이유는 I형 맞대기 용접이음은 두 장의 박판을 수직으로 이음하는 용접 방법으로, 박판의 두께가 얇은 경우에 적합하다. 따라서 3mm 정도의 박판용접에 많이 이용된다. 두꺼운 판 용접에는 다른 용접 방법이 적합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아크용접시 용접이음의 용융부 밖에서 아크를 발생시킬 때 모재표면에 결함이 생기는 것은?

  1. 아크 스트라이크(arc strike)
  2. 언더 필(under fill)
  3. 스캐터링(scattering)
  4. 은점(fish eye)
(정답률: 83%)
  • 아크 스트라이크는 용접 전에 아크를 발생시키는 과정에서 용접봉이나 용접대 등에서 발생한 전기적 차단이 해제되어 갑작스럽게 발생하는 아크로, 모재표면에 과열로 인한 손상을 일으키는 결함이 생길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아크 스트라이크"입니다. 언더 필은 용접봉이 모재표면과 충분히 용융되지 않아 결함이 생기는 것을 말하며, 스캐터링은 아크가 모재표면에서 튀어나가는 현상을 말합니다. 은점은 용접봉의 녹는 속도가 모재표면의 녹는 속도보다 빠를 때 발생하는 결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맞대기 용접 이음의 피로강도 값이 가장 크게 나타나는 경우는?

  1. 용접부 이면 용접을 하고 용접 그대로인 것
  2. 용접부 이면 용접을 하지 않고 표면용접 그대로인 것
  3. 용접부 이면 및 표면을 기계 다듬질한 것
  4. 용접부 표면의 덧살만 기계 다듬질한 것
(정답률: 50%)
  • 맞대기 용접 이음의 피로강도는 용접부의 결함과 표면조도에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용접부 이면 및 표면을 기계 다듬질한 것이 가장 큰 피로강도를 보이는 이유는, 기계 다듬질로 인해 용접부의 결함이 제거되고, 표면조도가 개선되어 피로강도가 향상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용접부 검사법에서 파괴 시험방법 중 기계적 시험방법이 아닌 것은?

  1. 인장시험(tensile test)
  2. 부식시험(corrosion test)
  3. 굽힘시험(bending test)
  4. 경도시험(hardness test)
(정답률: 86%)
  • 부식시험은 파괴 시험방법이 아니라 비파괴 시험방법이기 때문에 정답이다. 부식시험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용접부의 부식성을 평가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는 용접부가 사용되는 환경에서 오랜 시간 동안 부식되는 것을 모사하기 위해 특정 환경에서 시행된다. 예를 들어, 염분이 많은 해수나 산성 용액 등에서 용접부의 부식성을 평가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양면 용접에 의하여 충분한 용입을 얻으려고 할 때 사용되며 두꺼운 판의 용접에 가장 적합한 맞대기 홈의 형태는?

  1. J형
  2. H형
  3. V형
  4. I형
(정답률: 84%)
  • H형 맞대기 홈은 양면 용접에 적합한 형태이다. 이는 H형 맞대기 홈이 V자형과 달리 양쪽 면에서 용접을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J형과 I형은 한쪽 면에서만 용접이 가능하므로 두꺼운 판의 용접에는 적합하지 않다. 따라서, H형 맞대기 홈이 두꺼운 판의 양면 용접에 가장 적합한 형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용접시 발생되는 용접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이 아닌 것은?

  1. 용접에 의한 국부 가열을 피하기 위하여 전체 또는 국부적으로 가열하고 용접한다.
  2. 스트롱 백을 사용한다.
  3. 용접 후에 수냉처리를 한다.
  4. 역변형을 주고 용접한다.
(정답률: 68%)
  • 용접 후에 수냉처리를 하면 급격한 온도 변화로 인해 용접부에 응력이 발생하여 오히려 용접변형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용접에 의한 국부 가열을 피하기 위하여 전체 또는 국부적으로 가열하고 용접하거나 스트롱 백을 사용하거나 역변형을 주고 용접하는 것이 좋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아크전류 200(A), 아크전압 30(V), 용접속도 20(cm/min) 일 때 용접 길이 1cm당 발생하는 용접입열(Joule/cm)은?

  1. 12000
  2. 15000
  3. 18000
  4. 20000
(정답률: 54%)
  • 용접입열은 아크전류, 아크전압, 용접속도에 따라 결정된다. 이 문제에서는 아크전류가 200(A), 아크전압이 30(V), 용접속도가 20(cm/min)이므로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용접입열 = (아크전류 x 아크전압 x 60) / 용접속도
    = (200 x 30 x 60) / 20
    = 18000

    따라서, 용접 길이 1cm당 발생하는 용접입열은 18000 Joule/cm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강판의 두께 15mm, 폭 100mm의 V형 홈을 맞대기 용접이음할 때 이음효율을 80%, 판의 허용응력을 35kgf/mm2로 하면 인장하중(kgf)은 얼마까지 허용할 수 있는가?

  1. 35000
  2. 38000
  3. 40000
  4. 42000
(정답률: 44%)
  • 인장하중을 구하는 공식은 다음과 같다.

    인장하중 = 허용응력 × 단면적 × 이음효율

    단면적은 V형 홈의 경우 폭과 높이를 이용하여 구할 수 있다. V형 홈의 높이는 15mm이므로, 단면적은 다음과 같다.

    단면적 = (높이 + 폭/2) × 폭 = (15 + 100/2) × 100 = 1750mm2

    따라서, 인장하중은 다음과 같다.

    인장하중 = 35 × 1750 × 0.8 = 49000kgf

    하지만, 문제에서는 정답을 kgf가 아닌 kgf/mm2로 요구하고 있으므로, 단위를 맞춰주어야 한다. 단면적은 mm2이므로, 인장하중을 mm2로 나누어준다.

    인장하중 = 49000kgf / 1750mm2 = 28kgf/mm2

    따라서, 허용응력이 35kgf/mm2일 때 인장하중은 28kgf/mm2이므로, 최대 허용 인장하중은 35kgf/mm2이다. 이에 따라, 정답은 "42000"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용접변형 방지방버에서 역변형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용접물을 고정시키거나 보강재를 이용하는 방법이다.
  2. 용접에 의한 변형을 미리 예측하여 용접하기 전에 반대쪽을 변형을 주는 방법이다.
  3. 용접물을 구속시키고 용접하는 방법이다.
  4. 스트롱 백을 이용하는 방법이다.
(정답률: 87%)
  • 역변형법은 용접에 의한 변형을 미리 예측하여 용접하기 전에 반대쪽을 변형을 주는 방법입니다. 이는 용접 후에 발생하는 변형을 미리 예측하여 미리 보정함으로써 용접물의 왜곡을 최소화하고 용접품질을 향상시키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용접에 의한 변형을 미리 예측하여 용접하기 전에 반대쪽을 변형을 주는 방법이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용접작업시 적절한 용접지그의 사용에 따른 효과로 틀린 것은?

  1. 용접 작업을 용이하게 한다.
  2. 다량생산의 경우 작업능률이 향상된다.
  3. 제품의 마무리 정밀도를 향상시킨다.
  4. 용접변형은 증가되나, 잔류응력을 감소시킨다.
(정답률: 92%)
  • 용접지그는 용접 작업을 보다 정확하고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도구입니다. 이를 사용하면 용접 작업을 용이하게 하고, 다량생산의 경우 작업능률이 향상됩니다. 또한 제품의 마무리 정밀도를 향상시키는 효과도 있습니다. 그러나 용접변형은 증가되지만, 잔류응력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습니다. 이는 용접 작업 후에 발생하는 잔류응력을 감소시켜 제품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전 용접 길이에 방사선 투과검사를 하여 결함이 1개도 발견되지 않았을 때 용접이음의 효율은?

  1. 70%
  2. 80%
  3. 90%
  4. 100%
(정답률: 88%)
  • 방사선 투과검사를 통해 결함이 발견되지 않았다는 것은 용접이음이 완벽하게 이루어졌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용접이음의 효율은 10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모세관 현상을 이용하여 표면결함을 검사하는 방법은?

  1. 육안검사
  2. 침투검사
  3. 자분검사
  4. 전자기적검사
(정답률: 73%)
  • 모세관 현상은 표면에 있는 결함이나 구멍 등에 액체를 침투시켰을 때 액체가 표면 결함에 따라 모세관 형태로 올라가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를 이용하여 침투액을 표면에 뿌리고, 침투액이 결함에 침투하여 모세관 현상이 발생하면, 침투액을 제거하고 발광액을 뿌려 결함을 확인하는 방법이 침투검사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침투검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용접부의 이음효율 공식으로 옳은 것은?

(정답률: 70%)
  • 이음효율 공식은 이음부의 강도가 부모재의 강도와 같을 때 1이 되며, 이음부의 강도가 부모재의 강도보다 낮을 때는 이음효율이 감소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따라서, 이음효율을 최대화하기 위해서는 이음부의 강도를 부모재의 강도와 같게 만들어야 한다. 이를 위해 이음부의 두께를 적절하게 조절하고, 용접 전에 철사나 철판을 깨끗이 닦아서 부모재와 이음부 사이에 공기나 불순물이 들어가지 않도록 해야 한다. 따라서, 정답은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용접부의 시점과 끝나는 분분에 용입 불량이나 각종 결함을 방지하기 위해 주로 사용되는 것은?

  1. 엔드 탭
  2. 포지셔너
  3. 회전 지그
  4. 고정 지그
(정답률: 90%)
  • 엔드 탭은 용접 부위의 끝단을 고정시켜 용접 중에 부위가 움직이지 않도록 하여 용접 불량이나 결함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따라서 용접 부위의 끝단을 고정시켜야 할 때 주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겹쳐진 두 부재의 한쪽에 둥근 구멍 대신에 좁고 긴 홈을 만들어 놓고 그 곳을 용접하는 용접법은?

  1. 겹치기 용접
  2. 플랜지 용접
  3. T형 용접
  4. 슬롯 용접
(정답률: 80%)
  • 슬롯 용접은 두 부재를 겹쳐놓고 한쪽에 좁고 긴 홈을 만들어 놓고 그 곳을 용접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보기 중에서 "슬롯 용접"이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용접일반 및 안전관리

41. 사람의 팔꿈치나 손목의 관절에 해당하는 움직임을 갖는 로봇으로 아크 용접용 다관절 로봇은?

  1. 원통 좌표 로봇(cylindrical robot)
  2. 직각 좌표 로봇(rectangular coordinate robot)
  3. 극 좌표 로봇(polar coordicate robot)
  4. 관절 좌표 로봇(articylated robot)
(정답률: 89%)
  • 아크 용접은 다양한 각도와 방향에서 용접을 해야 하기 때문에 팔꿈치나 손목과 같은 관절 움직임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관절 좌표 로봇이 적합합니다. 다른 로봇들은 각도나 방향 제한이 있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납땜에서 용제가 갖추어야 할 조건으로 틀린 것은?

  1. 청정한 금속면의 산화를 방지할 것
  2. 모재와 땜납에 대한 부식 작용이 최소한 일 것
  3. 전기 저항 납땜에 사용되는 것은 비전도체일 것
  4. 납땜 후 슬래그의 제거가 용이할 것
(정답률: 89%)
  • "전기 저항 납땜에 사용되는 것은 비전도체일 것"이 틀린 것이다. 전기 저항 납땜에는 오히려 전기를 잘 전달하는 전도체가 사용되어야 한다. 따라서 이 조건은 틀린 것이다.

    전기 저항 납땜에 사용되는 것은 오히려 전도체이며, 청정한 금속면의 산화를 방지하고 모재와 땜납에 대한 부식 작용이 최소화되며, 납땜 후 슬래그의 제거가 용이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가스절단 작업에서 드래그는 판두께의 몇 % 정도를 표준으로 하는가? (단, 판두께는 25mm 이하이다.)

  1. 50%
  2. 40%
  3. 30%
  4. 20%
(정답률: 60%)
  • 가스절단 작업에서 드래그는 보통 판두께의 20% 정도를 표준으로 한다. 이는 가스절단 작업에서 적절한 속도와 절단 효율을 유지하기 위한 것이다. 판두께가 더 얇을 경우에는 드래그 비율이 더 적어질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레이저 용접(laser welding)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모재의 열변형이 거의 없다.
  2. 이종금속의 용접이 가능하다.
  3. 미세하고 정밀한 용접을 할 수 있다.
  4. 접촉식 용접방법이다.
(정답률: 81%)
  • 레이저 용접은 접촉식 용접방법이 아니라 비접촉식 용접방법이다. 따라서 "접촉식 용접방법이다."가 틀린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산소-아세틸렌 가스용접시 사용하는 토치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저압식
  2. 절단식
  3. 중압식
  4. 고압식
(정답률: 84%)
  • 절단식 토치는 가스용접에서 금속재료를 절단하는 용도로 사용되는 토치이며, 산소와 연료인 아세틸렌을 사용합니다. 따라서 산소-아세틸렌 가스용접시 사용하는 토치의 종류 중에서 절단식은 제외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피복 아크용접의 용접 입열에서 일반적으로 모재의 흡수되는 열량은 입열의 몇 % 정도인가?

  1. 45 ~ 55%
  2. 60 ~ 70%
  3. 75 ~ 85%
  4. 90 ~ 100%
(정답률: 71%)
  • 피복 아크용접은 전극과 모재 사이에 피복재를 사용하여 용접을 수행하는 방법이다. 이 때 피복재는 용접부위를 보호하고 용접에 필요한 환경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피복재는 용접부위에서 열을 방출하면서 모재로부터 열을 흡수한다. 따라서 피복 아크용접에서는 모재에 흡수되는 열량이 상대적으로 많다. 이러한 이유로 피복 아크용접에서 모재에 흡수되는 열량은 일반적으로 75 ~ 85% 정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가스용접에 사용하는 지연성 가스는?

  1. 산소
  2. 수소
  3. 프로판
  4. 아세틸렌
(정답률: 67%)
  • 가스용접에서는 불꽃을 일으키기 위해 연소 반응이 필요합니다. 이때 산소가 필요한데, 산소는 연소 반응에 참여하여 불꽃을 일으키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가스용접에 사용하는 지연성 가스는 "산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용접법의 분류에서 융접에 속하는 것은?

  1. 전자빔 용접
  2. 단접
  3. 초음파 용접
  4. 마찰 용접
(정답률: 56%)
  • 융접은 두 개 이상의 금속을 녹여서 결합시키는 용접법으로, 전자빔 용접은 전자빔을 이용하여 금속을 녹여서 결합시키는 용접법이므로 융접에 속합니다. 단접, 초음파 용접, 마찰 용접은 각각 압력, 초음파, 마찰을 이용하여 금속을 결합시키는 용접법으로, 융접에는 해당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TIG 용접 시 안전사항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용접기 덮개를 벗기는 경우 반드시 전원스위치를 켜고 작업한다.
  2. 제어장치 및 토치 등 전기계통의 절연 상태를 항상 점검해야 한다.
  3. 전원과 제어장치의 접지 단자는 반드시 지면과 접지되돌고 한다.
  4. 케이블 연결부와 단자의 연결 상태가 느슨해졌는지 확인하여 조치한다.
(정답률: 90%)
  • "용접기 덮개를 벗기는 경우 반드시 전원스위치를 켜고 작업한다."가 틀린 것이다. 이유는 용접기 덮개를 벗기기 전에 전원스위치를 꺼야 하며, 작업이 끝난 후에도 전원스위치를 끄고 덮개를 다시 덮어야 한다. 이는 용접기 내부에 전기가 흐르는 부분에 손이 닿을 수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스터드 용접에서 페롤의 역할로 틀린 것은?

  1. 용융금속의 유출을 촉진시킨다.
  2. 아크열을 집중 시켜준다.
  3. 용융금속의 산화를 방지한다.
  4. 용착부의 오염을 방지한다.
(정답률: 77%)
  • "용융금속의 유출을 촉진시킨다."가 틀린 것이다. 페롤은 스테인리스같은 합금강에서 스테인리스와 같은 금속이 용융되는 것을 돕는 역할을 한다. 이 과정에서 페롤은 아크열을 집중시켜주고 용융금속의 산화를 방지하며 용착부의 오염을 방지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가스절단에서 일정한 속도로 절단할 때 절단 홈의 밑으로 갈수록 슬랙의 방해, 산소의 오염 등에 의해 절단이 느려져 절단면을 보면 거의 일정한 간격으로 평행한 곡선이 나타난다. 이 곡선은 무엇이라 하는가?

  1. 절단면의 아크 방향
  2. 가스궤적
  3. 드래그 라인
  4. 절단속도의 불일치에 따른 궤적
(정답률: 89%)
  • 드래그 라인은 가스절단에서 일정한 속도로 절단할 때 절단 홈의 밑으로 갈수록 슬랙의 방해, 산소의 오염 등에 의해 절단이 느려져 절단면을 보면 거의 일정한 간격으로 평행한 곡선이 나타나는 현상을 말한다. 따라서 정답은 "드래그 라인"이다. "절단면의 아크 방향"은 절단면이 어떤 방향으로 움직이는지를 나타내는 용어이고, "가스궤적"은 가스절단기가 이동하는 궤적을 말한다. "절단속도의 불일치에 따른 궤적"은 절단속도가 일정하지 않아서 생기는 궤적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프랑스식 가스용접 토치의 200번 팁으로 연강판을 용접할 때 가장 적당한 판두께는?(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판두께와 무관하다.
  2. 0.2mm
  3. 2mm
  4. 20mm
(정답률: 67%)
  • 프랑스식 가스용접 토치의 200번 팁은 용접할 때 필요한 열과 에너지를 공급하기 위해 사용되는데, 이 팁은 2mm 정도의 두께의 금속재료에 적합하게 설계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연강판을 용접할 때 가장 적당한 판두께는 2m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피복 아크 용접 작업에서의 용접 조건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아크 길이가 길면 아크가 불안정하게 되어 용융금속의 산화나 질화가 일어나기 쉽다.
  2. 좋은 용접비드를 얻기 위해서 원칙적으로 긴 아크로 작업한다.
  3. 용접 전류가 너무 낮으면 오버랩이 발생된다.
  4. 용접속도를 운봉속ㄷ로 또는 아크속도라고도 한다.
(정답률: 85%)
  • "좋은 용접비드를 얻기 위해서 원칙적으로 긴 아크로 작업한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아크 길이가 너무 길면 아크가 불안정해져 용접비드의 형태가 불규칙해지고, 용융금속의 산화나 질화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적절한 아크 길이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교류아크 용접시 비안전형 홀더를 사용할 때 가장 발생하기 쉬운 재해는?

  1. 낙상 재해
  2. 협착 재해
  3. 전도 재해
  4. 전격 재해
(정답률: 87%)
  • 교류아크 용접시 비안전형 홀더를 사용할 때 가장 발생하기 쉬운 재해는 전격 재해입니다. 이는 용접 전류가 높아 전기적 에너지가 충분히 축적되어 있기 때문에, 홀더나 용접기의 접지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으면 전기적 충격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전기 충격은 심각한 화상이나 심지어 사망으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안전한 용접을 위해서는 안전형 홀더와 접지가 제대로 이루어져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교류 아크 용접기에 감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해서 설치하는 것은?

  1. 전격방지 장치
  2. 2차권선 장치
  3. 원격제어 장치
  4. 핫 스타트 장치
(정답률: 93%)
  • 교류 아크 용접기는 전기를 이용한 작업을 수행하기 때문에 감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전격방지 장치를 설치하여 감전사고를 방지합니다. 전격방지 장치는 전기적인 충격이나 과전류를 감지하여 작동하여 전기적인 위험을 방지합니다. 2차권선 장치는 용접 전류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한 장치이며, 원격제어 장치는 용접기를 원격에서 조작하기 위한 장치입니다. 핫 스타트 장치는 용접 전극을 빠르게 가열하여 용접을 시작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장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다음 중 맞대기 저항 용접이 아닌 것은?

  1. 스폿 용접
  2. 플래시 용접
  3. 업셋버트 용접
  4. 퍼커션 용접
(정답률: 47%)
  • 정답은 "스폿 용접"입니다. 스폿 용접은 두 개의 금속을 접합시키기 위해 전극을 사용하여 작은 지점에서 용접하는 방법입니다. 이에 반해, 맞대기 저항 용접, 플래시 용접, 업셋버트 용접, 퍼커션 용접은 모두 금속을 더 큰 지점에서 용접하는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다음 중 아크 에어 가우징의 설명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압축공기의 압력은 1~2kgf/cm2 이 적당하다.
  2. 비철금속에는 적용되지 않는다.
  3. 용접 균열부분이나 용접 결함부를 제거하는데 사용한다.
  4. 그라인딩 가스 가우징보다 작업 능률이 낮다.
(정답률: 72%)
  • 아크 에어 가우징은 용접 균열부분이나 용접 결함부를 제거하는데 사용되는 도구입니다. 이는 압축공기의 압력이 1~2kgf/cm2 이 적당하며, 비철금속에는 적용되지 않습니다. 그라인딩 가스 가우징보다 작업 능률이 낮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점용접(spot welding)의 3대 요소에 해당되는 것은?

  1. 가압력, 통전시간, 전류의 세기
  2. 가압력, 통전시간, 전압의 세기
  3. 가압력, 냉각수량, 전류의 세기
  4. 가압력, 냉각수량, 전압의 세기
(정답률: 77%)
  • 점용접에서는 두 개의 금속을 접합할 때, 작은 부위에 전류를 통과시켜 금속을 녹여서 접합시키는 방법을 사용합니다. 이때, 가압력은 두 금속을 밀착시키는 역할을 하고, 통전시간은 전류가 흐르는 시간을 의미합니다. 전류의 세기는 금속을 녹이는 정도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따라서, 점용접의 3대 요소는 "가압력, 통전시간, 전류의 세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가스용접에서 산소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산소는 산소용기에 35℃, 150kgf/cm2 정도의 고압으로 충전되어 있다.
  2. 산소병은 이음매 없이 제조되며 인장강도는 약 57kgf/cm2 이상, 연신율은 18% 이상의 강재가 사용된다.
  3. 산소를 다량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매니폴드(manifold)를 사용한다.
  4. 산소의 내압 시험 압력은 충전압력의 3배 이상으로 한다.
(정답률: 56%)
  • "산소의 내압 시험 압력은 충전압력의 3배 이상으로 한다."가 틀린 것이 아니라 옳은 것이다. 이유는 가스용접에서 산소는 고압으로 충전되어 있기 때문에 안전을 위해 내압 시험 압력을 충전압력의 3배 이상으로 설정하여 시험한다. 이는 산소용기가 안전하게 사용될 수 있는지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탄산가스 아크 용접의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전류밀도가 높아 용입이 깊고 용접속도를 빠르게 할 수 있다.
  2. 적용 재질이 철 계통으로 한정되어 있다.
  3. 가시 아크이므로 시공이 편리하다.
  4. 일반적인 바람의 영향을 받지 않으므로 방풍장치가 필요 없다.
(정답률: 90%)
  • 탄산가스 아크 용접은 일반적인 바람의 영향을 받지 않으므로 방풍장치가 필요 없다는 설명이 틀린 것이다. 이는 탄산가스 아크 용접 시 발생하는 가스가 바람에 영향을 받지 않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바람에 의해 가스가 분산되어 용접 품질이 저하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탄산가스 아크 용접 시에도 방풍장치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