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터활용능력 1급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4-06-28)

컴퓨터활용능력 1급
(2014-06-28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컴퓨터 일반

1. 다음 중 아래 설명에 해당하는 그래픽 관련 용어는?

  1. 디더링
  2. 인터레이싱
  3. 모핑
  4. 모델링
(정답률: 86%)
  • 이 그래픽은 3차원 모델링으로 만들어졌습니다. 모델링은 3차원 공간에서 오브젝트를 만들어내는 작업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모델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다음 중 멀티미디어와 관련된 비디오 데이터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AVI는 고화질 동영상 압축을 위한 비표준 동영상 파일 형식으로 Windows Media Player로만 재생이 가능하다.
  2. MPEG은 동영상 전문가 그룹에서 제정한 동영상 압축 기술에 관한 국제 표준 규격으로 동영상뿐만 아니라 오디오 데이터도 압축할 수 있다.
  3. ASF는 MS사에서 개발한 통합 멀티미디어 형식으로, 용량이 작고 음질이 뛰어나 주로 스트리밍 서비스를 하는 인터넷 방송국에서 사용된다.
  4. Quick Time Movie는 Apple사에서 개발한 동영상 압축 기술로 Windows에서도 재생 가능하다.
(정답률: 61%)
  • AVI는 고화질 동영상 압축을 위한 비표준 동영상 파일 형식으로 Windows Media Player로만 재생이 가능하다. - 이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AVI는 비표준 동영상 파일 형식이지만, Windows Media Player뿐만 아니라 다른 동영상 플레이어에서도 재생이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다음 중 보안을 위협하는 공격 형태의 하나인 DoS(Denial of Service) 공격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특정한 시스템에서 보안이 제거되어 있는 통로를 지칭하는 말이다.
  2. 시스템에 불법적인 행위를 수행하기 위해 다른 프로그램으로 위장하여 특정 프로그램을 침투시키는 행위이다.
  3. 시스템에 오버플로우를 일으켜 정상적인 서비스를 수행하지 못하도록 만드는 행위이다.
  4. 자기 스스로를 복제함으로써 시스템의 부하를 일으켜 시스템을 다운시키는 프로그램을 말한다.
(정답률: 77%)
  • DoS(Denial of Service) 공격은 시스템에 오버플로우를 일으켜 정상적인 서비스를 수행하지 못하도록 만드는 행위입니다. 즉, 시스템에 과도한 요청을 보내거나, 시스템의 자원을 고갈시켜서 서비스를 마비시키는 공격입니다. 이는 시스템의 가용성을 저해시키는 공격으로, 보안을 위협하는 중요한 공격 형태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다음 중 인터넷에서 사용하는 DNS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DNS는 Domain Name Server 또는 Domain Name System의 약자로 쓰인다.
  2. 문자로 만들어진 도메인 이름을 숫자로 된 IP주소로 바꾸는 시스템이다.
  3. DNS 서버는 IP 주소를 이용하여 패킷의 최단 전송 경로를 설정한다.
  4. DNS에서는 모든 호스트들을 각 도메인별로 계층화 시켜서 관리한다.
(정답률: 60%)
  • DNS 서버는 IP 주소를 이용하여 패킷의 최단 전송 경로를 설정하는 것이 아니라, 문자로 된 도메인 이름을 숫자로 된 IP 주소로 변환하여 인터넷 상에서 통신이 가능하도록 한다. 따라서 "DNS 서버는 IP 주소를 이용하여 패킷의 최단 전송 경로를 설정한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다음 중 인터넷 서버까지의 경로를 추적하는 명령어인 ‘Tracert’의 실행 결과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IP 주소, 목적지까지 거치는 경로의 수, 각 구간 사이의 데이터 왕복 속도를 확인할 수 있다.
  2. 특정 사이트가 열리지 않을 때 해당 서버가 문제인지 인터넷 망이 문제인지 확인할 수 있다.
  3. 인터넷 속도가 느릴 때 어느 구간에서 정체를 일으키는지 확인할 수 있다.
  4. 현재 자신의 컴퓨터에 연결된 다른 컴퓨터의 IP 주소나 포트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정답률: 81%)
  • "현재 자신의 컴퓨터에 연결된 다른 컴퓨터의 IP 주소나 포트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는 Tracert 실행 결과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습니다. Tracert는 목적지까지 거치는 경로의 수, 각 구간 사이의 데이터 왕복 속도를 확인할 수 있으며, 특정 사이트가 열리지 않을 때 해당 서버가 문제인지 인터넷 망이 문제인지 확인할 수 있으며, 인터넷 속도가 느릴 때 어느 구간에서 정체를 일으키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다음 중 OSI 7계층에서 데이터 링크 계층(Data Link Layer)의 기능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송신측이 수신측의 처리속도보다 더 빨리 데이터를 보내지 못하도록 조절하는 흐름제어 기능이 있다.
  2. 프레임의 시작과 끝을 구분하기 위한 프레임의 동기화 기능이 있다.
  3. 응용 프로세스 간의 정보 교환, 파일 전송 등의 전송 제어 기능이 있다.
  4. 프레임의 순차적 전송을 위한 순서제어 기능이 있다.
(정답률: 47%)
  • "응용 프로세스 간의 정보 교환, 파일 전송 등의 전송 제어 기능이 있다."는 데이터 링크 계층의 기능과는 관련이 없는 전송 계층(Transport Layer)의 기능입니다. 따라서 이 보기가 옳지 않습니다.

    송신측이 수신측의 처리속도보다 더 빨리 데이터를 보내지 못하도록 조절하는 흐름제어 기능, 프레임의 시작과 끝을 구분하기 위한 프레임의 동기화 기능, 프레임의 순차적 전송을 위한 순서제어 기능은 모두 데이터 링크 계층의 기능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다음 중 인터넷에서 사용하는 표준 주소 체계인 URL(Uniform Resource Locator)의 4가지 구성요소를 순서대로 옳게 나열한 것은?

  1. 프로토콜, 서버 주소, 포트 번호, 파일 경로
  2. 서버 주소, 프로토콜, 포트 번호, 파일 경로
  3. 프로토콜, 서버 주소, 파일 경로, 포트 번호
  4. 포트 번호, 프로토콜, 서버 주소, 파일 경로
(정답률: 65%)
  • URL은 인터넷에서 특정 자원을 찾기 위한 주소 체계이며, 프로토콜은 해당 자원에 접근하기 위한 통신 규약을 의미합니다. 서버 주소는 해당 자원이 위치한 서버의 주소를 나타내며, 포트 번호는 해당 서버에서 자원에 접근하기 위한 포트 번호를 의미합니다. 마지막으로 파일 경로는 해당 자원이 위치한 경로를 나타냅니다. 따라서, 옳은 순서는 "프로토콜, 서버 주소, 포트 번호, 파일 경로"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다음 중 전송할 데이터의 양과 회선 사용시간이 많을 때 효율적이며, 중앙 컴퓨터와 터미널이 1:1로 연결되어 유지보수가 쉬운 연결방식은?

  1. 메인 프레임 방식
  2. 포인트 투 포인트 방식
  3. 클라이언트-서버 방식
  4. 반이중 방식
(정답률: 73%)
  • 포인트 투 포인트 방식은 전송할 데이터의 양과 회선 사용시간이 많을 때 효율적이며, 중앙 컴퓨터와 터미널이 1:1로 연결되어 유지보수가 쉬운 연결방식입니다. 이는 데이터를 직접 주고받는 방식으로 중간에 다른 장비를 거치지 않기 때문에 데이터 전송 속도가 빠르고, 연결이 간단하며 유지보수가 용이합니다. 따라서 대규모 데이터 전송이 필요한 경우에 적합한 방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다음 중 컴퓨터의 소프트웨어 관련 용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셰어웨어(Shareware)는 일정기간 무료 사용 후 원하면 정식 프로그램을 구입할 수 있는 형태의 프로그램이다.
  2. 프리웨어(Freeware)는 누구나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기간 및 기능에 제한이 없다.
  3. 패치 프로그램(Patch Program)은 기능을 알리기 위해 기간이나 기능에 제한을 두어 무료 배포하는 프로그램이다.
  4. 베타버전(Beta Version)은 정식 프로그램을 발표하기 전에 프로그램의 문제 발견이나 기능 향상을 위해 무료로 배포하는 프로그램이다.
(정답률: 82%)
  • 정답은 "패치 프로그램(Patch Program)은 기능을 알리기 위해 기간이나 기능에 제한을 두어 무료 배포하는 프로그램이다."가 아닌 것입니다. 패치 프로그램은 이미 출시된 프로그램의 버그 수정이나 보안 업데이트 등을 위해 배포되는 프로그램으로, 기능에 제한을 두는 것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다음 중 아래에서 설명하는 내용으로 옳은 것은?

  1. 응용 소프트웨어
  2. 임베디드 소프트웨어
  3. 시스템 소프트웨어
  4. 멀티미디어 소프트웨어
(정답률: 72%)
  • 위 그림은 운영체제(OS)를 나타내고, 운영체제는 시스템 소프트웨어의 한 종류이다. 따라서 정답은 "시스템 소프트웨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다음 중 컴퓨터의 클럭 주파수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컴퓨터는 전류가 흐르는 상태(ON)와 흐르지 않는 상태(OFF)가 반복되어 작동하는데, 이 전류의 흐름을 클럭 주파수라 한다.
  2. CPU는 클럭 주기에 따라 명령을 수행하며 클럭 주파수가 적을수록 연산 속도가 빠르다고 할 수 있다.
  3. PC의 클럭 속도 단위는 보통 GHz를 사용하는데 1GHz는 1,000,000,000Hz를 의미하며, 1Hz는 1초 동안 1번의 주기가 반복되는 것을 의미한다.
  4. 컴퓨터의 메인 보드에 공급되는 클럭은 CPU의 속도에 맞추어 적절하게 적용되어야 컴퓨터가 안정적으로 구동된다.
(정답률: 75%)
  • CPU는 클럭 주기에 따라 명령을 수행하며 클럭 주파수가 적을수록 연산 속도가 빠르다고 할 수 없다. 올바른 설명은 "클럭 주파수가 높을수록 CPU는 더 많은 명령어를 처리할 수 있으며, 따라서 연산 속도가 빨라진다." 이다. 클럭 주파수가 높을수록 CPU가 처리할 수 있는 명령어의 양이 많아지기 때문에 연산 속도가 빨라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다음 중 컴퓨터를 구성하는 CPU와 관련된 RISC 프로세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CISC 프로세서에 비해 주소 지정 모드와 명령어의 종류가 적다.
  2. CISC 프로세서에 비해 프로그래밍이 어려운 반면 처리속도가 빠르다.
  3. CISC 프로세서에 비해 생산 가격이 비싸고 소비 전력이 높다.
  4. 고성능의 워크스테이션이나 그래픽용 컴퓨터에 많이 사용된다.
(정답률: 55%)
  • "CISC 프로세서에 비해 생산 가격이 비싸고 소비 전력이 높다."라는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RISC 프로세서는 명령어의 종류가 적고, 간단한 명령어를 빠르게 처리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프로그래밍이 어렵지 않고 처리속도가 빠르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또한, 고성능의 워크스테이션이나 그래픽용 컴퓨터에 많이 사용됩니다.

    하지만 RISC 프로세서는 CISC 프로세서에 비해 생산 가격이 높고 소비 전력이 높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이는 RISC 프로세서가 CISC 프로세서보다 더 많은 명령어를 처리하기 위해 복잡한 회로를 필요로 하기 때문입니다. 또한, RISC 프로세서는 명령어를 더 빠르게 처리하기 위해 높은 클럭 속도를 유지해야 하기 때문에 전력 소모가 높아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다음 중 보조 기억 장치인 SSD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SSD는 Solid State Drive(또는 Disk)의 약자로 HDD에 비해 속도가 빠르고, 발열 및 소음이 적으며, 소형화. 경량화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2. 기억매체로 플래시 메모리나 DRAM을 사용하나 DRAM은 제품 규격이나 가격, 휘발성의 문제로 많이 사용 하지는 않는다.
  3. SSD는 HDD에 비해 외부의 충격에 강하며, 디스크가 아닌 메모리에 데이터를 기록하므로 배드섹터가 발생 하지 않는다.
  4. SSD는 HDD에 비해 저장 용량당 가격이 저렴하여 향후 빠르게 하드디스크를 대체할 것으로 전망된다.
(정답률: 64%)
  • "SSD는 HDD에 비해 저장 용량당 가격이 저렴하여 향후 빠르게 하드디스크를 대체할 것으로 전망된다."는 옳은 설명이 아닙니다. 이는 오히려 SSD의 단점 중 하나로, 현재까지는 HDD에 비해 저장 용량당 가격이 높은 편입니다. 하지만 기술 발전과 생산량 증가로 인해 가격이 점차 하락하고 있으며, 향후에는 HDD를 대체할 가능성이 높다는 전망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다음 중 하드웨어와 그 성능을 나타내는 단위를 연결한 것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하드디스크 : RPM
  2. CPU : FLOPS
  3. DVD-ROM : 배속
  4. RAM : BPI
(정답률: 58%)
  • RAM은 데이터를 저장하고 읽어오는 속도를 나타내는 BPI(Bits Per Inch)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RAM의 성능은 주로 용량과 속도를 나타내는 MHz 또는 GB/s와 같은 단위를 사용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RAM : BPI"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다음 중 하드웨어를 추가하여 설치하는 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장치 관리자]에서 [동작]-[레거시 하드웨어 추가] 메뉴를 이용하여 설치할 수 있다.
  2. [하드웨어 추가 마법사]를 이용하여 설치할 수 있다.
  3. 플러그 앤 플레이가 지원되는 하드웨어를 장착하고 Windows 7을 실행하면 새로 장착한 하드웨어를 자동으로 인식하고 설치한다.
  4. PS/2 또는 직렬 포트를 통해 연결된 키보드와 마우스 등은 [제어판]-[장치 및 프린터]를 이용하여 설치할 수 있다.
(정답률: 68%)
  • "[장치 관리자]에서 [동작]-[레거시 하드웨어 추가] 메뉴를 이용하여 설치할 수 있다."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이는 잘못된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다음 중 Windows 7에서 연결 프로그램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윈도우 10 검증 완료)

  1. 문서나 그림 같은 데이터 파일을 더블클릭하면 자동으로 실행되는 응용 프로그램이다.
  2. 데이터 파일의 바로가기 메뉴에서 [연결 프로그램]을 선택하면 연결 프로그램을 변경할 수 있다.
  3. 연결 프로그램이 지정되지 않았을 경우 데이터 파일을 더블클릭하면 연결 프로그램을 선택하기 위한 대화상자가 표시된다.
  4. [연결 프로그램] 대화상자에서 연결 프로그램을 삭제하면 연결된 데이터 파일도 함께 삭제된다.
(정답률: 88%)
  • "[연결 프로그램] 대화상자에서 연결 프로그램을 삭제하면 연결된 데이터 파일도 함께 삭제된다."는 옳은 설명이다. 이는 연결 프로그램과 데이터 파일이 서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연결 프로그램을 삭제하면 해당 프로그램과 연결된 데이터 파일도 함께 삭제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다음 중 Windows 7 운영체제의 다양한 기능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윈도우 10 검증 완료)

  1. ReadyBoost를 설정한 USB 플래시 드라이브 및 플래시 메모리 카드를 사용하여 컴퓨터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2. Windows Defender를 사용하여 스파이웨어 및 그 밖의 원치않는 소프트웨어로부터 컴퓨터를 보호할 수 있다.
  3. 기본적으로 성능, 보안, 안정성 면에서 고급 기능을 제공하는 NTFS 파일 시스템을 사용하여 FAT32는 사용할 수 없다.
  4. 점프 목록을 사용하여 최근에 작업한 파일을 빠르게 찾을 수 있다.
(정답률: 76%)
  • "기본적으로 성능, 보안, 안정성 면에서 고급 기능을 제공하는 NTFS 파일 시스템을 사용하여 FAT32는 사용할 수 없다."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NTFS 파일 시스템은 FAT32보다 고급 기능을 제공하지만, Windows 7 운영체제에서는 여전히 FAT32 파일 시스템을 지원합니다. 따라서 NTFS 파일 시스템을 사용하지 않더라도 Windows 7 운영체제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유는 NTFS 파일 시스템은 FAT32보다 더 많은 기능을 제공하며, 파일 및 폴더의 보안, 복원력, 압축, 암호화 등의 기능을 제공합니다. 또한 NTFS 파일 시스템은 대용량 파일을 처리하는 데 더 효율적이며, 파일 시스템의 일관성을 유지하는 데 더 용이합니다. 하지만 이러한 기능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에는 여전히 FAT32 파일 시스템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다음 중 Windows 7의 파일이나 폴더 검색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윈도우 10 검증 완료)(윈도우 10의 경우 시작 버튼 옆에 검색 상자가 있습니다.)

  1. [시작] 메뉴의 검색 상자를 사용하면 색인된 파일만 검색 결과에 나타나며, 컴퓨터의 일반적인 파일들은 대부분 색인이 구성되어 있다.
  2. 검색 상자에서 내용 앞에 ‘-’를 붙이면 해당 내용이 포함되지 않은 파일이나 폴더를 검색할 수 있다.
  3. 데이터를 검색한 후 검색 기준을 저장할 수 있고, 저장된 검색을 열기만 하면 원래 검색과 일치하는 최신 파일이 나타난다.
  4. [시작] 메뉴의 검색 상자에서 검색 필터를 사용하여 파일을 검색할 수 있다.
(정답률: 53%)
  • "[시작] 메뉴의 검색 상자에서 검색 필터를 사용하여 파일을 검색할 수 있다."는 옳은 설명입니다. 검색 상자에서 검색 필터를 사용하면 파일의 종류, 수정 날짜, 크기 등 다양한 기준으로 검색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다음 중 원격 데스크톱을 사용할 때 네트워크 연결이 잘 안되는 경우, 원인을 찾는 방법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방화벽과 같은 외부적인 요인 확인
  2. 원격 데스크톱 연결 설정 확인
  3. Ping과 같은 DOS 명령어 이용
  4. Windows 탐색기의 [폴더 옵션]에서 [기본값 복원] 이용
(정답률: 71%)
  • Windows 탐색기의 [폴더 옵션]에서 [기본값 복원]은 원격 데스크톱 연결과는 관련이 없는 설정으로, 네트워크 연결 문제를 해결하는 데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이 방법은 가장 적절하지 않은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다음 중 Windows 7에서 사용하는 바로 가기 키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윈도우 10 검증 완료)

  1. <Alt>+<Ctrl> : 열린 항목 간 전환
  2. <Alt>+<F4> : 사용중인 항목 닫기 또는 실행 중인 프로그램 끝내기
  3. <Alt>+<Space Bar> : 활성창의 바로 가기 메뉴 열기
  4. <Alt>+<Enter> : 선택한 항목의 속성 표시
(정답률: 64%)
  • "<Alt>+<Ctrl> : 열린 항목 간 전환"은 Windows 7에서 사용하는 바로 가기 키 중에서도 윈도우 창 간 전환을 위한 단축키입니다. 이 단축키를 사용하면 현재 열려있는 창들 중에서 원하는 창으로 바로 이동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워드와 엑셀을 동시에 사용하고 있다면 "<Alt>+<Ctrl>" 키를 누른 채로 "탭" 키를 누르면 워드와 엑셀 창 간에 쉽게 전환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스프레드시트 일반

21. 다음 중 [찾기 및 바꾸기] 대화상자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Ctrl>+<F> : [바꾸기] 탭이 선택되어 있는 [찾기 및 바꾸기] 대화 상자를 표시한다.
  2. [찾기 및 바꾸기] 대화상자의 찾을 내용에 ‘김*혁’을 입력하면 ‘김혁’, ‘김동혁’, ‘김신혁’ 등을 찾을 수 있다.
  3. 영문자의 경우 대/소문자를 구분하여 찾을 수 있다.
  4. 찾는 위치를 수식, 값, 메모 중에서 선택하여 지정 할 수 있다.
(정답률: 44%)
  • "[찾기 및 바꾸기] 대화상자의 찾을 내용에 ‘김*혁’을 입력하면 ‘김혁’, ‘김동혁’, ‘김신혁’ 등을 찾을 수 있다."는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정답 설명:
    "<Ctrl>+<F> : [바꾸기] 탭이 선택되어 있는 [찾기 및 바꾸기] 대화 상자를 표시한다."는 단축키인 Ctrl+F를 누르면 찾기 및 바꾸기 대화상자가 나타나며, 기본적으로 바꾸기 탭이 선택되어 있습니다.

    "[찾기 및 바꾸기] 대화상자의 찾을 내용에 ‘김*혁’을 입력하면 ‘김혁’, ‘김동혁’, ‘김신혁’ 등을 찾을 수 있다."는 와일드카드 문자인 *를 사용하여 일부 문자열을 대체할 수 있다는 것을 설명한 것으로, 옳은 설명입니다.

    "영문자의 경우 대/소문자를 구분하여 찾을 수 있다."는 대소문자를 구분하여 찾을 수 있다는 것을 설명한 것으로, 옳은 설명입니다.

    "찾는 위치를 수식, 값, 메모 중에서 선택하여 지정 할 수 있다."는 찾을 대상을 수식, 값, 메모 중에서 선택하여 지정할 수 있다는 것을 설명한 것으로, 옳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다음 중 각 VBA 코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Range(“A5”).Select ⇒ [A5] 셀로 셀 포인터를 이동한다.
  2. Range(“C2”).Font.Bold = “True” ⇒ [C2] 셀의 글꼴 스타일을 '굵게'로 설정한다.
  3. Range(“A1”).Formula = 3 * 4 ⇒ [A1] 셀에 수식 ‘=3*4’가 입력된다.
  4. Workbooks.Add ⇒ 새 통합 문서를 생성한다.
(정답률: 73%)
  • "Range(“A1”).Formula = 3 * 4 ⇒ [A1] 셀에 수식 ‘=3*4’가 입력된다." 이 설명은 옳습니다.

    - "Range(“A5”).Select ⇒ [A5] 셀로 셀 포인터를 이동한다." : Range 함수를 사용하여 A5 셀을 선택하는 코드입니다.
    - "Range(“C2”).Font.Bold = “True” ⇒ [C2] 셀의 글꼴 스타일을 '굵게'로 설정한다." : Range 함수를 사용하여 C2 셀의 글꼴 스타일을 굵게(Bold)로 설정하는 코드입니다.
    - "Workbooks.Add ⇒ 새 통합 문서를 생성한다." : Workbooks 객체의 Add 메서드를 사용하여 새로운 통합 문서를 생성하는 코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다음 중 엑셀의 정렬 기능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오름차순 정렬과 내림차순 정렬 모두 빈 셀은 항상 마지막으로 정렬된다.
  2. 영숫자 텍스트는 왼쪽에서 오른쪽 방향으로 문자 단위로 정렬된다.
  3. 사용자가 [정렬 옵션] 대화 상자에서 대/소문자를 구분하도록 변경하여, 오름차순으로 정렬하면 대문자가 소문자보다 우선순위를 갖는다.
  4. 공백으로 시작하는 문자열은 오름차순 정렬일 때 숫자 바로 다음에 정렬되고, 내림차순 정렬일 때는 숫자 바로 앞에 정렬된다.
(정답률: 69%)
  • "사용자가 [정렬 옵션] 대화 상자에서 대/소문자를 구분하도록 변경하여, 오름차순으로 정렬하면 대문자가 소문자보다 우선순위를 갖는다."가 옳은 설명이다. 이는 대문자와 소문자가 ASCII 코드에서 서로 다른 값으로 인식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대문자가 소문자보다 우선순위를 갖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다음 중 엑셀에서 특정 데이터의 연속 항목을 더 쉽게 입력하기 위해 사용하거나 정렬의 기준으로 사용되는 사용자 지정 목록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엑셀에서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목록은 수정하여 사용 할 수 있으며, 필요 없는 경우 삭제할 수도 있다.
  2. [Office 단추]-[Excel 옵션]-[기본 설정]-[사용자 지정 목록 편집]을 클릭한 후 사용자 지정 목록 대화상자에서 사용자 지정 목록을 추가 또는 삭제 할 수 있다.
  3. 사용자 지정 목록을 만들면 다른 통합 문서에서 사용 할 수 있도록 컴퓨터 레지스트리에 추가된다.
  4. 사용자 지정 목록에는 텍스트 또는 텍스트와 숫자의 조합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정답률: 49%)
  • "사용자 지정 목록에는 텍스트 또는 텍스트와 숫자의 조합 등이 포함될 수 있다."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사용자 지정 목록은 텍스트, 숫자, 날짜 등 다양한 형식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다음 중 시나리오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시나리오 관리자에서 시나리오를 삭제하면 시나리오 요약 보고서의 해당 시나리오도 자동으로 삭제된다.
  2. 특정 셀의 변경에 따라 연결된 결과 셀의 값이 자동으로 변경되어 결과값을 예측할 수 있다.
  3. 여러 시나리오를 비교하기 위해 시나리오를 피벗 테이블로 요약할 수 있다.
  4. 변경 셀과 결과 셀에 이름을 지정한 후 시나리오 요약 보고서를 작성하면 결과에 셀 주소 대신 지정한 이름이 표시된다.
(정답률: 68%)
  • "특정 셀의 변경에 따라 연결된 결과 셀의 값이 자동으로 변경되어 결과값을 예측할 수 있다."는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시나리오 관리자에서 시나리오를 삭제하면 시나리오 요약 보고서의 해당 시나리오도 자동으로 삭제되는 이유는 시나리오 요약 보고서는 시나리오 관리자에서 생성된 시나리오를 기반으로 작성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시나리오를 삭제하면 해당 시나리오에 대한 보고서도 함께 삭제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아래 시트에서 [A2:C4] 영역을 선택한 후 조건부 서식을 그림과 같이 설정하였다. 다음 중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단, 규칙의 적용 대상은 $A$2:$C$4임)

  1. [A3:C3] 영역이 조건부 서식의 첫번째 규칙에 설정된 서식으로 바뀐다.
  2. [B3] 셀만 조건부 서식의 첫번째 규칙에 설정된 서식으로 바뀐다.
  3. [A3:C3] 영역이 조건부 서식의 두번째 규칙에 설정된 서식으로 바뀐다.
  4. [A3] 셀만 조건부 서식의 두번째 규칙에 설정된 서식으로 바뀐다.
(정답률: 41%)
  • 조건부 서식의 첫번째 규칙은 "값이 5보다 큰 경우 녹색으로 색칠"이다. 따라서 [A3:C3] 영역에서 값이 5보다 큰 경우에는 녹색으로 색칠되어야 하므로, 이 영역이 조건부 서식의 첫번째 규칙에 설정된 서식으로 바뀌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다음 중 부분합 실행 결과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상반기와 하반기를 기준으로 항목이 그룹화되었다.
  2. 매출에 대하여 합계 함수가 사용되었다.
  3. 데이터 아래에 요약 표시가 선택되었다.
  4. 부분합 윤곽 기호 지우기가 실행되었다.
(정답률: 69%)
  • 부분합 실행 결과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상반기와 하반기를 기준으로 항목이 그룹화되었다." 이다. 부분합은 항목을 그룹화하는 것이 아니라, 데이터의 일부분을 합산하여 보여주는 기능이다. 따라서 이 설명은 부분합 실행 결과와는 관련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다음 중 자료 입력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한자를 입력하려면 한글을 입력한 후 키보드의 ‘한자’키를 눌러 변환한다.
  2. 특수문자를 입력하려면 먼저 한글 자음을 입력한 후 키보드의 ‘한/영’키를 눌러 원하는 특수문자를 선택한다.
  3. 숫자 데이터를 문자 데이터로 입력하려면 숫자 데이터 앞에 문자 접두어(')를 입력한다.
  4. 분수 앞에 정수가 없는 일반 분수를 입력하려면 ‘0’을 먼저 입력하고 'Space Bar'를 눌러 빈 칸을 한 개 입력 한 후 ‘3/8’과 같이 분수를 입력한다.
(정답률: 69%)
  • "분수 앞에 정수가 없는 일반 분수를 입력하려면 ‘0’을 먼저 입력하고 'Space Bar'를 눌러 빈 칸을 한 개 입력 한 후 ‘3/8’과 같이 분수를 입력한다."는 옳은 설명이다.

    하지만 "특수문자를 입력하려면 먼저 한글 자음을 입력한 후 키보드의 ‘한/영’키를 눌러 원하는 특수문자를 선택한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한글 자음을 입력하지 않고도 키보드의 ‘한/영’키를 눌러 바로 특수문자를 입력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다음 중 [B5] 셀에 적용된 사용자 지정 표시 형식으로 옳은 것은?

  1. h:mm
  2. hh:mm
  3. h:mm;@
  4. [h]:mm
(정답률: 55%)
  • 정답은 "[h]:mm" 입니다.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 "h:mm" : 이 표시 형식은 시간을 표시할 때 사용됩니다. 그러나 분이 60분을 초과하면 다음 시간으로 넘어가지 않고 오류가 발생합니다.
    - "hh:mm" : 이 표시 형식은 시간을 표시할 때 사용됩니다. 그러나 분이 60분을 초과하면 다음 시간으로 넘어가지 않고 00으로 표시됩니다.
    - "h:mm;@" : 이 표시 형식은 시간을 표시할 때 사용됩니다. 그러나 분이 60분을 초과하면 다음 시간으로 넘어가지 않고 오류가 발생합니다.
    - "[h]:mm" : 이 표시 형식은 시간을 표시할 때 사용됩니다. 분이 60분을 초과하더라도 다음 시간으로 넘어가며, 시간이 24시간을 초과하더라도 다음 날로 넘어갑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h]:mm" 표시 형식이 옳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아래 시트에서 배열 수식을 이용하여 한 번에 금액 [D2:D5]을 구하려고 한다. 다음 중 [D2] 셀에 입력할 배열 수식으로 옳은 것은? (금액 = 수량 * 단가)

  1. {=B2*C2}
  2. {=B2:B5*C2:C5}
  3. {=B2*C2:B5*C5}
  4. {=SUMPRODUCT(B2:B5,C2:C5)}
(정답률: 70%)
  • 정답은 "{=B2:B5*C2:C5}"이다.

    이유는 배열 수식을 사용하여 한 번에 여러 셀을 계산할 때는 중괄호({})를 사용해야 하며, 수량과 단가를 곱한 값을 구하기 위해서는 B2:B5와 C2:C5를 각각 곱한 값을 구한 후, 그 결과를 D2:D5에 배열 수식으로 입력해야 한다. 따라서 "{=B2:B5*C2:C5}"가 옳은 배열 수식이다.

    다른 보기들은 각각 B2와 C2를 곱한 값, B2부터 C5까지의 모든 값을 곱한 값, B2와 C2부터 B5와 C5까지의 값을 각각 곱한 값, B2부터 B5까지의 값과 C2부터 C5까지의 값을 각각 곱한 후, 그 결과를 모두 더한 값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다음 중 아래 그림의 [매크로 기록] 대화상자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매크로 이름의 첫 글자는 문자, 숫자, 밑줄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공백은 사용할 수 없다.
  2. 바로 가기 키 상자에 사용할 문자는 @나 #과 같은 특수 문자와 숫자는 사용할 수 없으며, 영문 대소 문자는 모두 입력할 수 있다.
  3. 개인용 매크로 통합 문서에 저장된 매크로는 엑셀을 시작할 때마다 모든 통합 문서에서 사용할 수 있다.
  4. 설명 상자에 매크로에 관한 설명을 입력할 수 있으며, 입력된 내용은 매크로 실행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정답률: 51%)
  • "바로 가기 키 상자에 사용할 문자는 @나 #과 같은 특수 문자와 숫자는 사용할 수 없으며, 영문 대소 문자는 모두 입력할 수 있다."는 [매크로 단축키] 대화상자에 대한 설명이므로, [매크로 기록] 대화상자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다음 중 아래의 시트에서 지원자가 0이 아닌 셀의 평균을 구하는 [B9] 셀의 수식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SUMIF(B2:B7,"<>0")/COUNTIF(B2:B7,"<>0")
  2. =SUMIF(B2:B7,"<>0")/COUNT(B2:B7)
  3. =AVERAGEIF(B2:B7,"<>0")
  4. {=AVERAGE(IF(B2:B7<>0,B2:B7))}
(정답률: 47%)
  • 정답은 "=AVERAGEIF(B2:B7,"<>0")"입니다.

    이유는 AVERAGEIF 함수는 조건에 맞는 셀의 평균을 구하는 함수이지만, 조건에 맞지 않는 셀은 평균 계산에서 제외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0이 아닌 값과 0이 아닌 값이 아닌 셀의 개수가 다른 경우에는 올바른 평균을 구할 수 없습니다.

    그러나 SUMIF 함수와 COUNTIF 함수를 조합하여 0이 아닌 값의 합과 0이 아닌 값의 개수를 구한 후, 이를 나누어 평균을 구할 수 있습니다. 이 방법은 0이 아닌 값과 0이 아닌 값이 아닌 값의 개수가 다른 경우에도 올바른 평균을 구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다음 중 10,000,000원을 2년간 연 5.5%의 이자율로 대출 할 때, 매월 말 상환해야 할 불입액을 구하기 위한 수식으로 옳은 것은?

  1. =PMT(5.5%/12, 24, -10000000)
  2. =PMT(5.5%, 24, -10000000)
  3. =PMT(5.5%, 24, -10000000,0,1)
  4. =PMT(5.5%/12, 24, -10000000,0,1)
(정답률: 64%)
  • 정답은 "=PMT(5.5%/12, 24, -10000000)" 입니다.

    PMT 함수는 대출 상환금 계산에 사용되는 함수로, 매월 상환해야 할 금액을 계산해줍니다. 이 함수는 다음과 같은 인수를 가집니다.

    =PMT(이자율/12, 상환기간(개월), 대출금액, [잔액], [타입])

    - 이자율/12: 연이율을 월 이율로 변환한 값입니다.
    - 상환기간(개월): 대출 상환 기간을 월 단위로 입력합니다.
    - 대출금액: 대출 받은 금액을 입력합니다. 이 값은 음수로 입력합니다.
    - [잔액]: 대출 상환 후 남은 잔액을 입력합니다. 생략 가능합니다.
    - [타입]: 대출 상환 방식을 지정합니다. 0이면 만기일에 대출금 전액을 상환하는 일시상환 방식, 1이면 매월 일정한 금액을 상환하는 원리금 균등상환 방식을 사용합니다. 생략 가능합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대출금액이 10,000,000원이고, 상환기간이 2년(24개월)이며, 이자율이 연 5.5%이므로 월 이자율은 5.5%/12입니다. 잔액과 상환 방식은 생략하고, PMT 함수를 적용하면 매월 말 상환해야 할 불입액이 -469,389원(약 469,390원)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다음 중 [보기]탭의 [페이지 나누기 미리보기]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페이지 나누기는 구분선을 이용하여 인쇄를 위한 페이지 나누기를 빠르게 조정하는 기능이다.
  2. 행 높이와 열 너비를 변경하면 자동 페이지 나누기의 위치도 변경된다.
  3. [페이지 나누기 미리보기]에서 수동으로 삽입된 페이지 나누기는 파선으로 표시되고 자동으로 추가된 페이지 나누기는 실선으로 표시된다.
  4. 용지 크기, 여백 설정, 배율 옵션 등에 따라 자동 페이지 나누기가 삽입된다.
(정답률: 73%)
  • "[페이지 나누기 미리보기]에서 수동으로 삽입된 페이지 나누기는 파선으로 표시되고 자동으로 추가된 페이지 나누기는 실선으로 표시된다." 이 설명은 옳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다음 중 수식 작성 과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셀 범위를 참조할 때에는 시작 셀 이름과 마지막 셀 이름 사이에 콜론(:)이 입력된다.
  2. 다른 워크시트의 값을 참조하는 경우 해당 워크시트 이름에 알파벳 이외의 문자가 포함되어 있으면 워크시트의 이름은 큰 따옴표(“”)로 묶인다.
  3. 수식 안의 문자나 숫자에는 글꼴 서식이 지정되지 않는다.
  4. 외부 참조에는 통합 문서의 이름과 경로가 포함된다.
(정답률: 61%)
  • 수식 안의 문자나 숫자에는 글꼴 서식이 지정되지 않는다는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수식 안의 문자나 숫자에도 글꼴, 크기, 색상 등의 서식을 지정할 수 있습니다.

    다른 워크시트의 값을 참조하는 경우 해당 워크시트 이름에 알파벳 이외의 문자가 포함되어 있으면 워크시트의 이름은 큰 따옴표로 묶입니다. 이는 엑셀에서 워크시트 이름에 사용할 수 있는 문자가 제한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워크시트 이름에 공백이나 특수문자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큰 따옴표로 묶어서 사용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다음 중 워크시트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1. 탭 스크롤 단추()를 이용하여 다른 시트를 빠르게 선택할 수 있다.
  2. 행과 열이 교차되면서 만들어진 사각형으로 데이터가 입력되는 기본 단위를 워크시트라고 한다.
  3. 새로운 통합 문서를 열었을 때 기본적으로 만들어 지는 워크시트 수는 항상 3개로 한정되어 있다.
  4. 이름 상자는 현재 작업 중인 셀의 이름이나 주소를 표시하는 부분으로, 차트나 그리기 개체를 선택하면 개체의 이름이 표시된다.
(정답률: 37%)
  • 이름 상자는 현재 작업 중인 셀의 이름이나 주소를 표시하는 부분으로, 차트나 그리기 개체를 선택하면 개체의 이름이 표시된다. - 이유: 이름 상자는 현재 선택된 셀의 주소나 이름을 표시하기 때문에, 차트나 그리기 개체를 선택하면 해당 개체의 이름이 표시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다음 중 [Office 단추]-[Excel 옵션]-[고급] 탭에서 설정 할 수 없는 것은?

  1. 셀에 데이터를 입력한 후 <Enter> 키를 누를 때 포인터의 이동 방향을 오른쪽, 왼쪽, 아래쪽, 위쪽 중의 하나로 지정할 수 있다.
  2. 페이지 나누기 선의 표시 여부를 지정할 수 있다.
  3. 눈금선 표시 여부를 지정할 수 있다.
  4. 새 통합 문서를 열었을 때 적용할 표준 글꼴과 글꼴 크기, 새 시트의 기본 보기를 지정할 수 있다.
(정답률: 49%)
  • 정답은 "셀에 데이터를 입력한 후 키를 누를 때 포인터의 이동 방향을 오른쪽, 왼쪽, 아래쪽, 위쪽 중의 하나로 지정할 수 있다." 입니다. 이는 [고급] 탭이 아닌 [일반] 탭에서 설정할 수 있습니다. 나머지 항목들은 [고급] 탭에서 설정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다음 중 차트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차트를 작성하려면 반드시 원본 데이터가 있어야 하며, 작성된 차트는 원본 데이터가 변경되면 차트의 내용이 함께 변경된다.
  2. 특정 차트 서식 파일을 자주 사용하는 경우에는 이 서식 파일을 기본 차트로 설정할 수 있다.
  3. 차트에 사용될 데이터를 범위로 지정한 후 <Alt>+<F11>키를 누르면 데이터가 있는 워크시트에 기본 차트인 묶은 세로 막대형 차트가 작성된다.
  4. 차트에 두 개 이상의 차트 종류를 사용하여 혼합형 차트를 만들 수 있다.
(정답률: 56%)
  • "차트에 사용될 데이터를 범위로 지정한 후 +키를 누르면 데이터가 있는 워크시트에 기본 차트인 묶은 세로 막대형 차트가 작성된다."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이는 차트를 작성하는 방법 중 하나이지만, 모든 차트가 이 방법으로 작성되는 것은 아닙니다. 차트를 작성하는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다음 중 아래에서 설명하는 차트의 종류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주식형 차트
  2. 분산형 차트
  3. 영역형 차트
  4. 방사형 차트
(정답률: 70%)
  • 주식형 차트는 주식 시장에서 주로 사용되는 차트로, 시간에 따른 가격 변동을 보여줍니다. 영역형 차트는 데이터의 크기를 면적으로 나타내는 차트입니다. 방사형 차트는 중심에서부터 방사형으로 나누어진 축에 따라 데이터를 나타내는 차트입니다. 따라서, 이 중에서 가장 적절한 차트는 분산형 차트입니다. 분산형 차트는 두 변수 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차트로, 가로축과 세로축에 각각 다른 변수를 나타내어 점으로 표시하고, 점들의 분포를 보여줍니다. 위의 차트도 두 변수 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분산형 차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워크시트 인쇄 시 매 페이지 상단에 ‘작성 일 : 오늘 날짜’를 출력하려고 한다. 다음 중 머리글의 내용으로 옳은 것은? (표시 예: 오늘 날짜가 2014-01-01인 경우 → 작성 일 : 2014-01-01 )

  1. “작성 일 : ”&[날짜]
  2. “작성 일 : ”&[DATE]
  3. 작성 일 : &[날짜]
  4. 작성 일 : &[DATE]
(정답률: 39%)
  • 정답: 작성 일 : &[날짜]

    이유: &[날짜]는 워크시트에 현재 날짜를 삽입하는 필드 코드이다. 따라서 머리글에 "작성 일 : "과 함께 &[날짜]를 사용하면 매 페이지 상단에 작성 일과 현재 날짜가 출력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데이터베이스 일반

41. 다음 중 VBA 코드로 작성한 모듈에서 txt날짜_DblClick인 프로시저가 실행되는 시점으로 옳은 것은?

  1. 다른 프로시저에서 이 프로시저를 호출해야 실행된다.
  2. 해당 폼을 열면 폼에 속해 있는 모든 프로시저가 실행된다.
  3. txt날짜 컨트롤이 더블 클릭될 때 실행된다.
  4. 해당 폼의 txt날짜 컨트롤에 값이 입력되면 실행된다.
(정답률: 71%)
  • 정답은 "txt날짜 컨트롤이 더블 클릭될 때 실행된다." 입니다. 이유는 해당 모듈에 있는 프로시저는 txt날짜 컨트롤의 DblClick 이벤트에 연결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해당 컨트롤이 더블 클릭되면 이벤트가 발생하고, 이벤트에 연결된 프로시저가 실행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다음 중 보고서 머리글과 바닥글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보고서 머리글은 보고서의 첫 페이지에 한 번만 출력 된다.
  2. 보고서 바닥글은 전체 데이터에 대한 합계와 같은 요약 정보를 나타내는데 사용된다.
  3. 보고서 첫 페이지의 윗 부분에는 보고서 머리글이 먼저 나타나고 다음에 페이지 머리글이 출력된다.
  4. 보고서를 인쇄하거나 미리 보는 경우에는 보고서 바닥글이 페이지 바닥글 아래에 표시된다.
(정답률: 49%)
  • "보고서를 인쇄하거나 미리 보는 경우에는 보고서 바닥글이 페이지 바닥글 아래에 표시된다."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보고서 바닥글은 페이지 바닥에 출력되며, 인쇄 또는 미리 보기 모드에서도 동일하게 출력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다음 중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를 실제 처리하는데 사용되는 데이터 조작어에 해당하는 SQL문은?

  1. COMMIT
  2. SELECT
  3. DROP
  4. CREATE
(정답률: 65%)
  • SELECT 문은 데이터베이스에서 데이터를 조회하고 검색하는 데 사용되는 데이터 조작어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하거나 삭제하거나 변경하는 데 사용되는 데이터 정의어나 데이터 제어어입니다. 따라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를 실제 처리하는 데 사용되는 데이터 조작어는 SELECT 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다음 중 정규화(Normalization)의 목적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테이블의 불일치 위험을 최소화하고 데이터 구조의 안정성을 최대화한다.
  2. 모든 릴레이션이 데이터베이스 내에서 모든 개체 간의 관계를 표현 가능하도록 한다.
  3. 간단한 관계 연산에 의해 효율적인 정보 검색과 데이터 조작이 가능하다.
  4. 데이터 중복을 최소화하기 위해 데이터베이스의 물리적 설계 단계에서 수행한다.
(정답률: 51%)
  • "데이터 중복을 최소화하기 위해 데이터베이스의 물리적 설계 단계에서 수행한다."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정규화의 목적은 데이터의 중복을 최소화하고 데이터 구조의 안정성을 최대화하여 데이터의 일관성과 무결성을 유지하는 것입니다. 이를 통해 간단한 관계 연산에 의해 효율적인 정보 검색과 데이터 조작이 가능하며, 모든 릴레이션이 데이터베이스 내에서 모든 개체 간의 관계를 표현 가능하도록 합니다. 따라서 "데이터 중복을 최소화하기 위해 데이터베이스의 물리적 설계 단계에서 수행한다."라는 설명은 옳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다음 중 보고서 인쇄 미리 보기에서의 [페이지 설정] 대화상자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열] 탭의 ‘열 크기’에서 '본문과 같게'는 열의 너비와 높이를 보고서 본문의 너비와 높이에 맞춰 인쇄하는 것이다.
  2. [열] 탭에서 지정한 ‘눈금 설정’과 ‘열 크기’에 비해 페이지의 가로 크기가 작은 경우 자동으로 축소하여 인쇄된다.
  3. [인쇄 옵션] 탭에서 레이블 및 컨트롤의 테두리, 눈금선 등의 그래픽은 인쇄하지 않고 데이터만 인쇄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4. [페이지] 탭에서는 인쇄할 용지의 크기, 용지 방향, 프린터를 지정할 수 있다.
(정답률: 52%)
  • "[열] 탭에서 지정한 ‘눈금 설정’과 ‘열 크기’에 비해 페이지의 가로 크기가 작은 경우 자동으로 축소하여 인쇄된다." 이 설명은 옳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다음 중 제품별 납품 현황을 출력하기 위한 아래의 보고서를 작성하는 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단, 이 보고서는 전체 7페이지이며, 현재 표시된 부분은 5페이지이다.)

  1. '제품별 납품 현황'을 표시하는 부분은 페이지 머리글에 작성하였다.
  2. 제품명, 납품일자 등의 레이블과 두 개의 선이 표시되는 부분은 그룹 머리글에 작성하였으며, '반복 실행 구역' 속성을 '예'로 설정하였다.
  3. 납품일자, 납품수량, 납품금액을 표시하는 텍스트 상자 컨트롤에는 [납품수량]>=100 과 같은 식을 조건으로 하는 '조건부 서식'이 적용되었다.
  4. 와이어, 감쇠기 등이 표시되는 ‘제품명’ 컨트롤은 그룹 머리글 영역에 작성하여 그룹별로 한 번씩만 표시되도록 설정하였다.
(정답률: 45%)
  • "'제품별 납품 현황'을 표시하는 부분은 페이지 머리글에 작성하였다."라는 설명이 옳지 않다. 보고서의 현재 표시된 부분은 5페이지이며, 이 부분은 페이지 머리글이 아닌 반복 실행 구역에 해당한다. 따라서 "'제품별 납품 현황'을 표시하는 부분은 반복 실행 구역에 작성하였다."라는 설명이 맞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다음 중 액세스의 내보내기(Export) 기능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테이블이나 쿼리, 폼이나 보고서 등을 다른 형식으로 바꾸어 파일로 저장할 수 있다.
  2. 테이블을 Access 데이터베이스로 내보내는 경우 ‘정의 및 데이터’를 내보낼 것인지 ‘정의만’ 내보낼 것인지 선택할 수 있다.
  3. 쿼리를 엑셀이나 HTML 형식으로 내보내는 경우, 쿼리의 SQL문이 아니라 SQL문의 실행 결과가 저장 된다.
  4. 테이블은 내보내지 않고 보고서만 'Word'(*.rtf)로 내보내는 경우 원본 테이블이 없으므로 데이터는 표시되지 않는다.
(정답률: 54%)
  • "테이블은 내보내지 않고 보고서만 'Word'(*.rtf)로 내보내는 경우 원본 테이블이 없으므로 데이터는 표시되지 않는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보고서를 Word 형식으로 내보내더라도 보고서에 표시되는 데이터는 원본 테이블에서 가져온 데이터이므로 데이터는 표시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다음 중 데이터 형식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숫자 형식을 선택하면 기본적으로 실수가 지정된다.
  2. 예/아니오 형식은 ‘예’ 값에는 ‘-1’이 사용되고, ‘아니요’ 값에는 ‘0’이 사용된다.
  3. 일련번호 형식의 필드는 사용자가 임의로 입력하거나 수정할 수 없다.
  4. 텍스트 형식은 문자를 최대 255자까지 저장할 수 있다.
(정답률: 38%)
  • "숫자 형식을 선택하면 기본적으로 실수가 지정된다."라는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숫자 형식을 선택하면 정수, 실수, 통화 등 다양한 숫자 형식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숫자 형식을 선택하면 기본적으로 실수가 지정된다는 이유는 없습니다. 다만, 일부 프로그램에서는 숫자 형식을 선택할 때 기본값으로 실수 형식이 선택되는 경우가 있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다음 중 실행 쿼리의 삽입(INSERT)문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여러 개의 레코드를 한 번에 여러 개의 테이블에 동시에 추가할 수 있다.
  2. 필드 값을 직접 지정하거나 다른 테이블의 레코드를 추출하여 추가할 수 있다.
  3. 레코드의 전체 필드를 추가할 경우 필드 이름을 생략 할 수 있다.
  4. 하나의 INSERT문을 이용해 여러 개의 레코드와 필드를 삽입할 수 있다.
(정답률: 59%)
  • "여러 개의 레코드를 한 번에 여러 개의 테이블에 동시에 추가할 수 있다."는 옳은 설명입니다. INSERT문은 한 번에 여러 개의 레코드를 추가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여러 개의 테이블에 동시에 추가할 수도 있습니다. 이는 INSERT문의 SELECT 절을 이용하여 다른 테이블에서 레코드를 추출하여 추가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 보기에서 옳지 않은 설명은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다음 중 아래 SQL문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테이블 T1과 T2에서 품번이 일치하는 레코드들만 선택된다.
  2. 테이블 T2의 소재지가 서울 또는 수원인 레코드들만 선택된다.
  3. 테이블 T1의 품번 필드와 T2의 소재지 필드만 SQL 실행 결과로 표시된다.
  4. 테이블 T1의 품번 필드와 T2의 제조사 필드만 SQL 실행 결과로 표시된다.
(정답률: 59%)
  • 테이블 T1과 T2에서 INNER JOIN을 사용하여 품번이 일치하는 레코드들만 선택하였고, SELECT 구문에서는 T1의 품번 필드와 T2의 제조사 필드만 선택하였기 때문에 "테이블 T1의 품번 필드와 T2의 제조사 필드만 SQL 실행 결과로 표시된다."가 옳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다음 중 매개변수 쿼리를 작성하기 위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매개변수 쿼리는 쿼리 실행 시 조건을 입력받아 조건에 맞는 레코드만 반환하는 쿼리이다.
  2. 매개 변수를 적용할 필드의 조건 행에서 매개 변수 대화 상자에 표시할 텍스트를 { } 중괄호로 묶어 입력한다.
  3. Like 키워드와 와일드카드 문자를 사용하여 필드 값의 일부로 검색할 수 있는 조건을 만들 수 있다.
  4. 매개 변수 대화 상자에 표시할 텍스트에 ‘.’ , ‘!’ , ‘[ ]’ 와 같은 특수 문자는 포함시키면 안된다.
(정답률: 59%)
  • 매개 변수 대화 상자에 표시할 텍스트에 ‘.’ , ‘!’ , ‘[ ]’ 와 같은 특수 문자는 포함시키면 안된다는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이유는 매개 변수 대화 상자에 표시할 텍스트에 특수 문자를 포함시킬 수 있지만, 이 경우 중괄호로 묶어주어야 합니다. 예를 들어, {my.field}와 같이 표시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매개 변수를 적용할 필드의 조건 행에서 매개 변수 대화 상자에 표시할 텍스트를 { } 중괄호로 묶어 입력한다."가 옳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다음 중 문자열 처리 함수 instr의 식이 아래와 같을 때, 결과 값으로 옳은 것은?

  1. 0
  2. true
  3. 3
  4. 3, 7
(정답률: 57%)
  • instr 함수는 문자열에서 특정 문자열이 처음으로 나타나는 위치를 반환하는 함수입니다. 위의 식에서 "Hello, World!" 문자열에서 "o"가 처음으로 나타나는 위치를 찾으라는 의미입니다. "o"는 4번째와 8번째 위치에 나타나지만, instr 함수는 처음으로 나타나는 위치만 반환하므로 결과 값은 4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3"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다음 중 사원 테이블(사원번호, 이름, 직급, 급여, 부서명)에서 직급이 관리자인 사원의 급여를 20%씩 인상하는 SQL문으로 옳은 것은?

  1. update from 사원 set 급여=급여*1.2 where 직급=‘관리자’
  2. update 사원 set 급여=급여*1.2 where 직급=‘관리자’
  3. update 급여 set 급여 * 1.2 from 사원 where 직급=‘관리자’
  4. update 급여=급여*1.2 set 사원 where 직급=‘관리자’
(정답률: 47%)
  • 정답은 "update 사원 set 급여=급여*1.2 where 직급=‘관리자’"입니다.

    해당 SQL문은 사원 테이블에서 직급이 관리자인 사원의 급여를 20%씩 인상하는 것입니다. "update"는 업데이트를 의미하며, "사원"은 테이블 이름입니다. "set"은 업데이트할 컬럼과 값을 지정하는 구문이며, "급여=급여*1.2"는 급여 컬럼의 값을 20% 증가시키는 것을 의미합니다. "where"는 조건을 지정하는 구문으로, "직급=‘관리자’"는 직급이 관리자인 사원을 대상으로 업데이트를 수행하라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다음 중 테이블의 관계 설정에 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두 테이블을 직접 다대다 관계로 설정할 수 있다.
  2. 일대다 관계는 하나의 테이블에 저장된 대표 값을 다른 테이블에서 여러 번 참조하는 작업에 적합하다.
  3. 일대일 관계에서 한 테이블의 각 레코드는 다른 테이블의 한 레코드에만 대응된다.
  4. 참조 무결성 유지를 설정하면 기본 테이블의 기본 키 필드에 없는 값은 관련된 테이블의 외래 키 필드에 입력할 수 없다.
(정답률: 50%)
  • "두 테이블을 직접 다대다 관계로 설정할 수 있다."는 옳은 내용이다. 다대다 관계는 중간에 연결 테이블을 두어 두 개의 일대다 관계로 나누어 처리하는 방식으로 구현된다. 이를 통해 두 테이블 간의 다대다 관계를 직접 설정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사원 폼을 선택한 후 [만들기].[기타 폼].[모달 대화 상자]를 선택하여 모달 대화상자 폼을 생성하였다. 다음 중 모달 대화 상자 폼의 실행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생성된 폼의 2개 버튼 중 하나는 [확인]이다.
  2. 생성된 폼의 2개 버튼 중 하나는 [취소]이다.
  3. 확인 버튼을 누르면 사원 폼이 열린다.
  4. 취소 버튼을 누르면 대화상자가 닫힌다.
(정답률: 60%)
  • "확인 버튼을 누르면 사원 폼이 열린다."가 옳은 설명이다. 모달 대화 상자 폼은 사용자가 다른 작업을 수행하기 전에 반드시 닫아야 하는 상자이며, 이 경우에는 확인 버튼을 누르면 사원 폼이 열리도록 설정되어 있기 때문이다. 취소 버튼을 누르면 대화상자가 닫히기 때문에 이 설명은 옳다. 생성된 폼의 2개 버튼 중 하나는 [확인]이고, 다른 하나는 [취소]이기 때문에 이 설명도 옳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다음 중 현재 폼에서 'cmd숨기기' 단추를 클릭하는 경우, DateDue 컨트롤이 표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이벤트 프로시저로 옳은 것은?

  1. Private Sub cmd숨기기_Click()
    Me.[DateDue]!Visible = False
    End Sub
  2. Private Sub cmd숨기기_DblClick()
    Me!DateDue.Visible = True
    End Sub
  3. Private Sub cmd숨기기_Click()
    Me![DateDue].Visible = False
    End Sub
  4. Private Sub cmd숨기기_DblClick()
    Me.DateDue!Visible = True
    End Sub
(정답률: 64%)
  • 정답: "Private Sub cmd숨기기_Click()
    Me![DateDue].Visible = False
    End Sub"

    이유:
    - Private Sub: 이벤트 프로시저를 선언하는 키워드로, 이벤트가 발생했을 때 실행될 코드를 작성한다.
    - cmd숨기기_Click(): "cmd숨기기" 버튼을 클릭했을 때 실행될 이벤트 프로시저를 지정한다.
    - Me![DateDue].Visible = False: 현재 폼에서 "DateDue" 컨트롤의 Visible 속성을 False로 설정하여 숨긴다.
    - End Sub: 이벤트 프로시저의 끝을 나타내는 키워드로, 이후에는 다른 코드가 작성될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다음 중 필드 속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입력 마스크는 텍스트, 숫자, 날짜/시간, 통화 형식에서 사용할 수 있다.
  2. 필드 값이 반드시 있어야 하는 경우, 필수 속성을 ‘예’로 설정하면 된다.
  3. ‘예 /아니오’의 세부 형식은 ‘Yes/No’와 ‘True/False’ 두 가지를 제공한다.
  4. 텍스트, 숫자, 일련 번호 형식에서만 필드 크기를 지정할 수 있다.
(정답률: 64%)
  • "텍스트, 숫자, 일련 번호 형식에서만 필드 크기를 지정할 수 있다."는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필드 크기는 다른 형식에서도 지정할 수 있습니다.

    "예/아니오"의 세부 형식은 "Yes/No"와 "True/False" 두 가지를 제공하는 이유는 둘 다 같은 의미를 가지기 때문입니다. 즉, "Yes/True"는 참(True)을 나타내고, "No/False"는 거짓(False)을 나타냅니다. 이러한 형식은 데이터베이스에서 논리적인 값을 저장할 때 자주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다음 중 폼의 탭 순서(Tab Order)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기본으로 설정되는 탭 순서는 폼에 컨트롤을 추가하여 작성한 순서대로 설정된다.
  2. [탭 순서] 대화상자의 [자동 순서]는 탭 순서를 위에서 아래로,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설정한다.
  3. 폼 보기에서 <Tab>키를 눌렀을 때 각 컨트롤 사이에 이동되는 순서를 설정하는 것이다.
  4. 탭 정지 속성의 기본 값은 ‘예’이다.
(정답률: 71%)
  • "[탭 순서] 대화상자의 [자동 순서]는 탭 순서를 위에서 아래로,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설정한다."가 옳은 설명이다. 이는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폼을 작성할 때 컨트롤을 추가한 순서대로 탭 순서가 설정되는 것과는 다른 설정 방법이다. 이 설정은 [탭 순서] 대화상자에서 [자동 순서]를 선택하면 적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다음 중 피벗 테이블 작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피벗 테이블 구성 필드를 열 필드 머리글로 드래그하여 설정할 수 있다.
  2. 세부 정보 필드에는 한 번에 하나의 필드만을 삽입하여 분석할 수 있다.
  3. 데이터를 요약하여 분석 표 형식으로 알아볼 수 있게 해주는 대화형 테이블을 말한다.
  4. [폼] 그룹에서 [기타 폼]을 클릭한 후 [피벗 테이블]을 선택하여 이용한다.
(정답률: 65%)
  • "세부 정보 필드에는 한 번에 하나의 필드만을 삽입하여 분석할 수 있다."는 옳은 설명이다. 이는 피벗 테이블에서 각각의 세부 정보 필드가 서로 다른 데이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동시에 분석할 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각각의 필드를 따로 삽입하여 분석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다음 중 기본 폼과 하위 폼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일 대 다’ 관계일때 하위 폼에는 ‘일’에 해당하는 데이터가 표시되며, 기본 폼에는 ‘다’에 해당하는 데이터가 표시된다.
  2. 하위 폼은 연속 폼의 형태로 표시할 수 있지만 기본 폼은 연속 폼의 형태로 표시할 수 없다.
  3. 기본 폼 내에 포함시킬 수 있는 하위 폼의 개수는 제한이 없으며, 최대 7수준까지 하위폼을 중첩시킬 수 있다.
  4. 테이블, 쿼리나 다른 폼을 이용하여 하위 폼을 작성할 수 있다.
(정답률: 59%)
  • "하위 폼은 연속 폼의 형태로 표시할 수 있지만 기본 폼은 연속 폼의 형태로 표시할 수 없다."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기본 폼도 연속 폼의 형태로 표시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