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공학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2-03-04)

인간공학기사
(2012-03-04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인간공학개론

1. 다음 중 양립성에 적합하게 조종장치와 표시장치를 설계할 때 얻는 효과로 볼 수 없는 것은?

  1. 반응시간의 감소
  2. 학습시간의 단축
  3. 사용자 만족도 향상
  4. 인간실수 증가
(정답률: 92%)
  • 인간실수 증가는 양립성에 적합하게 조종장치와 표시장치를 설계할 때 얻는 효과가 아니라 부작용이다. 양립성에 적합한 설계는 반응시간의 감소, 학습시간의 단축, 사용자 만족도 향상과 같은 효과를 가져온다. 인간실수 증가는 오히려 설계의 불완전함이나 사용자의 부주의 등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다음 중 인간의 기억을 증진시키는 방법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가급적이면 절대식별을 늘이는 방향으로 설계하도록 한다.
  2. 기억에 의해 판별하도록 하는 가지 수는 5가지 미만으로 한다.
  3. 여러 자극차원을 조합하여 설계하도록 한다.
  4. 개별적인 정보는 효과적인 청크(chunk)로 조직되게 한다.
(정답률: 48%)
  • "가급적이면 절대식별을 늘이는 방향으로 설계하도록 한다."가 적절하지 않은 방법이다. 이는 개인정보 보호와 관련이 있다. 절대식별이란 개인을 식별할 수 있는 정보를 말하는데, 이러한 정보가 노출될 경우 개인정보 침해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가급적 절대식별을 줄이는 방향으로 설계하는 것이 좋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다음 중 청각적 암호화 방법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진동수가 많을수록 좋다.
  2. 음의 방향은 두 귀 간의 강도차를 확실하게 해야 한다.
  3. 지속시간은 2~3수준으로 하고, 확실한 차이를 두어야 한다.
  4. 강도는 4~5수준이 좋고, 순음의 경우는 1000~4000 Hz로 한정할 필요가 있다.
(정답률: 89%)
  • "진동수가 많을수록 좋다."라는 설명이 틀린 것은 아니다. 그 이유는 인간의 청각은 주파수가 높을수록 민감하게 반응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진동수가 많을수록 더욱 민감하게 들을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다음 중 Weber의 법칙에 관련된 사항을 올바르게 설명한 것은?

  1. 특정 감각기관의 기준 자극과 변화를 감지하기 위해 필요한 자극의 차이는 원래 제시된 자극의 수준에 비례한다.
  2. 자극 사이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는 두 자극 사이의 가장 큰 차이값을 변화감지역이라 한다.
  3. Weber비는 기준 자극을 변화감지역으로 나눈 값이다.
  4. 특정감각기관의 변화감지역이 클수록 감지능력은 높아진다.
(정답률: 57%)
  • "Weber의 법칙에 관련된 사항을 올바르게 설명한 것은?": "특정 감각기관의 기준 자극과 변화를 감지하기 위해 필요한 자극의 차이는 원래 제시된 자극의 수준에 비례한다." 이것이 올바른 설명입니다.

    이유를 최대한 간단명료하게 설명해보면, Weber의 법칙은 감각기관이 자극을 감지하는 방식에 대한 법칙입니다. 이 법칙에 따르면, 특정 감각기관에서 자극을 감지하기 위해서는 원래 제시된 자극의 수준에 따라 필요한 자극의 차이가 달라진다는 것입니다. 즉, 자극이 강할수록 더 큰 차이가 필요하게 되는 것입니다. 이를 Weber비라고 부르며, 기준 자극을 변화감지역으로 나눈 값으로 계산됩니다. 따라서, 특정감각기관의 변화감지역이 클수록 감지능력은 높아지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다음 중 음압수준이 120dB인 1000Hz 순음의 sone 값은?

  1. 256
  2. 128
  3. 64
  4. 32
(정답률: 79%)
  • 음압수준이 120dB인 소리는 굉장히 큰 소리이며, 1000Hz의 순음은 인간의 귀에 상대적으로 lautness level이 높게 느껴지는 주파수 대역이다. 따라서, 이 소리의 sone 값은 매우 높을 것으로 예상된다.

    sone 값은 소리의 lautness level과 관련이 있으며, 1 sone은 40 phons의 lautness level을 가진 1000Hz 순음과 같은 소리의 강도를 가진다. 따라서, 음압수준이 120dB인 1000Hz 순음의 lautness level을 계산해보면:

    lautness level = (40dB + 120dB - 100dB) / 10dB = 6 sone

    따라서, 이 소리의 sone 값은 6 sone이며, 주어진 보기에서 가장 가까운 값은 "256"이다. 이는 sone 값이 2의 8승인 256 sone이 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다음 중 인체측정의 정적 치수 측정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형태학적 측정을 의미한다.
  2. 마틴식 인체측정 장치를 사용한다.
  3. 나체 측정을 원칙으로 한다.
  4. 상지나 하지의 운동범위를 측정한다.
(정답률: 80%)
  • "상지나 하지의 운동범위를 측정한다."는 인체의 동적인 측면을 측정하는 것이므로, 정적 치수 측정과는 관련이 없다. 따라서 이것이 틀린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다음 중 시력의 척도와 그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Vernier 시력 - 한 선과 다른 선의 측방향 변위(미세한 치우침)를 식별하는 능력
  2. 최소 가분 시력 - 대비가 다른 두 배경의 접점을 식별하는 능력
  3. 최소 인식 시력 - 배경으로부터 한 점을 식별하는 능력
  4. 입체 시력 - 깊이가 있는 하나의 물체에 대해 두 눈의 망막에서 수용할 때 상이나 그림의 차이를 분간하는 능력
(정답률: 72%)
  • "최소 인식 시력 - 배경으로부터 한 점을 식별하는 능력"이 틀린 설명입니다. 최소 인식 시력은 배경으로부터 최소한의 크기를 가진 물체를 식별하는 능력을 말하며, 이는 최소 가분 시력과 유사하지만 다른 개념입니다. 최소 가분 시력은 대비가 다른 두 배경의 접점을 식별하는 능력으로, 미세한 차이를 구별하는 능력을 말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다음 중 인간공학 연구에 사용되는 변수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독립변수는 평가 척도로 관심의 대상이 되는 변수이다.
  2. 종속변수는 조사 연구되어야 할 인자(factor)이다.
  3. 조명 수준, 작업 자세, 정보 전달 방법은 독립변수이다.
  4. 종속변수의 값은 연구자가 변화시킬 수 있다.
(정답률: 49%)
  • 독립변수는 연구자가 조작하여 변화시킬 수 있는 변수로, 평가 척도로 관심의 대상이 된다. 반면에 종속변수는 조사되어야 할 인자로, 독립변수에 따라 값이 변화한다. 따라서 조명 수준, 작업 자세, 정보 전달 방법은 연구자가 조작하여 변화시킬 수 있는 변수이므로 독립변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인체측정자료의 응용원칙 중 출입문, 통로 등의 설계시 가장 적합한 원칙은?

  1. 조절식 범위를 이용한 설계
  2. 최소치를 이용한 설계
  3. 평균치를 이용한 설계
  4. 최대치를 이용한 설계
(정답률: 93%)
  • 출입문, 통로 등의 설계는 인원이 많이 통과하는 곳이므로 최대치를 이용한 설계가 가장 적합하다. 최대치를 이용하면 인원이 많아도 원활한 통행이 가능하며, 안전성도 보장할 수 있다. 따라서 출입문, 통로 등의 설계시 최대치를 이용한 설계가 가장 적합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다음 중 최적의 조종-반응비율(C/R비) 설계시 고려해야 할 사항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목시거리가 길면 길수록 조절의 정확도는 낮아진다.
  2. 작업자의 조절 동작과 계기의 반응 사이에 지연이 발생한다면 C/R비를 높여야 한다.
  3. 조정장치의 조작 방향과 표시장치의 운동 방향을 일치시켜야 한다.
  4. 계기의 조절시간이 가장 짧아지는 크기를 선택하되 크기가 너무 작아지는 단점도 고려해야 한다.
(정답률: 80%)
  • "조절의 정확도는 낮아진다"는 것은 C/R비를 높여야 한다는 것과 관련이 없습니다. 따라서, "목시거리가 길면 길수록 조절의 정확도는 낮아진다."가 적절하지 않은 것입니다.

    작업자의 조절 동작과 계기의 반응 사이에 지연이 발생한다면 C/R비를 높여야 하는 이유는, 지연이 발생하면 작업자가 조절 동작을 한 후에도 계기의 반응이 딜레이되어 작업자가 조절 동작을 계속하게 되면서 조절이 과도하게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C/R비를 높여서 계기의 반응을 빠르게 하면 작업자의 조절 동작과 계기의 반응이 더욱 일치하여 조절이 더욱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다음 중 fitts의 법칙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반응시간에 대한 법칙이다.
  2. 거리에 비례하고, 타켓의 폭에 반비례한다.
  3. 조작 장치의 설계에 광범위하게 이용한다.
  4. 동작시간을 동작에 관련된 정보와 연관시킬 수 있다.
(정답률: 41%)
  • "반응시간에 대한 법칙이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Fitts의 법칙은 운동 시간과 운동 거리 사이의 관계를 설명하는 법칙으로, 운동 거리와 타겟의 크기에 따라 운동 시간이 결정된다는 것을 말합니다. 따라서 Fitts의 법칙은 운동 시간에 대한 법칙이 아니라, 운동 거리와 타겟 크기에 대한 법칙입니다. 이 법칙은 인간-컴퓨터 상호작용 분야에서 조작 장치의 설계에 광범위하게 이용되며, 동작시간을 동작에 관련된 정보와 연관시킬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다음 중 인간공학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인간과 사물의 설계가 인간에게 미치는 영향에 중점을 둔다.
  2. 자신을 모형으로 사물을 설계에 반영한다.
  3. 인간의 행동, 능력, 한계, 특성에 관한 정보를 발견 하고자 하는 것이다.
  4. 사용 편의성 증대, 오류 감소, 생산성 향상에 목적이 있다.
(정답률: 90%)
  • "자신을 모형으로 사물을 설계에 반영한다."는 인간공학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입니다. 이유는 인간공학은 인간의 행동, 능력, 한계, 특성에 관한 정보를 발견하고, 이를 바탕으로 사용 편의성 증대, 오류 감소, 생산성 향상 등의 목적으로 사물을 설계하는 학문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자신을 모형으로 사물을 설계에 반영하는 것은 인간의 다양한 특성을 고려하지 못하고, 제한된 시각으로 설계를 진행하는 것이므로 적절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다음 중 안경은 눈의 어떤 기관을 보조하기 위하여 사용되는가?

  1. 동공
  2. 수정체
  3. 망막
  4. 홍채
(정답률: 64%)
  • 안경은 수정체를 보조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수정체는 눈의 빛을 굴절하여 초점을 맞추는 역할을 합니다. 안경은 눈의 굴절력을 보완하여 수정체가 정확하게 초점을 맞출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다음 중 정량적 시각 표시장치의 기본 눈금선 수열로 가장 적당한 것은?

  1. 0, 10, 20 …
  2. 2, 4, 6 …
  3. 3, 6, 9 …
  4. 8, 16, 24 …
(정답률: 93%)
  • 정량적 시각 표시장치의 기본 눈금선 수열은 등간격 수열이어야 한다. 따라서 "0, 10, 20 …"이 가장 적당하다. 이는 10 단위로 등간격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이다. 다른 보기들은 등차수열이지만, 등간격 수열이 아니므로 적절하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인체의 감각기능 중 후각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후각에 대한 순응은 느린 편이다.
  2. 후각은 훈련을 통해 식별능력을 기르지 못한다.
  3. 후각은 냄새 존재 여부보다 특정 자극을 식별하는 데 효과적이다.
  4. 특정 냄새의 절대 식별 능력은 떨어지나 상대적 비교 능력은 우수한 편이다.
(정답률: 68%)
  • 인체의 후각은 특정 냄새의 절대 식별 능력은 떨어지나 상대적 비교 능력은 우수한 편입니다. 이는 후각이 냄새 자체를 식별하는 것보다는 냄새의 차이를 비교하여 구분하는 데 더 효과적이기 때문입니다. 후각은 느린 순응성을 가지고 있으며, 훈련을 통해 식별 능력을 기를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다음 중 시스템의 평가척도 유형으로 볼 수 없는 것은?

  1. 인간기준(human criteria)
  2. 관리 기준(management criteria)
  3. 시스템 기준(system-descriptive criteria)
  4. 작업 성능 기준(task performance criteria)
(정답률: 68%)
  • 정답은 "관리 기준(management criteria)"이다.

    인간기준은 사용자의 만족도나 사용성 등을 평가하는 것이고, 시스템 기준은 기술적인 측면에서의 성능을 평가하는 것이며, 작업 성능 기준은 작업 수행에 대한 성능을 평가하는 것이다.

    하지만 관리 기준은 시스템의 운영 및 관리에 대한 효율성, 비용 효율성 등을 평가하는 것으로 시스템 자체의 성능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다. 따라서 시스템의 평가척도 유형으로 볼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다음과 같은 확률로 발생하는 4가지 대안에 대한 중복률(%)은 약 얼마인가?

  1. 1.8
  2. 2.0
  3. 7.7
  4. 8.7
(정답률: 52%)
  • 중복률은 각 대안의 확률을 더한 후, 모든 대안의 교집합을 뺀 값에 100을 곱한 것이다. 따라서 1.8 + 2.0 + 8.7 = 12.5 이고, 7.7은 다른 대안과 중복되지 않으므로 교집합이 0이다. 따라서 중복률은 (12.5 - 0) * 100 = 1250이다. 이를 4로 나누면 312.5이고, 이를 다시 4로 나누면 78.125이다. 따라서 정답은 7.7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다음 중 차폐 또는 은폐(masking)와 관련된 원리를 설명한 것으로 틀린 것은?

  1. 소리가 들린다는 것을 확신할 수 있는 최소한의 음강도는 차폐음보다 15dB이상 이어야 한다.
  2. 차폐효과가 가장 큰 것은 차폐음과 배음의 주파수가 가까울 때이다.
  3. 차폐되는 소리의 임계주파수대(critical frequency band) 주변에 있는 소리들에 의해 가장 많이 차폐된다.
  4. 남성의 목소리가 여성의 목소리에 의해 더 잘 차폐된다.
(정답률: 75%)
  • "남성의 목소리가 여성의 목소리에 의해 더 잘 차폐된다."라는 설명은 차폐 또는 은폐와 관련된 원리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따라서 이것이 틀린 것입니다.

    남성의 목소리가 여성의 목소리에 의해 더 잘 차폐되는 이유는 여성의 목소리가 더 높은 주파수를 가지기 때문입니다. 높은 주파수는 차폐음과 비슷한 주파수 범위에 있기 때문에, 여성의 목소리는 남성의 목소리보다 더 잘 차폐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다음 중 부품배치의 원칙이 아닌 것은?

  1. 중요성의 원칙
  2. 사용 빈도의 원칙
  3. 사용 순서의 원칙
  4. 검출성의 원칙
(정답률: 95%)
  • 답: 검출성의 원칙

    검출성의 원칙은 부품배치의 원칙이 아니며, 부품배치의 원칙은 중요성의 원칙, 사용 빈도의 원칙, 사용 순서의 원칙이다. 중요성의 원칙은 중요한 부품일수록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배치하는 것이고, 사용 빈도의 원칙은 자주 사용하는 부품일수록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배치하는 것이다. 사용 순서의 원칙은 부품 사용 순서에 따라 배치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다음 중 병렬 시스템의 특성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요소 중 어느 하나가 정상이면 시스템은 정상으로 작동된다.
  2. 시스템의 수명은 요소 중 수명이 가장 긴 것에 의하여 결정된다.
  3. 요소의 중복도가 늘수록 시스템의 수명은 짧아진다.
  4. 요소가 개수가 증가될수록 시스템 고장의 기회는 감소된다.
(정답률: 79%)
  • "요소의 중복도가 늘수록 시스템의 수명은 짧아진다."라는 설명이 틀린 것입니다. 요소의 중복도가 높을수록 시스템의 신뢰성이 높아지고, 고장 발생 시 다른 요소가 대체하여 시스템이 계속 작동할 수 있기 때문에 오히려 수명이 늘어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작업생리학

21. 5분 동안의 들기 작업 중 피 실험자의 배기 가스를 Douglas bag을 이용하여 수집하였더니 79L였다. 이 배기 가스를 가스 분석기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O2는 12%, CO2는 6%로 나타났다. 이 들기 작업의 분당 산소 소비량(O2-L/min)은 약 얼마인가? (단, 공기 중 산소의 비율은 21vol%이다.)

  1. 5.74
  2. 3.74
  3. 1.55
  4. 1.94
(정답률: 40%)
  • 들기 작업 중 배기 가스의 산소 농도는 12%이므로, 이 작업에서 사용된 산소의 양은 79L x 12/100 = 9.48L이다. 이 작업에서 사용된 시간은 5분이므로, 분당 산소 소비량은 9.48L / 5분 = 1.896L/min이다. 그러나 이 값은 공기 중 산소의 비율이 21vol%인 것을 고려하지 않은 값이므로, 이 값을 21vol%로 보정해주어야 한다. 따라서, 분당 산소 소비량은 1.896L/min x (100/21) = 9.028L/min이다. 이 값을 소수점 둘째 자리에서 반올림하면 1.55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1.55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다음 중 근육이 피로해짐에 따라 근전도(EMG) 신호의 변화로 옳은 것은?

  1. 저주파 성분이 감소하나 진폭은 커진다.
  2. 저주파 성분이 감소하고 진폭도 작아진다.
  3. 저주파 성분이 증가하고 진폭도 커진다.
  4. 저주파 성분이 증가하나 진폭은 작아진다.
(정답률: 61%)
  • 근육이 피로해짐에 따라 근전도(EMG) 신호의 저주파 성분이 증가하고 진폭도 커진다. 이는 근육이 피로해질수록 근육 섬유의 활성화가 감소하고, 대신 느린 근육 섬유가 더 많이 활성화되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저주파 성분이 증가하고 진폭도 커지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남성근로자의 육체작업에 대한 에너지대사량을 측정한 결과 분당 작업시 산소소비량이 1.2L/min, 안정 시 산소소비량이 0.5L/min, 기초대사량이 1.5kcal/min 이었다. 이 작업에 대한 에너지대사율(RMR)은 약 얼마인가? (단, 권장평균에너지소비량은 5kcal/min 이다.)

  1. 0.47
  2. 0.80
  3. 1.25
  4. 2.33
(정답률: 29%)
  • 에너지대사율(RMR)은 기초대사량과 안정 시 산소소비량을 더한 값이다. 따라서 RMR = 기초대사량 + 안정 시 산소소비량 = 1.5kcal/min + 0.5L/min x 5kcal/L = 1.5kcal/min + 2.5kcal/min = 4kcal/min 이다. 하지만 권장평균에너지소비량은 5kcal/min 이므로, 이 남성근로자는 권장평균에너지소비량보다 적은 에너지를 사용하고 있다. 따라서, 분당 작업시 산소소비량이 1.2L/min인 이 남성근로자는 권장평균에너지소비량보다 적은 에너지를 사용하고 있으며, 그 이유는 에너지대사율(RMR)이 낮기 때문이다. 따라서 정답은 "2.33"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그림과 같이 신장이 180cm인 사람이 두 개의 저울을 머리끝과 다리 끝에 받치고 누워 있다. 머리 쪽의 눈금이 50kg, 다리 쪽의 눈금이 40kg일 때 이 사람의 머리와 무게중심 간의 거리(A)는 얼마인가?

  1. 70cm
  2. 75cm
  3. 80cm
  4. 85cm
(정답률: 66%)
  • 이 문제는 무게중심의 개념을 이해하고 있어야 풀 수 있다. 무게중심이란 물체의 전체 무게를 하나의 점으로 모아놓은 것으로, 그 지점에서는 물체가 평형을 이룬다. 이 문제에서는 머리와 다리 쪽의 무게중심을 찾아야 한다.

    우선, 머리 쪽의 무게중심을 찾기 위해 머리 쪽의 무게를 머리와 무게중심 간의 거리로 나눠준다. 즉, 50kg을 x라고 하면, (50kg * x) = (40kg * (180cm - x)) 이다. 이를 풀면 x = 80cm 이다. 따라서 머리와 무게중심 간의 거리는 80cm이다.

    다리 쪽의 무게중심도 같은 방법으로 구할 수 있다. 다리 쪽의 무게를 y라고 하면, (40kg * y) = (50kg * (180cm - y)) 이므로 y = 100cm 이다. 따라서 다리와 무게중심 간의 거리는 80cm이다.

    따라서 이 사람의 머리와 무게중심 간의 거리는 80c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다음 중 작업부하량에 따른 휴식시간 설정과 가장 관련이 있는 것은?

  1. 에너지소비량
  2. 부정맥지수
  3. 점멸융합주파수
  4. 뇌전도
(정답률: 80%)
  • 작업부하량이 증가하면 에너지소비량도 증가하게 되어 휴식시간을 더 필요로 하게 됩니다. 따라서 작업부하량에 따른 휴식시간 설정과 가장 관련이 있는 것은 "에너지소비량"입니다. 부정맥지수, 점멸융합주파수, 뇌전도는 작업부하량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다음 중 정신적 작업부하에 관한 생리적 측정치로 사용되지 않는 것은?

  1. 부정맥지수(cardiac arrhythmia)
  2. 눈꺼풀의 깜박임율(blink rate)
  3. 뇌전도(EEG)
  4. 심박수(heart beats)
(정답률: 60%)
  • 심박수는 생리적 측정치이지만, 정신적 작업부하와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기 때문에 정신적 작업부하에 관한 생리적 측정치로 사용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다음 중 어떤 물체나 표면에 도달하는 빛의 밀도를 무엇이라 하는가?

  1. 조도(照度)
  2. 광도(光度)
  3. 반사율(反射律)
  4. 점광원(點光源)
(정답률: 86%)
  • 조도는 빛의 밀도를 나타내는 단위로, 어떤 물체나 표면에 도달하는 빛의 양을 측정하는 것을 말한다. 따라서 조도는 빛의 밝기를 나타내는 것으로, 빛의 세기와 밀도를 나타내는 것이다. 반면, 광도는 빛의 세기를 나타내는 단위이며, 반사율은 물체가 빛을 반사하는 정도를 나타내는 것이고, 점광원은 빛이 발생하는 지점을 말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다음 중 소음에 관한 정의에 있어 “강렬한 소음작업”이라 함은 얼마 이상의 소음이 1일 8시간 이상 발생하는 작업을 의미하는가?

  1. 85데시벨 이상
  2. 90데시벨 이상
  3. 95데시벨 이상
  4. 100데시벨 이상
(정답률: 80%)
  • 강렬한 소음작업은 1일 8시간 이상 발생하는 소음 중에서 근로자의 청력에 해를 끼칠 가능성이 있는 소음을 말한다. 이러한 소음은 90데시벨 이상일 경우 근로자의 청력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강렬한 소음작업으로 분류된다. 따라서 정답은 "90데시벨 이상"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신체에 전달되는 진동은 전신진동과 국소진동으로 구분되는데 다음 중 진동원의 성격이 다른 것은?

  1. 크레인
  2. 지게차
  3. 그라인더
  4. 대형 운송차량
(정답률: 93%)
  • 정답은 "그라인더"입니다.

    크레인, 지게차, 대형 운송차량은 모두 큰 질량을 가지고 있어서 발생하는 진동이 전신진동에 해당합니다. 반면에 그라인더는 작은 질량을 가지고 있어서 발생하는 진동이 국소진동에 해당합니다. 따라서 그라인더는 다른 세 가지와는 성격이 다른 진동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다음 중 운동범위가 가장 크며 세 개의 운동축을 가진 관절은?

  1. 구상관절
  2. 접번관절
  3. 차축관절
  4. 평면관절
(정답률: 79%)
  • 구상관절은 운동범위가 가장 크며 세 개의 운동축을 가진 관절이다. 이는 구상골과 상완골 사이에 위치하며, 구상골의 두께가 두꺼워서 안정성이 높기 때문이다. 따라서 구상관절은 다양한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어서 운동 범위가 가장 큰 관절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다음 중 연속적 소음으로 인한 청력 손실에 해당하는 것은?

  1. 방직 공정 작업자의 청력 손실
  2. 밴드부 지휘자의 청력 손실
  3. 사격 교관의 청력 손실
  4. 낙하 단조(drop-forge) 장치 조작자의 청력 손실
(정답률: 82%)
  • "방직 공정 작업자의 청력 손실"은 연속적인 기계 소음으로 인해 발생하는 청력 손실을 의미합니다. 방직 공정에서는 대량의 천을 가공하는 과정에서 기계 소음이 발생하며, 이러한 소음은 작업자들의 청력에 영향을 미칩니다. 따라서 방직 공정 작업자들은 청력 보호용 이어마스크 등을 착용하여 청력 손실을 예방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다음 중 근력 및 지구력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근력 측정치는 작업 조건뿐만 아니라 검사자의 지시 내용, 측정 방법 등에 의해서도 달라진다.
  2. 등척력(isometric strength)은 신체를 움직이지 않으면서 자발적으로 가할 수 있는 힘의 최대값이다.
  3. 정적인 근력 측정치로부터 동적 작업에서 발휘할 수 있는 최대 힘을 정확히 추정할 수 있다.
  4. 근육이 발휘할 수 있는 힘은 근육의 최대자율수축(MVC)에 대한 백분율로 나타내어진다.
(정답률: 89%)
  • "정적인 근력 측정치로부터 동적 작업에서 발휘할 수 있는 최대 힘을 정확히 추정할 수 있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정적인 근력 측정치는 실제 동적인 작업에서 발휘할 수 있는 최대 힘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동적인 작업에서는 근육의 수축과 이완이 반복되기 때문에 근육의 최대자율수축(MVC)에 대한 백분율로 나타내어진 동적인 근력 측정치가 더 정확한 추정을 가능하게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육체적으로 격렬한 작업시 충분한 양의 산소가 근육 활동에 공급되지 못해 근육에 축적되는 것은?

  1. 피루브산
  2. 젖산
  3. 초성포도산
  4. 글리코겐
(정답률: 92%)
  • 육체적으로 격렬한 작업시 근육은 산소를 이용하여 에너지를 생산하는데, 충분한 양의 산소가 공급되지 못하면 이 과정에서 젖산이 축적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젖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다음 중 반사 눈부심의 처리로서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휘도 수준을 낮게 유지한다.
  2. 간접조명 수준을 좋게 한다.
  3. 창문을 높이 설치한다.
  4. 조절판, 차양 등을 사용한다.
(정답률: 79%)
  • 창문을 높이 설치하는 것은 반사 눈부심의 처리로서 적절하지 않습니다. 이는 창문을 높이 설치하더라도 직사광선이 들어올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조절판이나 차양 등을 사용하여 직접적인 빛을 막는 것이 더 효과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다음 중 단일 자극에 대한 근육수축의 가장 간단한 형태는?

  1. 강축(tetanus)
  2. 연축(twitch)
  3. 위축(atrophy)
  4. 비대(hypertrophy)
(정답률: 74%)
  • 연축은 근육이 단일 자극에 대해 일시적으로 수축하는 가장 간단한 형태입니다. 이는 근육 섬유 내부의 칼슘 이온이 활성화되어 근육 섬유가 수축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매우 짧은 시간 동안 지속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다음 중 효율적인 교대작업 운영을 위한 방법으로 볼 수 없는 것은?

  1. 2교대 근무는 최소화하며, 1일 2교대 근무가 불가피한 경우에는 연속 근무일이 2~3일이 넘지 않도록 한다.
  2. 고정적이거나 연속적인 야간근무 작업은 줄인다.
  3. 교대일정은 정기적이고 근로자가 예측 가능하도록 해주어야 한다.
  4. 교대작업은 주간근무 → 야간근무 → 저녁근무 → 주간근무 식으로 진행해야 피로를 빨리 회복할 수 있다.
(정답률: 84%)
  • "교대작업은 주간근무 → 야간근무 → 저녁근무 → 주간근무 식으로 진행해야 피로를 빨리 회복할 수 있다." 이것은 효율적인 교대작업 운영을 위한 방법이 아니라, 근로자의 건강과 안전을 고려한 교대작업 운영을 위한 방법이다. 교대작업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해서는 작업의 특성과 근로자의 역량을 고려하여 적절한 교대패턴을 설정하고, 교대일정을 정기적으로 조정하며, 교대작업에 필요한 교육과 훈련을 제공하는 등의 방법이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우리 몸을 구성하고 있는 단위 가운데 작은 단위부터 큰 단위 순으로 되어 있는 것은?

  1. 세포 - 조직 - 기관 - 계통
  2. 세포 - 계통 - 조직 - 기관
  3. 세포 - 기관 - 조직 - 계통
  4. 세포 - 조직 - 계통 - 기관
(정답률: 63%)
  • 우리 몸을 구성하는 가장 작은 단위는 세포이며, 이들이 모여서 비슷한 기능을 수행하는 조직을 형성합니다. 이러한 조직들이 모여서 더 큰 기능을 수행하는 기관을 형성하고, 이러한 기관들이 서로 연결되어 하나의 시스템을 이루는 것이 계통입니다. 따라서 "세포 - 조직 - 기관 - 계통"이 올바른 순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다음 중 위치(positioning) 동작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위치동작의 정확도는 그 방향에 따라 달라진다.
  2. 주로 팔꿈치의 선회로만 팔동작을 할 때가 어깨를 많이 움직일 때보다 정확하다.
  3. 반응시간은 이동거리와 관계없이 일정하다.
  4. 오른손의 위치동작은 우산-좌하 방향의 정확도가 높다.
(정답률: 56%)
  • "반응시간은 이동거리와 관계없이 일정하다."는 위치동작과는 관련이 없는 반응속도에 대한 설명이므로 틀린 것이 아니다.

    오른손의 위치동작이 우산-좌하 방향의 정확도가 높은 이유는, 대부분의 사람들이 오른손을 사용하기 때문이다. 오른손은 일상생활에서 더 많이 사용되기 때문에, 뇌에서 오른손의 위치와 움직임을 더 빠르게 처리할 수 있어서 정확도가 높아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다음 중 불수의근(Involuntary Muscle)과 관계없는 것은?

  1. 내장근
  2. 골격근
  3. 민무늬근
  4. 평활근
(정답률: 75%)
  • 정답은 "골격근"입니다.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 내장근: 내장을 둘러싸고 있는 근육으로, 소화, 순환, 호흡 등의 기능을 담당합니다.
    - 민무늬근: 무릎, 팔꿈치 등의 관절 주변에 위치한 근육으로, 관절의 움직임을 도와줍니다.
    - 평활근: 내장, 혈관, 기도 등의 내부에 위치한 근육으로, 자율신경계의 조절을 받아 조절적으로 수축합니다.

    반면, 골격근은 몸의 뼈와 연결되어 움직임을 제어하는 근육입니다. 이는 의지적으로 제어할 수 있으며, 대부분의 운동은 골격근을 사용하여 이루어집니다. 따라서 불수의근과는 관계가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다음 중 고온 작업장에서의 작업시 신체 내부의 체온조절 계통의 기능이 상실되어 발생하며, 체온이 과도하게 오를 경우 사망에 이를 수 있는 고열장해를 무엇이라 하는가?

  1. 열소모
  2. 열사병
  3. 열발진
  4. 참호족
(정답률: 90%)
  • 열사병은 고온 작업장에서의 작업시 신체 내부의 체온조절 계통의 기능이 상실되어 발생하며, 체온이 과도하게 오르면서 발생하는 질병이다. 다른 보기들은 열과 관련된 용어이지만, 열사병은 체온조절 기능의 상실로 인한 심각한 상황을 나타내는 용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산업심리학 및 관계법규

41. 다음 중 하인리히(Heinrich)의 재해발생이론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일련의 재해요인들이 연쇄적으로 발생한다는 도미노 이론이다.
  2. 일련의 재해요인들 중 어느 하나라도 제거하면 재해 예방이 가능하다.
  3. 불안전한 행동 및 상태는 사고 및 재해의 간접원인으로 작용한다.
  4. 개인적 결함은 후천적 결함으로 불안전한 행동을 유발시키고, 기계적, 물리적 위험 존재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정답률: 80%)
  • "일련의 재해요인들 중 어느 하나라도 제거하면 재해 예방이 가능하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하인리히의 재해발생이론은 일련의 재해요인들이 연쇄적으로 발생한다는 도미노 이론으로, 재해 예방을 위해서는 모든 재해요인을 제거해야 합니다.

    불안전한 행동 및 상태는 사고 및 재해의 간접원인으로 작용하는 이유는, 이들이 직접적으로 사고나 재해를 일으키지는 않지만, 다른 위험요인과 결합하여 사고나 재해를 유발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불안전한 행동이 기계적 결함과 결합하여 사고를 일으키는 경우가 있습니다. 따라서, 불안전한 행동과 상태를 예방하고 개선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다음 중 재해에 의한 상해의 종류에 해당하는 것은?

  1. 골절
  2. 추락
  3. 비래
  4. 전복
(정답률: 80%)
  • 재해에 의한 상해의 종류는 "추락", "비래", "전복" 등이 있습니다. 그 중에서 "골절"은 뼈가 부러지는 상해로, 갑작스러운 충격이나 강한 압력에 의해 발생합니다. 예를 들어, 높은 곳에서 추락하거나 차량 사고 등에서 발생할 수 있습니다. 골절은 치료가 필요하며, 치료하지 않으면 심각한 후유증을 남길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다음 중 리더십과 헤드십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헤드십 하에서는 지도자와 부하간의 사회적 간격이 넓은 반면, 리더십 하에서는 사회적 간격이 좁다.
  2. 리더십은 임명된 자도자의 권한을 의미하고, 헤드십은 선출된 지도자의 권한을 의미한다.
  3. 헤드십 하에서는 책임이 지도자와 부하 모두에게 귀속되는 반면, 리더십 하에서는 지도자에게 귀속된다.
  4. 헤드십 하에서 보다 자발적인 참여가 발생할 수 있다.
(정답률: 73%)
  • "헤드십 하에서는 지도자와 부하간의 사회적 간격이 넓은 반면, 리더십 하에서는 사회적 간격이 좁다." 이유는, 헤드십은 선출된 지도자가 권한을 가지기 때문에 부하들은 그 권위에 따라 따르게 되고, 이로 인해 사회적 간격이 생기게 된다. 반면에 리더십은 지도자가 부하들과 함께 일하며, 서로의 의견을 존중하고 소통하면서 일을 진행하기 때문에 사회적 간격이 좁아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A 사업장의 상시 근로자가 200명이고, 연간 3건의 재해가 발생했다면 이 사업장의 도수율은 약 얼마인가? (단, 근로자는 1일 9시간씩 연간 300일을 근무하였다.)

  1. 3.25
  2. 5.56
  3. 6.25
  4. 8.30
(정답률: 79%)
  • 도수율은 일정 기간 동안 발생한 재해 건수를 100명당 근로자 수로 나눈 값이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 연간 근로자 수: 200명 x 300일 = 60,000인일
    - 연간 발생한 재해 건수: 3건
    - 100명당 근로자 수: 100명 / 9시간 x 300일 = 33,333.33인시
    - 도수율: (3건 / 60,000인일) x 33,333.33인시 x 100 = 5.56

    따라서 정답은 "5.56"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다음 중 제조물 책임법에서의 결함의 유형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제조상의 결함
  2. 설계상의 결함
  3. 구매상의 결함
  4. 표시상의 결함
(정답률: 83%)
  • 제조물 책임법에서의 결함의 유형 중 "구매상의 결함"은 해당하지 않는다. 이유는 제조물 책임법은 제조자가 제조한 제품에 대한 책임을 규정하는 법이기 때문에, 구매자가 스스로 선택한 제품의 결함은 해당 법에 포함되지 않는다. 따라서 "구매상의 결함"은 제조물 책임법에서의 결함의 유형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NIOSH에서 설정한 직무 스트레스 모형에서 스트레스의 요인으로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것은?

  1. 작업환경 요인 : 소음, 조명 등
  2. 조직 요인 : 관리유형, 의사결정참여 등
  3. 조직 외 요인 : 가족상황, 재정상태 등
  4. 심리행동적 요인 : 직무불만족, 수면장애 등
(정답률: 39%)
  • 직무 스트레스 모형에서는 작업환경 요인, 조직 요인, 조직 외 요인을 스트레스의 요인으로 포함시켰지만, 심리행동적 요인은 포함시키지 않았습니다. 이는 심리행동적 요인은 개인의 내적인 요인으로서 직무 스트레스의 원인이 될 수 있지만, 조직이나 작업환경과 같은 외적인 요인과는 구분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직무 스트레스 모형에서는 개인의 심리행동적 요인은 개인의 내적인 문제로서 다루지 않고, 외적인 요인에 초점을 맞추어 직무 스트레스를 분석하고 대처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웨버(Max Weber)가 제창한 관료주의에 관한 설명과 관계가 먼 것은?

  1. 단순한 계층구조로 상위리더의 의사결정이 독단화 되기 쉽다.
  2. 노동의 분업화를 가정으로 조직을 구성한다.
  3. 부서장들의 권한 일부를 수직적으로 위임하도록 했다.
  4. 산업화 초기의 비규범적 조직운영을 체계화시키는 역할을 했다.
(정답률: 69%)
  • 웨버가 제창한 관료주의는 조직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계층적인 구조와 분업화를 가정으로 한 조직을 구성하고, 권한을 수직적으로 위임하는 것을 강조하는 이론입니다. 따라서 "단순한 계층구조로 상위리더의 의사결정이 독단화 되기 쉽다."는 이론과 관련이 있습니다. 이는 상위 리더들이 권한을 모두 가지고 있고, 하위 직원들은 의견을 제시할 수 없는 상황이 되기 때문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관료주의와 관련이 있지만, 이 문제와 직접적인 연관성은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다음 중 관리 그리드 이론(managerial grid theory)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블레이크와 모우톤이 구조주도적-배려적 리더십 개념을 연장시켜 정립한 이론이다.
  2. 리더십을 인간중심과 계량화하여 리더의 행동경향을 표현하였다.
  3. 인기형은 (9,1)형으로 인간에 대한 관심은 매우 높은데 반해 과업에 관한 관심은 낮은 리더십 유형이다.
  4. 중도형은 (5,5)형으로 과업과 인간관계 유지에 모두 적당한 정도의 관심을 갖는 리더십 유형이다.
(정답률: 90%)
  • 인기형은 (9,1)형으로 인간에 대한 관심은 매우 높은데 반해 과업에 관한 관심은 낮은 리더십 유형이다. 이 설명은 올바르다. 이론은 블레이크와 모우톤이 구조주도적-배려적 리더십 개념을 연장시켜 정립한 것으로, 리더십을 인간중심과 계량화하여 리더의 행동경향을 표현하였다. 또한 중도형은 (5,5)형으로 과업과 인간관계 유지에 모두 적당한 정도의 관심을 갖는 리더십 유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다음은 재해의 발생사례이다. 재해의 원인 분석 및 대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불안전한 행동 - 지게차 승차석외의 탑승
  2. 예방대책 - 중량물 등의 이동시 안전조치교육
  3. 재해유형 - 협착
  4. 기인물 - 강화유리
(정답률: 73%)
  • 정답은 "재해유형 - 협착"이다. 사진에서 볼 수 있듯이 창문이 강화유리로 되어 있어서 차량 내부로 탑승한 지게차가 창문과 충돌하여 창문이 깨지고 운전자가 다친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기인물 - 강화유리"가 원인이 되었다고 볼 수 있다. "불안전한 행동 - 지게차 승차석외의 탑승"과 "예방대책 - 중량물 등의 이동시 안전조치교육"은 이러한 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대책으로 적절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휴먼에러 방지대책을 설비요인 대책, 인적요인 대책, 관리요인 대책으로 구분할 때 다음 중 인적 요인에 관한 대책으로 볼 수 없는 것은?

  1. 소집단 활동
  2. 작업의 모의훈련
  3. 인체측정치의 적합화
  4. 작업에 관한 교육훈련과 작업 전 회의
(정답률: 68%)
  • 인체측정치의 적합화는 설비요인 대책에 해당하며, 인적 요인 대책으로 볼 수 없습니다. 인체측정치의 적합화란 작업자의 체형, 신체적 특성 등을 고려하여 작업환경을 조정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는 작업자의 안전과 건강을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 설비요인 대책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다음 중 McGregor의 Y 이론에 따른 인간의 동기부여 인자에 해당하는 것은?

  1. 수직적 리더십
  2. 수평적 리더십
  3. 금전적 보상
  4. 직무의 단순화
(정답률: 83%)
  • 수평적 리더십은 McGregor의 Y 이론에 따른 인간의 동기부여 인자에 해당한다. 이는 조직 내에서 직원들이 참여하고 협력하여 일을 수행하며, 자율성과 창의성을 존중하고 인정하는 리더십 스타일을 의미한다. 이는 직원들의 자기개발과 성취감을 증진시키며, 조직 내에서 긍정적인 분위기를 조성하는 데 도움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어느 검사자가 한 로트에 1000개의 부품을 검사하면서 100개의 불량품을 발견하였다. 하지만 이 로트에는 실제 200개의 불량품이 있었다면, 동일한 로트 2개에서 휴먼 에러를 범하지 않을 확률은 얼마인가?

  1. 0.01
  2. 0.1
  3. 0.81
  4. 0.9
(정답률: 57%)
  • 이 문제는 베이즈 정리를 이용하여 풀 수 있다.

    먼저, 로트 1개에서 100개의 불량품을 발견한 경우, 이 로트에서 불량품을 발견할 확률은 0.2이다. (실제 불량품의 비율)

    따라서, 이 로트에서 불량품을 발견하지 않을 확률은 0.8이다.

    이제, 로트 2개에서 모두 불량품을 발견하지 않을 확률은 각 로트에서 불량품을 발견하지 않을 확률을 곱한 값이다. 따라서, 이 확률은 0.8의 제곱인 0.64이다.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휴먼 에러를 범하지 않을 확률"을 구하는 것이므로, 로트 2개에서 불량품을 발견할 확률을 더해줘야 한다.

    로트 1개에서 불량품을 발견한 경우, 이 로트에서 불량품을 발견할 확률은 0.2이다. 따라서, 이 로트에서 불량품을 발견할 확률은 0.2이다.

    로트 2개에서 불량품을 발견할 확률은 각 로트에서 불량품을 발견할 확률을 곱한 값이다. 따라서, 이 확률은 0.2의 제곱인 0.04이다.

    따라서, 로트 2개에서 휴먼 에러를 범하지 않을 확률은 0.8 × 0.8 + 0.2 × 0.2 = 0.68이다.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보기 중에서 "0.81"이 정답이므로, 이는 계산상의 오차로 인한 것으로 추정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다음 중 레윈(Lewin)의 인간 행동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인간의 행동은 개인적 특성과 환경의 상호 함수관계이다.
  2. 인간의 욕구(needs)는 1차적 욕구와 2차적 욕구로 구분된다.
  3. 동작시간은 동작의 거리와 종류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4. 집단행동은 통제적 집단행동과 비통제적 집단행동으로 구분할 수 있다.
(정답률: 82%)
  • "인간의 행동은 개인적 특성과 환경의 상호 함수관계이다."는 옳은 설명이다. 이는 인간의 행동은 개인의 성격, 경험, 지식 등의 개인적 특성과 주변 환경, 상황, 사회적 요인 등의 영향을 받아 결정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인간의 행동은 개인과 환경의 상호작용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다. 다른 보기들은 레윈의 이론과 관련이 있지만, "인간의 행동은 개인적 특성과 환경의 상호 함수관계이다."와 직접적으로 관련되지 않는 내용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과도로 긴장하거나 감정 흥분시의 의식수준 단계로 대뇌의 활동력은 높지만 냉정함이 결여되어 판단이 둔화되는 의식수준 단계는?

  1. phase Ⅰ
  2. phase Ⅱ
  3. phase Ⅲ
  4. phase Ⅳ
(정답률: 88%)
  • "phase Ⅳ"는 과도로 긴장하거나 감정 흥분시의 의식수준 단계로, 대뇌의 활동력은 높지만 냉정함이 결여되어 판단이 둔화되는 상태를 나타냅니다. 다른 보기들은 이와 관련된 의식수준 단계를 나타내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주의란 행동의 목적에 의식수준이 집중되는 심리상태를 말한다. 다음 중 주의의 특성이 아닌 것은?

  1. 선택성
  2. 경향성
  3. 변동성
  4. 방향성
(정답률: 78%)
  • 주의의 특성 중에서 경향성은 아닙니다. 주의는 선택성, 변동성, 방향성 등의 특성을 가지고 있지만, 경향성은 특정한 방향으로 기울어져 있는 경향이나 성향을 의미하는 것으로, 주의의 특성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휴먼 에러의 유형에 따른 분류체계 중 심리적인 측면에 따른 분류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지연오류
  2. 누락오류
  3. 입력오류
  4. 순서오류
(정답률: 48%)
  • 입력오류는 심리적인 측면이 아닌 기술적인 측면에 해당한다. 입력오류는 사용자가 잘못된 정보를 입력하는 경우 발생한다. 예를 들어, 오타나 잘못된 숫자를 입력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입력오류는 심리적인 측면에 해당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다음 중 결함수 분석법(FTA)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재해발생 원인을 Tree 상으로 표현할 수 있다.
  2. 컴퓨터 처리가 불가능하다.
  3. 기초적 결함조건을 가변적이라고 가정한다.
  4. 체계 내 결함의 누적효과를 묘사할 수 없는 한계성이 있다.
(정답률: 84%)
  • 정답: "재해발생 원인을 Tree 상으로 표현할 수 있다."

    FTA는 재해발생 원인을 Tree 상으로 표현하여 체계 내 결함의 원인과 영향을 파악하는 분석 기법이다. 따라서 "재해발생 원인을 Tree 상으로 표현할 수 있다."는 옳은 설명이다. 다른 보기들은 틀린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집단역학에 있어 구성원 상호간의 선호도를 기초로 집단 내부의 동태적 상호관계를 분석하는 것을 무엇이라 하는가?

  1. 갈등 관리
  2. 집단의 응집력
  3. 시너지 효과
  4. 소시오메트리
(정답률: 80%)
  • 소시오메트리는 집단 내부의 구성원들 간의 상호작용을 분석하는 방법론으로, 구성원들의 선호도를 기반으로 집단 내부의 동태적 상호관계를 분석한다. 따라서 정답은 "소시오메트리"이다. 갈등 관리는 집단 내부의 갈등을 관리하는 것, 집단의 응집력은 집단 내부의 구성원들이 서로 유대감을 느끼고 협력하는 정도를 나타내는 것, 시너지 효과는 집단 내부의 구성원들이 함께 일할 때 발생하는 효과를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다음 중 반응시간 또는 동작시간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C 반응시간은 여러 가지의 자극이 주어지고, 이들 자극 모두에 대하여 반응하는 총소요시간을 의미한다.
  2. 단순반응시간은 A 반응시간이라고도 하며, 하나의 특정자극에 대하여 반응하는 데 소요되는 시간을 의미한다.
  3. 선택반응시간은 B 반응시간이라고도 하며, 일반적으로 자극과 반응의 수가 증가할수록 로그에 비례하여 증가한다.
  4. 동작시간은 신호에 따라 손을 움직여 동작을 실제로 실행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의미한다.
(정답률: 36%)
  • 정답은 "C 반응시간은 여러 가지의 자극이 주어지고, 이들 자극 모두에 대하여 반응하는 총소요시간을 의미한다."가 아니다. 반응시간은 하나의 자극에 대해 반응하는 시간을 의미하며, 여러 가지 자극에 대해 반응하는 시간을 측정하는 것은 다중작업 처리능력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다음 그림은 스트레스 수준과 성과수준과의 관계를 나타낸 것이다. A, B, C에 해당하는 스트레스의 종류를 올바르게 나열한 것은?

  1. A : 순기능, B : 역기능, C : 순기능
  2. A : 직무 , B : 역기능, C : 직무
  3. A : 역기능, B : 순기능, C : 역기능
  4. A : 직무 , B : 순기능, C : 개인
(정답률: 77%)
  • A는 역기능에 해당하는 스트레스이다. 역기능 스트레스는 개인의 성과를 저하시키는 스트레스로, 업무에 집중하지 못하고 실수를 일으키는 등의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B는 순기능에 해당하는 스트레스이다. 순기능 스트레스는 개인의 성과를 향상시키는 스트레스로, 동기부여가 되고 업무에 대한 책임감이 생기는 등의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C는 다시 역기능에 해당하는 스트레스이다. 따라서 정답은 "A : 역기능, B : 순기능, C : 역기능"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근골격계질환 예방을 위한 작업관리

61. 다음 중 공정도에 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대상의 주체를 도시기호(圖示記號)로 나타낸다.
  2. 작업을 기본적인 동작요소로 나눈다.
  3. 대상을 4 또는 5요소로 나누어 분석한다.
  4. 대상을 보다 상세히 전문적 분야에서 분석한다.
(정답률: 48%)
  • "대상을 보다 상세히 전문적 분야에서 분석한다."는 공정도에 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입니다.

    작업을 기본적인 동작요소로 나누는 이유는 작업을 더 작은 단위로 분해하여 각각의 동작요소를 분석하고 개선함으로써 전체 작업의 효율성과 품질을 높이기 위함입니다. 이를 통해 작업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개선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다음 중 시계 조립과 같이 정밀한 작업을 하기 위한 작업대의 높이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팔꿈치 높이보다 5 ~ 15cm 낮게 한다.
  2. 팔꿈치 높이로 한다.
  3. 팔꿈치 높이보다 5 ~ 15cm 높게 한다.
  4. 작업면과 눈의 거리가 30cm 정도 되도록 한다.
(정답률: 89%)
  • 정답: "팔꿈치 높이보다 5 ~ 15cm 높게 한다."

    이유: 작업대의 높이를 팔꿈치 높이로 맞추면 작업자의 팔과 어깨에 부담이 가게 되어 오랫동안 작업을 하면 근육통이나 피로감이 느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팔꿈치 높이보다 5 ~ 15cm 높게 조절하면 작업자의 팔과 어깨에 부담이 덜 가게 되어 작업 효율과 편안함을 동시에 높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MTM(Method Time Measurement)법에서 사용되는 기호와 기본 동작의 연결이 올바른 것은?

  1. R : 손뻗침
  2. R : 회전
  3. P : 잡음
  4. P : 누름
(정답률: 70%)
  • MTM(Method Time Measurement)법에서 R은 "Reach(도달)"를 나타내며, 손뻗침 동작과 연결됩니다. 손뻗침은 손을 뻗어서 물건을 가져오거나,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위치로 이동하는 동작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R : 손뻗침은 MTM법에서 매우 중요한 동작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제품 1개를 생산하기 위하여 원자재를 기계에 물리는데 2분, 기계의 자동가공시간이 3분 걸린다. 작업자가 동종의 기계를 2대 담당하는 경우의 시간당 생산량은?

  1. 10
  2. 12
  3. 20
  4. 24
(정답률: 52%)
  • 한 대의 기계로 1개의 제품을 생산하는데는 2분 + 3분 = 5분이 걸립니다. 따라서, 한 대의 기계로 생산할 수 있는 시간당 생산량은 60분 / 5분 = 12개입니다.

    작업자가 동종의 기계를 2대 담당한다면, 시간당 생산량은 12개/대 x 2대 = 24개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24"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다음 중 선 자세에서 중량물 취급을 가장 편하게 할 수 있는 구간은?

  1. 바닥에서 어깨 높이
  2. 바닥에서 허리 높이
  3. 무릎 높이에서 어깨 높이
  4. 주먹 높이에서 팔꿈치 높이
(정답률: 75%)
  • 주먹 높이에서 팔꿈치 높이가 가장 편한 구간이다. 이는 팔꿈치가 몸 쪽으로 들어와 있어서 중량물을 더욱 안정적으로 들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팔꿈치와 어깨 사이의 거리가 가장 가까워서 힘을 덜 들이고 효율적으로 중량물을 취급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다음 중 근골격계 질환 관련 위험작업에 대한 관리적 개선으로 볼 수 없는 것은?

  1. 작업 일정 및 작업속도 조절
  2. 작업도구나 설비의 개선
  3. 스트레칭 체조의 활성화
  4. 올바른 수공구 사용법에 대한 작업자 훈련
(정답률: 68%)
  • 작업도구나 설비의 개선은 근골격계 질환 관련 위험작업에 대한 관리적 개선으로 볼 수 없습니다. 이는 기존의 작업도구나 설비를 개선하는 것으로, 작업자의 작업환경을 개선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작업 일정 및 작업속도 조절, 스트레칭 체조의 활성화, 올바른 수공구 사용법에 대한 작업자 훈련 등과 같은 작업환경 개선 방안이 더욱 효과적인 관리적 개선 방안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다음 중 동작분석과 관련이 가장 적은 것은?

  1. 유통공정도
  2. 작업자 공정도
  3. 사이클 그래프 분석
  4. 서어블릭(Therblig) 분석
(정답률: 62%)
  • 유통공정도는 제품이 생산된 후 유통되는 과정에서의 효율성을 분석하는 것으로, 동작분석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적습니다. 작업자 공정도, 사이클 그래프 분석, 서어블릭 분석은 모두 동작분석의 방법론 중 하나로, 작업자의 동작, 작업 과정의 흐름, 작업 시간 등을 분석하여 개선점을 도출하는 데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다음 중 작업관리의 문제해결 절차를 올바르게 나열한 것은?

  1. 연구대상의 선정 → 작업방법의 분석 → 분석자료의 검토 → 개선안의 수립 및 도입 → 확인 및 재발방지
  2. 연구대상의 선정 → 개선안의 수립 및 도입 → 분석자료의 검토 → 작업방법의 분석 → 확인 및 재발방지
  3. 개선안의 수립 및 도입 → 연구대상의 선정 → 작업 방법의 분석 → 분석자료의 검토 → 확인 및 재발방지
  4. 분석자료의 검토 → 연구대상의 선정 → 개선안의 수립 및 도입 → 작업 방법의 분석 → 확인 및 재발방지
(정답률: 85%)
  • 정답은 "연구대상의 선정 → 작업방법의 분석 → 분석자료의 검토 → 개선안의 수립 및 도입 → 확인 및 재발방지"입니다. 이는 문제해결 절차의 일반적인 흐름을 따르고 있습니다. 먼저 연구대상을 선정하고, 작업방법을 분석한 후 분석자료를 검토합니다. 이후에는 개선안을 수립하고 도입하며, 마지막으로 확인하고 재발방지를 위한 대책을 수립합니다. 이러한 절차를 따르면 문제를 체계적으로 해결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3시간 동안 작업 수행과정을 촬영하여 워크샘플링 방법으로 200회를 샘플링한 결과 이 중에서 30번의 손목이 꺽임이 확인되었다. 이 작업의 시간당 손목꺽임시간은 얼마인가?

  1. 6분
  2. 9분
  3. 18분
  4. 30분
(정답률: 71%)
  • 200회 중 30번의 손목 꺽임이 있었으므로, 작업 수행 동안 손목 꺽임이 발생할 확률은 30/200 = 0.15 이다. 이 작업의 시간당 손목 꺽임 시간을 X라고 하면, 이 작업에서 손목 꺽임이 발생할 확률은 X*3*0.15 이다. 여기서 3은 3시간 동안 작업을 수행했기 때문이다. 따라서 X*3*0.15 = 30/200 이므로, X = (30/200)/(3*0.15) = 9분이다. 따라서 정답은 "9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다음 중 작업측정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내용은?

  1. TV 조립공정과 같이 짧은 주기의 작업은 시간연구법이 좋다.
  2. 레이팅은 측정작업을 보통속도로 변환하여 주는 과정이다.
  3. 정미시간은 반복생산에 요구되는 여유시간을 포함한다.
  4. 인적여유는 생리적 욕구에 의해 작업이 지연되는 시간을 포함한다.
(정답률: 68%)
  • 정미시간은 반복생산에 요구되는 여유시간을 포함하지 않는다. 정미시간은 작업자가 작업을 시작하기 전에 필요한 시간으로, 작업장에 도착하고 작업 준비를 마치는 등의 작업 이전 과정을 포함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다음 중 건염(tendinitis)에 대한 정의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장시간 진동에 노출되어 촉각 저하를 야기하는 질환
  2. 인대나 근육이 늘어나거나 찢어진 질환
  3. 근육과 뼈를 연결하는 건에 염증이 발생한 질환
  4. 근육조직이 파괴되어 작은 덩어리가 발생한 질환
(정답률: 86%)
  • 건염(tendinitis)은 근육과 뼈를 연결하는 건에 염증이 발생한 질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다음 중 일반적인 시간연구방법과 비교하여 워크 샘플링 방법의 장점이 아닌 것은?

  1. 분석자에 의해 소비되는 총작업시간이 훨씬 적은 편이다.
  2. 특별한 시간 측정 장비가 별도로 필요하지 않는 간단한 방법이다.
  3. 관측항목의 분류가 자유로워 작업현황을 세밀히 관찰할 수 있다.
  4. 한 사람의 평가자가 동시에 여러 작업을 동시에 측정할 수 있다.
(정답률: 54%)
  • "한 사람의 평가자가 동시에 여러 작업을 동시에 측정할 수 있다."는 워크 샘플링 방법의 장점이 아닙니다.

    "관측항목의 분류가 자유로워 작업현황을 세밀히 관찰할 수 있다."는 워크 샘플링 방법의 장점입니다. 이는 관측 대상이 되는 작업을 세분화하여 관찰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의 세부적인 특성을 파악할 수 있고, 이를 기반으로 작업환경 개선 등의 대책을 수립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다음 중 근골격계 질환 예방·관리 프로그램의 실행을 위한 노·사의 역할에서 예방관리 추진팀의 역할과 가장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은?

  1. 기본 정책을 수립하여 근로자에게 알려야 한다.
  2. 주기적인 근로자 면담 등을 통하여 근골격계 질환 증상 호소자를 조기에 발견하는 일을 한다.
  3. 예방·관리 프로그램의 개발·평가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준수한다.
  4. 예방·관리 프로그램의 수립 및 수정에 관한 사항을 결정한다.
(정답률: 57%)
  • 예방관리 추진팀의 역할은 예방·관리 프로그램의 개발·평가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준수하는 것이다. 따라서 예방·관리 프로그램의 수립 및 수정에 관한 사항을 결정하는 것은 노사의 역할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다음 중 동작경제의 원칙에 있어 신체 사용에 관한 원칙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두 손의 동작은 같이 시작하고 같이 끝나도록 한다.
  2. 휴식시간을 제외하고는 양손이 같이 쉬지 않도록 한다.
  3. 공구나 재료는 작업동작이 원활하게 수행되도록 위치를 정해주지 않는다.
  4. 가능하다면 쉽고도 자연스러운 리듬이 생기도록 동작을 배치한다.
(정답률: 84%)
  • "공구나 재료는 작업동작이 원활하게 수행되도록 위치를 정해주지 않는다."가 해당하지 않는다. 이는 오히려 동작경제의 원칙과는 반대되는 원칙이다. 작업 동작이 원활하게 수행되기 위해서는 공구나 재료의 위치가 작업자에게 편리하게 배치되어야 한다. 따라서 이 원칙은 잘못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다음 중 근골격계 질환을 예방하기 위한 대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작업속도와 작업강도를 점진적으로 강화한다.
  2. 단순 반복 작업은 기계를 사용한다.
  3. 작업방법과 작업공간을 재설계한다.
  4. 작업순환(Job Rotation)을 실시한다.
(정답률: 92%)
  • 작업속도와 작업강도를 점진적으로 강화하는 것은 근골격계 질환을 예방하기 위한 대책으로 적절하지 않습니다. 이는 오히려 근골격계 질환의 위험을 높일 수 있기 때문입니다. 작업속도와 작업강도를 강화하면 근육과 관절에 더 큰 부담이 가해지기 때문에, 근골격계 질환의 발생 위험이 높아집니다. 따라서, 작업속도와 작업강도를 적절하게 조절하고, 작업방법과 작업공간을 재설계하거나 작업순환을 실시하는 것이 더 효과적인 예방 대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다음 중 자동차 공장의 컨베이어식 조립라인에서 선 자세에서 자동차 하부의 볼트를 조립하는 작업자에 대한 근골격계 질환 유해요인 평가에 가장 적절한 방법은?

  1. RULA(Rapid Upper Limb Assessment)
  2. NIOSH Lifting Equation
  3. SI(Strain Index) 기법
  4. ACGIH Vibraion TLV 기법
(정답률: 75%)
  • RULA(Rapid Upper Limb Assessment)은 상지의 움직임과 자세를 평가하여 근골격계 질환 유해요인을 평가하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 이 방법은 작업자의 상지 움직임, 자세, 작업환경 등을 고려하여 간단하고 빠르게 평가할 수 있으며, 작업자의 근골격계 질환 발생 가능성을 예측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자동차 공장의 컨베이어식 조립라인에서 선 자세에서 자동차 하부의 볼트를 조립하는 작업자에 대한 근골격계 질환 유해요인 평가에 RULA가 가장 적절한 방법입니다. NIOSH Lifting Equation은 물건을 들어올리는 작업에 대한 평가 방법이며, SI(Strain Index) 기법은 근육의 수축과 이완에 따른 근골격계 질환 발생 가능성을 평가하는 방법입니다. ACGIH Vibraion TLV 기법은 진동에 노출된 작업자의 진동량을 평가하는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다음 중 작업 개선을 위한 ECRS 원칙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제거(Eliminate)
  2. 관리(Control)
  3. 재배열(Rearrange)
  4. 단순화(Simplify)
(정답률: 89%)
  • 정답은 "관리(Control)"입니다.

    ECRS는 "Eliminate, Combine, Rearrange, Simplify"의 약자로, 작업 개선을 위한 원칙을 나타냅니다. 이 중 "관리(Control)"는 원칙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제거(Eliminate)"는 불필요한 작업이나 자원을 제거하여 효율성을 높이는 것을 의미합니다.

    "재배열(Rearrange)"은 작업 순서나 자원 배치 등을 변경하여 작업 효율성을 높이는 것을 의미합니다.

    "단순화(Simplify)"는 작업을 단순화하여 오류를 줄이고 생산성을 높이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관리(Control)"는 ECRS 원칙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다음 중 산업안전보건법상 근골격계 부담작업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하루에 10회 이상 30kg의 물체를 드는 작업
  2. 하루에 25회 이상 12kg의 물체를 무릎 아래에서 드는 작업
  3. 하루에 4시간 동안 쪼그리고 앉거나 무릎을 굽힌 자세에서 이루어지는 작업
  4. 하루에 2시간 동안 지지되지 않은 상태에서 2.5kg 의 물건을 한 손으로 드는 작업
(정답률: 72%)
  • 정답: "하루에 2시간 동안 지지되지 않은 상태에서 2.5kg 의 물건을 한 손으로 드는 작업"

    이유: 산업안전보건법에서는 근골격계 부담작업을 다음과 같이 정의하고 있다. "근골격계 부담작업이란, 근골격계에 부담을 주는 작업으로서, 일정한 강도와 반복성, 지속성, 근육의 긴장, 자세 등이 근골격계 질환의 발생 위험성을 높이는 작업을 말한다." 따라서, 하루에 2시간 동안 지지되지 않은 상태에서 2.5kg 의 물건을 한 손으로 드는 작업은 근골격계 부담작업에 해당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작업관리의 문제분석 도구로서 시간 축 위에 수행할 활동에 대한 필요한 시간과 일정을 표시한 것은?

  1. 특성요인도
  2. 파레토차트
  3. PERT차트
  4. 간트차트
(정답률: 74%)
  • 간트차트는 시간 축 위에 수행할 활동에 대한 필요한 시간과 일정을 표시하여 작업의 진행 상황을 파악하고 일정을 조율하는 데에 유용한 도구입니다. 따라서 작업관리의 문제분석 도구로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정미시간이 개당 3분이고, 준비시간이 60분이며 로트크기가 100개일 때 개당 표준시간은 얼마인가?

  1. 2.5분
  2. 2.6분
  3. 3.5분
  4. 3.6분
(정답률: 48%)
  • 개당 표준시간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개당 표준시간 = (정미시간 + 준비시간) / 로트크기

    여기에 주어진 값들을 대입하면,

    개당 표준시간 = (3분 + 60분) / 100개
    = 63분 / 100개
    = 0.63분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분 단위로 답을 구해야 하므로, 0.63분을 분으로 변환해야 한다.

    0.63분 = 0분 0.63초
    = 0분 38초

    따라서 개당 표준시간은 3분 38초이다. 이를 소수점 첫째 자리까지 반올림하면 3.6분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