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터활용능력 2급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1-03-20)

컴퓨터활용능력 2급
(2011-03-20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컴퓨터 일반

1. 다음 중 산술 논리 연산 장치(Arithmetic and Logic Unit)의 구성 요소가 아닌 것은?

  1. 상태 레지스터
  2. 누산기
  3. 프로그램 카운터
  4. 보수기
(정답률: 50%)
  • 프로그램 카운터는 ALU의 구성 요소가 아닙니다. ALU는 산술 연산과 논리 연산을 수행하는데 반해, 프로그램 카운터는 CPU가 다음에 실행할 명령어의 주소를 저장하는 레지스터입니다. 따라서 ALU와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다음 중 개인용 컴퓨터(PC)에서 문자를 표현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코드 형식에 해당하는 것은?

  1. ASCII 코드
  2. BCD코드
  3. ISO 코드
  4. EBCDIC 코드
(정답률: 76%)
  • ASCII 코드는 개인용 컴퓨터에서 문자를 표현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코드 형식입니다. 이는 미국에서 개발된 7비트 코드로, 영문 알파벳, 숫자, 특수문자 등을 표현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ASCII 코드가 개인용 컴퓨터에서 문자를 표현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코드 형식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다음 중 한글 Windows XP에서 휴지통에 저장되지 않는 경우로 옳은 것은?

  1. <Shift>를 누른 상태에서 삭제한 파일
  2. <Ctrl>을 누른 상태에서 삭제한 파일
  3. <Alt>를 누른 상태에서 삭제한 파일
  4. 바로가기 메뉴에서 [삭제] 메뉴를 눌러서 삭제한 바로가기 아이콘
(정답률: 58%)
  • "<Shift>를 누른 상태에서 삭제한 파일"은 휴지통으로 보내지 않고 완전히 삭제되기 때문에 복구할 수 없습니다. 이는 <Shift> 키를 누르면 파일이 영구적으로 삭제되도록 설정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다음 중 한글 Windows XP에서 [디스크 정리]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불필요한 파일들을 삭제하여 디스크의 여유 공간을 확보한다.
  2. 디스크에 분산되어 있는 저장 파일들을 연속된 공간에 저장하여 디스크 접근 속도를 향상시킨다.
  3. 디스크의 전체 크기와 사용 가능한 공간이 늘어난다.
  4. 디스크의 원본 데이터의 손실에 대비하여 외부 저장 장치에 저장한다.
(정답률: 68%)
  • 정답은 "불필요한 파일들을 삭제하여 디스크의 여유 공간을 확보한다."입니다. 디스크 정리는 사용하지 않는 파일이나 폴더, 임시 파일 등을 삭제하여 디스크의 여유 공간을 확보하는 작업입니다. 이를 통해 디스크의 용량을 늘리고, 시스템의 안정성과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현재 IP주소의 고갈로 인하여 IPv4체계에서 IPv6체계로의 변경이 불가피해지고 있다. 다음 중 IPv6에서 사용하는 주소의 비트 수로 옳은 것은?

  1. 32비트
  2. 64비트
  3. 128비트
  4. 256비트
(정답률: 72%)
  • IPv6에서 사용하는 주소는 128비트이다. 이는 IPv4의 32비트 주소 체계에서 주소 고갈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비트 수를 대폭 늘린 것이다. IPv6의 128비트 주소 체계는 약 340,282,366,920,938,463,463,374,607,431,768,211,456 개의 주소를 제공하며, 이는 현재 사용 중인 IPv4의 주소 수보다 약 340,282,366,920,938,463,463,374,607,431,768,211,424 배나 크다. 이러한 주소 체계는 인터넷의 확장성과 성장을 지원하기 위해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다음 중 한글 Windows XP에서 사용 중인 프로그램을 닫거나 실행 중인 프로그램을 끝내기 위한 바로 가기 키는?

  1. <Ctrl> + <Tab> 키
  2. <Alt> + <Enter> 키
  3. <Alt> + <Tab> 키
  4. <Alt> + <F4> 키
(정답률: 68%)
  • "<Alt> + <F4> 키"는 현재 활성화된 창을 닫거나 실행 중인 프로그램을 끝내기 위한 바로 가기 키입니다. 이는 Windows 운영체제에서 모든 프로그램에서 공통적으로 사용되는 단축키이며, "<Alt> + <F4> 키"를 누르면 현재 창이나 프로그램이 종료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다음 중 한글 Windows XP의 프린터 설치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프린터 한 대를 공유하여 여러 대의 컴퓨터에서 사용할 수 있다.
  2. 기본 프린터에 스풀 기능이 설정되어 있을 경우 인쇄속도가 빨라진다.
  3. 이미 설치한 프린터라도 다른 이름으로 다시 설치할 수 있다.
  4. 프린터마다 개별적으로 이름을 붙여 설치할 수 있다.
(정답률: 63%)
  • "기본 프린터에 스풀 기능이 설정되어 있을 경우 인쇄속도가 빨라진다." 설명: 스풀 기능은 인쇄 작업을 컴퓨터의 메모리에 저장해두고, 프린터가 처리할 수 있을 때 출력하는 기능입니다. 기본 프린터에 스풀 기능을 설정하면 인쇄 작업이 빠르게 처리되어 인쇄 속도가 빨라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다음 중 한글 Windows XP에서 디스크에 대한 할당 및 보안 등과 같은 고급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어느 파일시스템을 사용해야 하는가?

  1. FAT16
  2. FAT32
  3. NTFS
  4. VFS
(정답률: 57%)
  • 정답: NTFS

    설명: NTFS는 Windows 운영체제에서 사용되는 고급 파일시스템으로, 디스크에 대한 할당 및 보안 등과 같은 고급 기능을 지원합니다. FAT16과 FAT32는 더 단순한 파일시스템으로, NTFS에 비해 기능이 제한적입니다. VFS는 가상 파일시스템을 의미하며, 파일시스템의 종류를 나타내는 용어가 아닙니다. 따라서, 한글 Windows XP에서 디스크에 대한 고급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NTFS 파일시스템을 사용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다음은 무엇에 관한 설명인가?

  1. 일괄처리 시스템(Batch Processing System)
  2. 다중처리 시스템(Multiprocessing System)
  3. 듀플렉스 시스템(Duplex System)
  4. 다중프로그래밍 시스템(Multiprogramming System)
(정답률: 72%)
  • 다중처리 시스템은 여러 개의 프로세서가 동시에 작업을 처리하는 시스템입니다. 그림에서 보이는 것처럼 여러 개의 CPU가 하나의 메모리와 입출력 장치를 공유하여 작업을 처리합니다. 따라서 일괄처리 시스템보다 빠른 처리 속도와 높은 처리 능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다음 중 전자우편(E-mail) 헤더의 구성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발신자 주소
  2. 숨은 참조인 주소
  3. 편지의 제목
  4. 전달
(정답률: 47%)
  • 전달은 전자우편(E-mail) 헤더의 구성 요소가 아닙니다. 전달은 이전에 받은 이메일을 다른 수신자에게 전달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이메일의 본문에 포함되는 내용이며, 헤더에는 기록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전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MPEG은 큰 용량의 동영상을 효율적으로 압축하기 위한 표준을 제정하고 있다. 다음의 MPEG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MPEG1: 기존의 비디오테이프 수준의 화질을 제공하고 있으며 비디오 CD 제작에 사용된다.
  2. MPEG2: 높은 화질과 음질을 제공하고 있으며 DVD, HDTV 등에 사용된다.
  3. MPEG7: 동영상 데이터 검색과 전자상거래 등에 적합하도록 개발된 동영상 압축 재생기술이다.
  4. MPEG21: 인터넷이나 무선통신 등에 필요한 동화상과 음성의 고능률 부호화 방식으로 복합 멀티미디어 서비스의 통합 표준이다.
(정답률: 43%)
  • 정답은 "MPEG21: 인터넷이나 무선통신 등에 필요한 동화상과 음성의 고능률 부호화 방식으로 복합 멀티미디어 서비스의 통합 표준이다."가 아닙니다. MPEG21은 맞는 설명입니다. 따라서 옳지 않은 것은 없습니다. MPEG1은 비디오 CD 제작에 사용되며, MPEG2는 DVD, HDTV 등에 사용되며 높은 화질과 음질을 제공합니다. MPEG7은 동영상 데이터 검색과 전자상거래 등에 적합하도록 개발된 동영상 압축 재생기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다음 중 한글 Windows XP에서 [시스템 종료] 대화상자에 표시되는 선택 메뉴로 옳지 않은 것은?

  1. 끄기
  2. 대기 모드
  3. 사용자 전환
  4. 다시 시작
(정답률: 60%)
  • 정답: 사용자 전환

    설명: 한글 Windows XP에서 [시스템 종료] 대화상자에는 "끄기", "대기 모드", "사용자 전환", "다시 시작"의 4가지 선택 메뉴가 있습니다. 그 중에서도 "사용자 전환"은 시스템을 종료하는 것이 아니라 현재 사용자의 세션을 유지한 채 다른 사용자가 로그인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입니다. 따라서 이 선택 메뉴는 시스템을 종료하는 것이 아니므로 옳지 않은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다음 빈칸에 알맞은 것을 고르시오.

  1. Registry
  2. File System
  3. Zip Drive
  4. Partition
(정답률: 51%)
  • 이미지에서 보이는 것은 하드 디스크의 파티션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파티션은 하드 디스크를 논리적으로 분할하여 각각의 파티션에 파일 시스템을 할당하는 것을 말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Partition"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다음 중 멀티미디어의 개념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멀티미디어는 정보 제공자의 선택에 의해 하나의 방향으로 데이터가 전달된다.
  2.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여 통합 처리한다.
  3.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용량이 크기 때문에 압축하여 저장한다.
  4. 인터넷 기술의 발전으로 대용량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전세계의 모든 사람들이 쉽고, 빠르게 사용할 수 있다.
(정답률: 72%)
  • 정답: "멀티미디어는 정보 제공자의 선택에 의해 하나의 방향으로 데이터가 전달된다."

    설명: 멀티미디어는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여 통합 처리하고, 이를 압축하여 저장하며, 인터넷 기술의 발전으로 대용량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전세계의 모든 사람들이 쉽고 빠르게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하지만 멀티미디어는 단방향적인 데이터 전달이 아니라, 사용자와 상호작용하며 양방향적인 데이터 전달이 가능하다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멀티미디어는 정보 제공자의 선택에 의해 하나의 방향으로 데이터가 전달된다."는 설명은 옳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다음 중 컴퓨터 바이러스나 웜(Worm)이 가지고 있는 특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복제 기능
  2. 치료 기능
  3. 은폐 기능
  4. 파괴 기능
(정답률: 78%)
  • 정답은 "치료 기능"입니다. 컴퓨터 바이러스나 웜은 다른 컴퓨터 파일에 복제되는 "복제 기능"과 자신을 숨기는 "은폐 기능", 그리고 시스템이나 파일을 파괴하는 "파괴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들은 컴퓨터 시스템을 보호하거나 치료하는 "치료 기능"은 가지고 있지 않습니다. 따라서 "치료 기능"은 옳지 않은 특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다음 중 인터넷 웹브라우저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자주 사용하는 사이트의 자료를 따로 저장하고 있다가 사용자가 다시 그 자료에 접근하려고 할 때 인터넷을 접속하지 않고 저장한 자료를 활용해서 빠르게 보여주는 기능을 쿠키라고 한다.
  2. 플러그 인 프로그램을 설치하여 동영상이나 소리 등의 다양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3. 웹 브라우저를 처음 실행시킨 후부터 종료 전까지 사용자가 방문했던 웹 사이트 주소들을 순서대로 기억하여 보존하는 기능을 히스토리라고 한다.
  4. 자주 방문하는 웹 사이트를 쉽게 찾아갈 수 있도록 해당 웹 사이트 주소를 목록형태로 저장해 둔 것을 즐겨찾기라고 한다.
(정답률: 48%)
  • "자주 사용하는 사이트의 자료를 따로 저장하고 있다가 사용자가 다시 그 자료에 접근하려고 할 때 인터넷을 접속하지 않고 저장한 자료를 활용해서 빠르게 보여주는 기능을 쿠키라고 한다."가 가장 적절하지 않은 설명입니다. 이는 캐시(cache)의 기능을 설명한 것이며, 쿠키는 사용자의 정보를 저장하고 추적하는 데 사용됩니다. 쿠키는 사용자가 로그인 정보를 저장하거나 쇼핑 카트에 담긴 상품 정보를 저장하는 데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다음 중 통신 장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게이트웨이(Gateway) : 네트워크에서 다른 네트워크로 들어가는 관문의 기능을 수행하는 지점을 말한다.
  2. 라우터(Router) : 서로 독립적으로 동작하면서 같은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두 LAN(Local Area Network)을 연결하는 네트워크 장치이다.
  3. 스위칭 허브(Switching Hub) : 여러 대의 컴퓨터를 연결하는 장치로, 더미 허브(Dummy Hub)와는 달리 노드가 늘어나도 속도에는 변화가 없다.
  4. 리피터(Repeater) : 디지털 방식의 통신선로에서 전송신호를 재생시키거나 출력전압을 높여 전송하는 장치이다.
(정답률: 56%)
  • "라우터(Router) : 서로 독립적으로 동작하면서 같은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두 LAN(Local Area Network)을 연결하는 네트워크 장치이다."가 옳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다음 중 압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압축을 함으로써 디스크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2. 압축을 함으로써 파일을 전송할 때 빠르게 처리할 수 있다.
  3. 여러 개의 파일을 하나의 파일로 압축할 수 있다.
  4. 'WAV'의 형태는 파일 압축을 사용한 대표적인 경우이다.
(정답률: 74%)
  • "'WAV'의 형태는 파일 압축을 사용한 대표적인 경우이다."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WAV 파일은 일반적으로 압축되지 않은 형태로 저장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다음 중 인터넷 익스플로러처럼 인터넷을 사용하기 위한 웹 브라우저가 아닌 것은?

  1. 모자이크(Mosaic)
  2. 오페라(Opera)
  3. 파이어폭스(Firefox)
  4. 안드로이드(Android)
(정답률: 59%)
  • 안드로이드는 모바일 운영체제이며, 인터넷을 사용하기 위한 웹 브라우저가 아닙니다. 따라서 정답은 안드로이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다음 중 프린터 제품별로 차이가 나는 특징적인 기능이나 성능을 나타내는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양면 인쇄 기능
  2. 최대 해상도
  3. 인쇄 속도
  4. 프린터 스풀링 지원
(정답률: 45%)
  • 프린터 스풀링 지원은 프린터가 인쇄 작업을 처리하는 방식과 관련된 기능으로, 인쇄 작업을 일시적으로 저장해두고 나중에 처리함으로써 다른 작업을 동시에 처리할 수 있도록 해줍니다. 이와 달리 양면 인쇄 기능, 최대 해상도, 인쇄 속도는 모두 인쇄 결과물의 품질과 속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기능이나 성능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스프레드시트 일반

21. 다음 중 창 정렬과 창 나누기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창을 정렬하는 방식은 4가지가 있다.
  2. 창 정렬은 여러 개의 통합 문서를 배열하여 비교하면서 작업할 수 있는 기능이다.
  3. 창이 나누어진 상태에서는 분할선을 마우스로 끌어 분할된 지점을 변경할 수 있다.
  4. 창 나누기는 현재 셀 포인터의 우측과 위쪽을 기준으로 설정된다.
(정답률: 60%)
  • "창 나누기는 현재 셀 포인터의 우측과 위쪽을 기준으로 설정된다."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창 나누기는 현재 선택된 셀을 기준으로 설정됩니다. 선택된 셀의 우측과 위쪽에 창이 생성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다음 중 워크시트를 스크롤할 때 행과 열의 위쪽이나 왼쪽 부분이 항상 표시되도록 하는 기능으로 옳은 것은?

  1. 전체 화면
  2. 페이지 나누기 미리보기
  3. 틀 고정
  4. 화면 분할
(정답률: 72%)
  • 틀 고정은 워크시트를 스크롤할 때 특정 행과 열을 고정하여 항상 표시되도록 하는 기능입니다. 이를 통해 데이터를 다룰 때 특정 행과 열을 계속해서 확인할 수 있어 편리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다음 중 차트 마법사의 2단계에서 설정할 수 있는 항목으로 옳지 않은 것은?(제외된 문제, 문제 출제당시 오피스 2003 기준으로 출제되어 현재는 제외된 문제 입니다. 참고만 하세요.)

  1. 데이터 범위
  2. 계열
  3. 계열 위치를 행/열 중에서 선택
  4. 차트의 제목
(정답률: 34%)
  • 차트의 제목은 차트를 보는 사람에게 차트의 내용을 간단하게 설명해주는 역할을 하기 때문입니다. 다른 항목들은 차트를 구성하는 데이터나 계열에 대한 설정이므로 차트의 내용을 설명하는 역할을 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다음 중 공유 통합 문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여러 사용자가 동시에 동일한 셀을 변경하려하면 충돌이 발생한다.
  2. 공유된 통합 문서의 워크시트에서 전체 행이나 열은 삽입하거나 삭제할 수 있다.
  3. 워크시트나 차트시트를 삭제할 수 있다.
  4. 공유 통합 문서를 열면 창의 제목 표시줄에 [공유]가 표시된다.
(정답률: 41%)
  • "워크시트나 차트시트를 삭제할 수 있다."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공유 통합 문서에서는 다른 사용자들과 함께 작업하기 때문에 워크시트나 차트시트를 삭제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다음 중 매크로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서로 다른 매크로에 동일한 이름을 부여하면 안 된다.
  2. 매크로를 활용하면 자주 사용하는 복잡한 작업을 단순한 명령으로 실행할 수 있다.
  3. 사용자의 키보드 동작 및 마우스 동작을 그대로 기록할 수 있다.
  4. 매크로 기록 기능으로 기록한 매크로는 편집할 수 없다.
(정답률: 67%)
  • "매크로 기록 기능으로 기록한 매크로는 편집할 수 없다."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매크로 기록 기능으로 기록한 매크로는 편집이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셀 서식]-[맞춤]탭에서 아래의 내용에 적용된 셀 서식 지정 방식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텍스트 줄 바꿈을 선택했다.
  2. 셀 병합을 선택했다.
  3. '텍스트 방향'을 '세로'로 선택했다.
  4. 텍스트 맞춤을 가로 '가운데', 세로 '가운데'로 선택했다.
(정답률: 65%)
  • 이미지에서는 텍스트가 세로 방향으로 나열되어 있기 때문에 '텍스트 방향'을 '세로'로 선택한 것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해당 셀에 적용된 서식으로 옳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다음 시트에서 [H1]셀에 표시되는 결과로 옳은 것은?

  1. 26
  2. 27
  3. 7
  4. 8
(정답률: 41%)
  • [H1]셀은 A열부터 G열까지의 값 중에서 가장 큰 값을 출력하는 함수인 MAX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A열부터 G열까지의 값 중에서 가장 큰 값은 26이므로 [H1]셀에는 "26"이 표시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다음 중 피벗 테이블에서 가능한 작업들을 설명한 것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먼저 피벗 테이블을 만든 후 나중에 피벗 차트를 추가할 수 있다.
  2. 피벗 테이블과 피벗 차트를 함께 만든 후에 피벗 테이블을 삭제하면 피벗 차트도 자동으로 삭제된다.
  3. 피벗 차트는 피벗 테이블을 만들지 않고는 만들 수 없다.
  4. 한번 작성된 피벗 테이블의 필드 위치를 필요에 따라 삭제나 이동하여 재배치할 수 있다.
(정답률: 67%)
  • "피벗 테이블과 피벗 차트를 함께 만든 후에 피벗 테이블을 삭제하면 피벗 차트도 자동으로 삭제된다."가 옳지 않은 것입니다.

    이유는 피벗 차트는 피벗 테이블을 기반으로 만들어지기 때문에, 피벗 테이블을 삭제하면 피벗 차트는 더 이상 데이터를 기반으로 표시할 수 없게 됩니다. 따라서 피벗 차트는 수동으로 삭제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다음 그림처럼 셀 값을 입력하기 위해서 [A1]셀에 숫자 1을 입력하고, [A1]셀에서 마우스로 채우기 핸들을 아래로 드래그하려고 한다. 이때 숫자가 증가하여 입력되도록 하기 위해 함께 눌러줘야 하는 키로 옳은 것은?

  1. <Alt>
  2. <Ctrl>
  3. <Shift>
  4. <Tab>
(정답률: 65%)
  • 정답은 "<Ctrl>"입니다.

    "<Ctrl>" 키를 누르면 채우기 핸들을 드래그할 때 셀 값이 증가하도록 자동으로 패턴이 생성됩니다. 예를 들어, [A1]셀에 1을 입력하고 [A2]셀에 2를 입력한 후 [A1]셀에서 채우기 핸들을 아래로 드래그하면 [A3]셀에 3, [A4]셀에 4, ...와 같이 셀 값이 자동으로 증가합니다. 이러한 패턴 생성 기능을 자동 채우기라고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다음 중 부분합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부분합의 첫 행에는 열 이름표가 있어야 하며, 그룹으로 사용할 데이터는 반드시 오름차순으로 정렬되어야 한다.
  2. 부분합이 실행되면 윤곽 기호가 표시되므로 각 수준의 데이터를 편리하게 볼 수 있다.
  3. 부분합이 적용된 각 그룹을 페이지로 분리할 수 있다.
  4. 부분합을 해제하고 원래의 목록으로 표시할 때는 [부분합] 대화 상자에서 [모두 제거] 단추를 클릭한다.
(정답률: 65%)
  • "부분합의 첫 행에는 열 이름표가 있어야 하며, 그룹으로 사용할 데이터는 반드시 오름차순으로 정렬되어야 한다."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부분합에서 그룹으로 사용할 데이터는 정렬되어 있어야 더 효과적인 분석이 가능하지만, 반드시 오름차순으로 정렬되어야 하는 것은 아닙니다. 내림차순으로 정렬해도 부분합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다음 중 함수식의 실행 결과가 옳지 않은 것은?

  1. =MOD(17,-5) ⇒ 2
  2. =PRODUCT(7,2,2) ⇒ 28
  3. =INT(-5.2) ⇒ -6
  4. =ROUND(6.29,0) ⇒ 6
(정답률: 37%)
  • "=MOD(17,-5) ⇒ 2" 가 옳은 결과입니다. MOD 함수는 나머지를 구하는 함수이며, 17을 -5로 나눈 나머지는 2입니다.

    나머지 보기들도 모두 옳은 결과를 출력합니다.

    - "=PRODUCT(7,2,2) ⇒ 28": PRODUCT 함수는 인수들의 곱을 구하는 함수이며, 7 x 2 x 2 = 28 입니다.
    - "=INT(-5.2) ⇒ -6": INT 함수는 소수점 이하를 버리는 함수이며, -5.2를 버리면 -6이 됩니다.
    - "=ROUND(6.29,0) ⇒ 6": ROUND 함수는 반올림하는 함수이며, 소수점 첫째자리에서 반올림하면 6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다음 중 인수를 사용하지 않는 함수는?

  1. SUM
  2. NOW
  3. HLOOKUP
  4. MAX
(정답률: 66%)
  • "NOW" 함수는 현재 시간과 날짜를 반환하는 함수로, 인수를 사용하지 않습니다. 다른 함수들은 인수를 사용하여 입력값을 받아 처리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아래 시트에서 'o' 한 개당 20점으로 시험 점수를 계산하여 점수 필드에 표시하려고 할 때 [H2]셀에 들어갈 수식으로 옳은 것은?

  1. =COUNT(C2:G2,"o")*20
  2. =COUNTIF(C2:G2,"o")*20
  3. =SUM(C2:G2,"o")*20
  4. =SUMIF(C2:G2,"o")*20
(정답률: 52%)
  • 정답은 "=COUNTIF(C2:G2,"o")*20" 입니다.

    이유는 COUNTIF 함수는 범위 내에서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셀의 개수를 반환합니다. 따라서 "o"가 몇 개 있는지 COUNTIF 함수로 계산하고, 이를 20점씩 곱하여 시험 점수를 계산할 수 있습니다.

    COUNT 함수는 범위 내에서 숫자가 아닌 셀의 개수를 반환하므로, "o"의 개수를 세기에는 COUNTIF 함수를 사용해야 합니다.

    SUM 함수와 SUMIF 함수는 범위 내에서 숫자 값을 합산하는 함수이므로, 이 경우에는 사용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다음 중 성명이 '정'으로 시작하거나 출신지역이 '서울'인 데이터를 추출하기 위한 고급 필터 조건으로 옳은 것은?

(정답률: 73%)
  • 정답은 ""입니다.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성명이 '정'으로 시작하는 데이터를 추출하기 위한 조건은 다음과 같습니다.
    - 필터 조건: 성명 LIKE '정%'

    2. 출신지역이 '서울'인 데이터를 추출하기 위한 조건은 다음과 같습니다.
    - 필터 조건: 출신지역 = '서울'

    3. 따라서, 성명이 '정'으로 시작하거나 출신지역이 '서울'인 데이터를 추출하기 위한 고급 필터 조건은 다음과 같습니다.
    - 필터 조건: (성명 LIKE '정%') OR (출신지역 = '서울')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다음 차트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X(항목), Y(값) 축이 표시되어 있다.
  2. Y(값) 축 주 눈금선이 표시되어 있다.
  3. 범례 표지 표시가 설정되어 있다.
  4. 데이터 테이블 표시가 설정되어 있다.
(정답률: 24%)
  • 차트에는 범례가 표시되어 있지 않으므로 "범례 표지 표시가 설정되어 있다."는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다음 중 엑셀에서 작성 가능한 파일형식과 그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XLK : 백업 파일
  2. XLT : 서식 파일
  3. HTM : 웹 페이지
  4. WK4 : 작업 영역 파일
(정답률: 42%)
  • WK4 파일은 Lotus 1-2-3에서 사용되는 파일 형식으로, 엑셀에서 작성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WK4 : 작업 영역 파일"이 옳지 않은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다음 원본 데이터와 이에 대한 차트의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차트 제목인 '판매실적'은 [A1] 셀 데이터 값이 자동으로 설정된 것이다.
  2. 차트의 계열 위치 옵션을 '열'로 선택한 결과이다.
  3. Y축 눈금의 최소값인 8000은 [축 서식]-[눈금] 탭에서 수동으로 설정한 것이다.
  4. 차트 위치 옵션을 '새로운 시트로'를 선택한 결과이다.
(정답률: 46%)
  • Y축 눈금의 최소값인 8000은 [축 서식]-[눈금] 탭에서 수동으로 설정한 것이다. 이유는 차트의 Y축 눈금이 8000부터 시작하기 때문이다. 다른 보기들은 차트의 다른 속성들을 설명하고 있으며, Y축 눈금의 최소값은 수동으로 설정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다음 중 매크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매크로 이름에는 특수 문자(+,-,&,*,?)가 포함될 수 없으며 공백도 포함될 수 없다.
  2. 매크로의 바로 가기 키는 기본적으로<Alt>가 지정되어 있으며 새로운 알파벳 문자를 바로 가기 키로 지정할 수 있다.
  3. 매크로 대화상자의 설명은 매크로 실행과는 관계가 없는 주석을 기록하는 것으로 비주얼 베이직 편집기 창에서 보면 작은 따옴표(')로 시작한다.
  4. 절대 참조로 기록된 매크로를 실행하면, 현재 셀의 위치에 상관없이 매크로를 기록할 때 지정한 셀에 매크로가 적용된다.
(정답률: 54%)
  • 매크로의 바로 가기 키는 기본적으로 가 지정되어 있으며 새로운 알파벳 문자를 바로 가기 키로 지정할 수 있다. - 옳은 설명입니다.

    매크로 이름에는 특수 문자(+,-,&,*,?)가 포함될 수 없으며 공백도 포함될 수 없다. - 매크로 이름에는 특수 문자와 공백이 포함될 수 없는 것은 맞지만, 이것은 매크로의 설명이 아니라 매크로의 이름에 대한 설명입니다.

    매크로 대화상자의 설명은 매크로 실행과는 관계가 없는 주석을 기록하는 것으로 비주얼 베이직 편집기 창에서 보면 작은 따옴표(')로 시작한다. - 이것은 매크로 대화상자의 설명에 대한 설명이며, 매크로의 실행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절대 참조로 기록된 매크로를 실행하면, 현재 셀의 위치에 상관없이 매크로를 기록할 때 지정한 셀에 매크로가 적용된다. - 이것은 매크로의 실행에 대한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다음 채우기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입력한 결과이다. 연속데이터 대화상자에서 방향은 '열', 유형은 '급수'일 때 단계 값으로 옳은 것은?

  1. 2
  2. -3
  3. 3
  4. -6
(정답률: 67%)
  • 급수는 일정한 간격으로 증가하거나 감소하는 수열을 말한다. 이 데이터에서는 2에서 -3으로 5만큼 감소하고, -3에서 3으로 6만큼 증가하고, 3에서 -6으로 9만큼 감소하므로, 간격이 5, 6, 9로 일정하지 않다. 따라서 이 데이터는 급수가 아니므로, 단계 값으로 옳은 것은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다음 시트에서 [B10]셀에 [B3:D9] 영역의 평균을 계산하고 자리올림을 하여 천의 자리까지 표시하는 함수식으로 옳은 것은?

  1. =ROUNDUP(AVERAGE(B3:D9),-3)
  2. =ROUND(AVERAGE(B3:D9),-3)
  3. =ROUNDUP(AVERAGE(B3:D9),3)
  4. =ROUND(AVERAGE(B3:D9),3)
(정답률: 42%)
  • 정답: "=ROUNDUP(AVERAGE(B3:D9),-3)"

    이유:

    1. AVERAGE(B3:D9) 함수를 사용하여 B3:D9 영역의 평균을 계산합니다.

    2. ROUNDUP 함수를 사용하여 평균 값을 천의 자리까지 자리올림합니다.

    3. ROUNDUP 함수의 두 번째 인수를 -3으로 설정하여 천의 자리에서 자리올림합니다.

    따라서 "=ROUNDUP(AVERAGE(B3:D9),-3)" 함수식이 옳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