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터활용능력 2급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1-10-16)

컴퓨터활용능력 2급
(2011-10-16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컴퓨터 일반

1. 다음 중 한글 Windows XP에서 다음과 같이 파일을 삭제하였을 때 [휴지통]에 저장되는 경우로 옳은 것은?

  1. 해당 파일의 바로 가기 메뉴에서 [삭제]를 선택하여 삭제할 경우
  2. [Shift] + [Delete] 키를 이용하여 C: 드라이브에 저장된 파일을 삭제할 경우
  3. 네트워크상의 다른 컴퓨터에 있는 파일을 삭제할 경우
  4. USB 메모리에 저장된 파일을 삭제할 경우
(정답률: 75%)
  • 해당 파일의 바로 가기 메뉴에서 [삭제]를 선택하여 삭제할 경우, 삭제된 파일은 [휴지통]에 저장됩니다. 이는 바로 가기 메뉴에서 [삭제]를 선택하면 실제 파일이 아닌 해당 파일의 바로 가기가 삭제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휴지통]에 저장된 파일을 복원하거나 완전히 삭제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다음 중 연속적 소리 신호인 아날로그 신호를 일정한 간격으로 측정하여 그 값을 디지털화시키는 작업으로 옳은 것은?

  1. 시퀀싱
  2. 샘플링
  3. 멀티플렉싱
  4. 디더링
(정답률: 47%)
  • 정답: 샘플링

    설명: 연속적인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화하기 위해서는 일정한 간격으로 측정하여 값을 디지털화해야 합니다. 이때, 이 간격으로 측정하는 것을 샘플링이라고 합니다. 따라서, "샘플링"이 정답입니다. 시퀀싱은 일련의 순서대로 처리하는 것을 의미하며, 멀티플렉싱은 여러 신호를 하나의 채널로 전송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디더링은 디지털 신호를 부드럽게 만들기 위해 무작위 잡음을 추가하는 기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다음 중 컴퓨터 네트워크에서 각 사이트를 물리적, 논리적으로 연결해 주기 위한 네트워크 장비로 옳지 않은 것은?

  1. 패킷(Packet)
  2. 라우터(Router)
  3. 브리지(Bridge)
  4. 리피터(Repeater)
(정답률: 51%)
  • 정답은 "리피터(Repeater)"입니다.

    패킷(Packet)은 컴퓨터 네트워크에서 데이터를 전송할 때 일정한 크기로 나누어진 작은 데이터 덩어리를 말합니다. 이러한 패킷은 송신자와 수신자 간의 통신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라우터(Router)는 컴퓨터 네트워크에서 패킷을 전송하는 경로를 결정하고, 패킷을 해당 경로로 전송하는 역할을 합니다.

    브리지(Bridge)는 컴퓨터 네트워크에서 서로 다른 두 개의 네트워크를 연결하여 통신이 가능하도록 해주는 장비입니다.

    리피터(Repeater)는 컴퓨터 네트워크에서 신호의 감쇠를 방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장비로, 신호를 증폭하여 전송 거리를 늘리는 역할을 합니다. 하지만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역할은 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다음 중 한글 Windows XP의 [작업 표시줄]에 있는 [시작] 단추의 바로 가기 메뉴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연결]을 선택하면 시작 메뉴가 표시된다.
  2. [탐색]을 선택하면 [탐색기] 창이 표시된다.
  3. [검색]을 선택하면 [검색 결과] 창이 표시된다.
  4. [속성]을 선택하면 [작업 표시줄 및 시작 메뉴 속성] 창이 표시된다.
(정답률: 59%)
  • "[연결]을 선택하면 시작 메뉴가 표시된다."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연결]을 선택하면 네트워크 연결 관련 설정이 표시됩니다. 시작 메뉴는 [시작] 단추를 클릭해야 표시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다음 중 CPU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CPU의 성능을 나타내는 단위 중 MIPS는 1초당 100만개 단위의 명령어를 연산하는 것을 의미하는 단위이다.
  2. 연산장치는 산술연산과 논리연산을 수행하는 장치로 가산기, 보수기, 누산기 등으로 구성된다.
  3. 제어장치는 컴퓨터의 모든 동작을 지시, 감독, 제어하는 장치이다.
  4. CISC는 범용 마이크로프로세서의 명령세트를 축소하여 설계한 컴퓨터 방식으로 주로 고성능의 워크스테이션이나 그래픽용 컴퓨터에서 사용된다.
(정답률: 55%)
  • "CISC는 범용 마이크로프로세서의 명령세트를 축소하여 설계한 컴퓨터 방식으로 주로 고성능의 워크스테이션이나 그래픽용 컴퓨터에서 사용된다." 이 설명은 옳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다음 중 한글 Windows XP에서 Windows Media Player를 사용하여 할 수 있는 작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오디오, 비디오 파일 재생
  2. 인터넷 라디오 방송 청취
  3. 자신의 비디오 파일 편집
  4. 자신의 음악 CD 제작
(정답률: 54%)
  • Windows Media Player는 비디오 파일을 재생하고 인터넷 라디오 방송을 청취하며 음악 CD를 제작할 수 있지만, 자신의 비디오 파일을 편집하는 기능은 제공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자신의 비디오 파일 편집"이 옳지 않은 선택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다음 중 한글 Windows XP에서 하드웨어 장치를 추가할 때 사용자가 직접 설정하지 않고, 시스템이 자동으로 설정해 주는 기능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윈도우 탐색기
  2. 마법사(Wizard)
  3. 플러그 앤 플레이(Plug and Play)
  4. 드래그 앤 드롭(Drag and Drop)
(정답률: 69%)
  • 정답: 플러그 앤 플레이(Plug and Play)

    설명: 플러그 앤 플레이(Plug and Play)는 하드웨어 장치를 추가할 때 사용자가 직접 설정하지 않고, 시스템이 자동으로 설정해 주는 기능을 말합니다. 이 기능은 하드웨어 장치를 연결하면 시스템이 자동으로 드라이버를 설치하고 설정을 완료해 줍니다. 따라서 사용자는 별도의 설정 작업 없이 바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다음 중 컴퓨터 작업 도중 갑작스러운 정전 발생시 일정 시간동안 전원을 공급해 주는 장치로 옳은 것은?

  1. UPS
  2. AVR
  3. CVCF
  4. 항온 항습 전원 장치
(정답률: 47%)
  • 정전 발생 시 일정 시간동안 전원을 공급해 주는 장치는 "UPS"입니다. UPS는 Uninterruptible Power Supply의 약자로, 정전이나 전원 공급 장애 등의 상황에서도 일정 시간 동안 전원을 공급해 주는 장치입니다. 이는 컴퓨터나 서버 등의 중요한 전자기기를 보호하고, 데이터 손실을 방지하기 위해 필수적인 장치입니다. 따라서, UPS가 컴퓨터 작업 도중 갑작스러운 정전 발생 시 일정 시간동안 전원을 공급해 주는 장치로 옳은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다음 중 한글 Windows XP에서 스피커 설정을 변경하기 위한 메뉴나 프로그램의 선택 순서로 옳은 것은?

  1. [시작]-[제어판]-[사운드 및 오디오 장치]
  2. [시작]-[제어판]-[설정]-[내게 필요한 옵션]
  3. [시작]-[내게 필요한 옵션]-[표시]-[속도]
  4. [시작]-[내게 필요한 옵션]-[속도]-[언어]
(정답률: 79%)
  • 정답: "[시작]-[제어판]-[사운드 및 오디오 장치]"

    설명: 스피커 설정은 사운드 및 오디오 장치와 관련이 있으므로, 해당 메뉴나 프로그램을 선택하여 설정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 "[시작]-[제어판]-[사운드 및 오디오 장치]" 메뉴는 Windows XP에서 스피커 설정을 변경하기 위한 가장 일반적인 선택 순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다음 중 컴퓨터에서 사용하는 하드디스크의 파티션(Partition)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하나의 하드디스크에 여러 개의 파티션을 설정할 수 있다.
  2. 한글 Windows XP는 해당 하드디스크의 속성 창에서 파티션 작업을 선택할 수 있다.
  3. 운영체제에서는 파티션이 하나의 드라이브로 인식된다.
  4. 하드디스크는 파티션을 설정한 후 포맷을 해야 사용할 수 있다.
(정답률: 29%)
  • "운영체제에서는 파티션이 하나의 드라이브로 인식된다."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파티션은 하드디스크를 논리적으로 분할하는 작업으로, 운영체제에서는 각각의 파티션을 별개의 드라이브로 인식합니다.

    "한글 Windows XP는 해당 하드디스크의 속성 창에서 파티션 작업을 선택할 수 있다."는 옳은 설명입니다. Windows XP에서는 디스크 관리 도구를 이용하여 하드디스크의 파티션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하나의 하드디스크에 여러 개의 파티션을 설정할 수 있다."는 옳은 설명입니다. 하드디스크의 용량을 논리적으로 분할하여 여러 개의 파티션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하드디스크는 파티션을 설정한 후 포맷을 해야 사용할 수 있다."는 옳은 설명입니다. 파티션을 설정한 후에는 해당 파티션을 포맷하여 파일 시스템을 생성해야 사용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다음 중 멀티미디어 파일을 다운 받을 때 지연시간을 줄이기 위해 데이터를 다운로드 받으면서 재생할 수 있는 기술로 옳은 것은?

  1. CSS 기술
  2. 스트리밍 기술
  3. 가상현실 기술
  4. 매핑 기술
(정답률: 73%)
  • 정답: 스트리밍 기술

    스트리밍 기술은 인터넷을 통해 멀티미디어 파일을 다운로드 받으면서 동시에 재생할 수 있는 기술입니다. 이를 통해 지연시간을 줄이고, 사용자는 파일을 모두 다운로드 받지 않아도 즉시 재생할 수 있습니다. 이는 대량의 데이터를 처리하는 데 있어서 매우 효율적인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다음 중 컴퓨터의 CPU에 있는 레지스터(Register)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CPU 내에서 자료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저장장치이다.
  2. 주기억 장치보다 저장 용량이 적고 속도가 느리다.
  3. ALU(산술/논리장치)에서 연산된 자료를 일시적으로 저장한다.
  4. 레지스터는 명령 레지스터, 주소 레지스터, 프로그램 카운터 등 여러 유형의 레지스터가 있다.
(정답률: 70%)
  • "주기억 장치보다 저장 용량이 적고 속도가 느리다."라는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레지스터는 CPU 내에서 자료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저장장치이며, 주기억 장치보다 저장 용량이 적지만 속도가 빠릅니다. 이는 CPU가 레지스터에 저장된 자료를 빠르게 접근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다음 중 컴퓨터 바이러스나 웜(Worm)이 가지고 있는 특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복제 기능
  2. 치료 기능
  3. 은폐 기능
  4. 파괴 기능
(정답률: 77%)
  • 정답은 "치료 기능"입니다. 컴퓨터 바이러스나 웜은 다른 컴퓨터 파일에 복제되는 "복제 기능"과 자신을 숨기는 "은폐 기능", 그리고 시스템이나 파일을 파괴하는 "파괴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들은 컴퓨터 시스템을 보호하거나 치료하는 "치료 기능"은 가지고 있지 않습니다. 따라서 "치료 기능"은 옳지 않은 특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다음 중 한글 Windows XP의 [원격 데스크톱 연결]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시작]-[모든 프로그램]-[보조프로그램]-[통신]-[원격 데스크톱 연결]을 선택하면 연결을 시도할 수 있다.
  2. 원격 데스크톱 기능을 사용하여 한 대의 컴퓨터에서 동시에 여러 대의 원격 컴퓨터에 접속할 수 있다.
  3. 원격 데스크톱의 화면 크기와 색상을 설정할 수 있다.
  4. 원격 컴퓨터에서 실행하는 음악은 내 로컬 컴퓨터에서 들을 수 없다.
(정답률: 56%)
  • "원격 컴퓨터에서 실행하는 음악은 내 로컬 컴퓨터에서 들을 수 없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이유는 원격 데스크톱 연결을 통해 원격 컴퓨터에 접속하면 해당 컴퓨터에서 실행되는 모든 소리와 음악도 로컬 컴퓨터에서 들을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다음 중 한글 Windows XP의 [디스플레이 등록 정보] 대화상자에서 설정 가능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배경화면의 배경을 변경할 수 있다.
  2. 화면 보호기의 해제를 위한 암호를 설정할 수 있다.
  3. 화면 해상도를 변경할 수 있다.
  4. 테마를 적용하여 컴퓨터를 사용자가 원하는 스타일로 변경할 수 있다.
(정답률: 58%)
  • 정답: "화면 보호기의 해제를 위한 암호를 설정할 수 있다."

    설명: 한글 Windows XP의 [디스플레이 등록 정보] 대화상자에서는 화면 보호기의 해제를 위한 암호를 설정할 수 없습니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설정 가능한 내용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다음 중 한글 Windows XP에서 시스템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불필요한 파일을 제거하기 위하여 [디스크 정리]를 수행한다.
  2. 시스템 장애시 응급 복구를 위하여 디스크에 있는 파일이나 폴더에 대하여 [백업]을 수행한다.
  3. 사용 가능한 디스크 공간을 늘리기 위하여 [디스크조각 모음]을 수행한다.
  4. 디스크의 오류를 검사하기 위하여 정기적으로 [디스크 검사]를 수행한다.
(정답률: 62%)
  • "사용 가능한 디스크 공간을 늘리기 위하여 [디스크조각 모음]을 수행한다."는 옳은 설명입니다.

    디스크 조각 모음은 디스크에 저장된 파일들을 조각난 상태에서 하나로 합쳐주는 작업을 말합니다. 이를 통해 디스크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되어 사용 가능한 디스크 공간을 늘릴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다음 중 컴퓨터에서 사용하는 언어 번역 프로그램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인터프리터
  2. 유틸리티
  3. 컴파일러
  4. 어셈블러
(정답률: 62%)
  • 유틸리티는 컴퓨터에서 사용하는 언어 번역 프로그램이 아닙니다. 유틸리티는 컴퓨터 시스템의 유용한 기능을 제공하는 소프트웨어 도구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유틸리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다음 중 인터넷에서 사용하는 IPv6 주소체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16비트씩 8부분으로 총 128비트로 구성 된다.
  2. 각 부분은 16진수로 표현하고, 세미콜론(;)으로 구분한다.
  3. 유니캐스트, 멀티캐스트, 애니캐스트 등의 3가지 주소체계로 나누어진다.
  4. IPv4의 주소 부족 문제를 해결하여 줄 수 있다.
(정답률: 67%)
  • IPv6 주소체계에서는 세미콜론(;)이 아닌 콜론(:)으로 구분한다. 따라서 "각 부분은 16진수로 표현하고, 세미콜론(;)으로 구분한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이유는 IPv6 주소체계에서는 16비트씩 8부분으로 총 128비트로 구성되며, 각 부분은 16진수로 표현하고 콜론(:)으로 구분한다. 이를 통해 IPv4의 주소 부족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IPv6는 유니캐스트, 멀티캐스트, 애니캐스트 등의 3가지 주소체계로 나누어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다음 중 컴퓨터에서 사용하는 코드와 관련하여 패리티비트(Parity Bit)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에러가 발생한 비트를 의미한다.
  2. 에러 검출용 비트이다.
  3. 짝수(Even)과 홀수(Odd) 등의 패리티 비트를 사용할 수 있다.
  4. 패리티 비트는 1비트를 사용한다.
(정답률: 41%)
  • "에러가 발생한 비트를 의미한다."는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패리티 비트는 에러 검출용 비트로, 데이터 전송 중에 발생할 수 있는 오류를 검출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따라서 패리티 비트가 1이면 데이터 비트의 개수가 홀수여야 하고, 0이면 짝수여야 합니다. 이를 통해 데이터 전송 중에 비트가 손상되었는지 검사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다음 중 인터넷을 통한 전자 우편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인터넷에 접속된 사용자끼리 서로 편지를 주고받을 수 있는 서비스를 말한다.
  2. 메일을 주고받을 때는 송신자와 수신자의 컴퓨터가 동시에 켜져 있는 상태로 인터넷에 연결되어 있어야만 가능하다.
  3. 편지를 보낼 때는 컴퓨터에서 SMTP를 이용하여 메일을 상대방에게 전송한다.
  4. MIME은 멀티미디어 등의 다양한 형식의 전자우편을 주고받기 위한 인터넷 메일 규약이다.
(정답률: 76%)
  • "메일을 주고받을 때는 송신자와 수신자의 컴퓨터가 동시에 켜져 있는 상태로 인터넷에 연결되어 있어야만 가능하다."는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이유는 인터넷에 연결된 메일 서버를 통해 메일을 주고받기 때문에 송신자와 수신자의 컴퓨터가 동시에 켜져 있을 필요가 없습니다. 따라서, 송신자와 수신자 모두 인터넷에 연결되어 있으면 언제든지 메일을 주고받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스프레드시트 일반

21. 다음 중 매크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반복적인 작업을 매크로로 기록한 후 쉽고 빠르게 실행할 수 있다.
  2. 매크로는 해당 작업에 대한 일련의 명령과 함수를 Microsoft Visual Basic 모듈로 저장한 것이다.
  3. 매크로의 바로 가기 키는 [Ctrl]과 영문자 또는 숫자로 조합할 수 있다.
  4. 매크로 저장 위치는 '현재 통합 문서', '개인용 매크로 통합 문서', '새 통합 문서' 등의 옵션이 있다.
(정답률: 62%)
  • 매크로의 바로 가기 키는 [Ctrl]과 영문자 또는 숫자로 조합할 수 없다. 이유는 [Ctrl]과 조합할 수 있는 키는 제한되어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Ctrl]+[C]는 복사, [Ctrl]+[V]는 붙여넣기를 실행하는 기본적인 단축키이다. 따라서 매크로의 바로 가기 키는 [Ctrl]과 함께 기호나 기능키 등으로 조합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다음 시트에서 [B7] 셀에 수식 =SUM(B2:CHOOSE(2,B3, B4,B5))을 입력하였을 때 표시되는 결과 값으로 옳은 것은?

  1. 23
  2. 68
  3. 80
  4. 90
(정답률: 42%)
  • =CHOOSE(2,B3,B4,B5)는 B4를 반환합니다. 따라서 수식은 =SUM(B2:B4)와 동일합니다. B2부터 B4까지의 값인 23, 25, 32을 합산하면 80이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8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차트를 작성할 때 [차트 마법사]를 이용하여 작성 할 경우다음 중 차트 작성 순서가 옳은 것은?

  1. ①→②→③→④
  2. ①→②→④→③
  3. ①→③→②→④
  4. ②→①→③→④
(정답률: 40%)
  • 차트 마법사를 이용하여 차트를 작성할 때는 먼저 데이터를 입력하고, 그 다음에 차트 유형을 선택하고, 그 다음에 차트 옵션을 설정하고, 마지막으로 차트 위치를 지정합니다. 따라서 올바른 차트 작성 순서는 "①→②→④→③"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아래의 워크시트 상태에서 설정된 영역을 해제하지 않고 셀 포인터를 [A1] 셀로 이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옳은 것은?

  1. [Home]
  2. [Ctrl]+[Home]
  3. [Enter]
  4. [Ctrl]+[Enter]
(정답률: 30%)
  • 정답은 "[Enter]"입니다.

    이유는 현재 설정된 영역을 해제하지 않고 셀 포인터를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해당 영역에서 [Enter] 키를 누르면 됩니다. 이는 현재 선택된 셀에서 아래쪽으로 이동하면서 다음 행의 동일한 열을 선택하게 됩니다. 따라서 [Enter] 키를 누르면 셀 포인터가 [A1] 셀로 이동됩니다.

    [Home] 키는 현재 행에서 가장 왼쪽 열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하며, [Ctrl]+[Home] 키는 시트 상단 좌측 모서리인 [A1] 셀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Ctrl]+[Enter] 키는 현재 선택된 영역의 모든 셀에 입력한 내용을 적용하는 역할을 하며, 현재 설정된 영역을 해제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다음 워크시트에서 [그림 A]는 원 데이터를, [그림 B]의 [E11]셀은 목표값 찾기가 실행된 결과를 나타낸 경우이다. 이 워크시트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김정희의 '평균'이 88이 되기 위해서 '총점'이 몇 점이 되어야 하는지를 목표값 찾기 기능을 이용하여 '총점'에 대한 값을 변경하였다.
  2. [수식 셀]은 목표값을 찾기 위한 수식이 들어있는 셀을 지정하는 것으로 [C11] 셀을 선택하였다.
  3. [값을 바꿀 셀]에는 [E11] 셀을 선택하였다.
  4. 찾는 값은 '88'을 지정하였다.
(정답률: 49%)
  • 정답은 "김정희의 '평균'이 88이 되기 위해서 '총점'이 몇 점이 되어야 하는지를 목표값 찾기 기능을 이용하여 '총점'에 대한 값을 변경하였다."입니다. [E11]셀은 목표값 찾기 기능을 실행한 결과인 변경된 '총점'을 나타내기 때문에, [E11]셀에 지정된 값은 찾는 값이 아니라 찾아진 값입니다. 따라서, 찾는 값은 '88'을 지정하였다는 설명은 옳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다음 중 엑셀의 정렬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문제 가답안 발표시 4번으로 발표되었지만 확정답안 발표시 3, 4번이 정답 처리 되었습니다. 여기서는 가답안인 4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 됩니다.)

  1. 목록의 데이터를 특정 필드의 크기 순서에 따라 재배열하는 기능이다.
  2. 내림차순 정렬에서 숫자의 경우 큰 값에서 작은 값 순으로 정렬된다.
  3. 정렬 기준은 기본적으로 위에서 아래로 정렬되며, 숨겨진 열이나 행도 정렬에 포함된다.
  4. 영숫자 텍스트는 오름차순 정렬시 A101→A10 처럼 텍스트의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비교해서 정렬된다.
(정답률: 58%)
  • 3번이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숨겨진 열이나 행은 정렬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다음 중 셀 서식의 사용자 지정 표시 형식 중 코드와 설명이 옳지 않은 것은?

  1. # : 유효한 자릿수만 표시하고, 유효하지 않은 0은 표시하지 않는다.
  2. ? : 유효하지 않은 자릿수에 0 대신 공백을 표시하고, 소수점을 기준으로 정렬한다.
  3. ss : 초 단위의 숫자를 00~59로 표시한다.
  4. dddd : 요일을 Sun ~ Sat 로 표시한다.
(정답률: 59%)
  • 정답은 "dddd : 요일을 Sun ~ Sat 로 표시한다." 입니다.

    이유는 dddd는 요일을 표시하는 서식이지만, 실제로는 Sunday부터 시작하는 요일을 숫자로 표시합니다. 따라서 "Sunday"는 0, "Monday"는 1, "Tuesday"는 2, ... , "Saturday"는 6으로 표시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다음 중 그리기 도구 모음을 이용하여 작성한 개체 가운데 '회전이나 대칭' 기능을 사용할 수 없는 것은?(오피스 2003 기준 문제 입니다. 2007에 대한 내용은 해설을 꼭 참조하세요.)

  1. 직사각형
  2. 텍스트 상자
  3. 화살표
  4. WordArt
(정답률: 48%)
  • 정답은 "텍스트 상자"입니다.

    다른 모든 도구 모음에는 회전이나 대칭 기능이 있지만, 텍스트 상자는 텍스트를 입력하는 도구이기 때문에 회전이나 대칭 기능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엑셀의 표준 글꼴이란 셀에 문자를 입력 했을 때 기본적으로 적용되는 글꼴과 글꼴 크기이다. 다음 중 표준 글꼴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03 기준 문제입니다. 2007일 경우는 답이 다릅니다. 해설을 참조하세요.)

  1. 표준 글꼴을 변경하면 행과 열의 머리글의 글꼴도 변경된다.
  2. 표준 글꼴은 필요에 따라 바꿔줄 수는 있지만 엑셀을 종료한 후 다시 시작하면 변경전으로 되돌아 간다.
  3. 표준 글꼴 변경은 [도구]-[옵션]의 [일반]에서 표준 글꼴을 변경하면 된다.
  4. 엑셀 2003의 표준 글꼴은 '돋움', 글꼴 크기 '11'로 설정되어 있다.
(정답률: 42%)
  • "표준 글꼴은 필요에 따라 바꿔줄 수는 있지만 엑셀을 종료한 후 다시 시작하면 변경전으로 되돌아 간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표준 글꼴을 변경하면 엑셀을 종료해도 변경된 상태가 유지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아래 차트와 같이 '배'의 꺾은선 중간(2월) 부분이 단절되어 있는 이유로 옳은 것은?

  1. 원본 테이블의 해당 셀이 '0'값이다.
  2. 원본 테이블의 해당 셀이 Null 값이다.
  3. 원본 테이블의 해당 셀 값이 '50%'와 같이 백분율(50%)로 표시되어 있다.
  4. 원본 테이블의 셀 값이 '없음'과 같이 문자열로 표시되어 있다.
(정답률: 50%)
  • 차트에서 '배'의 꺾은선 중간(2월) 부분이 단절되어 있는 이유는 해당 월에 데이터가 없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해당 셀의 값은 Null 값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다음 그림과 같이 [C9] 셀에 =DSUM(A1:C7, C1, A9:A10) 함수를 입력했을 때 결과로 옳은 것은?

  1. 5,950,000
  2. 2,500,000
  3. 1,000,000
  4. 3,450,000
(정답률: 72%)
  • =DSUM(A1:C7, C1, A9:A10) 함수는 A1:C7 범위에서 C1 열의 합계를 구하는 함수이며, 이때 조건으로 A9:A10 범위를 사용합니다. A9:A10 범위는 "서울"과 "경기" 두 지역의 값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결과값은 "서울"과 "경기" 지역의 C1 열 값의 합계인 2,500,000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다음 중 엑셀의 화면 제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본문제는 엑셀 2003관련 문제이며 2007에는 적용되지 않습니다.2007부터는 일반 메뉴가 아닌 리본메뉴방식으로 2003과는 다릅니다.)

  1. 도구 모음의 불필요한 도구 단추는 [Alt]키를 누른 채 워크시트 영역으로 이동시키면 삭제된다.
  2. 도구 모음 표시줄 앞의 부분을 클릭하여 단추를 한 줄로 표시할 수 있으며, 단추의 추가/제거가 가능하다.
  3. [창]-[숨기기] 메뉴를 실행하면 현재 통합 문서를 보이지 않게 숨긴다.
  4. [창]-[정렬] 메뉴를 실행하여 창의 배열 상태를 바둑판식/가로/세로/계단식으로 변경할 수 있다.
(정답률: 36%)
  • "도구 모음의 불필요한 도구 단추는 [Alt]키를 누른 채 워크시트 영역으로 이동시키면 삭제된다."는 옳은 설명이다. 따라서, 옳지 않은 설명은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다음 중 '셀 항목 자동 완성' 기능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숫자 또는 날짜만으로 구성된 내용에는 적용되지 않는다.
  2. [도구]-[옵션]의 [편집]탭에서 '셀 내용을 자동 완성'이 설정되어 있어야 실행된다.
  3. 나머지 글자가 자동으로 채워진 항목을 그대로 입력하려면 [Enter]키를 입력한다.
  4. 한글이나 영어로만 구성된 항목에 적용되는 기능이다.
(정답률: 37%)
  • "한글이나 영어로만 구성된 항목에 적용되는 기능이다."는 옳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다음 중 인쇄 시 특정 열이나 행을 매 쪽마다 반복적으로 인쇄하고자 할 때 설정해야 하는 방법으로 옳은 것은?

  1. [인쇄 미리 보기]-[설정]에서 반복 인쇄할 열이나 행을 입력한다.
  2. [페이지 설정]-[시트]-[인쇄 제목]에서 반복할 행이나 열을 입력한다.
  3. 인쇄 옵션에서 인쇄 영역을 선택 영역으로 정한다.
  4. [도구]-[옵션]-[화면 표시]탭에서 윤곽 기호를 선택한다.
(정답률: 42%)
  • 인쇄 시 특정 열이나 행을 매 쪽마다 반복적으로 인쇄하고자 할 때 설정해야 하는 방법은 "[페이지 설정]-[시트]-[인쇄 제목]에서 반복할 행이나 열을 입력한다." 이다. 이유는 인쇄 제목은 각 페이지 맨 위에 인쇄되는 텍스트이며, 이 중에서 "반복할 행" 또는 "반복할 열"을 설정하면 해당 행이나 열이 매 페이지 맨 위에 반복적으로 인쇄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C9:E14] 영역을 참조하여 상품명[D3:D7]을 입력하려고 한다. [D3] 셀에 수식을 입력한 후 나머지 [D4:D7] 영역은 [D3] 셀의 수식을 복사해서 입력한다면, [D3] 셀에 들어갈 수식으로 옳은 것은?

  1. =VLOOKUP(C3,$D$10:$E$14,2)
  2. =VLOOKUP(C3,D10:E14,2)
  3. =VLOOKUP(C3,C10:E14,2)
  4. =VLOOKUP(C3,$C$10:$E$14,2)
(정답률: 44%)
  • 정답은 "=VLOOKUP(C3,$C$10:$E$14,2)" 입니다.

    VLOOKUP 함수는 수직으로 데이터를 검색하는 함수입니다. 이 함수는 다음과 같은 구조를 가집니다.

    =VLOOKUP(찾는값, 테이블범위, 열번호, [범위선택])

    여기서 찾는값은 검색하고자 하는 값이며, 테이블범위는 검색할 범위를 나타냅니다. 열번호는 검색 결과로 반환할 열의 번호이며, 범위선택은 선택사항으로, TRUE 또는 생략하면 근사치 검색을 수행하고, FALSE를 입력하면 정확한 일치 검색을 수행합니다.

    따라서 "=VLOOKUP(C3,$C$10:$E$14,2)"는 C3 셀의 값을 $C$10부터 $E$14까지의 범위에서 찾아, 그 결과로 두 번째 열의 값을 반환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상품명이 $C$10부터 $E$14까지의 범위에서 두 번째 열에 위치하기 때문에 옳은 수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다음 그림과 같이 월~금요일까지는 '업무'로, 토요일과 일요일에는 '휴무'로 표시하고자 할 때 [B2] 셀에 입력해야 할 함수식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IF(OR(WEEKDAY(A2,0)=0,WEEKDAY(A2,0)=6),"휴무","업무")
  2. =IF(OR(WEEKDAY(A2,1)=1,WEEKDAY(A2,1)=7),"휴무","업무")
  3. =IF(WEEKDAY(A2,2)>=6,"휴무","업무")
  4. =IF(WEEKDAY(A2,3)>=5,"휴무","업무")
(정답률: 27%)
  • "=IF(WEEKDAY(A2,2)>=6,"휴무","업무")"는 옳지 않은 함수식입니다. WEEKDAY 함수에서 0은 일요일을 의미하므로, WEEKDAY(A2,0)=0은 일요일인 경우를 나타냅니다. 따라서, WEEKDAY(A2,0)=6은 토요일인 경우를 나타내고, 이 둘 중 하나라도 참이면 "휴무"를 반환하고 그렇지 않으면 "업무"를 반환하는 IF 함수를 사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도구상자를 이용한 매크로 작성 절차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도구상자 영역에 마우스 커서를 두고 오른쪽 버튼을 눌러 팝업 메뉴를 띄운 후, [Visual Basic]을 선택하여 도구상자를 연다.
  2. 매크로를 기록하기 위해 [매크로 기록] 버튼을 클릭한다.
  3. 매크로 본문을 위한 작업을 한다.
  4. 도구상자에서 [기록 저장] 버튼을 클릭하여 매크로 기록을 종료한다.
(정답률: 41%)
  • "도구상자에서 [기록 저장] 버튼을 클릭하여 매크로 기록을 종료한다."이 옳지 않은 것은 매크로를 실행하기 위해 기록한 작업을 저장하는 것이 아니라, 매크로를 기록하는 작업을 종료하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매크로를 실행하기 위해서는 저장된 매크로를 선택하여 실행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다음 중 데이터 유효성 검사에서 유효성 조건의 제한 대상으로 '목록'을 설정하였을 때의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원본으로 정의된 이름을 가진 범위를 사용하려면 등호(=)와 범위의 이름을 입력한다.
  2. 목록상자에 없는 데이터 입력시 Excel이 어떻게 반응할지를 [오류 메시지]탭에서 설정한다.
  3. 설정을 해제하려면 유효성 검사 대화상자에서 [모두 지우기] 버튼을 클릭한다.
  4. 목록을 유효성 조건의 원본에 정의하려면 세미콜론(;)으로 구분된 목록 값을 입력한다.
(정답률: 57%)
  • "목록을 유효성 조건의 원본에 정의하려면 세미콜론(;)으로 구분된 목록 값을 입력한다." 이 설명은 옳은 설명입니다. 이유는 데이터 유효성 검사에서 목록을 제한 대상으로 설정하면, 해당 목록에 있는 값만 입력할 수 있도록 제한이 걸리게 됩니다. 이때, 목록을 유효성 조건의 원본에 정의하려면, 세미콜론(;)으로 구분된 목록 값을 입력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위의 그림에서 "A1:A4" 범위에 대해 유효성 조건을 설정하고, "목록"을 선택한 경우, "사과;배;딸기;포도"와 같이 세미콜론으로 구분된 목록 값을 입력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다음 중 부분합 계산에서 사용할 수 있는 함수로 옳지 않은 것은?

  1. 평균
  2. 표준 편차
  3. 최대값
  4. 절대 표준 편차
(정답률: 66%)
  • 부분합 계산에서 사용할 수 있는 함수는 "평균", "표준 편차", "최대값"이지만, "절대 표준 편차"는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유는 부분합 계산에서는 각 항목의 차이를 계산하는 것이 아니라 더하는 것이기 때문에 절대 표준 편차와 같은 차이를 계산하는 함수는 적용할 수 없습니다. 절대 표준 편차는 각 항목과 평균값의 차이를 절대값으로 계산한 후, 이들의 평균값을 구하는 함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다음과 같이 축 서식 대화상자의 설정 값을 적용했을 때 나타나는 차트로 옳은 것은?

(정답률: 60%)
  • 정답은 ""입니다.

    이유는 축 서식 대화상자에서 Y축의 최소값을 0으로 설정하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차트의 Y축은 0부터 시작하게 되고, 데이터 값이 모두 양수이기 때문에 모든 데이터가 차트 상단에 위치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