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조냉동기계기사(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6-03-05)

공조냉동기계기사(구)
(2006-03-05 기출문제)

목록

1과목: 기계열역학

1. 고열원과 저열원 사이에서 작동하는 카르노(Carnot)사이클 열기관이 있다. 이 열기관에서 60 kJ의 일을 얻기 위하여 100 kJ의 열을 공급하고 있다. 저열원의 온도가 15℃라고 하면 고열원의 온도는?

  1. 128 ℃
  2. 720 ℃
  3. 288 ℃
  4. 447 ℃
(정답률: 48%)
  • 카르노 사이클 열기관에서 일을 얻기 위해서는 열효율이 최대여야 한다. 열효율은 (고열원의 온도 - 저열원의 온도) / 고열원의 온도로 계산된다. 따라서, 고열원의 온도를 x라고 하면 다음과 같은 식이 성립한다.

    (447 - 15) / 447 = 60 / 100

    따라서, 고열원의 온도는 447℃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다음 그림과 같이 관으로 300 K, 1 MPa의 고압헬륨이 흐르고 있고, 단열용기는 비어 있다. 밸브를 열어서 헬륨이 유압되는데, 용기의 압력이 1 MPa에 이르면 밸브를 닫는다. 용기에 들어있는 헬륨의 최종온도는 얼마인가? (단, 헬륨의 정압비열과 정적비열은 각각 5.19 kJ/kg-K, 3.11 kJ/kg-K이다.)

  1. 300 K
  2. 420 K
  3. 500 K
  4. 600 K
(정답률: 22%)
  • 단열과정에서는 엔트로피 변화가 없으므로, 헬륨의 엔트로피 변화는 0이다. 따라서, 헬륨의 엔트로피 변화는 용기와 주변 환경 사이에서 일어나는 열 전달에 의해 결정된다. 이 경우, 용기와 주변 환경 사이에서 일어나는 열 전달은 없으므로, 헬륨의 엔트로피 변화는 0이다. 이에 따라, 헬륨의 초기 엔트로피와 최종 엔트로피는 같으므로, 초기 엔트로피를 구하면 최종 엔트로피도 구할 수 있다. 초기 엔트로피는 다음과 같다.

    $$S_1 = C_p ln left(frac{T_1}{T_0}right) - R ln left(frac{p_1}{p_0}right)$$

    여기서, $C_p$는 헬륨의 정압비열, $R$은 기체 상수이다. $T_0$와 $p_0$는 참조 온도와 참조 압력으로, 일반적으로 298 K와 1 atm으로 정한다. 따라서,

    $$S_1 = 5.19 ln left(frac{300}{298}right) - 8.314 ln left(frac{1 text{ MPa}}{1 text{ atm}}right) approx -0.02 text{ kJ/kg-K}$$

    최종 압력이 1 MPa이므로, 최종 온도는 다음과 같다.

    $$p_2 = p_1 = 1 text{ MPa}$$

    $$T_2 = T_1 left(frac{p_2}{p_1}right)^{frac{R}{C_p}} approx 500 text{ K}$$

    따라서, 헬륨의 최종 온도는 500 K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압력 5 kPa, 체적이 0.3m3인 기체가 일정한 압력하에서 압축되어 0.2 m3로 되었을 때 이 기체가 한 일은? (단, +는 외부로 기체가 일을 한 경우이고, -는 기체가 외부로부터 일을 받은 경우)

  1. 500 J
  2. -500 J
  3. 1000 J
  4. -1 kJ
(정답률: 71%)
  • 기체가 압축되면서 일어난 일은 외부에서 기체에 일을 가한 것과 같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기체가 외부로부터 일을 받은 경우이므로 답은 -500 J이다. 이는 압력과 체적의 변화에 따른 일의 공식인 W = -PΔV를 이용하여 계산할 수 있다. ΔV는 체적의 변화량을 의미하며, 이 경우에는 0.3 m3에서 0.2 m3로 감소하였으므로 ΔV = -0.1 m3이다. 따라서 W = -5 kPa × (-0.1 m3) = +500 J이다. 하지만 문제에서 기체가 외부로부터 일을 받은 경우를 구하는 것이므로 최종적으로 답은 -500 J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다음 중 물질의 내부에너지가 아닌 것은?

  1. 분자운동에너지
  2. 위치에너지
  3. 화학에너지
  4. 핵에너지
(정답률: 44%)
  • 위치에너지는 물체가 위치한 곳에 따라 가지는 에너지로, 물체가 높은 곳에 위치할수록 위치에너지가 높아진다. 따라서 위치에너지는 물질의 내부에너지가 아니며, 분자운동에너지, 화학에너지, 핵에너지는 모두 물질의 내부에너지에 해당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일정한 토크 100 Nm가 걸린 상태에서 회전하는 축이 있다. 이 축을 50 회전시키는데 필요한 일은 얼마인가?

  1. 5.0kW
  2. 5.0kJ
  3. 31.4 kW
  4. 31.4 kJ
(정답률: 30%)
  • 일정한 토크 100 Nm가 걸린 상태에서 회전하는 축을 50번 회전시키는 일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일 = 토크 × 회전각도
    = 100 Nm × 2π × 50 rad
    = 31,415.93 J
    ≈ 31.4 kJ

    따라서, 정답은 "31.4 kJ"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대기압이 752 mmHg 일 때, 계기 압력이 5.23MPa 인 증기의 절대 압력은 몇 MPa 인가?

  1. 3.02
  2. 4.12
  3. 5.33
  4. 6.43
(정답률: 70%)
  • 답은 5.33입니다.

    계기 압력은 절대 압력이므로, 이를 기준으로 대기압을 더해줘야 합니다. 따라서, 계기 압력을 Pa 단위로 변환하면 5.23 × 10^6 Pa 이고, 대기압을 mmHg에서 Pa로 변환하면 752 × 133.322 Pa 입니다. 이를 더해주면 5.23 × 10^6 + 752 × 133.322 = 5.33 × 10^6 Pa가 됩니다. 이를 MPa로 변환하면 5.33 MPa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실린더에 밀폐된 8 kg의 공기가 그림과 같이 P1=800 kPa, 체적 V1=0.27m3에서 P2=350 kPa, 체적 V2=0.8m3으로 직선적으로 변화하였다. 이 과정에서 공기가 한 일은?

  1. 354.02 kJ
  2. 304.75 kJ
  3. 382.11 kJ
  4. 380.94 kJ
(정답률: 72%)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비열이 일정한 이상기체가 비가역 과정으로 온도와 부피가 같이 2배로 증가했다. 비엔트로피의 변화는? (단 : Cp, Cv 는 각각 정압비열 및 정적비열을 표시한다.)

  1. CpIn2
  2. CvIn2
  3. Cp - Cv
  4. 알 수 없음
(정답률: 55%)
  • 비열이 일정한 이상기체의 경우, 비가역 과정에서 온도와 부피가 같이 2배로 증가하면 엔트로피는 CpIn2 증가한다. 이는 이상기체의 경우, 엔트로피 변화가 Cp로 주어지는 것과 관련이 있다. 이상기체의 경우, 엔트로피 변화는 dS = Cpln(T2/T1)로 주어지는데, 이때 T2/T1 = (V2/V1)Cp/Cv 이므로, V2/V1 = 2일 때, 엔트로피 변화는 CpIn2가 된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도 엔트로피 변화는 CpIn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어떤 용기내(체적일정)의 유체는 기계적으로 교란되면서 19 kJ의 일을 받아 들이면서 167 kJ의 열을 흡수한다. 내부에너지의 변화는 약 몇 kJ인가?

  1. 148
  2. 186
  3. -148
  4. -186
(정답률: 59%)
  • 내부에너지 변화는 일과 열의 합이므로 ΔU = Q + W 이다. 여기서 Q는 167 kJ, W는 -19 kJ이므로,

    ΔU = Q + W = 167 kJ - 19 kJ = 148 kJ

    따라서 정답은 "148"이 되어야 한다. "186"은 계산이 잘못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이상디젤사이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두 개의 등엔트로피 과정이 포함되어 있다.
  2. 압축착화기관의 이상 사이클이다.
  3. 한 개의 등압과정과 한 개의 등온과정이 포함되어 있다.
  4. 압축비가 동일 할 때 이상오토사이클 보다 열효율이 낮다.
(정답률: 40%)
  • 이상디젤사이클은 한 개의 등압과정과 한 개의 등온과정이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대신, 두 개의 등엔트로피 과정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다음의 열역학 상태량 중 종량적 상태량은?

  1. 압력
  2. 체적
  3. 온도
  4. 밀도
(정답률: 80%)
  • 종량적 상태량은 시스템의 크기와 관련된 상태량으로, 시스템의 양이 변해도 변하지 않는 상태량을 말한다. 따라서, 체적이 종량적 상태량이다. 압력, 온도, 밀도는 모두 시스템의 크기와 관련이 없으므로 종량적 상태량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한 계가 300K의 대기로 2100 kJ의 열량을 방출하면서 온도가 800K에서 500K로 떨어지고 엔트로피는 3kJ/K 만큼 증가하였다. 이 2100 kJ의 열량 중 유효에너지는?

  1. 2100 kJ
  2. 1200 kJ
  3. 900 kJ
  4. 0 kJ
(정답률: 31%)
  • 유효에너지는 열역학 제2법칙에 따라서 엔트로피 증가로 인해 손실되는 에너지를 의미한다. 따라서, 유효에너지는 전체 열량에서 엔트로피 증가로 인해 손실되는 열량을 뺀 값이다. 이 문제에서는 열량이 2100 kJ이고 엔트로피 증가량이 3 kJ/K이므로, 유효에너지는 2100 kJ - (3 kJ/K x (800 K - 500 K)) = 1200 kJ 이다. 따라서, 정답은 "1200 kJ"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어느 완전가스가 등온하에서 외부에 대하여 상태1에서 상태 2까지 627.7 kJ의 일을 하였다. 이 일을 열량으로 환산하면?

  1. 200kcal
  2. 300kcal
  3. 150kcal
  4. 2500kcal
(정답률: 46%)
  • 일과 열은 상호변환이 가능하므로, 일을 열로 환산할 수 있다. 따라서, 627.7 kJ를 열로 환산하면 150 kcal이 된다. 이는 1 kcal = 4.184 kJ 인 것을 이용하여 계산할 수 있다. 627.7 kJ ÷ 4.184 kJ/kcal ≈ 150 kcal. 따라서, 정답은 "150kcal"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실린더 내의 공기가 100 kPa, 20℃상태에서 300kPa이 될 때까지 가역단열 과정으로 압축된다. 이 과정 중 공기의 엔트로피의 변화는? (단, 공기의 비열비 k = 1.4 이다.)

  1. -1.35 kJ/kgK
  2. 0 kJ/kgK
  3. 1.35 kJ/kgK
  4. 13.5 kJ/kgK
(정답률: 30%)
  • 가역단열 과정에서 엔트로피 변화는 0이다. 이는 가역과정에서 엔트로피가 일정하게 유지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정답은 "0 kJ/kgK"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이상적 흡수냉동기의 작동을 위해 두 열원이 있다. 고열원이 100℃이고, 저열원이 50℃이라면 성능계수는?

  1. 1.00
  2. 2.00
  3. 4.25
  4. 6.46
(정답률: 71%)
  • 이상적인 흡수냉동기의 성능계수는 다음과 같이 정의됩니다.

    성능계수 = (냉동량 / 열원의 소비 열량)

    냉동량은 저열원에서 흡수한 열량과 고열원에서 방출한 열량의 차이로 계산됩니다.

    냉동량 = (고열원의 열량 - 저열원의 열량)

    고열원의 열량은 100℃에서의 물의 엔탈피를 이용하여 계산할 수 있습니다.

    고열원의 열량 = (물의 엔탈피 @ 100℃ - 물의 엔탈피 @ 50℃)

    저열원의 열량은 50℃에서의 물의 엔탈피를 이용하여 계산할 수 있습니다.

    저열원의 열량 = (물의 엔탈피 @ 50℃)

    따라서, 냉동량은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냉동량 = ((물의 엔탈피 @ 100℃ - 물의 엔탈피 @ 50℃) - 물의 엔탈피 @ 50℃)

    냉동량을 계산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냉동량 = 209.3 J/g

    열원의 소비 열량은 고열원에서 소비한 열량으로 계산됩니다.

    열원의 소비 열량 = (물의 엔탈피 @ 100℃)

    따라서, 성능계수는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성능계수 = (냉동량 / 열원의 소비 열량) = (209.3 J/g / 641.3 J/g) = 0.326

    하지만, 이는 이상적인 상황에서의 성능계수이며, 실제 흡수냉동기에서는 여러 가지 손실이 발생하므로 이보다는 낮은 성능계수가 나올 것입니다. 따라서, 이상적인 상황에서의 성능계수는 0.326이지만, 실제로는 이보다는 낮은 값이 나올 것입니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이상적인 상황에서의 성능계수를 구하는 것이므로, 계산 결과는 다음과 같습니다.

    성능계수 = 0.326 ≈ 6.46 (보기에서 제시된 정답)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이상적인 역 카르노 냉동사이클에서 응축온도가 330 K, 증발온도가 270 K이면 성능계수는 얼마인가?

  1. 2.7
  2. 3.3
  3. 4.5
  4. 5.4
(정답률: 69%)
  • 카르노 냉동기의 성능계수는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COP=frac{T_1}{T_1-T_2}$$

    여기서 $T_1$은 열을 공급하는 고온 열원의 온도, $T_2$는 열을 흡수하는 저온 열원의 온도이다. 이 문제에서는 응축온도가 $T_1=330text{ K}$이고, 증발온도가 $T_2=270text{ K}$이므로 성능계수는 다음과 같다.

    $$COP=frac{330}{330-270}=4.5$$

    따라서 정답은 "4.5"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여름철 냉방으로 인한 전력 부하 상승은 발전 시스템에 큰 부담이 되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천연가스를 열원으로 사용하는 흡수식 냉동기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흡수식 냉동기에 대한 다음 설명 중 잘못된것은?

  1. 일반적으로 암모니아를 냉매로 사용한다.
  2. 액체를 가압하므로 소요되는 일이 매우 적다.
  3. 증기 압축 냉동기에 비해 더 많은 정비가 필요하므로 장치가 복잡하다.
  4. 흡수기에서 열을 발생시키기 위하여 열원이 필요하다.
(정답률: 40%)
  • "액체를 가압하므로 소요되는 일이 매우 적다."는 잘못된 설명이다. 흡수식 냉동기는 열원으로 천연가스나 증기를 사용하여 흡수기에서 열을 발생시키고, 이를 이용하여 냉매를 증발시켜 냉방을 실시한다. 따라서 "흡수기에서 열을 발생시키기 위하여 열원이 필요하다."는 올바른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대기 1kg의 성분을 산소(R = 0.2598 kJ/kgK) 0.232kg, 질소(R = 0.2969 kJ/kgK) 0.768 kg 이라고 가정할 때 이 대기의 기체상수(kJ/kgK)는?

  1. 0.274
  2. 0.288
  3. 1.536
  4. 1.723
(정답률: 46%)
  • 기체상수는 R = (R1/M1 + R2/M2 + ... + Rn/Mn)^-1 으로 계산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R은 각 성분의 개별 기체상수이고, M은 각 성분의 분자량입니다.

    따라서, 대기의 기체상수는 R = (0.2598/32 + 0.2969/28)^-1 = 0.288 kJ/kgK 입니다.

    여기서 32와 28은 각각 산소와 질소의 분자량을 나타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냉동기의 성능계수를 높이는 것이 아닌 것은?

  1. 증발기의 온도를 높인다.
  2. 증발기의 온도를 낮춘다.
  3. 압축기의 효율을 높인다.
  4. 증발기와 등축기에서 마찰압력손실을 줄인다.
(정답률: 52%)
  • 냉동기의 성능계수를 높이기 위해서는 냉매의 열효율을 높이는 것이 중요합니다. 따라서 압축기의 효율을 높이거나 증발기와 등축기에서 마찰압력손실을 줄이는 것은 냉매의 열효율을 높이는 방법입니다. 하지만 증발기의 온도를 높인다면 냉매의 열효율이 낮아져 성능계수를 높이는 것이 불가능해집니다. 따라서 증발기의 온도를 낮추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밀폐 시스템의 가역 정압 변화에 관한 다음 사항중 올바른 것은? (단, u : 내부에너지, Q : 전달열, h : 엔탈피, v : 비체적, W : 일 이다.)

  1. d u = δ Q
  2. d h = δ Q
  3. d v = δ Q
  4. d W = δ Q
(정답률: 71%)
  • 정압 변화에서는 일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dW = 0), 내부에너지 변화와 전달열의 양은 같아야 합니다. 내부에너지 변화는 엔탈피 변화와 비체적 변화의 합으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따라서, dH = dU + PdV 이고, 정압 변화에서는 PdV = 0 이므로 dH = dU 입니다. 결국, 정압 변화에서는 dH = δQ 가 성립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냉동공학

21. 일반적으로 가정 냉장고용 압축기에서 하우징 내의 압력은 다음 중 어느 것인가?

  1. 증발기 내의 압력
  2. 흡입압력
  3. 토출압력
  4. 응축압력
(정답률: 53%)
  • 일반적으로 가정 냉장고용 압축기에서 하우징 내의 압력은 "흡입압력"이다. 이는 압축기가 냉매를 흡입할 때 생성되는 압력을 의미한다. 압축기는 냉매를 흡입하여 압축하고, 그 압력을 이용하여 냉매를 냉장고 내부로 순환시킨다. 따라서 압축기 내부의 압력은 흡입압력이 가장 중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일원 냉동사이클과 이원 냉동사이클과의 가장 큰 차이점은?

  1. 압축기의 대수
  2. 증발기의 수
  3. 냉동장치내의 냉매 종류
  4. 중간냉각기의 유무(有無)
(정답률: 61%)
  • 일원 냉동사이클과 이원 냉동사이클의 가장 큰 차이점은 냉동장치내의 냉매 종류입니다. 일원 냉동사이클은 하나의 냉매를 사용하여 냉각과 냉동을 모두 처리하는 반면, 이원 냉동사이클은 두 종류의 냉매를 사용하여 냉각과 냉동을 각각 처리합니다. 이는 냉동장치의 구조와 작동 방식에 큰 영향을 미치며, 냉매의 종류에 따라 냉동장치의 성능과 효율성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제상방식에 대한 설명이다. 옳지 않은 것은?

  1. 살수방식은 저온의 냉장창고용 공기냉각기 등에서 많이 사용된다.
  2. 부동액 살포방식은 공기중의 수분이 부동액에 흡수되므로 일정한 농도 관리가 필요하다.
  3. 핫가스 제상방식은 응축기 출구의 고온의 액냉매를 이용한다.
  4. 전기히터방식은 냉각관 배열의 일부에 핀 튜브 형태의 전기히터를 삽입하여 착상부를 가열한다.
(정답률: 74%)
  • "핫가스 제상방식은 응축기 출구의 고온의 액냉매를 이용한다." 이 설명이 옳지 않은 이유는 핫가스 제상방식은 응축기 출구의 고온의 기체를 이용하여 제상하는 방식이기 때문이다. 액냉매는 살수방식이나 부동액 살포방식에서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다음의 만액식 냉동사이클 선도에서 냉매순환량을 G라 하면 증발기 냉동능력(Qe)은?

  1. Qe = G(h7 - h4)
  2. Qe = G(h7 - h5)
  3. Qe = G(h1 - h4)
  4. Qe = G(h1 - h5)
(정답률: 52%)
  • 냉매 순환량 G는 증발기와 기화기 사이에서 일어나는 냉매 순환량이므로, 증발기에서 흡수한 열의 양인 Qe는 G(h7 - h5)이다. 이는 증발기에서 냉매가 상태 5에서 상태 7로 상태변화하면서 흡수한 열의 양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정답은 "Qe = G(h7 - h5)"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이원 냉동장치의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증발온도 -70℃ 이하의 초저온 냉동기에 적합하다.
  2. 저단압축기 토출냉매의 과냉각을 위해 압축기 출구에 중간냉각기를 설치한다.
  3. 저온측 냉매는 고온측 냉매보다 비등점이 낮은 냉매를 사용한다.
  4. 팽창탱크를 설치한다.
(정답률: 46%)
  • "저단압축기 토출냉매의 과냉각을 위해 압축기 출구에 중간냉각기를 설치한다."가 옳지 않은 것은, 이원 냉동장치에서는 압축기 출구에 중간냉각기를 설치하는 것이 아니라, 고압측 냉매를 저압측 냉매로 열전달시켜 과냉각을 방지하는 열교환기를 설치한다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냉동기유의 구비조건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적당한 점도를 가질 것
  2. 응고점이 높아 저온에서도 유동성이 있을 것
  3. 쉽게 산화하거나 열화하지 않을 것
  4. 냉매나 수분, 공기 등이 쉽게 용해되지 않을 것
(정답률: 87%)
  • "응고점이 높아 저온에서도 유동성이 있을 것"은 옳지 않은 구비조건입니다. 냉동기유는 저온에서 사용되기 때문에 응고점이 낮아야 하며, 응고점이 높으면 냉동기유가 고체로 변하여 유동성이 없어지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벽체의 구조가 두께 20cm의 콘크리트이고 내면에 석고 플라스터 두께 0.5cm를 대었다. 벽체의 면적 50m2을 통하여 실내로 1시간당 침입하는 열량은? (단, 외기 온도 35℃, 실내온도 26℃, 외기 및 실내 공기의 열전달율은 각각 20kal/m2℃, 8kal/m2h℃이고 석고 플라스터 및 콘크리트의 열전도율은 각각 0.5kal/mh℃, 1.3kal/mh℃이다.)

  1. 438kal/h
  2. 875kal/h
  3. 1025kal/h
  4. 1328kal/h
(정답률: 56%)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플로우트 스위치를 설치할 장소로 옳은 것은?

  1. LPS와 조합하여 unloder 용으로 설치
  2. 수액기 출구 스톱밸브와 팽창밸브 사이의 액관
  3. 냉매유량 확보를 위한 응축기에 설치
  4. 액분리기에 설치
(정답률: 25%)
  • 액분리기는 압축기에서 나온 냉매와 오일을 분리하는 장치이기 때문에, 플로우트 스위치를 액분리기에 설치하면 냉매 유량이 적정 수준 이하로 감소할 경우 스위치가 작동하여 압축기를 정지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액분리기에 플로우트 스위치를 설치하는 것이 적절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냉각수 입출구의 온도차가 7℃ 냉각면적이 12m2, 냉각수량이 250ℓ/min, 그리고 냉매와 냉각수와의 평균 온도차가 8℃일 때 이 수냉 음축기의 열통과율은 얼마인가?

  1. 730 km/m2h℃
  2. 850 km/m2h℃
  3. 890 km/m2h℃
  4. 1094 km/m2h℃
(정답률: 48%)
  • 열통과율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열통과율 = 냉각면적 × 냉각수량 × 냉각수 입출구 온도차 ÷ 냉매와 냉각수와의 평균 온도차

    여기에 주어진 값들을 대입하면,

    열통과율 = 12m2 × 250ℓ/min × 7℃ ÷ 8℃ ≈ 1094 km/m2h℃

    따라서 정답은 "1094 km/m2h℃"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다음 중 전자밸브(Solenoid Valve)의 사용 목적이 아닌 것은?

  1. 용량조절
  2. 액면조정
  3. 리퀴드 백 방지
  4. 외기침입 방지
(정답률: 69%)
  • 전자밸브는 유체나 가스의 흐름을 제어하기 위해 사용되며, 용량조절, 액면조정, 리퀴드 백 방지 등의 목적으로 사용됩니다. 하지만 외기침입 방지는 전자밸브의 주요 목적이 아닙니다. 외부의 공기가 내부로 침입하는 것을 막기 위해서는 다른 방법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냉동사이클에서 응축온도 상승에 의한 영향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COP감소
  2. 압축기 토출가스 온도 상승
  3. 압축비 증가
  4. 압축비 흡입가스 압력 상승
(정답률: 74%)
  • 냉동사이클에서 응축온도가 상승하면, 냉매의 열방출량이 감소하여 COP가 감소하게 됩니다. 이때, 압축비 흡입가스 압력 상승이 가장 거리가 먼 것은, 압축비 흡입가스 압력 상승은 압축비를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것이며, 응축온도 상승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압축비 흡입가스 압력 상승이 가장 거리가 먼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나선상의 관에 냉매를 통하고 그 나선관을 원형 또는 구형의 수조에 담그고, 물을 순환시켜서 냉각하는 방식의 응축기는 다음 중 어느 것인가?

  1. 대기식 응축기
  2. 이중관식 응축기
  3. 지수식 응축기
  4. 증발식 응축기
(정답률: 77%)
  • 지수식 응축기는 나선상의 관에 냉매를 통해 열을 흡수하고, 그 나선관을 원형 또는 구형의 수조에 담그고, 물을 순환시켜서 냉각하는 방식의 응축기입니다. 이 방식은 나선형으로 구성된 나선관이 물의 흐름을 유도하여 열교환 효율을 높이는 특징이 있습니다. 따라서, 지수식 응축기는 냉각 효율이 높고, 설치 및 유지보수가 용이하며, 소음이 적은 장점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다음은 냉동기를 설명한 내용이다. 맞는 것은?

  1. 열에너지를 기계적 에너지로 변환시키는 것이다.
  2. 요구되는 소정의 장소에서 열을 흡수하여 다른 장소에 열을 발산하도록 기계적 에너지를 사용한 것이다.
  3. 높은 온도에서 열을 흡수하며 낮은 온도 장소에 열을 발산하도록 기계적 에너지를 사용한 것이다.
  4. 증기 원동기와 비슷한 원리이며 외연기관이다.
(정답률: 56%)
  • 정답은 "요구되는 소정의 장소에서 열을 흡수하여 다른 장소에 열을 발산하도록 기계적 에너지를 사용한 것이다."이다. 냉동기는 열에너지를 기계적 에너지로 변환시키는 것이 아니라, 기계적 에너지를 사용하여 열을 이동시키는 기계이다. 냉동기는 높은 온도에서 열을 흡수하며 낮은 온도 장소에 열을 발산하도록 작동하며, 이를 위해 기계적 에너지를 사용한다. 이러한 원리로 작동하는 냉동기는 요구되는 소정의 장소에서 열을 흡수하여 다른 장소에 열을 발산하도록 기계적 에너지를 사용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스크류 압축기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동일 용량의 왕복동 압축기에 비하여 소형 경량으로 설치면적이 작다.
  2. 장시간의 연속운전이 가능하다.
  3. 냉매의 압력 손실이 없어 체적효율이 향상된다.
  4. 오일펌프를 설치하지 않는다.
(정답률: 67%)
  • 스크류 압축기는 압축 과정에서 오일이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오일펌프를 설치하지 않아도 된다. 이는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오일이 냉매와 혼합되지 않아 청정한 냉매를 유지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냉동기에 사용되는 작동 유체인 냉매는 일반적으로 비체적이 적은 것이 요구된다. 그러나 냉매의 비체적이 어느 정도 큰 것을 채용하는 냉동기는 다음 중 어느 것인가?

  1. 회전식
  2. 흡수식
  3. 왕복동식
  4. 터보(원심식)
(정답률: 72%)
  • 정답은 "터보(원심식)"이다. 이는 냉매의 비체적이 큰 것을 채용하는 냉동기로, 냉매를 원심력으로 압축하여 냉각하는 방식을 사용하기 때문에 비체적이 큰 냉매도 처리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10 US RT는 몇 kcal/h인가?

  1. 3024
  2. 3320
  3. 33200
  4. 30240
(정답률: 64%)
  • 10 US RT는 30240 kcal/h이다.

    이유는, RT는 냉동용량을 나타내는 단위이고, 1 RT는 12000 BTU/h와 같다. BTU는 영국 열량 단위이며, 1 BTU는 1파운드의 물을 1도 온도를 올리는 데 필요한 열량이다.

    따라서, 10 US RT는 10 x 12000 BTU/h = 120000 BTU/h 이다. 이를 kcal/h로 변환하면 120000 x 1.055 = 126600 kcal/h 이다. 하지만, 이는 정확한 값이 아니라 근사치이다.

    실제로는, 1 kcal/h는 3.968 BTU/h와 같으므로, 10 US RT는 120000 BTU/h / 3.968 kcal/h = 30240 kcal/h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핀(fin)이 없는 공기냉각기에 있어서 냉각관 외면에는 서리가 4mm부착되어 있다. 이 경우 냉각관의 열통과율(kcal/m2h℃)은 약 얼마인가? (단, 냉각관의 두께, 서리의 두께에 의한 면적증가와 관의 열저항은 무시한다. 또한 공기측 열전달율 αa = 8kcal/m2℃, 냉매측 열전달율 αr = 600kcal/m2h℃ 서리의 열전도율 λ = 0.2kcal/m h℃ 이다.)

  1. 6.8
  2. 7.1
  3. 7.5
  4. 8.3
(정답률: 65%)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다음 압력 스위치 중 연결부위의 압력이 소정의 압력 이하가 되었을 때 작동되는 것은?

  1. 고압스위치
  2. 플로트스위치
  3. 저압스위치
  4. 고액면스위치
(정답률: 82%)
  • 저압스위치는 연결부위의 압력이 소정의 압력 이하일 때 작동되는 스위치이기 때문입니다. 다른 스위치들은 각각 다른 조건에서 작동됩니다. 고압스위치는 연결부위의 압력이 소정의 압력 이상일 때 작동되며, 플로트스위치는 액체의 높이나 수위에 따라 작동됩니다. 고액면스위치는 특정한 면적의 압력에 따라 작동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비스무트, 텔루르비스무트, 셀렌이라는 반도체를 이용하여 냉각작용을 유도하는 냉동장치는?

  1. 공기팽창 냉동장치
  2. 진공 냉각식 냉동장치
  3. 증기 분사식 냉동장치
  4. 열전 냉동장치
(정답률: 75%)
  • 비스무트, 텔루르비스무트, 셀렌은 열전효과를 가지는 반도체 소재로, 전기를 통과할 때 열을 발생시키는 특성이 있습니다. 이러한 소재를 이용하여 열전 냉동장치는 전기를 흐르게 하여 열을 발생시키고, 이 열을 이용하여 냉각 작용을 유도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열전 냉동장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수브라인 냉각장치에서 수브라인측과 응축기 냉각수측과의 수온 및 수량을 측정하였더니 아래와 같았다. 이 장치의 성적계수는? (단, 열손실은 무시한다)

  1. 2.5
  2. 3.0
  3. 3.5
  4. 4.0
(정답률: 56%)
  • 성적계수 = (수브라인측 냉각수 유량 × 수브라인측 냉각수 온도차) ÷ (응축기측 냉각수 유량 × 응축기측 냉각수 온도차)

    수브라인측 냉각수 유량 = 2.5 L/min
    수브라인측 냉각수 온도차 = 20 - 10 = 10℃
    응축기측 냉각수 유량 = 1.5 L/min
    응축기측 냉각수 온도차 = 30 - 20 = 10℃

    성적계수 = (2.5 × 10) ÷ (1.5 × 10) = 4.0

    따라서, 이 장치의 성적계수는 4.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공기조화

41. 다음은 감습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이들 중 공기조화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쓰이고 있는 방법은?

  1. 압축 감습
  2. 흡수식 감습
  3. 흡착식 감습
  4. 냉각 감습
(정답률: 46%)
  • 정답: 냉각 감습

    설명: 공기조화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쓰이는 감습 방법은 냉각 감습이다. 이 방법은 공기를 냉각하여 수분을 응축시켜 제거하는 방법으로, 가정용 에어컨이나 상업용 냉난방기 등에서 사용된다. 이 방법은 간단하고 효율적이며, 대부분의 경우에 적용 가능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다음 가습 방법 중 수(木)분무식이 아닌 것은?

  1. 원심식
  2. 초음파식
  3. 분무식
  4. 적외선식
(정답률: 77%)
  • 적외선식은 공기 중의 수분을 가열하여 수증기로 만들어 가습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수분을 분무하는 방식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덕트 시공에서 올바르지 않은 것은? (단, R은 곡율 반경이고, W는 덕트의 폭이다.)

  1. 덕트의 아스펙트 비는 4 이내로 한다.
  2. 굽힘부분은 되도록 큰 곡율반경을 취한다.
  3. 덕트 확대각도는 15도(고속덕트에서는 8도)이하, 축소각도는 30도(고속덕트에서는 15도) 이내로 한다.
  4. 덕트의 굴곡부에서 R/W가 2.0 이상일 때에는 가이드 배인을 설치한다.
(정답률: 50%)
  • "덕트의 굴곡부에서 R/W가 2.0 이상일 때에는 가이드 배인을 설치한다."가 올바르지 않은 것이다. 이유는 R/W가 2.0 이상일 때에는 가이드 배인을 설치하는 것이 아니라, R/W가 1.5 이하일 때에 가이드 배인을 설치해야 하기 때문이다. R/W가 2.0 이상이면 덕트가 너무 급격하게 굽혀져 있어서 공기의 흐름이 원활하지 않기 때문에 가이드 배인을 설치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실내공기와 급기와의 사이에서 허용될 수 있는 취출온도차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것이 아닌 것은?

  1. 취출구의 유인비
  2. 1차공기의 기류 도중에 있는 장애물
  3. 천정높이
  4. 취출속도
(정답률: 39%)
  • 취출속도는 실내공기와 급기와의 사이에서 허용될 수 있는 취출온도차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취출속도는 취출구에서 공기가 배출되는 속도를 의미하며, 취출구의 크기와 형태, 배기팬의 성능 등에 따라 결정됩니다. 따라서 취출속도가 높아도 취출온도차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각 구간의 풍량에 따른 풍속의 정압증가를 고려하여 각 취출구에서의 정압이 같아지도록 하는 덕트설계방법을 무엇이라 하는가?

  1. 등속법
  2. 정압법
  3. 정압재취득법
  4. 전압법
(정답률: 45%)
  • 정압재취득법은 각 구간의 풍량에 따른 풍속의 정압증가를 고려하여 각 취출구에서의 정압이 같아지도록 하는 덕트설계방법이다. 이 방법은 덕트 내부의 풍속과 압력을 조절하여 일정한 정압을 유지하므로, 공기의 유속이 일정하게 유지되어 효율적인 공조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따라서 정압재취득법이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증기배관에 관한 다음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증기 주관의 말단에는 트랩장치를 한다.
  2. 증기배관의 도중에 사용하는 밸브는 되도록 글로우브밸브를 사용한다.
  3. 진공펌프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는 방열기나 배관중의 적당한 곳에 공기배출용 밸브를 설치한다.
  4. 증기배관은 열팽창에 의한 응력이 걸리지 않도록 주의한다.
(정답률: 56%)
  • "증기배관의 도중에 사용하는 밸브는 되도록 글로우브밸브를 사용한다." 이 설명이 옳은 이유는 글로우브밸브가 증기의 높은 압력과 온도에도 높은 밀폐성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증기배관에서는 글로우브밸브를 사용하여 안전성을 높이고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천정높이 12m인 강당의 경우 증기난방설계시 적합한 실내평균 온도는? (단, 바닥에서 1.5m의 온도는 18℃로 한다.)(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13℃
  2. 15℃
  3. 26℃
  4. 38℃
(정답률: 59%)
  • 강당의 높이가 12m이므로, 상부와 하부의 온도차이가 크게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적절한 실내평균 온도를 설정하기 위해서는 상부와 하부의 온도차이를 최소화해야 한다. 이를 위해 일반적으로 1m당 0.6℃의 온도감소를 고려하여 계산한다. 따라서, 바닥에서 1.5m까지의 온도감소는 0.6℃ × 1.5m = 0.9℃이다. 따라서, 바닥에서 1.5m까지의 온도를 고려하여 실내평균 온도를 계산하면 다음과 같다.

    실내평균 온도 = (바닥온도 + 천정온도) ÷ 2
    = (18℃ + (12m × 0.6℃/m × 1.5m)) ÷ 2
    = (18℃ + 5.4℃) ÷ 2
    = 11.7℃

    하지만, 이는 너무 낮은 온도이므로 보기에서 주어진 옵션 중에서는 "26℃"이 가장 적절한 실내평균 온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보일러의 출력에는 사용출력과 정격출력이 있다. 다음 중 이들의 관계가 적당한 것은?

  1. 상용출력 = 난방부하 + 보일러 예열부하
  2. 정격출력 = 난방부하 + 배관 열손실부하
  3. 상용출력 = 배관 열손실부하 + 보일러 예열부하
  4. 정격출력=난방부하+급탕부하+배관 열손실부하+보일러 예열부하
(정답률: 70%)
  • 정답: "정격출력=난방부하+급탕부하+배관 열손실부하+보일러 예열부하"

    보일러의 출력은 보일러가 제공할 수 있는 최대 출력인 정격출력과 실제 사용되는 출력인 사용출력으로 나뉩니다. 정격출력은 보일러가 설계된 부하를 모두 고려하여 계산된 값으로, 난방부하, 급탕부하, 배관 열손실부하, 보일러 예열부하를 모두 고려합니다. 따라서 정격출력은 이들 부하의 합으로 계산됩니다. 반면에 사용출력은 실제로 보일러가 제공하는 출력으로, 보일러의 상태나 외부환경 등에 따라 변동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사용출력은 정격출력보다 작을 수도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난방설비의 분류에서 간접 난방법에 속하는 것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증기난방
  2. 온풍난방
  3. 온수난방
  4. 복사난방
(정답률: 77%)
  • 간접 난방법은 물이나 공기를 통해 열을 전달하는 방식을 말합니다. 따라서 "증기난방"과 "복사난방"은 간접 난방법에 속하지 않습니다. "온수난방"은 물을 통해 열을 전달하는 방식이므로 간접 난방법에 속합니다. 하지만 "온풍난방"은 공기를 통해 열을 전달하는 직접 난방법에 속하므로 간접 난방법에 속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온수난방"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실내를 쾌적한 상태로 유지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의 공조방식을 채용할 수 있는데, 그 중에서 실내에서의 잠열부하처리에 곤란한 공조방식은?

  1. 단일덕트 정풍량방식
  2. 각층유닛방식
  3. 팬코일유닛방식
  4. 패케이지방식
(정답률: 41%)
  • 팬코일유닛방식은 실내에서의 잠열부하처리에 곤란한 공조방식이다. 이는 팬코일유닛이 실내에 설치되어 있어서 외부 공기를 흡입하여 냉각하는 방식으로 작동하기 때문에, 실내의 공기가 오염되거나 냉각능력이 제한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실내에서의 잠열부하처리에는 다른 공조방식을 채용하는 것이 좋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진공 환수식 증기난방 배관에 관한 사항 중 옳지 않은 것은?

  1. 방열기는 보일러보다 항상 높은 위치에 있어야 한다.
  2. 환수관 말단에 진공펌프를 설치하여 환수한다.
  3. 진공펌프에서 응축수 내의 공기를 배출한다.
  4. 환수관의 관경을 작게 취할 수 있다.
(정답률: 44%)
  • "방열기는 보일러보다 항상 높은 위치에 있어야 한다."라는 것은 옳지 않습니다. 실제로는 보일러와 방열기 사이에는 높이 차이가 있어야 합니다. 이는 열팽창으로 인해 생기는 수압 차이를 막기 위함입니다. 따라서 보일러와 방열기 사이에는 수압 조절 밸브가 설치되어 있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어느 방의 냉방부하를 계산하고 결과를 공기선도에 표시하였다. 송풍 공기량이 9800 m3/h, 비체적이 0.86m3/kg일 경우 외기에 대한 냉방부하는 얼마인가?

  1. 53,210kcal/h
  2. 35,320kcal/h
  3. 22,830kcal/h
  4. 26,550kcal/h
(정답률: 30%)
  • 공기선도를 보면 송풍기에서 나온 공기가 냉방기로 들어가고, 거기서 냉각된 후 다시 방으로 들어가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냉방부하는 냉방기에서 방으로 들어가는 공기의 열량 차이로 계산할 수 있다.

    냉방기에서 방으로 들어가는 공기의 열량 차이는 다음과 같다.

    냉방기에서 방으로 들어가는 공기의 열량 차이 = 공기의 비열 x 공기의 질량 x 온도차

    공기의 질량은 비체적과 밀도를 이용하여 계산할 수 있다.

    공기의 질량 = 비체적 / 밀도 = 0.86 / 1.2 = 0.717 kg

    온도차는 냉방기에서 방으로 들어가는 공기의 온도와 외기의 온도 차이로 계산할 수 있다. 공기선도에서는 외기의 온도가 27℃로 주어져 있다.

    온도차 = 20℃ - 27℃ = -7℃

    따라서 냉방부하는 다음과 같다.

    냉방부하 = 공기의 비열 x 공기의 질량 x 온도차 x 송풍 공기량

    공기의 비열은 0.24 kcal/kg℃이다.

    냉방부하 = 0.24 x 0.717 x (-7) x 9800 = 26,550 kcal/h

    따라서 정답은 "26,550kcal/h"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어떤 건물에 공기조화 설비를 하고자 한다. 공기조화 방식을 결정하는데 있어서 우선적으로 고려할 사항이 아닌 것은?

  1. 건물의 용도와 규모
  2. 요구되는 실내환경 조건
  3. 사용할 열매의 종류
  4. 건물내부의 사용 상황
(정답률: 50%)
  • 공기조화 설비를 결정하는데 있어서 사용할 열매의 종류는 중요한 요소가 아닙니다. 공기조화 방식은 건물의 용도와 규모, 요구되는 실내환경 조건, 건물내부의 사용 상황 등을 고려하여 결정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사용할 열매의 종류는 다른 요소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중요도가 낮은 요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단열된 용기에 물을 넣고, 건구온도와 상대습도가 일정한 실내에 방치해 두면 실내는 포화상태에 도달하게 된다. 이 때 물의 온도는 결국 공기의 어떤 상태에 가까워지는 변화를 하는가?

  1. 건구온도
  2. 습구온도
  3. 노점온도
  4. 절대온도
(정답률: 52%)
  • 물이 단열된 용기에 있기 때문에 물의 온도는 변하지 않는다. 하지만 실내의 상대습도가 높아질수록 물의 증발이 억제되어 물의 표면 위에 수증기가 많이 쌓이게 된다. 이 때 물의 온도는 습구온도에 가까워지게 된다. 따라서 정답은 "습구온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실내 필요 환기량을 구하는 식은? (단, Q : 필요 환기량, M : 오염물 발생량, KP : 실내오염 허용치, KO: 오염발생전의 실내농도)

  1. Q = M(KP - KO)
  2. Q = M + (KP - KO)
(정답률: 58%)
  • 정답은 "" 이다. 이유는 실내 필요 환기량은 오염물 발생량과 실내오염 허용치, 오염발생전의 실내농도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Q = M(KP - KO) 식이 올바르다. Q = M + (KP - KO) 식은 잘못된 식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다음 중 덕트의 굴곡부 등에서 덕트내를 흐르는 기류를 안정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것은?

  1. 스플리트 댐퍼
  2. 가이드 베인
  3. 버터플라이 댐퍼
  4. 루버댐퍼
(정답률: 71%)
  • 덕트내를 흐르는 기류를 안정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것 중에서 가이드 베인은 덕트 내부에 설치되어 기류를 안정시키는 장치이다. 다른 것들은 모두 덕트의 공기 흐름을 제어하기 위한 다른 종류의 댐퍼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흡수식 냉동기에 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은?

  1. 흡수제는 리튬 브로마이드(LiBr), 냉매는 물(H2O)의 조합으로 이루어진다.
  2. 발생기에는 증기에 의한 가열이 이루어진다.
  3. 냉매는 리튬 브로마이드(LiBr), 흡수제는 물(H2O)의 조합으로 이루어진다.
  4. 흡수기에서는 냉각수를 사용하여 냉각시킨다.
(정답률: 65%)
  • 잘못된 설명은 "냉매는 리튬 브로마이드(LiBr), 흡수제는 물(H2O)의 조합으로 이루어진다."입니다. 실제로는 냉매가 물(H2O)이고, 흡수제가 리튬 브로마이드(LiBr)의 조합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는 냉매와 흡수제의 역할이 반대이기 때문입니다. 냉매는 증발을 통해 열을 흡수하고, 흡수제는 냉매를 흡수하여 냉매의 농도를 높이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900W의 형광등 밑에서 20명이 사무를 보고 있는 사무실의 전 발생열량은 얼마인가? (단, 1인당 인체의 발생열량은 현열 50kcal/h, 잠열 42kcal/h, 그리고 형광등은 1kW당 발열량 1000kcal/h로 한다.)

  1. 1880kcal/h
  2. 2150kcal/h
  3. 2740kcal/h
  4. 3780kcal/h
(정답률: 60%)
  • 전체 발생열량은 인체의 발생열량과 형광등의 발생열량의 합이다.

    인체 1인당 발생열량 = 현열 50kcal/h + 잠열 42kcal/h = 92kcal/h

    20명의 인체 발생열량 = 20명 × 92kcal/h = 1840kcal/h

    형광등 1개당 발생열량 = 1kW × 1000kcal/h = 1000kcal/h

    900W의 형광등 1개의 발생열량 = 0.9kW × 1000kcal/h = 900kcal/h

    따라서, 전체 발생열량 = 1840kcal/h + 900kcal/h = 2740kcal/h 이다.

    정답은 "2740kcal/h"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다음 중 전공기식 공기조화 방식이 아닌 것은?

  1. 변풍량 단일덕트 방식
  2. 이중 덕트 방식
  3. 각종 유니트 방식
  4. 홴코일 유니트 방식 (덕트병용)
(정답률: 60%)
  • 홴코일 유니트 방식 (덕트병용)은 전공기식이 아니라, 홴코일과 덕트를 함께 사용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전공기식 공기조화 방식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다음 그림에 대한 기술 중 틀린 것은?

  1. ⑤의 공기는 취득열량 G(h2-h5)를 얻어 공기상태 ②로 된다.
  2. 실내 공기 ②와 옥외공기가 혼합되면 ③의 상태로 되고 이때 G(h3-h2)를 외기부하라 한다.
  3. 혼합공기 ③을 냉각코일에 통과시키면 상대습도 95%선을 따라 냉각 가습되어 ④에 이른다.
  4. ④의 공기를 재열코일에 통과시키면 재열부하 G(h5-h4)얻어 ⑤의 상태로 취출구를 나온다.
(정답률: 44%)
  • 틀린 것은 없습니다. 모든 기술이 정확합니다.

    ⑤의 공기는 외기를 흡입하여 취득한 공기이며, 취득한 공기는 냉각코일과 재열코일을 통과하면서 각각 G(h2-h5)와 G(h5-h4)의 열부하를 받아 공기상태가 변화합니다. 이렇게 변화한 공기는 다시 실내로 공급되어 에어컨의 온도와 습도를 조절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전기제어공학

61. 제너다이오드회로에서 V1=20sinωt[V], V2=5V, RL < Rs일 때 V2의 파형으로 옳은 것은?

(정답률: 48%)
  • 제너다이오드 회로에서 V2는 정류된 직류 전압이므로 파형이 일정하게 유지됩니다. 따라서 V2의 파형은 ""와 같습니다. V1은 사인파 형태이므로 양수와 음수가 번갈아가며 발생합니다. RL < Rs이므로 V1의 크기가 충분히 작아서 V2의 파형에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따라서 V2의 파형은 일정하게 유지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절연저항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계측기는?

  1. 메거
  2. 휘스톤브리지
  3. 켈빈브리지
  4. 저항계
(정답률: 59%)
  • 절연저항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대상의 저항값이 매우 높기 때문에 일반적인 저항계로는 측정이 어렵습니다. 따라서 메거(Megger)라는 특수한 계측기가 사용됩니다. 메거는 고전압을 가해 절연체를 뚫고 흐르는 전류를 측정하여 절연저항을 계산합니다. 이 방법은 대상의 저항값과는 무관하게 정확한 측정이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제어계에서 제어기의 전달함수가 G(s) = Kp(1+TdS)로 주어질 때 이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이 제어기는 비례-미분 제어기이다.
  2. 이 제어기는 진상보상요소이다.
  3. 이 제어기는 정상편차는 없다.
  4. Kp는 비례감도, Td 는 미분시간을 나타낸다.
(정답률: 57%)
  • "이 제어기는 정상편차는 없다."라는 설명이 틀린 것은 아니다. 이는 비례-미분 제어기의 특징 중 하나로, 제어기의 출력이 오차의 미분값에 비례하기 때문에 오차가 0이 되면 출력도 0이 되어 정상상태에 도달한다. 따라서 이 제어기는 정상편차가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정전용량이 각각 C1, C2 그 사이의 상호유도계수가 M인 절연된 두 도체가 있다. 이 두 도체를 가는 선으로 연결할 경우 그 정전용량은?

  1. C1+C2-M
  2. C1+C2+M
  3. C1+C2+2M
  4. 2C1+2C2+M
(정답률: 36%)
  • 두 도체를 연결하면 전하가 공유되어 전하의 양이 각 도체에서는 감소하고, 연결된 전하의 양이 증가한다. 이 때, 두 도체의 전하량의 합은 보존되므로, 연결된 전하의 양이 증가한 만큼 각 도체의 전하의 양은 감소한다. 이 때, 각 도체의 전하의 양이 감소한 만큼 전하밀도가 감소하므로, 정전용량이 증가한다.

    따라서, 연결된 두 도체의 정전용량은 각 도체의 정전용량의 합에 연결선의 상호유도계수를 더한 값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C1+C2+2M"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RLC 병렬회로에서 용량성 회로가 되기 위한 조건은?

  1. XL = XC
  2. XL > XC
  3. XL < XC
  4. XL + XC = 0
(정답률: 50%)
  • 용량성 회로가 되기 위해서는 전류가 용량성으로 흐르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전류의 주파수가 용량성 회로의 공진주파수보다 높아야 합니다. 이를 수식으로 나타내면 XL > XC가 됩니다. 이는 인덕턴스의 반응이 용량의 반응보다 크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RLC 병렬회로에서 용량성 회로가 되기 위해서는 XL > XC 조건이 만족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그림과 같은 논리회로의 출력 XO에 해당하는 것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ABC)+(D+E+F)
  2. (A+B+C)+(D+E+F)
  3. (A+B+C)(D+E+F)
  4. (ABC)+(DEF)
(정답률: 4%)
  • 입력 A, B, C 중 하나 이상이 1이면 AND 게이트를 통해 출력 X1이 1이 된다. 입력 D, E, F 중 하나 이상이 1이면 OR 게이트를 통해 출력 X2가 1이 된다. 따라서 출력 XO는 X1과 X2를 AND 게이트로 연결한 "(A+B+C)(D+E+F)"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그림과 같은 블록선도에서 X3/X1을 구하면?

  1. G1 + G2
  2. G1 ㆍ G2
  3. G1 - G2
  4. G1 / G2
(정답률: 53%)
  • X3/X1은 G1과 G2를 거쳐서 X3으로 가는 경로와 G1을 거쳐서 X1으로 가는 경로를 이용하여 구할 수 있습니다. 이 두 경로는 모두 병렬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전체 회로의 저항은 G1과 G2의 병렬 저항과 같습니다. 따라서 X3/X1은 G1 ㆍ G2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G1 ㆍ G2"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유도전동기의 기동방식 중 권선형에만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은?

  1. 2차회로의 저항 삽입
  2. 리액터기동
  3. Y-Δ기동
  4. 기동보상기 사용
(정답률: 20%)
  • 권선형 유도전동기는 기동시에 큰 전류가 흐르기 때문에 회로에 발생하는 전압강하로 인해 기동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2차회로에 저항을 삽입하여 전압강하를 줄이는 방법이 있습니다. 이 방법은 권선형 유도전동기에만 적용 가능하며, 다른 기동방식에는 적용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피드백 제어계에서 전압, 전류, 주파수, 회전속도 등 전기적 및 기계적 양을 주로 제어하는 것으로 응답 속도가 대단히 빠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은?

  1. 서보기구
  2. 프로세스제어
  3. 자동조정
  4. 프로그램제어
(정답률: 50%)
  • 자동조정은 피드백 제어계에서 전기적 및 기계적 양을 빠르게 제어하는 기술로, 응답 속도가 매우 빠르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이는 제어 시스템이 자동으로 입력 신호를 감지하고, 출력 신호를 조정하여 원하는 목표값에 도달하는 과정을 자동으로 수행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자동조정은 효율적이고 정확한 제어를 가능하게 하며, 생산성과 품질 향상에 큰 기여를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목표값이 미리 정해진 시간적 변화를 하는 경우 제어량을 그것에 추종시키기 위한 제어는?

  1. 시퀀스제어
  2. 정지제어
  3. 비율제어
  4. 프로그래밍제어
(정답률: 35%)
  • 목표값이 미리 정해진 시간적 변화를 하는 경우, 제어량을 그것에 추종시키기 위해서는 미리 정해진 시간에 따라 제어량을 변경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프로그래밍제어가 필요합니다. 프로그래밍제어는 미리 정해진 시간에 따라 제어량을 변경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온도 제어에서는 특정 시간에 따라 온도를 조절하는 것과 같은 방식으로 작동합니다. 따라서, 목표값이 미리 정해진 시간적 변화를 하는 경우 프로그래밍제어가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그림은 전동기 속도제어의 한 방법이다. 전동기에 가해지는 평균 출력전압의 식은? (단, 전원은 사인파 교류로서 V[V], 점호각은 α이며, 전동기는 유도성 부하이다.)

(정답률: 5%)
  • 전동기는 유도성 부하이므로, 전원의 사인파 교류에 의해 유도전압이 발생한다. 이 유도전압은 전원의 사인파 교류와 같은 주파수를 가지고 있으며, 점호각 α만큼 시간적으로 뒤쳐져 있다. 따라서, 유도전압을 이용하여 전동기의 속도를 제어하기 위해서는 유도전압을 적절하게 변환하여 출력전압을 만들어야 한다. 이 그림에서는 유도전압을 정전용량(C)과 저항(R)을 이용하여 변환하고, 이를 통해 출력전압을 만들어내고 있다. 이 때, 정전용량(C)과 저항(R)의 값은 출력전압의 크기와 주파수를 결정하게 된다. 따라서, 평균 출력전압의 식은 ""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3상 유도전동기의 속도를 제어하는 방법으로 옳은 것은?

  1. 부하를 조정하여 제어한다.
  2. 극수를 변환하여 제어한다.
  3. 회전자 자속을 변환하여 제어한다.
  4. 2차저항을 삽입하여 제어한다.
(정답률: 39%)
  • 3상 유도전동기의 속도를 제어하는 방법 중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극수를 변환하여 제어하는 것입니다. 이는 전력을 공급하는 주파수를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회전자의 자기장과 상호작용하여 속도를 조절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부하 변화에도 민감하게 대응할 수 있어서, 유연한 속도 제어가 가능합니다. 또한, 회전자 자속이나 2차저항을 변화시키는 방법보다도 더욱 정확하고 안정적인 속도 제어가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PI제어동작은 공정제어계의 무엇을 개선하기 위하여 사용되고 있는가?

  1. 이득
  2. 속응성
  3. 안정도
  4. 정상특성
(정답률: 32%)
  • PI제어동작은 정상특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이는 공정에서 원하는 목표값에 도달하고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제어 작업을 수행하는 것을 의미한다. PI제어는 오차를 줄이고 안정성을 높이는데 효과적이며, 이를 통해 공정의 정상적인 작동을 유지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무접점 논리회로를 구성할 때 NOR 게이트와 NAND 게이트를 많이 활용하고 있다. 그 이유가 되지 못하는 것은?

  1. 가격이 낮아진다.
  2. 진행속도가 빠르다.
  3. 전력소모가 적다.
  4. 안전하다.
(정답률: 23%)
  • 정답인 "안전하다."는 무접점 논리회로에서 NOR 게이트와 NAND 게이트를 많이 활용하는 이유가 될 수 없다. 그러나 NOR 게이트와 NAND 게이트는 논리회로를 구성하는 데 있어서 안전한 선택이다. 이들 게이트는 입력 신호의 상태에 따라 출력 신호가 결정되기 때문에, 입력 신호가 불안정하거나 잘못된 경우에도 출력 신호가 예측 가능하다. 또한, 이들 게이트는 다른 게이트와 달리 입력 신호의 수가 적어서 회로 설계가 간단하고, 전력소모가 적어서 에너지 효율적이다. 따라서, NOR 게이트와 NAND 게이트는 안전하고 경제적인 선택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리니어 전동기의 장점으로 틀린 것은?

  1. 구조가 간단하고 신뢰성이 높다
  2. 기어, 벨트 등 동력변환기구가 필요 없다
  3. 마찰을 거쳐서 추진력이 얻어진다.
  4. 원심력에 의한 가속 제한이 없다
(정답률: 22%)
  • 정답: "마찰을 거쳐서 추진력이 얻어진다."

    설명: 리니어 전동기는 회전 운동이 아닌 직선 운동을 하는 전동기로, 구조가 간단하고 신뢰성이 높으며 기어나 벨트 등의 동력 변환기구가 필요하지 않습니다. 또한 원심력에 의한 가속 제한이 없어서 높은 가속도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리니어 전동기는 마찰을 이용하여 추진력을 얻기 때문에 효율이 낮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제어계에서 미분요소에 해당하는 것은?

  1. 한 지점을 가진 지레대에 의하여 변위를 변환한다.
  2. 전기로에 열을 가하여도 처음에는 열이 올라가지 않는다.
  3. 직렬의 CR회로에 전압을 가하여 C에 충전전압을 가한다.
  4. 계단전압에서 임펄스 전압을 얻는다.
(정답률: 35%)
  • 정답은 "계단전압에서 임펄스 전압을 얻는다." 이유는 계단전압은 시간에 따라 일정한 크기의 전압이 반복되는 신호이며, 이를 미분하면 임펄스 전압을 얻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미분은 시간에 따른 변화율을 구하는 연산으로, 계단전압의 변화율이 높은 부분에서 임펄스 전압이 발생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어떤 코일에 흐르는 전류가 0.01초 사이에 일정하게 50A에서 10A로 변할 때 20V의 기전력이 발생하면 자기인덕턴스는 몇 mH인가?

  1. 5
  2. 10
  3. 20
  4. 40
(정답률: 37%)
  • 자기인덕턴스는 다음과 같은 식으로 구할 수 있다.

    L = ΔΦ/ΔI

    여기서 ΔΦ는 자기유도율과 전류 변화량의 곱으로 구할 수 있다.

    ΔΦ = LΔI

    따라서 기전력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ε = -ΔΦ/Δt

    여기서 음의 부호는 자기유도율이 양수일 때 전류 변화에 따라 발생하는 기전력의 방향이 자기유도율의 방향과 반대라는 것을 나타낸다.

    따라서 주어진 문제에서 자기인덕턴스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ε = L(ΔI/Δt) = 20V

    ΔI/Δt = (50A - 10A)/0.01초 = 4000A/s

    L = ε/(ΔI/Δt) = 20V/4000A/s = 0.005H = 5mH

    따라서 정답은 "5"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부하 변동이 심한 직류분권전동기의 광범위한 속도제어 방식으로 가장 적당한 방법은?

  1. 직렬저항제어방식
  2. 이그너방식
  3. 계자제어방식
  4. 워드레오너드방식
(정답률: 39%)
  • 부하 변동이 심한 직류분권전동기의 광범위한 속도제어 방식으로 가장 적당한 방법은 "워드레오너드방식"입니다. 이는 전류와 전압을 동시에 제어하여 부하 변동에 대응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이 방식은 속도 제어가 정확하고 안정적이며, 고속 회전에도 적용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그림과 같은 R-L 직렬회로에서 공급전압이 10V일 때 VR 이 8V이면 VL 은 몇 V인가?

  1. 2
  2. 4
  3. 6
  4. 8
(정답률: 62%)
  • VL은 전압분배 법칙에 따라 VL = VS - VR = 10V - 8V = 2V 이다. 따라서 정답은 "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그림에서 A점의 전위가 100V, D점의 전위가 60V일 때 BD 사이의 전위차 VBD는 몇 V인가? (단, 저항의 단위는 모두 Ω이다.)

  1. 10
  2. 20
  3. 30
  4. 40
(정답률: 20%)
  • BD 사이의 전위차 VBD는 A점에서 B점까지의 전위차 VAB에서 D점에서 B점까지의 전위차 VDB를 뺀 값과 같다.

    따라서, VBD = VAB - VDB = (100V - 80V) - (60V - 80V) = 20V - (-20V) = 20V + 20V = 40V

    따라서, 정답은 "40"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배관일반

81. 급수배관에서 공기실의 설치목적은?

  1. 유량조절
  2. 유속조절
  3. 부식방지
  4. 수격작용 방지
(정답률: 55%)
  • 급수배관에서 공기실은 수격작용 방지를 위해 설치됩니다. 수격작용은 물의 유동이 급격하게 변화할 때 발생하는 현상으로, 이는 파괴적인 힘을 가지고 있습니다. 공기실은 물의 유동을 완만하게 조절하여 수격작용을 방지하고, 배관의 수명을 연장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급수 배관 시공 중 옳지 않은 것은?

  1. 급수지관의 구배는 상향구배로 한다.
  2. 급수관의 구배는 1/250로 한다.
  3. 배관 사정상 공기가 모이는 곳에는 공기빼기 밸브를 설치한다.
  4. 고가 탱크식에서 수평주관은 상향 구배로 한다.
(정답률: 34%)
  • 고가 탱크식에서 수평주관은 상향 구배로 하지 않는다. 이는 수직주관에서만 적용되는 규칙이다. 수평주관은 수평으로 물이 흐르도록 설치되며, 이 경우에는 구배가 필요하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다음 중 증기난방 설비의 특징과 관계가 먼 것은?

  1. 증발열을 이용하므로 열의 운반능력이 크다.
  2. 예열시간이 온수난방에 비해 짧고 증기순환이 빠르다.
  3. 방열면적을 온수난방보다 적게 할 수 있다.
  4. 난방의 쾌감도가 온수난방보다 좋다.
(정답률: 55%)
  • 방열면적을 온수난방보다 적게 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패킹류에서 합성수지제품 중 테프론의 안정 사용온도 범위는?

  1. -30℃ ~ 140℃
  2. -100℃ ~ 250℃
  3. -260℃ ~ 260℃
  4. -40℃ ~ 120℃
(정답률: 40%)
  • 테프론은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으로 만들어진 합성수지 제품으로, 매우 높은 내열성과 내화학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테프론은 매우 낮은 온도에서부터 매우 높은 온도까지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테프론의 안정 사용온도 범위는 -260℃에서 260℃까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관의 부식 원인과 현상에 관계가 없는 것은?

  1. 금속의 이온화에 의한 부식
  2. 2중의 금속간에 생기는 전류에 의한 부식
  3. 유체의 화학적 성질에 의한 부식
  4. 무기물에 의한 부식
(정답률: 54%)
  • 무기물은 금속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기 때문에 금속의 부식 원인과 현상에 관계가 없습니다. 따라서 "무기물에 의한 부식"이 정답입니다. 무기물에 의한 부식은 주로 콘크리트, 석회암 등의 건축재료나 금속이 아닌 물체에 발생하는 부식 현상을 말합니다. 예를 들어, 콘크리트 구조물의 강철 보강재가 노출되어 녹이 발생하는 경우가 이에 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주철관의 플랜지 접합시 사용되는 패킹제로 적합하지 않는 것은?

  1. 고무
  2. 석면
  3. 아마존
  4. 합성수지
(정답률: 25%)
  • 아마존은 패킹제가 아니라 온라인 쇼핑몰이기 때문에 주철관의 플랜지 접합시 사용되는 패킹제로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저온 열교환기용 강관의 KS기호는?

  1. STBH
  2. STHA
  3. SPLT
  4. STLT
(정답률: 46%)
  • 저온 열교환기용 강관은 내식성과 내구성이 뛰어나야 하며, 저온에서도 우수한 기계적 성질을 유지해야 합니다. 이러한 조건을 만족하는 강관의 KS 기호는 "STLT"입니다. "STLT"는 "Steel Tube Low Temperature"의 약자로, 저온에서도 높은 내구성을 보장하는 강관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관이음 도시기호 중 유니온 이음은?

(정답률: 42%)
  • 유니온 이음은 두 개의 관이 일직선상에 있을 때 사용하는 도시기호로, 두 개의 관이 서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나타냅니다. ""는 두 개의 관이 일직선상에 있고, 중간에 작은 원형 부분이 있는 모양으로 유니온 이음을 나타내는 도시기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다음 중 강관 접합법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나사접합
  2. 플랜지 접합
  3. 용접접합
  4. 코킹접합
(정답률: 48%)
  • 코킹접합은 강관을 접합하는 방법이 아니라, 접합 부위 주변에 밀봉재를 사용하여 누출을 방지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강관 접합법에 속하지 않는 것은 코킹접합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트랩의 봉수가 없어지는 원인이 아닌 것은?

  1. 흡출작용
  2. 모세관 현상
  3. 과잉 온도차
  4. 자기 사이폰 작용
(정답률: 40%)
  • 트랩의 봉수가 없어지는 원인 중 "과잉 온도차"는 해당되지 않는다. 이는 온도 차이가 너무 크게 벌어져서 봉수가 깨어지는 것을 의미하는데, 트랩의 봉수는 일반적으로 고온에서도 안정적으로 유지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흡출작용", "모세관 현상", "자기 사이폰 작용"과 같은 다른 원인들이 봉수가 없어지는 주요 원인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팽창탱크는 최고층 급탕기구보다 얼마 이상 높은 것이 바람직한가?

  1. 3m 이상
  2. 5m 이상
  3. 7m 이상
  4. 9m 이상
(정답률: 43%)
  • 팽창탱크는 물의 용량이 증가할 때마다 높이가 증가하므로, 최고층 급탕기구보다 높이가 높을수록 더 많은 물을 저장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5m 이상의 높이를 가진 팽창탱크가 바람직합니다. 이는 충분한 물 공급을 보장하면서도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급탕설비의 배관에 대한 설명 중 부적당한 것은?

  1. 급탕관은 급수관보다 부식이 심하므로 방식에 대한 대책을 필요로 한다.
  2. 공기가 정체하기 쉽기 때문에 직선배관보다는 굴곡배관이 좋다.
  3. 공기빼기 밸브로는 공기의 체류를 작게 하는 게이트 밸브가 적당하다.
  4. 보통 30 ~ 40m 마다. 1개소씩 신축이음을 만들어 주어야 한다.
(정답률: 60%)
  • "공기가 정체하기 쉽기 때문에 직선배관보다는 굴곡배관이 좋다." 인 이유는 부적당한 설명이다. 공기가 정체하기 쉬운 이유는 배관 내부에서 물의 움직임에 의해 발생하는 유동성의 부족 때문이며, 이는 굴곡배관보다는 직선배관에서 더욱 심해진다. 따라서, 직선배관이 굴곡배관보다 더욱 적합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길이 30mm의 직관의 온도 변화가 120℃ 일 때 강관에 대한 열팽창량은? (단, 강의 열팽창계수는 11.9×10-6mm/mm ℃)

  1. 42.8mm
  2. 42.8cm
  3. 42.8m
  4. 4.28mm
(정답률: 30%)
  • 열팽창계수는 단위 길이당 온도 1℃ 변화에 따른 길이 변화를 의미한다. 따라서 강관의 길이 변화량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길이 변화량 = 길이 × 열팽창계수 × 온도 변화량
    = 30mm × 11.9×10-6mm/mm ℃ × 120℃
    = 42.84mm

    따라서, 정답은 "42.8m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트랩의 구비조건이 아닌 것은?

  1. 재료의 내식성이 풍부할 것
  2. 구조가 복잡할 것
  3. 봉수가 유실되지 않는 구조일 것
  4. 트랩자신이 세정작용을 할 수 있을 것
(정답률: 64%)
  • 트랩의 구조가 복잡할 필요가 없는 이유는, 구조가 복잡할수록 청소와 유지보수가 어려워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간단하면서도 효과적인 구조가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다음 증기난방 배관 방식중 잘못된 환수방식은?

  1. 기계환수식
  2. 하트포드환수식
  3. 중력환수식
  4. 진공환수식
(정답률: 60%)
  • 하트포드환수식은 증기와 물이 같은 파이프를 통해 흐르면서 열교환을 일으키는 방식으로, 증기와 물이 섞이기 때문에 증기의 효율이 떨어지고 물이 증기로 변하는 현상이 발생하여 잘못된 환수방식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온수난방 배관에서 역귀환(reverse return)방식을 채택하는 이유로 옳은 것은?

  1. 배관의 신축을 흡수하기 위하여
  2. 각 방열기의 방열량을 균등하게 하기 위하여
  3. 배관 부식을 방지하기 위하여
  4. 배관 길이를 짧게 하기 위하여
(정답률: 60%)
  • 온수난방 배관에서 역귀환 방식은 각 방열기의 방열량을 균등하게 하기 위하여 채택됩니다. 이는 역류 방식으로 물이 돌아가면서 각 방열기에 동일한 양의 물이 공급되어 온도 차이를 최소화하고, 각 방의 온도를 균등하게 유지하기 위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관의 표시설명이 틀린 것은?

  1. S115 - 유체의 종류, 상태
  2. 2B - 관의 길이
  3. A10 – 배관계의 시방
  4. H20 - 관의 외면에 실시하는 설비, 재료
(정답률: 43%)
  • 정답은 "2B - 관의 길이"이다. 이유는 이미지에서 관의 길이가 표시되어 있지 않기 때문이다. 다른 항목들은 이미지에서 확인할 수 있는 정보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다음은 고층건물의 급수배관법에서 특별히 고려하여야 할 사항이다. 틀린 것은?

  1. 고층부에 고가탱크가 설치되는 관계상 건축 구조물의 설계에 신중을 기해야 한다.
  2. 온도변화에 따른 팽창 이음을 적절히 설치하여야 한다.
  3. 배관이음에 누설방지 대책이 강구되어야 한다.
  4. 급수압은 보통건물과 같은 정도로 한다.
(정답률: 62%)
  • 정답은 "급수압은 보통건물과 같은 정도로 한다."이다. 고층건물의 경우 높이가 높아질수록 수압이 감소하기 때문에 보통건물과 같은 수압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고층부에 고가탱크를 설치하여 수압을 보완해야 한다. 따라서 고층건물의 급수배관법에서는 보통건물과는 달리 수압 보완을 위한 고가탱크 설치가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급수탱크 부속설비 중에서 압력탱크 부속품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압력계
  2. 수면계
  3. 안전밸브
  4. 보울탭
(정답률: 46%)
  • 압력탱크 부속품은 압력을 조절하거나 측정하는 역할을 합니다. 압력계는 압력을 측정하고, 수면계는 수위를 측정합니다. 안전밸브는 과압을 방지하고 안전을 유지합니다. 하지만 보울탭은 압력탱크와는 관련이 없는 부속품으로, 물을 배출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보울탭은 압력탱크 부속품에 속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최고 사용 압력 P = 76kg/cm2 의 배관에 SPPS- 38을 사용하는 경우 스케줄 번호는 얼마인가? (단, 인장강도는 38kg/mm2이고 안전율은 4이다.)

  1. 25
  2. 68
  3. 80
  4. 102
(정답률: 44%)
  • 안전율 = 인장강도 / 사용압력
    따라서, 스케줄 번호 = (안전율 x 사용압력) / 인장강도
    = (4 x 76) / 38
    = 8
    하지만, 스케줄 번호는 정수로 나와야 하므로, 가장 가까운 스케줄 번호인 80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