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터활용능력 3급(폐지)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6-09-24)

컴퓨터활용능력 3급(폐지)
(2006-09-24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컴퓨터 일반

1. 원격 로그인(Telnet), 파일전송(FTP), 메일(SMTP, POP)과 같은 서비스를 인터넷을 통해 사용하기 위해 TCP/IP를 구성하고자 한다. 다음 중 TCP/IP의 구성요소로 옳지 않은 것은?

  1. 게이트웨이
  2. IP주소
  3. 컴퓨터 이름
  4. DNS 주소
(정답률: 79%)
  • TCP/IP의 구성요소 중 컴퓨터 이름은 옳지 않은 것입니다. TCP/IP에서는 각 컴퓨터를 식별하기 위해 IP 주소를 사용하며, DNS 주소를 통해 IP 주소와 컴퓨터 이름을 매핑합니다. 따라서 TCP/IP의 구성요소로 컴퓨터 이름은 포함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다음 중 마이크로컴퓨터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휴대용 컴퓨터
  2. 데스크탑 컴퓨터
  3. 노트북 컴퓨터
  4. 슈퍼컴퓨터
(정답률: 76%)
  • 정답은 "슈퍼컴퓨터"입니다.

    슈퍼컴퓨터는 대규모의 연산을 처리하는 고성능 컴퓨터로, 대부분 대학, 연구소, 정부 기관 등에서 사용됩니다. 일반적인 개인용 컴퓨터와는 크기, 가격, 성능 등이 매우 다릅니다. 따라서 마이크로컴퓨터의 종류로는 포함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다음 중 한글 Windows XP의 프린터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문서에 대한 인쇄를 일시 중지, 계속, 다시 시작, 취소할 수 있다.
  2. 각각의 프린터마다 이름을 붙여 설치할 수 있다.
  3. 네트워크 프린터를 설치하면 다른 컴퓨터에 연결된 프린터를 사용할 수 있다.
  4. 기본프린터를 프린터 추가에 의해 가장 먼저 설치된 프린터를 의미한다.
(정답률: 66%)
  • "기본프린터를 프린터 추가에 의해 가장 먼저 설치된 프린터를 의미한다."는 옳은 설명입니다.

    이유는 한글 Windows XP에서는 여러 대의 프린터를 설치할 수 있으며, 이 중에서 기본프린터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기본프린터는 프린터 추가를 통해 설치된 순서대로 설정되며, 가장 먼저 설치된 프린터가 기본프린터가 됩니다. 따라서 "기본프린터를 프린터 추가에 의해 가장 먼저 설치된 프린터를 의미한다."는 옳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다음 중 시스템 최적화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디스크 정리는 디스크의 여유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필요 없는 파일을 삭제하는 기능이다.
  2. 디스크 조각 모음은 단편화로 인해 여기저기 분산되어 저장된 파일들을 연속된 공간으로 최적화시켜 디스크의 접근 속도를 향상시키는 기능이다.
  3. 레지스트리는 사용자에 대한 일반적인 정보를 가지고 있으므로 시스템을 최적화하려면 레지스트리의 내용을 자주 삭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4. 백업은 원본 데이터의 손실에 대비하여 중요한 데이터의 복사본을 만들어 두는 기능이다.
(정답률: 78%)
  • "레지스트리는 사용자에 대한 일반적인 정보를 가지고 있으므로 시스템을 최적화하려면 레지스트리의 내용을 자주 삭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설명은 옳지 않습니다. 레지스트리는 시스템 설정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이며, 잘못된 수정이 시스템 동작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삭제를 자주 하면 안됩니다. 오히려 불필요한 항목을 삭제하는 것보다는 레지스트리를 정리하고 백업하는 것이 좋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다음 중 컴퓨터와 주변기기가 데이터를 주고받을 때 속도의 차이를 보완하기 위해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장치는?

  1. ROM
  2. CD-ROM
  3. 테이프(Tape)
  4. 버퍼(Buffer)
(정답률: 86%)
  • 컴퓨터와 주변기기 간 데이터 전송 속도의 차이로 인해 데이터가 일시적으로 저장되어 처리되어야 할 때, 이를 보완하기 위해 사용하는 장치가 버퍼(Buffer)입니다. 버퍼는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하여 컴퓨터와 주변기기 간의 속도 차이를 보완하고, 데이터 전송의 안정성을 높이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한글 Windows XP에서 [시작] 버튼을 눌렀을 때 그림과 같이 표시되는 이전 버전 시작 메뉴에서 [문서]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내 문서] 폴더에 있는 파일 목록을 모두 보여준다.
  2. 윈도우 설치 후 읽었던 파일 목록들을 모두 보여준다.
  3. 인터넷에서 읽었던 문서의 목록만 모두 보여준다.
  4. 최근에 읽었던 문서나 파일들의 목록을 보여준다.
(정답률: 71%)
  • 이전 버전 시작 메뉴의 [문서]는 최근에 읽었던 문서나 파일들의 목록을 보여줍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다음 중 한글 Windows XP에서 파일의 크기가 64KB를 초과하는 텍스트 파일의 편집에 사용할 수 있는 보조 프로그램으로 옳은 것은?(문제오류로 실제 시험장에서는 2,4번을 정답 처리한 문제 입니다 여기서는 2번을 정답 처리 합니다.)

  1. 그림판
  2. 메모장
  3. 문자표
  4. 워드패드
(정답률: 87%)
  • 정답은 "메모장"입니다.

    64KB를 초과하는 텍스트 파일을 편집하기 위해서는 유니코드(Unicode) 인코딩을 지원하는 편집기가 필요합니다. 그림판은 이미지 파일을 편집하는 도구이며, 문자표는 문자의 유니코드 값을 확인하는 도구입니다. 워드패드는 유니코드를 지원하지만, 파일 크기가 크면 느려지는 문제가 있습니다. 따라서, 가장 간단하고 안정적인 옵션인 메모장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메모장은 유니코드를 지원하며, 파일 크기에 제한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한글 Windows XP의 [작업 표시줄 및 시작 메뉴 속성] 기능에서 [작업표시줄] 옵션에 포함되지 않은 것은?

  1. 작업 표시줄을 항상 위로 유지
  2. 작업표시줄 자동 숨기기
  3. 빠른 실행 아이콘 표시
  4. 날짜 표시
(정답률: 70%)
  • "날짜 표시"는 작업 표시줄에 포함되지 않은 옵션이다. 이는 작업 표시줄에는 현재 시간만 표시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한글 Windows XP의 바탕화면에 있는 아이콘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 / * ? “ > < |과 같은 문자는 아이콘 이름으로 사용할 수 없다.
  2. 바로 가기 아이콘은 어디서나 실행할 수 있도록 연결(link)만 담당한다.
  3. 폴더 아이콘 모양은 사용자가 수정할 수 없다.
  4. 바로 가기 아이콘을 지워도 원본 프로그램 자체에는 아무 손상이 없다.
(정답률: 73%)
  • ": / * ? “ > < |과 같은 문자는 아이콘 이름으로 사용할 수 없다."는 옳은 설명이다. 이유는 Windows 운영체제에서 파일 이름으로 사용할 수 없는 문자들이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파일 이름에 "?"가 포함되어 있으면 Windows는 해당 파일을 찾을 수 없다. 따라서 이러한 문자들은 아이콘 이름으로 사용할 수 없다.

    반면에, 다른 보기들은 모두 옳은 설명이다. 바로 가기 아이콘은 실행할 수 있는 링크 역할을 하며, 바로 가기 아이콘을 지워도 원본 프로그램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다. 폴더 아이콘 모양은 사용자가 수정할 수 없다는 것도 맞는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다음 중 컴퓨터의 처리 속도 단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ms = 10-3sec
  2. μs = 10-6sec
  3. fs = 10-9sec
  4. ps = 10-12sec
(정답률: 71%)
  • 정답은 "ms = 10-3sec"입니다.

    "fs = 10-9sec"는 펨토초(femtosecond)로, 1초를 10억 등분한 것입니다. 이는 초당 1015번의 처리를 의미합니다.

    반면에 "ms = 10-3sec"는 밀리초(millisecond)로, 1초를 1000 등분한 것입니다. 이는 초당 1000번의 처리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fs = 10-9sec"는 "초당 1015번의 처리"를 의미하는 매우 작은 단위이며, "ms = 10-3sec"는 "초당 1000번의 처리"를 의미하는 상대적으로 큰 단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다음 중 컴퓨터의 기억용량 단위를 작은 것에서 큰 순서로 바르게 나열된 것은?

  1. KB - MB - GB - TB - PB
  2. KB - MB - TB - PB - GB
  3. KB - PB - GB - TB - MB
  4. PB - KB - MB - GB - TB
(정답률: 91%)
  • 정답은 "KB - MB - GB - TB - PB" 입니다.

    KB는 킬로바이트, MB는 메가바이트, GB는 기가바이트, TB는 테라바이트, PB는 페타바이트를 나타내는 단위입니다. 이들 단위는 1024배씩 커지는 2진수 계산법을 사용합니다. 따라서 크기가 작은 KB부터 큰 PB까지 순서대로 나열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다음 중 새로운 폴더를 만드는 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바탕화면 : 바로 가기 메뉴에서 [새로 만들기]-[폴더]를 선택한다.
  2. 내 컴퓨터 : 도구 상자에 있는 [새 폴더 만들기] 항목을 선택한다.
  3. 탐색기 : [파일] 메뉴에서 [새로 만들기]-[폴더]를 선택한다.
  4. 탐색기 : 바로 가기 메뉴에서 [새로 만들기]-[폴더]를 선택한다.
(정답률: 58%)
  • 정답은 "내 컴퓨터 : 도구 상자에 있는 [새 폴더 만들기] 항목을 선택한다." 입니다. 이유는 "내 컴퓨터" 창에서는 도구 상자에 "새 폴더 만들기" 항목이 없기 때문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폴더를 만드는 메뉴나 항목이 있으므로 옳은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건축, 기계, 전자회로 등의 설계도면을 작성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응용 프로그램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스프레드시트 프로그램
  2. CAI 프로그램
  3. CAD 프로그램
  4. 데이터베이스 프로그램
(정답률: 70%)
  • CAD 프로그램은 Computer-Aided Design의 약자로, 컴퓨터를 이용하여 디자인을 도와주는 프로그램입니다. 건축, 기계, 전자회로 등의 설계도면을 작성하기 위해 사용되며, 그림을 그리는 도구와 3D 모델링 기능 등을 제공합니다. 따라서, CAD 프로그램이 건축, 기계, 전자회로 등의 설계도면을 작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응용 프로그램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다음 중 컴퓨터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슈퍼컴퓨터는 인공위성 제어, 일기예보 등 특수 분야에 사용된다.
  2. 워크스테이션은 네트워크에서 클라이언트 역할만을 담당한다.
  3. 휴대용 컴퓨터로는 노트북, 랩톱, 팜톱이 있다.
  4. 데스크톱 컴퓨터에는 마이크로프로세서가 내장되어 있다.
(정답률: 71%)
  • "워크스테이션은 네트워크에서 클라이언트 역할만을 담당한다."는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워크스테이션은 일반적으로 고성능 컴퓨터로, 네트워크에서 서버 역할도 수행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다음 중 컴퓨터의 주변기기가 아닌 것은?

  1. 사운드카드
  2. 그래픽카드
  3. 모뎀
  4. 주메모리
(정답률: 58%)
  • 주메모리는 컴퓨터의 주요 구성 요소 중 하나이며, 주변기기가 아닙니다. 주메모리는 컴퓨터의 중앙처리장치(CPU)가 작업을 수행할 때 필요한 데이터와 명령어를 저장하는 곳입니다. 따라서, 주메모리는 컴퓨터의 핵심 구성 요소 중 하나이며, 주변기기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다음 중 도메인 이름을 IP 주소로 바꾸어 주는 역할을 하는 것은?

  1. IP 컨버터(Convertor)
  2. DNS(Domain Name Server)
  3. 인터넷 시스템(Internet System)
  4. 인터넷 정보 서비스(IIS)
(정답률: 88%)
  • DNS는 도메인 이름을 IP 주소로 변환해주는 역할을 합니다. 인터넷에서 컴퓨터나 기기들은 IP 주소를 이용하여 통신을 하지만, 사람들은 IP 주소를 기억하기 어렵기 때문에 도메인 이름을 사용합니다. DNS는 이러한 도메인 이름을 IP 주소로 변환하여 인터넷 통신을 가능하게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인터넷의 도메인(domain) 이름의 형식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www.kccitest.or.kr
  2. www.bong.co.kr
  3. www.ibm.com
  4. www.youn.co.com
(정답률: 75%)
  • 정답은 "www.youn.co.com"입니다. 도메인 이름은 일반적으로 "도메인명.최상위도메인.상위도메인"의 형식을 따릅니다. "www.youn.co.com"은 최상위 도메인이 ".com"이고, 상위 도메인이 "co"이므로 형식에 맞지 않습니다. 올바른 형식은 "www.youn.co.kr"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다음 중 컴퓨터 통신망의 종류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LAN
  2. MAN
  3. ISDN
  4. TCP/IP
(정답률: 70%)
  • 정답은 "TCP/IP"입니다.

    LAN은 근거리 통신망, MAN은 도시 규모의 통신망, ISDN은 통합 디지털 통신망으로 모두 지리적으로 가까운 지역에서 사용되는 통신망입니다.

    반면에 TCP/IP는 인터넷 프로토콜로, 전 세계적으로 연결된 컴퓨터 네트워크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다른 세 가지 통신망과는 거리가 가장 멀다고 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다음 중 정보화 사회에 있어 올바른 윤리관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법과 질서를 준수하고 타인의 사생활을 함부로 침해하지 않도록 한다.
  2. 상용 소프트웨어를 무단으로 복제해서 사용하지 않도록 한다.
  3. 인터넷에 있는 사진은 무조건 다운받아 사용할 수 있다.
  4. 통신망에서 근거 없는 유언비어나 음란물을 유포하지 않도록 한다.
(정답률: 86%)
  • "인터넷에 있는 사진은 무조건 다운받아 사용할 수 있다."는 올바른 윤리관이 아닙니다. 인터넷에 있는 사진은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받는 저작물이며, 저작권자의 허락 없이 무단으로 사용하면 불법적인 행위가 됩니다. 따라서, 저작권을 존중하고 적법한 방법으로 이용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다음 중 컴퓨터가 작동하는데 있어서 꼭 필요하지 않은 것은?

  1. 프린터
  2. 중앙처리장치
  3. RAM
  4. 메인보드
(정답률: 87%)
  • 프린터는 컴퓨터가 작동하는데 꼭 필요하지 않습니다. 프린터는 출력장치로써 컴퓨터에서 생성된 문서나 이미지를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하지만, 컴퓨터가 작동하는데 직접적으로 필요한 부품은 아닙니다. 중앙처리장치, RAM, 메인보드는 컴퓨터가 작동하는데 필수적인 부품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스프레드시트 일반

21. 워크시트에서 셀에 입력된 음수인 검정 색의 -125를 빨간 색의 (125)로 나타내도록 하는 방법으로 옳은 것은?

  1. 셀에 값을 입력할 때 -125가 아닌 (125)를 입력하면 자동으로 빨간색으로 변경된다.
  2. 표준 도구 모음에 있는 버튼을 누르면 된다.
  3. 셀 서식 대화상자의 ‘표시형식’의 ‘숫자’ 범주에서 원하는 유형으로 변경하면 된다.
  4. 원래 워크시트에서는 음수를 괄호로 보이게 하는 방법은 없다.
(정답률: 59%)
  • 셀 서식 대화상자의 ‘표시형식’의 ‘숫자’ 범주에서 원하는 유형으로 변경하면 된다. 이유는 셀 서식 대화상자에서 숫자 형식을 변경하면, 음수의 경우 괄호로 표시할 수 있고, 이를 빨간색으로 변경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음수인 -125를 빨간 색의 (125)로 나타내기 위해서는 셀 서식 대화상자에서 숫자 형식을 변경하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다음 워크시트의 B2 셀처럼 “#########”으로 표시되는 현상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수식에서 값을 0으로 나누려고 할 때 발생한다.
  2. 잘못된 인수나 피 연산자를 사용했을 때 발생한다.
  3. 입력된 값보다 셀 폭이 좁을 때 발생한다.
  4. 함수나 수식에 사용할 수 없는 값을 지정했을 때 발생한다.
(정답률: 80%)
  • B2 셀에 "#########"으로 표시되는 현상은 입력된 값이 셀 폭보다 크기 때문에 발생합니다. 따라서 입력된 값보다 셀 폭이 좁을 때 발생한다는 설명이 옳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다음 중 워크시트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통합문서는 여러 개의 시트를 가질 수 있다.
  2. 여러 워크시트에 동시에 같은 자료를 입력할 수 있다.
  3. 워크시트의 입력된 자료를 차트로 표현할 수 있다.
  4. 워크시트가 삭제되면 휴지통에 보관된다.
(정답률: 67%)
  • 워크시트가 삭제되면 휴지통에 보관된다는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워크시트를 삭제하면 해당 시트에 입력된 모든 자료가 영구적으로 삭제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다음 중 차트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차트는 2차원과 3차원으로 구분할 수 있다.
  2. 차트만 따로 차트시트에 작성할 수 있다.
  3. 차트는 원본 데이터가 있는 시트에 작성할 수도 있고 새로운 시트에 작성할 수도 있다.
  4. 엑셀에서 제공하는 차트 종류만을 사용할 수 있다.
(정답률: 68%)
  • 엑셀에서 제공하는 차트 종류만을 사용할 수 있다는 설명은 옳지 않습니다. 엑셀에서는 사용자가 직접 차트를 만들 수 있도록 다양한 차트 유형과 옵션을 제공하고 있으며, 사용자가 원하는 형태의 차트를 만들 수 있습니다. 또한, 엑셀 외부에서 만든 차트를 엑셀에 가져와서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다음 중 셀 서식에서 표시형식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일반은 입력된 데이터 형태를 그대로 표시한다.
  2. 숫자는 소수 자릿수, 천 단위 콤마 표시, 음수 표현 형식을 지정한다.
  3. 통화는 천 단위 콤마 표시, 통화 기호 삽입, 음수 표현형식을 지정한다.
  4. 회계는 천 단위 콤마 표시, 통화 기호 삽입, 음수 표현형식을 지정한다.
(정답률: 61%)
  • 정답은 "회계는 천 단위 콤마 표시, 통화 기호 삽입, 음수 표현형식을 지정한다."이다. 이유는 회계 서식은 통화 서식과 유사하지만, 음수 값의 표현 방식이 다르다는 점이다. 회계 서식에서는 음수 값이 괄호로 묶여서 표시되며, 통화 서식에서는 마이너스 기호로 표시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다음 아래 차트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X(항목) 축 제목은 점수이다.
  2. 차트 종류는 세로 막대형 중 묶은 세로 막대형이다.
  3. Y축 주 눈금선이 설정되어 있다.
  4. Y축 주 눈금선의 색깔과 두께를 수정할 수 있다.
(정답률: 70%)
  • X(항목) 축은 제목이 아니라 범주(Category)를 나타내는 축이기 때문에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X(항목) 축은 "과목"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각 학생들의 국어, 영어, 수학 성적의 합계를 내기 위하여 [E2]셀에 수식을 입력한 후 [E2]셀에서 채우기 핸들을 사용하여 [E3:E5]셀을 채웠더니 아래와 같은 결과가 나왔다. 다음 중 [E2]셀에 입력된 수식으로 맞는 것은?

  1. =$B$2+$C$2+$D$2
  2. =SUM(B2:D2)
  3. =SUM(B$2:D$2)
  4. =SUM($B$2:$D$2)
(정답률: 61%)
  • 정답은 "=SUM(B2:D2)"입니다.

    이유는 SUM 함수는 괄호 안에 있는 범위의 셀들의 합계를 구해주는 함수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SUM(B2:D2)"는 B2, C2, D2 셀의 합계를 구해주는 수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 ☆, ※, △ 등과 같은 특수 문자를 입력하고자 한다. 다음 설명 중 옳은 것은?

  1. [삽입]-[셀]을 사용하여 입력한다.
  2. <F7>키를 누른 후 특수문자를 선택한다.
  3. 한글 자음을 입력한 후 <한자>키를 눌러서 입력한다.
  4. 한글 자음을 입력한 후 <F9>키를 눌러서 입력한다.
(정답률: 87%)
  • 한글 자음을 입력한 후 <한자>키를 누르면, 한글 자음에 해당하는 특수문자가 자동으로 입력되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ㄱ'을 입력한 후 <한자>키를 누르면 '○'이 입력됩니다. 이는 한글 자음과 특수문자가 일대일 대응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컴퓨터에 설정된 오늘 날짜를 자동으로 셀 안에 연월일까지만 표시하기 위하여 필요한 함수는?

  1. =Now()
  2. =Date()
  3. =Today()
  4. =Day
(정답률: 71%)
  • 정답: "=Today()"

    이유:
    - "=Now()" 함수는 현재 시간까지 포함한 날짜와 시간을 반환합니다.
    - "=Date()" 함수는 지정한 연도, 월, 일을 입력하여 날짜를 생성합니다.
    - "=Day" 함수는 날짜에서 일(day) 부분만 추출합니다.

    따라서, 오늘 날짜만 필요하므로 "=Today()" 함수를 사용합니다. 이 함수는 현재 날짜를 연월일 형식으로 반환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워크시트의 데이터 량의 관계없이 사용자가 원하는 페이지 수에 맞게 인쇄하려면 페이지 설정 대화상자에서 무엇을 선택해야 하는가?

  1. 자동 맞춤
  2. 시작 페이지
  3. 인쇄 품질
  4. 용지 방향
(정답률: 64%)
  • 정답: "자동 맞춤"

    설명: 자동 맞춤을 선택하면 인쇄할 내용이 페이지에 맞게 자동으로 조정됩니다. 따라서 데이터 량의 관계없이 사용자가 원하는 페이지 수에 맞게 인쇄할 수 있습니다. 시작 페이지는 인쇄를 시작할 페이지를 선택하는 옵션입니다. 인쇄 품질은 출력물의 해상도를 선택하는 옵션입니다. 용지 방향은 인쇄물의 방향을 선택하는 옵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아래 그림과 같이 입력한 다음에 채우기 핸들 포인터를 마우스로 드래그하여 [A5]셀까지 지정했을 때 값은 얼마가 되는가?

  1. 4
  2. 7
  3. 13
  4. 14
(정답률: 80%)
  • 지정한 셀들의 합을 구하는 것이므로, A1부터 A5까지의 셀 값인 4+7+1+1+0=13이 정답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다음 중 표기된 워크시트의 셀 참조에 대한 의미가 잘못 설명된 것은?

  1. A1:A5 ⇒ A1셀에서 A5셀까지
  2. H:H ⇒ H열에 있는 모든 셀
  3. A1, A3, A7 ⇒ A1셀과 A3셀과 A7셀
  4. 3:5 ⇒ 3행과 5행의 모든 셀
(정답률: 62%)
  • 3:5 ⇒ 3행과 5행의 모든 셀은 잘못 설명된 것이 아닙니다. 3:5는 3행부터 5행까지의 모든 셀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3행과 5행의 모든 셀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아래 그림과 같이 [H30]셀에서 [삽입-[페이지 나누기]를 실행하였을 때 페이지 구분을 나타내는 가로/세로 두 점선의 교차점은 다음 중 어디인가?

  1. [H30]셀의 왼쪽 위 모서리
  2. [H30]셀의 왼쪽 아래 모서리
  3. [H30]셀의 오른쪽 위 모서리
  4. [H30]셀의 오른쪽 아래 모서리
(정답률: 69%)
  • 정답은 "[H30]셀의 왼쪽 위 모서리"입니다.

    페이지 나누기 기능은 가로와 세로로 나누어진 영역을 만들어주는 기능입니다. 따라서 가로/세로 두 점선의 교차점은 해당 영역의 왼쪽 위 모서리에 위치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다음 중 [인쇄 미리 보기]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인쇄 전 인쇄될 모양을 미리 화면으로 확인하는 기능이다.
  2. [여백] 단추를 이용하여 여백의 크기를 조정할 수 있다.
  3. [돋보기] 단추를 이용하여 실제 출력되는 글자 크기를 조정할 수 있다.
  4. [설정] 단추를 이용하여 [머리글/바닥글]을 편집할 수 있다.
(정답률: 66%)
  • "[돋보기] 단추를 이용하여 실제 출력되는 글자 크기를 조정할 수 있다."가 옳은 설명이다. [인쇄 미리 보기]는 인쇄 전 인쇄될 모양을 미리 화면으로 확인하는 기능이며, [여백] 단추를 이용하여 여백의 크기를 조정하거나, [설정] 단추를 이용하여 [머리글/바닥글]을 편집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다음 중 엑셀에서 작성 가능한 차트의 특성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1. 기본 막대형 - 항목간의 값을 비교할 때 사용한다.
  2. 누적 막대형 - 각 계열의 전체 크기만을 나타낼 때 사용한다.
  3. 꺾은선형 - 시간에 따른 각 계열의 변화나 추세를 나타낼 때 사용한다.
  4. 원형 - 각 항목을 전체에 대한 구성 비율이나 기여도를 나타낼 때 사용한다.
(정답률: 69%)
  • "누적 막대형 - 각 계열의 전체 크기만을 나타낼 때 사용한다."는 잘못된 설명입니다. 누적 막대형은 각 항목의 부분적인 크기와 전체 크기를 함께 나타내는 차트입니다. 따라서 각 계열의 전체 크기만을 나타내는 것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차트 마법사를 이용하여 차트를 작성할 때 차트의 제목을 입력할 수 있는 것은 차트 마법사 몇 단계에서 지정하는가?

  1. 4단계 중 1단계
  2. 4단계 중 2단계
  3. 4단계 중 3단계
  4. 4단계 중 4단계
(정답률: 74%)
  • 차트 마법사를 이용하여 차트를 작성할 때, 제목을 입력하는 단계는 "차트 유형"을 선택하고 "차트 하위 유형"을 선택한 후 "레이아웃"을 선택하는 3단계에서 이루어진다. 따라서 정답은 "4단계 중 3단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다음 중 찾기 대화상자에 없는 항목은 무엇인가?

  1. 바꾸기
  2. 찾는 위치
  3. 한/영자 구분
  4. 대/소문자 구분
(정답률: 53%)
  • 정답은 "한/영자 구분"입니다.

    이유는 찾기 대화상자에서는 한글과 영문을 구분할 필요가 없기 때문입니다. 찾는 단어가 한글이든 영문이든 상관없이 모두 찾을 수 있기 때문에 "한/영자 구분" 항목은 필요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아래 그림에서 [B5]셀에 [서식]-[셀]-[표시 형식] 탭에서 ‘백분율’, ‘소수 자릿수 : 2’로 설정했을 때 나타나는 결과값은?

  1. 0.82%
  2. 81.63%
  3. 0.08%
  4. 8.16%
(정답률: 56%)
  • [B5]셀에 입력된 값인 0.0816을 백분율로 표시하면 8.16%가 됩니다. 또한, 소수 자릿수를 2로 설정하면 소수점 둘째자리까지 표시되므로 0.0816이 8.16%로 표시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8.16%"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다음 중 조건부 서식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조건부 서식에서 조건은 최대 2개까지만 지정할 수 있다.
  2. 수식의 결과는 참이나 거짓의 논리 값이어야 한다.
  3. 셀 값이 조건과 일치하거나, 수식 결과가 참일 때만 지정한 서식이 적용된다.
  4. 여러 개의 조건은 AND나 OR로 결합되지 않고 각 조건을 만족하는 서식을 별도로 설정해 주어야 한다.
(정답률: 70%)
  • "조건부 서식에서 조건은 최대 2개까지만 지정할 수 있다."는 옳은 설명입니다. 이유는 조건부 서식에서는 조건이 최대 2개까지만 지정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값이 10보다 크고 20보다 작을 때"와 같은 조건은 2개의 조건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조건부 서식으로 지정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C2]셀에 Rank 함수를 이용하여 아래에 작성된 '점수'에 대한 순위를 정하고 [C5]셀까지 채우려고 한다. [C2]셀에 들어갈 수식으로 알맞은 것은?(조건 : 점수가 높은 학생을 1등으로 한다.)

  1. =RANK(B2,B2:B5)
  2. =RANK(B2,$B$2:$B$5)
  3. =RANK($B$2,$B$2:$B$5)
  4. =RANK(B2,$B2:$B5)
(정답률: 69%)
  • 정답은 "=RANK(B2,$B$2:$B$5)"입니다.

    이유는 Rank 함수의 구문이 "RANK(number,ref,[order])"로, number는 순위를 매길 대상이 되는 값이고, ref는 number가 속한 범위이며, order는 순위를 매길 때 number가 ref 범위에서 어떤 순서로 나타나는지를 나타내는 매개변수입니다.

    따라서 "=RANK(B2,$B$2:$B$5)"는 B2 셀의 값을 $B$2:$B$5 범위에서 어떤 순서로 나타나는지를 기준으로 순위를 매기는 것입니다. 이 경우, 점수가 높은 학생이 1등이 되므로, 순위를 매길 때 B2 셀의 값을 $B$2:$B$5 범위에서 내림차순으로 정렬하여 순위를 매기면 됩니다. 따라서 "=RANK(B2,$B$2:$B$5)"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