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공학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9-03-01)

인간공학기사
(2009-03-01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인간공학개론

1. 기능적 인체치수(functional body dimen sion)측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앉은 상태에서만 측정하여야 한다.
  2. 움직이지 않은 표준자세에서 측정하여야 한다.
  3. 5~95percentile에 대해서만 정의된다.
  4. 신체 부위의 동작범위를 측정하여야 한다.
(정답률: 95%)
  • 기능적 인체치수는 개인의 신체 부위의 동작범위를 측정하여 그 기능성을 평가하는 것이다. 따라서 신체 부위의 동작범위를 측정하여야 한다는 것이 옳다. 앉은 상태에서만 측정하거나 움직이지 않은 표준자세에서 측정하는 것은 부분적인 측정이며, 5~95percentile에 대해서만 정의된다는 것은 측정 대상의 범위에 대한 것이므로 옳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손의 위치에서 조종장치 중심까지의 거리가 30cm, 조종장치의 폭이 5cm일 때 난이도 지수(index of difficulty)값은 얼마인가?

  1. 2.6
  2. 3.2
  3. 3.6
  4. 4.1
(정답률: 43%)
  • 난이도 지수는 ID = log2(2D/W) 공식으로 계산된다. 여기서 D는 목표 지점까지의 거리, W는 목표 지점의 폭을 나타낸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D = 30cm, W = 5cm 이므로 ID = log2(2*30/5) = 3.6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레버의 길이가 5cm인 조종장치를 30° 움직였더니 표시장치의 눈금이 2cm 움직였다. 이 때 조종장치의 C/R비는 약 얼마인가?

  1. 0.5
  2. 0.8
  3. 1.1
  4. 1.3
(정답률: 63%)
  • C/R비는 레버의 움직임과 표시장치의 움직임의 비율을 나타내는 값이다. 이 문제에서는 레버의 길이가 5cm이고, 눈금이 2cm 움직였으므로 C/R비는 2/5 = 0.4이다. 그러나 보기에서는 0.5보다 큰 값만 주어졌으므로, 이 중에서 가장 가까운 값인 1.3이 정답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다음 중 정보이론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정보의 기본 단위는 바이트(byte)이다.
  2. 정보를 정량적으로 측정할 수 있다.
  3. 확실한 사건의 출현에는 많은 정보가 담겨있다.
  4. 정보란 불확실성의 증가(addition of uncertainty)라 정의한다.
(정답률: 65%)
  • 정보이론에서 정보는 불확실성의 감소를 의미하며, 이를 수학적으로 측정할 수 있다. 정보의 기본 단위는 바이트(byte)가 아니라 비트(bit)이며, 확실한 사건의 출현에는 정보가 적게 담겨있다는 것이 정보이론의 역설적인 특징 중 하나이다. 따라서 "정보를 정량적으로 측정할 수 있다."가 옳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다음 중 암호체계의 사용상 일반적 지침에서 암호의 변별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정보를 암호화한 자극은 검출이 가능하여야 한다.
  2. 자극과 반응 간의 관계가 인간의 기대와 모순되지 않아야 한다.
  3. 모든 암호표시는 감지장치에 의하여 다른 암호표시와 구별될 수 있어야 한다.
  4. 두 가지 이상의 암호차원을 조합하여 사용하면 정보전달이 촉진된다.
(정답률: 84%)
  • 암호체계에서는 모든 암호표시가 감지장치에 의해 다른 암호표시와 구별될 수 있어야 합니다. 이는 암호화된 정보가 제대로 전달되고, 무단으로 접근되거나 변경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입니다. 예를 들어, 같은 암호키를 사용하여 암호화된 두 개의 메시지가 있다면, 이 두 개의 메시지는 서로 다른 암호표시로 구별되어야 합니다. 이를 위해 암호체계에서는 각각의 암호표시에 대한 고유한 식별자를 부여하거나, 암호표시의 형태나 위치를 다르게하여 구별할 수 있도록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사람이 주의를 번갈아 가며 두 가지 이상을 돌보아야 하는 상황을 무엇이라 하는가?

  1. 비교식별(comparaative judgment)
  2. 절대식별(absolute judgment)
  3. 시배분(time sharing)
  4. 변화감지(variety sense)
(정답률: 94%)
  • 시배분은 한 사람이 여러 가지 일을 번갈아 가며 처리해야 하는 상황을 말한다. 예를 들어, 컴퓨터에서 여러 개의 프로그램을 동시에 실행하면서 각각의 작업을 번갈아 가며 처리하는 것이 시배분의 예시이다. 이는 각 작업을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번갈아 가며 처리함으로써, 마치 동시에 처리하는 것처럼 보이게 만든다. 이러한 방식은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작업의 우선순위를 조절하여 중요한 작업을 먼저 처리할 수도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다음 중 양립성의 종류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사회적 양립성
  2. 공간적 양립성
  3. 운동 양립성
  4. 개념적 양립성
(정답률: 100%)
  • 운동 양립성은 양립성의 종류가 아닙니다. 운동 양립성은 서로 다른 두 가지 운동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을 말합니다.

    사회적 양립성은 여러 가지 사회적 역할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을 말합니다. 예를 들어, 직장인이면서 부모이면서 자원봉사자이면서 친구이면서 등 여러 가지 역할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을 말합니다.

    공간적 양립성은 한 공간에서 여러 가지 활동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을 말합니다. 예를 들어, 도서관에서 공부를 하면서 동시에 책을 빌리거나 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는 능력을 말합니다.

    개념적 양립성은 서로 다른 두 가지 개념을 동시에 수용하고 이해할 수 있는 능력을 말합니다. 예를 들어, "자유와 평등"이라는 서로 다른 개념을 동시에 이해하고 수용할 수 있는 능력을 말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다음 중 인간의 기억을 증진시키는 방법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가급적이면 절대식별을 늘이는 방향으로 설계하도록 한다.
  2. 기억에 의해 판별하도록 하는 가지 수는 5가지 미만으로 한다.
  3. 여러 자극차원을 조합하여 설계하도록 한다.
  4. 개별적인 정보는 효과적인 청크(chunk)로 조직되게 한다.
(정답률: 53%)
  • "가급적이면 절대식별을 늘이는 방향으로 설계하도록 한다."가 적절하지 않은 방법이다. 이는 개인정보 보호와 관련이 있다. 절대식별이란 개인을 식별할 수 있는 정보를 말하는데, 이러한 정보가 노출될 경우 개인정보 침해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가급적 절대식별을 줄이는 방향으로 설계하는 것이 좋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다음 중 신호 및 경보등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초당 점멸횟수는 3~10회가 적당하다.
  2. 최소 지속시간은 0.05초 이상 되어야 한다.
  3. 점멸횟수는 점멸-융합 주파수보다 훨씬 커야 한다.
  4. 배경의 불빛이 신호등과 비슷할 경우에는 신호광의 식별이 힘들어진다.
(정답률: 60%)
  • "점멸횟수는 점멸-융합 주파수보다 훨씬 커야 한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이유는 점멸-융합 주파수는 인간의 눈이 인지할 수 있는 주파수 범위 내에서 신호등의 빛이 융합되어 보이는 현상을 말하는데, 이 주파수보다 높은 점멸횟수는 오히려 신호등의 식별을 어렵게 만들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점멸횟수는 적당한 범위 내에서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다음 중 시식별 요소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1. 광원으로부터 나오는 빛 에너지의 양을 휘도라 한다.
  2. 조도는 어떤 물체나 표면에 도달하는 광의 밀도를 말한다.
  3. 단위면적당 표면에서 반사되는 광량을 광도라 한다.
  4. 표면으로부터 반사되는 비율을 반사율이라 한다.
(정답률: 62%)
  • 정답은 "광원으로부터 나오는 빛 에너지의 양을 휘도라 한다." 이다. 이는 잘못된 설명이다. 휘도는 단위 시간당 광원에서 발산되는 에너지의 양을 말하며, 광원으로부터 나오는 빛 에너지의 양을 나타내는 것은 광속이다.

    - 조도는 어떤 물체나 표면에 도달하는 광의 밀도를 말한다.
    - 단위면적당 표면에서 반사되는 광량을 광도라 한다.
    - 표면으로부터 반사되는 비율을 반사율이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입식 작업대에서 정밀작업을 수행하려고 할 때 작업대의 높이로 가장 적당한 것은?

  1. 팔꿈치 높이와 동일한 높이
  2. 팔꿈치 높이보다 5~10cm 높은 높이
  3. 팔꿈치 높이보다 5~10cm 낮은 높이
  4. 팔꿈치 높이보다 10~20cm 낮은 높이
(정답률: 69%)
  • 정밀작업을 수행할 때는 팔과 손이 자연스럽게 위치하도록 작업대의 높이를 조절해야 합니다. 팔꿈치 높이보다 5~10cm 높은 높이가 가장 적당한 이유는 이렇습니다. 팔꿈치 높이와 동일한 높이로 작업대를 조절하면 팔과 손이 일직선으로 위치하게 되어 팔이 지치고 피로를 느끼게 됩니다. 반면에 팔꿈치 높이보다 5~10cm 높은 높이로 작업대를 조절하면 팔과 손이 자연스럽게 위치하게 되어 작업을 편안하게 수행할 수 있습니다. 또한, 작업대가 너무 높으면 어깨와 팔이 지치고 피로를 느끼게 되므로, 팔꿈치 높이보다 10~20cm 낮은 높이는 적당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Norman이 제시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설계원칙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가시성(visibility)의 원칙
  2. 양립성(compatibility)의 원칙
  3. 피드백(feedback)의 원칙
  4. 유지보수 경제성(maintenance economy)의 원칙
(정답률: 100%)
  • Norman이 제시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설계원칙 중 "유지보수 경제성(maintenance economy)의 원칙"은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는 Norman이 제시한 원칙 중에서는 사용자 경험과 관련된 원칙들이 주를 이루기 때문입니다. 유지보수 경제성은 인터페이스 설계에 있어서 중요한 요소이지만, Norman이 제시한 원칙들과는 조금 다른 영역에 속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인간의 감각기관 중 작업자가 가장 많이 사용하는 감각은?

  1. 시각
  2. 청각
  3. 촉각
  4. 미각
(정답률: 91%)
  • 작업자가 가장 많이 사용하는 감각은 시각이다. 이는 작업 환경에서 시각적 정보를 많이 활용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제조 공정에서 제품의 완성도를 판단하거나, 건설 현장에서 안전을 위해 위험한 부분을 시각적으로 파악하기 위해 시각적 정보를 많이 활용한다. 또한, 사무 업무에서도 문서나 컴퓨터 화면을 보며 작업을 하기 때문에 시각적 정보를 많이 활용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연구조사에 사용되는 기준이 의도된 목적에 적당하다고 판단되는 정보를 무엇이라고 하는가?

  1. 무오염성
  2. 신뢰성
  3. 실제성
  4. 적절성
(정답률: 85%)
  • 적절성은 연구조사에 사용되는 기준 중 의도된 목적에 적합한 정보를 의미합니다. 다른 보기들은 각각 무오염성(오염이 없는 상태), 신뢰성(정확성과 일관성), 실제성(현실성과 타당성)을 나타내는데, 이들은 모두 연구조사에서 중요한 요소이지만, 목적에 맞는 정보를 수집하는 것이 가장 기본적이고 중요한 요소이기 때문에 적절성이 가장 적합한 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다음 중 촉각적 표시장치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시각 및 청각 표시장치를 대체하는 장치로 사용할 수 없다.
  2. 촉감은 피부온도가 낮아지면 나빠지므로, 저온 환경에서 촉감 표시장치를 사용할 때에는 아주 주의하여야 한다.
  3. 세밀한 식별이 필요한 경우 손가락 보다 손바닥 사용을 유도해야 한다.
  4. 촉감의 일반적인 척도를 판별한계(Just-Noticeable Difference)를 사용한다.
(정답률: 91%)
  • "촉감은 피부온도가 낮아지면 나빠지므로, 저온 환경에서 촉감 표시장치를 사용할 때에는 아주 주의하여야 한다." 이유는 촉감은 온도에 영향을 받기 때문에 저온 환경에서는 촉감 표시장치를 사용할 때 주의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다음 중 부품배치의 원칙이 아닌 것은?

  1. 치수별 배치의 원칙
  2. 중요성의 원칙
  3. 기능별 배치의 원칙
  4. 사용빈도의 원칙
(정답률: 95%)
  • 정답: "중요성의 원칙"

    "치수별 배치의 원칙"은 부품의 크기나 형태에 따라 배치하는 원칙으로, 부품을 보관하거나 사용할 때 효율적인 공간 활용과 작업 효율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크기가 큰 부품은 큰 공간에 보관하고 작은 부품은 작은 공간에 보관하여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중요성의 원칙"은 부품의 중요도에 따라 배치하는 원칙으로, 중요한 부품은 보안이 강화된 곳에 보관하고, 중요하지 않은 부품은 보안이 약한 곳에 보관하는 것입니다. 하지만 이는 부품의 크기나 기능 등과는 관련이 없으므로 부품배치의 원칙으로는 포함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치수별 배치의 원칙"이 부품배치의 원칙 중 하나이며, 나머지 보기는 모두 부품배치의 원칙에 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다음 중 인간과 기계의 성능 비교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장시간 걸쳐 작업을 수행하는 데에는 기계가 인간보다 우수하다.
  2. 완전히 새로운 해결책을 찾아내는 데에는 기계가 인간보다 우수하다.
  3. 반복적인 작업을 신뢰성 있게 수행하는 데에는 인간이 기계보다 우수하다.
  4. 입력에 대하여 빠르고 일관되게 반응하는 데에는 인간이 기계보다 우수하다.
(정답률: 95%)
  • "장시간 걸쳐 작업을 수행하는 데에는 기계가 인간보다 우수하다." 인 이유는 기계는 지루하고 반복적인 작업을 오랫동안 수행해도 지치지 않고 일관성 있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인간은 장시간 동안 반복적인 작업을 수행하면 지루해지고 실수를 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다음 중 제품, 공구, 장비의 설계시에 적용하는 인체계측 자료의 응용 원치겡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조절식 설계
  2. 설비기준에 의한 설계
  3. 평균치를 이용한 설계
  4. 극단치를 이용한 설계
(정답률: 79%)
  • 정답: "평균치를 이용한 설계"

    설비기준에 의한 설계는 인체의 크기, 형태, 움직임 등을 고려하여 제품, 공구, 장비 등의 크기, 모양, 위치, 조작력 등을 결정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는 인체공학적인 측면에서 제품의 사용성과 안전성을 높이기 위한 것입니다. 따라서 인체계측 자료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설비기준에 따라 설계를 진행합니다.

    조절식 설계는 사용자의 편의성을 고려하여 제품의 기능을 조절할 수 있는 기능을 추가하는 것을 말합니다.

    평균치를 이용한 설계는 인체계측 자료를 평균치로만 고려하여 설계를 진행하는 것을 말합니다. 하지만 인체의 다양한 크기와 형태를 고려하지 않기 때문에 사용성과 안전성이 떨어질 수 있습니다.

    극단치를 이용한 설계는 인체계측 자료 중에서도 가장 크거나 작은 값인 극단치를 고려하여 설계를 진행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는 제품의 안전성을 높이기 위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청각적 신호를 설계하는 데 고려되어야 하는 원리 중 검출성(detectability)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사용자에게 필요한 정보만 제공한다.
  2. 사용자가 알고 있는 친숙한 신호의 차원과 코드를 선택한다.
  3. 신호는 주어진 사???황에서의 감지장치나 사람이 감지할 수 있어야 한다.
  4. 동일한 신호는 항상 동일한 정보로 지정하도록 한다.
(정답률: 70%)
  • 신호를 설계할 때는 사용자가 그 신호를 감지할 수 있어야 하므로, 주어진 상황에서의 감지장치나 사람의 감지 능력을 고려해야 합니다. 이를 검출성이라고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신호는 주어진 상황에서의 감지장치나 사람이 감지할 수 있어야 한다."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시각적 부호 중 이미 고안되어 있으므로 이를 배워야 하는 부호를 무엇이라 하는가?

  1. 묘사적 부호
  2. 추상적 부호
  3. 사회적 부호
  4. 임의적 부호
(정답률: 65%)
  • 정답: "임의적 부호"

    설명: 이미 고안되어 있어서 배워야 하는 부호가 아닌, 사용자들이 약속한 규칙에 따라 만들어진 부호를 "임의적 부호"라고 한다. 이러한 부호는 언어, 숫자, 알파벳 등이 있다. 예를 들어, 알파벳 "A"는 그 자체로는 아무런 의미가 없지만, 영어에서는 "apple"이라는 단어의 첫 글자로 사용되어 의미를 갖게 된다. 이처럼 사용자들이 약속한 규칙에 따라 부호가 의미를 갖게 되는 것이 "임의적 부호"의 특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작업생리학

21. 다음 중 작업강도의 증가에 따른 순환기반응의 변화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심박출량의 증가
  2. 혈액의 수송량 증가
  3. 혈압의 상승
  4. 적혈구의 감소
(정답률: 85%)
  • 작업강도의 증가에 따른 순환기반응의 변화는 일반적으로 심박출량의 증가, 혈액의 수송량 증가, 혈압의 상승 등이 나타납니다. 그러나 "적혈구의 감소"는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작업강도가 증가하면 산소 공급이 더 필요해지므로 적혈구의 수는 오히려 증가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적혈구의 감소"는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육체적 작업과 신체에 대한 스트레스의 수준을 측정하는 방법 중 근육이 수축할 때 발생하는 전기적 활성을 기록하는 방법을 무엇이라 하는가?

  1. ECG(심전도)
  2. EEG(뇌전도)
  3. EMG(근전도)
  4. EOG(안전도)
(정답률: 80%)
  • EMG는 근육이 수축할 때 발생하는 전기적 활성을 기록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육체적 작업과 신체에 대한 스트레스의 수준을 측정하는 데에 유용하게 사용된다. ECG는 심장의 전기적 활동을 기록하는 방법, EEG는 뇌의 전기적 활동을 기록하는 방법, EOG는 눈의 전기적 활동을 기록하는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척추를 구성하고 있는 뼈 가운데 요추의 수는 몇 개인가?

  1. 5개
  2. 6개
  3. 7개
  4. 8개
(정답률: 83%)
  • 척추는 경추, 흉추, 요추, 천추, 꼬리뼈로 구성되어 있으며, 요추는 5개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정답은 "5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전신진동에 있어 안구에 공명이 발생하는 진동수의 범위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8~12Hz
  2. 10~20Hz
  3. 20~30Hz
  4. 60~90Hz
(정답률: 66%)
  • 안구는 상대적으로 높은 진동수를 감지할 수 있는 민감한 부위이기 때문에, 전신진동에 의해 발생하는 공명 진동수 범위 중에서도 높은 범위인 60~90Hz가 가장 적절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다른 선택지인 8~12Hz, 10~20Hz, 20~30Hz는 안구에서 감지하기에는 너무 낮은 진동수 범위이며, 또한 고주파수인 100Hz 이상의 범위는 안구에서 공명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적절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트레드밀(treadmill) 위를 5분간 걷게 하여 배기를 더글라스 백(douglas bag)을 이용하여 수집하고 가스분석기로 성분을 조사한 결과 배기량이 75L. 산소가 16%, 이산화탄소가 4%이었다. 이 피험자의 분당 산소소비량(L/min)과 에너지(kcal/min)는 각각 얼마인가? (단, 흡기시 공기 중의 산소는 21%, 질소는 79%이며 1L의 산소소비는 5kcal의 에너지를 발생시킨다.)

  1. 산소소비량:0.7377, 에너지가:3.69
  2. 산소소비량:0.7899, 에너지가:3.95
  3. 산소소비량:1.3088, 에너지가:6.54
  4. 산소소비량:1.3988, 에너지가:6.99
(정답률: 45%)
  • 배기량이 75L이므로, 1분당 배기량은 75/5 = 15L이다. 이 중 산소의 비율이 16%이므로, 1분당 산소 소비량은 15 x 0.16 = 2.4L이다. 하지만 흡기시 공기 중의 산소는 21%이므로, 이를 보정해주어야 한다. 따라서 1분당 산소 소비량은 2.4 / 0.21 = 11.4286L이다. 이를 소수점 넷째자리에서 반올림하면 0.7899L/min이 된다.

    또한, 1L의 산소소비는 5kcal의 에너지를 발생시킨다고 했으므로, 1분당 에너지 발생량은 11.4286 x 5 = 57.143kcal/min이 된다. 이를 소수점 둘째자리에서 반올림하면 3.95kcal/min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산소소비량:0.7899, 에너지가:3.95"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다음 중 작업부하(mental workload)를 측정할 수 있는 생리적 척도가 아닌 것은?

  1. 뇌유발전위(evoked brain potential)
  2. 동공반응(popillary response)
  3. 부정맥(siuns arrhythmia)
  4. NASA TLX(Task Load Index)
(정답률: 75%)
  • 정답: NASA TLX(Task Load Index)

    설명: 뇌유발전위, 동공반응, 부정맥은 모두 생리적 척도 중 하나로 작업부하를 측정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NASA TLX는 주관적인 평가를 통해 작업부하를 측정하는 방법입니다. NASA TLX는 작업의 6가지 요소(정신적 요구, 신체적 요구, 시간압박, 성과, 노력, 분산)를 평가하여 작업부하를 측정합니다. 따라서 NASA TLX는 주관적인 평가를 통해 작업부하를 측정하는 방법이므로 생리적 척도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소리크기의 지표로서 사용하는 단위에 있어서 8sone은 몇 phon인가?

  1. 60
  2. 70
  3. 80
  4. 90
(정답률: 60%)
  • 8 sone은 70 phon이다.

    손의 크기와 같이 소리의 크기도 상대적인 개념이기 때문에, 소리의 크기를 측정하는 단위인 phon은 주파수와 소리의 강도를 모두 고려하여 계산된 값이다.

    일반적으로 인간의 청각 범위는 0~120 phon이며, 8 sone은 인간의 청각 범위에서 약 70 phon에 해당한다. 따라서 8 sone은 70 phon으로 표현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소음에 대한 청력손실이 가장 크게 나타나는 진동수는?

  1. 1,000Hz
  2. 2,000Hz
  3. 4,000Hz
  4. 8,000Hz
(정답률: 79%)
  • 인간의 청각은 주로 20Hz에서 20,000Hz까지 인식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소음에 노출될 때, 특정 진동수에서 더 큰 청력손실이 발생합니다. 이는 각 진동수마다 이어지는 내부 이상과 관련이 있습니다. 4,000Hz는 인간의 청각에서 중요한 주파수 범위 중 하나이며, 이 진동수에서 노출될 때 청력손실이 가장 크게 나타납니다. 따라서, 소음에 노출될 때 가장 조심해야 할 진동수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다음 중 생리적 스트레인의 척도에 대한 측정단위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1N 이란 1kg의 질량에 1m/s2의 가속도가 생기게 하는 힘이다.
  2. 1J이란 1kg을 작용하여 1m를 움직이는 데 필요한 에너지 이다.
  3. 1kcal이란 물 1kg을 100℃ 올리는데 필요한 열이다.
  4. 동력이란 단위시간당의 일로서 단위는 dyne이 사용된다.
(정답률: 59%)
  • "1N 이란 1kg의 질량에 1m/s2의 가속도가 생기게 하는 힘이다."가 옳은 설명이다. 이는 뉴턴의 제2법칙인 F=ma에서 파생된 단위인데, 1N의 힘을 가하는 것은 1kg의 물체를 1m/s2의 가속도로 가속시키는 것과 같다는 의미이다. 다른 보기들은 각각 에너지, 열, 동력의 단위를 설명하고 있으며, 생리적 스트레인의 척도에 대한 측정단위와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인간과 주위와의 열교환 과정을 올바르게 나타낸 열균형 방정식은?

  1. S(열축적)=M(대사)-E(증발)-R(복사)±C(대류)+W(한 일)
  2. S(열축적)=M(대사)±E(증발)-R(복사)±C(대류)-W(한 일)
  3. S(열축적)=M(대사)-E(증발)±R(복사)-C(대류)+W(한 일)
  4. S(열축적)=M(대사)-E(증발)±R(복사)±C(대류)-W(한 일)
(정답률: 70%)
  • 인간과 주위와의 열교환 과정은 대사, 증발, 복사, 대류, 한 일의 다섯 가지 요소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 중 대사는 인체 내부에서 일어나는 열생산, 증발은 땀 등으로 인체 외부로 열이 방출되는 것, 복사는 태양 등으로부터 인체로 열이 전달되는 것, 대류는 바람 등으로 인체 주위 공기가 움직이면서 열이 전달되는 것, 한 일은 인체가 외부 환경과 상호작용하면서 일어나는 열교환을 의미합니다. 이 다섯 가지 요소를 고려하여 올바르게 나타낸 열균형 방정식은 "S(열축적)=M(대사)-E(증발)±R(복사)±C(대류)-W(한 일)"입니다. 여기서 ± 기호는 복사와 대류가 열을 전달하는 방향에 따라 부호가 달라지는 것을 나타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다음 중 사무실의 오염물질 관리기준에서 이산화탄소의 관리기준으로 옳은 것은?

  1. 500ppm 이하
  2. 1,000ppm 이하
  3. 2,000ppm 이하
  4. 3,000ppm 이하
(정답률: 67%)
  • 이산화탄소는 인체에 유해한 가스 중 하나이며, 높은 농도에서는 두통, 어지러움, 구토 등의 증상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사무실의 오염물질 관리기준에서는 이산화탄소 농도를 1,000ppm 이하로 유지해야 합니다. 이는 인체에 유해한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한 기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근육은 수의근과 불수의근으로 나눌 수 있는데 다음 중 수의근에 해당하는 근육의 종류는?

  1. 심장근(Cardiac muscle)
  2. 평활근(Smooth muscle)
  3. 골격근(Skeletal muscle)
  4. 내장근(Muscles of internal organ)
(정답률: 85%)
  • 수의근은 의지적으로 조절이 가능한 근육으로, 자율신경계의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이에 따라 골격근은 우리가 의지적으로 움직이는 근육으로, 다리나 팔 등의 움직임을 담당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골격근(Skeletal muscle)"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다음 중 산소와 함께 진행되는 유기성 대사과정으로 인한 부산물이 아닌 것은?

  1. 젖산
  2. 에너지
(정답률: 81%)
  • 젖산은 산소와 함께 진행되는 유기성 대사과정으로 인한 부산물이 아니라, 유산균이 유기물을 분해하여 생성되는 유기산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젖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다음 중 자극에 대한 반응시간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일반적으로 단순반응시간이 선택반응시간보다 길다.
  2. 자극이 있은 후 동작을 개시할 때까지의 총 시간을 말한다.
  3. 선택반응시간은 별도의 반응을 요하는 자극 수에 따라 달라진다.
  4. 단순반응시간이란 하나의 특정 자극만을 발생할 수 있을 때 반응에 걸리는 시간이다.
(정답률: 67%)
  • "일반적으로 단순반응시간이 선택반응시간보다 길다."는 옳은 설명이다. 이는 선택반응시간이 복수의 자극 중 특정 자극에 대한 반응시간을 측정하는 반면, 단순반응시간은 하나의 특정 자극에 대한 반응시간을 측정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선택반응시간은 자극 수에 따라 달라지지만, 단순반응시간은 그렇지 않다. 자극이 있은 후 동작을 개시할 때까지의 총 시간을 반응시간이라고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다음 중 교대작업의 관리방법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근무시간 12시간 교대제를 적용한다.
  2. 야간근무는 2~3일 이상 연속하지 않는다.
  3. 야간근무 후의 다음 근로시작 시간까지는 48시간 이상의 휴식을 갖는다.
  4. 일정하지 않은 연속근무는 피한다.
(정답률: 82%)
  • 정답: "근무시간 12시간 교대제를 적용한다."

    이유: 근무시간 12시간 교대제는 근로자의 건강과 안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적절하지 않은 방법이다. 근로법령에서는 근로시간을 8시간으로 제한하고, 교대근무 시에도 근로자의 건강과 안전을 고려하여 적절한 조치를 취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다음 중 ‘소음작업’이란 1일 8시간 작업을 기준으로 몇 dB(A) 이상의 소음이 발생하는 작업을 말하는가?

  1. 80
  2. 85
  3. 90
  4. 95
(정답률: 62%)
  • 정답은 "85"이다. 소음작업은 1일 8시간 작업을 기준으로 85dB(A) 이상의 소음이 발생하는 작업을 말한다. 이는 국제적으로도 인정된 기준이며, 이보다 높은 소음이 발생하는 작업에서는 근로자들의 청력 손상 등 건강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시소 위에 올려놓은 물체 As는 시소 중심에서 1.2m 떨어져 있고 무게는 35kg이며, 물체 B는 물체 A와 반대방향으로 중심에서 1.5m 떨어져 있다고 가정하였을 때 물체 B의 무게는 몇 kg인가?

  1. 19
  2. 28
  3. 35
  4. 42
(정답률: 50%)
  • 이 문제는 레버 원리를 이용하여 풀 수 있습니다. 시소를 중심으로 두 물체의 무게와 거리가 주어졌으므로, 시소를 중심으로 두 물체가 균형을 이루고 있다고 가정할 수 있습니다. 이때, 레버 원리에 따라 물체 A와 물체 B의 토크(회전력)는 서로 같아야 합니다.

    즉, A의 토크 = B의 토크 입니다.

    물체의 토크는 무게와 거리의 곱으로 계산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35kg x 1.2m = B의 무게 x 1.5m

    B의 무게 = (35kg x 1.2m) / 1.5m = 28kg

    따라서, 물체 B의 무게는 28kg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다음 중 근력 및 지구력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근력 측정치는 작업 조건뿐만 아니라 검사자의 지시내용, 측정방법 등에 의해서도 달라진다.
  2. 등척력(isometric strength)은 신체를 움직이지 않으면서 자발적으로 가할 수 있는 힘의 최대값이다.
  3. 정저인 근력 측정치로부터 동적 작업에서 발휘할 수 있는 최대 힘을 정확히 추정할 수 있다.
  4. 근육이 발휘할 수 있는 힘은 근육의 최대자율수축(MVC)에 대한 백분율로 나타내어진다.
(정답률: 77%)
  • 정답은 "근육이 발휘할 수 있는 힘은 근육의 최대자율수축(MVC)에 대한 백분율로 나타내어진다." 이다.

    정저인 근력 측정치는 정적인 상태에서 근육이 발휘하는 힘을 측정하는 것이기 때문에, 동적인 작업에서 발휘할 수 있는 최대 힘을 정확히 추정할 수는 없다. 이는 작업 조건, 검사자의 지시내용, 측정방법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기 때문이다.

    등척력은 신체를 움직이지 않으면서 자발적으로 가할 수 있는 힘의 최대값을 의미한다. 이는 근육이 발휘할 수 있는 최대 힘을 측정하는 방법 중 하나이다.

    근육이 발휘할 수 있는 힘은 근육의 최대자율수축(MVC)에 대한 백분율로 나타내어진다. 이는 근육의 최대 힘을 100%로 놓고, 다른 작업에서 발휘하는 힘을 이에 대한 비율로 나타내는 것이다. 이는 근력 측정에서 중요한 지표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다음 중 신경계(nervous system)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체신경계는 피부, 골격근 및 뼈에 분포한다.
  2. 신체의 여러 가지 정보를 전달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3. 구조적으로 중추신경계와 말초신경계로 나눌 수 있다.
  4. 기능적 체신경계는 교감신결경계와 부교감신경계로 구분한다.
(정답률: 30%)
  • "체신경계는 피부, 골격근 및 뼈에 분포한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체신경계는 내장기관, 혈관, 림프관 등 내부 기관에 분포합니다.

    기능적 체신경계는 교감신경계와 부교감신경계로 구분하는 이유는, 교감신경계는 신체의 긴급한 대처와 스트레스 상황에서 작용하며, 부교감신경계는 신체의 안정과 적응에 작용하기 때문입니다. 두 체계는 상호 보완적인 역할을 하며, 신체의 균형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다음 그림과 같은 심전도에서 나타나는 P파는 심장의 어떤 상태를 의미하는 것인가?

  1. 심실의 탈분극
  2. 심실의 재분극
  3. 심방의 탈분극
  4. 심방의 재분극
(정답률: 65%)
  • P파는 심장의 심방 수축을 나타내는 신호이다. 따라서 이 심전도에서 P파가 나타나는 것은 심방의 정상적인 수축을 의미한다.

    정답이 "심방의 탈분극"인 이유는 P파 이후에 QRS 복합체가 없기 때문이다. QRS 복합체는 심실의 수축을 나타내는 신호인데, 이 심전도에서는 QRS 복합체가 없으므로 심실의 수축이 일어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상황을 심방의 탈분극이라고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산업심리학 및 관계법규

41. 다음 중 집단 응집성을 결정하는 요인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가입의 난이도
  2. 외부의 위협
  3. 현재의 경험
  4. 집단의 크기
(정답률: 57%)
  • 집단 응집성을 결정하는 요인 중에서 "현재의 경험"은 다른 요인들과는 거리가 먼 이유는, 이 요인은 집단 내부의 개인들이 현재까지 경험한 것들에 대한 영향을 받기 때문이다. 다른 요인들은 외부적인 요인들로서 집단 외부에서 발생하는 것들이지만, "현재의 경험"은 집단 내부에서 발생하는 것으로서, 집단 내부의 상호작용과 경험에 따라서 집단 응집성이 결정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McGregor의 Y이론에 따른 인간의 동기부여 인자에 해당하는 것은?

  1. 수직적 리더십
  2. 수평적 리더십
  3. 금전적 보성
  4. 직무의 단순화
(정답률: 84%)
  • McGregor의 Y이론에 따르면 인간은 자기계발과 성취를 통해 동기부여를 받는다고 합니다. 따라서 "수평적 리더십"이 인간의 동기부여 인자에 해당합니다. 이는 조직 내에서 상사와 부하 간의 관계가 평등하며, 자율성과 참여를 존중하는 리더십 스타일을 의미합니다. 이는 부하들이 자신의 역할에 대한 책임감과 자신감을 가지게 하며, 성과를 높이는 데에 도움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제조물 책임법상 제조업자가 합리적인 설명ㆍ지시ㆍ경고ㆍ기타의 표시를 하였더라면 당해 제조물에 의하여 발생될 수 있는 피해나 위험을 줄이거나 피할 수 있었음에도 이를 하지 아니한 경우의 결함을 무엇이라 하는가?

  1. 표시상의 결함
  2. 제조상의 결함
  3. 설계상의 결함
  4. 고지의무의 결함
(정답률: 65%)
  • 제조물 책임법에서는 제조업자가 합리적인 설명, 지시, 경고, 기타의 표시를 하지 않아 발생한 결함을 "표시상의 결함"이라고 정의하고 있습니다. 즉, 제조업자가 제품에 대한 충분한 정보를 제공하지 않아 사용자가 예상치 못한 위험에 노출되는 경우를 말합니다. 이에 따라 제조업자는 제품에 대한 적절한 표시를 하여 사용자가 제품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다음 중 인간-기계시스템에 있어서 휴먼에러와 그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오류확률을 예측하는 정량적 인간신뢰도 분석기법은?

  1. ETA
  2. PHA
  3. FMEA
  4. THERP
(정답률: 70%)
  • THERP는 "Technique for Human Error Rate Prediction"의 약자로, 인간-기계시스템에서 휴먼에러와 그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오류확률을 예측하는 정량적 분석기법이다. 따라서 THERP가 정답이다. ETA는 "Event Tree Analysis"의 약자로 사건나무분석기법, PHA는 "Preliminary Hazard Analysis"의 약자로 예비위험분석기법, FMEA는 "Failure Mode and Effects Analysis"의 약자로 고장모드와 영향분석기법이다. 이들은 모두 인간-기계시스템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위험을 분석하는 기법이지만, 인간의 행동에 대한 예측력이 THERP보다 떨어지기 때문에 THERP가 더욱 정확한 분석을 가능하게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다음의 휴먼에러에 대한 분류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omission error이며, skill-based error로 분류할 수 있다.
  2. omission error이며, knowledgeb-based mistake로 분류할 수 있다.
  3. commission error이며, skill-based error로 분류할 수 있다.
  4. commission error이며, knowle-dgebased mistake로 분류할 수 있다.
(정답률: 36%)
  • 이 그림은 누락 오류(omission error)를 보여주고 있으며, 이는 주로 기술 기반 오류(skill-based error)로 분류됩니다. 기술 기반 오류는 일반적으로 작업 수행 중에 발생하며, 작업자가 일반적으로 수행하는 작업을 잘못 수행하거나 생략하는 경우 발생합니다. 따라서 이 경우 작업자는 작업을 수행하는 데 필요한 기술이 부족하거나, 작업 환경이나 도구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경우가 많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재해 원인을 불안전한 행동과 불안전한 상태로 구분할 때 다음 설명 중 틀린 것은?

  1. 불안전한 행동과 불안전한 상태로 직접원인이라 한다.
  2. 재해조사시 재해의 원인은 불안전한 행동이나 불안전한 상태 중 한가지로 분류한다.
  3. 보호구의 결함은 불안전한 상태, 보호구의 미착용은 불안전한 행동으로 분류한다.
  4. 하인리히는 재해예방을 위해 불안전한 행동과 불안전한 상태의 제거가 가장 중요하다고 보았다.
(정답률: 79%)
  • "불안전한 행동과 불안전한 상태로 직접원인이라 한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사고나 재해의 원인은 불안전한 행동이나 불안전한 상태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으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원인을 단순히 불안전한 행동 또는 불안전한 상태로만 분류하는 것은 부적절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다음 중 헤드십과 리더십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헤드십은 부하와의 사회적 간격이 넓다.
  2. 리더십에서 책임은 리더와 구성원 모두에게 있다.
  3. 리더십에서 구성원과의 관계는 개인적인 영향에 따른다.
  4. 헤드십은 권한부여가 구성원으로부터 동의에 의한 것이다.
(정답률: 84%)
  • "헤드십은 권한부여가 구성원으로부터 동의에 의한 것이다."가 틀린 설명이 아닙니다. 헤드십은 일반적으로 조직의 계층 구조에서 상위에 위치한 사람들이 가지는 권한과 책임을 의미하며, 이 권한은 조직 구성원들로부터 위임받은 것이기 때문에 동의에 의한 것입니다. 따라서 "헤드십은 권한부여가 구성원으로부터 동의에 의한 것이다."는 올바른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호손(Hawthorn) 실험에서 작업자의 작업능률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요인으로 밝혀진 요인은 무엇인가?

  1. 작업장의 온도
  2. 작업장의 습도
  3. 작업자의 인간관계
  4. 물리적 작업조건
(정답률: 83%)
  • 작업자의 인간관계가 작업능률에 영향을 미치는 이유는 작업자들이 서로 협력하고 소통하는 능력이 작업의 효율성과 질을 결정하기 때문입니다. 만약 작업자들 간에 의사소통이 원활하지 않거나 갈등이 있으면 작업이 지연되거나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작업자들 간의 인간관계를 개선하고 협력을 촉진하는 것이 작업능률 향상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리더십 이론 중 ‘관리격자이론’에서 직무중심 지향적으로 인간에 대한 관심이 낮은 유형은?

  1. (1.1)형
  2. (1.9)형
  3. (9.1)형
  4. (9.9)형
(정답률: 58%)
  • "(9.1)형"은 관리격자이론에서 '직무중심 지향적'이며 '인간에 대한 관심이 낮은' 유형을 나타냅니다. 이 유형은 조직의 목표 달성을 위해 업무 수행에만 집중하고, 직원들의 개인적인 욕구나 필요성을 고려하지 않는 경향이 있습니다. 따라서 직원들의 동기부여나 성과 향상에 대한 관심이 부족하며, 조직 내에서의 인간관계나 소통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지 못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NIOSH의 스트레스 모형에서 직무스트레스 요인 중 중재요인에 해당하는 것은?

  1. 작업부하
  2. 역할갈등
  3. 소음
  4. 개인적 요인
(정답률: 50%)
  • NIOSH의 스트레스 모형에서 중재요인은 개인적 요인입니다. 이는 개인의 성격, 태도, 인지 및 대처 능력 등과 같은 내적인 요인으로,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대처 방식과 관련이 있습니다. 개인적 요인은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적응력을 높이고, 스트레스를 완화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다음 중 인간의 행동이 어떻게 동기유발이 되는가에 둔 과정이론(process theory)이 아닌 것은?

  1. 공정성이론
  2. 기대이론
  3. X-Y이론
  4. 목표설정이론
(정답률: 62%)
  • X-Y이론은 인간의 행동을 동기유발하는 과정이론이 아니라, 조직 내에서 인간의 역할과 책임에 대한 이해와 관리에 초점을 둔 이론이기 때문에 정답은 X-Y이론입니다. X-Y이론은 인간의 행동을 X(외부 동기)와 Y(내부 동기)로 나누어 설명하며, 이론적으로는 인간의 행동을 외부 동기에 의해 조절되는 것으로 보는 이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A작업장의 도수율이 2로 산출되었을 때 그 결과에 대한 해석으로 옳은 것은?

  1. 근로자 1,000명당 1년 동안 발생한 재해자수가 2명이다.
  2. 연근로시간 1,000시간당 발생한 근로손실일수가 2명이다.
  3. 근로자 10,000명당 1년간 발생한 사망자수가 2명이다.
  4. 연근로시간 1,000,000시간당 발생한 재해건수가 2건이다.
(정답률: 64%)
  • 정답은 "연근로시간 1,000,000시간당 발생한 재해건수가 2건이다." 이다. 이는 A작업장에서 근로자들이 총 1,000,000시간을 일한 동안에 재해가 2건 발생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 작업장에서는 일한 시간당 재해 발생률이 매우 낮다는 것을 알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신뢰도가 0.85인 작업자가 혼자서 검사하는 공정에 동일한 신뢰도를 가진 요원을 중복으로 지원하여 2인 1조로 검사를 한다면 이 공정에서의 신뢰도는 얼마가 되겠는가? (단, 전체 작업기간 동안 요원은 지원된다.)

  1. 0.7225
  2. 0.85
  3. 0.9775
  4. 0.9801
(정답률: 56%)
  • 두 작업자가 모두 불량품을 발견하지 않을 확률은 각각 0.15이므로, 둘 다 불량품을 발견하지 않을 확률은 0.15 x 0.15 = 0.0225이다. 따라서 둘 중 적어도 하나가 불량품을 발견할 확률은 1 - 0.0225 = 0.9775이다. 이는 두 작업자가 각각 검사할 때의 신뢰도보다 높은 값이므로, 두 작업자가 함께 검사할 때의 신뢰도는 0.9775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레윈(Lewin)의 인간행동 법칙 “B=f(PㆍfE)”의 각 인자와 리더십의 관계를 설명한 것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B는 리더십 발휘에 따른 집단의 활동을 말한다.
  2. f는 리더십의 형태이다.
  3. P는 집단을 구성하는 구성원의 특징이다.
  4. E는 집단의 과제, 구조, 사회적 요인 등 환경적 요인이다.
(정답률: 85%)
  • "f는 리더십의 형태이다."는 적절하지 않은 설명이다. f는 집단 내에서 리더십이 발휘되는 정도를 나타내는 요인으로, 리더십의 형태를 나타내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올바른 설명은 "B는 리더십 발휘에 따른 집단의 활동을 말한다.", "P는 집단을 구성하는 구성원의 특징이다.", "E는 집단의 과제, 구조, 사회적 요인 등 환경적 요인이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다음은 대인적 갈등해소 방안에 대한 그림이다. 각각의 영역(A~E)과 내용의 연결이 잘못된 것은?

  1. A : 협동
  2. B : 회피
  3. C : 타협
  4. E : 순응
(정답률: 74%)
  • 갈등해소를 위해서는 상호 협력과 협동이 필요하다. 따라서 A 영역과 "협동"이 연결되어야 한다. B 영역은 갈등을 회피하는 것으로, 갈등을 해결하지 않고 미루는 것이므로 올바르지 않다. C 영역은 상호 타협을 통해 갈등을 해결하는 것으로, 협력과 비슷하지만 조금 다르다. D 영역은 강제적인 해결 방법으로, 갈등을 더욱 심화시킬 수 있다. E 영역은 상대방의 의견에 따르는 것으로, 갈등을 해결하는 것이 아니라 상대방의 요구에 따르는 것이므로 올바르지 않다. 따라서 A 영역과 "협동"이 올바른 연결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메슬로우의 욕구단계설과 알더퍼의 ERG 이론 간의 욕구구조를 비교할 때 그 연결이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자아실현욕구-관계욕구(R)
  2. 안전욕구-생존욕구(E)
  3. 사회적욕구-관계욕구(R)
  4. 생리적욕구-생존욕구(E)
(정답률: 58%)
  • 알더퍼의 ERG 이론에서는 "안전욕구-생존욕구(E)"와 "생리적욕구-생존욕구(E)"가 함께 묶여 있으므로, 이 두 욕구는 메슬로우의 욕구단계설에서의 생리적 욕구와 안전 욕구에 해당한다. 따라서, "안전욕구-생존욕구(E)"를 제외한 나머지 세 가지 욕구구조는 모두 연결이 적절하다.

    "자아실현욕구-관계욕구(R)"은 알더퍼의 ERG 이론에서 "성장욕구-자아실현욕구(G)"와 "관계욕구-사회적욕구(R)"이 함께 묶여 있는 것과 유사하다. 이는 개인의 성장과 발전을 위한 욕구와 타인과의 관계 형성을 위한 욕구가 서로 연결되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자아실현욕구-관계욕구(R)"이 적절한 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다음 중 자기의 주관대로 추축하는 억측판단이 일어나는 배경이 아닌 것은?

  1. 희망적 관측이 강할 때
  2. 과거의 경험적 선입관이 있을 때
  3. 정보가 불확실할 때
  4. 개인적인 고민으로 인하여 정서적으로 갈등을 갖고 있을 때
(정답률: 50%)
  • 개인적인 고민으로 인하여 정서적으로 갈등을 갖고 있을 때는 주관적인 감정이 개입되어 객관적인 판단이 어렵기 때문에, 자기의 주관대로 추축하는 억측판단이 일어나는 배경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인간의 불안전한행동을 예방하기 위해 Harvey에 의해 제안된 안전대책의 3E에 해당 하지 않는 것은?

  1. 기술(Engineering)
  2. 환경(Environment)
  3. 교육(Education)
  4. 규제(Enforcement)
(정답률: 70%)
  • 환경은 인간의 행동을 직접적으로 제어할 수 없는 영역이기 때문에 3E 안전대책 중 하나가 아닙니다. 기술은 기술적인 개선을 통해 안전성을 높이는 것, 교육은 인간의 인식과 행동을 개선하는 것, 규제는 법과 규제를 통해 안전을 유지하는 것입니다. 하지만 환경은 인간의 행동을 간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것으로, 예를 들어 건물의 구조나 도로의 설계 등이 해당됩니다. 따라서 환경은 3E 안전대책 중 하나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어떤 사업장의 생산라인에서 완제품을 검사하고 있는데, 어느 날 5000개의 제품을 검사하여 200개를 불량품으로 처리하였으나 이 로트에는 실제로 1000개의 불량품이 있었을 때 로트당 휴먼에러를 범하지 않을 확률은?

  1. 0.16
  2. 0.2
  3. 0.8
  4. 0.84
(정답률: 40%)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스트레스에 대한 조직수준의 관리방안 중 개인의 역할을 명확히 해 줌으로서 스트레스의 발생원인을 제거시키는 방법은?

  1. 경력개발
  2. 과업재설계
  3. 역할분석
  4. 팀 형성
(정답률: 65%)
  • 역할분석은 개인이 맡은 역할과 책임을 명확히 정의하고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자원과 지원을 제공함으로써 스트레스의 발생원인을 제거시키는 방법입니다. 이를 통해 개인은 자신의 역할에 대한 명확한 이해와 책임감을 가지고 일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는 조직 전체의 업무 효율성과 개인의 스트레스 관리에 큰 도움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근골격계질환 예방을 위한 작업관리

61. 다음 중 중량물 취급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손 전체로 잡아서 들도록 한다.
  2. 손목과 팔꿈치는 펴진 상태에서 중량물을 든다.
  3. 허리를 곧게 유지하고, 무릎을 구부려서 들어야 한다.
  4. 발을 어깨 너비 정도 벌리고 몸의 균형을 유지해야 한다.
(정답률: 66%)
  • "손 전체로 잡아서 들도록 한다."는 적절하지 않은 설명이다.

    손목과 팔꿈치는 펴진 상태에서 중량물을 들어야 하는 이유는 이를 펴지지 않고 들 경우 손목과 팔꿈치에 부담이 가해지고 부상의 위험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중량물을 들 때는 손목과 팔꿈치를 펴고 들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Work Factor에서 동작시간 결정시 고려하는 4가지 요인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인위적 조절
  2. 동작거리
  3. 중량이나 저항
  4. 수행도
(정답률: 50%)
  • Work Factor에서 동작시간 결정시 고려하는 4가지 요인은 "인위적 조절", "동작거리", "중량이나 저항", "수행도" 이다. 따라서, 정답은 "수행도"가 아니라 다른 3가지 요인에 해당한다. 수행도는 작업을 수행하는 기계 또는 인간의 능력과 경험에 따라 달라지는 요소이므로 Work Factor에서는 고려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작업관리의 문제해결방법으로 전문가 집단의 의견과 판단을 추출하고 종합하여 집단적으로 판단하는 방법은?

  1. 브레인스토밍(Brainstorming)
  2. 마인드 맵핑(Mind mapping)
  3. 마인드 멜딩(Mind melding)
  4. 델파이 기법(Delphi technique)
(정답률: 72%)
  • 델파이 기법은 전문가 집단의 의견을 추출하고 종합하여 집단적으로 판단하는 방법으로, 익명성을 보장하고 반복적인 의견 수렴을 통해 일관성 있는 결론을 도출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관리에서 문제해결을 위해 전문가들의 의견을 수렴하고 종합하여 결정을 내리는 데에 유용하게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시설배치방법 중 공정별 배치방법의 장점에 해당하는 것은?

  1. 운반길이가 짧아진다.
  2. 작업진도의 파악이 용이하다.
  3. 적문적인 작업지도가 용이하다.
  4. 제공품이 적고, 생산길이가 짧아진다.
(정답률: 50%)
  • 공정별 배치방법은 각 공정별로 기계와 설비를 배치하여 생산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작업지도를 작성할 때 각 공정별로 구분하여 작성할 수 있기 때문에 적문적인 작업지도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는 생산 과정에서 작업자들이 작업을 수행하는 데 있어서 혼란을 줄이고 효율적인 작업을 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다음 중 작업관리에 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작업관리는 방법연구와 작업측정을 주영역으로 하는 경영기법의 하나이다.
  2. 작업관리는 작업시간을 단축하는 것을 주목적으로 한다.
  3. 작업관리는 생산성과 함께 작업자의 안전과 건강을 함께 추구한다.
  4. 작업관리는 생산과정에서 인간이 관여하는 작업을 주 연구대상으로 한다.
(정답률: 74%)
  • "작업관리는 작업시간을 단축하는 것을 주목적으로 한다." 이 설명이 적절하지 않은 이유는 작업관리는 단순히 작업시간을 단축하는 것만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 아니라, 생산성 향상과 작업자의 안전과 건강을 함께 추구하는 경영기법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다음 중 근골격계질환 예방관리 프로그램의 주요 구성요소로 볼 수 없는 것은?

  1. 보상절차 심의
  2. 예방ㆍ관리 정책 수립
  3. 교육/훈련 실시
  4. 유해요인조사 및 관리
(정답률: 84%)
  • 보상절차 심의는 근골격계질환 예방관리 프로그램의 주요 구성요소 중 하나가 아닙니다. 이는 근로자가 근골격계질환으로 인해 피해를 입었을 경우 보상을 받을 수 있는 절차를 심의하는 것으로, 예방 및 관리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따라서 보상절차 심의는 근골격계질환 예방관리 프로그램의 주요 구성요소로 볼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3시간 동안 작업수행과정을 촬영하여 워샘플링 방법으로 200회를 샘플링한 결과 이 중에서 30번 손목이 꺾임이 확인되었다. 이 작업의 시간당 손목꺾임시간은 얼마인가?

  1. 6분
  2. 9분
  3. 18분
  4. 30분
(정답률: 47%)
  • 30번 손목이 꺾인 것은 200회 중에서의 비율로 계산하면 0.15이다. 이 작업의 총 시간은 3시간이므로, 손목이 꺾인 시간은 3 x 0.15 = 0.45시간이다. 이를 분으로 환산하면 0.45 x 60 = 27분이다. 따라서, 시간당 손목꺾임시간은 27분 / 3시간 = 9분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다음 중 작업개선의 일반적 원리에 대한 내용으로 틀린 것은?

  1. 자연스러운 작업자세
  2. 과도한 힘의 사용 감소
  3. 반복 동작의 증가
  4. 충분한 여유 공간
(정답률: 77%)
  • 반복 동작의 증가가 작업개선의 일반적 원리가 아닙니다. 오히려 반복 동작을 최소화하고 효율적인 작업 방법을 도입하여 작업 시간과 비용을 절감하는 것이 작업개선의 일반적 원리입니다. 반복 동작이 증가하면 작업 시간과 비용이 증가하고, 작업자의 부상 위험도가 높아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작업개선은 반복 동작을 최소화하고 효율적인 작업 방법을 도입하여 작업자의 안전과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목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다음 중 대안의 도출방법으로 가장 적당한 것은?

  1. 공정도
  2. 특성요인도
  3. 파레토차트
  4. 브레인스토밍
(정답률: 69%)
  • 브레인스토밍은 참여자들이 자유롭게 아이디어를 제시하고, 이를 모아서 대안을 도출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다양한 아이디어를 수집하고, 참여자들의 창의성을 촉진하여 새로운 아이디어를 발굴할 수 있어 대안의 도출에 적합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A작업의 표준시간은 제품당 11분이다. 한 작업자가 8시간 작업시간 동안 제품 56개를 생산하였다면, 이 작업자의 효율은 약 얼마인가?

  1. 77.9%
  2. 92.4%
  3. 128.3%
  4. 132.1%
(정답률: 32%)
  • 한 작업자가 8시간 동안 생산한 제품 수는 56개이므로, 1시간에 생산한 제품 수는 7개이다. 따라서 이 작업자의 1시간당 표준시간 대비 생산량은 7/11 = 0.6364 이다. 이를 백분율로 환산하면 63.64% 이므로, 이 작업자의 효율은 63.64% * 200% = 128.3% 이다. 여기서 200%는 표준시간 대비 생산량을 백분율로 환산한 값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다음 중 간트차트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않은 것은?

  1. 계획 활동의 예측완료시간은 막대모양으로 표시된다.
  2. 예정사항과 실제 성과를 기록 비교하여 작업을 관리하는 계획도표이다.
  3. 기계의 사용에 대한 필요시간과 일정을 표시할 때 이용되기도 한다.
  4. 각 과제 간의 상호 연관사항 파악하기에 용이하다.
(정답률: 53%)
  • "기계의 사용에 대한 필요시간과 일정을 표시할 때 이용되기도 한다."는 간트차트와 관련이 없는 내용이므로 옳지 않은 설명이다.

    각 과제 간의 상호 연관사항 파악하기에 용이한 이유는 각각의 작업이 막대 모양으로 표시되어 있고, 작업의 선후관계와 진행 상황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를 통해 프로젝트 전체의 일정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다음 중 근골격계부담작업의 유해요인조사 및 평가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조사항목으로는 작업장의 상황, 작업조건 등이 있다.
  2. 정기 유해요인조사는 수시유해요인조사와는 별도로 2년마다 행한다.
  3. 신설되는 사업장의 경우에는 신설일로부터 1년 이내 최초의 유해요인조사를 실시하여야 한다.
  4. 사업주는 개선계획의 타당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외부의 전문기관이나 전문가로부터 지도ㆍ조언을 들을 수 있다.
(정답률: 74%)
  • "정기 유해요인조사는 수시유해요인조사와는 별도로 2년마다 행한다."이 설명이 틀린 것이 아니라 옳은 것이다. 이유는 근로자의 건강과 안전을 보호하기 위해 근로환경의 유해요인을 조사하고 평가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판단되어, 정기적으로 유해요인조사를 실시하여 개선계획을 수립하고 이행하기 위함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다음 중 근골격계 부담작업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하루 2시간 동안 허리 높이 작업대에서 전동드라이버로 자동차 부품을 조립하는 작업
  2. 자동차 조립라인에서 하루 4시간 동안 머리위에 위치한 부속품을 볼트로 체결하는 작업
  3. 하루 6시간 동안 컴퓨터를 이용하여 자료입력과 문서편집을 하는 작업
  4. 하루에 15kg의 쌀을 무릎 아래에서 허리 높이의 선반에 30회 올리는 작업
(정답률: 60%)
  • 정답은 "하루 6시간 동안 컴퓨터를 이용하여 자료입력과 문서편집을 하는 작업"입니다. 이 작업은 근골격계 부담작업이 아닌 정신적인 부담작업에 해당합니다.

    반면, "하루 2시간 동안 허리 높이 작업대에서 전동드라이버로 자동차 부품을 조립하는 작업"은 허리와 어깨에 부담이 가는 작업이며, "자동차 조립라인에서 하루 4시간 동안 머리위에 위치한 부속품을 볼트로 체결하는 작업"은 팔과 어깨에 부담이 가는 작업입니다. 마지막으로, "하루에 15kg의 쌀을 무릎 아래에서 허리 높이의 선반에 30회 올리는 작업"은 허리와 다리에 부담이 가는 작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다음 중 영상표시단말관한 내용으로 틀린 것은?

  1. 영상표시단말기의 화면을 회전 및 경사조절이 가능하도록 한다.
  2. 영상표시단말기 취급근로자의 시선을 화면 상단과 눈높이가 일치하도록 한다.
  3. 작업대는 가운데 서랍이 없는 것을 사용하도록 하며, 다리 주변에 충분한 공간을 확보한다.
  4. 위팔은 자연스럽게 늘어뜨리고, 작업자의 어깨가 들리지 않아야 하며, 팔꿈치의 내각은 90° 이내로 한다.
(정답률: 73%)
  • 위팔은 자연스럽게 늘어뜨리고, 작업자의 어깨가 들리지 않아야 하며, 팔꿈치의 내각은 90° 이내로 한다. 이유는 작업자의 팔과 어깨를 편안하게 유지하면서 장시간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팔꿈치의 내각이 90° 이내로 유지되면 작업자의 팔과 어깨에 부담이 덜 가고, 작업 효율도 높아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작업시간을 새로이 측정하기 보다는 과거에 측정한 기록들을 기준으로 동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검토하여 만든 함수식, 표, 그래프 등으로 동작시간을 예측하는 방법은?

  1. 워크샘플링(Work Sampling)
  2. 표준자료법(Standard data)
  3. MTM(Methods Time Measurement)
  4. WF(Work Factor)
(정답률: 65%)
  • 표준자료법은 과거에 측정한 작업시간 기록들을 바탕으로 특정 작업의 표준 시간을 예측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작업시간 측정에 필요한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작업자의 역량 차이나 작업 환경 변화 등에 따른 작업시간 변동을 고려하여 예측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표준자료법이 정답입니다. 워크샘플링은 작업자의 일과 휴식 시간을 샘플링하여 작업시간을 예측하는 방법이며, MTM은 작업 동작을 분석하여 작업시간을 예측하는 방법입니다. WF는 작업의 복잡도와 작업자의 역량을 고려하여 작업시간을 예측하는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어깨, 팔목, 손목, 목 등 상지에 초점을 맞추어 작업자세로 인한 작업부하를 쉽고, 빠르게 평가하는 방법은?

  1. JSL
  2. REBA
  3. RULA
  4. OWAS
(정답률: 84%)
  • RULA는 상지에 초점을 맞추어 작업자세로 인한 작업부하를 평가하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 RULA는 Rapid Upper Limb Assessment의 약자로, 빠르고 간단한 평가를 가능하게 합니다. RULA는 어깨, 팔목, 손목, 목 등 상지의 자세와 움직임을 평가하여 작업자세로 인한 부하를 쉽고 빠르게 평가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RULA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다음 중 근골격계질환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미세한 근육이나 조직의 손상으로 시작된다.
  2. 초기에 치료하지 않으면 심각해질 수 있다.
  3. 사전조사에 의하여 완전 예방이 가능하다.
  4. 신체의 기능적 장해를 유발할 수 있다.
(정답률: 75%)
  • "사전조사에 의하여 완전 예방이 가능하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대부분의 근골격계질환은 예방이 불가능하며, 초기에 적절한 치료를 받지 않으면 심각해질 수 있으며 신체의 기능적 장해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조기 발견과 적절한 치료가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다음 중 비효율적인 서블릭(therblig)이 아닌 것은?

  1. PP
  2. SH
  3. I
  4. H
(정답률: 67%)
  • 정답은 "PP"입니다.

    "PP"는 Pre-Positioning(사전 위치 지정)으로, 작업을 수행하기 전에 필요한 자원이나 도구를 미리 위치시키는 작업입니다. 이는 작업의 효율성을 높이는 작업으로, 비효율적인 서블릭이 아닙니다.

    반면에 "SH"는 Search(찾기), "I"는 Inspect(검사), "H"는 Hold(잡기)로, 이들은 작업의 효율성을 떨어뜨리는 비효율적인 서블릭입니다. "SH"는 필요한 자원이나 도구를 찾는 작업, "I"는 제품의 품질을 검사하는 작업, "H"는 물건을 잡거나 고정하는 작업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작업자가 동종의 기계를 복수로 담당하는 경우, 작업자 한 사람이 담당해야 할이론적 기계대수(n')를 구하는 식으로 옳은 것은? (단, a는 작업자와 기계의 동시작업시간의 총합, b는 작업자만의 총 작업시간, t는 기계만의 총 가동시간이다.)

(정답률: 84%)
  • 정답은 ""이다.

    작업자 한 사람이 담당해야 할 이론적 기계대수(n')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n' = (b/t) * a

    여기서 b/t는 작업자 한 사람이 기계를 가동시킬 수 있는 비율을 나타내고, a는 작업자와 기계의 동시작업시간의 총합을 나타낸다.

    따라서, 작업자 한 사람이 담당해야 할 이론적 기계대수(n')는 작업자만의 총 작업시간(b)과 기계만의 총 가동시간(t)에 비례하며, 작업자와 기계의 동시작업시간(a)에 반비례한다.

    즉, 작업자가 기계를 복수로 담당하는 경우에도 작업자 한 사람이 담당해야 할 이론적 기계대수(n')는 작업자와 기계의 동시작업시간의 총합(a)이 증가하면 감소하고, 작업자만의 총 작업시간(b)과 기계만의 총 가동시간(t)이 증가하면 증가한다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다음 중 작업관리에서 사용되는 기본형 5단계 문제해결 절차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연구대상선정→분석과 기록→자료의 검토→개선안의 수립→개선안의 도입
  2. 연구대상선정→개선안의 수립→분석과 기록→자료의 검토→개선안의 도입
  3. 연구대상선정→분석과 기록→개선안의 수립→자료의 검토→개선안의 도입
  4. 연구대상선정→자료의 검토→개선안의 수립→분석과 기록→개선안의 도입
(정답률: 67%)
  • 작업관리에서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5단계 절차를 따릅니다. 먼저 연구대상을 선정하고, 해당 대상을 분석하고 기록합니다. 그 다음 자료를 검토하고,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개선안을 수립합니다. 마지막으로 개선안을 도입하여 문제를 해결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연구대상선정→분석과 기록→자료의 검토→개선안의 수립→개선안의 도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