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터활용능력 1급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6-07-23)

컴퓨터활용능력 1급
(2006-07-23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컴퓨터 일반

1. CMOS 셋업 시의 비밀번호를 잊어버린 경우에 해결 방법으로 가장 옳은 것은?

  1. 컴퓨터의 하드디스크를 포맷하고, 운영체제를 다시 설치하여야 한다.
  2. 시동 디스크를 이용하여 컴퓨터를 다시 부팅한다.
  3. 컴퓨터 본체의 리셋 버튼을 눌러 다시 부팅한다.
  4. 메인 보드에 장착되어 있는 배터리를 뽑았다가 다시 장착한다.
(정답률: 53%)
  • CMOS 셋업 시 비밀번호를 잊어버린 경우, 메인 보드에 장착되어 있는 배터리를 뽑았다가 다시 장착하는 것이 가장 옳은 방법이다. 이는 배터리를 뽑으면 CMOS 메모리가 초기화되어 비밀번호가 삭제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다시 컴퓨터를 부팅하면 비밀번호를 입력하지 않고 CMOS 셋업에 접근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다음 중 한글 WindoesXP의 바로가기 키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Alt> + <F4> : 프로그램 종료
  2. <Alt> + <Enter> : 선택한 항목의 속성 보기
  3. <Ctrl> + <Z> : 실행 취소
  4. <Shift> + <Del> : 휴지통으로 파일 삭제
(정답률: 65%)
  • "<Shift> + <Del> : 휴지통으로 파일 삭제"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이 단축키는 파일을 휴지통으로 보내지 않고, 바로 삭제하는 단축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가로 100화소, 세로 100화소 크기의 24Bit의 RGB컬러 이미지를 10:1로 압축하여 저장했을 경우, 저장된 파일의 크기는 얼마인가?(단, 1KB - 1,000바이트로 가정)

  1. 1KB
  2. 2KB
  3. 3KB
  4. 4KB
(정답률: 38%)
  • 원본 이미지의 크기는 가로 100화소 x 세로 100화소 x 24Bit = 240,000Bit = 30,000Byte 이다. 이를 10:1로 압축하면 30,000Byte / 10 = 3,000Byte = 3KB 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3KB"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인터넷 주소(IP)를 물리적 하드웨어(MAC) 주소로 변환하는 프로토콜로 옳은 것은?

  1. ARP
  2. RARP
  3. DNS
  4. ICMP
(정답률: 38%)
  • ARP는 주어진 IP 주소에 대한 물리적 MAC 주소를 찾기 위한 프로토콜입니다. 따라서 ARP가 인터넷 주소(IP)를 물리적 하드웨어(MAC) 주소로 변환하는 프로토콜입니다. RARP는 MAC 주소에서 IP 주소로 변환하는 프로토콜이며, DNS는 도메인 이름을 IP 주소로 변환하는 프로토콜입니다. ICMP는 인터넷 제어 메시지 프로토콜로, 네트워크 상태를 확인하거나 오류 메시지를 전송하는 데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MPEG-4와 MP3를 재조합한 것으로, 비표준 동영상 파일 형식으로 수백 MB에서 수 GB대의 영화를 압축한 DVD 수준의 고화질 파일의 형식을 의미하는 것은?

  1. ASF
  2. DVI
  3. DivX
  4. MPEG-7
(정답률: 43%)
  • DivX는 MPEG-4와 MP3를 조합하여 고화질 동영상 파일을 압축하는 비표준 형식으로, DVD 수준의 고화질 파일을 작은 용량으로 저장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주어진 보기 중에서 DivX가 해당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다음 중 프린터에서 인쇄를 할 경우 나타나는 현상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프린터에서 인쇄 작업이 시작된 경우라도 잠시 중단시켰다가 다시 인쇄가 가능하다.
  2. 여러 개의 출력 파일들의 출력 대기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3. 여러 개의 출력 파일들이 출력 대기할 때 출력 순서를 임의로 조정할 수 있다.
  4. 일단 프린터에서 인쇄 작업이 들어간 것은 프린터 전원을 끄기 전에는 강제로 종료 시킬 수 없다.
(정답률: 80%)
  • "일단 프린터에서 인쇄 작업이 들어간 것은 프린터 전원을 끄기 전에는 강제로 종료 시킬 수 없다." 인 이유는, 프린터에서 인쇄 작업이 진행되는 동안에는 프린터의 메모리나 버퍼에 해당 작업에 필요한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만약 프린터 전원을 강제로 끄게 되면, 이러한 데이터가 손실될 가능성이 있어서 프린터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인쇄 작업이 완료될 때까지는 프린터 전원을 끄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다음 중 운영체제에서 관리하는 가상메모리는 실제로 어떤 장치를 사용하는가?

  1. 주기억 장치
  2. 캐시 기억 장치
  3. 프로세서 장치
  4. 하드디스크 장치
(정답률: 44%)
  • 가상메모리는 주기억장치(RAM)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사용되는 기술로, 프로그램이 실행될 때 필요한 데이터를 미리 하드디스크에 저장해 놓고 필요할 때마다 주기억장치로 가져와 사용합니다. 따라서 가상메모리는 하드디스크 장치를 사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컴퓨터 주변장치가 CPU의 관심을 끌기 위해 발생하는 요구신호로, 신호를 요청한 장치 중 우선 순위가 가장 높은 장치에 이것을 허용하고 두 개 이상의 하드웨어가 동일한 이것을 사용하면 충돌이 발생하게 된다. 이것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DMA
  2. I/O
  3. IRQ
  4. Plug & Play
(정답률: 43%)
  • IRQ는 컴퓨터 주변장치가 CPU의 관심을 끌기 위해 발생하는 요구신호로, 우선 순위가 가장 높은 장치에 이것을 허용하고 충돌이 발생할 수 있다는 점에서 다른 보기와 구분됩니다. DMA는 메모리 접근을 위한 장치, I/O는 입출력을 위한 장치, Plug & Play는 자동 인식 기능을 갖춘 장치를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네트워크상에서 원격으로 대상이 되는 장비의 연결 상태 및 작동여부를 확인할 때 사용하는 명령어는?

  1. Echo
  2. Roll-back
  3. Regedit
  4. Ping
(정답률: 72%)
  • Ping은 네트워크상에서 대상이 되는 장비에게 ICMP(Internet Control Message Protocol) 패킷을 보내고, 대상 장비가 이를 받아 응답하는지 확인하는 명령어입니다. 따라서 Ping을 사용하여 대상 장비의 연결 상태 및 작동 여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다음 중 WindowsXP에서 네트워크 공유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다른 사람들이 자신의 자료에 접근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설정해 놓은 것이다.
  2. 프로그램, 문서, 비디오, 소리, 그림 등의 데이터에 대하여 공유가 가능하다.
  3. 프린터 공유 시 원하지 않는 사용자의 접근을 막기 위해 암호 설정이 가능하다.
  4. 공유된 폴더는 삭제할 수 없다.
(정답률: 81%)
  • 공유된 폴더는 삭제할 수 있는데, 다른 사용자가 해당 폴더에 접근 중일 경우 삭제가 불가능할 수 있다. 따라서 "공유된 폴더는 삭제할 수 없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한글 Windows XP 부팅 후에 <시작 프로그램 오류> 메시지가 나타났다. 이 오류가 다시 나타나지 않게 하는 방법으로 가장 옳은 것은?

  1. [시작]-[프로그램]-[시작 프로그램]에서 오류가 발생하는 프로그램 아이콘에서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클릭하고 ‘삭제’를 선택한다.
  2. [시작]-[프로그램]-[보조프로그램]-[메모장]을 선택하여 ‘sys edit’을 입력한 후 win.ini 창을 선택하여 현재 사용되지 않는 프로그램 항목을 선택한다.
  3. [시작]-[설정]-[작업 표시줄 및 시작 메뉴]-[작업 표시줄]에서 사용되지 않는 프로그램을 삭제한다.
  4. config.sys와 autoexec.bat 파일의 이름을 변경한다.
(정답률: 51%)
  • 시작 프로그램 오류 메시지가 나타나는 이유는 시작 프로그램 폴더에 있는 프로그램 중에서 오류가 발생하는 프로그램이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 오류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해당 프로그램을 시작 프로그램 폴더에서 삭제해야 합니다. 따라서 "[시작]-[프로그램]-[시작 프로그램]에서 오류가 발생하는 프로그램 아이콘에서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클릭하고 ‘삭제’를 선택한다."가 가장 옳은 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다음 중 사용자가 컴퓨터에서 작성한 메일을 다른 사람의 계정이 있는 곳으로 전송해 주는 역할을 하는 프로토콜은?

  1. POP3
  2. SMTP
  3. HTTP
  4. USENET
(정답률: 60%)
  • SMTP는 Simple Mail Transfer Protocol의 약자로, 이메일을 보내는 데 사용되는 프로토콜입니다. 따라서 사용자가 작성한 메일을 다른 사람의 계정이 있는 곳으로 전송해 주는 역할을 합니다. POP3는 이메일을 받는 데 사용되는 프로토콜이며, HTTP는 웹 페이지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프로토콜입니다. USENET은 뉴스 그룹을 이용하는 데 사용되는 프로토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다음 중 FTP서비스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파일의 업로드나 다운로드를 가능하게 하는 인터넷 서비스이다.
  2. 그림파일을 전송할 때는 Binary Mode를 사용한다.
  3. 그림파일을 전송할 때는 BCD Mode를 사용한다.
  4. anonymous FTP란 계정이 없는 사용자도 접근하여 사용 할 수 있는 FTP서비스이다.
(정답률: 65%)
  • "그림파일을 전송할 때는 BCD Mode를 사용한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실제로 그림파일을 전송할 때는 Binary Mode를 사용한다. BCD Mode는 10진수 숫자를 전송할 때 사용하는 모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한글 Windows XP의 특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컴퓨터 시스템의 하드웨어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사용자에게 더 편리한 컴퓨터 환경을 제공한다.
  2. 파일 관리뿐만 아니라 데이터베이스 관리 기능도 포함하고 있다.
  3. 시스템에 문제가 생겼을때 시스템 복원 기능을 사용하여 정상적으로 작동하던 시점으로 시스템을 복원할 수 있다.
  4. 완전한 32Bit로 데이터를 처리하므로 더 많은 양의 데이터를 빠르게 처리할 수 있다.
(정답률: 29%)
  • 정답: "파일 관리뿐만 아니라 데이터베이스 관리 기능도 포함하고 있다."

    설명: 한글 Windows XP는 파일 관리, 시스템 복원 기능, 32비트 데이터 처리 등의 기능을 제공하지만, 데이터베이스 관리 기능은 포함하고 있지 않습니다. 데이터베이스 관리는 별도의 소프트웨어나 서비스가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다음 중 웹 프로그래밍 언어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ASP : 클라이언트 측에서 동적으로 수행되는 페이지를 만드는 언어이다.
  2. JSP : 자바를 기반으로 하고 서버 측에서 동적으로 수행하는 페이지를 만드는 언어이다.
  3. PHP : Linux, Unix, Windows 등의 다양한 운영체제에서 사용 가능하다.
  4. XML : 기존 HTML 단점을 보완하여 문서의 구조적인 특성들을 고려하여 문서들을 상호 교환할 수 있도록 설계된 프로그래밍 언어이다.
(정답률: 51%)
  • ASP는 서버 측에서 동적으로 수행되는 페이지를 만드는 언어이며, 클라이언트 측에서는 수행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ASP : 클라이언트 측에서 동적으로 수행되는 페이지를 만드는 언어이다."는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한글 WindowsXP에서 새 하드웨어를 추가할 때 새로운 장치를 인식하려면 설치된 장치에 알맞은 프로그램이 설치되어야 하는데 이것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응용프로그램
  2. 핸드 드라이버
  3. 디바이스 드라이버
  4. 컨트롤 드라이버
(정답률: 65%)
  • 새로운 장치를 인식하려면 해당 장치와 운영체제 간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소프트웨어가 필요합니다. 이를 디바이스 드라이버라고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디바이스 드라이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다음 중 처리 속도의 향상을 목적으로 자연적으로 떨어져 있는 여러 대의 컴퓨터를 연결하여 작업을 처리하는 방식은?

  1. 다중 시스템
  2. 시분할 시스템
  3. 분산 시스템
  4. 일괄 처리 시스템
(정답률: 50%)
  • 여러 대의 컴퓨터를 연결하여 작업을 처리하는 방식을 분산 시스템이라고 합니다. 이 방식은 처리 속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여러 대의 컴퓨터가 협력하여 작업을 처리하므로, 작업을 분산시켜 처리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분산 시스템은 다중 시스템, 시분할 시스템, 일괄 처리 시스템과는 다른 개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다음 중 [디스플레이 등록 정보]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화면 보호기]-[모니터 전원]에서 에너지를 절약하기 위한 ‘전원 옵션’을 지정할 수 있다.
  2. [설정] 탭에서 화면의 해상도를 낮추면 더 넓은 영역이 화면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3. [화면 배색] 탭에서 화면에 나타나는 글꼴이 크게 나타나도록 설정할 수 있다.
  4. [바탕 화면] 탭에서 배경 화면으로 사용할 그림을 지정할 수 있다.
(정답률: 63%)
  • "[설정] 탭에서 화면의 해상도를 낮추면 더 넓은 영역이 화면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는 옳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다음 중 인터넷 서비스의 기본 포트 번호가 잘못 연결된 것은?

  1. FTP : 21
  2. NEWS : 119
  3. HTTP : 90
  4. TELNET : 23
(정답률: 50%)
  • HTTP의 기본 포트 번호는 80이지만, 주어진 보기에서는 90으로 잘못 기재되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HTTP : 9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정보시스템을 통하여 전자문서를 전송하기 위해서는 정보 보호를 위하여 보안 서비스가 필요하다. 다음 중 보안 서비스의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기밀성 : 컴퓨터 시스템의 정보 및 전송 정보가 인가 당사자만 읽을 수 있도록 통제한다.
  2. 인증 : 메시지의 출처가 정확히 확인되고, 그 실체의 신분이 거짓이 아님을 확인한다.
  3. 무결성 : 컴퓨터 시스템 및 전송 정보가 오직 인가 당사자에 의해서만 수정될 수 있도록 한다.
  4. 부인봉쇄 : 컴퓨터 시스템 자원을 허가된 당사자가 필요로 할때 이용될 수 있도록 한다.
(정답률: 50%)
  • 부인봉쇄는 컴퓨터 시스템 자원을 허가된 당사자만 사용할 수 있도록 제한하는 것이 아니라, 이미 사용한 자원에 대해 사용을 부인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부인봉쇄 : 컴퓨터 시스템 자원을 허가된 당사자가 필요로 할때 이용될 수 있도록 한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스프레드시트 일반

21. 엑셀에서 열려 있는 다른 엑셀 통합 문서로 작업 화면을 전환할 때 사용되는 바로가기 키로 옳은 것은?

  1. <Shift> + <Tab>
  2. <Ctrl> + <Tab>
  3. <Ctrl> + <Enter>
  4. <Alt> + < → >
(정답률: 53%)
  • 정답: <Ctrl> + <Tab>

    이유: <Ctrl> + <Tab>은 다른 엑셀 통합 문서로 작업 화면을 전환하는 바로가기 키입니다. 이는 탭 간에 전환하는 것과 같은 방식으로 작동합니다. <Shift> + <Tab>은 역순으로 전환하는 것이며, <Ctrl> + <Enter>은 현재 셀을 편집 모드로 전환하는 것입니다. <Alt> + < → >는 현재 셀에서 오른쪽으로 이동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다음의 수식의 결과 값으로 옳은 것은?

  1. 156.65
  2. 157.65
  3. 156.66
  4. 157.66
(정답률: 52%)
  • 주어진 수식을 계산하면 다음과 같다.

    (1000 + 500) / (2 + 3) + 50 - 8.35

    = 1500 / 5 + 50 - 8.35

    = 300 + 50 - 8.35

    = 341.65

    따라서, 옳은 정답은 "157.65" 이 아닌 "341.65"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다음 중 아래 차트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기본 축 중 Z축이 설정되어 있다.
  2. X(항목)축 제목이 설정되어 있다.
  3. 차트 종류는 3차원 효과의 100% 기준 누적 가로막대형이다.
  4. [차트]-[3차원 보기]에서 상하/좌우 회전 값을 설정할 수 있다.
(정답률: 40%)
  • X(항목)축 제목이 설정되어 있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다음 고급 필터의 검색 기준의 의미로 옳은 것은?

  1. 회사가 (주)한성이고 연봉이 25,000,000 이상이고 종업원 수가 500 이상이고 업종이 네트워크인 경우
  2. 회사가 (주)한성이거나 연봉이 25,000,000 이상이고 종업원 수가 500 이상이고 업종이 네트워크인 경우
  3. 회사가 (주)한성이거나 연봉이 25,000,000 이상이거나 종업원 수가 500 이상이고 업종이 네트워크인 경우
  4. 회사가 (주)한성이고 연봉이 25,000,000 이상이고 종업원 수가 500 이상이거나 업종이 네트워크인 경우
(정답률: 68%)
  • 고급 필터에서 선택한 조건 중 하나라도 만족하는 경우 검색 결과에 포함시키겠다는 의미입니다. 따라서 "회사가 (주)한성이거나 연봉이 25,000,000 이상이거나 종업원 수가 500 이상이고 업종이 네트워크인 경우"는 회사가 (주)한성이거나 연봉이 25,000,000 이상이거나 종업원 수가 500 이상이고 업종이 네트워크인 경우 중 하나라도 만족하면 검색 결과에 포함시키겠다는 의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다음 도구모음은 엑셀 문서를 인쇄할 경우에 머리글에 표시 할 내용을 지정하는 것이다. 다음 중 이와 관련이 없는 것은?

  1. 통합 문서의 이름을 표시할 수 있다.
  2. 시스템에 설정되어 있는 현재 시간을 표시할 수 있다.
  3. 페이지 번호를 표시할 수 있다.
  4. 현재 통합 문서의 폴더를 표시할 수 있다.
(정답률: 50%)
  • 현재 통합 문서의 폴더를 표시할 수 있는 옵션은 머리글에 표시할 내용과 관련이 없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다른 옵션들은 인쇄할 문서의 정보를 머리글에 표시하는 것과 관련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F12]셀 영역에 =SUM((C2:C9=E12)*1) 수식을 입력하고 <Ctrl> + <Shift> + <Enter>를 누르면 수식 입력 줄에 나타나는 결과로 옳은 것은?

  1. (=SUM((C2:C9=E12)*1))
  2. {=SUM((C2:C9=E12)*1)}
  3. ={SUM((C2:C9=E12)*1)}
  4. [=SUM((C2:C9=E12)*1)]
(정답률: 65%)
  • 정답: "{=SUM((C2:C9=E12)*1)}"

    이유: 중괄호({})는 배열 수식을 나타내며, 이 경우에는 C2:C9 범위에서 E12 셀과 일치하는 셀의 수를 세는 배열 수식입니다. *1은 불리언 값을 1 또는 0으로 변환하는 데 사용됩니다. 따라서 이 수식은 범위 내에서 일치하는 셀의 수를 합산합니다. Ctrl + Shift + Enter를 누르면 배열 수식이 입력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아래 그림에서 [B7]셀 영역에 다음 수식을 입력한 결과 값으로 옳은 것은?

  1. 20000
  2. 1000
  3. 1200
  4. 400
(정답률: 32%)
  • =B4*B5+B6

    위 수식은 B4와 B5를 곱한 값에 B6을 더한 결과를 출력하는 수식입니다.

    따라서, B4와 B5의 곱은 20,000이 되고, B6은 1,200이므로

    20,000 + 1,200 = 21,200 이 됩니다.

    따라서, B7 셀에는 21,200이 출력되어야 합니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400이 정답으로 주어졌으므로,

    이는 오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다음 중 통합 문서 공유 과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통합문서를 공유하려면 [도구]-[통합 문서 공유]메뉴를 선택하고 [편집] 탭에서 [여러 사용자가 동시에 변경할 수 있으며 통합 문서 병합도 가능] 확인란을 선택한다.
  2. 공유 통합 문서를 네트워크 위치에 복사해도 다른 통합 문서나 문서의 연결은 그대로 유지된다.
  3. 통합 문서는 공유하려면 [통합 문서 공유]-[고급]-[변경 내용 추적]에서 ‘변경 내용 저장’을 반드시 선택하여야 한다.
  4. 변경 내용을 저장하려면 공유 통합 문서의 복사본이 만들어져 변경한 내용들을 병합할 수도 있다.
(정답률: 43%)
  • "공유 통합 문서를 네트워크 위치에 복사해도 다른 통합 문서나 문서의 연결은 그대로 유지된다."는 옳은 설명이므로, 옳지 않은 것은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다음 중 매크로를 실행하는 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양식 도구 모음의 단추 도구를 이용
  2. 매크로 기록 시에 지정된 바로가기 키의 이용
  3. 개체에 매크로를 지정하여 실행
  4. <Ctrl> + <F8>
(정답률: 58%)
  • 정답은 "양식 도구 모음의 단추 도구를 이용"입니다.

    매크로를 실행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지만, "<Ctrl> + <F8>"은 매크로를 실행하는 키보드 단축키입니다. 이 단축키를 누르면 매크로 실행 창이 나타나며, 실행할 매크로를 선택하여 실행할 수 있습니다.

    양식 도구 모음의 단추 도구를 이용하는 것은 매크로를 실행하는 방법 중 하나이지만, 이는 매크로를 실행하는 것이 아니라 매크로를 녹화하거나 수정하는 기능입니다.

    매크로 기록 시에 지정된 바로가기 키의 이용은 매크로를 실행하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 매크로를 녹화할 때 바로가기 키를 지정하면, 해당 키를 누르면 매크로가 실행됩니다.

    개체에 매크로를 지정하여 실행하는 것은 개체를 클릭하면 매크로가 실행되도록 설정하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버튼을 클릭하면 매크로가 실행되도록 설정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옳지 않은 것은 "양식 도구 모음의 단추 도구를 이용"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다음은 계승(Factorial)을 구하기 위한 서브 프로시저이다. 서브 프로시저를 실행한 후 결과 값이 표시되는 워크시트의 셀 주소는?(문제 오류로 실제 시험장에서 모두 정답 처리된 문제 입니다. 여기서는 1번을 정답 처리 합니다.)

  1. [C2] 셀에 결과를 표시한다.
  2. [B3] 셀에 결과를 표시한다.
  3. 현재 셀 포인터에서 아래로 3, 오른쪽으로 2 셀만큼 이동한 셀에 결과를 표시한다.
  4. 현재 셀 포인터에 결과를 표시한다.
(정답률: 68%)
  • 서브 프로시저에서 계승 값을 구한 후 결과를 표시해야 하는 셀은 계승 값을 저장할 셀이어야 합니다. 이 문제에서는 계승 값을 저장할 셀이 [C2] 이므로 "[C2] 셀에 결과를 표시한다."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다음 중 정렬 기능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공백(빈) 셀의 경우 내림차순, 오름차순 모두에서 항상 맨 앞으로 정렬된다.
  2. 서식이 들어간 셀의 경우, 서식이 아니라 결과 값을 기준으로 정렬된다.
  3. 사용자 정의 목록 이용하면, 월, 화, 수, 목, 금, 토, 일과 같은 방식으로 정렬할 수 있다.
  4. 선택한 범위의 첫 행을 ‘머리글 행 아님’으로 설정하면 첫 행도 정렬에 포함되며 정렬 기준이 ‘열 A’, “열 D”의 같은 형식으로 표시된다.
(정답률: 62%)
  • "공백(빈) 셀의 경우 내림차순, 오름차순 모두에서 항상 맨 앞으로 정렬된다."라는 설명이 옳지 않은 것은 없습니다. 이 설명은 옳은 설명입니다.

    공백(빈) 셀은 값이 없기 때문에 비교할 수 없는 상태이며, 따라서 정렬 시에는 항상 맨 앞으로 정렬됩니다. 이는 내림차순, 오름차순 모두에서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다음 중 엑셀에서 출력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서식]메뉴에서 [시트]-[배경]을 사용하여 워크시트에 추가한 배경 무늬를 인쇄할 수 있다.
  2. 워크시트를 인쇄하기 전에 인쇄 미리 보기를 눌러 시트를 인쇄했을 때의 모양을 미리 볼 수 있다.
  3. 워크시트의 삽입된 그래픽을 인쇄할 수 있다.
  4. 셀 음영도 인쇄할 수 있다.
(정답률: 46%)
  • "[서식]메뉴에서 [시트]-[배경]을 사용하여 워크시트에 추가한 배경 무늬를 인쇄할 수 있다."가 옳은 설명입니다. 이유는 [서식]메뉴에서 [시트]-[배경]을 사용하여 워크시트에 추가한 배경 무늬는 워크시트의 일부분이 아니라 전체 배경에 적용되기 때문에 인쇄됩니다. 따라서 워크시트를 인쇄하기 전에 인쇄 미리 보기를 눌러 시트를 인쇄했을 때의 모양을 미리 볼 수 있고, 워크시트의 삽입된 그래픽과 셀 음영도는 인쇄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아래 그림에서 ? 는 많은 양의 데이터를 한눈에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요약, 분석하여 보여주는 기능이다. 이러한 기능을 무엇이라 하는가?

  1. 고급 필터
  2. 부분합
  3. 목표값 찾기
  4. 피벗 테이블
(정답률: 55%)
  • 위 그림에서 ?는 데이터를 요약하고 분석하여 보여주는 것으로, 이는 피벗 테이블의 기능 중 하나이다. 따라서 정답은 "피벗 테이블"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다음 중 나이 구간별 인원수를 알기 위하여 [F7:F10]셀에서 사용할 함수로 옳은 것은?

  1. COUNT
  2. FREQUENCY
  3. COUNTA
  4. DSUM
(정답률: 40%)
  • FREQUENCY 함수는 데이터 배열과 구간 배열을 입력받아, 데이터 배열에서 각 구간에 속하는 데이터의 개수를 반환하는 함수입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나이 데이터 배열과 구간 배열을 입력받아, 각 나이 구간에 속하는 인원수를 반환하는데에 FREQUENCY 함수가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다음은 도구 모음에 추가되어 있는 카메라 단추를 활용하기 위한 작업 순서를 나타낸 것이다. 올바른 순서로 연결된 것은?

  1. (ㄱ) - (ㄴ) - (ㄷ)
  2. (ㄴ) - (ㄱ) - (ㄷ)
  3. (ㄷ) - (ㄴ) - (ㄱ)
  4. (ㄷ) - (ㄱ) - (ㄴ)
(정답률: 38%)
  • 정답은 "(ㄱ) - (ㄴ) - (ㄷ)"이다.

    (ㄱ)에서는 카메라 앱을 실행하고, (ㄴ)에서는 촬영할 대상을 화면에 맞추고 적절한 조명과 초점을 맞춘 후 촬영 버튼을 누르면 된다. 마지막으로 (ㄷ)에서는 촬영한 사진을 확인하고 필요에 따라 편집하거나 저장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작업 순서는 카메라를 사용하는 일반적인 방법에 따라 구성되어 있으며, 각 단계가 순서대로 이루어져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하나의 데이터 계열을 하나의 선으로 표현해 시간에 따른 각 계열의 변화나 추세를 보여주고자 할 때 작성하는 차트로 옳은 것은?

(정답률: 69%)
  • 시계열 차트는 하나의 데이터 계열을 하나의 선으로 표현해 시간에 따른 각 계열의 변화나 추세를 보여주는 차트입니다. 따라서 ""가 정답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막대 그래프, 원 그래프, 산점도 등 다른 종류의 차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도구상자를 이용한 매크로 작성 절차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도구상자 영역에 마우스 커서를 두고 오른쪽 버튼을 눌러 팝업 메뉴를 띄운 후, [Visual Basic]의 하위 메뉴를 선택하여 도구상자를 연다.
  2. 매크로를 기록하기 위해 [새 매크로 기록]버튼을 클릭한다.
  3. 매크로 본문을 위한 작업을 한다.
  4. 도구상자에서 [기록 저장]버튼을 클릭하여 매크로 기록을 종료한다.
(정답률: 39%)
  • 옳지 않은 것은 "도구상자에서 [기록 저장]버튼을 클릭하여 매크로 기록을 종료한다."입니다. 매크로 기록을 종료하기 위해서는 도구상자에서 [새 매크로 기록]버튼을 다시 클릭하여 기록 모드를 종료해야 합니다. [기록 저장]버튼은 매크로를 저장하는 역할을 하며, 매크로 기록 모드를 종료하지는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다음 중 아래와 같은 조건을 만족하는 사용자 정의 서식으로 옳은 것은?

  1. ₩#,##0,0;-;[빨강]₩#,##0.0
  2. [빨강]{₩#,##0.0};₩#,##0,0;-
  3. ₩#,##0,0;[빨강]₩#,##0.0;-
  4. ₩#,##0,0;₩-;[빨강]₩#,##0.0
(정답률: 50%)
  • 조건:
    - 천 단위 구분 기호는 쉼표(,)
    - 소수점 구분 기호는 점(.)
    - 양수는 원화 기호(₩)로 시작하고 소수점 이하 한 자리까지 표시
    - 음수는 원화 기호(₩)로 시작하고 괄호 안에 빨간색으로 표시하고 소수점 이하 한 자리까지 표시

    정답: "₩#,##0,0;[빨강]₩#,##0.0;-"

    해설:
    - "₩" : 원화 기호를 나타냄
    - "#,##0,0" : 천 단위 구분 기호를 쉼표로 하고, 소수점 이하 자리는 없음
    - "[빨강]₩#,##0.0" : 음수일 경우 괄호 안에 빨간색으로 표시하고, 소수점 이하 한 자리까지 표시함
    - ";" : 양수와 음수를 구분하는 구분자. 양수일 경우와 음수일 경우를 나누어 표시함
    - "-" : 음수일 경우 원화 기호(₩) 뒤에 붙이는 기호. 이 경우는 음수일 경우에만 적용됨.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다음 사용자 정의 폼에서 결과(cmd결과) 버튼을 클릭하면 1에서 50까지의 합계가 아래의 텍스트 상자[Txt합계]에 표시되는 프로시저를 다음과 같이 작성하였을 때, 오류가 발생하는 부분은 어느 부분인가?

  1. Do While NUM<50
  2. SUM = SUM + NUM
  3. Loop
  4. Txt합계.Caption = SUM
(정답률: 33%)
  • 오류가 발생하는 부분은 "SUM = SUM + NUM"입니다. 이유는 SUM 변수가 초기화되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SUM 변수를 0으로 초기화해주어야 합니다.

    정답인 "Txt합계.Caption = SUM"은 합계를 계산한 결과를 Txt합계 텍스트 상자에 표시하기 위한 코드입니다. SUM 변수에는 1부터 50까지의 합계가 저장되어 있으며, 이 값을 Txt합계.Caption 속성에 할당하여 텍스트 상자에 표시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다음 시나리오 관리자 창에서 각각의 버튼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표시 : 선택한 시나리오에 대해 결과를 표시한다.
  2. 편집 : 선택한 시나리오를 변경한다.
  3. 병합 : 다른 워크시트의 시나리오를 통합하여 함께 관리한다.
  4. 요약 : 시나리오에 대한 요약 보고서나 피벗 테이블을 작성한다.
(정답률: 53%)
  • "병합" 버튼은 다른 워크시트의 시나리오를 현재 워크시트의 시나리오와 함께 관리할 수 있도록 통합하는 기능입니다. 따라서 "다른 워크시트의 시나리오를 통합하여 함께 관리한다"가 옳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데이터베이스 일반

41. 다음 중 함수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AVG() : 필드의 평균을 구한다.
  2. LEN() : 필드의 문자열의 길이를 구한다.
  3. NOW() : 현재 날짜와 시간을 구한다.
  4. TOTAL() : 필드의 합계를 구한다.
(정답률: 44%)
  • 정답은 "TOTAL() : 필드의 합계를 구한다." 입니다. 함수명이 "SUM()"이어야 합니다. TOTAL() 함수는 Access에서 사용되며, 집계 쿼리에서 사용됩니다. 필드의 합계를 구하는 것 외에도, COUNT(), MAX(), MIN() 등 다양한 집계 함수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다음 중 기본 키(Primary Key)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

  1. 테이블에 기본 키를 설정하지 않으면 안된다.
  2. 기본 키를 설정하지 않고도 다른 테이블과의 관계를 설정할 수 있다.
  3. 레코드의 추가 시에 기본 키 필드에 값을 입력하지 않아도 된다.
  4. 기본 키로 정의된 필드에 동일한 값을 중복하여 저장할 수 있다.
(정답률: 41%)
  • 기본 키는 테이블에서 각 레코드를 유일하게 식별하는 역할을 하며, 다른 테이블과의 관계를 설정할 때 기본 키를 참조하는 외래 키(Foreign Key)를 사용한다. 따라서 기본 키를 설정하지 않고는 다른 테이블과의 관계를 설정할 수 없다. 따라서 "기본 키를 설정하지 않고도 다른 테이블과의 관계를 설정할 수 있다."는 설명은 옳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다음 구매(구매일자, 사번, 제품번호, 구매수량) 테이블을 레코드 원본으로 하는 폼의 바닥글에 구매수량 평균이 표시되도록 하기 위해서 바닥글의 입력한 컨트롤의 컨트롤 원본 속성의 수식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Avg([구매수량])
  2. =Avg([구매수량])/Count([구매수량])
  3. =Sum([구매수량])/Count([구매수량])
  4. =Sum([구매수량])/Count([구매일자])
(정답률: 47%)
  • 옳지 않은 수식은 "=Sum([구매수량])/Count([구매일자])" 입니다.

    이유는 구매수량 평균을 구하기 위해서는 구매수량의 총합을 구한 후, 그것을 구매 건수로 나누어야 합니다. 따라서 "=Sum([구매수량])/Count([구매수량])" 이나 "=Avg([구매수량])" 모두 옳은 수식입니다.

    하지만 "=Sum([구매수량])/Count([구매일자])" 은 구매수량을 구매일자로 나누어 평균을 구하려는 것이므로, 옳지 않은 수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아래 그림과 같이 주소록 폼을 표시하려고 한다. 폼 속성의 [형식]-[테두리 스타일]에서 선택해야 할 속성으로 옳은 것은?

  1. 대화 상자
  2. 없음
  3. 조정 가능
  4. 가늘게
(정답률: 42%)
  • 주소록 폼을 표시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입력할 수 있는 입력 필드와 레이블 등이 필요하다. 이러한 요소들을 모아서 하나의 폼으로 구성하면 된다. 이때, 폼의 테두리 스타일은 "대화 상자"로 선택해야 한다. 이유는 대화 상자는 입력 필드와 레이블 등이 모두 포함되어 있어서 사용자가 입력할 수 있는 모든 요소들이 한눈에 보이기 때문이다. 또한, 대화 상자는 조정 가능한 크기를 가지고 있어서 필요에 따라 크기를 조절할 수 있으며, 가늘게 설정하면 테두리가 얇아져서 보다 깔끔한 디자인을 구현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수강>테이블의 ‘수강학생’ 필드는 <학생>테이블의 ‘학번’ 필드를 참조한다. 다음 중 참조 무결성 규칙을 위반한 작업으로 옳은 것은?

  1. <학생> 테이블에서 ‘학번’과 ‘성명’이 각각 ‘468’과 ‘김해성’을 추가했다.
  2. <수강> 테이블의 ‘수강학생’ 필드에 ‘987’, ‘수강과목’ 필드에 ‘물리실험’을 추가했다.
  3. <수강> 테이블에서 첫 번째 레코드의 ‘수강학생’ 필드값을 ‘123’에서 ‘357’로 변경했다.
  4. <학생> 테이블의 ‘학번’ 필드 ‘357’에 해당하는 레코드에서 ‘성명’ 필드의 ‘박동식’을 ‘이황’으로 변경했다.
(정답률: 44%)
  • "<수강> 테이블의 ‘수강학생’ 필드에 ‘987’, ‘수강과목’ 필드에 ‘물리실험’을 추가했다."가 참조 무결성 규칙을 위반한 작업이다. 이는 <수강> 테이블의 ‘수강학생’ 필드가 <학생> 테이블의 ‘학번’ 필드를 참조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수강> 테이블의 ‘수강학생’ 필드에는 <학생> 테이블의 ‘학번’ 필드에 존재하는 값만 입력할 수 있다. 하지만 ‘987’는 <학생> 테이블의 ‘학번’ 필드에 존재하지 않는 값이므로 참조 무결성 규칙을 위반한 작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아래 그림과 같이 레이블 컨트롤에 문자를 표시하려고 한다. 다음 중 레이블의 캡션 속성에 들어갈 값으로 옳은 것은?

  1. You& I
  2. You && I
  3. You & I
  4. You [AND] I
(정답률: 49%)
  • 정답은 "You && I"이다.

    이유는 레이블 컨트롤에서 "&" 기호는 단축키를 나타내는 기호로 사용되기 때문에, "&" 기호를 표시하려면 "&&"로 입력해야 한다. 따라서 "You && I"가 옳은 값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여러 페이지에 걸쳐 작성된 보고서의 첫 페이지 상단에만 ‘구매현황’을 인쇄하려고 한다. 보고서의 어느 구역을 이용해야 하나?

  1. 페이지 머리글
  2. 보고서 머리글
  3. 본문
  4. 그룹 머리글
(정답률: 60%)
  • 보고서 머리글은 여러 페이지에 걸쳐 일관된 정보를 제공하기 때문에 첫 페이지 상단에만 인쇄하려는 '구매현황'과 같은 정보를 포함하기에 적합합니다. 페이지 머리글은 각 페이지마다 다른 정보를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이용할 수 없습니다. 본문과 그룹 머리글은 해당 내용과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기 때문에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다음 중 작성할 수 있는 보고서의 종류로 옳지 않은 것은?

  1. 주소 레이블
  2. 우편 엽서
  3. 차트 보고서
  4. 자동 보고서 : 맞춤 형식
(정답률: 31%)
  • 자동 보고서 : 맞춤 형식은 보고서의 종류가 아니라 보고서 작성 방식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옳지 않은 것은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다음 중 데이터 조작어(DML : Data Manipulation Language)의 특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데이터 처리를 위하여 응용 프로그램과 DBMS 사이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2. 데이터 처리를 위한 연산의 집합으로 데이터의 검색, 삽입, 삭제, 변경 등 데이터 조작을 제공하는 언어이다.
  3. 절차식 조작 언어와 비절차식 조작 언어로 구분 된다.
  4. 데이터 보안(Security), 무결성(Integrity), 회복(Recovery) 등에 관련된 사항을 정의한다.
(정답률: 49%)
  • 데이터 조작어(DML : Data Manipulation Language)의 특징으로 옳지 않은 것은 "데이터 보안(Security), 무결성(Integrity), 회복(Recovery) 등에 관련된 사항을 정의한다." 이다. 이는 데이터 정의어(DDL : Data Definition Language)의 특징이다. 데이터 조작어는 데이터 처리를 위한 연산의 집합으로 데이터의 검색, 삽입, 삭제, 변경 등 데이터 조작을 제공하는 언어이며, 절차식 조작 언어와 비절차식 조작 언어로 구분된다. 또한, 응용 프로그램과 DBMS 사이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데이터 처리를 가능하게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다음 중 매크로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매크로를 이용하면 자주 반복되는 작업들을 자동화할 수 있다.
  2. 액세스에서 제공하는 매크로 함수들은 반드시 인수를 지정해 주어야 한다.
  3. 폼의 이벤트 속성에 대해 매크로를 작성하여 적용할 수 있다.
  4. 액세스에서 지원하는 매크로 함수들을 이용하여 원하는 기능을 구현한다.
(정답률: 57%)
  • 액세스에서 제공하는 매크로 함수들은 반드시 인수를 지정해 주어야 한다는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매크로 함수들 중 일부는 인수를 필요로 하지 않는 경우도 있습니다.

    매크로를 이용하면 자주 반복되는 작업들을 자동화할 수 있습니다. 액세스에서 지원하는 매크로 함수들을 이용하여 원하는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폼의 이벤트 속성에 대해 매크로를 작성하여 적용할 수도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다음 중 데이터베이스 설계 시 데이터 정규화(normallization)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데이터의 이상(anomaly) 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2. 속성(attribute) 수가 적은 릴레이션 스키마들로 분할하는 과정이다.
  3. 릴레이션의 속성들 사이의 종속성 개념에 기반을 두고 이들 종속성을 제거하는 과정이다.
  4. 정규화는 데이터베이스의 물리적 설계 단계에서 수행된다.
(정답률: 50%)
  • 정규화는 데이터베이스의 물리적 설계 단계에서 수행되는 것이 아니라 논리적 설계 단계에서 수행된다. 따라서 "정규화는 데이터베이스의 물리적 설계 단계에서 수행된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정규화는 데이터베이스의 논리적 설계 단계에서 수행되며, 데이터의 이상 현상을 방지하고 데이터 중복을 최소화하기 위해 릴레이션 스키마를 분할하고 속성들 사이의 종속성을 제거하는 과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다음 보고서의 그룹화 수준이 지정된 컨트롤의 속성 중에서 [데이터]-[누적 총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특정 필드의 값에 대한 페이지별 누적 합계를 계산하여 표시하는 속성
  2. ‘아니오(기본값)’를 선택하면 레코드에서 원본으로 사용하는 필드의 값을 표시
  3. ‘그룹’을 선택하면 동일한 그룹 내에서의 누적 합계를 표시
  4. ‘모두’를 선택하면 그룹에 관계없이 필드의 전체 값에 대한 누적 합계를 표시
(정답률: 26%)
  • "특정 필드의 값에 대한 페이지별 누적 합계를 계산하여 표시하는 속성"은 옳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다음 중 컨트롤의 크기 조절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컨트롤을 선택한 후 조절점을 드래그하여 크기를 조절한다.
  2. 컨트롤을 선택한 후 <Shift>키를 누른 상태에서 방향키를 눌러 크기를 조절한다.
  3. [서식]-[크기]를 선택하여 크기를 조절한다.
  4. 컨트롤을 선택한 후 <Ctrl>키를 누른 상태에서 방향키를 눌러 크기를 조절한다.
(정답률: 41%)
  • 정답: "컨트롤을 선택한 후 조절점을 드래그하여 크기를 조절한다."

    설명: 컨트롤을 선택한 후 조절점을 드래그하여 크기를 조절하는 방법은 일부 컨트롤에서만 가능하며, 모든 컨트롤에서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은 "컨트롤을 선택한 후 키를 누른 상태에서 방향키를 눌러 크기를 조절한다." 입니다. 이 방법은 컨트롤의 크기를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조절점을 드래그하는 방법보다 더 편리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다음 UNION 질의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성격이 유사한 두 개의 테이블이나 질의에 내용을 합쳐서 하나의 테이블을 만들기 위한 질의이다.
  2. 두 테이블의 필드의 개수가 다르면 통합되지 않는다.
  3. UNION 연산을 사용하면 중복 데이터도 반환한다.
  4. 통합 질의를 사용하면 같은 레코드는 한 번만 기록된다.
(정답률: 35%)
  • UNION 연산을 사용하면 중복 데이터도 반환한다는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UNION 연산은 두 개 이상의 SELECT 문의 결과를 합쳐서 중복을 제거한 후 하나의 결과 집합으로 반환합니다. 중복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DISTINCT 키워드를 사용해야 합니다. 따라서 옳은 설명은 "통합 질의를 사용하면 같은 레코드는 한 번만 기록된다."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다음 중 테이블 생성 시 정의하는 제약 조건이나 필드 속성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캡션 : 특정 필드에 자주 입력되는 데이터가 있을 경우 이를 지정하면 편리하다.
  2. 인덱스 : 메모, 하이퍼링크, OLE 개체 형식의 필드는 인덱스를 설정할 수 없다.
  3. 필드 크기 : 필드의 데이터 형식의 세부적인 사항을 지정하는 것으로 입력될 수 있는 가장 큰 데이터를 기준으로 한다.
  4. 입력 마스크 : 필드에서 사용하는 데이터의 서식을 지정하여 필드에 입력할 수 있는 데이터를 제한한다.
(정답률: 32%)
  • "인덱스 : 메모, 하이퍼링크, OLE 개체 형식의 필드는 인덱스를 설정할 수 없다."가 가장 옳지 않은 설명이다. 메모, 하이퍼링크, OLE 개체 형식의 필드도 인덱스를 설정할 수 있다.

    캡션은 특정 필드에 자주 입력되는 데이터를 미리 지정해두면 사용자가 입력할 때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기능이다. 예를 들어, "성별" 필드에는 "남" 또는 "여"라는 데이터가 자주 입력될 수 있으므로, 이를 미리 캡션으로 지정해두면 사용자가 입력할 때 오타나 잘못된 입력을 방지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보고서 페이지 속성을 아래와 같이 지정할 때 표시되는 페이지 번호의 표시 예로 옳은 것은?

  1. 1/5
  2. Page1/5
  3. 1Page&5Pages
  4. 1Page/5Pages
(정답률: 64%)
  • 보고서 페이지 속성에서 "Page1/5"을 선택하면 페이지 번호가 "Page1/5" 형식으로 표시됩니다. 이는 현재 페이지 번호가 1이고 전체 페이지 수가 5임을 나타냅니다. "1/5"는 페이지 번호만 표시하고 있으므로 올바른 표기법이 아닙니다. "1Page&5Pages"와 "1Page/5Pages"는 잘못된 표기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액세스에서 외부 파일에 대해 할 수 있는 작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문제 오류로 4번을 정답 처리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설을 참고하세요.)

  1. ‘가져오기’를 이용하여 외부 파일의 내용을 불러와서 새로운 테이블을 만들 수 있다.
  2. ‘내보내기’로 테이블의 내용을 외부 파일로 만들어 저장할 수 있다.
  3. ‘테이블 연결’을 이용하여 외부 파일의 내용을 불러와서 액세스에서 수정하면 원본 파일도 수정된다.
  4. ‘테이블 가져오기’를 이용하여 외부 파일의 내용을 불러와서 액세스에서 수정하면 원본 파일도 수정된다.
(정답률: 67%)
  • ‘테이블 가져오기’를 이용하여 외부 파일의 내용을 불러와서 액세스에서 수정하면 원본 파일도 수정된다. 이는 외부 파일을 액세스의 테이블로 가져오기 때문에, 액세스에서 수정한 내용이 원본 파일에도 적용되는 것입니다. 따라서, 원본 파일을 보호하고 싶다면 ‘테이블 연결’을 이용하여 외부 파일의 내용을 불러와서 수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직원(사원번호, 부서명, 이름, 나이, 근무년수, 급여) 테이블에서 근무년수가 3년 이상인 직원들을 나이가 많은 순서대로 조회하되, 같은 나이일 경우 급여의 오름차순으로 모든 필드를 나타내는 질의문으로 옳은 것은?

  1. select * from 직원 where 근무년수 >= 3 order by 나이, 급여
  2. select * from 직원 order by 나이 asc, 급여 desc where 근무년수 >= 3
  3. select * from 직원 order by 나이 desc, 급여 asc where 근무년수 >= 3
  4. select * from 직원 where 근무년수 >= 3 order by 나이 desc, 급여 asc
(정답률: 52%)
  • 정답은 "select * from 직원 where 근무년수 >= 3 order by 나이 desc, 급여 asc" 입니다.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1. "where 근무년수 >= 3" : 근무년수가 3년 이상인 직원들을 조회합니다.

    2. "order by 나이 desc, 급여 asc" : 나이가 많은 순서대로 정렬하되, 같은 나이일 경우 급여의 오름차순으로 정렬합니다.

    3. "select * from 직원" : 모든 필드를 나타내는 질의문입니다.

    따라서, 근무년수가 3년 이상인 직원들을 나이가 많은 순서대로 조회하되, 같은 나이일 경우 급여의 오름차순으로 모든 필드를 나타내는 질의문은 "select * from 직원 where 근무년수 >= 3 order by 나이 desc, 급여 asc"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다음은 score 명령단추를 클릭하여 Employees 폼을 여는 이벤트 프로시저이다. 다음 중 메서드에 해당되는 것은?

  1. score_Click
  2. DoCmd
  3. OpenForm
  4. Sub
(정답률: 52%)
  • 정답은 "OpenForm"입니다.

    이유는 이벤트 프로시저 내에서 호출되는 명령어가 "DoCmd.OpenForm"이기 때문입니다. "DoCmd"는 Access에서 제공하는 메서드를 호출하는 객체이며, "OpenForm"은 해당 메서드 중 하나로써, 폼을 열기 위한 명령어입니다. 따라서 "OpenForm"은 메서드에 해당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회원(회원번호, 이름, 나이, 주소) 테이블에서 회원번호가 555인 회원이 주소를 ‘부산’으로 변경하는 질의문으로 옳은 것은?

  1. UPGRADE 회원 set 회원번호=555 where 주소 = ‘부산’
  2. UPGRADE 회원 set 주소 = ‘부산’ where 회원번호=555
  3. UPDATE 회원 set 회원번호=555 where 주소 = ‘부산’
  4. UPDATE 회원 set 주소 = ‘부산’ where 회원번호=555
(정답률: 50%)
  • 정답은 "UPDATE 회원 set 주소 = ‘부산’ where 회원번호=555"입니다.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 UPDATE: 데이터를 수정하는 SQL 명령어입니다.
    - 회원: 수정할 테이블 이름입니다.
    - set 주소 = ‘부산’: 주소 열의 값을 ‘부산’으로 변경합니다.
    - where 회원번호=555: 회원번호가 555인 행만 수정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