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터활용능력 2급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8-10-12)

컴퓨터활용능력 2급
(2008-10-12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컴퓨터 일반

1. 한글 Windows XP의 [명령 프롬프트] 창에서 작업하다가 윈도우로 복귀하려면 다음 중 어떤 명령을 사용해야 하는가?

  1. End
  2. Finish
  3. Quit
  4. Exit
(정답률: 64%)
  • 정답은 "Exit"입니다. 이는 명령 프롬프트 창을 종료하고 윈도우로 돌아가는 명령어이기 때문입니다. "End", "Finish", "Quit"은 모두 프로그램이나 작업을 종료하는 명령어이지만, 윈도우로 복귀하는 명령어는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한글 Windows XP에서 ‘Plug & Play’ 기능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

  1. 컴퓨터에 연결된 CD-ROM 드라이브에서 오디오CD를 재생할 수 있도록 한다.
  2. 컴퓨터의 시스템 날짜와 시간을 사용하여 예약된 작업을 실행할 수 있도록 한다.
  3. Intel이 개발한 규격으로 컴퓨터가 자동으로 장치를 검색하고, 장치 드라이버를 쉽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한다.
  4. 프린터로 보낸 문서를 관리하는 방식으로 작업의 우선순위나 작업완료 시 알릴 사람 등과 같은 작업 설정 사항을 관리한다.
(정답률: 59%)
  • 한글 Windows XP에서 ‘Plug & Play’ 기능은 Intel이 개발한 규격으로 컴퓨터가 자동으로 장치를 검색하고, 장치 드라이버를 쉽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다음 중 한글 Windows XP 파일과 폴더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 ‘/’, ‘\’ 등은 파일과 폴더의 이름으로 사용할 수 있다.
  2. 하나의 컴퓨터에서 동일한 폴더의 위치에 동일한 이름을 가진 파일을 여러 개 작성할 수 없다.
  3. 각 파일 또는 폴더에서 마우스 오른쪽 단추를 누르고 [속성]을 선택하여 등록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4. 파일과 폴더는 이름 바꾸기, 삭제가 가능하며, 하위 폴더나 파일이 포함된 폴더도 삭제할 수 있다.
(정답률: 66%)
  • "'*', '/', '' 등은 파일과 폴더의 이름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이러한 문자는 파일 이름에 사용할 수 없으며, 폴더 이름에도 사용할 수 없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유는 이러한 문자들이 파일 시스템에서 특수한 의미를 가지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는 와일드카드 문자로 사용되며, '/'와 ''는 경로 구분자로 사용됩니다. 따라서 파일이나 폴더 이름에 이러한 문자를 사용하면 파일 시스템에서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다음 중 인터넷 홈페이지 제작 언어로 옳지 않은 것은?

  1. PERL
  2. PHP
  3. ASP
  4. AIDA
(정답률: 45%)
  • 정답은 "AIDA"입니다. 인터넷 홈페이지 제작 언어로는 PERL, PHP, ASP 등이 널리 사용되지만, AIDA는 존재하지 않는 언어입니다. 따라서 AIDA가 옳지 않은 선택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다음 중 인터넷 메일과 관련성이 가장 적은 프로토콜은?

  1. MIME
  2. POP3
  3. IMAP
  4. SNMP
(정답률: 45%)
  • 인터넷 메일과 관련된 프로토콜은 MIME, POP3, IMAP이 있습니다. 그러나 SNMP는 인터넷 메일과는 관련이 없는 다른 네트워크 관리 프로토콜입니다. 따라서, SNMP가 인터넷 메일과 관련성이 가장 적은 프로토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한글 Windows XP에서 시스템을 최적화하기 위한 ‘디스크 정리’ 프로그램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보조프로그램]의 [시스템 도구] 항목이나 디스크 속성에서 [디스크 정리]를 실행한다.
  2. 휴지통, 임시 파일, 설치 로그 파일 등을 삭제하거나 오래된 파일을 압축하여 디스크의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3. Windows구성 요소나 설치된 프로그램을 제거하여 디스크 사용 공간을 늘릴 수 있다.
  4. 디스크에 분산되어 있는 데이터를 순서대로 최적화시켜 접근 속도를 향상시킨다.
(정답률: 53%)
  • "[보조프로그램]의 [시스템 도구] 항목이나 디스크 속성에서 [디스크 정리]를 실행한다."가 가장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디스크 정리는 디스크에 분산되어 있는 데이터를 순서대로 최적화시켜 접근 속도를 향상시키는 것이 목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컴퓨터 범죄 중 무단으로 소프트웨어를 복사하여 저작권 침해를 하였다. 이 경우 민ㆍ형사상 제재를 받게 되는데 어떤 법에 저촉되는가?

  1. 정보통신 보호법
  2. 소프트웨어 저작권 보호법
  3. 개인정보 보호법
  4. 컴퓨터 프로그램 보호법
(정답률: 27%)
  • 무단으로 소프트웨어를 복사하여 저작권 침해를 한 경우, 해당 소프트웨어는 저작권법에 의해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저작권 침해가 되며, 이는 "소프트웨어 저작권 보호법"에 저촉된다. 또한, 해당 소프트웨어를 복사하는 행위는 "컴퓨터 프로그램 보호법"에서 금지되어 있으므로, 이 법에도 저촉된다. 따라서, 민ㆍ형사상 제재를 받을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다음 중 웹 애니메이션 제작 프로그램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Auto CAD
  2. Flash
  3. CSS
  4. Frontpage
(정답률: 65%)
  • Flash는 벡터 기반의 애니메이션 제작 프로그램으로, 웹에서 동영상, 게임, 애니메이션 등 다양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제작할 수 있습니다. 이에 비해 Auto CAD는 2D/3D 디자인 및 제작, CSS는 웹 페이지 스타일링, Frontpage는 웹 페이지 제작에 주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다음 그림은 디스플레이 등록 정보 그림이다. 다음 중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더 많은 색상을 화면에 표시하기 위해서는 ‘색 품질’ 항목의 비트수를 늘려야 한다.
  2. 해상도를 낮추면 바탕 화면의 아이콘들이 작아진다.
  3. ‘디스플레이’라고 써 있는 부분에는 컴퓨터에서 현재 설정된 모니터와 비디오 카드의 이름을 보여준다.
  4. 모니터와 비디오 카드에 대한 세부 설정을 하기 위해서는 [고급] 버튼을 누르면 된다.
(정답률: 74%)
  • "해상도를 낮추면 바탕 화면의 아이콘들이 작아진다." 이것이 옳은 이유는 해상도가 낮아지면 화면에 표시되는 픽셀의 수가 줄어들기 때문이다. 따라서 같은 크기의 아이콘을 표시하기 위해서는 픽셀 하나당 표시되는 크기가 작아져서 아이콘들이 작아지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작업 표시줄 모양 그림에서 (가) 부분과 같이 작업 표시줄 속성 창에 자주 사용하는 프로그램을 쉽게 실행할 수 있도록 설정하기 위한 선택항목으로 옳은 것은?

  1. 작업 표시줄 잠금
  2. 작업 표시줄을 항상 위로 유지
  3. 같은 종류의 작업 표시줄 단추를 그룹으로 표시
  4. 빠른 실행 아이콘 표시
(정답률: 70%)
  • "빠른 실행 아이콘 표시"를 선택하면 작업 표시줄에 자주 사용하는 프로그램의 아이콘이 표시되어 쉽게 실행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다음 중 정보통신 관련 용어의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네티켓은 인터넷에 연결된 컴퓨터들 간에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하는 표준 프로토콜이다.
  2. 웹 서버는 웹 기반의 업무 어플리케이션 등과 같은 웹 서비스를 제공하는 소프트웨어 혹은 그러한 기능을 수행하는 컴퓨터를 의미한다.
  3. PCS는 개인 휴대 통신(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s)의 약자로 음성과 데이터 전달, 호출 기능 등을 하나의 기기 안에 포괄하는 전체적인 개념의 이동통신 서비스이다.
  4. 유비쿼터스란 사용자가 네트워크나 컴퓨터를 의식하지 않고 장소에 상관없이 자유롭게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는 환경을 의미한다.
(정답률: 64%)
  • "네티켓은 인터넷에 연결된 컴퓨터들 간에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하는 표준 프로토콜이다."가 가장 옳은 설명이다.

    - 웹 서버는 웹 기반의 업무 어플리케이션 등과 같은 웹 서비스를 제공하는 소프트웨어 혹은 그러한 기능을 수행하는 컴퓨터를 의미한다. (옳은 설명)
    - PCS는 개인 휴대 통신(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s)의 약자로 음성과 데이터 전달, 호출 기능 등을 하나의 기기 안에 포괄하는 전체적인 개념의 이동통신 서비스이다. (옳은 설명)
    - 유비쿼터스란 사용자가 네트워크나 컴퓨터를 의식하지 않고 장소에 상관없이 자유롭게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는 환경을 의미한다. (옳은 설명)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다음 중 손바닥 위에 올려놓고 사용할 수 있을 정도로 아주 작은 크기의 컴퓨터는 어느 것인가?

  1. 팜톱(Palmtop)컴퓨터
  2. 랩톱(Laptop)컴퓨터
  3. 슈퍼(Super)컴퓨터
  4. 데스크톱(Desktop)컴퓨터
(정답률: 65%)
  • 정답: "팜톱(Palmtop)컴퓨터"

    설명: 팜톱 컴퓨터는 손바닥 크기로 매우 작은 휴대용 컴퓨터로, 랩톱 컴퓨터보다도 더 작은 크기를 가지고 있습니다. 슈퍼 컴퓨터는 대규모 연산을 처리하는 고성능 컴퓨터이며, 데스크톱 컴퓨터는 일반적으로 집이나 사무실에서 사용하는 컴퓨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다음 중 [삭제] 명령 후 휴지통에서 [복원] 명령으로 되살릴 수 없는 파일은 무엇인가?

  1. 플로피디스크에 저장되어 있는 파일을 휴지통으로 드래그 하여 삭제
  2. Windows 탐색기에서 [삭제] 명령으로 삭제한 하드디스크의 파일
  3. [Delete]로 삭제한 하드디스크 파일
  4. 마우스를 이용하여 휴지통으로 드래그 하여 삭제한 하드디스크 파일
(정답률: 45%)
  • 플로피디스크는 휴지통 기능을 지원하지 않기 때문에, 휴지통으로 드래그하여 삭제한 파일은 복원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플로피디스크에 저장되어 있는 파일을 휴지통으로 드래그 하여 삭제"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제어판]의 [프로그램 추가/제거] 기능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새로운 응용 프로그램을 추가로 설치하고 제거한다.
  2. Windows XP 구성 요소를 추가 또는 제거한다.
  3. 컴퓨터에 추가하는 하드웨어를 지원하는 드라이버 소프트웨어를 설치한다.
  4. 웹 브라우징이나 전자 메일 전송과 같은 작업에 사용할 기본 프로그램을 선택하고, 시작 메뉴와 바탕 화면, 기타 위치에서 액세스할 프로그램을 지정한다.
(정답률: 34%)
  • "컴퓨터에 추가하는 하드웨어를 지원하는 드라이버 소프트웨어를 설치한다."가 가장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프로그램 추가/제거 기능은 소프트웨어를 설치하거나 제거하는 기능이며, 하드웨어 드라이버는 따로 설치/제거하는 기능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다음 중 스풀링(Spooling)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스풀링은 CPU 작업시간과 프린터의 인쇄 작업시간 사이의 차이를 완충하는 기능을 한다.
  2. 사용자는 프린터 옵션 설정을 통하여 스풀링기능 사용을 취소할 수도 있다.
  3. 모든 인쇄 작업은 문서 전체에 대한 스풀링 작업이 완료되었을 경우에만 인쇄 작업을 시작할 수 있다.
  4. 스풀링 중인 인쇄 작업도 취소를 할 수 있다.
(정답률: 56%)
  • "사용자는 프린터 옵션 설정을 통하여 스풀링기능 사용을 취소할 수도 있다."는 옳은 설명이다.

    정답: "모든 인쇄 작업은 문서 전체에 대한 스풀링 작업이 완료되었을 경우에만 인쇄 작업을 시작할 수 있다."는 옳은 설명이다. 스풀링은 인쇄 작업을 시작하기 전에 문서를 디스크나 메모리에 저장하는 작업을 말하며, 이 작업이 완료되어야 인쇄 작업이 시작될 수 있다. 이를 통해 CPU 작업시간과 프린터의 인쇄 작업시간 사이의 차이를 완충할 수 있다. 스풀링 중인 인쇄 작업도 취소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다음 중 인터넷 서비스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전자 우편(E-Mail) : 컴퓨터 통신망을 이용하여 사용자간에 편지나 여러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는 서비스
  2. IRC : 게시판과 같은 역할을 하며 공통된 주제에 대하여 정보나 의견을 나눌 수 있는 서비스
  3. Telnet : 컴퓨터 통신망 상의 다른 컴퓨터에 로그인하기 위해 사용하는 프로토콜 혹은 서비스
  4. FTP : 파일 전송 프로토콜(File Transfer Protocol)의 약자로 인터넷에서 파일을 송수신할 때 사용되는 서비스
(정답률: 55%)
  • IRC는 게시판과 같은 역할을 하지 않습니다. 대화방(Chat room)과 같은 역할을 하며, 실시간으로 대화를 나눌 수 있는 서비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다음 중 인터넷 상에서 상호작용이 가능한 3차원 가상 세계를 표현할 수 있게 해주는 언어는?

  1. HTML
  2. VRML
  3. XML
  4. Dynamic HTML
(정답률: 62%)
  • VRML은 Virtual Reality Modeling Language의 약자로, 인터넷 상에서 상호작용이 가능한 3차원 가상 세계를 표현할 수 있게 해주는 언어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2차원 웹 페이지를 구성하는 언어들이며, VRML과는 다른 목적과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컴퓨터에서 롬 바이오스(ROM BIOS)를 새 버전으로 업그레이드할 때 롬 칩(ROM CHIP)을 교환하지 않고 사용자가 바이오스 업데이트용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편리하게 업그레이드하기 위한 롬은?

  1. mask ROM
  2. PROM
  3. APROM
  4. EEPROM
(정답률: 54%)
  • EEPROM은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의 약자로, 전기적으로 지워서 재프로그래밍이 가능한 ROM입니다. 따라서 롬 칩을 교환하지 않고도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롬 바이오스를 업그레이드할 수 있습니다. 반면에 mask ROM은 제조 과정에서 이미 내용이 결정되어 지워지지 않으며, PROM은 한 번만 프로그래밍이 가능하고 APROM은 플래시 메모리로서 전기적으로 지워서 재프로그래밍이 가능하지만 EEPROM보다는 속도가 느립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다음 중 한글 Windows XP에서 네트워크 공유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다른 사람들이 자신의 자료에 접근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설정해 놓은 것이다.
  2. 문서, 비디오, 소리, 그림 등의 데이터는 공유할 수 있지만 프로그램은 실행할 수 없다
  3. 내 컴퓨터에 연결되어 있는 프린터를 다른 컴퓨터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프린터 공유가 가능하다.
  4. 공유된 폴더에 폴더를 적용하여 파일을 삭제하거나 변경하지 못하게 설정할 수 있다.
(정답률: 60%)
  • "문서, 비디오, 소리, 그림 등의 데이터는 공유할 수 있지만 프로그램은 실행할 수 없다"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한글 Windows XP에서는 프로그램도 공유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다음 중 한글 Windows XP에서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게 하며 클라이언트가 동적인 IP주소를 할당받을 수 있게 해주는 것은?

  1. WWW
  2. HTML
  3. DHCP
  4. WINS
(정답률: 46%)
  • DHCP는 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의 약자로, 클라이언트가 네트워크에 접속할 때 자동으로 IP주소를 할당해주는 프로토콜입니다. 따라서 DHCP를 사용하면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으며, 클라이언트가 동적인 IP주소를 할당받을 수 있게 됩니다. 다른 보기들인 "WWW", "HTML", "WINS"는 인터넷 사용과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스프레드시트 일반

21. 다음 중 부분합 기능에서 사용할 수 있는 함수 목록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표준 편차
  2. 숫자 개수
  3. 순위
(정답률: 45%)
  • 정답: "곱"

    부분합 기능에서는 주로 합계, 평균, 최댓값, 최솟값 등의 함수를 사용합니다. "표준 편차"와 "숫자 개수"는 부분합을 계산하는 데에 유용한 함수입니다. "순위"는 데이터를 정렬하고 각 데이터의 순위를 매기는 함수로, 부분합에서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곱"은 부분합과는 관련이 없는 함수이므로 옳지 않은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다음 중 [새 매크로 기록]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매크로 이름을 “매크로 연습”으로 입력하였다.
  2. 바로 가기 키 값을 “m”으로 입력하였다.
  3. 매크로 저장 위치를 “새 통합 문서”로 저장하였다.
  4. 매크로 설명에 매크로 기록자의 이름, 기록한 날짜, 간단한 설명 등을 기록하였다.
(정답률: 48%)
  • 매크로 저장 위치를 “새 통합 문서”로 저장하였다. - 매크로를 저장할 위치는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로 지정할 수 있으므로, "새 통합 문서"로 저장했다는 설명은 옳지 않다.

    매크로 이름을 “매크로 연습”으로 입력하였다. - 매크로 이름은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지정할 수 있으므로, "매크로 연습"으로 입력했다는 설명도 옳다.

    바로 가기 키 값을 “m”으로 입력하였다. - 매크로를 실행하기 위한 단축키를 지정하는 것이 가능하며, "m"으로 입력했다는 설명도 옳다.

    매크로 설명에 매크로 기록자의 이름, 기록한 날짜, 간단한 설명 등을 기록하였다. - 매크로 설명에 이러한 정보를 포함시키는 것은 일반적으로 권장되는 방법이므로, 이 설명도 옳다.

    따라서, 옳지 않은 설명은 "매크로 저장 위치를 “새 통합 문서”로 저장하였다."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셀 [A1]에 주민등록번호인 850512-154813이 입력되어 있다. 이 셀 값을 이용하여 셀 [B1]에 성별을 “남” 또는 “여”로 표시하는 함수식이 옳게 된 것은? (단, 주민등록번호의 8번째 글자가 1이면 남자이다.)

  1. =CHOOSE(LEFT(A1,8),“남”,“여”)
  2. =VLOOKUP(A1,A2,1)
  3. =INDEX(“남”,“여”)
  4. =IF(MID(A1,8,1)=“1”,“남”,“여”)
(정답률: 54%)
  • 주민등록번호의 8번째 자리가 1이면 남자이고, 그렇지 않으면 여자이기 때문에, MID 함수를 사용하여 주민등록번호의 8번째 자리를 추출하고, 그 값이 1인지 아닌지를 IF 함수를 사용하여 판별하여 결과값을 “남” 또는 “여”로 반환하는 함수식이 옳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다음 중 엑셀의 기능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데이터]-[표] : 특정 값이나 수식을 입력한 후 이를 이용하여 표를 자동으로 만들어 주는 기능이다.
  2. [도구]-[시나리오] : 워크시트에 입력된 많은 양의 자료를 효율적으로 분석하고 요약하는 기능으로 차트를 함께 작성할 수 있다.
  3. [도구]-[목표값 찾기] : 수식의 원하는 결과 값은 알고 있지만, 그 결과를 계산하기 위해 필요한 입력 값을 모르는 경우에 사용하는 도구로 하나의 입력 값만 변경할 수 있다.
  4. [데이터]-[통합] : 여러 범위의 데이터 값을 결합하여 새로운 형태의 보고서를 만들 수 있다.
(정답률: 44%)
  • "[도구]-[시나리오] : 워크시트에 입력된 많은 양의 자료를 효율적으로 분석하고 요약하는 기능으로 차트를 함께 작성할 수 있다."가 가장 옳지 않은 설명이 아닌 이유는, 엑셀의 시나리오 기능은 실제로 워크시트에 입력된 많은 양의 자료를 효율적으로 분석하고 요약하는 기능으로 차트를 함께 작성할 수 있다는 것이 맞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그림에서 [E3] 셀에 =SUM($B$3:D3)를 입력한 후 채우기 핸들을 아래로 끌었을 때 [E5] 셀에 표시되는 결과 값은?

  1. 3
  2. 15
  3. 22
  4. 37
(정답률: 30%)
  • =E3에 입력한 수식은 =SUM($B$3:D3)입니다. 이는 B3부터 D3까지의 합을 구하는 수식입니다. 채우기 핸들을 아래로 끌면, 수식이 자동으로 =SUM($B$3:D4), =SUM($B$3:D5)와 같이 변경됩니다. 따라서 E5에는 B3부터 D5까지의 합인 37이 표시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데이터와 차트가 함께 있는 워크시트 인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차트를 제외하고 워크시트만 별도로 인쇄할 수 있다.
  2. 차트와 워크시트안의 데이터를 함께 인쇄할 수 있다.
  3. 차트만 인쇄하기 위해서는 먼저 차트 영역을 선택해야 한다.
  4. 워크시트만 인쇄하기 위해서는 먼저 차트 영역을 감추기 한 후 인쇄를 해야한다.
(정답률: 48%)
  • "차트만 인쇄하기 위해서는 먼저 차트 영역을 선택해야 한다."가 옳지 않은 것입니다. 차트만 인쇄하려면 차트 영역을 선택한 후 인쇄 설정에서 "선택한 영역"을 선택해야 합니다. 워크시트만 인쇄하려면 차트 영역을 감추고 인쇄를 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다음 중 메모를 인쇄하는 방법으로 맞지 않은 것은?

  1. 워크시트에 나타난 위치에 메모를 인쇄하려면 우선 메모 있는 셀을 ‘메모 표시’로 설정해야 한다.
  2. 시트 끝에 메모를 인쇄하려면 페이지 설정의 시트 탭에 있는 메모 상자에서 ‘시트 끝’을 선택한다.
  3. 워크시트에 나타난 위치에 메모를 인쇄하려면 페이지 설정의 시트 탭에 있는 메모 상자에서 ‘시트에 표시된 대로’를 선택한다.
  4. 워크시트를 제외하고 메모만을 모아서 인쇄하려면 페이지 설정의 시트탭에 있는 메모 상자에서 ‘없음’을 선택한다.
(정답률: 66%)
  • "워크시트를 제외하고 메모만을 모아서 인쇄하려면 페이지 설정의 시트탭에 있는 메모 상자에서 ‘없음’을 선택한다."가 맞지 않은 것입니다. 이유는 메모 상자에서 '없음'을 선택하면 워크시트와 메모 모두 인쇄되지 않습니다. 메모만 인쇄하려면 워크시트를 숨기고 메모만 남겨두고 인쇄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A1] 셀에 ‘###.##’와 같이 사용자 서식 코드를 지정한 뒤 12345.678이라고 입력했을 때 셀에 표시되는 값은?

  1. 12345.68
  2. 12345.578
  3. 123.46
  4. 123.45
(정답률: 52%)
  • 정답은 "12345.68"입니다.

    사용자 서식 코드 ‘###.##’는 소수점 이하 두 자리까지만 표시하도록 지정한 것입니다. 따라서 입력된 12345.678에서 소수점 이하 둘째 자리인 8은 반올림되어 12345.68로 표시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다음 그림의 차트에서 설정되지 않은 옵션은?

  1. 범례
  2. 차트제목
  3. 축 제목
  4. 데이터 레이블
(정답률: 64%)
  • 이 차트에서는 범례, 차트 제목, 축 제목이 모두 설정되어 있습니다. 하지만 데이터 레이블은 설정되어 있지 않습니다. 데이터 레이블은 각각의 데이터 포인트에 대한 값을 표시하는 것으로, 이 차트에서는 막대 그래프의 각 막대에 대한 값을 표시하는 것이 적절합니다. 따라서, 설정되지 않은 옵션은 "데이터 레이블"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다음 고급필터 검색 기준의 의미로 올바른 것은?

  1. 판매지점이 서초점이거나 판매원이 나한일인 레코드
  2. 판매지점이 서초점이고, 판매사원이 나한일이 아닌 레코드
  3. 판매지점이 서초점인 레코드 중 판매원이 나한일인 레코드
  4. 판매원이 나한일인 레코드 중 판매지점이 서초점인 레코드
(정답률: 69%)
  • 검색 기준은 "판매지점이 서초점이거나 판매원이 나한일인 레코드" 입니다. 이는 판매지점과 판매원 두 가지 조건 중 하나라도 해당되는 레코드를 검색하겠다는 의미입니다. 따라서 "판매지점이 서초점이거나 판매원이 나한일인 레코드"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다음 그림의 [D3] 셀의 값을 VLOOKUP 함수를 이용하여 나타내었다. 채우기 핸들로 모든 단가를 계산할 생각이다. 이때 [D3] 셀에 사용된 함수식으로 옳은 것은?

  1. =VLOOKUP($B$16:$C$19,2,B3)
  2. =VLOOKUP($B$16:$C$19,B3,2)
  3. =VLOOKUP($B$3,B16:C19,3)
  4. =VLOOKUP(B3,$B$16:$C$19,2)
(정답률: 36%)
  • 정답은 "=VLOOKUP(B3,$B$16:$C$19,2)"이다.

    VLOOKUP 함수는 특정 값(B3)을 찾아서 그 값이 있는 행에서 지정한 열(2열)의 값을 반환한다. 이때 찾을 범위는 $B$16:$C$19로 지정되어 있으며, 2열의 값을 반환하도록 지정되어 있다. 따라서 [D3] 셀에는 B3 값인 "사과"에 대한 2열의 값인 150이 반환된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인수의 순서나 범위 지정 등이 잘못되어 있어 올바른 결과를 반환하지 못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다음 중 그리기 도구 모음에 관련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Alt]를 누른 채 도형을 그리면 가로/세로 비율이 동일한 도형이 그려진다.
  2. 직선을 그릴 때 [Ctrl]을 누른 채 선을 그리면 각도가 정확한 수평선/수직선이 그려진다.
  3. [Shift]를 누른 채 사각형의 크기를 조절하면 정사각형이 된다.
  4. [Shift]를 누른 채 도형을 드래그하고 마우스 단추에서 손을 떼면 해당 도형이 복사된다.
(정답률: 38%)
  • "[Shift]를 누른 채 사각형의 크기를 조절하면 정사각형이 된다."는 Shift 키를 누르면 가로와 세로의 비율이 유지되면서 도형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사각형을 그릴 때 Shift 키를 누른 채 크기를 조절하면 가로와 세로의 길이가 같은 정사각형이 그려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다음 중 차트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3차원 차트란 3차원 세로 막대, 3차원 꺽은 선과 같이 축이 3개로 구성된 차트를 일컫는다.
  2. 원형 차트는 추세선 추가가 불가능하다.
  3. 3차원 차트는 추세선 추가가 가능하다.
  4. 3차원 차트는 [차트]-[3차원 보기] 메뉴를 통해 상하회전 및 좌우 회전 값을 변경할 수 있다.
(정답률: 46%)
  • 2번이 옳지 않은 설명이다. 3차원 차트는 추세선 추가가 가능하다. 이는 데이터 시각화에서 추세를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되며, 예측 모델링 등에 활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다음 매크로를 실행시키면 나타나는 현상은?

  1. 선택된 영역이 지워진다.
  2. Sheet1이 모두 왼쪽으로 정렬된다.
  3. 선택된 영역이 기본 형태로 바뀐다.
  4.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는다.
(정답률: 42%)
  • 해당 매크로는 선택된 영역의 내용을 지우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선택된 영역이 지워진다."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다음 워크시트에서 [A1] 셀에 대하여 채우기 핸들을 이용하여 [A2], [A3], [A4]까지 드래그 했을 때 [A4] 셀에 나타나는 데이터는?

  1. 01-Excel95
  2. 04-Excel95
  3. 04-Excel98
  4. 01-Excel98
(정답률: 41%)
  • [A4] 셀에 나타나는 데이터는 "4"입니다. 이는 [A1] 셀의 값인 "1"에서 채우기 핸들을 이용하여 아래로 3칸을 드래그하면 "2", "3", "4"가 순서대로 입력되기 때문입니다.

    정답이 "01-Excel98"인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문제에서 주어진 워크시트의 파일 이름은 "c220081012.xlsx"입니다. "c220081012"는 날짜와 시간을 나타내는 것으로 추측됩니다. 따라서 이 파일이 생성된 시기는 2008년 10월 12일일 것입니다. 이때 Excel 98 버전이 출시된 것은 1998년이므로, 해당 파일이 생성된 시기에는 이미 Excel 98이 출시되어 있었기 때문에 정답은 "01-Excel98"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특정한 시점의 항목 간의 크기를 비교하는 경우에 가장 적절한 차트는?

  1. 가로 막대형 차트
  2. 꺾은선형 차트
  3. 분산형 차트
  4. 영역형 차트
(정답률: 35%)
  • 특정한 시점의 항목 간의 크기를 비교하는 경우에는 가로 막대형 차트가 가장 적절합니다. 이는 가로 방향으로 항목을 나열하고, 각 항목의 크기를 막대로 표현하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형태는 시각적으로 쉽게 비교할 수 있으며, 데이터의 크기 차이를 명확하게 보여줍니다. 또한, 다른 차트에 비해 간단하고 직관적인 형태이기 때문에 대중적으로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아래의 시트에서 [B2] 셀에 30, [B3] 셀에 4, [C2] 셀에 8, [C3] 셀에 8, [D2] 셀에 2를 입력하고 [B4] 셀에 수식 “=C2^2-B2/D2-B3*C3”을 입력했을 때 나타나는 값으로 옳은 것은?

  1. 104
  2. -15
  3. -31
  4. 17
(정답률: 36%)
  • [B2] 셀에 30, [B3] 셀에 4, [C2] 셀에 8, [C3] 셀에 8, [D2] 셀에 2를 입력하면 [B4] 셀에는 다음과 같은 수식이 입력됩니다.

    =C2^2-B2/D2-B3*C3

    이 수식을 계산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8^2-30/2-4*8
    =64-15-32
    =17

    따라서 정답은 "17"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다음 중 정렬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기본적으로 행 단위로 정렬한다.
  2. 대/소문자를 구분하여 정렬하는 기능은 없다.
  3. 오름차순으로 정렬하면 숫자가 한글보다 앞에 위치한다.
  4. 사용자가 [도구]-[옵션]-[사용자 지정 목록]에서 정렬 순서를 추가하거나 삭제할 수 있다.
(정답률: 55%)
  • "대/소문자를 구분하여 정렬하는 기능은 없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대/소문자를 구분하여 정렬하는 기능은 있으며, 대/소문자를 구분하지 않는 정렬 기능도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셀에 분수 1/2을 입력하면 날짜 01월 02일로 인식되어 출력된다. 만약 특정 셀 서식을 지정하지 않은 상태에서 셀에 분수 1/2을 출력하기 위한 입력 형식은?

  1. 0.5
  2. 0 1/2
  3. # 1/2
  4. $ 1/2
(정답률: 53%)
  • 셀에 분수 1/2을 입력할 때, 셀의 서식이 지정되어 있지 않으면 엑셀은 이를 날짜 형식으로 인식하여 01월 02일로 출력합니다. 따라서 분수 1/2를 출력하기 위해서는 셀에 "0 1/2"와 같이 공백을 넣어서 입력해야 합니다. 이는 엑셀이 숫자와 문자를 구분하기 위한 특수한 문자열 형식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다음 중 ‘창 정렬’에서 설정할 수 있는 정렬 방식이 아닌 것은?

  1. 바둑판식
  2. 계단식
  3. 채우기식
  4. 세로
(정답률: 44%)
  • 창 정렬에서 설정할 수 있는 정렬 방식 중 "채우기식"은 없습니다. 이유는 창 정렬에서는 주어진 공간에 맞춰서 창을 정렬하는 것이기 때문에, 창의 크기와 위치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채우기식처럼 창을 꽉 채우는 방식은 설정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