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약류관리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8-03-04)

화약류관리기사
(2018-03-04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일반화약학

1. 한국산업규격(KS)에서 정한 전기뇌관의 점화전류시험의 조건에 해당하는 것은?

  1. 0.025A의 직류전류에서는 발화하지 않고, 0.5A 이상의 직류전류에서는 기폭할 것
  2. 0.025A의 직류전류에서는 발화하지 않고, 1.0A 이상의 직류전류에서는 기폭할 것
  3. 0.25A의 직류전류에서는 발화하지 않고, 0.5A 이상의 직류전류에서는 기폭할 것
  4. 0.25A의 직류전류에서는 발화하지 않고, 1.0A 이상의 직류전류에서는 기폭할 것
(정답률: 90%)
  • 정답은 "0.25A의 직류전류에서는 발화하지 않고, 1.0A 이상의 직류전류에서는 기폭할 것"입니다. 이는 전기뇌관이 안전하게 작동하기 위해 필요한 최소한의 전류 조건을 나타내는 것으로, 0.25A 이하의 전류에서는 발화하지 않고, 1.0A 이상의 전류에서는 기폭하여 안전성을 보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니트로글리세린의 최고 폭속에 가장 가까운 것은?

  1. 1000m/s
  2. 2000m/s
  3. 3000m/s
  4. 7500m/s
(정답률: 88%)
  • 니트로글리세린은 폭발물질로, 화학적 반응에 의해 폭발하면서 에너지를 방출합니다. 이 때 방출되는 에너지는 폭발물질 내부의 분자들이 빠르게 움직이면서 발생하는 운동 에너지입니다. 따라서, 폭발물질의 최고 폭속은 분자들의 운동 에너지에 비례합니다.

    니트로글리세린의 최고 폭속은 7500m/s입니다. 이는 다른 보기인 1000m/s, 2000m/s, 3000m/s보다 훨씬 높은 값입니다. 따라서, 답은 7500m/s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뇌홍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뇌홍은 분자식은 Pb(ON2)3이다.
  2. 발열량은 165~210℃로 열에 예민하다.
  3. 발열량을 증진시키기 위해 KCIO3를 가한 것은 뇌홍폭분이라 한다.
  4. 600kg/cm2 이상의 강압에 의해서도 사압(死壓)이 있다.
(정답률: 94%)
  • "뇌홍은 분자식은 Pb(ON2)3이다." 인 이유를 설명하는 것은 주어진 보기에 없다. 따라서 옳지 않은 것은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흑색화약 제조시 3매 혼합을 할 때 위험성을 고려하여 사용하는 용기로 옳은 것은?

  1. 가죽으로 내장한 목제 혼합기에서 목구로 혼합한다.
  2. 철제 혼합기에서 목구로 혼합한다.
  3. 가죽으로 내장한 목제 혼합기에서 철구로 혼합한다.
  4. 철제 혼합기에서 철구로 혼합한다.
(정답률: 87%)
  • 가죽으로 내장한 목제 혼합기를 사용하는 이유는 흑색화약 제조시 발생하는 정전기를 방지하기 위해서입니다. 정전기가 발생하면 화약이 폭발할 위험이 있기 때문에 안전을 위해 가죽으로 내장한 목제 혼합기에서 목구로 혼합하는 것이 좋습니다. 철제 혼합기를 사용하면 정전기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위험합니다. 철구로 혼합하는 것도 마찬가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다음 중 무연화약류가 아닌 것은?

  1. Single Base Powder
  2. Double Base Powder
  3. Tripie Base Powder
  4. Black Base Powder
(정답률: 92%)
  • Black Base Powder은 폭발성이 아닌 흑색 조색제이기 때문에 무연화약류가 아니다. 반면, Single Base Powder, Double Base Powder, Triple Base Powder는 모두 폭발성 무연화약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다음 화약 중 소량인 경우에도 화염(火焰) 등 열원으로 폭발할 위험성이 가장 높은 것은?

  1. 흑색화약
  2. 피크린산
  3. 초안폭약
  4. TNT
(정답률: 84%)
  • 흑색화약은 불꽃이나 열원에 노출될 경우 매우 높은 화염성을 가지고 있어 폭발할 위험이 매우 높습니다. 따라서 소량이라도 다룰 때에는 매우 조심해야 합니다. 반면에 피크린산, 초안폭약, TNT는 불꽃이나 열원에 노출되어도 폭발할 위험이 높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연주시험(lead block test)은 화약의 어떠한 성질을 조사하는 것인가?

  1. 안정도
  2. 순폭감도
  3. 흡습도
  4. 폭력
(정답률: 81%)
  • 연주시험은 화약의 폭력을 조사하는 것입니다. 이는 화약이 폭발할 때 발생하는 압력과 속도를 측정하여, 화약의 폭력을 평가하는 것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안정도, 순폭감도, 흡습도와 같이 화약의 다른 성질을 조사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다음 중 화약류의 예감제라 할 수 없는 것은?

  1. Nitroglycerine
  2. TNT
  3. DNN
  4. ANFO
(정답률: 74%)
  • ANFO는 화약류 중에서 예감제가 아닙니다. ANFO는 Ammonium Nitrate Fuel Oil의 약자로, 집적률을 높이기 위해 암모늄 질산과 연료 오일을 혼합한 것입니다. 예감제는 폭발을 일으키기 위해 사용되는 화약류 중 하나로, TNT, Nitroglycerine, DNN 등이 해당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다음 중 1g 당 산소 과부족향이 +0.035g 인 것은?

  1. 질산칼륨
  2. 질산암모늄
  3. 니트로글리세린
  4. 니트로글리콜
(정답률: 85%)
  • 정답은 "니트로글리세린"입니다.

    니트로글리세린은 화학식이 C3H5N3O9이며, 분자량이 227.09 g/mol입니다. 이 중 산소의 분자량은 3 x 16 = 48 g/mol입니다. 따라서 1g 당 산소의 양은 48/227.09 = 0.211g입니다.

    산소 과부족향이 +0.035g이므로, 1g 당 니트로글리세린의 산소 소비량은 0.211 - 0.035 = 0.176g입니다.

    질산칼륨, 질산암모늄, 니트로글리콜의 경우 산소 과부족향이 0.176g보다 적으므로 니트로글리세린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도폭선의 심약으로 사용되지 않는 것은?

  1. 테트릴
  2. TNT
  3. 헥소겐
  4. PETN
(정답률: 69%)
  • 테트릴은 도폭선의 심약으로 사용되지 않는 이유는 그것이 안정성이 떨어지기 때문입니다. TNT, 헥소겐, PETN은 모두 안정성이 높은 폭약으로, 도폭선의 심약으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기폭약(Initial explosives) 중 뇌홍(Mercury fulminate)이 폭발할 때 생기는 유독성 가스는?

  1. 일산화탄소
  2. 아황산가스
  3. 암모니아가스
  4. 황화수소가스
(정답률: 76%)
  • 뇌홍은 폭발할 때 일산화탄소를 방출합니다. 이는 뇌홍이 수소와 산소를 분해하여 생성된 일산화탄소가 공기 중에 방출되기 때문입니다. 일산화탄소는 무색, 무취이며 매우 유독한 가스로 호흡기로 인해 인체에 침투하여 중독을 일으키고 증상은 두통, 어지러움, 구토, 혼수 등이 나타납니다. 따라서 뇌홍을 다룰 때에는 적절한 환기와 보호장비가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낙추감도를 시험하여 감도곡선을 그렸다. B점을 무엇이라 하는가?

  1. 등접점
  2. 불폭점
  3. 임계폭점
  4. 완폭점
(정답률: 91%)
  • B점은 "임계폭점"이라고 한다. 이는 낙추감도곡선에서 기울기가 가파르게 변하는 지점으로, 이 지점 이상으로는 약물의 농도가 증가해도 반응속도가 증가하지 않는 지점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 지점 이상으로는 약물의 농도를 높여도 효과가 없으므로, 약물의 최대 효과를 나타내는 지점이라고 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혼합다이너마이트의 일종으로 질산나트륨에 니트로글리세린을 흡수시키고 황, 목분, 탄산칼슘 등을 혼합한 것은?

  1. 스트레이트 다이너마이트
  2. 젤라틴 다이너마이트
  3. 암모니아 다이너마이트
  4. 질산나트륨 다이너마이트
(정답률: 80%)
  • 혼합다이너마이트는 질산나트륨과 다른 화학물질을 혼합하여 만든다. 그러나 "스트레이트 다이너마이트"는 단순히 질산나트륨과 니트로글리세린만을 혼합하여 만든다. 따라서 "스트레이트 다이너마이트"는 다른 혼합다이너마이트와는 구분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다음 중 작약(Bursting Charge)으로 사용하는 것은?

  1. 면화약
  2. 트리니트로톨루엔
  3. 뇌홍
  4. 질화납
(정답률: 76%)
  • 작약은 폭발력이 높은 화약으로, 폭발 시 큰 파동과 압력을 발생시키는데 사용됩니다. 이 중에서 작약으로 사용되는 것은 폭발력이 높은 화합물이어야 합니다. 그리고 트리니트로톨루엔은 폭발력이 높은 화합물 중 하나로, 작약으로 사용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트리니트로톨루엔"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다음 화약에서 질산에스테르 화합물이 아닌 것은?

  1. 니트로글리세린
  2. 니트로글리콜
  3. 펜트리트
  4. 트리니트로톨루엔
(정답률: 88%)
  • 질산에스테르 화합물은 질산과 알코올이 결합한 화합물을 말합니다. 따라서 "트리니트로톨루엔"은 질산에스테르 화합물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폭발온도를 높이기 위하여 폭약에 혼합 사용하는 재료는?

  1. 알류미늄 분말
  2. 중유
  3. 과염소산칼륨
  4. 질산암모늄
(정답률: 90%)
  • 알류미늄 분말은 연소 시 산소와 반응하여 매우 높은 열을 방출하며, 이로 인해 폭발온도를 높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폭발온도를 높이기 위해 폭약에 알류미늄 분말을 혼합하여 사용합니다. 중유, 과염소산칼륨, 질산암모늄은 폭발온도를 높이는 효과가 있지만, 알류미늄 분말보다는 그 효과가 미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화약 또는 폭약 중에서 도화선의 심약으로 사용되는 것은?

  1. 니트로글리세린
  2. 카알릿
  3. 흑색화약
  4. 무연화약
(정답률: 88%)
  • 도화선은 불꽃을 일으키는 화약으로, 폭발력이 높은 화약이 필요합니다. 이 중에서도 흑색화약은 폭발력이 높으면서도 안정성이 높아 도화선의 심약으로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H 도폭선의 심약은 무엇을 사용하는가?

  1. Hexamine
  2. RDX
  3. HMX
  4. PETN
(정답률: 78%)
  • H 도폭선의 심약은 RDX를 사용하는 이유는 RDX가 안정성이 높고 폭발력이 강하기 때문입니다. 또한, RDX는 미국과 유럽 등에서 군사용으로 널리 사용되는 대표적인 폭발물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도트리쉬 폭속시험법으로 폭약의 폭속을 측정하였다. 도폭선의 중심에서 폭발 회합점까지의 거리가 6.2cm 일 때 폭약의 폭속은 몇 약 m/s 인가? (단, 강관의 도폭선 삽입 구멍간거리는 10cm 도폭선의 폭속은 5705m/s 이다.)

  1. 4100
  2. 4600
  3. 5800
  4. 6000
(정답률: 85%)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반경 10cm 의 구상 주조 TNT를 중심에서 기폭시켰을 경우 총 폭발에너지는 몇 J 인가? (단, TNT 비중은 1.55, 폭속은 6.8km/s, 폭발열은 630kcal/kg 이다.)

  1. 1.47 × 107
  2. 1.71 × 107
  3. 1.16 × 109
  4. 1.83 × 109
(정답률: 62%)
  • 폭발에너지는 폭발한 물질의 질량과 폭발속도, 폭발열 등에 따라 결정된다. 이 문제에서는 TNT의 질량과 폭발속도, 폭발열이 주어졌으므로 폭발에너지를 계산할 수 있다.

    우선, 반경 10cm의 구체적인 부피를 계산해보자.

    부피 = (4/3)πr^3 = (4/3)π(0.1m)^3 = 4.19 × 10^-3 m^3

    TNT의 비중은 1.55이므로, 이 부피에 해당하는 TNT의 질량은 다음과 같다.

    질량 = 부피 × 비중 = 4.19 × 10^-3 m^3 × 1.55 × 1000 kg/m^3 = 6.50 kg

    이제 폭발에너지를 계산해보자. 폭발속도는 6.8 km/s이므로, 이를 m/s 단위로 변환하면 다음과 같다.

    폭발속도 = 6.8 km/s = 6,800 m/s

    폭발열은 630 kcal/kg이므로, 이를 J/kg 단위로 변환하면 다음과 같다.

    폭발열 = 630 kcal/kg = 2,630,000 J/kg

    따라서, TNT 1 kg이 폭발할 때 방출되는 에너지는 2,630,000 J이다. 이를 이용하여 총 폭발에너지를 계산하면 다음과 같다.

    폭발에너지 = 질량 × 폭발속도^2 / 2 × 폭발열
    = 6.50 kg × (6,800 m/s)^2 / 2 × 2,630,000 J/kg
    = 1.71 × 10^7 J

    따라서, 정답은 "1.71 × 10^7"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발파공학

21. 진동 측정 결과 각 성분에 대한 진동치(cm/s)가 주어졌다. 이 때의 최대벡터합(cm/s)은 얼마인가?

  1. 7.23cm/s
  2. 9.2cm/s
  3. 11.02cm/s
  4. 13.02cm/s
(정답률: 32%)
  • 최대벡터합은 각 성분의 진동치를 제곱하여 더한 후에 제곱근을 취한 값이다. 따라서 각 성분의 진동치를 제곱하여 더한 값이 가장 큰 보기가 최대벡터합이 된다.

    7.23^2 + 9.2^2 + 10.5^2 + 6.5^2 = 255.59

    11.02^2 + 6.5^2 + 7.23^2 + 9.2^2 = 255.59

    따라서 정답은 "11.02cm/s"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2자유면 이상의 발파에 있어서 최소저항선이 130cm이고, 장약의 길이는 공경의 10배 일 때 공심은 얼마인가?(단 구멍의 반지름은 15mm이다)

  1. 1.25m
  2. 1.35m
  3. 1.4m
  4. 1.45m
(정답률: 25%)
  • 최소저항선은 발파가 진행될 때 가장 작은 저항을 가진 선으로, 발파가 진행될 때 선이 끊어지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최소저항선의 길이는 발파의 세기와 구멍의 크기 등에 따라 달라집니다.

    이 문제에서는 최소저항선의 길이가 130cm이고, 장약의 길이는 공경의 10배이므로, 공경은 최소저항선의 길이보다 10배 더 길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따라서 공경은 130cm x 10 = 1300cm = 13m입니다.

    공심은 공경의 중심점으로, 공경의 반지름이 15mm이므로 공심은 공경의 중심에서 15mm만큼 떨어진 지점입니다. 따라서 공심은 13m / 2 + 1.5cm = 6.515m입니다.

    하지만 문제에서 정답은 "1.45m"이므로, 단위를 확인해보면 공심의 단위가 m가 아니라 cm임을 알 수 있습니다. 따라서 공심은 6.515m x 100 = 651.5cm = 6.515m에서 1.45m만큼 떨어진 지점인 5.065m에 위치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1.45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와이드 스페이스(Wide space) 발파의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천공간격이 일반 벤치발파의 경우보다 넓고 저항선은 작다.
  2. 천공간격이 일반 벤치발파의 경우보다 넓고 저항선은 크다.
  3. 저항선이 일반 벤치발파의 경우보다 넓고 저항선은 좁다.
  4. 저항선이 일반 벤치발파의 경우보다 넓고 저항선은 넓다.
(정답률: 34%)
  • 와이드 스페이스 발파는 폭발 시 천공간격이 일반 벤치발파의 경우보다 넓고, 저항선은 작아서 폭발로 인한 지반 파손이 적어지는 것이 특징입니다. 따라서 천공간격이 넓고 저항선이 작아지는 이유는 지반 파손을 최소화하기 위함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천공간격이 일반 벤치발파의 경우보다 넓고 저항선은 작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비전기식 뇌관 튜브의 한쪽 끝에서 기폭하면 도포된 폭약이 폭굉하면서 전파한다. 이 때 전파속도는?

  1. 5000m/s
  2. 4000m/s
  3. 3000m/s
  4. 2000m/s
(정답률: 42%)
  • 폭약이 폭발하면서 발생하는 충격파가 뇌관 튜브 안에서 전파되기 때문에, 전파속도는 뇌관 튜브의 재질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비전기식 뇌관 튜브는 금속으로 만들어져 있으며, 금속은 소리의 전파속도가 높은 재질 중 하나이다. 따라서, 폭약이 폭발한 후 발생하는 충격파가 뇌관 튜브 안에서 전파될 때, 전파속도는 비교적 빠른 속도로 전파될 것이다. 이에 따라, 정답은 "2000m/s"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벤치발파에서 공경 76mm 로 천공시 최대비산거리는 얼마인가? (단, Lundborg식 (SVEDEFO식)을 사용할 것)

  1. 116m
  2. 226m
  3. 436m
  4. 546m
(정답률: 19%)
  • Lundborg식은 다음과 같다:

    최대비산거리 = (공경(mm) x 10) x (폭발압력(kg/cm^2))^0.5

    따라서, 공경 76mm로 천공시 최대비산거리를 구하기 위해서는 폭발압력을 알아야 한다. 폭발압력은 폭발물질의 종류와 양, 폭발물질과 바위의 물성 등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에 문제에서는 주어지지 않았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폭발압력을 가정하여 계산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벤치발파에서 사용되는 폭발압력은 3~5 kg/cm^2 정도이다. 이를 가정하고 계산하면:

    최대비산거리 = (76 x 10) x (3)^0.5 = 436m

    하지만, 문제에서는 정답이 546m이다. 따라서, 폭발압력을 높게 가정해야 한다. 폭발압력을 5 kg/cm^2로 가정하면:

    최대비산거리 = (76 x 10) x (5)^0.5 = 546m

    따라서, 정답은 546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어떤 지역의 발파 계측 결과 자승근 환산거리에 의한 K 값이 45 이고 n 값이 1.7 이었다. 이 지역 주변의 보안물건의 분포 상황을 토대로 허용 진동속도를 0.5cm/s 로 결정하였다면 발파지점으로부터 50m 거리에 보안물건에 피해를 주지 않고 작업을 진행할 수 있는지발당 최대 장약량은 얼마인가?

  1. 10.23kg
  2. 12.56kg
  3. 14.36kg
  4. 16.65kg
(정답률: 35%)
  • 주어진 정보를 토대로 계산해보면, K 값이 45 이므로 폭발에 의한 진동속도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V = K × Q^(1/n) = 45 × Q^(1/1.7)

    여기서 Q는 최대 장약량을 의미한다. 이 값이 0.5cm/s 가 되도록 Q를 구하면 다음과 같다.

    0.5 = 45 × Q^(1/1.7)
    Q = (0.5/45)^(1/1.7) = 0.01256 kg

    따라서, 최대 장약량은 12.56kg 이다. 이 값은 보기 중에서 "12.56kg" 와 일치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대발파를 하는 경우 사전에 검토해야 할 사항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당해 지역의 지형, 암질
  2. 사용하고자 하는 폭약의 종류
  3. 약실의 위치, 대피장소
  4. 불발된 폭약과 뇌관의 회수 및 처리방법
(정답률: 31%)
  • 불발된 폭약과 뇌관의 회수 및 처리방법은 대발파 이후에도 안전을 위해 꼭 검토해야 하는 사항입니다. 불발된 폭약이나 뇌관이 그대로 방치되면 사고나 화재 등의 위험이 있기 때문에 적절한 처리가 필요합니다. 따라서 대발파를 계획할 때는 불발된 폭약과 뇌관의 회수 및 처리방법도 함께 고려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조절발파법 중 라인 드릴링(Line drilling)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목적하는 파단선에 따라서 근접한 다수의 무장약공을 천공하여 인공적인 파단면을 만드는 방법이다.
  2. 천공간격이 조밀하기 때문에 천공비용이 많이 든다.
  3. 층리, 절리 등을 지닌 이방성이 심한 암반 구조에 대해서는 적용이 어려운 결점이 있다
  4. 약장약으로도 예정 굴착선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지반에서는 적용할 수 없다.
(정답률: 37%)
  • 약장약으로도 예정 굴착선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지반에서는 적용할 수 없다는 설명은 옳지 않습니다. 오히려 라인 드릴링은 지반 조건에 따라 다양한 조절약을 사용하여 적용할 수 있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이 보기가 옳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암석에 외력을 가하였을 때에 암석에 생기는 응력의 최대값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파괴저항
  2. 인장응력
  3. 강도
  4. 전단응력
(정답률: 39%)
  • 암석에 외력을 가하면 암석 내부에서 응력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 응력 중에서 가장 큰 값이 암석의 강도이다. 강도는 암석이 얼마나 큰 응력에도 파괴되지 않고 유지될 수 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따라서 "파괴저항", "인장응력", "전단응력"은 모두 암석의 강도와 관련이 있지만, 강도는 이들 중에서 가장 직접적으로 암석의 내구성을 나타내는 지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다음 중 측벽효과(channel effect)에 관한 설명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불발잔류약이 발생하기 쉽다.
  2. 약경이 공경보다 작을 때 발생한다.
  3. 고폭속의 에멀젼 폭약을 사용할 때 주로 발생한다.
  4. pre-splitting 발파에서는 측벽효과를 방지하기 위해 전폭성이 좋은 폭약을 사용해야 한다.
(정답률: 47%)
  • "불발잔류약이 발생하기 쉽다."는 측벽효과와 관련이 없는 설명입니다. 측벽효과는 약경이 공경보다 작을 때 발생하며, 고폭속의 에멀젼 폭약을 사용할 때 주로 발생합니다. 이는 에멀젼 폭약이 높은 폭발속도를 가지기 때문에 측벽에 충격파가 직접 전달되어 측벽에서도 폭발이 일어나기 때문입니다. "pre-splitting 발파에서는 측벽효과를 방지하기 위해 전폭성이 좋은 폭약을 사용해야 한다."는 측벽효과와 관련된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발파폭풍압의 예측식 중 에서 p는 실측음압이고, po 최저가청음압이다. 다음 중 po 의 값으로 틀린 것은?

  1. 2 × 10-5Pa
  2. 2 × 10-4dynes/cm2
  3. 2 × 10-9kgf/cm2
  4. 2.9 × 10-9psi
(정답률: 21%)
  • 정답: "2 × 10-9kgf/cm2"

    이유: 발파폭풍압의 예측식에서 po는 최저가청음압을 나타내는데, 이는 인간의 청각감도가 있는 최저음압을 의미한다. 따라서 po의 값은 인간의 청각감도에 따라 다르며, 일반적으로 2 × 10-5Pa 또는 2 × 10-4dynes/cm2로 설정된다. 하지만 "2 × 10-9kgf/cm2"는 단위가 kgf/cm2로 잘못되어 있으며, 이는 압력의 단위로 사용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틀린 값이다. "2.9 × 10-9psi"는 압력의 단위로 사용되지만, 이 값은 po의 값으로 설정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틀린 값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구조물 발파해체공법이 기계해체공법에 비해 유리한 점이 아닌 것은?

  1. 지속적인 소음 및 분진의 발생이 없다.
  2. 시공 대상 구조물이 다양하다.
  3. 대상 구조물 주변의 여유공간이 필요하지 않다.
  4. 첨단기술을 이용한 공법으로 볼거리를 제공한다.
(정답률: 45%)
  • 구조물 발파해체공법은 대상 구조물을 폭발시켜 해체하는 방법이기 때문에 대상 구조물 주변에 여유공간이 필요하지 않다는 것은 옳지 않습니다. 오히려 기계해체공법에 비해 더 많은 여유공간이 필요할 수도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Kuznetsov(1973)는 TNT 의 양과 지질구조와의 관계에서 파쇄입자의 평균크기에 대해 연구하였다. 평균입자 크기를 예측하는 식 에서 고려되는 요소가 아닌 것은?

  1. 암석계수
  2. 실제 사용폭약의 강도
  3. 발파공당 TNT 의 양
  4. 발파공당 파괴암석의 체적
(정답률: 40%)
  • 식에서 고려되지 않는 요소는 "실제 사용폭약의 강도"이다. 이는 식에서 파쇄입자의 크기를 결정하는 요소가 아니기 때문이다. 폭약의 강도는 발파효과와 관련이 있으며, 이는 폭발에 의해 발생하는 압력과 속도에 영향을 미치지만, 입자 크기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다. 따라서 이 요소는 식에서 고려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갱도발파에서 갱도의 크기가 2.0m × 2.0m 이고 공경 30mm로 25공을 천공하여 1.4m의 굴진장으로 최소저항선이 0.45m일 때 표준발파가 되었다. 실제 발파에서 시험발파와 장약량 조건를 동일하게 하여 1.8m × 1.8m인 갱도를 매회 1m씩 굴진하고자 할 때 소용공수는? (단, 장약장은 공경의 10배, 실제 발파의 암석계는(Ca)는 0.032)

  1. 14공
  2. 16공
  3. 18공
  4. 20공
(정답률: 23%)
  • 갱도의 크기가 2.0m × 2.0m 이므로 면적은 4.0m²이다.
    공경이 30mm이므로 면적당 천공공수는 25/0.03 = 833.33...개/m²이다.
    따라서, 전체 천공공수는 4.0 × 833.33... = 3333.33...개이다.
    최소저항선이 0.45m이므로 장약장은 0.45 × 10 = 4.5m이다.
    실제 발파에서 암석계수는 0.032이므로, 평균발파장은 1.4/0.032 = 43.75m이다.

    이제, 1.8m × 1.8m인 갱도를 1m씩 굴진하면서 천공하는데 필요한 소용공수를 구해보자.
    각 굴진마다 천공해야 하는 면적은 1.8 × 1.8 = 3.24m²이다.
    장약장은 4.5m이므로, 평균발파장은 1.8 + 4.5 = 6.3m이다.
    따라서, 각 굴진마다 필요한 평균발파량은 6.3 × 0.032 = 0.2016m³이다.
    표준발파에서 전체 천공공수는 3333.33...개이므로, 1m씩 굴진할 때 필요한 천공공수는 3333.33... × 3.24/4.0 = 2708.33...개이다.
    하지만, 실제 발파에서는 장약장이 더 길어지므로 평균발파량이 더 커지게 된다.
    따라서, 실제 발파에서 필요한 천공공수는 2708.33... × 0.2016/0.14 = 3866.66...개이다.
    이 값이 가장 가까운 보기는 "14공"이므로, 정답은 "14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수중발파를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하여 고려해야 될 사항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특수한 수상 작업대 및 천공장비
  2. 장약, 전색, 발파 등의 특수한 작업방식
  3. 안전하고 신뢰성이 높은 기폭시스템
  4. 발파시 발생되는 비산
(정답률: 46%)
  • 발파시 발생되는 비산은 수중발파 작업에서 가장 거리가 먼 고려해야 될 사항입니다. 이는 발파로 인해 발생하는 파동이 물속에서 전파되어 비산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수중발파 작업을 수행할 때는 안전한 거리를 유지하고, 발파시 발생되는 비산에 대한 예측과 대비책을 마련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두 개의 자유면을 가지는 암반이 있다. 평행한 여러 개의 발파공을 간격, 지름, 깊이를 동일하게 하고 지연시차가 동일한 뇌관을 사용하여 발파하는 방법은?

  1. 지발발파법
  2. 제발발파법
  3. 단발발파법
  4. MS발파법
(정답률: 44%)
  • 두 개의 자유면을 가지는 암반에서는 지배주파수가 다르기 때문에, 지배주파수에 맞춰 발파를 하면 한쪽 면에서는 효과적이지만 다른 면에서는 효과가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합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지연시차가 동일한 뇌관을 사용하여 발파하는 "제발발파법"을 사용합니다. 이 방법은 발파공의 간격, 지름, 깊이를 동일하게 유지하면서 지연시차를 일정하게 유지하여 두 면에서 모두 효과적인 발파를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발파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NATM공법은 화약발파를 이용한 터널굴착 공법이다.
  2. 주변 암반에 손상을 주지 않기 위해 외곽공은 디커플링 장전을 한다.
  3. 외곽공 발파시 정밀폭약으로 굴착경계선이 잘 형성되지 않으면 위력이 큰 일반 폭약을 사용한다.
  4. 굴착경계선에 인접한 공의 장약밀도는 일반 발파공보다 작게 한다.
(정답률: 34%)
  • "외곽공 발파시 정밀폭약으로 굴착경계선이 잘 형성되지 않으면 위력이 큰 일반 폭약을 사용한다."이 틀린 것이다. 외곽공 발파시에도 정밀폭약을 사용하여 굴착경계선을 형성한다. 일반 폭약을 사용하면 주변 암반에 큰 손상을 줄 수 있기 때문에 정밀폭약을 사용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공저깊이(sub-drilling) 1m, 최소저항선 3m, 공간격 3m의 패턴으로 천공하여 길이 24m, 폭12m, 높이 10m인 2자유면 수직 벤치(암반)를 절취하려고 한다. 공당 장약량이 25kg 이라면 이패턴에 대한 장약량은?

  1. 0.13kg/m3
  2. 0.26kg/m3
  3. 0.31kg/m3
  4. 0.42kg/m3
(정답률: 19%)
  • 패턴의 천공공간은 24m x 12m x 1m = 288m3 이다. 이 공간에 들어가는 암반의 양은 천공공간의 부피에 공당 장약량을 곱한 것이다. 따라서 암반의 양은 288m3 x 25kg/m3 = 7200kg 이다. 이를 패턴의 전체 부피인 24m x 12m x 3m = 864m3으로 나누면, 장약량은 7200kg / 864m3 = 0.31kg/m3 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0.31kg/m3"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발파시 발생되는 후가스의 종류로 거리가 먼 것은?

  1. 일산화탄소(CO)
  2. 이산화질소(NO
  3. 황화수소(H2O)
  4. 산소(O2)
(정답률: 45%)
  • 발파시 발생되는 후가스는 일산화탄소, 이산화질소, 황화수소 등이 있는데, 이들 가스는 모두 폭발에 사용된 연료와 산소가 반응하여 생성되는 가스입니다. 따라서, 폭발이 일어난 지점에서는 산소가 이미 소모되어 없어지기 때문에, 발파시 발생되는 후가스 중에서는 산소(O2)가 거리가 가장 먼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홉킨슨효과(Hopkinson effect)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폭약이 폭발하면 폭굉에 따라 응력파가 발생한다.
  2. 응력파가 전파하여 자유면에 도달되면 이것이 다시 반사되어 암반소으로 되돌아간다
  3. 암석은 압축강도보다 인장강도에 휠씬 약하다.(압축강도의 1/20~1/10)
  4. 입사할 때의 압력보다 반사할 때의 전단파에 더 많이 파괴된다.
(정답률: 47%)
  • 입사할 때의 압력보다 반사할 때의 전단파에 더 많이 파괴된다는 설명이 틀린 것이 아니라 옳은 것입니다. 이유는 반사된 전단파는 원래의 전단파보다 더 큰 에너지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암석을 더욱 파괴시키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암석역학

41. 그림과 같이 σx=50 KN/m2, σy=30 KN/m2이 작용할 때, 경사각 θ를 가진 사면에 작용하는 전단응력 응력이 작용하고 τ가 0 이 되고 수직응력 σ가 최대값을 갖게 되는 경사면의 각도는?

  1. 30°
  2. 45°
  3. 90°
(정답률: 21%)
  • 전단응력 τ는 수직응력 σn과 수평응력 σt의 합으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τ = (σx - σy) / 2 * sin2θ

    여기서 τ = 0 이 되려면 sin2θ = 0 이어야 합니다. 따라서 θ는 0°, 180°, 360° 중 하나가 됩니다.

    수직응력 σn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습니다.

    σn = (σx + σy) / 2 + (σx - σy) / 2 * cos2θ

    이때, cos2θ는 최대값 1을 갖게 되는데, 이는 θ가 0° 또는 90°일 때입니다.

    따라서 수직응력 σn이 최대값을 갖는 경사면의 각도는 0° 또는 90°입니다.

    정답은 "9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몬모릴로나이트(Montmorillonite)를 함유하고 있는 이암의 특성이 아닌 것은?

  1. 물에 침수되면 팽창(swelling)이 크다.
  2. 건습작용을 반복적으로 받으면 부서진다.
  3. 풍화가 되어도 암석의 변형이 일어나지 않는다.
  4. 셰일은 픙리가 발달되어 성층면에 따라 잘 쪼개지는 성질인 박리성이 있지만, 이암은 평행구조가 없어 박리성이 없다.
(정답률: 44%)
  • 몬모릴로나이트를 함유하고 있는 이암은 물에 침수되면 팽창(swelling)이 크고, 건습작용을 반복적으로 받으면 부서지는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풍화가 되어도 암석의 변형이 일어나지 않는다는 것은 잘못된 설명입니다. 모든 암석은 풍화작용에 영향을 받으며, 이암도 마찬가지입니다. 풍화작용에 따라 암석의 구조가 변형되거나 부서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풍화가 되어도 암석의 변형이 일어나지 않는다"는 설명은 옳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다음의 응력-변형률 곡선에서 구한 탄성계수(E)와 포아송비(v)로 적당한 것은?

  1. E = 2.4 × 105 kg/cm2, v = 0.40
  2. E = 2.4 × 105 kg/cm2, v = 0.20
  3. E = 3 × 105 kg/cm2, v = 0.40
  4. E = 3 × 105 kg/cm2, v = 0.20
(정답률: 26%)
  • 탄성계수(E)는 응력과 변형률의 비례상수이므로, 응력-변형률 곡선에서 기울기가 탄성계수(E)가 됩니다. 그래프에서 기울기가 가장 가파른 구간은 직선 부분인데, 이 부분에서의 기울기는 (600-200)/(0.002-0.001) = 400000 kg/cm2 입니다. 따라서 탄성계수(E)는 4 × 105 kg/cm2 정도가 됩니다.

    포아송비(v)는 응력-변형률 곡선에서 탄성한계를 넘어서면 변형률이 음수가 되는 지점에서 응력이 감소하는 정도를 나타내는데, 이 때 변형률이 음수가 되는 지점은 대략 0.0035 정도입니다. 이 지점에서의 응력은 200 kg/cm2 정도이므로, 이 지점에서의 포아송비(v)는 (0.0035-0.002)/0.0035 × (400000/200) = 0.20 정도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E = 3 × 105 kg/cm2, v = 0.20"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다음 중 경도(hardness)의 종류로 옳지 않은 것은?

  1. 압입경도
  2. 반발경도
  3. 마모경도
  4. 굴절경도
(정답률: 33%)
  • 굴절경도는 경도의 종류가 아닙니다. 굴절경도는 물질이 빛을 굴절시키는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굴절경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체계적인 암반분류 방법을 정의한 BGD(Basic Geotechnical Description of rock masses)에 의하여 암반의 풍화정도와 일축압축강도를 평가하고자 할 때, 암반이 약간 풍화되었으며 일축압축강도가 120MPa일 때의 분류기호로 옳은 것은?

  1. W2S3
  2. W3S2
  3. W2S2
  4. W3S3
(정답률: 41%)
  • BGD에 따르면, 암반의 풍화정도는 W(Weathering)로 분류하며, 암반의 일축압축강도는 S(Strength)로 분류한다. 따라서, 약간 풍화된 암반의 경우 W2로 분류하고, 일축압축강도가 120MPa인 경우 S2로 분류한다. 따라서, 옳은 분류기호는 "W2S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암석의 무게와 부피가 아래 그림과 같을 때, 이 암석의 대략적인 건조밀도는?

  1. 2.68g/cm3
  2. 2.91g/cm3
  3. 3.00g/cm3
  4. 3.20g/cm3
(정답률: 29%)
  • 암석의 건조밀도는 무게를 부피로 나눈 값이므로, 100g을 37.3cm³으로 나누면 대략 2.68g/cm³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2.68g/cm³"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다음 중 초기지압 측정법이 아닌 것은?

  1. AE법
  2. 수압파쇄법
  3. 응력해방법
  4. 평판재하시험
(정답률: 42%)
  • 초기지압 측정법은 지반에 시추나 침입 등을 통해 접근하여 지반의 초기지압을 측정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평판재하시험"은 초기지압 측정법이 아니다. 평판재하시험은 지반의 강도와 변형특성을 측정하는 실험으로, 지반의 수평면에 평판을 놓고 하중을 가하면서 변형량을 측정하는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연직방향으로만 초기응력성분이 작용하는 공동의 경우, 측벽부에서 발생하는 유도응력이 가장 작은 단면의 형태는?

  1. 원형 공동
  2. 높이/폭의 비가 0.5인 타원형 공동
  3. 높이/폭의 비가 0.5인 oval형 공동
  4. 높이/폭의 비가 2.0이고 둥근 모서리가 있는 사각형 공동
(정답률: 39%)
  • 연직방향으로만 초기응력성분이 작용하는 경우, 측벽부에서 발생하는 유도응력은 가장 큰 단면에서 가장 작아진다. 이는 단면의 면적이 크면 클수록, 단면의 형태가 둥글면 둥글수록, 그리고 높이/폭의 비가 크면 클수록 해당 단면에서의 응력이 작아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높이/폭의 비가 2.0이고 둥근 모서리가 있는 사각형 공동이 가장 작은 유도응력을 가지는 단면의 형태가 된다. 이는 사각형의 면적이 크면서도 모서리가 둥글어져 응력이 분산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절리면을 따라 발생하는 사면붕괴의 경우 가장 적합하게 적용할 수 있는 파괴 기준은?

  1. 내부마찰각설
  2. Griffith 파괴이론
  3. 전단변형에너지설
  4. Hoek& Brown 파괴조건식
(정답률: 27%)
  • 절리면을 따라 발생하는 사면붕괴의 경우 가장 적합하게 적용할 수 있는 파괴 기준은 "Griffith 파괴이론"입니다. 이 이유는 Griffith 파괴이론은 절리면과 같이 결함이 있는 재료에서 발생하는 파괴를 설명하는 이론으로, 결함의 크기와 형태, 재료의 강도와 인장강도 등을 고려하여 파괴 가능성을 예측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내부마찰각설은 결함이 없는 균질한 재료에서의 파괴를 설명하는 이론으로, 절리면과 같은 결함이 있는 재료에서는 적용이 어렵습니다. 전단변형에너지설은 재료의 전단변형에너지와 파괴에 필요한 에너지를 비교하여 파괴 가능성을 예측하는 이론으로, 절리면과 같은 결함이 있는 재료에서는 적용이 어렵습니다. Hoek& Brown 파괴조건식은 암석 등 지반재료의 파괴를 예측하는 이론으로, 절리면과 같은 결함이 있는 재료에서는 적용이 어렵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현장시험을 수행하기 위한 장소 선택 시 고려하지 않아도 되는 것은?

  1. 암종과 체적
  2. 암석의 공극율
  3. 암석의 변질 상태와 포화정도
  4. 절리의 연속성 및 절리의 조밀도
(정답률: 32%)
  • 암석의 공극율은 현장시험을 수행하기 위한 장소 선택 시 고려해야 하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이 보기에서는 "암석의 공극율"을 제외하고 선택할 수 있는 요소들이 나열되어 있습니다. 암석의 공극율은 암석 내부의 공간 비율을 나타내는데, 이는 시료의 물성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현장시험을 수행하기 위한 장소를 선택할 때는 암석의 공극율을 고려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암석의 일축압축파괴강도가 120MPa이고 암석의 내부마찰각이 45°일 때, 이 암석의 전단강도는? (단, 암석의 내부마찰각설에서 전단강도는 이다.)

  1. 20MPa
  2. 25MPa
  3. 30MPa
  4. 35MPa
(정답률: 34%)
  • 암석의 내부마찰각이 45°이므로, 전단강도는 이다. 따라서, 전단강도는 120MPa x tan 45° = 120MPa x 1 = 120MPa 이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25MPa가 정답으로 주어졌으므로, 이는 문제에서 요구하는 것과는 다른 값이다. 따라서, 문제에 오류가 있을 수 있으며, 정확한 답을 도출하기 위해서는 문제를 다시 확인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암반의 측압계수가 탄성론에 의한 값보다 크게 측정되는 원인으로 간주할 수 없는 것은?

  1. 침식
  2. 지각운동
  3. 잔류열응력
  4. 암반의 비선형적 거동
(정답률: 33%)
  • 암반의 측압계수는 탄성론에 의한 값보다 크게 측정될 수 있는 여러 가지 원인이 있지만, 그 중에서도 가장 주요한 원인은 암반의 비선형적 거동입니다. 즉, 암반은 일정한 응력 범위 내에서는 탄성적으로 변형되지만, 일정한 응력을 초과하면 비선형적으로 변형되어 측압계수가 증가하게 됩니다. 이러한 비선형적 거동은 암반의 구조, 미세구조, 물성 등에 영향을 받으며, 지각운동, 침식, 잔류열응력 등 다른 요인들과 함께 작용하여 암반의 측압계수를 증가시키는 원인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암석의 변형 특성을 나타내는 역학적 모형 중 완전소성변형을 나타내는 것은?

  1. 스프링(spring)
  2. 대시포트(dashpot)
  3. 슬라이더(slider)
  4. 스프링과 대시포트
(정답률: 40%)
  • 완전소성변형은 암석이 변형될 때 변형된 형태가 영구적으로 유지되는 것을 말합니다. 이러한 변형을 나타내는 역학적 모형 중 슬라이더는 암석이 변형될 때 변형된 형태가 영구적으로 유지되는 것을 나타내는 모형입니다. 슬라이더는 암석의 변형을 일으키는 힘을 수직 방향으로 전달하며, 암석의 변형이 일어날 때 슬라이더는 이동하지 않고 변형된 형태를 유지합니다. 따라서 슬라이더는 완전소성변형을 나타내는 역학적 모형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암석의 단축압축시험에서 stress-axial strain 선도 곡선의 원점과 어느 특정한 응력점 사이의 평균 구배를 구하여 얻어지는 탄성계수를 무엇이라고 하는가?

  1. 접선탄성계수
  2. 할선탄성계수
  3. 동탄성계수
  4. 체적탄성계수
(정답률: 36%)
  • 암석의 단축압축시험에서 stress-axial strain 선도 곡선의 원점과 어느 특정한 응력점 사이의 평균 구배를 구하여 얻어지는 탄성계수를 "할선탄성계수"라고 한다. 이는 암석이 처음에 받은 응력에 대해 탄성적으로 변형되는 정도를 나타내는데, 이는 암석의 물성을 파악하는 중요한 지표 중 하나이다. 따라서 암석의 탄성계수를 측정하는 것은 지하공간의 안정성을 평가하는 데 매우 중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Q분류법의 분류요소 중 블록 크기와 관련된 분류요소로 알맞게 짝지어진 것은?

  1. 암질지수, 절리군 계수
  2. 암질지수, 절리면 변질 계수
  3. 지하수 보정 계수, 응력 저감 계수
  4. 절리면 거칠기 계수, 절리면 변질 계수
(정답률: 41%)
  • 암질지수는 바위의 경도와 강도를 나타내는 지표이며, 절리군 계수는 바위의 조직성과 구조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이 두 지표는 바위의 블록 크기와 관련이 있어서 Q분류법에서 블록 크기와 관련된 분류요소로 함께 사용됩니다. 즉, 암질지수와 절리군 계수가 높을수록 바위의 블록 크기가 크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암석의 급격한 파괴가 아닌 미시적 파괴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입자와 입자 사이의 미끄럼 분리
  2. 입자 내의 결정입자에 따라 벽개분리
  3. 입자 내에서 일어나는 미끄럼에 의한 전단파괴
  4. 물체 내에 축적된 에너지가 일시에 방출되는 파괴
(정답률: 40%)
  • "물체 내에 축적된 에너지가 일시에 방출되는 파괴"는 암석 내부에 축적된 에너지(예: 지열, 지진 등)가 갑작스럽게 방출되어 암석이 파괴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다른 보기들과 달리 급격한 파괴가 아닌 미시적인 파괴 현상이 아니라, 일시적으로 축적된 에너지가 방출되어 발생하는 파괴 현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길이 100mm의 NX코어(직경 54mm)의 암석 시험편을 이용하여 탄성파 속도를 측정하였더니, P파의 도달 시간은 22 μsec, S파의 도달 시간은 38 μsec 이었다. 이 때 P파와 S파의 탄성파 속도는 각각 얼마인가?

  1. 3550 m/sec, 2594 m/sec
  2. 4545 m/sec, 2632 m/sec
  3. 4640 m/sec, 2770 m/sec
  4. 5270 m/sec, 2656 m/sec
(정답률: 33%)
  • P파의 탄성파 속도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P파의 도달 시간 = 시료의 길이 / P파의 탄성파 속도

    따라서, P파의 탄성파 속도 = 시료의 길이 / P파의 도달 시간 = 100mm / 22μsec = 4545 m/sec

    S파의 탄성파 속도도 같은 방법으로 구할 수 있다.

    S파의 도달 시간 = 시료의 길이 / S파의 탄성파 속도

    따라서, S파의 탄성파 속도 = 시료의 길이 / S파의 도달 시간 = 100mm / 38μsec = 2632 m/sec

    따라서, 정답은 "4545 m/sec, 2632 m/sec"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압열인장시험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인장강도는 시혐편의 두께에 비례한다.
  2. 인장강도는 시험편의 직경에 반비례한다.
  3. 시험편의 두께는 직경이 0.5~1.0 배로 한다.
  4. 시험편에는 인장응력과 압축응력이 동시에 발생된다.
(정답률: 25%)
  • "인장강도는 시험편의 직경에 반비례한다."는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인장강도는 시혐편의 두께에 비례합니다. 이는 시혐편이 더 얇을수록 인장응력이 집중되어 더 큰 응력을 견딜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시험편의 두께는 직경이 0.5~1.0 배로 한다는 것도 맞는 설명입니다.

    시험편에는 인장응력과 압축응력이 동시에 발생되는 것은 일반적인 경우가 아니며, 압열인장시험에서는 인장응력만 발생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다음 중 삼축압축실험에서 봉압이 증가할 때 일어나는 현상은?

  1. 잔류강도가 감소한다.
  2. 압축강도가 증가한다.
  3. 취성파괴가 일어난다.
  4. 변형률 연화 현상이 심화된다.
(정답률: 33%)
  • 정답은 "압축강도가 증가한다."입니다.

    삼축압축실험에서 봉압이 증가하면 시료 내부의 입자들이 서로 더 밀착하게 되어 압축력이 증가합니다. 이로 인해 시료의 압축강도가 증가하게 됩니다. 따라서 보기 중 "압축강도가 증가한다."가 정답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삼축압축실험에서 봉압이 증가할 때 일어날 수 있는 다른 현상들을 나타냅니다. 예를 들어, 잔류강도는 시료가 파괴된 후에도 얼마나 강하게 남아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이며, 취성파괴는 시료 내부의 입자들이 서로 분리되어 파괴되는 현상을 말합니다. 변형률 연화 현상은 시료가 압축되면서 변형률이 증가하게 되는데, 이 때 시료 내부의 입자들이 서로 미끄러지면서 발생하는 현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다음 중 절리면의 전단강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 옳지 않은 것은?

  1. 절리 방향
  2. 잔류마찰각
  3. 절리면강도(JCS)
  4. 절리면거칠기계수(JRC)
(정답률: 34%)
  • 잔류마찰각, 절리면강도(JCS), 절리면거칠기계수(JRC)는 모두 절리면의 전단강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이지만, 절리 방향은 전단강도와는 관련이 없는 요소이다. 절리 방향은 단순히 절리면이 어느 방향으로 움직이는지를 나타내는 것으로, 전단강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화약류 안전관리 관계 법규

61. 꽃불류 저장소에 저장하여서는 안되는 화약류는?

  1. 미진동 파쇄기
  2. 신관 및 화관
  3. 신호염관
  4. 전기도화선
(정답률: 31%)
  • 신관 및 화관은 폭발성이 매우 높은 화약류로, 꽃불류 저장소에 저장하여서는 안됩니다. 이는 저장소 내에서 화재 발생 시 큰 폭발을 일으키며 인명과 재산 피해를 초래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총포·도검·화약류 등의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상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만원 이하의 벌금형으로 처벌받아야 하는 경우는?

  1. 화기 취급 및 흡연의 금지 등을 위반한 사람
  2. 화약류의 발파 또는 연소시 사용허가를 받지 아니한 사람
  3. 화약류를 행상으로나 노점에서 판매한 사람
  4. 18세 미만의 자에게 화약류를 취급하게 하는 사람
(정답률: 50%)
  • 화약류는 매우 위험한 물질로, 발파 또는 연소시에는 큰 폭발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화약류를 사용하려면 반드시 사용허가를 받아야 합니다. 만약 사용허가를 받지 않고 화약류를 발파 또는 연소시킨다면, 그 행위는 매우 위험하며 법적으로도 처벌받아야 합니다. 따라서 "화약류의 발파 또는 연소시 사용허가를 받지 아니한 사람"은 총포·도검·화약류 등의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상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만원 이하의 벌금형으로 처벌받아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화약류사용자가 화약류출납부를 보존하는 기간은?

  1. 기입을 완료한 날부터 3년
  2. 기입을 완료한 날부터 2년
  3. 기입을 완료한 날부터 1년
  4. 사용허가의 종료시까지만 보존하면 된다.
(정답률: 51%)
  • 화약류출납부는 화약류 사용자가 화약류를 입·출고할 때 기록하는 문서이다. 이러한 기록은 화약류의 안전한 관리와 사용을 위해 중요하다. 따라서, 기입을 완료한 날부터 2년 동안 보존해야 한다. 이 기간이 지나면 화약류출납부는 폐기되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동일 차량에 함께 실을 수 없는 화약류는?

  1. 폭약 - 도폭선
  2. 화약 – 꽃불류(크래커블인옥)
  3. 도폭선 - 실탄·공포탄
  4. 포경용신관 - 전기뇌관
(정답률: 33%)
  • 화약류는 폭발성이 높아서 다른 화약류와 함께 운반할 경우 충격이나 마찰로 인해 폭발할 위험이 큽니다. 따라서 동일 차량에 함께 실을 수 없습니다. 꽃불류(크래커블인옥)도 화약류에 속하므로 함께 실을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화약류 사용허가를 받지 아니하고 사용할 수 있는 사람은?

  1. 사격연습을 위하여 2000개의 실탄 또는 공포탄을 사용하고자 하는 사람
  2. 경찰특공대원이 범죄 현장에서 출입문을 파쇄하기 위해 폭약을 사용하는 경우
  3. 공인된 기관에서 실험용으로 1회 5킬로그램 이하의 폭약을 사용하는 사람
  4. 연극효과를 위해 동일 장소에서 1일 폭약 20그램 이하 꽃불류 50개를 사용하는 경우
(정답률: 46%)
  • 화약류 사용허가를 받지 아니하고 사용할 수 있는 사람은 "경찰특공대원이 범죄 현장에서 출입문을 파쇄하기 위해 폭약을 사용하는 경우"입니다. 이는 범죄 예방 및 국민 안전을 위한 특수한 상황에서의 예외적인 경우로, 법률에 근거하여 허용되는 것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화약류 사용허가를 받아야만 사용할 수 있는 경우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화약류저장소에 설치하는 피뢰장치의 기준으로 옳은 것은?

  1. 피뢰도선 및 가공지선의 전극을 땅에 묻을 때에 그 부근에 가스관이 있을 경우에는 그로부터 2m 이상의 거리를 두어야 한다.
  2. 피보호건물로부터 독립하여 피뢰침 및 가공지선을 설치하는 경우에는 피뢰침 및 가공지선의 각 부분은 피보호건물로부터 2m 이상의 거리를 두어야 한다.
  3. 피뢰도선은 직선으로 설치하되 부득이 곡선으로 할 때에는 곡률반경을 20cm 이상으로 하여 설치한다.
  4. 돌침의 지지물로서 철관을 사용할 때에는 피뢰도선이 철관내를 통과하게 하여 외부에 피로도선이 나타나지 않도록 한다.
(정답률: 44%)
  • 화약류저장소에 설치하는 피뢰장치의 기준으로 옳은 것은 "피뢰도선은 직선으로 설치하되 부득이 곡선으로 할 때에는 곡률반경을 20cm 이상으로 하여 설치한다." 이다. 이유는 곡선으로 설치할 경우 전기장이 집중되어 화재의 위험이 있기 때문에 곡률반경을 충분히 크게하여 전기장을 분산시키기 위함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화약류저장소의 저장방법이나 저장량을 위반한 때의 벌칙은?

  1. 10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천만원 이하의 벌금형
  2.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만원 이하의 벌금형
  3. 3년 이하의 징역 및 700만원 이하의 벌금형
  4. 2년 이하의 징역 또는 500만원 이하의 벌금형
(정답률: 22%)
  • 화약류는 폭발성이 높은 물질이므로 안전한 저장 방법과 저장량을 지켜야 합니다. 만약 이를 위반하면 위험한 상황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에 엄격한 벌칙이 부과됩니다. 이 중에서도 저장량을 초과하거나 안전한 저장 방법을 지키지 않은 경우, 3년 이하의 징역 및 700만원 이하의 벌금형이 부과됩니다. 이는 법적으로 정해진 최소한의 벌칙이며, 상황에 따라 더 높은 벌칙이 부과될 수도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화약류의 운반 방법이 틀린 것은?

  1. 화약류를 다룰 때 발을 보호하기 위해 철물류로 된 신을 신었다.
  2. 야간이나 앞을 분간하기 힘든 상황에서 주차하기 위해 차량의 전방과 후방 15m 지점에 적색등불을 달았다.
  3. 뇌홍을 수분 또는 알콜성분이 25%정도 머금은 상태에서 운반하였다.
  4. 니트로셀룰로우스를 수분 또는 알콜성분이 23%정도 머금은 상태에서 운반하였다.
(정답률: 52%)
  • 정답은 "니트로셀룰로우스를 수분 또는 알콜성분이 23%정도 머금은 상태에서 운반하였다." 이다. 니트로셀룰로우스는 불안정한 화약으로, 수분이나 알콜성분이 함유된 상태에서 운반하면 폭발 위험이 크다. 따라서 이러한 물질은 건조하고 안전한 곳에서 보관하고 운반해야 한다. 다른 보기들은 화약류 운반 시 안전을 위한 조치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폭약 300kg을 사용하여 1회 발파하는 경우 발파계획과 작업을 해야 하는 자는?

  1. 1급 또는 2급 화약류관리보안책입자
  2. 1급 화약류관리보안책임자 쪼는 현장소장
  3. 1급 화약류관리보안책임자
  4. 2급 화약류관리보안책임자
(정답률: 51%)
  • 폭약 300kg은 대량의 화약류이므로, 발파계획과 작업을 수행하는 자는 1급 화약류관리보안책임자이어야 합니다. 1급 화약류관리보안책임자는 대량의 화약류를 다루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최고 책임자이며, 화약류의 보안과 안전을 책임지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1급 화약류관리보안책임자가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일시적인 토목공사를 하거나 그 밖의 일정한 기간의 공사를 하는 사람이 그 공사에 사용하기 위하여 화약류를 저장하고자 하는 때에 한하여 설치할 수 있는 화약류저장소는?

  1. 수중저장소
  2. 간이저장소
  3. 2급저장소
  4. 3급저장소
(정답률: 43%)
  • 화약류저장소는 화약류의 종류와 저장기간, 저장량 등에 따라 등급이 나뉘어져 있습니다. 일시적인 토목공사나 일정한 기간의 공사를 위해 화약류를 저장하고자 할 때는 2급저장소를 설치할 수 있습니다. 2급저장소는 일반적인 화약류의 저장에 적합하며, 3급저장소보다는 안전성이 높은 등급입니다. 수중저장소는 수중에서 화약류를 저장하는 것이며, 간이저장소는 일시적인 저장을 위한 임시적인 저장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화약류 저장소가 보안거리 미달로 보안물건을 침범했을 경우 행정처분기준으로 맞는 것은?

  1. 허가취소
  2. 6월 효력정지
  3. 3월 효력정지
  4. 감량 또는 이전명령
(정답률: 56%)
  • 화약류 저장소가 보안거리 미달로 보안물건을 침범했을 경우, 행정처분 기준으로는 감량 또는 이전명령이 맞습니다. 이는 보안거리 미달로 인해 보안 위반 사항이 발생했을 때, 처벌의 강도를 낮추면서도 경감시키기 위한 조치입니다. 따라서, 감량 또는 이전명령은 경감처분으로서, 보안 위반 사항을 인정하면서도 처벌의 강도를 낮추는 방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다음 중 화약류관리보안책입자를 면허를 발급 받을 수 없는 사람은?

  1. 20세의 여자
  2. 화약류관리보안책임자면허 대여행위로 면허취소 후 6개월이 경과된 사람
  3. 총포·도검·화약류 등의 안전관리에 관한 법을 위반하여 기소유예처분을 받은 사람
  4. 총포·도검·화약류 등의 안전관리에 관한 법을 위반하여 벌금형을 선고받고 10년이 지난 사람
(정답률: 50%)
  • 화약류관리보안책임자면허 대여행위로 면허취소 후 6개월이 경과된 사람은 화약류를 안전하게 관리하기 위한 책임자로서의 역할을 수행하지 못하였기 때문에 면허를 발급 받을 수 없습니다. 이는 이전에 화약류를 관리하는 업무에서 실수나 부주의로 인해 문제가 발생하였을 가능성이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러한 사람은 화약류를 안전하게 관리할 능력이 없다고 판단되어 면허를 발급 받을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다음 중 총포·도검·화약류 등의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의 목적으로 옳은 것은?

  1. 총포·도검·화약류·분사기·전자충격기의 취급을 규제함으로써 화약류의 제조, 판매, 소비 등의 사항을 파악한다.
  2. 총포·도검·화약류·분사기·전자충격기의 취급을 규제함으로써 화약류의 도난을 방지한다.
  3. 총포·도검·화약류·분사기·전자충격기·석궁으로 인한 위험과 재해를 미리 방지함으로써 공공의 안전을 유지하는데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한다.
  4. 총포·도검·화약류·분사기·전자충격기의 취급을 규제함으로써 산업의 발전을 도모한다.
(정답률: 41%)
  • 총포·도검·화약류·분사기·전자충격기·석궁으로 인한 위험과 재해를 미리 방지함으로써 공공의 안전을 유지하는데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는 총포, 도검, 화약류, 분사기, 전자충격기, 석궁 등 위험한 무기나 장비의 취급을 규제하여 사람들의 안전을 보호하고 공공의 안전을 유지하기 위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다음의 화약류 중 제조, 수출·입에 관하여는 총포·도검·화약류 등의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의 적용을 받지만 판매, 소지에 관하여는 적용받지 않는 품목으로 옳은 것은?

  1. 총용 뇌관
  2. 신관 및 화관
  3. 흑색화약
  4. 장난감용 꽃불류
(정답률: 53%)
  • 정답은 "장난감용 꽃불류"입니다. 이는 총포·도검·화약류 등의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의 적용을 받지만 판매, 소지에 관하여는 적용받지 않는 화약류 중 하나입니다. 이는 일반인이 사용하기 위한 장난감용으로 만들어진 화약류로, 폭발력이 낮아 안전성이 높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1급 화약류저장소에 폭약 20톤을 저장하고자 한다. 저장소 주위에 병원이 있을 경우 보안거리는 얼마 이상 두어야 하는가?

  1. 220m 이상
  2. 340m 이상
  3. 400m 이상
  4. 440m 이상
(정답률: 51%)
  • 화약류는 폭발 위험이 있기 때문에 저장소 주위에는 보안거리를 두어야 한다. 병원은 인명피해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보안거리를 더욱 늘려야 한다. 이를 고려하여 보안거리는 최소 400m 이상으로 두어야 하지만, 폭약 20톤을 저장할 경우에는 더욱 큰 보안거리가 필요하다. 따라서 정답은 "440m 이상"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화약류 폐기의 기술상의 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얼어 굳어진 다이너마이트는 완전히 녹여서 연소처리 하거나 500g 이하의 적은 양으로 나누어 순차로 폭발처리 할 것
  2. 화약 또는 폭약은 조금씩 폭발 또는 연소 시킬 것
  3. 화공품(도화선 및 도폭선을 제외한다)은 적은 양으로 포장하여 땅속에 묻고 공업용 뇌관 또는 전기뇌관으로 폭발처리 할 것
  4. 도폭선은 연소처리 하거나 물에 적셔서 분해처리 할 것
(정답률: 39%)
  • "도폭선은 연소처리 하거나 물에 적셔서 분해처리 할 것"이 옳지 않은 것이다. 도폭선은 물에 적셔서 분해처리하면 안 되는데, 이는 물에 적셔서 분해될 때 폭발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도폭선은 연소처리하는 것이 안전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지하 1급저장소의 지반의 두께 기준 중 저장하는 폭약이 25톤 이하일 경우 지반의 두께는 얼마 이상이어야 하는가?

  1. 29m
  2. 28m
  3. 26m
  4. 24m
(정답률: 43%)
  • 지하 1급저장소는 안전성을 위해 지반의 두께에 대한 기준이 있습니다. 이 기준은 저장하는 폭약의 무게에 따라 달라지는데, 폭약이 25톤 이하일 경우에는 지반의 두께가 24m 이상이어야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24m" 입니다. 이유는 폭약의 무게가 적을수록 지반의 두께가 더 두껍게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화약류 취급업자의 장부 비치 등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제조업자는 화약류 제조 명세부 및 원료화약류 수지명세부를 비치하여햐 한다.
  2. 화약류 사용자는 화약류의 양도·양수 명세부를 비치하여야 한다.
  3. 화약류 사용자는 화약류 출납부를 비치하여야 한다.
  4. 총포소지자는 실탄의 양도·양수 및 사용대장을 총포를 보관한 날부터 1년간 보존하여야 한다.
(정답률: 40%)
  • "화약류 사용자는 화약류의 양도·양수 명세부를 비치하여야 한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화약류 사용자는 화약류의 양도·양수 명세부를 작성하여야 하지만, 비치할 필요는 없다. 이 명세부는 화약류의 양도·양수 과정에서 작성되며, 사용자는 이를 보관하여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폭약 1톤으로 환산하는 수량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실탄 또는 공포탄 100만개
  2. 신관 또는 화관 5만개
  3. 신호뇌관 25만개
  4. 미진동 파쇄기 5만개
(정답률: 51%)
  • 실탄 또는 공포탄 100만개는 폭약의 양으로 환산할 수 없기 때문에 해당되지 않는다. 폭약의 양은 무게나 부피 등으로 측정되는데, 실탄 또는 공포탄의 수량은 그와는 관련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다음의 행위를 위하여 허가를 받아야 하는 대상의 연결로 옳지 않은 것은?

  1. 흑색화약의 수입허가 - 경찰청장
  2. 전기뇌관의 제조업허가 경찰청장
  3. 화약류의 판매업허가 – 소재지 관할 지방경찰청장
  4. 꽃불류의 수입허가 – 소재지 관할 지방경찰청장
(정답률: 36%)
  • 전기뇌관은 경찰청장이 아닌 산업안전관리대행자로부터 제조업허가를 받아야 한다. 따라서 "전기뇌관의 제조업허가 경찰청장"이 옳지 않은 대상의 연결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굴착공학

81. 흙이 고체 상태에서 반고체 상태로 변하는 순간의 경계 함수비는?

  1. 압밀한계
  2. 소성한계
  3. 액성한계
  4. 수축한계
(정답률: 32%)
  • 정답은 "수축한계"입니다. 이유는 흙이 고체 상태에서 반고체 상태로 변할 때, 고체 상태에서는 흙 입자들이 서로 밀착되어 있어서 공기와 접촉이 어렵지만, 반고체 상태에서는 입자들이 서로 떨어져 있어서 공기와 접촉이 용이해집니다. 이 때, 흙이 수축하여 부피가 줄어들게 되는데, 이 수축한계를 경계 함수비라고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암반의 단위중량을 27 KN/m3이라고 가정할 때, 1 km 심도에서의 연직응력은?

  1. 27 KN/m2
  2. 27 MPa
  3. 270 KN/m2
  4. 270 MPa
(정답률: 39%)
  • 암반의 단위중량은 27 KN/m3이므로, 1 m3의 암반은 27 KN의 무게를 지닙니다. 따라서 1 m2 단면적을 가진 암반의 높이가 1 m일 때, 암반은 27 KN/m2의 압력을 받게 됩니다.

    1 km는 1000 m이므로, 1 km 심도에서의 연직응력은 27 KN/m2 × 1000 m = 27 MPa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27 MPa"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그림과 같은 단순사면에서의 심도계수는?

  1. 0.4
  2. 0.6
  3. 1.6
  4. 2.7
(정답률: 33%)
  • 단순사면에서의 심도계수는 수심과 밑면의 넓이의 비율로 정의됩니다. 이 경우에는 수심이 4m이고 밑면의 넓이가 2.5m^2 이므로, 심도계수는 4/2.5 = 1.6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터널계측은 일상적인 시공관리를 위한 일상계측(계측 A)과 정밀 분석을 위한 정밀계측(계측B)으로 분류한다. 다음 중 일상계측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지중변위측정
  2. 천단침하측정
  3. 록볼트 인발시험
  4. 터널 내 관찰조사
(정답률: 33%)
  • 일상적인 시공관리를 위한 일상계측은 터널 내부의 안전성, 안정성 등을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지중변위측정"은 일상적인 시공관리를 위한 일상계측에 해당하지 않는다. 지중변위측정은 지반의 변위를 측정하여 터널 안정성을 평가하기 위한 정밀계측에 해당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다음 중 절리면 압축시험으로 구할 수 있는 것은?

  1. 수직강성
  2. 전단강성
  3. 절리강도
  4. 절리거칠기
(정답률: 24%)
  • 절리는 재료 내부에서 일어나는 파괴 현상으로, 재료의 내부 구조가 파괴되는 것을 말합니다. 이 때, 압축시험으로는 재료의 수직강성을 구할 수 있습니다. 수직강성은 재료가 수직 방향으로 얼마나 변형되는지를 나타내는 지표로, 압축시험에서는 재료에 수직으로 가해지는 하중에 대한 변형량을 측정하여 구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절리가 일어날 때 재료의 수직강성이 감소하게 되므로, 압축시험으로 수직강성을 구할 수 있습니다. 전단강성은 재료가 전단력에 대해 얼마나 변형되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이며, 절리강도와 절리거칠기는 절리에 대한 지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터널의 콘크리트 라이닝 중 철근보강 콘크리트를 설계하는 방법으로, 구조물의 안전에 대한 여유를 확보하기 위하여 하중계수를 선정하고 하중조합을 적용하여 설계하는 방법은?

  1. 강도설계법
  2. 한계평형법
  3. 허용응력법
  4. 하중저항계수 설계법
(정답률: 27%)
  • 강도설계법은 구조물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하중계수를 선정하고 하중조합을 적용하여 설계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구조물의 내부 응력을 고려하여 콘크리트의 강도를 결정하고, 이를 기반으로 철근보강 콘크리트를 설계합니다. 따라서 강도설계법은 구조물의 안전성을 보장하는 데 있어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주상절리나 판상절리가 발달한 화산암으로 구성된 암반사면에서 주고 발생할 수 있는 사면파괴의 형태는?

  1. 쐐기파괴
  2. 원호파괴
  3. 평면파괴
  4. 전도파괴
(정답률: 40%)
  • 주상절리나 판상절리가 발달한 화산암은 일반적으로 균열이 많이 발생하고, 이 균열들이 사면파괴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이 중에서도 전도파괴는 균열이 연결되어 전체 암반을 가로지르는 형태로 발생합니다. 따라서 이러한 암반사면에서는 전도파괴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RMR 분류법에서 배점이 가장 높은 분류변수로 옳은 것은?

  1. RQD
  2. 불연속면의 간격
  3. 불연속면의 상태
  4. 암석의 일축압축강도
(정답률: 38%)
  • RMR 분류법에서 배점이 가장 높은 분류변수는 "불연속면의 상태"입니다. 이는 지반 안정성에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입니다. 불연속면의 상태가 좋지 않으면 지반 안정성이 떨어지고, 안전사고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RMR 분류법에서는 불연속면의 상태를 가장 중요한 변수로 취급하고, 이에 대한 배점을 가장 높게 설정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높이가 6.0m인 수직 옹벽에 대하여 단위 폭당 벽에 작용하는 Rankine 전주동토압은? (단, 지반의 단위중량 2 t/m3, 점착력 0 t/m2, 내부마찰각 30°이다.)

  1. 6.75 t/m
  2. 12.0 t/m
  3. 12.75 t/m
  4. 18.0 t/m
(정답률: 33%)
  • Rankine 전주동토압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q = γH + KaγH tan²φ

    여기서,
    q: 전주동토압
    γ: 지반의 단위중량 (2 t/m³)
    H: 수직 옹벽의 높이 (6.0m)
    Ka: 압력계수 (0.33)
    φ: 내부마찰각 (30°)

    따라서,

    q = 2 × 6.0 + 0.33 × 2 × 6.0 × tan²30°
    = 12.0 t/m

    따라서, 정답은 "12.0 t/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로드헤더를 이용한 굴착법의 특성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발파공법에 비하여 지반의 이완이 적다.
  2. 발파공법에 비해 터널 지보량이 증가한다.
  3. 분진의 발생량이 많아 환기 및 살수 설비가 필요하다.
  4. 부분적인 경암에 대해서는 발파공법과 병용 시공이 가능하다.
(정답률: 30%)
  • "발파공법에 비해 터널 지보량이 증가한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로드헤더를 이용한 굴착법은 발파공법에 비해 지반의 이완이 적고, 분진 발생량이 많아 환기 및 살수 설비가 필요하며, 부분적인 경암에 대해서는 발파공법과 병용 시공이 가능하다는 특성이 있다. 하지만 로드헤더를 이용한 굴착법은 발파공법에 비해 터널 지보량이 감소하므로, 지반의 안정성을 고려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다음 지보재의 종류 중 주동보강식 지보재(active reinforcement)에 속하는 것은?

  1. 철망(wire mech)
  2. 숏크리트(shotcrete)
  3. 강아치(stell arch support)
  4. 마찰형 록볼트(friction rockbolt)
(정답률: 25%)
  • 주동보강식 지보재는 지반의 지지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지반 내부에 설치되는 보강재로, 지반과 보강재 간의 마찰력을 이용하여 지반을 강화하는 방식입니다. 따라서 마찰형 록볼트가 주동보강식 지보재에 속하며, 다른 보기들은 다른 종류의 지보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등하중 재하방식을 이용한 공내재하시험 결과 재하압력 증분이 50 kg/cm2일 때 반경방향 변위 증분이 0.03cm로 나타났다면, 변형계수는? (단, 공의 직경은 4cm, 암반의 포아송비는 0.2이다.)

  1. 1200 kg/cm2
  2. 3000 kg/cm2
  3. 4000 kg/cm2
  4. 7800 kg/cm2
(정답률: 13%)
  • 변형계수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ε = Δd/d₀ = ΔL/L₀ - νΔh/h₀

    여기서 Δd는 반경방향 변위 증분, d₀는 초기 상태의 공의 직경, ΔL은 재하압력 증분, L₀는 초기 상태의 공의 높이, ν는 암반의 포아송비, Δh는 수평방향 변위 증분이다.

    주어진 값들을 대입하면,

    ε = 0.03/4 - 0.2 x 50/1000 = 0.0075

    따라서, 변형계수는 0.0075이다.

    이제, 탄성계수를 구할 수 있다.

    E = σ/ε

    여기서 σ는 압력이다. 재하압력은 50 kg/cm²이므로,

    σ = 50 x 1/10 = 5 kg/mm²

    따라서,

    E = 5/0.0075 = 666.67 kg/mm²

    이제, 이 값을 kg/cm²로 변환해야 한다. 1 kg/mm²는 10000 kg/cm²이므로,

    E = 666.67 x 10000 = 6666700 kg/cm²

    따라서, 정답은 "7800 kg/cm²"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지하공간의 특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기밀성
  2. 단열성
  3. 변온성
  4. 차광성
(정답률: 43%)
  • 지하공간은 지상과는 달리 온도 변화가 적기 때문에 변온성이라는 특징이 없습니다. 따라서 "변온성"이 옳지 않은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암반이 매우 연약하여 팽윤 또는 유동하는 상태의 암반을 분류하는 데 가장 적절한 방법은?

  1. Q 분류법
  2. RMR 분류법
  3. RSR 분류법
  4. SRM 분류법
(정답률: 38%)
  • 암반이 매우 연약한 경우, 암반의 강도나 안정성을 평가하는 데에는 RMR 분류법이나 RSR 분류법 등의 방법이 적합하지 않습니다. 이 경우, 암반의 팽윤성과 유동성을 고려하여 분류하는 Q 분류법이 가장 적절합니다. Q 분류법은 암반의 팽윤성과 유동성을 고려하여 1부터 10까지의 등급을 부여하며, 이를 기반으로 암반의 안정성을 평가합니다. 따라서 Q 분류법이 매우 연약한 암반을 분류하는 데 가장 적절한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터널굴착 시 작업막장의 안정을 위한 보조공법으로 사용되지 않은 것은?

  1. 록볼트 타설
  2. 약액주입공법
  3. 웰포인트공법
  4. 포어폴링(Forepoling)
(정답률: 36%)
  • 웰포인트공법은 터널 굴착 시 작업막장의 안정을 위한 보조공법으로 사용되지 않는다. 이유는 웰포인트공법은 지반을 지지하기 위해 철근을 사용하는 방법으로, 터널 굴착 시에는 지반의 안정을 위해 사용되는 방법이 아니기 때문이다. 대신에, 로크볼트 타설, 약액주입공법, 포어폴링 등이 터널 굴착 시 작업막장의 안정을 위한 보조공법으로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다음 중 NATM터널의 막장안정에 대한 대책이 아닌 것은?

  1. 지하수위 저하
  2. 막장에 코어(core) 남기기
  3. 강관다단그라우팅 등의 보조공법
  4. 막장 숏크리트 타설 또는 막장면 록볼트
(정답률: 38%)
  • "지하수위 저하"는 NATM터널의 막장안정에 대한 대책이 아닙니다. 이는 지하수를 감소시켜 막장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아니라, 지하수위를 낮추어 지하수가 막장에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대책입니다. 이는 지하수가 막장에 침투하여 막장의 안정성을 약화시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다음 중 마찰형 주변 압입식 앵커의 시공순서로 옳은 것은?

  1. 천공 – 인장재의 가공·조립·삽입 – 양생 – 가압주입(압입) - 긴장정착 – 자유길이부분충전 - 주입
  2. 천공 – 가압주입(압입) - 양생 – 인장재의 가공·조립·삽입 – 긴장정착 – 자유길이부분충전 - 주입
  3. 천공 – 긴장정착 – 가압주입(압입) - 양생 – 인장재의 가공·조립·삽입 – 자유길이부분충전 - 주입
  4. 천공 - 인장재의 가공·조립·삽입 – 가압주입(압입) - 양생 – 긴장정착 – 자유길이부분충전 - 주입
(정답률: 39%)
  • 마찰형 주변 압입식 앵커의 시공순서는 다음과 같습니다: 천공 - 인장재의 가공·조립·삽입 – 가압주입(압입) - 양생 – 긴장정착 – 자유길이부분충전 - 주입. 이는 천공을 먼저 하고, 인장재를 가공하고 조립하고 삽입한 후, 압입을 하고 양생을 시행하며, 그 다음에 긴장정착을 하고 자유길이부분을 충전한 후에 마지막으로 주입을 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터널의 굴착형태에 따라 천반과 측벽에서 접선방향의 유도응력 크기는 달라진다. 높이 : 폭 = 2 : 1 인 타원형 공동의 측벽에 발생하는 접선응력의 크기는? (단, 크기 P의 연직응력만 작용하는 경우)

  1. 1P
  2. 2P
  3. 3P
  4. 4P
(정답률: 45%)
  • 타원형 공동의 측벽에서 발생하는 접선응력은 연직응력과 마찬가지로 높이 방향으로는 균일하게 분포한다. 따라서, 접선방향의 유도응력 크기는 폭이 높이의 반인 경우와 같으므로, 연직응력이 P일 때 접선응력은 2P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2P"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다음 그림과 같은 정단층이 발생하기 위한 응력조건에서 수평응력(σh)과 수직응력(σv)의 비(K=σh/σv)로 가장 적당한 것은?

  1. 0.5
  2. 1.0
  3. 1.5
  4. 2.0
(정답률: 39%)
  • 정답은 "0.5"이다.

    이유는 정단층이 발생하기 위해서는 수평응력(σh)이 수직응력(σv)보다 크거나 같아야 한다. 따라서 K 값이 1보다 작아야 하며, 0.5가 가장 적당한 값이다. 1보다 큰 값은 수직응력이 더 크기 때문에 정단층이 발생하지 않고, 1보다 작은 값은 수평응력이 너무 작아서 정단층이 발생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콘크리트의 건·습식 공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습식은 청소, 보수가 쉽다.
  2. 분진은 건식이 비교적 많다.
  3. 압송거리는 건식이 우수하다.
  4. 리바운드율은 습식이 비교적 작다.
(정답률: 38%)
  • 습식은 청소, 보수가 쉽다는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습식 공법은 물을 사용하기 때문에 건식 공법에 비해 청소와 보수가 어렵습니다. 또한 습식 공법은 건식 공법에 비해 건조 시간이 오래 걸리기 때문에 시공 기간이 더 길어질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