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과목: 기계열역학
1. 4kg의 공기를 온도 15℃에서 일정 체적으로 가열하여 엔트로피가 3.35 kJ/K 증가하였다. 가열 후 온도는 어느 것에 가장 가까운가? (단, 공기의 정적 비열은 0.717 kJ/kg℃ 이다.)
2. 전류 25A, 전압 13V를 가하여 축전지를 충전하고 있다. 충전하는 동안 축전지로부터 15W의 열손실이 있다. 축전지의 내부에너지는 어떤 비율로 변하는가?
3. 어떤 사람이 만든 열기관을 대기압 하에서 물의 빙점과 비등점 사이에서 운전할 때 열효율이 28.6% 였다고 한다. 다음에서 옳은 것은?
4. 1 kg의 공기가 압력 P1=100kPa, 온도 t1=20℃의 상태로부터 P2=200kPa, 온도 t2=100℃의 상태로 변화하였다면 체적은 약 몇 배로 되는가?
5. 기체가 167 kJ의 열을 흡수하고 동시에 외부로 20kJ의 일을 했을 때, 내부에너지의 변화는?
6. 성능계수가 3.2인 냉동기가 시간당 20MJ의 열을 흡수한다. 이 냉동기를 작동하기 위한 동력은 몇 kW인가?
7. 이상기체를 단열팽창시키면 온도는 어떻게 되는가?
8. 가정용 냉장고를 이용하여 겨울에 난방을 할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면 이 주장은 이론적으로 열역학 법칙과 어떠한 관계를 갖겠는가?
9. 표준 대기압, 온도 100℃ 하에서 포화액체 물 1kg이 포화증기로 변하는데 열 2255 kJ이 필요하였다. 이 증발과정에서 엔트로피(entropy)의 증가량은 얼마인가?
10. 밀폐시스템에서 초기 상태가 300K, 0.5 m3인 공기를 등온과정으로 150 kPa에서 600 kPa까지 천천히 압축 하였다. 이 과정에서 공기를 압축하는데 필요한 일은 약 몇 kJ인가?
11. 다음 중 이상적인 오토사이클의 효율을 증가시키는 방안으로 맞는 것은?
12. 25℃, 0.01 MPa 압력의 물 1kg을 5 MPa 압력의 보일러로 공급할 때 펌프가 가역단열 과정으로 작용한다면 펌프에 필요한 일의 양에 가장 가까운 값은? (단, 울의 비체적은 0.001 m3/kg이다.)
13. 출력 10000 kW의 터빈 폴랜트의 매시 연료소비량이 5000 kg/hr 이다. 이 플랜트의 열효율은? (단, 연료의 발열량은 33440 kJ/kg 이다.)
14. 초기에 온도 T, 압력 P 상태의 기체의 질량 m이 들어있는 견고한 용기에 같은 기체를 추가로 주입하여 질량 3m이 온도 2T 상태로 들어있게 되었다. 최종 상태에서 압력은? (단, 기체는 이상기체이다.)
15. 다음 정상유동 기기에 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
16. 온도가 127℃, 압력이 0.5MPa, 비체적이 0.4m3/kg 인 이상기체가 같은 압력 하에서 비체적이 0.3m3/kg으로 되었다면 온도는 약 몇 ℃ 인가?
17. 온도 5℃와 35℃ 사이에서 작동되는 냉동기의 최대 성능계수는?
18. 흡수식 냉동기에서 고온의 열을 필요로 하는 곳은?
19. 다음의 기본 랭킨 사이클의 보일러에서 가하는 열량을 엔탈피의 값으로 표시하였을 때 올바른 것은? (단, h는 엔탈피이다.)
20. 포화상태량 표를 참조하여 온도 -42.5℃, 압력 100 kPa 상태의 암모니아 엔탈피는 구하면?
2과목: 냉동공학
21. 1RT의 냉방능력을 얻기 위해서는 개략적으로 냉방능력의 20%에 상당하는 압축동력을 필요로 한다. 이 경우 수냉식 응축기를 사용하고 냉각수 입구수온 tw1=28℃, 출구온도 tw2=33℃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얼마의 냉각수량을 필요로 하는가?
22. 냉장고의 방열벽의 열통과율이 0.131 kcal/m2h℃일 때 방열벽의 두께는 약 몇 cm인가? (단, 외기와 외벽면과의 열전달률 : 20 kcal/m2h℃, 고내 공기와 내벽면과의 열전달률 : 10 kcal/m2h℃, 방열재의 열전도율 0.04kcal/mh℃ 이다. 또 방열재 이외의 열전도 저항은 무시하는 것으로 한다.)
23. 다음 중 냉동장치의 액분리기와 유분리기의 설치 위치를 올바르게 나타낸 것은?
24. 암모니아 냉매의 누설검지에 대한 성명으로 잘못된 것은?
25. 유분리기를 반드시 사용하지 않아도 되는 경우는?
26. 수냉 패키지형 공조기의 냉각수 온도를 측정하였더니 입구온도 32℃, 출구온도 37℃, 수량 70L/min였다. 이 밀폐형 압축기의 소요동력이 5kW일 때 이 공조기의 냉동능력은 몇 kcal/h인가? (단, 열손실은 무시한다.)
27. 고압가스 제상장치에서 필요 없는 것은?
28. 나선상의 관에 냉매를 통과시키고 그 나선관을 원형 또는 구형의 수조에 담그고, 물을 순환시켜서 냉각하는 방식의 응축기는?
29. 증발기내의 압력에 의해 작동하는 팽창밸브는?
30. 물(H2O)-리튬브로마이드(LiBr) 흡수식 냉동기 설명 중 잘못된 것은?
31. 이상적 냉동사이클의 상태변화 순서를 표현한 것 중 옳은 것은?
32. 제빙에 필요한 시간을 구하는 식으로 과 같은 식이 사용된다. 이 식에서 a와 b가 의미하는 것은?
33. 30RT, R-22 냉동기에서 증발기입구온도엔탈피 97kcal/kg, 출구엔탈피 147kcal/kg, 응축기입구엔탈피 151 kcal/kg 이다. 이 냉동기의 냉동효과는 얼마인가?
34. 어떤 냉장고의 증발기가 냉매와 공기의 평균온도차가 8℃로 운전되고 있다. 이때 증발기의 열통과율이 20 kcal/m2h℃ 라고 하면 1냉동통당 증발기의 소요 외표면적은 몇 m2 인가?
35. 15℃의 물로부터 0℃의 얼음을 매시 50kg을 만드는 냉동기의 냉동능력은 약 몇 냉동톤인가?
36. 증발식 응축기의 보급수량의 결정요인과 관계가 없는 것은?
37. 공기열원 열펌프 장치를 여름철에 냉방 운전할 때 외기의 건구온도가 저하하면 일어나는 현상으로 올바른 것은?
38. 다음 중 신재생에너지라고 할 수 없는 것은?
39. 프레온 냉매를 사용하는 냉동장치에 공기가 침입하면 어떤 현상이 일어나는가?
40. 증기 압축식 냉동장치의 운전 중에 리키드백(액백)이 발생되고 있을 때 나타나는 현상 중 옳은 것은?
3과목: 공기조화
41. 증기난방 방식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42. 보일러의 수위를 제어하는 궁극적인 목적이라 할 수 있는 것은?
43. 공기세정기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44. 다음 조건의 외기와 재순환 공기를 혼합하려고 할 때 혼합공기의 건구온도는 약 얼마인가?
45. 900W의 형광등 밑에서 20명이 사무를 보고 있는 사무실의 전 발생열량은 얼마인가? (단, 1인당 인체의 발생열량은 현열 50 kcal/h, 잠열 42 kcal/h, 형광등의 1kW당 발열량은 1000 kcal/h로 한다.)
46. 공기조화설비의 개방식 축열수조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47. 공기 중의 악취제거를 위한 공기정화 에어필터로 가장 적합한 것은?
48. 두께 15cm, 열전도율이 1.4 kcal/mh℃인 철근 콘크리트의 외벽체에 대한 열관류율 (kcal/m2h℃)은 약 얼마인가? (단, 내측표면 열전달률은 8 kcal/m2h℃, 외측 표면 열전달률은 20 kcal/m2h℃ 이다.)
49. 습공기 100 kg이 있다. 이 때 혼합되어 있는 수증기의 무게를 2kg 이라고 한다면 공기의 절대습도는 약 얼마인가?
50. 온도 25℃, 상대습도 60%의 공기를 32℃로 가열하면 상대습도는 약 몇 %가 되는가? (단, 25℃의 포화수증기압은 23.5 mmHg 이고, 32℃의 포화 수증기압은 35.4 mmHg이다.)
51. 공기조화기에 걸리는 열부하 요소에 대한 것이다. 적당하지 않은 것은?
52. 온수난방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53. 공기조화방식에서 변풍량 단일덕트 방식의 특징으로 틀린 것은?
54. 환기 및 배연설비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55. 다음 중 분진 포집율의 측정법이 아닌 것은?
56. 극간풍이 비교적 많고 재실 인원이 적은 실외 중앙공조방식으로 가장 경제적인 방식은?
57. 에어와셔의 입구공기의 건구온도, 습구온도, 노점온도를 각각 t1, t1', t1'' 라고 하고 출구 수온을 tw2라 할 때 기능을 잘못 나타낸 것은?
58. 개별유닛 방식 중의 하나인 열펌프 유닛 방식의 특징을 설명한 것으로 틀린 것은?
59. 지하의 일정깊이로 내려가면 온도가 거의 일정하다는 원리를 이용하여 에너지를 절감하는 지열을 이용한 히트펌프 방식에 대한 특징 중 틀린 것은?
60. 냉온수가 팬코일유닛에 균등하게 공급할 수 있게 하는 역순환방식을 대신하여 설치하는 것은?
4과목: 전기제어공학
61. 다음 중 탄성식 압력계에 해당되는 것은?
62. 물체의 위치, 방위, 자세 등의 기계적 변위를 제어량으로 해서 목표값의 임의의 변화에 항상 추종되도록 구성된 제어장치는?
63. 전동기의 회전방향을 알기 위한 법칙은?
64. 어떤 단상 변압기의 무부하시 2차 단자전압이 250 [V]이고, 정격 부하시의 2차 단자전압이 240 [V]일 때 전압 변동률은 약 [%] 인가?
65. r=2[Ω]인 저항을 그림과 같이 무한히 연결할 때 ab사이의 합성저항은 몇 [Ω]인가?
66. 전류계와 전압계는 내부저항이 존재한다. 이 내부저항은 전압 또는 전류를 측정하고자 하는 부하의 저항에 비하여 어떤 특성을 가져야 하는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67. 엘리베이터용 전동기로서 필요한 특성이 아닌 것은?
68. 서미스터는 온도가 증가할 때 그 저항은 어떻게 되는가?
69. 주파수 50[Hz], 슬립 0.2 일 때 회전수가 600[rpm]인 3살 유도전동기의 극수는?
70. 서보기구 제어에 사용되는 검출기기가 아닌 것은?
71. 제어계의 구성도에서 시퀀스제어계에는 없고, 피드백 제어계에는 있는 요소는?
72. 전압, 전류, 주파수 등의 양을 주로 제어하는 것으로 응답속도가 빨라야 하는 것이 특징이며, 정전압장치나 발전기 및 조속기의 제어 등에 활용하는 제어방법은?
73. 단위 피드백 계통에서 G(s)가 다음과 같을 때 X=2이면 무슨 제동인가?
74. 그림과 같은 계전기 접점회로의 논리식은?
75. PLC프로그래밍에서 여려개의 입력 신호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신호가 ON되었을 때 출력이 나오는 회로는?
76. 입력신호 x(t)와 출력신호 y(t)의 관계가 로 표현되는 것은 어떤 요소인가?
77. 다음은 역률이 cosθ인 교류전력의 백터도이다. 이때 실제로 일을 한 전력은 어느 벡터인가?
78. 그림과 같은 병렬공진회로에서 수파수를 f라 할 때, 전압 E가 전류 I보다 앞서는 조건은?
79. 단상전파 정류로 직류전압 100[V]를 얻으려면 변압기 2차 권선의 상전압은 몇 [V]로 하면 되는가? (단, 부하는 무유도저항이고, 정류회로 및 변압기의 전압강하는 무시한다.)
80. 시퀀스 제어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5과목: 배관일반
81. 다음 중 온도계를 설치하지 않아도 되는 곳은?
82. 일반적인 급탕부하의 계산에서 1시간의 최대급탕량이 2000L일 때 급탕 부하(kcal/h)는 얼마인가? (단, 급탕온도는 60℃를 기준으로 한다.)
83. 급탕배관에서 강관의 신축을 흡수하기 위한 신축이음쇠의 설치간격으로 적합한 것은?
84. 배관 및 수도용 동관의 표준 치수에서 호칭지름은 관의 어느 지름을 기준으로 하는가?
85. 냉동장치에서 압축기의 진동이 배관에 전달되는 것을 흡수하기 위하여 압축기 토출, 흡입배관 등에 설치해주는 것은?
86. 다음 중 급탕설비에 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
87. 배수트랩의 봉수파괴 원인 중 트랩 출구 수직배관부에 머리카락이나 실 등이 걸려서 봉수가 파괴되는 현상은?
88. 배관용 패킹재료 선정시 고려해야 할 사항으로 거리가 먼 것은?
89. 안전밸브의 그림 기호로 맞는 것은?
90. 배관에서 지름이 다른 관을 연결할 때 사용하는 것은?
91. 공조설비 중 덕트설계시 주의사항으로 틀린 것은?
92. 배관계통 중 펌프에서의 공동현상(cavitation)을 방지하기 위한 대책으로 해당되지 않는 것은?
93. 다음 보기에서 설명하는 통기관 설비 방식으로 적합한 것은?
94. 저온 열 교환기용 강관의 KS기호로 맞는 것은?
95. 진공환수식 증기난방 설비에서 흡상이음(lift fitting)시 1단의 흡상높이로 적당한 것은?
96. 급수방식 중 대규모의 급수 수요에 대응이 용이하고 단수시에도 일정량의 급수를 계속할 수 있으며 거의 일정한 압력으로 항상 급수되는 방식은?
97. 도시가스의 제조소 및 공급소 밖의 배관 표시기준에 관한 내용으로 틀린 것은?
98. 다음 보기에서 설명하는 급수공급 방식은?
99. 냉동설비에서 응축기의 냉각용수를 다시 냉각시키는 장치를 무엇이라 하는가?
100. 가스 공급방식으로 저압 공급방식의 특징 중 옳지 않은 것은?
ΔS = Q/T
여기서 ΔS는 엔트로피 변화량, Q는 열 흡수량, T는 절대온도이다.
따라서,
Q = ΔS x T = 3.35 kJ/K x T
다음으로, 공기의 정적 비열과 가열된 공기의 질량을 이용하여 가열에 필요한 열량을 구해야 한다.
Q = m x c x ΔT
여기서 Q는 열량, m은 가열된 공기의 질량, c는 공기의 정적 비열, ΔT는 온도 변화량이다.
따라서,
Q = 4 kg x 0.717 kJ/kg℃ x (T - 15℃)
두 식을 연립하여 T에 대해 풀면,
3.35 kJ/K x T = 4 kg x 0.717 kJ/kg℃ x (T - 15℃)
T = 927 K
따라서, 가열 후 온도는 927 K에 가장 가깝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