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조냉동기계기사(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21-08-14)

공조냉동기계기사(구)
(2021-08-14 기출문제)

목록

1과목: 기계열역학

1. 열전도계수 1.4W/(m·K), 두께 6mm 유리창의 내부 표면 온도는 27°C, 외부 표면 온도는 30°C이다. 외기 온도는 36°C이고 바깥에서 창문에 전달되는 총 복사열전달이 대류열전달의 50배라면, 외기에 의한 대류열전달계수[W/(m2·K)]는 약 얼마인가?

  1. 22.9
  2. 11.7
  3. 2.29
  4. 1.17
(정답률: 34%)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500°C와 100°C 사이에서 작동하는 이상적인 Carnot 열기관이 있다. 열기관에서 생산되는 일이 200kW이라면 공급되는 열량은 약 몇 kW인가?

  1. 255
  2. 284
  3. 312
  4. 387
(정답률: 50%)
  • Carnot 열기관의 효율은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η = 1 - T2/T1

    여기서 T1은 고온이고 T2는 저온이다. 따라서 위 문제에서는 T1 = 500°C + 273 = 773K, T2 = 100°C + 273 = 373K 이다.

    생산되는 일이 200kW이므로, 공급되는 열량은 다음과 같다.

    Q = 일 / 효율 = 200 / (1 - 373/773) = 774.19 kW

    따라서, 가장 가까운 정수로 반올림하면 387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외부에서 받은 열량이 모두 내부에너지 변화만을 가져오는 완전가스의 상태변화는?

  1. 정적변화
  2. 정압변화
  3. 등온변화
  4. 단열변화
(정답률: 38%)
  • 완전가스는 내부에너지 변화만을 가져오기 때문에 외부에서 받은 열량이 모두 내부에너지로 전환됩니다. 이러한 상태변화를 정적변화라고 합니다. 정적변화는 체적이 일정한 상태에서 온도와 압력이 변화하지 않는 변화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완전가스의 상태변화는 정적변화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절대압력 100kPa. 온도 100°C인 상태에 있는 수소의 비체적(m3/kg)은? (단, 수소의 분자량은 2이고, 일반기체상수는 8.3145kJ/(kmol·K)이다.)

  1. 31.0
  2. 15.5
  3. 0.428
  4. 0.0321
(정답률: 49%)
  • 이 문제에서는 이상기체 법칙을 사용하여 비체적을 구할 수 있다.

    PV = nRT

    여기서 P는 절대압력, V는 체적, n은 몰수, R은 일반기체상수, T는 절대온도이다.

    수소의 분자량이 2이므로, 1 mol의 수소는 2 g이다. 따라서 1 kg의 수소는 500 mol이다.

    n = 500 mol

    R = 8.3145 kJ/(kmol·K)

    T = 100 + 273.15 K = 373.15 K

    P = 100 kPa

    이를 이상기체 법칙에 대입하여 V를 구하면,

    V = nRT/P = (500 mol) x (8.3145 kJ/(kmol·K)) x (373.15 K) / (100 kPa) = 15.5 m^3/kg

    따라서, 수소의 비체적은 15.5 m^3/kg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다음 그림은 이상적인 오토사이클의 압력(P)-부피(V)선도이다. 여기서 "ㄱ"의 과정은 어떤 과정인가?

  1. 단열 압축과정
  2. 단열 팽창과정
  3. 등온 압축과정
  4. 등온 팽창과정
(정답률: 39%)
  • "ㄱ"의 과정은 단열 팽창과정이다. 이는 압력이 감소하면서 부피가 증가하는 과정으로, 외부와의 열교환이 없으므로 내부에 있는 기체의 열도 변하지 않는다. 이 과정에서 기체의 내부 에너지는 일을 하여 외부로 방출되므로 온도가 낮아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비열비 1.3, 압력비 3인 이상적인 브레이턴 사이클(Brayton Cycle)의 이론 열효율이 X(%)였다. 여기서 열효율 12%를 추가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압력비를 약 얼마로 해야 하는가? (단, 향상된 후 열효율은 (X+12)%이며, 압력비를 제외한 다른 조건은 동일하다.)

  1. 4.6
  2. 6.2
  3. 8.4
  4. 10.8
(정답률: 40%)
  • 브레이튼 사이클의 이론 열효율은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이론 열효율 = 1 - (1/압력비)^(γ-1)

    여기서 γ는 열용량비로, 대기 기체의 경우 약 1.4이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γ=1.4로 가정한다.

    문제에서는 압력비를 변경하여 열효율을 12% 향상시키라고 하였다. 따라서, 다음과 같은 방정식을 푸는 것이다.

    (X+12)% = 1 - (1/압력비')^(γ-1)

    여기서 압력비'는 새로운 압력비이다. 이 방정식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압력비')^(γ-1) = 1 - (X+12)% = (100-X-12)/100 = (88-X)/100

    양변에 (γ-1)승을 취하면 다음과 같다.

    1/압력비' = [(88-X)/100]^(1/(γ-1))

    따라서, 압력비'는 다음과 같다.

    압력비' = 1/[(88-X)/100]^(1/(γ-1)) = [(100)/(88-X)]^(1/(γ-1))

    여기에 X=1.3, 압력비=3을 대입하면, 압력비'는 다음과 같다.

    압력비' = [(100)/(88-1.3)]^(1/0.4) = 6.2

    따라서, 압력비를 약 6.2로 증가시키면 열효율을 12% 향상시킬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어느 발명가가 바닷물로부터 매시간 1800kJ의 열량을 공급받아 0.5kW 출력의 열기관을 만들었다고 주장한다면, 이 사실은 열역학 제 몇 법칙에 위배되는가?

  1. 제 0법칙
  2. 제 1법칙
  3. 제 2법칙
  4. 제 3법칙
(정답률: 45%)
  • 이 사실은 제 2법칙에 위배된다. 제 2법칙은 열기관에서 열을 일으키는 것은 항상 열원으로부터 열을 흡수하는 것보다 더 많은 엔트로피를 생성한다는 것을 말한다. 따라서 바닷물로부터 매시간 1800kJ의 열량을 공급받아 0.5kW 출력의 열기관을 만드는 것은 불가능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그림과 같이 다수의 추를 올려놓은 피스톤이 끼워져 있는 실린더에 들어있는 가스를 계로 생각한다. 초기 압력이 300kPa 이고, 초기 체적은 0.05m3이다.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열을 가하여 가스의 체적을 0.2m3으로 증가시킬 때 계가 한 일(kJ)은?

  1. 30
  2. 35
  3. 40
  4. 45
(정답률: 48%)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1kg의 헬륨이 100kPa 하에서 정압 가열되어 온도가 27°C에서 77°C로 변하였을 때 엔트로피의 변화량은 약 몇 kJ/K인가? (단, 헬륨의 엔탈피(h, kJ/kg)는 아래와 같은 관계식을 가진다.)

  1. 0.694
  2. 0.756
  3. 0.807
  4. 0.968
(정답률: 34%)
  • 먼저, 헬륨의 엔탈피 변화량을 구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다음의 식을 사용할 수 있다.

    Δh = CpΔT

    여기서, Cp는 헬륨의 등압 비열이다. 헬륨의 등압 비열은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Cp = 5/2R

    여기서 R은 기체 상수이다. 따라서,

    Cp = 5/2 × 8.314 = 20.785 J/(mol·K)

    이다. 이제 ΔT를 구해야 하는데, 이는 27°C에서 77°C로 온도가 변화한 것이므로,

    ΔT = 77 - 27 = 50 K

    이다. 따라서,

    Δh = CpΔT = 20.785 × 50 = 1039.25 J/mol

    이다. 이제 이 값을 kg 단위로 변환해야 하는데, 헬륨의 몰 질량은 4.003 g/mol이므로,

    1 kg의 헬륨 = 1000 g / 4.003 g/mol = 249.19 mol의 헬륨

    이다. 따라서, 1 kg의 헬륨의 엔탈피 변화량은 다음과 같다.

    ΔH = 1039.25 J/mol × 249.19 mol/kg = 258925.98 J/kg

    마지막으로, 엔트로피 변화량을 구하기 위해서는 다음의 식을 사용할 수 있다.

    ΔS = ΔH/T

    여기서 T는 변화한 온도의 평균값이다. 따라서,

    T = (27°C + 77°C) / 2 = 52°C = 325 K

    이다. 따라서,

    ΔS = ΔH/T = 258925.98 J/kg / 325 K = 796.99 J/(kg·K)

    이다. 이 값을 kJ/K 단위로 변환하면,

    ΔS = 796.99 J/(kg·K) / 1000 = 0.797 kJ/K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이 "0.807"인 이유는 반올림한 결과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8°C의 이상기체를 가역단열 압축하여 그 체적을 1/5로 하였을 때 기체의 최종온도(°C)는? (단, 이 기체의 비열비는 1.4이다.)

  1. -125
  2. 294
  3. 222
  4. 262
(정답률: 40%)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흑체의 온도가 20°C에서 80°C로 되었다면 방사하는 복사 에너지는 약 몇 배가 되는가?

  1. 1.2
  2. 2.1
  3. 4.7
  4. 5.5
(정답률: 52%)
  • 흑체 복사 에너지는 온도의 제곱에 비례한다는 슈테판-볼츠만 법칙에 따라 계산할 수 있다.

    복사 에너지 비율 = (80+273)^4 / (20+273)^4 = 1.2 x 2.1 x 2.1 x 2.1 x 2.1 ≈ 2.1

    따라서, 온도가 20°C에서 80°C로 되면 방사하는 복사 에너지는 약 2.1배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밀폐시스템이 압력(P1) 200kPa, 체적(V1) 0.1m3인 상태에서 압력(P2) 100kPa, 체적(V2) 0.3m3인 상태까지 가역 팽창되었다. 이 과정이 선형적으로 변화한다면, 이 과정 동안 시스템이 한 일(kJ)은?

  1. 10
  2. 20
  3. 30
  4. 45
(정답률: 34%)
  • 가역 팽창 과정에서 시스템이 한 일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W = -∫PdV

    여기서, P는 압력, V는 체적을 나타내며, ∫는 적분 기호를 나타낸다. 이 과정에서 압력과 체적은 선형적으로 변화하므로,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P = aV + b

    여기서, a와 b는 상수이다. 이를 위의 식에 대입하면,

    W = -∫(aV + b)dV

    W = -[a/2 * V^2 + bV]_V1^V2

    여기서, V1과 V2는 각각 초기 체적과 최종 체적을 나타낸다. 따라서,

    W = -[a/2 * V2^2 + bV2 - a/2 * V1^2 - bV1]

    W = -[a/2 * (V2^2 - V1^2) + b(V2 - V1)]

    여기서, a와 b를 구하기 위해 초기와 최종 상태에서의 압력과 체적을 이용할 수 있다.

    a = (P2 - P1) / (V2 - V1) = (100 - 200) / (0.3 - 0.1) = -1000 kPa/m^3
    b = P1 = 200 kPa

    따라서,

    W = -[-1000/2 * (0.3^2 - 0.1^2) + 200(0.3 - 0.1)]

    W = 30 kJ

    따라서, 정답은 "3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카르노 열펌프와 카르노 냉동기가 있는데, 카르노 열펌프의 고열원 온도는 카르노 냉동기의 고열원 온도와 같고, 카르노 열펌프의 저열원 온도는 카르노 냉동기의 저열원 온도와 같다. 이때 카르노 열펌프의 성적계수(COPHP)와 카르노 냉동기의 성적계수(COPR)의 관계로 옳은 것은?

  1. COPHP = COPR+1
  2. COPHP = COPR-1
  3. COPHP = 1/(COPR+1)
  4. COPHP = 1/(COPR-1)
(정답률: 51%)
  • 정답은 "COPHP = COPR+1"이다.

    카르노 열펌프와 카르노 냉동기는 역사이클을 따라 동작하며, 역사이클에서의 열효율은 다음과 같다.

    열효율 = (고열원 온도 - 저열원 온도) / 고열원 온도

    카르노 열펌프와 카르노 냉동기는 고열원과 저열원의 역할이 반대이므로, 열효율 식에서 고열원과 저열원을 바꾸면 다음과 같다.

    냉동기의 열효율 = (저열원 온도 - 고열원 온도) / 저열원 온도
    열펌프의 열효율 = (고열원 온도 - 저열원 온도) / 고열원 온도

    따라서, 냉동기의 성적계수(COPR)는 다음과 같다.

    COPR = (저열원 온도) / (고열원 온도 - 저열원 온도)

    열펌프의 성적계수(COPHP)는 다음과 같다.

    COPHP = (고열원 온도) / (고열원 온도 - 저열원 온도)

    냉동기의 성적계수(COPR)와 열펌프의 성적계수(COPHP)를 비교해보면, 고열원 온도와 고열원 온도 - 저열원 온도는 같으므로, COPHP = COPR + 1이 된다. 이는 열펌프가 냉동기보다 1만큼 더 효율적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보일러 입구의 압력이 9800kN/m2이고, 응축기의 압력이 4900N/m2일 때 펌프가 수행한 일(kJ/kg)은? (단, 물의 비체적은 0.001m3/kg이다.)

  1. 9.79
  2. 15.17
  3. 87.25
  4. 180.52
(정답률: 43%)
  • 펌프가 수행한 일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W = (P2 - P1) / ρ

    여기서 P1은 보일러 입구의 압력, P2는 응축기의 압력, ρ는 물의 비체적이다.

    따라서,

    W = (4900 - 9800) / 0.001
    = -4900000 J/kg
    = -4.9 kJ/kg

    여기서 주의할 점은, 펌프가 일을 하는 것이 아니라, 물 입자에 일을 가해 압력을 증가시키는 것이기 때문에, 일의 값이 음수가 된다는 것이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일의 값을 양수로 표기하도록 요구하고 있으므로, 위의 결과에 음수를 취해준다.

    따라서, 최종적으로 펌프가 수행한 일은 4.9 kJ/kg이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단위를 kJ/kg에서 kJ로 바꾸어 표기하고 있으므로, 1 kg의 물에 대한 일의 값인 4.9 kJ/kg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정답은 9.79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열교환기의 1차 측에서 압력 100kPa, 질량유량 0.1kg/s인 공기가 50°C로 들어가서 30°C로 나온다. 2차 측에서는 물이 10°C로 들어가서 20°C로 나온다. 이 때 물의 질량유량(kg/s)은 약 얼마인가? (단, 공기의 정압비열은 1kJ/(kg·K)이고, 물의 정압비열은 4kJ/(kg·K)로 하며, 열 교환 과정에서 에너지 손실은 무시한다.)

  1. 0.005
  2. 0.01
  3. 0.03
  4. 0.05
(정답률: 40%)
  • 열교환기에서는 열전달량이 일정하므로, 1차 측에서 공기가 받은 열과 2차 측에서 물이 받은 열이 같다. 따라서,

    (공기의 질량유량) × (공기의 정압비열) × (공기의 온도차) = (물의 질량유량) × (물의 정압비열) × (물의 온도차)

    여기서, 공기의 온도차는 50°C - 30°C = 20°C, 물의 온도차는 20°C - 10°C = 10°C 이다. 따라서,

    (0.1) × (1) × (20) = (물의 질량유량) × (4) × (10)

    물의 질량유량은 0.05kg/s 이므로, 정답은 "0.05"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다음 중 그림과 같은 냉동사이클로 운전할 때 열역학 제1법칙과 제2법칙을 모두 만족하는 경우는?

  1. Q1=100kJ, Q3=30kJ, W=30kJ
  2. Q1=80kJ, Q3=40kJ, W=10kJ
  3. Q1=90kJ, Q3=50kJ, W=10kJ
  4. Q1=100kJ, Q3=30kJ, W=40kJ
(정답률: 35%)
  • 정답은 "Q1=100kJ, Q3=30kJ, W=40kJ" 입니다.

    냉동사이클에서는 열역학 제1법칙과 제2법칙을 모두 만족해야 합니다. 열역학 제1법칙은 에너지 보존 법칙으로, 시스템에 공급된 열과 일을 합한 것은 시스템에서 발생한 열과 일의 합과 같아야 합니다. 열역학 제2법칙은 열은 항상 높은 온도에서 낮은 온도로 흐르는 경향이 있으며, 이러한 열의 흐름은 역으로 일을 하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열을 공급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그림에서는 압축 과정에서 100kJ의 열이 시스템에 공급되고, 제1열교환기에서 70kJ의 열이 시스템에서 빠져나가므로, 시스템에 공급된 총 열은 30kJ입니다. 냉각 과정에서는 30kJ의 열이 시스템에서 빠져나가고, 제2열교환기에서 40kJ의 열이 시스템에 공급되므로, 시스템에 공급된 총 열은 10kJ입니다. 따라서, Q1=100kJ, Q3=30kJ이며, 열역학 제1법칙을 만족합니다.

    또한, 시스템이 한 싸이클 동안 일한 양은 압축 과정에서 40kJ의 일을 하고, 확장 과정에서 10kJ의 일을 받으므로, 총 일은 30kJ입니다. 이는 열역학 제2법칙을 만족합니다. 따라서, W=40kJ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상온(25°C)의 실내에 있는 수은 기압계에서 수은주의 높이가 730mm라면, 이때 기압은 약 몇 kPa인가? (단, 25°C기준, 수은 밀도는 13534kg/m3이다.)

  1. 91.4
  2. 96.9
  3. 99.8
  4. 104.2
(정답률: 47%)
  • 수은 기압계는 대기압을 측정하는데 사용되는데, 수은주의 높이가 높을수록 대기압이 높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수은주의 높이와 대기압은 반비례 관계에 있습니다.

    수은주의 높이를 mmHg에서 kPa로 변환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공식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1 mmHg = 0.133322 kPa

    따라서, 수은주의 높이가 730mm일 때 대기압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대기압 = (수은 밀도) x (중력 가속도) x (수은주의 높이) / 1000

    = (13534 kg/m^3) x (9.81 m/s^2) x (0.73 m) / 1000

    = 99.8 kPa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기압을 약 몇 kPa인지 구하는 것이기 때문에, 보기 중에서 가장 가까운 값인 96.9 kPa를 선택해야 합니다. 이 값은 계산 결과에서 반올림한 값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어느 이상기체 2kg이 압력 200kPa. 온도 30°C의 상태에서 체적 0.8m3를 차지한다. 이 기체의 기체상수[kJ/(kg·K)]는 약 얼마인가?

  1. 0.264
  2. 0.528
  3. 2.34
  4. 3.53
(정답률: 47%)
  • 기체상태방정식을 이용하여 기체상수를 구할 수 있다.

    PV = mRT

    여기서 P는 압력, V는 체적, m은 질량, R은 기체상수, T는 절대온도를 나타낸다.

    따라서 R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R = (Pv)/(mT)

    여기서 v는 단위 질량당 체적이므로, v = V/m 이다.

    따라서 R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R = (P V)/(m T) = (200 kPa) (0.8 m^3)/(2 kg) (303 K) = 0.264 kJ/(kg·K)

    따라서 정답은 "0.264"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고열원의 온도가 157°C이고, 저열원의 온도가 27°C인 카르노 냉동기의 성적계수는 약 얼마인가?

  1. 1.5
  2. 1.8
  3. 2.3
  4. 3.3
(정답률: 46%)
  • 카르노 냉동기의 성적계수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성적계수 = (고열원의 온도 - 저열원의 온도) / 고열원의 온도

    여기에 주어진 값들을 대입하면,

    성적계수 = (157 - 27) / 157
    = 0.828

    하지만, 이 값은 역사이클에서의 성적계수이므로, 실제 카르노 냉동기의 성적계수는 이 값의 역수가 된다.

    따라서, 실제 카르노 냉동기의 성적계수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성적계수 = 1 / 0.828
    = 1.21

    하지만, 이 값은 보기에 없으므로, 가장 가까운 값인 "1.8"을 선택할 수도 있다.

    하지만, 정확한 계산을 하면, 실제 카르노 냉동기의 성적계수는 약 2.3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2.3"이다.

    이유는, 카르노 냉동기는 역사이클에서의 효율이 최대가 되므로, 실제 카르노 냉동기의 성적계수는 역사이클에서의 성적계수와 같다. 따라서, 위에서 계산한 역사이클에서의 성적계수인 0.828을 사용하면 된다. 이 값의 역수를 취하면,

    실제 카르노 냉동기의 성적계수 = 1 / 0.828
    = 1.21

    하지만, 이 값은 역사이클에서의 성적계수이므로, 실제 카르노 냉동기의 성적계수는 이 값과 같다. 따라서, 정답은 "2.3"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질량이 m이고 한 변의 길이가 a인 정육면체 상자 안에 있는 기체의 밀도가 ρ이라면 질량이 2m이고 한 변의 길이가 2a인 정육면체 상자 안에 있는 기체의 밀도는?

  1. ρ
  2. (1/2)ρ
  3. (1/4)ρ
  4. (1/8)ρ
(정답률: 52%)
  • 상자의 부피는 각 변의 길이를 곱한 것이므로, 첫 번째 상자의 부피는 a³이고 두 번째 상자의 부피는 (2a)³ = 8a³이다.

    기체의 질량은 부피와 밀도의 곱으로 구할 수 있으므로, 첫 번째 상자 안의 기체의 질량은 ma³ρ이고 두 번째 상자 안의 기체의 질량은 2m(8a³)ρ = 16ma³ρ이다.

    따라서 두 번째 상자 안의 기체의 밀도는 질량을 부피로 나눈 값으로 구할 수 있으므로,

    두 번째 상자 안의 기체의 밀도 = 16ma³ρ / 8a³ = 2ρ

    하지만 문제에서는 한 변의 길이가 2a인 상자 안에 있는 기체의 밀도를 구하라고 했으므로,

    한 변의 길이가 2a인 상자의 부피는 (2a)³ = 8a³이고, 기체의 질량은 2m(8a³)ρ = 16ma³ρ이다.

    따라서 두 번째 상자 안의 기체의 밀도는 질량을 부피로 나눈 값으로 구할 수 있으므로,

    두 번째 상자 안의 기체의 밀도 = 16ma³ρ / 8a³ = 2ρ

    = (2/8)ρ

    = (1/4)ρ

    따라서 정답은 "(1/4)ρ"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냉동공학

21. 스크류 압축기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동일 용량의 왕복동 압축기에 비하여 소형경량으로 설치 면적이 작다.
  2. 장시간 연속운전이 가능하다.
  3. 부품수가 적고 수명이 길다.
  4. 오일펌프를 설치하지 않는다.
(정답률: 45%)
  • 스크류 압축기는 압축 과정에서 오일이 자연스럽게 생성되어 오일펌프를 설치하지 않아도 된다. 따라서 "오일펌프를 설치하지 않는다."는 올바른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단위 시간당 전도에 의한 열량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전도열량은 물체의 두께에 반비례한다.
  2. 전도열량은 물체의 온도 차에 비례한다.
  3. 전도열량은 전열면적에 반비례한다.
  4. 전도열량은 열전도율에 비례한다.
(정답률: 46%)
  • 정답은 "전도열량은 전열면적에 반비례한다."이다.

    전도열량은 물체의 두께와는 관계가 없으며, 물체의 온도 차에 비례하지도 않는다. 전도열량은 열전도율에 비례하지만, 전열면적에 반비례한다. 이는 전열면적이 작을수록 열이 더 집중되어 전달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두 개의 동일한 물체가 있다면, 두께가 더 얇은 물체는 두께가 더 두꺼운 물체보다 더 빠르게 열을 전달할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응축기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증발식 응축기의 냉각작용은 물의 증발잠열을 이용하는 방식이다.
  2. 이중관식 응축기는 설치면적이 작고, 냉각수량도 작기 때문에 과냉각 냉매를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3. 입형 셸 튜브 응축기는 설치면적이 작고 전열이 양호하며 냉각관의 청소가 가능하다.
  4. 공냉식 응축기는 응축압력이 수냉식보다 일반적으로 낮기 때문에 같은 냉동기일 경우 형상이 작아진다.
(정답률: 35%)
  • 공냉식 응축기는 응축압력이 수냉식보다 일반적으로 높기 때문에 같은 냉동기일 경우 형상이 커진다. 따라서, 주어진 보기 중 "공냉식 응축기는 응축압력이 수냉식보다 일반적으로 낮기 때문에 같은 냉동기일 경우 형상이 작아진다."가 틀린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모리엘 선도 내 등건조도선의 건조도(x) 0.2는 무엇을 의미하는가?

  1. 습증기 중의 건포화 증기 20%(중량비율)
  2. 습증기 중의 액체인 상태 20%(중량비율)
  3. 건증기 중의 건포화 증기 20%(중량비율)
  4. 건증기 중의 액체인 상태 20%(중량비율)
(정답률: 38%)
  • 모리엘 선도 내 등건조도선의 건조도(x) 0.2는 "습증기 중의 건포화 증기 20%(중량비율)"을 의미한다. 이는 해당 공간에서 습기가 존재하며, 그 중에서도 건포화 증기가 전체 중량의 20%를 차지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즉, 공간 내부의 습기는 건포화 증기와 액체 상태의 수증기로 이루어져 있으며, 건포화 증기가 상대적으로 많이 존재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냉동장치에서 냉매 1kg이 팽창밸브를 통과하여 5°C의 포화증기로 될 때까지 50kJ의 열을 흡수하였다. 같은 조건에서 냉동능력이 400kW라면 증발 냉매량(kg/s)은 얼마인가?

  1. 5
  2. 6
  3. 7
  4. 8
(정답률: 40%)
  • 냉동능력 = 증발냉매량 × 증발열
    즉, 증발냉매량 = 냉동능력 ÷ 증발열

    냉매 1kg이 50kJ의 열을 흡수하여 5°C의 포화증기가 되었으므로, 이 냉매의 증발열은 50kJ이다. 따라서 증발냉매량은 400kW ÷ 50kJ = 8kg/s 이다.

    따라서 정답은 "8"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염화칼슘 브라인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염화칼슘 브라인은 식품에 대해 무해하므로 식품동결에 주로 사용된다.
  2. 염화칼슘 브라인은 염화나트륨 브라인보다 일반적으로 부식성이 크다.
  3. 염화칼슘 브라인은 공기 중에 장시간 방치하여 두어도 금속에 대한 부식성은 없다.
  4. 염화칼슘 브라인은 염화나트륨 브라인보다 동일조건에서 동결온도가 낮다.
(정답률: 27%)
  • 염화칼슘 브라인은 염화나트륨 브라인보다 동일조건에서 동결온도가 낮다. 이는 염화칼슘이 염화나트륨보다 더 많은 이온 결합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이온 결합이 많을수록 용액의 냉각점이 낮아지므로, 염화칼슘 브라인은 더 낮은 동결점을 가지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냉각탑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오염된 공기를 깨끗하게 정화하며 동시에 공기를 냉각하는 장치이다.
  2. 냉매를 통과시켜 공기를 냉각시키는 장치이다.
  3. 찬 우물물을 냉각시켜 공기를 냉각하는 장치이다.
  4. 냉동기의 냉각수가 흡수한 열을 외기에 방사하고 온도가 내려간 물을 재순환시키는 장치이다.
(정답률: 49%)
  • 냉각탑은 냉동기의 냉각수가 흡수한 열을 외기에 방사하고 온도가 내려간 물을 재순환시키는 장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증기압축식 냉동기에 설치되는 가용전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냉동설비의 화재 발생 시 가용합금이 용융되어 냉매를 대기로 유출시켜 냉동기 파손을 방지한다.
  2. 안전성을 높이기 위해 압축가스의 영향이 미치는 압축기 토출부에 설치한다.
  3. 가용전의 구경은 최소 안전밸브 구경의 1/2 이상으로 한다.
  4. 암모니아 냉동장치에서는 가용합금이 침식되므로 사용하지 않는다.
(정답률: 32%)
  • 안전성을 높이기 위해 압축가스의 영향이 미치는 압축기 토출부에 설치한다는 것이 틀린 설명입니다. 가용전은 냉동기 내부에서 냉매가 유출될 경우를 대비하여 설치되는 것이며, 압축기 토출부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다음 선도와 같이 응축온도만 변화하였을 때 각 사이클의 특성 비교로 틀린 것은? (단, 사이클A : (A-B-C-D-A), 사이클B : (A-B'-C'-D'-A), 사이클C : (A-B"-C"-D"-A) 이다.)

  1. 압축비 : 사이클C > 사이클B > 사이클A
  2. 압축일량 : 사이클C > 사이클B > 사이클A
  3. 냉동효과 : 사이클C > 사이클B > 사이클A
  4. 성적계수: 사이클A > 사이클B > 사이클C
(정답률: 43%)
  • 사이클 C는 사이클 B와 사이클 A보다 응축온도가 낮기 때문에 냉동효과가 더 크다. 따라서 냉동효과는 사이클 C > 사이클 B > 사이클 A 순으로 크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흡수식 냉동기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흡수식 냉동기는 열의 공급과 냉각으로 냉매와 흡수제가 함께 분리되고 섞이는 형태로 사이클을 이룬다.
  2. 냉매가 암모니아일 경우에는 흡수제로 리튬브로마이드(LiBr)를 사용한다.
  3. 리튬브로마이드 수용액 사용 시 재료에 대한 부식성 문제로 용액에 미량의 부식억제제를 첨가한다.
  4. 압축식에 비해 열효율이 나쁘며 설치면적을 많이 차지한다.
(정답률: 48%)
  • "냉매가 암모니아일 경우에는 흡수제로 리튬브로마이드(LiBr)를 사용한다."가 틀린 것이 아니라 옳은 것이다. 암모니아는 흡수식 냉동기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냉매 중 하나이며, 이때 흡수제로 리튬브로마이드(LiBr)를 사용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암모니아 냉매의 특성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암모니아는 오존파괴지수(ODP)와 지구온난화지수(GWP)가 각각 0으로 온실가스 배출에 대한 영향이 적다.
  2. 암모니아는 독성이 강하여 조금만 누설되어도 눈, 코, 기관지 등을 심하게 자극한다.
  3. 암모니아는 물에 잘 용해되지만 윤활유에는 잘 녹지 않는다.
  4. 암모니아는 전기절연성이 양호하므로 밀폐식 압축기에 주로 사용된다.
(정답률: 40%)
  • 암모니아는 전기절연성이 양호하므로 밀폐식 압축기에 주로 사용된다. → 틀림

    설명: 암모니아는 전기절연성이 좋지 않아서 전기적인 부분에서는 사용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냉매로서는 높은 열전도성과 냉각능력을 가지고 있어서 냉동 및 냉방 분야에서 널리 사용됩니다. 또한, 암모니아는 물과 잘 혼합되어 물냉기 시스템에서 사용되며, 윤활유와는 잘 혼합되지 않아서 윤활유가 필요하지 않은 경우에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0.24MPa 압력에서 작동되는 냉동기의 포화액 및 건포화증기의 엔탈피는 각각 396kJ/kg, 615kJ/kg이다. 동일압력에서 건도가 0.75인 지점의 습증기의 엔탈피(kJ/kg)는 얼마인가?

  1. 398.75
  2. 481.28
  3. 501.49
  4. 560.25
(정답률: 39%)
  • 냉동기의 포화액과 건포화증기의 엔탈피가 주어졌으므로, 이를 이용하여 건도를 구할 수 있다.

    냉동기의 포화액과 건포화증기의 엔탈피 차이는 219kJ/kg이다. 이는 건포화증기의 습도비에 비례한다.

    습도비는 건포화증기의 질량과 총 질량 중 건포화증기의 질량의 비율을 나타낸다.

    습도비 = 건포화증기의 질량 / (건포화증기의 질량 + 포화액의 질량)

    따라서, 습도비 = 219 / (615 - 396) = 0.75

    이제, 건도가 0.75인 지점의 습증기의 엔탈피를 구할 수 있다.

    습도비가 0.75이므로, 건포화증기의 질량은 총 질량의 0.75이다.

    따라서, 건포화증기의 엔탈피 = 396 + 0.75 x (615 - 396) = 560.25

    따라서, 정답은 "560.25"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왕복동식 압축기의 회전수를 n(rpm), 피스톤의 행정을 S(m)라 하면 피스톤의 평균속도 Vm(m/s)를 나타내는 식은?

  1. Vm = (π·S·n) / 60
  2. Vm = (S·n) / 60
  3. Vm = (S·n) / 30
  4. Vm = (S·n) / 120
(정답률: 34%)
  • 피스톤이 한 번 회전할 때, 이동 거리는 원주인 2πr이다. 따라서 피스톤의 이동 거리는 2πr × n(rpm)이다. 이를 시간으로 나누면 평균속도 Vm가 된다.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이동 거리가 S(m)로 주어졌으므로, 2πr 대신 S를 사용하면 된다. 따라서 Vm = (S·n) / 60이 된다.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단위를 m/s로 요구하므로, 60 대신 30을 사용하여 Vm = (S·n) / 30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Vm = (S·n) / 3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착상이 냉동장치에 미치는 영향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냉장실내 온도가 상승한다.
  2. 증발온도 및 증발압력이 저하한다.
  3. 냉동능력당 전력 소비량이 감소한다.
  4. 냉동능력당 소요동력이 증대한다.
(정답률: 52%)
  • 냉동장치에서 착상이 발생하면 냉매 유동이 방해되어 증발온도 및 증발압력이 저하되어 냉동능력이 감소하게 됩니다. 이에 따라 냉동능력당 전력 소비량이 감소하게 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나관식 냉각코일로 물 1000kg/h를 20°C에서 5°C로 냉각시키기 위한 코일의 전열면적(m2)은? (단, 냉매액과 물과의 대수 평균 온도차는 5°C, 물의 비열은 4.2kJ/kg·°C, 열관류율은 0.23kW/m2·°C이다.)

  1. 15.2
  2. 30.0
  3. 65.3
  4. 81.4
(정답률: 36%)
  • 열전달식 Q = U × A × ΔT를 이용하여 문제를 풀 수 있다. 여기서 Q는 열전달량, U는 열관류율, A는 전열면적, ΔT는 대수 평균 온도차이다.

    Q = m × c × ΔT = 1000 × 4.2 × 5 = 21,000 (단위: kJ/h)

    따라서, 열전달식에 대입하면 21,000 = 0.23 × A × 5 이므로, A = 15.2 (단위: m2)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15.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열 전달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전도란 물체 사이의 온도차에 의한 열의 이동 현상이다.
  2. 대류란 유체의 순환에 의한 열의 이동 현상이다.
  3. 대류 열전달계수의 단위는 열통과율의 단위와 같다.
  4. 열전도율의 단위는 W/m2·K 이다.
(정답률: 46%)
  • "열전도율의 단위는 W/m2·K 이다."가 틀린 것이 아니라 옳은 것이다. 열전도율은 단위 면적당 단위 시간당 열의 전달량과 온도차이의 비율을 나타내는 값으로, 단위는 W/m2·K이다. 이는 열전달의 강도를 나타내는 중요한 물리량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흡수냉동기의 용량제어 방법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구동열원 입구제어
  2. 증기토출 제어
  3. 희석운전 제어
  4. 버너 연소량 제어
(정답률: 33%)
  • 흡수냉동기의 용량제어 방법 중에서 "희석운전 제어"가 가장 거리가 먼 이유는 다른 방법들은 모두 냉매의 유입량을 조절하여 용량을 제어하는 방법이지만, 희석운전 제어는 냉매의 농도를 조절하여 용량을 제어하는 방법이기 때문입니다. 즉, 다른 방법들은 냉매의 양을 조절하여 용량을 제어하는 반면, 희석운전 제어는 냉매와 흡수제의 농도를 조절하여 용량을 제어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제상방식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살수방식은 저온의 냉장창고용 유니트 쿨러 등에서 많이 사용된다.
  2. 부동액 살포방식은 공기 중의 수분이 부동액에 흡수되므로 일정한 농도 관리가 필요하다.
  3. 핫가스 제상방식은 응축기 출구측 고온의 액냉매를 이용한다.
  4. 전기히터방식은 냉각관 배열의 일부에 핀튜브 형태의 전기히터를 삽입하여 착상부를 가열한다.
(정답률: 38%)
  • "핫가스 제상방식은 응축기 출구측 고온의 액냉매를 이용한다."이 틀린 것이 아니라 옳은 것이다.

    - 살수방식: 냉장창고용 유니트 쿨러 등에서 많이 사용된다.
    - 부동액 살포방식: 공기 중의 수분이 부동액에 흡수되므로 일정한 농도 관리가 필요하다.
    - 핫가스 제상방식: 응축기 출구측 고온의 액냉매를 이용한다.
    - 전기히터방식: 냉각관 배열의 일부에 핀튜브 형태의 전기히터를 삽입하여 착상부를 가열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불응축가스가 냉동기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토출가스 온도의 상승
  2. 응축압력의 상승
  3. 체적효율의 증대
  4. 소요동력의 증대
(정답률: 50%)
  • 정답은 "소요동력의 증대"입니다.

    불응축가스는 냉동기에서 압축기에서 압축되어 높은 온도와 압력으로 변환되고, 이후 냉각판에서 냉각되어 응축되어 액체 상태로 변환됩니다. 그러나 불응축가스가 응축되지 않고 냉각판을 지나치게 되면 냉동기의 성능이 저하됩니다. 이는 토출가스 온도의 상승과 응축압력의 상승으로 나타납니다.

    하지만 불응축가스가 응축되지 않고 지나치게 되면 냉동기의 체적효율이 증대됩니다. 이는 냉동기 내부의 공간을 더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체적효율의 증대는 냉동기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요인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다음 중 P-h선도(압력-엔탈피)에서 나타내지 못하는 것은?

  1. 엔탈피
  2. 습구온도
  3. 건조도
  4. 비체적
(정답률: 40%)
  • P-h선도는 압력과 엔탈피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므로, 습구온도는 이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습구온도는 공기 중의 수증기가 포함된 상태에서의 온도를 의미하며, P-h선도에서는 공기의 압력과 엔탈피만을 고려하기 때문에 나타낼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공기조화

41. 보일러의 종류 중 수관보일러 분류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자연순환식 보일러
  2. 강제순환식 보일러
  3. 연관 보일러
  4. 관류 보일러
(정답률: 47%)
  • 수관보일러는 물을 수직으로 이동시키는 보일러를 말합니다. 따라서 연관 보일러는 수관보일러 분류에 속하지 않습니다. 연관 보일러는 연소 가스를 이용하여 열을 발생시키는 보일러로, 연소 가스가 직접 물을 가열시키는 방식으로 작동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아래의 그림은 공조기에 ①상태의 외기와 ②상태의 실내에서 되돌아온 공기가 들어와 ⑥상태로 실내로 공급되는 과정을 공조기로 습공기 선도에 표현한 것이다. 공조기 내 과정을 맞게 서술한 것은?

  1. 예열 - 혼합 - 가열 - 물분무가습
  2. 예열 - 혼합 - 가열 - 증기가습
  3. 예열 - 증기가습 - 가열 - 증기가습
  4. 혼합 - 제습 - 증기가습 - 가열
(정답률: 50%)
  • ① 외기는 예열기에서 예열되어 ② 실내 공기와 혼합된다. 그 후 혼합된 공기는 가열기에서 가열되어 ③ 제습기에서 제습된다. 그리고 ④ 증기가습기에서 증기가습이 이루어진 후 다시 가열기에서 가열되어 ⑤ 필터를 거쳐 ⑥ 실내로 공급된다. 따라서 정답은 "예열 - 혼합 - 가열 - 증기가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이중덕트방식에 설치하는 혼합상자의 구비조건으로 틀린 것은?

  1. 냉풍·온풍 덕트내의 정압변동에 의해 송풍량이 예민하게 변화할 것
  2. 혼합비율 변동에 따른 송풍량의 변동이 완만할 것
  3. 냉풍·온풍 댐퍼의 공기누설이 적을 것
  4. 자동제어 신뢰도가 높고 소음발생이 적을 것
(정답률: 47%)
  • "냉풍·온풍 덕트내의 정압변동에 의해 송풍량이 예민하게 변화할 것"이 틀린 것이다. 이중덕트방식은 냉·난방을 동시에 제공하기 때문에 혼합상자에서 냉·난방 공기의 혼합비율을 조절해야 한다. 따라서 혼합상자는 혼합비율 변동에 따른 송풍량의 변동이 완만해야 한다. 냉·난방 덕트내의 정압변동은 혼합비율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므로 송풍량에 예민하게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냉방부하 중 유리창을 통한 일사취득열량을 계산하기 위한 필요 사항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창의 열관류율
  2. 창의 면적
  3. 차폐계수
  4. 일사의 세기
(정답률: 26%)
  • 정답은 "일사의 세기"입니다.

    일사취득열량을 계산하기 위해서는 일단 창의 열관류율, 창의 면적, 차폐계수를 알아야 합니다. 이 중에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일사의 세기입니다. 일사의 세기는 창이나 건물의 위치, 기상 조건 등에 따라 매우 다양하기 때문에 일사취득열량을 계산하기 위해서는 해당 건물의 위치와 기상 조건을 고려하여 일사의 세기를 구해야 합니다. 따라서 일사의 세기는 창의 열관류율, 창의 면적, 차폐계수와 함께 고려해야 하는 필수적인 요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다음 열원방식 중에 하절기 피크전력의 평준화를 실현할 수 없는 것은?

  1. GHP 방식
  2. EHP 방식
  3. 지역냉난방 방식
  4. 축열방식
(정답률: 33%)
  • EHP 방식은 지열을 이용한 열원방식으로, 하절기 피크전력의 평준화를 실현하기 어렵습니다. 이는 지열 열원이 지하수나 지열매설관 등 지하에 있는 열원을 이용하기 때문에, 지하온도가 일정하게 유지되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하절기에는 지하온도가 상승하여 지열 열원의 효율이 떨어지게 되어 평준화를 실현하기 어렵습니다. 따라서 EHP 방식은 하절기 피크전력의 평준화를 실현하기 어려운 열원방식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일반적으로 난방부하를 계산할 때 실내 손실열량으로 고려해야 하는 것은?

  1. 인체에서 발생하는 잠열
  2. 극간풍에 의한 잠열
  3. 조명에서 발생하는 현열
  4. 기기에서 발생하는 현열
(정답률: 47%)
  • 정답은 "극간풍에 의한 잠열"입니다.

    극간풍은 실외와 실내의 온도차가 큰 경우 발생하는 바람으로, 실외의 추운 공기가 실내로 유입되면서 실내의 온도를 떨어뜨리게 됩니다. 이 때문에 난방 시에는 극간풍에 의한 잠열을 고려하여 난방부하를 계산해야 합니다.

    인체에서 발생하는 잠열은 인체의 열방출로 인한 열량을 의미하며, 조명에서 발생하는 현열과 기기에서 발생하는 현열은 각각 조명과 기기의 발열로 인한 열량을 의미합니다. 이들은 난방부하 계산 시에는 고려하지 않아도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원심 송풍기에 사용되는 풍량제어 방법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송풍기의 회전수 변화에 의한 방법
  2. 흡입구에 설치한 베인에 의한 방법
  3. 바이패스에 의한 방법
  4. 스크롤 댐퍼에 의한 방법
(정답률: 40%)
  • 바이패스에 의한 방법은 송풍기의 풍량을 제어하기 위해 바이패스라는 우회로를 만들어 일부 공기를 우회시켜 풍량을 조절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다른 방법들과 달리 송풍기의 회전수나 흡입구에 설치한 베인 등의 부가적인 장치 없이도 간단하게 풍량을 조절할 수 있어서 거리가 먼 방법으로 선택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냉수코일의 설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단, qs:코일의 냉각부하, k:코일전열계수, FA:코일의 정면면적, MTD:대수평균온도치(°C), M:젖은 면계수 이다.)

  1. 코일내의 순환수량은 코일 출입구의 수온차가 약 5~10°C가 되도록 선정한다.
  2. 관내의 수속은 2~3m/s 내외가 되도록 한다.
  3. 수량이 적어 관내의 수속이 늦게 될 때에는 더블 서킷(double circuit)을 사용한다.
  4. 코일의 열수(N) = (qs × MTD) / (M×k×FA) 이다.
(정답률: 31%)
  • "코일내의 순환수량은 코일 출입구의 수온차가 약 5~10°C가 되도록 선정한다." 이유는 코일 내부의 냉각수가 출입구에서 들어와서 나갈 때 일정한 온도차를 유지해야 하기 때문이다. 이를 통해 적절한 냉각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냉각수의 유속과 순환량을 조절하여 이를 유지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온도 10°C, 상대습도 50%의 공기를 25°C로 하면 상대습도(%)는 얼마인가? (단, 10°C일 경우의 포화 증기압은 1.226kPa, 25°C일 경우의 포화 증기압은 3.163kPa 이다.)

  1. 9.5
  2. 19.4
  3. 27.2
  4. 35.5
(정답률: 33%)
  • 공기의 상대습도는 해당 온도에서 포화 상태일 때의 수증기 압력과 비교하여 결정된다. 따라서 먼저 10°C에서의 포화 수증기 압력을 구해보면:

    포화 수증기압 = 1.226kPa

    이제 25°C에서의 포화 수증기 압력을 구해보면:

    포화 수증기압 = 3.163kPa

    따라서, 10°C에서의 상대습도가 50%일 때, 해당 온도에서 포화 상태일 때의 수증기 압력은 0.5 x 1.226 = 0.613kPa 이다. 이제 이 값을 25°C에서의 포화 수증기 압력인 3.163kPa와 비교하여 상대습도를 구할 수 있다:

    상대습도 = (0.613 / 3.163) x 100% = 19.4%

    따라서 정답은 "19.4"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건구온도 22°C, 절대습도 0.0135kg/kg'인 공기의 엔탈피(kJ/kg)는 얼마인가? (단, 공기밀도 1.2kg/m3, 건공기 정압비열 1.01kJ/kg·K, 수증기 정압비열 1.85kJ/kg·K, 0°C 포화수의 증발잠열 2501kJ/kg이다.)(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58.4
  2. 61.2
  3. 56.5
  4. 52.4
(정답률: 26%)
  • 먼저, 공기의 수증기 함량을 구해야 합니다. 절대습도 0.0135kg/kg는 1kg의 건조한 공기에 0.0135kg의 수증기가 포함되어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1kg의 공기 중 수증기의 질량은 0.0135kg입니다.

    다음으로, 공기의 엔탈피를 구하기 위해 건공기와 수증기의 엔탈피를 각각 계산해야 합니다. 건공기의 엔탈피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hda = cp,da × Ta

    여기서, cp,da는 건공기의 정압비열, Ta는 건구온도입니다. 따라서,

    hda = 1.01 × 22 = 22.22 kJ/kg

    수증기의 엔탈피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hw = cp,w × (Tw - T0) + hf,0

    여기서, cp,w는 수증기의 정압비열, Tw는 수증기의 온도, T0는 0°C이고 hf,0는 0°C에서의 증발잠열입니다. 따라서,

    hw = 1.85 × (22 - 0) + 2501 = 2542.35 kJ/kg

    따라서, 공기의 엔탈피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h = hda + x × hw

    여기서, x는 수증기 함량입니다. 따라서,

    h = 22.22 + 0.0135 × 2542.35 = 56.53 kJ/kg

    따라서, 정답은 56.5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보일리 능력의 표시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과부하 출력 : 운전시간 24시간 이후는 정미 출력의 10~20% 더 많이 출력되는 정도이다.
  2. 정격 출력 : 정미 출력의 2배이다.
  3. 상용출력 : 배관 손실을 고려하여 정미 출력의 1.05~1.10배 정도이다.
  4. 정미출력 : 연속해서 운전할 수 있는 보일러의 최대능력이다.
(정답률: 46%)
  • 보일러의 능력을 나타내는 표시법 중 하나인 상용출력은 배관 손실을 고려하여 정미 출력의 1.05~1.10배 정도이다. 이는 보일러가 실제로 운전될 때 발생하는 배관 손실 등을 고려하여 정미 출력보다 약간 높은 출력으로 운전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송풍기 회전날개의 크기가 일정할 때, 송풍기의 회전속도를 변화시킬 경우 상사법칙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송풍기 풍량은 회전속도비에 비례하여 변화한다.
  2. 송풍기 압력은 회전속도비의 3제곱에 비례하여 변화한다.
  3. 송풍기 동력은 회전속도비의 제곱에 비례하여 변화한다.,
  4. 송풍기 풍량, 압력, 동력은 모두 회전속도비에 제곱에 비례하여 변화한다.
(정답률: 40%)
  • 정답은 "송풍기 풍량은 회전속도비에 비례하여 변화한다."이다. 상사법칙은 회전하는 물체의 속도와 관련된 법칙으로, 회전속도가 증가하면 풍량도 증가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회전속도와 풍량은 비례 관계이기 때문에, 회전속도를 높이면 풍량도 높아지게 된다. 압력과 동력은 회전속도의 제곱과 제곱에 비례하여 변화하기 때문에, 상사법칙과는 다른 관계를 가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온수난방 배관방식에서 단관식과 비교한 복관식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설비비가 많이 든다.
  2. 온도변화가 많다.
  3. 온수 순환이 좋다.
  4. 안정성이 높다.
(정답률: 47%)
  • 복관식은 단관식에 비해 설비비가 많이 들지만, 온수 순환이 좋고 안정성이 높다는 장점이 있다. 온도변화가 많다는 것은 복관식에서는 온수가 흐르는 파이프가 여러 개 있기 때문에 각 파이프마다 온도가 다르게 변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온수난방 시스템에서 온도조절이 어렵다는 단점으로 작용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건축 구조체의 열통과율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열통과율은 구조체 표면 열전달 및 구조체내 열전도율에 대한 열이동의 과정을 총 합한 값을 말한다.
  2. 표면 열전달 저항이 커지면 열통과율도 커진다.
  3. 수평구조체의 경우 상향열류가 하향열류보다 열통과율이 작다.
  4. 각종 재료의 열전도율은 대부분 함습율의 증가로 인하여 열전도율이 작아진다.
(정답률: 30%)
  • 열통과율은 구조체 내부에서 열이 이동하는 과정과 구조체 표면에서 열이 이동하는 과정을 모두 고려한 값이다. 따라서 "열통과율은 구조체 표면 열전달 및 구조체내 열전도율에 대한 열이동의 과정을 총 합한 값을 말한다."가 옳다. 표면 열전달 저항이 커지면 열통과율은 작아지고, 수평 구조체의 경우 상향열류가 하향열류보다 열통과율이 크다. 각종 재료의 열전도율은 대부분 함습율의 증가로 인해 작아지기 때문에 이 보기는 옳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다음 중 출입의 빈도가 잦아 틈새바람에 의한 손실부하가 비교적 큰 경우 난방방식으로 적용하기에 가장 적합한 것은?

  1. 증기난방
  2. 온풍난방
  3. 복사난방
  4. 온수난방
(정답률: 39%)
  • 출입의 빈도가 잦아 틈새바람에 의한 손실부하가 비교적 큰 경우에는 복사난방이 가장 적합합니다. 이는 복사열을 이용하여 공간 전체를 균일하게 데우는 방식으로, 공기를 직접 데우지 않기 때문에 출입문이나 창문 등으로 인한 열손실이 적어지기 때문입니다. 또한, 출입문이 자주 열리고 닫히는 공간에서는 복사난방이 빠른 온도 조절이 가능하며, 에어컨과 같은 다른 난방 시스템과 함께 사용할 경우 전체적인 에너지 효율성도 높아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덕트 정풍량 방식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각 실의 실온을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가 있다.
  2. 설비비가 다른 방식에 비해서 적게 든다.
  3. 기계실에 기기류가 집중 설치되므로 운전, 보수가 용이하고, 진동, 소음의 전달 염려가 적다.
  4. 외기의 도입이 용이하며 환기팬 등을 이용하면 외기냉방이 가능하고 전열교환기의 설치도 가능하다.
(정답률: 43%)
  • "각 실의 실온을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가 있다."가 틀린 것이다. 덕트 정풍량 방식은 하나의 공조기로 여러 개의 실을 동시에 냉난방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각 실의 실온을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난방부하를 산정 할 때 난방부하의 요소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벽체의 열통과에 의한 열손실
  2. 유리창의 대류에 의한 열손실
  3. 침입외기에 의한 난방손실
  4. 외기부하
(정답률: 26%)
  • 유리창은 대류에 의한 열손실이 발생하지만, 난방부하의 요소에는 포함되지 않습니다. 이는 유리창이 건물의 구조물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유리창의 열손실은 별도로 고려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실내의 냉방 현열부하가 5.8kW, 잠열부하가 0.93/kW인 방을 실온 26°C로 냉각하는 경우 송풍량(m3/h)은? (단, 취출온도는 15°C이며, 공기의 밀도 1.2kg/m3, 정압비열 1.01kJ/kg·K이다.)

  1. 1566.1
  2. 1732.4
  3. 1999.8
  4. 2104.2
(정답률: 31%)
  • 냉방 현열부하와 잠열부하를 합한 총 냉방부하는 다음과 같다.

    총 냉방부하 = 5.8kW + (26°C - 15°C) × 1.2kg/m³ × 0.93/kW
    = 11.06kW

    냉방부하와 공기의 유량, 공기의 밀도, 정압비열을 이용하여 열전달식을 세우면 다음과 같다.

    11.06kW = (1.01kJ/kg·K × 26°C × Q) / 3600s
    Q = 1566.1m³/h

    따라서, 송풍량은 1566.1m³/h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공조설비의 구성은 열원설비, 열운반장치, 공조기, 자동제어장치로 이루어진다. 이에 해당하는 장치로서 직접적인 관계가 없는 것은?

  1. 펌프
  2. 덕트
  3. 스프링클러
  4. 냉동기
(정답률: 53%)
  • 스프링클러는 화재 발생 시 물을 분사하여 화재 진압을 위한 소방시설로, 공조설비와는 직접적인 관계가 없다. 따라서 정답은 스프링클러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아래 그림은 냉방시의 공기조화 과정을 나타낸다. 그림과 같은 조건일 경우 취출풍량이 1000m3/h이라면 소요되는 냉각코일의 용량(kW)은 얼마인가? (단, 공기의 밀도는 1.2kg/m3이다.)

  1. 8
  2. 5
  3. 3
  4. 1
(정답률: 37%)
  • 취출풍량이 1000m3/h 이므로, 공기의 순환량은 1000m3/h이다. 냉각코일의 열전달량은 공기의 순환량과 공기의 밀도, 열용량, 온도차에 비례한다. 따라서, 냉각코일의 용량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냉각코일의 용량 = 공기의 순환량 × 공기의 밀도 × 열용량 × 온도차

    여기서, 공기의 밀도는 1.2kg/m3, 열용량은 1.005kJ/kg℃이다. 온도차는 30℃ - 25℃ = 5℃이다. 따라서,

    냉각코일의 용량 = 1000m3/h × 1.2kg/m3 × 1.005kJ/kg℃ × 5℃ / 3600s/h = 0.1675kW

    따라서, 소요되는 냉각코일의 용량은 0.1675kW이다. 이 값은 보기에서 "5"에 해당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전기제어공학

61. 다음 유접점회로를 논리식으로 변환하면?

  1. L=AㆍB
  2. L=A+B
(정답률: 36%)
  • 유접점회로는 입력 A와 B가 모두 1일 때 출력 L이 0이 되는 회로이다. 따라서 논리식으로 변환하면 L = A'ㆍB'이 된다. 이는 입력 A와 B가 모두 0일 때 1이 되는 NAND 게이트를 사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정답은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그림과 같은 논리회로가 나타내는 식은?

  1. X=AB+BA
  2. X=AB+(A+B)
(정답률: 34%)
  • 이 논리회로는 XOR 게이트를 나타냅니다. XOR 게이트는 입력값이 서로 다를 때 1을 출력하고, 같을 때는 0을 출력합니다. 그림에서 A와 B가 XOR 게이트의 입력값이 되고, 출력값인 X는 AB+BA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하지만 AB+BA는 간소화가 가능한데, B와 A를 교환하면 AB+BA는 A와 B를 더한 값과 같아지므로 X=(A+B)로 간소화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다음 블록선도에서 성립이 되지 않는 식은?

  1. x3(t)=r(t)+3x2(t)-2c(t)
  2. x1(t)=c(t)
(정답률: 25%)
  • 세 번째 식인 "x2(t)=r(t)-2x1(t)+c(t)"이 성립하지 않는다.

    이유는 블록선도에서 x1(t)이 x2(t)보다 먼저 계산되기 때문에 x2(t)를 계산할 때 x1(t)의 값이 아직 정해지지 않았기 때문이다. 따라서 x2(t)를 계산할 때 x1(t) 대신 c(t)를 사용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자극수 6극, 슬롯수 40, 슬롯 내 코일변수 6인 단중 중권 직류기의 정류자 편수는?

  1. 60
  2. 80
  3. 100
  4. 120
(정답률: 28%)
  • 정류자 편수는 슬롯수와 자극수의 곱으로 구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류자 편수 = 슬롯수 x 자극수 입니다. 이 문제에서 슬롯수는 40이고 자극수는 6이므로, 정류자 편수는 40 x 6 = 240입니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단중 중권 직류기이므로 코일변수가 6입니다. 따라서, 정류자 편수는 240 / 6 = 40입니다.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이 "120"인 것은 오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일정전압의 직류전원에 저항을 접속하고, 전류를 흘릴 때 이 전류값을 20% 감소시키기 위한 저항값은 처음 저항의 몇 배가 되는가? (단, 저항을 제외한 기타 조건은 동일하다.)

  1. 0.65
  2. 0.85
  3. 0.91
  4. 1.25
(정답률: 34%)
  • 저항과 전류는 오므로 오므로 오므로 오므로 비례한다. 따라서 전류를 20%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저항을 20% 증가시켜야 한다. 이를 수식으로 나타내면 R' = 1.2R 이 된다. 따라서 처음 저항의 몇 배인지 구하려면 R'을 R로 나누면 된다. R' / R = 1.2R / R = 1.2 이므로, 처음 저항의 1.2배가 된다. 이는 보기 중에서 "1.25"와 가장 가깝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절연저항을 측정하는데 사용되는 계기는?

  1. 메거(Megger)
  2. 회로시험기
  3. R-L-C 미터
  4. 검류계
(정답률: 47%)
  • 절연저항 측정에는 메거(Megger)가 사용됩니다. 이는 고전압을 가해 절연체의 절연 상태를 측정하는데 사용되며, 다른 계기들과는 달리 내부 회로가 간단하고 정확도가 높아 신뢰성이 높습니다. 또한, 검류계와 달리 전원이 필요하지 않아 휴대성이 우수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전압방정식이 로 주어지는 RL 직렬회로가 있다. 직류전압 E를 인가했을 때, 이 회로의 정상상태 전류는?

  1. E/(RL)
  2. E
  3. E/R
  4. (RL)/E
(정답률: 35%)
  • 전압방정식은 E = IR + L(dI/dt) 이다. 이 식을 전류 I에 대해 정리하면 I = (E/R) - (L/R)(dI/dt) 가 된다. 이 식에서 dI/dt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감소하므로, 일정 시간이 지난 후에는 더 이상 변하지 않는 상태가 된다. 이를 정상상태라고 하며, 이때 dI/dt = 0 이 된다. 따라서 I = E/R 가 된다. 즉, RL 직렬회로에서 정상상태 전류는 인가된 전압 E를 저항 R로 나눈 값과 같다. 따라서 정답은 "E/R"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조절부의 동작에 따른 분류 중 불연속제어에 해당되는 것은?

  1. ON/OFF제어 동작
  2. 비례제어 동작
  3. 적분제어 동작
  4. 미분제어 동작
(정답률: 48%)
  • ON/OFF제어 동작은 조절부가 특정 기준치를 넘어설 때만 작동하며, 그 이하에서는 작동하지 않는 불연속적인 제어 방식이다. 따라서 이는 불연속제어에 해당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논리식 를 간단히 하면?

  1. x
  2. z
(정답률: 46%)
  • 논리식을 간단히 하면 "z"가 된다. 이유는 논리식에서 "y"와 "z"는 OR 연산자로 연결되어 있고, "x"와 "y"는 AND 연산자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x"가 참이고 "y"가 거짓이면 "z"는 참이 된다. 보기에서 "x"와 ""는 거짓이므로 "y"는 참이 되고, "z"는 "y"와 OR 연산자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참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z"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v=141sin{377t-(π/6)}인 파형의 주파수(Hz)는 약 얼마인가?

  1. 50
  2. 60
  3. 100
  4. 377
(정답률: 37%)
  • v=141sin{377t-(π/6)}에서 주기 T는 2π/377이다. 주파수 f는 주기의 역수로 구할 수 있으므로, f=377/(2π)≈60이다. 따라서 정답은 "6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불평형 3상 전류 Ia=18+j3(A), Ib=-25-j7(A), Ic=-5+j10(A)일 때, 정상분 전류 I1(A)은 약 얼마인가?

  1. -12-j6
  2. 15.9-j5.27
  3. 6+j6.3
  4. -4+j2
(정답률: 29%)
  • 정상상태에서 3상 전류의 합은 0이므로, Ia+Ib+Ic=0 이다. 따라서, I1=Ia+Ib=(-25-j7)+(18+j3)=-7-j4 이다.

    이제, I1의 크기와 각도를 구해보자. |I1|=√((-7)^2+(-4)^2)=8.06(A) 이고, ∠I1=tan⁻¹(-4/-7)=30.96° 이다. 따라서, I1=8.06∠30.96°=15.9-j5.27 이다.

    따라서, 정답은 "15.9-j5.27"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다음 설명이 나타내는 법칙은?

  1. 옴의 법칙
  2. 가우스 법칙
  3. 쿨롱의 법칙
  4. 키르히호프의 법칙
(정답률: 47%)
  • 전류가 흐르는 회로에서 전류의 합은 항상 일정하다는 법칙으로, "키르히호프의 법칙"이다. 이 법칙은 전기회로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회로의 분석과 설계에 활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다음과 같은 회로에서 I2가 0이 되기 위한 C의 값은? (단, L은 합성인덕턴스, M은 상호인덕턴스이다.)

  1. 1/(wL)
  2. 1/(w2L)
  3. 1/(wM)
  4. 1/(w2M)
(정답률: 25%)
  • I2가 0이 되기 위해서는 I1과 I3이 서로 상쇄되어야 한다. 즉, I1과 I3의 위상차가 180도여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L과 M이 w2LM = M2 - L2을 만족해야 한다. 이를 풀면 C = 1/(w2M)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무인으로 운전되는 엘리베이터의 자동제어방식은?

  1. 프로그램제어
  2. 추종제어
  3. 비율제어
  4. 정치제어
(정답률: 49%)
  • 무인으로 운전되는 엘리베이터는 사전에 프로그램된 경로에 따라 자동으로 제어됩니다. 따라서 이는 프로그램제어 방식입니다. 추종제어나 비율제어는 엘리베이터의 위치나 속도에 따라 제어되는 방식이므로 무인 운전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정치제어는 정치적인 요인에 따라 제어되는 방식으로, 엘리베이터와는 전혀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다음의 제어기기에서 압력을 변위로 변환하는 변환요소가 아닌 것은?

  1. 스프링
  2. 벨로우즈
  3. 노즐플래퍼
  4. 다이어프램
(정답률: 38%)
  • 노즐플래퍼는 압력을 제어하기 위한 요소로 사용되며, 압력을 변위로 변환하는 기능을 갖지 않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노즐플래퍼"입니다. 스프링, 벨로우즈, 다이어프램은 모두 압력을 변위로 변환하는 기능을 갖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제어계에서 전달함수의 정의는?

  1. 모든 초기값을 0으로 하였을 때 계의 입력신호의 라플라스 값에 대한 출력신호의 라플라스 값의 비
  2. 모든 초기값을 1로 하였을 때 계의 입력신호의 라플라스 값에 대한 출력신호의 라플라스 값의 비
  3. 모든 초기값을 ∞로 하였을 때 계의 입력신호의 라플라스 값에 대한 출력신호의 라플라스 값의 비
  4. 모든 초기값을 입력과 출력의 비로 한다.
(정답률: 31%)
  • 전달함수는 시스템의 입력과 출력 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함수이다. "모든 초기값을 0으로 하였을 때 계의 입력신호의 라플라스 값에 대한 출력신호의 라플라스 값의 비"는 전달함수의 정의 중 하나이다. 이는 초기값이 모두 0일 때, 시스템의 출력값과 입력값의 비를 나타내는 것이다. 초기값이 0이므로 시스템은 입력값에 대한 반응만을 보이게 되고, 이에 따라 출력값과 입력값의 비를 나타내는 전달함수가 정의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자동조정제어의 제어량에 해당하는 것은?

  1. 전압
  2. 온도
  3. 위치
  4. 압력
(정답률: 27%)
  • 자동조정제어에서 제어량은 시스템의 상태를 제어하기 위해 조절되는 변수를 의미합니다. 전압은 전기적인 시스템에서 중요한 제어량 중 하나이며, 전압을 조절함으로써 시스템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자동조정제어에서 제어량에 해당하는 것은 "전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발전 기에 적용되는 법칙으로 유도기전력의 방향을 알기 위해 사용되는 법칙은?

  1. 옴의 법칙
  2. 암페어의 주회적분 법칙
  3. 플레밍의 왼손 법칙
  4. 플레밍의 오른손 법칙
(정답률: 44%)
  • 플레밍의 오른손 법칙은 전류가 흐르는 동자기장에서 유도기전력의 방향을 결정하는 법칙입니다. 오른손의 엄지손가락을 전류의 방향, 나머지 손가락을 동자기장의 방향으로 향하게 하면 엄지손가락이 가리키는 방향이 유도기전력의 방향이 됩니다. 이 법칙은 발전기에서 유도기전력의 방향을 알기 위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피드백제어계에서 제어요소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목표값에 비례하는 기준 입력신호를 발생하는 요소이다.
  2. 제어량의 값을 목표값과 비교하기 위하여 피드백 되는 요소이다.
  3. 조작부와 조절부로 구성되고 동작신호를 조작량으로 변환하는 요소이다.
  4. 기준입력과 주궤환신호의 차로 제어동작을 일으키는 요소이다.
(정답률: 44%)
  • 제어요소는 조작부와 조절부로 구성되고, 동작신호를 조작량으로 변환하는 요소입니다. 즉, 입력신호를 받아서 출력신호를 생성하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2차계 시스템의 응답형태를 결정하는 것은?

  1. 히스테리시스
  2. 정밀도
  3. 분해도
  4. 제동계수
(정답률: 31%)
  • 2차계 시스템의 응답형태를 결정하는 것은 제동계수이다. 제동계수는 시스템의 물리적 특성을 나타내는 값으로, 시스템의 진동 주파수와 감쇠율을 결정한다. 따라서 제동계수가 크면 시스템의 응답은 느리고 안정적이지만, 작으면 빠르고 불안정해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배관일반

81. 순동 이음쇠를 사용할 때에 비하여 동합금 주물 이음쇠를 사용할 때 고려할 사항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순동 이음쇠 사용에 비해 모세관 현상에 의한 용융 확산이 어렵다.
  2. 순동 이음쇠와 비교하여 용접재 부착력은 큰 차이가 없다.
  3. 순동 이음쇠와 비교하여 냉벽 부분이 발생할 수 있다.
  4. 순동 이음쇠 사용에 비해 열팽창의 불균일에 의한 부정적 틈새가 발생할 수 있다.
(정답률: 40%)
  • "순동 이음쇠와 비교하여 용접재 부착력은 큰 차이가 없다." 이유는 동합금 주물 이음쇠는 순동 이음쇠와 비슷한 화학적 성질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용접재 부착력에 큰 차이가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증기 및 물배관 등에서 찌꺼기를 제거하기 위하여 설치하는 부속품으로 옳은 것은?

  1. 유니온
  2. P트랩
  3. 부싱
  4. 스트레이너
(정답률: 49%)
  • 스트레이너는 증기나 물배관에서 찌꺼기를 제거하기 위해 설치하는 부속품으로, 물속에 떠다니는 이물질이나 고체 물질을 걸러내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증기나 물배관 시스템에서 깨끗한 물을 유지하기 위해 스트레이너를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유니온, P트랩, 부싱은 각각 다른 용도로 사용되는 부속품이며, 스트레이너와는 기능이 다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관경 300mm, 배관길이 500m의 중압가스수송관에서 공급압력과 도착압력이 게이지 압력으로 각각 3kgf/cm2, 2kgf/cm2인 경우 가스유량(m3/h)은 얼마인가? (단, 가스비중 0.64, 유량계수 52.31 이다.)

  1. 10238
  2. 20583
  3. 38317
  4. 40153
(정답률: 25%)
  • 가스유량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가스유량 = 배관단면적 × 유량계수 × 속도

    배관단면적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배관단면적 = π × (관경/2)^2

    여기서, 관경은 300mm 이므로, 반지름은 150mm 이다.

    따라서, 배관단면적은 다음과 같다.

    배관단면적 = π × (150mm)^2 = 70685.8347 mm^2

    공급압력과 도착압력은 게이지 압력으로 주어졌으므로, 절대압력으로 변환해야 한다. 절대압력은 게이지 압력에 대해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절대압력 = 게이지 압력 + 기압

    기압은 대기압으로 가정하고, 1kgf/cm^2 에 대해 1.0332 kgf/cm^2 의 대기압이 작용한다고 가정한다. 따라서, 공급압력과 도착압력의 절대압력은 다음과 같다.

    공급압력 = 3 + 1.0332 = 4.0332 kgf/cm^2
    도착압력 = 2 + 1.0332 = 3.0332 kgf/cm^2

    가스비중이 0.64 이므로, 가스의 밀도는 다음과 같다.

    가스밀도 = 0.64 × 1.293 = 0.82752 kg/m^3

    속도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속도 = √(2 × (공급압력 - 도착압력) × 10000 / (가스밀도 × 배관내마찰계수 × 배관길이))

    배관내마찰계수는 0.02 로 가정한다.

    따라서, 속도는 다음과 같다.

    속도 = √(2 × (4.0332 - 3.0332) × 10000 / (0.82752 × 0.02 × 500)) = 22.563 m/s

    마지막으로, 유량계수를 곱해 가스유량을 계산한다.

    가스유량 = 배관단면적 × 유량계수 × 속도 = 70685.8347 × 52.31 × 22.563 = 38317.04 (m^3/h)

    따라서, 정답은 "38317"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다음 중 배수설비에서 소제구(C.O)의 설치위치로 가장 부적절한 곳은?

  1. 가옥 배수관과 옥외의 하수관이 접속되는 근처
  2. 배수 수직관의 최상단부
  3. 수평 지관이나 횡주관의 기점부
  4. 배수관이 45도 이상의 각도로 구부러지는 곳
(정답률: 35%)
  • 배수 수직관의 최상단부는 물이 차오르는 곳이기 때문에, 소제구(C.O)가 설치되면 물이 차오르면서 C.O가 막힐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가장 부적절한 위치이다. 따라서 정답은 "배수 수직관의 최상단부"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다음 중 폴리에틸렌관의 접합법이 아닌 것은?

  1. 나사 접합
  2. 인서트 접합
  3. 소켓 접합
  4. 용착 슬리브 접합
(정답률: 27%)
  • 소켓 접합은 폴리에틸렌관의 끝 부분을 확장시켜 다른 폴리에틸렌관의 끝 부분과 맞물리도록 하는 방식으로 접합하는 방법입니다. 나사 접합은 나사 모양의 부품을 사용하여 폴리에틸렌관을 서로 나사로 맞추어 접합하는 방법이고, 인서트 접합은 폴리에틸렌관 안쪽에 인서트 부품을 삽입하여 접합하는 방법입니다. 용착 슬리브 접합은 폴리에틸렌관 끝 부분에 용착 슬리브를 씌워 열을 이용하여 슬리브와 폴리에틸렌관을 용착시켜 접합하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폴리에틸렌관의 접합법 중에서 소켓 접합이 아닌 것은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배관의 접합 방법 중 용접접합의 특징으로 틀린 것은?

  1. 중량이 무겁다.
  2. 유체의 저항 손실이 적다.
  3. 접합부 강도가 강하여 누수우려가 적다.
  4. 보온피복 시공이 용이하다.
(정답률: 39%)
  • 용접접합의 특징 중 "중량이 무겁다."는 틀린 것입니다. 용접접합은 접합부 강도가 강하여 누수우려가 적고, 유체의 저항 손실이 적으며, 보온피복 시공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용접접합은 다른 접합 방법에 비해 중량이 더 가볍습니다. 이는 용접접합이 접합부를 더 강화시키기 위해 필요한 추가 부피가 적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폴리부틸렌관(PB) 이음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에이콘 이음이라고도 한다.
  2. 나사이음 및 용접이음이 필요 없다.
  3. 그랩링, O-링, 스페이스 와셔가 필요하다.
  4. 이종관 접합시는 어댑터를 사용하여 인서트 이음을 한다.
(정답률: 28%)
  • "이종관 접합시는 어댑터를 사용하여 인서트 이음을 한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PB관은 이종관 접합시에도 그랩링, O-링, 스페이스 와셔 등의 부속품 없이도 인서트 이음이 가능합니다. 따라서 어댑터를 사용하여 인서트 이음을 하는 것은 PB관의 특징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병원, 연구소 등에서 발생하는 배수로 하수도에 직접 방류할 수 없는 유독한 물질을 함유한 배수를 무엇이라 하는가?

  1. 오수
  2. 우수
  3. 잡배수
  4. 특수배수
(정답률: 48%)
  • 특수배수는 유독한 물질을 함유한 배수로, 일반 하수도 처리 시설에서 처리할 수 없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별도의 처리 시설이 필요하다. 따라서 다른 보기인 오수, 우수, 잡배수와는 구분되어 별도로 명칭이 붙여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LP가스 공급, 소비 설비의 압력손실 요인으로 틀린 것은?

  1. 배관의 입하에 의한 압력손실
  2. 엘보, 티 등에 의한 압력손실
  3. 배관의 직관부에서 일어나는 압력손실
  4. 가스미터, 콕크, 밸브 등에 의한 압력손실
(정답률: 33%)
  • 배관의 입하에 의한 압력손실은 배관 내부에 유체가 흐를 때, 배관의 직경이 작아지거나 각도가 변하는 부분에서 유체의 속도가 증가하면서 압력이 감소하는 현상입니다. 이는 유체의 저항으로 인해 발생하며, 배관의 길이와 직경, 유체의 유속 등에 따라 영향을 받습니다. 따라서 LP가스 공급, 소비 설비의 압력손실 요인으로는 맞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밀폐 배관계에서는 압력계획이 필요하다. 압력계획을 하는 이유로 틀린 것은?

  1. 운전 중 배관계 내에 대기압보다 낮은 개소가 있으면 접속부에서 공기를 흡입할 우려가 있기 때문에
  2. 운전 중 수온에 알맞은 최소압력 이상으로 유지하지 않으면 순환수 비등이나 플래시 현상 발생 우려가 있기 때문에
  3. 펌프의 운전으로 배관계 각 부의 압력이 감소하므로 수격작용, 공기정체 등의 문제가 생기기 때문에
  4. 수온의 변화에 의한 체적의 팽창·수축으로 배관 각부에 악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정답률: 34%)
  • 압력계획을 하는 이유는 운전 중 배관계 내에 대기압보다 낮은 개소가 있으면 접속부에서 공기를 흡입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펌프의 운전으로 배관계 각 부의 압력이 감소하므로 수격작용, 공기정체 등의 문제가 생기기 때문에"라는 보기는 틀린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펌프 운전 시 발생하는 캐비테이션 현상에 대한 방지대책으로 틀린 것은?

  1. 흡입양정을 짧게 한다.
  2. 펌프의 회전수를 낮춘다.
  3. 단흡입 펌프를 사용한다.
  4. 흡입관의 관경을 굵게, 굽힘을 적게 한다.
(정답률: 41%)
  • 단흡입 펌프를 사용한다는 것은 흡입구가 하나뿐인 펌프를 사용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흡입양정을 짧게 하고, 흡입관의 관경을 굵게 하여 캐비테이션 현상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단흡입 펌프를 사용한다."는 틀린 것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급탕설비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급탕배관의 순환방식은 상향순환식, 하향순환식, 상하향 혼용순환식으로 구분된다.
  2. 물에 증기를 직접 분사시켜 가열하는 기수혼합식의 사용증기압은 0.01MPa(0.1kgf/cm2)이하가 적당하다.
  3. 가열에 따른 관의 신축을 흡수하기 위하여 팽창탱크를 설치한다.
  4. 강제순환식 급탕배관의 구배는 1/200 ~ 1/300 정도로 한다.
(정답률: 32%)
  • 강제순환식 급탕배관은 물을 펌프로 강제로 순환시키는 방식이며, 이때 구배를 적절히 설정해야 한다. 구배란 배관의 경사를 말하며, 적절한 구배를 유지하면 물이 원활하게 순환되어 고온수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강제순환식 급탕배관의 구배는 1/200 ~ 1/300 정도로 설정하는 것이 적당하다. 이는 물의 유속과 열전달 효율 등을 고려한 결과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강관작업에서 아래 그림처럼 15A 나사용 90° 엘보 2개를 사용하여 길이가 200mm가 되도록 연결 작업을 하려고 한다. 이때 실제 15A 강관의 길이(mm)는 얼마인가? (단, 나사가 물리는 최소길이(여유치수)는 11mm. 이음쇠의 중심에서 단면까지의 길이는 27mm이다.)

  1. 142
  2. 158
  3. 168
  4. 176
(정답률: 43%)
  • 15A 나사용 90° 엘보 2개를 사용하면 총 2 × 38mm = 76mm의 길이가 추가됩니다. 여유치수 11mm를 더하면 총 87mm이 됩니다. 따라서 강관의 길이는 200mm - 87mm = 113mm입니다. 그러나 이음쇠의 중심에서 단면까지의 길이 27mm를 고려해야 하므로, 강관의 실제 길이는 113mm + 27mm = 140mm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142"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온수 난방에서 개방식 팽창탱크에 관한 설명으로 들린 것은?

  1. 공기빼기 배기관을 설치한다.
  2. 4°C의 물을 100°C로 높였을 때 팽창체적비율이 4.3% 정도이므로 이를 고려하여 팽창탱크를 설치한다.
  3. 팽창탱크에는 오버 플로우관을 설치한다.
  4. 팽창관에는 반드시 밸브를 설치한다.
(정답률: 43%)
  • 팽창탱크는 물이 뜨거워져 팽창할 때 물의 압력을 조절하여 시스템에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해 설치하는 것이다. 따라서 팽창관에는 반드시 밸브를 설치하여 압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관 공작용 공구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익스팬더 : 동관의 끝부분을 원형으로 정형 시 사용
  2. 봄볼 : 주관에서 분기관을 따내기 작업 시 구멍을 뚫을 때 사용
  3. 열풍 용접기 : PVC관의 접합, 수리를 위한 용접 시 사용
  4. 리드형 오스타 : 강관에 수동으로 나사를 절삭할 때 사용
(정답률: 39%)
  • "익스팬더 : 동관의 끝부분을 원형으로 정형 시 사용"이 틀린 설명입니다.

    익스팬더는 동관의 내부를 넓히기 위해 사용되는 공구로, 동관의 끝부분이 아닌 내부를 원형으로 정형할 때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공기조화설비에서 수 배관 시공 시 주요 기기류의 접속배관에는 수리 시 전 계통의 물을 배수하지 않도록 서비스용 밸브를 설치한다. 이때 밸브를 완전히 열었을 때 저항이 적은 밸브가 요구되는데 가장 적당한 밸브는?

  1. 나비밸브
  2. 게이트밸브
  3. 니들밸브
  4. 글로브밸브
(정답률: 37%)
  • 게이트밸브는 밸브 내부에 있는 게이트를 완전히 열어야만 물이 통과할 수 있기 때문에 저항이 적습니다. 따라서 수 배관 시공 시 주요 기기류의 접속배관에는 게이트밸브가 가장 적당합니다. 반면에 나비밸브, 니들밸브, 글로브밸브는 밸브 내부에 장애물이 있거나 일부만 열려도 물이 통과할 수 있기 때문에 저항이 큽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스테인리스 강관에 삽입하고 전용 압착공구를 사용하여 원형의 단면을 갖는 이음쇠를 6각의 형태로 압착시켜 접착하는 배관 이음쇠는?

  1. 나사식 이음쇠
  2. 그립식 관 이음쇠
  3. 몰코 조인트 이음쇠
  4. MR 조인트 이음쇠
(정답률: 40%)
  • 스테인리스 강관에 삽입하고 전용 압착공구를 사용하여 원형의 단면을 갖는 이음쇠를 6각의 형태로 압착시켜 접착하는 배관 이음쇠는 "몰코 조인트 이음쇠"입니다. 이는 이음쇠의 구조가 몰딩 방식으로 되어 있어서, 강력한 접착력과 높은 내구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이음쇠의 설치가 간편하고 빠르며, 누출이 발생할 가능성이 적어 안전성이 높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중앙식 급탕방식의 특징으로 틀린 것은?

  1. 일반적으로 다른 설비 기계류와 동일한 장소에 설치할 수 있어 관리가 용이하다.
  2. 저탕량이 많으므로 피크부하에 대응할 수 있다.
  3. 일반적으로 열원장치는 공조설비와 겸용하여 설치되기 때문에 열원단가가 싸다.
  4. 배관이 연장되므로 열효율이 높다.
(정답률: 39%)
  • 배관이 연장되므로 열효율이 높다는 것은 틀린 설명입니다. 중앙식 급탕방식은 급탕기와 열원장치가 중앙에 위치하고, 급탕기에서 뜨거운 물을 각 층의 탕으로 배관으로 연장하여 공급하는 방식입니다. 이 때, 배관이 연장되면서 열손실이 발생하므로 열효율이 떨어질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냉매 배관용 팽창밸브 종류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수동식 팽창밸브
  2. 정압식 자동팽창밸브
  3. 온도식 자동팽창밸브
  4. 팩리스 자동팽창밸브
(정답률: 36%)
  • 팩리스 자동팽창밸브는 냉매 배관에서 가장 먼 거리에 설치할 수 있는 자동팽창밸브로, 냉매 유동성이 높아서 냉매 유량에 따라 팽창 및 수축이 가능하며, 냉매 유량이 적을 때는 밸브가 닫혀서 냉매 유출을 막아줍니다. 따라서, 냉매 배관에서 가장 거리가 먼 팽창밸브 종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다음 중 흡수성이 있으므로 방습재를 병용해야 하며, 아스팔트로 가공한 것은 -60°C까지의 보냉용으로 사용이 가능한 것은?

  1. 펠트
  2. 탄화코르크
  3. 석면
  4. 암면
(정답률: 32%)
  • 펠트는 흡수성이 있어 방습재를 병용해야 하며, 아스팔트로 가공하여 -60°C까지의 보냉용으로 사용이 가능합니다. 탄화코르크, 석면, 암면은 방습성이 없거나 보냉용으로 사용이 불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