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터활용능력 1급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0-06-06)

컴퓨터활용능력 1급
(2010-06-06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컴퓨터 일반

1. 다음 중 전송 오류 검출 방식이 아닌 것은?

  1. CRC 방식
  2. 패리티 검사 방식
  3. 정마크 부호 방식
  4. CSMA/CD 방식
(정답률: 56%)
  • CSMA/CD 방식은 전송 오류 검출 방식이 아니라 충돌 감지 방식입니다. CSMA/CD 방식은 이더넷에서 사용되는 방식으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전에 채널이 비어있는지 확인하고, 충돌이 발생하면 전송을 중단하고 재전송하는 방식입니다. 따라서 전송 오류를 검출하는 방식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다음 중 한글 Windows XP에서 [제어판]-[관리도구]에 있는 [컴퓨터 관리]의 대화상자를 이용하여 수행할 수 있는 작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디스크 관리에서 디스크의 포맷, 드라이브 문자 할당과 같은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2. 작업 관리자를 이용하여 시스템 끄기나 다시 시작을 수행할 수 있다.
  3. 장치 관리자를 사용하여 하드웨어 장치의 드라이버나 소프트웨어를 업데이트하고 하드웨어 설정을 수정할 수 있으며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4. 디스크를 분석하고 조각난 파일과 폴더를 찾아 통합하는 작업을 할 수 있다.
(정답률: 41%)
  • "디스크를 분석하고 조각난 파일과 폴더를 찾아 통합하는 작업을 할 수 있다."가 옳지 않습니다.

    작업 관리자는 시스템의 프로세스와 성능을 모니터링하고 관리하는 도구입니다. 시스템을 끄거나 다시 시작하는 기능은 작업 관리자에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따라서, 작업 관리자를 이용하여 시스템 끄기나 다시 시작을 수행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다음 중 호스트나 라우터의 오류상태 통지 및 예상치 못한 상황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게 하는 인터넷 프로토콜로 옳은 것은?

  1. ICMP
  2. ARP
  3. RARP
  4. IP
(정답률: 45%)
  • ICMP는 인터넷 제어 메시지 프로토콜로, 호스트나 라우터의 오류상태 통지 및 예상치 못한 상황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게 하는 인터넷 프로토콜입니다. ICMP는 네트워크 상황을 모니터링하고, 문제가 발생하면 해당 문제를 식별하고 해결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예를 들어, ICMP는 네트워크 장비 간의 연결성을 확인하고, 패킷 손실이나 지연 등의 문제를 식별할 수 있습니다. 또한, ICMP는 네트워크 공격에 대한 대응도 가능합니다. 따라서, ICMP는 호스트나 라우터의 오류상태 통지 및 예상치 못한 상황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게 하는 인터넷 프로토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다음 중 한글 Windows XP의 [디스플레이 등록 정보] 창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화면 보호기] 탭의 [모니터 전원] 항목에서 에너지를 절약하기 위한 [전원 옵션]을 지정할 수 있다.
  2. [설정] 탭에서 바탕 화면 구성의 테마를 설정할 수 있다.
  3. [화면 배색] 탭에서 화면에 나타나는 메뉴 및 제목 표시줄의 글꼴을 크게 나타나도록 설정할 수 있다.
  4. [바탕 화면] 탭에서 배경 화면으로 사용할 그림을 지정할 수 있다.
(정답률: 37%)
  • "[화면 배색] 탭에서 화면에 나타나는 메뉴 및 제목 표시줄의 글꼴을 크게 나타나도록 설정할 수 있다."는 옳은 설명입니다.

    "[설정] 탭에서 바탕 화면 구성의 테마를 설정할 수 있다."는 옳은 설명입니다. 이는 바탕 화면의 색상, 배경, 아이콘 등을 설정할 수 있는 탭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다음 중 컴퓨터에서 사용되는 운영체제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하고, 시스템의 생산성을 높여주는 역할을 한다.
  2. 주 기능은 프로세스, 기억장치, 주변장치, 파일 등의 관리이다.
  3. 중앙처리장치, 기억장치, 입출력장치로 구성되어 계산을 위한 기본적인 자원을 제공한다.
  4. 제어 프로그램과 서비스 프로그램으로 구성된다.
(정답률: 50%)
  • "제어 프로그램과 서비스 프로그램으로 구성된다."는 운영체제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습니다.

    운영체제는 컴퓨터 시스템에서 중앙처리장치, 기억장치, 입출력장치 등의 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사용자에게 편리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시스템의 생산성을 높이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중앙처리장치, 기억장치, 입출력장치로 구성되어 계산을 위한 기본적인 자원을 제공한다."는 운영체제의 주요 기능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다음 중 컴퓨터 그래픽과 관련하여 보기에서 설명하고 있는 그래픽 파일의 형식은?

  1. GIF
  2. JPG
  3. PNG
  4. MPEG
(정답률: 70%)
  • 보기에서 설명하고 있는 그래픽 파일은 애니메이션 GIF 파일입니다. GIF 파일은 여러 장의 이미지를 하나의 파일로 묶어서 애니메이션을 만들 수 있습니다. 이와 달리 JPG와 PNG는 정적인 이미지 파일이며, MPEG은 동영상 파일 형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다음 중 한글 Windows XP의 [검색 결과] 창에서 파일이나 폴더를 추가로 검색하기 위한 조건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검색하고자 하는 파일이나 폴더의 위치가 예상되는 드라이브나 폴더의 위치를 지정하여 검색할 수 있다.
  2. 전체 또는 일부 파일 이름을 사용하여 파일이나 폴더를 검색할 수 있으며, 특정 단어 또는 문장을 포함하는 파일을 검색할 수 있다.
  3. 마지막으로 수정된 날짜로 예상되는 시작 날짜와 끝 날짜의 범위를 지정하여 파일을 검색할 수 있다.
  4. 시스템 폴더나 숨김 파일을 검색하거나 사용자 계정을 조건으로 지정하여 파일을 검색할 수 있다.
(정답률: 57%)
  • "시스템 폴더나 숨김 파일을 검색하거나 사용자 계정을 조건으로 지정하여 파일을 검색할 수 있다." 이 설명은 옳은 설명입니다.

    이유: 한글 Windows XP의 [검색 결과] 창에서는 시스템 폴더나 숨김 파일을 검색하거나 사용자 계정을 조건으로 지정하여 파일을 검색할 수 있습니다. 이는 파일 검색의 정확성과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기능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파일을 빠르게 찾을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다음 중 공개 키 암호기법의 설명으로 옳지 못한 것은?

  1. 메시지를 암호화할 때와 복호화 할 때 사용되는 키가 서로 다르다.
  2. 복호화 할 때 사용되는 키는 공개하고 암호 키는 비공개한다.
  3. 비대칭 키 또는 이중 키 암호 기법이라고도 한다.
  4. 많이 사용되는 기법은 RSA 기법이다.
(정답률: 62%)
  • 복호화 할 때 사용되는 키는 공개하고 암호 키는 비공개한다는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공개 키 암호기법에서는 암호화와 복호화에 각각 다른 키를 사용하지만, 공개되는 키는 암호화에 사용되는 공개 키이며, 복호화에 사용되는 비밀 키는 반드시 비밀로 유지되어야 합니다. 이유는 공개 키는 누구나 알 수 있기 때문에 누구나 암호화할 수 있지만, 복호화는 비밀 키를 가진 사람만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다음 중 CD, HDTV 등에서 동영상을 표현하기 위한 국제 표준 압축 방식은?

  1. MPEG
  2. JPEG
  3. GIF
  4. PNG
(정답률: 78%)
  • MPEG은 Moving Picture Experts Group의 약자로, 동영상을 압축하는 국제 표준 방식입니다. CD, HDTV 등에서 동영상을 표현하기 위해 사용되며, 고화질의 동영상을 작은 용량으로 압축할 수 있어서 인기가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다음 중 컴퓨터 프로그래밍 언어인 Java 언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객체 지향 언어로 추상화, 상속화, 다형성과 같은 특징을 가진다.
  2. 수식처리를 비롯하여 기호 처리 분야에 사용되고 있으며 특히 인공 지능 분야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3. 네트워크 환경에서 분산 작업이 가능하도록 설계되었다.
  4. 특정 컴퓨터 구조와 무관한 가상 바이트 머신코드를 사용하므로 플랫폼이 독립적이다.
(정답률: 52%)
  • "수식처리를 비롯하여 기호 처리 분야에 사용되고 있으며 특히 인공 지능 분야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Java 언어는 기호 처리 분야나 인공 지능 분야에서는 사용되지만, 이는 다른 프로그래밍 언어들과 마찬가지로 Java 언어가 아닌 라이브러리나 프레임워크를 사용하여 구현되는 것입니다. Java 언어 자체가 이러한 분야에서 특별한 기능을 제공하는 것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다음 중 인터넷을 이용한 FTP(File Transfer Protocol)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멀리 떨어져 있는 컴퓨터로부터 파일을 전송 받거나 전송하는 서비스를 의미한다.
  2. 익명의 계정을 이용하여 파일을 전송할 수 있는 서버를 Anonymous FTP 서버라고 한다.
  3. FTP 서버에 계정을 가지고 있는 사용자는 FTP 서버에 있는 프로그램을 다운로드 없이 실행시킬 수 있다.
  4. 일반적으로 텍스트 파일의 전송을 위한 ASCII 모드와 실행 파일의 전송을 위한 Binary 모드로 구분하여 수행한다.
(정답률: 68%)
  • "FTP 서버에 계정을 가지고 있는 사용자는 FTP 서버에 있는 프로그램을 다운로드 없이 실행시킬 수 있다." 이 설명은 FTP와는 관련이 없는 내용이다. FTP는 파일 전송을 위한 프로토콜이며, 프로그램 실행과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다.

    따라서, 정답은 "FTP 서버에 계정을 가지고 있는 사용자는 FTP 서버에 있는 프로그램을 다운로드 없이 실행시킬 수 있다." 이다.

    FTP 서버에 계정을 가지고 있는 사용자는 FTP 서버에 접속하여 파일을 업로드하거나 다운로드할 수 있다. 이 때, 일반적으로 텍스트 파일의 전송을 위한 ASCII 모드와 실행 파일의 전송을 위한 Binary 모드로 구분하여 수행한다. 또한, 익명의 계정을 이용하여 파일을 전송할 수 있는 서버를 Anonymous FTP 서버라고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다음 중 한글 Windows XP의 [폴더 옵션] 창에서 [파일 형식] 탭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드라이브, 파일, 폴더 등의 등록된 파일형식을 볼 수 있다.
  2. 등록된 파일 형식에 대한 설정은 [편집] 단추에서 변경할 수 있다.
  3. [새로 만들기] 단추를 클릭하면 파일 확장명과 연결된 파일 형식을 지정할 수 있다.
  4. [고급] 단추를 클릭하면 등록된 파일 형식의 아이콘을 변경할 수 있다.
(정답률: 29%)
  • "[고급] 단추를 클릭하면 등록된 파일 형식의 아이콘을 변경할 수 있다."는 옳은 설명입니다.

    정답: 등록된 파일 형식에 대한 설정은 [편집] 단추에서 변경할 수 있다.라는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이유: [편집] 단추를 클릭하면 등록된 파일 형식의 속성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 파일 형식의 연결 프로그램, 아이콘, MIME 형식 등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파일 형식 자체를 추가하거나 삭제하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이는 [새로 만들기] 단추를 클릭하여 파일 확장명과 연결된 파일 형식을 지정해야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다음 중 컴퓨터에 윈도우용 프로그램의 명령줄에서 Windows Installer의 작업을 설치하고 수정하는 명령어는?

  1. msconfig
  2. msiexec
  3. msinfo32
  4. mode
(정답률: 41%)
  • 정답은 "msiexec"입니다.

    "msiexec"는 Windows Installer의 명령줄 도구로, 윈도우용 프로그램을 설치하고 수정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이 명령어를 사용하면 MSI 파일을 실행하고, 설치, 수정, 제거 등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Windows Installer의 작업을 설치하고 수정하는 명령어로 "msiexec"가 정답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각각 다른 명령어를 나타내며, 이 문제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다음 중 컴퓨터의 기억장치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캐시 메모리(cache memory)는 CPU와 주기억장치 사이에 위치하여 컴퓨터의 처리 속도를 향상 시키는 역할을 하며 주로 동적 램(DRAM)을 사용한다.
  2. 가상 메모리(virtual memory)는 하드디스크의 일부를 주기억장치처럼 사용하는 것으로 주기억장치보다 큰 프로그램을 실행시킬 수 있다.
  3. 버퍼 메모리(buffer)는 두 개의 장치가 데이터를 주고받을 때 생기는 속도 차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중간에 데이터를 임시로 저장해 두는 공간이다.
  4. 연관 메모리(associative memory)는 저장된 내용의 일부를 이용하여 기억장치에 접근하여 데이터를 읽어 오는 기억장치이다.
(정답률: 53%)
  • 본 해설은 비추 누적갯수 초과로 자동 블라인드 되었습니다.
    (AI해설 오류가 많아 비추 2개 이상시 자동 블라인드 됩니다.)
    해설을 보시기 원하시면 클릭해 주세요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다음 중 컴퓨터의 유지보수와 관련하여 컴퓨터에서 발생하는 문제를 예방하기 위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시스템에 문제가 발생할 것을 대비하여 부팅 디스켓을 만들어 둔다.
  2. 정기적으로 컴퓨터 바이러스 치료 프로그램을 업그레이드하고 실행한다.
  3. 파일의 복원을 편리하게 하기 위하여 정기적으로 하드디스크의 파티션을 새로이 설정한다.
  4. 프로그램의 정상적인 제거를 위하여 [프로그램 추가/제거]를 이용한다.
(정답률: 72%)
  • "파일의 복원을 편리하게 하기 위하여 정기적으로 하드디스크의 파티션을 새로이 설정한다."는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하드디스크의 파티션을 새로 설정하면 기존에 저장된 파일들이 모두 삭제되기 때문에 파일의 복원을 편리하게 하기 위해서는 백업을 정기적으로 수행하거나 별도의 파일 복원 프로그램을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다음 중 윈도우 XP의 프린터 속성에서 확인할 수 있는 항목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프린터 포트
  2. 인쇄중인 문서 이름
  3. 최대 해상도
  4. 사용 가능한 용지
(정답률: 36%)
  • 인쇄중인 문서 이름은 현재 프린터에서 인쇄 중인 문서의 이름을 나타내는 항목이며, 다른 항목들은 프린터의 설정과 기능에 관련된 정보를 제공합니다. 따라서 다른 항목들과는 거리가 먼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다음 중 VPN의 주요 기능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데이터 기밀성 : 데이터의 송수신 도중 데이터의 내용이 변경되지 않았음을 보장하는 기능
  2. 데이터 근원 인증 : 수신측이 수신한 데이터가 원래의 송신자에 의해서 전송되어졌음을 확인할 수 있는 기능
  3. 데이터 무결성 : 데이터를 전송 도중 데이터의 내용을 임의의 다른 사용자가 보았을 때 그 내용을 파악하지 못하도록 하는 기능
  4. 접근 제어 : 전송할 데이터를 특정 프로토콜로 캡슐화하여 송수신하는 기능
(정답률: 49%)
  • 정답은 "데이터 근원 인증 : 수신측이 수신한 데이터가 원래의 송신자에 의해서 전송되어졌음을 확인할 수 있는 기능"입니다. 이는 데이터가 송신자로부터 정확하게 전송되었는지 확인하는 기능으로, 데이터의 무결성과 함께 보안을 강화하는 역할을 합니다. 데이터 기밀성은 데이터가 제3자에게 노출되지 않도록 보호하는 기능이며, 데이터 무결성은 데이터가 전송 중에 변조되지 않았음을 보장하는 기능입니다. 접근 제어는 특정 프로토콜로 데이터를 캡슐화하여 전송하는 기능으로, VPN의 기능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다음 중 보기의 네트워크 장비와 관련된 OSI 7계층으로 옳은 것은?

  1. 물리 계층
  2. 데이터 링크 계층
  3. 네트워크 계층
  4. 전송계층
(정답률: 59%)
  • 이미지에서 보이는 장비는 허브로, 물리 계층에서 동작합니다. 허브는 데이터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전송하며, 이는 물리적인 전송 매체를 통해 이루어집니다. 따라서 이 장비는 OSI 7계층 중 물리 계층에서 동작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다음 중 컴퓨터에서 사용되는 자료구조형태에서 스택(Stack)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가장 마지막에 저장된 데이터가 가장 먼저 호출되는 후입선출 방식으로 데이터를 관리하는 자료구조이다.
  2. 가장 먼저 저장된 데이터가 가장 먼저 호출되는 선입선출 방식으로 데이터를 관리하는 자료구조이다.
  3. 노드로 표현되는 각각의 자료는 링크에 선형으로 연결된 자료구조이다.
  4. 부모와 자식과 같은 관계를 가지는 노드와 연결을 위한 링크로 구성된 자료구조이다.
(정답률: 48%)
  • 가장 마지막에 저장된 데이터가 가장 먼저 호출되는 후입선출 방식으로 데이터를 관리하는 자료구조이다. 스택은 데이터를 쌓아 올리듯이 저장하고, 가장 최근에 저장된 데이터를 가장 먼저 꺼내어 사용하는 자료구조입니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후입선출(LIFO, Last-In-First-Out) 방식으로 데이터를 관리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다음 중 한글 윈도우즈 XP에서의 인쇄 작업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이미 설치한 프린터를 다른 이름으로 다시 설치할 수 있다.
  2. 프린터 추가에 의해 가장 먼저 설치된 프린터가 공유되어진다.
  3. 기본 프린터란 인쇄 명령 수행 시 특정 프린터를 지정하지 않을 경우 자동으로 인쇄 작업이 전달되는 프린터로 하나만 지정할 수 있다.
  4. 네트워크 프린터를 사용할 때는 프린터의 공유 이름과 프린터가 연결되어 있는 컴퓨터의 이름을 알아야 한다.
(정답률: 53%)
  • "이미 설치한 프린터를 다른 이름으로 다시 설치할 수 있다."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프린터 추가 시 가장 먼저 설치된 프린터가 공유되어지는 이유는, 한글 윈도우즈 XP에서는 기본적으로 프린터 공유 기능이 활성화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새로운 프린터를 추가할 때 자동으로 공유 설정이 되며, 가장 먼저 설치된 프린터가 공유되어지게 됩니다.

    기본 프린터는 인쇄 명령 수행 시 특정 프린터를 지정하지 않을 경우 자동으로 인쇄 작업이 전달되는 프린터로 하나만 지정할 수 있습니다. 네트워크 프린터를 사용할 때는 프린터의 공유 이름과 프린터가 연결되어 있는 컴퓨터의 이름을 알아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스프레드시트 일반

21. 다음 중에서 윗주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윗주는 셀에 대한 주석을 설정하는 것으로 문자열 데이터가 입력되어 있는 셀에만 표시할 수 있다.
  2. 윗주는 삽입해도 바로 표시되지 않고 [서식]-[윗주 달기]-[표시/숨기기]를 선택해야만 표시된다.
  3. 윗주에 입력된 텍스트 중 일부분의 서식을 별도로 변경할 수 있다.
  4. 셀의 데이터를 삭제하면 윗주도 함께 삭제된다.
(정답률: 48%)
  • 윗주에 입력된 텍스트 중 일부분의 서식을 별도로 변경할 수 있다. - 이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윗주는 셀에 대한 주석을 설정하는 것으로, 문자열 데이터가 입력되어 있는 셀에만 표시할 수 있습니다. 윗주를 삽입해도 바로 표시되지 않고 [서식]-[윗주 달기]-[표시/숨기기]를 선택해야만 표시됩니다. 셀의 데이터를 삭제하면 윗주도 함께 삭제됩니다.

    윗주에 입력된 텍스트의 서식을 변경하려면, 해당 셀의 서식을 변경해야 합니다. 윗주에 입력된 텍스트는 셀의 문자열 데이터와는 별개로 취급되며, 서식을 따로 지정하지 않는 이상 셀의 기본 서식을 따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다음 중 두 개의 데이터 집합에서 최적의 조합을 찾고자 할 때 유용한 차트는?

(정답률: 47%)
  • 두 개의 데이터 집합에서 최적의 조합을 찾고자 할 때 유용한 차트는 산점도(Scatter plot)입니다. 이는 두 변수 간의 관계를 시각적으로 파악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산점도는 각 변수의 값을 x축과 y축에 나타내어 점으로 표시하며, 점들의 분포를 통해 두 변수 간의 관계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최적의 조합을 찾기 위해 두 변수 간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고자 할 때 산점도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은 산점도를 나타내는 그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아래 시트를 출력할 경우 K열이 한 페이지를 벗어나서 4 페이지로 출력된다. [A1:K20] 의 모든 셀 범위가 한 페이지에 출력하도록 하기 위한 속성 설정으로 올바른 것은?

  1. [축소 확대/배율]을 100%로 한다.
  2. [자동 맞춤]의 용지 너비를 '1'로 하고 [용지 높이]를 공백으로 한다.
  3. [자동 맞춤]의 용지 너비를 공백으로 하고 [용지 높이]를 '1'로 한다.
  4. [자동 맞춤]의 용지 너비를 '1'로 하고 [용지 높이]를 '1'로 한다.
(정답률: 62%)
  • 정답은 "[자동 맞춤]의 용지 너비를 '1'로 하고 [용지 높이]를 '1'로 한다." 입니다.

    이유는 용지 너비와 높이를 각각 1로 설정하면 한 페이지에 출력할 수 있는 최대 크기로 출력하기 때문입니다. 만약 용지 너비나 높이를 공백으로 설정하면 프린터의 기본 설정에 따라 출력되는 크기가 달라져서 한 페이지에 출력할 수 없을 수도 있습니다. 또한 축소 확대/배율을 100%로 설정해도 페이지 크기 자체가 작아지지는 않기 때문에 이 방법은 적절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다음 중 엑셀에서 사용하는 이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A1'처럼 셀 주소와 같은 형태의 이름을 사용할 수 있다.
  2. 이름의 첫 글자는 문자나 밑줄(_)만 쓸 수 있고, 나머지 글자는 문자, 숫자, 밑줄(_), 마침표(.)를 사용할 수 있다.
  3. 같은 통합 문서에서 동일한 이름을 중복하여 사용할 수 없다.
  4. 이름 상자의 화살표 단추를 누르고 정의된 이름 중 하나를 클릭하면 해당 셀 또는 셀 범위가 선택된다.
(정답률: 35%)
  • "'A1'처럼 셀 주소와 같은 형태의 이름을 사용할 수 있다."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이름은 셀 주소와 같은 형태가 아니어도 됩니다. 이름은 셀 주소 대신에 사용할 수 있는 식별자(identifier)입니다. 이름을 사용하면 셀 주소보다 의미를 더 잘 전달할 수 있고, 수식에서 셀 주소를 사용하는 것보다 가독성이 높아집니다. 예를 들어, "Sales_Q1_2021"이라는 이름을 사용하면, 해당 셀 범위가 2021년 1분기의 매출 데이터를 담고 있다는 것을 쉽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다음 중 배열 상수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텍스트는 큰 따옴표(" ")로 묶어야 한다.
  2. {110,20,30,40} 과 같이 입력이 된 경우는 4행 1열 참조와 동일한 것이다.
  3. 배열 상수에 정수, 실수, 지수형 서식의 숫자를 사용 할 수 있다.
  4. 배열 상수로 숫자, 텍스트, TRUE나 FALSE와 같은 논리값, #N/A와 같은 오류 값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정답률: 50%)
  • "{110,20,30,40} 과 같이 입력이 된 경우는 4행 1열 참조와 동일한 것이다." 이 설명은 옳은 설명입니다. 배열 상수는 중괄호({})로 묶인 값들의 집합으로, 각 값은 쉼표(,)로 구분됩니다. 따라서 "{110,20,30,40}"은 4개의 값이 있는 배열 상수이며, 이를 4행 1열 참조와 동일하게 해석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다음 중 날짜와 시간 저장 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날짜는 일련번호로 저장되고 시간은 하루에 대한 비율로 간주되어 소수로 저장된다.
  2. 기본적으로 셀의 왼쪽에 맞추어 입력되며, 연산 및 대소 비교가 가능하다.
  3. 날짜를 입력할 때 연도를 00에서 29 사이의 숫자로 입력하면 2000년에서 2029년 사이의 연도가 된다.
  4. Microsoft Windows XP를 사용하는 경우 Windows 프로그램에서 두 자리 연도를 해석하는 방법을 변경할 수 있다.
(정답률: 43%)
  • "Microsoft Windows XP를 사용하는 경우 Windows 프로그램에서 두 자리 연도를 해석하는 방법을 변경할 수 있다."는 옳은 설명이 아닙니다.

    "기본적으로 셀의 왼쪽에 맞추어 입력되며, 연산 및 대소 비교가 가능하다."는 옳은 설명입니다. 이는 엑셀에서 날짜와 시간이 숫자 형태로 저장되며, 이 숫자는 1900년 1월 1일을 기준으로 한 날짜와 시간의 일련번호로 저장됩니다. 따라서 이 숫자를 이용하여 연산이 가능하고, 대소 비교도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다음 중 데이터 분석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수행하는 정렬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오피스 2007 기준으로 문제를 수정하여 두었습니다.)

  1. 빈 셀은 오름차순이나 내림차순에서 모두 맨 마지막에 정렬된다.
  2. 정렬의 첫째 기준은 생략할 수 없으며, 둘째와 셋째 기준은 필요할 때만 지정한다.
  3. 정렬 옵션을 이용하여 행을 기준으로 열을 정렬하는 작업도 가능하다.
  4. 사용자 지정 정렬 순서는 둘째 및 셋째 정렬 기준에는 적용할 수 없다.
(정답률: 57%)
  • 사용자 지정 정렬 순서는 둘째 및 셋째 정렬 기준에는 적용할 수 없다는 설명은 옳은 설명입니다. 이는 사용자 지정 정렬 순서는 첫 번째 정렬 기준에만 적용되기 때문입니다. 둘째와 셋째 기준은 둘 다 기본 정렬 순서를 따르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다음 중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하는 기능인 [데이터]-[레코드 관리]에 관한 설명으로 올바른 것은?

  1. 레코드 관리 기능을 이용하여 새로운 필드를 추가하거나 삭제할 수 있다.
  2. 표 데이터에서 필드 단위로 데이터를 표시, 입력, 검색, 삭제 등을 수행할 수 있는 기능이다.
  3. 레코드의 찾기 조건에는 만능 문자로 *와 ?를 사용할 수 있으며 연산자는 =,>,>=,<,<= 를 사용할 수 있다.
  4. 새롭게 추가한 레코드는 항상 맨 앞에 추가된다.
(정답률: 36%)
  • 정답은 "레코드의 찾기 조건에는 만능 문자로 *와 ?를 사용할 수 있으며 연산자는 =,>,>=,<,<=" 입니다.

    *와 ?는 와일드카드 문자로, *는 0개 이상의 문자를 대체하고, ?는 한 개의 문자를 대체합니다. 연산자는 =는 같음, >는 초과, >=는 이상, <는 미만, <=는 이하를 나타냅니다. 이러한 연산자를 이용하여 레코드를 검색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다음과 같은 서브 프로시저를 호출하는 방법으로 옳은 것은?

  1. TEST(200, 500, "이순신")
  2. TEST 200, 500, "이순신"
  3. Call TEST 200, 500, "이순신"
  4. =TEST(200, 500, "이순신")
(정답률: 37%)
  • 정답은 "TEST 200, 500, "이순신""입니다.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1. "TEST(200, 500, "이순신")": 이 문법은 함수 호출 문법입니다. 하지만 이 서브 프로시저는 함수가 아니라 서브 프로시저이므로 이 문법은 사용할 수 없습니다.

    2. "TEST 200, 500, "이순신"": 이 문법은 서브 프로시저 호출 문법입니다. 서브 프로시저 이름 뒤에 인자를 쉼표로 구분하여 나열합니다. 따라서 이 문법이 옳은 문법입니다.

    3. "Call TEST 200, 500, "이순신"": 이 문법은 일부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사용되는 문법입니다. 하지만 대부분의 프로그래밍 언어에서는 이 문법 대신 "TEST 200, 500, "이순신""과 같은 문법을 사용합니다.

    4. "=TEST(200, 500, "이순신")": 이 문법은 엑셀과 같은 일부 프로그램에서 사용되는 문법입니다. 하지만 대부분의 프로그래밍 언어에서는 이 문법 대신 "TEST 200, 500, "이순신""과 같은 문법을 사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다음 중 함수식을 실행하였을 때 나타나는 결과로 옳지 않은 것은 ?

  1. =SUM(LARGE({9,3,7,8},2),POWER(2,4), MOD(25,3)) → 25
  2. =AVERAGE(LARGE({9,3,7,8},3),5) → 6
  3. =MAX(MOD(ABS(-5),3),ABS(MOD(-5,3))) → 2
  4. =COUNT(1, "가", SMALL({12,3,4},2)) → 3
(정답률: 43%)
  • "=MAX(MOD(ABS(-5),3),ABS(MOD(-5,3))) → 2"는 옳지 않은 결과입니다. 이유는 ABS(-5)는 5이고, MOD(5,3)은 2이기 때문에 MAX(2,2)는 2가 되어야 합니다. 하지만 실제로는 1이 나오게 됩니다.

    "=COUNT(1, "가", SMALL({12,3,4},2)) → 3"의 결과는 3입니다. COUNT 함수는 인수로 주어진 범위에서 값이 있는 셀의 개수를 반환합니다. 여기서는 1, "가", 3번째로 작은 수인 4가 있는데, 이 중에서 값이 있는 셀은 3개이므로 결과는 3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다음의 시트에서 직위가 '대리'인 사람의 평균 실적을 배열 수식을 이용하여 계산하였다. 이때, [D9] 셀에 표시되는 수식으로 옳은 것은?

  1. {=AVERAGE(IF(D3:D8="대리", D3:D8))}
  2. {=AVERAGE(IF(B3:B8=B4, D3:D8))}
  3. ={AVERAGE(IF(D3:D8, B3:B8="대리"))}
  4. ={AVERAGE(IF(B3:B8="대리", D3:D8))}
(정답률: 42%)
  • 정답은 "{=AVERAGE(IF(B3:B8=B4, D3:D8))}" 입니다.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 IF 함수를 사용하여 직위가 '대리'인 경우에만 해당 실적 값을 가져옵니다.
    - 가져온 값들의 평균을 구하기 위해 AVERAGE 함수를 사용합니다.
    - B3:B8=B4 조건을 추가하여, 직위가 '대리'인 경우에만 해당하는 실적 값을 가져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워크시트를 인쇄하였더니 출력된 용지의 오른쪽 상단에 '[날짜:2010-01-01]'로 표시되어 있다. 이것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1. 머리글의 오른쪽 구역에 '[날짜:&[날짜]]'와 같이 작성하면 된다.
  2. 워크시트를 작성한 날짜가 2010년 1월 1일인 것을 알 수 있다.
  3. [파일]-[인쇄 미리 보기]의 [설정] 단추에서 해당 내용을 작성할 수 있다.
  4. [파일]-[페이지 설정]을 실행하여 해당 내용을 작성할 수 있다.
(정답률: 38%)
  • 정답은 "워크시트를 작성한 날짜가 2010년 1월 1일인 것을 알 수 있다." 입니다. 이유는 출력된 용지의 오른쪽 상단에 '[날짜:2010-01-01]'로 표시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이는 워크시트를 작성한 날짜가 2010년 1월 1일인 것을 나타내는 것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올바른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다음 VBA 구문에 대한 설명 중 가장 옳은 것은?

  1. [성적표] 시트의 [B2:E5]의 범위를 복사한다.
  2. [성적표] 시트의 [B12] 셀을 복사하여 [B2:E5]의 범위에 붙여넣기를 한다.
  3. [성적표] 시트의 [B2:E5]의 범위를 복사하여 [B12] 셀에 붙여넣기를 한다.
  4. [성적표] 시트의 [B2:E5]의 범위와 [B12] 셀의 내용을 병합한다.
(정답률: 63%)
  • VBA 구문은 "[성적표] 시트의 [B2:E5]의 범위를 복사하여 [B12] 셀에 붙여넣기를 한다." 이다. 이는 [성적표] 시트에서 [B2:E5] 범위를 복사하여 [B12] 셀에 붙여넣기를 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정답은 "[성적표] 시트의 [B2:E5]의 범위를 복사하여 [B12] 셀에 붙여넣기를 한다."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다음 중 피벗 차트 보고서와 표준 차트의 차이점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본 문제는 오피스 2003 기준 문제입니다. 기존정답은 4번이면 여기서는 4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 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설을 참고하세요.)

  1. 차트 요소 : 표준 차트의 항목, 계열, 데이터가 피벗차트 보고서에서는 항목 필드, 계열 필드, 값 필드에 해당한다.
  2. 차트 위치 : 표준 차트는 기본적으로 워크 시트에 포함된 차트로 만들어지나 피벗 차트 보고서는 기본적으로 차트 시트에 만들어진다.
  3. 원본 데이터 : 표준 차트는 워크시트 셀에 직접 연결되나 피벗 차트 보고서는 관련된 피벗 테이블 보고서에 있는 데이터 형식에 기반을 둔다.
  4. 항목 이동 또는 크기 조정 : 피벗 차트 보고서와 표준차트 모두 그림 영역, 범례, 차트 제목, 축 제목 등을 이동하거나 그 크기를 조정할 수 있다.
(정답률: 69%)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다음 차트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데이터 표식 항목 사이에 공백이 있도록 하기 위하여 [간격 너비]에 0보다 큰 값을 입력하였다.
  2. 데이터 계열 항목 안에서 표식이 겹치도록 하기 위하여 [겹치기]에 항목에 음수를 입력하였다.
  3. Y(값) 축의 '주 눈금선'이 선택되지 않았다.
  4. 데이터 레이블이 표시되어 있다.
(정답률: 59%)
  • 데이터 계열 항목 안에서 표식이 겹치도록 하기 위하여 [겹치기]에 항목에 음수를 입력하였다.라는 설명은 옳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아래 시트에서 이진혁의 커피 판매실적[G5:I5]과 녹차판매실적[F6:F8]의 변화에 따른 총수량의 변화를 [데이터]-[표] 기능을 이용하여 [G6:I8] 영역에 표시하고자 한다. 다음 중 위의 작업과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C8] 셀과 [F5] 셀은 동일한 의미를 같는 수식이 입력되어야 한다.
  2. [G6:I8] 셀까지의 수식은 '{=TABLE(C7, C6)}'로 동일하다.
  3. [G6:I8] 영역을 설정한 후 [데이터]-[표]를 실행한다.
  4. [표]의 대화상자에서 '열 입력 셀'에 [C6] 셀을, '행 입력 셀'에 [C7] 셀을 지정한다.
(정답률: 33%)
  • "[C8] 셀과 [F5] 셀은 동일한 의미를 같는 수식이 입력되어야 한다."는 옳은 설명이 아니다. 이진혁의 커피 판매실적과 녹차 판매실적은 서로 다른 값을 나타내므로, 해당 셀에 입력되는 수식도 서로 다른 값을 참조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다음 중 새 매크로를 기록할 때의 작성 과정으로 설명이 옳지 않은 것은?

  1. 매크로 이름에는 공백이 포함될 수 없으며 항상 문자로 시작하여야 한다.
  2. 절대 참조로 기록된 매크로를 실행하면, 현재 셀의 위치에 따라 매크로가 적용되는 셀이 달라진다.
  3. '개인용 매크로 통합 문서'로 매크로 저장 위치를 설정하면 엑셀을 실행할 때마다 매크로를 항상 실행할 수 있다.
  4. 엑셀에서 사용하고 있는 바로 가기 키를 매크로의 바로 가기 키로 지정하면 엑셀에서 사용하던 바로 가기 키는 사용할 수 없다.
(정답률: 38%)
  • "'개인용 매크로 통합 문서'로 매크로 저장 위치를 설정하면 엑셀을 실행할 때마다 매크로를 항상 실행할 수 있다."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절대 참조로 기록된 매크로를 실행하면, 현재 셀의 위치에 따라 매크로가 적용되는 셀이 달라집니다. 이는 매크로에서 사용하는 셀 참조가 상대 참조로 기록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매크로를 작성할 때는 상대 참조 대신 절대 참조를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매크로 이름에는 공백이 포함될 수 없으며 항상 문자로 시작하여야 합니다. 이는 매크로 이름이 변수 이름과 같은 역할을 하기 때문입니다.

    '개인용 매크로 통합 문서'로 매크로 저장 위치를 설정하면 엑셀을 실행할 때마다 매크로를 항상 실행할 수 있지만, 이는 매크로를 실행하기 위해 추가적인 작업이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자주 사용하는 매크로의 경우에는 바로 가기 키를 지정하는 것이 더 편리합니다.

    엑셀에서 사용하고 있는 바로 가기 키를 매크로의 바로 가기 키로 지정하면 엑셀에서 사용하던 바로 가기 키는 사용할 수 없게 됩니다. 이는 매크로와 바로 가기 키가 충돌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매크로를 실행하기 위한 바로 가기 키는 엑셀에서 사용하지 않는 다른 키를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다음 Macro1() 모듈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값 입력' 입력 대화상자는 3번 나온다.
  2. 모듈을 실행시킨 현재 셀의 위치에 hap의 값이 표시된다.
  3. 1부터 10까지의 합이 계산된다.
  4. 입력 대화상자의 기본 값은 10이다.
(정답률: 36%)
  • 입력 대화상자의 기본 값은 변수 n에 10이라는 값을 할당하여, 입력 대화상자가 나타날 때 기본값으로 10이 표시되도록 설정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제품코드[A3:A5]의 첫 글자가 제품기호[B8:D8]이고 판매금액은 판매단가*판매수량일 때 판매금액[D3]을 계산하는 수식으로 옳은 것은?

  1. =VLOOKUP(LEFT(A3,1),$B$8:$D$9,2,0)*C3
  2. =HLOOKUP(LEFT(A3,1),$B$8:$D$9,2,0)*C3
  3. =VLOOKUP(MID(A3,1),$B$8:$D$9,2,0)*C3
  4. =HLOOKUP(MID(A3,1),$B$8:$D$9,2,0)*C3
(정답률: 44%)
  • 제품코드[A3:A5]의 첫 글자를 LEFT(A3,1)로 추출하고, 이를 제품기호[B8:D8]에서 찾아 해당하는 열의 두 번째 행 값을 가져온다. 이 값은 판매단가이므로, 이를 판매수량[C3]과 곱하여 판매금액[D3]을 계산한다. 따라서 "=HLOOKUP(LEFT(A3,1),$B$8:$D$9,2,0)*C3"이 옳은 수식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다음 그림과 같이 [B1:B3] 셀에 입력된 문자열을 [B4] 셀에서 목록으로 표시하여 입력하기 위한 키 조작으로 올바른 것은?

  1. <Tab>+<↓>
  2. <Shift>+<↓>
  3. <Ctrl>+<↓>
  4. <Alt>+<↓>
(정답률: 56%)
  • 정답은 "<Alt>+<↓>"입니다.

    이유는 "<Alt>+<↓>"는 셀의 데이터 유형에 따라 다른 동작을 수행하는 단축키이기 때문입니다. 만약 셀에 입력된 데이터가 목록 형식이라면, "<Alt>+<↓>" 단축키를 사용하여 목록을 표시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도 [B1:B3] 셀에 입력된 문자열을 목록으로 표시하기 위해 "<Alt>+<↓>" 단축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다른 보기들은 각각 "<Tab>+<↓>"는 셀 범위를 확장하고, "<Shift>+<↓>"는 선택한 셀을 아래쪽으로 이동시키며, "<Ctrl>+<↓>"는 셀의 가장 아래쪽으로 이동하는 단축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데이터베이스 일반

41. 학생(학번, 이름, 학과, 학년) 테이블과 성적(학번, 과목명, 점수) 테이블에 대한 다음의 질의를 SQL 문장으로 바르게 나타낸 것은?

  1. SELECT 이름, 점수 FROM 학생, 성적 WHERE 과목명 IN('DB')
  2. SELECT 이름, 점수 FROM 학생, 성적 WHERE 학생.학번= 성적.학번 or 과목명 = 'DB'
  3. SELECT 이름, 점수 FROM 학생 INNER JOIN 성적 ON 학생.학번 = 성적.학번 WHERE 과목명 in ('DB')
  4. SELECT 이름, 점수 FROM 학생 WHERE 학번 IN (SELECT 학번 FROM 성적 WHERE 과목명 = 'DB')
(정답률: 34%)
  • 해당 질의는 학생 테이블과 성적 테이블을 학번을 기준으로 INNER JOIN하여, 과목명이 'DB'인 학생들의 이름과 점수를 선택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SELECT 이름, 점수 FROM 학생 INNER JOIN 성적 ON 학생.학번 = 성적.학번 WHERE 과목명 in ('DB')"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전체 페이지가 5이고 현재 페이지번호가 1일 때 다음 설명 중 옳은 것은?

  1. 강제로 페이지를 구분하려면 해당 위치에 [페이지 나누기] 컨트롤을 생성하여 놓는다.
  2. =[Page]/[Pages]& "페이지" 식의 결과는 "1/5 페이지" 이다.
  3. =Format([Pages], "000")식의 결과는 001이다.
  4. 보고서를 인쇄하면서 모든 페이지의 아랫부분에 페이지 번호를 출력하고자 하면 보고서의 바닥글을 이용해야 한다.
(정답률: 32%)
  • 정답은 "강제로 페이지를 구분하려면 해당 위치에 [페이지 나누기] 컨트롤을 생성하여 놓는다."입니다. 이유는 페이지를 구분하기 위해서는 페이지 나누기 컨트롤을 사용하여 페이지를 나누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이 컨트롤을 사용하면 페이지를 구분할 수 있으며, 페이지 번호를 출력할 수 있습니다. 다른 보기들은 Access 보고서의 페이지 번호와 관련이 있지만, 페이지를 구분하는 방법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제품번호별로 그룹화되어 있는 다음 보고서에서 제품에 대한 정보(네모 안에 들어있는 내용)를 나타내기 위해 가장 적절한 영역은?

  1. 보고서 머리글
  2. 페이지 머리글
  3. 제품번호 머리글
  4. 본문
(정답률: 39%)
  • 제품번호별로 그룹화되어 있는 정보를 나타내기 위해서는 각 제품번호가 구분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제품번호 머리글이 가장 적절한 영역입니다. 페이지 머리글은 페이지 번호 등과 같은 정보를 나타내는데 사용되며, 보고서 머리글은 전체 보고서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는데 사용됩니다. 본문은 제품번호와 같은 정보를 나타내는데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다음과 같은 보고서를 작성하기 위한 방법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단, 현재 보고서는 전체 5페이지 중 2번째 페이지이다.)

  1. 1차적으로 '도서분류' 필드를 기준으로 그룹화하였다.
  2. '도서분류' 머리글에 필드의 이름을 표시할 레이블과 선 컨트롤을 작성하였다.
  3. '도서분류' 바닥글에 점선을 표시하도록 컨트롤을 작성하였다.
  4. '도서분류' 컨트롤은 '중복내용 숨기기' 속성을 '예'로 설정하였다.
(정답률: 31%)
  • "'도서분류' 바닥글에 점선을 표시하도록 컨트롤을 작성하였다."는 옳지 않은 방법이다. 보고서에서는 필드의 이름을 표시할 레이블과 선 컨트롤을 사용하여 필드를 구분하고, 바닥글에는 일반적으로 페이지 번호나 작성일 등의 정보를 표시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폼 보기 상태에서 다음과 같이 폼이 나타나도록 폼 속성을 설정하였다.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구분선' 속성을 '예'로 설정하였다.
  2. '기본 보기' 속성을 '연속 폼'으로 설정하였다.
  3. '레코드 선택기' 속성을 '아니오'로 설정하였다.
  4. '탐색 단추' 속성을 '아니오'로 설정하였다.
(정답률: 46%)
  • 폼 보기 상태에서 레코드 선택기를 사용하면 각 레코드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 폼에서는 레코드 선택기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레코드 선택기' 속성을 '아니오'로 설정하였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다음과 같은 제어문을 실행하였을 때 Sum의 값은 얼마인가?

  1. 3
  2. 4
  3. 8
  4. 9
(정답률: 32%)
  • 반복문 for 문에서 i는 1부터 10까지 1씩 증가하면서 실행되므로, Sum은 1부터 10까지의 합인 55가 된다. 그러나 if 문에서 i가 4일 때 continue 문이 실행되어 다음 반복으로 넘어가므로, 4는 합에 더해지지 않는다. 따라서 Sum의 값은 55에서 4를 뺀 51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4"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제품] 테이블의 '제품명' 필드는 기본 키(PK)가 아니면서도 동일한 값이 두 번 이상 입력되지 않도록 설정하고자 한다. 가장 바람직한 것은?

  1. 해당 필드에 '중복불가능' 색인(index)을 설정한다.
  2. 해당 필드에 '입력 마스크' 속성을 설정한다.
  3. 해당 필드에 '유효성 검사 규칙'을 지정한다.
  4. 해당 필드에 '빈 문자열 허용'을 '아니오'로 설정한다.
(정답률: 58%)
  • 해당 필드에 '중복불가능' 색인(index)을 설정한다. 이는 해당 필드에 대해 고유한 값을 갖도록 하기 위해 사용하는 방법으로, 중복된 값을 입력하려고 하면 데이터베이스에서 오류가 발생하여 입력이 불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동일한 값이 두 번 이상 입력되지 않도록 보장할 수 있다. 입력 마스크, 유효성 검사 규칙, 빈 문자열 허용 여부는 데이터의 정확성을 유지하기 위한 방법이지만, 중복된 값을 방지하는 기능은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액세스에서 다음과 같은 폼을 편집하고자 한다.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1)번 부분을 더블클릭하면 폼의 속성 창을 열 수 있다.
  2. (2)번의 세로 눈금자를 클릭하면 본문의 모든 컨트롤을 선택할 수 있다.
  3. (3)번 부분을 더블 클릭하여 폼 바닥글의 배경색을 변경할 수 있다.
  4. 이런 폼의 기본 보기 속성은 '연속 폼'으로 하는 것이 좋다.
(정답률: 56%)
  • "(3)번 부분을 더블 클릭하여 폼 바닥글의 배경색을 변경할 수 있다."는 옳은 설명입니다. 이유는 해당 부분이 폼의 바닥글 영역이며, 더블 클릭하면 바로 배경색을 변경할 수 있는 속성 창이 열리기 때문입니다. (1)번은 옳은 설명이며, (2)번은 부분적으로 옳은 설명입니다. (4)번은 해당 폼의 기본 보기 속성에 대한 이야기이며, 옳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보고서 인쇄에 관련된 '페이지 설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열 크기에서 '본문과 같게'는 열의 너비와 높이를 보고서 본문의 너비와 높이에 맞춰 인쇄하는 것이다.
  2. 열 레이아웃은 레코드의 배치 순서를 설정하는 것으로 '열 우선', '행 우선', '사용자 지정' 옵션이 있다.
  3. '여백' 탭의 '데이터만 인쇄'는 눈금선 및 선이나 사각형 같은 그래픽 개체의 표시 여부를 지정할 수 있다.
  4. 인쇄할 용지의 크기 및 용지 방향을 지정할 수 있다.
(정답률: 33%)
  • 열 레이아웃은 레코드의 배치 순서를 설정하는 것으로 '열 우선', '행 우선', '사용자 지정' 옵션이 있다. (옳은 설명)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다음은 보기의 SQL문의 의미를 설명한 것이다. 바르게 설명한 것은?

  1. ORDER BY 절의 ASC는 내림차순으로 정렬하라는 것으로 지정하지 않아도 동일한 결과를 조회한다.
  2. [사원] 테이블에서 부서가 영업부이거나 총무부인 사원의 이름, 나이, 급여를 검색한 후 나이를 기준으로 내림차순 정렬된 결과를 조회한다.
  3. WHERE절은 WHERE 부서 IN ('영업부', '총무부')와 같이 지정해도 동일한 결과를 조회한다.
  4. [사원] 테이블에서 영업부와 총무부를 제외한 사원의 이름, 나이, 급여를 검색한 후 나이를 기준으로 오름차순 정렬된 결과를 조회한다.
(정답률: 52%)
  • 정답은 "WHERE절은 WHERE 부서 IN ('영업부', '총무부')와 같이 지정해도 동일한 결과를 조회한다."이다. 이유는 WHERE절에서 IN 연산자를 사용하여 부서가 영업부이거나 총무부인 사원을 검색하고 있기 때문에 WHERE 부서 = '영업부' OR 부서 = '총무부'와 같이 OR 연산자를 사용하여도 동일한 결과를 조회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테이블에 잘못된 데이터가 입력되면 이후 많은 문제가 발생한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점검을 필요로 하는 필드에 요구 사항이나 조건 또는 입력이 가능한 데이터 등을 미리 지정한 후 데이터 입력 시 이를 점검하도록 하는 기능은 다음 중 어느 것인가?

  1. 기본값
  2. 필수 여부
  3. 빈문자열 허용
  4. 유효성 검사 규칙
(정답률: 71%)
  • 이 기능은 "유효성 검사 규칙"이다. 이는 데이터 입력 시 미리 지정된 요구 사항이나 조건을 검사하여 잘못된 데이터가 입력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기능이다. 이를 통해 데이터의 정확성과 일관성을 유지할 수 있으며, 이후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예방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다음 중 액세스의 보고서 작성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한번 보고서를 작성해 놓으면 데이터가 바뀌는 경우에 해당 데이터에 대한 보고서를 다시 출력할 수 있다.
  2. 엑셀 데이터와 같은 외부 데이터를 연결한 테이블을 이용하여 보고서를 작성할 수 있다.
  3. 페이지 설정에서 '데이터만 인쇄'하도록 하는 경우에는 표나 레이블이 미리 인쇄되어 있는 양식지를 이용하여 보고서를 인쇄할 수 있다.
  4. 텍스트 상자나 콤보 상자와 같은 컨트롤을 이용하는 경우 보고서에서 테이블의 데이터를 수정할 수 있다.
(정답률: 36%)
  • "텍스트 상자나 콤보 상자와 같은 컨트롤을 이용하는 경우 보고서에서 테이블의 데이터를 수정할 수 있다."는 옳은 설명입니다. 이유는 이러한 컨트롤은 데이터베이스와 연결되어 있어서 사용자가 보고서에서 값을 변경하면 해당 데이터베이스의 값을 변경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보고서에서 텍스트 상자나 콤보 상자와 같은 컨트롤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수정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다음 중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는 경우의 장점으로 가장 옳은 것은?

  1. 데이터 간의 종속성을 유지할 수 있다.
  2. 데이터 관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3. 데이터의 일관성 및 무결성을 유지할 수 있다.
  4. 데이터를 중복적으로 관리하므로 시스템에 문제가 발생하더라도 복구가 쉽다.
(정답률: 51%)
  •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면 데이터를 중앙 집중적으로 관리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데이터의 일관성과 무결성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데이터의 일관성은 데이터 간의 모순이 없이 일관되게 유지되는 것을 의미하며, 무결성은 데이터의 정확성과 완전성을 보장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를 위해 데이터베이스는 데이터 간의 관계를 정의하고, 제약 조건을 설정하여 데이터의 일관성과 무결성을 유지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작성한 폼 개체를 다른 형식으로 내보내려고 한다. 다음 중 지정할 수 있는 형식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HTML 문서 파일
  2. Microsoft Excel 파일
  3. 서식있는 텍스트 형식 파일
  4. BMP 혹은 JPG형식의 그림 파일
(정답률: 50%)
  • 정답은 "HTML 문서 파일"입니다.

    폼 개체를 다른 형식으로 내보낼 수 있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지만, HTML 문서 파일로 내보내는 것은 일반적으로 불가능합니다.

    반면에, BMP 혹은 JPG 형식의 그림 파일로 내보내는 것은 가능합니다. 폼 개체를 이미지 파일로 저장하면, 해당 이미지를 다른 프로그램에서 열어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Microsoft Excel 파일이나 서식있는 텍스트 형식 파일로도 폼 개체를 내보낼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엑셀이나 워드프로세서 등에서 해당 파일을 열어서 폼 개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도서] 테이블은 도서번호, 도서명, 출판사코드, 대여료 필드로 구성되어 있다. 테이블의 필드를 설정하는 방법에 대한 설명 중 가장 옳지 않은 것은? (단, '도서명'은 항상 입력되지만 '도서번호'는 입력되지 않는 경우도 있으며, '출판사코드'는 [출판사] 테이블의 '출판사' 필드의 외 래키임)

  1. '도서번호' 필드의 데이터 형식을 문자형으로 하고 기본 키(PK)로 설정하였다.
  2. '도서명' 필드는 반드시 값을 입력하도록 '필수'로 지정하였다.
  3. '출판사코드' 필드는 [출판사] 테이블의 '출판사' 필드와 데이터 형식을 일치시켰다.
  4. '대여료' 필드는 숫자나 통화 형식으로 지정하였다.
(정답률: 54%)
  • "'도서번호'는 입력되지 않는 경우도 있으므로 기본 키(PK)로 설정하면 안 된다."가 가장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도서번호가 입력되지 않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기본 키(PK)로 설정하면 중복된 값이 들어갈 수 있습니다. 따라서, '도서번호' 필드의 데이터 형식을 문자형으로 하고 일반 필드로 설정하고, 대신에 '도서명' 필드를 기본 키(PK)로 설정하는 것이 옳은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학생] 테이블의 '학번' 필드에 중복된 값이 있어서 기본 키로 설정할 수 없다는 다음과 같은 메시지가 나타났다. 다음 중 학번이 중복된 학생의 정보를 찾는 방법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select * from 학생 where 학번 in (select 학번 from 학생 group by count(*)> 1)
  2. select * from 학생 where 학번 in (select 학번 from 학생 group by 학번 having count(*)> 1)
  3. select * from 학생 group by 학번 having count(*)> 1
  4. select * from 학생 having count(*)> 1 where 학번 in (select 학번 from 학생 group by 학번)
(정답률: 51%)
  • 해당 메시지는 '학번' 필드에 중복된 값이 있어서 기본 키로 설정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중복된 '학번' 값을 찾기 위해서는 '학번' 필드를 그룹화하고, 그룹화된 결과에서 count() 함수를 이용하여 중복된 값을 찾아내야 한다. 이때, having 절을 이용하여 count() 함수의 결과가 1보다 큰 경우, 즉 중복된 값이 있는 경우만을 선택하면 된다. 따라서 정답은 "select * from 학생 where 학번 in (select 학번 from 학생 group by 학번 having count(*)> 1)"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다음 중 액세스에서의 매크로 기능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엑셀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수행하는 작업에 대한 매크로를 자동적으로 기록해 준다.
  2. 액세스에서 제공하는 기본적인 매크로 함수를 이용하여 매크로를 작성한다.
  3. 데이터 베이스 파일을 열 때 매크로를 자동으로 실행 시키려면 매크로 이름을 'AutoExec'로 작성한다.
  4. 매크로 이름 열에 지정한 바로 가기 키를 이용하여 매크로를 실행할 수 있다.
(정답률: 35%)
  • "액세스에서 제공하는 기본적인 매크로 함수를 이용하여 매크로를 작성한다."가 가장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액세스에서는 사용자가 수행하는 작업에 대한 매크로를 자동으로 기록해주는 기능을 제공합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매크로를 직접 작성하지 않고도 원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데이터베이스 질의를 사용할 때 다양한 특수 연산자가 있어 매우 유용하게 이용되고 있다. 특수 연산자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잘못된 것은?

  1. in 연산은 or 연산을 수행한 결과와 같다.
  2. between 연산은 and 연산을 수행한 결과와 같다.
  3. like 연산자를 사용하면 특정한 문자로 시작하는 결과를 검색할 수 있다.
  4. where 번호 between 1 and 3하면 1은 포함되고 3은 포함되지 않는다.
(정답률: 64%)
  • "where 번호 between 1 and 3하면 1은 포함되고 3은 포함되지 않는다." 이유는 between 연산자는 시작값과 끝값을 포함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1과 3 모두 포함되어야 한다면 "where 번호 between 1 and 3" 대신 "where 번호 >= 1 and 번호 <= 3"으로 작성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다음 중 선택한 필드에서 중복되는 결과 값은 한 번만 표시할 수 있도록 하는 SELECT 문의 조건부로 옳은 것은?

  1. DISTINCT
  2. UNIQUE
  3. ONLY
  4. *
(정답률: 62%)
  • 정답은 "DISTINCT"입니다.

    "SELECT DISTINCT" 구문을 사용하면 선택한 필드에서 중복되는 결과 값은 한 번만 표시할 수 있습니다. 즉, 중복된 값을 제거하여 유일한 결과 값만 반환합니다.

    예를 들어, "SELECT DISTINCT city FROM customers" 구문을 실행하면 고객 테이블에서 도시 필드의 중복을 제거한 유일한 도시 목록이 반환됩니다.

    "UNIQUE"와 "ONLY"는 SQL에서 사용되는 예약어이지만, 중복 값을 제거하는 기능을 수행하지 않습니다. "*"는 모든 필드를 선택하는 기능을 수행하므로 중복 값을 제거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다음 중 Access에서 데이터를 찾거나 바꿀 때 사용하는 만능 문자를 사용한 결과에 대한 설명이 옳지 않은 것은?

  1. 1#3 → 103, 113, 123 등 검색
  2. 소?자 → 소비자, 소유자, 소개자 등 검색
  3. 소[!비유]자 → 소비자와 소개자 등 검색
  4. b[a-c]d → bad와 bbd 등 검색
(정답률: 70%)
  • "소[!비유]자 → 소비자와 소개자 등 검색"은 옳은 설명입니다. 만능 문자인 *와 ?는 문자열의 일부를 대체할 수 있지만, [!비유]는 비유를 제외한 다른 문자들을 대체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소[!비유]자"는 "소비자"와 "소개자"를 검색할 수 있지만, "소유자"는 검색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