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상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5-03-20)

기상기사
(2005-03-20 기출문제)

목록

1과목: 기상관측법

1. 바람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풍향은 원칙적으로 자기 풍향계에 의하여 관측시각 전10분간의 평균이다.
  2. 풍속이 0.2 m/s 이하일 때는 보통 정온으로 하고 풍향이 없는 것으로 간주한다.
  3. 풍속은 관측 시각을 중심으로 전,후 10분간의 평균 풍속이다.
  4. 풍향은 원칙적으로 장애물이 없고 평탄한 곳의 지상 10 m 에서의 값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풍속은 관측 시각을 중심으로 전,후 10분간의 평균 풍속이다."가 틀린 것은 아니다. 이는 정확한 설명이다. 풍속은 시간에 따라 변화하기 때문에, 일정 시간 동안의 평균값을 사용하여 측정한다. 이 때, 전,후 10분간의 평균값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다음 중 대기권의 수직별 온도 분포가 바르게 된 것은?

  1. 대류권, 중간권 - 상층으로 갈수록 온도가 하강하는 권
  2. 성층권, 열권 - 상층으로 갈수록 온도가 하강하는 권
  3. 대류권, 열권 - 상층으로 갈수록 온도가 상승하는 권
  4. 성층권, 중간권 - 상층으로 갈수록 온도가 상승하는 권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대류권, 중간권 - 상층으로 갈수록 온도가 하강하는 권"입니다. 이유는 대류권과 중간권은 대기권의 하층부에 위치하며, 지구 표면에서부터 상승할수록 대기압이 낮아지기 때문에 기체가 팽창하면서 온도가 하강합니다. 이에 따라 대류권과 중간권의 상층으로 갈수록 온도가 하강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대기 중 수증기와 관련된 요소와 단위들이다. 관계가 틀린 것은?

  1. 증기압 - hpa
  2. 수증기 밀도 - g/cm3
  3. 혼합비 - %
  4. 상대습도 - %
(정답률: 알수없음)
  • 수증기 밀도는 고체나 액체의 밀도와 같이 g/cm^3 단위를 사용하지만, 대기 중 수증기의 양을 나타내는 것이므로 혼합비와 상대습도와 같이 비율이나 백분율로 표현하는 것이 더 적절하다. 따라서 정답은 "수증기 밀도 - g/cm^3"이다.

    혼합비는 대기 중 수증기의 양을 공기 중 전체의 양으로 나눈 비율을 백분율로 나타낸 것이다. 예를 들어, 10%의 혼합비는 공기 중 전체의 양 중 10%가 수증기로 이루어져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대기 중 수증기의 양을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다음 기상관측요소 중 관측자의 목측(目測)으로만 관측을 하는 것은?

  1. 운형
  2. 기압
  3. 풍향
  4. 풍속
(정답률: 알수없음)
  • 운형은 구름의 모양과 형태를 관측하는 것으로, 관측자의 목측으로만 가능합니다. 기압, 풍향, 풍속은 각각 기압계, 풍향계, 풍속계와 같은 측정기기를 사용하여 측정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시정관측 요령 중 부적합한 것은?

  1. 관측위치를 조금 바꾸면 그 배후의 목표물을 볼 수 있을 때 그 시정장애를 무시
  2. 물체를 명확히 판단하기 어려우면 쌍안경을 이용
  3. 시력이 나쁜 사람은 안경으로 시력을 교정
  4. 관측자의 눈높이의 수평시정을 관측
(정답률: 알수없음)
  • "물체를 명확히 판단하기 어려우면 쌍안경을 이용"은 부적합한 요령입니다. 이유는 쌍안경은 물체를 확대하여 보는 도구이기 때문에, 물체를 명확히 판단하기 어려울 때 쌍안경을 사용하면 오히려 더 혼란스러울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쌍안경은 필요한 경우에만 사용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기압의 보정순서로 타당한 것은?

  1. 온도 - 기차 - 해면 - 중력
  2. 기차 - 온도 - 해면 - 중력
  3. 기차 - 온도 - 중력 - 해면
  4. 중력 - 기차 - 온도 - 해면
(정답률: 알수없음)
  • 기압의 보정순서는 기압의 변화를 일으키는 요인들의 영향력이 큰 순서대로 보정하는 것이다. 이 중에서도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치는 것은 온도이며, 그 다음으로는 고도에 따른 기압 변화인 기차, 지구 중력, 해수면 기압 순으로 보정해야 한다. 따라서 "기차 - 온도 - 중력 - 해면"이 올바른 기압의 보정순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종관기상관측에서 일반적으로 관측하고 있는 시정은?

  1. 방향별로 관측하여 평균치를 취한다.
  2. 특정방향의 시정만을 관측한다.
  3. 모든 방향의 시정 중에서 최소의 것을 관측한다.
  4. 모든 방향의 시정 중에서 최대의 것을 관측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종관기상관측에서는 대기 중 먼지, 스모그, 안개 등으로 인해 시야가 가려지는 시정을 측정합니다. 이때 모든 방향의 시정 중에서 최소의 것을 관측하는 이유는, 대기 중 먼지나 스모그 등이 일정 방향으로 집중되어 있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모든 방향의 시정 중에서 최소값을 측정하여 대기 오염의 정도를 파악하고 대처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수문기상 관측소에서 반드시 관측하는 요소는?

  1. 증발량
  2. 염도
  3. 구름
  4. 지중온도
(정답률: 알수없음)
  • 수문기상 관측소에서는 대기 중의 수증기 양을 측정하기 위해 증발량을 반드시 관측합니다. 이는 지하수 출구, 강, 호수 등의 수면에서 증발한 양을 측정하여 수문 환경을 파악하고 수자원 관리에 활용하기 위함입니다. 따라서 증발량은 수문기상 관측소에서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대기의 전기 현상을 나타내는 기호 설명 중 관계가 서로 틀린 것은?

  1. 뇌전 -
  2. 천둥 -
  3. 극광 -
  4. 센트에르모의 불 -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천둥 - "이다. 천둥은 번개가 지나가면서 발생하는 소리이므로 전기 현상을 나타내는 기호가 아니다. 뇌전은 번개가 지나가기 전에 발생하는 전기 현상을 나타내는 기호이다. 극광은 지구 자기장과 태양에서 나오는 입자들이 상호작용하여 발생하는 현상을 나타내는 기호이며, 센트에르모의 불은 열과 전기 에너지가 동시에 발생하는 현상을 나타내는 기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최저 온도계의 복도(復度) 방법은?

  1. 좌우로 힘껏 뿌린다.
  2. 전후로 힘껏 뿌린다.
  3. 구부 반대쪽을 서서히 높인다.
  4. 구부쪽을 서서히 높인다.
(정답률: 알수없음)
  • 최저 온도계는 유리관 안에 알코올 등의 액체가 들어있는데, 이 액체가 온도에 따라 팽창하거나 수축하면서 수은이 움직이게 됩니다. 따라서 온도계를 사용할 때는 온도에 따라 수은이 움직이도록 온도계를 조작해야 합니다. 최저 온도계의 경우, 온도가 낮아질수록 수은이 더욱 높은 위치로 올라가야 하므로 구부쪽을 서서히 높이는 방법을 사용합니다. 이렇게 하면 수은이 구부쪽으로 이동하면서 온도에 따라 높이게 되어 최저 온도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풍향 풍속관측방법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10분간 평균의 최대 풍속치는 자기전접 계수기에서 취한다.
  2. 순간 최대 풍속치는 에어로벤 풍속자기지상에서 계산한다.
  3. 풍향은 관측시각전 10분간의 평균치를 취한다.
  4. 풍속이 0.2 ㎧ 이하일 때도 풍향을 관측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풍속이 0.2 ㎧ 이하일 때도 풍향을 관측한다."는 틀린 설명이 아니다. 풍속이 0.2 ㎧ 이하일 때에도 풍향을 관측하는 이유는, 대기 중의 미세한 기류나 바람의 흐름을 파악하기 위해서이다. 따라서, 모든 보기가 올바른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기상 관측에서의 풍속은 다음 중 어느 것을 뜻하는가?

  1. 관측시각 전 10분간의 최대풍속
  2. 관측시각 전 10분간의 평균풍속
  3. 관측시각 5분 전후의 최대풍속
  4. 관측시각 5분 전후의 평균풍속
(정답률: 알수없음)
  • 기상 관측에서의 풍속은 "관측시각 전 10분간의 평균풍속"을 뜻한다. 이는 관측 시간 전 10분간의 풍속을 측정하여 그 평균값을 구하는 것으로, 이는 해당 지역의 대표적인 풍속을 나타내기 때문이다. 최대풍속은 특정 시간에 발생한 가장 큰 풍속을 나타내기 때문에 대표성이 떨어지고, 관측시각 5분 전후의 풍속은 너무 짧은 시간 동안의 측정값이기 때문에 대표성이 떨어진다. 따라서, 기상 관측에서는 관측시각 전 10분간의 평균풍속을 사용하여 해당 지역의 풍속을 나타낸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기압 측정에 관한 설명 중 적당치 않는 것은?

  1. 기압의 단위는 hPa를 쓴다.
  2. 대기압은 수은주 높이로 약 76 ㎝에 해당된다.
  3. 수은주의 수평단면적과 수은주의 높이는 비례관계가 있다.
  4. 수은주의 높이는 온도에 따라 변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수은주의 수평단면적과 수은주의 높이는 비례관계가 있다."라는 설명이 적당치 않은 것입니다. 이유는 기압 측정에서는 수은주의 수평단면적과 높이가 아닌, 수은주의 높이 차이를 이용하여 기압을 측정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수은주의 수평단면적과 높이는 기압 측정과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습니다.

    그리고 기압의 단위는 hPa(헥토파스칼)뿐만 아니라 다른 단위인 mmHg(밀리미터 수은柱)나 inHg(인치 수은柱) 등도 사용됩니다. 수은주의 높이는 대기압과 비례하지만, 이는 온도와 고도에 따라 변화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수은 기압계의 관측에 있어 현지기압을 산출하려면?

  1. 기차보정, 중력보정을 해야 한다.
  2. 기차보정, 중력보정, 해면갱정을 해야 한다.
  3. 기차보정, 온도보정, 중력보정을 실시해야 한다.
  4. 기차보정, 온도보정, 중력보정, 해면갱정을 해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수은 기압계는 수은의 높이를 측정하여 기압을 산출하는데, 이 때 기압은 현지기압이 아니라 기압보정이 필요하다. 기압보정을 위해서는 기차보정, 중력보정, 온도보정 등이 필요하며, 이를 실시해야 현지기압을 정확하게 산출할 수 있다. 따라서 정답은 "기차보정, 온도보정, 중력보정을 실시해야 한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다음중 상층운으로만 구성된 항목은 다음중 어느 것인가?

  1. Cc, Cs
  2. Ci, As
  3. Cs, As
  4. As, Ac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Cc, Cs"입니다. 이유는 "Cc"는 cumulus congestus(불쾌한 적란운)를 나타내며, "Cs"는 cirrostratus(고적운)를 나타내기 때문입니다. 둘 다 상층운에 속하며, 다른 항목들은 중층운이나 하층운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우량계 수수구(受水口)의 지면상 높이로 가장 이상적인 것은?

  1. 지면과 같게 한다.
  2. 약 20 ㎝
  3. 약 50 ㎝
  4. 약 120 ㎝
(정답률: 알수없음)
  • 우량계 수수구의 지면상 높이는 강우가 발생했을 때 우량계에 정확한 강우량을 측정하기 위해 중요합니다. 만약 지면과 같게 된다면 강우가 발생했을 때 지면의 물이 수수구로 바로 흐르지 않고 일정 시간이 지나야 하므로 정확한 강우량을 측정할 수 없습니다. 반면에 지면과 너무 높게 되면 강우가 발생했을 때 물이 수수구로 바로 흐르지만, 강우량이 적을 때는 물이 수수구로 바로 흐르지 않아 정확한 강우량을 측정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약 20㎝ 정도가 가장 이상적인 지면상 높이입니다. 이는 강우량이 적을 때도 물이 수수구로 바로 흐르면서, 강우량이 많을 때도 일정 시간이 지나야 물이 수수구로 흐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대기 중 발생하는 일기현상의 관계이다. 틀린 것은?

  1. 물현상(hydrometeors) - 이슬
  2. 먼지현상(lithometeors) - 황사
  3. 빛현상(photometeors) - 무지개
  4. 전기현상(electrometeors) - 광환
(정답률: 알수없음)
  • 전기현상(electrometeors)은 대기 중에서 발생하는 일기현상 중에서 전기적인 현상을 의미한다. 이에는 번개, 천둥, 뇌우 등이 포함된다. 따라서 "전기현상(electrometeors) - 광환"은 틀린 것이다. 광환은 빛현상(photometeors)에 속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수평면에 받은 전천일사(반사)를 관측하는데 사용하는 기상측기는?

  1. 로빗치 자기일사계
  2. 죠르단 일조계
  3. 캄벨 일조계
  4. 은반 일사계
(정답률: 알수없음)
  • 로빗치 자기일사계는 수평면에 받은 전천일사(반사)를 측정하는 기상측기 중 하나입니다. 이 기기는 자석으로 고정된 수평면 위에 적외선 감지기를 부착하여, 수평면에 수직으로 입사하는 일사를 측정합니다. 이를 통해 지표면의 일사량을 측정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다음의 천기부호 중 우빙(freezing)을 표시하는 것은?

(정답률: 알수없음)
  • 우빙(freezing)을 표시하는 천기부호는 ""이다. 이는 물방울이 얼어붙은 모습을 나타내며, 물이 얼어붙는 것은 온도가 매우 낮아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천기부호는 추운 날씨를 나타내며, 주로 겨울철에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시정, 구름, 일기현상 및 지연상태에 대해 관측을 수행시 올바른 순서는?

  1. 시정 → 구름 → 일기현상 → 지연상태
  2. 구름 → 시정 → 지연상태 → 일기현상
  3. 일기현상 → 시정 → 구름 → 지연상태
  4. 지연상태 → 일기현상 → 시정 → 구름
(정답률: 알수없음)
  • 구름은 일기현상과 시정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먼저 관측해야 합니다. 그 다음으로 시정을 관측하여 대기 중 물체의 가시성을 파악합니다. 이후 지연상태를 파악하여 비행기 출발 및 도착 시간을 예측합니다. 마지막으로 일기현상을 관측하여 비행기 운항에 영향을 미치는 기상 조건을 파악합니다. 따라서 올바른 순서는 "구름 → 시정 → 지연상태 → 일기현상"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대기열역학

21. 비습(specific humidity)에 대해 올바르게 설명된 것은?

  1. 습윤 공기중에 포함되어 있는 수증기의 밀도와 습윤 공기 전체 밀도의 비
  2. 습윤 공기중의 수증기의 밀도와 건조공기의 밀도와의 비
  3. 습윤 공기중의 1g의 건조 공기와의 공존하는 수증기의 질량
  4. (q : 비습, Cd : 건조 공기의 밀도, Cw : 수증기 밀도, p : 대기압, e : 수증기압)
(정답률: 알수없음)
  • "습윤 공기중에 포함되어 있는 수증기의 밀도와 습윤 공기 전체 밀도의 비"가 올바른 설명이다. 이는 비습(q)을 수증기 밀도(Cw)와 건조 공기의 밀도(Cd)의 비로 나타낸 것으로, 수증기가 포함된 습윤 공기의 밀도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이 비습은 대기압(p)과 수증기압(e)에 따라 변화하며, 위의 그림에서도 비습을 계산하는 공식이 나와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기단분석에 편리한 단열선도는?

  1. Emagram
  2. Rossby chart
  3. Aerogram
  4. Skew T-log p diagram
(정답률: 알수없음)
  • 기단분석에서는 대기의 수직 구조와 온도, 습도 등의 상태를 파악해야 하는데, 이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다양한 도식이 사용됩니다. 이 중에서도 Rossby chart는 대기의 수평 구조와 움직임을 보다 효과적으로 파악할 수 있어 기단분석에 편리합니다. Rossby chart는 지구상의 경도와 위도를 좌표축으로 사용하며, 등압선과 등온선을 함께 표시하여 대기의 수평 구조와 움직임을 한 눈에 파악할 수 있습니다. 또한, Rossby wave와 같은 대기의 대규모한 움직임을 분석하는 데에도 유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대기중에서 일어나는 과정 중 기체의 열역학적 변수가 다음식으로 주어질 때, Pn = 상수, → ∞이면, 이 과정은 다음 중 어느 과정에 접근하는가? (단, P는 기압, α는 비용, Cp 정압비열, Cv 정적비열이다.)

  1. 등압과정
  2. 등밀도과정
  3. 단열과정
  4. 등온과정
(정답률: 알수없음)
  • Pn = 상수이므로 PVn = 상수이다. 이는 PV = 상수인 등온과정과 같은 식이다. 따라서 이 과정은 등온과정에 접근한다. 이는 기체의 온도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과정으로, 열역학적 변수 중 온도가 변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상대습도는 다음 어느 식으로 표시되는가? (단,e는 수증기압이고,E는 포화수증기압이다.)

  1. e+E
  2. E-e
(정답률: 알수없음)
  • 상대습도는 e/E로 표시된다. 이는 현재 대기 중의 수증기압(e)이 해당 온도에서의 포화수증기압(E)에 대한 비율을 나타내는 것이다. 따라서 ""은 e/E를 나타내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대기 중에서 기온(T)과 포화수증기압(ew)의 관계를 맞게 기술한 것은?

  1. T가 증가하면 ew도 증가한다.
  2. T가 증가하면 ew는 감소한다.
  3. T가 증가하더라도 ew는 일정하다.
  4. T의 변화와 ew의 변화는 전혀 관계가 없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T가 증가하면 ew도 증가한다.

    이유: 대기 중의 수증기는 일정한 압력을 유지하려고 노력한다. 따라서, 기온이 증가하면 수증기 분자들의 평균 운동 에너지가 증가하게 되고, 이는 수증기 분자들이 더 쉽게 대기로부터 탈바꿈하여 대기 중의 수증기 농도가 증가하게 된다. 이는 포화수증기압(ew)의 증가로 이어지게 된다. 따라서, T가 증가하면 ew도 증가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등밀대기(균질대기)에서의 기온감율을 나타낸 것은? (단, 여기서 g는 중력상수, R은 공기 기체상수, H는 균질대기의 높이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 이다. 이유는 등밀대기에서는 기체의 밀도가 높이에 따라 일정하게 유지되기 때문에, 기체의 부피가 일정하게 유지된다. 이에 따라 기체의 온도와 압력은 높이에 따라 일정하게 감소하게 된다. 이를 수식으로 나타내면 P = P0 * exp(-g * M * H / R * T)이며, 이를 로그 형태로 변환하면 ln(P/P0) = -g * M * H / R * T이다. 이 식에서 T를 H로 미분하면, dT/dH = -g * M / R * T이므로, 기온감율은 온도에 비례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등밀대기에서의 기온감율은 온도에 비례하며, 이를 나타내는 식은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다음 물에 대한 T-e diagram에서 기체상태를 나타내는 영역의 기호는?

  1. A
  2. B
  3. C
  4. D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D"입니다. T-e diagram에서 기체상태를 나타내는 영역은 "D"로 표시됩니다. 이 영역은 온도가 높고 엔트로피가 큰 상태를 나타내며, 기체 분자들이 자유롭게 움직이고 충돌하는 상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다음 중 열역학선도에 원래 그려져 있지 않는 선은?

  1. 등온선
  2. 건조단열선
  3. 등기압면선
  4. 상대습도선
(정답률: 알수없음)
  • 상대습도선은 열역학선도에 원래 그려져 있지 않은 선이다. 이는 상대습도가 온도와 압력에 따라 변화하기 때문에 등온선, 건조단열선, 등기압면선과는 달리 곡선으로 표시된다. 상대습도선은 대기 중의 수증기의 양과 관련이 있으며, 대기 중의 수증기가 포화 상태가 되면 상대습도는 100%가 된다. 따라서 상대습도선은 대기 중의 수증기 양이 일정한 지점을 연결한 곡선으로 나타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내부에너지의 변화량을 바르게 나타낸 것은? (Cv는 정적비열, Cp는 정압비열, ΔV는 체적변화량, ΔP는 압력변화량, ΔT는 온도 변화량)

  1. CvΔP
  2. CvΔT
  3. CpΔV
  4. CpΔP
(정답률: 알수없음)
  • 내부에너지는 분자의 운동 에너지와 상호작용 에너지의 합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따라서 내부에너지의 변화량은 분자의 운동 에너지와 상호작용 에너지의 변화량으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정적비열인 Cv는 압력이 일정한 상태에서 단위 질량의 물질이 온도가 1도 상승할 때 내부에너지가 증가하는 양을 말합니다. 따라서 CvΔT는 압력이 일정한 상태에서 온도가 ΔT만큼 상승할 때 내부에너지의 변화량을 나타냅니다.

    반면에 Cp는 체적이 일정한 상태에서 단위 질량의 물질이 압력이 1Pa 증가할 때 내부에너지가 증가하는 양을 말합니다. 따라서 CpΔV는 체적이 ΔV만큼 변화할 때 내부에너지의 변화량을 나타냅니다.

    따라서 내부에너지의 변화량을 올바르게 나타내기 위해서는 압력이 일정한 상태에서 온도의 변화량을 고려해야 하므로 CvΔT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다음 선도 중에서 등온선이 곡선으로 나타나는 것은?

  1. Clapeyron 선도
  2. Tephigram
  3. Emagram
  4. Stȕve 선도
(정답률: 알수없음)
  • Clapeyron 선도는 등온선이 곡선으로 나타나는 선도이다. 이는 Clapeyron 방정식에서 기압과 온도의 변화에 따른 상태 변화를 나타내기 때문이다. 다른 선도들은 등온선이 직선으로 나타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K를 절대온도(Kelvin 온도),P를 압력이라고 할 때 이상기체의 밀도 변화에 대하여 옳게 기술한 것은?

  1. K에 정비례하고 P에 반비례 한다.
  2. K에 반비례하고 P에 정비례 한다.
  3. K에 반비례하고 P에도 반비례 한다.
  4. K에 정비례하고 P에도 정비례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K에 반비례하고 P에 정비례 한다." 이다.

    이상기체의 밀도 변화는 다음과 같은 이상가스 법칙에 따라 결정된다.

    PV = nRT

    여기서 V는 체적, n은 몰수, R은 기체상수, T는 절대온도(K)를 나타낸다.

    이상가스 법칙에서 P와 V는 반비례 관계이다. 따라서 P가 증가하면 V는 감소하고, P가 감소하면 V는 증가한다.

    또한, n과 R은 일정하므로, P와 V의 관계는 T에 비례한다. 따라서 T가 증가하면 V는 증가하고, T가 감소하면 V는 감소한다.

    따라서, P와 V의 관계를 종합하면, P는 T에 정비례하고 V에 반비례한다.

    밀도는 질량과 체적의 비율이므로, 밀도는 P에 반비례하고 V에 정비례한다. 따라서, 이상기체의 밀도는 K에 반비례하고 P에 정비례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균질 대기의 고도는 어떻게 표현되는가? (여기서 는 균질 대기의 밀도, g는 중력 가속도, Po 는 지면 기압, Cv 와 R 은 각각 정적비열과 비기체 상수이다.)

  1. g/R
(정답률: 알수없음)
  • 균질 대기의 고도는 밀도가 일정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밀도는 압력과 온도에 의해 결정되므로, 밀도가 일정하다는 것은 압력과 온도가 일정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기압이 일정하게 감소하는 것과 같은 의미이므로, 고도는 기압에 반비례한다. 따라서 고도는 Po/(gR)로 표현된다. 따라서 정답은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대기 중의 에너지는 위치에너지, 내부에너지, 운동에너지로 크게 나누어 생각할 수 있는데 내부에너지가 증가하면 위치에너지는?

  1. 점점 감소한다.
  2. 증가한다.
  3. 없어진다.
  4. 변화하지 않는다.
(정답률: 알수없음)
  • 내부에너지가 증가하면 입자들 간의 상호작용이 증가하므로 입자들의 평균 거리가 줄어들게 되어 위치에너지가 증가한다. 따라서 정답은 "증가한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비체적(specific volume)에 대한 설명 중 맞는 것은?

  1. 단위질량의 공기괴가 차지하는 체적
  2. 단위질량의 공기괴가 포함하는 수증기량
  3. 단위질량의 공기괴가 나타내는 압력
  4. 단위질량의 공기괴가 지나고 있는 밀도
(정답률: 알수없음)
  • 비체적은 단위질량의 공기괴가 차지하는 체적을 의미합니다. 즉, 공기괴의 밀도와 관련이 있으며, 일정한 온도와 압력에서 공기괴의 부피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정압비열은 Cp, 정적비열은 Cv, 비기체상수를 R, 중력가속도를 g라 할 때, 건조단열감율을 바르게 설명한 것은?

  1. Cp/Cv
  2. R/Cp
  3. g/Cp
  4. R/Cv
(정답률: 알수없음)
  • 건조단열감율은 대기가 상승할 때 온도가 얼마나 빠르게 감소하는지를 나타내는 값이다. 이 값은 대기가 건조한 상태에서 상승하는 경우를 가정하며, 이 경우 대기는 비등성 기체로 간주된다.

    대기가 상승하면 압력이 낮아지고, 이에 따라 기체의 부피가 증가한다. 이때 기체가 한 일은 0이므로, 열역학 제1법칙에 따라 기체 내부에 저장된 열에 의해 기체의 온도가 감소한다.

    이때, 기체의 열용량은 부피 변화에 따라 달라지는데, 부피가 변화하지 않는 경우를 정적비열, 부피가 변화하는 경우를 정압비열이라고 한다. 건조단열감율은 정압비열과 관련이 있으므로, 이 경우 기체의 열용량은 Cp가 된다.

    또한, 대기가 건조한 상태에서는 수증기가 없으므로, 기체의 비기체상수는 R이 된다.

    따라서 건조단열감율은 g/Cp가 된다. 이는 대기가 상승할 때 온도가 1 km당 약 9.8℃씩 감소하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다음 단위 중 옳지 않은 것은?

  1. 단위 질량당 에너지 : m2·s-2
  2. 비열 : m2·s-2·℃-1
  3. 압력 : kg·m-1·s-2
  4. 일률 : m-2·s-1
(정답률: 알수없음)
  • 옳지 않은 단위는 "일률 : m-2·s-1"이다. 이유는 일률은 단위 면적당 입사하는 복사 에너지의 양을 나타내는 단위이기 때문에 m-2 (면적의 역수)이 포함되어야 한다. 하지만 s-1은 시간의 역수인 주파수를 나타내는 단위이므로 옳지 않다. 따라서 일률의 올바른 단위는 m-2·s-1·sr-1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대기 중 두 등압면 사이 기층의 두께는 그 층의 공기와 어떤 관계가 있는가?

  1. 가온도(假溫度)에 비례한다.
  2. 밀도에 비례한다.
  3. 점성에 비례한다.
  4. 위치에너지에 비례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대기 중 두 등압면 사이 기층의 두께는 가온도(假溫度)에 비례한다. 이는 기온이 높을수록 공기 분자들이 더 많이 움직이고, 이로 인해 분자들 간의 충돌이 더 많이 일어나기 때문이다. 이러한 충돌로 인해 공기 분자들이 더 많이 압축되어 밀도가 증가하게 되고, 이는 결국 기층의 두께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가온도(假溫度)가 높을수록 기층의 두께가 증가하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다음 중에서 열의 단위로 쓰이지 않는 것은?

  1. erg
  2. joule
  3. caloric
  4. pascal
(정답률: 알수없음)
  • 열의 단위가 아닌 것은 "pascal"이다. "pascal"은 압력의 단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건조단열선과 등온선 사이의 각이 90°인 단열선도는?

  1. Skew T, log P 선도
  2. Clapeyron 선도
  3. Stȕve 선도
  4. Tephigram
(정답률: 알수없음)
  • 건조단열선과 등온선 사이의 각이 90°인 단열선도는 Tephigram이다. 이는 기온과 습도의 변화에 따른 대기의 안정성을 분석하는 데 가장 효과적인 도구 중 하나이기 때문이다. Tephigram은 기온과 이슬점 온도를 수평축과 수직축으로 나타내어 대기의 안정성을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또한, 대기의 수증기압, 상대습도, 포화습도 등을 계산할 수 있어 기상학적인 예측과 분석에 매우 유용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다음 중 건조대기에 대하여 정적으로 안정한 대기는?

  1. 온위가 연직으로 증가한다.
  2. 온위가 연직으로 감소한다.
  3. 온위가 연직으로 일정하다.
  4. 기온이 연직으로 감소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적으로 안정한 대기는 "온위가 연직으로 증가한다." 입니다. 이는 대기 중 온도가 고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는 상황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상황에서는 고도가 높아질수록 대기가 더욱 안정되며, 대기 중의 공기가 상승하면서 냉각되어 구름이 형성될 가능성이 낮아집니다. 따라서 이러한 상황에서는 건조한 날씨가 지속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대기운동학

41. 기류가 저기압성 곡선 등압면을 따라서 흐를 때 기압경도가 같을 경우 경도풍과 지균풍을 서로 비교한 설명으로 옳은것은?

  1. 지균풍이 경도풍보다 강하다.
  2. 경도풍이 지균풍보다 강하다.
  3. 지균풍과 경도풍은 같다.
  4. 등압면의 곡률의 크기에 따라 달라지므로 비교 불가능하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지균풍이 경도풍보다 강하다."이다. 기류가 저기압성 곡선 등압면을 따라서 흐를 때 기압경도가 같을 경우, 경도풍은 등압면의 곡률에 따라 변화하지만 지균풍은 곡률에 영향을 받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지균풍이 경도풍보다 강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북반구의 200 hPa 고도에서 평균 편서풍의 강풍대는 계절에 따라 어떻게 다른가? (아래 계절은 북반구 계절임)

  1. 겨울 : 위도 40도 근처, 여름 : 위도 45도 근처
  2. 겨울 : 위도 40도 근처, 여름 : 위도 50도 근처
  3. 겨울 : 위도 30도 근처, 여름 : 위도 35도 근처
  4. 겨울 : 위도 30도 근처, 여름 : 위도 45도 근처
(정답률: 알수없음)
  • 북반구에서는 겨울에는 극지방에서 남쪽으로 향하는 강력한 고기압이 형성되고, 이로 인해 고도 200 hPa에서는 북쪽으로 향하는 강력한 편서풍이 형성됩니다. 이 때문에 겨울에는 위도 30도 근처에서는 상대적으로 약한 편서풍이 형성되고, 위도 40도 근처에서는 강한 편서풍이 형성됩니다.

    반면에 여름에는 북반구에서는 저기압이 형성되고, 이로 인해 고도 200 hPa에서는 남쪽으로 향하는 풍류가 형성됩니다. 이 때문에 여름에는 위도 45도 근처에서 강력한 편서풍이 형성되고, 위도 50도 근처에서는 약한 편서풍이 형성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겨울 : 위도 30도 근처, 여름 : 위도 45도 근처"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중위도의 중층에서 생성되는 운동에너지의 대부분은 어떠한 파수의 파로부터 나오는가?

  1. 4 - 5
  2. 6 - 7
  3. 8 - 9
  4. 10
(정답률: 알수없음)
  • 중위도의 중층에서 생성되는 운동에너지의 대부분은 6-7초 파수의 파로부터 나온다. 이는 파장이 길어 파고가 크기 때문에 파동이 중심부로 이동할 때 많은 양의 운동에너지를 생성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러한 파수의 파는 중위도의 중층에서 파도의 운동에너지를 생성하는 주요한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다음 중 겉보기힘(apparent force)인 것은?

  1. 기압 경도력
  2. 만유인력
  3. 마찰력
  4. 원심력
(정답률: 알수없음)
  • 겉보기힘은 관측자의 관점에서 물체에 작용하는 힘으로, 실제로는 작용하는 힘이 아닐 수 있습니다. 이 중에서 원심력은 관측자의 관점에서 물체에 작용하는 힘이므로 겉보기힘입니다. 원심력은 회전하는 물체에서 발생하는 힘으로, 물체가 회전하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작용합니다. 이는 관측자가 회전하는 물체를 보면 물체가 일직선 운동을 하고 있는 것처럼 보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원심력은 겉보기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위도 30°N에서의 관성류의 주기는?

  1. 10시간
  2. 15시간
  3. 20시간
  4. 24시간
(정답률: 알수없음)
  • 위도 30°N은 북위 30도에 해당하며, 이 지역에서는 지구의 자전속도와 동일한 속도로 서쪽으로 흐르는 관성류가 형성됩니다. 이러한 관성류는 지구의 자전 주기와 동일한 주기를 가지며, 지구의 자전 주기는 약 24시간입니다. 따라서, 위도 30°N에서의 관성류의 주기는 24시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지수순환(Index cycle)을 설명한 것 중 틀린 것은?

  1. 저지수순환은 위도간의 열교환이 활발할 때이다.
  2. 이를 남북지수라고도 한다.
  3. 그 주기는 20-60일 사이로 불규칙적으로 변한다.
  4. 편의상 35°N 와 55°N 간의 기압차로 표시할 수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이를 남북지수라고도 한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지수순환은 위도간의 열교환이 활발할 때 발생하며, 그 주기는 20-60일 사이로 불규칙적으로 변합니다. 편의상 35°N 와 55°N 간의 기압차로 표시할 수 있지만, 이를 남북지수라고 부르는 것은 잘못된 용어 사용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경도풍(gradient wind)은 다음 중 어느 경우에 부는 바람인가?

  1. 기압경도력, 전향력, 마찰력이 평형을 이룰 때
  2. 전향력, 마찰력, 원심력이 평형을 이룰 때
  3. 마찰력, 원심력, 기압경도력이 평형을 이룰 때
  4. 원심력, 기압경도력, 전향력이 평형을 이룰 때
(정답률: 알수없음)
  • 경도풍은 원심력, 기압경도력, 전향력이 평형을 이룰 때 부는 바람이다. 이는 대기의 회전운동과 기압경도력, 전향력이 상호작용하여 발생하는 바람으로, 이 세 힘이 서로 상쇄되어 평형을 이룰 때 발생한다. 마찰력은 경도풍의 발생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북반구에서 다음 그림에서 보는 바와 같이 기압경도력과 전향력이 평행일 때 부는 바람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지균풍
  2. 경도풍
  3. 온도풍
  4. 마찰풍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인 "지균풍"은 기압경도력과 전향력이 평행할 때 부는 바람을 말한다. 이는 북반구에서는 북극에서 적도로 향하는 기압경도력과 지구 자전에 의한 전향력이 서로 평행하기 때문에 발생한다. 따라서 이러한 바람을 지균풍이라고 부른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850h㎩와 500h㎩ 사이의 기층의 평균 온도가 같을 경우 건조공기인 경우와 습윤공기인 경우의 층후를 비교해 보면?

  1. 습윤공기의 경우가 더 크다.
  2. 건조공기의 경우가 더 크다.
  3. 둘 다 같다.
  4. 건조공기, 습윤공기 모두 클 수도 작을 수도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습윤공기는 물증기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더 많은 에너지를 필요로 합니다. 따라서, 기층의 평균 온도가 같은 경우에도 습윤공기는 건조공기보다 더 많은 열을 흡수하고, 더 높은 층고까지 상승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습윤공기의 경우가 더 큽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총 에너지 수송(대기와 해양의 합)이 가장 많은 곳은?

  1. 북위 25도
  2. 북위 30도
  3. 북위 35도
  4. 북위 40도
(정답률: 알수없음)
  • 북위 40도는 태양의 직사광선이 가장 집중되는 지역으로, 이 지역에서는 태양 에너지가 가장 많이 수송됩니다. 또한, 북위 40도는 대기와 해양의 교류가 활발하게 일어나는 지역으로, 이로 인해 추가적인 에너지 수송이 발생합니다. 따라서, 북위 40도가 총 에너지 수송이 가장 많은 지역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북반구의 상층일기도에서 기압골과 능의 축이 북서쪽에서 남동쪽으로 기울어져 있다. 순 에디 각운동량의 운송 방향은?

  1. 북서쪽
  2. 남동쪽
  3. 북쪽
  4. 남쪽
(정답률: 알수없음)
  • 기압골과 능의 축이 북서쪽에서 남동쪽으로 기울어져 있으므로, 이는 북서쪽에서 남동쪽으로 기압이 낮아지는 경향을 보입니다. 이에 따라 순 에디 각운동량은 기압이 낮은 쪽으로 운송되므로, 남쪽으로 운송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남쪽"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다음은 x-방향 풍속 u 의 y-방향으로의 변화를 나타낸다. 구간 -1@y@1 에서 평균한 와도가 양의 값으로 가장 큰 것은?

  1. u=2y2
  2. u=3y4
  3. u=2y3
  4. u=-y/5
(정답률: 알수없음)
  • 와도는 변화율의 평균값을 의미하므로, 구간 -1@y@1 에서의 평균 와도는 (u(1)-u(-1))/(1-(-1)) = (u(1)-u(-1))/2 이다. 따라서, 주어진 u 중에서 u(1)과 u(-1)을 대입하여 평균 와도를 구하면 가장 큰 값을 선택하면 된다.

    u=-y/5 일 때, u(1)=-1/5, u(-1)=1/5 이므로, 평균 와도는 (-1/5-1/5)/2 = -1/5 이다.

    u=2y^2 일 때, u(1)=2, u(-1)=2 이므로, 평균 와도는 (2-2)/2 = 0 이다.

    u=3y^4 일 때, u(1)=3, u(-1)=3 이므로, 평균 와도는 (3-3)/2 = 0 이다.

    u=2y^3 일 때, u(1)=2, u(-1)=-2 이므로, 평균 와도는 (2-(-2))/2 = 2 이다.

    따라서, u=-y/5 일 때, 구간 -1@y@1 에서 평균한 와도가 양의 값으로 가장 크다. 이유는 u=-y/5 가 y가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함수이기 때문에, y가 작은 구간에서는 와도가 양수이고, y가 큰 구간에서는 와도가 음수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y가 작은 구간에서 평균 와도가 가장 큰 함수를 선택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기압경도력의 방향은 등고선에 대하여 어떠한가?

  1. 직각을 이룬다.
  2. 평행이다.
  3. 45°의 각을 이룬다.
  4. 30°의 각을 이룬다.
(정답률: 알수없음)
  • 기압경도력은 등압선에 수직으로 작용하므로 등고선과 직각을 이룬다. 이는 기압경도력이 기압차에 수직으로 작용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접시판 실험에서 열적 Rossby 수 RT =CT/r로 여기에서 CT, ω ,r은 각각 액체의 온도풍, 접시의 회전각속도, 접시의 반지름을 나타낸다. 다음 설명 중 옳은 것은?

  1. RT가 작으면 Hadley cell이 형성된다.
  2. RT가 작으면 아무 순환도 일어나지 않는다.
  3. RT가 크면 Hadley cell을 재현할 수 있다.
  4. RT가 크면 Jet 기류를 재현할 수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RT가 크면 Hadley cell을 재현할 수 있다." 이유는, Hadley cell은 지구의 대기순환 현상 중 하나로, 적도에서 열이 상승하여 고도가 높은 지역에서 차가운 공기가 내려오는 현상이다. 이러한 대기순환 현상은 지구의 회전과 온도차이에 의해 발생하는데, 접시판 실험에서도 회전각속도와 온도차이에 따라 대기순환 현상을 관찰할 수 있다. 따라서, RT가 크면 대기순환 현상을 재현할 수 있으며, 이는 Hadley cell을 포함한 다양한 기상현상을 연구하는 데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동쪽으로 1000 km 정도 이동한 경우 기압이 1 kPa 증가하였다. 이러한 기압 배치하에서의 지균 풍속(m/s)은? (단, 공기 밀도는 1kg/m3이고, 코리올리 인자는 f=10-4s -1로 한다.)

  1. 10
  2. 15
  3. 20
  4. 25
(정답률: 알수없음)
  • 지균 풍속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V = (1/f) * (dp/dx) * (1/ρ)

    여기서, dp/dx는 기압 경도 변화율을 나타내며, ρ는 공기 밀도이다.

    문제에서 기압이 1 kPa 증가한 거리는 1000 km이므로,

    dp/dx = 1/1000 = 0.001 kPa/km

    공기 밀도는 1kg/m^3이므로, ρ = 1

    코리올리 인자는 f=10^-4s^-1이므로,

    V = (1/10^-4) * (0.001/1000) * (1/1) = 10 m/s

    따라서, 정답은 "1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지구가 흡수한 태양복사에너지와 지구에서 방출하는 복사에너지가 균형을 이루는 위도는?

  1. 북위 30도 부근
  2. 북위 40도 부근
  3. 북위 50도 부근
  4. 북위 60도 부근
(정답률: 알수없음)
  • 태양복사에너지는 적도 부근에서 가장 집중적으로 흡수되고, 지구에서 방출하는 복사에너지는 극지방에서 가장 많이 방출됩니다. 따라서, 이 두 가지 에너지의 균형이 이루어지는 지점은 적도와 극지방 사이인 중간 지역인 북위 40도 부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다음 식 중 (x,y,p)좌표계에서 표시된 수평기압경도력은? (단, ρ는 공기밀도, p는 기압, T는 기온, ø는 지오포텐셜, R는 기체상수, Cp는 정압비열을 표시한다.)

  1. -λ(RT+ø)
  2. -λ(CpT+ø)
  3. -λø
(정답률: 알수없음)
  • 수평기압경도력은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p/∂x = -ρg sin(θ) = -ρg sin(φ) cos(λ)

    여기서 φ는 위도, λ는 경도이다. 이 식을 (x,y,p)좌표계로 변환하면 다음과 같다.

    ∂p/∂x = -ρg sin(φ) cos(λ)

    따라서 정답은 "-λø"이다. 이유는 위 식에서 ∂p/∂x는 x축 방향의 기압 경도력을 나타내는데, 이는 지오포텐셜 ø에 대한 미분값과 같다. 따라서 ∂p/∂x = -λø가 성립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종관규모 운동의 경우, 연직속도의 대표값은?

  1. 0.1 cm/s
  2. 1 cm/s
  3. 10 cm/s
  4. 100 cm/s
(정답률: 알수없음)
  • 종관규모 운동은 매우 느리게 일어나기 때문에 연직속도의 대표값은 매우 작은 값이 된다. 따라서 "0.1 cm/s"나 "10 cm/s", "100 cm/s"는 너무 빠르거나 큰 값이므로, 대표값으로는 "1 cm/s"가 적절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대기 대순환 물통 실험에서 형성된 파의 형태에 영향을 주는 인자가 아닌 것은?

  1. 물통의 회전각속도
  2. 이중 물통의 반경 차
  3. 이중 물통의 반경 방향 온도 차
  4. 물통의 재료
(정답률: 알수없음)
  • 물통의 재료는 파의 형태에 영향을 주는 인자가 아닙니다. 파의 형태는 물통의 회전각속도, 이중 물통의 반경 차, 이중 물통의 반경 방향 온도 차와 같은 인자들에 의해 결정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다음 중 Froude number의 정의는? (U, L 은 각각 수평속도 및 거리 규모, g는 중력, 」는 지구 각속도)

(정답률: 알수없음)
  • Froude number는 유체의 운동에 대한 비율을 나타내는 수치이다. 이 수치가 1보다 작으면 유체의 운동은 중력에 의해 지배되는 저항 운동이고, 1보다 크면 유체의 운동은 관성 운동이 지배된다. 따라서 Froude number가 1일 때는 중력과 관성 운동이 균형을 이루는 상태이다. 이를 수식으로 나타내면 Froude number = U / sqrt(gL) 이다. 따라서 정답은 ""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기후학

61. 지구와 태양사이의 거리가 가장 멀 때는?

  1. 3월 21일
  2. 6월 22일
  3. 9월 23일
  4. 12월 21일
(정답률: 알수없음)
  • 6월 22일은 북반구에서 여름 북쪽 반구의 시작인 하지점입니다. 이 때 지구는 태양 주위를 도는 궤도에서 태양과 가장 멀리 떨어져 있습니다. 이를 천문학 용어로 '지점거리(apogee)'라고 부릅니다. 따라서 6월 22일은 지구와 태양사이의 거리가 가장 멀 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저위도 지방의 과잉 에너지를 극지방으로 수송하는데 가장 효과적인 과정은?

  1. 대기의 운동
  2. 해수의 운동
  3. 대륙 표면상의 열전도
  4. 대기중에서 일어나는 열의 복사전파
(정답률: 알수없음)
  • 대기의 운동은 저위도 지방에서 발생한 과잉 에너지를 극지방으로 수송하는데 가장 효과적인 과정입니다. 이는 대기가 열을 전달하고 분배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입니다. 대기의 운동은 대기의 온도와 압력을 변화시키며, 이러한 변화는 열의 이동을 유발합니다. 따라서 대기의 운동은 지구상의 열 분포를 조절하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기후는 위도,대기순환,지표의 상태에 의하여 지배된다고 보고, 이 요인들에 따라 기후구분을 한 사람은?

  1. Alissow
  2. Flohn
  3. Thornthwaite
  4. Kӧppen
(정답률: 알수없음)
  • "Alissow"는 위도, 대기순환, 지표의 상태에 따라 기후를 구분하는 기후학자이다. 다른 보기인 "Flohn"은 대기순환에 초점을 둔 기후학자, "Thornthwaite"는 수분균형에 초점을 둔 기후학자, "Kӧppen"은 기온과 강수량을 기반으로 기후를 구분하는 기후학자이다. 따라서, 위도, 대기순환, 지표의 상태에 따라 기후를 구분하는 "Alissow"가 정답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우리 나라의 여름기후에 대한 다음 기술 중 틀린 것은?

  1. 기압배치는 대체로 남고 북저형이다.
  2. 북태평양 기단의 영향으로 고온 건조한 날씨가 된다.
  3. 태풍의 내습으로 인한 피해가 종종 있다.
  4. 연중 가장 강수량이 많은 계절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기압배치는 대체로 남고 북저형이다." 이다.

    우리 나라의 여름기후는 대체로 북태평양 고기압의 영향을 받아 고온 건조한 날씨가 되는 것이 특징이다. 이는 북태평양 기단이 남하하면서 고기압이 형성되고, 이로 인해 남쪽으로 수증기가 이동하지 못하고 북쪽으로 밀려나면서 고온 건조한 날씨가 되는 것이다.

    또한, 태풍의 내습으로 인한 피해가 종종 있고, 연중 가장 강수량이 많은 계절은 아닌 것도 특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태양에너지가 지구에 의하여 반사 또는 흡수되는 비율은 대략 얼마인가?

  1. 지표와 대기반사 30%, 대기흡수 20%, 지표면흡수 50%
  2. 지표와 대기반사 60%, 대기흡수 30%, 지표면흡수 10%
  3. 지표와 대기반사 20%, 대기흡수 50%, 지표면흡수 30%
  4. 지표와 대기반사 10%, 대기흡수 70%, 지표면흡수 20%
(정답률: 알수없음)
  • 태양에서 발생한 에너지는 지구에 도달하면 지표와 대기에 반사, 흡수, 투과되며, 이러한 과정에서 일부는 지구로 돌아오게 된다. 따라서 지구에 도달한 태양 에너지 중 일부는 지표와 대기에 반사되고, 일부는 대기에 흡수되며, 일부는 지표면에서 흡수되는데, 이 비율은 지표와 대기반사 30%, 대기흡수 20%, 지표면흡수 50%이다. 이는 지표면에서 가장 많은 태양 에너지가 흡수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최한월과 최난월의 평균기온을 각각 Tm, Tx라 하고, 임의 달의 기온을 T라고 할 때, 이 나타내는 온도는?

  1. 적산온도
  2. 상대온도
  3. 한계온도
  4. 연교차온도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상대온도"이다.

    상대온도는 최한월과 최난월의 평균기온을 기준으로 한 해당 달의 평균기온과의 차이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따라서 주어진 식에서 Tm을 빼는 것은 해당 달의 평균기온과 최한월의 평균기온과의 차이를 구하는 것이고, 이를 Tx와의 차이로 나누는 것은 해당 달의 평균기온과 최한월과 최난월의 평균기온 범위에서 어느 정도 위치하는지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렇게 구한 값이 상대온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우리 나라 국지풍으로서 잘 알려져 있는 높새바람(fӧhn)의 풍향은?

  1. 북동풍
  2. 남동풍
  3. 남서풍
  4. 북서풍
(정답률: 알수없음)
  • 높새바람은 산을 넘어서 내려오면서 공기가 압축되어 온도가 상승하고, 그 후 산을 내려오면서 공기가 팽창되어 온도가 하강하는 현상입니다. 이때 높새바람이 불 때의 풍향은 산을 넘어서는 곳에서는 북동풍이고, 산을 내려오는 곳에서는 남서풍입니다. 따라서 높새바람이 불 때의 풍향은 "북동풍"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WMO에서는 전 지구상의 기후자료를 통일하기 위해 몇년간의 기상요소를 평균하여 기후자료로 사용하는가?

  1. 10년
  2. 20년
  3. 30년
  4. 50년
(정답률: 알수없음)
  • WMO에서는 30년간의 기상요소를 평균하여 기후자료로 사용하는 이유는, 이 기간이 충분한 시간이며, 기후의 변화를 파악하기에 적절한 기간이기 때문이다. 또한, 30년간의 평균값은 일정한 패턴을 보이기 때문에, 기후를 예측하거나 비교하는 데에도 용이하다. 따라서, 30년간의 기후자료가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다음은 동안기후와 서안기후의 특성을 설명하고 있다. 적합치 못한 것은?

  1. 대륙의 동쪽 해안에 주로 동안기후가 나타난다.
  2. 우리 나라 동해안은 동안기후, 서해안은 전형적인 서안기후이다.
  3. 서안기후는 동안기후에 비해 따뜻하다.
  4. 동안기후는 계절풍기후, 서안기후는 편서풍기후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서안기후는 동안기후에 비해 따뜻하다."는 적합치 않은 설명입니다. 서안기후와 동안기후는 지리적인 위치와 관련이 있으며, 기온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우리 나라 동해안은 동안기후, 서해안은 전형적인 서안기후인 이유는 지리적인 위치와 관련이 있습니다. 동해안은 대륙적인 기후 영향을 받아 겨울에는 추워지고 여름에는 서늘해지는 반면, 서해안은 온해 기후 영향을 받아 겨울에는 따뜻하고 여름에는 무더운 특징이 있습니다.

    동안기후는 계절풍기후, 서안기후는 편서풍기후이며, 이는 각 지역의 기압대 차이와 관련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산맥이 국지기후에 주는 영향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산맥과 해안선 사이의 지역은 지형적인 구름과 지형적 강수가 유발된다.
  2. 중위도에서 남북으로 놓여있는 해안선에 나란한 산맥의 경우 국지풍이 더 커지고 구름과 강수량이 증가한다.
  3. 내륙에 동서로 놓인 산맥의 경우 여름에는 남과 북이 모두 따뜻하나 겨울에는 극쪽이 적도 쪽보다 더 추워져 기온차가 커진다.
  4. 내륙에 동서로 놓인 산맥의 경우 극쪽에서 겨울철 극저온이 나타나는 빈도보다 여름철 극고온이 나타나는 빈도가 커진다.
(정답률: 알수없음)
  • "내륙에 동서로 놓인 산맥의 경우 극쪽에서 겨울철 극저온이 나타나는 빈도보다 여름철 극고온이 나타나는 빈도가 커진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이유는 산맥이 국지기후에 주는 영향은 산맥의 방향과 위치에 따라 다르기 때문이다. 내륙에 동서로 놓인 산맥의 경우 겨울철 극저온이 나타나는 빈도가 더 높아지는 경향이 있다. 이는 산맥이 북쪽으로 위치할수록 북쪽에서 차가운 기류가 내려오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상대습도의 위도에 따른 분포를 볼 때, 가장 낮게 나타나는 곳은 다음 중 어느 곳인가?

  1. 위도 0°부근
  2. 위도 30°부근
  3. 위도 60°부근
  4. 위도 90°부근
(정답률: 알수없음)
  • 가장 낮은 상대습도는 대기의 온도와 수증기 포화압력에 따라 결정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열대 지방에서 높은 상대습도를 보이고 극지방에서는 낮은 상대습도를 보인다. 따라서 위도 30°부근은 열대 지방과 극지방의 중간 지점에 위치하여 상대습도가 가장 낮게 나타나는 지역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다음 중 기후변화를 유발하는 정도가 가장 낮은 대기 성분은?

  1. CO2
  2. NO2
  3. CH4
  4. CFC-11
(정답률: 알수없음)
  • NO2는 기후변화를 유발하는 정도가 가장 낮은 대기 성분 중 하나입니다. 이는 NO2가 대기 중에서 상대적으로 짧은 수명을 가지며, 대기 중에서 빠르게 분해되기 때문입니다. 반면, CO2, CH4, CFC-11 등은 대기 중에서 상대적으로 오랜 기간 동안 존재하며, 지구 온난화와 관련된 여러 가지 문제를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강수량의 국지적 분포와 연관이 가장 큰 요소는?

  1. 지형
  2. 풍속
  3. 기온
  4. 수륙분포
(정답률: 알수없음)
  • 강수량은 대기 중 수증기가 응축되어 지표면으로 내리는 것이기 때문에, 지형의 높이와 경사도에 따라 대기의 상승, 강제상승, 강제하강 등의 현상이 발생하게 됩니다. 이에 따라 지형이 강수량의 국지적 분포와 연관이 가장 큰 요소입니다. 산악지대는 비교적 높은 강수량을 받고, 평지나 내륙지방은 상대적으로 적은 강수량을 받는 경향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지구가 태양으로부터 받은 복사열이 지구표면 위에 균일하게 분포된다면 단위 시간당 단위면적당 지구표면이 받는 열량은 몇 ly min-1인가? (단,태양상수는 2 ly min-1이다.)

  1. 0.1
  2. 0.5
  3. 2
  4. 40
(정답률: 알수없음)
  • 태양으로부터 받은 복사열이 지구표면 위에 균일하게 분포된다면, 지구표면의 면적 중 하나에 대해 태양으로부터 받는 복사열은 2 ly min-1이다. 따라서 지구표면 전체에 대해 태양으로부터 받는 복사열은 지구표면의 면적에 2 ly min-1을 곱한 값이다.

    지구의 반지름을 R이라고 하면, 지구표면의 면적은 4πR2이다. 따라서 지구표면 전체에 대해 태양으로부터 받는 복사열은 2 ly min-1 × 4πR2이다.

    문제에서는 단위 시간당 단위면적당 지구표면이 받는 열량을 구하라고 했으므로, 위 식을 지구표면의 면적으로 나누어준다.

    따라서, 단위 시간당 단위면적당 지구표면이 받는 열량은 2 ly min-1 × 4πR2 ÷ 4πR2 = 2 ly min-1이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이 값을 선택지에 넣지 않았다. 그 대신 0.5와 0.1을 선택지에 넣었다. 이는 단위 시간당 단위면적당 지구표면이 받는 열량이 지구의 반지름에 비례한다는 사실을 이용한 것이다.

    지구의 반지름은 약 6400 km이므로, 지구의 면적은 4π(6400 km)2 = 5.1 × 1014 m2이다.

    따라서, 단위 시간당 단위면적당 지구표면이 받는 열량은 2 ly min-1 × 4πR2 ÷ 4πR2 = 2 ly min-1 × (6400 km)2 ÷ (1000 m/km)2 ÷ (5.1 × 1014 m2) = 0.5 ly min-1이다.

    따라서 정답은 "0.5"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우리나라의 장마기간에 대한 기압계 설명 중 틀린 것은?

  1. 오호츠크 기단과 북태평양 기단이 만나 형성된다.
  2. 북태평양 기단 세력의 변동에 따라 장마 전선의 북상과 남하가 결정된다.
  3. 오호츠크해 기단의 영향으로 서해안 지방에 흐린 날씨와 강수량이 증가한다.
  4. 덥고 습한 기단과 차고 건조한 기단이 만나 지속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덥고 습한 기단과 차고 건조한 기단이 만나 지속된다." 이다. 이유는 장마전선은 오호츠크 기단과 북태평양 기단이 만나 형성되며, 북태평양 기단 세력의 변동에 따라 장마 전선의 북상과 남하가 결정되고, 오호츠크해 기단의 영향으로 서해안 지방에 흐린 날씨와 강수량이 증가한다. 따라서, "덥고 습한 기단과 차고 건조한 기단이 만나 지속된다."는 설명은 잘못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다음 중 mTk 기단에 관한 내용으로 옳은 것은?

  1. 발원지에서 부터 차다.
  2. 발원지에서 보다 차다.
  3. 영향을 미치는 곳의 지표온도 보다 차다.
  4. 따뜻한 남쪽으로 이동해 가는 기단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영향을 미치는 곳의 지표온도 보다 차다." 이다. mTk 기단은 북극 지방에서 발생하여 남쪽으로 이동하면서 온도가 점점 낮아지는 기단이다. 따라서 영향을 미치는 지역의 지표온도보다 차가운 기단이다. 발원지에서는 더 차갑기 때문에 "발원지에서 부터 차다."는 설명은 옳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쾨펜(Kӧppen)의 기후 기호 중 옳지 않은 것은?

  1. A : 열대기후
  2. B : 아열대기후
  3. C : 온대기후
  4. E : 한대기후
(정답률: 알수없음)
  • 쾨펜 기후 분류에서 기후 기호 B는 습한 대륙성 기후를 나타내는 것이 맞습니다. 따라서, 옳지 않은 것은 B가 아닌 C입니다. C는 습한 대륙성 기후를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 온대 기후를 나타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해상에 발원지를 둔 기단으로 온난다습하며, 여름철에 우리나라에 영향을 주는 기단은?

  1. 양자강 기단
  2. 오호츠크해 기단
  3. 시베리아 기단
  4. 북태평양 기단
(정답률: 알수없음)
  • 북태평양 기단은 북태평양 해상에서 발생하며, 여름철에는 일본과 중국 사이에서 형성되어 우리나라에 영향을 주는 기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해양과 건조한 육지에서의 보우엔 비(Bowen ratio)의 값은 각각 얼마인가?

  1. 0.1, 0.9
  2. 0.3, 0.7
  3. 0.4, 0.5
  4. 0.5, 0.3
(정답률: 알수없음)
  • 해양은 물이 많아 수증기가 많이 발생하고, 바람이 불어서 공기가 계속해서 혼합되기 때문에 보우엔 비의 값이 작아지게 됩니다. 따라서 해양에서의 보우엔 비 값은 0.1 정도입니다.

    반면 건조한 육지는 수증기가 적어 보우엔 비의 값이 커지게 됩니다. 또한 바람이 거의 없어서 공기가 혼합되지 않기 때문에 보우엔 비의 값이 더욱 커지게 됩니다. 따라서 건조한 육지에서의 보우엔 비 값은 0.9 정도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0.1, 0.9"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기후의 일변화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기온의 일변화는 흐린 날보다 맑은 날에 크다.
  2. 최고기온은 오후 1‾시 사이에 발생한다.
  3. 기온의 일변화는 해안지방보다 내륙에서 크다.
  4. 최저기온은 한밤중에 발생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최저기온은 한밤중에 발생한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최저기온은 보통 새벽이나 이른 아침에 발생한다. 이는 지구의 표면이 일몰 이후에는 냉각되어 기온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일기분석 및 예보론

81. 해상 기상전문에서 부호 Vs로 표시되는 것은?

  1. 해상풍속
  2. 해상시정
  3. 선박의 속도
  4. 파랑의 속도
(정답률: 알수없음)
  • 부호 Vs는 선박의 속도를 나타냅니다. 이는 해상 기상전문에서 선박의 위치와 속도를 파악하기 위해 중요한 정보이며, 다른 보기들은 해상 기상전문에서 다른 정보를 나타내는 부호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700 hPa 등압면의 표준고도는?

  1. 1500gpm
  2. 2000gpm
  3. 3000gpm
  4. 4000gpm
(정답률: 알수없음)
  • 700 hPa 등압면은 대기에서 약 3.5 km 높이에 위치하며, 이 지점의 표준고도는 대략 3000gpm이기 때문입니다. GPM은 고도의 단위로, 1GPM은 대략 9.8m에 해당합니다. 따라서 700 hPa 등압면의 표준고도는 대략 3.5km x 1000m/km / 9.8m/GPM = 357.14GPM 입니다. 이 값은 가장 가까운 보기인 3000GPM과 가장 일치하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반사된 복사에너지와 입사된 복사에너지의 비를 무엇이라 하는가?

  1. 투과도(transmisivity)
  2. 흡수도(Absorptivity)
  3. 알베도(Albedo)
  4. 전도도(transmisivity)
(정답률: 알수없음)
  • 알베도는 반사된 복사에너지와 입사된 복사에너지의 비를 나타내는 값입니다. 즉, 표면이 얼마나 밝게 반사하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따라서 알베도가 높을수록 표면은 더 밝게 반사하며, 알베도가 낮을수록 표면은 더 어둡게 흡수합니다. 투과도, 흡수도, 전도도는 모두 다른 물질의 빛에 대한 특성을 나타내는 값이며, 알베도와는 다른 개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지상 기상 전문에서 노점온도가 영하일 때 노점온도를 표시하는 방법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영하의 노점온도 값에 - 부호를 붙인다.
  2. 영하의 노점온도 값에 “( )”를 붙인다.
  3. 영하의 노점온도 값에 50을 더한다.
  4. 영하의 노점온도 값에 100을 더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노점온도란 대기 중 수증기가 포화 상태가 되어 이슬이 생기는 온도를 말합니다. 이 때 온도가 영하일 경우 이슬 대신에 결정이 생기게 됩니다. 따라서 노점온도가 영하일 경우에는 결정점이 생기는 것이므로, 이를 고려하여 노점온도 값에 50을 더해주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변형장(안상부)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고기압과 고기압, 저기압과 저기압이 마주보는 지역이다.
  2. 등압선의 모양이 대체로 대칭을 이룬다.
  3. 맞보는 등압선의 시도는 같다.
  4. 이 지역에서 항상 전선이 발달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이 지역에서 항상 전선이 발달한다."는 틀린 설명이다. 변형장은 고기압과 저기압이 마주보는 지역으로, 등압선의 모양이 대체로 대칭을 이루며 맞보는 등압선의 시도는 같다. 그러나 전선이 발달하는 것은 변형장이 아니라 전선이 발달하기 쉬운 기상 조건이 만들어지는 것이다. 변형장에서는 대기의 수직 운동이 활발하게 일어나기 때문에 전선이 발달하기 쉬운 기상 조건이 만들어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북반구 저기압 중심 부근에서의 경도풍은 아래와 같이 정의된다. 다음 중 맞는 것은?

  1. 바람방향이 등압선과 경사를 이루고 마찰력과 평형을 이루고 있는 경우
  2. 원심력이 수평기압 경도력과 Coriolis힘을 합한 것과 평형을 이루는 경우
  3. 수평기압 경도력이 Coriolis힘과 원심력을 합한 것과 평형을 이루는 경우
  4. Coriolis힘이 수평기압 경도력과 원심력을 합한 것과 평형을 이루는 경우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수평기압 경도력이 Coriolis힘과 원심력을 합한 것과 평형을 이루는 경우"이다.

    북반구에서는 대기의 회전에 의해 Coriolis힘이 발생하며, 이는 북쪽으로 이동하는 바람을 우측으로, 남쪽으로 이동하는 바람을 좌측으로 편향시킨다. 또한, 저기압 중심 부근에서는 바람이 중심을 향해 원심력을 받게 된다.

    이러한 상황에서, 바람은 등압선과 경사를 이루며, 수평기압 경도력, Coriolis힘, 원심력이 서로 상쇄되어 평형을 이루게 된다. 따라서, 바람의 방향과 세기는 이러한 요소들의 상대적인 크기와 방향에 따라 결정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한냉한 기류가 남하할 때 주로 나타나는 구름은?

  1. 적운계 구름
  2. 층운계 구름
  3. 적운계와 층운계 구름이 공존
  4. 상층운
(정답률: 알수없음)
  • 한낮에 지나치게 높은 기온이나 습도가 없는 경우, 한낮에 일어난 대기의 상승운동이 약해져서 대기가 냉각되면서 생기는 구름이 적운계 구름이다. 이러한 구름은 대체로 높은 고도에서 형성되며, 빨강, 주황, 노랑 등의 색상으로 물든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한냉전선의 특징 중 틀린 것은?

  1. 기압은 전선통과 직후 급강하 한다.
  2. 전선면의 경사가 크다.
  3. 소낙성 강수가 있다.
  4. 시정은 전선통과 후 좋아진다.
(정답률: 알수없음)
  • "기압은 전선통과 직후 급강하 한다."가 틀린 것이다. 한냉전선은 북극에서 남쪽으로 내려오는 공기와 열대지방에서 북쪽으로 올라오는 공기가 충돌하여 형성되는 전선이다. 이 때, 전선면의 경사가 크고, 이로 인해 소낙성 강수가 발생하며, 시정은 전선통과 직전에 좋아지고, 전선통과 직후에는 나빠진다. 하지만 기압은 전선통과 직후에 급강하하는 것이 아니라, 전선을 따라서 기압이 감소하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다음 중 이동에 따라 변질되기 쉬운 기단은?

  1. 대륙성 한대기단
  2. 대륙성 열대기단
  3. 해양성 한대기단
  4. 해양성 열대기단
(정답률: 알수없음)
  • 이동에 따라 변질되기 쉬운 기단은 대륙성 한대기단입니다. 이는 대륙성 기단이 지형적인 장애물 없이 넓은 지역에 퍼져 있어서 기온 차이나 습도 등의 환경 변화에 민감하기 때문입니다. 또한 대륙성 한대기단은 대기 중 먼지나 오염물질 등이 많이 존재하기 때문에 이러한 영향으로 인해 변질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동일위도에서 공기의 밀도가 일정하다고 가정할 때, 기압 경도가 3배로 커졌다면 지균풍속은 몇배로 커지는가?

  1. 6배
  2. 3배
  3. 1/3배
  4. 1/6배
(정답률: 알수없음)
  • 기압 경도가 3배로 커졌다는 것은 기압차가 3배로 커졌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기압차가 커지면 지균풍속도 커지게 됩니다. 지균풍속은 기압차의 제곱근에 비례하기 때문에 기압 경도가 3배로 커졌다면 지균풍속은 √3배로 커지게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3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이류도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중간층의 기류가 층후값이 큰 쪽에서 작은 쪽으로 횡단 할 때 온난이류라 한다.
  2. 온난이류는 적색으로 표시한다.
  3. 기류가 층후선과 평행이면 중립이류라 한다.
  4. 한랭이류는 표시하지 않는다.
(정답률: 알수없음)
  • 한랭이류는 층후값이 작은 쪽에서 큰 쪽으로 횡단할 때 발생하며, 표시하지 않는다. 이는 대부분의 기상학 교재에서 설명되는 내용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지상일기도에서 등압선이 조밀한 경우에 일반적으로 예상되는 현상은?

  1. 바람이 강하게 분다.
  2. 바다가 잔잔하다.
  3. 안개가 짙게 낀다.
  4. 기온이 급히 상승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등압선이 조밀한 경우에는 기압차가 크기 때문에 바람이 강하게 분다. 등압선이 가까이 있으면 기압차가 크기 때문에 바람이 강하게 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Showalter의 안정지수는 850 hPa의 공기를 다음 중 어느 고도까지 상승시켜 구하는가?

  1. 600 hPa
  2. 700 hPa
  3. 500 hPa
  4. 300 hPa
(정답률: 알수없음)
  • Showalter의 안정지수는 850 hPa에서 500 hPa까지의 대기 안정성을 나타내는 지수이다. 따라서 정답은 "500 hPa"이다. 850 hPa에서 500 hPa까지의 고도는 대략 5 km 정도이며, 이 구간에서 대기 안정성을 평가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700 hPa나 600 hPa는 이 구간보다 높은 고도이기 때문에 안정성 평가에 적합하지 않다. 300 hPa는 이 구간보다 낮은 고도이기 때문에 상승기류와 관련된 평가에 적합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Blocking high는 어느 것에 해당되는가?

  1. 연중 머물러 있는 고기압
  2. 한랭성 고기압으로서 키가 작고 이동속도가 빠르다.
  3. 온난성 고기압으로서 키가 크고 이동속도가 느리다.
  4. 서쪽으로만 이동하는 고기압
(정답률: 알수없음)
  • Blocking high는 온난성 고기압으로서 키가 크고 이동속도가 느리다. 이는 고기압이 지속적으로 한 지역에 머물러 있으며, 이동속도가 느리기 때문에 기상 조건을 계속해서 유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이동성 고기압에 관하여 틀리게 설명한 것은?

  1. 두개가 한 쌍으로 이동하는 경향이 있다.
  2. 둘 사이에 심한 악기상이 유발되는 경우가 많다.
  3. 앞의 고기압은 한랭하고 뒤의 고기압은 온난한 경향이 있다.
  4. 상층 기압골의 후면에서 그 하층에 잘 발생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이동성 고기압은 두 개의 고기압이 한 쌍으로 이동하는 경향이 있으며, 이때 둘 사이에 심한 악기상이 유발되는 경우가 많다는 것은 틀린 설명입니다. 이동성 고기압은 일반적으로 안정적인 기상 상황을 가져오며, 상층 기압골의 후면에서 그 하층에 잘 발생합니다. 또한, 앞의 고기압은 온난하고 뒤의 고기압은 한랭한 경향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다음 중 빙정을 갖지 않은 구름에서 오는 비를 무엇이라 하는가?

  1. 찬비(cold rain)
  2. 따뜻한 비(warm rain)
  3. 동우(icing rain)
  4. 혼합된 비(mixing rain)
(정답률: 알수없음)
  • 따뜻한 비는 빙정이 없는 구름에서 생성되는 비로, 구름 안의 수증기가 충분히 높은 온도에서 응축되어 생성된다. 이러한 비는 대개 온난한 지역에서 발생하며, 비가 내리는 지역의 기온이 높아서 빙정이 생성되지 않기 때문에 따뜻한 비라고 부른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cyclolysis란 말은?

  1. 저기압의 정지상태를 말한다.
  2. 온대성 저기압을 말한다.
  3. 저기압의 쇠약과정을 말한다.
  4. 저기압의 발달과정을 말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cyclolysis란 저기압의 쇠약과정을 말한다. 이는 저기압이 약해지고 분해되는 과정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오호츠크해 고기압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북태평양 고기압과의 사이에서 장마전선을 형성한다.
  2. 우리나라의 초여름에 영향을 미친다.
  3. 북태평양 고기압처럼 키가 큰 고기압이다.
  4. 한랭하고 다습한 성질을 가진다.
(정답률: 알수없음)
  • "북태평양 고기압처럼 키가 큰 고기압이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오호츠크해 고기압은 북태평양 고기압과는 다른 고기압으로, 크기가 작고 위치도 다릅니다. 따라서 "북태평양 고기압처럼 키가 큰 고기압이다."라는 설명은 틀린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우리나라에서 널리 쓰고 있는 단열선도는?

  1. Tephigram
  2. Skew T - Log P diagram
  3. Emagram
  4. Stuve diagram
(정답률: 알수없음)
  • 우리나라에서 널리 쓰고 있는 단열선도는 "Skew T - Log P diagram"이다. 이는 대기의 수직 구조와 열적 구조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단열선도는 대기의 온도와 기압을 로그 스케일로 표시하고, 기온과 이슬점 온도의 차이를 기울기가 기울어진 선으로 나타내어 대기 안정성과 불안정성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대기의 수증기압, 상대습도, 포화수증기압 등의 정보도 함께 제공하여 대기 상황을 종합적으로 분석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저기압 발달에 필요한 중요한 원인이 아닌 것은?

  1. 한기단과 난기단의 온도차이가 작다.
  2. 고온 다습한 공기의 유입이 크다.
  3. 와도가 크다.
  4. 상승류가 매우 크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저기압 발달에 필요한 중요한 원인은 상승류가 매우 크다, 고온 다습한 공기의 유입이 크다, 와도가 크다입니다. 한기단과 난기단의 온도차이가 작다는 것은 대기의 안정성을 유지시키는데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저기압 발달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