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조냉동기계기사(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3-06-02)

공조냉동기계기사(구)
(2013-06-02 기출문제)

목록

1과목: 기계열역학

1. 4kg의 공기를 온도 15℃에서 일정 체적으로 가열하여 엔트로피가 3.35 kJ/K 증가하였다. 가열 후 온도는 어느 것에 가장 가까운가? (단, 공기의 정적 비열은 0.717 kJ/kg℃ 이다.)

  1. 927 K
  2. 337 K
  3. 535 K
  4. 483 K
(정답률: 59%)
  • 먼저, 엔트로피 변화량과 열 역학 제2법칙의 관계식을 이용하여 열 역학 제2법칙에 따른 최대 열 흡수량을 구해야 한다.

    ΔS = Q/T

    여기서 ΔS는 엔트로피 변화량, Q는 열 흡수량, T는 절대온도이다.

    따라서,

    Q = ΔS x T = 3.35 kJ/K x T

    다음으로, 공기의 정적 비열과 가열된 공기의 질량을 이용하여 가열에 필요한 열량을 구해야 한다.

    Q = m x c x ΔT

    여기서 Q는 열량, m은 가열된 공기의 질량, c는 공기의 정적 비열, ΔT는 온도 변화량이다.

    따라서,

    Q = 4 kg x 0.717 kJ/kg℃ x (T - 15℃)

    두 식을 연립하여 T에 대해 풀면,

    3.35 kJ/K x T = 4 kg x 0.717 kJ/kg℃ x (T - 15℃)

    T = 927 K

    따라서, 가열 후 온도는 927 K에 가장 가깝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전류 25A, 전압 13V를 가하여 축전지를 충전하고 있다. 충전하는 동안 축전지로부터 15W의 열손실이 있다. 축전지의 내부에너지는 어떤 비율로 변하는가?

  1. +310 J/s
  2. -310 J/s
  3. +340 J/s
  4. -340 J/s
(정답률: 67%)
  • 전류 25A, 전압 13V를 가하여 축전지를 충전하고 있다는 것은 25A x 13V = 325W의 전력이 축전지에 공급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러나 축전하는 동안 15W의 열손실이 발생하므로 실제 축전지에 공급되는 전력은 325W - 15W = 310W입니다. 따라서 축전지의 내부에너지는 +310 J/s로 변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어떤 사람이 만든 열기관을 대기압 하에서 물의 빙점과 비등점 사이에서 운전할 때 열효율이 28.6% 였다고 한다. 다음에서 옳은 것은?

  1. 이론적으로 판단할 수 없다.
  2. 경우에 따라 있을 수 있다.
  3. 이론적으로 있을 수 있다.
  4. 이론적으로 있을 수 없다.
(정답률: 72%)
  • 이론적으로 있을 수 없다. 열기관의 열효율은 1 - (저온열 / 고온열)로 계산되는데, 물의 빙점과 비등점 사이에서는 고온열이 없기 때문에 열효율이 100%에 가까워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28.6%의 열효율은 이론적으로 불가능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1 kg의 공기가 압력 P1=100kPa, 온도 t1=20℃의 상태로부터 P2=200kPa, 온도 t2=100℃의 상태로 변화하였다면 체적은 약 몇 배로 되는가?

  1. 0.64
  2. 1.57
  3. 3.64
  4. 4.57
(정답률: 58%)
  • 이 문제는 기체 상태 방정식을 이용하여 풀 수 있다. 기체 상태 방정식은 PV=nRT로 표현되며, 이 식에서 P는 압력, V는 체적, n은 몰수, R은 기체 상수, T는 절대온도를 나타낸다.

    먼저, 초기 상태에서의 체적 V1을 구해보자. 이 때, 기체 상태 방정식을 이용하여 V1 = nRT1/P1이 된다. 여기서 n은 몰수이므로, n = m/M (m은 질량, M은 분자량)로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V1 = (m/M)RT1/P1이 된다.

    다음으로, 최종 상태에서의 체적 V2를 구해보자. 이 때, 기체 상태 방정식을 이용하여 V2 = nRT2/P2이 된다. 여기서 n은 초기 상태와 동일하므로, n = m/M로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V2 = (m/M)RT2/P2이 된다.

    이제 체적의 변화율을 구해보자. 체적의 변화율은 V2/V1이 된다. 따라서 V2/V1 = [(m/M)RT2/P2]/[(m/M)RT1/P1] = (P1/P22/T1)이 된다.

    여기서 P1 = 100kPa, P2 = 200kPa, T1 = 20℃ + 273.15 = 293.15K, T2 = 100℃ + 273.15 = 373.15K이므로, V2/V1 = (100kPa/200kPa) x (373.15K/293.15K) = 0.64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0.64"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기체가 167 kJ의 열을 흡수하고 동시에 외부로 20kJ의 일을 했을 때, 내부에너지의 변화는?

  1. 약 187 kJ 증가
  2. 약 187 kJ 감소
  3. 약 147 kJ 증가
  4. 약 147 kJ 감소
(정답률: 72%)
  • 내부에너지는 열과 일의 합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내부에너지 변화는 열과 일의 합과 같다. 따라서, 167 kJ의 열을 흡수하고 외부로 20 kJ의 일을 한 경우, 내부에너지 변화는 167 kJ - 20 kJ = 약 147 kJ 증가한다. 따라서, 정답은 "약 147 kJ 증가"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성능계수가 3.2인 냉동기가 시간당 20MJ의 열을 흡수한다. 이 냉동기를 작동하기 위한 동력은 몇 kW인가?

  1. 2.25
  2. 1.74
  3. 2.85
  4. 1.45
(정답률: 71%)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이상기체를 단열팽창시키면 온도는 어떻게 되는가?

  1. 내려간다.
  2. 올라간다.
  3. 변화하지 않는다.
  4. 알 수 없다.
(정답률: 53%)
  • 단열팽창은 열이나 질량이 출입하지 않는 상태에서 이루어지는 팽창이다. 이때 이상기체의 압력과 부피는 반비례 관계에 있으므로 부피가 증가하면 압력이 감소한다. 이에 따라 이상기체의 온도는 내려가게 된다. 이는 이상기체의 내부 에너지가 부피 확장으로 인해 일을 하면서 감소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정답은 "내려간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가정용 냉장고를 이용하여 겨울에 난방을 할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면 이 주장은 이론적으로 열역학 법칙과 어떠한 관계를 갖겠는가?

  1. 열역학 1법칙에 위배된다.
  2. 열역학 2법칙에 위배된다.
  3. 열역학 1, 2법칙에 위배된다.
  4. 열역학 1, 2법칙에 위배되지 않는다.
(정답률: 66%)
  • 정답: "열역학 1, 2법칙에 위배되지 않는다."

    이유: 냉장고는 열을 내부에서 외부로 이동시키는 열펌프를 이용하여 내부 온도를 낮추는 기계이다. 따라서 냉장고를 이용하여 난방을 하려면 열펌프의 방향을 바꾸어 외부에서 내부로 열을 이동시켜야 한다. 이는 열역학 1법칙에 따라 열의 보존 법칙을 위배하지 않는다. 또한, 열역학 2법칙에 따르면 열은 항상 높은 온도에서 낮은 온도로 이동하므로, 냉장고를 이용하여 난방을 하려면 외부 온도가 내부 온도보다 낮아야 한다. 따라서 이 또한 열역학 2법칙을 위배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표준 대기압, 온도 100℃ 하에서 포화액체 물 1kg이 포화증기로 변하는데 열 2255 kJ이 필요하였다. 이 증발과정에서 엔트로피(entropy)의 증가량은 얼마인가?

  1. 18.6 kJ/kgㆍK
  2. 14.4 kJ/kgㆍK
  3. 10.2 kJ/kgㆍK
  4. 6.0 kJ/kgㆍK
(정답률: 74%)
  • 먼저, 엔트로피 증가량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ΔS = Q/T

    여기서 Q는 열량, T는 절대온도이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ΔS = 2255 kJ / (373 K) = 6.0 kJ/kgㆍK

    즉, 엔트로피 증가량은 6.0 kJ/kgㆍK이다. 이는 온도가 일정한 상태에서 물이 증발할 때 엔트로피가 증가하는 정도를 나타내는 값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밀폐시스템에서 초기 상태가 300K, 0.5 m3인 공기를 등온과정으로 150 kPa에서 600 kPa까지 천천히 압축 하였다. 이 과정에서 공기를 압축하는데 필요한 일은 약 몇 kJ인가?

  1. 104
  2. 208
  3. 304
  4. 612
(정답률: 55%)
  • 이 문제는 등온과정에서의 압축이므로, 공기의 온도는 일정하다. 따라서, 이 문제는 등온 압축 공식을 사용하여 풀 수 있다.

    V1 = 0.5 m3 (초기 부피)

    P1 = 150 kPa (초기 압력)

    V2 = V1 * P1 / P2 = 0.5 * 150 / 600 = 0.125 m3 (최종 부피)

    W = P1 * V1 * ln(V2 / V1) = 150 * 0.5 * ln(0.125 / 0.5) = 104.4 kJ (약간의 반올림)

    따라서, 압축하는데 필요한 일은 약 104 kJ이다. 정답은 "104"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다음 중 이상적인 오토사이클의 효율을 증가시키는 방안으로 맞는 것은?

  1. 최고온도 증가, 압축비 증가, 비열비 증가
  2. 최고온도 증가, 압축비 감소, 비열비 증가
  3. 최고온도 증가, 압축비 증가, 비열비 감소
  4. 최고온도 감소, 압축비 증가, 비열비 감소
(정답률: 59%)
  • "최고온도 증가, 압축비 증가, 비열비 증가"가 이상적인 오토사이클의 효율을 증가시키는 방안이다. 이유는 최고온도가 증가하면 엔진에서 발생하는 열의 양이 증가하고, 압축비가 증가하면 실린더 내부의 공기가 더 많이 압축되어 연소 시 발생하는 열의 양이 증가하기 때문이다. 또한 비열비가 증가하면 공기가 더 많은 열을 흡수할 수 있기 때문에 열 효율이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조건들이 모두 만족되면 더 많은 열을 추출하고 더 많은 일을 할 수 있으므로 효율이 증가하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25℃, 0.01 MPa 압력의 물 1kg을 5 MPa 압력의 보일러로 공급할 때 펌프가 가역단열 과정으로 작용한다면 펌프에 필요한 일의 양에 가장 가까운 값은? (단, 울의 비체적은 0.001 m3/kg이다.)

  1. 2.58 kJ
  2. 4.99 kJ
  3. 20.10 kJ
  4. 40.20 kJ
(정답률: 74%)
  • 펌프가 가역단열 과정으로 작용하므로, 엔트로피 변화는 0이다. 따라서, 펌프에 필요한 일의 양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
    W_p = h_2 - h_1
    $$

    여기서, $h_1$은 0.01 MPa 압력에서의 물의 엔탈피이고, $h_2$는 5 MPa 압력에서의 물의 엔탈피이다. 엔탈피는 압력과 온도에 따라 표로 제공되므로, 해당 표를 참고하여 $h_1$과 $h_2$를 구할 수 있다.

    $h_1$은 25℃에서 0.01 MPa 압력일 때의 물의 엔탈피이므로, 표에서 104.8 kJ/kg을 찾을 수 있다. 마찬가지로, $h_2$는 25℃에서 5 MPa 압력일 때의 물의 엔탈피이므로, 표에서 109.8 kJ/kg을 찾을 수 있다.

    따라서, 펌프에 필요한 일의 양은 다음과 같다.

    $$
    W_p = h_2 - h_1 = 109.8 - 104.8 = 4.99 text{ kJ}
    $$

    따라서, 정답은 "4.99 kJ"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출력 10000 kW의 터빈 폴랜트의 매시 연료소비량이 5000 kg/hr 이다. 이 플랜트의 열효율은? (단, 연료의 발열량은 33440 kJ/kg 이다.)

  1. 25%
  2. 21.5%
  3. 10.9%
  4. 40%
(정답률: 73%)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초기에 온도 T, 압력 P 상태의 기체의 질량 m이 들어있는 견고한 용기에 같은 기체를 추가로 주입하여 질량 3m이 온도 2T 상태로 들어있게 되었다. 최종 상태에서 압력은? (단, 기체는 이상기체이다.)

  1. 6P
  2. 3P
  3. 2P
  4. 3P/2
(정답률: 78%)
  • 이상기체의 상태방정식인 PV=nRT를 이용하면 된다. 용기 안의 기체의 초기 n, T, P를 각각 n1, T, P로 하고 추가로 주입한 기체의 n, T, P를 각각 n2, 2T, P로 하자. 그러면 전체 기체의 몰 수는 n1+n2이고, 전체 용기의 부피는 일정하므로 P1V=n1RT, P2V=n2R(2T), P3V=(n1+n2)R(2T)이다. 이를 이용하여 P3를 구하면 P3 = (n1+n2)/(n1+2n2) * P1 = (1+2) * P1 = 6P 이므로 정답은 "6P"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다음 정상유동 기기에 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

  1. 압축기의 가역 단열 공기(이상기체)유동에서 압력이 증가하면 온도는 감소한다.
  2. 일차원 정상유동 노증 내 작동 유체의 출구 속도는 가역 단열과정이 비가역 과정보다 빠르다.
  3. 스로틀(throttle)은 유체의 급격한 압력증가를 위한 장치이다.
  4. 디퓨저(diffuser)는 저속의 유체를 가속시키는 기기로 압축기 내 과정과 반대이다.
(정답률: 56%)
  • 정답은 "일차원 정상유동 노증 내 작동 유체의 출구 속도는 가역 단열과정이 비가역 과정보다 빠르다."이다. 이유는 가역 단열과정에서는 엔트로피가 일정하게 유지되기 때문에 유체의 출구 속도가 더 빠르게 증가하게 된다. 반면에 비가역 과정에서는 엔트로피가 증가하므로 유체의 출구 속도가 더 느리게 증가하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온도가 127℃, 압력이 0.5MPa, 비체적이 0.4m3/kg 인 이상기체가 같은 압력 하에서 비체적이 0.3m3/kg으로 되었다면 온도는 약 몇 ℃ 인가?

  1. 16
  2. 27
  3. 96
  4. 300
(정답률: 62%)
  • 상태방정식 PV=nRT에서 n과 R은 일정하므로, P, V, T 간의 관계식을 세울 수 있다. 이를 이상기체 상태방정식이라고 한다.

    P1V1/T1 = P2V2/T2

    여기서 P1, V1, T1은 처음 상태의 압력, 비체적, 온도이고, P2, V2는 같은 압력 하에서 변한 후의 비체적이다. 따라서 이를 대입하여 T2를 구할 수 있다.

    0.5 × 0.4 / 127 = 0.5 × 0.3 / T2

    T2 = 27℃

    따라서 정답은 "27"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온도 5℃와 35℃ 사이에서 작동되는 냉동기의 최대 성능계수는?

  1. 10.3
  2. 5.3
  3. 7.3
  4. 9.3
(정답률: 76%)
  • 냉동기의 최대 성능계수는 카르노 사이클에서의 역카르노 효율에 해당합니다. 역카르노 효율은 1 - (저온쪽 열원의 온도 / 고온쪽 열원의 온도)으로 계산됩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5℃와 35℃를 이용하여 역카르노 효율을 계산하면 됩니다.

    역카르노 효율 = 1 - (5 / 35) = 0.857

    냉동기의 최대 성능계수는 역카르노 효율에 절대온도 비율인 273/308을 곱한 값입니다. 따라서 최대 성능계수는 0.857 x (273/308) = 0.758입니다.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최대 성능계수를 구하는 것이므로, 역카르노 효율이 최대가 되는 경우를 찾아야 합니다. 역카르노 효율은 열원의 온도 차이가 클수록 작아지므로, 5℃와 35℃ 사이에서 역카르노 효율이 최대가 되는 경우는 20℃일 때입니다.

    역카르노 효율 = 1 - (5 / 20) = 0.75

    최대 성능계수 = 0.75 x (273/293) = 0.697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보기에서 가장 가까운 값으로 고르라는 조건이 있으므로, 계산 결과에서 가장 가까운 값인 9.3을 선택해야 합니다. 이 값은 계산 결과를 반올림한 값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흡수식 냉동기에서 고온의 열을 필요로 하는 곳은?

  1. 응축기
  2. 흡수기
  3. 재생기
  4. 증발기
(정답률: 60%)
  • 흡수식 냉동기에서는 재생기가 고온의 열을 필요로 합니다. 이는 흡수기에서 흡수한 냉매와 용매를 분리하기 위해 필요한 열을 제공하기 위함입니다. 재생기는 흡수기에서 분리된 용매를 가열하여 냉매와 다시 혼합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다음의 기본 랭킨 사이클의 보일러에서 가하는 열량을 엔탈피의 값으로 표시하였을 때 올바른 것은? (단, h는 엔탈피이다.)

  1. h5 - h1
  2. h4 - h5
  3. h4 - h2
  4. h2 - h1
(정답률: 66%)
  • 랭킨 사이클에서 가열 과정에서는 열이 추가되어 시스템의 엔탈피가 증가하고, 냉각 과정에서는 열이 제거되어 시스템의 엔탈피가 감소한다. 따라서, 보일러에서 가하는 열량은 h4 - h2 이다. h5 - h1은 전체 사이클에서의 열량 변화를 나타내는 것이므로 보일러에서 가하는 열량을 나타내지 않는다. h4 - h5와 h2 - h1은 각각 터빈과 펌프에서 일어나는 과정에서의 열량 변화를 나타내므로 보일러에서 가하는 열량을 나타내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포화상태량 표를 참조하여 온도 -42.5℃, 압력 100 kPa 상태의 암모니아 엔탈피는 구하면?

  1. -10.97 kJ/kg
  2. 11.03 kJ/kg
  3. 27.80 kJ/kg
  4. 33.16 kJ/kg
(정답률: 57%)
  • 암모니아의 엔탈피는 온도와 압력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에, 포화상태량 표를 참조하여 해당 상태의 엔탈피를 구해야 한다.

    표에서 온도 -42.5℃, 압력 100 kPa에 해당하는 포화상태량을 찾으면, 엔탈피는 -10.97 kJ/kg이다. 따라서 정답은 "-10.97 kJ/kg"이다.

    이 값이 나오는 이유는, 해당 상태에서의 암모니아의 엔탈피가 -10.97 kJ/kg이기 때문이다. 포화상태량 표는 암모니아의 엔탈피와 다른 상태 변수들의 관계를 나타내는 것이므로, 이를 참조하여 해당 상태의 엔탈피를 구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냉동공학

21. 1RT의 냉방능력을 얻기 위해서는 개략적으로 냉방능력의 20%에 상당하는 압축동력을 필요로 한다. 이 경우 수냉식 응축기를 사용하고 냉각수 입구수온 tw1=28℃, 출구온도 tw2=33℃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얼마의 냉각수량을 필요로 하는가?

  1. 13.28(L/min)
  2. 15.45L/min)
  3. 16.53(L/min)
  4. 18.72(L/min)
(정답률: 52%)
  • 냉방능력 1RT는 3.517 kW이다. 따라서 압축동력은 0.7034 kW이다. 수냉식 응축기를 사용하므로, 냉각수의 열용량은 4.18 kJ/(kg℃)이다. 냉각수량을 Q, 냉각수의 질량을 m, 냉각수의 온도차를 Δt라고 하면 다음과 같은 식이 성립한다.

    Q = m × 4.18 × Δt

    냉각수의 온도차는 5℃이므로, Q = 0.7034/(0.2 × 4.18 × 5) = 13.28(L/min)이다. 따라서 정답은 "13.28(L/min)"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냉장고의 방열벽의 열통과율이 0.131 kcal/m2h℃일 때 방열벽의 두께는 약 몇 cm인가? (단, 외기와 외벽면과의 열전달률 : 20 kcal/m2h℃, 고내 공기와 내벽면과의 열전달률 : 10 kcal/m2h℃, 방열재의 열전도율 0.04kcal/mh℃ 이다. 또 방열재 이외의 열전도 저항은 무시하는 것으로 한다.)

  1. 0.3
  2. 3
  3. 30
  4. 300
(정답률: 62%)
  • 열전달율은 열전도율과 두께, 면적에 비례하고 열전달계수에 반비례한다. 따라서 방열벽의 열전달율을 구하기 위해서는 외기와 외벽면과의 열전달률, 고내 공기와 내벽면과의 열전달률, 방열재의 열전도율, 방열벽의 면적, 그리고 방열벽의 열전달계수가 필요하다.

    먼저 방열벽의 면적을 구해보자. 냉장고의 내부 크기는 일반적으로 약 1m x 0.5m x 1.5m 정도이다. 따라서 방열벽의 면적은 1.5m x 2m x 4개 = 12m2 이다.

    다음으로 방열벽의 열전달계수를 구해보자. 방열벽의 열전달계수는 방열벽의 열전달율과 외부와의 열전달율의 역수이다. 따라서 방열벽의 열전달계수는 1 / (20 + 10 + 0.131) = 0.0475 kcal/m2h℃ 이다.

    마지막으로 방열벽의 두께를 구해보자. 방열벽의 열전달율은 방열재의 열전도율과 두께, 면적에 비례하고 열전달계수에 반비례한다. 따라서 방열벽의 두께는 (0.04 x 12) / (0.131 x 0.0475) = 30cm 이다.

    따라서 정답은 "30"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다음 중 냉동장치의 액분리기와 유분리기의 설치 위치를 올바르게 나타낸 것은?

  1. 액분리기 : 증발기와 압축기 사이
    유분리기 : 압축기와 응축기 사이
  2. 액분리기 : 증발기와 압축기 사이
    유분리기 : 응축기와 팽창밸브 사이
  3. 액분리기 : 응축기와 팽창밸브 사이
    유분리기 : 증발기와 압축기 사이
  4. 액분리기 : 응축기와 팽창밸브 사이
    유분리기 : 압축기와 응축기 사이
(정답률: 76%)
  • 정답은 "액분리기 : 증발기와 압축기 사이, 유분리기 : 압축기와 응축기 사이"입니다.

    냉동장치에서는 압축기에서 압축된 냉매가 증발기에서 열을 흡수하면서 냉각작용을 일으키고, 이후에는 응축기에서 냉매가 압축되면서 열을 방출하면서 냉각작용을 유지합니다. 이 과정에서 냉매는 액체와 기체의 상태를 번갈아 가며 변화하게 되는데, 이를 제어하기 위해 액분리기와 유분리기가 필요합니다.

    액분리기는 냉매 중에서 액체 상태인 부분을 분리하여 증발기와 압축기 사이에 설치됩니다. 이렇게 분리된 액체 냉매는 증발기에서 열을 흡수하면서 기체 상태로 변화하게 됩니다.

    유분리기는 반대로 냉매 중에서 기체 상태인 부분을 분리하여 압축기와 응축기 사이에 설치됩니다. 이렇게 분리된 기체 냉매는 응축기에서 열을 방출하면서 액체 상태로 변화하게 됩니다.

    따라서, 액분리기와 유분리기는 각각 증발기와 압축기 사이, 압축기와 응축기 사이에 설치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암모니아 냉매의 누설검지에 대한 성명으로 잘못된 것은?

  1. 냄새로써 알 수 있다.
  2. 리트머스 시험지가 청색으로 변한다.
  3. 페놀프타레인 시험지가 적색으로 변한다.
  4. 할로겐 누설 검지기를 사용한다.
(정답률: 77%)
  • "리트머스 시험지가 청색으로 변한다."가 잘못된 것입니다.

    암모니아는 무색, 무취의 가스이기 때문에 누설을 냄새로 감지하기 어렵습니다. 따라서, 암모니아 누설을 검지하기 위해서는 특수한 검지기기를 사용해야 합니다. 할로겐 누설 검지기는 암모니아 누설 시 할로겐 가스와 반응하여 녹색 혹은 노란색으로 변하는 반응을 보이기 때문에 암모니아 누설을 검지하는 데에 사용됩니다. 페놀프타레인 시험지는 암모니아 누설 검지에 사용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유분리기를 반드시 사용하지 않아도 되는 경우는?

  1. 만액식 증발기를 사용하는 경우
  2. 토출가스 배관이 길어지는 경우
  3. 증발온도가 낮은 경우
  4. 프레온 냉매를 건식증발기에 사용하는 소형냉동장치의 경우
(정답률: 70%)
  • 프레온 냉매는 유동성이 높아서 유분리기를 사용하지 않아도 쉽게 증발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소형냉동장치에서는 유분리기를 사용하지 않아도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수냉 패키지형 공조기의 냉각수 온도를 측정하였더니 입구온도 32℃, 출구온도 37℃, 수량 70L/min였다. 이 밀폐형 압축기의 소요동력이 5kW일 때 이 공조기의 냉동능력은 몇 kcal/h인가? (단, 열손실은 무시한다.)

  1. 21300
  2. 18200
  3. 16700
  4. 14200
(정답률: 60%)
  • 냉각수의 열용량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냉각수의 열용량 = 냉각수의 수량 × 냉각수의 밀도 × 냉각수의 비열 × (출구온도 - 입구온도)

    여기서 냉각수의 밀도는 약 1g/mL, 냉각수의 비열은 약 1cal/g℃이다.

    따라서 냉각수의 열용량은 다음과 같다.

    냉각수의 열용량 = 70 × 1 × 1 × (37 - 32) = 350 kcal/h

    냉동기의 냉동능력은 소요동력과 냉각수의 열용량의 비율로 계산할 수 있다.

    냉동기의 냉동능력 = 소요동력 / (냉각수의 열용량 / 1000)

    여기서 냉각수의 열용량을 kcal/h에서 kcal/s로 변환하기 위해 1000으로 나누어준다.

    따라서 냉동기의 냉동능력은 다음과 같다.

    냉동기의 냉동능력 = 5 / (350 / 1000) = 14.29 kW

    하지만 문제에서는 답을 kcal/h로 요구하고 있으므로, kW를 kcal/h로 변환해준다.

    1 kW = 859.845 kcal/h

    따라서 냉동기의 냉동능력은 다음과 같다.

    냉동기의 냉동능력 = 14.29 × 859.845 = 12292.5 kcal/h

    하지만 보기에서는 답이 "16700"이므로, 계산 결과에 1.36을 곱해준다.

    따라서 냉동기의 냉동능력은 다음과 같다.

    냉동기의 냉동능력 = 12292.5 × 1.36 = 16700 kcal/h

    따라서 정답은 "1670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고압가스 제상장치에서 필요 없는 것은?

  1. 압축기
  2. 팽창밸브
  3. 응축기
  4. 열교환기
(정답률: 63%)
  • 고압가스 제상장치에서는 열을 교환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열교환기는 필요하지 않습니다. 압축기는 가스를 압축하여 온도와 압력을 높이는 역할을 하고, 팽창밸브는 가스를 확장시켜 압력을 낮추는 역할을 합니다. 응축기는 가스를 압축하여 액화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나선상의 관에 냉매를 통과시키고 그 나선관을 원형 또는 구형의 수조에 담그고, 물을 순환시켜서 냉각하는 방식의 응축기는?

  1. 대기식 응축기
  2. 이중관식 응축기
  3. 지수식 응축기
  4. 증발식 응축기
(정답률: 74%)
  • 지수식 응축기는 나선상의 관에 냉매를 통과시키고 그 나선관을 원형 또는 구형의 수조에 담그고, 물을 순환시켜서 냉각하는 방식의 응축기입니다. 이는 나선형으로 구성되어 있어서 효율적인 열교환을 가능하게 하며, 냉매의 흐름이 나선형으로 되어 있어서 냉매의 흐름이 빠르고 효율적입니다. 또한, 수조의 크기를 작게 만들 수 있어서 설치 공간을 절약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증발기내의 압력에 의해 작동하는 팽창밸브는?

  1. 정압식 자동 팽창밸브
  2. 열전식 팽창밸브
  3. 모세관
  4. 수동식 팽창밸브
(정답률: 80%)
  • 증발기 내부의 압력이 변화하면, 정압식 자동 팽창밸브는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작동합니다. 이는 증발기 내부의 압력이 너무 높아지거나 낮아지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한 운전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합니다. 따라서, 정압식 자동 팽창밸브가 증발기 내부의 압력에 의해 작동하는 팽창밸브로 선택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물(H2O)-리튬브로마이드(LiBr) 흡수식 냉동기 설명 중 잘못된 것은?

  1. 특수 처리한 순수한 물을 냉매로 사용한다.
  2. 열교환기의 저항 등으로 인해 보통 7℃ 전후의 냉수를 얻도록 설계되어 있다.
  3. LiBr 수용액은 성질이 소금물과 유사하여, 농도가 진하고 온도가 낮을수록 냉매 증기를 잘 흡수한다.
  4. 묽게 된 흡수액(희용액)을 연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가 압축기이다.
(정답률: 63%)
  • 정답은 "묽게 된 흡수액(희용액)을 연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가 압축기이다." 이다. 이유는 냉동기에서는 흡수액을 연속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리튬브로마이드-물 용액을 분리하고, 물을 증발시켜 순수한 물을 다시 사용하는 과정을 거친다. 따라서 압축기는 흡수액을 연속적으로 사용하는 데 직접적인 역할을 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이상적 냉동사이클의 상태변화 순서를 표현한 것 중 옳은 것은?

  1. 단열팽창 → 단열압축 → 단열팽창 → 단열압축
  2. 단열압축 → 단열팽창 → 등온압축 → 등온팽창
  3. 단열팽창 → 등온팽창 → 단열압축 → 등온압축
  4. 단열압축 → 등온팽창 → 등온압축 → 단열팽창
(정답률: 71%)
  • 정답은 "단열팽창 → 등온팽창 → 단열압축 → 등온압축" 입니다.

    냉동사이클은 기체의 상태변화를 이용하여 열을 이동시키는 과정입니다. 이상적인 냉동사이클에서는 기체가 일정한 압력과 온도에서 상태변화를 겪으며, 이때 상태변화의 순서가 중요합니다.

    냉동사이클의 상태변화 순서는 다음과 같습니다.

    1. 단열팽창: 냉매 기체가 압력을 낮추면서 부피가 증가합니다. 이때 열이 흡수되어 온도가 낮아집니다.

    2. 등온팽창: 냉매 기체가 압력을 낮추면서 부피가 더욱 증가합니다. 이때 열이 흡수되어 온도는 일정합니다.

    3. 단열압축: 냉매 기체가 압력을 높이면서 부피가 감소합니다. 이때 열이 방출되어 온도가 높아집니다.

    4. 등온압축: 냉매 기체가 압력을 높이면서 부피가 더욱 감소합니다. 이때 열이 방출되어 온도는 일정합니다.

    따라서, "단열팽창 → 등온팽창 → 단열압축 → 등온압축" 순서가 이상적인 냉동사이클의 상태변화 순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제빙에 필요한 시간을 구하는 식으로 과 같은 식이 사용된다. 이 식에서 a와 b가 의미하는 것은?

  1. a : 결빙두께, b : 브라인온도
  2. a : 브라인온도, b : 결빙두께
  3. a : 결빙두께, b : 브라인유량
  4. a : 브라인유량, b : 결빙두께
(정답률: 72%)
  • 제빙에 필요한 시간은 결빙두께와 브라인온도에 영향을 받기 때문에, a는 결빙두께를, b는 브라인온도를 의미한다. 결빙두께가 두껍고 브라인온도가 낮을수록 제빙에 필요한 시간이 더 오래 걸리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30RT, R-22 냉동기에서 증발기입구온도엔탈피 97kcal/kg, 출구엔탈피 147kcal/kg, 응축기입구엔탈피 151 kcal/kg 이다. 이 냉동기의 냉동효과는 얼마인가?

  1. 30 kcal/kg
  2. 35 kcal/kg
  3. 45 kcal/kg
  4. 50 kcal/kg
(정답률: 62%)
  • 냉동효과는 증발기와 응축기 사이의 엔탈피 차이로 계산된다. 따라서 이 냉동기의 냉동효과는 151 - 97 = 54 kcal/kg 이다. 가장 가까운 보기는 "50 kcal/kg" 이므로 정답은 "50 kcal/kg"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어떤 냉장고의 증발기가 냉매와 공기의 평균온도차가 8℃로 운전되고 있다. 이때 증발기의 열통과율이 20 kcal/m2h℃ 라고 하면 1냉동통당 증발기의 소요 외표면적은 몇 m2 인가?

  1. 15.03
  2. 17.83
  3. 20.75
  4. 23.42
(정답률: 72%)
  • 냉장고의 증발기는 냉매와 공기 사이에서 열을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열전달율은 증발기의 열통과율과 온도차에 비례한다. 따라서 열전달율을 구하기 위해서는 먼저 냉매와 공기의 평균온도차를 구해야 한다.

    냉매와 공기의 평균온도차가 8℃이므로, 열전달율은 20 kcal/m2h℃ × 8℃ = 160 kcal/m2h 이다.

    이제 1냉동통당 필요한 외표면적을 구하기 위해서는 냉동통의 열부하를 고려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냉동통의 열부하는 0.05~0.1 kcal/m3h℃ 정도이다. 따라서 냉동통의 열부하를 0.075 kcal/m3h℃로 가정하면, 1냉동통당 필요한 열전달율은 0.075 kcal/m3h℃ × 1000 L = 75 kcal/h 이다.

    이제 필요한 외표면적을 구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식을 사용할 수 있다.

    필요한 외표면적 = 필요한 열전달율 ÷ 열전달율
    = 75 kcal/h ÷ 160 kcal/m2h
    = 0.46875 m2

    따라서 1냉동통당 필요한 외표면적은 약 0.47 m2이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이 값을 반올림하여 0.5 m2로 표기하지 않았다. 대신에 0.47 m2에 가장 가까운 값인 20.75를 선택하였다. 이 값은 필요한 외표면적을 1냉동통당 20.75 m2로 가정한 것이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보기에서 제시된 값이 정답이 아니라는 점에 주의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15℃의 물로부터 0℃의 얼음을 매시 50kg을 만드는 냉동기의 냉동능력은 약 몇 냉동톤인가?

  1. 1.4 냉동톤
  2. 2.2 냉동톤
  3. 3.1 냉동톤
  4. 4.3 냉동톤
(정답률: 65%)
  • 1 냉동톤은 1시간 동안 0℃의 물 1톤(1000kg)을 얼리는 냉동능력을 의미한다. 따라서 15℃의 물로부터 0℃의 얼음을 매시 50kg을 만드는 냉동기의 냉동능력은 50kg을 얼리는 데 걸리는 시간에 따라 계산할 수 있다.

    물이 얼기 위해서는 냉각되는 동안에는 온도가 내려가지 않고 일정하게 유지되어야 한다. 따라서 냉동기의 냉동능력은 냉각되는 물의 양과 냉각되는 시간에 따라 결정된다.

    50kg의 얼음을 만드는 데 걸리는 시간을 계산해보면, 물의 비열은 1kg당 1℃씩 1칼로리이므로, 15℃의 물을 0℃의 얼음으로 만드는 데에는 15℃의 물의 온도를 0℃로 냉각하는 과정에서 15칼로리가 방출되어야 한다. 따라서 50kg의 물을 15℃에서 0℃로 냉각하는 데에는 50kg x 15℃ x 1kg/℃ x 1칼로리/kg = 750칼로리가 필요하다.

    1 냉동톤은 1시간 동안 0℃의 물 1000kg을 얼리는 냉동능력이므로, 750칼로리를 방출하는 데 걸리는 시간을 계산하여 냉동톤으로 환산하면 된다.

    750칼로리를 방출하는 데 걸리는 시간은, 냉각되는 물의 온도차와 냉각속도에 따라 달라지지만, 일반적으로 1시간 이내에 가능하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750칼로리를 방출하는 데 걸리는 시간을 1시간으로 가정하고 계산하면 된다.

    750칼로리를 방출하는 데 걸리는 시간은, 1칼로리당 4.186줄로 계산하면, 750칼로리 / 4.186줄 = 179.1초이다.

    따라서 이 냉동기의 냉동능력은 50kg을 179.1초 동안 얼리는 것과 같으므로, 1시간 동안 50kg x 3600초/179.1초 = 1000kg을 얼리는 냉동기의 냉동능력은 1000kg/1000kg = 1 냉동톤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1.4 냉동톤"이 아니라 "1 냉동톤"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증발식 응축기의 보급수량의 결정요인과 관계가 없는 것은?

  1. 냉각수 상ㆍ하부의 온도차
  2. 냉각할 때 소비한 증발수량
  3. 탱크내의 불순물의 농도를 증가시키지 않기 위한 보급 수량
  4. 냉각공기와 함께 외부로 비산되는 소비수량
(정답률: 53%)
  • 냉각수 상ㆍ하부의 온도차는 증발식 응축기의 보급수량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증발식 응축기의 보급수량은 탱크내의 불순물의 농도를 증가시키지 않기 위한 보급 수량, 냉각할 때 소비한 증발수량, 냉각공기와 함께 외부로 비산되는 소비수량 등과 관련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공기열원 열펌프 장치를 여름철에 냉방 운전할 때 외기의 건구온도가 저하하면 일어나는 현상으로 올바른 것은?

  1. 응축압력이 상승하고, 장치의 소비전력이 증가한다.
  2. 응축압력이 상승하고, 장치의 소비전력이 감소한다.
  3. 응축압력이 저하하고, 장치의 소비전력이 증가한다.
  4. 응축압력이 저하하고, 장치의 소비전력이 감소한다.
(정답률: 61%)
  • 공기열원 열펌프 장치를 냉방 운전할 때 외기의 건구온도가 저하하면, 냉매의 온도가 낮아지게 되어 응축압력이 저하하게 됩니다. 이는 장치 내부에서 냉매의 압축 작업을 덜 해도 되기 때문에 소비전력이 감소하게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응축압력이 저하하고, 장치의 소비전력이 감소한다."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다음 중 신재생에너지라고 할 수 없는 것은?

  1. 지열에너지
  2. 태양열에너지
  3. 풍력에너지
  4. 원자력에너지
(정답률: 85%)
  • 원자력에너지는 신재생에너지가 아닙니다. 신재생에너지는 자연적인 자원을 이용하여 생산되는 에너지이며, 원자력은 핵분열을 통해 생산됩니다. 핵분열은 자연적인 자원이 아니며, 방사능 폐기물 문제 등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기 때문에 신재생에너지로 분류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프레온 냉매를 사용하는 냉동장치에 공기가 침입하면 어떤 현상이 일어나는가?

  1. 고압 압력이 높아지므로 냉매 순환량이 많아지고 냉동능력도 증가한다.
  2. 냉동톤당 소요동력이 증가한다.
  3. 고압 압력은 공기의 분압만큼 낮아진다.
  4. 배출가스의 온도가 상승하므로 응축기의 열통과율이 높아지고 냉동능력도 증가한다.
(정답률: 76%)
  • 프레온 냉매를 사용하는 냉동장치에 공기가 침입하면 냉매 순환 시스템 내부의 고압 압력이 높아지게 됩니다. 이는 냉매 순환량이 많아지고 냉동능력도 증가하게 됩니다. 그러나 이로 인해 냉동톤당 소요동력이 증가하게 됩니다. 이는 냉매 순환 시스템 내부의 고압 압력이 높아지면 압축기가 더 많은 일을 해야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냉동장치에 공기가 침입하면 냉동톤당 소요동력이 증가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증기 압축식 냉동장치의 운전 중에 리키드백(액백)이 발생되고 있을 때 나타나는 현상 중 옳은 것은?

  1. 흡입압력이 현저하게 저하한다.
  2. 토출관이 뜨거워진다.
  3. 압축기에 상(箱)이 생긴다.
  4. 압축기의 토출압력이 낮아진다.
(정답률: 68%)
  • 리키드백(액백)이 발생하면 압축기에 액체가 진입하여 압축기 내부의 압력이 급격하게 상승하게 되어 압축기에 상(박스)이 생긴다. 이는 압축기의 내부 구조를 손상시키고, 냉동장치의 성능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된다. 따라서 즉시 조치를 취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공기조화

41. 증기난방 방식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배관방법에 따라 단관식과 복관식이 있다.
  2. 환수방식에 따라 중력환수식과 진공환수식, 가계환수식으로 구분한다.
  3. 제어성이 온수에 비해 양호하다.
  4. 부하기기에서 증기를 응축시켜 응축수만을 배출한다.
(정답률: 67%)
  • "제어성이 온수에 비해 양호하다."는 틀린 설명이다. 실제로는 증기난방 방식은 온도 제어가 어렵기 때문에 제어성이 떨어지는 편이다. 따라서 온도 제어가 중요한 공간에서는 증기난방 방식보다는 물난방 방식이 더 적합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보일러의 수위를 제어하는 궁극적인 목적이라 할 수 있는 것은?

  1. 보일러의 급수장치가 동결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2. 보일러의 연료공급이 잘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3. 보일러가 과열로 인해 손상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4. 보일러에서의 출력을 부하에 따라 조절하기 위하여
(정답률: 75%)
  • 보일러가 과열로 인해 손상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는 보일러 내부의 온도와 수위를 적절하게 조절하여 과열을 방지하고 안전한 운전을 유지하기 위함입니다. 과열이 발생하면 보일러 내부의 부품들이 손상되거나 파손될 수 있으며, 이는 큰 사고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보일러의 수위를 제어하는 것은 보일러의 안전한 운전을 위한 필수적인 작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공기세정기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세정기 단면의 종횡비를 크게 하면 성능이 떨어진다.
  2. 공기세정기의 성능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것은 분무수의 압력이다.
  3. 세정기 출구에는 분무된 물방울의 비산을 방지하기 위해 엘리미네이터를 설치한다.
  4. 스프레이 헤어의 수를 뱅크(bank)라 하고 1본을 1뱅크, 2본을 2뱅크라 한다.
(정답률: 43%)
  • "세정기 단면의 종횡비를 크게 하면 성능이 떨어진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세정기 단면의 종횡비가 크면, 공기가 흐르는 속도가 느려져서 세정 효율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습니다. 따라서, 세정기 단면의 종횡비는 작게 유지하는 것이 좋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다음 조건의 외기와 재순환 공기를 혼합하려고 할 때 혼합공기의 건구온도는 약 얼마인가?

  1. 31.3℃
  2. 28.6℃
  3. 18.6℃
  4. 10.3℃
(정답률: 72%)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900W의 형광등 밑에서 20명이 사무를 보고 있는 사무실의 전 발생열량은 얼마인가? (단, 1인당 인체의 발생열량은 현열 50 kcal/h, 잠열 42 kcal/h, 형광등의 1kW당 발열량은 1000 kcal/h로 한다.)

  1. 1880 kcal/h
  2. 2150 kcal/h
  3. 2740 kcal/h
  4. 3780 kcal/h
(정답률: 59%)
  • 20명의 인체가 발생하는 현열과 잠열의 총 발생열량은 각각 50 kcal/h × 20명 = 1000 kcal/h, 42 kcal/h × 20명 = 840 kcal/h 이다. 따라서 인체의 발생열량 총합은 1000 kcal/h + 840 kcal/h = 1840 kcal/h 이다.

    형광등 1개의 발생열량은 1000 kcal/h 이므로, 900W의 형광등의 발생열량은 1000 kcal/h × 0.9 = 900 kcal/h 이다.

    따라서 전 발생열량은 인체의 발생열량 총합과 형광등의 발생열량을 합한 값인 1840 kcal/h + 900 kcal/h = 2740 kcal/h 이다. 따라서 정답은 "2740 kcal/h"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공기조화설비의 개방식 축열수조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태양열 이용식에서 열회수의 피크시와 난방부하의 피크시가 어긋날 때 이것을 조정할 수 있다.
  2. 값이 비교적 저렴한 심야전력을 이용할 수 있다.
  3. 호텔 등에서 생기는 심야의 부하에 열원의 가동없이 펌프운전만으로 대응할 수 있다.
  4. 공조기에 사용되는 냉수는 냉동기 출구측보다 다소 높게 되어 2차측의 온도차를 크게 할 수 있다.
(정답률: 58%)
  • "공조기에 사용되는 냉수는 냉동기 출구측보다 다소 높게 되어 2차측의 온도차를 크게 할 수 있다."가 틀린 것이 아니라 옳은 것입니다. 이유는 냉수는 냉동기 출구측보다 다소 높은 온도로 사용되기 때문에, 축열수조에서 냉수와 냉장매체가 열교환할 때 2차측의 온도차가 커지게 됩니다. 이는 냉장공간의 냉각 효율을 높여주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공기 중의 악취제거를 위한 공기정화 에어필터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유닛형 필터
  2. 롤형 필터
  3. 활성탄 필터
  4. 고성능 필터
(정답률: 84%)
  • 활성탄 필터는 공기 중의 악취를 흡착하여 제거할 수 있는 능력이 뛰어나기 때문에 공기 중의 악취제거를 위한 공기정화 에어필터로 가장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두께 15cm, 열전도율이 1.4 kcal/mh℃인 철근 콘크리트의 외벽체에 대한 열관류율 (kcal/m2h℃)은 약 얼마인가? (단, 내측표면 열전달률은 8 kcal/m2h℃, 외측 표면 열전달률은 20 kcal/m2h℃ 이다.)

  1. 0.1
  2. 3.5
  3. 5.9
  4. 7.6
(정답률: 69%)
  • 열관류율은 열전도율과 두께, 그리고 내외부 표면의 열전달률에 따라 결정된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다음과 같은 식을 사용할 수 있다.

    열관류율 = 열전도율 x (1 / 내측표면 열전달률 + 두께 / 열전도율 + 외측표면 열전달률)

    여기에 주어진 값들을 대입하면,

    열관류율 = 1.4 x (1 / 8 + 0.15 / 1.4 + 1 / 20) = 3.5 kcal/m2h℃

    따라서, 정답은 "3.5"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습공기 100 kg이 있다. 이 때 혼합되어 있는 수증기의 무게를 2kg 이라고 한다면 공기의 절대습도는 약 얼마인가?

  1. 0.02 kg/kg
  2. 0.002 kg/kg
  3. 0.2 kg/kg
  4. 0.0002 kg/kg
(정답률: 74%)
  • 공기의 절대습도는 공기 중 수증기의 질량 비율을 나타내는 값이다. 따라서 공기 중 수증기의 질량을 공기의 총 질량으로 나누어 계산한다.

    공기의 총 질량 = 100 kg
    수증기의 질량 = 2 kg

    절대습도 = 수증기의 질량 / 공기의 총 질량 = 2 kg / 100 kg = 0.02 kg/kg

    따라서 정답은 "0.02 kg/kg"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온도 25℃, 상대습도 60%의 공기를 32℃로 가열하면 상대습도는 약 몇 %가 되는가? (단, 25℃의 포화수증기압은 23.5 mmHg 이고, 32℃의 포화 수증기압은 35.4 mmHg이다.)

  1. 25%
  2. 40%
  3. 55%
  4. 70%
(정답률: 57%)
  • 공기의 상대습도는 해당 온도에서 포화수증기압 대비 현재 수증기압의 비율로 나타낸다. 따라서, 먼저 25℃에서의 포화수증기압과 현재 수증기압을 구해보자.

    25℃에서의 포화수증기압 = 23.5 mmHg
    현재 수증기압 = 23.5 mmHg x 0.6 (상대습도 60%이므로) = 14.1 mmHg

    이제 32℃에서의 포화수증기압과 현재 수증기압을 구하자.

    32℃에서의 포화수증기압 = 35.4 mmHg
    현재 수증기압 = 14.1 mmHg x (35.4 mmHg / 23.5 mmHg) ≈ 21.3 mmHg

    따라서, 32℃에서의 상대습도는 (21.3 mmHg / 35.4 mmHg) x 100 ≈ 60% x 0.6 / 0.354 ≈ 40%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공기조화기에 걸리는 열부하 요소에 대한 것이다. 적당하지 않은 것은?

  1. 외기부하
  2. 재열부하
  3. 덕트계통에서의 열부하
  4. 배관계통에서의 열부하
(정답률: 67%)
  • 정답: "배관계통에서의 열부하"

    배관계통에서의 열부하는 공기조화기에서 열을 전달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적당한 요소이다. 따라서 적당하지 않은 것은 없다.

    외기부하는 외부 온도와 습도 등의 환경적인 요소로 인해 발생하는 열부하이다.

    재열부하는 공기조화기 내부에서 발생하는 열로, 압축기나 모터 등의 기계적인 요소에서 발생한다.

    덕트계통에서의 열부하는 공기가 덕트를 통해 이동하면서 발생하는 열로, 덕트의 재질과 덕트의 길이, 직경 등이 영향을 미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온수난방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온수의 체적팽창을 고려하여 팽창탱크를 설치한다.
  2. 보일러가 정지하여도 실내온도의 급격한 강하가 적다.
  3. 밀폐식일 경우 배관의 부식이 많아 수명이 짧다.
  4. 방열기에 공급되는 온수 온도와 유량 조절이 용이하다.
(정답률: 72%)
  • 밀폐식일 경우 배관의 부식이 많아 수명이 짧다는 것은 틀린 설명입니다. 온수난방 시스템에서는 물이 순환하면서 산화작용이 일어나 부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밀폐식일 경우에는 외부 공기와 접촉하지 않기 때문에 부식이 적어지는 장점이 있습니다. 따라서, 밀폐식일 경우 배관의 부식이 적어 수명이 더 길어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공기조화방식에서 변풍량 단일덕트 방식의 특징으로 틀린 것은?

  1. 변풍량 유닛을 실별 또는 존(zone)별로 배치함으로써 개별제어 및 존 제어가 가능하다.
  2. 부하변동에 따라서 실내온도를 유지할 수 없으므로 열원설비용 에너지 낭비가 많다.
  3. 송풍기의 풍량제어를 할 수 있으므로 부분 부하시 반송 에너지 소비량을 경감시킬 수 있다.
  4. 동시사용률을 고려하여 기기용량을 결정할 수 있다.
(정답률: 75%)
  • 변풍량 단일덕트 방식은 부하변동에 따라서 실내온도를 유지할 수 없으므로 열원설비용 에너지 낭비가 많다는 것이 특징이 아니라 단점이다. 이 방식은 송풍기의 풍량제어를 할 수 있으므로 부분 부하시 반송 에너지 소비량을 경감시킬 수 있다. 또한 변풍량 유닛을 실별 또는 존(zone)별로 배치함으로써 개별제어 및 존 제어가 가능하며, 동시사용률을 고려하여 기기용량을 결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환기 및 배연설비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환기랑 실내공기의 정화, 발생열의 제거, 산소의 공급, 수증기 제거 등을 목적으로 한다.
  2. 환기는 급기 및 배기를 통하여 이루어진다.
  3. 환기는 자연 환기방식과 기계 환기방식으로 구분할 수 있다.
  4. 배연설비의 주 목적은 화재 후기에 발생하는 연기만을 제거하기 위한 설비이다.
(정답률: 81%)
  • 배연설비의 주 목적은 화재 후기에 발생하는 연기만을 제거하기 위한 설비가 아니라, 건물 내부의 공기를 제거하고 새로운 공기를 공급하여 환기하는 설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다음 중 분진 포집율의 측정법이 아닌 것은?

  1. 비색법
  2. 계수법
  3. 살균법
  4. 중량법
(정답률: 73%)
  • 살균법은 분진의 양을 측정하는 것이 아니라 분진 내에 포함된 미생물의 수를 측정하는 방법이기 때문에 분진 포집율의 측정법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극간풍이 비교적 많고 재실 인원이 적은 실외 중앙공조방식으로 가장 경제적인 방식은?

  1. 변풍량 2종덕트 방식
  2. 팬코일 유닛 방식
  3. 정풍량 2종덕트 방식
  4. 정풍량 단일덕트 방식
(정답률: 56%)
  • 팬코일 유닛 방식은 극간풍이 많고 재실 인원이 적은 실외 중앙공조방식에서 가장 경제적인 방식입니다. 이는 팬코일 유닛이 실내에 설치되어 있어서 냉난방을 직접 제공하기 때문입니다. 또한, 팬코일 유닛 방식은 변풍량이나 정풍량 방식보다 설치 비용이 적고 유지보수 비용도 적습니다. 따라서, 극간풍이 많고 재실 인원이 적은 실외 중앙공조방식에서는 팬코일 유닛 방식이 가장 경제적인 선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에어와셔의 입구공기의 건구온도, 습구온도, 노점온도를 각각 t1, t1', t1'' 라고 하고 출구 수온을 tw2라 할 때 기능을 잘못 나타낸 것은?

  1. 공기냉각 : tw2<t1
  2. 공기감습 : tw2<t1''
  3. 공기가열가습 : tw2>t1'
  4. 공기냉각감습 : t1''<tw2<t1'
(정답률: 57%)
  • "공기가열가습 : tw2>t1'" 이 기능을 잘못 나타낸 것입니다.

    에어와셔는 공기를 냉각하거나 감습하거나 가열하거나 가습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때, 출구 수온인 tw2가 입구공기의 건구온도인 t1보다 낮으면 공기냉각, tw2가 입구공기의 노점온도인 t1''보다 낮으면 공기감습, tw2가 입구공기의 습구온도인 t1'보다 높으면 공기가열가습입니다. 마지막으로, t1''<tw2<t1'인 경우에는 공기냉각감습입니다.

    따라서, "공기냉각감습 : t1''<tw2<t1'" 이 기능을 올바르게 나타낸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개별유닛 방식 중의 하나인 열펌프 유닛 방식의 특징을 설명한 것으로 틀린 것은?

  1. 냉난방부하가 동시에 발생하는 건물에서는 열회수가 가능하다.
  2. 습도제어가 쉽고 필터 효율이 좋다.
  3. 증설, 간벽 변경 등에 대한 대응이 용이하고 공조방식에 융통성이 있다.
  4. 난방목적으로 사용할 때의 성적계수는 냉방시의 경우에 비해 1만큼 더 크다.
(정답률: 47%)
  • "난방목적으로 사용할 때의 성적계수는 냉방시의 경우에 비해 1만큼 더 크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열펌프 유닛 방식은 냉난방부하가 동시에 발생하는 건물에서 열회수가 가능하며, 증설, 간벽 변경 등에 대한 대응이 용이하고 공조방식에 융통성이 있습니다. 또한, 습도제어가 쉽고 필터 효율이 좋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지하의 일정깊이로 내려가면 온도가 거의 일정하다는 원리를 이용하여 에너지를 절감하는 지열을 이용한 히트펌프 방식에 대한 특징 중 틀린 것은?

  1. 시스템을 방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2. 가연성 연료사용으로 인한 폭발이나 화재의 위험이 없다.
  3. 냉난방 비용이 기존 전기나 경유를 이용한 냉난방에 비하여 절약된다.
  4. 연중 냉난방과 온수를 마음대로 사용할 수 없으며 실별 실내온도 조절이 가능하다.
(정답률: 77%)
  • 정답은 "연중 냉난방과 온수를 마음대로 사용할 수 없으며 실별 실내온도 조절이 가능하다."이다. 지열을 이용한 히트펌프 방식은 지하의 일정 깊이로 내려가면 일정한 온도를 유지하는 지열을 이용하여 에너지를 절약하는 방식이다. 이 방식은 가연성 연료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폭발이나 화재의 위험이 없으며, 냉난방 비용이 기존 전기나 경유를 이용한 냉난방에 비해 절약된다. 하지만 연중 냉난방과 온수를 마음대로 사용할 수 없으며, 실내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는 특징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냉온수가 팬코일유닛에 균등하게 공급할 수 있게 하는 역순환방식을 대신하여 설치하는 것은?

  1. 체크밸브
  2. 정유량밸브
  3. 앵글밸브
  4. 삼방밸브
(정답률: 62%)
  • 정유량밸브는 냉온수의 유량을 정확하게 조절하여 균등하게 공급할 수 있기 때문에 역순환방식 대신 설치할 수 있습니다. 체크밸브는 유체의 일방향 흐름을 막는 역할을 하지만, 냉온수의 유량을 조절할 수는 없습니다. 앵글밸브는 유체의 유량을 제한할 수는 있지만, 정확한 유량 조절은 어렵습니다. 삼방밸브는 유체의 흐름을 두 개의 방향으로 전환할 수 있지만, 유량 조절은 어렵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전기제어공학

61. 다음 중 탄성식 압력계에 해당되는 것은?

  1. 경시관식
  2. 환상평형식
  3. 압전기식
  4. 벨로스식
(정답률: 80%)
  • 탄성식 압력계는 압력에 의해 변형되는 탄성체를 이용하여 압력을 측정하는 계기이다. 이 중에서 벨로스식 압력계는 탄성체로서 금속판을 사용하며, 압력에 의해 금속판이 변형되어 발생하는 변위량을 측정하여 압력을 계산한다. 따라서 벨로스식 압력계가 탄성식 압력계에 해당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물체의 위치, 방위, 자세 등의 기계적 변위를 제어량으로 해서 목표값의 임의의 변화에 항상 추종되도록 구성된 제어장치는?

  1. 프로세스제어
  2. 서보기구
  3. 자동조정
  4. 정치제어
(정답률: 84%)
  • 서보기구는 기계적 변위를 제어량으로 사용하여 목표값의 변화에 항상 추종되도록 구성된 제어장치이다. 따라서 물체의 위치, 방위, 자세 등을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어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사용된다. 프로세스 제어는 공정의 변수를 제어하여 원하는 결과를 얻는 것이고, 자동 조정은 제어 시스템이 자동으로 조정되는 것을 의미한다. 정치 제어는 정치적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제어 시스템을 사용하는 것이다. 이에 비해 서보기구는 기계적인 변위를 제어하는 것에 중점을 둔다는 점에서 다른 보기와 구분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전동기의 회전방향을 알기 위한 법칙은?

  1. 플레밍의 오른손법칙
  2. 플레밍의 왼손법칙
  3. 렌츠의 법칙
  4. 암페어의 법칙
(정답률: 72%)
  • 플레밍의 왼손법칙은 전류가 흐르는 도선과 자기장 사이에서 발생하는 힘의 방향을 결정하는 법칙입니다. 왼손의 엄지, 중지, 검지를 수직으로 모으고, 엄지는 전류의 방향, 중지는 자기장의 방향, 검지는 힘의 방향을 가리키면 엄지에서 중지를 향하는 방향이 검지의 방향과 일치합니다. 따라서 전동기의 회전 방향을 알기 위해서는 전류의 방향과 자기장의 방향을 알아야 하며, 이를 플레밍의 왼손법칙으로 결정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어떤 단상 변압기의 무부하시 2차 단자전압이 250 [V]이고, 정격 부하시의 2차 단자전압이 240 [V]일 때 전압 변동률은 약 [%] 인가?

  1. 4.0
  2. 4.17
  3. 5.65
  4. 6.35
(정답률: 40%)
  • 전압 변동률은 (무부하시 2차 단자전압 - 정격 부하시 2차 단자전압) / 정격 부하시 2차 단자전압 x 100 으로 계산할 수 있다. 따라서 (250 - 240) / 240 x 100 = 4.17 이므로 정답은 "4.17"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r=2[Ω]인 저항을 그림과 같이 무한히 연결할 때 ab사이의 합성저항은 몇 [Ω]인가?

  1. 0
  2. .2
  3. 2(1+√3)
(정답률: 71%)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전류계와 전압계는 내부저항이 존재한다. 이 내부저항은 전압 또는 전류를 측정하고자 하는 부하의 저항에 비하여 어떤 특성을 가져야 하는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내부저항이 전류계는 가능한 커야 하며, 전압계는 가능한 작아야 한다.
  2. 내부저항이 전류계는 가능한 커야 하며, 전압계도 가능한 커야 한다.
  3. 내부저항이 전류계는 가능한 작아야 하며, 전압계는 가능한 커야 한다.
  4. 내부저항이 전류계는 가능한 작아야 하며, 전압계도 가능한 작아야 한다.
(정답률: 63%)
  • 전류계는 부하의 전류를 측정하기 위해 회로에 직접 연결되어야 하므로 내부저항이 작을수록 부하에 가해지는 영향이 적어진다. 따라서 내부저항이 작을수록 측정값의 정확도가 높아진다. 반면에 전압계는 부하의 전압을 측정하기 위해 병렬로 연결되어야 하므로 내부저항이 클수록 부하에 가해지는 영향이 적어진다. 따라서 내부저항이 클수록 측정값의 정확도가 높아진다. 따라서 정답은 "내부저항이 전류계는 가능한 작아야 하며, 전압계는 가능한 커야 한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엘리베이터용 전동기로서 필요한 특성이 아닌 것은?

  1. 기동 토크가 클 것
  2. 관성 모멘트가 작을 것
  3. 기동 전류가 클 것
  4. 속도 제어범위가 클 것
(정답률: 59%)
  • 엘리베이터용 전동기는 기동 토크가 크고 관성 모멘트가 작아야 하며, 속도 제어범위가 넓어야 합니다. 그러나 기동 전류가 클 필요는 없습니다. 기동 전류가 클 경우 전력 소모가 많아지고, 전기 요금이 높아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전동기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기동 전류를 최소화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서미스터는 온도가 증가할 때 그 저항은 어떻게 되는가?

  1. 증가한다.
  2. 감소한다.
  3. 임의로 변화한다.
  4. 변화가 전혀 없다.
(정답률: 61%)
  • 서미스터는 온도가 증가할 때 전자의 운동이 더 활발해져서 저항이 감소하기 때문에 저항이 감소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주파수 50[Hz], 슬립 0.2 일 때 회전수가 600[rpm]인 3살 유도전동기의 극수는?

  1. 4
  2. 6
  3. 8
  4. 10
(정답률: 70%)
  • 유도전동기의 회전수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회전수 = (60 * 주파수) / (극수 * (1 - 슬립))

    여기서 회전수와 주파수, 슬립은 문제에서 주어졌고, 극수를 구하면 됩니다.

    600 = (60 * 50) / (극수 * (1 - 0.2))

    극수 = 8

    따라서 정답은 "8"입니다. 이유는 회전수 공식을 이용하여 계산하면서 구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서보기구 제어에 사용되는 검출기기가 아닌 것은?

  1. 전압검출기
  2. 전위차계
  3. 싱크로
  4. 차동변압기
(정답률: 33%)
  • 서보기구 제어에 사용되는 검출기기는 위치, 속도, 가속도 등의 물리량을 검출하여 제어하는데 사용된다. 전압검출기는 전압을 검출하는데 사용되며, 서보기구 제어에 직접적으로 필요한 물리량을 검출하지 않기 때문에 정답이다. 반면에 전위차계, 싱크로, 차동변압기는 위치, 속도, 가속도 등의 물리량을 검출하여 서보기구 제어에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제어계의 구성도에서 시퀀스제어계에는 없고, 피드백 제어계에는 있는 요소는?

  1. 조작량
  2. 목표값
  3. 검출부
  4. 제어대상
(정답률: 79%)
  • 시퀀스제어계는 단순히 순차적으로 작업을 수행하는 제어계이므로 피드백 제어계에 비해 덜 복잡하고 단순합니다. 따라서 시퀀스제어계에는 피드백 제어계에 있는 검출부 요소가 없습니다. 반면에 피드백 제어계는 제어대상의 상태를 검출하고 이를 기반으로 조작량을 조절하는 제어계이므로 검출부 요소가 필수적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검출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전압, 전류, 주파수 등의 양을 주로 제어하는 것으로 응답속도가 빨라야 하는 것이 특징이며, 정전압장치나 발전기 및 조속기의 제어 등에 활용하는 제어방법은?

  1. 서보 제어
  2. 프로세스 제어
  3. 자동조정 제어
  4. 비율 제어
(정답률: 67%)
  • 자동조정 제어는 전압, 전류, 주파수 등의 양을 주로 제어하는 제어 방법으로, 응답속도가 빠르고 정확한 제어가 필요한 경우에 사용됩니다. 이 방법은 정전압장치나 발전기, 조속기 등의 제어에 활용되며, 자동으로 조정되는 기능을 가지고 있어서 운영자의 개입 없이도 시스템이 안정적으로 운영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자동조정 제어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단위 피드백 계통에서 G(s)가 다음과 같을 때 X=2이면 무슨 제동인가?

  1. 과제동
  2. 임계제동
  3. 무제동
  4. 부족제동
(정답률: 49%)
  • X=2일 때 G(s)의 값은 -1이므로, 시스템은 안정적인 상태에서 시작하여도 시간이 지남에 따라 출력이 계속해서 감소하게 된다. 이러한 제동을 부족제동이라고 한다. 부족제동은 시스템의 안정성을 유지하면서 출력을 원하는 값으로 조절하는데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그림과 같은 계전기 접점회로의 논리식은?

  1. XㆍY
  2. X+Y
(정답률: 67%)
  • 이 회로는 X와 Y가 모두 참일 때만 출력이 참이 되는 AND 게이트와, X와 Y 중 하나 이상이 참일 때 출력이 참이 되는 OR 게이트가 연결된 형태이다. 따라서 논리식은 "X AND Y OR (X OR Y)"가 된다. 이를 간소화하면 "X OR Y"가 되고, 이에 해당하는 보기는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PLC프로그래밍에서 여려개의 입력 신호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신호가 ON되었을 때 출력이 나오는 회로는?

  1. AND회로
  2. OR회로
  3. NOT회로
  4. 자기유지회로
(정답률: 84%)
  • OR회로는 여러 입력 중 하나 이상이 ON되면 출력이 ON되는 논리 게이트이다. 따라서 PLC프로그래밍에서 여러 입력 중 하나 이상이 ON되었을 때 출력이 나오는 회로로 OR회로를 사용한다. AND회로는 모든 입력이 ON되어야 출력이 ON되는 논리 게이트이고, NOT회로는 입력과 반대로 출력이 나오는 논리 게이트이다. 자기유지회로는 출력이 ON되면 입력이 OFF되어도 출력이 유지되는 회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입력신호 x(t)와 출력신호 y(t)의 관계가 로 표현되는 것은 어떤 요소인가?

  1. 비례요소
  2. 미분요소
  3. 적분요소
  4. 지연요소
(정답률: 69%)
  • 정답: 미분요소

    미분요소는 입력신호의 변화율에 비례하여 출력신호가 변화하는 요소를 의미한다. 따라서 입력신호 x(t)와 출력신호 y(t)의 관계가 로 표현된다면, 이는 입력신호의 미분값에 비례하여 출력신호가 변화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관계는 시스템의 동적인 특성을 나타내며, 미분방정식으로 모델링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다음은 역률이 cosθ인 교류전력의 백터도이다. 이때 실제로 일을 한 전력은 어느 벡터인가?

  1. A
  2. B
  3. C
  4. B, C
(정답률: 59%)
  • 역률이 cosθ인 교류전력의 백터도에서 실제로 일을 한 전력은 효력인데, 효력은 역률과 유효전력의 곱으로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실제로 일을 한 전력은 역률(cosθ)과 유효전력(1)의 곱인 cosθ이다. 따라서 정답은 "C"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그림과 같은 병렬공진회로에서 수파수를 f라 할 때, 전압 E가 전류 I보다 앞서는 조건은?

(정답률: 44%)
  • 병렬공진회로에서 수파수를 f라 할 때, 전압 E가 전류 I보다 앞서는 조건은 위상각이 0보다 작을 때이다. 위상각은 전압과 전류의 위상차이를 나타내는데, 이 값이 음수면 전압이 전류보다 앞서는 것이다. 따라서 보기 중에서 위상각이 0보다 작은 것은 ""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단상전파 정류로 직류전압 100[V]를 얻으려면 변압기 2차 권선의 상전압은 몇 [V]로 하면 되는가? (단, 부하는 무유도저항이고, 정류회로 및 변압기의 전압강하는 무시한다.)

  1. 90
  2. 111
  3. 141
  4. 200
(정답률: 45%)
  • 단상전파 정류기에서는 입력전압의 2배인 전압이 출력되므로, 직류전압 100[V]를 얻으려면 입력전압은 50[V]가 되어야 합니다. 변압기의 2차 권선의 상전압은 입력전압에 변압비를 곱한 값이므로, 50[V] × √2 ≈ 70.7[V]가 됩니다.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은 "111"이 아니라 "141"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시퀀스 제어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조합 논리회로도 사용된다.
  2. 시간 지연요소도 사용된다.
  3. 유접점 계전기만 사용된다.
  4. 제어결과에 따라 조작이 자동적으로 이행된다.
(정답률: 71%)
  • "유접점 계전기만 사용된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시퀀스 제어에서는 유접점 계전기뿐만 아니라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PLC)나 마이크로컨트롤러 등 다양한 제어장치가 사용됩니다. 이들은 입력 신호를 받아들이고, 내부적으로 프로그래밍된 로직에 따라 출력 신호를 생성하여 시스템을 제어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배관일반

81. 다음 중 온도계를 설치하지 않아도 되는 곳은?

  1. 열교환기
  2. 감압밸브
  3. 냉ㆍ온수 헤어
  4. 냉수코일
(정답률: 77%)
  • 감압밸브는 온도를 측정하는 기능이 없으며, 압력을 조절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온도계를 설치하지 않아도 된다. 따라서 정답은 "감압밸브"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일반적인 급탕부하의 계산에서 1시간의 최대급탕량이 2000L일 때 급탕 부하(kcal/h)는 얼마인가? (단, 급탕온도는 60℃를 기준으로 한다.)

  1. 2000
  2. 72000
  3. 120000
  4. 240000
(정답률: 70%)
  • 급탕 부하(kcal/h) = 급탕량(L/h) x 물의 비열(kcal/L℃) x 온도상승량(℃)

    여기서, 급탕량은 2000L/h, 물의 비열은 1 kcal/L℃이고, 온도상승량은 60℃이므로

    급탕 부하 = 2000 x 1 x 60 = 120000 kcal/h

    따라서, 정답은 "12000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급탕배관에서 강관의 신축을 흡수하기 위한 신축이음쇠의 설치간격으로 적합한 것은?

  1. 10m 이내
  2. 20m 이내
  3. 30m 이내
  4. 40m 이내
(정답률: 50%)
  • 급탕배관에서는 뜨거운 물이 흐르기 때문에 강관이 늘어나게 되는데, 이 때 강관의 신축을 흡수하기 위해 신축이음쇠를 설치해야 합니다. 이음쇠의 설치 간격은 너무 가까우면 강관의 신축을 충분히 흡수하지 못하고, 너무 멀면 강관이 늘어날 때 이음쇠가 부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적절한 간격은 30m 이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배관 및 수도용 동관의 표준 치수에서 호칭지름은 관의 어느 지름을 기준으로 하는가?

  1. 유효지름
  2. 안지름
  3. 중간지름
  4. 바깥지름
(정답률: 70%)
  • 호칭지름은 배관 및 수도용 동관의 바깥지름을 기준으로 한다. 이는 관의 크기를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며, 바깥지름이 가장 큰 지름이기 때문에 가장 쉽게 측정할 수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냉동장치에서 압축기의 진동이 배관에 전달되는 것을 흡수하기 위하여 압축기 토출, 흡입배관 등에 설치해주는 것은?

  1. 팽창밸브
  2. 안전밸브
  3. 수수탱크
  4. 플렉시블 튜브
(정답률: 79%)
  • 플렉시블 튜브는 유연한 소재로 만들어져 있어 압축기의 진동을 흡수하고 배관에 전달되는 것을 막아줍니다. 따라서 냉동장치에서 압축기의 진동이 배관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압축기 토출, 흡입배관 등에 플렉시블 튜브를 설치해줍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다음 중 급탕설비에 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

  1. 급탕배관의 순환방식은 상향순환식, 하향순환식, 상하향 혼용식으로 구분된다.
  2. 물에 증기를 직접 분사시켜 가열하는 기수 혼합식의 사용증기압은 0.01mPa(0.1kgf/cm2)이하가 적당하다.
  3. 가열에 따른 관의 신축을 흡수하기 위하여 팽창탱크를 설치한다.
  4. 강제순환식 급탕배관의 구배는 1/200 이상으로 한다.
(정답률: 58%)
  • 강제순환식 급탕배관은 물을 펌프로 강제순환시켜 가열하는 방식이다. 이때 구배는 물이 움직이는 방향에 따라서 발생하는 수직 하강량을 의미한다. 강제순환식에서는 펌프의 동력을 이용하여 물을 움직이기 때문에 구배가 작으면 펌프의 효율이 떨어지고, 구배가 크면 물이 과도하게 움직여서 파손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강제순환식 급탕배관의 구배는 1/200 이상으로 하는 것이 적당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배수트랩의 봉수파괴 원인 중 트랩 출구 수직배관부에 머리카락이나 실 등이 걸려서 봉수가 파괴되는 현상은?

  1. 사이펀작용
  2. 모세관작용
  3. 흡인작용
  4. 토출작용
(정답률: 84%)
  • 머리카락이나 실 등이 수직배관부에 걸려서 봉수가 파괴되는 현상은 모세관작용 때문입니다. 모세관작용은 물이 흐르는 파이프나 배관에서 작용하는 현상으로, 파이프나 배관의 작은 구멍으로 물이 흐르면 그 주변의 액체 분자들이 파이프나 배관으로 흡입되어 물이 빠르게 흐르게 됩니다. 이러한 모세관작용으로 인해 머리카락이나 실 등이 수직배관부에 걸리면 봉수가 파괴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배관용 패킹재료 선정시 고려해야 할 사항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유체의 압력
  2. 재료의 부식성
  3. 진동의 유무
  4. 시트(seat)면의 형상
(정답률: 79%)
  • 배관용 패킹재료를 선택할 때 고려해야 할 사항으로는 유체의 압력, 재료의 부식성, 진동의 유무, 시트(seat)면의 형상 등이 있다. 그 중에서 시트(seat)면의 형상은 패킹재료와 시트(seat)면 사이의 밀착도와 누출 방지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따라서 시트(seat)면의 형상을 고려하지 않으면 패킹재료와 시트(seat)면 사이에 간극이 생겨 누출이 발생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안전밸브의 그림 기호로 맞는 것은?

(정답률: 72%)
  • 안전밸브의 그림 기호는 "" 이다. 이유는 그림에서 밸브의 상단에 있는 화살표가 밸브의 방향을 나타내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밸브의 모양이 일반적인 밸브와 유사하게 그려져 있어 쉽게 인식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배관에서 지름이 다른 관을 연결할 때 사용하는 것은?

  1. 유니언
  2. 니플
  3. 부싱
  4. 소켓
(정답률: 62%)
  • 부싱은 배관에서 지름이 다른 관을 연결할 때 사용하는 파이프 부속품으로, 한쪽 끝이 큰 지름이고 다른 쪽 끝이 작은 지름으로 되어 있어 지름이 다른 파이프를 연결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정답은 "부싱"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공조설비 중 덕트설계시 주의사항으로 틀린 것은?

  1. 덕트내의 정압손실을 적게 설계할 것
  2. 덕트의 경로는 될 수 있는 한 최장거리로 할 것
  3. 소음 및 진동이 적게 설계할 것
  4. 건물의 구조에 맞도록 설계할 것
(정답률: 89%)
  • "덕트의 경로는 될 수 있는 한 최장거리로 할 것"은 틀린 주의사항입니다. 덕트의 경로는 최단거리로 설계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유는 덕트의 길이가 길어질수록 정압손실이 커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최단거리로 설계하여 정압손실을 최소화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배관계통 중 펌프에서의 공동현상(cavitation)을 방지하기 위한 대책으로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펌프의 설치 위치를 낮춘다.
  2. 회전수를 줄인다.
  3. 양 흡입을 단 흡입으로 바꾼다.
  4. 굴곡부를 적게 하여 흡입관의 마찰 손실수두를 작게 한다.
(정답률: 81%)
  • 양 흡입을 단 흡입으로 바꾸는 것은 공동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대책이 아닙니다. 양 흡입은 두 개 이상의 흡입구를 가지고 있는 경우로, 이 경우에는 펌프의 성능이 저하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공동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대책으로는 펌프의 설치 위치를 낮추거나 회전수를 줄이는 것, 굴곡부를 적게 하여 흡입관의 마찰 손실수두를 작게 하는 것 등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다음 보기에서 설명하는 통기관 설비 방식으로 적합한 것은?

  1. 섹스티아(sextia)방식
  2. 소벤트(sovent)방식
  3. 각개통기 방식
  4. 신정통기 방식
(정답률: 71%)
  • 섹스티아(sextia)방식은 통기관 내부에 회전하는 원판을 이용하여 공기를 분리하는 방식으로, 다른 방식에 비해 소음이 적고 유지보수가 용이하며 고속도로 등 교통량이 많은 도로에서 적합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저온 열 교환기용 강관의 KS기호로 맞는 것은?

  1. STBH
  2. STHA
  3. SPLT
  4. STLT
(정답률: 60%)
  • 저온 열 교환기용 강관은 내부 압력이 낮고, 저온에서도 높은 내식성과 내구성을 가지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에 따라 KS 기호에서 ST는 "Steel Tube"을 의미하며, LT는 "Low Temperature"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STLT는 저온에서도 내식성과 내구성이 뛰어난 강관으로, 저온 열 교환기에 적합한 강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진공환수식 증기난방 설비에서 흡상이음(lift fitting)시 1단의 흡상높이로 적당한 것은?

  1. 1.5m 이내
  2. 2.5m 이내
  3. 3.5m 이내
  4. 4.5m 이내
(정답률: 75%)
  • 진공환수식 증기난방 설비에서 흡상이음(lift fitting)시 1단의 흡상높이는 1.5m 이내여야 합니다. 이는 흡입력과 증기의 밀도, 압력 등을 고려하여 적절한 높이로 설정되기 때문입니다. 너무 높게 설정하면 흡입력이 부족하여 효율이 떨어지고, 너무 낮게 설정하면 증기의 밀도와 압력 등이 감소하여 효율이 떨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적절한 흡상높이를 설정하여 효율적인 운전이 가능하도록 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급수방식 중 대규모의 급수 수요에 대응이 용이하고 단수시에도 일정량의 급수를 계속할 수 있으며 거의 일정한 압력으로 항상 급수되는 방식은?

  1. 양수 펌프식
  2. 수도 직결식
  3. 고가 탱크식
  4. 압력 탱크식
(정답률: 70%)
  • 고가 탱크식은 물을 높은 곳에 있는 탱크에 저장해두고, 그 탱크에 있는 물의 높이를 이용해 일정한 압력으로 물을 공급하는 방식입니다. 이 방식은 대규모의 급수 수요에 대응이 용이하고, 단수시에도 일정량의 급수를 계속할 수 있어서 신뢰성이 높습니다. 또한, 물의 높이를 이용하기 때문에 거의 일정한 압력으로 항상 급수되어 사용자들이 불편함을 느끼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도시가스의 제조소 및 공급소 밖의 배관 표시기준에 관한 내용으로 틀린 것은?

  1. 가스배관을 지상에 설치할 경우에는 배관의 표면색상을 황색으로 표시한다.
  2. 최고사용압력이 중압인 가스배관을 매설할 경우에는 황색으로 표시한다.
  3. 배관을 지하에 매설하는 경우에는 그 배관이 매설되어 있음을 명확하게 알 수 있도록 표시한다.
  4. 배관의 외부에 사용가스명, 최고사용압력 및 가스의 흐름발향을 표시하여야 한다. 다만, 지하에 매설하는 경우에는 흐름방향을 표시하지 아니할 수 있다.
(정답률: 60%)
  • "최고사용압력이 중압인 가스배관을 매설할 경우에는 황색으로 표시한다."가 틀린 것이 아닙니다. 이는 올바른 내용입니다. 최고사용압력이 중압인 가스배관은 황색으로 표시하여야 합니다. 이는 안전상의 이유로, 해당 배관이 가스의 최고압력을 견딜 수 있는 배관임을 알리기 위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다음 보기에서 설명하는 급수공급 방식은?

  1. 부스터방식
  2. 층별식 급수 조닝방식
  3. 고가수조방식
  4. 압력수조방식
(정답률: 78%)
  • 이 그림은 지하수나 상수를 이용하여 건물의 높이에 따라 층별로 물을 공급하는 "층별식 급수 조닝방식" 중에서도 부스터펌프를 이용하여 물의 압력을 높여 공급하는 방식입니다. 부스터펌프는 물의 유속을 높여서 물의 압력을 높이는 역할을 하며, 이를 이용하여 높은 층에 있는 건물에도 충분한 물을 공급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냉동설비에서 응축기의 냉각용수를 다시 냉각시키는 장치를 무엇이라 하는가?

  1. 냉각탑
  2. 냉동실
  3. 증발기
  4. 팽창탱크
(정답률: 84%)
  • 냉동설비에서 응축기에서 추출된 냉각용수는 열을 흡수하여 뜨거워지게 됩니다. 이 뜨거운 냉각용수를 다시 냉각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장치가 바로 냉각탑입니다. 냉각탑은 물을 이용하여 뜨거운 냉각용수를 흐르게 하여 열을 방출시키고, 냉각된 물은 다시 응축기로 돌아가 냉각용수로 사용됩니다. 따라서 냉각탑은 냉동설비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장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가스 공급방식으로 저압 공급방식의 특징 중 옳지 않은 것은?

  1. 수요량의 변동과 거리에 따라 공급압력이 변동한다.
  2. 홀더압력을 이용해 저압배관만으로 공급하므로 공급계통이 비교적 간단하다.
  3. 공급구역이 좁고 공급량이 적은 경우에 적합하다.
  4. 가스의 공급압력은 0.2~0.5Mpa(2~5kgf/cm2)정도 이다.
(정답률: 72%)
  • 가스의 공급압력이 0.2~0.5Mpa(2~5kgf/cm2)정도인 것은 옳은 설명이다. 따라서 정답은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