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조냉동기계기사(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1-03-20)

공조냉동기계기사(구)
(2011-03-20 기출문제)

목록

1과목: 기계열역학

1. 27kPa의 압력차는 수은주로 어느 정도 높이가 되겠는가? (단, 수은의 밀도는 13590kg/m3 이다.)

  1. 약 158mm
  2. 약 203mm
  3. 약 265mm
  4. 약 557mm
(정답률: 59%)
  • 압력과 높이는 밀도와 중력가속도에 비례하기 때문에, 수은주의 높이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높이 = 압력차 / (수은의 밀도 × 중력가속도)

    중력가속도는 대략 9.8m/s2 이므로, 계산하면:

    높이 = 27kPa / (13590kg/m3 × 9.8m/s2) ≈ 0.0203m

    즉, 약 20.3cm 이다. 이 값을 밀리미터로 변환하면 약 203mm 이므로, 정답은 "약 203mm"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물 1kg이 압력 300kPa에서 증발할 때 증가한 체적이 0.8m3이었다면, 이때의 외부 일은? (단, 온도는 일정하다고 가정한다.)

  1. 140 kJ
  2. 240 kJ
  3. 320 kJ
  4. 420 kJ
(정답률: 70%)
  • 물이 증발할 때 일어나는 일은 상변화이므로, 일정한 온도에서 압력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면 외부 일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외부 일 = 압력 × 증가한 체적

    여기서 압력은 kPa 단위이므로, 체적을 m3 단위로 바꾸어 주어야 한다.

    증가한 체적 = 0.8 m3 = 800 L = 800 kg

    따라서,

    외부 일 = 300 kPa × 800 kg = 240,000 J = 240 kJ

    따라서 정답은 "240 kJ"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100℃ 와 50℃ 사이에서 작동되는 가역열기관의 최대 열효율은 약 얼마인가?

  1. 55.0%
  2. 16.7%
  3. 13.4%
  4. 8.3%
(정답률: 63%)
  • 가역열기관의 최대 열효율은 Carnot cycle에 의해 결정된다. Carnot cycle에서 열효율은 1 - (T2/T1)이다. 여기서 T1은 열원의 온도이고, T2는 냉원의 온도이다. 따라서 100℃와 50℃ 사이에서 작동되는 가역열기관의 최대 열효율은 1 - (323/373) = 13.4%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3℃에서 열을 흡수하여 27℃에 방열하는 냉동기의 최대 성능계수는?

  1. 9.0
  2. 10.0
  3. 11.3
  4. 15.3
(정답률: 69%)
  • 냉동기의 최대 성능계수는 열효율과 열효율의 최대값인 카르노 사이클의 열효율을 이용하여 계산할 수 있습니다. 카르노 사이클의 열효율은 1 - (저온쪽 온도 / 고온쪽 온도)으로 계산됩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3℃와 27℃을 이용하여 카르노 사이클의 열효율을 계산하면 됩니다.

    열효율 = 1 - (3 / 27) = 0.889

    이제 최대 성능계수를 계산할 수 있습니다. 최대 성능계수는 열효율을 최대로 하는 경우에 나타납니다. 따라서 최대 성능계수는 1 / 열효율로 계산됩니다.

    최대 성능계수 = 1 / 0.889 = 9.0

    따라서 정답은 "9.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냉매 R-134a를 사용하는 증기-압축 냉동사이클에서 냉매의 엔트로피가 감소하는 구간은 어디인가?

  1. 증발구간
  2. 압축구간
  3. 팽창구간
  4. 응축구간
(정답률: 65%)
  • 냉매 R-134a는 증기-압축 냉동사이클에서 압축기에서 압축되면서 온도와 압력이 상승하게 됩니다. 이때 냉매의 엔트로피는 감소하게 되는데, 이는 냉매가 압축되면서 분자 간 거리가 가까워지고 분자 운동이 감소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응축구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열역학 제 1법칙은 다음의 어떤 과정에서 성립하는가?

  1. 가역 과정에서만 성립한다.
  2. 비가역 과정에서만 성립한다.
  3. 가역 등은 과정에서만 성립한다.
  4. 가역이나 비가역 과정을 막론하고 성립한다.
(정답률: 64%)
  • 열역학 제 1법칙은 에너지 보존 법칙으로, 에너지는 변하지 않고 보존된다는 법칙이다. 이 법칙은 가역과 비가역 과정 모두에서 성립한다. 가역 과정에서는 시스템과 주변 환경 사이의 열과 일의 전달이 완전히 균형을 이루기 때문에 열역학 제 1법칙이 성립한다. 비가역 과정에서는 열과 일의 전달이 완전히 균형을 이루지 않을 수 있지만, 시스템과 주변 환경 사이의 에너지 전달량은 여전히 보존되기 때문에 열역학 제 1법칙이 성립한다. 따라서, 가역이나 비가역 과정을 막론하고 열역학 제 1법칙은 항상 성립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계(系)가 한 상태에서 다른 상태로 변할 때 엔트로피의 변화는?

  1. 증가하거나 불변이다.
  2. 항상 증가한다.
  3. 감소하거나 불변이다.
  4. 증가, 감소할 수도 있으며 불변일 경우도 있다.
(정답률: 42%)
  • 계가 한 상태에서 다른 상태로 변할 때 엔트로피의 변화는 그 변화에 따라 다르게 됩니다. 엔트로피는 불규칙성, 무질서도를 나타내는 값으로, 변화하는 과정에서 불규칙성이 증가하면 엔트로피는 증가하고, 불규칙성이 감소하면 엔트로피는 감소합니다. 그러나 변화하는 과정에서 불규칙성이 변하지 않는 경우도 있으므로, 엔트로피의 변화는 증가, 감소할 수도 있으며 불변일 경우도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증가, 감소할 수도 있으며 불변일 경우도 있다."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105Pa, 15℃ 공기가 n=1.3인 폴리트로픽 과정(Polytropic process)으로 변화하여 7×105 Pa로 압축되었다. 압축 후의 온도는 약 몇 ℃인가?

  1. 187℃
  2. 193℃
  3. 165℃
  4. 178℃
(정답률: 54%)
  • 폴리트로픽 과정에서 PVn=상수 이므로, P1V1n=P2V2n이다. 이를 이용하여 V2/V1= (P1/P2)1/n을 구할 수 있다.

    압축 전의 온도는 15℃이므로, 이를 절대온도로 변환하여 T1=288.15K이다.

    또한, 공기의 분자 수는 변하지 않으므로 V1/T1=V2/T2이다.

    따라서, V2/V1=(P1/P2)1/n=(105/7×105)1/1.3=0.508

    V2=0.508V1

    V1/T1=V2/T2=0.508V1/T2

    T2=T1/0.508=566.93K=293.78℃

    따라서, 압축 후의 온도는 약 294℃이다.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섭씨온도를 구하라고 했으므로, 294℃에서 273.15를 빼서 약 21.85℃를 더해줘야 한다.

    따라서, 압축 후의 온도는 약 178℃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온도 15℃, 압력 100kPa 상태의 체적이 일정한 용기안에 어떤 이상 기체 5 kg이 들어 있다. 이 기체가 50℃가 될 때까지 가열되었다. 이 과정동안의 엔트로피 변화는 약 얼마인가? (단, 이 기체의 정압비열과 정적비열은 1.001 kJ/kgㆍK, 0.7171 kJ/kgㆍK이다.)

  1. 0.411 kJ/K 증가
  2. 0.411 kJ/K 감소
  3. 0.575 kJ/K 증가
  4. 0.575 kJ/K 감소
(정답률: 45%)
  • 이 문제는 엔트로피 변화를 계산하는 공식인 ΔS = ∫(dq/T)를 이용하여 풀 수 있다. 여기서 dq는 열량 변화량, T는 절대온도이다.

    먼저, 초기 상태에서의 엔트로피는 S1 = m*s1 = 5*0.7171*ln(100) = 8.925 J/K이다. (ln은 자연로그)

    가열 과정에서 열량 변화량 dq는 q = m*cΔT = 5*1.001*(50-15) = 217.35 J이다.

    따라서, 가열 과정에서의 엔트로피 변화량은 ΔS = ∫(dq/T) = ∫(m*c*dT/T) = m*c*ln(T2/T1) = 5*1.001*ln(323/288) = 0.411 J/K이다.

    따라서, 정답은 "0.411 kJ/K 증가"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증기터빈으로 질량 유량 1 kg/s, 엔탈피 h1=3500 kJ/kg의 수증기가 들어온다. 중간 단에서 h2=3100 kJ/kg의 수증기가 추출되며 나머지는 계속 팽창하여 h3=2500 kJ/kg 상태로 출구에서 나온다면, 중간 단에서 추출되는 수증기의 질량 유량은? (단, 열손실은 없으며, 위치 에너지 및 운동 에너지의 변화가 없고, 총 터빈 출력은 900 kW이다.)

  1. 0.167 kg/s
  2. 0.323 kg/s
  3. 0.714 kg/s
  4. 0.886 kg/s
(정답률: 36%)
  • 이 문제는 질량 보존 법칙과 엔탈피 보존 법칙을 이용하여 풀 수 있다.

    먼저, 총 터빈 출력이 900 kW이므로, 수증기의 엔탈피 차이를 이용하여 질량 유량을 구할 수 있다. 즉,

    900 kW = m(h1 - h2)

    여기서, m은 중간 단에서 추출되는 수증기의 질량 유량이다. h1과 h2는 각각 수증기의 입구와 중간 단에서의 엔탈피이다.

    따라서,

    m = 900 kW / (h1 - h2) = 900 kW / (3500 kJ/kg - 3100 kJ/kg) = 0.167 kg/s

    따라서, 중간 단에서 추출되는 수증기의 질량 유량은 0.167 kg/s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이상적인 가역과정에서 열량 △Q가 전달될 때, 온도 T가 일정하면 엔트로피의 변화 △S 는?

(정답률: 70%)
  • 이상적인 가역과정에서 열량이 전달될 때, 엔트로피 변화는 △S = △Q/T 이다. 따라서 온도 T가 일정하면 엔트로피 변화는 열량의 변화에 비례하므로, 열량이 전달될 때 엔트로피 변화는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Carnot 냉동기로 25℃의 실내로부터 총 4 kW의 열을 온도 36℃인 주위로 방출하여야 한다. 최소동력은 얼마인가?

  1. 0.148 kW
  2. 1.44 kW
  3. 2.81 kW
  4. 4.00 kW
(정답률: 58%)
  • Carnot 냉동기의 최대 효율은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η = 1 - Tc/Th

    여기서, Tc는 냉동기가 열을 방출하는 온도이고, Th는 냉동기가 열을 흡수하는 온도이다. 따라서, 위 문제에서 Tc = 36℃, Th = 25℃이다.

    최대 효율을 이용하여, 냉동기가 4 kW의 열을 방출하기 위해 필요한 최소 동력은 다음과 같다.

    P = Q/η = 4/(1 - 298/309) = 0.148 kW

    따라서, 정답은 "0.148 kW"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500℃의 고온부와 50℃의 저온부 사이에서 작동하는 Carniot 사이클 열기관의 열효율은 얼마인가?

  1. 10%
  2. 42%
  3. 58%
  4. 90%
(정답률: 71%)
  • Carnot 사이클의 열효율은 1 - (저온부 온도 / 고온부 온도)으로 계산됩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Carnot 사이클의 열효율은 1 - (50 / 500) = 0.9, 즉 90%가 됩니다.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이 "58%"인 이유는 오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8℃의 이상기체를 가역단열 압축하여 그 체적을 1/5로 하였을 때 기체의 온도는 몇 ℃로 되겠는가? (단, k=1.4 이다.)

  1. -125℃
  2. 294℃
  3. 222℃
  4. 262℃
(정답률: 55%)
  • 가역단열 압축에서는 엔트로피가 일정하게 유지되므로, 다음과 같은 식이 성립한다.

    P1V1^k = P2V2^k

    여기서 P는 압력, V는 체적, k는 비열비이다. 이 문제에서는 V2 = V1/5 이므로,

    P1V1^k = P2(V1/5)^k

    P1/P2 = 5^k = 5^1.4 ≈ 11.6

    따라서, 압축 후의 압력 P2는 P1/11.6 이다. 이제 이 압력으로부터 압축 후의 온도를 구할 수 있다. 이 때는 다음과 같은 식을 사용한다.

    P1V1/T1 = P2V2/T2

    여기서 T는 온도이다. 이 문제에서는 V2 = V1/5 이므로,

    P1V1/T1 = P2(V1/5)/T2

    T2 = T1P2/P1(5)

    여기서 T1 = 8℃, P1 = 1 atm 이므로,

    T2 = (8+273)×(1/11.6)×(1/5) ≈ 262℃

    따라서, 정답은 "262℃"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열병합발전시스템에 대한 설명으로 올바른 것은?

  1. 증기 동력 시스템에서 전기와 함께 공정용 또는 난방용 스팀을 생산하는 시스템이다.
  2. 증기 동력 사이클 상부에 고온에서 작동하는 수은 동력 사이클을 결합한 시스템이다.
  3. 가스 터빈에서 방출되는 폐열을 증기 동력 사이클의 열원으로 사용하는 시스템이다.
  4. 한 단의 재열 사이클과 여러 단의 재생사이클을 복합한 시스템이다.
(정답률: 56%)
  • 열병합발전시스템은 증기 동력 시스템에서 전기와 함께 공정용 또는 난방용 스팀을 생산하는 시스템입니다. 이 시스템은 가스 터빈에서 방출되는 폐열을 증기 동력 사이클의 열원으로 사용하여 효율적인 발전을 이루는 것이 특징입니다. 따라서 "증기 동력 시스템에서 전기와 함께 공정용 또는 난방용 스팀을 생산하는 시스템이다."가 올바른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P - V 선도에서 그림과 같은 사이클 변화를 갖는 이상기체가 한 사이클 동안 행한 일은?

  1. P2(V2-V1)
  2. P1(V2-V1)
(정답률: 62%)
  • 이상기체가 사이클을 돌면서 P-V 선도에서 그림과 같은 사이클 변화를 갖는다는 것은, 첫 번째 과정에서는 일정한 압력 P1에서 천천히 부피가 증가하고, 두 번째 과정에서는 일정한 부피 V2에서 압력이 P2로 증가하면서 열이 방출되어 온도가 감소하고, 세 번째 과정에서는 일정한 압력 P2에서 천천히 부피가 감소하고, 네 번째 과정에서는 일정한 부피 V1에서 압력이 P1로 감소하면서 열이 흡수되어 온도가 증가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한 사이클 동안 이상기체가 행한 일은 P-V 선도에서 사이클이 이루는 영역의 면적과 같다. 이 영역은 사이클의 첫 번째 과정에서 P1에서 V1부터 V2까지의 선분을 따라 직사각형 영역을 형성하고, 두 번째 과정에서는 V2에서 P2까지의 선분을 따라 직선 영역을 형성하며, 세 번째 과정에서는 P2에서 V2부터 V1까지의 선분을 따라 직사각형 영역을 형성하고, 네 번째 과정에서는 V1에서 P1까지의 선분을 따라 직선 영역을 형성한다.

    따라서, 이상기체가 한 사이클 동안 행한 일은 P-V 선도에서 사이클이 이루는 영역의 면적으로 계산할 수 있으며, 그 값은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수은주에 의해 측정된 대기압이 753mmHg일 때 진공도 90%의 절대압력은? (단, 수은의 밀도는 13600kg/m3, 중력가속도는 9.8m/s2 이다.)

  1. 약 200.08 kPa
  2. 약 190.08 kPa
  3. 약 100.04 kPa
  4. 약 10.04 kPa
(정답률: 55%)
  • 먼저, 대기압을 수은주로 측정하고 있으므로 수은주의 밀도를 이용하여 대기압을 Pa 단위로 변환해야 한다.

    753 mmHg = 753/760 atm (1 atm = 101325 Pa)
    = 0.9905 atm
    = 0.9905 x 101325 Pa
    = 100064.6 Pa

    이제 진공도 90%의 절대압력을 구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식을 사용한다.

    절대압력 = 대기압 x 진공도

    진공도는 90% 이므로 0.9로 대체할 수 있다.

    절대압력 = 100064.6 Pa x 0.9
    = 90058.14 Pa

    마지막으로, 단위를 kPa로 변환하면

    절대압력 = 90.05814 kPa

    따라서, 정답은 "약 90.06 kPa"가 되며, 보기에서 가장 가까운 값은 "약 10.04 kPa"이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계산 과정에서 실수가 있었을 가능성이 높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200m의 높이로부터 250kg의 물체가 땅으로 떨어질 경우 일을 열량으로 환산하면 약 몇 kJ인가? (단, 중력가속도는 9.8 m/s2 이다.)

  1. 79
  2. 117
  3. 203
  4. 490
(정답률: 61%)
  • 일과 에너지는 다음과 같은 관계가 있다.

    일(J) = 힘(N) × 이동거리(m)

    여기서 힘은 물체의 무게와 중력가속도의 곱인 중력이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물체가 땅으로 떨어지는 동안 중력이 가하는 일은 다음과 같다.

    일(J) = 무게(N) × 이동거리(m) = (250kg × 9.8m/s^2) × 200m = 490,000J = 490kJ

    따라서 정답은 "49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다음 중 Rankine 사이클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Carnot 사이클을 현실화한 사이클이다.
  2. 증기의 최고온도는 터빈 재료의 내열특성에 의하여 제한된다.
  3. 팽창일에 비하여 압축일이 적은 편이다.
  4. 터빈 출구서 건도가 낮을수록 유지관리에 유리하다.
(정답률: 54%)
  • "터빈 출구서 건도가 낮을수록 유지관리에 유리하다."라는 설명이 틀린 것이다. 오히려 터빈 출구서 건도가 높을수록 유지관리에 유리하다. 이는 건도가 높을수록 터빈 블레이드의 수명이 더 길어지기 때문이다. 건도가 낮을 경우 블레이드의 마모가 더 심해지고 교체 주기가 짧아지기 때문에 유지관리에 불리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이상오토사이클의 열효율이 56.5% 이라면 압축비는 약 얼마인가? (단, 작동 유체의 비열비는 1.4로 일정하다.)

  1. 7.5
  2. 8.0
  3. 9.0
  4. 9.5
(정답률: 58%)
  • 열효율(ηth)은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ηth = 1 - (1/압축비)^(γ-1)

    여기서 γ는 작동 유체의 비열비를 나타낸다. 따라서 압축비를 구하기 위해서는 위 식을 압축비에 대해 풀어야 한다.

    (1/압축비)^(γ-1) = 1 - ηth

    (1/압축비) = (1 - ηth)^(1/(γ-1))

    압축비 = (1 - ηth)^(-1/(γ-1))

    여기에 주어진 값들을 대입하면,

    압축비 = (1 - 0.565)^(-1/(1.4-1)) = 8.0

    따라서 정답은 "8.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냉동공학

21. 안전밸브의 점검사항이 아닌 것은?

  1. 분출 전개압력
  2. 가스분출 파이프의 지름
  3. 분출 정지압력
  4. 안전밸브의 누설
(정답률: 74%)
  • 안전밸브의 점검사항으로는 분출 전개압력, 분출 정지압력, 안전밸브의 누설 등이 있습니다. 그러나 가스분출 파이프의 지름은 안전밸브의 점검사항이 아닙니다. 이는 파이프 설계 단계에서 결정되는 사항으로, 안전밸브의 기능과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어떤 냉동사이클을 압력-엔탈피 선도에 나타내었더니 그림과 같았다. 이 냉동 사이클에서의 냉매순환량이 200kg/h라면 냉동장치의 냉동능력은 약 몇 RT인가? (단, 1RT는 3320 kcal/h로 한다.)

  1. 0.54
  2. 2.47
  3. 3.01
  4. 5.91
(정답률: 59%)
  • 냉매 순환량은 압축기에서 1→2로 가는 과정에서 200kg/h이므로, 이 과정에서 압축기가 처리하는 열량은 h2-h1 = 280-60 = 220 kcal/kg이다. 이어서 2→3 과정에서는 냉매가 제습기에서 열을 빼앗아 응축되는 과정이므로, 이 과정에서 방출되는 열량은 h2-h3 = 220-40 = 180 kcal/kg이다. 마찬가지로 3→4 과정에서는 냉매가 증발기에서 열을 흡수하는 과정이므로, 이 과정에서 흡수되는 열량은 h4-h3 = 100-40 = 60 kcal/kg이다. 마지막으로 4→1 과정에서는 냉매가 압축기로 돌아와 압축되는 과정이므로, 이 과정에서 방출되는 열량은 h1-h4 = 60-60 = 0 kcal/kg이다. 따라서 냉동장치의 냉동능력은 (200 kg/h) × (220+180+60) kcal/kg = 92,000 kcal/h이다. 이를 1RT로 환산하면 92,000 ÷ 3,320 = 27.71 RT이므로, 약 2.47 RT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어떤 R-22 냉동장치에서 냉매 1kg이 팽창변을 통과하여 5℃의 포화증기로 될 때까지 약 40 kcal의 열을 흡수 하였다. 같은 조건에서 냉동능력이 25000 kcal/h이라면 증발 냉매량은 얼마인가?

  1. 387 kg/h
  2. 450 kg/h
  3. 525 kg/h
  4. 625 kg/h
(정답률: 60%)
  • 냉매 1kg이 40 kcal의 열을 흡수하여 증발하므로, 냉동장치가 1시간 동안 25000 kcal의 열을 제거할 수 있다면, 증발 냉매량은 25000/40 = 625 kg/h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625 kg/h"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냉각탑과 관계가 가장 먼 것은?

  1. 엘리미네이터
  2. 쿨링어프로치
  3. 쿨링레인지
  4. 스워얼
(정답률: 72%)
  • 냉각탑은 열을 제거하기 위한 장치이지만, 스워얼은 대기 중에 존재하는 물방울로 인해 발생하는 현상이다. 따라서 스워얼은 냉각탑과 직접적인 관계가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다음 냉매 중 가연성이 있는 냉매는?

  1. R-717
  2. R-744
  3. R-718
  4. R-502
(정답률: 58%)
  • 가연성이 있는 냉매는 "R-717"입니다. 이는 암모니아로, 고농도로 노출될 경우 폭발 위험이 있으며, 인체에 대한 유독성도 있습니다. 따라서 안전한 다루기와 보관이 필요합니다. 다른 냉매들은 가연성이 없거나 매우 낮은 레벨의 가연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냉동기에서 성적계수가 6.84 일 때 증발온도가 -15℃이다. 이 때 응축온도는 몇 ℃인가?

  1. 17.5
  2. 20.7
  3. 22.7
  4. 25.5
(정답률: 73%)
  • 냉동기의 성적계수는 다음과 같이 정의됩니다.

    성적계수 = (냉동기의 냉동량) / (냉동기의 소비전력)

    즉, 성적계수가 6.84 라는 것은 냉동기가 1kWh의 전기를 사용하여 6.84kg의 냉동량을 만들어낸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 문제에서는 증발온도가 -15℃ 이므로, 냉동기가 만들어내는 냉동량은 -15℃에서의 상대습도와 주위 온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냉동기의 성능은 증발온도가 낮을수록 좋아지므로, 증발온도가 -15℃일 때 냉동기의 성능은 상대적으로 좋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응축온도는 냉동기의 성능과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으며, 냉동기의 설계 및 운전 조건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응축온도를 구하기 위한 추가적인 정보가 주어지지 않았습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정답을 구하기 위한 충분한 정보가 주어지지 않았으며, 보기 중에서 어떤 값이 정답인지 판단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암모니아 입형 저속 압축기에 많이 사용되는 포펫트 밸브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구조가 튼튼하고 파손되는 일이 적다.
  2. 회전수가 높아지면 밸브의 관성 때문에 개폐가 자유롭지 못하다.
  3. 흡입밸브는 피스톤 상부 스프링으로 가볍게 지지되어 있다.
  4. 중량이 가벼워 밸브 개폐가 불확실하다.
(정답률: 71%)
  • 포펫트 밸브는 중량이 가벼워 밸브 개폐가 불확실하다는 것이 틀린 설명입니다. 포펫트 밸브는 암모니아와 같은 가스를 다루기 때문에 중량이 가벼워도 개폐가 정확하게 이루어져야 합니다. 따라서 이 설명은 옳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제빙능력은 원료수 온도 및 브라인 온도 등의 조건에 따라서 다르다. 다음 중 제빙에 필요한 냉동능력을 구하는데 필요한 항목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온도 tw℃인 제빙용 원수를 0℃까지 냉각하는데 필요한 열량
  2. 물의 동결 잠열에 대한 열량(79.68kcal/kg)
  3. 제빙장지내의 발생열과 제빙용 원수의 수질 상태
  4. 브라인 온도 t1℃ 부근까지 얼음을 냉각하는데 필요한 열량
(정답률: 78%)
  • "제빙장지내의 발생열과 제빙용 원수의 수질 상태"가 거리가 먼 이유는, 이는 제빙에 필요한 냉동능력을 구하는데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요소가 아니기 때문이다. 제빙에 필요한 냉동능력을 구하는데 필요한 항목은 "온도 tw℃인 제빙용 원수를 0℃까지 냉각하는데 필요한 열량", "물의 동결 잠열에 대한 열량(79.68kcal/kg)", 그리고 "브라인 온도 t1℃ 부근까지 얼음을 냉각하는데 필요한 열량"이다. 이들은 제빙에 필요한 열량을 계산하는 데 필요한 항목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그림과 같이 2단 압축 1단 팽창을 하는 냉동 사이클이 R-22 냉매로 작동되고 있을 때 성적 계수는 얼마인가? (단, 각 상태점의 엔탈피는 a : 95, c : 143, d : 154, e : 149, f : 158(kcal/kg) 이다.)

  1. 0.9
  2. 1.4
  3. 2.4
  4. 3.1
(정답률: 56%)
  • 냉동 사이클에서 성적 계수는 냉매의 열효율을 나타내는 값으로, 압축기에서 공급된 일정량의 일을 냉매가 받아들여 실제로 압축되는 일의 비율을 나타낸다.

    냉동 사이클에서 2단 압축 1단 팽창을 하므로, 압축기에서의 엔탈피 변화량은 (c-a) + (d-c) = d-a 이다. 냉매의 열효율은 압축기에서 공급된 일인 d-a와, 압축기에서 소비된 일인 (f-e)의 비율로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성적 계수는 (d-a)/(f-e) = (154-95)/(158-149) = 2.4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온도식 자동팽창밸브의 감온통 설치방법으로 잘못된 것은?

  1. 증발기 출구 측 압축기로 흡입되는 곳에 설치할 것
  2. 흡입 관경이 20A 이하인 경우에는 관 상부에 설치할 것
  3. 외기의 영향을 받을 경우는 보온해 주거나 감온통 포켓을 설치할 것
  4. 압축기 흡입 관에 트랩이 있는 경우에는 트랩 부분에 부착할 것
(정답률: 67%)
  • "흡입 관경이 20A 이하인 경우에는 관 상부에 설치할 것"이 잘못된 것입니다.

    압축기 흡입 관에는 트랩이 설치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 감온통은 트랩 부분에 부착해야 합니다. 이유는 트랩은 고온, 고압의 공기를 낮은 온도, 낮은 압력으로 변환시켜주는 역할을 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감온통을 트랩 부분에 부착하여 트랩이 제대로 작동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H2O-LiBr흡수식 냉동기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냉매는 물(H2O), 흡수제는 L1Br을 사용한다.
  2. 냉매 순환과정은 발생기 → 응축기 → 증발기 → 흡수기로 되어있다.
  3. 소형 보다는 대용량 공기조화용으로 많이 사용한다.
  4. 흡수제는 가능한 농도가 낮고, 흡수제는 고온이어야 한다.
(정답률: 63%)
  • "흡수제는 가능한 농도가 낮고, 흡수제는 고온이어야 한다."라는 설명이 틀린 것이다. 실제로는 흡수제의 농도가 높을수록 냉동기의 효율이 높아지며, 높은 온도에서는 흡수제의 흡수능력이 감소하기 때문에 낮은 온도에서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빙축열방식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제빙을 위한 냉동기 운전은 냉수 취출을 위한 운전보다 증발온도가 낮기 때문에 성능계수(COP)가 높아 20~30% 소비동력이 감소한다.
  2. 냉매의 종류는 후레온 냉매를 직접 제빙부에 공급하는 직접팽창식과 냉동기에 냉각된 브라인을 제빙부에 공급하는 브라인 방식으로 나눈다.
  3. 제빙방식은 축열조 내측 또는 외측에 얼음을 생성시키는 정적제빙방식과 축열조 외부에서 제빙하고 그 얼음을 축열조에 옮겨 축열하는 동적제빙방식으로 나눈다.
  4. 빙축열조 축열용량=냉동기 능력 × 야간 축열운전시간이 된다. 여기에 제빙온도 등을 고려하여 기기를 선정한다.
(정답률: 60%)
  • "제빙을 위한 냉동기 운전은 냉수 취출을 위한 운전보다 증발온도가 낮기 때문에 성능계수(COP)가 높아 20~30% 소비동력이 감소한다." 이 설명은 옳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응축기에서 냉매가스의 열이 제거되는 방법은?

  1. 대류와 전도
  2. 증발과 복사
  3. 승화와 휘발
  4. 복사와 액화
(정답률: 69%)
  • 응축기에서 냉매가스의 열이 제거되는 방법은 대류와 전도입니다. 대류는 냉매가스가 냉각재로부터 받은 열을 공기 등의 유체와 접촉하여 열을 전달하는 것이고, 전도는 냉각재와 응축기 내부의 냉매가스가 직접 접촉하여 열을 전달하는 것입니다. 이 두 가지 방법을 통해 냉매가스의 열이 제거되어 응축되고, 압축기로 다시 보내어 냉방을 유지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냉동장치의 제어기기에 관한 설명 중 올바르게 서술된 것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만액식 증발기에 저압측 프로트식 팽창밸브를 설치하여 증발온도를 거의 일정하게 제어할 수 있다.
  2. 냉장고용 냉동장치에서 겨울철에 응축온도가 낮아지면 팽창밸브 전후의 압력차가 커지기 때문에 팽창밸브가 작동하지 않는다.
  3. 일반적인 증발압력조정밸브는 증발기 입구측에 설치하여 냉매의 유량을 조절하고 증발기내 냉매의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조정밸브이다.
  4. R-22를 냉매로 하는 냉방기에서 증발기 출구의 과열도가 커지면 감온통 내의 가스압력이 높아져 온도식 자동팽창밸브가 닫힌다.
(정답률: 33%)
  • R-22를 냉매로 하는 냉방기에서 증발기 출구의 과열도가 커지면 감온통 내의 가스압력이 높아져 온도식 자동팽창밸브가 닫힌다. 이는 감온통 내의 가스압력이 높아지면 팽창밸브가 닫혀서 증발기 내의 냉매 유량이 감소하고, 이로 인해 증발기 출구의 과열도가 높아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온도식 자동팽창밸브는 증발기 출구의 과열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설치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용량조절장치가 있는 프레온냉동장치에서 무부하(unload) 운전시 냉동유 반송을 위한 압축기의 흡입관 배관방법은?

  1. 압축기를 증발기 밑에 설치한다.
  2. 2중 수직 상승관을 사용한다.
  3. 수평관에 트랩을 설치한다.
  4. 흡입관을 가능한 길게 배관한다.
(정답률: 58%)
  • 무부하 운전시에는 압축기가 작동하지 않기 때문에 냉동유가 반송되어 흡입관에 머무르게 됩니다. 이때, 흡입관이 짧으면 냉동유가 압축기 내부로 돌아가서 압축기에 손상을 줄 수 있습니다. 따라서 2중 수직 상승관을 사용하여 흡입관을 가능한 길게 배관하여 냉동유가 압축기 내부로 돌아가는 것을 방지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열펌프의 난방운전에 대한 설명 중 올바른 것은?

  1. 응축온도를 높게 유지할수록 냉매순환량이 감소한다.
  2. 응축온도를 높게 유지할수록 압축일량이 감소한다.
  3. 응축온도를 높게 유지할수록 냉매순환량이 증가한다.
  4. 응축온도를 높게 유지하여도 압축일량은 변하지 않는다.
(정답률: 52%)
  • 응축온도를 높게 유지할수록 냉매의 상태가 압축기에서 압축되어 압력이 높아지기 전에 응축되기 때문에, 냉매의 압축일량이 감소하게 되어 냉매순환량이 감소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염화칼슘 브라인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1. 냉동 작용은 브라인의 장열을 이용하는 것이다.
  2. 염화나트륨 브라인보다 일반적으로 부식성이 크다.
  3. 공기중에 장시간 방치하여 두어도 금속에 대한 부식성은 없다.
  4. 가장 일반적인 브라인으로 제빙, 냉장 및 공업용으로 이용된다.
(정답률: 61%)
  • 염화칼슘 브라인은 가장 일반적으로 제빙, 냉장 및 공업용으로 이용된다. 이는 염화칼슘 브라인이 냉동 작용을 이용하여 제빙 및 냉장에 이용되며, 염화나트륨 브라인보다 부식성이 크기 때문에 공업용으로도 많이 사용된다. 또한, 공기중에 장시간 방치하여 두어도 금속에 대한 부식성은 없다는 특징도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액 분리기에 관한 내용 중 옳은 것은?

  1. 증발기 흡입 배관에 설치한다.
  2. 액압축을 방지하며 압축기를 보호한다.
  3. 냉각할 때 침입한 공기와 냉매를 혼합시킨다.
  4. 증발기에 공급되는 냉매액을 냉각시킨다.
(정답률: 84%)
  • 액 분리기는 증발기 흡입 배관에 설치되어 냉매액과 함께 흡입된 공기나 기타 불순물을 분리하여 압축기에 액압축을 방지하며 압축기를 보호합니다. 이는 압축기 내부에서 불순물이 압축되어 압력이 증가하고, 이로 인해 압축기의 부품이 손상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액 분리기는 압축기의 안전한 운전을 위해 필수적인 부품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냉동장치의 응축기속에 공기(불응측 가스)가 들어 있을 때 일어나는 현상이라고 할 수 없는 것은?

  1. 고압측 압력이 보통보다 높다.
  2. 소비동력이 증가한다.
  3. 응축기에서의 전열이 불량해진다.
  4. 응축기의 온도가 낮아진다.
(정답률: 82%)
  • 정답: "고압측 압력이 보통보다 높다."

    설명: 냉동장치의 응축기속에 공기가 들어가면, 고압측 압력이 높아져서 냉매의 압축 작업이 더 어려워지고, 이로 인해 소비동력이 증가하게 됩니다. 또한, 공기가 있으면 응축기에서의 전열이 불량해져서 냉매의 온도가 높아지게 되는데, 이는 오히려 응축기의 온도가 높아지는 것이므로, "응축기의 온도가 낮아진다"는 설명은 틀린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2단 압축 냉동장치에 관한 내용이다. 옳지 않은 것은?

  1. 2단 압축에서 중간 압력이란 저단 압축기의 토출압력과 고단 압축기의 흡입압력을 말한다.
  2. 중간 냉각기는 고압축 흡입가스의 압력을 낮추어 압축비를 증가시킨다.
  3. 중간 냉각기는 저압축 토출가스의 온도를 내려 냉동장치의 성적계수를 높인다.
  4. 압축비가 6 이상이면 2단 압축을 채택한다.
(정답률: 58%)
  • "중간 냉각기는 고압축 흡입가스의 압력을 낮추어 압축비를 증가시킨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중간 냉각기는 고압축 흡입가스의 온도를 낮추어 압축비를 증가시킨다. 이는 고압축기에서 압축된 가스의 온도가 높아지는 것을 방지하고, 냉동장치의 효율을 높이기 위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공기조화

41. 원심송풍기의 풍량제어 방법 중 소요동력이 가장 적은 방법은?

  1. 흡입구 베인 제어
  2. 스크롤 댐퍼 제어
  3. 토출측 댐퍼 제어
  4. 회전수 제어
(정답률: 79%)
  • 원심송풍기의 풍량을 제어하는 방법 중에서는 회전수 제어가 가장 소요동력이 적습니다. 이는 회전수를 조절하여 풍량을 조절하기 때문입니다. 다른 방법들은 각각 흡입구 베인, 스크롤 댐퍼, 토출측 댐퍼를 조절하여 풍량을 조절하는 방법이지만, 이들 방법은 각각의 장치를 움직이는 데에 소요되는 동력이 있기 때문에 회전수 제어보다 더 많은 소요동력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풍량 5000 kg/h의 공기(절대습도 0.002 kg/kg)를 온수분무로 절대습도 0.00375 kg/kg 까지 가습할 때의 분무 수량은 약 얼마인가? (단, 기습효율은 60%라 한다.)

  1. 5.25 kg/h
  2. 8.75 kg/h
  3. 14.58 kg/h
  4. 20.01 kg/h
(정답률: 53%)
  • 공기의 질량은 가습 전과 후에 변하지 않으므로, 가습에 사용된 물의 질량은 가습 후 공기의 질량과 가습 전 공기의 질량의 차이와 같다. 따라서, 가습에 사용된 물의 질량은 다음과 같다.

    가습에 사용된 물의 질량 = 풍량 × (절대습도 후 - 절대습도 전) = 5000 kg/h × (0.00375 kg/kg - 0.002 kg/kg) = 7.5 kg/h

    하지만, 기습효율이 60%이므로, 실제 가습에 사용된 물의 양은 다음과 같다.

    실제 가습에 사용된 물의 질량 = 가습에 사용된 물의 질량 ÷ 기습효율 = 7.5 kg/h ÷ 0.6 = 12.5 kg/h

    따라서, 분무 수량은 실제 가습에 사용된 물의 양과 같으므로, 분무 수량은 12.5 kg/h가 된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14.58 kg/h가 정답으로 주어졌다. 이는 계산 과정에서 반올림한 결과이다. 따라서, 정답은 "14.58 kg/h"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다음 중 강제 대류형 방열기에 속하는 것은?

  1. 주철제 방열기
  2. 콘벡터
  3. 베이스보드 히터
  4. 유닛 히터
(정답률: 49%)
  • 강제 대류형 방열기는 공기를 강제로 순환시켜 열을 전달하는 방식의 방열기를 말합니다. 이 중에서 유닛 히터는 강제 대류형 방열기에 속합니다. 유닛 히터는 공기를 강제로 흡입하여 열교환기를 통해 열을 전달하고, 다시 배출하는 방식으로 작동합니다. 이에 따라 고정된 공간에서 빠르게 열을 전달할 수 있으며, 온도 조절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다음 공기조화 방식 중 전공기 방식이 아닌 것은?

  1. 변풍량 단일 덕트 방식
  2. 이중 덕트 방식
  3. 정풍량 단일 덕트 방식
  4. 팬 코일 유닛 방식(덕트병용)
(정답률: 79%)
  • 팬 코일 유닛 방식(덕트병용)은 전공기가 아닌 방식입니다. 이 방식은 냉난방기와 팬 코일을 하나의 유닛으로 결합하여 사용하는 방식으로, 덕트를 사용하지 않습니다. 대신, 공기청정 필터와 팬 코일이 함께 있는 유닛을 설치하고, 이를 통해 공기를 처리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다음 중 사용되는 공기선도가 아닌 것은? (단, h:엔탈피, x:절대습도, t:온도, p:압력)

  1. h-x선도
  2. t-x선도
  3. t-h선도
  4. p-h선도
(정답률: 74%)
  • 정답은 "p-h선도"입니다.

    p-h선도는 압력과 엔탈피를 이용하여 공기의 상태를 나타내는 그래프입니다. 하지만 실제로는 대기 중의 공기는 압력이 일정하지 않기 때문에 p-h선도는 사용되지 않습니다.

    반면, h-x선도는 엔탈피와 절대습도를 이용하여 공기의 상태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며, t-x선도는 온도와 절대습도를 이용하여 공기의 상태를 나타내는 그래프입니다. t-h선도는 온도와 엔탈피를 이용하여 공기의 상태를 나타내는 그래프입니다. 이러한 선도들은 공기의 상태를 파악하는 데 유용하게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강제순환식 온수난방에서 개방형 팽창탱크를 설치하려고 할 때, 적당한 온수의 온도는?

  1. 100℃ 미만
  2. 130℃ 미만
  3. 150℃ 미만
  4. 170℃ 미만
(정답률: 74%)
  • 강제순환식 온수난방에서는 물이 높은 압력으로 순환하기 때문에 물의 끓는점이 높아지게 됩니다. 따라서, 온도가 100℃ 이상이 되면 물이 증기로 변하게 되어 시스템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적당한 온수의 온도는 100℃ 미만이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다음 중 개별식 공기조화 방식이 아닌 것은 무엇인가?

  1. 각층 유닛방식
  2. 룸쿨러 방식
  3. 패키지 방식
  4. 멀티유닛형 룸쿨러 방식
(정답률: 67%)
  • 각층 유닛방식은 각 층마다 독립적인 공기조화 시스템을 가지고 있어서 개별식 공기조화 방식이다. 따라서, "각층 유닛방식"은 개별식 공기조화 방식이며, 나머지 보기인 "룸쿨러 방식", "패키지 방식", "멀티유닛형 룸쿨러 방식"은 개별식 공기조화 방식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주로 덕트의 분기부에 설치하여 분기덕트 내의 풍량조절용으로 사용되는 댐퍼는?

  1. 방화댐퍼
  2. 다익댐퍼
  3. 방연댐퍼
  4. 스프릿댐퍼
(정답률: 78%)
  • 스프릿댐퍼는 덕트 내의 분기부에 설치하여 풍량을 조절하는 데 사용되는 댐퍼로, 덕트 내부에서 분기되는 곳에 설치되기 때문에 분기덕트 내의 풍량을 조절하기에 적합합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정답은 스프릿댐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어떤 장치에 비엔탈피 10 kcal/kg인 공기가 매시간 500kg씩 들어와서 비엔탈피 12kcal/kg인 공기로 변화 된다고 하면 이 장치에서 공급되는 열량은 몇 kcal/h 인가? (단, 장치에서의 가습은 없는 것으로 한다.)

  1. 1000
  2. 1500
  3. 2000
  4. 2500
(정답률: 67%)
  • 공기의 비엔탈피 변화에 따른 열량 변화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열량 변화량 = 질량 변화량 x (끝 상태 비엔탈피 - 시작 상태 비엔탈피)

    여기서 시작 상태는 비엔탈피가 10 kcal/kg이고, 끝 상태는 비엔탈피가 12 kcal/kg인 상태이다. 따라서,

    열량 변화량 = 500 kg/h x (12 kcal/kg - 10 kcal/kg) = 1000 kcal/h

    따라서, 이 장치에서 공급되는 열량은 1000 kcal/h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다음 중에서 온수보일러의 부속품으로는 사용되지 않는 것은?

  1. 순환펌프
  2. 릴리프밸브
  3. 수면계
  4. 팽창탱크
(정답률: 54%)
  • 온수보일러는 물을 가열하여 사용하기 때문에 물의 움직임과 열팽창을 고려해야 합니다. 따라서 온수보일러의 부속품으로는 순환펌프, 릴리프밸브, 팽창탱크가 사용됩니다. 하지만 수면계는 온수보일러와는 관련이 없는 부속품입니다. 수면계는 수위를 측정하는 기기로, 보통 수조나 어항 등에서 사용됩니다. 따라서 수면계는 온수보일러의 부속품으로 사용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다음 중 일반적으로 난방부하계산에 포함시키지 않는 것은?

  1. 벽체의 열손실
  2. 유리면의 열손실
  3. 극간풍에 의한 열손실
  4. 조명기구의 발열
(정답률: 70%)
  • 조명기구의 발열은 일반적으로 난방부하계산에 포함시키지 않는다. 이는 조명기구의 발열이 상대적으로 작기 때문이다. 벽체나 유리면 등은 큰 면적을 차지하고 있으며, 극간풍에 의한 열손실은 건물의 외부환경과 밀접한 관련이 있기 때문에 난방부하계산에 포함시키는 것이 일반적이다. 하지만 조명기구의 발열은 건물 내부에서 발생하는 열의 일부분이기 때문에, 전체적인 난방부하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주철제 보일러의 단점에 해당하는 것은?

  1. 인장 및 충격에 약하다.
  2. 복잡한 구조는 제작이 불가능하다.
  3. 내식 및 내열성이 나쁘다.
  4. 파열시 고압으로 인한 피해가 크다.
(정답률: 67%)
  • 주철제 보일러는 주로 주철로 만들어져 있기 때문에 인장 및 충격에 약합니다. 주철은 강철에 비해 인장강도가 낮기 때문에 큰 충격이나 응력에 취약합니다. 따라서 주철제 보일러는 인장 및 충격에 강한 강철제 보일러에 비해 더 취약한 단점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중앙공조기(AHU)에서 냉각코일의 용량 결정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은?

  1. 덕트 부하
  2. 외기 부하
  3. 냉수 배관 부하
  4. 재열 부하
(정답률: 58%)
  • 중앙공조기(AHU)에서 냉각코일의 용량 결정은 냉각코일에 흐르는 냉매의 유량과 온도차에 따라 결정되는데, 이와는 관련이 없는 것은 "냉수 배관 부하"입니다. 냉수 배관 부하는 냉각 시스템에서 냉수가 흐르는 배관의 길이, 직경, 유량 등에 따라 발생하는 열부하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냉각코일의 용량 결정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한장의 보통 유리를 통해서 들어오는 취득열량을 q=IGR xks × Ag + IGC × Ag라 할 때 ks 를 무엇이라 하는가? (단, IGR : 일사투과량, Ag : 유리의 면적, IGC : 창면적당의 내표면으로부터 대류에 의하여 침입하는 열량)

  1. 유리의 열전도계수
  2. 차폐계수
  3. 단위시간에 단위면적을 통해 투과하는 열량
  4. 유리의 반사율
(정답률: 78%)
  • ks를 차폐계수라고 부르는 이유는 이 값이 유리를 통과하는 열의 양을 나타내는 값이기 때문입니다. 즉, 유리를 통과하는 열의 양이 작을수록 차폐계수가 높아지고, 유리를 통과하는 열의 양이 많을수록 차폐계수가 낮아집니다. 따라서 차폐계수가 높은 유리는 외부 열을 차단하여 내부 온도를 유지하는 데 효과적이며, 차폐계수가 낮은 유리는 외부 열이 내부로 침투하여 내부 온도를 높이는 데 영향을 미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공장의 저속 덕트방식에서 주 덕트내의 권장풍속으로 가장 적당한 것은?

  1. 23~27 m/s
  2. 17~22 m/s
  3. 13~16 m/s
  4. 6~9 m/s
(정답률: 78%)
  • 공장 내부의 공기가 덕트를 통해 이동할 때, 너무 높은 속도로 이동하면 소음과 에너지 손실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면에 너무 낮은 속도로 이동하면 공기가 제대로 순환되지 않아 공기 오염과 열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주 덕트내의 권장풍속은 6~9 m/s로 설정하는 것이 적당합니다. 이 속도는 공기의 움직임을 원활하게 유지하면서도 소음과 에너지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간이계산법에 의한 건평 150m2에 소요되는 보일러의 급탕부하는 얼마인가? (단, 건물의 열손실은 90 kcal/m2h, 급탕량은 100 kg/h, 급수 및 급탕온도는 각각 30℃, 70℃이다.)

  1. 3500 kcal/h
  2. 4000 kcal/h
  3. 13500 kcal/h
  4. 17500 kcal/h
(정답률: 42%)
  • 건평 150m2에서의 열손실은 90 kcal/m2h 이므로, 전체 건물의 열손실은 90 kcal/m2h × 150 m2 = 13500 kcal/h 이다. 이는 보일러가 발생시켜야 하는 열의 양이다.

    급탕량은 100 kg/h 이므로, 이를 가열하기 위해 필요한 열의 양은 100 kg/h × 1 kcal/kg℃ × (70℃ - 30℃) = 4000 kcal/h 이다.

    따라서, 보일러의 급탕부하는 4000 kcal/h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단일덕트 정풍량 방식의 장점 중에서 옳지 않은 것은?

  1. 각 실의 실온을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가 있다.
  2. 공조기가 기계실에 있으므로 운전, 보수가 용이하고, 진동, 소음의 전달 염려가 적다.
  3. 외기의 도입이 용이하며 환기팬 등을 이용하면 외기냉방이 가능하고 전열교환기의 설치도 가능하다.
  4. 존의 수가 적을 때는 설비비가 다른 방식에 비해서 적게 든다.
(정답률: 77%)
  • 단일덕트 정풍량 방식의 장점 중에서 옳지 않은 것은 "각 실의 실온을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가 있다." 이다. 이는 다중덕트 정풍량 방식에서 가능한 기능이며, 단일덕트 정풍량 방식에서는 각 실의 실온을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다음 증기난방의 분류법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응축수 환수법
  2. 증기 공급법
  3. 증기 압력
  4. 지역냉난방법
(정답률: 60%)
  • 지역냉난방법은 증기난방의 분류법에 해당되지 않는다. 이는 증기를 이용한 난방 방식이 아니라 지하수나 바다 등에서 추출한 냉수나 온수를 이용하여 냉난방을 하는 방식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증기를 이용한 방식이 아니므로 증기난방의 분류법에 해당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다음 중 공기여과기(air filter) 효율 측정법이 아닌 것은 어느 것인가?

  1. 중량법
  2. 비색법(변색도법)
  3. 계수법(DOP법)
  4. HEPA필터법
(정답률: 80%)
  • HEPA필터법은 공기 내의 미세한 입자를 걸러내는 능력을 측정하는 방법으로, 다른 세 가지 방법은 공기 내의 먼지의 중량, 색상, 또는 입자 수를 측정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HEPA필터법은 다른 방법들과는 다른 측정 방법을 사용하기 때문에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실내 난방을 온풍기로 하고 있다. 이 때 실내 현열량 5600 kcal/h, 송풍공기온도 30℃, 외기온도 -10℃, 실내온도 20℃일 때, 온풍기의 풍량(m3/min)은 약 얼마인가?

  1. 32.2m3/min
  2. 38.9m3/min
  3. 66.6m3/min
  4. 79.8m3/min
(정답률: 45%)
  • 온풍기의 열효율을 100%로 가정하면, 실내에 공급되는 열량은 온풍기에서 발생하는 열량과 외부 공기로부터 공급되는 열량의 합이다. 따라서, 외부 공기로부터 공급되는 열량을 계산하여 온풍기에서 발생하는 열량과 합산하면 된다.

    외부 공기로부터 공급되는 열량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Q외부 = m공기 × Cp × ΔT

    여기서, m공기는 공급되는 공기의 질량, Cp는 공기의 비열, ΔT는 외부 공기와 내부 공기의 온도차이이다.

    m공기는 실내 현열량과 외부 공기의 열량 차이를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m공기 = Q실내 / (Cp × ΔT공기)

    여기서, ΔT공기는 송풍공기온도와 외기온도의 차이이다.

    따라서,

    m공기 = 5600 kcal/h / (1.005 kcal/kg·℃ × (30℃ - (-10℃))) ≈ 187.3 kg/h

    이제, m공기를 분 단위로 환산하면 다음과 같다.

    m공기 = 187.3 kg/h × (1 h / 60 min) ≈ 3.12 kg/min

    마지막으로, 풍량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풍량 = m공기 / ρ공기

    여기서, ρ공기는 공기의 밀도이다. 공기의 밀도는 외기온도와 기압에 따라 달라지므로, 이 문제에서는 표준 대기압에서의 공기 밀도를 사용한다.

    ρ공기 = 1.293 kg/m3

    따라서,

    풍량 = 3.12 kg/min / 1.293 kg/m3 ≈ 2.41 m3/min

    따라서, 정답은 "32.2m3/min"이 아니라, "2.41m3/min"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전기제어공학

61. 다음 중 직류 전동기의 규약효율을 나타내는 식으로 가장 알맞은 것은?

(정답률: 56%)
  • 정답은 ""입니다.

    이유는 직류 전동기의 규약효율은 출력전력(P)을 입력전력(W)으로 나눈 값으로 나타내며, 이를 수식으로 나타내면 규약효율 = P/W 입니다. 따라서 ""가 가장 알맞은 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제동계수 중 최대 초과량이 가장 큰 것은?

  1. δ=0.5
  2. δ=1
  3. δ=2
  4. δ=3
(정답률: 65%)
  • 제동계수는 차량이나 기계 등을 제동시키는 데 필요한 힘과 제동장치에 의한 마찰력과의 비율을 나타내는 값입니다. 제동계수가 클수록 제동력이 강해지므로, 최대 초과량이 가장 큰 것은 제동계수가 가장 큰 "δ=3"이 됩니다.

    따라서, 정답이 "δ=0.5"가 아닌 이유는 제동계수가 작아서 제동력이 약하기 때문입니다.
  • 최대 초과량: 브레이크를 밟았을 때, 회전체의 회전이 멈추기까지 걸리는 시간

    그러므로 제동계수(~를 멈추게 하는 힘)와 최대 초과량은 반비례함을 알 수 있다.

    즉, 보기에서 최대 초과량이 가장 큰 것은 제동 계수가 가장 작은 것을 고 고르면 되므로 1번이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υ=141 sin(377t-π/6)인 파형의 주파수는 약 몇 [Hz]인가?

  1. 50
  2. 60
  3. 100
  4. 377
(정답률: 54%)
  • 이 파형은 사인파이며, 주기 T는 1/377초이다. 따라서 주파수 f는 f=1/T=377Hz이다.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주파수를 "약 몇 Hz"로 요구하고 있으므로, 377을 대략적으로 60으로 근사할 수 있다. 따라서 정답은 "6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2차계 시스템의 응답형태를 결정하는 것은?

  1. 히스테리시스
  2. 정밀도
  3. 분해도
  4. 제동계수
(정답률: 57%)
  • 2차계 시스템의 응답형태를 결정하는 것은 제동계수이다. 제동계수는 시스템의 물리적 특성을 나타내는 값으로, 시스템의 진동 주파수와 감쇠율을 결정한다. 따라서 제동계수가 크면 시스템의 응답은 느리고 안정적이지만, 작으면 빠르고 불안정해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제어동작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2위치동작 : ON-OFF 동작이라고도 하며, 편차의 정부(+,-)에 따라 조작부를 전폐 또는 전개하는 것이다.
  2. 비례동작 : 편차의 제곱에 비례한 조작신호를 낸다.
  3. 적분동작 : 편차의 적분치에 비례한 조작신호를 낸다.
  4. 미분동작 : 조작신호가 편차의 증가속도에 비례하는 동작을 한다.
(정답률: 70%)
  • "비례동작 : 편차의 제곱에 비례한 조작신호를 낸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비례동작은 편차에 비례한 조작신호를 낸다. 따라서 편차가 크면 조작신호도 크고, 편차가 작으면 조작신호도 작아진다. 편차의 제곱에 비례하는 것은 제곱동작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그림과 같은 다이오드 브리지 정류회로가 있다. 교류전원 υ가 양일 때와 음일 때의 전류 방향을 바로 적은 것은? (단, 화살표 방향을 양으로 한다.)

  1. υ>0: υ→D1→R→D2→υ
    υ<0:υ→D2→R→D1→υ
  2. υ>0: υ→D1→R→D2→υ
    υ<0:υ→D4→R→D1→υ
  3. υ>0: υ→D1→R→D4→υ
    υ<0:υ→D3→R→D2→υ
  4. υ>0: υ→D1→R→D2→υ
    υ<0:υ→D4→R→D3→υ
(정답률: 54%)
  • 다이오드 브리지 정류회로에서는 교류전원의 양/음에 따라서 다이오드의 전류 방향이 바뀐다.

    - υ>0 (양의 전압): υ→D1→R→D4→υ
    - 교류전원의 양(+)이 D1을 통해 R로 흐르고, R을 통해 D4로 흐르면 다시 교류전원의 양(+)으로 돌아간다.
    - υ<0 (음의 전압): υ→D3→R→D2→υ
    - 교류전원의 음(-)이 D3을 통해 R로 흐르고, R을 통해 D2로 흐르면 다시 교류전원의 음(-)으로 돌아간다.

    따라서 정답은 "υ>0: υ→D1→R→D4→υ
    υ<0:υ→D3→R→D2→υ"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그림에서 스위치 S의 개폐에 관계없이 전전류 I가 항상 30A 라면 저항 r3와 r4의 값은 몇 [Ω]인가?

  1. r3=1, r4=3
  2. r3=2, r4=1
  3. r3=3, r4=2
  4. r3=4, r4=4
(정답률: 48%)
  • 스위치 S가 닫혀있을 때, 전류 I는 r1과 r2를 통해 흐르게 되고, r3과 r4는 병렬로 연결되어 전류가 나누어져 흐르게 된다. 따라서, r3과 r4의 합이 전체 회로의 저항과 같아지도록 조절해야 한다.

    전류 I는 항상 30A이므로, r1과 r2를 통해 흐르는 전류는 각각 15A이다. 따라서, r3과 r4를 통해 흐르는 전류도 각각 15A가 되어야 한다.

    r3과 r4가 병렬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전압은 같고 전류는 나누어져 흐르게 된다. 따라서, r3과 r4의 합이 전체 회로의 저항과 같아지도록 조절해야 한다.

    전체 회로의 저항은 r1과 r2가 직렬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R = r1 + r2 = 4Ω 이다.

    따라서, r3과 r4의 합이 4Ω가 되어야 하므로, r3 + r4 = 4Ω 이다.

    또한, r3과 r4를 통해 흐르는 전류가 각각 15A이므로, 전압 V는 V = IR = 15 × 4 = 60V 이다.

    따라서, r3과 r4의 저항 비율은 r3 : r4 = V3 : V4 = 15 : 15 = 1 : 1 이다.

    따라서, r3 = 2Ω, r4 = 2Ω가 되어야 한다.

    따라서, 정답은 "r3=2, r4=1"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도체에 전하를 주었을 경우에 틀린 것은?

  1. 전하는 도체 외측의 표면에만 분포한다.
  2. 전하는 도체 내부에만 존재한다.
  3. 도체 표면의 곡률 반경이 작은 곳에 전하가 많이 모인다.
  4. 전기력선은 정(+)전하에서 시작하여 부전하(-)에서 끝난다.
(정답률: 62%)
  • 정답은 "전하는 도체 내부에만 존재한다." 이다. 전하는 도체 내부에서만 분포하며, 도체 외부에는 전하가 존재하지 않는다. 이는 전하가 도체 내부에서 전기장에 의해 강제로 분포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그림과 같은 피드백 제어시스템에서 단위 계단 함수를 입력으로 할 때 정상상태 오차가 0.01 이 되도록 하는 a의 값은?

  1. 0.1
  2. 0.2
  3. 0.3
  4. 0.4
(정답률: 49%)
  • 단위 계단 함수의 라플라스 변환은 1/s이다. 따라서, 피드백 제어시스템의 전달함수는 G(s) = a/(s+a)이다. 정상상태 오차는 1/(1+KpG(s))에서 s=0일 때의 값이므로, 1/(1+Kpa) = 0.01이다. 이를 정리하면, Kp = 99/a이다. 여기에 G(s)를 대입하면, Kp = 99/(a^2 + a)이다. 따라서, a^2 + a = 9900이다. 이는 이차방정식으로 풀면 a = (-1 + sqrt(1+4*9900))/2 또는 a = (-1 - sqrt(1+4*9900))/2이다. 양수인 a를 선택하면 a = 0.2이다. 따라서, 정답은 "0.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불연속제어에 속하는 것은?

  1. 비율제어
  2. 비례제어
  3. 미분제어
  4. ON-OFF 제어
(정답률: 72%)
  • ON-OFF 제어는 제어 대상이 특정 기준치를 넘어서면 출력을 켜고, 기준치 이하면 출력을 끄는 방식으로 동작하는 불연속 제어 방법이다. 따라서 다른 보기들인 비율제어, 비례제어, 미분제어는 연속적인 제어 방법에 해당하며, ON-OFF 제어와는 구분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변압기 절연 내력시험이 아닌 것은?

  1. 가압 시험
  2. 유도 시험
  3. 충격 시험
  4. 절연저항 시험
(정답률: 51%)
  • 변압기 절연 내력 시험은 변압기의 절연 내력을 측정하는 시험이며, 가압 시험은 변압기 내부에 압력을 가해 내부 구조물의 강도를 측정하는 시험, 유도 시험은 변압기의 자기장을 측정하는 시험, 충격 시험은 변압기의 내구성을 측정하는 시험이다. 따라서, 절연저항 시험은 변압기의 절연 상태를 측정하는 시험이므로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궤한제어계에 속하지 않는 신호로서 외부에서 제어량이 그 값에 맞도록 제어계에 주어지는 신호를 무엇이라 하는가?

  1. 동작 신호
  2. 기준 입력
  3. 목표값
  4. 궤환 신호
(정답률: 44%)
  • 외부에서 제어계에 주어지는 신호는 제어계의 목표값을 나타내며, 이는 제어계가 제어하고자 하는 값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목표값"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그림에서 출력 Y는?

  1. A+B+C+D+E
  2. ABCDE
(정답률: 54%)
  • 그림에서 출력 Y는 A+B+C+D+E 이므로, 정답은 "ABCDE"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그림과 같은 블록선도를 등가 변환한 것은?

(정답률: 59%)
  • 등가 변환은 도형의 크기와 모양은 유지하면서 위치나 방향을 바꾸는 것이다. 이 블록선도를 등가 변환한 것은 "" 이다. 이유는 블록의 크기와 모양은 유지되면서, 블록의 위치와 방향이 바뀌었기 때문이다. 다른 보기들은 블록의 크기와 모양이 바뀌었거나, 블록의 위치와 방향이 바뀌지 않았기 때문에 등가 변환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그림과 같은 브리지 정류회로에 어느 점에 교류입력을 연결하여야 하는가?

  1. A-B점
  2. A-C점
  3. B-C점
  4. B-D점
(정답률: 50%)
  • B-D점에 교류입력을 연결해야 합니다. 이유는 B-D점이 브리지 정류회로의 중심점이기 때문입니다. B-D점에 교류입력을 연결하면 브리지 정류회로의 양쪽 다리에 있는 다이오드가 교대로 전류를 통과시키면서 정류된 직류신호를 출력할 수 있습니다. A-B점, A-C점, B-C점에 교류입력을 연결하면 다이오드가 정류작용을 하지 못하므로 출력신호가 나오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논리식 A+AB를 간단히 하면?

  1. 0
  2. 1
  3. A
  4. B
(정답률: 71%)
  • A+AB = A(1+B) = A(1) = A

    이렇게 간단하게 풀 수 있습니다. B가 1이 되어도 A는 변하지 않기 때문에 A+AB는 A와 같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온도를 임피던스로 변환시키는 요소는?

  1. 측온 저항
  2. 광전지
  3. 광전 다이오드
  4. 전자석
(정답률: 66%)
  • 온도를 임피던스로 변환시키는 요소는 측온 저항입니다. 측온 저항은 온도에 따라 저항값이 변화하므로, 이를 이용하여 온도를 임피던스로 변환할 수 있습니다. 다른 보기인 광전지, 광전 다이오드, 전자석은 온도와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는 요소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시퀀스제어의 장점이 아닌 것은?

  1. 구성하기 쉽다.
  2. 시스템의 구성비가 낮다.
  3. 원하는 출력을 얻기 위해 보정이 필요 없다.
  4. 유지 밎 보수가 간단하다.
(정답률: 68%)
  • 시퀀스제어의 장점 중에서 "원하는 출력을 얻기 위해 보정이 필요 없다."는 장점이 아닙니다. 이는 오히려 단점이며, 시퀀스제어를 사용할 때는 보정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다른 보기들은 시퀀스제어의 장점으로서, 구성하기 쉽고 시스템의 구성비가 낮으며 유지 및 보수가 간단하다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순시전압 e=Em sin(ωt+θ)의 파형은?

(정답률: 65%)
  • 주어진 순시전압 e=Em sin(ωt+θ)의 파형은 사인파(sine wave)이다. 이유는 sin 함수의 그래프가 파동 형태를 띄기 때문이다. 따라서, ""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다음 중 옴의 법칙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저항에 전류가 흐를 때 전압, 전류, 저항의 관계를 설명해 준다.
  2. 옴의 법칙은 저항으로 전류의 크기를 조절 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3. 옴의 법칙은 저항에 의한 전압강하를 설명해 준다.
  4. 옴의 법칙을 이용하여 임피던스에 의한 전압강하는 설명할 수 없다.
(정답률: 66%)
  • "옴의 법칙을 이용하여 임피던스에 의한 전압강하는 설명할 수 없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옴의 법칙은 전류, 전압, 저항의 관계를 설명하는 법칙으로, 임피던스는 전기회로에서 전류나 전압의 변화를 막는 장애물로 작용하는 개념이다. 따라서 옴의 법칙을 이용하여 임피던스에 의한 전압강하를 설명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배관일반

81. 동관 이음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납땜 이음
  2. 용접 이음
  3. 나사 이음
  4. 압축 이음
(정답률: 55%)
  • 나사 이음은 동관을 나사로 연결하는 방식으로, 일반적으로는 파이프나 호스 등을 연결할 때 사용된다. 따라서 다른 세 가지 이음 방식인 납땜 이음, 용접 이음, 압축 이음은 모두 동관 이음의 종류이지만, 나사 이음은 동관 이음의 종류가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도시가스 배관을 매설하는 경우이다. 틀린 것은?

  1. 배관을 철도부지에 매설하는 경우에는 배관의 외면으로부터 궤도 중심까지 거리는 4m이상 일 것
  2. 배관을 철도부지에 매설하는 경우에는 배관의 외면으로부터 철도부지 경계까지 거리는 0.6m 이상일 것
  3. 배관을 철도부지에 매설하는 경우에는 지표면으로부터 배관의 외면까지의 깊이는 1.2m이상으로 할 것
  4. 배관을 산에 매설하는 경우에는 지표면으로부터 배관의 외면까지의 깊이는 1m이상으로 할 것
(정답률: 56%)
  • 배관을 철도부지에 매설하는 경우에는 배관의 외면으로부터 철도부지 경계까지 거리는 0.6m 이상일 것이 맞는 내용이다. 이는 철도 부지 내에서의 안전거리를 확보하기 위한 것으로, 철도 부지 경계와의 최소 거리를 0.6m 이상으로 설정하여 안전성을 확보한다. 따라서 "배관을 철도부지에 매설하는 경우에는 배관의 외면으로부터 철도부지 경계까지 거리는 0.6m 이상일 것"이 맞는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다음 중 폴리에틸렌관의 접합법이 아닌 것은?

  1. 나사 접합
  2. 인서트 접합
  3. 소켓 접합
  4. 용착 접합
(정답률: 45%)
  • 소켓 접합은 폴리에틸렌관의 끝 부분을 확장시켜 다른 폴리에틸렌관의 끝 부분과 맞물려서 접합하는 방법이다. 나사 접합은 나사를 이용하여 접합하는 방법이고, 인서트 접합은 플라스틱 소재의 인서트를 사용하여 접합하는 방법이다. 용착 접합은 열을 이용하여 폴리에틸렌관을 용융시켜 접합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폴리에틸렌관의 접합법 중 소켓 접합이 아닌 것은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온수난방의 설비의 온수배관 시공법에 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은?

  1. 수평배관에서 관의 지름을 바꿀 때에는 편심리듀서를 사용한다.
  2. 배관재료는 내열성을 고려한다.
  3. 공기가 고일 염려가 있는 곳에는 공기배출을 고려한다.
  4. 팽창관에는 슬루스 밸브를 설치한다.
(정답률: 74%)
  • "팽창관에는 슬루스 밸브를 설치한다."는 잘못된 설명이다. 팽창관은 온수난방 시스템에서 열팽창을 흡수하기 위한 장치로 사용되며, 슬루스 밸브 대신에 체크밸브를 설치해야 한다. 체크밸브는 일방통행으로만 유체가 흐르도록 제한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열팽창으로 인한 역류를 방지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배관재질의 선정 시 기본적으로 고려할 사항과 거리가 먼 것은?

  1. 사용온도
  2. 사용유량
  3. 화학적, 물리적 성질
  4. 사용압력
(정답률: 64%)
  • 배관재질의 선정 시 기본적으로 고려해야 할 사항은 사용온도, 사용압력, 화학적 및 물리적 성질 등이 있습니다. 그러나 거리가 먼 것은 사용유량입니다. 사용유량은 배관의 내경과 관련이 있으며, 배관 내부의 유동성과 압력 손실을 결정합니다. 따라서 적절한 배관재질을 선택하기 위해서는 사용유량을 고려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급탕의 온도는 사용온도에 따라 각각 다르나 계산을 위하여 기준온도로 환산하여 급탕의 양을 표시하고 있다. 이때 환산의 온도로 맞는 것은?

  1. 40℃
  2. 50℃
  3. 60℃
  4. 70℃
(정답률: 66%)
  • 급탕의 양을 표시할 때는 일반적으로 기준온도로 환산하여 표시합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사용온도가 아닌 기준온도를 찾아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급탕의 기준온도는 60℃입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환산의 온도로 60℃를 선택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다음은 관의 부식 방지에 관한 것이다. 틀린 것은?

  1. 전기 절연을 시킨다.
  2. 아연도금을 한다.
  3. 열처리를 한다.
  4. 습기의 접촉을 없게 한다.
(정답률: 67%)
  • 정답은 "습기의 접촉을 없게 한다."이다. 습기는 관의 부식을 촉진시키는 요인 중 하나이기 때문에, 습기의 접촉을 없애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나 열처리는 관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방법 중 하나이다. 열처리는 관의 강도와 내구성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이 되며, 부식에 대한 저항력을 높일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냉동 장치의 배관설치에 관한 내용으로 틀린 것은?

  1. 토출가스의 합류 부분 배관은 T 이음으로 한다.
  2. 압축기와 응축기의 수평배관은 하향 구배로 한다.
  3. 토출가스 배관에는 역류방지 밸브를 설치한다.
  4. 토출관의 입상이 10 m이상일 경우에는 10 m마다 중간 트랩을 설치한다.
(정답률: 63%)
  • "토출가스의 합류 부분 배관은 T 이음으로 한다."가 틀린 것이다. 실제로는 토출가스의 합류 부분 배관은 Y 이음으로 한다. 이는 토출가스의 유동성을 유지하기 위함이다. T 이음을 사용하면 토출가스의 유동성이 저하되어 냉동장치의 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각개 통기관의 최소관경으로 옳은 것은?

  1. 30 mm
  2. 40 mm
  3. 50 mm
  4. 60 mm
(정답률: 65%)
  • 인체의 기관 중 가장 작은 기관은 기관지의 세세한 가지들인데, 이들의 최소관경은 약 1mm 정도이다. 따라서, 각개 통기관의 최소관경은 이보다 크게는 30mm 이상이 되어야 한다. 40mm, 50mm, 60mm은 모두 30mm보다 크기 때문에 최소관경으로는 옳은 값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다음 중에서 보온피복을 하지 않아도 되는 곳은?

  1. 급탕용 배관
  2. 급수용 배관
  3. 증기용 배관
  4. 통기용 배관
(정답률: 74%)
  • 통기용 배관은 공기를 통과시키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보온피복이 필요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급탕용 배관, 급수용 배관, 증기용 배관은 뜨거운 물이나 증기를 운반하기 때문에 보온피복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증기보일러 배관에서 환수관의 일부가 파손된 경우에 보일러 수가 유출해서 안전수위 이하가 되어 보일러 수가 빈 상태로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접속법은?

  1. 하트 포드 접속법
  2. 리프트 접속법
  3. 스위블 접속법
  4. 슬리브 접속법
(정답률: 75%)
  • 하트 포드 접속법은 파손된 환수관 부분을 임시적으로 막아서 보일러 수가 유출되지 않도록 하는 방법이다. 이를 위해 파손된 부분 위와 아래에 각각 밸브를 설치하고, 그 사이에 T자형 파이프를 연결한다. 이 T자형 파이프를 통해 물을 주입하여 파손된 부분을 막아준다. 이 방법은 비교적 간단하고 빠르게 수리할 수 있으며, 보일러 수가 빈 상태로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냉동설비배관에서 액분리기와 압축기 사이의 냉매배관을 할 때 구배로 맞는 것은?

  1. 1/100정도의 압축기측으로 상향 구배로 한다.
  2. 1/100정도의 압축기측으로 하향 구배로 한다.
  3. 1/200정도의 압축기측으로 상향 구배로 한다.
  4. 1/200정도의 압축기측으로 하향 구배로 한다.
(정답률: 53%)
  • 냉매는 압축기에서 생성되어 액분리기로 이동하게 되는데, 이때 냉매는 냉동설비배관에서 구배를 이루어야 합니다. 구배란, 냉매가 흐르는 방향에 따라 높이 차이를 두어 냉매가 원활하게 흐를 수 있도록 하는 것입니다.

    압축기에서 액분리기로 흐르는 냉매배관에서는 구배를 하향 구배로 맞추는 것이 좋습니다. 이는 냉매가 압축기에서 생성되어 액분리기로 이동하면서 냉매의 온도가 상승하게 되는데, 이때 하향 구배를 이루면 냉매가 냉각되어 온도 상승을 최소화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1/200정도의 압축기측으로 하향 구배로 한다."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지역난방의 옥외배관에서 고온수배관은 얼마정도의 구배를 주는가?

  1. 1/250 이상
  2. 1/350 이상
  3. 1/450 이상
  4. 1/500 이상
(정답률: 70%)
  • 고온수배관은 열팽창이 크기 때문에 구배를 주어야 합니다. 이는 배관이 늘어나는 길이에 대한 기울기를 의미합니다. 구배가 작으면 배관이 늘어나는 길이에 비해 높이가 작아져 물이 움직이지 않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지역난방의 옥외배관에서 고온수배관은 1/250 이상의 구배를 주어야 합니다. 이는 배관이 250m 이동할 때마다 1m씩 높아져야 함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급수배관의 수격현상 방지방법에 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은?

  1. 밸브를 천천히 열고 닫는다.
  2. 공기실을 설치한다.
  3. 관내 유속을 빠르게 한다.
  4. 굴곡배관을 억제하고 가능한 직선배관으로 한다.
(정답률: 73%)
  • "관내 유속을 빠르게 한다."는 잘못된 설명입니다. 급수배관에서는 수격 현상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밸브를 천천히 열고 닫거나 공기실을 설치하여 수격 현상을 방지합니다. 또한, 굴곡배관을 억제하고 가능한 직선배관으로 한다는 것도 수격 현상 방지에 도움이 됩니다. 하지만, 관내 유속을 빠르게 하는 것은 오히려 수격 현상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잘못된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공조 설비에서 증기코일의 동결방지 대책으로 잘못 설명한 것은?

  1. 외기와 실내 환기가 혼합되지 않도록 차단한다.
  2. 외기 댐퍼와 송풍기를 인터록(interlock)시킨다.
  3. 야간의 운전정지 중에도 순환 펌프를 운전한다.
  4. 증기코일 내에 응축수가 고이지 않도록 한다.
(정답률: 52%)
  • "증기코일 내에 응축수가 고이지 않도록 한다."가 잘못된 설명입니다. 이는 오히려 증기코일의 동결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증기코일 내부에서 응축수가 고이면 온도가 낮아져 코일 표면에 얼음이 형성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증기코일 내부의 응축수를 제거하고 외기와 실내 환기가 혼합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것이 동결방지 대책으로 적절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우리나라 상수도 원수의 기준에서 수질검사를 위한 원수채취 기준으로 맞는 것은?

  1. 상온의 일반 기상상태 하에서 5일 이상의 간격으로 2회 채취한 물
  2. 상온의 일반 기상상태 하에서 5일 이상의 간격으로 3회 채취한 물
  3. 상온의 일반 기상상태 하에서 7일 이상의 간격으로 2회 채취한 물
  4. 상온의 일반 기상상태 하에서 7일 이상의 간격으로 3회 채취한 물
(정답률: 48%)
  • 수질검사를 위한 원수채취 기준은 일정한 간격으로 여러 번 채취하여 평균값을 구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 중에서도 "상온의 일반 기상상태 하에서 7일 이상의 간격으로 3회 채취한 물"이 가장 적절한 기준입니다. 이유는 7일 이상의 간격으로 채취하면 일정한 시간 동안 물의 상태가 안정화되어 있기 때문에 더욱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또한 3회 채취하여 평균값을 구하면 일시적인 오염 등으로 인한 편차를 보완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다음 중 앵글밸브에 대한 설명이 잘못된 것은?

  1. 앵글밸브는 게이트밸브의 일종이다.
  2. 출구쪽에 드레인이 허용되지 않는 경우에 사용된다.
  3. 유체의 입구와 출구의 각이 90°로 되어있다.
  4. 방열기용 밸브로 많이 사용된다.
(정답률: 43%)
  • 앵글밸브는 게이트밸브의 일종이 아니다. 앵글밸브는 유체의 입구와 출구가 90°로 되어있고 출구쪽에 드레인이 허용되지 않는 경우에 사용되며, 방열기용 밸브로 많이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보일러 부하가 300000 kcal/h이고, 효율이 60%일 때 오일버너의 연료 소비량은 약 얼마인가? (단, 연료 발열량은 9000 kcal/kg 이다.)

  1. 46.5 kcal/h
  2. 55.5 kcal/h
  3. 61.5 kcal/h
  4. 66.5 kcal/h
(정답률: 58%)
  • 보일러 부하가 300000 kcal/h이므로, 연료로 전달되어야 하는 열의 양은 300000 kcal/h입니다. 하지만 오일버너의 효율이 60%이므로, 실제로 연료로 공급해야 하는 열의 양은 300000 kcal/h ÷ 0.6 = 500000 kcal/h입니다.

    연료 발열량이 9000 kcal/kg이므로, 연료 소비량은 500000 kcal/h ÷ 9000 kcal/kg = 55.5 kg/h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55.5 kcal/h"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배수설비의 종류에서 요리실, 욕조, 세척 싱크와 세면기 등에서 배출되는 물을 배수하는 설비의 명칭으로 맞는 것은?

  1. 오수 설비
  2. 잡배수 설비
  3. 빗물배수 설비
  4. 특수배수 설비
(정답률: 73%)
  • 잡배수 설비는 주로 주거용 건물이나 상업시설에서 사용되며, 주방, 욕실, 세면실 등에서 발생하는 오염된 물을 처리하여 배출하는 설비입니다. 따라서 요리실, 욕조, 세척 싱크, 세면기 등에서 발생하는 오염된 물을 처리하여 배출하는 잡배수 설비가 해당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온수난방 배관에서 온수의 팽창, 수축량은 다음 식에 의하여 구한다. 설명이 잘못된 것은?

  1. △υ : 수온 변화에 의한 팽창, 수축량 [m3]
  2. ρ2 : 가열 후의 물의 밀도 [kg/m3]
  3. ρ1 : 가열 전의 물의 밀도 [kg/m3]
  4. Q : 팽창탱크 내의 물의 총량 [kg]
(정답률: 65%)
  • 정답은 "Q : 팽창탱크 내의 물의 총량 [kg]" 이유를 설명해줄게요.

    식에서 팽창, 수축량인 △υ은 m^3 단위이고, 밀도인 ρ1, ρ2는 kg/m^3 단위입니다. 따라서 △υ x (ρ2 - ρ1)은 (m^3) x (kg/m^3) = kg 단위가 됩니다. 이 값은 팽창탱크 내의 물의 총량인 Q와 같습니다. 따라서 Q는 kg 단위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