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터활용능력 3급(폐지)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8-02-24)

컴퓨터활용능력 3급(폐지)
(2008-02-24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컴퓨터 일반

1. 다음 중 파일 및 폴더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폴더 내에 상위 폴더와 같은 이름의 폴더를 생성할 수 있다.
  2. 폴더 옵션을 사용하면 폴더의 기능 및 내용 표시 방법을 지정할 수 있다.
  3. 미리 보기는 폴더에 있는 이미지를 폴더 아이콘에 표시하여 사용자가 폴더 내용을 빠르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한다.
  4. 동일한 폴더 내에 같은 이름을 가진 파일을 여러 개 저장할 수 있다.
(정답률: 76%)
  • 정답은 "동일한 폴더 내에 같은 이름을 가진 파일을 여러 개 저장할 수 있다."입니다. 동일한 폴더 내에 같은 이름을 가진 파일을 저장하면 이전 파일이 덮어쓰여지기 때문에 중복된 파일 이름을 가진 파일을 저장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다음 중 IP 주소체계의 등급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C 클래스
  2. A 클래스
  3. F 클래스
  4. E 클래스
(정답률: 83%)
  • F 클래스는 IP 주소체계에서 등급에 속하지 않는다. 이유는 F 클래스는 예약 주소로 사용되며, 인터넷에서는 사용되지 않는다. 따라서 F 클래스는 실제로는 존재하지 않는 주소 체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다음 중 컴퓨터의 특징에 대한 의미의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범용성 : 한 가지 분야에 국한되지 않고 과학 계산, 사무 처리, 교육, 게임 등 여러 가지 분야에 다양하게 사용된다.
  2. 창조성 : 컴퓨터를 통해 개인의 창조성을 확대시켜 준다.
  3. 자동성 : 입력한 자료를 처리함에 있어 중간에 사람이 개입하지 않아도 작성된 프로그램에 따라 자동으로 처리한다.
  4. 정확성 : 계산이나 처리 과정에 있어 발생할 수 있는 오차를 최소화하여 정확한 처리를 출력해 준다.
(정답률: 80%)
  • 정답은 "창조성 : 컴퓨터를 통해 개인의 창조성을 확대시켜 준다."입니다. 이유는 컴퓨터는 개인의 창조성을 확대시켜 주는 것이 아니라, 개인이 가지고 있는 창조적인 아이디어를 구현하는 도구로서 활용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컴퓨터 자체가 창조적인 작업을 수행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이 설명은 옳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다음 중 폴더나 파일을 삭제하는 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삭제하려는 폴더나 파일을 선택한 후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누르면 나타나는 바로 가기 메뉴에서 [삭제]를 선택한다.
  2. [탐색기]에서 삭제 하려는 폴더나 파일을 선택한 후 도구 모음에서 삭제 아이콘을 클릭한다.
  3. 삭제 하려는 폴더 또는 파일을 선택한 후 [Ctrl]+[X]를 누른다.
  4. 삭제하려는 폴더나 파일을 선택한 후 드래그하여 바탕화면의 휴지통에 넣는다.
(정답률: 81%)
  • "삭제하려는 폴더나 파일을 선택한 후 드래그하여 바탕화면의 휴지통에 넣는다."는 옳지 않은 방법입니다. 이유는 해당 파일이나 폴더가 휴지통에 들어가기 전에 실제로 삭제되지 않고 복사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휴지통에서 파일을 복구할 수 있습니다.

    반면, "삭제 하려는 폴더나 파일을 선택한 후 [Ctrl]+[X]를 누른다."는 옳은 방법입니다. 이유는 해당 파일이나 폴더가 잘못 선택되었을 경우 [Ctrl]+[Z]를 눌러 취소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이 방법으로 삭제한 파일이나 폴더는 휴지통에 들어가지 않고 바로 삭제되기 때문에 복구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컴퓨터 부팅 과정에서 ‘DISK BOOT FAILURE’라는 메시지가 표시되었다. 다음 중 어느 경우에 발생하는가?

  1. 부트 파티션이 활성화되지 않았을 경우에 발생한다.
  2. HDD를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에 발행한다.
  3. 하드디스크에 연결된 케이블의 문제이다.
  4. 시스템 파일의 손상이나 디스크 부트 섹터의 손상으로 발생된다.
(정답률: 72%)
  • 정답은 "시스템 파일의 손상이나 디스크 부트 섹터의 손상으로 발생된다."입니다. 이는 컴퓨터가 부팅할 때, 운영체제를 로드하기 위해 디스크의 부트 섹터를 읽어오는 과정에서 문제가 발생할 경우에 나타나는 메시지입니다. 따라서 시스템 파일의 손상이나 디스크 부트 섹터의 손상으로 인해 발생합니다. 다른 보기들은 HDD 인식 문제나 케이블 문제와 같은 다른 원인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다음 중 [탐색기]-[보기]-[자세히]를 선택했을 때 표시되지 않는 것은?

  1. 파일 이름
  2. 파일 소유자
  3. 수정한 날짜
  4. 파일과 폴더의 크기
(정답률: 90%)
  • 파일 소유자가 표시되지 않는 이유는 파일 소유자 정보가 일반 사용자에게는 필요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파일 소유자 정보는 보안과 관련된 정보이며, 일반 사용자가 파일을 사용하는 데 있어서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따라서 기본적으로 파일 소유자 정보는 표시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웹사이트를 검색하다가 다음에 다시 방문하고 싶은 사이트를 발견하면 그 주소를 등록해 두었다가 다음에 쉽게 다시 연결 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무엇이라 하는가?

  1. 기록(History)
  2. 즐겨찾기(Bookmark)
  3. 캐싱(Cashing)
  4. 쿠기(Cookie)
(정답률: 92%)
  • 즐겨찾기는 웹사이트 주소를 등록해 두어서 다음에 쉽게 다시 방문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입니다. 기록은 방문한 웹사이트의 주소를 기록하는 기능이며, 캐싱은 인터넷 사용자가 방문한 웹페이지의 일부를 저장해 두어서 다음에 빠르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입니다. 쿠키는 인터넷 사용자의 정보를 저장하고 추적하는 기능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다음 중 휴지통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삭제한 파일이 휴지통의 저장 용량보다 크면 휴지통의 크기에 맞게 파일이 축소되어 휴지통에 저장된다.
  2. [검색]을 실행하여 파일을 검색하면 휴지통에 저장된 파일은 검색 대상에서 제외된다.
  3. 휴지통에서 되살리려는 파일을 선택하고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누른 후 [복원]을 실행하면 원래의 위치에 복구된다.
  4. [Shift]+[Delete] 키를 눌러 파일을 삭제하면, 삭제된 파일은 휴지통에 보관되지 않는다.
(정답률: 77%)
  • "삭제한 파일이 휴지통의 저장 용량보다 크면 휴지통의 크기에 맞게 파일이 축소되어 휴지통에 저장된다."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삭제한 파일이 휴지통의 저장 용량보다 크면 휴지통에 저장되지 않고 즉시 삭제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다음 중 INTERNIC에서 부여하는 도메인 네임으로 국제 조약에 의해 설립된 기관의 의미와 관련된 도메인 네임으로 옳은 것은?

  1. ac
  2. go
  3. int
  4. ne
(정답률: 67%)
  • 정답은 "int"입니다. INTERNIC에서 부여하는 도메인 네임 중 "int"는 국제 조약에 의해 설립된 기관을 나타내는 도메인 네임입니다. "ac"는 학교나 대학, "go"는 정부 기관, "ne"는 네덜란드를 나타내는 도메인 네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다음 중 컴퓨터의 처리속도 단위를 빠른 순서부터 나열한 것은?

  1. ms-μs-ns-ps
  2. ps-ns-μs-ms
  3. μs-ps-ms-ns
  4. ns-ms-ps-μs
(정답률: 78%)
  • 정답은 "ps-ns-μs-ms" 입니다.

    처리속도 단위는 초당 처리할 수 있는 연산의 개수를 나타내는 단위입니다. 따라서 처리속도가 빠를수록 초당 처리할 수 있는 연산의 개수가 많아집니다.

    "ps"는 피코초로, 1초에 1조(10^12)번의 연산을 처리할 수 있습니다. 가장 빠른 처리속도 단위입니다.

    "ns"는 나노초로, 1초에 10억(10^9)번의 연산을 처리할 수 있습니다.

    "μs"는 마이크로초로, 1초에 100만(10^6)번의 연산을 처리할 수 있습니다.

    "ms"는 밀리초로, 1초에 1000번의 연산을 처리할 수 있습니다. 가장 느린 처리속도 단위입니다.

    따라서 "ps-ns-μs-ms" 순으로 나열하면 처리속도가 빠른 순서대로 나열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다음 중 파일이나 폴더의 이름을 바꾸는 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변경할 파일이나 폴더를 선택하고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클릭 후 [이름 바꾸기]를 선택하여 새로운 이름을 입력한다.
  2. 변경할 파일이나 폴더를 선택하고 [F3] 키를 누른 후 새로운 이름을 입력한다.
  3. 변경할 파일이나 폴더를 선택하고 마우스 왼쪽 버튼을 한 번 클릭한 후 새로운 이름을 입력한다.
  4. 변경할 파일이나 폴더를 선택하고 [파일]-[이름 바꾸기]를 선택하고 새로운 이름을 입력한다.
(정답률: 78%)
  • 정답은 "변경할 파일이나 폴더를 선택하고 마우스 왼쪽 버튼을 한 번 클릭한 후 새로운 이름을 입력한다."입니다. 이 방법은 파일이나 폴더를 선택한 후에 바로 이름을 변경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반드시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클릭하여 [이름 바꾸기]를 선택하거나 [F3] 키를 눌러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다음 중 웹 버그(Web bugs)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일종의 스파이웨어이다.
  2. 웹 페이지나 이메일을 누가 보는지 감시하기 위해 만들어진 파일이다.
  3. 이미지 태그(tag)를 넣어 표현하므로 웹 페이지나 이메일을 읽는 사람도 볼 수 있다.
  4. 웹 페이지의 불법 복제를 추적하는데 사용하기도 한다.
(정답률: 70%)
  • "이미지 태그(tag)를 넣어 표현하므로 웹 페이지나 이메일을 읽는 사람도 볼 수 있다."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웹 버그는 웹 페이지나 이메일을 누가 보는지 감시하기 위해 만들어진 파일로, 이미지 태그를 이용하여 숨겨져 있어서 보이지 않습니다. 따라서 웹 페이지나 이메일을 읽는 사람은 웹 버그를 볼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다음 중 동시에 양방향으로 전송할 수 있는 데이터 전송방식으로 옳은 것은?

  1. Full-Duplex 방식
  2. Half-Duplex 방식
  3. Simplex 방식
  4. Modem 방식
(정답률: 72%)
  • Full-Duplex 방식은 데이터를 동시에 양방향으로 전송할 수 있는 방식입니다. 이는 데이터를 보내는 측과 받는 측이 독립적인 회선을 사용하기 때문에 가능합니다. 따라서, 데이터를 보내는 측과 받는 측이 동시에 통신할 수 있어서 효율적인 통신이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다음 중 인터넷 기술과 통신규약을 이용하여 조직내부의 업무를 통합하는 정보시스템은 무엇인가?

  1. Internet
  2. Ethernet
  3. Extranet
  4. Intranet
(정답률: 76%)
  • 정답은 "Intranet"입니다.

    인터넷은 전 세계적으로 연결된 컴퓨터 네트워크를 의미하며, Ethernet은 유선 LAN 기술을 의미합니다. Extranet은 기업과 거래처, 파트너사 등이 안전하게 정보를 공유하기 위한 전용 네트워크를 의미합니다.

    반면, Intranet은 조직 내부에서 인터넷 기술과 통신규약을 이용하여 구축된 전용 네트워크를 의미합니다. 이를 통해 조직 내부의 업무를 통합하고, 정보를 공유하며, 업무 효율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인터넷 기술과 통신규약을 이용하여 조직내부의 업무를 통합하는 정보시스템은 Intranet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노트북을 사용할 때 모뎀이나 랜 카드 같은 주변장치를 연결하기 위해 사용하는 방식은 무엇인가?

  1. DMA 방식
  2. SCSI 방식
  3. PCMCIA 방식
  4. BUS 방식
(정답률: 54%)
  • PCMCIA 방식은 노트북에 주변장치를 연결하기 위해 사용하는 방식으로, 카드 슬롯에 PCMCIA 카드를 삽입하여 연결합니다. 이 방식은 간편하고 이동성이 높아서 노트북 사용자들에게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다음 중 전 세계의 거의 모든 표기문자를 표시할 수 있는 것으로 16비트를 사용하는 코드는 무엇인가?

  1. 비씨디(BCD) 코드
  2. 아스키(ASCII) 코드
  3. 해밍(Hamming) 코드
  4. 유니(Uni) 코드
(정답률: 86%)
  • 유니(Uni) 코드는 전 세계의 대부분의 문자를 표현할 수 있는 표준 코드이며, 16비트를 사용하여 표현합니다. 이는 다른 코드들보다 훨씬 더 많은 문자를 표현할 수 있기 때문에 선택되었습니다. 비씨디(BCD) 코드는 숫자를 표현하는 데 사용되며, 아스키(ASCII) 코드는 영어 알파벳과 일부 특수 문자를 표현하는 데 사용됩니다. 해밍(Hamming) 코드는 오류 검출 및 수정을 위한 코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컴퓨터 중앙처리 장치(CPU)에서 입력된 데이터를 명령에 따라 산술 및 논리연산을 수행하는 장치는?

  1. CU(Control Unit)
  2. IR(Instruction Register)
  3. ALU(Arithmetic Logical Unit)
  4. PC(Program Counter)
(정답률: 76%)
  • ALU는 산술 및 논리연산을 수행하는 장치이기 때문에 CPU에서 입력된 데이터를 명령에 따라 처리하는 역할을 수행합니다. 따라서 CPU의 핵심적인 기능 중 하나인 데이터 처리를 담당하는 ALU가 정답입니다. CU는 명령어를 해석하고 실행하는 제어장치, IR은 현재 실행 중인 명령어를 저장하는 레지스터, PC는 다음에 실행할 명령어의 주소를 저장하는 레지스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다음 중 보조프로그램 중 하나인 [그림판]을 설치하고자 하는 경우에 이용하는 항목으로 가장 옳은 것은?

  1. 프로그램 추가/제거의 ‘Windows 구성요소 추가/제거’
  2. 프로그램 추가/제거의 ‘새 프로그램 추가’
  3. 프로그램 추가/제거의 ‘기본 프로그램 설정’
  4. 프로그램 추가/제거의 ‘프로그램 변경/제거’
(정답률: 69%)
  • [그림판]은 Windows 운영체제에 기본적으로 포함된 프로그램 중 하나이므로, 이를 설치하는 것이 아니라 이미 설치되어 있는 것을 활성화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이를 위해서는 Windows 구성요소 추가/제거 항목을 이용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다음 중 컴퓨터 바이러스의 기능별 분류 중에서 감염 부위에 따른 분류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파생 바이러스
  2. 파일 바이러스
  3. 부트/파일 바이러스
  4. 매크로 바이러스
(정답률: 68%)
  • 정답: 파생 바이러스

    설명: 컴퓨터 바이러스의 기능별 분류 중에서 감염 부위에 따른 분류는 부트/파일 바이러스, 파일 바이러스, 매크로 바이러스 등이 있습니다. 이들은 각각 부팅 섹터, 실행 파일, 문서 파일 등을 감염시키는 바이러스입니다. 하지만 파생 바이러스는 이러한 감염 부위에 따른 분류에 속하지 않습니다. 파생 바이러스는 이미 감염된 바이러스를 변형시켜 새로운 바이러스를 만드는 것으로, 기존의 바이러스를 변형시켜 새로운 감염 경로를 만들어내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다음 중 C 드라이브의 [등록정보] 창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일반] 탭에서 드라이브의 이름을 변경할 수 있다.
  2. [도구] 탭에서 디스크의 여유 공간을 확인할 수 있고 디스크 정리를 실행할 수 있다.
  3. [할당량] 탭에서 할당량 한도를 넘는 사용자에게 디스크 공간 주기 않음을 선택할 수 있다.
  4. [공유] 탭에서 현재 드라이브의 공유여부를 설정할 수 있다.
(정답률: 47%)
  • "[할당량] 탭에서 할당량 한도를 넘는 사용자에게 디스크 공간 주기 않음을 선택할 수 있다."는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도구] 탭에서 디스크의 여유 공간을 확인할 수 있고 디스크 정리를 실행할 수 있다."는 옳은 설명입니다. [도구] 탭에서는 디스크 관리, 디스크 정리, 디스크 복구 등의 기능을 제공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스프레드시트 일반

21. 다음 중 수식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수식은 ‘=’ 기호로 시작된다.
  2. 기본적으로 수식에서 참조하는 셀의 값이 변경되면 관련 셀의 값이 변경된다.
  3. 수식은 연산자, 함수, 상수, 셀 참조 등으로 구성된다.
  4. 수식이 입력된 셀에는 수식이 입력되고 수식의 결과 값은 수식 입력줄에 나타난다.
(정답률: 70%)
  • 기본적으로 수식에서 참조하는 셀의 값이 변경되면 관련 셀의 값이 변경되는 것은 옳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셀에 입력한 문자열의 길이가 셀의 열 너비보다 긴 경우, 다음과 같이 셀에 표시하기 위한 셀 서식의 맞춤기능으로 옳은 것은?

  1. 셀 병합
  2. 셀에 맞춤
  3. 텍스트 줄 바꿈
  4. 방향
(정답률: 70%)
  • 셀 병합은 여러 셀을 하나로 합치는 기능이므로 해당 문제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셀에 맞춤은 셀 내부의 텍스트를 가운데, 왼쪽, 오른쪽 등으로 정렬하는 기능이므로 길이가 넘치는 텍스트를 처리하는데 적합하지 않습니다. 방향은 텍스트의 방향을 설정하는 기능이므로 이 문제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옳은 답은 "텍스트 줄 바꿈" 입니다. 텍스트 줄 바꿈은 길이가 넘치는 텍스트를 자동으로 다음 줄로 이어서 표시하는 기능으로, 셀의 열 너비보다 긴 문자열을 표시할 때 유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다음 중 엑셀에서 인쇄에 사용되는 바로 가기키로 옳은 것은?

  1. [Ctrl]+[P]
  2. [Ctrl]+[R]
  3. [Alt]+[P]
  4. [Alt]+[R]
(정답률: 76%)
  • 정답: "[Ctrl]+[P]"

    이유:
    - [Ctrl]+[P]는 인쇄 단축키로, 현재 열려있는 문서를 바로 인쇄할 수 있습니다.
    - [Ctrl]+[R]은 셀 참조를 상대 참조로 변경하는 단축키입니다.
    - [Alt]+[P]는 데이터 탭에서 필터링을 위한 고급 필터 옵션을 열 수 있는 단축키입니다.
    - [Alt]+[R]은 삽입 탭에서 행, 열, 셀 등을 삽입할 수 있는 메뉴를 열 수 있는 단축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C2] 셀에 Rank 함수를 이용하여 ‘점수’에 대한 순위를 구하는 수식을 작성하고, [C5] 셀까지 채우기 핸들을 이용하여 순위를 정하였다. 다음 중 [C2] 셀에 들어갈 알맞은 식은?

  1. =RANK(B2, B2:B5)
  2. =RANK(B2, $B$2:$B$5)
  3. =RANK($B$2, $B$2:$B$5)
  4. =RANK(B2, $B2:$B5)
(정답률: 76%)
  • 정답은 "=RANK(B2, $B$2:$B$5)"입니다.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 RANK 함수는 첫 번째 인수로 지정한 값이 두 번째 인수로 지정한 범위에서 몇 번째로 큰 값인지를 반환합니다.
    - 따라서, "=RANK(B2, B2:B5)"와 같이 범위를 지정할 때 상대 참조를 사용하면, 셀을 복사하여 다른 셀에 붙여넣을 때 범위가 자동으로 조정되어 원하는 결과를 얻을 수 없습니다.
    - 반면, "$B$2:$B$5"와 같이 절대 참조를 사용하면, 셀을 복사하여 다른 셀에 붙여넣을 때도 범위가 그대로 유지되므로, 원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다음 중 엑셀 파일의 확장자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xlt : 엑셀 서식 파일
  2. xql : 엑셀 백업 파일
  3. xls : 엑셀 통합 문서 파일
  4. xlw : 엑셀 작업 영역 파일
(정답률: 68%)
  • "xql : 엑셀 백업 파일"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실제로는 "xlq"가 아닌 "xlk"로 표기되며, 엑셀 파일의 백업 파일은 "xlsx"나 "xlsb" 등과 같은 확장자를 가집니다. "xlk" 파일은 엑셀의 작업 그룹 파일로, 여러 개의 워크시트를 포함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다음 중 시트 이름 변경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시트 이름 사이에 공백을 사용할 수 없다.
  2. 시트 이름에 한글 및 특수 문자(/, ?, *, [, ]...) 등을 포함할 수 있다.
  3. [도구]-[보호]-[시트 보호]를 선택하고 암호를 입력하면 시트 이름을 변경할 수 없다.
  4. 시트 탭을 마우스로 더블클릭하여 시트 이름을 변경할 수 있다.
(정답률: 46%)
  • 시트 탭을 더블클릭하면 해당 시트의 이름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고과 점수가 높은 직원에서 고과 점수가 낮은 순으로 정렬하고, 연차가 높은 직원에서 연차가 낮은 직원 순으로 정렬하고, 고과 점수와 연차가 같은 경우에는 직급이 높은 직원에서 직급이 낮은 직원 순으로 정렬하고 싶다. 직급은 숫자가 작을수록 높은 직급이다. 다음 중 정렬 기준과 정렬 방식이 옳게 연결된 것은?

  1. 고과 점수-오름차순, 연차-내림차순, 직급-내림차순
  2. 고과 점수-내림차순, 연차-오름차순, 직급-내림차순
  3. 고과 점수-오름차순, 연차-내림차순, 직급-오름차순
  4. 고과 점수-내림차순, 연차-내림차순, 직급-오름차순
(정답률: 77%)
  • 정답은 "고과 점수-내림차순, 연차-내림차순, 직급-오름차순"이다.

    고과 점수가 높은 직원을 먼저 보기 위해 고과 점수를 내림차순으로 정렬하고, 연차가 높은 직원을 먼저 보기 위해 연차를 내림차순으로 정렬한다. 그리고 고과 점수와 연차가 같은 경우에는 직급이 높은 직원을 먼저 보기 위해 직급을 오름차순으로 정렬한다. 이렇게 정렬하면 고과 점수가 높은 직원이 먼저 나오고, 고과 점수가 같은 경우에는 연차가 높은 직원이 먼저 나오며, 연차와 고과 점수가 같은 경우에는 직급이 높은 직원이 먼저 나오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다음 엑셀 통합문서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공유된 통합 문서는 변경 권한을 가진 한 사람만이 문서 내용을 변경할 수 있다.
  2. [보내기] 기능을 이용하여 전자메일로 다른 사람에게 통합문서를 보낼 수 있다.
  3. 통합 문서 내의 특정 워크시트의 내용을 변경할 수 없도록 보호할 수 있다.
  4. 일정한 형식이나 스타일 적용을 위한 서식 파일(*.xlt)을 만들 수 있다.
(정답률: 65%)
  • "[보내기] 기능을 이용하여 전자메일로 다른 사람에게 통합문서를 보낼 수 있다."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공유된 통합 문서는 여러 사람이 함께 작업할 수 있도록 공유된 문서이지만, 변경 권한을 가진 한 사람만이 문서 내용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다른 사람에게 보내기 전에 변경 권한을 가진 사람이 문서를 수정하거나, 다른 사람에게 변경 권한을 부여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다음 중 인쇄 미리 보기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인쇄 미리 보기를 종료할 때는 [ESC]를 누른다.
  2. 숨겨진 행과 열도 인쇄 미리 보기에서 표시된다.
  3. 인쇄 미리 보기에서 돋보기를 클릭하면 화면이 확대/축소된다.
  4. 인쇄 미리 보기 상태에서 여백을 조정할 수 있는 여백 핸들을 표시하거나 숨길 수 있다.
(정답률: 59%)
  • "숨겨진 행과 열도 인쇄 미리 보기에서 표시된다."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인쇄 미리 보기에서는 숨겨진 행과 열은 표시되지 않습니다. 이는 인쇄할 때도 마찬가지입니다. 숨겨진 행과 열을 인쇄하려면 먼저 해당 행과 열을 표시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다음 중 페이지 설정 대화상자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인쇄할 페이지의 용지 방향을 가로, 세로로 바꾼다.
  2. 인쇄용지에 자동 맞춤을 할 수 있다.
  3. 머리글과 바닥글을 편집할 수 있다.
  4. 용지의 크기는 ‘A4’ 또는 ‘B5’만 설정할 수 있다.
(정답률: 79%)
  • 용지의 크기는 ‘A4’ 또는 ‘B5’만 설정할 수 있다는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페이지 설정 대화상자에서는 다양한 용지 크기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이유는 다양한 용지 크기를 지원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다음 차트의 종류로 옳은 것은?

  1. 거품형
  2. 분산형
  3. 방사형
  4. 주식형
(정답률: 90%)
  • 이 차트는 데이터가 중심에서부터 거품처럼 분산되어 있는 형태이기 때문에 "거품형"으로 분류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다음 중 설명이 옳지 않은 것은?(문제오류로 2, 3번만 정답 처리한 문제 입니다. 여기서는 2번을 정답 처리 합니다.)

  1. [셀 서식]-[보호] 탭에서 잠금을 선택하면 서식을 변경할 수 없다.
  2. [셀 서식]-[보호] 탭에서 잠금을 선택하여도 셀 데이터의 이동이 가능하다.
  3. 2.5가 입력된 셀에 분수 서식을 적용하면 “2 2/1”과 같이 표시된다.
  4. 날짜 서식에서 ‘dd’는 날짜의 ‘일’을 표시하며, ‘ddd’는 요일을 영문자 3자리로 표시한다.
(정답률: 68%)
  • 2번이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셀 서식]-[보호] 탭에서 잠금을 선택하면 해당 셀의 데이터 이동도 제한됩니다. 셀 서식을 변경할 수 없게 만드는 것 뿐만 아니라, 데이터의 이동도 제한하는 것이 잠금 기능의 역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다음 중 차트 마법사의 4단계 중 3단계에서 설정하는 항목은 어느 것인가?

  1. 범례
  2. 차트의 종류
  3. 데이터 범위
  4. 차트 삽입 위치
(정답률: 74%)
  • 차트 마법사의 3단계에서 설정하는 항목은 "데이터 범위"입니다. 이는 차트에 표시할 데이터의 범위를 설정하는 단계입니다. 하지만 이 데이터 범위를 설정하면서 각 데이터가 어떤 내용을 나타내는지를 알 수 없기 때문에, 이후 4단계에서는 "범례"를 설정해야 합니다. 범례는 차트에 사용된 색상이나 패턴 등을 이용하여 각 데이터가 어떤 내용을 나타내는지 설명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차트 마법사의 4단계 중 3단계에서 설정하는 항목은 "범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A2] 셀에서 채우기 핸들을 이용하여 [A3] 셀로 이동하였다. 다음 중 표시된 결과 값으로 옳은 것은?

  1. S-03-04
  2. S-03-03
  3. S-02-04
  4. T-02-03
(정답률: 77%)
  • 셀에서 채우기 핸들을 이용하여 [A3] 셀로 이동하면, 수직으로 이동하면서 A열에서 2칸 아래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정답은 "S-02-04"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D3] 셀에 ‘=SUM($B$3:C3)’ 수식을 입력하고 [자동 채우기]를 이용하여 [D4] 셀로 이동하였다. 다음 중 [D4] 셀에 표시되는 값으로 옳은 것은?

  1. 16
  2. 18
  3. 24
  4. 8
(정답률: 66%)
  • 셀에 입력된 수식 ‘=SUM($B$3:C3)’은 B3부터 C3까지의 합을 구하는 수식이다.

    [D3] 셀에는 B3부터 C3까지의 합인 10이 표시된다.

    [자동 채우기]를 이용하여 [D4] 셀로 이동하면, 수식이 ‘=SUM($B$3:C4)’로 변경된다.

    이는 B3부터 C4까지의 합을 구하는 수식이다.

    따라서 [D4] 셀에는 B3부터 C4까지의 합인 16이 표시된다.

    따라서 정답은 "16"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차트에서 [D1:D5] 영역을 선택하고 [Ctrl]+[C] 키를 누른 다음, 차트 영역을 선택하고 [Ctrl]+[V] 키를 눌렀을 때 나타나는 실행 결과로 옳은 것은?

  1. 해당 범위의 데이터에 대한 범례는 추가되지 않는다.
  2. 전 데이터 계열의 차트가 세로 막대형으로 변경된다.
  3. 범위로 지정된 평균이 데이터 계열에 추가된다.
  4. 평균만 표시되는 그래프로 변경된다.
(정답률: 71%)
  • [D1:D5] 영역을 선택하고 [Ctrl]+[C] 키를 누른 다음, 차트 영역을 선택하고 [Ctrl]+[V] 키를 눌렀을 때, 해당 범위의 데이터에 대한 평균값이 데이터 계열에 추가되기 때문에 "범위로 지정된 평균이 데이터 계열에 추가된다."가 정답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해당 작업과는 무관한 내용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다음 중 셀에 데이터를 입력하는 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한 셀에 문자열을 두 줄로 입력하면 [Ctrl]+[Enter]를 누른다.
  2. 날짜는 연월일 사이에 반드시 [-]만 사용된다.
  3. 입력한 문자보다 셀 너비가 좁으면 ‘###’으로 표시된다.
  4. [Ctrl]+[콜론(:)]을 누르면 현재 시스템에 설정된 시간이 자동으로 입력된다.
(정답률: 45%)
  • [Ctrl]+[콜론(:)]을 누르면 현재 시스템에 설정된 시간이 자동으로 입력되는 이유는 해당 단축키가 Excel에서 시간과 관련된 기능 중 하나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다음 중 삭제 또는 지우기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삭제는 지워진 공간의 셀이 시트에서 삭제되고 지우기는 지워진 공간의 셀이 빈 셀로 시트에 표시된다.
  2. 삭제는 실행 후 취소할 수 없지만 지우기는 실행 후 취소 할 수 있다.
  3. [D5:F10] 셀의 영역을 지정하고 [삭제]를 선택하면 해당 행 전체가 자동으로 삭제된다.
  4. [지우기]-[서식]을 실행하면 서식은 지워지지 않고 내용만 지워진다.
(정답률: 50%)
  • "삭제는 지워진 공간의 셀이 시트에서 삭제되고 지우기는 지워진 공간의 셀이 빈 셀로 시트에 표시된다."가 옳은 설명이다. 삭제는 해당 셀이나 영역이 완전히 시트에서 사라지는 것이고, 지우기는 해당 셀이나 영역의 내용만 지워지고 빈 셀로 남아있는 것이다. [D5:F10] 셀의 영역을 지정하고 [삭제]를 선택하면 해당 행 전체가 자동으로 삭제되는 것은 일부 경우에 해당할 수 있지만 일반적인 삭제와는 조금 다른 경우이다. [지우기]-[서식]을 실행하면 내용만 지워지고 서식은 그대로 유지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기본적으로 하나의 데이터 계열만 가지며 값 축 및 항목 축을 가지지 않는 차트는?

  1. 꺽은선형 차트
  2. 거품형 차트
  3. 방사형 차트
  4. 원형 차트
(정답률: 75%)
  • 원형 차트는 하나의 데이터 계열만 가지며 값 축 및 항목 축을 가지지 않는 차트이다. 이는 데이터를 비교하고 분석하기 위해 사용되며, 데이터의 비율을 쉽게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가장 간단하고 직관적인 형태의 차트이다. 또한, 원형 차트는 전체적인 비율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어서 많이 사용되는 차트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다음 중 함수의 실행 결과로 옳지 않은 것은?

  1. =UPPER("Good Mornning!") ⇒ GOOD MORNNING!
  2. =PROPER("YOU BEAUTIFUL") ⇒ You Beautiful
  3. =REPLACE("스타크래프트“,2,4,”타“) ⇒ 스타
  4. =VALUE("1234") ⇒ 1234
(정답률: 73%)
  • "=REPLACE("스타크래프트“,2,4,”타“) ⇒ 스타" 이 옳지 않습니다. 이 함수는 "스타크래프트" 문자열에서 2번째 위치부터 4글자를 "타"로 바꾸는 함수입니다. 따라서 "스타크래프트" 문자열에서 "타크" 부분이 "타"로 바뀌어 "스타"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