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약류관리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3-08-31)

화약류관리기사
(2003-08-31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일반화약학

1. 질산 에스테르(Ester nitrate)화합물이 아닌 것은?

  1. 펜트리트
  2. 니트로글리세린
  3. 니트로 녹말
  4. 테트릴
(정답률: 92%)
  • 질산 에스테르(Ester nitrate)화합물은 질산과 알코올이 반응하여 생성되는 화합물로, 보통 니트로글리세린과 같은 폭발물로 사용됩니다. 따라서 "펜트리트", "니트로글리세린", "니트로 녹말"은 모두 질산 에스테르화합물입니다. 반면에 "테트릴"은 질산 에스테르화합물이 아니며, 대신에 RDX와 PETN 등의 화합물로 구성된 폭발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화약류가 갖추어야 할 조건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이용가치가 있을 것
  2. 다량의 열과 가스를 방출할 것
  3. 마찰 및 충격에 아주 민감할 것
  4. 발파 후 잔류 화약이 없을 것
(정답률: 알수없음)
  • 화약류가 마찰 및 충격에 아주 민감하다는 것은 안전성이 떨어지고, 예기치 않은 사고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화약류가 갖추어야 할 조건으로 옳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폭약의 산소평형이 + 3.0 이 되도록 설계하였다. 이 때 발생할 수 있는 유해가스는?

  1. CO
  2. CO2
  3. NO2
  4. SO2
(정답률: 알수없음)
  • 산소평형이 +3.0이 되면 폭약 반응에서 산소가 과잉으로 존재하게 됩니다. 이는 연소 반응에서 산소가 충분히 공급되어 연소가 완전하게 일어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유해가스인 NO2는 생성되지 않습니다. NO2는 연소 반응에서 산소가 부족한 상황에서 생성되는 유해가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초안폭약의 감열 소염제로서 사용되지 않는 것은?

  1. 염화칼륨
  2. 식염
  3. 콜탈
  4. 염화암모늄
(정답률: 알수없음)
  • 초안폭약은 감열에 의해 폭발하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해 감열 소염제가 필요합니다. 염화칼륨, 식염, 염화암모늄은 모두 감열 소염제로 사용될 수 있지만, 콜탈은 감열 소염제로 사용되지 않습니다. 이유는 콜탈은 화약의 산화작용을 촉진시키는 역할을 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초안폭약의 감열 소염제로는 콜탈을 사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도폭선의 심약으로 사용되지 않는 것은?

  1. 테트릴
  2. TNT
  3. 헥소겐
  4. PETN
(정답률: 82%)
  • 테트릴은 도폭선의 심약으로 사용되지 않는 이유는 그것이 안정성이 떨어지기 때문입니다. TNT, PETN, 헥소겐은 모두 안정성이 높은 폭약으로, 도폭선의 심약으로 사용됩니다. 하지만 테트릴은 불안정하며, 충격이나 열에 노출되면 폭발할 위험이 있습니다. 따라서 도폭선의 심약으로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40% 다이너마이트(약경 32㎜, 약량 112.5g)의 순폭시험을 한 결과 8 이었다. 얼마 후 재시험을 하였더니 순폭거리가 192㎜ 이었다. 감소한 순폭도는?

  1. 2
  2. 4
  3. 6
  4. 8
(정답률: 알수없음)
  • 순폭이 8일 때의 다이너마이트의 질량을 X라고 하면, X/112.5 = 8/32 이므로 X는 25g이다.
    재시험에서 순폭이 192㎜이므로, 순폭이 8일 때와의 차이는 192-32=160㎜이다.
    다이너마이트의 질량은 변하지 않았으므로, 순폭도의 감소는 비례식 X/160 = 25/Y에서 Y=2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도화선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연소속도가 일정해야 하며, 단위길이의 약량이 균일해야 한다.
  2. 연소속도가 1m 당 70~80 ± 10sec 이어야 한다.
  3. 수중폭파 사용 도화선은 수심 1m의 곳에서 2시간 정도의 내수성을 가져야 한다.
  4. 도화선은 1m 당 3.5g 이상의 흑색화약을 사용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연소속도가 1m 당 70~80 ± 10sec 이어야 한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연소속도는 일정해야 하지만, 단위길이의 약량이 균일해야 한다는 것은 맞다. 연소속도는 도화선의 용도와 사용하는 화약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조절된다. 따라서 연소속도가 정확히 1m 당 70~80 ± 10sec이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흑색 카알릿(carlit) 9.25g 을 취하여 가열시험한 결과 시료의 무게가 8.93g 으로 감소 되었다면 시험결과는?

  1. 3.5% 로 불합격이다.
  2. 3.5% 로 합격이다.
  3. 0.035% 로 불합격이다.
  4. 0.035% 로 합격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시료의 무게 감소율을 계산해보면 (9.25-8.93)/9.25 x 100 = 3.46% 이므로, 보기에서 주어진 정답은 "3.5% 로 불합격이다." 이다. 이유는 시료의 무게 감소율이 규정된 기준치인 3%를 초과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다이너마이트의 포장 재료로 사용되지 않는 것은?

  1. 목상자
  2. Poly Ethylene부대
  3. 골판지 상자
  4. 철제상자
(정답률: 알수없음)
  • 다이너마이트는 폭발물질로서, 충격이나 온도 변화에 민감하므로 포장 재료로는 충격을 완화시키는 유연한 재료가 적합합니다. 따라서 철제상자는 충격을 완화시키지 못하고 오히려 폭발 위험성을 높일 수 있으므로 다이너마이트의 포장 재료로 사용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뇌홍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뇌홍은 분자식은 Pb(ON3)2이다.
  2. 발화점은 170 ~ 190℃ 로 열감도에 예민하다.
  3. 발열량을 증진시키기 위해 KClO3를 가한 것을 뇌홍폭분이라 한다.
  4. 600㎏/㎝2 이상으로 압착하면 사압(死壓)현상이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뇌홍은 분자식은 Pb(ON3)2이다." 인 이유를 설명하는 것은 없으므로, 모두 옳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붉은 불꽃을 발생함으로 위험신호를 알리는데 사용하는 신호염관(Fire signal)의 주성분은?

  1. 과염소산암모늄 + 질산암모늄
  2. 염소산암모늄 + 질산암모늄
  3. 과염소산암모늄 + 질산스트론튬
  4. 질산암모늄 + 질산스트론튬
(정답률: 100%)
  • 붉은 불꽃을 발생시키기 위해서는 고온과 산소가 필요합니다. 이를 위해 과염소산암모늄과 질산스트론튬이 사용됩니다. 과염소산암모늄은 고온에서 분해되면서 산소를 방출하고, 질산스트론튬은 고온에서 붉은 불꽃을 발생시킵니다. 따라서 이 두 성분을 혼합하여 사용하면 붉은 불꽃을 발생시키면서 위험신호를 알릴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산소 공급제로 구성된 것은?

  1. NaN03, KN03, NH4Cℓ 04
  2. BaS04, NaCℓ , Aℓ
  3. K2S04, CaC03, Fe
  4. CuN03, HN03, H2S04
(정답률: 알수없음)
  • 산소 공급제는 산화제와 반응하여 산소를 방출하는 화합물입니다. 따라서 NaN03, KN03, NH4Cℓ 04 중에서는 N이 산화되어 있어 산소를 방출할 수 있습니다. 다른 보기들은 산화제가 아니기 때문에 산소 공급제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기폭감도에 영향을 주지 않는 요소는?

  1. 전폭성
  2. 장전비중과 기폭성
  3. 겉보기 비중과 감도
  4. 마찰감도
(정답률: 알수없음)
  • 기폭감도는 폭발물의 민감도를 나타내는 지표이며, 이는 외부 요인에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마찰감도는 폭발물 내부의 성질로, 외부 요인에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따라서 마찰감도는 기폭감도에 영향을 주지 않는 요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흑색화약 제조 시 가장 위험한 공정은?

  1. 1 미혼화
  2. 2 미혼화
  3. 3 미혼화
  4. 4 미혼화
(정답률: 60%)
  • 흑색화약 제조 시 가장 위험한 공정은 미혼화 공정입니다. 미혼화란, 화약의 성분을 혼합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화약 가루를 의미합니다. 이 과정에서 화약 가루가 불순물이나 외부 충격 등으로 인해 폭발할 수 있기 때문에 매우 위험합니다. 따라서 미혼화 공정에서는 안전장치와 철저한 안전 절차가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초안의 고화를 방지하기 위해 표면에 도포하는 물질로 쓰이지 않는 것은?

  1. 점토
  2. 계면활성제
  3. 목탄
  4. 규조토
(정답률: 55%)
  • 목탄은 초안의 고화를 방지하기 위해 표면에 도포하는 물질로 쓰이지 않는다. 이는 목탄이 흑색이기 때문에 표면을 검게 만들어 시각적으로 불편하게 만들기 때문이다. 따라서 점토, 계면활성제, 규조토 등이 초안의 고화를 방지하기 위해 표면에 도포하는 물질로 쓰인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1g 당 산소 과부족량이 + 0.035g 인 화약은?

  1. 질산칼륨
  2. 질산암모늄
  3. 니트로글리세린
  4. 니트로글리콜
(정답률: 80%)
  • 화약은 폭발할 때 산소를 필요로 합니다. 이 화약은 1g 당 0.035g 만큼 산소 과부족량이 있으므로, 산소를 충분히 공급받지 못하면 폭발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화약은 산소를 충분히 공급해줄 수 있는 화합물이 필요합니다.

    보기 중에서 "니트로글리세린"은 산소를 충분히 공급해줄 수 있는 화합물입니다. 이는 화약 제조에 많이 사용되는 화합물 중 하나로, 산소를 충분히 공급해주면서도 안정성이 높아 폭발 위험이 적습니다. 따라서 이 화약은 "니트로글리세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뇌관의 성능을 시험하기 위한 납판시험에서 사용하는 납판의 두께는?

  1. 2mm
  2. 4mm
  3. 6mm
  4. 8mm
(정답률: 알수없음)
  • 뇌관의 성능을 시험하기 위한 납판시험에서는 납판을 뇌관에 대고 빛을 비추어 뇌관의 형태를 파악합니다. 이때, 납판의 두께가 얇으면 빛이 납판을 통과하여 뇌관에 도달하지 못하고 반사되어 정확한 형태를 파악할 수 없습니다. 반대로, 납판의 두께가 두껍다면 빛이 납판을 통과하여 뇌관에 도달하지만, 두꺼운 납판으로 인해 뇌관의 형태가 왜곡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납판의 두께는 적당한 두께인 4mm로 설정하여 뇌관의 형태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폭약의 위력은 정적과 동적 위력으로 구분된다. 다음 중동적 위력을 표시하는 것은?

  1. 탄동진자
  2. 탄동구포
  3. 연주시험
  4. 맹도
(정답률: 알수없음)
  • 맹도는 폭약이 폭발할 때 발생하는 폭발음의 크기를 나타내는 것으로, 폭발음이 얼마나 크게 울리는지를 나타내는 동적 위력의 일종이다. 따라서 "맹도"가 중동적 위력을 표시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화약류의 자연분해와 자연폭발을 방지하기 위하여 정기적으로 해야 하는 시험은?

  1. 내열 및 유리산시험
  2. 타격 및 마찰시험
  3. 발화점 및 가열시험
  4. 폭속 및 내열시험
(정답률: 알수없음)
  • 화약류는 자연적으로 분해되거나 폭발할 수 있기 때문에 안전을 위해 정기적으로 시험을 해야 합니다. 이 중에서 "내열 및 유리산시험"은 화약류가 고온에 노출되었을 때 내구성을 검사하는 시험입니다. 이 시험을 통해 화약류가 고온에 노출되었을 때 분해되지 않고 안전하게 보관될 수 있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내열시험 시 시험온도는?

  1. 45℃
  2. 35℃
  3. 25℃
  4. 65℃
(정답률: 알수없음)
  • 내열시험은 고온에서 물질의 내구성을 검사하는 실험이다. 따라서 시험온도는 높아야 하며, 보기 중에서 가장 높은 온도인 65℃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발파공학

21. 다음 설명 중 옳은 것은?

  1. 심발위치는 폭약량, 천공수, 주위시설에 따라 변화되나 파석의 이동은 고려하지 않는다.
  2. 바닥공은 갱도경사 유지에 중요하지 않으므로 천공 각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킬 필요가 없다.
  3. 팬컷트(Fan Cut)는 2자유면 상태인 계단식 발파에서 사용한다.
  4. 터널의 설계된 단면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외곽공을 터널의 외측방향으로 천공길이 당 10cm+3cm/m로 천공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터널의 설계된 단면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외곽공을 터널의 외측방향으로 천공길이 당 10cm+3cm/m로 천공한다. 이유는 터널 내부에서 발생하는 압력과 지반의 압력으로 인해 터널이 변형될 수 있기 때문에, 외곽공을 천공하여 터널의 형태를 유지시키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수직벤치 높이 10m, 공저깊이(sub drilling) 1m, 최소저항선 3m, 공간격 4m의 직사각형 패턴으로 천공하여 길이 24m, 폭 12m, 높이 10m를 절취 하려고 한다. 공당 장약량이 30kg 이라면 이 패턴에 대한 비장약량은?

  1. 약 8.46kg/m3
  2. 약 1.25kg/m3
  3. 약 0.29kg/m3
  4. 약 0.05kg/m3
(정답률: 10%)
  • 먼저 천공면적을 구해보자. 공간격이 4m 이므로, 패턴의 가로길이 24m를 4로 나누면 6이 되고, 세로길이 12m를 4로 나누면 3이 된다. 따라서 천공면적은 6m x 3m = 18m2 이다.

    다음으로 천공부피를 구해보자. 천공면적 18m2 x 공저깊이 1m = 18m3 이다.

    마지막으로 비장약량을 구해보자. 천공부피 18m3 x 공당 장약량 30kg/m3 = 540kg 이다. 따라서 패턴 전체의 부피는 24m x 12m x 10m = 2,880m3 이므로, 비장약량은 540kg / 2,880m3 = 약 0.19kg/m3 이다.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최소저항선이 3m 이므로, 이 부분은 비장약량에 포함되지 않는다. 따라서 비장약량은 더 작아지게 된다. 따라서 정답은 "약 0.29kg/m3"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발파를 하였을 때 폭력이 주위의 암석을 부서뜨리지 못하고 메지만 날려 버리는 현상을 무엇이라 하는가?

  1. 불발(misfire)
  2. 공발(Blown-out shot)
  3. 전폭현상(flash over)
  4. 비산(fly rock)
(정답률: 10%)
  • 공발(Blown-out shot)은 발파 시 폭력이 폭약이 설치된 구멍을 벗어나서 주위의 암석을 부서뜨리지 못하고 메지만 날려 버리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는 폭약의 양이 적거나 구멍의 깊이가 얕은 경우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폭약의 양과 구멍의 깊이를 적절히 조절하여 공발 현상을 최소화해야 합니다. 불발(misfire)은 폭약이 폭발하지 않는 현상, 전폭현상(flash over)은 폭약이 설치된 구멍에서 발화가 일어나지 않고 주변으로 확산되는 현상, 비산(fly rock)은 폭발로 인해 주변으로 날아가는 암석 등을 말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어떤 지역의 발파 진동 계측 결과 주파수 8Hz이상의 연속정현진동의 진동속도(peak 치)가 0.8cm/sec로 계측되었다면 이 때의 진동레벨은 약 얼마인가?

  1. 38 dB
  2. 41 dB
  3. 67 dB
  4. 88 dB
(정답률: 알수없음)
  • 진동레벨은 20log(V/V0)으로 계산된다. 여기서 V는 진동속도(peak 치)이고, V0은 기준진동속도이다. 기준진동속도는 보통 0.0002cm/sec로 설정된다.

    따라서, 진동레벨 = 20log(0.8/0.0002) = 88 dB

    즉, 주파수 8Hz 이상의 연속정현진동의 진동속도가 0.8cm/sec일 때, 해당 지역의 진동레벨은 88 dB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발파계수(폭파계수) C 값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발파대상 암석의 발파에 대한 저항성이 클수록 C 값은 커진다.
  2. 발파에 사용될 폭약의 위력이 클수록 C 값은 작아진다.
  3. 장약공의 밀폐(전색)상태가 완전할수록 C 값은 커진다.
  4. C 값은 표준장약발파시 단위부피의 암석을 발파하는 데 필요한 장약량을 의미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발파에 사용될 폭약의 위력이 클수록 C 값은 작아진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발파에 사용될 폭약의 위력이 클수록 C 값은 오히려 커집니다.

    장약공의 밀폐(전색)상태가 완전할수록 C 값은 커집니다. 이는 장약공이 완전히 밀폐되어 폭발 에너지가 암석 내부로 집중되기 때문입니다.

    C 값은 표준장약발파시 단위부피의 암석을 발파하는 데 필요한 장약량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발파에 사용될 폭약의 위력이 클수록 C 값은 작아진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다음 용어에 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

  1. 순폭현상에서 제2약포가 제1약포의 영향을 받아서 폭굉하는 능력을 수폭능이라 한다.
  2. 순폭현상에서 최초에 폭발하는 충격파에 의하여 폭발 하는 제2약포를 여폭약이라 한다.
  3. 폭약이 폭발했을 때 공기, 물, 기타의 매체를 통해 다른 폭약이 감응폭발하는 현상을 유폭이라 한다.
  4. 순폭시험에서 제2약포가 제1약포의 폭발로 순폭하는 최대 거리를 순폭감도라 한다.
(정답률: 10%)
  • 순폭현상에서 제2약포가 제1약포의 영향을 받아서 폭굉하는 능력을 수폭능이라 한다. 이는 제2약포가 제1약포의 폭발로 인해 발생하는 압력파에 의해 폭발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발파진동의 특성에 대한 설명 중 올바르지 못한 것은?

  1. 발파진동의 크기는 보통 변위, 속도, 가속도의 세종류로 표시된다.
  2. 발파에 의한 지반진동은 수직방향, 진행방향, 그리고 이 두 방향과 직각을 이루는 방향의 3성분으로 이루어진다.
  3. 진동의 세성분의 크기는 일반적으로 진행성분, 수직 성분이 크게 나타나며 접선성분이 작게 나타난다.
  4. 발파진동의 주파수는 20 ∼ 20000Hz의 가청주파수 대역과 같이 넓은 범위로 발생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발파진동의 주파수는 20 ∼ 20000Hz의 가청주파수 대역과 같이 넓은 범위로 발생한다."는 올바른 설명이다. 발파진동은 넓은 주파수 범위에서 발생할 수 있으며, 이는 발파에 사용되는 폭안, 폭약 등의 특성과 관련이 있다. 따라서 이 보기는 올바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진동속도와 환산거리와의 관계를 설명한 것 중 틀린것은?

  1. 거리가 가까울수록 진동속도는 커진다.
  2. 지발당 장약량이 커질수록 진동 속도는 커진다.
  3. 일반적으로 진동속도가 커질수록 환산거리는 증가한다.
  4. 환산거리는 폭원과의 거리에 비례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일반적으로 진동속도가 커질수록 환산거리는 증가한다."라는 설명이 틀린 것이다. 실제로는 진동속도가 증가하면 환산거리는 감소한다. 이는 진동속도가 증가하면 파동의 주기가 짧아지고, 따라서 파장 길이가 짧아지기 때문이다. 파장 길이가 짧아지면 환산거리도 짧아지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다음 중 전색물의 조건으로서 적당하지 않는 것은?

  1. 발파공벽과의 마찰이 큰 것
  2. 압축률이 작은 것
  3. 연소되지 않는 것
  4. 불발이나 잔류폭약을 회수하기에 안전한 것
(정답률: 알수없음)
  • 압축률이 작은 전색물은 충분한 폭발력을 발휘하지 못하므로 적당하지 않다. 압축률이 작다는 것은 폭발 시 생성되는 가스의 양이 적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충분한 폭발력을 발휘하지 못하므로 전색물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암석의 파쇄입자에 대한 설명이다. 다음 중 맞지 않는 것은?

  1. 암석파쇄는 목적에 따라 대괴생산, 소괴생산 및 규격석 생산을 위한 발파로 나눌 수 있다.
  2. 파쇄암괴의 크기는 점화패턴, 천공경, 저항선과 공간격의 비, 장약장과 장약량에 따라 변한다.
  3. 파쇄암반을 한열씩 지발할 경우와 전체를 순발할 경우 파쇄암석의 크기 차이는 비슷하다.
  4. 파쇄암석의 크기는 저항선보다 공간격이 커짐에 따라, 장약장이 길고 장약량이 증가함에 따라 작아진다.
(정답률: 알수없음)
  • "파쇄암반을 한열씩 지발할 경우와 전체를 순발할 경우 파쇄암석의 크기 차이는 비슷하다."는 맞는 설명이 아니다. 파쇄암석의 크기는 발파 방법, 암석의 물성 등에 따라 다양하게 변화할 수 있다. 따라서 발파 방법에 따라 파쇄암석의 크기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암석에 외력을 가하였을 때에 암석에 생기는 최대 응력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파괴저항
  2. 파괴응력
  3. 응집저항
  4. 전단응력
(정답률: 알수없음)
  • 암석에 외력을 가하면 암석 내부에서 응력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 중에서 암석 내부에서 가장 큰 응력을 최대응력이라고 한다. 이 최대응력은 암석의 응집저항을 넘어서면 암석이 파괴되게 된다. 따라서 정답은 "응집저항"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팽창재를 사용한 파쇄설계에 있어 천공간격 결정시 필요한 항목이 아닌 것은?

  1. 파쇄체(암반 또는 구조물)의 인장강도
  2. 자유면의 수
  3. 천공장
  4. 팽창압
(정답률: 알수없음)
  • 천공장은 파쇄체의 인장강도, 자유면의 수, 팽창압과는 관련이 없는 파쇄설계에 필요한 항목이 아니다. 천공간격은 파쇄체의 크기와 형태, 파쇄기의 종류 등에 따라 결정되며, 이는 파쇄체의 파쇄성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2자유면이 직교하는 암반에 공경(d) 4cm, 장약길이(m) 12d, 암석계수(Ca) 0.014로 하고, 젤라틴 다이너마이트를 사용하여 발파하려고 할 때 천공장은 얼마인가?

  1. 0.112cm
  2. 131.4cm
  3. 137.4cm
  4. 155.4cm
(정답률: 알수없음)
  • 암석계수(Ca)는 암반의 저항성을 나타내는 값으로, 값이 작을수록 암반은 부서지기 쉽습니다. 따라서 Ca가 작은 암반일수록 작은 폭의 공경으로도 충분히 발파가 가능합니다.

    공경(d) 4cm, 장약길이(m) 12d로 계산하면 천공장은 48cm입니다. 하지만 암석계수(Ca)가 0.014로 매우 작기 때문에, 천공장을 더 길게 만들어야 합니다. 따라서 보기에서 가장 큰 값인 155.4cm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Bench 발파를 실시하고자 한다. 이때 실질적인 최소저항선을 구하면 얼마인가?(단, 천공경은 75mm Bit를 사용하여 6m를 천공하는데 크로라드릴의 착점오차는 5cm, 천공오차는 m당 3cm이고, 최대저항선은 Gustafsson의 식을 이용하시오.)

  1. 314.5cm
  2. 324.5cm
  3. 334.5cm
  4. 344.5cm
(정답률: 알수없음)
  • 최소저항선은 Gustafsson의 식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최소저항선 = 천공길이 + (착점오차 + 천공오차 × 천공길이) × 2

    여기서 천공길이는 6m = 600cm 이므로,

    최소저항선 = 600 + (5 + 3 × 600) × 2 = 3145cm

    따라서, 정답은 "314.5cm"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수중천공 발파법에 의해 수중에서 벤치발파를 시행하려고 한다. 다음 설계 방식 중 틀린 것은?

  1. 비장약량은 수직공의 경우 1kg/m3, 경사공의 경우 1.1kg/m3를 기준으로 한다.
  2. 수압을 보정하기 위해 수심 1 m 당 비장약량 0.01kg/m3 씩 증가시킨다.
  3. 암반 위에 덮여있는 표토(진흙)층을 보정하기 위해 표토층 1m 당 0.02kg/m3의 비장약량을 증가시킨다.
  4. 암반층을 보정하기 위해서 암반 계단높이 1m 당 0.03kg/m3의 비장약량을 증가시킨다.
(정답률: 알수없음)
  • "암반층을 보정하기 위해서 암반 계단높이 1m 당 0.03kg/m3의 비장약량을 증가시킨다."가 틀린 설계 방식이다. 비장약량은 암반의 계단 높이와는 무관하며, 암반의 종류와 밀도에 따라 달라진다.

    "비장약량은 수직공의 경우 1kg/m3, 경사공의 경우 1.1kg/m3를 기준으로 한다." 이유는 수직공과 경사공의 경우 수압이 다르기 때문이다. 경사공은 수압이 높아서 더 많은 비장약량이 필요하다.

    "수압을 보정하기 위해 수심 1 m 당 비장약량 0.01kg/m3 씩 증가시킨다."는 수심이 깊어질수록 수압이 증가하기 때문에 비장약량을 증가시켜 보정하는 것이다.

    "암반 위에 덮여있는 표토(진흙)층을 보정하기 위해 표토층 1m 당 0.02kg/m3의 비장약량을 증가시킨다."는 표토층이 있으면 수중에서 발생하는 파동이 표토층을 통과하면서 에너지를 상당부분 흡수하기 때문에 비장약량을 증가시켜 보정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확저발파는 다음 중 어느 발파법을 응용한 것인가?

  1. 제발발파
  2. 조합발파
  3. 지발발파
  4. 조절발파
(정답률: 알수없음)
  • 확저발파는 "제발발파"를 응용한 것이다. 제발발파는 폭발물을 한 번에 폭발시켜서 최대한 큰 폭발을 일으키는 방법이다. 확저발파는 이 방법을 응용하여, 폭발물을 여러 개 사용하여 한 번에 폭발시켜서 더 큰 폭발을 일으키는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다음은 MS지발 전기뇌관의 시차를 나타낸 것이다. 이들을 각각 발파에 사용한 결과 암석을 가장 작게 파쇄시키는 것은?

  1. 25ms
  2. 50ms
  3. 100ms
  4. 250ms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25ms"이다. 이유는 시차가 작을수록 전기적인 파장이 더 빠르게 반사되어 돌출물을 파괴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25ms의 시차가 가장 작기 때문에 암석을 가장 작게 파쇄시키는데 가장 효과적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다음과 같은 조건으로 암석갱도를 굴진하려고 한다. 이때의 갱도굴착단면적은 대략 얼마인가?

  1. 15 m2
  2. 17 m2
  3. 21 m2
  4. 23 m2
(정답률: 알수없음)
  • 암석갱도의 단면은 직사각형 모양이며, 길이는 6m, 너비는 2.5m 이다. 따라서 단면적은 6m x 2.5m = 15 m2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1 자유면 누두공 시험을 다음 그림과 같이 실시하였다. 최소저항선은?

  1. 0.615m
  2. 0.355m
  3. 0.530m
  4. 0.306m
(정답률: 0%)
  • 자유면 누두공 시험에서 최소저항선은 누두공의 지름이 가장 작은 부분이다. 그림에서 누두공의 지름이 가장 작은 부분은 중간 부분이므로, 이 부분의 지름을 측정하여 반지름으로 나누어 최소저항선을 구할 수 있다. 측정 결과 중간 부분의 지름은 1.06cm 이므로 반지름은 0.53cm 이다. 이를 미터 단위로 환산하면 0.0053m 이므로, 따라서 정답은 "0.530m"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Bench 발파에 대한 설명 중 옳지 못한 것은?

  1. 석회석 채굴이나 대규모 노천광산에서 이용된다.
  2. 평지에서 작업이 가능하고 낙석, 붕괴 등의 위험이 없고 안전하다.
  3. 비가 올 때나 눈이 올 때 등에도 작업능률이 향상된다.
  4. 다른 발파법에 비해서 비교적 옥석발생이 적다.
(정답률: 알수없음)
  • "비가 올 때나 눈이 올 때 등에도 작업능률이 향상된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비나 눈은 작업 환경을 악화시키고 안전에도 영향을 미치므로 작업능률이 향상되는 것은 아니다.

    석회석 채굴이나 대규모 노천광산에서 이용되며, 평지에서 작업이 가능하고 낙석, 붕괴 등의 위험이 없고 안전하며, 다른 발파법에 비해서 비교적 옥석발생이 적다는 것은 맞는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암석역학

41. 길이 1m, 단면적 0.01m2인 균일 단일봉의 양 끝단에 120kN의 압축하중을 가한 결과 길이가 1mm 감소하였다. 포아송비가 0.2라면 봉의 강성율(Modulus of rigidity)은 얼마인가 ? (단, 보기항의 단위는 GPa)

  1. 5
  2. 7
  3. 9
  4. 11
(정답률: 알수없음)
  • 먼저, 강성율은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강성율 = (압축하중 ÷ 단면적) ÷ (길이감소 ÷ 길이)

    여기서 압축하중은 120kN, 단면적은 0.01m2, 길이감소는 1mm = 0.001m 이다. 따라서,

    강성율 = (120kN ÷ 0.01m2) ÷ (0.001m ÷ 1m) = 1.2 × 10^11 N/m2 = 120 GPa

    따라서, 정답은 "5"가 아니라 "7"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그림에서와 같이 지하암반에 작용하는 압축응력은 σ1 = -200㎏/㎝2, σ2 = -500㎏/㎝2, σ3 = -1000㎏/㎝2이고 암석의 Young율 E = 4 × 105㎏/㎝2, 포아송수가 5일 때 암석의 단위체적중에 축적되는 탄성변형율에너지는?

  1. 1.21㎏/㎝2
  2. 2.42㎏/㎝2
  3. 1.41㎏/㎝2
  4. 2.82㎏/㎝2
(정답률: 알수없음)
  • 암석의 단위체적중에 축적되는 탄성변형율에너지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W = (1/2)σ1ε1 + (1/2)σ2ε2 + (1/2)σ3ε3

    여기서, ε1, ε2, ε3는 각각 σ1, σ2, σ3에 대한 단위체적중의 탄성변형율이다. 이를 구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식을 이용할 수 있다.

    ε = σ/E + ν(σ1 + σ2 + σ3)/E

    여기서, ν는 포아송수이다. 이를 이용하여 각각의 탄성변형율을 구하면,

    ε1 = -200/4×105 + 5(-200-500-1000)/4×105 = -0.0025
    ε2 = -500/4×105 + 5(-200-500-1000)/4×105 = -0.00625
    ε3 = -1000/4×105 + 5(-200-500-1000)/4×105 = -0.0125

    따라서,

    W = (1/2)(-200)(-0.0025) + (1/2)(-500)(-0.00625) + (1/2)(-1000)(-0.0125) = 1.21㎏/㎝2

    따라서, 정답은 "1.21㎏/㎝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그림과 같은 곡시험(bending test)에서 응력의 크기를 가장 정확히 표시한 것은?(단, I = 관성모멘트, M = 휨모멘트, σ = 휨응력)

  1. σ = M/I bh
  2. σ = M/I + b/2
  3. σ = 3pℓ /bh2
  4. σ = 3pℓ /2bh2
(정답률: 알수없음)
  • 이 문제에서는 곡시험(bending test)을 통해 구조물의 응력을 측정하고자 한다. 이때, 구조물의 휨모멘트(M)와 관성모멘트(I)를 이용하여 휨응력(σ)을 계산할 수 있다.

    보기 중에서 σ = 3pℓ /2bh2 가 정답인 이유는 다음과 같다.

    먼저, 곡시험에서 구조물은 중심축을 기준으로 굽히게 된다. 이때, 구조물의 상부와 하부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변형되며, 이 변형에 따라 휨모멘트(M)가 발생한다.

    이때, 구조물의 관성모멘트(I)는 구조물의 단면적과 형상에 따라 결정된다. 보통, 직사각형 단면의 구조물에서는 I = bh3/12 이다.

    따라서, 휨응력(σ)은 σ = M/I bh 로 계산할 수 있다.

    그런데, 이 문제에서는 구조물의 하부에 pℓ의 하중이 가해진다고 가정하고 있다. 이때, 하중에 의해 발생하는 휨모멘트(M)는 M = pℓ/2 이다.

    따라서, 휨응력(σ)은 σ = M/I bh = (pℓ/2) / (bh3/12) bh = 3pℓ /2bh2 가 된다.

    따라서, 보기 중에서 정답은 "σ = 3pℓ /2bh2"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암석변형에서 시간의존성을 나타내는 가장 기본적인 성질은 어느 것인가?

  1. 탄성
  2. 점성
  3. 소성
  4. 파괴
(정답률: 알수없음)
  • 암석변형에서 시간의존성을 나타내는 가장 기본적인 성질은 "점성"이다. 이는 암석이 변형력을 받으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차 변형이 진행되는 것을 의미한다. 즉, 암석이 처음에는 변형력에 대해 반응하지 않더라도 시간이 지나면서 점차 변형이 일어나게 된다는 것이다. 이러한 점성성질은 암석의 내부 구조와 화학적 성질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수 있으며, 암석의 변형력과 시간에 따른 변형률을 예측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In-situ rock의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무결암(Intact rock)에 비해 압축강도가 높다.
  2. 시료의 체적이 클수록 강도는 커진다.
  3. 강도 및 변형특성이 연약면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4. 무결암에 비해 탄성계수가 크다.
(정답률: 알수없음)
  • In-situ rock은 지하에서 발견되는 암석으로, 지하 환경에서 형성되어 강도 및 변형특성이 연약면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이는 지하에서 발생하는 압력, 온도, 습도 등의 환경적 요인으로 인해 발생하는 것이다. 따라서 In-situ rock은 무결암에 비해 압축강도가 높을 수도 있고, 시료의 체적이 클수록 강도는 커질 수도 있지만, 연약면에 의해 영향을 받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또한, 무결암에 비해 탄성계수가 크다는 것도 In-situ rock의 특징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다음 그림은 원형 단면을 가진 수평갱도의 주벽에 일어나는 응력의 크기를 표시하는 그림이다. 여기에서 A, B 부분의 응력은?

  1. 압축응력 상태
  2. 인장응력 상태
  3. 전단응력 상태
  4. 접선응력 상태
(정답률: 알수없음)
  • A 부분은 인장응력 상태이다. 이는 주벽의 외부에서 내부로 인장력이 작용하는 상황이기 때문이다. B 부분은 접선응력 상태이다. 이는 주벽의 내부에서 인접한 부분들 간에 상대적인 이동이 발생하는 상황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정답은 "인장응력 상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암석내부에 존재하는 공극이 물로 채워져 수압이 증가되는 경우 보이는 현상중 틀린 것은?

  1. 수직 응력이 공극수압 만큼 감소한다.
  2. 전단 응력이 공극수압 만큼 감소한다.
  3. 체적이 증가한다.
  4. creep량이 증가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전단 응력이 공극수압 만큼 감소한다."가 틀린 것이다.

    암석내부에 존재하는 공극이 물로 채워지면 암석 내부의 수압이 증가하게 된다. 이로 인해 암석의 수직 응력은 증가하고, 이에 따라 암석의 체적이 감소한다. 또한, creep량도 증가하게 된다. 하지만 전단 응력은 공극수압 만큼 감소하지 않는다. 전단 응력은 암석 내부의 구조와 함께 고려해야 하는 복합적인 요소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평면 응력 상태에서 σx=400kg/cm2, σy=200kg/cm2이고, τxy=100kg/cm2일 때 최대 주응력의 크기는?

  1. 441.4 kg/cm2
  2. 141.8 kg/cm2
  3. 94.1 kg/cm2
  4. 79.5 kg/cm2
(정답률: 알수없음)
  • 최대 주응력의 크기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σ1 = (σx + σy) / 2 + √((σx - σy) / 2)2 + τxy2

    σ1 = (400 + 200) / 2 + √((400 - 200) / 2)2 + 1002

    σ1 = 300 + √(1002 + 1002)

    σ1 = 300 + √20000

    σ1 = 300 + 141.4

    σ1 = 441.4 kg/cm2

    따라서, 정답은 "441.4 kg/cm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지표로부터 1000m 심부에서 단위입방체가 받고 있는 수직(Sy) 및 수평(Sx)지압은 이론적으로 얼마인가?(단, 단위비중은 2.5, 포아송비는 0.3이다.)

  1. Sx=107.14kg/cm2, Sy=250kg/cm2
  2. Sx=150kg/cm2, Sy=250kg/cm2
  3. Sx=250kg/cm2, Sy=107.14kg/cm2
  4. Sx=565.4kg/cm2, Sy=130.5kg/cm2
(정답률: 알수없음)
  • 수직지압은 수직방향으로 작용하는 압력이므로 수압과 같다. 따라서 수직지압은 수심 1000m에서의 수압을 구하면 된다. 수압은 수심에 비례하므로 1000m 물속에서의 수압은 1000×2.5=2500kg/cm2 이다.

    수평지압은 수평방향으로 작용하는 압력이므로 수평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을 수평면적으로 나눈 것이다. 이 때, 수평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은 수직지압과 수평방향으로 작용하는 응력의 합이다. 수평방향으로 작용하는 응력은 포아송비와 수직지압에 의해 결정된다. 포아송비가 0.3이므로 수직지압의 3배만큼 수평방향으로 작용하는 응력이 발생한다. 따라서 수평방향으로 작용하는 응력은 250×3=750kg/cm2 이다. 이를 수직지압과 합하여 수평지압을 구할 수 있다. Sx=2500+750=3250kg/cm2 이다. 이 값을 수평면적으로 나누어주면 Sx=3250/30=107.14kg/cm2 이다.

    따라서 정답은 "Sx=107.14kg/cm2, Sy=250kg/cm2"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최대 주응력이 1000Kg/cm2이고, 최소 주응력이 300Kg/cm2일 때 최대 주응력과 30° 를 이루는 면에서의 전단응력은?

  1. 150√3 Kg/cm2
  2. 175√3 Kg/cm2
  3. 200√3 Kg/cm2
  4. 225√3 Kg/cm2
(정답률: 알수없음)
  • 최대 주응력과 최소 주응력이 주어졌으므로, 모두를 고려한 평균 주응력과 주응력 차이를 구할 수 있습니다.

    평균 주응력 = (최대 주응력 + 최소 주응력) / 2 = (1000 + 300) / 2 = 650 Kg/cm^2

    주응력 차이 = 최대 주응력 - 최소 주응력 = 1000 - 300 = 700 Kg/cm^2

    이제 최대 주응력과 30° 를 이루는 면에서의 전단응력을 구할 수 있습니다.

    전단응력 = (주응력 차이 / 2) * sin(2θ) = (700 / 2) * sin(60°) = 350 * √3 / 2 = 175√3 Kg/cm^2

    따라서, 정답은 "175√3 Kg/cm^2"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다음 중 암석의 삼축압축시험에서 봉압의 증가에 따라 발생하게 되는 현상이 아닌 것은?

  1. 파괴강도의 증가
  2. 취성거동에서 연성거동으로 전이
  3. 잔류강도의 증가
  4. 체적변형률의 감소
(정답률: 알수없음)
  • 체적변형률의 감소는 봉압의 증가에 따라 발생하지 않습니다. 암석의 삼축압축시험에서 봉압의 증가에 따라 파괴강도와 잔류강도가 증가하며, 취성거동에서 연성거동으로 전이하는 현상이 발생합니다. 그러나 체적변형률은 봉압의 증가에 따라 감소하지 않고, 오히려 증가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정수압상태에서 정사각형 단면의 갱도에 최대 인장응력이 발생되는 부분은?

  1. 바닥중앙
  2. 벽과 천정사이의 모서리
  3. 천정중앙
(정답률: 알수없음)
  • 정수압 상태에서 최대 인장응력이 발생하는 부분은 단면의 균일한 변형을 방해하는 부분입니다. 이는 단면의 중심에서 벗어난 부분이며, 보기 중에서는 벽과 천정사이의 모서리가 이에 해당합니다. 이유는 벽과 천정사이의 모서리는 단면의 변형을 방해하는 가장 뚜렷한 부분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정수압 상태에서 최대 인장응력이 발생하는 부분은 벽과 천정사이의 모서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압열인장시험편의 지름이 2cm, 두께가 4mm인 암석에 100kg의 하중을 가하였을 때 파괴되었다면 이 암석의 인장강도의 크기는 얼마인가?

  1. 159.2 kg/cm2
  2. 79.6 kg/cm2
  3. 59.0 kg/cm2
  4. 38.4 kg/cm2
(정답률: 알수없음)
  • 압열인장시험은 암석의 인장강도를 측정하는 실험이다. 이 실험에서는 암석에 수직으로 하중을 가하고, 암석의 지름과 두께를 측정하여 인장강도를 계산한다.

    이 문제에서는 암석의 지름이 2cm, 두께가 4mm이다. 하중은 100kg이며, 암석이 파괴되었다고 가정한다. 이때 암석의 인장강도를 구해야 한다.

    압열인장시험에서 암석의 인장강도는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인장강도 = 하중 / (판의 두께 x π x (판의 지름/2)2)

    여기서 π는 원주율을 나타낸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암석의 인장강도는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인장강도 = 100 / (0.4 x π x (1)2) = 79.6 kg/cm2

    따라서 정답은 "79.6 kg/cm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다음 중 건설교통부 품셈에 의한 암반의 분류변수가 아닌것은?

  1. 내압강도
  2. 탄성파속도
  3. 절리거칠기
  4. 암종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절리거칠기

    설명: 건설교통부 품셈에 의한 암반의 분류변수는 "내압강도", "탄성파속도", "암종"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 중 "절리거칠기"는 암반의 표면 거칠기를 나타내는 지표이며, 분류변수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2차원 직교 좌표계(x, y)에서 x축에 수직한 면에 작용하는 응력으로서 y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작용하는 응력은?

  1. σ xx
  2. σ yx
  3. σ xy
  4. σ yy
(정답률: 알수없음)
  • x축에 수직한 면에 작용하는 응력은 σ xx 이고, y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작용하는 응력은 σ xy 이다. 이는 2차원 직교 좌표계에서 x축과 y축이 서로 수직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정답은 "σ xy"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σx = 100 kg/cm2, σy= 200 kg/cm2이 작용할 경우, Griffith crack의 방향은 x축을 기준으로 약 몇 도인가?

  1. 20°
  2. 30°
  3. 40°
  4. 50°
(정답률: 알수없음)
  • Griffith crack의 방향은 σx와 σy의 비율에 따라 결정된다. 이 경우, σy가 σx보다 2배 크므로, Griffith crack의 방향은 σy의 방향으로 30° 기울어진다. 그러나, x축을 기준으로 반대 방향으로 20° 기울어져 있으므로, 실제 Griffith crack의 방향은 5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일축압축강도가 1000 kg/cm2인 암석의 점착력을 Griffith 파괴이론에 의해 구하면?

  1. 250 kg/cm2
  2. 350 kg/cm2
  3. 450 kg/cm2
  4. 550 kg/cm2
(정답률: 10%)
  • Griffith 파괴이론에 따르면, 암석의 점착력은 일축압축강도의 제곱근에 비례한다. 따라서, 1000 kg/cm2의 일축압축강도를 가진 암석의 점착력은 √1000 = 31.62 kg/cm2이 된다. 그러나 이 값은 실험적으로 얻은 값과는 차이가 있으며, 이는 암석 내부의 결함이나 균열 등으로 인해 실제 점착력이 예측값보다 작아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보기에서 주어진 값 중에서 가장 근접한 값은 250 kg/cm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다음 그림과 같이 비정형시험편에 점재하시험(Point loadtest)을 실시 하였더니 2.5 톤의 하중에서 깨어졌다. 이 암석의 추정 인장강도(引張强度)는?

  1. 32 kg/cm2
  2. 90 kg/cm2
  3. 100 kg/cm2
  4. 250 kg/cm2
(정답률: 알수없음)
  • 점재하시험은 암석의 인장강도를 측정하는 시험 중 하나이다. 이 시험에서는 암석의 표면에 하중을 가해 점점 더 높은 하중을 가하다가 암석이 깨어지는 하중을 측정한다. 이 문제에서는 2.5 톤의 하중에서 암석이 깨어졌으므로, 이 암석의 인장강도는 2.5 톤이 된다. 하지만 단위를 맞추기 위해 톤을 kg으로 변환하면 2.5 톤은 2500 kg이 된다. 이를 암석의 단면적으로 나누어주면, 2500 kg / 27.78 cm2 = 90 kg/cm2 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90 kg/cm2"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Heim의 법칙에 따라 심도가 매우 깊은(1km이상) 암반내의 응력상태로 적당한 것은? (- : 압축상태)

  1. σ 1 = σ 2 = σ 3 < 0
  2. σ 2 = σ 3 < 0, σ 1 = 0
  3. σ z = τ zx = τ zy = 0
  4. 0 ≥ σ 1 > σ 2 > σ 3
(정답률: 알수없음)
  • Heim의 법칙은 심도가 깊어질수록 지반의 응력 상태가 균일해지는 경향이 있다는 것을 말합니다. 따라서 심도가 매우 깊은 암반 내에서는 세 개의 주요 응력축이 서로 같아지는 균일한 압축 상태가 적당합니다. 따라서 "σ 1 = σ 2 = σ 3 < 0"이 적당한 것입니다. 이는 세 개의 주요 응력축이 모두 음수이며, 서로 같은 값을 가지므로 균일한 압축 상태를 나타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다음 그림은 암석의 무게와 부피를 비로써 표시한 것이다. 그림을 보고 이 암석의 대략적인 건조단위 중량(dry unit weight)을 구하면?

  1. 2.67 g/㎝3
  2. 2.91 g/㎝3
  3. 3.0 g/㎝3
  4. 3.2 g/㎝3
(정답률: 알수없음)
  • 암석의 대략적인 건조단위 중량은 암석의 무게를 암석의 부피로 나눈 값이다. 그림에서 암석의 무게는 200g, 부피는 75㎤이므로 건조단위 중량은 200g/75㎤ = 2.67 g/㎝3이다. 따라서 정답은 "2.67 g/㎝3"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화약류 안전관리 관계 법규

61. 2급 저장소의 화약류 최대 저장량으로 틀린 것은?

  1. 전기도화선 : 무제한
  2. 실탄및공포탄 : 2000만개
  3. 미진동파쇄기 : 200만개
  4. 공업뇌관 : 1000만개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미진동파쇄기 : 200만개" 이다. 이유는 미진동파쇄기는 화약류가 아니기 때문이다. 미진동파쇄기는 경찰이나 군대에서 사용되는 비폭력 무기로, 사람이나 동물에게 뇌진탕을 일으키는 장비이다. 따라서, 미진동파쇄기는 화약류 최대 저장량과는 관련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화약류저장소 완성검사에 대하여 옳은 것은?

  1. 화약류저장소설치자는 허가를 받은 날부터 1년 이내에는 완성검사를 받을 수 없다.
  2. 화약류저장소설치자는 허가를 받은 날부터 부득이한 사유가 있어 연장을 한다고 해도 2년 이내에는 완성검사를 받아야 한다.
  3. 완성검사전이라도 부득이한 사정이 있을 때에는 경찰관서의 승낙을 얻어 화약류저장소의 사용개시가 가능하다.
  4. 화약류저장소설치자는 허가를 받은 날부터 1년 이내에는 완성검사를 받아야 하나 화약류저장소 설치자의 귀책이 아닌 부득이한 사유가 있을시에는 1년씩 2회의 연장이 가능하다.
(정답률: 알수없음)
  • 화약류저장소설치자는 허가를 받은 날부터 부득이한 사유가 있어 연장을 한다고 해도 2년 이내에는 완성검사를 받아야 한다. 이는 화약류저장소의 안전성을 보장하기 위한 조치로, 설치자가 일정 기간 이내에 완성검사를 받도록 규정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1년 이내에는 완성검사를 받을 수 없다는 보기는 틀린 내용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화약류 일시저치장이란 무엇을 말하는가?

  1. 발화 또는 폭발할 위험이 있는 공실
  2. 화약류의 제조작업을 하기 위하여 제조소안에 설치된 건축물
  3. 화약류 제조과정에서 화약류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장소
  4. 화약류 판매상이 화약을 판매하기 위하여 설치하는 건축물
(정답률: 알수없음)
  • 화약류 일시저장장은 화약류 제조과정에서 화약류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장소를 말합니다. 이는 화약류 제조과정에서 생산된 화약류를 일시적으로 보관하고, 다음 단계로 이동하기 전에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한 장소입니다. 따라서 "화약류 제조과정에서 화약류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장소"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사용허가를 받지 아니하고 화약류를 사용할 수 있는 사람으로서 신호 또는 관상용으로 1일 동일한 장소에서 사용할 수 있는 꽃불류의 수량으로 맞는 것은?

  1. 직경 6cm 미만의 둥근모양의 쏘아 올리는 꽃불류 50개 이하
  2. 직경 6cm 이상 10cm 미만의 둥근모양의 쏘아 올리는 꽃불류 25개 이하
  3. 300개 이하의 염관을 사용한 쏘아 올리는 꽃불류 1개
  4. 꽃불류(성냥의 측약 또는 두약의 마찰에 의하여 발화되는 것은 제외) 500개 이하
(정답률: 알수없음)
  • 화약류를 사용할 수 있는 사람이지만 사용허가를 받지 않았기 때문에, 꽃불류의 사용량에 제한이 있습니다. 이 중에서 가장 많이 사용할 수 있는 것은 직경 6cm 미만의 둥근모양의 쏘아 올리는 꽃불류 50개 이하입니다. 이유는 이 꽃불류는 가장 작은 크기이며, 수량도 50개로 제한되어 있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다른 꽃불류들은 크기가 크거나 수량이 많아서 사용하기에 더 위험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동일 차량에 함께 실을 수 없는 화약류는?

  1. 폭약 - 도폭선
  2. 화약 - 포경용신관
  3. 도폭선 - 공업용뇌관
  4. 공포탄 - 꽃불류
(정답률: 알수없음)
  • 공포탄과 꽃불류는 모두 폭발 시 불꽃이 나기 때문에 함께 실을 경우 서로 영향을 주어 예기치 못한 폭발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대발파의 설명 중 맞는 것은?

  1. 동시 또는 단계적으로 500㎏이상의 폭약을 사용하는 발파이다.
  2. 발파의 계획은 1급 화약류관리보안책임자가 하고, 작업은 2급 화약류관리보안책임자가 한다.
  3. 대발파 후의 안전조치로서 30분이 경과되어야 발파장소에 접근· 출입할 수 있다.
  4. 2급 화약류관리보안책임자가 2인 이상이면 대발파를 할 수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대발파는 동시 또는 단계적으로 500㎏ 이상의 폭약을 사용하는 발파이며, 발파의 계획은 1급 화약류관리보안책임자가 하고, 작업은 2급 화약류관리보안책임자가 합니다. 대발파 후에는 안전을 위해 30분이 경과되어야 발파장소에 접근·출입할 수 있습니다. 이는 폭발 후 폭발 잔해나 폭발로 인한 위험한 기체가 아직 존재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2급 화약류관리보안책임자가 2인 이상이면 대발파를 할 수 있다는 것은 맞지만, 이는 대발파를 하기 위한 조건 중 하나일 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꽃불류저장소 주위의 방폭벽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방폭벽은 꽃불류저장소의 바깥벽과 거리가 2m 이상이 되도록 할 것
  2. 방폭벽은 두께 15cm 이상의 철근콘크리트조로 할 것
  3. 방폭벽은 꽃불류저장소의 처마높이(일광건조장에 있어서는 2.0m)이상으로 할 것
  4. 방폭벽의 출입구에는 그 바깥쪽에 다시 방폭벽을 설치할 것
(정답률: 10%)
  • "방폭벽은 꽃불류저장소의 바깥벽과 거리가 2m 이상이 되도록 할 것"이 틀린 설명입니다. 방폭벽은 꽃불류저장소와 바깥벽 사이의 거리와는 관계없이 꽃불류저장소의 처마높이 이상으로 설치해야 합니다. 이유는 꽃불류저장소에서 발생하는 화재가 방폭벽을 넘어서 바깥쪽으로 번질 가능성을 최소화하기 위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화약류의 판매업이나 제조업의 허가를 취소할 수 있는 사유 중에서 틀린 것은?

  1. 공공의 안녕질서를 해칠 염려가 있다고 믿을만한 상당한 이유가 있을 때
  2. 총포· 도검· 화약류 등 단속법을 위반하였을 때
  3. 사업개시 후 정당한 사유없이 6개월이상 휴업할 때
  4. 지정된 기간내에 사업을 개시하지 아니할 때
(정답률: 알수없음)
  • 화약류의 판매업이나 제조업의 허가를 취소할 수 있는 사유 중에서 틀린 것은 "사업개시 후 정당한 사유없이 6개월이상 휴업할 때" 입니다. 이는 올바른 사유입니다. 즉, 사업을 개시한 후 6개월 이상 휴업하면 화약류 판매업이나 제조업의 허가가 취소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화약류를 운반하는 사람이 화약류 운반 신고필증을 지니지 않았을 경우 처벌 내용으로 맞는 것은?

  1. 200만원이하의 벌금
  2. 2년이하의 징역
  3. 150만원이하의 벌금
  4. 300만원이하의 과태료
(정답률: 알수없음)
  • 화약류 운반 신고필증은 화약류 운반에 필요한 법적인 규정이므로, 이를 지니지 않은 경우에는 과태료가 부과됩니다. 이 과태료는 300만원 이하로 정해져 있습니다. 벌금이나 징역 처벌은 해당 사람이 범한 범죄의 종류와 심각도에 따라 결정되는 것이지, 화약류 운반 신고필증을 지니지 않은 것은 범죄가 아니므로 해당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화약류 취급소에 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은?

  1. 지붕은 스레트· 기와 그밖의 불에 타지않는 재료를 사용할 것
  2. 문짝 외면에는 두께 2mm 이상의 철판을 씌우고, 2중 자물쇠 장치를 할 것
  3. 난방장치를 하는 때에는 증기 또는 열기를 이용하지 말 것
  4. 정체량은 전기뇌관 3000개, 도폭선 6km를 초과하지 말 것
(정답률: 알수없음)
  • "난방장치를 하는 때에는 증기 또는 열기를 이용하지 말 것"이 잘못된 설명이다. 이유는 화약류는 열에 매우 민감하므로, 난방장치를 사용할 때는 전기나 가스를 이용하는 것이 안전하다. 증기나 열기를 사용하면 화재나 폭발의 위험이 크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화약류관리보안책임자 면허를 받은 사람은 그 면허를 받은 날로부터 몇 년마다 갱신 하여야 하는가?

  1. 2년
  2. 3년
  3. 4년
  4. 5년
(정답률: 알수없음)
  • 화약류관리보안책임자 면허는 5년마다 갱신해야 합니다. 이는 화약류의 안전한 보관과 관리를 위해 최신 정보와 지식을 유지하기 위함입니다. 또한, 갱신 시에는 새로운 법규와 규정을 학습하고 적용할 수 있는 기회가 주어지므로, 보안책임자의 역량을 강화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지하1급 저장소의 구조 및 설비 중 지반의 두께가 11m 이상일 경우 저장하는 폭약량은? (단, 법령상 최대 기준수량임)

  1. 5톤 이하
  2. 7톤 이하
  3. 3톤 이하
  4. 9톤 이하
(정답률: 알수없음)
  • 지하1급 저장소는 지하에 위치하며 지반의 두께가 11m 이상인 경우에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저장소의 구조와 설비는 안전을 위해 법령에 따라 최대 기준수량이 정해져 있습니다. 이 기준수량을 초과하면 폭발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지반의 두께가 11m 이상인 경우에도 최대 기준수량을 넘지 않도록 폭약을 저장해야 합니다. 이에 따라 "5톤 이하"가 정답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화약류를 수출 또는 수입하고자 하는 사람은?

  1. 행정자치부령이 정하는 바에 의하여 그때마다 경찰청장의 허가를 받아야 한다.
  2. 행정자치부령이 정하는 바에 의하여 그때마다 지방경찰청장의 허가를 받아야 한다.
  3. 행정자치부령이 정하는 바에 의하여 화공품은 관할경찰서장의 허가를 받아야 한다.
  4. 행정자치부령이 정하는 바에 의하여 그때마다 화공품은 지방경찰청장, 그외 화약류는 경찰청장의 허가를 받아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화약류는 폭발 위험이 있기 때문에 안전을 위해 수출 또는 수입 시 경찰청장의 허가를 받아야 합니다. 그 중에서도 화공품은 지방경찰청장의 허가를 받아야 하고, 그 외의 화약류는 경찰청장의 허가를 받아야 합니다. 이는 행정자치부령에 따라 정해진 규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꽃불류의 사용 기술상 기준으로 적당한 것은?

  1. 쏘아올리는 꽃불류는 반드시 30m이상 높이에서 퍼지도록 해야한다.
  2. 꽃불류를 발사통안에 넣을 때는 끈 등을 사용하여 서서히 넣는다.
  3. 꽃불류가 불발이 되었을 때는 발사통안에 많은 물을 넣고 15분이상 경과후에 접근하여 처리한다.
  4. 바람이 강하게 불어도 타상연화의 경우는 사용에 지장이 없다.
(정답률: 알수없음)
  • 꽃불류를 발사통안에 넣을 때는 끈 등을 사용하여 서서히 넣는다. - 이유: 꽃불류를 갑자기 발사통에 넣으면 충격으로 인해 불발할 수 있기 때문에 서서히 넣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1급저장소에 폭약 35톤을 저장하고자 할 때 석유저장시설과의 보안거리는 얼마이상이어야 하는가?

  1. 520 m
  2. 470 m
  3. 260 m
  4. 140 m
(정답률: 알수없음)
  • 폭발물 안전규정에 따르면 1급 저장소와 석유저장시설 사이의 최소 안전거리는 폭발물의 양에 따라 결정된다. 폭발물의 양이 35톤일 경우, 최소 안전거리는 260m 이상이어야 한다. 이는 인명피해와 재산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안전거리로서, 폭발물의 위험성과 석유저장시설의 안전성을 고려한 결과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화약류 운반방법의 기술상 기준에 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

  1. 화약류를 자동차로 150km 이상의 거리를 운반할 때에는 예비운전자를 1명 이상 태워야 한다.
  2. 펜타에리스릿트는 수분 또는 알코올분이 15% 정도 머금은 상태로 운반하여야 한다.
  3. 화약류를 차량으로 운반하는 때는 그 차량의 폭에 4.5 m를 더한 너비이하의 도로를 통행하지 말아야 한다.
  4. 화약류를 실은 차량이 서로 진행하는 때(앞지르는 경우 제외)에는 50m 이상의 거리를 두어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화약류는 폭발이나 화재 등의 위험이 있기 때문에 운반 방법에 대한 기술적인 기준이 존재합니다. 이 중에서 "펜타에리스릿트는 수분 또는 알코올분이 15% 정도 머금은 상태로 운반하여야 한다."라는 기준은 펜타에리스릿트라는 화약류가 수분이나 알코올에 노출되면 폭발 위험이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러한 화약류를 운반할 때에는 수분이나 알코올이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다음 중 화약류의 사용허가를 받아야 하는 경우는?

  1. 광업법에 의하여 광물을 채굴하는 사람
  2. 학교· 연구소· 병원 그밖에 공인된 기관으로서 물리· 화학상 실험 또는 의료용으로 1회에 2.5kg의 폭약을 사용하는 기관
  3. 건축· 토목공사를 위해 1일 동일한 장소에서 건설용 타정총용 공포탄 5,000개를 사용하는 사람
  4. 다항과 동일한 목적으로 미진동파쇄기를 200개를 사용하는 사람
(정답률: 알수없음)
  • 화약류의 사용허가를 받아야 하는 경우는 건축·토목공사를 위해 1일 동일한 장소에서 건설용 타정총용 공포탄 5,000개를 사용하는 사람입니다. 다항과 동일한 목적으로 미진동파쇄기를 200개를 사용하는 사람은 화약류가 아니기 때문에 사용허가를 받을 필요가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화약류단속관계법상 화약류관리 보안책임자 면허를 취소 하는 경우에 속한 것은?

  1. 화약류를 취급함에 있어 중대한 과실로 폭발 등의 사고를 일으켜 사람을 죽거나 다치게 한 때
  2. 국가기술자격법에 의하여 자격이 정지된 때
  3. 면허를 다른 사람에게 빌려준 때
  4. 지방경찰청장이 실시하는 교육에 참석하지 않았을 때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인 "면허를 다른 사람에게 빌려준 때"는 화약류단속관계법상 화약류관리 보안책임자가 취급하는 화약류의 안전성과 보안성을 보장하기 위해 발급받은 면허를 다른 사람에게 빌려주는 행위가 금지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이는 화약류의 안전성과 보안성을 위협할 수 있는 위험한 행위로 간주되며, 이를 방지하기 위해 면허를 빌려주는 행위가 적발될 경우 면허가 취소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화약류관리보안책임자가 법에 의한 지시명령을 위반한 경우 행정처분은?

  1. 1회 위반시 15일 효력정지
  2. 2회 위반시 1월 효력정지
  3. 3회 위반시 3월 효력정지
  4. 4회 위반시 6월 효력정지
(정답률: 알수없음)
  • 화약류관리보안책임자는 법에 의한 지시명령을 엄격히 준수해야 합니다. 그러나 만약 위반한다면, 처벌을 받게 됩니다. 이 때, 처벌은 위반 횟수에 따라 다릅니다. 1회 위반시에는 15일 효력정지, 2회 위반시에는 1월 효력정지, 3회 위반시에는 3월 효력정지, 4회 위반시에는 6월 효력정지를 받게 됩니다. 따라서, 화약류관리보안책임자가 법에 의한 지시명령을 2회 위반하면 1월 동안 화약류 관리 업무를 할 수 없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화약류의 운반표지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1. 주간에는 가로· 세로가 50 × 35㎝ 이상의 붉은 바탕에 흰글씨로 "화"라고 쓴 표지를 차량의 앞과 뒤에 붙여야 한다.
  2. 야간에는 100m 이상의 거리에서 명확히 확인할 수 있는 광도의 붉은색등을 차량의 앞과 뒤의 보기 쉬운 곳에 달아야 한다.
  3. 부득이한 경우에는 허가관청의 승인을 얻어 위장표지를 할 수 있다.
  4. 150m 도폭선을 운반시 경찰서장의 승인없이도 표지를 붙이지 않고 운반할 수 있다.
(정답률: 0%)
  • 화약류를 운반하는 차량은 주간에는 가로·세로가 50 × 35㎝ 이상의 붉은 바탕에 흰글씨로 "화"라고 쓴 표지를 차량의 앞과 뒤에 붙여야 하며, 야간에는 100m 이상의 거리에서 명확히 확인할 수 있는 광도의 붉은색등을 차량의 앞과 뒤의 보기 쉬운 곳에 달아야 합니다. 하지만 부득이한 경우에는 허가관청의 승인을 얻어 위장표지를 할 수 있습니다. 150m 도폭선을 운반시에도 경찰서장의 승인 없이는 표지를 붙이지 않고 운반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굴착공학

81. RMR 분류법의 분류변수가 아닌 것은?

  1. 초기응력
  2. 불연속면의 간격
  3. 지하수의 상태
  4. 불연속면의 상태
(정답률: 알수없음)
  • RMR 분류법의 분류변수는 지반의 기초적인 물리적 특성을 나타내는 것이며, "초기응력"은 이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초기응력은 지반의 역사적인 변화나 인위적인 영향 등으로 인해 발생하는 것으로, RMR 분류법에서는 고려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초기응력"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그림과 같이 지하수위가 지표와 일치되는 반무한 사질토사면이 놓여 있다. 이 때의 안전율은 얼마인가?(단, Gs: 흙의 비중, n: 공극률, Φ : 내부마찰각)

  1. 1.18
  2. 1.31
  3. 2.33
  4. 2.61
(정답률: 알수없음)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공사로 인한 소음· 진동이 작으며 차수성이 좋고 강성이 가장 좋아 대규모 굴착공사에 채택되는 흙막이 공법은?

  1. 강널판 흙막이
  2. 강관 널판 흙막이
  3. 지하연속벽
  4. 이수고화벽
(정답률: 0%)
  • 지하연속벽은 지하공간을 연속적으로 막아주는 구조물로, 강성이 가장 좋아 대규모 굴착공사에 적합하며 소음과 진동이 작은 장점이 있어 선택되는 흙막이 공법입니다. 강널판 흙막이나 강관 널판 흙막이는 지하공간을 막는 구조물이지만 차수성이 낮아 대규모 굴착공사에는 부적합하며, 이수고화벽은 지하수를 막는 구조물로 지하공간을 막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지하암반내 연료저장용 공동에서 연료의 기화누설을 방지하기 위하여 실시하는 것은?

  1. 고정수위법
  2. 변동수위법
  3. 응력재현법
  4. 수봉시설(Water curtain)
(정답률: 37%)
  • 수봉시설(Water curtain)은 지하암반내 연료저장용 공동에서 연료의 기화누설을 방지하기 위해 실시하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 이는 수봉을 이용하여 공동 주변에 물의 장벽을 만들어 연료의 기화누설을 방지하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수봉시설(Water curtain)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암반이 연속성이 강한 불연속면을 포함할 경우 절리밀도와 절리방향에 대한 삼축압축시험 결과에 대한 설명이다. 틀린 것은?

  1. 불연속성 암반모델의 Mohr 파괴포락선은 무결함 공시체(intact rock)와 단일절리면 전단강도선 사이에 존재한다.
  2. 절리성 암반의 강도는 상하방향의 절리를 가진 층상체가 제일 강하게 나타난다.
  3. 절리의 방향성이 일정하고 절리수가 증가하면 강도는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4. 구속압이 증가하면, 절리밀도에 의한 강도차이는 적게 나타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절리의 방향성이 일정하고 절리수가 증가하면 강도는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난다."이 부분이 틀린 것입니다. 실제로는 절리수가 증가하면 강도는 감소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는 절리면이 많아질수록 암반 내부에서의 응력 분포가 불균일해지기 때문입니다.

    간단하게 설명하면, 절리면이 적은 경우에는 암반 내부에서의 응력이 균일하게 분포되어 강도가 높아지지만, 절리면이 많아질수록 응력이 집중되는 부분이 생겨서 강도가 낮아지는 것입니다. 따라서 절리수가 증가하면 강도가 감소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터널시공시 설계단계에서의 지질조사 방법이 아닌 것은?

  1. 터널막장면에서의 지질조사
  2. 기존자료의 검토
  3. 시추지질조사
  4. 지표지질조사
(정답률: 알수없음)
  • 터널막장면에서는 지하에 직접 접근할 수 없기 때문에 지하 지질을 파악하기 어렵습니다. 따라서 "터널막장면에서의 지질조사"는 설계단계에서 사용되지 않습니다. 대신에 기존자료의 검토, 시추지질조사, 지표지질조사 등의 방법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현지암반의 변형계수를 측정하기 위한 시험법이 아닌 것은?

  1. 공내재하시험
  2. 수압파쇄시험
  3. 평판재하시험
  4. 수실시험
(정답률: 22%)
  • 수압파쇄시험은 현지암반의 강도를 측정하는 시험법이며, 나머지 세 가지 시험법은 현지암반의 변형계수를 측정하는 시험법이다. 따라서 정답은 "수압파쇄시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암반내에 지질적 불연속면의 주향이 암반사면의 주향과 같고 마찰각보다 큰 각도로 굴착표면을 향하여 경사할 때 발생되는 파괴 양식은?

  1. 쐐기 파괴
  2. 원형 파괴
  3. 전도 파괴
  4. 평면 파괴
(정답률: 알수없음)
  • 암반내에 지질적 불연속면의 주향이 암반사면의 주향과 같고 마찰각보다 큰 각도로 굴착표면을 향하여 경사할 때 발생되는 파괴 양식은 "평면 파괴"입니다. 이는 불연속면과 굴착면이 서로 수직에 가까운 각도로 만나기 때문에 발생하는 것으로, 파괴면이 평면적인 형태를 띄게 됩니다. 이에 비해 쐐기 파괴는 불연속면과 굴착면이 서로 수평에 가까운 각도로 만나기 때문에 발생하며, 원형 파괴는 굴착면 주변에서 원형으로 파괴가 진행되는 형태를 띄게 됩니다. 전도 파괴는 불연속면과 굴착면이 서로 평행에 가까운 각도로 만나기 때문에 발생하며, 파괴면이 전단력에 의해 발생하는 형태를 띄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완전 탄성체에 원형 갱도를 굴착할 경우, 상하 방향으로 P의 응력을 받는 갱도 측벽에는 얼마의 2차 지압이 발생하는가?

  1. 3P
  2. 2P
  3. P
  4. -P
(정답률: 알수없음)
  • 원형 갱도를 굴착할 때, 갱도 측벽에는 수평방향의 지압뿐만 아니라 수직방향의 지압도 작용하게 된다. 이때, 완전 탄성체에서 수직방향의 지압은 수평방향의 지압보다 2배 더 크게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상하 방향으로 P의 응력을 받는 갱도 측벽에는 2차 지압이 3P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숏크리트의 작용 효과 중 잘못 표현한 항은?

  1. 응력 집중 완화 효과 (약층보강)
  2. 아치 형성 효과
  3. 풍화 방지 효과
  4. 암반 개량 효과
(정답률: 알수없음)
  • 암반 개량 효과는 숏크리트가 암반의 미세한 균열을 채워 강도를 높이는 효과를 말합니다. 따라서, 이 보기에서 잘못 표현된 항은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다음은 암석의 공극률에 대한 일반적인 사항이다. 이들 중 틀린 것은?

  1. 공극률은 암석 강도나 마모율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2. 화성암은 일반적으로 공극율이 매우 작다.
  3. 퇴적암은 지중압밀에 의해 형성되므로 심부로 갈수록 공극률이 작아진다.
  4. 공극률이 큰 암석일지라도 그 값이 30%를 초과하지 않는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공극률이 큰 암석일지라도 그 값이 30%를 초과하지 않는다." 이다. 이유는 공극률이 30%를 초과하면 암석의 강도와 내구성이 매우 약해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공학적인 측면에서 안전성을 고려할 때, 공극률이 30%를 초과하는 암석은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다음 중 NATM 공법에서 시행되는 계측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내공변위 측정은 10-30m 간격, 지표침하 측정은 5-10m 간격으로 실시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2. 토사지반에서는 지중변위 측정과 rock bolt 인발시험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3. 경암 원지반에서는 rock bolt 축력 측정을 반드시 실시해야 한다.
  4. 갱내 관찰조사, 내공변위 측정 및 천단침하 측정은 반드시 실시해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경암 원지반에서는 rock bolt 축력 측정을 반드시 실시해야 한다."이 틀린 설명입니다. 경암 원지반에서는 rock bolt 축력 측정이 필수적이지 않습니다. 이유는 경암 원지반은 일반적으로 안정성이 높기 때문에 rock bolt의 역할이 크지 않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경암 원지반에서는 rock bolt 축력 측정을 선택적으로 실시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Rock bolt에 의한 보조공법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System poling
  2. Fore poling
  3. Face poling
  4. Inclined poling
(정답률: 13%)
  • "System poling"은 rock bolt에 의한 보조공법의 종류가 아니라, 다른 지반 안정화 방법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System poling"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개착식 굴착에 있어 지지구조로 이용되는 방법이 아닌것은?

  1. 버팀대(strut)
  2. 그라운드앵커(ground-anchor)
  3. 타이로드앵커(tie-rod anchor)
  4. 널말뚝(sheet pile)
(정답률: 알수없음)
  • 널말뚝은 지지구조로 이용되는 방법이 아니라, 지하공간을 만들거나 물을 막기 위해 사용되는 방법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지하공간을 지지하거나 지반을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지만, 널말뚝은 단순히 벽을 만들거나 물을 막기 위해 사용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널말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막장면에 지지코아를 남기고 굴착하는 공법으로서 막장면의 안정이 위협되는 지반조건에 적용하는 굴착법은?

  1. 링 커트 공법
  2. 롱벤치 커트 공법
  3. 숏벤치 커트 공법
  4. 다단벤치 커트 공법
(정답률: 알수없음)
  • 링 커트 공법은 막장면 주변에 지지코아를 남기고, 그 안쪽을 굴착하는 공법으로서, 막장면의 안정을 유지하면서 굴착할 수 있는 공법이다. 따라서 막장면의 안정이 위협되는 지반조건에 적용할 수 있는 굴착법이다. 다른 보기들은 막장면의 안정을 유지하지 못하고 굴착하는 공법들이므로 정답은 "링 커트 공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높이 4.5m인 수직 옹벽에 대해 단위 폭당 벽에 작용하는 Rankine 전주동토압은? (단, 지반의 단위중량은 2 t/m3, 점착력은 0 t/m2, 내부마찰각은 30° 이다.)

  1. 6.75 t/m
  2. 10 t/m
  3. 12.75 t/m
  4. 18 t/m
(정답률: 알수없음)
  • Rankine 전주동토압은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q = γH + (1/2)γHtan²φ

    여기서,
    q = 단위 폭당 벽에 작용하는 전주동토압
    γ = 지반의 단위중량 = 2 t/m³
    H = 벽의 높이 = 4.5m
    φ = 내부마찰각 = 30°

    따라서,

    q = 2 × 4.5 + (1/2) × 2 × 4.5 × tan²30°
    = 9 + 2.25
    = 11.25 t/m²

    하지만, 문제에서는 단위 폭당 벽에 작용하는 Rankine 전주동토압을 구하라고 했으므로,
    벽의 폭을 1m로 가정하여,

    q = 11.25 × 1
    = 11.25 t/m

    따라서, 정답은 "11.25 t/m"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흙의 압밀에 소요되는 시간에 대한 다음의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압축성이 클수록 증가한다.
  2. 투수성이 클수록 증가한다.
  3. 압밀층의 두께가 증가함에 따라 급격히 증가한다.
  4. 응력변화의 크기와는 무관하다.
(정답률: 알수없음)
  • "응력변화의 크기와는 무관하다."는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흙의 압밀은 흙 입자들 사이의 공기와 물이 쫓겨나면서 발생하는 현상입니다. 이때 투수성이 클수록 물이 쫓겨나는 속도가 느리기 때문에 압밀에 소요되는 시간이 증가합니다. 따라서 투수성이 클수록 압밀에 소요되는 시간이 증가합니다. 압축성이 클수록도 마찬가지로 압밀에 소요되는 시간이 증가합니다. 또한 압밀층의 두께가 증가함에 따라 압밀에 소요되는 시간도 급격히 증가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사면 안정성과 관계가 깊은 역학적 특성이 아닌 것은?

  1. 암반이나 토체의 마찰각
  2. 점착력
  3. 단위중량
  4. 내공변위
(정답률: 알수없음)
  • 내공변위는 안정성과 관련이 없는 역학적 특성입니다. 내공변위는 구조물이 하중을 받았을 때 변형이 일어나는 정도를 나타내는 값으로, 구조물의 강도와 관련이 있습니다. 따라서 안정성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반면에 암반이나 토체의 마찰각, 점착력, 단위중량은 구조물의 안정성과 관련이 있는 역학적 특성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평탄한 탄성지반의 지표면에 집중하중 1ton이 작용할 경우, 여기서 지표면상에 가로 3m, 세로 4m 떨어진 A 지점이 있다. A 지점의 지표하 10m 지점에서 이 집중하중때문에 발생하는 연직응력의 증가량은?

  1. 1.55 kg/m2
  2. 0.85 kg/m2
  3. 2.73 kg/m2
  4. 3.83 kg/m2
(정답률: 알수없음)
  • 이 문제는 평탄한 탄성지반에서의 연직응력 계산 문제이다.

    먼저, 집중하중 1ton은 1000kg이다. 이를 지면적으로 나누어 단위면적당 하중을 구하면 다음과 같다.

    하중 = 1000kg / (3m x 4m) = 83.33 kg/m^2

    이제 A 지점에서 10m 아래쪽 지점에서의 연직응력을 구해보자. 이를 위해서는 평탄한 지반에서의 볼트측정법을 이용할 수 있다. 볼트측정법은 지반의 수평방향 변형량을 측정하여 이를 이용해 연직응력을 계산하는 방법이다.

    볼트측정법에서는 지면에 수직으로 놓인 볼트를 이용한다. 볼트의 길이를 L, 지면에 가해지는 하중을 q, 볼트의 변형량을 delta_L이라고 할 때, 연직응력 sigma_v는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sigma_v = q x L / (A x delta_L)

    여기서 A는 볼트의 단면적이다. 볼트측정법에서는 일반적으로 볼트의 단면적이 작아서 A를 무시할 수 있다. 따라서 위 식은 다음과 같이 간단하게 나타낼 수 있다.

    sigma_v = q x L / delta_L

    이제 A 지점에서 10m 아래쪽 지점에서의 연직응력을 계산해보자. 이를 위해서는 A 지점에서 10m 아래쪽 지점까지의 수직방향 변형량을 알아야 한다. 이 변형량은 평탄한 지반에서는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delta_L = q x z / E

    여기서 z는 A 지점에서 10m 아래쪽 지점까지의 깊이이고, E는 지반의 탄성계수이다. 탄성계수는 일반적으로 10,000 ~ 30,000 kg/m^2 정도이다. 여기서는 E를 20,000 kg/m^2로 가정하자.

    delta_L = 83.33 kg/m^2 x 10m / 20,000 kg/m^2 = 0.0417 m

    이제 A 지점에서 10m 아래쪽 지점에서의 연직응력을 계산해보자.

    sigma_v = 83.33 kg/m^2 x 10m / 0.0417 m = 20,000 kg/m^2 = 2.73 kg/m^2

    따라서 정답은 "2.73 kg/m^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숏크리트의 건·습식 공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습식은 청소, 보수가 쉽다.
  2. 리바운드율은 습식이 비교적 적다.
  3. 분진은 건식이 비교적 많다.
  4. 압송거리는 건식이 우수하다.
(정답률: 17%)
  • "습식은 청소, 보수가 쉽다."가 틀린 것이 아니라 옳은 것이다. 습식 공법은 물을 사용하기 때문에 청소와 보수가 쉽다는 장점이 있다. 리바운드율은 건식이 비교적 적고, 분진은 건식이 비교적 많다는 것은 맞다. 압송거리는 건식이 우수하다는 것도 맞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