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터활용능력 1급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5-06-27)

컴퓨터활용능력 1급
(2015-06-27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컴퓨터 일반

1. 다음 중 컴퓨터의 발전 과정으로 3세대 이후의 특징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개인용 컴퓨터의 사용
  2. 전문가 시스템
  3. 일괄처리 시스템
  4. 집적회로의 사용
(정답률: 82%)
  • 일괄처리 시스템은 3세대 이후의 컴퓨터 발전 과정에서 사용되었던 기술 중 하나이지만, 이후에는 시분할 시스템과 다중 프로그래밍 시스템 등으로 대체되어 사용되지 않게 되었습니다. 따라서, 일괄처리 시스템은 3세대 이후의 특징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다음 중 Windows 탐색기에서 [보기] 메뉴의 [내용]을 선택 했을 때 각 파일이나 폴더에 표시되는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윈도우 10 검증 완료)

  1. 수정한 날짜
  2. 디스크 여유 공간
  3. 파일의 크기
  4. 파일의 유형
(정답률: 87%)
  • 정답: 파일의 유형

    설명: [내용] 보기에서는 파일이나 폴더의 이름, 수정한 날짜, 파일 크기, 디스크 여유 공간 등의 정보가 표시됩니다. 파일의 유형은 [세부 정보] 보기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파일의 유형은 [내용] 보기에서는 표시되지 않습니다. 디스크 여유 공간은 해당 폴더나 드라이브의 여유 공간을 나타내므로 파일이나 폴더의 정보와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다음 중 Windows 7의 [Windows 작업 관리자] 창에서 수행할 수 있는 작업으로 옳지 않은 것은?(윈도우 10 검증 완료)

  1. 사용자 계정의 추가와 삭제를 수행할 수 있다.
  2. 현재 실행 중인 프로그램을 강제로 종료시킬 수 있다.
  3. 시스템의 CPU 사용 내용이나 할당된 메모리의 크기를 파악할 수 있다.
  4. 현재 네트워크 상태를 보고 네트워크 이용률을 확인할 수 있다.
(정답률: 70%)
  • "사용자 계정의 추가와 삭제를 수행할 수 있다."는 Windows 7의 작업 관리자에서 수행할 수 없는 작업입니다. 이 작업은 제어판의 "사용자 계정"에서 수행할 수 있습니다. 작업 관리자는 현재 실행 중인 프로그램을 강제로 종료시키거나 시스템의 CPU 사용 내용이나 할당된 메모리의 크기를 파악하거나 현재 네트워크 상태를 보고 네트워크 이용률을 확인하는 등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다음 중 웹 프로그래밍 언어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DHTML
  2. COBOL
  3. SGML
  4. WML
(정답률: 76%)
  • COBOL은 웹 프로그래밍 언어가 아닙니다. COBOL은 업무용 프로그래밍 언어로, 주로 금융, 회계, 업무 처리 등에 사용됩니다. DHTML, SGML, WML은 모두 웹 프로그래밍 언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다음 중 인터넷 통신 장비인 게이트웨이(Gateway)의 기본적인 역할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현재 위치한 네트워크에서 다른 네트워크로 연결할 때 사용된다.
  2. 인터넷 신호를 증폭하며 먼 거리로 정보를 전달할 때 사용된다.
  3. 네트워크 계층의 연동장치로 경로 설정에 사용된다.
  4. 문자로 된 도메인 이름을 숫자로 이루어진 실제 IP 주소로 변환하는데 사용된다.
(정답률: 73%)
  • 게이트웨이는 현재 위치한 네트워크에서 다른 네트워크로 연결할 때 사용됩니다. 이는 다른 네트워크와 통신하기 위해 필요한 경로를 설정하고, 데이터를 전송하는 역할을 합니다. 예를 들어, 회사 내부 네트워크에서 인터넷에 접속하기 위해서는 인터넷과 연결된 게이트웨이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다음 중 Windows 7에서 사용하는 바로 가기키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윈도우 10 검증 완료)

  1. 윈도우키 + L : 컴퓨터 잠금 또는 사용자 전환
  2. 윈도우키 + R : 실행 대화상자 열기
  3. 윈도우키 + Pause : 제어판의 [시스템] 창 표시
  4. 윈도우키 + E : 장치 및 프린터 추가
(정답률: 74%)
  • 윈도우키 + E는 파일 탐색기를 열어주는 단축키이며, 장치 및 프린터 추가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따라서 "윈도우키 + E : 장치 및 프린터 추가"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다음 중 인터넷 보안을 위한 해결책으로 사용되는 암호화 기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비밀키 암호화 기법은 동일한 키로 데이터를 암호화 하고 복호화한다.
  2. 비밀키 암호화 기법은 대칭키 암호화 기법 또는 단일키 암호화 기법이라고도 하며, 대표적으로 DES(Data Encryption Standard)가 있다.
  3. 공개키 암호화 기법은 비대칭 암호화 기법이라고도 하며, 대표적인 암호화 방식으로 RSA(Rivest, Shamir, Adleman)가 있다.
  4. 공개키 암호화 기법에서는 암호화할 때 사용하는 키는 비밀로 하고, 복호화할 때 사용하는 키는 공개하는 방식을 사용한다.
(정답률: 80%)
  • "공개키 암호화 기법에서는 암호화할 때 사용하는 키는 비밀로 하고, 복호화할 때 사용하는 키는 공개하는 방식을 사용한다." 이 설명은 옳은 설명입니다.

    이유는 공개키 암호화 기법에서는 두 개의 서로 다른 키를 사용합니다. 하나는 공개키(public key)로 암호화에 사용되며, 다른 하나는 개인키(private key)로 복호화에 사용됩니다. 공개키는 누구나 알 수 있지만, 개인키는 소유자만이 알고 있습니다. 따라서 공개키를 이용해 암호화된 데이터는 개인키를 이용해만 복호화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방식으로 공개키 암호화 기법은 안전하게 데이터를 전송하고 저장할 수 있도록 보안성을 제공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다음 중 소프트웨어의 사용권에 따른 분류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애드웨어 : 배너 광고를 보는 대가로 무료로 사용하는 소프트웨어이다.
  2. 셰어웨어 : 정식 버전이 출시되기 전에 프로그램에 대한 일반인의 평가를 받기 위해 제작된 소프트웨어이다.
  3. 번들 : 특정한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를 구매하였을 때 포함하여 주는 소프트웨어이다.
  4. 프리웨어 : 돈을 내지 않고도 사용가능하고 다른 사람에게 전달해 줄 수 있는 소프트웨어이다.
(정답률: 87%)
  • 정답: 셰어웨어 : 정식 버전이 출시되기 전에 프로그램에 대한 일반인의 평가를 받기 위해 제작된 소프트웨어이다. (옳은 설명)

    해설: 애드웨어는 무료로 사용할 수 있지만 광고를 보여주는 소프트웨어, 번들은 다른 제품과 함께 패키지로 제공되는 소프트웨어, 프리웨어는 무료로 사용 가능하고 배포도 가능한 소프트웨어를 의미한다. 셰어웨어는 일정 기간 동안 무료로 사용 가능하며, 이후에는 유료로 전환되는 소프트웨어를 말한다. 일반인의 평가를 받기 위해 무료로 제공되는 경우도 있지만, 이는 셰어웨어의 일부분에 해당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다음 중 동영상 데이터 파일 형식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AVI
  2. DVI
  3. ASF
  4. DXF
(정답률: 71%)
  • DXF는 2차원 및 3차원 CAD 데이터 파일 형식이며, 동영상 데이터 파일 형식이 아닙니다. 따라서 정답은 DXF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다음 중 컴퓨터의 운영체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시스템의 모든 동작 상태를 관리하고 감독하는 제어프로그램의 핵심 프로그램을 슈퍼바이저(Supervisor)라 부른다.
  2. 운영체제는 컴퓨터가 동작하는 동안 하드디스크 내에 위치하여 여러 종류의 자원 관리 서비스를 제공한다.
  3. 키보드, 모니터, 디스크 드라이브 등의 필수적인 주변장치들을 관리하는 BIOS를 포함한다.
  4. 운영체제는 사용자가 응용프로그램을 편리하게 사용하고, 하드웨어의 성능을 최적화 할 수 있도록 한다.
(정답률: 43%)
  • 운영체제는 컴퓨터가 동작하는 동안 하드디스크 내에 위치하여 여러 종류의 자원 관리 서비스를 제공한다. (옳은 설명)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다음 중 시스템의 정보 보안을 위한 기본 충족 요건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시스템 내의 정보와 자원은 인가된 사용자만 접근이 허용되어야 한다.
  2. 소프트웨어의 버전과 저작권에 관한 내용이 인증되어야 한다.
  3. 정보를 전송하는 과정에서 변경되지 않고 전달되어야 한다.
  4. 사용자를 식별하고 접근 권한을 확인할 수 있어야 한다.
(정답률: 65%)
  • 소프트웨어의 버전과 저작권에 관한 내용이 인증되어야 한다는 것은 시스템의 정보 보안을 위한 기본 충족 요건으로 적절하지 않습니다. 이는 소프트웨어의 버전과 저작권에 대한 인증은 정보 보안과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 요건은 정보 보안을 위한 기본 충족 요건으로 적절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다음 중 컴퓨터에서 사용되는 펌웨어(Firmware)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하드웨어의 동작을 지시하는 소프트웨어이지만 하드웨어적으로 구성되어 하드웨어의 일부분으로도 볼 수 있는 제품을 말한다.
  2. 하드웨어 교체 없이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 만으로 시스템의 성능을 높이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된다.
  3. 시스템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 RAM에 저장되어 관리된다.
  4. 기계어 처리, 데이터 전송, 부동 소수점 연산, 채널 제어 등의 처리 루틴을 가지고 있다.
(정답률: 75%)
  • "시스템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 RAM에 저장되어 관리된다."는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펌웨어는 ROM(Read-Only Memory)에 저장되어 있으며, 시스템 부팅 시에 로드되어 하드웨어의 초기화 및 기본 동작을 수행합니다. RAM(Random Access Memory)은 휘발성 메모리로, 시스템이 작동 중일 때만 데이터를 저장하고 유지합니다. 따라서 펌웨어는 RAM에 저장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다음 중 멀티미디어와 관련하여 JPG 파일 형식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사진과 같은 정지 영상을 표현하기 위한 국제 표준 압축 방식이다.
  2. 24비트 컬러를 사용하여 트루컬러로 이미지를 표현 한다.
  3. 사용자가 압축률을 지정해서 이미지를 압축하는 압축 기법을 사용할 수 있다.
  4. 이미지를 확대해도 테두리가 거칠어지지 않고 매끄럽게 표현된다.
(정답률: 76%)
  • "이미지를 확대해도 테두리가 거칠어지지 않고 매끄럽게 표현된다."는 JPG 파일 형식에 관한 옳은 설명이다. 이는 JPG 파일이 압축 시 이미지의 일부 정보를 제거하지만, 압축률을 지정하여 압축을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이미지의 품질을 유지하면서 파일 크기를 줄일 수 있다. 또한, JPG 파일은 이미지를 작게 압축하여 저장하기 때문에 확대 시 이미지가 거칠어지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JPG 파일은 압축 시 이미지를 부드럽게 처리하여 확대해도 테두리가 거칠어지지 않고 매끄럽게 표현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다음 중 어떤 장치가 다른 장치의 일을 잠시 중단시키고 자신의 상태변화를 알려주는 것을 뜻하는 용어로 옳은 것은?

  1. 클라이언트/서버
  2. 인터럽트
  3. DMA
  4. 채널
(정답률: 80%)
  • 인터럽트는 다른 장치의 일을 잠시 중단시키고 자신의 상태변화를 알려주는 것을 뜻합니다. 다른 보기들은 인터럽트와는 다른 개념들입니다. 클라이언트/서버는 네트워크 구조에서 사용되는 용어이며, DMA는 직접 메모리 접근을 의미하며, 채널은 입출력 장치와 메모리 사이의 데이터 전송 경로를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다음 중 DNS가 가지고 있는 특정 도메인의 IP Address를 검색해 주는 서비스로 옳은 것은?

  1. Gopher
  2. Archie
  3. IRC
  4. Nslookup
(정답률: 80%)
  • Nslookup은 DNS(Domain Name System) 서버에게 특정 도메인의 IP 주소를 검색해 달라는 요청을 보내는 명령어이다. 따라서 DNS가 가지고 있는 특정 도메인의 IP Address를 검색해 주는 서비스는 Nslookup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다음 중 PC 업그레이드 시 고려해야 할 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RAM이나 ODD를 설치할 때 접근 속도의 수치는 작은 것이 좋다.
  2. 하드디스크를 교체할 때에는 연결방식의 종류와 버전을 확인한다.
  3. CPU 클럭 속도는 높은 것이 좋다.
  4. RAM을 추가할 때에는 기존의 것 보다 더 많은 핀 수의 RAM으로 추가한다.
(정답률: 63%)
  • "RAM을 추가할 때에는 기존의 것 보다 더 많은 핀 수의 RAM으로 추가한다."는 옳지 않은 것입니다. RAM을 추가할 때에는 기존의 RAM과 동일한 핀 수와 속도의 RAM을 추가해야 합니다. 이는 호환성 문제를 방지하고 최적의 성능을 유지하기 위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다음 중 Windows 7의 [글꼴]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윈도우 10 검증 완료)

  1. 글꼴 파일은 .rtf 또는 .inf 의 확장자를 가지고 있다.
  2.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글꼴은 C:\Windows\Fonts 폴더에 파일 형태로 저장되어 있다.
  3. TrueType 글꼴과 OpenType 글꼴을 제공하며, 프린터 및 프로그램에서 작동한다.
  4. 글꼴에는 기울임꼴, 굵게, 굵게 기울임꼴과 같은 글꼴 스타일이 있다.
(정답률: 63%)
  • "글꼴 파일은 .rtf 또는 .inf 의 확장자를 가지고 있다."는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글꼴 파일은 보통 .ttf 또는 .otf의 확장자를 가지고 있습니다.

    - .rtf는 Rich Text Format의 약자로, 문서 파일 형식을 나타냅니다.
    - .inf는 Install Information의 약자로, 드라이버나 소프트웨어를 설치할 때 사용되는 설정 파일 형식을 나타냅니다.

    따라서, 글꼴 파일은 위 두 확장자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다음 중 인터넷 주소 체계에서 IPv6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128 비트의 주소를 사용하여 IPv4의 주소 부족 문제를 해결하였다.
  2. IPv4와 비교하였을때 자료 전송 속도가 늦지만, 주소의 확장성과 융통성이 우수하다.
  3. 인증성, 기밀성, 데이터 무결성의 지원으로 보안 기능을 포함한다.
  4. IPv4와 호환성이 있으며, 실시간 흐름제어가 가능하다.
(정답률: 88%)
  • IPv6는 IPv4와 비교하여 자료 전송 속도가 느리지 않습니다. 따라서 "IPv4와 비교하였을때 자료 전송 속도가 늦지만, 주소의 확장성과 융통성이 우수하다."는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IPv6는 IPv4보다 더욱 빠른 자료 전송 속도를 제공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다음 중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USN)의 활용 분야에 속하는 것은?

  1. 테더링
  2. 텔레매틱스
  3. 블루투스
  4. 고퍼
(정답률: 77%)
  • 텔레매틱스는 USN을 이용하여 자동차나 기계 등의 원격 모니터링 및 제어를 가능하게 하는 기술로, USN의 활용 분야 중 하나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USN과는 관련이 있지만, 텔레매틱스와 같이 원격 모니터링 및 제어와 관련된 분야는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다음 중 Windows 7의 [제어판]-[프로그램 및 기능]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윈도우 10 검증 완료)

  1. Windows에 설치되어 있는 응용 프로그램을 변경하거나 제거할 수 있다.
  2. 게임, 인쇄 및 문서 서비스, 인터넷 정보 서비스 등 Windows 7에 포함되어 있는 다양한 기능의 사용 여부를 선택할 수 있다.
  3. 설치된 업데이트를 확인할 수 있으며, 업데이트 목록에서 업데이트를 제거하거나 변경할 수 있다.
  4. [온라인으로 추가 테마보기]를 선택하여 Microsoft사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테마를 추가 설치할 수 있다.
(정답률: 74%)
  • "[온라인으로 추가 테마보기]를 선택하여 Microsoft사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테마를 추가 설치할 수 있다."는 Windows 7의 [제어판]-[개인화]-[테마]에서 가능한 기능이며, [제어판]-[프로그램 및 기능]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따라서,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온라인으로 추가 테마보기]를 선택하여 Microsoft사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테마를 추가 설치할 수 있는 이유는 Microsoft사에서 제공하는 테마 파일을 다운로드하여 설치하기 때문입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Windows 7의 기본 테마 이외에도 다양한 디자인의 테마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스프레드시트 일반

21. 다음 중 아래 그림에서의 각 기능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시트 보호]를 설정하면 기본적으로 셀의 선택만 가능하다.
  2. 시트 보호 시 특정 셀의 내용만 수정 가능하도록 하려면 해당 셀의 [셀 서식]에서‘잠금’설정을 해제한다.
  3. [통합 문서 보호]를 설정하면 포함된 차트, 도형 등의 그래픽 개체를 변경할 수 없다.
  4. [범위 편집 허용]을 이용하면 보호된 워크시트에서 특정 사용자가 범위를 편집할 수 있도록 허용할 수 있다.
(정답률: 65%)
  • "[통합 문서 보호]를 설정하면 포함된 차트, 도형 등의 그래픽 개체를 변경할 수 없다."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통합 문서 보호를 설정하면 그래픽 개체를 변경할 수 없는 것이 아니라, 보호된 워크시트에서 그래픽 개체를 선택하고 이동할 수 없게 됩니다. 따라서, 이 설명은 옳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다음 중 자동 필터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데이터에 필터를 적용하면 지정한 조건에 맞는 행만 표시되고 나머지 행은 숨겨지며, 필터링된 데이터는 다시 정렬하거나 이동하지 않고도 복사, 찾기, 편집 및 인쇄를 할 수 있다.
  2. ‘상위 10 자동 필터’는 숫자 데이터 필드에서만 설정 가능하고, 텍스트 데이터 필드에서는 사용할 수 없다.
  3. 한 열에 숫자 입력 셀이 5개 있고, 텍스트 입력 셀이 3개 있는 경우 자동 필터는 셀의 수가 적은‘텍스트 필터’명령으로 표시된다.
  4. 날짜 데이터는 연, 월, 일의 계층별로 그룹화되어 계층에서 상위 수준을 선택하거나 선택을 취소하는 경우 해당 수준 아래의 중첩된 날짜가 모두 선택되거나 선택 취소된다.
(정답률: 58%)
  • "한 열에 숫자 입력 셀이 5개 있고, 텍스트 입력 셀이 3개 있는 경우 자동 필터는 셀의 수가 적은‘텍스트 필터’명령으로 표시된다." 이 설명이 옳지 않은 이유는, 자동 필터는 데이터의 유형에 따라 적절한 필터를 자동으로 선택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셀의 수가 적은 필터를 선택하는 것이 아니라, 데이터 유형에 따라 적절한 필터를 선택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다음 중 [셀 서식] 대화상자의 [맞춤] 탭에‘텍스트 방향’에서 설정할 수 없는 항목은?

  1. 텍스트 방향대로
  2. 텍스트 반대방향으로
  3. 왼쪽에서 오른쪽
  4. 오른쪽에서 왼쪽
(정답률: 68%)
  • 정답은 "텍스트 반대방향으로"입니다. 이는 텍스트의 방향을 반대로 뒤집는 것으로, 셀의 내용이 거울처럼 반대로 보이게 됩니다. 이는 일반적으로 사용되지 않는 기능으로, 특별한 경우가 아니면 설정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아래 시트에서 [표1]의 할인율[B3]을 적용한 할인가 [B4]를 이용하여 [표2]의 각 정가에 해당하는 할인가 [E3:E6]를 계산하고자 한다. 다음 중 이때 가장 적합한 데이터 도구는?

  1. 통합
  2. 데이터 표
  3. 부분합
  4. 시나리오 관리자
(정답률: 67%)
  • 정답은 "데이터 표"입니다.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1. 데이터 표는 표 형태로 데이터를 정리하고 분석하는 데 가장 적합한 도구입니다.
    2. [표1]의 할인율[B3]과 할인가[B4]를 입력하고, [표2]의 정가를 입력한 후, 데이터 표의 수식 기능을 이용하여 각 정가에 해당하는 할인가를 계산할 수 있습니다.
    3. 데이터 표는 간단하고 직관적인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데이터를 쉽게 필터링하고 정렬할 수 있습니다.
    4. 다른 데이터 도구인 부분합은 주로 데이터의 합계나 평균 등을 계산할 때 사용되며, 시나리오 관리자는 데이터의 시뮬레이션 및 예측에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다음 중 Excel과 Access 간의 데이터 교환 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Excel 통합 문서를 열 때 Access 데이터에 연결하려면 보안 센터 표시줄을 사용하거나 통합 문서를 신뢰할 수 있는 위치에 둠으로써 데이터 연결을 사용할 수 있도록 설정 해야 한다.
  2. Excel의 [데이터] 탭 [외부 데이터 가져오기] 그룹에서 [기타 원본]-[Microsoft Query] 기능을 이용하면 외부 Access 원본 데이터와 동기화할 수 있다.
  3. Excel의 [외부 데이터 가져오기] 기능을 이용하면 Access 파일의 특정 테이블만 선택하여 가져올 수 있다.
  4. Excel의 [데이터] 탭 [연결] 그룹에서 [속성]을 클릭하면 기존 Access 파일의 연결을 추가하거나 제거할 수 있다.
(정답률: 51%)
  • "Excel의 [외부 데이터 가져오기] 기능을 이용하면 Access 파일의 특정 테이블만 선택하여 가져올 수 있다."는 Excel과 Access 간의 데이터 교환 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습니다. 이유는 Excel의 [외부 데이터 가져오기] 기능을 이용하면 Access 파일 전체를 가져올 수 있으며, 특정 테이블만 선택하여 가져올 수 있는 방법은 따로 있지 않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다음 중 바닥글 영역에 페이지 번호를 인쇄하도록 설정된 여러 개의 시트를 출력하면서 전체 출력물의 페이지 번호가 일련번호로 이어지게 하는 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인쇄] 대화상자에서‘인쇄 대상’을‘전체 통합 문서’로 선택하여 인쇄한다.
  2. 전체 시트를 그룹으로 설정한 후 인쇄한다.
  3. 각 시트의 [페이지 설정] 대화상자에서‘일련번호로 출력’을 선택한 후 인쇄한다.
  4. 각 시트의 [페이지 설정] 대화상자에서‘시작 페이지 번호’를 일련번호에 맞게 설정한 후 인쇄한다.
(정답률: 65%)
  • "[인쇄] 대화상자에서‘인쇄 대상’을‘전체 통합 문서’로 선택하여 인쇄한다."가 옳지 않은 것입니다. 이유는 이 방법은 여러 개의 시트를 출력할 때 각 시트마다 페이지 번호가 다시 시작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각 시트의 페이지 설정 대화상자에서 ‘일련번호로 출력’을 선택하여 인쇄해야 전체 출력물의 페이지 번호가 일련번호로 이어지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다음 중 아래의 시트에서 수식 =DSUM(A1:D7, 4, B1:B2)을 실행했을 때의 결과 값으로 옳은 것은?

  1. 10
  2. 15
  3. 40
  4. 55
(정답률: 67%)
  • =DSUM(A1:D7, 4, B1:B2)는 A1:D7 범위에서 "합계" 열의 값들을 더하는 함수이며, 이때 "분류" 열의 값이 B1 또는 B2인 행들만 더하게 됩니다. 따라서 B1과 B2에 해당하는 행들의 "합계" 열 값인 15과 40을 더한 결과인 55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텍스트 파일의 데이터를 워크시트로 가져올 때 사용하는 [텍스트 마법사]에서 각 필드의 너비(열 구분선)를 지정하는 단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앞 단계에서 원본 데이터 형식을 ‘구분 기호로 분리됨’을 선택한 경우 열 구분선을 지정할 수 없다.
  2. 구분선을 넣으려면 원하는 위치를 마우스로 클릭한다.
  3. 열 구분선을 옮기려면 구분선을 삭제한 후 다시 넣어야 한다.
  4. 구분선을 삭제하려면 구분선을 마우스로 두 번 클릭한다.
(정답률: 64%)
  • "구분선을 삭제하려면 구분선을 마우스로 두 번 클릭한다."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구분선을 삭제하려면 해당 구분선을 선택한 후 Delete 키를 누르거나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클릭하여 Delete를 선택하면 됩니다. 이유는 구분선을 두 번 클릭하면 해당 필드의 데이터가 선택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다음 중 아래 프로시저의 실행 결과로 옳은 것은?

  1. [A2]셀에 10이 입력된다.
  2. [A1]셀과 [A3]셀에 10이 입력된다.
  3. [B2]셀에 10이 입력된다.
  4. [B1]셀과 [B3]셀에 10이 입력된다.
(정답률: 40%)
  • 프로시저에서 A1셀과 A3셀에는 값을 입력하는 코드가 없으므로 값이 입력되지 않습니다. 그러나 B1셀과 B3셀에는 각각 10이 입력되는 코드가 있으므로 [B1]셀과 [B3]셀에 10이 입력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B1]셀과 [B3]셀에 10이 입력된다."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다음 중 여러 워크시트를 선택하여 그룹으로 설정한 경우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엑셀 창의 맨 위 제목 표시줄에 [그룹]이라고 표시된다.
  2. 그룹 상태에서 도형이나 차트 등의 그래픽 개체는 삽입되지 않는다.
  3. 그룹으로 설정된 임의의 시트에서 입력하거나 편집한 데이터는 그룹으로 설정된 모든 시트에 반영된다.
  4. 그룹 상태에서 여러 개의 시트에 정렬 및 필터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정답률: 32%)
  • "그룹 상태에서 도형이나 차트 등의 그래픽 개체는 삽입되지 않는다."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여러 워크시트를 선택하여 그룹으로 설정하면, 해당 그룹 상태에서는 선택한 모든 워크시트에 대한 작업이 동시에 이루어집니다. 따라서 여러 개의 시트에 정렬 및 필터 기능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또한, 그룹 상태에서 입력하거나 편집한 데이터는 그룹으로 설정된 모든 시트에 반영됩니다.

    그러나 그룹 상태에서 도형이나 차트 등의 그래픽 개체는 삽입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그래픽 개체는 그룹으로 설정된 모든 시트에 적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아래의 시트에서 [I2:I5] 영역에 [B2:F14] 영역의 표를 참조하는 배열수식을 사용하여 지점별 총대출금액을 구하였다. 다음 중 [I2] 셀의 수식 입력줄에 표시된 함수식으로 옳은 것은?

  1. {=SUMIF($D$2:$D$14=H2))}
  2. {=SUMIF($D$2:$D$14=H2,$E$2:$E$14,1))}
  3. {=SUM(IF($D$2:$D$14=H2,1,0))}
  4. {=SUM(IF($D$2:$D$14=H2,$E$2:$E$14,0))}
(정답률: 48%)
  • 답은 "{=SUM(IF($D$2:$D$14=H2,$E$2:$E$14,0))}" 입니다.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 SUMIF 함수는 조건에 맞는 셀의 값을 합산하는 함수입니다.
    - SUMIF 함수의 첫 번째 인자는 조건을 나타내는 범위, 두 번째 인자는 합산할 범위입니다.
    -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조건에 맞는 셀의 값을 합산해야 하므로, SUMIF 함수를 사용할 수 없습니다.
    - 따라서 IF 함수를 사용하여 조건에 맞는 값을 선택하고, 그 값을 합산하는 방식으로 구현해야 합니다.
    - IF 함수의 첫 번째 인자는 조건을 나타내는 범위, 두 번째 인자는 조건에 맞는 경우 선택할 값, 세 번째 인자는 조건에 맞지 않는 경우 선택할 값입니다.
    - 따라서 "{=SUM(IF($D$2:$D$14=H2,$E$2:$E$14,0))}"은 D2:D14 범위에서 H2와 일치하는 값을 찾아, 그에 해당하는 E2:E14 범위의 값을 선택하여 합산하는 배열 수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다음 중 공유된 통합 문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공유된 통합문서에서는 조건부 서식, 차트, 시나리오 등을 추가하거나 편집할 수 없다.
  2. 암호로 보호된 공유 통합 문서에서 보호를 해제 하여도 통합 문서의 공유 상태는 해제되지 않는다.
  3. 공유 통합 문서를 네트워크 위치에 복사해도 다른 통합 문서와의 연결은 그대로 유지된다.
  4. 공유 통합 문서는 사용자의 엑셀 버전과 관련이 있다.
(정답률: 40%)
  • 암호로 보호된 공유 통합 문서에서 보호를 해제하여도 통합 문서의 공유 상태는 해제되지 않는다는 설명이 옳은 것이다. 이는 공유 통합 문서를 공유한 사용자들이 문서를 계속해서 볼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이 설명은 옳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다음 중 연이율 4.5%로 2년 만기로 매월 말 400,000원씩 저축할 경우, 복리 이자율로 계산하여 만기에 찾을 수 있는 금액을 구하기 위한 수식으로 옳은 것은?

  1. =FV(4.5%/12, 2*12,-400000)
  2. =FV(4.5%/12, 2*12,-400000,,1)
  3. =FV(4.5%, 2*12, -400000,,1)
  4. =FV(4.5%, 2*12, -400000)
(정답률: 60%)
  • 정답은 "=FV(4.5%/12, 2*12,-400000)" 입니다.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 "=FV()"는 Excel에서 복리 이자를 계산하는 함수입니다.
    - 함수 안에 들어가는 인자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 첫 번째 인자: 이자율을 월 단위로 나타낸 값입니다. 4.5%를 12로 나누어서 월 이자율로 변환한 값인 0.375%를 입력합니다.
    - 두 번째 인자: 저축 기간을 월 단위로 나타낸 값입니다. 2년을 12로 곱하여 총 24개월을 입력합니다.
    - 세 번째 인자: 매월 저축하는 금액을 음수로 입력합니다. 이유는 Excel에서 현금 유입을 음수로 표시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매월 400,000원을 저축한다면 -400000을 입력합니다.
    - 네 번째 인자: 생략 가능한 인자로, 0 또는 1의 값을 입력할 수 있습니다. 1을 입력하면 계산 결과를 원화로 표시하고, 생략하거나 0을 입력하면 기본 통화 단위로 표시합니다. 이 문제에서는 생략하였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아래의 왼쪽 차트를 수정하여 오른쪽 차트로 변환하였다. 다음 중 변환된 항목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기본 가로 눈금선으로 보조 눈금선을 표시하였다.
  2. 보조 세로 (값) 축의 주 눈금을 ‘500’으로 설정하였다.
  3. 매출액 계열을 보조 축으로 설정하였다.
  4. 보조 세로 (값) 축의 축 레이블을 ‘없음’으로 설정하였다.
(정답률: 44%)
  • 보조 세로 (값) 축의 축 레이블을 ‘없음’으로 설정하였다. 이는 해당 축의 값을 표시하지 않고, 대신에 매출액 계열의 값들이 주 축과 함께 비교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다음 중 배열 수식과 배열 상수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배열 수식에서 잘못된 인수나 피연산자를 사용할 경우 ‘#VALUE!’의 오류값이 발생한다.
  2. 배열 상수는 숫자, 논리값, 텍스트, 오류값 외에 수식도 사용할 수 있다.
  3. 배열 상수에서 다른 행의 값은 세미콜론(;), 다른 열의 값은 쉼표(,)로 구분한다.
  4. <Ctrl>+<Shift>+<Enter>키를 누르면 중괄호({ }) 안에 배열 수식이 표시된다.
(정답률: 48%)
  • 배열 상수에서 다른 행의 값은 세미콜론(;), 다른 열의 값은 쉼표(,)로 구분한다. - 배열 상수에서는 다른 행의 값은 쉼표(,), 다른 열의 값은 세미콜론(;)로 구분한다.

    배열 상수는 숫자, 논리값, 텍스트, 오류값 외에 수식도 사용할 수 있다. - 배열 상수는 수식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동적인 배열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1,2,3}+1은 {2,3,4}를 반환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다음 중 아래 시트의 [A1:C8] 영역에서 아래 그림과 같이 조건부 서식을 적용한 경우 서식이 적용되는 셀의 개수로 옳은 것은?

  1. 0개
  2. 2개
  3. 14개
  4. 24개
(정답률: 66%)
  • 조건부 서식이 적용되는 조건은 "값이 50 이상인 경우" 이므로, [A1:C8] 영역에서 값이 50 이상인 셀에만 서식이 적용됩니다. 따라서, [A1:C8] 영역에서 값이 50 이상인 셀은 총 14개이므로 정답은 "14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다음 중 작업에 필요한 여러 개의 통합 문서를 한 화면에 함께 표시하여 비교하면서 작업하기에 편리한 기능은?

  1. 창 나누기
  2. 창 정렬
  3. 틀 고정
  4. 페이지 나누기
(정답률: 42%)
  • 여러 개의 통합 문서를 한 화면에 함께 표시하여 비교하면서 작업하기에 편리한 기능은 "창 정렬"입니다. 창 정렬은 여러 개의 창을 선택하고, 이를 수평 또는 수직으로 정렬하여 한 화면에 함께 표시할 수 있도록 해주는 기능입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여러 개의 문서를 동시에 비교하면서 작업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다음 중 엑셀의 틀 고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화면에 표시되는 틀 고정 형태는 인쇄 시 적용되지 않는다.
  2. 틀 고정 구분선의 위치는 지우고 새로 만들기 전에는 마우스를 이용하여 변경할 수 없다.
  3. 틀 고정을 수행하면 셀 포인터의 왼쪽과 위쪽으로 고정선이 표시되므로 고정하고자 하는 행의 아래쪽, 열의 오른쪽에 셀 포인터를 놓고 틀 고정을 수행해야 한다.
  4. 틀 고정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 나중에 복구할 수 있도록 모든 창의 현재 레이아웃이 작업 영역으로 저장된다.
(정답률: 40%)
  • "틀 고정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 나중에 복구할 수 있도록 모든 창의 현재 레이아웃이 작업 영역으로 저장된다."는 옳은 설명입니다.

    이유는 틀 고정을 설정하면 엑셀은 현재 창의 레이아웃을 작업 영역으로 저장합니다. 이 작업 영역은 나중에 창을 닫았다가 다시 열거나, 다른 창으로 전환했다가 다시 돌아올 때도 유지됩니다. 따라서 틀 고정이 설정되어 있으면 나중에도 이전과 동일한 레이아웃으로 작업을 계속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다음 중 1부터 10까지의 합을 구하는 VBA 모듈로 옳지 않은 것은?

  1. no = 0
    sum = 0
    Do While no <= 10
    sum = sum + no
    no = no + 1
    Loop
    MsgBox sum
  2. no = 0
    sum = 0
    Do
    sum = sum + no
    no = no + 1
    Loop While no <= 10
    MsgBox sum
  3. no = 0
    sum = 0
    Do While no < 10
    sum = sum + no
    no = no + 1
    Loop
    MsgBox sum
  4. sum = 0
    For no = 1 To 10
    sum = sum + no
    Next
    MsgBox sum
(정답률: 60%)
  • 정답은 "no = 0
    sum = 0
    Do While no <= 10
    sum = sum + no
    no = no + 1
    Loop
    MsgBox sum"입니다. 이유는 Do While 문에서 no가 10일 때도 반복문이 실행되기 때문에 1부터 10까지의 합이 아닌 1부터 11까지의 합이 계산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다음 중 아래 워크시트의 표와 표의 데이터를 이용한 차트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표 전체를 원본 데이터로 사용하고 있다.
  2. 분기가 데이터 계열로 사용되고 있다.
  3. 세로 (값) 축의 축 서식에서 최소값을 ‘500’으로 설정 하였다.
  4. 차트의 종류는 표식이 있는 꺾은선형이다.
(정답률: 72%)
  • 표에서 분기는 가로축에 위치하고 있으며, 세로축에는 매출액과 이익이 위치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분기는 데이터 계열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데이터베이스 일반

41. 다음 중 Access의 보고서 개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보고서는 테이블이나 쿼리의 내용을 화면이나 프린터로 인쇄하기 위한 개체이다.
  2. 보고서의 레코드 원본으로 테이블, 쿼리, SQL 문을 사용한다.
  3. 보고서에도 조건부 서식을 적용할 수 있다.
  4. 보고서의 컨트롤을 이용하여 레코드 원본으로 사용된 테이블에 데이터를 입력하거나 수정할 수 있다.
(정답률: 50%)
  • 보고서의 컨트롤을 이용하여 레코드 원본으로 사용된 테이블에 데이터를 입력하거나 수정할 수 있다는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이유는 보고서는 단순히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며, 데이터를 입력하거나 수정하는 용도로는 사용되지 않습니다. 보고서를 통해 데이터를 수정하거나 입력하려면 보고서의 레코드 원본으로 사용된 테이블을 직접 수정하거나 입력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다음 중 아래의 SQL문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고객 테이블의 구조적인 변경이 발생한다.
  2. 취미 필드를 고객 테이블로부터 삭제한다.
  3. CASCADE는 해당 필드와 연관된 다른 테이블의 내용도 삭제하는 옵션이다.
  4. 고객 테이블이 수정되면 취미 테이블의 내용도 같이 수정된다.
(정답률: 58%)
  • 고객 테이블과 취미 테이블은 외래키 관계로 연결되어 있고, 해당 외래키에 CASCADE 옵션이 설정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고객 테이블의 구조적인 변경이 발생하면, 이에 연결된 외래키도 함께 변경되고, 이로 인해 취미 테이블의 내용도 같이 수정되게 됩니다. 따라서 "취미 필드를 고객 테이블로부터 삭제한다."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다음 중 DoCmd 개체에서 사용할 수 있는 메서드로 옳지 않은 것은?

  1. Close
  2. Undo
  3. OpenForm
  4. Quit
(정답률: 62%)
  • 정답은 "Undo"입니다. DoCmd 개체에는 "Undo" 메서드가 없습니다. 이 메서드는 Form 개체에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다음 중 DBMS의 단점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하드웨어나 DBMS 구입 비용, 전산화 비용 등이 증가함
  2. DBMS와 데이터베이스 언어를 조작할 수 있는 고급 프로그래머가 필요함
  3. 데이터를 통합하는 중앙 집중 관리가 어려움
  4. 데이터의 백업과 복구에 많은 비용과 시간이 소요됨
(정답률: 64%)
  • 데이터를 통합하는 중앙 집중 관리가 어려움은 DBMS의 단점이 아니라 분산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문제입니다. DBMS는 데이터를 중앙 집중적으로 관리하기 때문에 이러한 문제가 발생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데이터를 통합하는 중앙 집중 관리가 어려움"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다음 중 쿼리를 실행할 때마다 메시지 상자를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조건 값을 입력받아 쿼리를 실행하는 유형은?

  1. 크로스탭 쿼리
  2. 매개 변수 쿼리
  3. 통합 쿼리
  4. 실행 쿼리
(정답률: 68%)
  • 매개 변수 쿼리는 쿼리를 실행할 때마다 메시지 상자를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조건 값을 입력받아 쿼리를 실행하는 유형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매개 변수 쿼리와는 다른 유형의 쿼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다음 중 폼 작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컨트롤 마법사]를 이용하여 ‘폼 닫기’ 매크로를 실행시키는 명령 단추를 삽입할 수 있다.
  2. 폼 속성 시트에서 그림을 설정하면 폼의 배경 그림으로 표시된다.
  3. 사각형, 직선 등의 도형 컨트롤을 삽입할 수 있다.
  4. [그룹화 및 정렬] 기능으로 레코드를 그룹화하여 표시 할 수 있다.
(정답률: 31%)
  • "[그룹화 및 정렬] 기능으로 레코드를 그룹화하여 표시 할 수 있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폼 작성에서 [그룹화 및 정렬] 기능은 레코드를 그룹화하여 표시하는 것이 아니라, 폼 내의 컨트롤을 그룹화하거나 정렬하는 기능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다음 중 [속성 시트] 창에서 하위 폼의 제목(레이블)을 변경하기 위한 방법으로 옳은 것은?

  1. [형식] 탭의 ‘캡션’을 수정한다.
  2. [데이터] 탭의 ‘표시’를 수정한다.
  3. [이벤트] 탭의 ‘제목’을 수정한다.
  4. [기타] 탭의 ‘레이블’을 수정한다.
(정답률: 55%)
  • 정답: [형식] 탭의 ‘캡션’을 수정한다.

    이유: 하위 폼의 제목(레이블)은 해당 폼의 캡션(caption) 속성에 의해 결정됩니다. 따라서 [속성 시트] 창에서 해당 폼을 선택하고 [형식] 탭으로 이동하여 캡션 속성을 수정하면 하위 폼의 제목(레이블)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다음 중 보고서의 [페이지 설정] 대화상자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여러 열로 구성된 보고서를 인쇄할 때에는 [열] 탭에서 열의 개수와 행 간격, 열의 너비, 높이 등을 설정한다.
  2. [인쇄 옵션] 탭에서 보고서의 위쪽, 아래쪽, 왼쪽, 오른쪽 여백을 밀리미터 단위로 설정할 수 있다.
  3. [페이지] 탭에서 보고서의 인쇄할 범위로 인쇄할 페이지를 지정할 수 있다.
  4. [인쇄 옵션] 탭의 ‘데이터만 인쇄’를 선택하여 체크 표시하면 컨트롤의 테두리, 눈금선 및 선이나 상자 같은 그래픽을 표시하지 않는다.
(정답률: 44%)
  • "[페이지] 탭에서 보고서의 인쇄할 범위로 인쇄할 페이지를 지정할 수 있다."가 옳은 설명이다. 이유는 페이지 탭에서는 인쇄할 페이지의 범위를 설정할 수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다음 중 텍스트 상자 컨트롤의 [속성 시트] 창에 표시 되는 각 탭에서 설정 가능한 속성으로 옳은 것은?

  1. [형식] 탭 - 유효성 검사 규칙, 중복 내용 숨기기
  2. [이벤트] 탭 - IME 모드, 하이퍼링크
  3. [기타] 탭 - 상태 표시줄 텍스트, 탭 인덱스
  4. [데이터] 탭 - 데이터시트 캡션, 기본 값
(정답률: 42%)
  • - [형식] 탭: 텍스트 상자에 입력 가능한 값의 형식을 지정하거나, 유효성 검사 규칙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 [이벤트] 탭: 텍스트 상자에 발생하는 이벤트와 이벤트에 대한 동작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 [기타] 탭: 텍스트 상자의 기타 속성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상태 표시줄 텍스트는 텍스트 상자 위에 마우스를 올렸을 때 나타나는 상태 표시줄에 표시될 텍스트를 설정하는 것이고, 탭 인덱스는 해당 텍스트 상자가 속한 탭 순서를 설정하는 것입니다.
    - [데이터] 탭: 텍스트 상자와 연결된 데이터 소스와 관련된 속성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데이터시트 캡션은 해당 텍스트 상자가 속한 데이터시트의 캡션을 설정하는 것이고, 기본 값은 해당 텍스트 상자에 기본으로 표시될 값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다음 중 테이블에 데이터가 입력되는 방식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유효성 검사 규칙을 설정하여 필드에 입력되는 데이터 값의 범위를 설정한다.
  2. 입력 마스크를 이용하여 필드의 각 자리에 입력되는 값의 종류를 제한한다.
  3. 색인(index)을 이용하여 해당 필드에 중복된 값이 입력되지 않도록 설정한다.
  4. 기본 키(Primary Key) 속성을 이용하여 레코드 추가 시 기본으로 입력되는 값을 설정한다.
(정답률: 45%)
  • 기본 키(Primary Key) 속성을 이용하여 레코드 추가 시 기본으로 입력되는 값을 설정하는 것은 데이터베이스에서 레코드를 식별하는 유일한 값으로 설정하는 것이기 때문에, 데이터의 정합성을 유지하기 위한 방법이다. 이 방법을 이용하면 레코드 추가 시 기본값이 자동으로 입력되므로, 사용자가 실수로 빈 값을 입력하는 등의 오류를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이 방법은 테이블에 데이터가 입력되는 방식을 제어하기 위한 적절한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다음 중 콤보 상자의 속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컨트롤 원본 : 목록으로 표시할 데이터를 SQL문이나 테이블명 등을 통해 지정한다.
  2. 행 원본 유형 : 목록으로 표시할 데이터 제공 방법을 ‘테이블/쿼리’, ‘값 목록’, '필드 목록' 중 선택한다.
  3. 바운드 열 : 선택한 항목에서 몇 번째 열을 컨트롤에 저장할 것인지를 설정한다.
  4. 목록 값만 허용 : ‘예’로 설정하면 목록에 제공된 데이터 이외의 값을 추가할 수 없다.
(정답률: 29%)
  • "컨트롤 원본 : 목록으로 표시할 데이터를 SQL문이나 테이블명 등을 통해 지정한다."는 옳은 설명이다.

    컨트롤 원본은 콤보 상자에 표시될 데이터를 지정하는 속성이며, SQL문이나 테이블명 등을 통해 데이터를 지정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콤보 상자에 표시될 데이터를 동적으로 변경할 수 있으며, 데이터베이스와 연동하여 데이터를 가져올 수도 있다. 따라서 "컨트롤 원본 : 목록으로 표시할 데이터를 SQL문이나 테이블명 등을 통해 지정한다."는 옳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다음 중 다양한 사용자의 요구 사항을 분석하여 정보 구조를 표현한 관계도(ERD)를 생성하는 데이터베이스 설계 단계는?

  1. 데이터베이스 기획
  2. 개념적 설계
  3. 논리적 설계
  4. 물리적 설계
(정답률: 52%)
  • 다양한 사용자의 요구 사항을 분석하여 정보 구조를 표현한 관계도(ERD)를 생성하는 단계는 개념적 설계입니다. 이 단계에서는 사용자의 요구 사항을 바탕으로 개념적인 모델링을 수행하며, 데이터베이스의 구조와 관계를 정의합니다. 이후 논리적 설계와 물리적 설계 단계에서는 개념적 설계에서 정의한 모델을 바탕으로 실제 데이터베이스를 구현하는 작업을 수행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다음 중 보고서 페이지 번호를 표시하는 컨트롤에 입력된 컨트롤 원본과 그 결과가 맞게 연결된 것을 모두 고른것은? (단, 전체 페이지는 5페이지임, 순서대로 컨트롤 원본, 결과)

  1. ⓐ, ⓑ, ⓒ
  2. ⓑ, ⓒ, ⓓ
  3. ⓐ, ⓒ
  4. ⓑ, ⓓ
(정답률: 73%)
  • ⓑ과 ⓓ가 정답입니다.

    ⓐ은 페이지 번호가 1부터 시작하지 않고, 5페이지까지만 있으므로 6페이지 이상의 페이지 번호가 표시될 수 있습니다.

    ⓑ은 페이지 번호가 1부터 시작하고, 5페이지까지만 있으므로 정확한 페이지 번호가 표시됩니다.

    ⓒ은 페이지 번호가 1부터 시작하지 않으므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은 페이지 번호가 1부터 시작하고, 5페이지까지만 있으므로 정확한 페이지 번호가 표시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직원] 테이블의 ‘급여’필드는 데이터 형식이 숫자이고, 필드 크기가 정수(Long)로 설정되어 있다. 다음 중 ‘급여’ 필드에 입력 가능한 숫자를 백만원 이상, 오백만원 이하로 설정하기 위한 유효성 검사 규칙으로 옳은 것은?

  1. <= 1000000 Or <= 5000000
  2. >= 1000000 And <= 5000000
  3. >= 1000000, <= 5000,000
  4. 1,000,000 <= And <= 5,000,000
(정답률: 68%)
  • 정답은 ">= 1000000 And <= 5000000" 입니다. 이유는 급여 필드에 입력 가능한 숫자를 백만원 이상, 오백만원 이하로 설정하기 위해서는 100만원 이상이면서 500만원 이하인 숫자만 입력이 가능해야 합니다. 따라서, ">= 1000000 And <= 5000000"이 유효성 검사 규칙으로 옳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다음 중 프로시저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프로시저는 연산을 수행하거나 값을 계산하는 일련의 명령문과 메서드로 구성된다.
  2. 명령문은 대체로 프로시저나 선언 구역에서 한 줄로 표현되며 명령문의 끝에는 세미콜론(;)을 찍어 구분한다.
  3. 이벤트 프로시저는 특정 객체에 해당 이벤트가 발생하면 자동적으로 실행되나 다른 프로시저에서도 이를 호출하여 실행할 수 있다.
  4. Function 프로시저는 Function 문으로 함수를 선언하고 End Function 문으로 함수를 끝낸다.
(정답률: 50%)
  • 프로시저는 일련의 명령문과 메서드로 구성되는 것이 맞으며, 이벤트 프로시저는 특정 객체에 해당 이벤트가 발생하면 자동적으로 실행되나 다른 프로시저에서도 이를 호출하여 실행할 수 있다는 것도 맞습니다. Function 프로시저는 Function 문으로 함수를 선언하고 End Function 문으로 함수를 끝낸다는 것도 맞습니다. 따라서 옳지 않은 설명은 "명령문은 대체로 프로시저나 선언 구역에서 한 줄로 표현되며 명령문의 끝에는 세미콜론(;)을 찍어 구분한다." 입니다. 명령문은 한 줄로 표현되지만, 세미콜론은 구분자로 사용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다음 중 특정 필드에 입력 마스크를 ‘09#L’로 설정 하였을 때의 입력 데이터로 옳은 것은?

  1. 123A
  2. A124
  3. 12A4
  4. 12AB
(정답률: 61%)
  • 입력 마스크 '09#L'은 숫자 2자리와 문자 1자리로 이루어진 3자리 데이터를 입력 받는 형식입니다. 따라서 "123A"는 숫자 2자리인 "12"와 문자 1자리인 "3A"로 이루어져 있어서 옳은 입력 데이터입니다. 나머지 보기들은 입력 마스크와 맞지 않는 데이터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다음 중 액세스에서 사용되는 데이터 형식의 종류 -크기 - 특징에 대한 연결이 옳은 것은?

  1. 메모 - 65,535자 이내 - 참고나 설명과 같이 긴 문자열이나 문자열과 숫자의 조합
  2. 예/아니요 - 1바이트 - 두 값 중 하나만을 선택할 때 사용
  3. 통화 - 8비트 - 소수점 왼쪽으로 7자리, 오른쪽으로 4자리까지 표시 가능
  4. 숫자 - 2바이트 - 산술 계산에 이용되는 숫자 데이터
(정답률: 52%)
  • 액세스에서 사용되는 데이터 형식의 종류와 그에 대한 크기와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 메모: 65,535자 이내의 긴 문자열이나 문자열과 숫자의 조합을 저장할 수 있습니다.
    - 예/아니요: 1바이트로, 두 값 중 하나만을 선택할 때 사용합니다.
    - 통화: 8비트로, 소수점 왼쪽으로 7자리, 오른쪽으로 4자리까지 표시 가능한 통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습니다.
    - 숫자: 2바이트로, 산술 계산에 이용되는 숫자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습니다.

    메모 데이터 형식은 긴 문자열이나 문자열과 숫자의 조합을 저장할 수 있어서, 예를 들어 문서나 설명 등을 저장할 때 유용합니다. 이에 비해 통화나 숫자 데이터 형식은 각각 통화나 산술 계산에 이용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습니다. 예/아니요 데이터 형식은 두 값 중 하나만을 선택할 때 사용되며, 간단한 선택지를 저장할 때 유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다음 중 SELECT 문의 선택된 필드에서 중복 데이터를 포함하는 레코드를 제외시키는 조건자로 옳은 것은?

  1. DISTINCT
  2. UNIQUE
  3. ONLY
  4. *
(정답률: 77%)
  • 정답은 "DISTINCT"입니다.

    DISTINCT는 SELECT 문에서 선택된 필드에서 중복 데이터를 제외시키는 조건자입니다. 즉, 중복된 값을 제외하고 유일한 값을 반환합니다. UNIQUE와 ONLY는 PostgreSQL에서 사용되는 예약어이며, *은 모든 필드를 선택하는 조건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사원관리 데이터베이스에는 [부서정보] 테이블과 실적 정보를 포함한 [사원정보] 테이블이 관계로 연결되어 있다. 다음 중 아래의 SQL문의 실행 결과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단, 부서에는 여러 사원이 있으며, 한 사원은 하나의 부서에 소속되는 1 대 다 관계임)

  1. 두 테이블에서 부서번호가 일치되는 레코드의 부서번호, 부서명, 번호, 이름, 실적 필드를 표시한다.
  2. [부서정보] 테이블의 레코드는 모두 포함하고, [사원정보] 테이블에서는 실적이 있는 레코드만 포함하여 결과를 표시한다.
  3. [부서정보] 테이블의 레코드는 [사원정보] 테이블의 부서번호와 일치되는 것만 포함하고, [사원정보] 테이블에서는 실적이 있는 레코드만 포함하여 결과를 표시한다.
  4. [부서정보] 테이블의 레코드는 [사원정보] 테이블의 부서번호와 일치되는 것만 포함하고, [사원정보] 테이블에서는 모든 레코드가 포함하여 결과를 표시한다.
(정답률: 45%)
  • 정답은 "[부서정보] 테이블의 레코드는 [사원정보] 테이블의 부서번호와 일치되는 것만 포함하고, [사원정보] 테이블에서는 모든 레코드가 포함하여 결과를 표시한다." 이다.

    이유는 SQL문에서 INNER JOIN을 사용하여 두 테이블을 조인하고, ON 절에서는 부서번호가 일치하는 레코드만 선택하도록 설정하였다. 따라서 [부서정보] 테이블의 레코드는 [사원정보] 테이블의 부서번호와 일치되는 것만 포함하게 되고, [사원정보] 테이블에서는 WHERE 절이 없기 때문에 모든 레코드가 포함되어 결과를 표시하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폼 바닥글에 [사원] 테이블의 '직급'이 '과장'인 레코드들의 '급여' 합계를 구하고자 한다. 다음 중 폼 바닥글의 텍스트 상자 컨트롤에 입력해야 할 식으로 옳은 것은?

  1. =DHAP("[사원]", "[급여]", "[직급]='과장'")
  2. =DHAP("[급여]", "[사원]", "[직급]='과장'")
  3. =DSUM("[사원]", "[급여]", "[직급]='과장'")
  4. =DSUM("[급여]", "[사원]", "[직급]='과장'")
(정답률: 65%)
  • 정답: =DSUM("[급여]", "[사원]", "[직급]='과장'")

    이유:
    - DSUM 함수는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레코드들의 합계를 구하는 함수이다.
    - 첫 번째 인자는 합계를 구할 필드명인 "[급여]"를 입력한다.
    - 두 번째 인자는 합계를 구할 테이블명인 "[사원]"을 입력한다.
    - 세 번째 인자는 조건식인 "[직급]='과장'"을 입력한다. 이는 '직급' 필드가 '과장'인 레코드들만을 대상으로 합계를 구하겠다는 의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