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상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9-07-26)

기상기사
(2009-07-26 기출문제)

목록

1과목: 기상관측법

1. 관측에서 전운량이란?

  1. 대기 각 층의 부분운량의 합계
  2. 하층운의 각 층 부분운량의 합계
  3. 실제 하늘이 구름으로 덮여있는 부분의 양
  4. 대기 각 층의 부분운량의 합계를 10으로 나눈 양
(정답률: 알수없음)
  • 전운량은 실제 하늘이 구름으로 덮여있는 부분의 양을 의미합니다. 즉, 하늘이 얼마나 구름으로 덮여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부분운량이나 합계를 나타내는 것이지만, 전운량은 구름이 덮고 있는 실제 부분을 나타내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바람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풍향은 관측시각 전 10분간의 평균이다.
  2. 풍속이 0.2m/s 미만일 때는 보통 정온으로 하고 풍향이 없는 것으로 간주한다.
  3. 풍속은 관측 시각을 중심으로 전후 10분간의 평균풍속이다.
  4. 풍향은 원칙적으로 장애물이 없고 평탄한 곳의 지상 10m에서의 값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풍속은 관측 시각을 중심으로 전후 10분간의 평균풍속이다."가 아닌 "풍속은 관측 시각을 중심으로 측정된 순간의 풍속이다."이다.

    풍향은 관측시각 전 10분간의 평균이며, 풍속이 0.2m/s 미만일 때는 보통 정온으로 하고 풍향이 없는 것으로 간주한다. 하지만 풍속은 순간적인 값으로, 관측 시각을 중심으로 전후 10분간의 평균풍속이 아니라 해당 순간의 풍속을 나타낸다.

    풍향은 원칙적으로 장애물이 없고 평탄한 곳의 지상 10m에서의 값이다. 이는 지상에서의 풍향을 나타내며, 고도가 높아질수록 풍향이 달라질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다음 중 하층운이 아닌 것은?

  1. 층적운(Sc)
  2. 층운(St)
  3. 난층운(Ns)
  4. 적운(Cu)
(정답률: 알수없음)
  • 난층운(Ns)은 수평적으로 무작위로 분포하는 구름으로, 층적운(Sc)과 달리 수직적인 구조를 가지지 않습니다. 층운(St)은 수평적으로 광범위하게 분포하는 구름이며, 적운(Cu)은 수직적인 구조를 가지며 높은 곳에 위치하는 구름입니다. 따라서, 난층운(Ns)이 하층운이 아닌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시정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낮에 천공을 배경으로 목표물을 확인할 수 있는 최대거리이다.
  2. 야간에는 야음과 관계없이 낮과 같은 밝기로 했다고 가정하여 시정을 결정한다.
  3. 시정목표물로는 지물을 배경으로 한 밝고 빛나는 색깔의 물체를 선택한다.
  4. 시정은 대기의 혼탁정도를 표시하는 척도의 하나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시정목표물로는 지물을 배경으로 한 밝고 빛나는 색깔의 물체를 선택한다. 이 설명이 틀린 것은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10cm 파장의 Doppler 기상레이더의 시선속도가 100m/s 일 때 Doppler frequency shift는?

  1. 1000s-1
  2. 2000s-1
  3. 3000s-1
  4. 4000s-1
(정답률: 알수없음)
  • Doppler frequency shift는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Δf = (2v/c) × f

    여기서, v는 시선속도, c는 빛의 속도, f는 파장이다.

    따라서, Δf = (2 × 100/3×10^8) × 10^8/10^(-2) = 2000s^(-1)

    즉, Doppler frequency shift는 2000s^(-1)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종관기상관측에서 일반적으로 관측하고 있는 시정은?

  1. 방향별로 관측하여 평균치를 취한다.
  2. 특정방향의 시정만을 관측한다.
  3. 모든 방향의 시정 중에서 최소의 것을 관측한다.
  4. 모든 방향의 시정 중에서 최대의 것을 관측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일반적으로 관측하는 시정은 "모든 방향의 시정 중에서 최소의 것을 관측한다." 이유는 시정이란 대기 중에 떠다니는 먼지, 연기, 안개 등으로 인해 시야가 가려지는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모든 방향에서 시야가 가장 많이 가려진 지점을 관측하여 보다 정확한 대기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강수량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

  1. 비, 이슬비 등 액체상으로 내린 양이다.
  2. 액체상으로 내린 양과 눈, 싸락눈, 우박 등 고체상으로 내린 양을 포함한다.
  3. 액체상이나 고체상으로 내린 양과 이슬이나 서리로 맺힌 양을 포함한다.
  4. 강수량은 강우량과 적설량의 합계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강수량은 비뿐만 아니라 이슬비, 눈, 싸락눈, 우박 등 액체상이나 고체상으로 내린 모든 양을 포함하며, 이슬이나 서리로 맺힌 양도 포함합니다. 따라서 "액체상이나 고체상으로 내린 양과 이슬이나 서리로 맺힌 양을 포함한다."가 가장 옳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기상위성인 GMS의 주요 기능이 아닌 것은?

  1. 가시광선 및 적외선 주사 방사
  2. 기상자료의 수집
  3. 위성자료의 송신
  4. 기상 상태의 분석 및 예보
(정답률: 알수없음)
  • GMS는 기상 상태의 분석 및 예보를 수행하는 것이 아니라, 가시광선 및 적외선 주사 방사를 통해 지구의 기상 상태를 관측하고, 이를 위성자료로 수집하여 송신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기상 상태의 분석 및 예보"가 주요 기능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수은 기압계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기차보정량은 온도와 기압에 따라 변한다.
  2. 온도보정은 0℃의 상태로 환원하기 위한 것이다.
  3. 중력보정은 표준중력 가속도와 관측소의 실제 중력가속도가 다르기 때문에 필요하다.
  4. 해면갱정은 여러 관측소의 기압차를 비교하기 위하여 같은 기준면의 기압으로 환원하는 것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기차보정량은 온도와 기압에 따라 변한다."가 틀린 설명이 아니다.

    기차보정량은 온도와 기압에 따라 변하기 때문에, 기압계를 사용할 때는 기압과 온도를 함께 고려하여 보정해야 한다. 이를 위해 온도보정과 중력보정, 해면갱정 등의 보정 작업이 필요하다.

    온도보정은 기압계가 0℃의 상태에서 정확한 측정을 할 수 있도록 환원하는 것이다. 중력보정은 표준중력 가속도와 관측소의 실제 중력가속도가 다르기 때문에 필요하다. 해면갱정은 여러 관측소의 기압차를 비교하기 위하여 같은 기준면의 기압으로 환원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고도별 바람 방향과 세기를 표현한 것은?

  1. 호도그래프(Hodograph)
  2. 노모그래프(Nomograph)
  3. 단열선도(Skew T-Log P diagram)
  4. 풍배도(Wind-Rose)
(정답률: 알수없음)
  • 호도그래프는 고도별 바람 방향과 세기를 표현하는 그래프로, 바람의 세기와 방향을 벡터로 나타내어 그린 그래프이다. 이를 통해 대기의 상승기류나 하강기류, 회전 등을 파악할 수 있으며, 기상학에서 매우 중요한 도구로 사용된다. 따라서 정답은 "호도그래프(Hodograph)"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대기의 전기 현상을 나타내는 기호가 틀린 것은?

  1. 뇌전 -
  2. 천둥 -
  3. 극광 -
  4. 세인트 엘모의 불 -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천둥 - "이다. 이 기호는 번개를 나타내는 기호이며, 천둥은 "뇌전 - " 기호로 나타낸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통풍건습계로 습도 관측 시 오차 발생의 주요 원인이 될 수 없는 것은?

  1. 각 온도계의 기차(index error)
  2. 각 온도계의 설치각도
  3. 통풍시간
  4. 습구의 청결 상태
(정답률: 알수없음)
  • 각 온도계의 설치각도는 습도와 관련이 없는 요소이기 때문에, 습도 관측 시 오차 발생의 주요 원인이 될 수 없습니다. 다른 보기들은 습도 측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이기 때문에, 이들은 습도 관측 시 오차 발생의 주요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대형 증발계에서 시침으로 읽은 값은 수온과 수위측정기의 온도가 몇 도일 때로 보정되어야 하는가?

  1. 4℃
  2. 10℃
  3. 15℃
  4. 24℃
(정답률: 알수없음)
  • 시침으로 읽은 값은 수온과 수위측정기의 온도가 같을 때 정확하게 측정된다. 그러나 실제로는 수온과 수위측정기의 온도가 다르기 때문에 보정이 필요하다. 대형 증발계에서는 보통 수위측정기의 온도가 수온보다 약 4℃ 정도 높게 나타난다. 따라서 시침으로 읽은 값이 정확하게 나타나려면 수온과 수위측정기의 온도 차이를 보정해야 하는데, 이 때 보정값은 약 4℃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알베도 메터(Albedometer)로 측정하는 것은?

  1. 표면의 장력(surface tension)
  2. 표면의 흡수력(absorbing power)
  3. 표면의 거칠기(roughness)
  4. 표면의 반사력(reflecting power)
(정답률: 알수없음)
  • 알베도 메터는 태양광이나 다른 광원에서 표면으로 들어오는 복사 에너지와 표면에서 반사되는 복사 에너지를 측정하는데 사용됩니다. 따라서 알베도 메터로 측정하는 것은 표면의 반사력(reflecting power)입니다. 즉, 표면이 얼마나 많은 복사 에너지를 반사하는지를 측정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정지기상위성이 아닌 것은?

  1. GMS
  2. SMS
  3. GOES
  4. NIMBUS
(정답률: 알수없음)
  • 정지기상위성은 지구의 일정한 위치에서 고정되어 있으며, 대기권의 상태를 지속적으로 관측하는 위성을 말합니다. 그러나 NIMBUS는 이와 달리 궤도를 돌며 지구의 대기권, 해양, 지형 등을 다양한 센서를 통해 관측하는 기상위성입니다. 따라서 NIMBUS는 정지기상위성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종관 지상 관측에서 표준시각 정시에 관측하는 요소는?

  1. 기온
  2. 기압
  3. 습도
  4. 바람
(정답률: 알수없음)
  • 기압은 대기의 상태를 나타내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며, 종관 지상 관측에서는 표준시각 정시에 기압을 측정합니다. 이는 대기의 안정성과 불안정성, 기상 변화 등을 예측하는 데 매우 중요한 정보를 제공하기 때문입니다. 또한, 기압은 기상 예보 및 기상 상황 분석에 필수적인 요소이기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전도형 우량계(tipping-bucket rain gauge)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2개의 전도되로 한쪽이 일정량의 물이 고이면 그의 무게로 넘어지고 다른 쪽의 전도되가 교대로 측정하는 원리이다.
  2. 많은 양의 강수를 측정할 때 오차가 커지는 단점이 있다.
  3. 전도형 울야계는 일반형, 온수식, 일수식의 3종류가 있다.
  4. 사이펀 원리를 이용하여 저수형으로 측정하고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사이펀 원리를 이용하여 저수형으로 측정하고 있다는 설명이 틀립니다. 전도형 우량계는 사이펀 원리를 이용하여 물이 일정량 쌓이면 무게로 인해 누전되어 기록되는 원리를 사용합니다. 따라서, "사이펀 원리를 이용하여 저수형으로 측정하고 있다"는 설명은 틀린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기상관측 요소와 단위의 관계가 틀린 것은?

  1. 강수량-mm
  2. 기압-hPa
  3. 일사량-cal/cm2day
  4. 증발량-g
(정답률: 알수없음)
  • 증발량은 일정한 시간 동안 증발한 물의 양을 나타내는데, 이는 일반적으로 mm 또는 cm 단위로 표시됩니다. 따라서 "증발량-g"는 올바르지 않은 단위입니다. 증발량은 일반적으로 액체의 양을 측정하기 때문에 질량 단위인 그램으로 표시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기상위성의 궤도운동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비균질한 지구 중력장의 영향으로 궤도에 섭동(perturbation)이 발생한다.
  2. 위성의 궤도에는 극궤도와 정지궤도 등이 있다.
  3. 정지궤도란 말 그대로 위성이 정지해 있는 궤도를 의미한다.
  4. 극궤도 기상위성의 공전주기는 일반적으로 약 104분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지궤도란 말 그대로 위성이 정지해 있는 궤도를 의미한다."이 부분이 틀린 것이 아니라 정확한 설명이다. 기상위성 중 일부는 정지궤도에 위치하여 지구의 일정한 지점을 바라보며 대기권 상황을 모니터링하고 있다. 따라서 이 부분에 대한 설명은 올바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기상위성자료의 가장 큰 장점은?

  1. 접근이 곤란하거나 거의 불가능한 지역에 대해 준실시간으로 관측자료를 제공한다.
  2. 센서 및 컴퓨터의 발달로 관측 자료의 정확도가 높다.
  3. 다른 관측자료에 비해 처리과정이 단순하다.
  4. 기상위성자료는 위성이 자주 교체되기 때문에 일관성이 없다.
(정답률: 알수없음)
  • 기상위성자료는 지구의 모든 지역을 커버할 수 있기 때문에 접근이 곤란하거나 거의 불가능한 지역에 대해서도 준실시간으로 관측자료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대기열역학

21. 다음 중 비가역인것은?

  1. 단열과정
  2. 위단열과정
  3. 등온위과정
  4. 등엔트로피과정
(정답률: 알수없음)
  • 위단열과정은 열을 주면서 일어나는 과정으로, 역방향으로 진행할 수 없기 때문에 비가역적인 과정이다. 단열과정은 열이 전혀 주어지지 않는 과정이지만, 역방향으로 진행할 수 있기 때문에 가역적인 과정이다. 등온위과정과 등엔트로피과정은 열이나 엔트로피가 일정한 상태에서 일어나는 과정으로, 역방향으로 진행할 수 있기 때문에 가역적인 과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습윤 공기의 단열기온감율은? (단, 850hPa, 10℃를 기준으로 한다.)

  1. 약 1.2℃/100m
  2. 약 1.0℃/100m
  3. 약 0.5℃/100m
  4. 약 0.1℃/100m
(정답률: 알수없음)
  • 습윤 공기의 단열기온감율은 건조한 공기의 단열기온감율보다 작습니다. 이는 습윤 공기가 상승하면서 포화수증기압이 감소하면서 냉각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수증기의 응결열이 열을 흡수하기 때문입니다. 이로 인해 습윤 공기의 단열기온감율은 약 0.5℃/100m 정도로 감소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약 0.5℃/100m"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굴뚝연기가 그림 A와 같이 퍼지고 있다. 이 때 그림 B에서 기온의 연직분포를 나타내는 곡선은?

  1. 1
  2. 2
  3. 3
  4. 4
(정답률: 알수없음)
  • 굴뚝연기는 상승열기류에 의해 위로 올라가면서 냉각되어 점차 확산되므로, 기온은 굴뚝에서 멀어질수록 낮아진다. 따라서 그림 B에서는 굴뚝에서 멀어질수록 기온이 낮아지는 것을 나타내는 곡선이 그려져야 한다. 이에 따라 보기 중에서는 4번이 해당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다음 중 층후(thickness)를 옳게 나타낸 색은? (단, p는 기압, R은 건조공기기체상수, g는 중력상수, 는 층후온도)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

    층후는 대기의 온도가 고도에 따라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대기의 온도는 고도가 증가함에 따라 일정한 비율로 감소하는데, 이를 기압적 층후라고 한다. 기압적 층후는 대기의 온도가 고도에 따라 일정한 비율로 감소하기 때문에, 층후의 단위는 m/K 또는 ft/°F와 같이 표현된다.

    따라서, 올바른 층후의 단위는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단열선도에 기입된 상태곡선을 볼 때, 대기의 안정도는?

  1. 위장재불안정
  2. 잠재불안정
  3. 절대불안정
  4. 절대안정
(정답률: 알수없음)
  • 상태곡선이 기울어져 있고, 대기가 불안정한 영역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대기의 안정도는 "잠재불안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어느 습윤공기덩이의 건조공기만의 분자량을 Md, 수증기만의 분자량을 Mw, 수증기압을 e, 대기압을 p라고 한다면 그 공기덩이의 혼합비는?

(정답률: 알수없음)
  • 혼합비는 건조공기의 질량과 수증기의 질량의 비율이다. 건조공기의 질량은 대기압에서 수증기압을 뺀 압력에서의 체적당 질량이므로 Md = (p-e)/RT 이다. 수증기의 질량은 수증기압에서의 체적당 질량이므로 Mw = e/RT 이다. 따라서 혼합비는 Md/Mw = (p-e)/e 이다. 이 값은 보기에서 ""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고립계에서 엔트로피의 변화가 없는 과정은?

  1. 등압과정
  2. 비가역과정
  3. 응결과정
  4. 단열과정
(정답률: 알수없음)
  • 고립계에서 엔트로피는 변하지 않으므로, 엔트로피 변화가 없는 과정은 역으로 엔트로피가 일정한 과정이다. 이러한 과정은 열이나 질량이 고립계와 주고받지 않는 단열과정이다. 따라서 정답은 "단열과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불포화상태가 유지되는 공기덩어리가 단열운동을 하고 있을 때 이 공기의 온위는?

  1. 상승할 때 높아진다.
  2. 하강할 때 높아진다.
  3. 일정하다.
  4. 불규칙해진다.
(정답률: 알수없음)
  • 불포화상태가 유지되는 공기덩어리는 내부와 외부의 압력이 같으므로, 단열운동을 하더라도 내부에 추가적인 열이 들어오거나 나가지 않는다. 따라서 공기덩어리의 온위는 일정하게 유지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건조단열기온감율을 옳게 나타낸 식은? (단, g는 중력가속도, Cp는 정압비열이다.)

  1. g/Cp
  2. Cp/g
  3. Cp × g
  4. Cp + g
(정답률: 알수없음)
  • 건조단열기온감율은 대기가 상승할 때 온도가 얼마나 빠르게 감소하는지를 나타내는 값이다. 이 값은 대기가 상승할 때 압력이 낮아지면서 대기 분자들이 팽창하고, 이로 인해 내부 에너지가 감소하면서 온도가 감소하기 때문에 발생한다.

    이때 건조단열기온감율은 중력과 정압비열의 영향을 받는다. 중력은 대기 분자들이 상승하는 동안 받는 힘이며, 정압비열은 대기 분자들이 팽창할 때 내부 에너지가 감소하는 정도를 나타내는 값이다.

    따라서 건조단열기온감율을 나타내는 식은 "g/Cp"이다. 이는 중력가속도를 정압비열로 나눈 값으로, 대기 분자들이 상승할 때 받는 중력과 팽창으로 인한 내부 에너지 감소 정도를 모두 고려한 값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건조공기에 대하여 정적비열에 대한 정압비열의 비 Cp/Cv를 계산하면 그 값은?

  1. 약 0.286
  2. 약 0.714
  3. 약 1.4
  4. 약 1.7
(정답률: 알수없음)
  • 정적비열과 정압비열의 차이는 압력의 변화에 따른 엔탈피 변화를 고려하는가 여부입니다. 정적비열은 압력이 변화하지 않는 상태에서 엔탈피 변화를 고려하므로 Cp/Cv 값이 1.4입니다. 이는 이상기체의 경우 모든 분자가 자유롭게 운동하며, 분자당 자유도가 3개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Cp/Cv 값은 1.4로 일정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건조단열감율 Γd과 포화단열감율 Γs을 비교할 때 옳은 것은?

  1. 항상 Γd가 Γs보다 크다.
  2. 항상 Γs가 Γd보다 크다.
  3. 항상 Γd가 Γs가 같다.
  4. Γd가 Γs보다 클 때도 있고 더 작을 때도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항상 Γd가 Γs보다 크다." 이다.

    건조단열감율 Γd은 습기가 없는 상태에서 공기가 가지는 열 팽창률을 나타내는 값이고, 포화단열감율 Γs은 공기가 포화상태에서 가지는 열 팽창률을 나타내는 값이다. 습기가 없는 상태에서는 공기가 더 많은 열을 흡수할 수 있으므로 Γd가 Γs보다 크다. 따라서 항상 Γd가 Γs보다 크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Clapeyron 선도로부터 등면적 변환으로 얻을 수 없는 선도는?

  1. Tephigram
  2. Emagram
  3. Refsdal 선도
  4. Stuve 선도
(정답률: 알수없음)
  • Clapeyron 선도는 기압과 온도의 관계를 나타내는 등압선과 등온선이 직각을 이루는 등면적 변환 선도이다. Tephigram, Emagram, Refsdal 선도는 모두 Clapeyron 선도에서 등면적 변환을 통해 얻을 수 있다. 하지만 Stuve 선도는 등면적 변환으로 얻을 수 없는 선도이다. Stuve 선도는 기압과 온도의 관계를 나타내는 등압선과 습윤단열선이 직각을 이루는 선도로, Clapeyron 선도와는 다른 개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등적과정에서 온도가 10℃인 1kg의 공기가 20℃로 가열되는데 필요한 열량은? (단, 공기의 등적비열은 717JK-1kg-1이다.)

  1. 717cal
  2. 1710cal
  3. 3011cal
  4. 17208cal
(정답률: 알수없음)
  • 공기의 등적비열은 717JK-1kg-1이므로, 1kg의 공기를 1℃ 온도를 올리는 데 필요한 열량은 717J이다. 따라서, 10℃에서 20℃로 가열되는데 필요한 열량은 10℃를 올리는 데 필요한 열량인 717J를 10번 더한 값인 7170J이다. 이 값을 칼로리로 변환하면 1710cal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1710cal"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수증기압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수증기가 공기와 함께 포함되어 있을 때 수증기에 의한 부분압이다.
  2. 수증기가 기체 상태로 남아 있을 수 있는 양의 상한은 한정되어 있으며 이것이 포화수증기압이다.
  3. 포화수증기압은 온도와 압력의 함수이다.
  4. 포화수증기압은 Clausius-Clapeyron 방정식에 의해 주어진다.
(정답률: 알수없음)
  • 틀린 것은 없습니다. 포화수증기압은 온도와 압력의 함수이며, Clausius-Clapeyron 방정식을 통해 계산됩니다. 수증기가 공기와 함께 포함되어 있는 경우 수증기에 의한 부분압은 포화수증기압과 상관없이 존재할 수 있습니다. 포화수증기압은 수증기가 기체 상태로 남아 있을 수 있는 양의 상한값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한 축이 압력(p)이고, 다른 한 축이 부피(v)인 단열선도의 명칭은?

  1. Clapeyron 선도
  2. Tephigram
  3. Emagram
  4. Stuve 선도
(정답률: 알수없음)
  • Clapeyron 선도는 압력과 부피의 관계를 나타내는 단열선도이다. 이 선도는 기체의 상태방정식인 Clapeyron 방정식을 이용하여 유도되며, 기체의 온도와 상관없이 적용 가능하다. 따라서 압력과 부피의 변화에 따른 상태 변화를 예측하는 데 유용하게 사용된다. Tephigram은 온도와 습도의 관계를 나타내는 선도, Emagram은 온도와 대기 안정도의 관계를 나타내는 선도, Stuve 선도는 온도와 고도의 관계를 나타내는 선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주의의 기온감율을 Γ, 건조단열감율을 Γd라 할 때, Γ>Γd인 경우, 다음 중 일어나기 어려운 현상은?

  1. 대류
  2. 안개
  3. 적란운
  4. 천둥번개
(정답률: 알수없음)
  • Γ>Γd인 경우, 대기가 불안정해져서 상승기류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상황에서는 수증기가 상승기류를 따라 올라가면서 높은 고도에서 냉각되어 안개가 형성되기 어렵다. 따라서 안개는 일어나기 어려운 현상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수증기의 분자량을 Mv, 건조공기의 분자량을 Md로 놓을 때 Mv/Md는?

  1. 0.622
  2. 0.717
  3. 1.033
  4. 8.314
(정답률: 알수없음)
  • Mv/Md는 0.622이다. 이는 수증기 분자량이 건조공기 분자량의 약 0.622배라는 것을 의미한다. 이 값은 대기과학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대기 중 수증기의 양은 대기의 상대습도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P는 압력, V는 부피라 할 때 내부에너지(U)와 엔탈피(H)사이의 식은?

  1. H = U + P·V
  2. H = U - P·V
  3. H = -U + P·V
  4. H = -U -P·V
(정답률: 알수없음)
  • "H = U + P·V" 식은 기체나 액체 등의 상태에서 열역학적인 변화를 설명하는 중요한 식 중 하나입니다. 이 식은 내부에너지(U)와 압력(P)과 부피(V)의 곱인 일(P·V)의 합으로 엔탈피(H)를 표현합니다. 이는 엔탈피가 내부에너지와 일(P·V)의 합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엔탈피 변화는 내부에너지 변화와 일(P·V)의 변화의 합으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대류권에서 습윤단열기온감율(W)과 건조단열기온감율(D)의 관계식으로 옳은것은?

  1. W>D
  2. W = D
  3. W<D
  4. W = D = 0
(정답률: 알수없음)
  • 대류권에서 습윤단열기온감율(W)은 건조단열기온감율(D)보다 작습니다. 이는 대기 중 수증기가 존재하면 수증기 분자와 대기 분자 간의 충돌로 인해 열이 전달되기 때문입니다. 이로 인해 습윤공기는 건조공기보다 더 빠르게 상승하며, 상승할 때마다 냉각되는 정도도 더 큽니다. 따라서 습윤단열기온감율(W)은 건조단열기온감율(D)보다 작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W<D"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기온이 273K인 어떤 공기덩이를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면서 그 체적을 2배로 팽창시키면 기온은?

  1. 273K
  2. 546K
  3. 819K
  4. 1092K
(정답률: 알수없음)
  • 이 문제는 기체의 상태방정식을 이용하여 풀 수 있습니다. 상태방정식은 PV = nRT로 표현됩니다. 여기서 P는 압력, V는 체적, n은 몰수, R은 기체상수, T는 절대온도를 나타냅니다.

    문제에서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면서 체적을 2배로 팽창시키는 것이므로, P1V1 = P2V2가 성립합니다. 여기서 P1은 초기 압력, V1은 초기 체적, P2는 최종 압력, V2는 최종 체적을 나타냅니다.

    문제에서 초기 체적은 V1이고, 최종 체적은 2V1이므로, P1V1 = P2(2V1)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이를 정리하면 P2 = P1/2가 됩니다.

    따라서, 상태방정식에 대입하여 기온을 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P1V1 = nRT1
    P2V2 = nRT2

    P1V1 = P2V2
    P1V1 = (P1/2)(2V1)
    P1V1 = P1V1
    P1 = P1/2
    1/2 = V2/V1
    V2 = 2V1

    따라서, T2 = (P2V2)/(nR) = (P1/2)(2V1)/(nR) = (P1V1)/(nR) = T1 = 273K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대기운동학

41. 관성류(inertial flow)의 설명 중 틀린 것은?

  1. 원운동을 하며 이 원의 반경을 관성반경이라 한다.
  2. 북반구에서 항상 고기압성 운동을 한다.
  3. 주기는 반진자일과 같다.
  4. 기압경도력과 원심령이 평형을 이룬다.
(정답률: 알수없음)
  • "북반구에서 항상 고기압성 운동을 한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관성류는 대기의 회전운동에 의해 발생하는 대기의 수평운동으로, 북반구에서는 고기압성 운동과 저기압성 운동이 번갈아 나타납니다.

    기압경도력과 원심력이 평형을 이루는 이유는, 기압경도력은 대기의 압력차에 의해 발생하는 수평력이고, 원심력은 대기의 회전운동에 의해 발생하는 수직력입니다. 이 두 힘이 평형을 이루면, 관성류가 일어나게 됩니다. 이 때, 관성류는 원운동을 하며 이 원의 반경을 관성반경이라고 합니다. 주기는 반진자일과 같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온도풍(thermal wind)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두 층의 바람 벡터의 차
  2. 두 층의 지균풍의 벡터 차
  3. 고온에서 저온으로 부는 바람
  4. 두 층의 바람 크기의 차
(정답률: 알수없음)
  • 온도풍(thermal wind)은 대기에서 온도 차이로 인해 발생하는 수평 바람의 변화를 의미한다. 이는 두 층의 지균풍의 벡터 차에 의해 발생한다. 즉, 상층과 하층의 지균풍이 서로 다르면, 그 차이에 따라 온도풍이 발생하게 된다. 이는 대기의 수직 구조와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대기의 안정성과 불안정성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지오포텐샬(geopotential)의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해면으로부터 어느 일정한 높이까지의 거리를 나타내는 단위이다.
  2. 지표에서 어느 일정한 높이까지 물체를 올리는데 필요한 일의 양이다.
  3. 지표로부터 어느 일정한 높이까지의 높이를 말한다.
  4. 해면에서 어느 일정한 높이까지 단위 질량의 물체를 올리는데 필요한 일의 양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해면에서 어느 일정한 높이까지 단위 질량의 물체를 올리는데 필요한 일의 양이다. 이는 지구 중력장과 관련이 있으며, 지형의 높이를 나타내는 지표로 사용된다. 즉, 지표의 높이와는 다른 개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비교적 높은 장애물이 있는 지표층의 장애물 높이 이하의 층은?

  1. 혼합층
  2. 캐노피층
  3. 대기경계층
  4. 내부경계층
(정답률: 알수없음)
  • 캐노피층은 숲이나 식물 등의 장애물이 높은 지표층에서 형성되는 층으로, 이 지표층 위에 위치하며 장애물 높이 이하의 공간을 차지합니다. 따라서 비교적 높은 장애물이 있는 지표층의 장애물 높이 이하의 층은 캐노피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지면마찰에 기인한 하층공기의 수렴이 발생하여 그 상단을 통하여 내부 영역의 상대 소용돌이도에 비례하는 연직류가 발생하는 현상은?

  1. 상대수렴
  2. 절대수렴
  3. 회전수렴
  4. 에크만수렴
(정답률: 알수없음)
  • 지면마찰로 인해 하층공기가 수렴하면서 상대적으로 높은 속도를 가진 상층공기와 만나게 되면, 상대적인 운동에너지가 상승하여 상층공기는 하층공기 위로 올라가게 됩니다. 이때, 상층공기의 상승으로 인해 하층공기는 상대적으로 낮은 압력을 경험하게 되고, 이로 인해 하층공기는 상승하게 됩니다. 이러한 과정에서 발생하는 연직류를 에크만수렴이라고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마찰이 없는 상태에서 기압장이 수평적으로 균일하여 기압경도력이 없는 경우에 일어나는 바람은?

  1. 관성풍
  2. 지균풍
  3. 선형풍
  4. 경도풍
(정답률: 알수없음)
  • 기압장이 균일하고 기압경도력이 없는 상황에서는 바람이 일어나지 않을 것 같지만, 지구의 회전으로 인해 바람이 일어납니다. 이것은 관성풍이라고 불리며, 지구의 회전에 의해 바람이 일어나는 것입니다. 관성풍은 일정한 속도와 방향으로 일어나며, 지구의 회전축과 수직한 방향으로 일어납니다. 따라서, 정답은 "관성풍"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그림의 두 판 사이에 유체가 있다. 이 유체가 받는 단위 면적당 점성력을 표현한 것은?

  1. τzz
  2. τxx
  3. τyy
  4. τzy
(정답률: 알수없음)
  • 그림에서 유체는 y축 방향으로 흐르고 있으므로, y축 방향으로의 점성력이 존재한다. 이를 나타내는 것이 τzy이다. τzz는 z축 방향으로의 점성력, τxx는 x축 방향으로의 점성력, τyy는 y축 방향으로의 점성력이 아니므로 정답은 τzy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대상 운동에너지가 대상 유효위치에너지로 전환되는 순환세포는?

  1. Hadley 세포
  2. Ferrel 세포
  3. Polar 세포
  4. 적도 세포
(정답률: 알수없음)
  • Ferrel 세포는 대상 운동에너지가 대상 유효위치에너지로 전환되는 순환세포입니다. 이는 대기순환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지구 상에서 발생하는 열과 습도의 분포를 조절하는 데에 기여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원형의 등압선을 갖는 고기압과 저기압의 특성 설명 중 틀린 것은?

  1. 지면마찰이 없다면 공기는 수평면 내에서 원운동을 한다.
  2. 마찰의 영향으로 바람은 등압선을 가로질러 흐른다.
  3. 지면마찰의 영향으로 저기압에서는 수렴하는 기류가 상승하므로 날씨가 악화된다.
  4. 지상저기압의 중심 부근에서는 상층지 수렴이 계속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지상저기압의 중심 부근에서는 상층지 수렴이 계속된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지상저기압의 중심 부근에서는 상층의 공기가 수렴하여 하강하게 되어 안정한 기상 조건을 만들어내기 때문에 상층지 수렴이 아닌 상층지 발산이 일어납니다. 이는 지상저기압의 중심 부근에서는 대기가 상승하며 구름이 생기고 강수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다음 중 기압좌표계로 표현된 기압경도력은? (p는밀도, P는기압, ø는geopotential)

  1. -▽ø
  2. -p▽P
(정답률: 알수없음)
  • 기압경도력은 기압경도의 기울기에 비례하는데, 기압경도는 기압면과 등압면의 교차점에서 수직으로 작용하는 힘이다. 이 때, 등압면은 등밀도면과 일치하므로 등압면에서의 기압경도는 등밀도면에서의 기압경도와 같다. 따라서, 기압경도력은 등밀도면에서의 기압경도력과 같으며, 등밀도면에서의 기압경도력은 기압면에서의 기압경도력과 같다.

    기압면에서의 기압경도력은 기압면에서의 기압경도의 기울기에 비례하므로, 기압면에서의 기압경도는 -▽P이다. 또한, 등밀도면에서의 기압경도는 등밀도면에서의 기압경도의 기울기에 비례하므로, 등밀도면에서의 기압경도는 -▽ø이다. 따라서, 정답은 "-▽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상대와도(ξ)와 순환(C)의 관계를 적절하게 표현한 식은? (A는 순환이 일어나는 임의 폐곡선의 면적이다.)

  1. ξ = AC
  2. ξ = C/A
  3. ξC = A
  4. ξC/A 상수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ξ = C/A"이다.

    이유는 상대와도(ξ)는 폐곡선의 길이와 면적에 비례하기 때문이다. 즉, 상대와도(ξ)는 폐곡선의 길이를 L, 면적을 A라고 할 때, ξ = kA (k는 상수)로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순환(C)은 폐곡선의 길이와 동일하다. 따라서, C = L이다.

    따라서, ξ = kA = k(C²/A) = kC(C/A) = ξC/A가 된다.

    따라서, "ξ = C/A"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중위도 종관규모에서 절대와도 변화율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항은?

  1. 발산항
  2. Tilting항
  3. Solenoidal항
  4. 마찰항
(정답률: 알수없음)
  • 중위도 종관규모에서 절대와도 변화율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항은 발산항입니다. 이는 발산항이 유체의 질량 보존 법칙을 나타내는 항으로, 유체의 질량이 변화하면 발산항의 값도 변화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유체의 질량이 변화하는 경우, 발산항이 절대와도 변화율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풍속장(Wind field)을 아래 그림과 같이 유선으로 나타내었을 때 다음 중 어느 것과 가장 관계가 깊은가?

  1. 병진 운동(translation)
  2. 와도(vorticity)
  3. 변형(deformation)
  4. 발산(divergence)
(정답률: 알수없음)
  • 풍속장은 대기의 운동을 나타내는데, 이 중에서 변형은 대기의 변형 정도를 나타내는데, 이는 대기의 압축과 팽창에 따라 변화하게 된다. 따라서 풍속장과 가장 관계가 깊은 것은 "변형(deformation)"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다음 중 beta 인자 β=df/dy한 옳은 표현은?

  1. β는 남반구에서 -값, 북반구에서 +값을 갖는다.
  2. β는 고위도로 갈수록 큰 값을 갖는다.
  3. β는 지구 어디에서나 양의 값을 갖는다.
  4. β는 적도를 중심으로 남북 대칭 값을 갖는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β는 적도를 중심으로 남북 대칭 값을 갖는다." 이다.

    이유는 대기 중의 수증기와 구름이 태양 복사를 흡수하고 방출하는 방식이 적도와 고위도 지역에서 다르기 때문이다. 적도 지역에서는 대기 중의 수증기와 구름이 태양 복사를 흡수하고 방출하는 데에 있어서 고도가 높은 지역보다 효율적이기 때문에 β 값이 작아진다. 반면에 고위도 지역에서는 태양 복사가 적게 도달하기 때문에 대기 중의 수증기와 구름이 태양 복사를 흡수하고 방출하는 데에 있어서 효율이 떨어지기 때문에 β 값이 커진다. 이러한 이유로 β 값은 적도를 중심으로 남북 대칭 값을 갖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다음 중 지상일기도에서 등압선과 풍향이 이루는 각이 가장 큰 곳은?

  1. 잔잔한 바다
  2. 눈 덮인 빙설원
  3. 평평한 사막
  4. 나무 많은 산악지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나무 많은 산악지"입니다. 이곳은 지형이 복잡하고 고도가 높아서 등압선이 많이 굽어지고, 그에 따라 풍향이 자주 바뀌기 때문에 등압선과 풍향이 이루는 각이 가장 큽니다. 반면에 "잔잔한 바다"나 "평평한 사막"은 지형이 단순하고 고도가 낮아서 등압선이 거의 굽어지지 않고, 풍향도 일정하기 때문에 등압선과 풍향이 이루는 각이 작습니다. "눈 덮인 빙설원"은 지형이 복잡하지만 고도가 낮아서 등압선이 굽어지지만, 바람이 거의 없어서 풍향이 일정하기 때문에 등압선과 풍향이 이루는 각이 작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대기경계층의 특성이 아닌 것은?

  1. 지면 마찰의 영향이 크다.
  2. 난류 발생이 빈번하다.
  3. 혼합층이 종종 존재한다.
  4. 지균풍이 분다.
(정답률: 알수없음)
  • 지균풍은 대기경계층에서 발생하지 않는다. 대기경계층은 지면과 대기 사이의 매우 얇은 층으로, 지면 마찰, 난류 발생, 혼합층 등의 특성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지균풍은 대기의 상층에서 발생하는 바람으로, 대기경계층과는 관련이 없다. 따라서 "지균풍이 분다"가 대기경계층의 특성이 아닌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다음 중 동서방향 순환은?

  1. 극세포 순환
  2. 페렐 순환
  3. 해들리 순환
  4. 워커 순환
(정답률: 알수없음)
  • 동서방향 순환은 대류운동의 일종으로, 태양열에 의해 발생하는 지구 대기의 열적 차이로 인해 발생합니다. 이 중에서 워커 순환은 지구의 서쪽에서 동쪽으로 불어오는 상층 바람과, 적도 지역에서 북쪽으로 불어오는 하층 바람이 만나서 발생하는 대류운동입니다. 이 대류운동은 대기 중의 먼지와 습기를 북쪽으로 운반하며, 아프리카 대륙에서 발생한 모래 먼지를 북미 대륙까지 운반하는 등 지구 환경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기상 현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북위 30도에 위치한 어떤 공기덩이가 5.0×10-5/s의 절대소용돌이도를 가지고 있다. 공기덩이가 절대소용돌이도를 보존하면서 북위 90도로 이동하였을 때 갖게 되는 상대소용돌이도는? (단, 북극에서 지구자전에 의한 행성소용돌이도는 1.4×10-4/s)

  1. 3.6×10-5/s
  2. -7.2×10-5/s
  3. 19.0×10-5/s
  4. -9.0×10-5/s
(정답률: 알수없음)
  • 상대소용돌이도는 공기덩이가 위치한 지역의 소용돌이도와 지구의 자전 속도의 차이로 결정된다. 북위 30도에서의 절대소용돌이도는 5.0×10-5/s 이므로, 상대소용돌이도는 지구의 자전 속도인 1.4×10-4/s에서 5.0×10-5/s를 뺀 값인 9.0×10-5/s가 된다. 이 값은 공기덩이가 북위 90도로 이동하더라도 절대소용돌이도를 보존하므로 변하지 않는다. 따라서 정답은 "-9.0×10-5/s"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등압면좌표계(x, y, p)에서 대기의 정적 안정도를 표시하는 매개변수를 나타낸 식은? (단, θ는 온위, T는 기온, p는 기압, R은 기체상수, Cp는 정압비열을 표시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적 안정도를 나타내는 매개변수는 대기의 상승기류가 안정적인지 불안정적인지를 판단하는 중요한 지표이다. 이 매개변수는 대기의 온도 변화율과 수증기의 포화수증기압 변화율을 비교하여 결정된다. 따라서 보기 중에서 온도 변화율과 수증기의 포화수증기압 변화율을 모두 고려한 ""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종관규모의 운동에서 연직 P - 속도(ω)의 근사값으로 가장 적합한 식은? (단, p는 기압, v는 속도벡터, W는 연직속도, t는 시간, ρ는 공기밀도, g는 중력가속도)

(정답률: 알수없음)
  • 운동에서 연직 P - 속도(ω)의 근사값으로 가장 적합한 식은 "" 이다. 이유는 이 식이 베르누이 방정식에서 유도된 것으로, 기압과 속도의 관계를 가장 정확하게 나타내기 때문이다. 이 식은 연직 운동에서도 적용 가능하며, ω는 연직 속도를 나타낸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기후학

61. 클라이모그래프(Climograph)의 요소는?

  1. 습구온도와 상대습도
  2. 습구온도와 건구온도
  3. 습구온도와 풍속
  4. 습구온도와 우량
(정답률: 알수없음)
  • 클라이모그래프는 지역의 기후를 시각적으로 나타내는 그래프로, 일반적으로 온도와 강수량을 표시한다. 그 중에서도 "습구온도와 상대습도"가 요소로 포함되는 이유는 기후를 이해하는 데 있어서 습도는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습도는 공기 중의 수증기의 양을 나타내며, 온도와 함께 고려해야 하는 요소이다. 따라서 습구온도와 상대습도는 지역의 기후를 이해하는 데 필수적인 정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우리 나라의 여름기후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기압배치는 대체로 남고북저형이다.
  2. 북태평향 기단의 영향으로 고온 건조한 날씨가 된다.
  3. 태풍의 내습으로 인한 피해가 종종 있다.
  4. 연중 가장 강수량이 많은 계절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북태평향 기단의 영향으로 고온 건조한 날씨가 된다."가 틀린 설명이다. 실제로는 여름에는 남쪽에서 북쪽으로 불어오는 남태평양고기압의 영향으로 습한 날씨가 많이 나타나며, 태풍이나 장마전선의 영향으로 강한 비가 내리는 경우도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열대우림기후(Koppen 구분에서의 Af 및 Am)의 특색에 대한 내용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연중 고온으로 연평균 기온이 대륙내부에선 27℃ 이상이다.
  2. 기온의 일교차가 연교차와 같이 매우 작다.
  3. 적도 저압대가 주로 위치하는 지역이다.
  4. 거의 매일 스콜(squall)이 내린다.
(정답률: 알수없음)
  • 거의 매일 스콜이 내리는 것은 열대우림기후의 특색 중 하나가 아니기 때문에 적합하지 않은 것이다.

    기온의 일교차가 연교차와 같이 매우 작은 이유는, 열대지방에서는 일년 내내 일출과 일몰 시간이 거의 일정하기 때문에 일교차가 크지 않고, 또한 대기 중 수증기 함량이 높아서 낮에는 열이 잘 흡수되고 밤에는 잘 방출되어 기온 차이가 크지 않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해면 기압의 전 지구 분포에 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1. 북태평양의 알류산 저기압은 여름철에 발달한다.
  2. 아열대 고기압대의 형성은 주로 열적인 원인이다.
  3. 북반구 아열대 고기압은 겨울철보다 여름철에 강화된다.
  4. 적도지방에는 기온이 높아 별로 발달되지 않은 고기압대가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해면 기압은 지구 상에서 지역에 따라 다르게 분포하며, 이는 지역의 기후와 관련이 있다. 북태평양의 알류산 저기압은 여름철에 발달하며, 이는 열대 저기압과 관련이 있다. 아열대 고기압은 열적인 원인으로 형성되며, 이는 지구 상에서 가장 건조하고 안정된 기상 조건을 제공한다. 따라서, 북반구 아열대 고기압은 겨울철보다 여름철에 강화된다. 이는 태양 복사량이 많아지고, 대륙적 고기압이 강화되는 영향 등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해 발생한다. 적도지방에는 기온이 높아 별로 발달되지 않은 고기압대가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다음 중 사막화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가뭄과 홍수가 반복되는 과정을 거치면서 진행된다.
  2. 사헬(Sahel)은 사막화가 가장 활발하게 진행되는 지역중의 한 곳이다.
  3. 인간활동과 직접적인 연관성은 없다.
  4. 알베도의 증가와 잠열속(latent heat flux)의 감소에 따른 지면 온도의 상승과 관련이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인간활동과 직접적인 연관성은 없다."가 사막화의 특징이 아닌 것은 맞습니다. 사막화는 기후 변화, 지질적 요인, 자연적인 가뭄과 홍수 등 여러 요인에 의해 발생하는데, 인간활동과 직접적인 연관성은 없습니다. 하지만 인간의 과잉 개발, 산림 파괴, 지하수 과소 추출 등은 사막화를 가속화시키는 요인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기후인자라고 볼 수 없는 것은?

  1. 위도
  2. 해발고도
  3. 일사량
  4. 지형
(정답률: 알수없음)
  • 일사량은 기후인자가 아닌 기상학적인 요소이기 때문에 기후인자라고 볼 수 없습니다. 기후인자는 대기, 해양, 지형 등에 의해 영향을 받아 기후를 결정하는 요소들을 말합니다. 일사량은 태양에서 발생한 복사 에너지가 지구 대기권에 도달하여 지표면에 닿는 양을 나타내는 것으로, 기후를 결정하는 요소가 아니기 때문에 기후인자라고 볼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쾨펜(Koppen)의 기후구분 특성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자연식생
  2. 기온과 강수량
  3. 수분효율
  4. 바다와 육지의 분포
(정답률: 알수없음)
  • 쾨펜의 기후구분은 기온과 강수량, 수분효율 등을 고려하여 지역의 기후를 분류하는 방법입니다. 그 중에서도 바다와 육지의 분포는 지역의 기후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바다 근처는 기온 변화가 적고 강수량이 많아 습도가 높으며, 육지는 기온 변화가 크고 강수량이 적어 습도가 낮습니다. 따라서 바다와 육지의 분포에 따라 지역의 기후가 크게 달라지며, 이는 쾨펜의 기후구분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쾨펜의 기후구분 중 일부를 그림으로 표시하였다. 그림에서 ①로 표시되는 기후형태는? (단, 최한월의 평균기온은 18℃ 이상이다.)

  1. Aw
  2. Af
  3. Cw
  4. Cf
(정답률: 알수없음)
  • ①은 "Aw" 기후형태이다. "Aw"는 열대 습윤 기후를 나타내는데, 최한월 평균기온이 18℃ 이상이고, 월간 강수량이 일정하게 분포되어 있으며, 건조한 계절과 비가 많이 오는 계절이 구분되지 않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그림에서 보면 연중 강수량이 일정하게 분포되어 있으며, 최한월 평균기온도 18℃ 이상이므로 "Aw" 기후형태에 해당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과거의 기후를 추정하는데 있어 가장 관계가 적은 것은?

  1. 단층
  2. 화석
  3. 고토양
  4. 호상점토
(정답률: 알수없음)
  • 단층은 지형적인 특성을 나타내는 지층의 일종으로, 기후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반면에 화석, 고토양, 호상점토는 지질학적인 측면에서 과거의 기후를 추정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단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세로축에 월평균 기온, 가로축에 월 강수량을 잡아 월별 분포를 그래프로 나타내어 체감기후를 판단한 것은?

  1. 하이더 그래프
  2. 풍배도
  3. 모노그래프
  4. 실효온도계산 그래프
(정답률: 알수없음)
  • "하이더 그래프"는 세로축에 월평균 기온, 가로축에 월 강수량을 나타내어 월별 분포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입니다. 이 그래프는 체감기후를 판단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하이더 그래프"는 월별 기온과 강수량의 관계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어서 유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하루 중 상대습도가 가장 높을 때는?

  1. 아침
  2. 저녁
(정답률: 알수없음)
  • 아침에는 지표면과 대기 사이의 온도 차이가 크기 때문에 이슬이 많이 생기고, 이로 인해 상대습도가 높아집니다. 따라서 하루 중 상대습도가 가장 높은 시간은 아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대기의 온실효과에 주된 역할을 하는 대기중의 성분은?

  1. 산소
  2. 질소
  3. 이산화탄소
  4. 수증기
(정답률: 알수없음)
  • 수증기는 대기 중에서 가장 많은 온실효과를 일으키는 성분입니다. 이는 수증기가 태양으로부터 오는 자외선을 흡수하고 지구로 돌아온 열을 잡아두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수증기는 지구의 기온 상승에 큰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다음 저기압계 중 1년을 통하여 그 위치가 거의 변하지 않는 것은?

  1. 아시아 대륙 중앙에 형성되는 저기압
  2. 알류산 열도부근에 위치한 저기압
  3. 양자강 부근에서 형성되는 저기압
  4. 적도부근에 생기는 저기압
(정답률: 알수없음)
  • 알류산 열도는 북극과 아시아 대륙 사이에 위치한 섬으로, 주변 해수면이 차가운 영향을 받아 기온이 낮고 안정적인 기상 조건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알류산 열도 부근에 위치한 저기압은 주변 기상 조건이 거의 변하지 않아 1년을 통해 위치가 거의 변하지 않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다음 그림과 같은 월별 강수량의 특징을 보이는 기후형은?

  1. 한대기후형
  2. 온대기후형
  3. 몬순기후형
  4. 지중해기후형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지중해기후형"입니다.

    이유는 월별 강수량이 겨울철에는 비교적 많고, 여름철에는 거의 없는 것으로 보아, 지중해기후형의 특징인 겨울철 강수량이 많고, 여름철 건조한 기후형과 일치하기 때문입니다. 또한, 이 지역의 기온은 온화하며, 해안성 기후의 영향을 받아 계절 간 기온 차이가 크지 않습니다. 이러한 특징들이 지중해기후형의 특징과 일치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연평균 강수량이 1000mm이고 연평균 기온이 20℃라면 이 지역의 우량인자는?

  1. 2
  2. 5
  3. 20
  4. 50
(정답률: 알수없음)
  • 우량인자는 연평균 강수량을 연평균 기온으로 나눈 값이다. 따라서, 1000mm을 20℃로 나눈 값인 50이 우량인자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여름철 열적도(thermal equator)의 위치로 적절하지 못한 것은?

  1. 사하라 사막
  2. 아라비아 반도
  3. 페루 해안
  4. 태평양 북위 10도 해상
(정답률: 알수없음)
  • 열적도는 태양열이 가장 집중적으로 모이는 지역을 말하는데, 아라비아 반도는 여름철에도 습하고 더운 기후로 인해 태양열이 분산되어 모이지 않기 때문에 열적도의 위치로 적절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아라비아 반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정상적인 기후체계는 외적강화요인과 내적복사강화요인, 인간활동에 의한 변화 그리고 피드백 효과 등의 복합적인 작용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 중 내적복사강화요인에 해당하는 것은?

  1. 천문학적 요인
  2. 대기조성
  3. 태양변화
  4. 지반운동
(정답률: 알수없음)
  • 내적복사강화요인은 지구 대기 내부에서 일어나는 복사와 흡수 과정으로 인해 발생하는 기후 변화를 의미한다. 대기조성은 이 중에서도 가장 중요한 요인 중 하나로, 대기 중의 온실가스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지구의 기온이 상승하게 된다. 이는 인간 활동에 의한 이산화탄소 배출 등이 원인이며, 이로 인해 지구 온난화가 가속화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대기조성은 내적복사강화요인 중에서도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지구 생성 초기의 원시 대기의 주된 구성 기체는?

  1. 질소와 산소
  2. 메탄과 이산화탄소
  3. 산소와 수증기
  4. 수증기와 이산화탄소
(정답률: 알수없음)
  • 지구 생성 초기에는 원시 대기가 형성되었는데, 이 대기는 수증기와 이산화탄소가 주된 구성 기체였습니다. 이는 지구의 초기 환경에서는 산소와 질소와 같은 기체가 아직 존재하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이후 지구의 지속적인 변화와 함께 대기의 구성도 변화하게 되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다음 기후 아시스템(subsystem) 중 열적 관성(therman inertia)이 가장 짧은 것은?

  1. 대기권
  2. 수권
  3. 빙권
  4. 생권
(정답률: 알수없음)
  • 대기권이 열적 관성이 가장 짧은 이유는 대기가 높은 열전도성과 낮은 열용적을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이는 대기가 빠르게 열을 흡수하고 방출할 수 있어서 온도 변화에 빠르게 반응할 수 있게 됩니다. 반면, 수권, 빙권, 생권은 물이라는 높은 열용적을 가지고 있어서 열을 흡수하고 방출하는 데 시간이 더 오래 걸리기 때문에 열적 관성이 더 큽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다음 중 주기가 가장 긴 변동은?

  1. intra-seasonal oscillation
  2. inter-decadal oscillation
  3. El Nino
  4. annual cycle
(정답률: 알수없음)
  • 주기가 가장 긴 변동은 "inter-decadal oscillation"입니다. 이는 10년에서 30년 이상의 긴 기간 동안 발생하는 기후 변동으로, 대기와 해양 간의 상호작용에 의해 발생합니다. 이러한 변동은 지구 온난화와 관련이 있을 수 있으며, 지구의 기후 시스템에 영향을 미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일기분석 및 예보론

81. 500hPa 일기도에서 이상 기상현상이 나타날 때의 등지오포텐셜 고도의 분포 상태는?

  1. Zonal 형
  2. Meander 형
  3. 조밀
  4. 완만
(정답률: 알수없음)
  • 500hPa 일기도에서 이상 기상현상이 나타날 때 등지오포텐셜 고도의 분포 상태는 Meander 형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는 대기의 흐름이 서로 다른 경로를 따라 이동하면서 고도차가 형성되는 현상으로, 이상 기상현상이 발생하는 원인 중 하나입니다. Zonal 형은 대기의 흐름이 서로 평행하게 이동하는 형태이며, 조밀 형은 고도차가 크게 형성되지 않는 형태이며, 완만 형은 고도차가 서서히 변하는 형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위도에 따른 권계면 고도가 가장 높은 곳은?

  1. 저위도 상공
  2. 중위도 상공
  3. 고위도 상공
  4. 극지방 상공
(정답률: 알수없음)
  • 저위도 지역은 태양으로부터 직접적인 일사가 많이 도달하기 때문에 대기가 가장 높은 온도로 가열됩니다. 이 가열된 공기는 상승 기류를 형성하며, 이로 인해 권계면 고도가 가장 높아집니다. 따라서 저위도 상공이 권계면 고도가 가장 높은 곳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1000 ~ 500 hPa 층후층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700hPa의 온도분포와 비슷하다.
  2. 지상전선의 한기쪽에 등층후선이 조밀하다.
  3. 대기 하층의 기온분포와 관계없다.
  4. 층후선이 조밀한 곳에 강풍대가 위치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대기 하층의 기온분포와 관계없다." 이다. 1000 ~ 500 hPa 층후층은 대기의 중간층에 해당하며, 대기 하층의 기온분포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다. 다른 보기들은 층후층의 특징으로서, 700hPa의 온도분포와 비슷하다는 것은 700hPa와 유사한 대기층이라는 것을 의미하며, 지상전선의 한기쪽에 등층후선이 조밀하다는 것은 전선이 있는 지역에서 층후선이 밀집해지는 경향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층후선이 조밀한 곳에 강풍대가 위치한다는 것은 층후선이 강풍의 원인이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Showalter의 안정도 지수는 850hPa의 공기를 어느 고도까지 상승시켜 구하는가?

  1. 600hPa
  2. 700hPa
  3. 500hPa
  4. 300hPa
(정답률: 알수없음)
  • Showalter의 안정도 지수는 850hPa에서 500hPa까지의 대기 안정도를 나타내는 지수이다. 따라서 정답은 "500hPa"이다. 850hPa에서 500hPa까지의 공기 상승이 안정한 상태에서 일어나면 안정도 지수는 양수가 되고, 불안정한 상태에서 일어나면 음수가 된다. 따라서 안정한 대기 상태를 나타내는 500hPa까지의 상승 높이를 구하는 것이 중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북반구 저기압 중심 부근에서의 경도풍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바람방향이 등압선과 경사를 이루고 마찰력과 평형을 이루고 있는 경우
  2. 원심력이 수평기압 경도력과 Coriolis힘을 합한 것과 평형을 이루는 경우
  3. 수평기압 경도력이 Coriolis힘과 원심력을 합한 것과 평형을 이루는 경우
  4. Coriolis힘이 수평기압 경도력과 원심력을 합한 것과 평형을 이루는 경우
(정답률: 알수없음)
  • 북반구에서는 Coriolis 힘이 북쪽으로 작용하므로, 북쪽으로 이동하는 바람은 오른쪽으로 편향됩니다. 이 때, 바람은 등압선과 경사를 이루고 마찰력과 평형을 이루게 됩니다. 따라서 "바람방향이 등압선과 경사를 이루고 마찰력과 평형을 이루고 있는 경우"와 "원심력이 수평기압 경도력과 Coriolis힘을 합한 것과 평형을 이루는 경우"는 옳지 않습니다.

    반면, 수평기압 경도력은 등압선 사이의 기압차에 의해 발생하며, 바람을 등압선에 따라 이동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이 때, Coriolis 힘과 원심력이 수평기압 경도력과 합쳐져 평형을 이루게 됩니다. 따라서 "수평기압 경도력이 Coriolis힘과 원심력을 합한 것과 평형을 이루는 경우"가 옳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영동지방에서 대설의 원인이 되는 기압배치는?

  1. cPk기단이 만주와 연해주를 거쳐서 동해로 확장할 때
  2. cPk기단이 남고 북저형일 때
  3. mPw기단이 쇠약될 때
  4. cEw기단이 북상할 때
(정답률: 알수없음)
  • 영동지방에서 대설의 원인이 되는 기압배치는 cPk기단이 만주와 연해주를 거쳐서 동해로 확장할 때입니다. 이는 cPk기단이 차가운 대륙성 기류와 만나서 상승기류를 형성하고, 이 상승기류가 불안정한 대기를 만나면서 대설을 유발하기 때문입니다. 만주와 연해주를 거쳐 동해로 확장하는 이유는 이 지역에서 차가운 대륙성 기류와 따뜻한 해양 기류가 충돌하기 때문에 대기가 불안정해지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다음 중 전선발생이 가장 잘 일어나는 지면 부근의 대기운동은?

  1. 순환
  2. 변형
  3. 발산
  4. 전이
(정답률: 알수없음)
  • 전선발생은 대기의 상승기류와 하강기류가 충돌하여 발생하는 현상입니다. 이러한 충돌은 대기의 변형운동과 관련이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변형"입니다. 순환운동은 대기의 회전운동을 의미하며, 발산운동은 대기가 중심에서 벗어나는 운동을 의미합니다. 전이운동은 대기의 온도와 습도 등이 변화하는 운동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상층기압골이 서쪽으로부터 지상저기압 위로 다가오면 지상 저기압은?

  1. 소멸된다
  2. 강도는 그대로 지속된다.
  3. 약화된다.
  4. 발달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상층기압골이 다가오면 대기의 상승기류가 발생하여 지상 저기압이 발달한다. 이는 상층에서의 기압이 낮아져서 지상에서의 기압과의 차이가 커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정답은 "발달한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스케일고도(Scale Height)의 값으로 가장 옳은 것은?

  1. 기압이 해면값의 약 37% 되는 높이
  2. 기압이 해면값의 약 47% 되는 높이
  3. 기압이 해면값의 약 57% 되는 높이
  4. 기압이 해면값의 약 97% 되는 높이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기압이 해면값의 약 37% 되는 높이"입니다.

    스케일고도는 대기의 밀도가 지수함수적으로 감소하는 높이를 의미합니다. 이 때, 대기의 밀도는 기압과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기압이 높을수록 대기의 밀도는 높아지고, 기압이 낮을수록 대기의 밀도는 낮아집니다.

    해면에서 대기의 기압은 보통 1013.25 hPa입니다. 이 때, 대기의 기압이 해면값의 약 37%가 되는 높이를 구하면 약 5.6 km가 됩니다. 따라서 "기압이 해면값의 약 37% 되는 높이"가 스케일고도의 값으로 가장 옳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대기의 난류(turbulent flow)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1. 수평차원(scale)이 수백 m ~ 수 km이다.
  2. 지속시간은 1시간 이상의 크기이다.
  3. 상승부분에서 일어나는 응결을 통해 발생한다.
  4. 열 및 습기를 수송하는 데 대단히 효과적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대기의 난류는 수평차원이 수백 m ~ 수 km이며, 지속시간이 1시간 이상인 현상으로, 상승부분에서 일어나는 응결을 통해 발생합니다. 이는 열 및 습기를 수송하는 데 대단히 효과적이며, 대기의 혼합과 교류를 촉진하여 대기의 확산과 혼합을 촉진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국제기상전보식에서 Nddff군의 ff는?

  1. 전운량
  2. 운형
  3. 풍향
  4. 풍속
(정답률: 알수없음)
  • Nddff군의 ff는 "풍속"을 의미합니다. 이는 국제기상전보식에서 사용되는 기상 용어 중 하나로, N은 북위, dd는 풍향을 나타내는데, 이때 ff는 풍속을 나타냅니다. 따라서 Nddff군은 북위와 풍향, 풍속을 모두 나타내는 용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온난전선의 일반적인 특성이 아닌 것은?

  1. 전선 후방에서는 풍향이 보통 남서풍이고 전방에서는 남동풍이다.
  2. 온난전선은 보통 저기압의 서쪽에 위치한다.
  3. 구름이 상층운으로부터 서서히 낮아져서 지속적인 비가 내리는 곳의 후방에 해당한다.
  4. 안개가 넓은 범위에 끼어있는 곳에 위치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온난전선은 보통 저기압의 서쪽에 위치한다.

    설명: 온난전선은 따뜻한 공기와 차가운 공기가 충돌하여 형성되는 전선으로, 보통 저기압의 서쪽에 위치한다. 이는 저기압의 동쪽에서는 상승기류가 형성되어 구름이 발생하고 비가 내리기 때문이다. 따라서 전선 후방에서는 풍향이 보통 남서풍이고 전방에서는 남동풍이며, 구름이 상층운으로부터 서서히 낮아져서 지속적인 비가 내리는 곳의 후방에 해당한다. 안개가 넓은 범위에 끼어있는 곳에 위치하는 것은 안개전선의 특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온대저기압의 발생과 제일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은?

  1. 편서풍파동
  2. 무역풍파동
  3. 해들리 순환
  4. 극편동풍
(정답률: 알수없음)
  • 온대저기압은 대기의 수직운동이 일어나는 지역으로, 이러한 수직운동은 대기의 수평운동과 밀접한 관계가 있습니다. 특히, 편서풍파동은 온대저기압의 발생과 밀접한 관계가 있습니다. 편서풍파동은 대기의 수평운동을 일으키는 파동 중 하나로, 적도에서 북쪽으로 흐르는 편서풍과 북쪽에서 적도로 흐르는 역풍이 만나서 발생합니다. 이러한 편서풍파동은 대기의 수직운동을 일으키고, 이로 인해 온대저기압이 발생합니다. 따라서, 온대저기압의 발생과 편서풍파동은 밀접한 관계가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쇼월터 안정도 지수(showalter stability index)는 어느것을 이용하면 가장 쉽게 구할 수 있는가?

  1. 지상일기도
  2. 고층일기도
  3. 층후선도
  4. 대기선도
(정답률: 알수없음)
  • 쇼월터 안정도 지수는 대기의 수직 안정성을 나타내는 지수로, 대기의 온도 변화와 함께 고도에 따른 기압 변화를 고려해야 합니다. 이를 가장 쉽게 파악할 수 있는 것은 대기선도입니다. 대기선도는 고도와 기압의 변화를 그래프로 나타내어 보여주기 때문에, 쇼월터 안정도 지수를 구하기 위해서는 대기선도를 이용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해륙풍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해풍은 오후에 가장 강하다.
  2. 해풍은 육풍보다 일반적으로 강하다.
  3. 기압계에 상관없이 해안지방에서 발생한다.
  4. 해풍은 전향력의 영향을 받는다.
(정답률: 알수없음)
  • "기압계에 상관없이 해안지방에서 발생한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해륙풍은 기압계의 영향을 받아 발생하는 현상으로, 기압계의 차이로 인해 바다와 육지 사이에 공기가 이동하면서 발생합니다. 따라서 기압계에 영향을 받지 않고 해안지방에서 발생하는 것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강수현상이 일어나지 않는다고 할 수 있는 것은?

  1. 고기압권내
  2. 전선대
  3. 저기압권내
  4. 기압골
(정답률: 알수없음)
  • 고기압권은 대기압이 높아서 공기가 상승하지 않고, 대기가 안정적인 상태에 있기 때문에 강수현상이 일어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반면에 저기압권이나 기압골은 대기압이 낮아서 공기가 상승하고, 수증기가 응축되어 강수현상이 일어날 가능성이 높습니다. 전선대는 고기압과 저기압이 만나는 지점으로, 강수현상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 지역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제트기류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대류권과 성층권의 경계 부근에 위치하며, 출현 고도의 높이는 여름철에 높고 겨울철에 낮다.
  2. 제트기류는 대기의 습도 차이로 발생하며 사행한다.
  3. 북위 30도 부근 고도 약 12km에 나타나는 아열대 제트기류와 북위 40도 부근 고도 약 9km에 나타나는 한 대 제트기류가 있다.
  4. 제트코어의 북쪽에서는 저기압성 회전, 남쪽에서는 고기압성 순환이 일어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제트기류는 대기의 습도 차이로 발생하며 사행한다." 이다. 제트기류는 대기의 수평적인 온도 차이로 발생하며, 수평적인 기압 차이에 의해 유도된다. 이러한 기압 차이는 대기의 수직적인 움직임에 의해 유발된다. 따라서 제트기류는 대기의 습도와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다.

    제트기류는 대류권과 성층권의 경계 부근에 위치하며, 출현 고도의 높이는 여름철에 높고 겨울철에 낮다. 북위 30도 부근 고도 약 12km에 나타나는 아열대 제트기류와 북위 40도 부근 고도 약 9km에 나타나는 한 대 제트기류가 있다. 제트코어의 북쪽에서는 저기압성 회전, 남쪽에서는 고기압성 순환이 일어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다음 고층 관측자료에서 숫자 5.0이 의미하는 것은?

  1. 기온
  2. 고도
  3. 습수
  4. 노점온도
(정답률: 알수없음)
  • 숫자 5.0은 대기 중의 상대습도를 나타냅니다.
    "습수"가 정답인 이유는 다음 고층 관측자료에서 상대습도를 나타내는 숫자가 가장 높은 값이기 때문입니다. 기온은 -50℃, 고도는 700hPa, 노점온도는 -55.6℃으로 나타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종관규모 운동에서 연직 속도의 규모는?

  1. 1cn·sec-1
  2. 10cn·sec-1
  3. 10-2cn·sec-1
  4. 102cn·sec-1
(정답률: 알수없음)
  • 종관규모 운동에서 연직 속도는 일반적으로 1cm/s 이하이며, 이는 1cn·sec-1보다 작은 값이다. 따라서 "1cn·sec-1"이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수직류 분포를 분석하는데 많이 쓰이는 등압면 일기도는?

  1. 300hPa
  2. 500hPa
  3. 700hPa
  4. 850hPa
(정답률: 알수없음)
  • 수직류 분포를 분석할 때는 대기의 상태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등압면 일기도는 대기의 상태를 등압면으로 나타내어 분석하는 도구입니다. 이 중에서 700hPa는 대기의 중간층에 해당하며, 상층과 하층의 영향을 받지 않아서 대기의 상태를 파악하기에 적합합니다. 따라서 수직류 분포를 분석하는데 많이 쓰이는 등압면 일기도는 700hPa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