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터활용능력 2급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8-03-03)

컴퓨터활용능력 2급
(2018-03-03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컴퓨터 일반

1. 다음 중 멀티미디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다양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환경에서 생성, 처리, 전송, 이용되므로 상호 호환되기 위한 표준이 필요하다.
  2. 멀티미디어는 텍스트, 이미지, 사운드, 애니메이션, 동영상 등의 데이터를 아날로그화 시킨 복합 구성 매체이다.
  3. 가상현실, 전자출판, 화상회의, 방송, 교육, 의료 등 사회 전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4. 사용자는 정보 제공자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어떤 정보를 언제 어떠한 형태로 얻을 것인지 결정하여 데이터를 전달 받을 수도 있다.
(정답률: 83%)
  • "멀티미디어는 텍스트, 이미지, 사운드, 애니메이션, 동영상 등의 데이터를 아날로그화 시킨 복합 구성 매체이다."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멀티미디어는 디지털화된 데이터를 다루는 것이며, 아날로그화된 데이터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다음 중 비트맵 이미지를 확대하였을 때 이미지의 경계선이 매끄럽지 않고 계단 형태로 나타나는 현상을 의미하는 용어는?

  1. 디더링(dithering)
  2. 앨리어싱(aliasing)
  3. 모델링(modeling)
  4. 렌더링(rendering)
(정답률: 83%)
  • 앨리어싱(aliasing)은 디지털 이미지에서 고해상도를 표현하기 위해 픽셀을 작게 나누어 표현할 때 발생하는 현상으로, 경계선이 계단 모양으로 나타나는 것을 말합니다. 이는 이미지의 디테일을 잃어버리고 불필요한 정보를 추가하여 이미지의 질을 저하시키는 문제를 일으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다음 중 정보사회의 문제점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정보기술을 이용한 컴퓨터 범죄가 증가할 수 있다.
  2. VDT증후군과 같은 컴퓨터 관련 직업병이 발생할 수 있다.
  3. 정보의 편중으로 계층 간의 정보수준 차이가 감소할 수 있다.
  4. 정보처리 기술로 인간관계의 유대감이 약화될 가능성도 있다.
(정답률: 86%)
  • 정보의 편중으로 계층 간의 정보수준 차이가 감소할 수 있다. - 이는 오히려 정보의 공정성과 평등성을 높일 수 있는 긍정적인 측면이다. 정보의 편중이 감소하면서 저소득층이나 정보에 접근하기 어려운 계층들도 보다 쉽게 정보를 얻을 수 있게 되므로, 정보 격차가 줄어들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다음 중 모든 사물을 네트워크로 연결하여 인간과 사물, 사물과 사물 간에 언제 어디서나 서로 소통할 수 있게 하는 새로운 정보통신 환경을 의미하는 것은?

  1. 클라우드 컴퓨팅(Cloud Computing)
  2. RSS(Rich Site Summary)
  3. IoT(Internet of Things)
  4. 빅 데이터(Big Data)
(정답률: 86%)
  • 정답: IoT(Internet of Things)

    설명: IoT(Internet of Things)는 모든 사물을 인터넷으로 연결하여 서로 소통할 수 있는 새로운 정보통신 환경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인간과 사물, 사물과 사물 간에 언제 어디서나 소통이 가능해지며, 이를 통해 생활의 편리성과 효율성이 증대됩니다. 클라우드 컴퓨팅은 인터넷을 통해 컴퓨터 자원을 공유하는 기술을 의미하며, RSS는 웹사이트의 새로운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기술을 의미합니다. 빅 데이터는 대규모의 데이터를 처리하고 분석하는 기술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다음 중 언어 번역 프로그램인 컴파일러와 인터프리터의 차이점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컴파일러는 프로그램 전체를 번역하고, 인터프리터는 한 줄씩 번역한다.
  2. 컴파일러는 목적 프로그램을 생성하고, 인터프리터는 생성하지 않는다.
  3. 컴파일러는 실행 속도가 빠르고, 인터프리터는 실행 속도가 느리다.
  4. 컴파일러는 번역 속도가 빠르고, 인터프리터는 번역 속도가 느리다.
(정답률: 65%)
  • "컴파일러는 번역 속도가 빠르고, 인터프리터는 번역 속도가 느리다."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컴파일러는 프로그램 전체를 번역하고 목적 프로그램을 생성하므로 번역 속도는 느리지만 실행 속도는 빠릅니다. 반면 인터프리터는 한 줄씩 번역하고 목적 프로그램을 생성하지 않으므로 번역 속도는 빠르지만 실행 속도는 느립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다음 중 인터넷에서 사용하는 FTP 프로토콜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FTP 서비스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해당 사이트의 계정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2. 파일의 업로드, 다운로드, 삭제, 이름 변경 등의 작업을 할 수 있다.
  3. FTP 서버에 있는 응용 프로그램들을 실행할 수 있다.
  4. 데이터 전송을 위하여 Binary 모드와 ASCII 모드를 제공한다.
(정답률: 49%)
  • FTP 프로토콜은 파일 전송 프로토콜로, 파일의 업로드, 다운로드, 삭제, 이름 변경 등의 작업을 할 수 있으며, 데이터 전송을 위하여 Binary 모드와 ASCII 모드를 제공한다. 하지만 FTP 서버에 있는 응용 프로그램들을 실행할 수 있는 기능은 제공하지 않는다. FTP 서버는 파일 전송 서비스만을 제공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다음 중 인터넷을 이용할 때 자주 방문하게 되는 웹 사이트로 전자우편, 뉴스, 쇼핑, 게시판 등 다양한 서비스를 통합하여 제공하는 사이트를 의미하는 것은?

  1. 미러 사이트
  2. 포털 사이트
  3. 커뮤니티 사이트
  4. 멀티미디어 사이트
(정답률: 87%)
  • 포털 사이트는 다양한 서비스를 한 곳에서 제공하는 사이트로, 전자우편, 뉴스, 쇼핑, 게시판 등 다양한 서비스를 통합하여 제공합니다. 따라서 인터넷 이용자들은 자주 방문하게 되는 사이트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다음 중 인터넷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URL은 인터넷 상에 있는 각종 자원의 위치를 나타내는 표준 주소 체계이다.
  2. 인터넷은 TCP/IP 프로토콜을 통해 연결된 상업용 네트워크로 중앙통제기구인 InterNIC에 의해 운영된다.
  3. IP주소는 인터넷에 연결된 모든 컴퓨터 자원을 구분하기 위한 고유의 주소이다.
  4. www는 웹 브라우저를 통해 인터넷을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하는 서비스이다.
(정답률: 73%)
  • "인터넷은 TCP/IP 프로토콜을 통해 연결된 상업용 네트워크로 중앙통제기구인 InterNIC에 의해 운영된다."는 설명이 적절하지 않습니다. 인터넷은 TCP/IP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글로벌 네트워크이며, 중앙통제기구는 없습니다. 인터넷은 분산된 네트워크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네트워크는 자체적으로 운영됩니다. InterNIC은 인터넷 도메인 이름 시스템(DNS)과 관련된 역할을 수행하는 조직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다음 중 컴퓨터 범죄의 유형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전산망을 이용한 개인 정보의 유출과 공개
  2. 컴퓨터 바이러스 백신의 제작과 유포
  3. 저작권이 있는 웹 콘텐츠의 복사와 사용
  4. 해킹에 의한 정보의 위/변조 및 유출
(정답률: 86%)
  • 컴퓨터 바이러스 백신의 제작과 유포는 컴퓨터 보안에 도움을 주는 것이므로 컴퓨터 범죄의 유형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다음 중 시스템 소프트웨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컴퓨터와 사용자 사이에서 중계자 역할을 하는 소프트웨어이다.
  2. 운영체제의 도움을 받아 컴퓨터를 사용할 수 있게 하는 소프트웨어이다.
  3. 컴퓨터 시스템을 효율적으로 운영해 주는 소프트웨어이다.
  4. 시스템 소프트웨어는 제어 프로그램과 처리 프로그램으로 구분된다.
(정답률: 48%)
  • 본 해설은 비추 누적갯수 초과로 자동 블라인드 되었습니다.
    (AI해설 오류가 많아 비추 2개 이상시 자동 블라인드 됩니다.)
    해설을 보시기 원하시면 클릭해 주세요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다음 중 컴퓨터의 문자 표현 코드인 ASCII 코드의 특징으로 옳은 것은?

  1. BCD 코드를 확장한 코드로 대형 컴퓨터에서 사용한다.
  2. 확장 ASCII 코드는 8비트를 사용하여 256가지의 문자를 표현한다.
  3. 2진화 10진 코드라고도 하며, 하나의 문자를 4개의 Zone 비트와 4개의 Digit 비트로 표현한다.
  4. 에러 검출 및 교정이 가능한 코드로 2비트의 에러 검출 코드가 포함되어 있다.
(정답률: 72%)
  • 정답은 "확장 ASCII 코드는 8비트를 사용하여 256가지의 문자를 표현한다."입니다. ASCII 코드는 7비트를 사용하여 128가지의 문자를 표현하는데, 확장 ASCII 코드는 8비트를 사용하여 추가적인 128가지 문자를 표현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라틴어 외의 문자나 특수문자 등을 표현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다음 중 컴퓨터의 연산속도 단위로 가장 빠른 것은?

  1. 1ms
  2. 1㎲
  3. 1ns
  4. 1ps
(정답률: 80%)
  • 1ps가 컴퓨터의 연산속도 단위로 가장 빠른 이유는, ps는 피코초(pico-second)의 약자로, 1초의 1조 분의 1초에 해당하는 매우 짧은 시간을 나타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연산속도가 빠를수록 작은 시간 단위로 계산할 수 있어야 하므로, 1ps가 가장 빠른 단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다음 중 레지스터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명령 레지스터는 현재 수행 중인 명령어를 가지고 있다.
  2. 메모리 중에서 가장 빠른 속도로 접근이 가능하다.
  3. 프로그램 카운터는 다음 번에 실행할 명령어의 주소를 가지고 있다.
  4. 운영체제의 시스템 정보를 기억하고 관리한다.
(정답률: 53%)
  • 본 해설은 비추 누적갯수 초과로 자동 블라인드 되었습니다.
    (AI해설 오류가 많아 비추 2개 이상시 자동 블라인드 됩니다.)
    해설을 보시기 원하시면 클릭해 주세요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다음 중 컴퓨터를 업그레이드 하는 경우 수치가 클수록 좋은 것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하드 디스크의 용량
  2. RAM의 접근 속도
  3. CPU의 클럭 속도
  4. DVD의 배속
(정답률: 76%)
  • RAM의 접근 속도가 클수록 좋은 것이 아닌 이유는, RAM의 접근 속도가 빠를수록 데이터를 빠르게 처리할 수 있지만, 다른 하드웨어 요소들과 함께 작동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다른 하드웨어 요소들의 성능도 고려하여 업그레이드를 해야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다음 중 Windows의 네트워크 및 공유 센터에서 고급 공유 설정 옵션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윈도우 10 검증 완료)

  1. 네트워크 검색
  2. 파일 및 프린터 공유
  3. 공용 폴더 공유
  4. 이더넷 공유
(정답률: 66%)
  • 이더넷 공유는 Windows의 네트워크 및 공유 센터에서 고급 공유 설정 옵션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이는 이더넷 포트를 통해 인터넷 연결을 공유하는 기능으로, 네트워크 공유와는 다른 기능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다음 중 중앙처리장치의 구성요소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ALU(Arithmetic Logic Unit)
  2. CU(Control Unit)
  3. 레지스터(Register)
  4. SSD(Solid State Drive)
(정답률: 75%)
  • SSD는 중앙처리장치의 구성요소가 아니라 보조기억장치에 해당합니다. 중앙처리장치의 구성요소는 ALU, CU, 레지스터입니다. ALU는 산술 및 논리 연산을 수행하는 장치이고, CU는 명령어 해석 및 실행을 제어하는 장치입니다. 레지스터는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장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다음 중 Windows의 [제어판]-[프로그램 및 기능]에서 설정할 수 없는 것은?(윈도우 10 검증 완료)

  1. 설치된 업데이트를 제거할 수 있다.
  2. Windows 기능을 설정(켜기)하거나 해제(끄기)할 수 있다.
  3. Windows 업데이트가 자동 수행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4. Windows에 설치된 응용 프로그램을 변경하거나 제거할 수 있다.
(정답률: 51%)
  • 정답: Windows 업데이트가 자동 수행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설명: Windows의 [제어판]-[프로그램 및 기능]에서는 설치된 업데이트를 제거하거나 Windows 기능을 설정하거나 해제하거나 Windows에 설치된 응용 프로그램을 변경하거나 제거할 수 있지만, Windows 업데이트가 자동 수행되도록 설정하는 옵션은 [제어판]-[Windows 업데이트]에서 설정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다음 중 Windows에서 디스크에 저장된 파일의 위치를 재정렬하는 단편화 제거 과정을 통해 디스크에서의 파일 읽기/쓰기 성능을 향상시키는 기능은?(윈도우 10 검증 완료)

  1. 리소스 모니터
  2. 디스크 정리
  3. 디스크 포맷
  4. 디스크(드라이브) 조각 모음
(정답률: 82%)
  • 디스크(드라이브) 조각 모음은 디스크에 저장된 파일을 재정렬하여 단편화를 제거하는 과정을 통해 디스크에서의 파일 읽기/쓰기 성능을 향상시키는 기능입니다. 이는 파일이 디스크에 저장될 때 일부분씩 나누어져 저장되는데, 이렇게 저장된 파일들이 조각나게 되면 디스크에서 파일을 읽거나 쓸 때 시간이 더 걸리게 됩니다. 따라서 디스크(드라이브) 조각 모음을 실행하여 파일을 재정렬하면 디스크에서의 파일 읽기/쓰기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다음 중 Windows 바탕 화면에서 아래 그림과 같이 열려 있는 모든 창들을 미리 보기로 보면서 활성창을 전환할 수 있는 바로 가기 키는?(윈도우 10 검증 완료)(정확하게 화면이 일치하지는 않지만 유사한 화면입니다.)

  1. Alt + Tab
  2. Windows 로고 키( ) + Tab
  3. Ctrl + Esc
  4. Alt + Esc
(정답률: 78%)
  • "Alt + Tab"은 Windows 바탕 화면에서 열려 있는 모든 창들을 미리 보기로 보면서 활성창을 전환할 수 있는 바로 가기 키입니다. "Alt"와 "Tab" 키를 동시에 누르면 현재 열려 있는 창들이 작은 미리 보기 창으로 나타나며, "Tab" 키를 누르면 창들을 순서대로 전환할 수 있습니다. 이는 작업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기능으로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다음 중 Windows 폴더의 [속성] 창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윈도우 10 검증 완료)

  1. 해당 폴더의 크기를 알 수 있다.
  2. 해당 폴더의 바로가기 아이콘을 만들 수 있다.
  3. 해당 폴더의 읽기 전용 특성을 설정할 수 있다.
  4. 해당 폴더의 만든 날짜를 알 수 있다.
(정답률: 72%)
  • 본 해설은 비추 누적갯수 초과로 자동 블라인드 되었습니다.
    (AI해설 오류가 많아 비추 2개 이상시 자동 블라인드 됩니다.)
    해설을 보시기 원하시면 클릭해 주세요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스프레드시트 일반

21. 다음 중 부분합을 실행했다가 부분합을 실행하지 않은 상태로 다시 되돌리려고 할 때의 방법으로 옳은 것은?

  1. [부분합] 대화상자에서 [그룹화할 항목]을 '없음'으로 선택하고 [확인]을 누른다.
  2. [데이터] 탭의 [윤곽선] 그룹에서 [그룹 해제]를 선택하여 부분합에서 설정된 그룹을 모두 해제한다.
  3. [부분합] 대화상자에서 '새로운 값으로 대치'를 선택하고 [확인]을 누른다.
  4. [부분합] 대화상자에서 [모두 제거]를 누른다.
(정답률: 61%)
  • 부분합을 실행하면 데이터가 그룹화되어 표시되기 때문에, 부분합을 실행하지 않은 상태로 되돌리려면 그룹화된 항목을 모두 제거해야 합니다. 따라서 "[부분합] 대화상자에서 [모두 제거]를 누른다."가 옳은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다음 중 피벗 테이블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값 영역의 특정 항목을 마우스로 더블클릭하면 해당 데이터에 대한 세부적인 데이터가 새로운 시트에 표시된다.
  2. 데이터 그룹 수준을 확장하거나 축소해서 요약 정보만 표시할 수도 있고 요약된 내용의 세부 데이터를 표시할 수도 있다.
  3. 행을 열로 또는 열을 행으로 이동하여 원본 데이터를 다양한 방식으로 요약하여 표시할 수 있다.
  4. 피벗 테이블과 피벗 차트를 함께 만든 후에 피벗 테이블을 삭제하면 피벗 차트도 자동으로 삭제된다.
(정답률: 76%)
  • "피벗 테이블과 피벗 차트를 함께 만든 후에 피벗 테이블을 삭제하면 피벗 차트도 자동으로 삭제된다."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이는 잘못된 정보입니다. 피벗 테이블을 삭제하더라도 피벗 차트는 자동으로 삭제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피벗 차트를 삭제하려면 별도로 삭제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아래 견적서에서 총합계 [F2] 셀을 1,170,000원으로 맞추기 위해서 [D6] 셀의 할인율을 어느 정도로 조정해야 하는지 그 목표값을 찾고자 한다. 다음 중 [목표값 찾기] 대화상자의 각 항목에 들어갈 내용으로 옳은 것은?

  1. 수식 셀: $F$2, 찾는 값: 1170000, 값을 바꿀 셀: $D$6
  2. 수식 셀: $D$6, 찾는 값: $F$2, 값을 바꿀 셀: 1170000
  3. 수식 셀: $D$6, 찾는 값: 1170000, 값을 바꿀 셀: $F$2
  4. 수식 셀: $F$2, 찾는 값: $D$6, 값을 바꿀 셀: 1170000
(정답률: 77%)
  • 정답: "수식 셀: $F$2, 찾는 값: 1170000, 값을 바꿀 셀: $D$6"

    이유: 총합계 [F2] 셀은 [D6] 셀의 할인율에 따라 계산되므로, [D6] 셀의 값을 조정하여 [F2] 셀의 값이 1,170,000원이 되도록 해야 한다. 따라서 [목표값 찾기] 대화상자에서는 "수식 셀: $F$2, 찾는 값: 1170000, 값을 바꿀 셀: $D$6"을 선택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다음 중 엑셀에서 기본 오름차순 정렬 순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날짜는 가장 이전 날짜에서 가장 최근 날짜의 순서로 정렬된다.
  2. 논리값의 경우 TRUE 다음 FALSE의 순서로 정렬된다.
  3. 숫자는 가장 작은 음수에서 가장 큰 양수의 순서로 정렬된다.
  4. 빈 셀은 오름차순과 내림차순 정렬에서 항상 마지막에 정렬된다.
(정답률: 61%)
  • 본 해설은 비추 누적갯수 초과로 자동 블라인드 되었습니다.
    (AI해설 오류가 많아 비추 2개 이상시 자동 블라인드 됩니다.)
    해설을 보시기 원하시면 클릭해 주세요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다음 중 아래 워크시트에서 [A1:A2] 영역을 선택한 후 <Ctrl>키를 누른 채 채우기 핸들을 아래쪽으로 드래그 하는 경우 [A5] 셀에 입력되는 값은?

  1. 2
  2. 16
  3. 8
  4. 10
(정답률: 72%)
  • 본 해설은 비추 누적갯수 초과로 자동 블라인드 되었습니다.
    (AI해설 오류가 많아 비추 2개 이상시 자동 블라인드 됩니다.)
    해설을 보시기 원하시면 클릭해 주세요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다음 중 셀 서식의 표시 형식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일반 형식으로 지정된 셀에 열 너비 보다 긴 소수가 '0.123456789'와 같이 입력될 경우 셀의 너비에 맞춰 반올림한 값으로 표시된다.
  2. 통화 형식은 숫자와 함께 기본 통화 기호가 셀의 왼쪽 끝에 표시되며, 통화 기호의 표시 여부를 선택할 수 있다.
  3. 회계 형식은 음수의 표시 형식을 별도로 지정할 수 없고, 입력된 값이 0일 경우 하이픈(-)으로 표시된다.
  4. 숫자 형식은 음수의 표시 형식을 빨강색으로 지정할 수 있다.
(정답률: 52%)
  • "통화 형식은 숫자와 함께 기본 통화 기호가 셀의 왼쪽 끝에 표시되며, 통화 기호의 표시 여부를 선택할 수 있다."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통화 형식에서는 기본 통화 기호 외에도 사용자가 원하는 다른 통화 기호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다음 중 [찾기 및 바꾸기] 대화상자의 각 항목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찾을 내용: 검색할 내용을 입력하는 곳으로 와일드카드 문자를 검색 문자열에 사용할 수 있다.
  2. 서식: 숫자 셀을 제외한 특정 서식이 있는 텍스트 셀을 찾을 수 있다.
  3. 범위: 현재 워크시트에서만 검색하는 '시트'와 현재 통합 문서의 모든 시트를 검색하는 '통합 문서' 중 선택할 수 있다.
  4. 모두 찾기: 검색 조건에 맞는 모든 항목이 나열된다.
(정답률: 63%)
  • 본 해설은 비추 누적갯수 초과로 자동 블라인드 되었습니다.
    (AI해설 오류가 많아 비추 2개 이상시 자동 블라인드 됩니다.)
    해설을 보시기 원하시면 클릭해 주세요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다음 중 아래 시트에서 [C2:G3] 영역을 참조하여 [C5] 셀의 점수 값에 해당하는 학점을 [C6] 셀에 구하기 위한 함수식으로 옳은 것은?

  1. =VLOOKUP(C5,C2:G3,2,TRUE)
  2. =VLOOKUP(C5,C2:G3,2,FALSE)
  3. =HLOOKUP(C5,C2:G3,2,TRUE)
  4. =HLOOKUP(C5,C2:G3,2,FALSE)
(정답률: 53%)
  • [C2:G3] 영역은 학점과 점수의 대응표이다. 따라서, 점수 값에 해당하는 학점을 찾기 위해서는 [C2:G3] 영역에서 점수 값이 위치한 행을 찾아야 한다. 이때, HLOOKUP 함수를 사용하면 가로 방향으로 검색하여 해당하는 값을 찾을 수 있다. 따라서, 정답은 "=HLOOKUP(C5,C2:G3,2,TRUE)"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다음 중 조건부 서식 설정을 위한 [새 서식 규칙] 대화상자의 '규칙 유형 선택' 항목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임의의 날짜를 기준으로 셀의 서식 지정
  2. 셀 값을 기준으로 모든 셀의 서식 지정
  3. 다음을 포함하는 셀만 서식 지정
  4. 고유 또는 중복 값만 서식 지정
(정답률: 57%)
  • "임의의 날짜를 기준으로 셀의 서식 지정"은 조건부 서식 설정을 위한 '규칙 유형 선택' 항목에 해당하지 않는다. 이유는 날짜를 기준으로 서식을 지정하는 것이 아니라, 임의의 날짜를 선택하여 그 날짜를 기준으로 서식을 지정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옵션은 조건부 서식 설정을 위한 '규칙 유형 선택' 항목에 포함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다음 중 [매크로 기록] 대화상자의 각 항목에 입력하는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매크로 이름: 공백을 사용할 수 없으므로 단어 구분 기호로 밑줄을 사용한다.
  2. 바로 가기 키: 영문자만 사용할 수 있으며, 대문자 입력 시에는 <Ctrl>+<Shift>키가 조합키로 사용된다.
  3. 매크로 저장 위치: '현재 통합 문서'를 선택하면 모든 Excel 문서에서 해당 매크로를 사용할 수 있다.
  4. 설명: 매크로에 대한 설명을 기록할 때 사용하며, 매크로 실행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정답률: 59%)
  • "설명: 매크로에 대한 설명을 기록할 때 사용하며, 매크로 실행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옳지 않은 내용입니다. 설명란에 입력한 내용은 매크로 실행 전에 사용자에게 보여지는 설명서 역할을 하며, 매크로 실행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다음 중 [매크로] 대화상자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매크로 이름을 선택한 후 [실행] 단추를 클릭하면 매크로가 실행된다.
  2. [한 단계씩 코드 실행] 단추를 클릭하면 Visual Basic Editor에서 매크로 실행과정을 단계별로 확인할 수 있다.
  3. [만들기] 단추를 클릭하면 빠른 실행 도구 모음에 매크로 실행 명령을 추가할 수 있다.
  4. [옵션] 단추를 클릭하면 매크로 바로 가기 키를 수정할 수 있다.
(정답률: 48%)
  • "[만들기] 단추를 클릭하면 빠른 실행 도구 모음에 매크로 실행 명령을 추가할 수 있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만들기] 단추를 클릭하면 매크로를 만들 수 있는 대화상자가 나타나며, 여기서 매크로 이름과 단축키를 설정할 수 있다. 빠른 실행 도구 모음에 매크로 실행 명령을 추가하려면 [옵션] 단추를 클릭한 후 [빠른 실행 도구 모음]을 선택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다음 중 아래 워크시트에서 [E2] 셀의 함수식이 '=CHOOSE(RANK(D2, $D$2:$D$5), “천하”, “대한”, “영광”, “기쁨”)' 일 때 결과로 옳은 것은?

  1. 천하
  2. 대한
  3. 영광
  4. 기쁨
(정답률: 80%)
  • [D2] 셀의 값이 80이므로, [D2:D5] 범위에서 80보다 작은 값은 2개이고, 80보다 큰 값은 2개입니다. 따라서 [E2] 셀의 함수식은 '=CHOOSE(3, “천하”, “대한”, “영광”, “기쁨”)' 이 됩니다. CHOOSE 함수는 첫 번째 인수로 받은 숫자에 해당하는 인수를 반환하므로, 결과는 "영광"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다음 중 [차트 도구]-[레이아웃] 탭의 [레이블] 그룹에서 삽입할 수 없는 항목은?

  1. 범례
  2. 축 제목
  3. 차트 제목
  4. 텍스트 상자
(정답률: 76%)
  • "텍스트 상자"는 차트에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일반적인 텍스트를 삽입하는 데 사용되는 도구이기 때문입니다. 다른 항목들은 차트의 요소들을 설명하거나 표시하는 데 필요한 항목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다음 중 수식에 잘못된 인수나 피연산자를 사용한 경우 표시되는 오류 메시지는?

  1. #DIV/0!
  2. #NUM!
  3. #NAME?
  4. #VALUE!
(정답률: 72%)
  • #VALUE! - 수식에서 사용된 인수나 피연산자의 데이터 유형이 잘못된 경우 발생하는 오류 메시지입니다. 예를 들어, 텍스트 값을 숫자로 계산하려고 할 때 발생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다음 중 아래의 워크시트에서 수식 '=DAVERAGE(A4:E10, “수확량”, A1:C2)'의 결과 값으로 옳은 것은?

  1. 15
  2. 12
  3. 14
  4. 18
(정답률: 61%)
  • 정답은 "12"입니다.

    이유는 수확량이 "수확량"인 셀 A1부터 C2까지의 범위에서, "작물1"과 "작물2"의 수확량 평균을 구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작물1"의 수확량 평균은 (10+12+14)/3 = 12이고, "작물2"의 수확량 평균은 (16+18+20)/3 = 18입니다. 이 중에서 "작물1"의 수확량 평균인 12가 정답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다음 중 엑셀의 화면 제어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화면의 확대/축소는 화면에서 워크시트를 더 크게 또는 작게 표시하는 것으로 실제 인쇄할 때에도 설정된 화면의 크기로 인쇄된다.
  2. 리본 메뉴는 화면 해상도와 엑셀 창의 크기에 따라 다른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3. 워크시트에서 특정 영역을 마우스로 드래그하여 블록을 설정한 후 '선택 영역 확대/축소'를 클릭하면 워크 시트가 확대/축소되어 블록으로 지정한 영역이 전체 창에 맞게 보여진다.
  4. 리본 메뉴가 차지하는 공간 때문에 작업이 불편한 경우 리본 메뉴의 활성 탭 이름을 더블클릭하여 리본 메뉴를 최소화할 수 있다.
(정답률: 60%)
  • "화면의 확대/축소는 화면에서 워크시트를 더 크게 또는 작게 표시하는 것으로 실제 인쇄할 때에도 설정된 화면의 크기로 인쇄된다."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화면의 확대/축소는 인쇄와는 관련이 없이 화면에서만 적용되며, 실제 인쇄할 때에는 설정된 인쇄 옵션에 따라 인쇄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다음 중 아래 차트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합계' 계열이 보조 축으로 설정된 이중 축 차트이다.
  2. 범례 위치는 '아래쪽'으로 설정되어 있다.
  3. '하반기' 계열의 '한길수' 요소에 데이터 레이블이 표시되어 있다.
  4. 보조 세로 (값) 축의 주 단위는 '40'으로 설정되어 있다.
(정답률: 67%)
  • 본 해설은 비추 누적갯수 초과로 자동 블라인드 되었습니다.
    (AI해설 오류가 많아 비추 2개 이상시 자동 블라인드 됩니다.)
    해설을 보시기 원하시면 클릭해 주세요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다음 중 [페이지 레이아웃] 보기 상태에서의 머리글/바닥글 작업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머리글/바닥글 여백을 충분히 확보하려면 [머리글/바닥글 도구]-[디자인] 탭의 [옵션] 그룹에서 '문서에 맞게 배율 조정'을 선택한다.
  2. [머리글/바닥글 도구]-[디자인] 탭의 [머리글/바닥글] 그룹에서 미리 정의된 머리글이나 바닥글을 선택할 수 있다.
  3. 워크시트 페이지 위쪽의 머리글 영역을 클릭하면 리본 메뉴에 [머리글/바닥글 도구]가 표시된다.
  4. 머리글 또는 바닥글의 입력을 마치려면 워크시트에서 아무 곳이나 클릭한다.
(정답률: 42%)
  • "[머리글/바닥글 여백을 충분히 확보하려면 [머리글/바닥글 도구]-[디자인] 탭의 [옵션] 그룹에서 '문서에 맞게 배율 조정'을 선택한다."이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머리글/바닥글 여백을 충분히 확보하려면 [머리글/바닥글 도구]-[디자인] 탭의 [페이지 설정] 그룹에서 [여백]을 조정해야 합니다.

    "[머리글/바닥글 도구]-[디자인] 탭의 [머리글/바닥글] 그룹에서 미리 정의된 머리글이나 바닥글을 선택할 수 있다."는 옳은 설명입니다.

    "워크시트 페이지 위쪽의 머리글 영역을 클릭하면 리본 메뉴에 [머리글/바닥글 도구]가 표시된다."는 옳은 설명입니다.

    "머리글 또는 바닥글의 입력을 마치려면 워크시트에서 아무 곳이나 클릭한다."는 옳은 설명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머리글/바닥글 여백을 충분히 확보하려면 [머리글/바닥글 도구]-[디자인] 탭의 [옵션] 그룹에서 '문서에 맞게 배율 조정'을 선택한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다음 중 [페이지 설정] 대화상자의 [시트] 탭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메모'는 시트에 포함된 메모의 인쇄 여부와 인쇄 위치를 지정한다.
  2. '눈금선'은 시트에 회색으로 표시된 셀 눈금선의 인쇄 여부를 지정한다.
  3. '인쇄 영역'은 특정 부분만 인쇄하기 위해 범위를 지정하며, 인쇄 영역 내에 포함된 숨겨진 행과 열도 인쇄된다.
  4. '간단하게 인쇄'는 워크시트에 입력된 차트, 도형, 그림 등 모든 그래픽 요소를 제외하고 텍스트만 인쇄한다.
(정답률: 64%)
  • 본 해설은 비추 누적갯수 초과로 자동 블라인드 되었습니다.
    (AI해설 오류가 많아 비추 2개 이상시 자동 블라인드 됩니다.)
    해설을 보시기 원하시면 클릭해 주세요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다음 중 차트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표면형 차트는 두 개의 데이터 집합에서 최적의 조합을 찾을 때 사용한다.
  2. 방사형 차트는 분산형 차트의 한 종류로 데이터 계열간의 항목 비교에 사용된다.
  3. 분산형 차트는 데이터의 불규칙한 간격이나 묶음을 보여주는 것으로 주로 과학이나 공학용 데이터 분석에 사용된다.
  4. 이중 축 차트는 특정 데이터 계열의 값이 다른 데이터 계열의 값과 현저하게 차이가 나거나 데이터의 단위가 다른 경우 주로 사용한다.
(정답률: 53%)
  • 방사형 차트는 분산형 차트의 한 종류로 데이터 계열간의 항목 비교에 사용된다. (정답) 방사형 차트는 데이터의 상대적인 크기와 비율을 시각적으로 비교하기 쉽게 나타내는 차트이며, 분산형 차트는 데이터의 분포와 불규칙한 간격을 보여주는 차트이다. 표면형 차트는 3차원 데이터를 시각적으로 나타내는 차트이며, 이중 축 차트는 서로 다른 단위를 가진 데이터를 함께 비교할 때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