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터활용능력 2급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5-07-24)

컴퓨터활용능력 2급
(2005-07-24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컴퓨터 일반

1. 다음 중 인터넷 서비스에 대한 설명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전자우편 : E-mail이라고 하며 다른 인터넷 사용자들과 편지를 주고 받을 수 있는 서비스이다.
  2. usenet : 뉴스그룹이라 하고 새로운 뉴스를 주로 취급하며 인터넷 신문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뉴스 정보를 의미한다.
  3. Telnet : 멀리 떨어진 곳에 위치한 호스트 컴퓨터에 접속할 때 사용하는 서비스이다.
  4. FTP : 파일전송 프로토콜(File Transfer Protocol)의 약자로 인터넷에서 파일을 송수신할 때 사용되는 서비스이다.
(정답률: 72%)
  • usenet : 뉴스그룹이라 하고 새로운 뉴스를 주로 취급하며 인터넷 신문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뉴스 정보를 의미한다. (다른 서비스들은 간단명료하게 설명되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다음의 소프트웨어 중에서 나머지 셋과 그 성격이 다른 것은?

  1. 어셈블러(assembler)
  2. 인터프리터(interpreter)
  3. 운영체제(operating system)
  4. 컴파일러(compiler)
(정답률: 72%)
  • 운영체제는 다른 소프트웨어들을 관리하고 제어하는 시스템 소프트웨어이며, 어셈블러, 인터프리터, 컴파일러는 프로그래밍 언어를 기계어로 변환하는 언어 번역 소프트웨어입니다. 따라서 운영체제는 다른 소프트웨어와 성격이 다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한글 윈도우 98에서 아래의 그림과 같이 탐색기에서 Temp 폴더 속에 있는 폴더 수 및 파일수와 전체용량(크기)을 알기 위한 방법으로 옳은 것은?

  1. 해당 폴더를 선택한 후에 편집메뉴에서 모두선택 항목을 선택한다.
  2. 해당폴더를 선택한 후에 도구메뉴에서 폴더옵션 항목을 선택한다.
  3. 해당 폴더를 선택한 후에 마우스의 오른쪽 버튼을 눌러서 나타나는 팝업메뉴에서 등록정보 항목을 선택한다.
  4. 해당 폴더를 선택하면 탐색기의 상태표시줄에 전체용량이 나타난다.
(정답률: 63%)
  • 정답은 "해당 폴더를 선택한 후에 마우스의 오른쪽 버튼을 눌러서 나타나는 팝업메뉴에서 등록정보 항목을 선택한다."입니다. 이유는 등록정보 항목을 선택하면 해당 폴더의 속성 창이 열리고, 속성 창에서는 폴더 안에 있는 파일과 폴더의 수, 전체 용량 등을 확인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잘못된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다음 중 제4세대 컴퓨터의 주요 소자에 해당하는 것은?

  1. 트랜지스터
  2. 산술논리장치(ALU)
  3. 고밀도 집적회로(LSI)
  4. 바이오스(BIOS)
(정답률: 72%)
  • 제4세대 컴퓨터는 1970년대 후반부터 1980년대 초반까지 개발된 컴퓨터로, 대규모 집적회로(LSI) 기술이 주요 소자로 사용되었습니다. LSI는 수천 개 이상의 트랜지스터를 한 개의 칩에 집적시킨 기술로, 작고 경량화된 컴퓨터를 만들 수 있게 되었습니다. 따라서 고밀도 집적회로(LSI)가 제4세대 컴퓨터의 주요 소자로 선택되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다음 중 컴퓨터의 CPU에서 덧셈, 뺄셈, 곱셈, 나눗셈을 하는 기능을 갖는 장치는?

  1. 레지스터
  2. 산술논리장치(ALU)
  3. 제어장치(CU)
  4. 바이오스(BIOS)
(정답률: 88%)
  • 정답: 산술논리장치(ALU)

    이유: 산술논리장치(ALU)는 CPU의 핵심 구성 요소 중 하나로, 덧셈, 뺄셈, 곱셈, 나눗셈 등의 산술 연산과 AND, OR, NOT 등의 논리 연산을 수행하는 장치입니다. ALU는 CPU 내부의 레지스터에서 데이터를 가져와 연산을 수행하고, 결과를 다시 레지스터에 저장합니다. 따라서 ALU는 CPU에서 산술 및 논리 연산을 수행하는 핵심 장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다음에서 설명하고 있는 증후군을 무슨 증후군이라 하는가?

  1. ADT 증후군
  2. MELISSA 증후군
  3. UPS 증후군
  4. VDT 증후군
(정답률: 68%)
  • 이 증후군은 VDT 증후군이다. VDT는 Visual Display Terminal의 약자로, 컴퓨터나 모니터 등의 화면을 오랫동안 바라보는 것으로 인해 발생하는 증후군이다. 이 증후군은 눈의 피로, 두통, 어깨와 목의 통증, 손목의 통증 등이 나타나며, 장시간의 VDT 사용이 이어지면 시력의 저하나 안구 건강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윈도우에서 다수의 응용프로그램으로 작업할 때, 단축키를 사용하여 창의 조작 등을 실행할 수 있다. 다음 중 잘못 설명된 것은?

  1. Ctrl+Esc : 시작버튼을 누른 것과 같다.
  2. Ctrl+Shift : 현재 실행중인 다른 창으로 이동한다.
  3. Alt+Enter : 도스 창에서는 전체화면모드의 창모드로 서로 전환된다.
  4. Alt+Tab : 다른 응용프로그램으로 이동한다.
(정답률: 69%)
  • "Ctrl+Shift : 현재 실행중인 다른 창으로 이동한다."가 잘못 설명된 것입니다. 실제로는 "Alt+Shift"가 현재 실행중인 다른 창으로 이동하는 단축키입니다. "Ctrl+Shift"는 일반적으로 텍스트를 선택하는 단축키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PC의 외장형 포트와 이에 연결할 수 있는 기기를 짝지어 놓은 것이다. 다음 중 가장 적절치 않은 것은?

  1. PS/2포트 - 마우스
  2. IEEE1394 - 디지털캠코더
  3. LPT포트 - 키보드
  4. USB포트 - 프린터
(정답률: 59%)
  • LPT 포트는 주로 프린터와 연결하는 포트이며, 키보드와는 연결할 수 없습니다. 키보드는 PS/2 포트나 USB 포트와 연결합니다. 따라서 LPT 포트 - 키보드가 가장 적절치 않은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다음은 한글 윈도우 98에서 폴더옵션에 관한 문제이다. 옳지 않은 것은?

  1. 현재 폴더옵션은 모든 폴더에 적용시킬 수 있다.
  2. 폴더옵션의 보기 탭은 제목표시줄에 전체 경로표시여부를 설정할 수 있다.
  3. 현재 등록된 파일형식중 원하는 항목을 수정하거나 삭제할 수 있는 탭은 폴더옵션의 보기 탭이다.
  4. 폴더옵션의 보기 탭은 숨김파일이나 시스템파일표시여부를 설정할 수 있다.
(정답률: 58%)
  • 정답은 "현재 등록된 파일형식중 원하는 항목을 수정하거나 삭제할 수 있는 탭은 폴더옵션의 보기 탭이다." 이다. 폴더옵션의 파일 형식 탭에서 파일 형식을 추가, 수정 또는 삭제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다음 중 한글 윈도우 98의 [내 컴퓨터]에서 디스크 드라이브를 선택하여 포맷을 하려고 할 때 포맷의 형식과 옵션에 대한 설명으로 바르지 못한 것은?

  1. 전체 : 디스크 전체를 포맷하는 형식으로 포맷 후 불량 섹터를 검색하고 부팅 가능한 디스크를 만든다.
  2. 시스템 파일만 복사 : 사용하던 디스크에 시스템 파일만 복사하여 부팅 가능한 디스크를 만든다.
  3. 빠른 포맷 : 사용하던 디스크의 불량 섹터는 검색하지 않고, 디스크에서 파일을 모두 삭제한다.
  4. 포맷을 마친 후 디스크 정보 표시 : 포맷을 마친 후 디스크 공간, 불량 섹터가 차지하는 크기 등의 정보를 표시한다.
(정답률: 36%)
  • "시스템 파일만 복사 : 사용하던 디스크에 시스템 파일만 복사하여 부팅 가능한 디스크를 만든다." 이유는 시스템 파일만 복사하여 부팅 가능한 디스크를 만드는 것은 포맷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포맷은 디스크를 초기화하여 모든 데이터를 삭제하고 파일 시스템을 새로 생성하는 작업입니다. 따라서 시스템 파일만 복사하는 것은 포맷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국내 PC 통신망에서 사용하는 모뎀의 파일 전송 프로토콜이 아닌 것은?

  1. Kermit
  2. Xmodem
  3. Zmodem
  4. Wmodem
(정답률: 43%)
  • Wmodem은 국내 PC 통신망에서 사용하는 모뎀의 파일 전송 프로토콜이 아닙니다. Wmodem은 외국에서 개발된 프로토콜로, 국내에서는 거의 사용되지 않습니다. Kermit, Xmodem, Zmodem은 국내 PC 통신망에서 널리 사용되는 파일 전송 프로토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다음 중 한글 윈도우 98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1. GUI 기법의 사용자 중심 운영체제이다.
  2. 내부에 향상된 MS-DOS기능을 포함하고 있다.
  3. 기존 16비트 체계를 유지한다.
  4. 플러그 앤 플레이 기능을 지원한다.
(정답률: 59%)
  • "기존 16비트 체계를 유지한다."가 잘못된 설명입니다. 실제로는 Windows 98은 32비트 운영체제입니다. 이전 버전인 Windows 95는 16비트와 32비트를 혼합하여 사용했지만, Windows 98은 32비트 체계를 유지하면서도 이전 버전과의 호환성을 유지하기 위해 16비트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도록 지원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인터넷 주소(IP Address)를 물리적 하드웨어 주소(MAC Address)로 변환하는 프로토콜은?

  1. DNS
  2. ARP
  3. ICMP
  4. RARP
(정답률: 42%)
  • 인터넷에서 데이터를 전송할 때는 IP 주소를 사용하지만, 실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은 물리적인 MAC 주소입니다. ARP 프로토콜은 IP 주소를 가지고 해당 IP 주소를 가지고 있는 컴퓨터의 MAC 주소를 찾아내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ARP 프로토콜은 IP 주소와 MAC 주소 간의 매핑을 수행하여 인터넷 통신을 가능하게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전송에 적합한 전달 방식은?

  1. 비동기 모드(ATM)
  2. 동기 전송 모드(STM)
  3. 회선 전송 모드
  4. 무선 전송 모드
(정답률: 43%)
  •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대용량이며 실시간 전송이 필요하기 때문에, 전송 속도가 빠르고 안정적인 비동기 모드(ATM)가 적합합니다. 비동기 모드는 패킷 단위로 전송되며, 각 패킷은 독립적으로 전송되기 때문에 전송 중 일부 패킷이 손실되더라도 전체 데이터의 손상이 적습니다. 또한, ATM은 다양한 유형의 데이터를 동시에 전송할 수 있어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종류에 상관없이 효율적인 전송이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월드 와이드 웹 보안 기법의 종류가 아닌 것은?(문제오류로 실제 시험장에서는 3,4번을 정답처리한 문제 입니다. 여기서는 3번을 정답 처리 합니다.)

  1. SSL(Secure Socket Layer)
  2. S-HTTP(Secure-HTTP)
  3. PGP(Pretty Good Privacy)
  4. NCSC(National Computer Security Center)
(정답률: 80%)
  • 정답: NCSC(National Computer Security Center)

    설명: SSL은 웹사이트와 브라우저 간의 암호화된 통신을 제공하며, S-HTTP는 개별 메시지의 보안을 제공합니다. PGP는 이메일과 파일 전송 등의 개인 정보 보호를 위한 암호화 기술입니다. NCSC는 미국 국가 보안 기술 센터로, 보안 표준 및 가이드라인을 제공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제어판]의 [시스템] 메뉴 선택시 설정 가능한 기능이 아닌 것은?

  1. 모뎀과 사운드카드 드라이버와 인터럽트 제어
  2. LAN카드 인터럽트와 입출력 범위 설정
  3. 네트워크 등록정보 변경
  4. CD-ROM의 연결 끊기나 자동삽입 통지 여부
(정답률: 50%)
  • "네트워크 등록정보 변경"은 시스템의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설정과는 관련이 없는 네트워크 관련 기능이기 때문에 제어판의 시스템 메뉴에서 설정할 수 있는 기능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다음 중 중앙처리장치의 구성 요소가 아닌 것은?

  1. 산술연산장치
  2. 입력장치
  3. 제어장치
  4. 논리연산장치
(정답률: 60%)
  • 입력장치는 중앙처리장치의 구성 요소가 아닙니다. 입력장치는 외부에서 데이터를 입력받아 중앙처리장치로 전달하는 역할을 합니다. 중앙처리장치의 구성 요소는 산술연산장치, 제어장치, 논리연산장치입니다. 산술연산장치는 수치 연산을 처리하고, 논리연산장치는 논리 연산을 처리합니다. 제어장치는 명령어를 해석하고 실행하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특징과 거리가 먼 것은?

  1. 양방향성(interactive)
  2. 선형성(liner)
  3. 통합성(integration)
  4. 대용량성
(정답률: 72%)
  •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영상, 음성, 이미지 등)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러한 데이터들은 서로 다른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러나 선형성은 이러한 다양한 데이터들을 하나의 공간에서 표현할 수 있도록 해주는 중요한 특징입니다. 선형성이 있다면,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들을 하나의 벡터 공간에서 표현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데이터 간의 거리를 계산하거나, 분류, 검색 등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특징 중에서 선형성은 다른 특징들과는 거리가 먼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다음은 통신망을 구성하는 요소를 설명한 것이다. 알맞은 것은?

  1. 라우터
  2. 스위칭허브
  3. 브리지
  4. 모뎀
(정답률: 60%)
  • 브리지는 서로 다른 두 개의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장치로, 데이터를 전송할 때 목적지 주소를 확인하여 필요한 경우에만 다른 네트워크로 데이터를 전달합니다. 따라서 브리지는 네트워크 분할과 확장에 유용하게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키보드의 특수 제어키에 대한 설명 중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Esc : 명령을 취소시키거나 종료할 때 사용한다.
  2. Shift : 한글문자의 쌍자음, 쌍모음을 입력할 수 있으며 영문인 경우 소문자 입력 상태라면 대문자가 입력이 된다.
  3. Caps Lock : 알파벳 문자를 대문자나 소문자로 변경하여 입력할 수 있는 토글키
  4. Ctrl/Alt : 다른 키와 조합하지 않고 독립적으로 사용하는 특수키이며 이 키를 누르면 Ctrl/Alt 문자가 표시된다.
(정답률: 83%)
  • 정답은 "Esc : 명령을 취소시키거나 종료할 때 사용한다." 입니다.

    Ctrl/Alt 키는 다른 키와 조합하지 않고 독립적으로 사용하는 특수키입니다. 이 키를 누르면 Ctrl/Alt 문자가 표시되며, 다른 키와 함께 사용하면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Ctrl + C를 누르면 복사, Ctrl + V를 누르면 붙여넣기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스프레드시트 일반

21. 다음 중 부분합에서 사용할 수 있는 함수가 아닌 것은?

  1. 합계
  2. 개수
  3. 백분율
(정답률: 65%)
  • 부분합에서 사용하는 함수는 주어진 구간의 합을 구하는 것이므로 "백분율"은 부분합에서 사용할 수 없는 함수입니다. "백분율"은 어떤 값이 전체에서 차지하는 비율을 나타내는 것이므로, 부분합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다음 중 작업파일을 보호하기 위해서 암호를 설정하는 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암호에는 문자, 숫자, 기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2. 암호를 모르더라도 파일은 열수 있도록 하고 수정한 내용을 같은 이름으로 저장할 수 없도록 하려면 쓰기암호만 입력한다.
  3. 암호 입력시 열기 암호와 쓰기 암호로 구분된다.
  4. 쓰기 암호는 대소문자를 구별하지 않는다.
(정답률: 66%)
  • "쓰기 암호는 대소문자를 구별하지 않는다."는 옳은 설명입니다. 이는 대소문자를 구별하지 않는 것이 일반적인 암호 설정 방법 중 하나이기 때문입니다. 대소문자를 구별하는 경우, 암호를 입력할 때 대소문자를 정확하게 입력해야만 파일을 열거나 수정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대소문자를 구별하지 않는 경우, 암호를 입력할 때 대소문자를 구분하지 않으므로 입력이 간편해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데이터 정렬에 관한 설명으로 잘못 된 것은 어느 것인가?

  1. 데이터의 정렬 방향은 [데이터]-[정렬]-[옵션]에서 위쪽에서 아래쪽으로만 선택 가능하다.
  2. 선택한 범위의 첫 행을 머리글행으로 지정할 수 있다.
  3. 최대 세 번째까지의 정렬 기준을 설정할 수 있다.
  4. 가나다 순으로 정렬을 하려면 오름차순을 선택해야 한다.
(정답률: 59%)
  • "최대 세 번째까지의 정렬 기준을 설정할 수 있다."가 잘못된 설명입니다. Excel에서는 최대 64개의 정렬 기준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데이터의 정렬 방향은 [데이터]-[정렬]-[옵션]에서 위쪽에서 아래쪽으로만 선택 가능하다."라는 설명은 옳습니다. 이는 Excel에서 데이터를 정렬할 때, 기준이 되는 열을 선택하고 그 열의 데이터를 위에서 아래로 정렬하는 방식을 사용하기 때문입니다.

    "선택한 범위의 첫 행을 머리글행으로 지정할 수 있다."라는 설명도 옳습니다. 이는 Excel에서 데이터를 정렬할 때, 첫 번째 행을 머리글 행으로 지정하여 해당 열의 데이터가 어떤 내용인지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입니다.

    "가나다 순으로 정렬을 하려면 오름차순을 선택해야 한다."라는 설명도 옳습니다. 가나다 순으로 정렬하려면 알파벳 순서대로 오름차순으로 정렬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아래 시트에서 C1셀에 수식 ‘=SUM(A$1:$B1)’을 입력한 후 C3 셀까지 채우기 핸들을 이용하여 값을 채울 경우 C3셀의 결과 값은?

  1. 15
  2. 36
  3. 12
  4. 21
(정답률: 49%)
  • C1셀에 입력한 수식 ‘=SUM(A$1:$B1)’은 A1셀부터 B1셀까지의 합을 구하는 수식입니다. $기호는 절대참조를 나타내며, 셀을 복사할 때 해당 셀의 행 또는 열 번호를 고정시킵니다. 따라서 C1셀에서 C3셀까지 채우기 핸들을 이용하여 수식을 복사하면, C2셀에서는 ‘=SUM(A$1:$B2)’ 수식이 적용되어 A1셀부터 B2셀까지의 합을 구하게 됩니다. 마지막으로 C3셀에서는 ‘=SUM(A$1:$B3)’ 수식이 적용되어 A1셀부터 B3셀까지의 합을 구하게 됩니다. 따라서 C3셀의 결과 값은 36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차트 1]을 완성한 후 [차트 2]와 같이 변경하려고 한다. 이 때 사용되지 않은 기능은?

  1. 축 제목서식의 텍스트 맞춤방향을 변경하였다.
  2. [차트종류]-[사용자 정의종류]를 선택하여 [이중 축 혼합형]을 사용하여 보조 축 값을 등록
  3. 축 서식을 사용하여 최소값, 최대값을 변경하였다.
  4. 범례 서식을 사용하여 범례의 위치를 변경하였다.
(정답률: 75%)
  • 정답은 "축 제목서식의 텍스트 맞춤방향을 변경하였다."입니다.

    [차트 1]에서는 단일 축 형태로 데이터를 표현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차트 2]에서는 이중 축 혼합형을 사용하여 보조 축 값을 등록하여 데이터를 더욱 상세하게 표현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이중 축 혼합형을 사용하는 것이 변경된 기능입니다. 축 서식을 사용하여 최소값, 최대값을 변경하거나 범례 서식을 사용하여 범례의 위치를 변경하는 것은 [차트 1]에서도 사용할 수 있는 기능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단축키를 눌러 한번의 명령 실행으로 여러 가지 명령을 순차적으로 실행하여 작업을 완성할 수 있게 하는 기능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피벗 테이블
  2. 데이터 통합
  3. 매크로
  4. 통합문서 공유
(정답률: 72%)
  • 매크로는 단축키를 눌러 한번의 명령 실행으로 여러 가지 명령을 순차적으로 실행하여 작업을 완성할 수 있게 하는 기능이기 때문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매크로와는 다른 기능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다음 중 피벗 테이블에 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1. 원본 데이터가 입력된 시트에 피벗 테이블을 작성할 수도 있고 새로운 시트에 작성할 수도 있다.
  2. 피벗 테이블을 작성한 후 원본 데이터를 변경하면 피벗 테이블에 자동으로 반영되지 않는다.
  3. 피벗 테이블을 작성한 후에 사용자가 새로운 수식을 추가하여 표시할 수 없다.
  4. 페이지, 행, 열에 배치된 항목은 피벗 테이블 작성 후에도 마음대로 이동시키거나 새로운 항목을 추가할 수 있다.
(정답률: 55%)
  • "피벗 테이블을 작성한 후에 사용자가 새로운 수식을 추가하여 표시할 수 없다."가 잘못된 설명입니다. 사용자는 피벗 테이블에 새로운 수식을 추가하여 표시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Visual Basic 편집기 창에서 실행할 매크로를 선택하기 위해 아래와 같은 그림을 나타내었다. 다음 중 그 내용이 옳지 않은 것은?

  1. 메뉴 중 [도구]의 [매크로]명령으로 나타난 창이다.
  2. 매크로 이름을 선택하고 [실행]단추를 클릭하면 엑셀창에서 매크로가 실행된다.
  3. 매크로 선택하고 [편집]단추를 클릭하면 매크로 기록 내용을 편집할 수 있는 매크로 모듈창이 열린다.
  4. 매크로 이름을 선택하고 [옵션]단추를 클릭하면 매크로 이름과 바로 가기키를 변경할 수 있다.
(정답률: 62%)
  • 정답은 "메뉴 중 [도구]의 [매크로]명령으로 나타난 창이다." 이다. 이 그림은 Visual Basic 편집기 창에서 매크로를 선택하는 창이 아니라, 엑셀에서 매크로를 실행하기 위한 창이다. 따라서 "메뉴 중 [도구]의 [매크로]명령으로 나타난 창이다." 라는 설명은 이 그림과 관련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다음 중 사용자 정의 도구 명령을 도구모음 에 추가하는 작업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1. [보기]-[도구모음]-[사용자 정의]
  2. [도구]-[사용자 정의]
  3. 도구모음 줄에서 오른쪽 마우스를 클릭하여 단축 메뉴에서 [사용자 정의]를 클릭한다.
  4. [보기]-[사용자 정의]
(정답률: 46%)
  • 잘못된 설명은 "[보기]-[사용자 정의]"입니다. 이유는 "보기" 메뉴는 도구모음과 관련이 없기 때문입니다. 사용자 정의 도구 명령을 도구모음에 추가하는 작업은 "[도구모음]-[사용자 정의]" 또는 도구모음 줄에서 오른쪽 마우스를 클릭하여 단축 메뉴에서 [사용자 정의]를 클릭하는 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다음 그림의 E3 값을 VLOOKUP함수를 이용하여 나타내었다. 채우기 핸들로 모든 단가를 계산할 생각이다. 이때 [E3]에 옳바르게 사용된 함수식은?

  1. VLOOKUP(B3,$C$20:$D$25,3)
  2. VLOOKUP(B3,C20:D25,3)
  3. VLOOKUP(B3,B20:D25,3)
  4. VLOOKUP(B3,$B$20:$D$25,3)
(정답률: 61%)
  • 정답은 "VLOOKUP(B3,$B$20:$D$25,3)"입니다.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 VLOOKUP 함수는 특정 값을 찾아 해당 값의 열에서 지정한 열의 값을 반환합니다.
    - B3에는 "사과"라는 값이 들어있습니다.
    - $B$20:$D$25는 범위를 나타내며, 이 범위는 A열에는 무시하고 B열부터 D열까지를 나타냅니다.
    - 3은 반환할 열의 위치를 나타내며, 이 경우 D열에서 값을 반환하게 됩니다.
    - 따라서 "VLOOKUP(B3,$B$20:$D$25,3)"은 "사과"를 찾아 D열에서 해당하는 값을 반환하는 함수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다음 중 워크시트의 데이터 입력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문자열 데이터는 셀의 왼쪽에 정렬된다.
  2. 수치 데이터는 셀의 오른쪽에 정렬되며 공백과 특수문자를 사용할 수 있다.
  3. 기본적으로 수식 데이터는 워크시트상의 해당 셀에 수식 결과 값이 표시된다.
  4. 특수 문자입력은 한글자음(ㄱ, ㄴ, ㄷ등)을 입력한 후 한자 키를 눌러 나타나는 목록상자에서 원하는 문자를 선택한다.
(정답률: 69%)
  • "수치 데이터는 셀의 오른쪽에 정렬되며 공백과 특수문자를 사용할 수 있다."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수치 데이터는 셀의 오른쪽에 정렬되지만, 공백과 특수문자는 사용할 수 없습니다. 수치 데이터는 숫자로만 이루어져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특정 셀의 값이 다른 파일이나 웹페이지로 연결되게 하는 기능은?

  1. 워크시트
  2. 차트
  3. 통합
  4. 하이퍼링크
(정답률: 81%)
  • 하이퍼링크는 특정 셀을 클릭하면 다른 파일이나 웹페이지로 연결되는 기능을 말합니다. 따라서 이 기능을 사용하면 특정 셀의 값이 다른 파일이나 웹페이지로 연결되게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차트 마법사 3단계에서 수행할 수 없는 것은?

  1. 차트제목
  2. 범례표시여부 및 위치
  3. 데이터 테이블 표시여부
  4. 계열위치
(정답률: 50%)
  • 차트 마법사 3단계에서는 차트의 기본적인 요소들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계열위치"는 이 중에서 설정할 수 없는 요소입니다. 이는 차트의 데이터를 어떻게 표시할지를 결정하는 것으로, 각 데이터 시리즈의 위치를 조정하는 것입니다. 이는 차트 유형에 따라 다르며, 차트 마법사에서는 이를 설정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다음 중 틀고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어느 것인가?

  1. 문서의 내용이 많은 경우 셀 포인터를 이동하면 문서의 제목 등이 보이지 않을 때 사용한다.
  2. 틀고정은 행과 열에 대해 동시에 실행할 수 있다.
  3. 틀고정 취소는 틀고정 선을 마우스로 더블 클릭하면 된다.
  4. 일단 설정된 틀고정 위치의 변경은 틀 고정 취소 후 다시 설정할 수 밖에 없다.
(정답률: 53%)
  • "일단 설정된 틀고정 위치의 변경은 틀 고정 취소 후 다시 설정할 수 밖에 없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틀고정 위치를 변경하려면 먼저 틀고정을 취소한 후, 새로운 위치에서 다시 틀고정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다음은 데이터의 정렬(sort)방식에 관한 설명이다. 잘못 설명한 것은?

  1. 오름차순이든 내림차순이든 빈 셀(space)은 맨 뒤쪽에 정렬된다.
  2. 오름차순 정렬시에는 한글이 영문보다 순위가 앞선다.
  3. 내림차순 정렬시 문자형식으로 저장된 1(‘1)은 숫자 2보다 순위가 뒤진다.
  4. 내림차순 정렬시 대소문자 구분을 지정하면 대문자가 소문자보다 순위가 앞선다.
(정답률: 47%)
  • "내림차순 정렬시 문자형식으로 저장된 1(‘1)은 숫자 2보다 순위가 뒤진다." 설명이 잘못되었다. 이는 올바르지 않은 설명이며, 내림차순 정렬시에는 숫자 2가 문자형식으로 저장된 1보다 순위가 뒤에 위치한다. 이는 ASCII 코드에서 숫자가 문자보다 우선순위가 높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세 값의 집합을 비교할 때 사용되는 차트 어느 것인가?

  1. 거품형
  2. 분산형
  3. 표면형
  4. 영역형
(정답률: 45%)
  • 세 값의 집합을 비교할 때 사용되는 차트는 "거품형"입니다. 이는 각각의 값들이 점으로 표시되어 크기에 따라서 점의 크기가 다르게 나타나며, 이를 통해 값들의 상대적인 크기를 한 눈에 파악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거품형 차트는 데이터의 분포도 함께 보여주기 때문에 유용하게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다음 중 ‘하이퍼링크 삽입’의 대화상자로 링크를 만들 수 없는 것은?

  1. 전자 메일 주소
  2. 폼 도구 모음을 사용하여 만든 컨트롤이나 매크로가 연결된 단추나 그래픽
  3. 새 문서
  4. 현재 문서
(정답률: 61%)
  • 정답은 "폼 도구 모음을 사용하여 만든 컨트롤이나 매크로가 연결된 단추나 그래픽"입니다. 이유는 이러한 요소들은 이미 다른 기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하이퍼링크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예를 들어, 매크로가 연결된 단추는 클릭하면 매크로가 실행되기 때문에 하이퍼링크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다음 중 텍스트 파일 가져오기 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1. 텍스트 파일을 가져오는 방법은 [파일]-[열기]와, [데이터]-[외부데이터 가져오기]-[텍스트 파일 가져오기]가 있다.
  2. ①의 2가지 방법은 모두 “텍스트 마법사‘를 통해서 Excel 파일로 전환된다.
  3. ①에서 [열기] 명령의 실행 방법은 항상 새 통합문서가 열리면서 사용자가 지정하는 셀에서부터 텍스트 파일의 데이터를 가져온다.
  4. ①에서 [텍스트 파일 가져오기] 명령의 실행 방법은 현재 열려있는 시트의 지정한 위치에 데이터를 가져와서 편집할 수 있다.
(정답률: 56%)
  • ①에서 [열기] 명령의 실행 방법은 항상 새 통합문서가 열리면서 사용자가 지정하는 셀에서부터 텍스트 파일의 데이터를 가져온다. - 잘못된 설명입니다. [열기] 명령을 사용하여 텍스트 파일을 가져올 경우, 새 통합문서가 열리는 것이 아니라 현재 열려있는 통합문서에 데이터가 가져와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다음 중 함수에 대한 설명이 잘못된 것은?

  1. MAX() 인수로 입력된 숫자 중 가장 큰 숫자를 구해주는 함수
  2. COUNT() 인수목록내에 숫자가 들어있는 셀의 개수를 구하는 함수
  3. PROPER() 텍스트를 모두 대문자로 변환하여 주는 함수
  4. DSUM() 지정한 조건에 맞는 데이터베이스에서 필드값들의 합을 구하는 함수
(정답률: 73%)
  • PROPER() 함수는 텍스트의 첫 글자를 대문자로, 나머지 글자를 소문자로 변환해주는 함수입니다. 따라서 "텍스트를 모두 대문자로 변환하여 주는 함수"라는 설명은 잘못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다음 중 1982년 12월 4일에서 오늘까지 경과된 날짜를 구하는 수식으로 옳은 것은?

  1. =DATE(1982,12,4)-DAY()
  2. =DAY()-DATE(1982,12,4)
  3. =YEAR()-DATE(1982,12,4)
  4. =TODAY()-DATE(1982,12,4)
(정답률: 72%)
  • 정답은 "=TODAY()-DATE(1982,12,4)" 입니다.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 TODAY() 함수는 현재 날짜를 반환합니다.
    - DATE(1982,12,4)는 1982년 12월 4일을 나타내는 날짜 값을 반환합니다.
    - 두 날짜 값의 차이를 구하면 경과된 날짜 수를 구할 수 있습니다.
    - 따라서, TODAY()에서 1982년 12월 4일을 뺀 값을 구하는 수식인 "=TODAY()-DATE(1982,12,4)"이 경과된 날짜 수를 구하는 수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