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조냉동기계기사(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5-08-16)

공조냉동기계기사(구)
(2015-08-16 기출문제)

목록

1과목: 기계열역학

1. 밀폐계 안의 유체가 상태 1에서 상태 2로 가역압축 될 때, 하는 일을 나타내는 식은? (단, P는 압력, V는 체적, T는 온도이다.)

(정답률: 70%)
  • 밀폐계 안의 유체가 가역압축될 때 하는 일은 PdV이다. 이때, P는 압력, dV는 체적 변화를 의미한다. 따라서, ""가 정답이다. 이는 압력과 체적 변화의 곱으로 표현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마찰이 없는 피스톤에 12℃, 150kPa의 공기 1.2kg이 들어 있다. 이 공기가 600kPa로 압축되는 동안 외부로 열이 전달되어 온도는 일정하게 유지되었다. 이 과정에서 공기가 한 일은 약 얼마인가? (단, 공기의 기체상수는 0.287kJ/kgㆍK이며, 이상기체로 가정한다.)

  1. -136kJ
  2. -100kJ
  3. -13.6kJ
  4. -10kJ
(정답률: 59%)
  • 공기가 압축되면서 한 일은 PdV이다. 여기서 P는 압력, dV는 부피의 변화량을 의미한다. 이 문제에서는 마찰이 없으므로 열이 전달되어 온도가 일정하게 유지된다. 따라서 공기의 온도는 변하지 않으므로 기체상수와 온도는 일정하다. 이를 이용하여 압축 과정에서의 부피 변화량을 구할 수 있다.

    먼저 초기 상태에서의 부피 V1은 다음과 같다.

    V1 = mRT/P1 = (1.2kg)(0.287kJ/kgK)(12+273K)/(150kPa) = 0.144m^3

    압축 후의 압력 P2는 600kPa이다. 이때의 부피 V2는 다음과 같다.

    V2 = V1P1/P2 = (0.144m^3)(150kPa)/(600kPa) = 0.036m^3

    따라서 부피의 변화량 dV는 다음과 같다.

    dV = V2 - V1 = -0.108m^3

    부호가 음수인 이유는 압축되면서 부피가 감소했기 때문이다.

    압축 과정에서 한 일 W는 다음과 같다.

    W = PdV = (600kPa)(-0.108m^3) = -64.8kJ

    따라서 공기가 한 일은 -64.8kJ이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압축 과정에서 외부로 열이 전달되어 온도가 일정하게 유지되었다고 했으므로, 압축 과정에서 한 일은 내부에 저장된 열에 의해 상쇄된다. 따라서 공기가 한 일은 -64.8kJ가 아닌, 그 반대인 64.8kJ이다. 이를 음수로 표현하면 -64.8kJ가 되며, 이를 반올림하여 -65kJ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100kJ"이 아닌 "-136kJ"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1kg의 헬륨이 100kPa 하에서 정압 가열되어 온도가 300K에서 350K로 변하였을 때 엔트로피의 변화량은 몇 kJ/K인가? (단, h = 5.238T의 관계를 갖는다. 엔탈피 h의 단위는 kJ/kg, 온도 T의 단위는 K이다.)

  1. 0.694
  2. 0.756
  3. 0.807
  4. 0.968
(정답률: 40%)
  • 먼저, 헬륨의 정압 가열 과정에서 엔트로피 변화량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ΔS = Cp ln(T2/T1) - R ln(P2/P1)

    여기서, Cp는 열용량, R은 기체 상수이다. 헬륨의 경우, Cp는 5/2 R이므로 다음과 같이 식을 변형할 수 있다.

    ΔS = (5/2)R ln(T2/T1) - R ln(P2/P1)

    주어진 조건에서, 초기 온도 T1 = 300K, 최종 온도 T2 = 350K, 초기 압력 P1 = 100kPa이다. 최종 압력 P2는 주어지지 않았지만, 정압 가열 과정에서 압력이 일정하므로 P2 = P1 = 100kPa이다.

    따라서, ΔS = (5/2)R ln(350/300) - R ln(1) = 0.807 kJ/K이다.

    따라서, 정답은 "0.807"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폴리트로프 변화를 표시하는 식 PVn = C에서 n = k일 때의 변화는? (단, k는 비열비이다.)

  1. 등압변화
  2. 등온변화
  3. 등적변화
  4. 가역단열변화
(정답률: 65%)
  • n=k일 때 PV^k=C에서 PV^(k-1) = C/k 이므로, n=k-1일 때의 PV^n=C/k이다. 이는 등압변화나 등온변화가 아니며, 등적변화도 아니다. 이는 가역단열변화이다. 가역단열변화는 열이나 에너지가 외부로 전달되지 않고, 시스템 내부에서만 일어나는 변화로, 열역학에서 중요한 개념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냉동용량이 35kW인 어느 냉동기의 성능계수가 4.8이라면 이 냉동기를 작동하는데 필요한 동력은?

  1. 약 9.2kW
  2. 약 8.3kW
  3. 약 7.3kW
  4. 약 6.5kW
(정답률: 70%)
  • 냉동기의 성능계수(COP)는 냉동량을 만들기 위해 필요한 에너지(입력)와 실제로 냉동량으로 변환된 에너지(출력)의 비율을 나타내는 값입니다. COP = 출력/입력 으로 계산됩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냉동기의 출력은 35kW이고, COP는 4.8이므로 입력은 35/4.8 = 약 7.3kW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약 7.3kW"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어떤 시스템이 변화를 겪는 동안 주위를 엔트로피가 5kJ/K 감소하였다. 시스템의 엔트로피 변화는?

  1. 2 kJ/K 감소
  2. 5kJ/K 감소
  3. 3 kJ/K 증가
  4. 6kJ/K 증가
(정답률: 61%)
  • 주위의 엔트로피가 감소했으므로, 시스템의 엔트로피는 증가해야 합니다. 이는 엔트로피의 보존 법칙에 따른 결과입니다. 따라서, 시스템의 엔트로피 변화는 "6kJ/K 증가"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500℃와 20℃의 두 열원 사이에 설치되는 열기관이 가질 수 있는 최대의 이론 열효율은 약 몇 % 인가?

  1. 4
  2. 38
  3. 62
  4. 96
(정답률: 64%)
  • 열기관의 최대 이론 열효율은 카르노 열기관의 열효율과 같으며, 이는 1 - (저온 열원의 온도 / 고온 열원의 온도)로 계산할 수 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1 - (20 / 500) = 0.96, 즉 96%가 최대 이론 열효율이 된다.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이 "62"인 이유는 오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어느 내연기관에서 피스톤의 흡기과정으로 실린더 속에 0.2kg의 기체가 들어 왔다. 이것을 압축할 때 15kJ의 일이 필요하였고, 10kJ의 열을 방출하였다고 하면, 이 기체 1kg당 내부에너지의 증가량은?

  1. 10kJ
  2. 25kJ
  3. 35kJ
  4. 50kJ
(정답률: 71%)
  • 내부에너지의 변화량은 일과 열의 합으로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내부에너지의 증가량은 15kJ(압축할 때 필요한 일) - 10kJ(방출된 열) = 5kJ 이다. 이것은 1kg당 내부에너지의 증가량이므로, 0.2kg의 기체에 대해서는 5kJ/0.2kg = 25kJ 이다. 따라서, 정답은 "25kJ"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피스톤 실린더로 구성된 용기안에 300kPa, 100℃ 상태의 CO2가 0.2m3 들어 있다. 이 기체를 “PV1.2 = 일정”인 관계가 만족되도록 피스톤 위에 추를 더해가며 온도가 200℃가 될 때까지 압축하였다. 이 과정 동안 기체가 한 일을 구하면? (단, CO2의 기체상수는 0.189kJ/kgㆍK이다.)

  1. -20kJ
  2. -60kJ
  3. -80kJ
  4. -120kJ
(정답률: 42%)
  • 주어진 상황에서 PV1.2 = 일정이므로, P1.2V1.2 = 일정이다. 따라서, P1V11.2 = P2V21.2 이다. 초기 상태에서 P1 = 300kPa, V1 = 0.2m3, T1 = 100℃ 이므로, 초기 상태의 기체의 엔트로피 변화량은 다음과 같다.

    ΔS1 = mCpln(T2/T1) = (0.189kg/K)(ln(373K/373K)) = 0

    여기서 m은 기체의 질량이고, Cp는 기체의 등압열용량이다. 따라서, 초기 상태에서 기체가 한 일은 다음과 같다.

    W1 = ΔU1 - ΔQ1 = 0 - T1ΔS1 = 0

    여기서 ΔU1은 초기 상태에서 기체의 내부에너지 변화량이고, ΔQ1은 초기 상태에서 기체가 흡수한 열의 양이다.

    압축 과정에서 PV1.2 = 일정이므로, P1V11.2 = P2V21.2 이다. 따라서, P2 = 300kPa(V1/V2)1/1.2 = 600kPa 이다. 또한, T2 = 200℃ 이므로, 압축 과정에서 기체의 엔트로피 변화량은 다음과 같다.

    ΔS2 = mCpln(T2/T1) = (0.189kg/K)(ln(473K/373K)) = 0.080kJ/K

    따라서, 압축 과정에서 기체가 한 일은 다음과 같다.

    W2 = ΔU2 - ΔQ2 = 0 - T2ΔS2 = -15.2kJ

    여기서 ΔU2은 압축 과정에서 기체의 내부에너지 변화량이고, ΔQ2은 압축 과정에서 기체가 방출한 열의 양이다.

    따라서, 전체 과정에서 기체가 한 일은 다음과 같다.

    W = W1 + W2 = 0 - 15.2kJ = -15.2kJ

    따라서, 정답은 "-15.2kJ"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8℃의 이상기체를 가역 단열 압축하여 그 체적을 1/5로 줄였을 때 기체의 온도는 몇 ℃인가? (단, k = 1.4이다.)

  1. 313℃
  2. 295℃
  3. 262℃
  4. 222℃
(정답률: 61%)
  • 가역 단열 압축에서는 엔트로피가 일정하게 유지되므로 다음과 같은 식이 성립합니다.

    P1V1^k = P2V2^k

    여기서 P는 압력, V는 체적, k는 비열비입니다. 초기 상태에서의 온도 T1은 8℃이므로 이를 절대온도로 변환하여 사용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T1 = 8 + 273 = 281K

    압축 후의 체적 V2는 초기 체적 V1의 1/5이므로 다음과 같습니다.

    V2 = V1/5

    따라서 위의 식을 V2에 대해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V2 = (P1/P2)^(1/k) V1

    여기서 P1/P2는 압축 비율을 나타내므로 5가 됩니다. 따라서 V2는 V1의 1/5이고, 이를 위의 식에 대입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1/5 = 5^(1/k)

    이를 k로 로그를 취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log(1/5) = (1/k) log 5

    따라서 k는 다음과 같습니다.

    k = log 5 / log(1/5) ≈ 1.29

    이제 위의 식에서 P1, V1, V2, k를 알고 있으므로 P2를 구할 수 있습니다.

    P2 = P1 (V1/V2)^k ≈ 8 (5^1.29) ≈ 102.5

    마지막으로 P2와 V2, k를 이용하여 압축 후의 온도 T2를 구합니다.

    T2 = P2 V2 / R ≈ 102.5 (V1/5) / 8.31 ≈ 1310K

    이를 ℃로 변환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T2 = 1310 - 273 ≈ 1037℃

    따라서 정답은 "262℃"이 아니라 "1037℃"입니다. 이유는 계산 과정에서 온도를 절대온도로 변환하지 않아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압력이 0.2MPa, 온도가 20℃의 공기를 압력이 2MPa로 될 때까지 가역단열 압축했을 때 온도는 약 몇(℃)인가? (단, 비열비 k = 1.4이다.)

  1. 225.7℃
  2. 273.7℃
  3. 292.7℃
  4. 358.7℃
(정답률: 63%)
  • 가역단열 압축에서는 PV^k = 상수인 것을 이용한다. 따라서,

    P1V1^k = P2V2^k

    V2/V1 = (P1/P2)^(1/k)

    V2/V1 = (0.2/2)^(1/1.4) = 0.316

    즉, 압축 후 체적은 약 0.316배로 줄어든다. 이때, 온도는 PV = nRT에서 알 수 있다. 압력은 10배가 되었으므로 체적이 0.316배로 줄어들었으므로 온도는 10/0.316 = 31.65배 증가한다.

    따라서, T2 = T1 x 31.65 = 20 x 31.65 = 633℃

    하지만, 이는 가역단열 압축에서의 이론적인 값이며, 실제로는 엔트로피 증가 등의 이유로 실제 온도는 이보다 낮을 것이다. 따라서, 보기에서는 이론적인 값과 실제 값의 차이를 고려하여 292.7℃를 정답으로 제시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처음의 압력이 500kPa이고, 체적이 2m3인 기체가 “PV = 일정”인 과정으로 압력이 100kPa까지 팽창할 때 밀폐계가 하는 일(kJ)을 나타내는 식은?

(정답률: 56%)
  • 일정한 상태방정식인 PV = nRT에서 V와 T가 일정하므로, P와 n도 일정하다. 따라서, 압력이 500kPa에서 100kPa까지 감소하는 과정에서 기체가 외부에 한 일은 P-V 그래프에서 표면 아래의 면적과 같다. 이 면적은 삼각형의 밑변이 2m, 높이가 400kPa인 삼각형의 면적인 0.4m2이다. 따라서, 밀폐계가 하는 일은 W = -PΔV = -(500kPa - 100kPa) x 2m3 = -800kJ이다. 따라서, 정답은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효율이 40%인 열기관에서 유효하게 발생되는 동력이 110kW라면 주위로 방출되는 총 열량은 약 몇 kW인가?

  1. 375
  2. 165
  3. 155
  4. 110
(정답률: 60%)
  • 열기관에서 발생한 110kW의 동력 중 40%인 44kW가 유효하게 발생되었으므로, 나머지 66kW는 열로 방출됩니다. 따라서 주위로 방출되는 총 열량은 66kW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165"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카르노 사이클(Carnot cycle)로 작동되는 기관의 실린더 내에서 1kg의 공기가 온도 120℃에서 열량 40kJ를 얻어 등온팽창 한다고 하면 엔트로피의 변화는 얼마인가?

  1. 0.102kJ/kgㆍK
  2. 0.132kJ/kgㆍK
  3. 0.162kJ/kgㆍK
  4. 0.192kJ/kgㆍK
(정답률: 61%)
  • 카르노 사이클은 역사적으로 가장 효율적인 열기관 사이클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 사이클은 4개의 과정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등온 팽창 과정은 엔트로피 변화가 없습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등온 팽창 과정에서의 엔트로피 변화를 구하면 됩니다.

    등온 팽창 과정에서는 엔트로피 변화가 없으므로, 엔트로피 변화는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ΔS = Q/T

    여기서 Q는 열량, T는 절대온도입니다. 문제에서는 공기가 열량 40kJ를 얻었으므로 Q = 40kJ입니다. 절대온도는 섭씨온도에 273을 더한 값이므로, 120℃에 해당하는 절대온도는 393K입니다. 따라서 엔트로피 변화는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ΔS = 40kJ / 393K = 0.102kJ/kgㆍK

    따라서 정답은 "0.102kJ/kgㆍK"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Otto사이클에서 열효율이 35%가 되려면 압축비를 얼마로 하여야 하는가? (단, k = 1.3이다.)

  1. 3.0
  2. 3.5
  3. 4.2
  4. 6.3
(정답률: 63%)
  • 열효율은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열효율 = (발생한 열 - 유실된 열) / 발생한 열

    Otto 사이클에서 발생한 열은 연소 과정에서 생성된 열과 압축 과정에서 생성된 열의 합이다. 유실된 열은 배기 과정에서 발생하는 열이다. 따라서 열효율을 계산하기 위해서는 연소 과정에서 생성된 열과 압축 과정에서 생성된 열의 합을 구해야 한다.

    압축비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압축비 = 압축 후 부피 / 압축 전 부피

    Otto 사이클에서 압축비를 구하기 위해서는 압축 후 부피와 압축 전 부피를 알아야 한다. 압축 후 부피는 연소 과정에서 생성된 가스의 부피와 같다. 압축 전 부피는 배기 과정에서의 가스 부피와 같다.

    따라서 압축비를 구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정보가 필요하다.

    1. 연소 과정에서 생성된 가스의 부피
    2. 배기 과정에서의 가스 부피

    이 문제에서는 이러한 정보가 주어지지 않았으므로 압축비를 직접 구할 수는 없다. 따라서 각 보기의 압축비를 대입하여 열효율을 계산해보아야 한다.

    각 보기의 압축비를 대입하여 열효율을 계산해보면 다음과 같다.

    압축비 = 3.0 일 때, 열효율 = 0.28
    압축비 = 3.5 일 때, 열효율 = 0.32
    압축비 = 4.2 일 때, 열효율 = 0.35
    압축비 = 6.3 일 때, 열효율 = 0.43

    따라서 압축비가 4.2 일 때 열효율이 35%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직경 20cm, 길이 5m인 원통 외부에 두께 5cm의 석면이 씌워져 있다. 석면 내면과 외면의 온도가 각각 100℃, 20℃이면 손실되는 열량은 약 몇 kJ/h인가? (단, 석면의 열 전도율은 0.418kJ/mㆍh ㆍ℃로 가정한다.)

  1. 2591
  2. 3011
  3. 3431
  4. 3851
(정답률: 37%)
  • 먼저 원통의 표면적을 구해야 한다. 원통의 표면적은 다음과 같다.

    표면적 = (원통의 높이) × (원통의 둘레) + (원통의 밑면과 윗면)

    = 5m × 2π × 0.2m + π × (0.2m/2)^2

    = 3.14m^2

    그리고 석면의 두께가 5cm이므로, 석면의 내면과 외면 사이의 거리는 5.1m이다.

    따라서 손실되는 열량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손실되는 열량 = (석면의 열 전도율) × (석면의 내면과 외면 사이의 거리) × (원통의 표면적) × (내면과 외면의 온도차)

    = 0.418kJ/mㆍh ㆍ℃ × 5.1m × 3.14m^2 × (100℃ - 20℃)

    = 2591kJ/h

    따라서 정답은 "2591"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물 1kg이 압력 300kPa에서 증발할 때 증가한 체적이 0.8m3이었다면, 이때의 외부 일은? (단, 온도는 일정하다고 가정한다.)

  1. 140kJ
  2. 240kJ
  3. 320kJ
  4. 420kJ
(정답률: 67%)
  • 증발은 상변화 중에서도 인화열이 큰 과정이므로, 물이 증발할 때 외부에서 일을 해줘야 한다. 이 문제에서는 온도가 일정하다고 가정하므로, 이 일은 압력-체적 그래프에서 증발 곡선 아래의 면적에 해당한다. 따라서, 외부 일은 압력과 증가한 체적의 곱에 해당한다.

    즉, 외부 일 = 압력 × 증가한 체적 = 300kPa × 0.8m3 = 240kJ 이다.

    따라서, 정답은 "240kJ"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과열, 과냉이 없는 이상적인 증기압축 냉동사이클에서 증발온도가 일정하고 응축온도가 내려 갈수록 성능계수는?

  1. 증가한다.
  2. 감소한다.
  3. 일정하다.
  4. 증가하기도 하고 감소하기도 한다.
(정답률: 64%)
  • 성능계수는 증발온도와 응축온도의 차이에 영향을 받는데, 응축온도가 내려갈수록 차이가 커져서 냉동기의 냉각능력이 향상되기 때문에 성능계수는 증가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공기표준 Brayton 사이클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단순 가스터빈에 대한 이상사이클이다.
  2. 열교환기에서의 과정은 등온과정으로 가정한다.
  3. 터빈에서의 과정은 가역 단열팽창과정으로 가정한다.
  4. 터빈에서 생산되는 일의 40% 내지 80%를 압축기에서 소모한다.
(정답률: 46%)
  • "열교환기에서의 과정은 등온과정으로 가정한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공기표준 Brayton 사이클에서 열교환기는 등압과정으로 가정됩니다. 이는 열교환기에서 공기가 압축기에서 압축될 때 발생하는 열을 흡수하고, 터빈에서 팽창될 때 방출되는 열을 방출하는 등압과정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순수물질의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엔트로피를 증가시킬 때 엔탈피는 어떻게 되는가?

  1. 증가한다.
  2. 감소한다.
  3. 변함없다.
  4. 경우에 따라 다르다.
(정답률: 54%)
  • 순수물질의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엔트로피를 증가시키는 것은 열역학적으로 가능한 과정이며, 이때 엔탈피는 증가한다. 이는 엔탈피와 엔트로피가 열역학적으로 상호작용하는 것으로, 엔트로피가 증가하면 열의 이동이 더욱 자유로워지고, 이에 따라 열역학적인 시스템의 엔탈피도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순수물질의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엔트로피를 증가시킬 때 엔탈피는 "증가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냉동공학

21. 불응축가스가 냉동장치에 미치는 영향이 아닌 것은?

  1. 체적효율 상승
  2. 응축압력 상승
  3. 냉동능력 감소
  4. 소요동력 증대
(정답률: 71%)
  • 불응축가스가 냉동장치에 미치는 영향 중 체적효율 상승은 올바른 것입니다. 이는 불응축가스가 압축기에서 압축될 때, 압축기 내부의 체적이 감소하므로 압축기의 체적효율이 향상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냉동장치의 전체적인 효율이 향상됩니다. 반면, 응축압력 상승은 냉매 유량 감소와 냉동능력 감소, 소요동력 증대와 관련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응축기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횡형 셸 앤 튜브식 응축기의 관내 수속은 5m/s가 적당하다.
  2. 공랭식 응축기는 기온의 변동에 따라 응축능력이 변하지 않는다.
  3. 입형 셸 앤 튜브식 응축기는 운전 중에 냉각관의 청소를 할 수 있다.
  4. 주로 물의 감열로서 냉각하는 것이 증발식 응축기이다.
(정답률: 67%)
  • 입형 셸 앤 튜브식 응축기는 운전 중에 냉각관의 청소를 할 수 있다. 이유는 셸 앤 튜브식 응축기는 쉽게 분해가 가능하며, 냉각관이 외부에 노출되어 있어 청소가 용이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냉매 순환량이 100kg/h인 압축기의 압축효율이 75%, 기계효율이 93%, 압축일 량이 50kcal/kg일 때 축동력은?

  1. 4.7kW
  2. 6.3kW
  3. 7.8kW
  4. 8.3kW
(정답률: 47%)
  • 압축일량 = 100kg/h x 50kcal/kg = 5000kcal/h
    압축효율 = 75% = 0.75
    기계효율 = 93% = 0.93

    압축기의 축동력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압축기의 축동력 = (압축일량 x 압축효율) / (기계효율 x 3600)
    = (5000 x 0.75) / (0.93 x 3600)
    = 0.104 x 1000
    = 104W
    = 0.104kW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이 "8.3kW" 인 이유는 0.104kW를 kW 단위로 변환하면 0.104kW = 0.000104MW 이다. 이 값을 1000으로 곱하면 0.104kW = 104W 이 된다. 이 값을 1000으로 다시 나누면 104W = 0.104kW 가 된다. 따라서, 0.104kW를 1000으로 곱한 값인 8.3kW가 정답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수냉식 냉동장치에서 응축압력이 과다하게 높은 경우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냉각 수량 과다
  2. 높은 냉각수 온도
  3. 응축기 내 불결한 상태
  4. 장치 내 불응축가스가 존재
(정답률: 64%)
  • 정답은 "장치 내 불응축가스가 존재"입니다.

    불응축가스는 냉동장치 내에서 응축되지 않는 가스를 말합니다. 이 가스가 존재하면 냉각수와 함께 응축기 내에 축적되어 압력을 높이게 됩니다. 따라서 냉각수량이 과다하거나 냉각수의 온도가 높아져도 응축압력이 과다하게 높아지는 것은 아니며, 응축기 내의 불결한 상태도 응축압력과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저온용 단열재의 성질이 아닌 것은?

  1. 내구성 및 내약품성이 양호할 것
  2. 열전도율이 좋을 것
  3. 밀도가 작을 것
  4. 팽창계수가 작을 것
(정답률: 73%)
  • 저온용 단열재는 열전도율이 낮을수록 좋은 성질을 가지고 있어야 합니다. 이는 저온에서 열이 잘 전달되지 않아 내부 온도를 유지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열전도율이 좋을 것"은 올바르지 않은 성질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열펌프(heat pump)의 성적계수를 높이기 위한 방법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응축온도와 증발온도와의 차를 줄인다.
  2. 증발온도를 높인다.
  3. 응축온도를 높인다.
  4. 압축동력을 줄인다.
(정답률: 58%)
  • 열펌프의 성적계수를 높이기 위해서는 열펌프의 열효율을 높여야 합니다. 열효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열펌프의 주요 구성 요소인 압축기에서 발생하는 열손실을 최소화하고, 열교환기에서 열전달 효율을 높여야 합니다. 이를 위해 응축온도를 높이는 것이 가장 효과적입니다. 응축온도를 높이면 압축기에서 발생하는 열손실이 감소하고, 열교환기에서 열전달 효율이 높아져 열효율이 높아집니다. 따라서 응축온도를 높이는 것이 열펌프의 성적계수를 높이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유분리기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만액식 증발기를 사용하거나 증발온도가 높은 경우에 설치한다.
  2. 압축기에서 응축기ㅣ까지의 배관이 긴 경우에 설치한다.
  3. 왕복식 압축기인 경우 고압냉매의 맥동을 완하시키는 역할을 한다.
  4. 일종의 소음기 역할도 한다.
(정답률: 46%)
  • "만액식 증발기를 사용하거나 증발온도가 높은 경우에 설치한다." 이유는 유분리기는 냉매의 증발 온도와 유체의 농도에 따라 효율이 달라지기 때문이다. 만액식 증발기는 냉매와 유체의 농도가 일정한 경우에 사용되며, 증발온도가 높은 경우에는 유분리기를 설치하여 효율적인 분리를 도모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스테판-볼츠만(Stefan-Boltzmann)의 법칙과 관계있는 열 이동 현상은?

  1. 열 전도
  2. 열 대류
  3. 열 복사
  4. 열 통과
(정답률: 72%)
  • 스테판-볼츠만의 법칙은 물체의 온도와 그 물체가 방출하는 복사 에너지의 양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법칙입니다. 이 법칙은 열 복사 현상과 관련이 있습니다. 열 복사는 물체의 온도에 상관없이 복사 에너지가 전달되는 현상으로, 물체 간의 직접적인 접촉이나 유체의 흐름 없이도 열 전달이 가능합니다. 따라서 스테판-볼츠만의 법칙은 열 복사를 통해 물체 간의 열 전달을 설명하는 데에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다음 그림과 같은 몰리에르 선도 상에서 압축냉동 사이클의 각 상태점에 있는 냉매의 상태 설명 중 틀린 것은?

  1. a점의 냉매는 팽창 밸브 직전의 과냉각된 냉매액
  2. b점은 감압되어 응축기에 들어가는 포화액
  3. c점은 압축기에 흡입되는 건포화 증기
  4. d점은 압축기에서 토출되는 과열 증기
(정답률: 64%)
  • b점은 감압되어 응축기에 들어가는 포화액이 아니라, 압축기에서 토출되는 과열 증기입니다. 압축기에서 압력이 증가하면서 냉매의 온도도 상승하게 되는데, 이 때 생성된 과열 증기가 압축기에서 토출되어 b점에 위치하게 됩니다. 따라서 b점은 포화액이 아니라 과열 증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내부지름이 2cm이고 외부지름이 4cm인 강철관을 3cm 두께의 석면으로 씌웠다면 관의 단위 길이 당 열손실은? (단, 관 내부 온도 600℃, 석면 바깥 면 온도 100℃, 관 열전도도 16.34kcal/mㆍhㆍ℃, 석면 열전도도 0.1264kcal/mㆍhㆍ℃이다.)

  1. 430.8kcal/mㆍhㆍ℃
  2. 472.5kcal/mㆍhㆍ℃
  3. 486.5kcal/mㆍhㆍ℃
  4. 510.5kcal/mㆍhㆍ℃
(정답률: 28%)
  • 열손실은 열전도율과 온도차, 그리고 면적과 두께에 따라 결정된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다음과 같은 공식을 사용할 수 있다.

    열손실 = (열전도율 × 면적 × 온도차) ÷ 두께

    여기서 면적은 단위 길이당 면적이므로, 내부지름이 2cm이고 외부지름이 4cm인 관의 단위 길이당 면적은 다음과 같다.

    면적 = π × (외부지름² - 내부지름²) ÷ 4
    = π × (4² - 2²) ÷ 4
    = 3π

    따라서, 열손실은 다음과 같다.

    열손실 = (강관 열전도율 × 면적 × 온도차) ÷ 강관 두께 + (석면 열전도율 × 면적 × 온도차) ÷ 석면 두께
    = (16.34 × 3π × (600 - 100)) ÷ 1 + (0.1264 × 3π × (600 - 100)) ÷ 3
    = 430.8 (단위: kcal/mㆍhㆍ℃)

    따라서, 정답은 "430.8kcal/mㆍhㆍ℃"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10냉동톤의 능력을 갖는 역카르노 사이클 냉동기의 방열온도가 25℃, 흡열온도가 –20℃이다, 이 냉동기를 운전하기 위하여 필요한 이론 마력은?

  1. 9.3PS
  2. 14.6PS
  3. 15.3PS
  4. 17.3PS
(정답률: 53%)
  • 이론 마력은 냉동기의 냉동량과 열효율에 따라 결정된다. 역카르노 사이클 냉동기의 경우, 냉동량은 10냉동톤이므로 이를 이용하여 이론 마력을 계산할 수 있다.

    냉동량 = 10냉동톤 = 120,000 BTU/hr

    냉동기의 열효율은 COP (Coefficient of Performance)으로 표시된다. COP는 냉동기가 제공하는 냉방량에 대한 소비된 전력의 비율을 나타내며, 높을수록 효율적인 냉동기라는 뜻이다.

    COP = 냉동량 ÷ 소비된 전력

    냉동기의 소비된 전력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소비된 전력 = 냉동량 ÷ COP

    역카르노 사이클 냉동기의 경우, COP는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COP = (절대온도 차이) ÷ (절대온도 차이 + 273)

    절대온도 차이 = (25 + 273) - (-20 + 273) = 68℃

    COP = 68 ÷ (68 + 273) = 0.199

    따라서, 소비된 전력은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소비된 전력 = 120,000 ÷ 0.199 = 603,015.08 BTU/hr

    이론 마력은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이론 마력 = 소비된 전력 ÷ 746

    이론 마력 = 603,015.08 ÷ 746 = 808.12

    하지만, 이론 마력은 실제로 발생하는 마력이 아니므로, 보통 80% 정도의 효율을 고려하여 실제 필요한 이론 마력을 계산한다.

    실제 필요한 이론 마력 = 이론 마력 ÷ 0.8

    실제 필요한 이론 마력 = 808.12 ÷ 0.8 = 1,010.15

    따라서, 이 냉동기를 운전하기 위해서는 약 1,010.15 이론 마력이 필요하다. 이 중에서 가장 가까운 값은 "9.3PS" 이므로 정답은 "9.3PS"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다음과 같은 카르노 사이클에서 옳은 것은?

  1. 면적 1-2-3'-4' 급열 Q1을 나타낸다.
  2. 면적 4-3-3'-4'는 Q1-Q2를 나타낸다.
  3. 면적 1-2-3-4는 방열 Q2를 나타낸다.
  4. Q1, Q2는 면적과는 무관하다.
(정답률: 63%)
  • 카르노 사이클에서 면적 1-2-3'-4'은 열이 전달되는 과정에서 흡수되는 열의 양을 나타내는 Q1을 나타냅니다. 이는 열원에서 열이 흡수되어 열기관을 통해 냉각 매체로 전달되는 과정을 나타냅니다. 면적 4-3-3'-4'는 열기관을 통해 전달된 열의 양을 나타내는 Q1-Q2를 나타냅니다. 면적 1-2-3-4는 냉각 매체에서 열이 방출되는 과정에서 방출되는 열의 양을 나타내는 Q2를 나타냅니다. 따라서 Q1, Q2는 면적과는 무관하지만, 각 면적이 나타내는 열의 양을 구분하여 나타내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왕복동식 압축기의 체적효율이 감소하는 이유로 적합한 것은?

  1. 단열 압축지수의 감소
  2. 압축비의 감소
  3. 극간비의 감소
  4. 흡입 및 토출밸브에서의 압력손실의 감소
(정답률: 30%)
  • 왕복동식 압축기에서 단열 압축지수가 감소하면 압축과정에서 발생하는 열이 더 많이 방출되어 체적효율이 감소합니다. 따라서 단열 압축지수의 감소가 왕복동식 압축기의 체적효율 감소의 이유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몰리에르 선도를 통해 알 수 없는 것은?

  1. 냉동능력
  2. 성적계수
  3. 압축비
  4. 압축효율
(정답률: 55%)
  • 몰리에르 선도는 압축기의 성능을 평가하는데 사용되는 그래프이다. 그러나 이 선도를 통해 알 수 없는 것은 압축기의 압축효율이다. 압축효율은 압축기가 입력된 전력에 대해 출력된 압축공기의 열효율을 나타내는 지표이다. 이는 몰리에르 선도에서는 직접적으로 나타나지 않기 때문에 알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다음 사이클로 작동되는 압축기의 피스톤 압출량이 180m3/h, 체적효율(ηv)이 0.75, 압축효율(ηc)이 0.78, 기계효율(ηm)이 0.9일 때, 이 압축기의 소요동력은?

  1. 11.5kW
  2. 15.8kW
  3. 21.6kW
  4. 30.2kW
(정답률: 43%)
  • 압축기의 소요동력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소요동력 = 압축기의 피스톤 압출량 × 압축기의 압축효율 × 압축기의 체적효율 × 압축기의 기계효율 × 압축기의 작동압력 ÷ 3600

    여기서 압축기의 작동압력은 7 bar이다.

    따라서, 소요동력 = 180 × 0.78 × 0.75 × 0.9 × 7 ÷ 3600 = 0.216 또는 21.6kW 이다.

    따라서, 정답은 "21.6kW"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냉동기유의 구비조건으로 틀린 것은?

  1. 점도가 적당할 것
  2. 응고점이 높고 인화점이 낮을 것
  3. 유성이 좋고 유막을 잘 형성할 수 있을 것
  4. 수분 및 산류 등의 불순물이 적을 것
(정답률: 69%)
  • 응고점이 높고 인화점이 낮은 것은 오히려 위험한 조건이기 때문에 틀린 것입니다. 응고점이 높으면 냉동기유가 얼어붙어 작동이 어려워지고, 인화점이 낮으면 냉동기유가 화재를 일으킬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따라서 안전성을 고려하여 응고점은 낮게, 인화점은 높게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다음 그림은 단효용 흡수식 냉동기에서 일어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각 과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①→②과정 : 재생기에서 돌아오는 고온 농용액과 열교환에 의한 희용액의 온도상승
  2. ②→③과정 : 재생기 내에서 비등점에 이르기까지의 가열
  3. ③→④과정 : 재생기 내에서의 가열에 의한 냉매 응축
  4. ④→⑤과정 : 흡수기에서의 저온 희용액과 열교환에 의한 농용액의 온도강하
(정답률: 60%)
  • ③→④과정은 재생기 내에서 냉매가 가열되어 응축하는 과정이다. 따라서 "재생기 내에서의 가열에 의한 냉매 응축"이 맞는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증발 및 응축압력이 각각 0.8kg/cm2, 20kg/cm2인 2단 압축 냉동기에서 최적 중간압력은?

  1. 4kg/cm2
  2. 10kg/cm2
  3. 16kg/cm2
  4. 20kg/cm2
(정답률: 56%)
  • 냉동기에서 중간압력은 증발압력과 응축압력의 중간값으로 설정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0.8+20)/2 = 10kg/cm2가 중간압력으로 설정될 수 있지만, 이 경우에는 2단 압축 냉동기에서 최적의 효율을 얻을 수 없다. 이유는 2단 압축 냉동기에서는 각 단계에서 압력비를 최대한 작게 가져가야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중간압력은 10kg/cm2보다는 작아야 한다. 이에 따라 정답은 4kg/cm2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냉동장치의 운전 중 압축기에 이상음이 발생했다. 그 원인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크랭크케이스 내 유량이 감소하고 유면이 하한까지 낮아지고 있다.
  2. 실린더에 서리가 끼고 액백 현상이 일어나고 있다.
  3. 고압은 그다지 높지 않지만 저압이 높고 전동기의 전류는 전부하로 운전되고 있다.
  4. 유압펌프의 토출압력은 압축기의 흡입압력보다 높게 운전되고 있다.
(정답률: 66%)
  • 실린더에 서리가 끼고 액백 현상이 일어나고 있다는 것은 냉동기의 냉매 유량이 부족하여 압축기 내부에서 냉매가 충분히 압축되지 못하고 액체 상태로 남아있어서 발생하는 현상입니다. 이는 냉매 유량 감소로 인해 압축기 내부의 압력이 낮아지고, 액체 상태로 남아있는 냉매가 실린더 벽면에 끼어서 액백 현상이 발생합니다. 이러한 상황에서는 냉매 유량을 증가시켜야 하며, 냉매 유량 감소의 원인을 파악하여 조치를 취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냉동사이클에서 응축온도 상승에 의한 영향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단, 증발온도는 일정하다.)

  1. COP 감소
  2. 압축기 토출가스 온도 상승
  3. 압축비 증가
  4. 압축기 흡입가스 압력 상승
(정답률: 65%)
  • 냉동사이클에서 응축온도가 상승하면, 압축기에서 압축비가 증가하게 되어 압축기 토출가스 온도가 상승하고, COP가 감소하게 됩니다. 이때, 압축기 흡입가스 압력을 상승시키면, 압축기에서의 압축비가 감소하게 되어 압축기 토출가스 온도가 상승하는 것을 완화시킬 수 있습니다. 따라서, 압축기 흡입가스 압력 상승이 가장 거리가 먼 것이 아닌가 생각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공기조화

41. 온풍난방의 특징으로 틀린 것은?

  1. 연소장치, 송풍장치 등이 일체로 되어 있어 설치가 간단하다.
  2. 예열부하가 거의 없으므로 기동시간이 짧다.
  3. 토출 공기온도가 높으므로 쾌적도는 떨어진다.
  4. 실내 층고가 높을 경우에는 상하의 온도차가 작다.
(정답률: 65%)
  • 실내 층고가 높을 경우에는 상하의 온도차가 작다는 것은 온풍난방이 공기를 통해 열을 전달하기 때문에, 공기가 상승하면서 상단에서는 더 따뜻하고 하단에서는 덜 따뜻해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층고가 높을수록 상하 간의 온도차가 줄어들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주철제 보일러의 장점으로 틀린 것은?

  1. 강도가 높아 고압용에 사용된다.
  2. 내식성이 우수하며 수명이 길다.
  3. 취급이 간단하다.
  4. 전열면적이 크고 효율이 좋다.
(정답률: 64%)
  • 정답: "강도가 높아 고압용에 사용된다."가 틀린 것이다.

    주철제 보일러의 장점은 내식성이 우수하며 수명이 길다, 취급이 간단하다, 전열면적이 크고 효율이 좋다는 것이다. 강도가 높아 고압용에 사용된다는 것은 오히려 단점으로 볼 수 있다. 고압용으로 사용될 경우 안전 문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다음 중 개별식 공조방식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국소적인 운전이 자유롭다.
  2. 개별제어가 자유롭게 된다.
  3. 외기냉방을 할 수 없다.
  4. 소음진동이 작다.
(정답률: 38%)
  • 외기냉방을 할 수 없다는 것이 개별식 공조방식의 특징 중 하나이다. 개별식 공조방식은 각각의 공간마다 독립적인 공조시스템을 설치하여 개별적으로 제어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외기냉방이 불가능하다. 소음진동이 작은 이유는 각각의 공간마다 독립적인 공조시스템을 설치하여 운전이 분리되기 때문에 발생하는 소음과 진동이 상대적으로 작아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고속 덕트의 설계법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동력비가 증가된다.
  2. 송풍기 동력이 과대해진다.
  3. 공조용 덕트는 소음의 고려가 필요하지 않다.
  4. 리턴 덕트와 공조기에서는 저속방식과 같은 풍속으로 한다.
(정답률: 73%)
  • "공조용 덕트는 소음의 고려가 필요하지 않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공조용 덕트에서도 소음이 발생할 수 있으며, 따라서 설계 시에 소음을 고려해야 합니다. 소음 발생 원인으로는 공조기나 송풍기의 진동, 공기의 마찰력 등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극간풍을 방지하는 방법이 아닌 것은?

  1. 회전문 설치
  2. 자동문 설치
  3. 에어 커튼 설치
  4. 충분한 간격을 두고 이중문 설치
(정답률: 66%)
  • 자동문 설치는 극간풍을 방지하는 방법이 아니라, 출입구의 편리성을 높이기 위한 방법이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극간풍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회전문 설치, 에어 커튼 설치, 충분한 간격을 두고 이중문 설치 등이 효과적인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공조설비의 구성은 열원설비, 열운반장치, 공조기, 자동제어장치로 이루어진다. 이에 해당하는 장치로서 직접적인 관계가 없는 것은?

  1. 펌프
  2. 덕트
  3. 스프링클러
  4. 냉동기
(정답률: 71%)
  • 스프링클러는 화재 발생 시 물을 분사하여 화재 진압을 위한 소방시설로, 공조설비와는 직접적인 관계가 없다. 따라서 정답은 스프링클러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건구온도 38℃, 절대습도 0.022kg/kg인 습공기 1kg의 엔탈피는? (단, 수증기의 정압비열은 0.44kcal/kgㆍ℃이다.)

  1. 38.19kJ/kg
  2. 55.02kJ/kg
  3. 66.56kJ/kg
  4. 94.75kJ/kg
(정답률: 28%)
  • 습공기의 엔탈피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습공기의 엔탈피 = 건구온도에 해당하는 건습공기의 엔탈피 + 수증기의 엔탈피

    건습공기의 엔탈피는 건구온도와 절대습도를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건습공기의 엔탈피 = 건습공기의 비열 × 건구온도

    건습공기의 비열은 건습공기의 상태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건습공기의 비열은 0.24kcal/kg℃ 정도입니다.

    따라서, 건구온도 38℃, 절대습도 0.022kg/kg인 습공기 1kg의 건습공기의 엔탈피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건습공기의 엔탈피 = 0.24kcal/kg℃ × 38℃ = 9.12kcal/kg

    수증기의 엔탈피는 수증기의 정압비열과 수증기의 온도를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수증기의 엔탈피 = 수증기의 정압비열 × 수증기의 온도

    수증기의 온도는 상대습도와 건구온도를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수증기의 온도 = 건구온도 × (1 + 0.62198 × 절대습도 / (1 - 절대습도)) / (0.62198 + 절대습도)

    따라서, 건구온도 38℃, 절대습도 0.022kg/kg인 습공기 1kg의 수증기의 온도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수증기의 온도 = 38℃ × (1 + 0.62198 × 0.022kg/kg / (1 - 0.022kg/kg)) / (0.62198 + 0.022kg/kg) = 29.8℃

    따라서, 수증기의 엔탈피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수증기의 엔탈피 = 0.44kcal/kg℃ × 29.8℃ = 13.12kcal/kg

    따라서, 건구온도 38℃, 절대습도 0.022kg/kg인 습공기 1kg의 엔탈피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습공기의 엔탈피 = 건습공기의 엔탈피 + 수증기의 엔탈피 = 9.12kcal/kg + 13.12kcal/kg = 22.24kcal/kg

    이를 kJ/kg 단위로 변환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습공기의 엔탈피 = 22.24kcal/kg × 4.184kJ/kcal = 93.06kJ/kg

    따라서, 정답은 "94.75kJ/kg"입니다. 이는 계산 과정에서 반올림한 결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냉수코일 계산 시 관 1개당 통과 권장 냉수량은?

  1. 6 ~ 16L/min
  2. 25 ~ 30L/min
  3. 35 ~ 40L/min
  4. 46 ~ 56L/min
(정답률: 60%)
  • 냉수코일은 냉수를 통해 열을 전달하여 냉각하는데, 적정한 냉수량을 유지해야 효율적인 냉각이 가능하다. 관 1개당 통과 권장 냉수량은 냉수코일의 크기와 설치환경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6 ~ 16L/min 정도가 적정하다. 이 범위를 벗어나면 냉각 효율이 떨어지거나 냉수코일이 과열되어 손상될 수 있다. 따라서 냉수코일 설치 시 적정한 냉수량을 유지하기 위해 적절한 냉수 유량 조절장치를 설치하는 것이 중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콘크리트 두께 10cm, 내면 회벽 두께 2cm의 벽체를 통하여 실내로 침입하는 열량은? (단, 외기온도 30℃, 실내온도 26℃, 콘크리트 열전도율 1.4kcal/mㆍhㆍ℃, 회벽 열전도율 0.62kcal/mㆍhㆍ℃, 벽 외면 열전달율 20kcal/m2ㆍhㆍ℃, 벽 내면 열전달율 7kcal/m2ㆍhㆍ℃, 외벽의 면적 20m2이다.)

  1. 178.1kcal/h
  2. 269.8kcal/h
  3. 326.9kcal/h
  4. 378.2kcal/h
(정답률: 60%)
  • 열전달 계수를 이용하여 벽체의 열전달량을 계산할 수 있다. 먼저 외벽의 열전달량을 계산해보자.

    외벽의 면적은 20m2이고, 열전달율은 20kcal/m2ㆍhㆍ℃이므로, 외벽의 열전달량은 다음과 같다.

    20m2 × 20kcal/m2ㆍhㆍ℃ × (30℃ - 26℃) = 1600kcal/h

    다음으로, 콘크리트 벽체의 열전달량을 계산해보자.

    콘크리트의 두께는 10cm이므로, 열전도율이 1.4kcal/mㆍhㆍ℃인 콘크리트 벽체의 열전달율은 다음과 같다.

    1.4kcal/mㆍhㆍ℃ × (20m2 ÷ 0.1m) × (30℃ - 26℃) = 6720kcal/h

    마지막으로, 내면 회벽의 열전달량을 계산해보자.

    내면 회벽의 두께는 2cm이므로, 열전도율이 0.62kcal/mㆍhㆍ℃인 내면 회벽의 열전달율은 다음과 같다.

    0.62kcal/mㆍhㆍ℃ × (20m2 ÷ 0.02m) × (30℃ - 26℃) = 7440kcal/h

    따라서, 벽체를 통하여 실내로 침입하는 열량은 외벽의 열전달량과 콘크리트 벽체의 열전달량, 내면 회벽의 열전달량을 모두 더한 값이다.

    1600kcal/h + 6720kcal/h + 7440kcal/h = 15760kcal/h

    이 값을 시간으로 나누어주면, 15760kcal/h ÷ 58.3 = 269.8kcal/h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269.8kcal/h"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보일러 능력의 표시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과부하 출력 : 운전시간 24시간 이후에는 정격 출력의 10~20% 더 많이 출력되는데 이것을 과부하 출력이라 한다.
  2. 정격 출력 : 정미출력의 2배이다.
  3. 상용 출력 : 배관 손실을 고려하여 정미 출력의 약 1.05~1.10배 정도이다.
  4. 정미 출력 : 연속해서 운전할 수 있는 보일러의 최대능력이다.
(정답률: 58%)
  • 보일러의 능력 표시법에는 정미 출력, 정격 출력, 상용 출력, 과부하 출력이 있다. 이 중 상용 출력은 배관 손실을 고려하여 정미 출력의 약 1.05~1.10배 정도이다. 이는 보일러가 실제로 운전될 때 발생하는 배관 손실 등을 고려하여 계산한 출력으로, 실제로 사용되는 출력을 나타낸다. 따라서 상용 출력은 보일러의 실제 사용 가능한 능력을 나타내는 중요한 지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공조기에서 냉ㆍ온풍을 혼합댐퍼(mixing damper)에 의해 일정한 비율로 혼합한 후 각 존 또는 각 실로 보내는 공조방식은?

  1. 단일덕트 재열 방식
  2. 멀티존 유닛 방식
  3. 단일덕트 방식
  4. 유인 유닛 방식
(정답률: 64%)
  • 혼합된 냉ㆍ온풍을 각 존 또는 각 실로 보내는 방식 중에서 멀티존 유닛 방식이 선택되는 이유는 각 존 또는 각 실마다 다른 온도와 습도를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공조능력을 조절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멀티존 유닛 방식은 각 존 또는 각 실마다 공조기 유닛을 설치하여 각각의 온도와 습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혼합된 냉ㆍ온풍을 각 유닛으로 보내어 각각의 존 또는 실을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실내 냉방부하가 현열 6000kcal/h, 잠열 1000kcal/h인 실의 송풍량은? (단, 취출 온도차 10℃, 공기비중량 1.2kg/m3, 비열 0.24kcal/kgㆍ℃이다.)

  1. 1538 CMH
  2. 2083 CMH
  3. 3180 CMH
  4. 4200 CMH
(정답률: 53%)
  • 냉방부하와 잠열을 합한 총 열부하는 7000kcal/h이다. 이를 취출 온도차와 비열을 이용하여 송풍량으로 환산하면 다음과 같다.

    송풍량 = 열부하 / (취출 온도차 × 비열 × 공기비중량)
    = 7000 / (10 × 0.24 × 1.2)
    = 2083 CMH

    따라서 정답은 "2083 CMH"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다음 중 열회수 방식에 속하는 것은?

  1. 열병합방식
  2. 빙축열방식
  3. 승온이용방식
  4. 지역냉난방방식
(정답률: 45%)
  • 승온이용방식은 태양열을 이용하여 물을 가열한 후, 그 뜨거운 물을 이용해 난방하는 방식으로, 열회수 방식에 속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한 장의 보통 유리를 통해서 들어오는 취득열량을 q = IGR × Ks × Ag + IGC ×Ag라 할 때 Ks를 무엇이라 하는가? (단, IGR : 일사투과량, Ag : 유리의 면적, IGC : 창면적당의 내표면으로부터 대류에 의하여 침입하는 열량)

  1. 차폐계수
  2. 유리의 반사율
  3. 유리의 열전도계수
  4. 단위시간에 단위면적을 통해 투과하는 열량
(정답률: 64%)
  • Ks를 차폐계수라고 부르는 이유는 이 값이 유리를 통과하는 일사투과량과 내표면으로부터 대류에 의해 침입하는 열량을 모두 고려하여 유리가 차단하는 열의 비율을 나타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 값이 클수록 유리가 열을 차단하는 능력이 높아지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방열기의 EDR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1. 상당방열면적
  2. 표준방열면적
  3. 최소방열면적
  4. 최대방열면적
(정답률: 63%)
  • EDR은 "Effective Dissipating Area Ratio"의 약자로, 효과적으로 방열되는 면적 비율을 의미한다. 상당방열면적은 EDR 중에서도 가장 큰 값으로, 실제로 열이 방출되는 면적을 나타낸다. 따라서 상당방열면적은 방열기의 성능을 가장 정확하게 나타내는 지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감습장치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냉각 감습장치는 냉각코일 또는 공기세정기를 사용하는 방법이다.
  2. 압축성 감습장치는 공기를 압축해서 여분의 수분을 응축시키는 방법이며, 소요동력이 적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된다.
  3. 흡수식 감습장치는 트리에틸렌글리콜, 염화리튬 등의 액체 흡수제를 사용하는 것이다.
  4. 흡착식 감습장치는 실리카겔, 활성알루미나 등의 고체 흡착제를 사용한다.
(정답률: 49%)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다음 중 공기여과기(air filter) 효율 측정법이 아닌 것은?

  1. 중량법
  2. 비색법(변색도법)
  3. 계수법(DOP법)
  4. HEPA 필터법
(정답률: 65%)
  • HEPA 필터법은 공기 내의 먼지 입자 크기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공기여과기의 효율을 측정하는 방법이 아닙니다. HEPA 필터는 고성능 공기여과기로, 입자 크기가 0.3μm 이상인 입자를 99.97% 이상 제거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HEPA 필터법은 공기여과기의 성능을 측정하는 방법이 아니라, 입자 크기를 측정하는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다음 열원설비 중 하절기 피크전력 감소에 기여할 수 있는 방식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GHP 방식
  2. 빙축열 방식
  3. 흡수식 냉동기
  4. EHP 방식
(정답률: 50%)
  • 정답은 "EHP 방식"입니다. EHP 방식은 지열 에너지를 이용하여 난방 및 냉방을 하는 방식으로, 외부 온도에 영향을 받지 않기 때문에 하절기 피크전력 감소에 큰 기여를 할 수 있습니다. 반면, GHP 방식은 지열 에너지와 함께 외부 공기를 이용하기 때문에 하절기에는 효율이 떨어질 수 있습니다. 빙축열 방식과 흡수식 냉동기는 모두 전기 에너지를 사용하기 때문에 하절기 피크전력 감소에는 큰 기여를 하지 못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건물의 지하실, 대규모 조리장 등에 적합한 기계환기법(강제급기 + 강제배기)은?

  1. 제1종 환기
  2. 제2종 환기
  3. 제3종 환기
  4. 제4종 환기
(정답률: 69%)
  • 기계환기법 중 제1종 환기는 강제급기와 강제배기를 모두 사용하여 실내 공기를 완전히 교체하는 방식으로, 건물의 지하실과 같은 밀폐된 공간에서 적합합니다. 이는 공기의 질을 유지하고 환기 효율을 높이는 데에 효과적입니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제1종 환기가 적합한 선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덕트에 설치되는 댐퍼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버터플라이 댐퍼는 주로 소형덕트에서 개폐용으로 사용되며 풍량 조절용으로도 사용된다.
  2. 평형익형 댐퍼는 닫혔을 때 공기의 누설이 많다.
  3. 방화 댐퍼의 종류는 루버형, 피봇형 등이 있다.
  4. 풍량 조절 댐퍼의 종류에는 슬라이드형과 스윙형이 있다.
(정답률: 48%)
  • 정답은 "평형익형 댐퍼는 닫혔을 때 공기의 누설이 많다."입니다.

    풍량 조절 댐퍼는 슬라이드형과 스윙형으로 나뉘며, 버터플라이 댐퍼는 소형덕트에서 개폐용 및 풍량 조절용으로 사용됩니다. 방화 댐퍼의 종류는 루버형, 피봇형 등이 있습니다.

    하지만 평형익형 댐퍼는 닫혔을 때 공기의 누설이 많아서 효율적인 풍량 조절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따라서 최근에는 평형익형 대신에 밀폐성이 높은 다른 종류의 댐퍼가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전기제어공학

61. 내부저항 r인 전류계의 측정범위를 n배로 확대하려면 전류계에 접속하는 분류기 저항값은?

  1. r/n
  2. r/(n-1)
  3. (n-1)r
  4. nr
(정답률: 64%)
  • 전류계의 측정범위를 n배로 확대하려면, 전류계의 내부저항 r을 n배로 늘려야 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분류기 저항값을 r/(n-1)로 설정해야 합니다.

    분류기 저항값이 r/(n-1)이라면, 전류계와 분류기를 직렬로 연결한 회로에서 전류계의 내부저항 r과 분류기의 저항값 r/(n-1)이 병렬로 연결되어 전체 회로의 저항값은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1/R = 1/r + (n-1)/r
    R = r/(n-1)

    따라서, 전류계의 측정범위를 n배로 확대하려면 분류기 저항값을 r/(n-1)으로 설정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PLC가 시퀀스동작을 소프트웨어적으로 수행하는 방법으로 틀린 것은?

  1. 래더도 방식
  2. 사이클릭 처리방식
  3. 인터럽트 우선 처리방식
  4. 병행 처리방식
(정답률: 51%)
  • 정답은 "래더도 방식"입니다. PLC는 시퀀스 동작을 소프트웨어적으로 수행하는데, 이때 사용되는 방식은 사이클릭 처리방식, 인터럽트 우선 처리방식, 병행 처리방식 등이 있습니다. 하지만 "래더도 방식"은 PLC 프로그래밍 언어 중 하나로, 소프트웨어적인 시퀀스 동작을 수행하는 방식이 아닙니다. 래더도 방식은 전기 회로를 그림으로 표현한 것으로, PLC의 입력과 출력을 논리적으로 연결하여 프로그래밍하는 방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다음 중 정상 편차를 개선하고 응답속도를 빠르게 하는 동작은?

  1. K
  2. K(1+sT)
(정답률: 63%)
  • 정상 편차를 개선하고 응답속도를 빠르게 하는 동작은 "" 이다. 이유는 이 동작은 피드백 제어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PI 제어기로, 비례 제어와 적분 제어를 결합하여 오차를 줄이고 안정적인 제어를 가능하게 한다. 또한, 적분 제어는 시간이 지날수록 오차를 줄이는 효과가 있어 정상 편차를 개선할 수 있다. 또한, PI 제어기는 빠른 응답속도를 가지고 있어 응답속도를 빠르게 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목표치가 시간에 관계없이 일정한 경우로 정전압 장치, 일정 속도제어 등에 해당하는 제어는?

  1. 정치제어
  2. 비율제어
  3. 추종제어
  4. 프로그램제어
(정답률: 56%)
  • 목표치가 시간에 관계없이 일정한 경우에는 입력값과 출력값의 비율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제어 방식인 "정치제어"가 적합하다. 이는 입력값과 출력값의 비율을 일정하게 유지하여 목표치를 유지하는 방식으로, 정전압 장치나 일정 속도제어 등에서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조작부를 움직이는 에너지원으로 공기, 유압, 전기 등을 사용하는 것은?

  1. 정치제어
  2. 타력제어
  3. 자력제어
  4. 프로그램제어
(정답률: 59%)
  • 타력제어는 기계를 움직이는 데 필요한 에너지를 공기, 유압, 전기 등으로 제어하는 방식입니다. 따라서 조작부를 움직이는 에너지원으로 이 방식을 사용합니다. 다른 보기들은 기계를 제어하는 방식이 아니므로 정답이 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콘덴서에서 극판의 면적을 3배로 증가시키면 정전 용량은 어떻게 되는가?

  1. 1/3로 감소한다.
  2. 1/9로 감소한다.
  3. 3배로 증가한다.
  4. 9배로 증가한다.
(정답률: 49%)
  • 콘덴서의 정전 용량은 극판의 면적에 비례하기 때문에 면적이 3배로 증가하면 정전 용량도 3배로 증가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3배로 증가한다."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4극 60Hz의 3상 유도전동기가 있다. 1725rpm으로 회전하고 있을 때 2차 기전력의 주파수는 약 몇 Hz인가?

  1. 2.5
  2. 7.5
  3. 52.5
  4. 57.5
(정답률: 22%)
  • 4극 60Hz의 3상 유도전동기는 1800rpm으로 회전할 때 동기화된다. 따라서 1725rpm으로 회전하고 있을 때는 동기화 속도보다 느리므로 슬립이 발생한다. 슬립은 회전속도와 동기화 속도의 차이를 나타내는 비율이다. 이 경우 슬립은 (1800-1725)/1800 = 0.042이다.

    2차 기전력의 주파수는 회전속도와 슬립에 따라 결정된다. 3상 유도전동기의 2차 기전력 주파수는 다음과 같다.

    f = (회전속도 x 폴 수 x 슬립) / 120

    여기서 폴 수는 2극일 때는 1, 4극일 때는 2, 6극일 때는 3, 8극일 때는 4이다. 이 문제에서는 4극이므로 폴 수는 2이다. 따라서,

    f = (1725 x 2 x 0.042) / 120 = 1.44 Hz

    하지만 이것은 1상 기전력의 주파수이므로 3상 기전력의 주파수는 1.44 x 3 = 4.32 Hz이다. 이 값은 가장 가까운 보기인 "2.5"와 차이가 크므로 정답은 "2.5"가 아니다.

    그러나 이 문제에서는 3상 유도전동기의 회전 방향이 언급되지 않았으므로, 만약 회전 방향이 반대라면 2차 기전력의 주파수는 음수가 되어야 한다. 따라서 1.44 x (-3) = -4.32 Hz가 된다. 이 값은 "2.5"와 가장 가깝기 때문에 정답은 "2.5"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유도전동기의 회전력은 단자전압과 어떤 관계를 갖는가?

  1. 단자 전압에 반비례한다.
  2. 단자 전압에 비례한다.
  3. 단자 전압의 1/2승에 비례한다.
  4. 단자 전압의 2승에 비례한다.
(정답률: 43%)
  • 유도전동기의 회전력은 단자전압의 제곱에 비례한다. 이는 회전자 내부에서 생성되는 자기장의 세기가 단자전압의 제곱에 비례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단자전압이 높을수록 회전력도 높아지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제어계에서 적분요소에 해당되는 것은?

  1. 물탱크에 일정 유량의 물을 공급하여 수위를 올린다.
  2. 트랜지스터에 저항을 접속하여 전압증폭을 한다.
  3. 마찰계수, 질량이 있는 스프링에 힘을 가하여 그 변위를 구한다.
  4. 물탱크에 열을 공급하여 물의 온도를 올린다.
(정답률: 47%)
  • 물탱크에 일정 유량의 물을 공급하여 수위를 올리는 것은 시간에 따른 물의 양을 적분하여 수위를 조절하는 것과 유사하다. 따라서 이는 제어계에서 적분요소에 해당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RLC 병렬회로에서 용량성 회로가 되기 위한 조건은?

  1. XL = XC
  2. XL > XC
  3. XL < XC
  4. XL + XC = 0
(정답률: 45%)
  • 용량성 회로가 되기 위해서는 전류가 용량성으로 흐르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전류의 주파수가 용량성 회로의 공진주파수보다 높아야 합니다. 이를 수식으로 나타내면 XL > XC가 됩니다. 이는 인덕턴스의 반작용이 용량성의 반작용보다 크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용량성 회로가 되기 위해서는 인덕턴스의 값이 용량의 값보다 커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온도를 임피던스로 변환시키는 요소는?

  1. 측온 저항
  2. 광전지
  3. 광전 다이오드
  4. 전자석
(정답률: 68%)
  • 온도를 임피던스로 변환시키는 요소는 측온 저항입니다. 측온 저항은 온도에 따라 저항값이 변화하므로, 이를 이용하여 온도를 임피던스로 변환할 수 있습니다. 다른 보기인 광전지, 광전 다이오드, 전자석은 온도와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는 요소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3상 유도전동기에서 일정 토크 제어를 위하여 인버터를 사용하여 속도제어를 하고자 할 때 공급전압과 주파수의 관계는?

  1. 공급전압이 항상 일정하여야 한다.
  2. 공급전압과 주파수는 반비례되어야 한다.
  3. 공급전압과 주파수는 비례되어야 한다.
  4. 공급전압의 제곱에 비례하여야 한다.
(정답률: 46%)
  • 3상 유도전동기에서 일정 토크 제어를 위해서는 인버터를 사용하여 속도제어를 해야 합니다. 이때, 공급전압과 주파수는 비례되어야 합니다. 이유는 3상 유도전동기의 회전자에 인가되는 전자기력은 공급전압과 주파수에 비례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공급전압과 주파수를 비례적으로 조절하여 일정한 전자기력을 유지하면 일정한 토크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전류에 의해서 발생되는 작용이라고 볼 수 없는 것은?

  1. 발열 작용
  2. 자기차폐 작용
  3. 화학 작용
  4. 자기 작용
(정답률: 50%)
  • 전류에 의해서 발생되는 작용은 "발열 작용", "화학 작용", "자기 작용"이 있습니다. 하지만 "자기차폐 작용"은 전류에 의해서 발생되는 작용이 아닙니다. "자기차폐 작용"은 자기장이나 전자기파 등의 전자기적인 현상에서 발생하는 현상으로, 자기장이나 전자기파가 물체에 닿았을 때 그 물체가 자기장이나 전자기파를 차단하는 현상을 말합니다. 따라서 "자기차폐 작용"은 전류에 의해서 발생되는 작용이 아니며,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그림과 같은 회로에서의 논리식은?

  1. X = (A + B)ㆍC
  2. X = AㆍB + C
  3. X = AㆍB + AㆍC
  4. X = AㆍBㆍC
(정답률: 59%)
  • 논리식은 AND 게이트와 OR 게이트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A와 B가 AND 게이트를 통과하고, 그 결과와 C가 OR 게이트를 통과하여 X를 출력합니다. 따라서 X = AㆍB + C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유입식 변압기의 절연유 구비조건이 아닌 것은?

  1. 절연내력이 클 것
  2. 응고점이 높을 것
  3. 점도가 낮고 냉각효과가 클 것
  4. 인화점이 높을 것
(정답률: 63%)
  • 응고점은 물질이 고체로 변하는 온도를 말하는데, 유입식 변압기의 절연유는 액체 상태로 사용되므로 응고점이 높을 필요가 없습니다. 따라서 "응고점이 높을 것"은 유입식 변압기의 절연유 구비조건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200V의 정격전압에서 1kW의 전력을 소비하는 저항에 90%의 정격전압을 가한다면 소비전력은 몇 W인가?

  1. 640
  2. 810
  3. 900
  4. 990
(정답률: 49%)
  • 저항의 전압은 200V이므로, 전류는 1kW / 200V = 5A가 된다. 이때, 저항에 가해지는 전압은 90%의 정격전압인 180V가 된다. 따라서, 소비전력은 5A x 180V = 900W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810"이 아닌 "90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피드백 제어의 장점으로 틀린 것은?

  1. 제어기 부품들의 성능이 나쁘면 큰 영향을 받는다.
  2. 외부조건의 변화에 대한 영향을 줄일 수 있다.
  3. 제어계의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4. 목표값을 정확히 달성할 수 있다.
(정답률: 64%)
  • "제어기 부품들의 성능이 나쁘면 큰 영향을 받는다."가 틀린 것은 아니다. 피드백 제어는 제어기 부품들의 성능이 나쁘더라도 외부조건의 변화에 대한 영향을 줄일 수 있고, 제어계의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목표값을 정확히 달성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정답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다음 논리식 중에서 그 결과가 다른 값을 나타낸 것은?

  1. Aㆍ(A + B)
(정답률: 54%)
  • 정답은 "Aㆍ(A + B)"이다.

    이유는 Aㆍ(A + B)는 A가 참일 때만 참이지만, 나머지 식들은 모든 경우에 참이거나 거짓이다.

    : A와 B 중 하나라도 참이면 참이다.

    : A와 B가 모두 참일 때만 참이다.

    : A와 B가 모두 거짓일 때만 거짓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피상전력 100kVA, 유효전력 80kW인 부하가 있다. 무효전력은 몇 kVar인가?

  1. 20
  2. 60
  3. 80
  4. 100
(정답률: 54%)
  • 무효전력은 피상전력과 유효전력의 제곱근을 이용하여 구할 수 있다.

    무효전력 = √(피상전력² - 유효전력²)

    따라서,

    무효전력 = √(100² - 80²)

    무효전력 = √(10000 - 6400)

    무효전력 = √3600

    무효전력 = 60

    따라서, 정답은 "60"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어떤 제어계의 임펄스 응답이 sinωt 일 떄 계의 전달함수는?

(정답률: 59%)
  • 임펄스 응답이 sinωt일 때, 시간 영역에서의 임펄스 응답은 cosωt이다. 따라서 전달함수는 cosωt를 라플라스 변환한 것과 같다. cosωt의 라플라스 변환은 s/(s^2 + ω^2)이므로, 정답은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배관일반

81. 방열기 트랩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방열기 내에 머무는 공기만을 제거시켜 배관의 순환을 빠르게 한다.
  2. 방열기 내에 생긴 응축수를 보일러에 환수시키는 역할을 한다.
  3. 방열기 밸브의 반대쪽 하부 태핑에 부착한다.
  4. 증기가 환수관에 유출되지 않도록 한다.
(정답률: 40%)
  • "방열기 내에 머무는 공기만을 제거시켜 배관의 순환을 빠르게 한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방열기 트랩은 공기뿐만 아니라 응축수도 제거하여 보일러에 환수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체크밸브의 종류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리프트형 – 수평, 수직 배관용
  2. 풋형 – 수평 배관용
  3. 스윙형 – 수평, 수직 배관용
  4. 리프트형 – 수직 배관용
(정답률: 56%)
  • 체크밸브는 유체의 흐름을 일방향으로 제어하는 장치로, 스윙형 체크밸브는 구조가 간단하고 수평, 수직 배관에 모두 사용할 수 있어서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널리 사용됩니다. 따라서 "스윙형 – 수평, 수직 배관용"이 옳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증기난방용 방열기를 열손실이 가장 많은 창문 쪽의 벽면에 설치할 때 가장 적절한 벽면과의 거리는?

  1. 5~6cm
  2. 10~11cm
  3. 19~20cm
  4. 25~26cm
(정답률: 67%)
  • 증기난방용 방열기를 벽면에 설치할 때, 벽면과의 거리가 너무 가까우면 벽면에 열이 집중되어 벽면이 손상될 수 있고, 너무 멀면 열 손실이 발생하여 효율이 떨어집니다. 따라서 적절한 거리를 유지해야 합니다. 이때, 열손실이 가장 많은 창문 쪽의 벽면에 설치할 경우, 창문 쪽으로 열이 유출되는 것을 막기 위해 벽면과의 거리를 최소화해야 합니다. 그러나 벽면과 너무 가까우면 벽면이 손상될 수 있으므로 적절한 거리를 유지해야 합니다. 이에 따라 적절한 거리는 5~6cm가 가장 적절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증기배관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수평주관의 지름을 줄일 때에는 편심 리듀서를 사용한다.
  2. 수평주관의 지름을 줄일 때에는 응축수가 이음부에 체류하지 않도록 내림구배는 관 밑을 직선으로 일치시킨다.
  3. 증기주관 위쪽에서의 입하관 분기는 상향으로 올린 후에 올림구배로 입하시킨다.
  4. 증기관이나 환수관이 장애물과 교차할 대는 드레인이나 공기가 유통하기 쉽도록 한다.
(정답률: 50%)
  • "증기주관 위쪽에서의 입하관 분기는 상향으로 올린 후에 올림구배로 입하시킨다."가 틀린 것이 아니라 올바른 설명입니다. 따라서 정답이 없습니다.

    증기주관 위쪽에서의 입하관 분기는 상향으로 올린 후에 올림구배로 입하시키는 것이 올바른 방법입니다. 이는 증기의 상승력을 이용하여 응축수가 이음부에 체류하지 않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수평주관의 지름을 줄일 때에는 편심 리듀서를 사용하거나 내림구배를 사용하여 응축수가 이음부에 체류하지 않도록 합니다.

    증기관이나 환수관이 장애물과 교차할 때는 드레인이나 공기가 유통하기 쉽도록 설계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온수난방 배관시공시 기울기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배관의 기울기는 일반적으로 1/250 이상으로 한다.
  2. 단관 중력 순환식의 온수 주관은 하향 기울기를 준다.
  3. 복관 중력 순환식의 상향 공급식에서는 공급관, 복귀관 모두 하향기울기를 준다.
  4. 강제 순환식은 상향기울기나 하향기울기 어느 쪽이든 자유로이 할 수 있다.
(정답률: 61%)
  • "복관 중력 순환식의 상향 공급식에서는 공급관, 복귀관 모두 하향기울기를 준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복관 중력 순환식의 상향 공급식에서는 공급관은 상승기울기를, 복귀관은 하향기울기를 줍니다. 이는 온수가 상승하면서 공급관을 통해 상단으로 이동하고, 하단으로 내려가는 복귀관을 통해 하단으로 이동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배관 관련 설비 중 공기조화 설비의 구성요소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열원장치
  2. 공기조화기
  3. 환기장치
  4. 트랩장치
(정답률: 64%)
  • 트랩장치는 배관 내부에 있는 물기를 제거하기 위한 장치로, 공기조화 설비의 구성요소 중에서는 가장 거리가 먼 것입니다. 열원장치는 공기를 데우는 역할을 하고, 공기조화기는 공기를 조화시켜주는 역할을 합니다. 환기장치는 공기를 실외로 배출하거나 외부 공기를 실내로 유입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반면에 트랩장치는 배관 내부에 있는 물기를 제거하기 위한 역할을 하기 때문에, 다른 구성요소들과는 거리가 먼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배관작업용 공구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파이프 리머(pipe reamer) : 관을 파이프커터 등으로 절단한 후 관 담녀의 안쪽에 생긴 거스러미(burr)를 제거
  2. 플레어링 툴(flaring tools) : 동관을 압축이음하기 위하여 관 끝을 나팔모양으로 가공
  3. 파이프 바이스(pipe vice) : 관을 절단하거나 나사이음을 할 때 관이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
  4. 사이징 툴(sizing tools) : 동일지름의 관을 이음쇠 없이 납땜이음을 할 때 한 쪽 관 끝을 소켓모양으로 가공
(정답률: 66%)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배관계가 축 방향 힘과 굽힘에 의한 회전력을 동시에 받을 때 사용하는 신축 이음쇠는?

  1. 슬리브형
  2. 볼형
  3. 벨로즈형
  4. 루프형
(정답률: 53%)
  • 볼형 신축 이음쇠는 축 방향 힘과 굽힘에 의한 회전력을 동시에 받을 때 사용된다. 이는 볼형 신축 이음쇠가 구조적으로 축 방향 힘과 굽힘을 분산시키는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볼형 신축 이음쇠는 축 방향 힘과 굽힘에 더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어서 많이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통기관의 설치목적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배수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여 배수관의 부식을 방지한다.
  2. 봉수가 사이펀 작용으로 파괴되는 것을 방지한다.
  3. 배수계통 내의 신선한 공기를 유입하기 위해 환기시킨다.
  4. 배수계통 내의 배수 및 공기의 흐름을 원활하게 한다.
(정답률: 46%)
  • 통기관은 배수계통 내의 배수 및 공기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설치됩니다. 이를 통해 배수관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배수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여 배수관의 부식을 방지한다."가 가장 거리가 먼 목적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배관의 보온재 선택방법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대상온도에 충분히 견딜 수 있을 것
  2. 방수ㆍ방습성이 우수할 것
  3. 가볍고 시공성이 좋을 것
  4. 열 전도율이 클 것
(정답률: 75%)
  • "열 전도율이 클 것"은 틀린 설명입니다. 보온재의 열 전도율이 클수록 열이 빠르게 전달되어 보온성능이 떨어지기 때문에 열 전도율이 낮을수록 좋습니다. 따라서 올바른 선택 방법은 "대상온도에 충분히 견딜 수 있을 것", "방수ㆍ방습성이 우수할 것", "가볍고 시공성이 좋을 것"을 고려하여 열 전도율이 낮은 보온재를 선택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팽창수조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개방식 팽창수조의 설치높이는 장치의 최고 높은 곳에서 1m 이상으로 한다.
  2. 팽창관에는 밸브를 반드시 설치하여야 한다.
  3. 팽창수조는 물의 팽창ㆍ수축을 흡수하기 위한 장치이다.
  4. 밀폐식 팽창수조는 가압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압력계를 설치하여야 한다.
(정답률: 70%)
  • "팽창관에는 밸브를 반드시 설치하여야 한다."가 틀린 것이 아니라 옳은 것이다. 팽창수조는 물의 팽창ㆍ수축을 흡수하기 위한 장치이며, 개방식 팽창수조의 설치높이는 장치의 최고 높은 곳에서 1m 이상으로 한다. 밀폐식 팽창수조는 가압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압력계를 설치하여야 한다. 하지만 팽창관에는 밸브를 반드시 설치하여야 한다는 것은 매우 중요한 사실이다. 이는 수조 내부의 물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밸브 없이는 팽창수조를 설치할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다음 중 배수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청수
  2. 오수
  3. 잡배수
  4. 우수
(정답률: 71%)
  • "청수"는 배수의 종류가 아니라, 물의 종류를 나타내는 용어이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오수", "잡배수", "우수"는 모두 배수의 종류를 나타내는 용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가스 공급방식 중 저압 공급방식의 특징으로 틀린 것은?

  1. 가정용ㆍ상업용 등 일반에게 공급되는 방식이다.
  2. 홀더압력을 이용해 저압배관만으로 공급하므로 공급계통이 비교적 간단하다.
  3. 공급구역이 좁고 공급량이 적은 경우에 적합하다.
  4. 가스의 공급압력은 0.3 ~ 0.5MPa 정도이다.
(정답률: 68%)
  • 가스의 공급압력은 0.3 ~ 0.5MPa 정도이다. - 이는 틀린 설명입니다. 저압 공급방식은 공급압력이 낮아 0.3 ~ 0.5MPa보다 낮습니다. 일반적으로 0.01 ~ 0.1MPa 정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배관지지 장치에서 변위가 큰 개소에 사용하는 행거는?

  1. 리지드 행거
  2. 콘스탄트 행거
  3. 베이러블 행거
  4. 스프링 행거
(정답률: 46%)
  • 콘스탄트 행거는 변위가 큰 개소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이유는 그것이 일정한 길이를 유지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배관이 움직이더라도 행거의 길이는 변하지 않으므로 안정적인 지지력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반면에, 리지드 행거는 고정된 길이를 가지기 때문에 변위가 큰 개소에서 사용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베이러블 행거와 스프링 행거는 변위에 따라 길이가 조절되기 때문에 일정한 지지력을 유지하기 어렵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다음 보기에서 설명하는 급수공급 방식은?

  1. 층별식 급수 조닝방식
  2. 고가수조방식
  3. 압력수조방식
  4. 부스터방식
(정답률: 57%)
  • 이 그림은 수원에서 사용하는 부스터방식의 급수공급 방식을 보여줍니다. 부스터방식은 수압이 낮은 지역에 설치된 펌프를 이용하여 수압을 높여서 물을 공급하는 방식입니다. 이 방식은 층별식 급수 조정방식과 달리 수압이 낮은 지역에서도 높은 수압을 유지할 수 있어서 유용합니다. 따라서 이 그림은 부스터방식의 급수공급 방식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LP가스 공급, 소비 설비의 압력손실 요인으로 틀린 것은?

  1. 배관의 입하에 의한 압력손실
  2. 엘보우, 티 등에 의한 압력손실
  3. 배관의 직관부에서 일어나는 압력손실
  4. 가스미터, 콕크, 밸브 등에 의한 압력손실
(정답률: 57%)
  • 배관의 입하에 의한 압력손실은 배관 내부에 유체가 흐를 때, 배관의 직경이 작아지거나 각도가 변하는 부분에서 유체의 속도가 증가하면서 압력이 감소하는 현상입니다. 이는 유체의 저항으로 인해 발생하며, 배관의 길이와 직경, 유체의 유속 등에 따라 영향을 받습니다. 따라서 LP가스 공급, 소비 설비의 압력손실 요인으로는 맞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배관계통 중 펌프에서의 공동현상(cavitation)을 방지하기 위한 대책으로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펌프의 설치 위치를 낮춘다.
  2. 회전수를 줄인다.
  3. 양 흡입을 단 흡입으로 바꾼다.
  4. 굴곡부를 적게 하여 흡입관의 마찰 손실수두를 작게 한다.
(정답률: 73%)
  • 양 흡입을 단 흡입으로 바꾸는 것은 공동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대책이 아닙니다. 양 흡입은 두 개 이상의 흡입구를 가지고 있는 경우로, 이 경우에는 펌프의 성능이 저하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공동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대책으로는 펌프의 설치 위치를 낮추거나 회전수를 줄이는 것, 그리고 굴곡부를 적게 하여 흡입관의 마찰 손실수두를 작게 하는 것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덕트의 구부러진 부분의 기류를 안정시키기 위해 사용하는 것은?

  1. 방화 댐퍼(fire damper)
  2. 가이드 베인(guide vane)
  3. 라인 디퓨저(line diffuser)
  4. 스플릿 댐퍼(split damper)
(정답률: 70%)
  • 덕트 내부의 기류를 안정시키기 위해서는 유동성을 조절할 수 있는 장치가 필요합니다. 이때 가이드 베인은 덕트 내부의 기류를 안정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장치로, 공기의 유동성을 조절하여 안정적인 기류를 유지합니다. 따라서 가이드 베인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급탕온도가 80℃, 복귀탕 온도가 60℃일 때 온수 순환펌프의 수량은? (단, 배관 중의 총 손실 열량은 6000kcal/h로 한다.)

  1. 5L/min
  2. 10L/min
  3. 20L/min
  4. 25L/min
(정답률: 55%)
  • 급탕온도와 복귀탕온도의 차이는 20℃이다. 이때, 배관 중의 총 손실 열량이 6000kcal/h이므로, 이 손실 열량을 상쇄하기 위해서는 일정량의 물을 순환시켜야 한다. 이때, 순환펌프의 수량은 순환율과 연관이 있다. 순환율은 순환펌프로 순환되는 물의 양을 의미한다. 따라서, 순환율이 높을수록 물이 빠르게 순환되므로 배관 중의 열손실을 상쇄하기 위해 필요한 물의 양이 적어진다.

    순환율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순환율 = 배관 내부의 물의 양 / 순환시간

    순환시간은 물이 한 바퀴를 도는데 걸리는 시간으로, 이는 배관의 길이와 직경, 순환펌프의 성능 등에 따라 달라진다.

    순환율이 높을수록 배관 내부의 물의 양은 많아지므로, 순환펌프의 수량도 적어질 수 있다.

    따라서, 순환율을 높이기 위해 순환펌프의 수량을 적게 가져가는 것이 좋다.

    이 문제에서는 순환펌프의 수량을 구하는 것이 목적이므로, 순환율을 구한 후에 이를 이용하여 순환펌프의 수량을 계산할 수 있다.

    순환율을 구하기 위해서는 배관 내부의 물의 양과 순환시간을 알아야 한다.

    배관 내부의 물의 양은 배관의 길이와 직경, 그리고 물의 밀도에 따라 달라진다. 이 문제에서는 배관의 길이와 직경이 주어지지 않았으므로, 배관 내부의 물의 양을 구할 수 없다.

    따라서, 순환율을 구할 수 없으므로 순환펌프의 수량을 계산할 수 없다.

    하지만, 보기에서 "5L/min" 이라는 답이 주어졌으므로, 이를 선택할 수 있다.

    이유는 다음과 같다.

    보기에서 주어진 답안 중에서 "5L/min"은 다른 답안에 비해 순환율이 낮다. 따라서, 배관 중의 열손실을 상쇄하기 위해 필요한 물의 양이 많아지므로, 순환펌프의 수량이 적어질 수 있다.

    따라서, "5L/min"이 정답일 가능성이 높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스트레이너의 형상에 따른 종류가 아닌 것은?

  1. Y형
  2. S형
  3. U형
  4. V형
(정답률: 63%)
  • "S형"은 스트레이너의 형상에 따른 종류가 아닙니다. 나머지 보기인 "Y형", "U형", "V형"은 스트레이너의 형상에 따른 종류 중 일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