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상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7-08-05)

기상기사
(2007-08-05 기출문제)

목록

1과목: 기상관측법

1. 기상위성인 GMS의 주요 기능이 아닌 것은?

  1. 가시광선 및 적외선 주사 방사
  2. 기상자료의 수집
  3. 위성사진의 송신
  4. 기상 상태의 분석 및 예보
(정답률: 알수없음)
  • GMS의 주요 기능은 가시광선 및 적외선 주사 방사, 기상자료의 수집, 위성사진의 송신이며, 기상 상태의 분석 및 예보는 그 중 하나가 아닙니다. GMS는 기상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기상 자료를 수집하며, 위성 사진을 송신하여 지구의 기상 상황을 파악하는 역할을 합니다. 그러나 기상 상태의 분석 및 예보는 기상청과 같은 기상 관측 및 예보 기관에서 수행하는 역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기상 관측요소의 단위로서 옳은 것은?

  1. 대기압 : dyne/cm2
  2. 일사량 : cal
  3. 상대습도 : g/kg
  4. 강수량 : cm/m2
(정답률: 알수없음)
  • 대기압은 힘의 단위인 dyne과 면적의 단위인 cm2로 표시되는 단위이다. 다른 보기들은 각각 일사에너지, 수증기의 질량, 강수량의 높이를 나타내는 단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대기중의 수증기를 나타낸 식 중 틀린 것은? (단, Mv: 수증기의 질량, Ma: 건조공기의 질량, V: 혼합공기의 부피임)

  1. 비습=Mv/Ma+V
  2. 혼합비=Mv/Ma
  3. 수증기농도=Mv/V
  4. 상대습도=Mv/Ma*100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비습=Mv/Ma+V"는 틀린 식입니다.

    비습은 대기 중의 수증기의 양을 나타내는 지표로, 수증기의 질량(Mv)을 건조공기의 질량(Ma)과 혼합한 후, 그 부피(V)로 나눈 값입니다. 따라서 비습은 "비습=Mv/(Ma+V)"가 맞는 식입니다.

    혼합비는 혼합된 공기 중 수증기의 질량 비율을 나타내는 지표로, "혼합비=Mv/Ma"입니다.

    수증기농도는 혼합된 공기 중 수증기의 부피 비율을 나타내는 지표로, "수증기농도=Mv/V"입니다.

    상대습도는 대기 중의 수증기의 포화수증기압에 대한 실제 수증기압의 비율을 백분율로 나타낸 지표로, "상대습도=Mv/Ma*10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일상적인 기상업무에서 기온관측에 관련된 내용 중 틀린 것은?

  1. 온도계가 민감하다고 해서 좋은 것은 아니다.
  2. 실제 기온은 수초 내에 1-2℃까지 변화할 수 있다.
  3. 일반적으로 유리대 온도계가 이용된다.
  4. 수은과 알콜온도계 중 그 선택은 요구되는 반응도에 따른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온도계가 민감하다고 해서 좋은 것은 아니다." 이다. 온도계가 민감하다는 것은 작은 온도 변화에도 빠르게 반응한다는 것을 의미하지만, 이는 오히려 정확도를 떨어뜨릴 수 있다. 따라서 온도계를 선택할 때에는 민감도 뿐만 아니라 정확도와 신뢰성도 고려해야 한다.

    수은과 알콜온도계 중 선택은 요구되는 반응도에 따른 이유는, 수은온도계는 반응속도가 빠르고, 알콜온도계는 반응속도가 느리기 때문이다. 따라서 빠른 온도 변화가 예상되는 경우에는 수은온도계를 사용하고, 느린 온도 변화가 예상되는 경우에는 알콜온도계를 사용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다음 중 대기권의 수직별 온도 분포가 바르게 된 것은?

  1. 대류권,중간권-상층으로 갈수록 온도가 하강하는 권
  2. 성층권,열권-상층오로 갈수록 온도가 하강하는 권
  3. 대류권,열권-상층으로 갈수록 온도가 상승하는 권
  4. 성층권,중간권-상층으로 갈수록 온도가 상승하는 권
(정답률: 알수없음)
  • "대류권,중간권-상층으로 갈수록 온도가 하강하는 권"이 옳은 것입니다. 이는 대기권의 온도 분포가 대기의 성질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입니다. 대류권과 중간권은 대기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며, 이 권역에서는 지표면에서부터 상승하면서 대기가 팽창하면서 온도가 낮아지기 때문에 상층으로 갈수록 온도가 하강합니다. 성층권과 열권은 대기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지 않으며, 이 권역에서는 지구로부터 멀어질수록 대기가 가열되면서 온도가 상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노장의 조건 중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그늘이 지지 않는다.
  2. 건물로부터 건물 높이의 4배 이상 떨어져 있다.
  3. 높지 않은 언덕 위에 있다.
  4. 키가 작은 잔디가 깔려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높지 않은 언덕 위에 있다."가 적합하지 않은 조건인 이유는, 노장은 건물로부터 건물 높이의 4배 이상 떨어져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언덕 위에 위치하면 이 조건을 충족시키기 어렵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보통의 기상관측에서는 몇 분전부터 그 시각까지의 평균풍속을 관측하여 풍속으로 하는가?

  1. 1분
  2. 3분
  3. 5분
  4. 10분
(정답률: 알수없음)
  • 보통의 기상관측에서는 10분간의 평균풍속을 관측하여 풍속으로 하는데, 이는 충분한 시간동안의 관측을 통해 풍속의 변화를 보다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함이다. 짧은 시간동안의 관측은 풍속의 변화를 놓치기 쉬우므로, 10분간의 평균풍속을 측정하여 보다 정확한 기상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시정관측시 시정이 방향별로 다를 때 취하는 것은?

  1. 우시정
  2. 최대시정
  3. 최소시정
  4. 평균시정
(정답률: 알수없음)
  • 시정이 방향별로 다를 때 취하는 것은 최소시정을 취한다. 이는 시정이 가장 나쁜 방향을 기준으로 취하는 것으로, 안전 운항을 위해 필요한 최소한의 시정을 유지하기 위함이다. 다른 세 가지 옵션은 시정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경우에 적용되는 것이며, 방향별로 시정이 다를 경우에는 최소시정을 취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대기 중 발생하는 일기현상의 관계 중 틀린 것은?

  1. hydrometeors - 이슬
  2. lithometeors - 황사
  3. photometeors - 무지개
  4. electrometeors - 광환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electrometeors - 광환"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대기 중 발생하는 일기현상과 관련된 용어입니다.

    - "hydrometeors - 이슬"은 대기 중에 존재하는 수증기가 응축되어 구름, 비, 눈 등의 형태로 나타나는 현상을 의미합니다.
    - "lithometeors - 황사"는 대기 중에 존재하는 먼지, 모래, 진흙 등의 입자가 바람에 의해 날려서 발생하는 현상을 의미합니다.
    - "photometeors - 무지개"는 태양 또는 달의 빛이 대기 중에 있는 물방울이나 얼음 결정 등에 반사되어 나타나는 현상을 의미합니다.
    - 하지만 "electrometeors - 광환"은 지구의 자기장과 태양풍 등의 영향으로 발생하는 현상으로, 대기 중 발생하는 일기현상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광환은 북극권에서 자주 관측되는데, 지구의 자기장과 태양풍이 상호작용하여 발생하는 입자들이 대기 중의 분자들과 충돌하면서 빛을 발하는 현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관측시각으로 진태양시를 사용하는 기상요소는?

  1. 기온
  2. 기압
  3. 바람
  4. 일사
(정답률: 알수없음)
  • 일사는 태양에서 발생한 복사 에너지가 지표면에 도달하여 지구의 기온, 기압, 바람 등을 형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일사량은 진태양시를 기준으로 측정되며, 기상 예측 및 기후 분석 등에 매우 중요한 기상요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증발계에 대한 설명이 틀린 것은?

  1. 대형의 것은 구경이 120㎝나 되는 철제용기로 국제적인 표준으로 되어 있다.
  2. 소형의 것은 직경 20㎝의 동제용기이며 기상대 등에서 널리 사용된다.
  3. 소형의 것보다 대형의 것이 바람직하다.
  4. 증발계는 직사광선을 받지 않도록 설치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소형의 것보다 대형의 것이 바람직하다."는 증발계에 대한 설명이 틀린 것입니다.

    증발계는 직사광선을 받지 않도록 설치하는 이유는 직사광선이 증발속도를 영향을 주기 때문입니다. 직사광선이 증발계에 직접 비추면 증발속도가 빨라지고, 그 반대로 그늘에 위치하면 증발속도가 느려집니다. 따라서 증발계는 직사광선을 받지 않도록 설치하여 증발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보통 사용하고 있는 우량계에서 깔대기 모양인 수수기(受水器: 물을 받아 들이는 곳)의 안쪽 지름은?

  1. 10㎝
  2. 20㎝
  3. 30㎝
  4. 40㎝
(정답률: 알수없음)
  • 우량계에서는 일반적으로 20㎝의 지름을 가진 수수기를 사용합니다. 이는 일반적인 우량계에서 사용되는 표준 크기이며, 물을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해 적절한 크기입니다. 따라서 보통 사용하고 있는 우량계에서 깔대기 모양인 수수기의 안쪽 지름은 2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건습구 습도계로 관측된 습도의 오차를 일으키는 원인 중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온도계 자체의 오차
  2. 온도(기온) 변화에 따른 오차
  3. 통풍 속도 변화에 의한 오차
  4. 습구에 부착된 천의 두께에 의한 오차
(정답률: 알수없음)
  • 습도계는 공기 중의 수증기를 측정하여 습도를 계산하는데, 이때 온도가 변하면 공기 중의 수증기 양도 변하게 되어 습도계의 측정값에 영향을 미칩니다. 따라서 온도(기온) 변화에 따른 오차가 적합하지 않은 원인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햇무리나 달무리는 어떤 운형의 구름이 있을 때 가장 잘 나타나는가?

  1. 권운(Ci)
  2. 권층운(Cs)
  3. 고적은(Ac)
  4. 고층운(As)
(정답률: 알수없음)
  • 햇무리나 달무리는 태양이나 달의 빛이 구름에서 반사되어 발생하는 현상입니다. 이를 보기 좋게 나타내기 위해서는 구름이 얇고 투명한 상태여야 합니다. 이러한 조건을 만족하는 구름은 권층운(Cs)입니다. 권층운은 대기 중에서 가장 높은 고도에 위치하며, 얇고 투명한 구름으로서 태양이나 달의 빛을 잘 반사합니다. 따라서 권층운이 있을 때에는 햇무리나 달무리가 가장 잘 나타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눈이 내릴 때 나타나는 에코(echo)의 특성이 아닌 것은?

  1. 눈의 에코는 대체로 비의 경우보다. 강도가 강하다.
  2. 건조한 눈의 에코일수록 강도가 약하다.
  3. 주로 층상 에코나 대류성 에코 형태로 나타난다.
  4. 대류성 눈의 에코는 윤곽이 비교적 뚜렷하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건조한 눈의 에코일수록 강도가 약하다.

    눈의 에코는 대체로 비의 경우보다 강도가 강한 이유는 눈의 입자가 비보다 더 크기 때문이다. 주로 층상 에코나 대류성 에코 형태로 나타나며, 대류성 눈의 에코는 윤곽이 비교적 뚜렷하다. 하지만 건조한 눈의 경우 입자가 작아져서 에코의 강도가 약해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정지기상위성의 고도는 대략 몇 ㎞인가?

  1. 358㎞
  2. 3580㎞
  3. 35800㎞
  4. 358000㎞
(정답률: 알수없음)
  • 정지기상위성은 지구와 동기적으로 회전하기 때문에 항상 같은 지점을 바라보고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지구의 자전 주기와 같은 주기로 공전해야 한다. 지구의 자전 주기는 약 23시간 56분 4초이므로, 이와 같은 주기로 공전하는 위성의 고도는 지구 중심에서 약 35,800km 떨어져 있어야 한다. 따라서 정답은 "3580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하이드로메타(hydrometer)는 무엇을 측정하기 위한 측기인가?

  1. 기체의 비중
  2. 액체의 비중
  3. 고체의 비중
  4. 수증기의 비중
(정답률: 알수없음)
  • 하이드로메타는 액체의 비중을 측정하기 위한 측기입니다. 액체의 밀도를 측정하여 그것이 물보다 더 높은지, 낮은지를 알아내는데 사용됩니다. 이를 통해 액체의 품질, 농도, 농도 조절 등을 판단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서리를 설명한 내용 중 옳은 것은?

  1. 대기 중의 수증기가 응결(condensation)된 것
  2. 대기 중의 수증기가 승화(sublimation)된 것
  3. 대기 중의 수증기가 응결된 후 빙결(freezing)된 것
  4. 대기 중의 수증기가 기화(vaporization)에 의한 것
(정답률: 알수없음)
  • 서리는 대기 중의 수증기가 승화(sublimation)된 것입니다. 승화란 고체 상태의 물질이 기체 상태로 직접 변하는 것을 말합니다. 따라서 대기 중의 수증기가 승화하여 기체 상태로 변하면서 물방울이나 얼음 결정으로 형성되어 서리가 생기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로테이팅 빔 씨로메타(Rotating beam ceilometers)는 무엇을 측정하는 측기인가?

  1. 구름의 형태(운형)
  2. 최저 운저 높이
  3. 시정
  4. 대기혼탁도
(정답률: 알수없음)
  • 로테이팅 빔 씨로메타는 최저 운저 높이를 측정하는 측기입니다. 이는 비행기나 드론 등 항공 운항 시 안전한 비행을 위해 필요한 정보 중 하나로, 최저 운저 높이는 구름이나 안개 등으로 인해 비행기가 안전하게 비행할 수 있는 최소 높이를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다음 중 불쾌지수(discomfort index. Di)에 고려되지 않는 기상요소는?

  1. 건구온도
  2. 습구온도
  3. 습도
  4. 바람
(정답률: 알수없음)
  • 불쾌지수는 건구온도와 습구온도, 습도를 고려하여 인체의 불쾌감을 나타내는 지수이다. 하지만 바람은 불쾌지수에 고려되지 않는다. 바람은 인체의 불쾌감을 줄이는 역할을 할 수 있지만, 불쾌감을 나타내는 기상요소가 아니기 때문이다. 따라서 바람은 불쾌지수에 고려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대기열역학

21. 건조공기의 성분 중 질량 백분율이 큰 순서대로 나열된 것은?

  1. 질소 - 산소 - 네온 - 아르곤
  2. 질소 - 산소 - 오존 - 헬륨
  3. 질소 - 산소 - 크립톤 - 아르곤
  4. 질소 - 산소 - 아르곤 - 이산화탄소
(정답률: 알수없음)
  • 질량 백분율이 큰 순서대로 나열된 것은 원자량이 큰 순서대로 나열된 것과 같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각 성분의 원자량을 비교하여 순서를 결정해야 한다.

    질소(N)의 원자량은 14, 산소(O)의 원자량은 16, 아르곤(Ar)의 원자량은 40, 이산화탄소(CO2)의 원자량은 44이다. 따라서 질량 백분율이 큰 순서대로 나열된 것은 "질소 - 산소 - 아르곤 - 이산화탄소"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포화단열감률이 건조단열감률보다. 작은 이유는?

  1. 기화열 때문이다.
  2. 잠열 때문이다.
  3. 융해열 때문이다.
  4. 승화열 때문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포화단열감률은 공기가 포화상태일 때의 열팽창률을 의미하며, 건조단열감률은 공기가 건조한 상태일 때의 열팽창률을 의미합니다. 이 때, 공기가 포화상태일 때는 수증기가 포화되어 있어 추가적인 수증기가 증발하지 않으므로 기화열이 발생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포화단열감률은 건조단열감률보다 작은 것입니다. 반면, 잠열은 공기가 상승하면서 압력이 낮아지면서 발생하는 열변화를 의미합니다. 이 때, 공기가 건조한 상태일 때와 포화상태일 때 모두 발생하므로, 잠열 때문에 포화단열감률이 건조단열감률보다 작은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다음 물에 대한 T-e diagram에서 기체상태를 나타내는 영역은?

  1. A
  2. B
  3. C
  4. D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D"입니다. T-e diagram에서 기체상태를 나타내는 영역은 온도-에너지 공간에서 가장 위쪽에 위치한 영역입니다. 이 영역은 고온, 고에너지 상태를 나타내며, 이러한 상태에서 기체는 분자 운동이 매우 활발하고, 분자 간 거리가 멀어져 있습니다. 따라서, T-e diagram에서 가장 위쪽에 위치한 "D" 영역이 기체상태를 나타내는 영역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건조공기가 수증기를 포함하게 되는 경우 공기의 평균 분자량은 어떻게 변하는가?

  1. 작아진다.
  2. 커진다.
  3. 변화 없다.
  4. 경우에 따라 다르다.
(정답률: 알수없음)
  • 건조공기가 수증기를 포함하게 되면 공기 분자와 수증기 분자가 혼합되어 평균 분자량이 작아지게 됩니다. 이는 수증기 분자가 공기 분자보다 더 가벼우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작아진다."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기압(P)과 비체적(α)을 좌표축으로 취한 건조공기에 대한 열역학선도의 그림에서 단열과정은?

  1. A - B
  2. A - C
  3. A - D
  4. A - E
(정답률: 알수없음)
  • 단열과정은 기압과 비체적이 변하지 않는 과정으로, 그림에서는 기압과 비체적이 일정한 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A-C 선분이 단열과정을 나타낸다. 따라서 정답은 "A - C"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다음 중 이상 기체의 상태 방정식을 옳게 나타낸 것은? (단, P는 기압, T는 기온, R은 기체상수, V는 체적, m은 기체의 질량이다.)

  1. V/P = mR/T
  2. PV = R/mT
  3. PV = mRT
  4. P/V = mRT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PV = mRT"

    이유: 이상 기체의 상태 방정식은 PV = nRT로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n은 몰 수이다. 따라서 기체의 질량 m은 몰 수 n과 분자량 M을 이용하여 m = nM으로 나타낼 수 있다. 이를 PV = nRT에 대입하면 PV = (m/M)RT가 된다. 이때 M은 기체의 종류에 따라 다르므로 상수이다. 따라서 PV = mRT로 나타낼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g를 중력가속도, ρ를 가열된 공기덩이의 밀도, ρo를 주위 대기의 밀도라 할 때 그 공기덩이의 상승 가속도는?

  1. g(ρoo-ρ)
  2. g(ρ/ρo-ρ)
  3. g(ρo-ρ/ρo)
  4. g(ρo-ρ/ρ)
(정답률: 알수없음)
  • 공기덩이의 상승 가속도는 중력과 부력의 차이로 결정된다. 부력은 주위 대기의 밀도와 공기덩이의 밀도 차이에 비례한다. 따라서 부력은 g(ρo-ρ/ρ)로 표현할 수 있다. 여기서 ρoo는 1이므로 g(ρoo-ρ)은 g(ρo-ρ)과 같다. 따라서 정답은 "g(ρo-ρ/ρ)"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일반대기에서 기온(T), 노점온도(Td), 습구온도(Tw)의 관계를 맞게 표시한 것은?

  1. Td≥Tw≥T
  2. Td≥T≥Tw
  3. T≥Td≥Tw
  4. T≥Tw≥Td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T≥Tw≥Td"

    이유:

    - 기온(T)은 대기 중의 온도를 나타내는 값이다.
    - 노점온도(Td)는 대기 중의 수증기가 포화 상태가 되어 이슬이 생기는 온도를 나타내는 값이다. 즉, 대기 중의 상대습도가 100%가 되는 온도이다.
    - 습구온도(Tw)는 대기 중의 수증기가 포화 상태가 아닌 상태에서, 대기 중의 상대습도와 같은 상태가 되었을 때의 온도를 나타내는 값이다.

    따라서, Tw는 Td보다 항상 높거나 같을 수밖에 없다. 왜냐하면, 수증기가 포화 상태가 아닌 상태에서 상대습도가 100%가 되려면, 온도가 높아져야 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T는 Tw보다 항상 높거나 같을 수밖에 없다. 왜냐하면, 수증기가 포화 상태가 되려면, 온도가 높아져야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T≥Tw≥Td가 성립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다음 중 열역학 선도(thermodynamic diagram)에 포함 되어 있지 않은 선은?

  1. 등온선
  2. 건조 단열선
  3. 등압선
  4. 상대습도선
(정답률: 알수없음)
  • 상대습도선은 열역학 선도에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는 열역학 선도가 열역학 과정에서 일어나는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기 때문입니다. 상대습도선은 대기과학에서 사용되는 그래프로, 대기 중의 수증기 양과 온도 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그림에서 면적 P와 면적 N을 비교하여 P > N이면?

  1. 위성 잠재 불안정
  2. 진성 잠재 불안정
  3. 안정형
  4. 절대 안정형
(정답률: 알수없음)
  • 면적 P와 면적 N을 비교하여 P > N이면, 그림에서는 왼쪽으로 기울어진 것을 볼 수 있으므로 진성 잠재 불안정이다. 이는 안정형과 절대 안정형과는 달리 일시적으로 안정하지만 오랫동안 유지되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정압비열 Cp, 정적비열 Cv, 비기체상수 R사이의 올바른 관계식은?

  1. Cp=Cv+R
  2. Cp=Cv-R
  3. Cp=-Cv+R
  4. Cp=-Cv-R
(정답률: 알수없음)
  • 정압비열 Cp는 압력이 일정한 상태에서 단위 질량의 물질이 온도 변화에 따라 흡수하거나 방출하는 열의 양을 말하며, 정적비열 Cv는 부피가 일정한 상태에서 단위 질량의 물질이 온도 변화에 따라 흡수하거나 방출하는 열의 양을 말한다. 비기체상수 R은 일정한 양의 기체가 변화하는 과정에서 일어나는 열과 일의 비율을 나타내는 상수이다.

    이 때, Cp와 Cv는 각각 압력과 부피가 일정한 상태에서 열의 변화를 나타내므로, 기체의 상태방정식인 PV=nRT에서 V와 T가 일정하다면 P와 n도 일정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Cp와 Cv는 기체의 상태방정식에서 유도될 수 있는 상수이며, 이 둘의 차이는 기체가 일정한 압력에서 일정한 부피를 유지하느냐, 아니면 일정한 부피에서 일정한 압력을 유지하느냐에 따라 결정된다.

    그리고 비기체상수 R은 기체의 성질에 따라 다르게 결정되는데, 일반적으로 단원자 기체나 이온 기체 등의 경우 Cp와 Cv가 같으므로 R은 Cp-Cv로 계산할 수 있다. 따라서 Cp=Cv+R이 성립하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건조단열선은 어떤 물리량이 일정한 선인가?

  1. 기압
  2. 기온
  3. 온위
  4. 상당온위
(정답률: 알수없음)
  • 건조단열선은 기압이 일정한 상태에서 상승하거나 하강할 때 기온이 일정하게 변화하는 선이다. 이때 기온의 변화량은 고도의 변화량에 따라 결정되는데, 이를 나타내는 물리량이 온위이다. 따라서 건조단열선은 온위가 일정한 선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다음 선조 중에서 등온선이 곡선으로 나타나는 것은?

  1. Clapeyron선도
  2. Tephigram
  3. Emagram
  4. Stuve선도
(정답률: 알수없음)
  • Clapeyron선도는 등온선이 곡선으로 나타나는 선도이다. 이는 대기의 수증기 포화압력이 온도에 따라 변화하기 때문에 등온선이 곡선으로 나타나는 것이다. 다른 선도들은 등온선이 직선으로 나타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다음 중 건조대기의 불안정을 바르게 설명한 것은?

  1. 온도가 연직방향으로 증가한다.
  2. 온도가 연직방향으로 건조단열감율 보다 작게 감소한다.
  3. 온위가 연직방향으로 증가한다.
  4. 온위가 연직방향으로 감소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온위가 연직방향으로 감소한다."입니다.

    건조대기의 불안정은 대기가 상승할 때 온도가 건조단열감율보다 빠르게 감소하기 때문입니다. 이 때, 상승하는 대기와 함께 온위(기압면)가 감소하게 되는데, 이는 대기가 상승함에 따라 기압이 낮아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온위가 연직방향으로 감소하게 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정적으로 안정한 대기에서 부력진동수의 특징이 옳게 설명된 것은?

  1. 허수로 나타난다.
  2. 음의 값을 갖는다.
  3. 양의 값을 갖는다.
  4. 0 이 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적으로 안정한 대기에서 부력진동수는 양의 값을 갖는다. 이는 부력이 중력과 같은 크기이며 반대 방향으로 작용하여 발생하는 진동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부력진동수는 실수값이며 양의 값을 가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1Pa은 몇 mb인가?

  1. 10-1mb
  2. 10-2mb
  3. 10mb
  4. 102mb
(정답률: 알수없음)
  • 1Pa는 압력을 나타내는 단위이고, mb는 용량을 나타내는 단위입니다. 따라서 두 단위는 서로 변환이 불가능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변환 불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다음 중 이상기체와 관계없는 것은?

  1. 내부에너지가 온도만의 함수이다.
  2. 엔탈피가 온도만의 함수이다.
  3. 상태방정식을 정확하게 만족한다.
  4. 엔탈피의 변화량이 정적 비열과 온도 변화량의 곱으로 표현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상태방정식을 정확하게 만족한다."는 이상기체와 관련된 내용이 아니기 때문에 이상기체와 관계없는 것이다.

    "엔탈피의 변화량이 정적 비열과 온도 변화량의 곱으로 표현된다."는 열역학 제1법칙에 따라 열의 보존 법칙이 성립하며, 열과 일의 관계를 나타내는 정적 비열과 온도 변화량의 곱으로 엔탈피 변화량을 표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다음 설명 중 틀린 것은?

  1. 포화수증기압은 온도가 높을수록 크다.
  2. 0℃에서 포화수증기압은 약 6.11hPa이다.
  3. 과냉각물에 대한 포화수증기압은 같은 온도의 얼음에 대한 포화수증기압보다 작다.
  4. 포화수증기 밀도는 온도가 높을수록 크다.
(정답률: 알수없음)
  • "과냉각물에 대한 포화수증기압은 같은 온도의 얼음에 대한 포화수증기압보다 작다."가 틀린 설명이 아니다.

    과냉각물은 물이 얼어서 얼음이 되었지만, 얼음의 형태를 유지하지 못하고 액체 상태로 남아있는 물을 말한다. 이때, 과냉각물의 온도는 얼음의 녹는 온도인 0℃보다 낮다. 따라서, 과냉각물에 대한 포화수증기압은 같은 온도의 얼음에 대한 포화수증기압보다 작다. 이는 과냉각물이 얼음보다 더 건조한 상태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건조공기의 분자량을 Md, 수증기의 분자량은 Mv라 할 때 Mv/Md의 값은?

  1. 0.286
  2. 0.622
  3. 0.610
  4. 1.609
(정답률: 알수없음)
  • Mv/Md의 값은 0.622이다. 이는 수증기 분자량이 건조공기 분자량보다 약 0.622배 더 가볍기 때문이다. 이는 공기 중 수증기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적기 때문에, 건조공기 분자량이 더 크기 때문이다. 이 비율은 대기 중 수증기의 양과 온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화재발생이나. 건물 등의 건습 등의 척도로서 상대습도보다는 이것을 사용하는 것이 합리적이다. 다음 중 이것은 무엇인가?

  1. 절대습도
  2. 실효습도
  3. 비습
  4. 혼합비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실효습도

    이유: 상대습도는 온도에 따라 변화하기 때문에, 화재발생이나 건물 등의 건습 등의 척도로 사용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 반면 실효습도는 온도와 상관없이 공기 중의 수증기 양을 나타내기 때문에, 이를 사용하는 것이 합리적이다. 실효습도는 실제로 공기 중에 존재하는 수증기의 양을 나타내는 지표이며, 건물 내부의 습도 상태를 파악하는 데 유용하게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대기운동학

41. 유한영역 내에서 순환과 소용돌이도를 관계짓는 정리는?

  1. stokes의 정리
  2. gauss의 발산 정리
  3. fermat의 정리
  4. bernoulli의 방정식
(정답률: 알수없음)
  • Stokes의 정리는 유한영역 내에서 순환과 소용돌이도를 관계짓는 정리이다. 이는 벡터 해석학에서 매우 중요한 정리로, 특히 전자기학과 유체역학에서 자주 사용된다. 이 정리는 특정 영역에서 흐르는 유체의 회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며, 회전하는 유체의 속도와 관련된 중요한 물리량인 소용돌이도를 계산하는 데 사용된다. 따라서 이 문제와 관련된 정리는 "Stokes의 정리"이다. Gauss의 발산 정리는 벡터장의 발산과 영역의 경계면에서의 흐름의 관계를 나타내는 정리이며, Fermat의 정리는 광선의 최단거리를 나타내는 정리이다. Bernoulli의 방정식은 유체역학에서 유체의 운동에 대한 기본 방정식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경압대기의 성질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등압면과 등온면이 교차한다.
  2. 발산이 존재한다.
  3. 등압면과 등온면이 평행한다.
  4. 지균풍이 높이에 따라 변화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등압면과 등온면이 평행한다."입니다.

    경압대기는 대기가 상승하면 기압이 낮아지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 때, 대기의 온도와 밀도는 일정하게 유지되므로 등압면과 등온면이 평행하게 유지됩니다. 따라서, 대기의 상승과 하강에 따라 등압면과 등온면이 교차하지 않습니다.

    반면에, "등압면과 등온면이 교차한다."는 고압대기나 저압대기에서 나타나는 현상입니다. 이 경우, 대기의 상승과 하강에 따라 등압면과 등온면이 교차하게 됩니다.

    또한, "발산이 존재한다."는 고압대기에서 나타나는 현상이며, 대기가 수직적으로 내려가면서 발생합니다.

    마지막으로, "지균풍이 높이에 따라 변화한다."는 대기의 회전과 관련된 현상으로, 경도에 따라 지균풍의 방향과 세기가 변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마찰이 없을 때 절대소용돌이도는 보존된다. 이 경우 북상 하는 공기덩이의 상대소용돌이도는?

  1. 일정하다.
  2. 감소한다.
  3. 증가한다.
  4. 증가와 감소를 되풀이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마찰이 없을 때는 에너지가 보존되므로, 북상하는 공기덩이의 상대적 소용돌이도는 일정하게 유지됩니다. 그러나 대기 중에는 항상 마찰이 존재하므로, 공기덩이가 북상할 때마다 마찰로 인해 상대적 소용돌이도가 감소하게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감소한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중위도 지방의 편서풍이 지속되는 이유는 각운동량과 관계 된다. 다음 중 옳은 것은?

  1. 각운동량이 중위도에서 극지방으로 수송된다.
  2. 각운동량이 중위도에서 적도지방으로 수송된다.
  3. 각운동량이 적도지방에서 중위도로 수송된다.
  4. 각운동량이 중위도에서 상층으로 수송된다.
(정답률: 알수없음)
  • 각운동량은 지구의 자전과 관련이 있으며, 적도 지방에서는 지구의 자전 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각운동량이 많이 발생합니다. 그러나 중위도 지방에서는 자전 속도가 느리기 때문에 각운동량이 적게 발생합니다. 따라서 각운동량은 적도 지방에서 중위도로 수송되어 중위도 지방의 편서풍이 지속되는 것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각운동량이 적도지방에서 중위도로 수송된다."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850hPa 이하의 고도에서 저기압쪽으로 바람이 불어 들어가는 이유로 가장 가까운 것은?

  1. 코리올리인자
  2. 지구자전
  3. 지표면의 마찰
  4. 공기밀도의 차
(정답률: 알수없음)
  • 지표면의 마찰은 고도가 낮아질수록 강해지는데, 이는 지표면과 대기 사이의 마찰력이 공기의 이동을 방해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850hPa 이하의 고도에서는 지표면의 마찰이 바람의 방향을 결정하는 가장 가까운 원인이 됩니다. 즉, 바람은 지표면의 마찰에 의해 저기압쪽으로 흐르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지오포텐셜 고도가 수평거리 1000㎞에 걸쳐 100m증가 하였다. 지균풍속(㎧)은? (단. f=10-4s-1)

  1. 약 10
  2. 약 12
  3. 약 14
  4. 약 16
(정답률: 알수없음)
  • 지오포텐셜 고도 변화량과 지균풍속은 다음과 같은 관계식을 가진다.

    ΔΦ = 2πfVgΔh

    여기서 ΔΦ는 지오포텐셜 고도 변화량, f는 지균풍의 주파수, Vg는 지구 중력가속도, Δh는 수평거리에 따른 고도 변화량을 나타낸다.

    문제에서 ΔΦ = 100m, Δh = 1000km, f = 10-4s-1 이므로,

    100 = 2π × 10-4 × Vg × 1000 × 103

    Vg = 100 / (2π × 10-4 × 1000 × 103) ≈ 10

    따라서, 지균풍속은 약 10m/s이다.

    정답은 "약 1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다음 중 일반적인 경우 혼합층의 높이가 제일 높을 수 있는 때는?

  1. 일출 직전
  2. 일출 직후
  3. 정오 직후
  4. 야간
(정답률: 알수없음)
  • 정오 직후일 때는 태양의 가열이 최대치에 도달하여 지표면이 가장 높은 온도를 유지하게 되고, 이로 인해 대기도 가장 높은 온도를 유지하게 됩니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혼합층의 높이가 제일 높을 수 있는 때는 정오 직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3개의 세포로 구성된 대기 대순환의 경우, 지상 저기압은 어디에 있어야 하는가?

  1. 적도와 극
  2. 30도와 극
  3. 적도와 30도
  4. 적도와 60도
(정답률: 알수없음)
  • 3개의 세포로 구성된 대기 대순환에서는 지상 저기압이 적도와 60도에 있어야 한다. 이는 대기 순환에서의 열대 저기압과 극 고기압의 위치와 관련이 있다. 적도 지역에서는 태양 에너지가 직접적으로 수신되어 대기가 높아지고, 이에 따라 저기압이 형성된다. 반면 극 지역에서는 태양 에너지가 각도가 낮아 대기가 차가워지고, 이에 따라 고기압이 형성된다. 이러한 열대 저기압과 극 고기압이 대기 순환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이를 연결하는 지상 저기압이 적도와 60도에 위치하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연직운동방정식의 다음 항 중에서 종관규모 운동의 경우에 가장 작은 것은?

  1. 가속도항
  2. 지구곡률항
  3. 기압경도력항
  4. 중력항
(정답률: 알수없음)
  • 가속도항은 지구 중심에서의 중력가속도를 나타내는 항으로, 모든 규모의 운동에서 동일하게 작용합니다. 따라서 종관규모 운동에서도 가장 작은 항이 됩니다. 지구곡률항은 지구의 곡률을 고려한 항으로, 극지방에서 큰 영향을 미치며, 기압경도력항은 대기의 기압차에 의한 항으로, 대기층에서 작용합니다. 중력항은 지구 중심에서의 중력을 나타내는 항으로, 가속도항과 마찬가지로 모든 규모의 운동에서 동일하게 작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지상 근처의 바람을 바르게 설명한 것은?

  1. 지균풍에 가깝다.
  2. 등압선을 횡단하여 분다.
  3. 상층 바람보다 강하다.
  4. 지상 100m 고도에서는 마찰의 영향이 거의 없다.
(정답률: 알수없음)
  • 등압선은 같은 기압을 가진 지점들을 연결한 선으로, 바람은 등압선에 수직으로 불어야 한다. 따라서 등압선을 횡단하여 분다는 것은 바람이 등압선에 수직으로 불어서 바람의 방향과 크기가 일정하게 유지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바람이 바르게 불고 있음을 나타내는 지표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지름이 100km인 순압소용돌이 (barotropuc vortex)가 각속도 ω로 강체회전을 하고 있다. 이 소용돌이가 크기를 그대로 유지한 채로 북위 30도에서 북극으로 이동한다면 이 공기덩이의 각속도는?

  1. ω-Ω
  2. ω-Ω/2
  3. Ω-ω
  4. Ω/2-ω
(정답률: 알수없음)
  • 이 문제에서는 지구의 자전을 고려해야 한다. 지구는 서쪽에서 동쪽으로 자전하고 있으며, 이 자전 속도를 지구회전속도(Ω)라고 한다. 이 속도는 약 465.1 m/s이다.

    북위 30도에서 북극으로 이동하는 경우, 이동하는 공기덩이는 지구회전속도와 같은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 때, 공기덩이의 상대적인 속도는 지구회전속도와 같은 크기를 가지지만, 반대 방향으로 향하게 된다.

    따라서, 공기덩이의 각속도는 지구회전속도(Ω)에서 공기덩이의 회전속도(ω)를 뺀 값이 된다. 그러나, 이 소용돌이는 바로 북극으로 이동하는 것이 아니라 북위 30도에서 북극으로 이동하므로, 이동하는 동안 지구회전속도와 공기덩이의 회전속도가 서로 상대적으로 변화하게 된다.

    이 때, 공기덩이의 각속도는 지구회전속도와 공기덩이의 회전속도의 평균값이 된다. 즉, (Ω+ω)/2가 된다. 그러나, 공기덩이는 크기를 그대로 유지하므로, 회전속도는 일정하게 유지된다. 따라서, 이동하는 동안 공기덩이의 회전속도는 일정하게 유지되며, 이에 따라 공기덩이의 각속도는 (Ω+ω)/2에서 ω/2를 뺀 값인 ω-Ω/2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ω-Ω/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와도와 와도 이류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1. 북풍계열의 바람이 있는 곳에서는 양의 지구와도 이류가 발생한다.
  2. 북풍계열의 바람이 있는 곳에서는 음의 지구와도 이류가 발생한다.
  3. 남풍계열의 바람이 있는 곳에서는 음의 지구와도 이류가 발생한다.
  4. 남풍계열의 바람이 있는 곳에서는 상대와도는 보존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북풍계열의 바람이 있는 곳에서는 양의 지구와도 이류가 발생한다. 이는 북풍이 지구의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불기 때문에 지구의 회전과 상대적으로 움직이는 물체인 물이 서로 충돌하여 이류가 발생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다음 중 종관규모의 스케일이 아닌 것은?

  1. U(수평속도) ~ 10m/s
  2. L(수평길이) ~ 1000km
  3. H(연직길이) ~ 10km
  4. W(연직속도) ~ 10-1m/s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L(수평길이) ~ 1000km"이다.

    이유는 종관규모는 대기 현상의 크기를 나타내는 것으로, 대기 전체를 대상으로 하는 것이다. 따라서 수평길이가 1000km인 것은 대기 전체를 대상으로 하는 종관규모에 해당한다.

    반면에 연직속도가 10-1m/s인 것은 대기 전체를 대상으로 하는 종관규모에 해당하지 않는다. 연직속도가 작은 경우는 대기 중 하부층에서 발생하는 국지적인 대기 현상에 해당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북반구 500hPa의 등고선을 따른 흐름을 나타낸 다음 그림 중 상대소용도이도의 NVA(Negative Vorticity Advection)가 나타나는 지점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A
  2. B
  3. C
  4. D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B"입니다.

    NVA는 부채꼴 모양의 등고선이 서로 가까이 붙어있는 지점에서 발생합니다. 이는 등고선이 가리키는 흐름이 수평적으로 압축되어 수직 운동이 일어나기 때문입니다. 그림에서는 북서쪽과 남동쪽으로 가는 등고선이 가까이 붙어있는 지점에서 NVA가 발생하므로, 정답은 "B"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다음의 기상변수 중 계산시 가장 큰 비율의 오차를 보이는 것은?

  1. 발산
  2. 와도
  3. 변형
  4. 온도이류
(정답률: 알수없음)
  • 발산은 대기의 수직 운동을 나타내는 기상 변수로, 다른 기상 변수들과 달리 지형, 해수면 온도 등 지역적인 요인에 크게 영향을 받기 때문에 계산시 가장 큰 비율의 오차를 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다음 중 ∇T의 성질이 아닌 것은? (단, T는 온도를 말함.)

  1. 등온선에 완전히 직각이다.
  2. 등온선이 밀집해 있는 곳에서 값이 크다.
  3. 온도가 증가하는 방향으로 향한다.
  4. ∇T와 바람의 방향이 같은 방향일 때 온도이류가 발생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T와 바람의 방향이 같은 방향일 때 온도이류가 발생한다."는 ∇T의 성질이 아닙니다.

    이유는 ∇T는 온도의 공간적 변화율을 나타내는 벡터이며, 바람의 방향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따라서 ∇T와 바람의 방향이 같은 방향일 때 온도이류가 발생하는 것은 다른 이유에 의한 것입니다. 예를 들어, 바람이 따뜻한 지역에서 차가운 지역으로 불어들어가면서 온도이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적운 군집의 대표적인 크기는 얼마인가?

  1. 1km
  2. 10km
  3. 100km
  4. 1000km
(정답률: 알수없음)
  • 적운 군집은 대기 중에 떠다니는 작은 물방울들이 모여 구름을 형성하는 현상입니다. 이 작은 물방울들은 대개 0.01mm에서 1mm 크기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하지만 이 작은 물방울들이 모여 구름을 형성하면 그 크기는 수백 또는 수천 km에 이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적운 군집의 대표적인 크기는 100k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부력 진도수가 0.012/s인 경우 주기는 약 얼마인가?

  1. 1분
  2. 4분
  3. 9분
  4. 15분
(정답률: 알수없음)
  • 부력 진도수가 0.012/s이므로 1초에 0.012만큼 진동한다는 뜻이다. 주기는 한 번의 진동이 일어나는데 걸리는 시간이므로 주기는 1/0.012 = 83.33초이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분 단위로 답을 요구하고 있으므로 83.33초를 60으로 나누어준다. 따라서 주기는 약 1분 23초이다. 하지만 반올림하여 가장 가까운 보기인 "9분"이 정답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맴돌이 유효위치에너지가 맴돌이 운동에너지로 전환되는 경우는?

  1. 동일한 위도대에서 더운 공기 상승, 찬 공기 하강
  2. 동일한 위도대에서 더운 공기 하강, 찬 공기 상승
  3. 동일한 위도대에서 더운 영역에서의 가열, 찬 영역에서의 냉각
  4. 동일한 위도대에서 더운 영역에서의 냉각, 찬 영역에서의 가열
(정답률: 알수없음)
  • 맴돌이 유효위치에너지가 맴돌이 운동에너지로 전환되는 경우는 "동일한 위도대에서 더운 공기 상승, 찬 공기 하강" 인 이유는, 더운 공기는 가벼우므로 상승하고 찬 공기는 무거우므로 하강하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공기의 움직임은 대기순환을 일으키며, 이는 지구상의 기후와 날씨를 결정하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지구의 자전축에서 바깥쪽으로 향하는 겉보기힘 즉 원심력은 Ω2Rcos ø 이다. 다음 중 적합하지 않은 것은? (단, Ω는 지구의 각속도, R은 지구의 반지름이다.)

  1. 극에서는 0이다.
  2. 적도에서는 Ω2R로 표시된다.
  3. 적도에서는 지구인력의 3%이다.
  4. 이힘의 결과로 지구 적도 반경이 극반경보다 크다.
(정답률: 알수없음)
  • "극에서는 0이다."가 적합하지 않은 것이다. 이유는 극에서는 원심력이 작용하지 않기 때문이다.

    "적도에서는 Ω^2R로 표시된다."는 맞는 설명이다.

    "적도에서는 지구인력의 3%이다."는 맞는 설명이다. 이유는 원심력이 작용하여 지구 중심에서 멀어지는 것이기 때문에 지구인력과 비교하면 작은 힘이 작용한다.

    "이힘의 결과로 지구 적도 반경이 극반경보다 크다."는 적합한 설명이다. 이유는 원심력이 작용하여 지구 적도 반경이 극반경보다 크게 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기후학

61. Kő ppen의 기후 분류에서 온대기후인 것은?

  1. 초원 기후
  2. 사막 기후
  3. 지중해성 기후
  4. 툰드라 기후
(정답률: 알수없음)
  • 지중해성 기후는 온대기후에 속하며, 따뜻하고 건조한 여름과 온화하고 비가 많은 겨울을 특징으로 합니다. 이 지역은 지중해 주변 지역에 위치하며, 해양성 기후와 대륙성 기후의 중간 지점에 위치하여 온도 변화가 크지 않습니다. 또한, 지중해성 기후 지역은 다양한 작물이 재배되며, 관광객들에게 인기 있는 지역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도시기후의 일반적인 특성이 아닌 것은?

  1. 입사되는 일사량이 교외지역에 비하여 적다.
  2. 도시의 기온이 교외의 기온보다. 높다.
  3. 도시의 상대습도가 교외보다 높다.
  4. 도시의 강수량이 교외에 비하여 많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도시의 상대습도가 교외보다 높다."

    설명: 도시는 인간의 활동으로 인해 대기 중의 수증기가 많아지기 때문에 상대습도가 높아지게 됩니다. 이는 도시 내에서 땅과 건물 등의 표면이 더 많아서 땅 위의 수증기가 증발하지 못하고 대기 중에 머무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도시의 상대습도는 교외보다 높아지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푀엔(Fő hn)과 보라(Bora)에 대한 설명 중 올바른 것은?

  1. 보라는 겨울을 중심으로 가을에서 봄에 걸쳐 현저하며 푀엔은 여름을 중심으로 봄∙가을에 현저하다.
  2. 풍하측(Lee side)에서는 모두 습도는 높아지나, 기온은 푀엔은 높아지고 보라는 낮아진다.
  3. 푀엔은 기온이 내려감으로 체감은 상쾌하나 보라는 기온이 급상승하여 나른하고 두통이 온다.
  4. 보라와 푀엔은 모두 농작물에 이익을 주는 바람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보라는 겨울을 중심으로 가을에서 봄에 걸쳐 현저하며 푀엔은 여름을 중심으로 봄∙가을에 현저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열대성 저기압 발생의 특성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위도 0 ~ 5℃ 에서 발생
  2. 해상에서 발생
  3. 대체로 해수면 온도 27℃이상의 조건에서 발생
  4. 발생하면서 서쪽으로 이동
(정답률: 알수없음)
  • "위도 0 ~ 5℃ 에서 발생"은 틀린 설명입니다. 실제로는 위도 5도 이상에서 발생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이는 열대 지방에서 해수면 온도가 높아지면서 공기가 상승하고, 상승한 공기가 회전하면서 저기압이 형성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위도 0 ~ 5℃에서는 대기순환의 영향으로 적도 부근에서 발생하는 경우도 있지만, 일반적으로는 위도 5도 이상에서 발생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지구상에서 연평균 지표기온이 가장 높은 위도대는?

  1. 10˚ N
  2. 10˚
  3. 23.5˚ N
(정답률: 알수없음)
  • 10˚ N 위도는 적도에 가까운 지역으로, 태양으로부터 직접적인 일사를 받아 연평균 지표기온이 가장 높은 위도대입니다. 0˚와 23.5˚ N 위도는 적도와 열대 지방에 위치하며, 일년 내내 높은 기온을 유지하지만 연평균 지표기온은 10˚ N 위도보다는 낮습니다. 10˚ 위도는 적도와 북쪽 열대 지방 사이에 위치하며, 연평균 지표기온은 10˚ N 위도보다는 낮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우리나라의 평균 기온(남한 기준)의 계절 변화의 폭은 다음 중 어디에 속하는가?

  1. 0~15℃
  2. -1~26℃
  3. 10~26℃
  4. 20~30℃
(정답률: 알수없음)
  • 우리나라의 평균 기온(남한 기준)의 계절 변화의 폭은 "-1~26℃"에 속한다. 이는 한 해 내내 기온이 크게 변화하는 것을 의미한다. 겨울철에는 -1℃ 이하로 내려가는 경우도 있고, 여름철에는 26℃ 이상 올라가는 경우도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기온 변화는 대부분의 지역에서 관측되며, 지리적인 위치나 해수면 온도 등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기후인자라고 볼 수 없는 것은?

  1. 위도
  2. 해류
  3. 지형
  4. 일사
(정답률: 알수없음)
  • 일사는 기후인자가 아닌 기상학적 요소이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기후인자는 오랜 기간 동안의 기상 조건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를 말하는데, 일사는 하루 동안의 기상 조건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입니다. 따라서 일사는 기후인자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쾨펜의 기후구분에서 첫째, 둘째, 셋째 번 기호(예를 들어 Cwb 등)는 각각 어느 요소에 의해 정해지는가?

  1. 기온 - 강수량 - 기온
  2. 기온 - 강수량 - 기압
  3. 기온 - 기온 - 강수량
  4. 기온 - 기온 - 습도
(정답률: 알수없음)
  • 쾨펜의 기후구분에서 첫째, 둘째, 셋째 번 기호는 각각 평균 월 기온, 강수량, 월 평균 최고기온과 최저기온의 차이에 의해 정해진다. 따라서 "기온 - 강수량 - 기온"이 정답이다. 이는 해당 지역의 기후를 가장 잘 표현할 수 있는 요소들이기 때문에 이러한 순서로 기호가 정해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대기운동의 공간 규모를 소규모, 중규모, 대규모와 지구규모로 나눌 때 중규모에 속하지 않는 현상은?

  1. 뇌우
  2. 해륙풍
  3. 토네이도
  4. 계절풍
(정답률: 알수없음)
  • 중규모 대기운동은 지구상의 일부 지역에서 발생하는 대기운동으로, 일반적으로 수백 km에서 수천 km의 공간 규모를 가지며, 대기의 수직적인 움직임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 따라서 계절풍은 대기운동의 공간 규모를 소규모, 중규모, 대규모와 지구규모로 나눌 때 중규모에 속하지 않는다.

    계절풍은 지구상의 일부 지역에서 발생하는 대기운동으로, 일정한 계절에만 나타나는 풍으로, 대기의 수평적인 움직임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인도-아시아 지역에서는 여름철에는 남쪽에서 북쪽으로 바람이 불고, 겨울철에는 그 반대로 북쪽에서 남쪽으로 바람이 불게 된다. 이러한 계절풍은 지구상의 일부 지역에서만 나타나는 지역적인 대기운동으로, 중규모에 속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강수효율(precipitation effactiveness ratio)에 대한 다음 설명 중 맞는 것은?

  1. 월 강수량을 월 증발량으로 나눈 비이다.
  2. 연 강수량에 대한 여름 강수량의 비이다.
  3. 월 강수량을 월 상대습도로 나눈 비이다.
  4. 월 강수량을 연 강수량으로 나눈 비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월 강수량을 월 증발량으로 나눈 비이다." 이다. 이유는 강수효율은 해당 지역에서 내린 강수가 증발되지 않고 토양에 흡수되는 비율을 나타내기 때문이다. 따라서 월 강수량을 월 증발량으로 나누어 계산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물수지(water balance)계산은 토양수분 저유량을 얼마로 하느냐에 따라 달라진다. 우리나라의 토양수분 저유량은?

  1. 100mm
  2. 200mm
  3. 300mm
  4. 400mm
(정답률: 알수없음)
  • 우리나라의 토양수분 저유량은 보통 300mm으로 설정되어 있습니다. 이는 우리나라의 기후와 토양 특성 등을 고려하여 적절한 값으로 설정된 것입니다. 따라서 물수지 계산 시에는 이 값을 기준으로 계산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다음 중 전지구적인 기온의 하강에 기여하는 요인은?

  1. 냉매제의 사용증가
  2. 화석연료의 사용 증가
  3. 에어로졸의 방출 증가
  4. 산림의 벌채
(정답률: 알수없음)
  • 에어로졸은 대기 중에 떠다니는 미세한 입자로, 이 입자들이 대기 중에 떠다니면서 태양의 복사를 반사하거나 흡수하여 지구의 기온을 낮추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에어로졸의 방출이 증가하면 지구의 기온이 하강하는데 기여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대기중의 열수송 형태 중 기후현상에 기여하는 정도가 가장 적은 것은?

  1. 이류(advection)
  2. 복사(radiation)
  3. 잠열수송(latent heat transfer)
  4. 전도(conduction)
(정답률: 알수없음)
  • 전도는 공기 중의 열을 전달하는 방식으로, 대기 중의 열수송 형태 중 가장 적은 기후 영향을 미칩니다. 이류는 대기의 수직 및 수평 이동으로 열을 전달하는 방식이며, 복사는 태양 복사와 지구 복사로 열을 전달하는 방식입니다. 잠열수송은 수증기의 상변화로 열을 전달하는 방식으로, 대기 중에서 가장 중요한 열수송 형태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다음 중 일반적인 기후(climate)의 정의와 관계가 먼 것은?

  1. 일기의 종합
  2. 일기의 평균
  3. 정상적인 일기
  4. 일기의 범위
(정답률: 알수없음)
  • 일반적인 기후는 일기의 평균적인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지만, "일기의 범위"는 일기의 변동성과 다양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일반적인 기후와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다. 일기의 범위는 특정 지역에서 일어날 수 있는 기후적인 변화의 폭과 범위를 나타내는 것이다. 예를 들어, 일기의 범위가 큰 지역은 한 해 내내 기온이 크게 변동할 수 있고, 강수량이 매우 불규칙하게 내릴 수 있다. 따라서 일기의 범위는 일반적인 기후와는 다른 측면에서 중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다음 중 해풍이 가장 잘 발달하는 지역은?

  1. 극지방
  2. 고위도 지방
  3. 중위도 지방
  4. 열대지방
(정답률: 알수없음)
  • 해풍은 열대지방에서 가장 잘 발달합니다. 이는 열대지방이 태양의 직접적인 복사를 받아서 고온다습한 기후를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기후 조건은 대기의 수증기 함량을 높이고, 대기의 상승 기류를 유발하여 해풍을 발달시키는데 이상적인 조건을 제공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기후변동의 원인이 될 수 있는 요인 중 서로 성격이 다른 하나는?

  1. 조산운동
  2. 극의 이동
  3. 지판이동
  4. 화산폭발
(정답률: 알수없음)
  • 화산폭발은 대량의 이산화탄소와 다른 기체들을 대기로 방출시키며, 이로 인해 대기 중 이산화탄소 농도가 증가하여 기후변화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또한, 화산재가 대기 중에 떠다니면서 태양광선을 반사시켜 지구 온도를 낮추는 역할을 할 수도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도시에서 스모그(smog)현상이 일어나기 쉬운 기상 조건은?

  1. 역전층이 존재할 때
  2. 대기가 불안정할 때
  3. 날씨가 흐릴 때
  4. 대기확산이 활발할 때
(정답률: 알수없음)
  • 역전층은 대기의 온도가 고도에 따라 일정한 경사로 상승하는 것이 아니라, 일정한 고도에서 갑자기 상승하는 층을 말합니다. 이러한 역전층이 존재하면, 대기의 상부와 하부가 분리되어 대기 확산이 어려워지기 때문에 스모그 현상이 발생하기 쉬워집니다. 이는 대기 오염물질이 상부에 쌓이면서 하부에서는 확산이 어려워져 오염물질이 쌓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역전층이 존재할 때 스모그 현상이 발생하기 쉽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기후의 일변화에 대한 설명 중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기온의 일변화는 흐린 날보다 맑은 날에 크다.
  2. 최고기온은 오후 1~3시 사이에 발생한다.
  3. 기온의 일변화는 해안지방보다 내륙에서 크다.
  4. 최저기온은 한밤중에 발생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최저기온은 한밤중에 발생한다."가 가장 거리가 먼 설명이다. 이유는 기온 변화는 일반적으로 일출과 일몰 시간에 따라 변화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최저기온은 보통 일출 직전에 발생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쾨펜의 기후 분류에서 기호 B의 의미는?

  1. 열대 다우 기후
  2. 건조 기후
  3. 온대 다우 기후
  4. 한대 기후
(정답률: 알수없음)
  • 쾨펜의 기후 분류에서 기호 B는 "건조 기후"를 나타냅니다. 이는 연간 강수량이 적은 지역을 의미하며, 대부분 사막이나 습한 대륙성 기후에 해당합니다. 즉, 기후적으로 건조한 지역을 나타내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다음 오호츠크해 기단에 대한 설명 중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북태평양이 발원지이다.
  2. 한랭 다습하다.
  3. 동계에 불안정, 하계에 안정하다.
  4. 장마전선과 관련이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한랭 다습하다."는 다른 설명과는 관련이 없어서 거리가 먼 것이다.

    오호츠크해 기단은 북태평양에서 유입되는 찬 기류와 대륙에서 유입되는 습한 기류가 충돌하는 지역이다. 이러한 기후적 조건으로 인해 동계에는 찬 기류와 습한 기류의 충돌로 인해 기압이 불안정해지고, 하계에는 찬 기류가 약해져서 안정해진다.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 오호츠크해 기단은 장마전선과 관련이 있으며, 한랭 다습한 기후를 가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일기분석 및 예보론

81. 국제기상전문의 통보에 있어 현재 일기 10의 시정의 제한거리는?

  1. 100m 이상
  2. 500m 이상
  3. 1000m 이상
  4. 2000m 이상
(정답률: 알수없음)
  • 일기 10의 시정이란 시야가 얼마나 맑은지를 나타내는 지표로, 시야가 흐릴수록 시정이 낮아지게 됩니다. 국제기상전문의 통보에서 제한거리란, 비행기나 선박 등이 안전하게 운항할 수 있는 최소 시정 거리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일기 10의 시정이 높을수록 운항에 적합한 환경이 되므로 제한거리가 더 멀어지게 됩니다. 따라서, "1000m 이상"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지상일기도에서 기압경도력은 등압선의 어떠한 방향으로 작용 하는가?

  1. 평행한 방향으로
  2. 직각 수평 방향으로
  3. 연직 상부 방향으로
  4. 45°의 각도를 이루는 방향으로
(정답률: 알수없음)
  • 기압경도력은 등압선에 수직으로 작용합니다. 따라서 등압선의 방향과 직각 수평 방향으로 작용하게 됩니다. 이는 기압이 높은 지역에서 낮은 지역으로 기압이 이동할 때 발생하는 힘으로, 대기의 수직 운동을 유발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중위도 지방의 종관규모 기압계에서 일반적으로 지균풍속과 경도풍속의 차이는 어느 정도를 초과하지 않는가?

  1. 0 ~ 5%
  2. 5 ~ 10%
  3. 10 ~20%
  4. 20 ~ 30%
(정답률: 알수없음)
  • 중위도 지방의 종관규모 기압계에서 지균풍속과 경도풍속의 차이는 일반적으로 10 ~ 20%를 초과하지 않는다. 이는 지균풍속과 경도풍속이 서로 상호작용하면서 서로 영향을 주고받기 때문이다. 또한, 중위도 지방의 기압계는 일반적으로 안정적인 상태에 있기 때문에 이러한 차이가 크게 발생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1000 ~ 500hpa 층후층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700hpa의 온도분포와 비슷하다.
  2. 지상전선의 한기쪽에 등층후선이 조밀하다.
  3. 대기 하층의 기온 분포와 관계없다.
  4. 층후선이 조밀한 곳에 강풍대가 위치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대기 하층의 기온 분포와 관계없다는 것은 1000 ~ 500hpa 층후층의 특징이 대기 하층의 기온 분포와는 상관이 없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다른 보기들은 1000 ~ 500hpa 층후층의 특징과 관련된 내용들입니다. 예를 들어, "700hpa의 온도분포와 비슷하다"는 것은 1000 ~ 500hpa 층후층의 온도분포가 700hpa 층과 유사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지상전선의 한기쪽에 등층후선이 조밀하다"는 것은 지상전선이 있는 지역에서는 등층후선이 밀집하게 위치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층후선이 조밀한 곳에 강풍대가 위치한다"는 것은 층후선이 밀집한 지역에서는 강풍대가 위치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기층이 대류안정일 때 성립하는 식은? (단, θsw는 위습구 온위)

  1. dθsw/dz > 0
  2. dθsw/dz < 0
  3. dθsw/dz = 0
  4. dz/dθsw = 0
(정답률: 알수없음)
  • 기층이 대류안정일 때 성립하는 식은 dθ/dz > 0 이다. 이는 기온이 고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대류안정 상태에서 공기가 상승하면, 상승한 공기가 냉각되어 밀도가 증가하고, 이로 인해 상승하는 공기의 온도가 주변 대기보다 높아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dθsw/dz > 0 이 성립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지상일기도를 만들 때 사용되는 지상일기도 자료 중 가장 대표적인 자료는?

  1. 기압
  2. 기온
  3. 바람
  4. 노점온도
(정답률: 알수없음)
  • 기압은 대기의 상태를 나타내는 가장 기본적인 자료이기 때문에 지상일기도를 만들 때 가장 대표적으로 사용됩니다. 기압이 높은 지역과 낮은 지역을 구분하여 대기의 움직임을 파악하고, 기상 예보와 경보를 발표하는 데에도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공기덩이(air pacel)는 형태 및 부피의 변화없이, 그리고 회전운동을 하지 않고 이동할 수 있는데 이런 운동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전이운동(transition)
  2. 회전운동(rotation)
  3. 변형운동(deformation)
  4. 발산운동(divergence)
(정답률: 알수없음)
  • 공기덩이는 형태와 부피가 변하지 않고, 회전운동을 하지 않고 이동하는 운동을 전이운동(transition)이라고 한다. 이는 공기덩이가 이동하는 공간의 속도와 압력이 일정하게 유지되기 때문에 발생하는 운동이다. 회전운동은 공기덩이가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운동을 말하며, 변형운동은 공기덩이의 형태와 부피가 변하는 운동을 말한다. 발산운동은 공기덩이가 중심에서 벗어나면서 부피가 증가하는 운동을 말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관천망기에 의한 일기예상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저녁 무지개는 흐릴 징조
  2. 아침 무지개는 맑을 징조
  3. 바람이 불어가는 쪽의 무지개는 악천의 징조
  4. 바람이 불어오는 쪽의 무지개는 악천의 징조
(정답률: 알수없음)
  • 바람이 불어오는 쪽의 무지개는 악천의 징조인 이유는, 바람이 불면서 대기가 혼란스러워지고 불안정해지기 때문에 악천의 기운이 더욱 강해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바람이 불어오는 쪽에서 나타나는 무지개는 악천의 징조로 여겨지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jet-stream 이 잘 나타나는 일기도는?

  1. 700 ~ 850hpa의 일기도
  2. 500 ~ 700hpa의 일기도
  3. 400 ~ 500hpa의 일기도
  4. 200 ~ 300hpa의 일기도
(정답률: 알수없음)
  • Jet-stream은 대기 중 상당한 고도에서 발생하는 대기폭풍으로, 일반적으로 200 ~ 300hpa의 고도에서 발생합니다. 따라서 jet-stream이 잘 나타나는 일기도는 200 ~ 300hpa의 일기도입니다. 다른 고도의 일기도에서는 jet-stream이 충분히 나타나지 않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침강운동과 무관한 것은?

  1. 구름의 소산
  2. 기온의 상승
  3. 상층의 역전
  4. 공기의 포화
(정답률: 알수없음)
  • 침강운동, 구름의 소산, 기온의 상승, 상층의 역전은 모두 대기 현상 중 하나인데, 공기의 포화는 대기 현상이 아니라 대기 상태를 나타내는 용어이기 때문에 무관한 것이다. 공기의 포화란, 특정한 온도와 압력에서 공기가 포화 상태에 도달하여 더 이상 수증기를 포함시킬 수 없는 상태를 말한다. 즉, 공기가 포화되면 수증기가 포함될 수 있는 한계치에 도달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평평한 육상에서 지상풍과 등압선의 교각(交角)은?

  1. 0도
  2. 25 ~ 35도
  3. 45 ~ 55도
  4. 90도
(정답률: 알수없음)
  • 지상풍은 등압선과 직각으로 불어오지 않고 일정한 각도로 불어오는데, 이는 코리올리 효과 때문이다. 이 각도는 지역과 시간에 따라 다르지만 보통 25 ~ 35도 사이이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이 각도를 선택하는 것이 가장 적절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온난전선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전선이 통과한 후 기온이 급 하강한다.
  2. 지속적인 강수가 적다.
  3. 강수입자가 비교적 고르다.
  4. 강수역이 넓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전선이 통과한 후 기온이 급 하강한다." 이다. 온난전선은 대기 중의 물분자를 이온화시켜 양성자와 음성자로 분리시키는데, 이 과정에서 열이 방출되어 대기 온도가 상승한다. 따라서 전선이 통과한 후 기온이 오히려 상승하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열대성 저기압의 중심최대풍속이 55KTS였다. 일기도상에 어떻게 표시하는가?

  1. T.D
  2. T.S
(정답률: 알수없음)
  • 열대성 저기압의 중심최대풍속이 55KTS인 경우, 일기도상에서는 ""로 표시된다. 이는 열대성 저기압의 중심최대풍속이 50-64노트인 경우를 나타내는 기호이기 때문이다. T.D는 열대성 저기압이 발생하기 전 단계인 "Tropical Depression"을 나타내는 기호이고, T.S는 열대성 저기압이 강해져 "Tropical Storm"이 되었을 때의 기호이다. ""은 대기압의 등압선을 나타내는 기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쇼월터 안정지수(showalter stability index)는 다음 중 어느것을 이용하면 가장 쉽게 구할 수 있는가?

  1. 지상일기도
  2. 고층일기도
  3. 층후선도
  4. 대기선도
(정답률: 알수없음)
  • 쇼월터 안정지수는 대기의 안정성을 나타내는 지수로, 대기의 수직적 안정성을 평가하는 것이다. 이를 구하기 위해서는 대기의 수직적인 온도 변화를 파악해야 하는데, 이는 대기선도를 이용하여 가장 쉽게 파악할 수 있다. 대기선도는 대기의 수직적인 온도 변화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으로, 대기의 안정성을 평가하는 데 매우 유용하다. 따라서 쇼월터 안정지수를 구하기 위해서는 대기선도를 이용하는 것이 가장 쉽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다음 현상 중 야간에 잘 발생하는 기상 현상으로 볼 수 없는 것은?

  1. 육풍
  2. 복사안개
  3. 골풍
  4. 서리
(정답률: 알수없음)
  • 야간에 발생하는 기상 현상 중에는 육풍, 복사안개, 서리가 포함됩니다. 그러나 골풍은 낮에 발생하는 현상으로, 밤에는 발생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골풍"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로스비(Rossby)파의 특성으로서 적합하지 않는 것은?

  1. 비발산류이다.
  2. 마찰 영향이 없다.
  3. 절대소용돌이도는 보존된다.
  4. 항상 일정한 속도로 이동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로스비파는 항상 일정한 속도로 이동하는 것이 아니라, 파장 길이와 함께 이동 속도가 변화하며, 이는 지구 회전에 의한 코리올리 효과에 의해 발생한다. 따라서 "항상 일정한 속도로 이동한다."는 로스비파의 특성으로서 적합하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전선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한랭전선에서는 소낙성 비가 내리는 것이 보통이며, 뇌우와 우박을 동반하기도 한다.
  2. 온난전선에서 난기단의 역할을 열대기단이 하게 되면 호우가 내리기도 한다.
  3. 한랭전선은 온난전선에 비해 이동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일기의 회복이 빠르다.
  4. 전선이 폐색되면 구름은 상층으로부터 소산되어 주로 하층운이 관측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전선이 폐색되면 구름은 상층으로부터 소산되어 주로 하층운이 관측된다."가 틀린 것이 아니라 옳은 것이다. 전선이 폐색되면 구름이 소산되어 하층운이 관측되는 것은 일반적인 현상이다. 이유는 전선이 없어지면서 상층의 차가 사라지고, 대류가 약해져서 구름이 하강하게 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제트기류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대류권과 성층권의 경계 부근에 위치하며, 출현고도의 높이는 여름철에 높고 겨울철에 낮다.
  2. 제트기류는 대기의 습도 차이로 발생하며 사행한다.
  3. 북위 30도 부근 고도 약 12km에 나타나는 아열대 제트기류(subtropical jet)와 북위 40도 부근 고도 약 9km에 나타나는 한대 제트기류(polar jet)가 있다.
  4. 제트코어의 북쪽에서는 저기압성 회전, 남쪽에서는 고기압성 순환이 일어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제트기류는 대기의 습도 차이로 발생하며 사행한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제트기류는 대기의 온도 차이로 발생하며, 고도가 높아질수록 기온이 낮아지는 대기의 특성을 이용하여 발생합니다. 이러한 기류는 대기 중의 고속 운동체로서, 항공기의 비행에 영향을 미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평지에서 기온이 15℃일 때 주위에 높이 1000m인 산이 있다면 정상에서의 기온은 대략 얼마로 예상되는가?

  1. 8.5℃
  2. 7.5℃
  3. 6.5℃
  4. 5.5℃
(정답률: 알수없음)
  • 일반적으로 대기는 고도가 높아질수록 온도가 낮아지는 경향이 있다. 이를 대기 온도감률이라고 한다. 대기 온도감률은 해발고도, 기압, 습도 등에 따라 다르지만 보통 1,000m당 약 6.5℃ 정도 감소한다고 알려져 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15℃에서 1,000m를 올라가면 대략 6.5℃씩 감소하여 8.5℃ 정도가 될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따라서 정답은 "8.5℃"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현재일기를 일기도에 기입할 때 사용되는 기호로 틀린 것은?

  1. 눈 : *
  2. 비 : •
  3. 소나기 :
  4. 황사 : ∞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황사 : ∞"이다.

    일기도에서는 일반적으로 "황사 : 먼지"라는 기호를 사용한다. ∞는 무한대를 나타내는 기호이므로, 일기도에 사용되는 올바른 기호가 아니다.

    따라서, "황사 : 먼지"로 수정해야 한다.

    눈 : * - 별표(*)는 눈의 양을 나타내는 일기도 기호이다.
    비 : • - 점(•)은 비의 양을 나타내는 일기도 기호이다.
    소나기 : - 이모티콘은 소나기를 나타내는 일기도 기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