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터활용능력 3급(폐지)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2-09-15)

컴퓨터활용능력 3급(폐지)
(2002-09-15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컴퓨터 일반

1. 다음 중 인터넷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전세계의 수많은 컴퓨터가 연결되어 있는 광범위한 네트워크이다.
  2. TCP/IP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하여 연결된 네트워크의 집합체이다.
  3. 전자우편, 정보검색, 파일전송, 온라인 게임 등 각종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4. 인터넷에 연결된 모든 컴퓨터의 정보는 다른 컴퓨터에서 모두 볼 수 있다.
(정답률: 79%)
  • 인터넷에 연결된 모든 컴퓨터의 정보는 다른 컴퓨터에서 모두 볼 수 있다는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인터넷은 분산된 컴퓨터들이 연결되어 있는 네트워크이지만, 각 컴퓨터는 보안성을 위해 접근 권한이나 암호화 등의 방법으로 정보를 보호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인터넷에 연결된 모든 컴퓨터의 정보를 다른 컴퓨터에서 모두 볼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다음 중 물리적인 하나의 하드디스크를 용량에 따라 여러 개의 논리적 하드디스크 드라이브로 분할하는 것을 나타내는 용어는?

  1. 로우레벨 포맷(low-level format)
  2. 하이레벨 포맷(high-level format)
  3. 파티션(partition)
  4. 하드디스크 인터리브(hard disk interleave)
(정답률: 80%)
  • 하나의 물리적인 하드디스크를 용량에 따라 여러 개의 논리적 하드디스크 드라이브로 분할하는 것을 파티션(partition)이라고 합니다. 이는 하나의 하드디스크를 여러 개의 구획으로 나누어 각각을 독립적인 드라이브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작업입니다. 파티션을 통해 운영체제, 데이터, 프로그램 등을 각각의 드라이브에 나누어 저장할 수 있으며, 각 드라이브 간의 충돌이나 오류가 발생해도 다른 드라이브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다음 중 컴퓨터의 출력 장치 중 프린터 인쇄 속도의 단위가 아닌 것은?

  1. CPS
  2. LPM
  3. PPM
  4. DPI
(정답률: 72%)
  • 정답: DPI

    설명: CPS는 초당 문자 출력 수, LPM은 분당 줄 출력 수, PPM은 분당 페이지 출력 수를 나타내는 단위이지만 DPI는 인쇄 해상도를 나타내는 단위이므로 출력 속도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DPI는 인치당 도트 수를 나타내며, 인쇄물의 해상도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다음 중 폴더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1. 사용자가 만들려는 폴더의 상위 폴더 위치에서 메뉴의 [파일]-[새로 만들기]-[폴더]를 클릭하면 새로운 폴더를 만들 수 있다.
  2. 한글 Windows 98에서 폴더이름은 255자까지 가능하다.
  3. [내 컴퓨터]에는 시스템에 설치된 디스크 드라이브 폴더가 포함된다.
  4. 새로운 폴더를 생성하면 폴더 이름이 기본적으로 “새 폴더”로 표시되며 수정할 수 없다.
(정답률: 77%)
  • "새로운 폴더를 생성하면 폴더 이름이 기본적으로 “새 폴더”로 표시되며 수정할 수 없다."가 잘못된 설명입니다. 사용자는 새로운 폴더를 생성한 후에 폴더 이름을 마음대로 수정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다음 그림은 시작메뉴의 보조프로그램 중 시스템도구에 대한 메뉴를 나타낸 것이다. 이 도구들을 설명한 것 중 올바르지 않은 것은?

  1. 드라이브 변환기는 FAT16 형식으 로 되어 있는 기존의 하드디스크를 FAT32로 변환한다.
  2. 디스크 정리는 임시 인터넷 파일, 휴 지통, 임시 파일 등의 불필요한 파일 들을 삭제하여 디스크의 여유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3. 디스크 공간 늘림은 디스크를 압축 하여 더 많은 공간을 만들어 낸다.
  4. 디스크 검사는 바이러스에 감염된 파일을 찾아 삭제한다.
(정답률: 58%)
  • 디스크 검사는 바이러스에 감염된 파일을 찾아 삭제하는 것이 아니라, 바이러스 검사를 수행하여 감염된 파일을 식별하고 치료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따라서 "디스크 검사는 바이러스에 감염된 파일을 찾아 삭제한다."는 올바르지 않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자판(keyboard)을 다룰 때의 올바른 자세로 볼 수 없는 것은?

  1. 자판은 가볍게 톡톡 누른다.
  2. 팔꿈치는 90°정도 구부린다.
  3. 허리를 곧게 펴고 의자에 붙여 앉는다.
  4. 모니터는 15~20°정도 올려다 볼 수 있도록 조절한다.
(정답률: 73%)
  • 모니터를 15~20도 정도 올려다 볼 수 있도록 조절하는 이유는 눈의 위치를 조정하여 눈과 화면 사이의 각도를 최적화하여 눈의 피로를 줄이고 시력을 보호하기 위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컴퓨터에서 자료는 여러 가지 형태로 표현된다. 데이터 통신과 개인용 컴퓨터에서 많이 사용되는 7비트 ASCII 코드가 표현 가능한 문자의 수는?

  1. 26
  2. 80
  3. 128
  4. 256
(정답률: 66%)
  • 7비트 ASCII 코드는 2의 7승인 128개의 서로 다른 문자를 표현할 수 있습니다. 이는 0부터 127까지의 숫자로 표현되며, 이 중 일부는 알파벳, 숫자, 구두점 등으로 사용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128"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다음은 인터넷 주소체계에 대한 설명이다. 이에 알 맞는 것은 어느 것인가?

  1. URL 주소
  2. IP 주소
  3. 도메인 네임
  4. 이 메일 주소
(정답률: 78%)
  • 이 그림은 인터넷 주소체계에서 IP 주소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IP 주소는 인터넷 상에서 컴퓨터나 기기들이 서로를 식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숫자로 이루어진 주소입니다. 따라서 이 그림은 IP 주소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다음 중 WWW 서비스를 사용하기 위한 웹 브라우저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넷스케이프 커뮤니케이터
  2. 리얼 플레이어
  3. 핫자바
  4. 인터넷 익스플로러
(정답률: 60%)
  • 리얼 플레이어는 오디오 및 비디오 재생을 위한 미디어 플레이어이지만, WWW 서비스를 사용하기 위한 웹 브라우저는 아니기 때문에 가장 거리가 먼 것입니다. 나머지 세 가지는 모두 웹 브라우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인터넷에서 아래의 기능들을 제공하는 것은 어느 것인가?

  1. FTP 서버
  2. 웹 서버(web server)
  3. 웹 브라우저(web browser)
  4. 스프레드시트(spreadsheet)
(정답률: 60%)
  • 위의 기능들 중에서 웹 브라우저는 인터넷에서 웹 페이지를 검색하고, 보여주며,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는 소프트웨어입니다. 그림에서도 웹 페이지를 보여주는 화면이 있으며, 웹 브라우저는 이를 가능하게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웹 브라우저(web browser)"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다음 중 한글 윈도우즈 98에서 프린터 설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시작]-[제어판]-[프로그램 추가/제거]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설정한다.
  2. [시작]-[제어판]-[내가 필요한 옵션]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설정한다.
  3. [내 컴퓨터]-[등록정보]를 이용하여 설정한다.
  4. [시작]-[설정]-[프린터]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설정한다.
(정답률: 70%)
  • 한글 윈도우즈 98에서는 프린터 설정을 "[시작]-[설정]-[프린터]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설정한다." 방법으로 설정합니다. 이는 프린터 설정이 프린터와 관련된 기능이므로 프린터 설정을 위한 별도의 프로그램이 제공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1bit는 두가지 상태를 표현할 수 있다. 그렇다면 10bit는 최대 몇 가지의 상태를 표현할 수 있나?

  1. 10
  2. 256
  3. 1000
  4. 1024
(정답률: 74%)
  • 1bit는 2가지 상태를 표현할 수 있으므로, 10bit는 2의 10승인 1024가지의 상태를 표현할 수 있습니다. 이는 각 비트가 0 또는 1의 두 가지 값을 가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다음 중 컴퓨터의 기능을 잘못 설명한 것은?

  1. 입력 : 컴퓨터 외부의 데이터를 장치를 통해 컴퓨터 내부로 읽어오는 기능이다.
  2. 출력 : 컴퓨터가 처리한 결과를 장치를 통해 사람에게 보여주는 기능이다.
  3. 기억 : 컴퓨터가 처리한 데이터나 프로그램들을 기억하는 기능이다.
  4. 연산 : 입력, 출력, 기억들을 제어하고 감독하는 기능이다.
(정답률: 69%)
  • 정답은 "연산 : 입력, 출력, 기억들을 제어하고 감독하는 기능이다."입니다. 연산은 입력된 데이터나 기억된 데이터를 가공하고 처리하는 기능입니다. 입력은 데이터를 받아들이는 기능, 출력은 처리한 결과를 보여주는 기능, 기억은 데이터나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기능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한글 윈도우98의 파일 이름 중간에 사용할 수 있는 기호는?

  1. /
  2. 공백문자
  3. >
(정답률: 72%)
  • 한글 윈도우98에서는 파일 이름 중간에 공백문자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파일 이름이나 경로를 읽을 때 공백문자를 기준으로 구분하기 때문입니다. 다른 기호들은 파일 시스템에서 특수한 의미를 가지고 있어 파일 이름에 사용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다음 중 한글 윈도우즈 98에서 내 컴퓨터나 Windows탐색기로 할 수 없는 기능은?

  1. 파일 복사
  2. 파일 이름 바꾸기
  3. 디스크 복사
  4. 디스크 검사
(정답률: 51%)
  • 한글 윈도우즈 98에서는 "디스크 검사" 기능을 내 컴퓨터나 Windows 탐색기로 할 수 없습니다. 이는 디스크 검사를 위해서는 별도의 유틸리티 프로그램을 실행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다음 중 광디스크 방식의 보조기억장치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CD-ROM
  2. CD-RW
  3. SASD
  4. DVD
(정답률: 67%)
  • SASD는 광디스크 방식의 보조기억장치가 아닙니다. CD-ROM, CD-RW, DVD는 모두 광디스크 방식의 보조기억장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한글 Windows 98에서 삭제된 파일이 휴지통에 들어가지 않는 경우는?

  1. Del 키를 눌러 지운 경우
  2. Shift+Del 키를 눌러 지운 경우
  3. 마우스의 오른쪽 버튼을 눌러 삭제 메뉴에서 지운 경우
  4. 마우스를 이용하여 드래그 하여 휴지통으로 넣어 지운 경우
(정답률: 88%)
  • Shift+Del 키를 눌러 파일을 삭제하면 해당 파일은 휴지통으로 이동하지 않고 완전히 삭제됩니다. 따라서 휴지통에서 해당 파일을 복구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다음 중 주기억장치와 보조기억장치를 비교 설명한 것으로 가장 올바르지 않은 것은?

  1. 주기억장치는 중앙처리장치가 직접 사용할 수 있는 정보를 기억시켜 놓는 기억장치이다.
  2. 보조기억장치에 기억되어 있는 정보는 중앙처리장치가 직접 사용할 수 없으므로 일단 주기억장치에 읽어들인 후에 사용한다.
  3. 주기억장치와 보조기억장치를 구성하는 기억소자는 빠른 접근속도를 위하여 같은 기억 소자를 사용한다.
  4. 일반적으로 주기억장치의 용량은 보조기억장치보다 훨씬 작다.
(정답률: 54%)
  • "주기억장치와 보조기억장치를 구성하는 기억소자는 빠른 접근속도를 위하여 같은 기억 소자를 사용한다."라는 설명은 올바르다. 이는 CPU가 주기억장치와 빠르게 데이터를 주고받아야 하기 때문에, 주기억장치와 보조기억장치 모두 빠른 속도로 데이터에 접근할 수 있는 기억소자를 사용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주기억장치와 보조기억장치를 구성하는 기억소자는 같은 것을 사용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제어판]의 [디스플레이] 항목에서 지정할 수 있는 항목이 아닌 것은?

  1. 바탕화면에 배경이나 그림을 지정할 수 있다.
  2. 마우스의 모양을 변경할 수 있다.
  3. 화면 보호기를 설정할 수 있다.
  4. 화면의 해상도나 색상을 변경할 수 있다.
(정답률: 86%)
  • "마우스의 모양을 변경할 수 있다."는 [제어판]의 [디스플레이] 항목에서 지정할 수 있는 항목이 아닙니다. 이는 [마우스] 항목에서 설정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한글 윈도우즈 98을 동작시키기 위해 컴퓨터에 전원을 켜면 먼저 윈도우즈가 동작하기 전에 컴퓨터의 자기진단과 주변기기등의 점검을 실시하게 된다. 이때 이와 같은 기능을 하는 프로그램은?

  1. OS
  2. BIOS
  3. DOS
  4. CMOS
(정답률: 66%)
  • 정답은 "BIOS"입니다.

    BIOS는 Basic Input/Output System의 약자로, 컴퓨터의 부팅과정에서 가장 먼저 실행되는 프로그램입니다. 이 프로그램은 컴퓨터의 하드웨어를 초기화하고, 운영체제를 로드하기 전에 필요한 기본적인 설정을 실시합니다. 따라서, 윈도우즈 98을 동작시키기 위해서는 먼저 BIOS가 실행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스프레드시트 일반

21. 다음 차트는 어떤 종류의 차트인가?

  1. 가로 막대형
  2. 주식형
  3. 분산형
  4. 영역형
(정답률: 75%)
  • 이 차트는 영역형 차트입니다. 이유는 각각의 데이터가 선으로 연결되어 있고, 그 사이를 색칠하여 영역을 만들어 표현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꺾은선형 그래프에서 꺾은선의 색상이나 모양을 바꾸려면 선 위에서 단축메뉴를 표시한 뒤 다음 중 어느 메뉴(명령)를 실행시켜야 하는가?

  1. 데이터 계열 서식
  2. 차트 종류
  3. 원본 데이터
  4. 추세선 추가
(정답률: 67%)
  • 꺾은선형 그래프에서 꺾은선의 색상이나 모양을 바꾸려면 "데이터 계열 서식"을 실행시켜야 합니다. 이는 그래프에서 사용된 데이터 계열의 서식을 변경하는 명령으로, 선의 색상, 두께, 스타일 등을 조정할 수 있습니다. "차트 종류"는 그래프의 종류를 변경하는 명령이며, "원본 데이터"는 그래프를 그리기 위한 데이터를 수정하는 명령입니다. "추세선 추가"는 그래프에 추세선을 추가하는 명령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다음 중 엑셀에서 지원하지 않는 표준 차트의 종류는?

  1. 방사형
  2. 가로 막대형
  3. 도표형
  4. 표면형
(정답률: 82%)
  • 엑셀에서 지원하지 않는 표준 차트의 종류는 "도표형"입니다. "도표형"은 데이터를 특정한 형태로 시각화하는 것이 아니라, 데이터를 표로 나타내는 형태의 차트입니다. 따라서 엑셀에서는 "도표형"을 지원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다음 중 숫자 데이터의 입력 형태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숫자를 괄호로 둘러싸면(예: (3) ) 음수로 인식한다.
  2. 숫자 앞에 - 기호를 입력하면 음수로 인식한다.
  3. 분수는 날짜 서식과 구분하기 위해 혼합형(예: 0 1/2)으로 입력한다.
  4. 숫자에 2,324와 같이 콤마를 입력하면 안 된다.
(정답률: 82%)
  • "숫자에 2,324와 같이 콤마를 입력하면 안 된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콤마는 숫자의 천 단위 구분을 위해 사용되며, 일부 국가에서는 소수점 대신에 콤마를 사용하기도 합니다. 따라서 숫자에 콤마를 입력해도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다음 도구의 각각의 명칭이 잘못된 것은?

  1. 데이터 테이블
  2. 차트종류
  3. 범례
(정답률: 74%)
  • 정답은 "행"입니다.

    이유는 이미지에서 보이는 것처럼, "데이터 테이블"은 실제 데이터를 표로 나타낸 것이며, "차트종류"는 그래프의 종류를 선택하는 도구입니다. "범례"는 그래프에서 사용된 색상이나 패턴 등의 의미를 설명하는 도구입니다. 따라서 "행"은 이들과는 별개의 개념이며, 이미지에서도 해당 도구가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다음 중 제목 표시줄에 [그룹]이 표시되는 것은?

  1. 연속된 여러 개의 셀이 지정된 경우
  2. 불연속된 여러 개의 셀이 지정된 경우
  3. 워크시트에 매크로가 포함된 경우
  4. 여러 개의 시트가 선택된 경우
(정답률: 54%)
  • 여러 개의 시트가 선택된 경우 제목 표시줄에 [그룹]이 표시됩니다. 이는 선택된 시트들이 하나의 그룹으로 묶여 있음을 나타내며, 그룹으로 묶인 시트들에 대한 작업은 모두 동시에 이루어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다음 중 인쇄 미리보기 메뉴에 대한 설명으로 맞지 않은 것은?

  1. 확대하여 볼 수 있다.
  2. 새로운 차트를 삽입할 수 있다.
  3. 여백을 마우스로 조정할 수 있다.
  4. 인쇄하기 전에 출력되는 모양을 볼 수 있는 기능이다.
(정답률: 86%)
  • 정답은 "새로운 차트를 삽입할 수 있다."입니다. 인쇄 미리보기 메뉴는 인쇄하기 전에 출력되는 모양을 볼 수 있는 기능으로, 이미 작성된 문서나 차트를 확인하고 여백을 조정하거나 확대하여 볼 수 있지만, 새로운 차트를 삽입하는 기능은 해당 메뉴에는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다음과 같은 수식입력에서 상대참조 수식 ‘=sum(a1:a3)’을 절대참조 수식 ‘=sum($a$1:$a$3)’로 바꾸기 위한 편리한 기능키는 무엇인가?

  1. [F4]
  2. [Ctrl]+[F4]
  3. [F5]
  4. [Ctrl]+[F5]
(정답률: 78%)
  • 정답: [F4]

    이유: [F4]는 셀 참조를 상대참조에서 절대참조로 바꾸는 기능키이다. 수식에서 $ 기호를 사용하여 절대참조를 표시할 수 있지만, [F4]를 사용하면 더 빠르고 편리하게 절대참조로 바꿀 수 있다. [F4]를 누르면 커서가 현재 위치한 셀 참조의 상대참조, 절대참조, 행/열 절대참조, 행/열 상대참조 중 하나씩 순서대로 바뀌며, 필요한 참조 형식이 나타날 때까지 반복해서 누르면 된다. 따라서, [F4]는 상대참조 수식을 절대참조 수식으로 바꾸는데 매우 유용한 기능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다음 중 페이지 나누기의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1. [삽입]-[페이지 나누기]를 실행해야 한다.
  2. [도구]-[옵션]-[화면 표시-창 옵션]의 “페이지 나누기”에 체크표시가 없으면 구분선이 보이지 않는다.
  3. 20행까지 페이지를 나누기 위해서는 21행에서 [페이지 나누기]를 실행해야 한다.
  4. A열에서 G열까지 1개 페이지로 나누어진 것을 해제하려면 G열에서 [페이지 나누기 제거]를 실행해야 한다.
(정답률: 48%)
  • 잘못된 설명은 없습니다. 모든 설명이 올바릅니다.

    정답인 "A열에서 G열까지 1개 페이지로 나누어진 것을 해제하려면 G열에서 [페이지 나누기 제거]를 실행해야 한다."는 페이지 나누기 기능을 사용하여 한 페이지로 묶인 구간을 해제하는 방법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이는 올바른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셀 서식에서 표시형식 “YY-M-DDD”로 설정하였을 때 데이터 “2001-1-31”을 입력하면 어떤 결과 값이 되는가?

  1. 01-1-31
  2. 2001-1-31
  3. 2001-1-Wed
  4. 01-1-Wed
(정답률: 70%)
  • 정답은 "01-1-Wed"입니다.

    - "01-1-31": YY-M-DDD 형식에 맞지 않습니다.
    - "2001-1-31": YY-M-DDD 형식에 맞지 않습니다.
    - "2001-1-Wed": YY-M-DDD 형식에 맞지 않습니다.
    - "01-1-Wed": YY-M-DDD 형식에 맞습니다. YY는 01로, M은 1월을 나타내는 1로, DDD는 31일을 나타내는데, 이 날짜가 수요일이므로 WED로 표시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인쇄해야 할 범위가 2쪽 이상이 되는 표를 인쇄하고자 한다. 첫 페이지에 있는 표의 제목줄(A1:K1셀)을 2쪽 이후에도 인쇄하려면, 다음 중 어떠한 순서로 작업을 해야 하는가?

  1. [파일]-[페이지 설정]-‘시트’의 “반복할 열”에서 제목줄의 범위 지정
  2. [파일]-[페이지 설정]-‘시트’의 “반복할 행”에서 제목줄의 범위 지정
  3. [파일]-[페이지 설정]-‘시트’의 “인쇄 영역”에서 제목줄의 범위 지정
  4. [파일]-[페이지 설정]-‘시트’의 “행/열 머리글”에서 체크표시
(정답률: 61%)
  • 정답은 "[파일]-[페이지 설정]-‘시트’의 “반복할 행”에서 제목줄의 범위 지정"입니다. 이유는 인쇄할 범위가 2쪽 이상이 되면, 첫 페이지에 있는 제목줄이 다음 페이지에서도 인쇄되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반복할 행"에서 제목줄의 범위를 지정해주면, 다음 페이지에서도 해당 범위가 인쇄되게 됩니다. "반복할 열"에서는 열을 반복 출력할 때 사용하며, "인쇄 영역"에서는 인쇄할 범위를 지정하며, "행/열 머리글"에서는 표의 제목줄을 인쇄할지 여부를 결정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PC에 설정된 오늘의 날짜를 자동으로 셀 안에 년월일 까지만 표시하기 위하여 필요한 함수는?

  1. Now()
  2. Date()
  3. Today()
  4. Day()
(정답률: 74%)
  • 정답은 "Today()"입니다.

    Today() 함수는 현재 날짜를 반환합니다. 이 함수를 사용하면 PC에 설정된 오늘의 날짜를 자동으로 셀 안에 년월일 까지만 표시할 수 있습니다.

    Now() 함수는 현재 날짜와 시간을 반환하며, Date() 함수는 날짜를 반환합니다. Day() 함수는 주어진 날짜의 요일을 반환합니다. 따라서 이들 함수는 오늘의 날짜를 표시하기 위해서는 Today() 함수보다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다음 수식에 사용되는 연산자에 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은?

  1. % : 백분율을 의미하며, 곱하기 100과 같다.
  2. ^ : 지수를 의미하며, 곱하기를 말한다.
  3. <= : 작거나 같다를 의미한다.
  4. & : 문자열 결합을 의미한다.
(정답률: 81%)
  • "^ : 지수를 의미하며, 곱하기를 말한다."가 잘못된 설명입니다. "^" 연산자는 지수를 나타내는 연산자이며, "a^b"는 a의 b제곱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곱하기를 의미하는 것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실행취소는 사용자가 최근에 실행하였던 데이터 입력 및 편집 등의 작업들에 대하여 단계적으로 취소를 할 수 있는 기능이다. 만약 화면 상단의 도구모음에서 [실행취소] 아이콘 옆에 있는 [실행취소 목록]을 선택하여 나타나는 목록의 특정 작업에 마우스 포인터를 위치시키고 클릭하면 어떻게 되는가?

  1. 마우스 포인터가 위치한 작업만 실행취소
  2. 마우스 포인터가 위치한 작업과 그 위의 모든 작업 실행취소
  3. 마우스 포인터가 위치한 작업과 그 밑의 모든 작업 실행취소
  4. 마우스 포인터가 위치한 작업을 제외한 모든 작업 실행취소
(정답률: 48%)
  • 마우스 포인터가 위치한 작업 위에는 해당 작업을 실행하기 위해 필요한 이전 작업들이 있기 때문에, 그 위의 모든 작업을 실행취소해야만 해당 작업을 취소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마우스 포인터가 위치한 작업과 그 위의 모든 작업 실행취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다음 중 워크시트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기본적으로 통합문서는 3개의 시트로 구성되어 있다.
  2. 행과 열이 만나는 지점을 셀이라 한다.
  3. 시트는 숨기기를 할 수 없다.
  4. 여러 워크시트에 동시에 같은 자료를 입력할 수 있다.
(정답률: 79%)
  • "시트는 숨기기를 할 수 없다."라는 설명이 틀린 것입니다. 시트는 숨기기 기능을 통해 보이지 않게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다음 중 열의 너비와 행의 높이를 조절하는 방법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여러 개의 열을 동시에 동일한 크기로 조절하려면, 해당하는 열의 머리글을 모두 선택한 뒤 어느 한 열 머리글의 오른쪽 경계선에서 마우스를 눌러서 끌면 된다.
  2. 데이터의 크기만큼 열의 너비를 자동으로 조절하려면 열 머리글의 오른쪽 경계선에서 더블 클릭하면 된다.
  3. 여러 개의 행이나 열의 너비를 1번과 같은 방법으로 조절할 때 숨기기가 되어 있는 행이나 열이 포함되어 있으면 숨겨진 행이나 열의 너비는 변하지 않는다.
  4. 1번과 같은 방법으로 여러 개의 열을 조절할 때 그 속에 병합된 셀이 포함되어 있더라도 정상적으로 조절이 된다.
(정답률: 63%)
  • "1번과 같은 방법으로 여러 개의 열을 동시에 동일한 크기로 조절하려면, 해당하는 열의 머리글을 모두 선택한 뒤 어느 한 열 머리글의 오른쪽 경계선에서 마우스를 눌러서 끌면 된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숨겨진 행이나 열은 화면에 보이지 않기 때문에 너비나 높이를 조절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숨겨진 행이나 열이 포함되어 있을 경우, 해당 행이나 열의 너비나 높이는 변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수식을 입력하는 방법으로 잘못된 것은?

  1. 수식은 =(등호)로 시작된다.
  2. 비교연산자에는 =, >, < , <=, >= 등이 있다.
  3. 산술연산자에는 mid, left, & 등이 있다.
  4. 수식에는 데이터를 직접 입력하거나 데이터가 있는 셀의 주소를 참조할 수 있다.
(정답률: 79%)
  • 정답은 "산술연산자에는 mid, left, & 등이 있다."입니다. mid와 left는 문자열 함수이며, &는 문자열을 연결하는 연산자입니다. 따라서 이들은 산술 연산자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데이터관리 기능 중 필터 기능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필터 기능은 많은 양의 자료에서 설정된 조건에 맞는 자료만을 추출하여 나타내기 위한 기능이다.
  2. 필터 기능은 조건을 기술하는 방법에 따라 자동필터와 고급필터로 구분할 수 있다.
  3. 필터를 사용하면 사용자에게 필요한 데이터만을 보이게 하고 나머지는 보이지 않게 하므로 목록 자체의 내용이 바뀌는 단점이 있다.
  4. 필터링 된 레코드들은 목록에서처럼 편집될 수도 있고 차트로 만들어질 수도 있다.
(정답률: 68%)
  • 정답은 "필터를 사용하면 사용자에게 필요한 데이터만을 보이게 하고 나머지는 보이지 않게 하므로 목록 자체의 내용이 바뀌는 단점이 있다."입니다. 필터를 사용하면 원래 데이터셋에서 일부 데이터만 추출하여 보여주기 때문에 목록 자체의 내용이 바뀌게 됩니다. 이는 필터링된 데이터만을 보여주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아래 버튼은 무엇을 실행하는 버튼인가?

  1. 선택한 셀에서 소수점 뒤에 표시되는 자릿수를 소수점 첫째자리로 반올림한다.
  2. 선택한 셀에서 소수점 뒤에 표시되는 0의 개수를 하나로 줄인다.
  3. 선택한 셀에서 소수점 뒤에 표시되는 자릿수를 줄인다.
  4. 선택한 셀에서 소수점 뒤에 표시되는 자릿수를 늘린다.
(정답률: 66%)
  • 선택한 셀에서 소수점 뒤에 표시되는 자릿수를 줄인다. 이는 버튼의 모양이 소수점 아래로 화살표가 내려가는 모양이기 때문에 유추할 수 있다. 또한, 버튼 위에 있는 "소수점"이라는 단어와 "소수점 뒤에 표시되는 자릿수"라는 표현도 이를 뒷받침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다음 중 떨어진 셀들을 복수로 선택할 때 마우스와 함께 사용하는 키는 무엇인가?

  1. Tab
  2. Shift
  3. Ctrl
  4. Alt
(정답률: 71%)
  • 정답은 "Ctrl"입니다.

    Ctrl 키는 다른 키와 함께 사용하여 다양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이 중에서도 떨어진 셀들을 복수로 선택할 때는 Ctrl 키를 누른 채로 마우스를 이용하여 셀을 클릭하면 됩니다. 이는 Ctrl 키를 누르면서 클릭한 셀과 함께 선택된 모든 셀들이 복수로 선택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