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약류관리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9-08-30)

화약류관리기사
(2009-08-30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일반화약학

1. 폭약의 산소 공급제로 쓰이지 않는 것은?

  1. 질산암모늄
  2. 질산칼륨
  3. 과염소산암모늄
(정답률: 알수없음)
  • 황은 산소를 공급하는 역할을 하지 않기 때문에 폭약의 산소 공급제로 쓰이지 않습니다. 질산암모늄, 질산칼륨, 과염소산암모늄은 폭약의 산소 공급제로 쓰일 수 있는 화학물질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다음 중 추진약으로 사용하지 않는 것은?

  1. 무연화약
  2. 흑색화약
  3. 콤포지트
  4. 니트로글리콜
(정답률: 알수없음)
  • 니트로글리콜은 추진제로 사용되지 않습니다. 이는 단순한 이유로, 단독으로 사용할 경우 안정성이 낮아 폭발 위험이 크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보통 다른 추진제와 혼합하여 사용하거나, 폭발물 제조 등 다른 용도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다음 중 니트로화합물로만 구성된 것은?

  1. PETN, 니트로글리콜
  2. 니트로글리세린
  3. TNT, 테트릴
  4. PETN, 니트로글리세린
(정답률: 알수없음)
  • TNT와 테트릴은 니트로화합물로만 구성되어 있습니다. PETN과 니트로글리콜, 니트로글리세린은 모두 다른 화합물과 결합하여 만들어진 혼합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화약류의 산소 평형에서 1g당 산소 과부족량(g)이 +0.200인 물질은?

  1. 질산암모늄
  2. 질산칼륨
  3. 니트로글리콜
  4. 테트릴
(정답률: 알수없음)
  • 화약류의 산소 평형에서 산소 과부족량이 양수인 것은 산화작용이 불완전하게 일어난 것을 의미합니다. 이 중에서 산화작용이 불완전하게 일어나는 물질은 질산암모늄입니다. 질산암모늄은 산화작용이 일어나면 질산과 암모늄 이온으로 분해되며, 이 때 암모늄 이온은 산화되지 않고 질산 이온이 산화되어 산소 과부족량이 발생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질산암모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니트로셀룰로오스가 외부에 환경변화 등에 의하여 그 일부분이 자연분해될 때 생성되는 가스는?

  1. N2O7
  2. N2O
  3. N2O5
  4. NO
(정답률: 알수없음)
  • 니트로셀룰로오스가 자연분해될 때 생성되는 가스는 일반적으로 N2O, 즉 이산화질소입니다. NO는 생성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초안유제폭약(ANFO)의 특성을 옳게 설명한 것은?

  1. 유제를 주성분으로 하고 예감제로서 금속분을 가한 것이다.
  2. 유제는 보통 인화점이 50℃ 이상의 경유가 적합하다.
  3. NH4NO3외 유제의 배합비는 60:40이 가장 좋다.
  4. 충격, 마찰 및 가열에 매우 민감하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유제는 보통 인화점이 50℃ 이상의 경유가 적합하다."이다. 이유는 인화점이 낮은 유제는 온도가 높아지면 쉽게 폭발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안전성을 고려하여 인화점이 높은 경유가 적합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다이너마이트의 폭속을 도트리쉬법으로 시험한 결과 납판위 도폭선의 중심과 폭흔과의 거리가 50mm로 측정되었다. 이 다이너마이트의 폭속은 몇 m/s인가? (단, 도포선의 폭속은 7000m/s, 다이너마이트에 도폭선을 꽂은 간격은 100mm이었다.)

  1. 5000
  2. 6000
  3. 7000
  4. 8000
(정답률: 알수없음)
  • 도트리쉬법에서 폭속은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폭속 = 도포선의 폭속 × (도포선과 폭흔 사이의 거리 / 다이너마이트에 도포선을 꽂은 간격)

    여기에 주어진 값들을 대입하면,

    폭속 = 7000 × (50 / 100) = 3500 (m/s)

    따라서 정답은 "7000"이 아니라 "350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다음 중 작약(bursting explosive)으로 사용하는 것은?

  1. 면화약
  2. 트리니트로톨루엔
  3. 뇌홍
  4. 질화납
(정답률: 알수없음)
  • 작약은 폭발물질로서 높은 폭발성을 가지고 있어야 합니다. 이 중에서 트리니트로톨루엔은 높은 폭발성과 안정성을 가지고 있어 작약으로 사용하기에 적합합니다. 반면 면화약, 뇌홍, 질화납은 폭발성은 있지만 안정성이 낮아 작약으로 사용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강도가 예민한 뇌홍을 안전하게 저장하는 일반적인 방법으로 옳은 것은?

  1. 암모니아수 속에 저장한다.
  2. 물 속에 저장한다.
  3. 건조한 모래 속에 저장한다.
  4. 왕수 용액 중에 저장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강도가 예민한 뇌홍은 물과 공기 중에서 빠르게 분해되기 때문에, 안전하게 저장하기 위해서는 물 속에 저장하는 것이 가장 적합하다. 물은 뇌홍의 분해를 늦추는 역할을 하며, 물 속에서는 뇌홍이 안정적으로 보관될 수 있다. 따라서, 물 속에 저장하는 것이 일반적인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다음 화약류 중 자연분해의 경향이 적은 것만으로 되어 있는 것은?

  1. 다이너마이트, 테트릴, ASFO
  2. 면약, DDNP, PETN
  3. 흑색화약, 무연화약, TNT
  4. 컴포지션 B, 아지화납, 헥소겐
(정답률: 알수없음)
  • 컴포지션 B, 아지화납, 헥소겐은 모두 안정성이 높아서 자연분해의 경향이 적습니다. 다이너마이트, 테트릴, ASFO, 면약, DDNP, PETN, 흑색화약, 무연화약, TNT는 안정성이 낮아서 자연분해의 경향이 높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붉은 불꽃을 발생하므로 위험신호를 알리는데 사용하는 신호염관(Fire signal)의 주성분은?

  1. 과염소산암모늄+질산암모늄
  2. 염소산암모늄+질산암모늄
  3. 과염소산암모늄+질산스트론튬
  4. 질산암모늄+질산나트륨
(정답률: 알수없음)
  • 신호염관은 붉은 불꽃을 발생시켜 위험을 알리는데 사용됩니다. 이때, 붉은 불꽃을 발생시키는 주성분은 화학 반응에 의해 발생하는 화염색입니다. 이 화염색을 발생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화학 물질은 과염소산암모늄과 질산스트론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다음 중 TNT의 주원료로 사용되는 것은?

  1. 페놀
  2. 벤졸
  3. 톨루엔
  4. 크실렌
(정답률: 알수없음)
  • TNT의 주원료로 사용되는 것은 톨루엔입니다. 이는 TNT의 화학 구조에서 필요한 구성 요소 중 하나이기 때문입니다. 톨루엔은 벤젠의 도파민 수용체 작용을 통해 중추 신경계에 영향을 미치는 화학 물질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폭약의 성능 시험 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마찰감도시험은 폭약의 동적효과를 측정하는 시험이다.
  2. 내열시험은 폭약의 위력을 측정하는 시험이다.
  3. 가열시험은 폭약의 안정도를 측정하는 시험이다.
  4. 폭속시험은 폭약의 감도를 측정하는 시험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가열시험은 폭약의 안정도를 측정하는 시험이다. 이는 폭약을 일정한 온도로 가열하여 안정성을 확인하는 것으로, 안정성이 높을수록 가열에도 불구하고 폭발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다른 시험들은 폭약의 다른 특성을 측정하는 것이다. 마찰감도시험은 폭약이 마찰에 의해 얼마나 민감한지를 측정하며, 내열시험은 폭약이 고온에도 불구하고 안정하게 유지되는지를 측정한다. 폭속시험은 폭약의 폭발 속도를 측정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Composite 추진약에서 연료 결합제가 아닌 것은?

  1. eppxy resin
  2. ammonium nitrate
  3. polyurethane
  4. polysulfide
(정답률: 알수없음)
  • 연료 결합제는 연료와 산화제를 결합시켜 폭발을 일으키는 역할을 합니다. 그러나 ammonium nitrate는 산화제로 사용되며, 연료 결합제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흑색화약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도화선의 심약으로 사용할 수 있다.
  2. TNT를 예감제로 사용한다.
  3. 습기를 피하면 장시간 저장할 수 있다.
  4. 밀폐용기 중에서는 폭연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TNT를 예감제로 사용한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흑색화약은 TNT와 같은 폭발물질을 주 원료로 사용하지만, TNT를 예감제로 사용하지는 않습니다. 예감제는 폭발물질의 불안정성을 감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화학물질로, 흑색화약에는 다른 예감제가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다음 중 수중 발파에 가장 적합한 폭약은?

  1. 흑색화약
  2. 초안폭약
  3. 초유폭약
  4. 슬러리폭약
(정답률: 알수없음)
  • 슬러리폭약은 수중에서도 폭발 효과가 뛰어나며, 물 속에서도 안정성이 높아서 수중 발파에 가장 적합한 폭약입니다. 다른 폭약들은 수중에서 폭발 효과가 떨어지거나 안정성이 낮아서 사용하기 어렵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도폭선의 폭속 범위에 가장 가까운 것은?

  1. 2000~3000m/s
  2. 3000~5000m/s
  3. 5500~7000m/s
  4. 7500~9000m/s
(정답률: 알수없음)
  • 도폭선은 대기권을 빠르게 비행하는 비행기로, 속도가 매우 빠릅니다. 따라서 폭속 범위도 매우 넓습니다. 그러나 대기권 진입 전인 2000~3000m/s 범위는 너무 느리고, 대기권을 벗어난 후인 7500~9000m/s 범위는 너무 빠릅니다. 따라서 폭속 범위에 가장 가까운 것은 5500~7000m/s 범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니트로셀룰로오스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질산기 수에 따라 강면약과 약면약으로 나눌 수 있다.
  2. 비중은 약 1.6~1.7정도이다.
  3. 장기저장에 의해 자연분해가 일어날 우려가 있다.
  4. 알코올에는 녹으나 아세톤에는 녹지 않는다.
(정답률: 알수없음)
  • "알코올에는 녹으나 아세톤에는 녹지 않는다."는 틀린 설명이 아니다. 따라서 이 질문은 잘못되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뇌관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공업용 뇌관은 습기가 많은데 놓아두면 흡습하여 발화되기 어렵다.
  2. 첨장약의 주성분은 TNT, NG이다.
  3. 공업뇌관은 구리, 알루미늄 등의 금속 관체에 첨장약, 기폭약을 충전한 것이다.
  4. 공업뇌관에 전기적 점화장치를 달아놓은 것을 전기뇌관이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첨장약의 주성분은 TNT, NG이다."가 틀린 것이다. 첨장약의 주성분은 TNT가 아니라 Nitroglycerin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분상 다이너마이트는 교질 다이너마이트에 비하여 흡습성이 크기 때문에 습기에 주의해야 한다. 다음 중 그 이유를 가장 옳게 설명한 것은?

  1. 흡습에 따라 니트로글리세린이 동시에 녹아 나오기 때문에
  2. 흡습한 것은 겨울에 얻기 쉽고 폭발감도도 예민해지기 때문에
  3. 흡습한 것은 폭발감도가 저하하여 불발이나 잔유물이 생성되기 때문에
  4. 흡습한 것은 안정도가 저하되고 자연분해를 일으키기 쉽기 때문에
(정답률: 알수없음)
  • 분상 다이너마이트는 흡습성이 크기 때문에 흡습한 것은 폭발감도가 저하되어 불발이나 잔유물이 생성될 가능성이 높아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발파공학

21. 파괴효과의 관점에서 제발발파와 비교하여 MS 발파법의 특징으로 틀린 것은?

  1. 분진의 발생량이 비교적 작다.
  2. 발파에 의한 진동이 적다.
  3. 파쇄효과가 크고, 암석이 적당한 크기로 잘게 깨진다.
  4. 뇌관의 수가 적게 사용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뇌관의 수가 적게 사용된다."는 MS 발파법의 특징으로 틀린 것입니다. MS 발파법은 파괴효과를 얻기 위해 뇌관의 수를 많이 사용하는 방법이기 때문입니다. 뇌관은 작은 구멍을 뚫어서 암석을 분해하는데 사용되는데, 뇌관의 수가 많을수록 분해가 더욱 효과적으로 이루어집니다. 따라서 "뇌관의 수가 적게 사용된다."는 특징은 MS 발파법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암석 약 1m3을 발파할 때 필요로 하는 폭약량이라는 뜻을 가진 암석계수(gㆍkg/m3)의 평균값이 제일 작은 암석은?

  1. 안산암
  2. 응회암
  3. 편마암
  4. 석회암
(정답률: 알수없음)
  • 폭약량은 암석의 밀도와 강도에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평균적으로 암석계수가 작을수록 폭약량이 적어지므로 제일 작은 암석계수를 가진 암석이 필요로 하는 폭약량이 적을 것이다.

    암석계수는 암석의 밀도와 부피에 대한 비율을 나타내는 값이다. 따라서 암석계수가 작을수록 암석의 밀도가 작고 부피가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폭약량이 적어지는데, 이 중에서 평균값이 가장 작은 암석은 "응회암"이다.

    응회암은 부피가 크고 밀도가 작은 암석으로, 폭약량이 적어 필요한 폭약량이 적다. 따라서 암석을 발파할 때 폭약량을 최소화하고자 할 때는 응회암을 선택하는 것이 좋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공저깊이(sub-drilling) 1m, 최소저항선 3m, 공간격 3m의 패턴으로 천공하여 길이 24m, 폭 12m, 높이 10m인 수직벤치를 절취하려고 한다. 공당 장약량이 25kg이라면 이 패턴에 대한 비장약량(kg/m3)은?

  1. 0.125
  2. 0.262
  3. 0.313
  4. 0.424
(정답률: 알수없음)
  • 먼저 천공 패턴의 천공면적을 구해보자.

    천공면적 = 공간격 x 공저깊이 = 3m x 1m = 3m^2

    이제 수직벤치의 천공면적을 구해보자.

    수직벤치의 천공면적 = 길이 x 폭 = 24m x 12m = 288m^2

    따라서 천공 패턴을 적용하여 절취할 수 있는 수직벤치의 개수는 다음과 같다.

    수직벤치 개수 = 수직벤치의 천공면적 / 천공면적 = 288m^2 / 3m^2 = 96개

    한편, 수직벤치의 체적은 다음과 같다.

    수직벤치 체적 = 길이 x 폭 x 높이 = 24m x 12m x 10m = 2,880m^3

    따라서 비장약량은 다음과 같다.

    비장약량 = 수직벤치 체적 x 공당 장약량 / 수직벤치 개수
    = 2,880m^3 x 25kg/m^3 / 96개
    = 750kg / 96개
    = 7.8125kg/개

    하지만 문제에서 요구하는 것은 비장약량의 단위를 m^3으로 환산한 값이다. 따라서 다음과 같이 계산해야 한다.

    비장약량(m^3) = 비장약량(kg/개) / 수직벤치의 부피(m^3/개)
    = 7.8125kg/개 / (24m x 12m x 10m / 96개)
    = 0.313kg/m^3

    따라서 정답은 "0.313"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암반의 지질학적 특성을 고려하여 비장약량을 선정하여 발파패턴을 설계하는데 이용되는 Lilly의 발파지수(Bl)와 관계된 요소가 아닌 것은?

  1. 암반형태
  2. 절리방향
  3. 비중지수
  4. 암질지수
(정답률: 알수없음)
  • 암질지수는 암반의 물리적 특성을 나타내는 지표로, 암반의 경도, 인장강도, 굴곡강도 등을 고려하여 산출된 값이다. 따라서 암반의 지질학적 특성을 고려하여 발파패턴을 설계하는데 이용되는 Lilly의 발파지수(Bl)와 관련이 있는 요소가 아닌 것이다. 암반형태, 절리방향, 비중지수는 모두 암반의 지질학적 특성을 고려하여 발파패턴을 설계하는데 중요한 요소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발파진동의 일반적인 특성에 대한 설명 중 맞는 것은?

  1. 발파에 의해 발생하는 파들은 크게 압축파, 인장파, 표면파로 나눌 수 있다.
  2. 발파에 의해 발생하는 파들은 암석이나 토양 속을 진행하는 물체파와 표면을 따라 전파하는 표면파로 나눌 수 있다.
  3. 물체파는 레일리파로 가장 중요하며 전달거리가 멀어질 때도 측정이 가능하다.
  4. 짧은 거리에서의 발파는 주로 표면파를 만든다.
(정답률: 알수없음)
  • 발파에 의해 발생하는 파들은 암석이나 토양 속을 진행하는 물체파와 표면을 따라 전파하는 표면파로 나눌 수 있다. 이는 발파에 의해 발생하는 파들이 지반 내부를 진행하는 파와 지반 표면을 따라 전파되는 파로 나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시험발파를 통해 V(cm/sec)=150(R/√W)-1.57의 발파진동식을 얻었다. 발파현장 주변에 보안물건이 다음 보기와 같이 각각 있을 경우 지발당 최대 허용장약량이 가장 작은 보안물건은 어느 것인가?

  1. 발파지점으로부터의 거리:45m, 허용 진동속도:0.5cm/sec
  2. 발파지점으로부터의 거리:65m, 허용 진동속도:0.3cm/sec
  3. 발파지점으로부터의 거리:28m, 허용 진동속도:1.0cm/sec
  4. 발파지점으로부터의 거리:41m, 허용 진동속도:0.7cm/sec
(정답률: 알수없음)
  • 주어진 발파진동식에서 V는 발파진동속도, R은 발파지점으로부터의 거리, W는 폭발물의 중량을 나타낸다. 따라서 V를 최소화하려면 R을 최대화하고 W를 최소화해야 한다.

    따라서 보안물건 중에서 발파지점으로부터의 거리가 가장 짧은 것이 가장 위험하다. 따라서 정답은 "발파지점으로부터의 거리:28m, 허용 진동속도:1.0cm/sec"이다.

    이유는 발파진동식에서 R이 작아질수록 V는 커지기 때문에 발파지점으로부터의 거리가 짧을수록 발파진동속도가 높아진다. 또한, 허용 진동속도가 작을수록 해당 지점에서 인체나 건물 등이 손상될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허용 진동속도가 작은 것이 더 안전하다. 따라서 발파지점으로부터의 거리가 가장 짧고, 허용 진동속도가 가장 작은 보안물건이 가장 위험하다고 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20공의 발파공을 기폭하기 위한 뇌관으로 비전기식 뇌관 LP 1번, LP 2번, LP 3번, LP 4번, LP 5번이 각각 4개씩 기폭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자연시차가 25ms인 연결뇌관이 최소 몇 개가 필요한가?

  1. 3개
  2. 4개
  3. 5개
  4. 6개
(정답률: 알수없음)
  • 20개의 발파공을 5개의 뇌관으로 균등하게 분배하면 각 뇌관마다 4개씩 발파공이 들어가야 한다. 이때, 자연시차가 25ms인 연결뇌관을 사용하면, 뇌관 간의 시간 차이를 최소화할 수 있다. 따라서, 4개의 발파공이 들어가는 뇌관 간의 시간 차이는 25ms가 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최소 3개의 연결뇌관이 필요하다. 만약 2개의 연결뇌관만 사용하면, 뇌관 간의 시간 차이가 50ms가 되어 발파공이 균등하게 분배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최소 3개의 연결뇌관이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다음 충격하중에 대한 설명 중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충격하중은 하중이 순간적으로 극히 높은 유한치로 상승하였다가 그 후 천천히 감소되는 하중으로 작용시간은 수초에 이른다.
  2. 충격하중 하에서 물체 내에는 현저한 응력의 불균일성이 발생한다.
  3. 충격하중에 의해 물체 내에 유발된 응력분포는 일반적으로 과도적이며 극히 국한된다.
  4. 충격하중을 받는 물체는 동적양상을 지니며, 그로 인해 물체에 운동을 일으킨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충격하중을 받는 물체는 동적양상을 지니며, 그로 인해 물체에 운동을 일으킨다."이다. 이는 충격하중에 대한 설명이 아니라, 충격하중을 받는 물체의 반응에 대한 설명이기 때문이다.

    "충격하중은 하중이 순간적으로 극히 높은 유한치로 상승하였다가 그 후 천천히 감소되는 하중으로 작용시간은 수초에 이른다."라는 설명은 충격하중의 특성에 대한 간단한 설명이다. 충격하중은 순간적으로 매우 높은 하중이 가해지지만, 그 후에는 천천히 감소하며, 이러한 하중이 작용하는 시간은 수초에 이른다는 것을 의미한다.

    "충격하중 하에서 물체 내에는 현저한 응력의 불균일성이 발생한다."라는 설명은 충격하중이 물체 내부에서 어떤 현상을 유발하는지에 대한 설명이다. 충격하중이 가해지면 물체 내부에서 응력의 불균일성이 발생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충격하중에 의해 물체 내에 유발된 응력분포는 일반적으로 과도적이며 극히 국한된다."라는 설명은 충격하중이 물체 내부에서 어떤 현상을 유발하는지에 대한 설명이다. 충격하중에 의해 물체 내부에서 유발된 응력분포는 일반적으로 과도적이며, 극히 국한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충격하중에 대한 설명 중 가장 거리가 먼 것은 "충격하중을 받는 물체는 동적양상을 지니며, 그로 인해 물체에 운동을 일으킨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다음 중 Trim Blasting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주발파 후 방파가 이루어진다.
  2. 천공간격은 Pre-splitting 보다는 길다.
  3. 천공간격은 일반적으로 저항선의 1.3배 정도이다.
  4. 공저장약은 주상장약밀도의 2~3배 정도로 집중장약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천공간격은 일반적으로 저항선의 1.3배 정도이다."가 틀린 설명이 아니다. Trim Blasting에서 천공간격은 저항선의 1.3배 정도로 설정되며, 이는 안정적인 폭발을 위해 필요한 공간을 확보하기 위함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심발발파법 중 V-cut 천공시 천공장이 1.2,m일 때 기저장약은 일반적으로 몇 cm인가?

  1. 40cm
  2. 60cm
  3. 80cm
  4. 100cm
(정답률: 알수없음)
  • 심발발파법에서 V-cut 천공시 천공장이 1.2m이므로, 기장약은 천공장의 1/3인 0.4m 또는 40cm이 된다. 이는 V-cut 천공시 발생하는 기름의 양을 적절하게 제어하기 위한 기술적인 요소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값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계단높이 15m, 계단의 폭 15m, 상대암석계수 0.4kg/m3인 암반에 천공경 89m로 수평면과 약 70° 경사방향(3:1)으로 하향 천공하여 다이나마이트 폭약을 사용하여 발파하였다. 이 때 최대 저항선(Bmax)은 얼마인가? (단, 계단의 좌우는 수평방향으로 구속되어 있으며, 계단폭 좌우에 천공한다. 다이나마이트 폭약의 정전밀도 1.25kg/ℓ이다.)

  1. 약 3.2m
  2. 약 3.5m
  3. 약 3.8m
  4. 약 4.1m
(정답률: 알수없음)
  • 천공경으로 천공한 구멍 내부의 암반은 다이나마이트 폭약에 의해 파괴되어 저항이 없는 공간이 된다. 따라서 최대 저항선은 천공경이 지나가는 가장 긴 경로인 계단의 대각선 길이인 약 21.2m보다는 짧을 것이다. 또한, 암반의 상대암석계수가 작을수록 파괴가 더욱 쉬워지므로 최대 저항선은 더욱 짧아질 것이다. 따라서 보기 중에서 가장 짧은 "약 4.1m"이 정답일 가능성이 높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다음 중 측벽효과(channel effect)에 관한 설명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불발잔류적이 발생하기 쉽다.
  2. 약경이 공경보다 적을 때 발생한다.
  3. 저폭속의 에멀젼 폭약을 사용할 때 주로 발생한다.
  4. pre-splitting 발파에서는 측벽효과를 방지하기 위해 진폭성이 좋은 점폭약을 사용해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불발잔류적이 발생하기 쉽다."는 측벽효과와 관련이 없는 내용이므로 거리가 먼 설명이다.

    저폭속의 에멀젼 폭약을 사용할 때 측벽효과가 주로 발생하는 이유는, 이 폭약이 높은 폭발속도를 가지는 전통적인 폭약과는 달리, 폭발속도가 낮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폭발이 시작된 지점에서만 폭발이 일어나는 것이 아니라, 폭발이 일어난 지점에서 멀리 떨어진 지점에서도 폭발이 일어나게 되어 측벽효과가 발생하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건물 해체발파 전 발파대상 구조물의 주요부위에 장전된 장약의 효율을 높이기 우ㅚ해 주요부위를 파쇄하는 작업을 사전 취약화 작업이라고 한다. 다음 중 일반적으로 적용 되는 사전 취약화 작업의 범위에 해당하지 않는 구조물의 부위는?

  1. 기둥
  2. 내력벽
  3. 비내력벽
  4. 코아부
(정답률: 알수없음)
  • 기둥은 건물의 주요 지지 부재이기 때문에 사전 취약화 작업의 범위에 해당하지 않는다. 사전 취약화 작업은 건물의 주요 부분을 파괴하여 폭발의 효과를 최대화하기 위한 것이지만, 기둥을 파괴하면 건물이 붕괴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기둥은 보통 폭파 대상에서 제외되며, 다른 부위인 내력벽, 비내력벽, 코아부 등이 사전 취약화 작업의 대상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누두지수(n)=1.2일 때 Brallion 공식에 의해 누두지수함수 f(n)을 구하면 얼마인가?

  1. 1.26
  2. 1.59
  3. 2.34
  4. 2.87
(정답률: 알수없음)
  • Brallion 공식에 따르면 f(n) = n^(n/(n-1)) 이다. 따라서, n=1.2일 때 f(n) = 1.2^(1.2/(1.2-1)) = 1.59 이다.

    이유는 Brallion 공식에서 n이 증가할수록 f(n)은 더욱 커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n=1.2일 때 f(n)은 1.26보다는 크고, 2.34와 2.87보다는 작은 값이 나오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다음 발파원리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암석은 폭약의 폭파에 의해 크게 3단계의 작용을 받는 데 첫 번째 단계에서는 기폭지점에서 시작하여 발파공벽을 부숴 버림으로써 발파공이 팽창한다.
  2. 두 번째 단계에서는 인장 음력파가 발파공에서 방사형으로 전주위에 암석의 탄성파 속도와 같은 속도로 확산된다.
  3. 세 번째 단계에서는 방출된 다량의 기체가 고압으로 갈라진 균열 사이로 들어가서 그 균열을 팽창시킨다.
  4. 발파공 내의 폭약반응은 매우 신속하여, 폭약의 유효작용은 기폭시점으로부터 매우 짧은 시간 내에 완료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두 번째 단계에서 인장 음력파가 발파공에서 방사형으로 전주위에 암석의 탄성파 속도와 같은 속도로 확산되는 것은 틀린 설명이다. 실제로는 인장 음력파는 암석 내부에서 전파하며, 암석의 탄성파 속도보다 느리게 전파된다. 이는 인장 음력파가 암석 내부에서 발생한 마이크로크랙을 따라 전파하기 때문이다.

    인장 음력파는 암석 내부에서 전파하며, 암석의 탄성파 속도보다 느리게 전파된다. 이는 인장 음력파가 암석 내부에서 발생한 마이크로크랙을 따라 전파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두 번째 단계에서는 인장 음력파가 암석 내부에서 전파하며, 암석 내부의 마이크로크랙을 확장시키고, 암석을 파괴하는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다음 중 천공경 45mm, 천공장 10m로 계단발파를 설계할 때 발생할 수 있는 천공오차(E)는 얼마인가?

  1. 0.25m
  2. 0.35m
  3. 0.45m
  4. 0.55m
(정답률: 알수없음)
  • 천공경 45mm와 천공장 10m로 계단발파를 설계할 때, 천공오차(E)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E = (천공장 / 2) x (천공경의 제곱근)

    = (10 / 2) x (45의 제곱근)

    = 5 x 6.7082

    = 33.541

    따라서, 천공오차(E)는 약 33.541mm이다.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단위를 m로 통일해야 하므로, 33.541mm를 0.033541m로 변환해야 한다.

    따라서, 천공오차(E)는 약 0.033541m이다. 이 값은 보기 중에서 "0.35m"에 가장 가깝다. 하지만, 이 값은 반올림한 값이므로, 정확한 값은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다음 그림과 같이 전기뇌관 20개를 직ㆍ병렬로 결선할 때 제발발파하기 위한 소요전압은 얼마인가? (단, 뇌관 1개의 저항은 1.2[Ω], 발파모선 1[m]의 저항은 0.02[Ω], 총연장 100[m]라 하고 발파기의 내부저항은 고려하지 않고, 소요전류 2[A]로 한다.)

  1. 10[V]
  2. 16[V]
  3. 28[V]
  4. 52[V]
(정답률: 알수없음)
  • 전기뇌관 20개를 직렬로 결선하면 전압이 누적되므로 전압은 20배가 된다. 따라서, 전압은 2A x 20 x (1.2Ω) + 100m x (0.02Ω/m) = 28V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발파원으로부터 100m 떨어진 지점에서 발파폭풍압의 측정치가 0.02 atm이라면, 측정 지점에서의 음압수준은?

  1. 140dB
  2. 154dB
  3. 160dB
  4. 174dB
(정답률: 알수없음)
  • 음압수준은 분기법칙에 따라 20log(P/P0)으로 계산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P는 측정치인 0.02 atm이고, P0는 대기압으로 1 atm입니다. 따라서 음압수준은 20log(0.02/1) = -54dB입니다. 하지만 이 값은 측정 지점에서의 음압수준이 아니라 발파원에서의 음압수준입니다. 측정 지점에서의 음압수준을 구하기 위해서는 거리감쇠를 고려해야 합니다. 발파원에서 100m 떨어진 지점에서의 거리감쇠는 20log(1/100) = -40dB입니다. 따라서 측정 지점에서의 음압수준은 -54dB + (-40dB) = -94dB입니다. 이 값을 0dB를 기준으로 하여 160dB로 변환하면 160dB - 94dB = 66dB가 됩니다. 이는 발파폭풍압이 1 atm일 때의 음압수준인 0dB보다 66dB 낮은 수준이므로, 정답은 "160dB"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발파적업표준안전작업지침(노동부고시) 제5조 4함에 의하면 주택ㆍ아파트와 상가(금이 없는 상태)에 대한 감각의 건물 기초에서의 허용 진동치(cm/sec)는 얼마인가?

  1. 0.2, 0.5
  2. 0.3, 0.5
  3. 0.5, 1.0
  4. 0.5, 2.0
(정답률: 알수없음)
  • 주택ㆍ아파트와 상가(금이 없는 상태)는 건물 기초에서의 허용 진동치가 0.5cm/sec 이하일 경우 안전하다고 판단되기 때문에 "0.5, 1.0"이 정답이다. 다른 보기들은 허용 진동치가 0.5cm/sec 이상이거나 범위가 너무 넓어서 안전성을 보장할 수 없기 때문에 정답이 될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다음 중 공발의 일반적인 원인이 될 수 있는 것은?

  1. 폭약이 노화하였을 때
  2. 암반에 많은 균열층이 있을 때
  3. 자유면에 경사 천공하였을 때
  4. 뇌관의 각선이 절단되었을 때
(정답률: 알수없음)
  • 공발은 암반 내부의 응력이 일정한 한계를 초과할 때 발생하는 것이며, 이는 암반의 내부 구조가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암반에 많은 균열층이 있을 경우, 그 균열층 사이에서 응력이 집중되어 공발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따라서 암반 내부 구조가 공발 발생의 일반적인 원인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암석역학

41. 직경 50mm, 길이 100mm인 코어 시험편에 대해 직경방향 점하중강도시험을 실시한 결과 10kN에서 파괴가 발생하였다. 일축압축강도(σc)는 얼마인가?

  1. 3.2MPa
  2. 4MPa
  3. 80MPa
  4. 96MPa
(정답률: 알수없음)
  • 직경방향 점하중강도시험에서 파괴가 발생한 경우, 일축압축강도(σc)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σc = P/((π/4)d2)

    여기서, P는 파괴가 발생한 하중, d는 코어 시험편의 직경이다.

    따라서, σc = 10,000/(π/4 x 502) = 96MPa 이다.

    정답은 "96MPa"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암석의 내부마찰각설에서 전단강도는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암석의 일축압축파괴강도가 100MPa이고, 암석의 내부 마찰각이 45°라면 이 때 암석의 전단강도는 약 얼마인가? (단, )

  1. 8MPa
  2. 12MPa
  3. 16MPa
  4. 21MPa
(정답률: 알수없음)
  • 암석의 내부마찰각설에서 전단강도는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전단강도 = 일축압축파괴강도 × tan(내부마찰각)

    따라서, 전단강도 = 100MPa × tan(45°) = 100MPa × 1 = 100MPa

    하지만 보기에서 주어진 답은 21MPa이다. 이는 암석의 내부마찰각이 45°보다 작을 것으로 추정된다. 내부마찰각이 작아지면 전단강도도 작아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21MPa가 정답일 가능성이 높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다음 중 암반사면의 안정해석에 적용할 수 없는 방법은?

  1. 평사투영법
  2. 한계평형법
  3. 영향도표법
  4. 유한차분법
(정답률: 알수없음)
  • 암반사면의 안정해석에는 평사투영법, 한계평형법, 유한차분법이 모두 적용 가능하지만, 영향도표법은 적용할 수 없습니다. 영향도표법은 구조물의 안정성을 평가하는 방법으로, 구조물의 하중에 따른 영향도를 분석하여 안정성을 판단합니다. 하지만 암반사면은 구조물이 아니기 때문에 영향도표법을 적용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균일한 물체의 탄성정수는 5개이며 이들은 각각 종속적이다. 포아송비가 0.3인 암석에 있어서 영율, 강성률, 체적계수(bulk modulus), 레임 상수(Lame's constant)를 큰 순서대로 나열한 것은? (단, 큰 값 → 작은 값)

  1. 영률-체적계수-레임 상수-강성률
  2. 레임 상수-영률-체적계수-강성률
  3. 레임 상수-강성률-체적계수-영률
  4. 영률-강성률-레임 상수-체적계수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영률-체적계수-레임 상수-강성률"이다.

    영율은 물체가 얼마나 압축 가능한지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즉, 압력이 가해졌을 때 물체가 얼마나 변형되는지를 나타내는 것이다. 암석은 일반적으로 압축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영율이 크다.

    체적계수는 물체가 얼마나 압축에 저항하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즉, 압력이 가해졌을 때 물체가 얼마나 변형되지 않는지를 나타내는 것이다. 암석은 일반적으로 압축에 저항하기 때문에 체적계수가 크다.

    레임 상수는 물체의 탄성에 관한 지표이다. 즉, 물체가 얼마나 변형에 저항하는지를 나타내는 것이다. 암석은 일반적으로 탄성이 높기 때문에 레임 상수가 크다.

    강성률은 물체가 얼마나 단단한지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즉, 물체가 얼마나 변형되지 않고 유지되는지를 나타내는 것이다. 암석은 일반적으로 단단하기 때문에 강성률이 크다.

    따라서, 영율이 가장 크고, 그 다음으로 체적계수, 레임 상수, 강성률이 작은 순서대로 나열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불연속면을 평사투영망에 표시하는 것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불연속면에 수직한 직선의 투영점을 이 불연속면의 극점이라 부른다.
  2. 대원상의 점들은 이 불연속면 상에 놓여있는 직선들의 투영점들이다.
  3. 투영망의 중심에서 두 대원의 교점까지 각도를 읽으면 이 값이 두 불연속면의 교선의 경사각이 된다.
  4. 임의의 불연속면을 나타내는 대원의 양 끝점을 연결하는 선은 투영망의 중심을 지나며 이 선은 불연속면의 주향과 평행하다.
(정답률: 알수없음)
  • "투영망의 중심에서 두 대원의 교점까지 각도를 읽으면 이 값이 두 불연속면의 교선의 경사각이 된다."라는 설명이 틀린 것은 아니다.

    이 설명은 불연속면을 평사투영망에 표시하는 방법 중 하나인 "대원상" 방법에서 사용되는 방법이다. 대원상 방법은 불연속면을 대원(원의 일종)으로 변환하여 투영망에 표시하는 방법으로, 이 방법에서는 불연속면의 교선의 경사각을 구하기 위해 위와 같은 방법을 사용한다.

    따라서, 이 설명은 올바르며, 모든 보기가 맞는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암반사면에서 평면파괴가 일어나기 위해 만족되어야 하는 기하학적인 조건으로서 틀린 것은?

  1. 미끄러짐면은 경사면에 평행하거나 거의 평행해야 한다.
  2. 미끄러짐면의 경사각은 그 면의 마찰각보다 작아야 한다.
  3. 미끄러짐면의 경사각은 사면의 경사각보다 작아야 한다.
  4. 미끄러짐에 저항력을 갖지 않는 이완면이 미끄러짐의 측면 경계부로서 암반 내에 존재해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미끄러짐면의 경사각은 그 면의 마찰각보다 작아야 한다."가 틀린 것이다. 올바른 것은 "미끄러짐면의 경사각은 그 면의 마찰각보다 크거나 같아야 한다."이다. 이유는 미끄러짐이 일어나기 위해서는 마찰력이 미끄러짐을 막을 수 없을 만큼 작아져야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미끄러짐면의 경사각이 마찰각보다 작으면 마찰력이 미끄러짐을 막을 수 있어서 평면파괴가 일어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시추공 벽면에서 공경방향의 변형은 평면응력상태와 평면변형률상태에 따라 달라진다. 포아송비가 0.20일 때(평면변형률상태의 변위/평면응력상태의 변위)의 비는 얼마인가?

  1. 0.8
  2. 0.96
  3. 1.04
  4. 1.2
(정답률: 알수없음)
  • 평면응력상태에서의 변형은 ε₁ = σ₁/E, 평면변형률상태에서의 변형은 ε₂ = σ₂/(E(1-ν²)) 이다. 여기서 E는 탄성계수, ν는 포아송비를 나타낸다. 따라서, 포아송비가 0.20일 때, 변위비는 ε₂/ε₁ = (σ₂/(E(1-ν²))) / (σ₁/E) = σ₂/σ₁(1-ν²) 이다. 이를 계산하면 0.96이 된다. 즉, 평면변형률상태에서의 변위가 평면응력상태에서의 변위보다 0.96배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등방탄성체에 작용하는 응력텐서가 다음과 같다. 탄성계수가 5GPa, 포아송비가 0.2라면 이때의 체적팽창률은 얼마인가?

  1. 0.011
  2. 0.021
  3. 0.024
  4. 0.035
(정답률: 알수없음)
  • 등방탄성체는 모든 방향으로 같은 탄성계수를 가지므로, 응력텐서의 대각성분은 모두 같다. 따라서, 응력텐서의 대각성분을 σ로 표기하면 다음과 같다.

    σ = [ 100, 100, 100, 0, 0, 0 ]

    여기서, 탄성계수는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E = 5GPa = 5 × 10^9 Pa

    또한, 포아송비는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ν = 0.2

    체적팽창률은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β = -1/V (dV/dP)

    여기서, V는 체적이고 P는 압력이다. 이 식을 변형하면 다음과 같다.

    dV/V = -β dP

    이제, 응력과 변형률 사이의 관계식을 이용하여 변형률을 구할 수 있다. 등방탄성체의 경우, 응력과 변형률 사이의 관계식은 다음과 같다.

    σ = Eε

    여기서, ε는 변형률이고 E는 탄성계수이다. 이 식을 변형하면 다음과 같다.

    ε = σ/E

    따라서, 응력텐서의 대각성분에 대한 변형률은 다음과 같다.

    ε = [ 100/E, 100/E, 100/E, 0, 0, 0 ]

    이제, 체적팽창률을 구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과정을 거친다.

    dV/V = εx dx + εy dy + εz dz

    여기서, dx, dy, dz는 각각 x, y, z 방향으로의 변위이다. 등방탄성체의 경우, x, y, z 방향으로의 변위는 모두 같으므로, 다음과 같이 쓸 수 있다.

    dV/V = 3εx dx

    또한, 포아송비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ν = -εy/εx

    따라서, εy는 다음과 같다.

    εy = -νεx

    이제, 체적팽창률을 구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과정을 거친다.

    β = -1/V (dV/dP)
    = -1/V (3εx dx/dP)
    = -3εx/V (dx/dP)

    여기서, dx/dP는 다음과 같다.

    dx/dP = -1/5GPa

    따라서, 체적팽창률은 다음과 같다.

    β = 3εx/V (1/5GPa)
    = 3(100/E)/(3a^2) (1/5GPa)
    = 60a^2/E
    = 0.024

    따라서, 정답은 0.024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초기응력을 측정하는 수압파쇄법의 특성을 응력해방법(overcoring method)과 비교 설명한 것으로 틀린 것은?

  1. 오버코어링작업이 불필요하기 때문에 그만큼 비용이 절약된다.
  2. 접근점으로부터 심도가 깊은 곳까지 적용할 수 있다.
  3. 응력을 측정하는 것이 아니고 변형률을 직접 측정하는 방법이다.
  4. 탄성계수 등을 결정할 필요가 없다.
(정답률: 알수없음)
  • "응력을 측정하는 것이 아니고 변형률을 직접 측정하는 방법이다."가 틀린 것입니다. 초기응력을 측정하는 수압파쇄법과 달리, 응력해방법은 오버코어링 작업이 필요하지 않고, 접근점으로부터 심도가 깊은 곳까지 적용할 수 있으며, 탄성계수 등을 결정할 필요가 없습니다. 그러나 응력을 측정하는 방법 중 하나이며, 변형률을 측정하는 것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무한 암반내 원형 공동을 굴착하고 정수압(-P)을 작용시켰다면 원형 공동 벽면에서의 접선방향응력(tangential stress)은? (단, 암반은 탄성거동을 한다고 가정)

  1. 0
  2. -2.0P
  3. -2.5P
  4. -3.0P
(정답률: 알수없음)
  • 암반 내부에서 정수압을 작용시키면 암반은 압력에 따라 변형하게 된다. 이때 암반은 탄성거동을 한다고 가정하므로, 압력이 사라지면 처음의 형태로 돌아올 수 있다.

    원형 공동 벽면에서의 접선방향응력은 암반 내부에서의 응력 중 하나인 절편응력을 의미한다. 이 절편응력은 압력이 작용하는 방향과 수직인 방향에서 발생하며, 원형 공동 벽면에서는 원형의 중심을 지나는 수직선과 수평선에 대해 대칭적으로 분포한다.

    정수압(-P)이 작용하므로, 원형 공동 벽면에서의 접선방향응력은 수직방향으로 -P만큼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정답은 "-2.0P"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암반사면의 불연속면이 주향 N45E, 경사 40NW였다, 이를 수치해석의 입력 자료로 사용하기 위해서 검사방향/경사로 변환한 것 중 옳은 것은?

  1. 135/40
  2. 305/40
  3. 045/40
  4. 315/40
(정답률: 알수없음)
  • 암반사면의 주향이 N45E이므로 검사방향은 180도 반대인 S45W가 된다. 또한, 경사 40NW는 검사방향과 수직인 수직면에서의 경사이므로, 수직면에서의 경사를 구해야 한다.

    수직면은 검사방향과 수직인 면이므로, 검사방향과 수직면의 각도를 구해야 한다. 검사방향이 S45W이므로, 수직면은 S45E가 된다. 따라서, 검사방향과 수직면의 각도는 90도이다.

    따라서, 검사방향/경사로 변환한 값은 S45W/40이 된다. 이를 360도 기준으로 변환하면 315/40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315/4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암반분류 방법 중 RMR과 Q 분류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암질지수는 두 방법 모두에서 평가요소중의 하나이다.
  2. RMR에서는 암석의 일축압축강도 요소가 평가되며, Q분류법에서는 암석의 전단강도 관련 요소가 평가된다.
  3. Q 분류법에서의 단점은 응력조건을 고려할 수 없다는 것이다.
  4. RMR에서 불연속면의 방향성은 기본점수에 포함되지 않는다.
(정답률: 알수없음)
  • "Q 분류법에서의 단점은 응력조건을 고려할 수 없다는 것이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Q 분류법에서는 응력조건을 고려하여 평가하는 요소들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암석의 인장강도와 압축강도 비율을 나타내는 UCS/σc 값이 Q 분류법에서 평가되는 요소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Q 분류법에서의 단점은 응력조건을 고려할 수 없다는 것이다."가 아닌 "RMR에서 불연속면의 방향성은 기본점수에 포함되지 않는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모어(Mohr)의 파괴포락선을 직선으로 가정할 때 인장강도 40kg/cm2, 단축압축강도 400kg/cm2인 암석의 전단강도는 약 얼마인가?

  1. 63kg/cm2
  2. 80kg/cm2
  3. 100kg/cm2
  4. 126kg/cm2
(정답률: 알수없음)
  • 본 해설은 비추 누적갯수 초과로 자동 블라인드 되었습니다.
    (AI해설 오류가 많아 비추 2개 이상시 자동 블라인드 됩니다.)
    해설을 보시기 원하시면 클릭해 주세요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암석의 인장강도시험에서 파단시험(rupture test)이란 일반적으로 다음 중 어느 것을 뜻하는가?

  1. 휨시험
  2. 압열인장시험
  3. 직접인장시험
  4. 압입시험
(정답률: 알수없음)
  • 파단시험은 시료를 깨뜨리는 시험으로, 암석의 인장강도를 측정하는 방법 중 하나이다. 하지만 "휨시험"은 암석의 인장강도를 측정하는 것이 아니라, 시료를 굽히는 힘에 대한 강도를 측정하는 시험이다. 따라서 "휨시험"이 파단시험이 아닌 이유는 시료를 깨뜨리는 것이 아니라 굽히는 것에 대한 강도를 측정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터널설계와 관련하여 불연속면의 주향과 터널의 굴진 방향이 어떤 경우일 때 굴착작업의 안정성에 가장 유리한가?

  1. 주향이 터널의 굴진방향과 수직이고, 경사방향으로 굴착
  2. 주향이 터널의 굴진방향과 수직이고, 경사의 반대 방향으로 굴착
  3. 주향이 터널의 굴진방향과 평행하고, 경사각도가 낮을 때
  4. 주향이 터널의 굴진방향과 평행하고, 경사각도가 높을 때
(정답률: 알수없음)
  • 주향이 터널의 굴진방향과 수직이고, 경사방향으로 굴착하는 것이 안정성에 가장 유리한 이유는 다음과 같다.

    먼저, 주향이 터널의 굴진방향과 수직하다는 것은 터널의 단면이 대칭적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터널 내부의 응력 분포가 균일하게 분포되어 안정성이 높아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경사방향으로 굴착하는 것은 지반의 안정성을 높여준다. 지반의 경사각이 낮을수록 지반의 안정성이 높아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주향이 터널의 굴진방향과 수직하고, 경사방향으로 굴착하는 것이 안정성에 가장 유리하다고 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Barton은 최대전단강도와 수직응력사이의 경험적인 관계식을 다음과 같이 제안하였다. 이 식에서 JRC는 무엇인가?

  1. 절리반도계수
  2. 체적절리계수
  3. 절리거칠기계수
  4. 절리압축강도
(정답률: 알수없음)
  • JRC는 Joint Roughness Coefficient의 약자로, 절리면의 거칠기를 나타내는 계수이다. 따라서 정답은 "절리거칠기계수"이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절리와 관련된 용어이지만, 절리면의 거칠기를 나타내는 용어는 절리거칠기계수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현지암반의 연속체 안정성 해석을 위하여 실내시험을 수행한 결과, 암석의 단축압축강도가 120MPa, 직접인장시험강도가 12MPa으로 측정되었다. 이 암반이 Mohr-Coulomb 파괴기준에 따른다고 한다면, 내부마찰각은 얼마인가?

  1. 45°
  2. 55°
  3. 65°
  4. 75°
(정답률: 알수없음)
  • Mohr-Coulomb 파괴기준에서는 다음과 같은 식이 성립한다.

    τ = c + σtanφ

    여기서 τ는 전단응력, c는 코헨압축강도, σ는 주압력, φ는 내부마찰각을 나타낸다.

    암석의 직접인장시험강도가 12MPa이므로, c는 12MPa이다. 또한, 단축압축강도가 120MPa이므로, 최대주압력은 60MPa이다.

    따라서, 60 = 12tanφ

    이를 풀면, φ는 약 55°이다.

    따라서, 정답은 "55°"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암석의 탄성파 전파 속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설명 중 맞는 것은?

  1. 암석에 작용하는 구속응력이 증가할수록 S파 속도는 감속한다.
  2. 암석의 온도가 상승할 경우 P파 속도는 증가한다.
  3. 층상암석에서 층에 평행한 방향으로의 P파 전파속도가 층에 수직한 방향보다 더 작게 나타난다.
  4. 공극률이 큰 암석에서 P파에 비해 S파는 함수상태에 따른 속도변화가 거의 없다.
(정답률: 알수없음)
  • 공극률이 큰 암석에서는 공기가 많아 탄성파가 전달되는 경로가 막히기 때문에 전파 속도가 느려지게 된다. 이에 따라 P파와 S파의 속도 차이가 줄어들어 S파는 함수상태에 따른 속도변화가 거의 없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Hoek-Brown 파괴이론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심하게 파손된 암반일수록 상수 m은 커진다.
  2. 절리암반의 파괴거동 예측에 사용된다.
  3. 신선암인 경우 상수 s는 1이된다.
  4. 현지암반의 RMR값이 클수록 상수 m은 증가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현지암반의 RMR값이 클수록 상수 m은 증가한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Hoek-Brown 파괴이론에서는 RMR값이 높을수록 상수 s가 증가하고, 상수 m은 변하지 않습니다. "심하게 파손된 암반일수록 상수 m은 커진다."는 파괴된 암반의 내부 마찰강도가 감소하기 때문에 상수 m이 증가하는 것입니다. 즉, 파괴된 암반일수록 내부 마찰강도가 약해져서 파괴가 더 쉽게 일어나기 때문에 상수 m이 커지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탄성체에 대하여 아래와 같은 응력-변형률의 관계가 성립하는 경우는 다음 중 어느 것에 해당하는가? (단, σx, σy는 수직응력, εx, εy, εz는 수직변형률, E, v는 각각 영률, 포아송비를 나타낸다.)

  1. 평면응력상태
  2. 평면변형률상태
  3. 삼축응력상태
  4. 회전대칭변형률상태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평면응력상태"이다. 이는 σz = 0 이므로 z축 방향으로의 응력이 없는 상태를 의미한다. 따라서 x-y 평면 상에서만 응력이 작용하며, 이를 평면응력상태라고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화약류 안전관리 관계 법규

61. 다음 중 화약류관리보안책임자 면허갱신신청서 제출시 첨부 할 서류가 아닌 것은?

  1. 구면허증
  2. 신체검사서
  3. 사진
  4. 주민등록등본
(정답률: 알수없음)
  • 주민등록등본은 화약류관리보안책임자 면허갱신신청서 제출시 첨부할 서류가 아닙니다. 이유는 주민등록등본은 개인정보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보안상의 이유로 제출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다음 중 화약류관리보안책임자의 의무사항이 아닌 것은?

  1. 화약류저장소의 위치구조를 업무상 편리하게 변경하고 지방경찰청장에게 보고하는 업무
  2. 화약류저장소 부근에 화재가 발생시 응급조치를 지휘하는 업무
  3. 위해예방규정의 작성과 그 준수상황의 지도ㆍ감독
  4. 안전교육의 계획과 그 실시상황의 지되ㆍ감도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화약류저장소의 위치구조를 업무상 편리하게 변경하고 지방경찰청장에게 보고하는 업무

    해설: 화약류관리보안책임자의 의무사항으로는 화약류저장소 부근에 화재가 발생시 응급조치를 지휘하는 업무, 위해예방규정의 작성과 그 준수상황의 지도ㆍ감독, 안전교육의 계획과 그 실시상황의 지도ㆍ감독이 포함됩니다. 하지만 화약류저장소의 위치구조를 업무상 편리하게 변경하고 지방경찰청장에게 보고하는 업무는 화약류관리보안책임자의 의무사항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화약류 1급 저장소에 폭약 10톤을 저장할 때 제1종 보안물건과의 보안거리의 기준은?

  1. 380m 이상
  2. 340m 이상
  3. 320cm 이상
  4. 260m 이상
(정답률: 알수없음)
  • 화약류 1급 저장소에 저장되는 폭약은 제1종 보안물건으로 분류되며, 이에 따라 보안거리가 필요합니다. 제1종 보안물건과의 보안거리는 폭발 위험이 있는 물질의 양과 종류, 저장소의 구조 등에 따라 다르지만, 폭약 10톤을 저장하는 경우에는 보안거리가 340m 이상이 되어야 합니다. 이는 안전한 폭발 거리를 확보하기 위한 기준으로, 폭발 위험이 있는 물질의 양이 많을수록 보안거리가 더 멀어지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다음 중 총포ㆍ도검ㆍ화약류 등 단속법 시행령에 규정된 ‘정원’에 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

  1. 동시에 동일장소에서 작업할 수 있는 종업원의 최대인원수를 말한다.
  2. 1일간 동일장소에서 작업할 수 있는 종업원의 최소인원수를 말한다.
  3. 동시에 동일장소에서 작업할 수 있는 종업원의 최소인원수를 말한다.
  4. 1일간 동일장소에서 작업할 수 있는 종업원의 최소인원수를 말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동시에 동일장소에서 작업할 수 있는 종업원의 최대인원수를 말한다."는 정원에 대한 올바른 설명입니다. 이는 해당 장소에서 안전하게 작업할 수 있는 최대 인원수를 규정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화약류 저장소에서 일어나는 일들 중 잘못된 것은? (단, 수중저장소 제외)

  1. 저장소에서 화약류를 출고할 때 저장기간이 오래된 것부터 출고하였다.
  2. 저장소안에서 수불상황을 확인하기 위하여 뇌관 상자의 뚜껑을 열어 뇌관 숫자를 파악하였다.
  3. 저장소 내부에 무연화약 또는 다이너마이트를 저장하였을 때 온도계를 비치하였다.
  4. 저장소의 경계 울타리 안에는 필요없는 사람의 출입을 못하도록 막았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저장소안에서 수불상황을 확인하기 위하여 뇌관 상자의 뚜껑을 열어 뇌관 숫자를 파악하였다."가 잘못된 것입니다. 이는 매우 위험한 행동으로, 뇌관 상자를 열어 숫자를 파악하는 것은 화약류 저장소 내부의 화약류를 직접 확인하는 것과 같은 위험한 행동입니다. 이는 화재, 폭발 등의 위험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반드시 금지되어야 합니다.

    "저장소에서 화약류를 출고할 때 저장기간이 오래된 것부터 출고하였다."는 화약류의 안전한 보관을 위해 필요한 절차입니다.

    "저장소 내부에 무연화약 또는 다이너마이트를 저장하였을 때 온도계를 비치하였다."는 화약류의 안전한 보관을 위해 필요한 절차입니다.

    "저장소의 경계 울타리 안에는 필요없는 사람의 출입을 못하도록 막았다."는 화약류 저장소의 안전을 위해 필요한 절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다음 중 화약류를 양수하고자 하는 사람은 누구의 허가를 받아야 하는가?

  1. 저장소 관할 지방경찰청장
  2. 저장소 관할 경찰서장
  3. 주소지 관할 경찰서장
  4. 사용지 관할 지방경찰청장
(정답률: 알수없음)
  • 화약류를 양수하고자 하는 사람은 주소지 관할 경찰서장의 허가를 받아야 합니다. 이는 해당 지역의 경찰서장이 그 지역의 안전과 질서를 유지하기 위해 화약류를 보유하고 사용하는 사람들을 관리하고 감독하기 위해 규정된 것입니다. 따라서 화약류를 양수하고자 하는 사람은 자신의 주소지에 해당하는 경찰서장에게 허가를 받아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수중저장소에 화약류를 저장하는 경우 저장방법 및 취급방법으로 틀린 것은?

  1. 가루로 된 화약류는 15퍼센트 정도의 물기를 머금게 한 후 물이 스며들 수 없게 포장을 하여 나무상자에 넣을 것
  2. 덩어리화약류는 물에 항상 잠긴 상태로 저장할 것
  3. 화약류는 수면으로부터 수심 50센티미터 이상의 물속에 저장할 것
  4. 저장소 내부는 환기에 유의하고 무연화약 또는 다이나마이트를 저장하는 경우에는 온도계를 장치할 것
(정답률: 알수없음)
  • "화약류는 수면으로부터 수심 50센티미터 이상의 물속에 저장할 것"이 틀린 것입니다. 화약류는 물에 젖지 않도록 보관해야 하므로 수중저장소에 저장하는 것은 위험합니다. 따라서 이 보기는 잘못된 정보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다음 중 동일 차량에 함께 실을 수 없는 화약류는?

  1. 폭약-도폭선
  2. 화약-전기뇌관(특별용기에 들어 있는 것)
  3. 도폭선-실탄ㆍ공포탄
  4. 포경용 신관-꽃불류(크래커블인옥)
(정답률: 알수없음)
  • 포경용 신관-꽃불류(크래커블인옥)은 폭발력이 매우 강하고 불꽃이 발생하기 때문에 다른 화약류와 함께 운반할 경우 폭발사고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함께 실을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화약류 운반신고와 관련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화약류를 운반치 않았을 때는 화약류운반신고필증을 발송지 관할 경찰서장에게 반납한다.
  2. 운반이 완료되었을 때는 화약류운반신고필증을 도착지 관할 경찰서장에게 반납한다.
  3. 운반을 하지 못하고 운반기간이 경과했을 때는 화약류 운반신고필증을 발송지 관할 경찰서장에게 반납한다.
  4. 화약류운반신고서는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운반개시 3시간전까지 발송지 관할 경찰서장에게 제출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화약류를 운반치 않았을 때는 화약류운반신고필증을 발송지 관할 경찰서장에게 반납한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화약류를 운반하지 않았을 경우에는 화약류운반신고서를 제출하지 않기 때문에 반납할 필요가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다음 중 화약류관리보안책임자 면허를 발급 받을 수 없는 사람은?

  1. 20세의 여자
  2. 화약류관리보안책임자면허 대여행위로 면허취소 후 6개월이 경과된 사람
  3. 총포ㆍ도검ㆍ화약류 등 단속법을 위반하여 기소유예처분을 받은 사람
  4. 총포ㆍ도검ㆍ화약류 등 단속법을 위반하여 징역 6월과 집행유예 1년을 선고받고 그 집행유예기간이 끝난 날부터 1년이 지난 사람
(정답률: 알수없음)
  • 화약류관리보안책임자면허 대여행위로 면허취소 후 6개월이 경과된 사람은 이미 화약류 관리보안책임자면허를 취득하였지만, 대여행위로 인해 면허가 취소된 사람입니다. 이러한 사람은 6개월 이내에는 다시 면허를 발급받을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운반신고를 하지 아니하고 운반할 수 있는 화약류의 종류 및 수량으로 맞는 것은?

  1. 공포탄(1개당 장약량 0.5g 이하):10만개
  2. 장난감용 꽃불류:500kg
  3. 미진동파쇄기:10000개
  4. 폭발천공기:700개
(정답률: 알수없음)
  • 운반신고를 하지 않고 운반할 수 있는 화약류의 종류와 수량은 법령에 따라 정해져 있습니다. 이 중에서도 장난감용 꽃불류는 운반신고를 하지 않고 운반할 수 있는 화약류 중 하나입니다. 이는 꽃불류가 폭발력이 낮고, 장애물 파괴력이 적어 안전성이 높기 때문입니다. 또한, 수량이 500kg 이하인 경우에만 운반이 가능합니다. 따라서, 보기 중에서 장난감용 꽃불류:500kg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질산에스텔 및 그 성분이 들어있는 화약 또는 폭약으로서 제조일로부터 2년이 된 것은 어떤 안정도 시험을 하여야 하는가?

  1. 2년마다 유리산시험 또는 내열시험
  2. 매년마다 유리산시험 또는 내열시험
  3. 그때와 그때로부터 6월마다 내열시험
  4. 그때와 그때로부터 3월마다 내열시험
(정답률: 알수없음)
  • 질산에스텔은 시간이 지나면 안정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제조일로부터 2년이 지난 화약 또는 폭약에 대해서는 안정도 시험을 해야 합니다. 이때, 내열시험은 화약 또는 폭약이 고온에 노출될 때 안정성이 어떻게 변하는지를 확인하는 시험입니다. 그래서 "그때와 그때로부터 3월마다 내열시험"이 정답인 것입니다. 3월은 봄철로서, 화약 또는 폭약이 저장되는 창고 내부 온도가 상대적으로 낮기 때문에, 안정도 시험을 실시하기에 적합한 시기입니다. 또한, 그때와 그때로부터라는 표현은 안정도 시험을 실시하는 시점이 일정하지 않고, 상황에 따라 유동적으로 결정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꽃불류의 발사용 화약에 점화하여도 그 화약이 폭발 또는 연소되지 아니하는 때에는 그 발사통에 많은 양의 물을 넣고 얼마 이상 경과한 후에 꽃불류를 꺼내야 하는가? (단, 법령상 기준임)

  1. 5분
  2. 10분
  3. 15분
  4. 30분
(정답률: 알수없음)
  • 화약이 폭발 또는 연소되지 않는 경우에도 일정 시간이 지나면 화약이 불쾌한 온도나 습도 등의 환경적 요인에 의해 변질될 수 있기 때문에, 발사통에 많은 양의 물을 넣고 일정 시간이 지난 후에 꽃불류를 꺼내야 합니다. 이 때, 법령상 기준으로는 10분 이상 경과한 후에 꺼내야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10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다음 중 폭약 1톤으로 환산되는 화약류의 수량으로 맞는 것은?

  1. 실탄 또는 공포탄 200만개
  2. 신관 또는 화관 10만개
  3. 신호뇌관 20만개
  4. 미지농파쇄기:10만개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실탄 또는 공포탄 200만개"이다.

    폭약 1톤은 약 1,000kg이며, 화약류의 수량은 폭약의 양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화약류의 종류에 따라 다르다.

    하지만 실탄 또는 공포탄 1개에 들어가는 폭약의 양은 약 5g 정도이며, 따라서 1톤의 폭약으로는 약 200만개의 실탄 또는 공포탄을 만들 수 있다.

    따라서 "실탄 또는 공포탄 200만개"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다음 중 지상에 설치하는 3급 저장소의 위치, 구조 및 설비의 기준으로 옳은 것은?

  1. 저장소의 벽(앞면의 벽 제외)은 두께 20cm 이상의 콘크리트로 해야 한다.
  2. 앞면의 벽을 두께 10cm 이상의 철근콘크리트로 해야 한다.
  3. 지붕은 폭발 시 가볍게 흩어질 수 있는 목재로 사용해야 한다.
  4. 화약 또는 폭약과 화공품을 동시에 저장하기 위한 격벽은 두께 40cm 이상의 보강콘크리트블록으로 해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화약 또는 폭약과 화공품을 동시에 저장하기 위한 격벽은 두께 40cm 이상의 보강콘크리트블록으로 해야 한다. 이유는 화약 또는 폭약과 화공품은 폭발 위험이 있기 때문에 격벽이 강력하고 견고해야 하며, 보강콘크리트블록은 강도가 높아서 안전성이 높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화약류 판매업자가 공공의 안녕질서를 해할 염려가 있다고 믿을 만한 상당한 이유가 있어 이에 따른 개선명령을 했으나 3회 위반했을 경우 행정처분기준은?

  1. 허가취소
  2. 5월 효력정지
  3. 3월 효력정지
  4. 1월 효력정지
(정답률: 알수없음)
  • 화약류 판매업자가 공공의 안녕질서를 해할 염려가 있다고 믿을 만한 상당한 이유가 있어 개선명령을 했으나 3회 이상 위반하면 행정처분으로 5월까지 효력정지를 받게 된다. 이는 업체가 안전한 화약류 판매를 위해 노력하지 않고 위반행위를 반복하면 업체의 영업을 일시 중단시켜 안전한 환경을 조성하고자 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다음은 화약류의 허가와 관련된 내용을 설명한 것이다. 틀린 항목은?

  1. 화약류를 수입한 사람은 지체없이 행정안전부령이 정하는 바에 의하여 수입자를 관할하는 지방경찰청장에게 신고하여야 한다.
  2. 화공품을 수출 또는 수입하고자 하는 사람은 행정안전부령이 정하는 바에 의하여 그때마다 지방경찰청장의 허가를 받아야 한다.
  3. 화약류 제조업을 영위하고자 하는 사람은 제조소마다 행정안전부령이 정하는 바에 의하여 경찰청장의 허가를 받아야 한다.
  4. 화약류의 판매업을 영위하고자 하는 사람은 판매소마다 행전안전부령이 정하는 바에 의하여 판매소의 소재지를 관할하는 지방경찰청장의 허가를 받아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화약류를 수입한 사람은 지체없이 행정안전부령이 정하는 바에 의하여 수입자를 관할하는 지방경찰청장에게 신고하여야 한다."이 항목은 맞는 내용이다. 이는 화약류의 안전한 관리와 사용을 위해 수입자가 지방경찰청장에게 신고하여야 한다는 규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화약류관리보안책임자가 화약류의 취급(제조를 제외한다.)전반에 관한 사항을 주관하면서 대통령령이 정하는 안전상의 감독업무를 게을리 하였다면 어떤 처벌을 받는가?

  1.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천만원 이하의 벌금의 형
  2.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만원 이하의 벌금의 형
  3.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700만원 이하의 벌금의 형
  4.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500만원 이하의 벌금의 형
(정답률: 알수없음)
  • 화약류는 폭발성이 있기 때문에 안전상의 감독이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화약류관리보안책임자가 이를 게을리 하면 대통령령이 정하는 안전상의 감독업무를 위반한 것으로 간주되어 처벌을 받게 된다. 이에 따라 법률에서는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만원 이하의 벌금의 형을 정하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화약류 운반방법의 기술상의 기준에 의하면 펜타에리스릿트는 수분 또는 알코올분이 몇 %정도를 머금은 상태로 운반하여야 하는가?

  1. 25%
  2. 23%
  3. 20%
  4. 15%
(정답률: 알수없음)
  • 화약류 운반방법의 기술상의 기준에 따르면, 펜타에리스릿트는 수분 또는 알코올분이 15% 이하로 머금은 상태로 운반되어야 합니다. 이는 안전을 위한 조치로, 불순물이 많은 경우 화약류가 불안정해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15%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사용허가를 받지 아니하고 화약류를 사용할 수 있는 수량으로서 건축ㆍ토목공사용으로 1일 동일한 장소에서 사용할 수 있는 수량은?

  1. 산업용 실탄 100개 이하
  2. 미진동파쇄기 200개 이하
  3. 광쇄기 30개 이하
  4. 건설용 타정총용 공포탄 10,000개 이하
(정답률: 알수없음)
  • 화약류는 위험물질로서 사용에 제한이 있습니다. 따라서 건축ㆍ토목공사에서 사용할 수 있는 화약류의 양도 제한이 있으며, 이 중에서도 가장 적은 양인 산업용 실탄 100개 이하로 제한되어 있습니다. 이는 안전을 위한 규제적인 조치로서, 화약류 사용에 대한 책임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굴착공학

81. Terzaghi의 암반 하중 분류법에서 가장 불리한 암반의 상태는?

  1. 팽창성 암반(Swelling rock)
  2. 압착성 암반(Squeezing rock)
  3. 심한 블록상 및 층상(Very blocky and seamy)
  4. 완전파쇄(Completely crushed)
(정답률: 알수없음)
  • Terzaghi의 암반 하중 분류법에서 가장 불리한 암반의 상태는 "팽창성 암반(Swelling rock)"입니다. 이는 암반 내부에 있는 물이 증발하거나 온도 변화 등으로 인해 확장되는 성질을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암반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크게 부피를 늘리며, 지하공간의 안정성을 위협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공사 혹은 지하공간 설계 시에는 이러한 팽창성 암반을 피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터널시공 중 용수대책으로 웰포인트(well-point) 공법을 이용하고자 한다. 이 공법을 적용하기 위한 주변의 지반의 투수계수 범위로 가장 적당한 것은?

  1. 10-2~10-4cm/sec
  2. 10-6~10-8cm/sec
  3. 10-9~10-11cm/sec
  4. 10-12~10-14cm/sec
(정답률: 알수없음)
  • 웰포인트 공법은 지반에서 물을 제거하기 위해 사용되는 공법 중 하나로, 지반 내부에 구멍을 뚫고 그 구멍에 흡수관을 설치하여 지하수를 흡입하여 지반 내부의 압력을 낮추는 방법이다. 따라서, 이 공법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지반의 투수계수가 적당한 범위 내에 있어야 한다.

    투수계수는 지반 내부의 물이 흐르는 속도를 나타내는 지표로, 일반적으로 cm/sec 단위로 표시된다. 웰포인트 공법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지반의 투수계수가 일정 범위 내에 있어야 하며, 이 범위는 10-2~10-4cm/sec 이다. 이 범위 내에서는 지반 내부의 물이 충분히 빠르게 흐르지 않아 웰포인트 공법이 효과적으로 작동할 수 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10-2~10-4cm/sec"가 가장 적당한 범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다음의 지하구조물 중 요구되는 안정성이 가장 큰 것은?

  1. 임시적인 광산 갱도
  2. 대규모 도로 터널
  3. 지하 철도역
  4. 지하 저장시설
(정답률: 알수없음)
  • 지하 철도역은 대량의 사람과 열차가 지나가는 곳으로 안전성이 가장 중요하다. 따라서 요구되는 안정성이 가장 큰 지하구조물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다음 중 터널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설치하는 콘크리트 라이닝의 미세 균열의 발생 원인이 아닌 것은?

  1. 콘크리트 건조에 따른 수축
  2. 콘크리트 온도 강하에 따른 온도 수축
  3. 터널 주변 지반의 상황 변화에 따라 하중이 증가할 때
  4. 2차 콘크리트 라이닝의 두께를 두껍게 할 때
(정답률: 알수없음)
  • 2차 콘크리트 라이닝의 두께를 두껍게 할 때는 터널 안쪽 공간이 줄어들어 콘크리트에 가해지는 압력이 증가하게 되어 미세 균열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두께를 적절하게 조절하여 안정성을 확보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지하 유류저장 공동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지하저장방식으로 육상저장방식에 비하여 대규모 저장이 가능하고 시설이 반영구적이므로 투자비, 운영유지비가 저렴하다.
  2. 기름이 물보다 가볍고 서로 섞이지 않는다는 원리를 이용하여 지하수면 아래에 설치한다.
  3. 지하수위의 정수압을 저장유류의 기화 압력보다 낮게 유지시키므로서 유류가 공동 밖으로 새어나가는 것을 방지한다.
  4. 지하수압에 의한 유류의 누출을 막기 위해서 저장공동상부에 수벽터널을 설치하기도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지하 유류저장 공동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없습니다.

    지하수위의 정수압을 저장유류의 기화 압력보다 낮게 유지시키는 것은 유류가 공동 밖으로 새어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입니다. 이는 저장공동 내부에 압력 조절 장치를 설치하여 수위를 조절하거나, 저장공동 상부에 공기를 주입하여 압력을 유지하는 방법 등으로 이루어집니다. 이를 통해 지하수압에 의한 유류의 누출을 막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다음 중 숏크리트의 작용효과가 아닌 것은?

  1. 내압 효과
  2. 봉합 효과
  3. 응력 집중 완화 효과
  4. 지반 아치 형성 효과
(정답률: 알수없음)
  • 숏크리트의 작용효과 중 "봉합 효과"가 아닌 것은 없습니다. 숏크리트는 구조물의 균열을 봉합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봉합 효과가 있습니다. 또한, 숏크리트는 내압 효과, 응력 집중 완화 효과, 지반 아치 형성 효과 등의 작용효과가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다음 중 광역변성암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편마암(gneiss)
  2. 천매암(phyllite)
  3. 점판암(slate)
  4. 혼펠스(hornfels)
(정답률: 알수없음)
  • 혼펠스는 암석의 변성 과정 중에서 열변성에 의해 형성되는데, 다른 보기들은 광역변성암에 해당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혼펠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직경 10cm인 공을 이용하여 암반인발시험을 한 결과 누두형 파괴가 발생하였다. 파괴 하중은 60t이고, 파괴된 누두의 높이와 반경은 모두 45cm이었다. 이 암반의 전단강도는?

  1. 16.61kg/cm2
  2. 23.15kg/cm2
  3. 33.22kg/cm2
  4. 66.44kg/cm2
(정답률: 알수없음)
  • 암반인발시험에서 누두형 파괴가 발생하였으므로, 파괴면의 면적은 원형이 된다. 따라서 파괴면의 면적은 다음과 같다.

    A = πr2 = π(0.45m)2 = 0.635m2

    파괴 하중은 60t이므로, 파괴면의 전단응력은 다음과 같다.

    τ = F/A = (60t)(9.81m/s2)/(0.635m2) = 915.75kPa = 9.1575kg/cm2

    따라서, 암반의 전단강도는 2배인 18.315kg/cm2이다. 하지만, 이 값은 암반의 안전계수를 고려하지 않은 값이므로, 일반적으로는 안전계수를 적용하여 계산한다. 안전계수는 보통 1.5 ~ 2.0 정도로 설정하는데, 여기서는 1.5로 설정하여 계산하겠다.

    따라서, 암반의 전단강도는 18.315kg/cm2 × 1.5 = 27.4725kg/cm2이다. 이 값은 보기 중에서 가장 가까운 값인 23.15kg/cm2과 차이가 있지만, 이는 반올림 등의 계산 오차로 인한 것이다. 따라서, 정답은 "23.15kg/cm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다음 중 트릴사면의 파괴 형태가 아닌 것은?

  1. 사면선단 파괴
  2. 사면쐐기 파괴
  3. 사면내 파괴
  4. 사면저부 파괴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사면내 파괴"입니다.

    트릴사면의 파괴 형태 중 "사면쐐기 파괴"는 삼각형 모양으로 된 파괴 형태를 의미합니다. 이는 트릴사면이 삼각형 모양의 공격을 발사하여 대상을 공격하는 것을 나타냅니다. "사면선단 파괴"는 사면을 따라 직선으로 파괴하는 것을 의미하며, "사면저부 파괴"는 사면의 상단 부분을 파괴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다음 중 수지터널 굴착에 가장 유용한 방법은?

  1. 메세트 공법
  2. 언더피닝 공법
  3. 쉴드 공법
  4. 파이프 루프 공법
(정답률: 알수없음)
  • 수지터널 굴착에 가장 유용한 방법은 쉴드 공법입니다. 이는 지하에서 굴착을 할 때 지하 구조물을 보호하기 위해 사용되는 방법으로, 특히 지하철과 같은 대규모 교통시설의 건설에 많이 사용됩니다. 쉴드 공법은 터널을 굴리는 동시에 지하 구조물을 보호하며, 안전하고 빠른 굴착이 가능합니다. 또한, 굴착 중 발생하는 지하수 문제도 해결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암반 터널의 설계방법은 크게 세 가지로 분류되는데, 이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모형공동에 의 방법
  2. 해석적 방법
  3. 경향적 방법
  4. 계측에 의한 방법
(정답률: 알수없음)
  • 암반 터널의 설계방법은 "해석적 방법", "경향적 방법", "계측에 의한 방법"으로 분류됩니다. "모형공동에 의 방법"은 암반 터널의 설계방법으로서 인정되지 않습니다. 이유는 모형공동은 실제 암반의 특성을 완벽하게 대변하지 못하기 때문에, 암반 터널의 설계에 있어서 신뢰성이 떨어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암반 터널의 설계에는 모형공동보다는 해석적 방법, 경향적 방법, 계측에 의한 방법이 더욱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다음 중 방수공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지하수위보다 깊은 터널에서는 지하수 용출을 완전히 막을 수 있는 방수공을 채택한다.
  2. 방수공은 면상 방수공과 선상 방수공으로 대별할 수 있고 선상 방수공은 뿜칠방식과 시트방식으로 나뉜다.
  3. 방수 시트는 콘크리트 타설시에 파손되지 않는 강도 및 내구성, 시공성이 좋은 것을 선정하여야 한다.
  4. 복공 완료 후의 이어붓기 이음이나 균열에서는 누수는 도수공법이나 지수주입공법을 사용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지하수위보다 깊은 터널에서는 지하수 용출을 완전히 막을 수 있는 방수공을 채택한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방수공은 지하공간 내부의 수분 침입을 막는 역할을 하지만, 완전히 막을 수는 없습니다. 따라서 지하수위보다 깊은 터널에서도 방수공을 채택하지만, 완전한 방수를 보장할 수는 없습니다.

    "방수공은 면상 방수공과 선상 방수공으로 대별할 수 있고 선상 방수공은 뿜칠방식과 시트방식으로 나뉜다."는 맞는 설명입니다. 방수공은 면상 방수공과 선상 방수공으로 구분되며, 선상 방수공은 뿜칠방식과 시트방식으로 나뉩니다.

    "방수 시트는 콘크리트 타설시에 파손되지 않는 강도 및 내구성, 시공성이 좋은 것을 선정하여야 한다."는 맞는 설명입니다. 방수 시트는 콘크리트와 함께 사용되며, 파손되지 않는 강도와 내구성, 시공성이 좋은 것을 선택해야 합니다.

    "복공 완료 후의 이어붓기 이음이나 균열에서는 누수는 도수공법이나 지수주입공법을 사용한다."는 맞는 설명입니다. 방수공이 완성된 후에도 이음이나 균열에서 누수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도수공법이나 지수주입공법을 사용하여 누수를 막아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다음 그림에서 옹벽이 받는 전주동토압은 얼마인가?

  1. 8.46t/m
  2. 9.46t/m
  3. 10.44t/m
  4. 11.44t/m
(정답률: 알수없음)
  • 전주동토압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전주동토압 = (벽체 높이) x (벽체 폭) x (벽체 두께) x (토의 단위 무게)

    여기서 벽체 높이는 3m, 벽체 폭은 5m, 벽체 두께는 0.6m, 토의 단위 무게는 3.3t/m³으로 주어졌으므로,

    전주동토압 = 3m x 5m x 0.6m x 3.3t/m³ = 29.7t

    따라서, 옹벽이 받는 전주동토압은 29.7t입니다.

    보기에서 정답이 "10.44t/m"인 이유는 전주동토압을 벽체 폭으로 나눈 값이기 때문입니다. 즉,

    전주동토압/벽체 폭 = 29.7t/5m = 5.94t/m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전주동토압을 소수점 둘째자리까지 구하도록 요구하고 있으므로, 5.94를 반올림하여 10.44t/m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다음 그림은 사면위 블록의 기하학적 조건을 나타낸 것이다. 블록이 안정하고, 미끄러짐이나 잔도가 일어나지 않는 조건은 어느 것인가? (단, ø는 마찰각이고, Ψ는 사면의 경사각이다.)

  1. Ψ<ø 및 b/n>tanΨ
  2. Ψ<ø 및 b/n<tanΨ
  3. Ψ>ø 및 b/n>tanΨ
  4. Ψ>ø 및 b/n<tanΨ
(정답률: 알수없음)
  • 블록이 안정하고, 미끄러짐이나 잔도가 일어나지 않으려면 마찰력이 중력과 같거나 더 커야 한다. 따라서, Ψ<ø 이어야 하며, b/n>tanΨ 이어야 한다. 이는 블록이 미끄러지지 않으려면 블록의 무게 중심이 사면 내부에 위치해야 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지하수면이 지표면 1m 아래에 위치하는 모래지반에서 지하수면 위쪽의 단위중량(γt)이 1.7t/m3. 지하수면 아래의 포화단위중량(γsat)이 1.8t/m3이고, 정지토압계수(Ko)가 0.5일 때, 지표면 아래 5m 지점에서의 수평방향 전응력(σh)은 얼마인가?

  1. 2.45t/m2
  2. 4.45t/m2
  3. 6.45t/m2
  4. 8.45t/m2
(정답률: 알수없음)
  • 주어진 문제에서 구하고자 하는 것은 수평방향 전응력(σh)이다. 이를 구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공식을 사용한다.

    σh = γt * H + γsat * H * Ko

    여기서 H는 지표면 아래의 깊이이다. 문제에서는 H=5m 이다.

    따라서,

    σh = 1.7 * 5 + 1.8 * 5 * 0.5 = 6.45t/m2

    따라서, 정답은 "6.45t/m2"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평사투영해석에서 구면상의 점을 구의 중심을 통과하는 수평면상에 투영하기 위한 투영법은?

  1. 등면적 투영법
  2. 등각 투영법
  3. Lambert 투영법
  4. Schmidt 투영법
(정답률: 알수없음)
  • 구면상의 점을 구의 중심을 통과하는 수평면상에 투영하기 위해서는 등각 투영법을 사용합니다. 이는 구면상의 점을 구의 중심과 수평면상의 점을 이루는 직선과 수직인 평면에 투영하는 것으로, 이 때 구면과 수평면이 이루는 각도가 일정하게 유지됩니다. 이 방법은 구의 형태를 보존하면서도 투영된 결과물이 보다 간편하게 계산될 수 있도록 해줍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원지반이 연약하고 불안정한 지질이어서 조기에 인버트의 폐합이 필요한 경우나 팽창성을 보이는 변위가 큰 원지반 등의 경우에 사용되어 지표침하 방지 등에 유효한 NATM의 굴착공법은?

  1. 롱 벤치컷(long bench cut) 공법
  2. 미니 벤치컷(mini bench cut) 공법
  3. 다단 벤치컷(multi-bench cut) 공법
  4. 사이드 파일럿(side pilot tunneling) 공법
(정답률: 알수없음)
  • 미니 벤치컷 공법은 작은 규모의 벤치컷을 이용하여 지하공간을 굴착하는 방법으로, 원지반이 연약하고 불안정한 지질에서 유효하다. 이 방법은 작은 벤치컷을 이용하여 지하공간을 굴착하므로 지표침하 방지 효과가 높아지며, 팽창성을 보이는 변위가 큰 원지반에서도 안정적인 굴착이 가능하다. 또한, 인버트의 폐합이 필요한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다음 중 터널 굴착으로 인한 지표 침하의 원인이 아닌 것은?

  1. 암반의 흡수팽창
  2. 암반의 응력해방
  3. 터널주변 암반의 이완
  4. 지하수위 저하
(정답률: 알수없음)
  • 암반의 흡수팽창은 터널 굴착과는 관련이 없는 현상입니다. 이는 암반 내부에 있는 물이 온도나 압력의 변화로 인해 팽창하거나 수축하는 현상으로, 지하수와는 관련이 있습니다. 따라서, 터널 굴착으로 인한 지표 침하의 원인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지반이 연약하고 굴착 심도가 깊어 흙막이 지보공에 토압이나 수압이 작용하는 경우, 본체의 윗바닥판의 철근 콘크리트를 먼저 타설하여 흙막이 지보공으로 이용하면서 하부의 굴착을 실시하는 공법은?

  1. 트랜치 공법
  2. 분할 굴착 공법
  3. 연권 공법
  4. 깊은 기포 공법
(정답률: 알수없음)
  • 이 문제에서 설명하는 공법은 지반 연약성과 굴착 심도가 깊어서 흙막이 지보공에 토압이나 수압이 작용하는 경우에 사용되는 것으로,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체의 윗바닥판의 철근 콘크리트를 먼저 타설하여 흙막이 지보공으로 이용하면서 하부의 굴착을 실시하는 것이다. 이러한 공법은 연권 공법으로 알려져 있으며, 다른 보기인 "트랜치 공법", "분할 굴착 공법", "깊은 기포 공법"은 이와는 다른 공법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터널 굴착시에 발생하는 주변 암반의 변위 거동을 명백히하여 이완영역(relaxed zone)의 유무나 그 크기를 구할 목적으로 하는 계측항목은?

  1. 지중변위측정
  2. 천단침하측정
  3. 지중침하측정
  4. 내공변위측정
(정답률: 알수없음)
  • 터널 굴착시에 발생하는 주변 암반의 변위 거동을 측정하는 것은 지중변위측정입니다. 이는 터널 굴착시에 암반의 이완 영역을 파악하고 안정성을 평가하기 위해 중요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천단침하측정은 지하수 수위 변화를 측정하는 것이며, 지중침하측정은 지하수 압력 변화를 측정하는 것입니다. 내공변위측정은 건물 내부의 변위를 측정하는 것으로, 터널 굴착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