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터활용능력 1급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5-10-09)

컴퓨터활용능력 1급
(2005-10-09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컴퓨터 일반

1. 컴퓨터의 자료 표현에 있어 부동소수점 연산에 관한 내용 중 관계가 먼 것은?

  1. 지수부와 가수부로 구성된다.
  2. 고정소수점보다 간단하고 실행시간이 적게 걸리며 아주 큰 수나 작은 수의 표현이 가능하다.
  3. 부호비트는 양수는 0, 음수는 1로 표현한다.
  4. 실수(부동소수점) 데이터 표현과 연산에 사용된다.
(정답률: 73%)
  • 부호비트는 부동소수점 연산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으므로 관계가 먼 것이다. 나머지 보기들은 모두 부동소수점 연산과 관련이 있으며, 부동소수점은 고정소수점보다 간단하고 실행시간이 적게 걸리며 아주 큰 수나 작은 수의 표현이 가능하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는 지수부와 가수부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다음 보기의 [삭제] 명령 후 휴지통에서 [복원] 명령으로 되살릴 수 없는 파일은 무엇인가?

  1. A 드라이브에 저장되어 있는 파일을 휴지통으로 드래그 하여 삭제
  2. Windows 탐색기에서 [삭제] 명령으로 C 드라이브의 파일을 삭제
  3. C 드라이브의 파일을 키보드의 [Delete] 키로 삭제
  4. C 드라이브의 파일을 마우스를 이용하여 휴지통으로 드래그 하여 파일을 삭제
(정답률: 75%)
  • A 드라이브에 저장되어 있는 파일을 휴지통으로 드래그 하여 삭제한 경우, 해당 파일은 휴지통으로 이동하지 않고 즉시 삭제되기 때문에 복원이 불가능합니다. 이는 다른 보기들과는 달리 휴지통으로 이동하지 않고 즉시 삭제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다음 중에서 음성파일 형식의 확장자가 아닌 것을 고르시오.

  1. wav
  2. mp3
  3. mid
  4. gif
(정답률: 88%)
  • "gif"는 이미지 파일 형식이므로 음성파일 형식의 확장자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컴퓨터의 USB 방식 주변기기에 대한 설명으로 맞지 않은 것은?

  1. 핫 플러깅(Hot Plugging) 기능으로 컴퓨터에 전원이 켜져있는 상태에서도 USB 주변기기들을 빼거나 연결할 수 있다.
  2. USB는 플러그&플레이(Plug & Play) 기능을 지원한다.
  3. 다양한 호환 기능 USB를 이용하여 연결할 수 있는 주변기기의 최대 개수는 2개이다.
  4. USB는 1.5Mbps의 저속 모드는 HID(Human Interface Device)에서 사용하는데 키보드나 마우스가 이에 속한다.
(정답률: 88%)
  • 정답은 "다양한 호환 기능 USB를 이용하여 연결할 수 있는 주변기기의 최대 개수는 2개이다."입니다. 이유는 USB는 여러 개의 주변기기를 연결할 수 있으며, USB 허브를 이용하면 더 많은 주변기기를 연결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USB를 이용하여 연결할 수 있는 주변기기의 최대 개수는 제한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다음 중 [메모장]에 대한 설명으로 맞지 않는 것은 ?

  1. 메모장은 크기가 1MB 크기 이상인 텍스트 파일만 저장할 수 있다.
  2. 용지 크기와 용지 출력 방향, 여백, 머리글, 바닥글을 변경할 수 있다.
  3. ASCII 형식의 문자열을 작성하여 저장할 수 있고, 기본 저장 파일 확장자는 .txt이다.
  4. OLE 개체 삽입, 그림이나 차트 등의 고급 기능은 사용할 수 없다.
(정답률: 73%)
  • "메모장은 크기가 1MB 크기 이상인 텍스트 파일만 저장할 수 있다." 인 이유는 메모장이 텍스트 파일을 저장할 때 ASCII 코드를 사용하기 때문입니다. ASCII 코드는 1바이트로 표현되며, 1MB는 1024KB이므로 1MB 이상의 텍스트 파일을 저장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이 보기는 틀린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디지털 가입자 회선(DSL; Digital Subscriber Line)에 속하는 다음 방식들 중에서 별도의 중계 장치 없이 T1, E1 급의 다운로드와 업로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대칭형 기술은?

  1. ADSL(Asymmetric DSL)
  2. HDSL(High-bit-rate DSL)
  3. RADSL(Rate Adaptive DSL)
  4. VDSL(Very-high-bit-rate DSL)
(정답률: 51%)
  • HDSL은 대칭형 기술로, 다운로드와 업로드 속도가 동일하게 제공됩니다. 따라서 별도의 중계 장치 없이 T1, E1 급의 다운로드와 업로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반면, ADSL은 다운로드 속도가 업로드 속도보다 빠르고, RADSL은 다운로드와 업로드 속도가 가변적이며, VDSL은 매우 높은 다운로드 속도를 제공하는 기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한글 Windows 에서 하드웨어 장치를 추가할 때 운영체제가 이를 자동적으로 인식하여 설치 및 환경 설정을 용이하게 해주는 기능을 무엇이라 부르는가?

  1. 가상 디바이스 마법사
  2. 플러그인
  3. 장치관리자
  4. 플러그 앤 플레이
(정답률: 83%)
  • 정답: 플러그 앤 플레이

    설명: 플러그 앤 플레이는 새로운 하드웨어 장치를 추가할 때 자동으로 인식하여 드라이버를 설치하고 환경 설정을 해주는 기능입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별도의 드라이버 설치나 설정 변경 없이 새로운 장치를 즉시 사용할 수 있습니다. 다른 보기들은 플러그 앤 플레이와는 관련이 없는 용어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FTP(File Transfer Protocol)를 이용해서 파일을 전송하고자 할 때, 전송할 파일이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파일이나 그림파일의 경우 어떤 모드로 전송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한가?

  1. ASCII Mode
  2. Binary Mode
  3. Posting Mode
  4. Stay Mode
(정답률: 81%)
  • 정답: Binary Mode

    이유: Binary Mode는 파일을 바이너리 형태로 전송하는 모드로, 파일의 내용을 그대로 전송하기 때문에 실행파일이나 그림파일과 같은 이진 파일을 전송할 때 가장 적합합니다. ASCII Mode는 텍스트 파일을 전송할 때 사용하며, Posting Mode와 Stay Mode는 FTP에서 사용되지 않는 모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멀티미디어에 대한 설명 중 가장 올바르지 않은 설명은?

  1. BMP 파일은 윈도우에서 기본적으로 지원하고 있는 파일 포맷으로 압축을 지원하여 파일의 용량이 작은 편이다.
  2. JPG 화일은 JPEG 압축을 사용하며, 손실 압축과 무손실 압축을 모두 지원한다.
  3. GIF 화일은 비교적 GIF 원본 그림을 손상시키지 않아 화질의 손상은 없으며, 256가지 이하의 색상을 지원한다.
  4. 애니메이션(Animation)은 조금씩 변화하는 이미지 프레임을 연속적으로 보여주어 움직이는 것처럼 보이는 데이타를 말한다.
(정답률: 76%)
  • BMP 파일은 압축을 지원하지 않아 파일의 용량이 작은 편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컴퓨터 시스템에 침입차단 시스템(firewall)을 설치하는 경우 외부와 연결하여 통신을 하도록 만들어 놓은 서버로 HTTP, FTP, Gopher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것은?

  1. Web Server
  2. Client Sever
  3. Proxy Server
  4. TCP/IP
(정답률: 75%)
  • 외부와 연결하여 통신을 하도록 만들어 놓은 서버로 HTTP, FTP, Gopher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것은 Proxy Server입니다. 이는 외부에서 요청하는 데이터를 중계하여 내부 네트워크에 전달하고, 내부에서 요청하는 데이터를 외부 네트워크에 전달함으로써 보안성을 높이기 위한 방법입니다. Proxy Server는 외부와 직접적인 통신을 하지 않고 중계하여 내부 네트워크를 보호하며, 외부에서 내부로의 접근을 제어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다음 중 컴퓨터 바이러스 예방 지침으로 옳지 못한 것은 ?

  1. 새로운 프로그램을 사용할 때는 최신 버전의 백신 프로그램으로 바이러스 감염여부를 검사 후 사용한다.
  2. 중요한 프로그램이나 자료는 항상 주기적으로 백업(backup)을 한다.
  3. 백신 프로그램의 시스템 감시 및 인터넷 감시 기능을 이용해서 바이러스를 사전에 검색한다.
  4. 백신 프로그램에는 Easy WinCleaner, V3, 바이로봇, Nortorn Antivirus 등이 알려져 있다.
(정답률: 62%)
  • 백신 프로그램에 대한 설명이 아니라 백신 프로그램의 종류를 나열한 것이므로, "백신 프로그램에는 Easy WinCleaner, V3, 바이로봇, Nortorn Antivirus 등이 알려져 있다."가 옳지 못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파일 바이러스의 진단법으로 잘못된 것은?

  1. 부팅시 몇 번 부팅하는지 조사한다.
  2. 파일 실행시 속도를 검사해 본다.
  3. 파일 크기 증가 여부를 확인한다.
  4. 파일의 속성이 변경됐는지를 확인해 본다.
(정답률: 80%)
  • "부팅시 몇 번 부팅하는지 조사한다."는 파일 바이러스의 진단법으로 잘못된 것입니다. 이는 컴퓨터의 부팅 횟수와 파일 바이러스와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기 때문입니다. 파일 바이러스의 진단법으로는 파일 실행시 속도를 검사해 본다, 파일 크기 증가 여부를 확인한다, 파일의 속성이 변경됐는지를 확인해 본다 등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포트(Port)번호는 프로그램 개발자가 임의로 지정할 수 있으나 기본적으로 많이 사용하는 인터넷 서비스의 포트번호가 정의되어 있다. 다음 중 서비스와 포트번호가 맞지 않는 것은?

  1. HTTP : 100포트
  2. FTP : 21포트
  3. TELNET : 23포트
  4. NEWS : 119포트
(정답률: 77%)
  • 정답은 "HTTP : 100포트"입니다. HTTP는 기본적으로 80번 포트를 사용하며, 100번 포트는 다른 서비스에 할당되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컴퓨터에서 바이오스 롬(BIOS ROM)을 새 버전으로 업그레이드할 때 롬 칩(ROM chip)을 교환하지 않고 사용자가 바이오스 업데이트용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편리하게 업그레이드 하기 위한 롬은?

  1. mask ROM
  2. PROM
  3. APROM
  4. EEPROM
(정답률: 78%)
  • EEPROM은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의 약자로, 전기적으로 지워서 재프로그래밍이 가능한 ROM입니다. 따라서 롬 칩을 교환하지 않고도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업그레이드할 수 있습니다. 반면에 mask ROM은 제조 과정에서 이미 내용이 결정되어 변경이 불가능하고, PROM은 일회성으로만 프로그래밍이 가능하며, APROM은 플래시 메모리로서 전기적으로 지워서 재프로그래밍이 가능하지만 EEPROM보다는 제한적입니다. 따라서 BIOS 업그레이드를 위해서는 EEPROM이 가장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다음 중 부팅(booting)시에 발견될 수 있는 에러 메시지에 대한 설명 중 거리가 먼 것은?

  1. CMOS BATTERY HAS FAILED : CMOS용 배터리의 방전이 주 원인으로 새로운 배터리로 교체하여 주어야 한다.
  2. CMOS CHECKSUM ERROR : CMOS의 정보가 잘못 변경되어 체크섬이 맞지 않을 때 에러가 발생하며 부팅 할 때 에러가 생기면 배터리에 의한 문제일 가능성이 높다.
  3. DISK BOOT FAILURE, INSERT SYSTEM DISK AND PRESS ENTER : 하드디스크 드라이브로는 부팅 할 수 있으나 플로피 디스크 드라이브에 부팅 디스크가 없어 부팅을 할 수 없다는 의미이다. 따라서 플로피 디스크 드라이브에 부팅 디스크를 넣어 부팅을 해주어야 한다.
  4. DISK DRIVE OR TYPES MISMATCH ERROR : CMOS에 기록되어 있는 디스크 드라이버 타입과 시스템에 장착된 것이 다를 때 나타나며 CMOS 셋업에서 다시 정확한 타입을 설정해 주어야 한다.
(정답률: 66%)
  • "DISK DRIVE OR TYPES MISMATCH ERROR : CMOS에 기록되어 있는 디스크 드라이버 타입과 시스템에 장착된 것이 다를 때 나타나며 CMOS 셋업에서 다시 정확한 타입을 설정해 주어야 한다." - 이유는 다른 에러 메시지들과 달리 부팅과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기 때문입니다. 이 에러는 디스크 드라이버 타입 설정이 잘못되어 있을 때 발생하며, 부팅 전에 CMOS 셋업에서 수정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다음은 한글 Windows에서 사용자 계정의 암호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1. 사용자 계정 이름에 암호를 할당하면 사용자 지정 설정, 컴퓨터 프로그램, 시스템 리소스가 보다 안전하다.
  2. 윈도우즈 시스템에서는 시스템 부팅시 매번 수동으로만 암호를 입력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3. 관리자 계정을 가진 사용자가 다른 사용자의 암호를 변경하면 해당 사용자는 웹 사이트 또는 네트워크 리소스에 대한 저장된 암호 및 개인 인증서를 모두 잃게 된다.
  4. [제어판]에서 [사용자계정]을 선택하여 새로운 암호를 지정하거나 변경할 수 있다.
(정답률: 60%)
  • 정답은 "윈도우즈 시스템에서는 시스템 부팅시 매번 수동으로만 암호를 입력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입니다.

    이유는 Windows 시스템에서는 보안을 위해 사용자 계정에 암호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 경우 시스템 부팅시 매번 암호를 입력해야 하므로 불편함이 있을 수 있습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자동 로그인 기능을 사용할 수 있지만, 이 경우 보안에 취약해질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PC통신 또는 인터넷에 접속하여 다른 사람들이 필요로 하는 자료를 게시판 또는 자료실에 전송하는 것을 무엇이라 하는가?

  1. 해킹(Hacking)
  2. 업로드(Upload)
  3. 전자우편(e-mail)
  4. 다운로드(Download)
(정답률: 87%)
  • 업로드는 인터넷이나 PC통신을 통해 다른 사람들이 필요로 하는 자료를 게시판이나 자료실에 전송하는 것을 말합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정답은 업로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다음은 한글 Windows에서 사용하는 단축키에 대한 설명이다. 가장 올바르지 않은 것은?

  1. F3 : 검색(파일/폴더 찾기) 기능 실행
  2. F2 : 선택한 파일/폴더의 이름 변경하기
  3. F4 : 최신 정보로 고치기
  4. F1 : 도움말 보기
(정답률: 87%)
  • F4는 파일 탐색기에서 주로 사용되며, 선택한 항목의 경로를 편집할 수 있는 창을 열거나, 현재 창에서 다른 창으로 이동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합니다. "최신 정보로 고치기"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한글 Windows에서 제공하는 기능으로 다음에 설명하는 것은 무엇에 대한 설명인가?

  1. Embedded
  2. Network
  3. OLE(Object Link Embedding)
  4. Pointer
(정답률: 86%)
  • 위 그림은 OLE(Object Link Embedding)에 대한 설명입니다. OLE은 다른 문서나 프로그램에서 작성한 객체를 현재 문서나 프로그램에 삽입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입니다. 즉, 다른 문서나 프로그램에서 작성한 그림, 표, 도형 등을 현재 문서나 프로그램에 삽입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작업 효율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다음 중 컴퓨터의 운영체제에 대한 설명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운영체제(OS)는 시스템 소프트웨어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이다.
  2. 운영체제는 키보드, 모니터, 디스크 드라이브 등 필수적인 주변장치들을 관리하는 BIOS를 포함한다.
  3. 컴퓨터의 기본적인 동작들을 관리하는 주요 프로그램들을 슈퍼바이저(supervisor) 라고 부른다.
  4. 운영체제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동작하는 동안 하드디스크에 위치하여 여러 종류의 자원관리 서비스를 제공한다.
(정답률: 61%)
  • "운영체제는 키보드, 모니터, 디스크 드라이브 등 필수적인 주변장치들을 관리하는 BIOS를 포함한다." 이유는 BIOS는 운영체제와는 별개의 소프트웨어이기 때문입니다. BIOS는 컴퓨터가 부팅될 때 실행되며, 하드웨어를 초기화하고 운영체제를 로드하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스프레드시트 일반

21. 다음 설명 중에서 작성된 매크로 모듈을 다른 통합 문서에 복사하는 과정 중에 불필요한 작업은 어느 것인가?

  1. 모듈이 들어 있는 통합 문서와 모듈을 복사해 넣을 통합 문서를 연다.
  2. [도구]-[매크로] 메뉴를 선택한 후 "Visual Basic Editor"를 선택한다.
  3. 복사해 갈 문서에 복사해 온 모듈을 저장하기 위해 [삽입]-[모듈]을 누른다.
  4. 복사할 모듈을 선택하여 대상 통합 문서로 끌어서 놓는다.
(정답률: 50%)
  • 정답은 "복사해 갈 문서에 복사해 온 모듈을 저장하기 위해 [삽입]-[모듈]을 누른다."입니다.

    이유는 이미 복사해 온 모듈을 대상 통합 문서로 끌어서 놓았기 때문에, [삽입]-[모듈]을 누르는 작업은 불필요합니다. 이미 끌어서 놓은 모듈이 대상 통합 문서에 삽입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외부 데이터 가져오기를 실행하고 나면 [데이터]→의 단축 아이콘이 활성화된다. 무슨 기능을 하는 것인가?

  1. 외부 데이터 입력
  2. 데이터 새로 고침
  3. 도움말 보기
  4. 중지
(정답률: 70%)
  • 외부 데이터 가져오기를 실행하면 외부 데이터가 엑셀에 입력되는데, 이때 데이터 새로 고침 아이콘을 클릭하면 외부 데이터를 다시 불러와서 업데이트할 수 있기 때문에 "데이터 새로 고침"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다음 중 입력한 데이터에 지정된 표시형식에 따른 결과가 옳은 것은?

  1. 입력자료 : 24678
    표시형식 : #.##
    결 과 : 24678
  2. 입력자료 : 2005-04-05
    표시형식 : mm-dd
    결 과 : Apr-04
  3. 입력자료 : 14500
    표시형식 : [DBNum2]G/표준
    결 과 : 壹萬四阡伍百
  4. 입력자료 : 0.457
    표시형식 : 0%
    결 과 : 45.7%
(정답률: 80%)
  • 입력자료가 14500이고, 표시형식이 [DBNum2]G/표준인 경우, 결과는 "壹萬四阡伍百"이 옳다. 이는 일본어의 한자 표기법인데, [DBNum2]는 일본어의 한자를 중국어의 한자로 변환하는 서식이며, G/표준은 일반적인 숫자 표기법을 의미한다. 따라서 입력자료 14500은 일본어의 한자 표기법인 "壹萬四阡伍百"로 표시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다음 중 차트에 대한 설명이 틀린 것은?

  1. 전체데이터 계열을 선택해서 데이터의 값을 표시할 수 있으나 하나의 데이터 계열에는 데이터 값을 표시 할 수 없다.
  2. 차트에 포함되어 있는 문자열 데이터의 글꼴은 수정할 수 있다.
  3. 그림 영역의 테두리에 서식을 설정하거나 그림 영역의 배경으로 색상이나 채우기 효과를 설정할 수 있다.
  4. 차트를 작성한 후 데이터 범위를 변경하려면 차트를 선택한 후 메뉴에서 [차트]→[원본 데이터]를 선택하면 된다.
(정답률: 76%)
  • "전체데이터 계열을 선택해서 데이터의 값을 표시할 수 있으나 하나의 데이터 계열에는 데이터 값을 표시 할 수 없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하나의 데이터 계열에도 데이터 값을 표시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다음 설명 중 틀린 것은 어느 것인가?

  1. 선택한 범위를 워크시트 화면에 가득하게 보이게 하려면 [보기]-[확대/축소]에서 “선택 부분에 맞춤”을 선택한다.
  2. 페이지 설정에서 용지의 방향을 설정할 수 있다.
  3. 인쇄 미리 보기 화면에서도 페이지 설정을 할 수 있다.
  4. 그림 복사, 그림 붙여 넣기, 그림 연결 붙여넣기 명령을 찾을 수 없을 때 [Ctrl] 키를 누른 채 편집 메뉴를 누른다.
(정답률: 74%)
  • 선택한 범위를 워크시트 화면에 가득하게 보이게 하려면 [보기]-[확대/축소]에서 “선택 부분에 맞춤”을 선택하는 것은 틀린 설명이다. 선택한 범위를 워크시트 화면에 가득하게 보이게 하려면 [보기]-[확대/축소]에서 “화면에 맞춤”을 선택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데이터 표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표 기능을 이용하여 입력된 수식은 표 기능을 통해서만 입력할 수 있다.
  2. 표 기능을 통해 입력된 셀 중에서 표 범위의 일부분만 수정할 수 있다.
  3. 표 기능을 이용하여 수식을 입력하는 방법에는 [열 입력 셀]만 지정하는 경우, [행 입력 셀]만 지정하는 경우, [행 입력 셀]과 [열 입력 셀]을 모두 지정하는 경우가 있다.
  4. 표 기능은 수식이 입력될 범위를 설정한 후 표 기능을 실행해야 한다.
(정답률: 65%)
  • 틀린 것은 "표 기능을 통해 입력된 셀 중에서 표 범위의 일부분만 수정할 수 있다."입니다. 표 기능을 통해 입력된 셀은 전체적으로 수정이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다음 수식의 결과 값으로 올바른 것은 ?

  1. =IF(AND(B2>=40, C2>=40, D2>=60), “합격”, “불합격”) -> B2 셀과 C2 셀의 값이 40 이상이고 D2 셀의 값이 60 이상이면 “합격”을 그렇지 않으면 “불합격”을 값으로 한다.
  2. =IF(OR(C2>=40, D2>=60), “합격”, “불합격”)-> C2 셀의 값이 40 이상이고 D2 셀의 값이 60 이상이면 “합격”을 그렇지 않으면 “불합격”을 값으로 한다.
  3. =IF(AND((B2,C2)>=40, D2>=60), “합격”, “불합격”)-> B2 셀과 C2 셀의 값이 40 이상이고 D2 셀의 값이 60 이상이고 “합격”을 그렇지 않으면 “불합격”을 값으로 한다.
  4. =AND(IF(B2>=40, C2>=40, D2>=60), “합격”, “불합격”) -> B2 셀과 C2 셀의 값이 40 이상이거나 D2 셀의 값이 60 이상이면 “합격”을 그렇지 않으면 “불합격”을 값으로 한다.
(정답률: 78%)
  • 정답은 "=IF(AND(B2>=40, C2>=40, D2>=60), “합격”, “불합격”) -> B2 셀과 C2 셀의 값이 40 이상이고 D2 셀의 값이 60 이상이면 “합격”을 그렇지 않으면 “불합격”을 값으로 한다." 입니다.

    이유는 AND 함수를 사용하여 B2, C2, D2의 값이 각각 40 이상이고 60 이상일 때 "합격"을 반환하고, 그렇지 않을 때 "불합격"을 반환하도록 설정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B2와 C2의 값이 40 이상이지만 D2의 값이 60 미만인 경우에도 "불합격"을 반환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인쇄 미리 보기 기능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1. [설정] 단추를 눌러 용지의 방향을 설정할 수 있다.
  2. 인쇄 미리 보기를 실행한 상태에서 마우스 끌기로 여백과 행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3. 인쇄될 내용을 확대하여 볼 수 있다.
  4. [설정] 단추를 눌러 [머리글/바닥글]을 설정할 수 있다.
(정답률: 71%)
  • 인쇄 미리 보기를 실행한 상태에서 마우스 끌기로 여백과 행의 높이를 조절할 수 없다. 인쇄 미리 보기는 인쇄될 내용을 미리 확인하는 기능으로, 여백과 행의 높이를 조절하는 기능은 인쇄 설정에서 가능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다음 중 피벗 테이블에 대한 설명이 올바른 것은?

  1. 원본의 자료가 변경되면 피벗 테이블의 결과는 자동으로 변경된다.
  2. 피벗 테이블의 작성 장소를 지정하지 않으면 현재 시트에 결과가 나타난다.
  3. 피벗 테이블을 작성한 후에 사용자가 새로운 수식을 추가하여 표시할 수 있다.
  4. 피벗 테이블을 삭제하려면 피벗 테이블 전체를 범위로 지정하고 [Backspace] 키를 누른다.
(정답률: 50%)
  • 피벗 테이블을 작성한 후에 사용자가 새로운 수식을 추가하여 표시할 수 있는 이유는, 피벗 테이블은 원본 데이터를 기반으로 작성되기 때문에 원본 데이터에 새로운 수식이 추가되면 피벗 테이블도 자동으로 업데이트되어 결과를 보여줄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날짜 및 시간의 입력에서 틀린 설명은?

  1. 날짜 입력에는 '/ '(slash)나 '-'(hyphen)을 사용한다.
  2. 오늘 날짜 입력은 [Ctrl]+[;] 를 사용한다.
  3. 현재 시간 입력은 [Shift]+[Ctrl]+[;] 을 사용한다.
  4. 시간 입력에서 am/pm을 입력하지 않으면 현재 시간 기준으로 am이면 am으로 pm이면 pm으로 입력된다.
(정답률: 77%)
  • 시간 입력에서 am/pm을 입력하지 않으면 현재 시간 기준으로 am이면 am으로 pm이면 pm으로 입력된다는 이유는 12시간제와 24시간제의 차이 때문입니다. 12시간제에서는 오전과 오후를 구분하기 위해 am/pm을 사용하며, 현재 시간이 오전인지 오후인지에 따라 자동으로 입력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다음의 매크로 코드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1. 이 매크로의 이름은 MacroA이다.
  2. 3번째 행의 MacroA Macro는 주석이다.
  3. 현재 글꼴명은 “굴림”으로 지정되어 있으나 .Name = “돋음”으로 프로그램을 변경하면 글꼴을 “돋음”으로 변경하는 매크로가 된다.
  4. 현재 셀로부터 아래로 8개의 셀을 선택하여 글꼴을 “굴림”으로 변경한다.
(정답률: 58%)
  • 2번째 보기가 잘못되었습니다. 3번째 행의 "MacroA Macro"는 매크로의 이름이며, 주석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현재 워크시트의 A5 셀의 값과 "재고조사.xls" 파일에 들어있는 "프린터" 워크시트의 B2 셀의 값을 더하는 계산을 하려고 할 때 수식을 바르게 표현한 것은?

  1. =A5+“재고조사”[프린터!]B2
  2. =A5+“재고조사”(프린터!)B2
  3. =A5+‘[재고조사]프린터’!$B$2
  4. =A5+[재고조사]“프린터”!$B$2
(정답률: 55%)
  • 정답은 "=A5+‘[재고조사]프린터’!$B$2" 입니다.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 "=" : 수식을 입력하기 위한 기호입니다.
    - "A5" : 현재 워크시트의 A5 셀을 나타냅니다.
    - "+" : 더하기 연산을 나타냅니다.
    - "‘[재고조사]프린터’" : 다른 워크시트인 "재고조사.xls" 파일의 "프린터" 워크시트를 나타냅니다. 작은따옴표로 묶어주는 이유는 워크시트 이름에 공백이 있을 경우에도 인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입니다.
    - "!$B$2" : "프린터" 워크시트의 B2 셀을 나타냅니다. "$" 기호는 절대참조를 나타내며, 셀을 복사하거나 이동할 때 셀 참조가 변경되지 않도록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아래의 프로시저를 실행했을 때 그 결과값으로 올바른 것은 다음 중 어느 것인가?(문제오류로 실제 시험장에서는 모두 정답 처리 되었습니다. 여기서는 1번을 정답 처리 합니다.)

  1. C1=1, C3=13, C5=135, C7=1357, C9=13579
  2. C1=1, C2=13, C3=135, C4=1357, C5=13579
  3. C2=1, C4=13, C6=135, C8=1357, C10=13579
  4. C3=13, C5=135, C7=1357, C9=13579
(정답률: 83%)
  • 프로시저는 1부터 10까지의 홀수를 출력하는데, 출력되는 숫자들이 각각 C1, C3, C5, C7, C9에 저장되기 때문에 결과값은 "C1=1, C3=13, C5=135, C7=1357, C9=13579"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다음은 외부 텍스트 데이터를 가져오기 위한 방법이다. 작업 순서가 올바르게 표시된 것은?

  1. ㄱ-ㄷ-ㄴ-ㄹ
  2. ㄹ-ㄱ-ㄷ-ㄴ
  3. ㄹ-ㄴ-ㄱ-ㄷ
  4. ㄴ-ㄱ-ㄷ-ㄹ
(정답률: 76%)
  • 1. URL을 입력하여 데이터를 가져온다. (ㄱ)
    2. 가져온 데이터를 파싱하여 필요한 정보를 추출한다. (ㄷ)
    3. 추출한 정보를 원하는 형식으로 가공한다. (ㄴ)
    4. 가공한 데이터를 사용한다. (ㄹ)

    정답은 "ㄱ-ㄷ-ㄴ-ㄹ"이다. 데이터를 가져오고, 파싱하고, 가공한 후 사용하는 것이 올바른 작업 순서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다음의 그림과 같이 A1:B3 셀에 영역을 설정한 상태에서 [Ctrl]+[ ; ] 누른 후 [Enter] 키를 눌렀을 때 나타나는 결과로 올바른 것은?

  1. A1:B3 셀 영역에 “ ; ”로 채워진다.
  2. A1 셀에 현재 날짜가 표시된다.
  3. 선택 영역이 해제되면서 셀 포인터가 A1 셀 위치하게 된다.
  4. A1:B3 셀 영역에 시간을 표시하는 셀 서식이 지정된다.
(정답률: 70%)
  • 정답은 "A1 셀에 현재 날짜가 표시된다."입니다.

    [Ctrl]+[ ; ]는 현재 날짜를 입력하는 단축키입니다. 따라서 A1 셀에 현재 날짜가 입력되는 것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해당하는 기능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MS Access를 이용하여 만들어진 테이블의 데이터를 가져오려고 한다. 옳지 않은 설명은?

  1. 메뉴 표시줄에서 [데이터]-[외부 데이터 가져오기]-[새 쿼리 만들기]에서 MS Access Database* 를 선택한다.
  2. Access로 저장된 테이블 내의 필드를 골라서 가져올 수 있다.
  3. SQL 문을 사용하여 쿼리를 이용하여 조건에 맞는 레코드만을 가져올 수 있다.
  4. 외부 데이터 가져오기를 할 때 가져올 위치의 엑셀 시트 데이터는 외부 데이터로 수정된다.
(정답률: 63%)
  • "외부 데이터 가져오기를 할 때 가져올 위치의 엑셀 시트 데이터는 외부 데이터로 수정된다." 이 설명은 옳지 않습니다. 외부 데이터 가져오기를 할 때 가져온 데이터는 원본 데이터에 영향을 주지 않습니다. 가져온 데이터는 복사된 것이며, 가져온 데이터를 수정하더라도 원본 데이터는 변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다음 그림과 같은 메시지 박스를 나타내기 위한 코드로 옳은 것은?

  1. ret=msgbox(“확인”,48,“메시지박스가 보입니다.”)
  2. ret=msgbox(“메시지박스가 보입니다.”,49,“확인”)
  3. ret=msgbox(“메시지박스가 보입니다.”,48,“확인”)
  4. ret=msgbox(“확인”,49,“메시지박스가 보입니다.”)
(정답률: 64%)
  • 정답은 "ret=msgbox(“메시지박스가 보입니다.”,49,“확인”)"입니다.

    msgbox 함수는 메시지 박스를 나타내는 함수로, 첫 번째 인자는 메시지 내용, 두 번째 인자는 메시지 박스의 종류, 세 번째 인자는 메시지 박스의 제목입니다.

    49는 메시지 박스의 종류를 나타내는 값으로, "확인" 버튼과 "취소" 버튼이 있는 메시지 박스를 나타냅니다. 따라서 "확인" 버튼을 누르면 반환되는 값은 1이고, "취소" 버튼을 누르면 반환되는 값은 2입니다.

    ret 변수에 msgbox 함수의 반환값을 저장하므로, "확인" 버튼을 누르면 ret 변수에 1이 저장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다음 중 배열 수식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1. 수식 입력줄이 활성화 되면 배열식의 { }는 나타나지 않는다.
  2. 결과가 여러 셀에 입력될 때는 입력될 셀을 범위로 설정한 후 수식을 입력한다.
  3. $, 괄호, %, 길이가 다른 행이나 열, 셀 참조는 배열 상수로 사용될 수 없다.
  4. 배열 수식에 사용된 배열의 행과 열의 개수는 같아야 하며 셀에 수식을 입력한 후 [Ctrl] + [Enter] 키를 눌러 입력한다.
(정답률: 70%)
  • "수식 입력줄이 활성화 되면 배열식의 { }는 나타나지 않는다."가 잘못된 설명입니다. 수식 입력줄이 활성화되면 배열식의 { }가 나타나며, 이를 통해 배열 수식을 입력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연이율 5%로 3년 만기 저축을 매월 50,000원씩 저축, 복리 이자율로 계산하여 만기에 찾을 수 있는 금액을 구하기 위한 수식으로 적당한 것은?

  1. =FV(5% ,3, -50000, ,1)
  2. =FV(5% ,3, 50000)
  3. =FV(5%/12 ,3*12, -50000, ,1)
  4. =FV(5%/12 ,3*12, 50000)
(정답률: 68%)
  • 정답은 "=FV(5%/12 ,3*12, -50000, ,1)" 입니다.

    - FV: Future Value, 미래 가치
    - 5%/12: 연이율을 월 이자율로 변환한 값
    - 3*12: 3년을 월 단위로 변환한 값
    - -50000: 매월 저축하는 금액, 음수로 입력하여 지출로 처리
    - ,1: 복리 계산을 위한 파라미터, 1로 설정하여 복리 계산을 함

    즉, 연이율 5%로 3년간 매월 50,000원씩 저축하여 복리 이자를 적용한 경우, 만기에 찾을 수 있는 금액을 계산하는 수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다음 차트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차트의 제목은 차트 작성시 자동으로 설정된 것이다.
  2. 데이터의 계열은 모두 4개로 되어있다.
  3. X항목 축 제목은 ‘분기’로 되어있다.
  4. 차트의 종류는 3차원 효과의 묶은 세로막대형이다.
(정답률: 81%)
  • 차트의 제목은 차트 작성시 자동으로 설정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가 직접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차트의 제목은 차트 작성시 자동으로 설정된 것이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데이터베이스 일반

41. 보고서의 작성에 관한 다음 설명 중 가장 바르지 못한 설명은?

  1. 자료별 평균, 합산과 같은 통계자료는 인쇄할 수 없다.
  2. 폼과는 달리 보고서에서는 컨트롤에 데이터를 입력할 수 없다.
  3. 테이블, 쿼리를 원본으로 사용할 수 있다.
  4. 보고서의 컨트롤에서는 컨트롤 원본을 사용하여 특정 필드에 바운드 시킬 수 있다.
(정답률: 69%)
  • "자료별 평균, 합산과 같은 통계자료는 인쇄할 수 없다." 인 이유는 오타가 있어 "인쇄할 수 있다."가 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이 설명은 가장 바르지 못한 설명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데이터베이스 언어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데이터 보안, 데이터 복구, 권한 등의 관리를 위해 사용되는 언어를 데이터 제어어(DCL)라 한다.
  2. 데이터베이스나 테이블의 생성 또는 변경 등을 위해 사용되는 언어를 데이터 정의어(DDL)라 한다.
  3. 데이터 제어어는 주로 데이터베이스 관리자에 의해 사용된다.
  4. 데이터 구조의 삭제 또는 변경을 위해 사용되는 언어를 데이터 조작어(DML)라 한다.
(정답률: 59%)
  • 가장 옳지 않은 설명은 "데이터 제어어는 주로 데이터베이스 관리자에 의해 사용된다."입니다. 데이터 제어어는 데이터베이스의 보안, 복구, 권한 등을 관리하기 위해 사용되는 언어로, 데이터베이스 관리자뿐만 아니라 다른 사용자들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데이터 구조의 삭제 또는 변경을 위해 사용되는 언어를 데이터 조작어(DML)라고 합니다. 이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를 검색, 삽입, 수정, 삭제하는 등의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데이터 조작어는 주로 프로그래머나 사용자가 사용하며, SQL과 같은 언어가 대표적인 예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다음 중 테이블의 기본 키에 대해 바르게 설명한 것은?

  1. 테이블내의 레코드를 유일하게 식별하기 위해 사용된다.
  2. 중복값이나 Null 값도 입력할 수 있다.
  3. 기본 키의 정의 유무는 화면상에서는 나타나지 않는다.
  4. 기본 키는 반드시 하나의 필드로 이루어진다.
(정답률: 64%)
  • 테이블의 기본 키는 각 레코드를 유일하게 식별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이는 데이터베이스에서 중복된 레코드를 방지하고, 데이터의 일관성과 정확성을 유지하기 위해 매우 중요합니다. 따라서 기본 키는 중복값이나 Null 값이 입력될 수 없으며, 하나 이상의 필드로 이루어질 수 있습니다. 또한, 기본 키의 정의 유무는 화면상에서는 나타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다음 중 부호가 없는 절대값을 구하는 함수는 무엇인가?

  1. AVG( )
  2. ABS( )
  3. COUNT( )
  4. MAX( )
(정답률: 83%)
  • 정답은 "ABS( )"입니다.

    이유는 절대값은 항상 양수이기 때문에 부호가 없는 값을 입력해도 항상 양수 값을 반환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ABS 함수를 사용하여 부호가 없는 절대값을 구할 수 있습니다.

    AVG 함수는 평균값을 구하는 함수이며, COUNT 함수는 개수를 세는 함수입니다. MAX 함수는 최댓값을 구하는 함수입니다. 이들 함수는 부호가 없는 절대값을 구하는 데 사용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다음은 폼에서 컨트롤 작업에 대한 설명이다. 이 중 옳지 않은 것은?

  1. 폼의 콘트롤을 특정 필드에 바운드 시키려면 컨트롤 원본 속성을 이용한다.
  2. 작성된 목록 상자나 콤보 상자는 특정 필드에 바운드 시킬 수 없다.
  3. 필드 목록에서 특정 필드 이름을 끌어와 폼에 드롭시키면 자동적으로 해당 필드에 바운드 시킨다.
  4. 컨트롤에 표시된 값을 수정하면 바운드된 필드의 값도 변경된다.
(정답률: 72%)
  • 작성된 목록 상자나 콤보 상자는 특정 필드에 바운드 시킬 수 없다. - 이유: 목록 상자나 콤보 상자는 여러 값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어떤 값을 필드에 바운드할지 명확하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목록 상자나 콤보 상자를 사용하여 값을 선택하면 해당 값을 다른 방법으로 필드에 저장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다음 질의는 어떠한 결과를 표시하는가?

  1. 1,5
  2. 2,3,4
  3. 1,2,4
  4. 3,5
(정답률: 57%)
  • 주어진 그래프에서 1번 노드에서 5번 노드까지의 최단 경로는 1 → 2 → 4 → 5 이므로 "1,5"가 정답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최단 경로가 아니거나, 시작 노드와 도착 노드가 연결되어 있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다음은 보고서 작성시 조건부 서식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특정한 조건에 만족되는 경우에만 서식이 적용되도록 하는 기능이다.
  2. 조건을 지정할 때 만능 문자(*, ?)를 사용하여 텍스트나 숫자를 나타낼 수는 없다.
  3. [디자인 보기] 상태에서 컨트롤을 선택한 후 [서식]- [조건부 서식]을 통해 설정할 수 있다.
  4. 조건은 4개까지 지정할 수 있으며, 각각 따로 서식을 부여할 수 있다.
(정답률: 64%)
  • 정답은 "조건은 4개까지 지정할 수 있으며, 각각 따로 서식을 부여할 수 있다."가 맞습니다. 이유는 조건부 서식에서는 최대 3개의 조건을 지정할 수 있으며, 각각의 조건에 대해 서식을 부여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4개 이상의 조건을 지정하려면 다른 방법을 사용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다음과 같은 결과의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과목 필드를 그룹항목으로 설정하였다.
  2. 페이지 설정을 [Pages] / [Page] & ‘페이지’와 같이 하였다.
  3. 성적 필드에 대해 내림차순으로 정렬하였다.
  4. 성적의 평균을 구하기 위해 「요약옵션」에서 성적 필드의 평균을 선택하였다.
(정답률: 74%)
  • 설명에서 옳지 않은 것은 없습니다. 모두 옳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주로 폼이나 보고서의 제목과 같이 간단한 문자열을 나타낼 때 사용하는 컨트롤은 무엇인가?

  1. 콤보상자
  2. 하위 폼 / 하위 보고서
  3. 커멘드버튼
  4. 레이블
(정답률: 69%)
  • 레이블은 주로 폼이나 보고서의 제목과 같이 간단한 문자열을 나타낼 때 사용하는 컨트롤입니다. 이는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하거나 입력 필드의 용도를 설명하는 데 사용됩니다. 따라서 간단한 문자열을 나타내는 것에 적합한 컨트롤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다음은 색인(Index)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하나의 필드나 필드 조합에 인덱스를 만들어 레코드 찾기와 정렬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한다.
  2. 색인을 많이 설정하면 테이블의 변경 속도가 저하될 수 있다.
  3. 인덱스를 삭제하면 필드나 필드 데이터도 함께 삭제된다.
  4. 레코드를 변경하거나 추가할 때마다 자동으로 업데이트 된다.
(정답률: 70%)
  • "인덱스를 삭제하면 필드나 필드 데이터도 함께 삭제된다."는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인덱스는 필드나 필드 데이터와는 별개로 생성되며, 인덱스를 삭제해도 필드나 필드 데이터는 삭제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다음 중 액세스에서 보고서 작성시에 '그룹화'의 개념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데이터를 특정 필드를 기준으로 데이터를 구분하여 표시하는 기능이다.
  2. 특정 필드를 기준으로 그룹화를 하는 경우 데이터는 그 필드를 기준으로 정렬되어 표시된다.
  3. 그룹에 대한 머리글이나 바닥글을 표시할 수 있다.
  4. 그룹 머리글, 세부 구역, 그룹 바닥글 등을 모두 같은 페이지에 인쇄할 수 없다.
(정답률: 76%)
  • "그룹 머리글, 세부 구역, 그룹 바닥글 등을 모두 같은 페이지에 인쇄할 수 없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이유는 그룹 머리글, 세부 구역, 그룹 바닥글 등은 보고서 디자인에서 페이지 머리글, 세부 구역, 페이지 바닥글 등과 같은 역할을 하기 때문에 같은 페이지에 인쇄할 수 있다. 다만, 그룹 머리글, 세부 구역, 그룹 바닥글 등이 너무 많거나 길어서 페이지를 넘어가게 되면 같은 페이지에 인쇄할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다음은 테이블 조인(JOIN)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INNER JOIN
  2. LEFT JOIN
  3. RIGHT JOIN
  4. CROSS JOIN
(정답률: 64%)
  • 위의 테이블 조인 그림에서 두 개의 테이블이 모두 선택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에는 CROSS JOIN을 사용합니다. CROSS JOIN은 두 개의 테이블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반환합니다. 따라서, 위의 그림에서는 모든 고객과 모든 계좌의 조합이 반환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다음 중 포커스를 현재 데이터시트나 폼에 있는 필드, 컨트롤 등으로 이동하는 매크로 함수는 무엇인가?

  1. GoToSheet
  2. GoToForm
  3. GoToControl
  4. MoveControl
(정답률: 64%)
  • GoToControl 함수는 현재 데이터시트나 폼에 있는 필드, 컨트롤 등으로 이동하는 함수이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다른 함수들은 시트나 폼 전환, 컨트롤 이동 등과 관련된 함수이지만, GoToControl 함수는 현재 위치에서 다른 컨트롤로 이동하는 함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테이블이나 질의 데이터의 입력, 편집 작업을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사용하는 개체는?

  1. 쿼리
  2. 보고서
  3. 매크로
(정답률: 58%)
  • 폼은 테이블이나 질의 데이터의 입력, 편집 작업을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사용하는 개체입니다. 폼을 사용하면 사용자가 데이터를 입력하거나 수정할 때 필요한 필드와 컨트롤을 구성하여 직관적이고 편리한 작업이 가능합니다. 또한 폼을 통해 데이터의 유효성 검사나 연산 등 다양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다음 중 하위 폼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사용할 수 있는 하위 폼의 갯수에는 제한이 없다.
  2. 하위 폼이란 특정한 폼 내에 들어 있는 또 하나의 폼을 말하는 것이다.
  3. 하위 폼은 연속 폼의 형태로만 표시될 수 있다.
  4. 하위 폼에는 기본 폼의 현재 레코드와 관련된 레코드만 표시된다.
(정답률: 72%)
  • "하위 폼은 연속 폼의 형태로만 표시될 수 있다."는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하위 폼은 연속 폼 뿐만 아니라 다른 형태의 폼으로도 표시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단일 폼 내에 하위 폼을 삽입하여 표시할 수도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한 구매자가 여러 서적을 구매할 수 있고, 한 서적은 여러 구매자에게 팔릴 수 있게 설계된 인터넷 서점 사이트에서 구매자 테이블과 서적 테이블간의 관계를 설명하려고 할 때 올바르지 못한 설명은?

  1. 두 테이블간의 관계는 다 대 다의 관계이다.
  2. 두 테이블의 관계를 나타내려면 별도의 테이블이 필요하다.
  3. 두 테이블간의 관계를 맺기 위해서는 동일한 이름을 가진 필드가 하나 이상 존재해야 한다.
  4. 두 테이블간의 관계는 액세스에서 직접적으로 표현할 수 없고, 일 대 다 관계 두 개를 이용해서 표현할 수 있다.
(정답률: 44%)
  • 두 테이블간의 관계를 맺기 위해서는 동일한 이름을 가진 필드가 하나 이상 존재해야 한다. 이는 두 테이블간의 관계를 맺기 위해 해당 필드를 기준으로 데이터를 연결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구매자 테이블과 서적 테이블을 연결하기 위해서는 두 테이블 모두에 있는 구매자 ID 필드를 기준으로 데이터를 연결해야 한다. 이를 통해 각 구매자가 어떤 서적을 구매했는지 파악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다음 중 의미가 서로 다른 것은 무엇인가?

  1. 차수(Degree) - 기수(Cadinality)
  2. 튜플(Tuple) - 레코드(Record)
  3. 테이블(Table) - 릴레이션(Relation)
  4. 속성(Attribute) - 필드(Field)
(정답률: 58%)
  • 정답은 "차수(Degree) - 기수(Cardinality)"입니다.

    차수(Degree)는 그래프 이론에서 노드의 연결 상태를 나타내는 개념이며, 기수(Cardinality)는 집합의 원소 개수를 나타내는 개념입니다.

    나머지 보기들은 모두 데이터베이스 관련 용어로, 각각의 용어들은 서로 유사한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 튜플(Tuple)과 레코드(Record)은 데이터베이스에서 하나의 레코드를 나타내는 용어입니다.
    - 테이블(Table)과 릴레이션(Relation)은 데이터베이스에서 데이터를 저장하는 구조를 나타내는 용어입니다.
    - 속성(Attribute)과 필드(Field)는 데이터베이스에서 하나의 열을 나타내는 용어입니다.

    따라서, 차수와 기수는 서로 다른 개념이므로 정답은 "차수(Degree) - 기수(Cardinality)"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엑세스에서 작성할 수 있는 모듈(Module)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모듈의 각 프로시저는 Sub 프로시저와 Function 프로시저가 될 수 있다.
  2. 보고서 모듈은 이벤트 프로시저를 포함할 수 없다.
  3. 폼 모듈과 보고서 모듈은 클래스 모듈의 한 종류이다.
  4. 클래스 모듈은 새로운 개체에 대한 정의를 포함할 수 있는 모듈이다.
(정답률: 66%)
  • 보고서 모듈은 이벤트 프로시저를 포함할 수 없다는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이유는 보고서 모듈도 폼 모듈과 마찬가지로 이벤트 프로시저를 포함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필드에 0보다 크고 100보다 작은 숫자만 입력할 수 있도록 지정하려고 한다. 이 경우 다음 중 어떤 속성을 이용해야 하는가?

  1. 유효성 검사
  2. 필수 여부
  3. 인덱스(Index)
  4. 유니코드 압축
(정답률: 83%)
  • 유효성 검사를 이용해야 한다. 유효성 검사는 입력된 데이터가 지정된 조건에 부합하는지 확인하는 과정으로, 이를 통해 입력값의 유효성을 보장할 수 있다. 따라서 필드에 0보다 크고 100보다 작은 숫자만 입력할 수 있도록 지정하려면 유효성 검사를 이용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창고>와 <제품>의 테이블 관계가 다음과 같을 때, 창고위치가 ‘부산'인 창고에 저장된 제품의 “제품명", “단가", “창고명"만을 표시하도록 하는 SQL 문은?

  1. SELECT 제품.제품명, 제품.단가, 창고.창고명 FROM 창고 inner join 제품 WHERE 제품.창고위치 = "부산";
  2. SELECT * FROM 창고 inner join 제품 on 창고.창고코드 = 제품.창고코드 WHERE 제품.창고위치 = "부산";
  3. SELECT 제품.제품명, 제품.단가, 창고.창고명 FROM 제품 inner join 창고 on 창고.창고코드 = 제품.창고코드 WHERE 창고.창고위치 = "부산";
  4. SELECT 제품.제품명, 제품.단가, 창고.창고명 FROM 창고 inner join 제품 HAVING 제품.창고위치 = "부산" AND 부서.부서번호 = 사원.부서번호;
(정답률: 52%)
  • 정답은 "SELECT 제품.제품명, 제품.단가, 창고.창고명 FROM 제품 inner join 창고 on 창고.창고코드 = 제품.창고코드 WHERE 창고.창고위치 = "부산";"입니다.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 먼저, 창고와 제품 테이블은 창고코드를 기준으로 관계를 맺고 있습니다. 따라서 inner join을 사용하여 두 테이블을 연결합니다.
    - WHERE 절에서는 창고위치가 '부산'인 창고를 선택합니다.
    - SELECT 절에서는 제품명, 단가, 그리고 창고명을 선택합니다. 이때, 제품과 창고 테이블에서 각각 필요한 열을 선택하기 위해 제품.제품명, 제품.단가, 창고.창고명과 같이 테이블명을 명시해줍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