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신선로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4-04-04)

통신선로기능사
(2004-04-04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전기전자개론

1. 같은 전지 n개를 직렬로 접속하여 가장 큰 전력을 부하에 공급하려면 부하저항은 전지 1개 내부 저항의 몇배인가?

  1. n
  2. 1/n
  3. n2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n"입니다.

    전지 n개를 직렬로 접속하면 전압은 n배가 되고, 내부 저항은 그대로 유지됩니다. 따라서 부하저항을 전지 1개 내부 저항의 몇배로 설정하느냐에 따라 전력이 달라집니다.

    부하저항이 전지 1개 내부 저항의 n배라면, 전류는 1/n배가 되고, 전력은 (n/n2)배가 됩니다. 이는 1/n만큼 감소한 값이므로, 부하저항을 전지 1개 내부 저항의 n배로 설정하면 가장 큰 전력을 공급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n"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전류의 열작용을 표시하는 것은?

  1. 주울의 법칙
  2. 옴의 법칙
  3. 쿨롱의 법칙
  4. 플레밍의 법칙
(정답률: 알수없음)
  • 전류의 열작용을 표시하는 것은 "주울의 법칙"입니다. 이는 전류가 흐르는 동안 발생하는 열의 양이 전류의 강도와 전기저항, 그리고 시간에 비례한다는 법칙입니다. 즉, 전류가 강할수록 열이 발생하는 양도 많아지며, 전기저항이 크거나 전류가 흐르는 시간이 길수록 열이 발생하는 양도 많아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같은 사인파 교류에서 평균값은 실효값의 몇배가 되는가?

  1. 0.9
  2. √2
  3. 1.11
  4. 2/π
(정답률: 알수없음)
  • 같은 사인파 교류에서 평균값은 0이므로, 실효값은 최대값의 1/√2배가 된다. 따라서 평균값은 실효값의 0.9배가 된다. 이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평균값 = (최대값 + 최소값) / 2
    실효값 = 최대값 / √2
    평균값 / 실효값 = ((최대값 + 최소값) / 2) / (최대값 / √2)
    = (√2 / 2) x (최대값 + 최소값) / 최대값
    = (√2 / 2) x (1 + (최소값 / 최대값))
    최소값 / 최대값은 -1과 1 사이의 값이므로, 0.9보다 작다. 따라서 평균값은 실효값의 0.9배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R와 L의 병렬회로 합성 임피던스는?

(정답률: 75%)
  • 병렬회로에서 임피던스는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1/Z = 1/R + 1/L*jω

    여기서 R과 L은 병렬로 연결된 회로의 저항과 인덕턴스를 나타내며, j는 허수단위입니다. 이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Z = R/(1 + jωL/R)

    따라서 R과 L이 병렬로 연결된 회로의 임피던스는 R과 L의 값에 따라 달라지며, 주어진 보기 중에서는 R과 L의 값이 모두 1 옴, 1 mH로 같으므로, 임피던스는 1 옴/(1 + j*2π*1kHz*1mH/1옴)로 계산됩니다. 이를 계산하면 1 옴 - j1591 옴이 되며, 이는 보기 중에서 ""와 일치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자장의 세기 H를 표시하는 단위는?

  1. AT/m
  2. N
  3. J
(정답률: 60%)
  • 자장의 세기 H는 헨리(Henry)라는 단위로 표시됩니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AT/m"이 정답입니다. 이는 헨리의 기본 단위인 "V·s/A"를 전기장의 단위인 "V/m"으로 나눈 것입니다. 따라서 "AT/m"은 자기장의 세기를 전기장의 세기로 나눈 값으로, 자기장과 전기장이 상호작용하는 경우에 유용하게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공기중에서 자속밀도 4[Wb/m2]의 평등 자장속에 길이 5[㎝]의 직선도선을 자장의 방향과 직각으로 놓고, 여기에 5[A]의 전류를 흐르게 하면 도선이 받는 힘은 얼마가 되겠는가?

  1. 1[N/m]
  2. 1[N]
  3. 1[N⦁m]
  4. 1[N/m2]
(정답률: 알수없음)
  • 도선에 작용하는 힘은 F = BILsinθ 이다. 여기서 B는 자기장의 크기, I는 전류의 크기, L은 도선의 길이, θ은 도선과 자기장의 각도이다.

    주어진 조건에서 B = 4[Wb/m2], I = 5[A], L = 5[cm] = 0.05[m] 이다. 또한 도선은 자장의 방향과 직각으로 놓여 있으므로 θ = 90° 이다.

    따라서 F = BILsinθ = 4[Wb/m2] × 5[A] × 0.05[m] × sin90° = 1[N]

    따라서 정답은 "1[N]"이다. 이유는 도선에 작용하는 힘은 자기장의 크기, 전류의 크기, 도선의 길이, 도선과 자기장의 각도에 비례하기 때문이다. 주어진 조건에서 이 값들이 모두 1에 비례하므로 결과적으로 도선에 작용하는 힘도 1[N]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IC회로에 적합한 회로가 아닌 것은?

  1. L, C가 필요 없을것
  2. 저항값이 클것
  3. 출력이 작아도 될것
  4. 신뢰성이 중요시 될것
(정답률: 알수없음)
  • 저항값이 클 경우에는 전류가 흐르는데 필요한 전압이 높아지기 때문에, 전력 손실이 많이 발생하게 됩니다. 따라서, IC회로에 적합한 회로에서는 저항값이 작은 것이 좋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수정진동자를 발진회로에 사용하는 중요한 이유가 아닌 것은?

  1. 발진주파수의 변화가 적다.
  2. 발진파형에 일그러짐이 적다.
  3. 발진주파수의 안정도가 높다.
  4. 주위 온도에 강하다.
(정답률: 34%)
  • 수정진동자는 주위 온도에 강하지 않습니다. 이는 수정의 온도계수가 작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주위 온도의 변화에 따른 발진주파수의 변화가 크게 일어나지 않으며, 안정성이 높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신호주파수 fs 10[㎑], 최대 주파수편이 ㅿfC 60[㎑]로 하여 80[㎑]의 반송파 fC 로 주파수 변조(FM)한 경우 주파수 대역폭 B는?

  1. 60[㎑]
  2. 70[㎑]
  3. 100[㎑]
  4. 140[㎑]
(정답률: 알수없음)
  • 주파수 변조에서 주파수 대역폭 B는 최대 주파수편이 ㅿfC에 비례합니다. 따라서 B = 2 x ㅿfC = 2 x 60[㎑] = 120[㎑] 이지만, 주파수 변조에서는 양쪽으로 대역폭의 절반씩 확장되므로, 실제 주파수 대역폭은 120[㎑] x 2 = 240[㎑] 입니다.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최대 주파수편이 ㅿfC인 경우를 고려하므로, 주파수 대역폭은 2 x ㅿfC = 2 x 60[㎑] = 120[㎑]이 됩니다. 따라서, 주어진 보기 중에서 주파수 대역폭이 120[㎑]인 것은 "60[㎑]"과 "70[㎑]" 뿐이며, 주파수 대역폭이 140[㎑]인 것은 "100[㎑]"과 "140[㎑]" 뿐입니다. 하지만, 주파수 대역폭은 최대 주파수편이 ㅿfC인 경우를 고려해야 하므로, 정답은 "140[㎑]"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최대주파수편이(ΔfC)가 80[㎑], 변조신호주파수(fs)가 7.5[㎑] 이면 변조 지수는 얼마인가?

  1. 7.5
  2. 9.5
  3. 10.7
  4. 50
(정답률: 알수없음)
  • 변조 지수는 ΔfC/fs로 계산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ΔfC/fs = 80/7.5 = 10.7 이므로 변조 지수는 10.7입니다. 이는 주어진 보기 중에서 유일하게 계산 결과와 일치하는 값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정전용량이 같은 콘덴서 3개를 직렬로 했을때 합성정전용량은 병렬로 연결했을 때의 몇배인가?

  1. 9
  2. 3
  3. 1/32
  4. 1/3
(정답률: 25%)
  • 직렬 연결된 콘덴서의 합성정전용량은 각 콘덴서의 정전용량의 역수의 합으로 구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3개의 콘덴서를 직렬로 연결하면 합성정전용량은 1/정전용량의 합이 됩니다.

    반면, 병렬 연결된 콘덴서의 합성정전용량은 각 콘덴서의 정전용량의 합과 같습니다. 따라서 3개의 콘덴서를 병렬로 연결하면 합성정전용량은 정전용량의 합이 됩니다.

    따라서, 직렬 연결한 경우 합성정전용량은 1/3배가 되고, 병렬 연결한 경우 합성정전용량은 3배가 됩니다.

    따라서, 직렬 연결한 경우 합성정전용량을 병렬 연결한 경우 합성정전용량으로 나누면 1/32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부궤환 증폭의 특성중 틀린 것은?

  1. 주파수 특성이 좋아진다.
  2. 증폭도의 내부잡음이 감소한다.
  3. 부궤환량이 어느 정도 이상 증가하면 발진현상이 일어난다.
  4. 증폭도가 감소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부궤환 증폭의 특성 중 틀린 것은 "증폭도가 감소한다."입니다.

    부궤환 증폭기는 입력신호를 일정한 크기로 증폭시키는데, 이때 부궤환량이 적절하게 설정되면 증폭도의 내부잡음이 감소하고 주파수 특성이 좋아지게 됩니다. 하지만 부궤환량이 어느 정도 이상 증가하면 발진현상이 일어나게 됩니다. 발진현상은 증폭기의 출력이 입력신호와는 다른 주파수를 가진 신호를 생성해내는 현상으로, 이는 증폭기의 동작을 불안정하게 만들어 증폭도가 감소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교류입력신호가 0.2V에서 2V로 증폭되었을 때 증폭도는?

  1. 10㏈
  2. 20㏈
  3. 30㏈
  4. 40㏈
(정답률: 알수없음)
  • 증폭도는 출력신호와 입력신호의 비율로 나타낸 값입니다. 따라서 증폭도는 출력신호의 크기를 입력신호의 크기로 나눈 값입니다. 이 문제에서는 입력신호가 0.2V에서 2V로 증폭되었으므로, 출력신호는 2V입니다. 따라서 증폭도는 2V / 0.2V = 10입니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증폭도가 20㏈으로 주어졌으므로, 이는 10을 로그함수로 변환한 값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2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다음 파형의 이름으로 적당한 것은?

  1. 톱니파
  2. 펄스파
  3. 계단파
  4. 정현파
(정답률: 73%)
  • 이 파형은 주기적으로 급격한 상승과 하강을 반복하는 모양새를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모양이 톱니와 비슷하다고 해서 "톱니파"라고 부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전기 회로의 회로 해석에서 테브냉의 등가 회로와 관계가 있는 것은?

  1. 전류원과 내부 저항의 병렬 회로로 변환
  2. 전류원과 내부 저항의 직렬 회로로 변환
  3. 전압원과 내부 저항의 병렬 회로로 변환
  4. 전압원과 내부 저항의 직렬 회로로 변환
(정답률: 알수없음)
  • 테브냉은 전압원과 내부 저항으로 이루어진 회로이며, 이를 등가 회로로 변환하면 전압원과 내부 저항이 직렬로 연결된 회로가 된다. 이는 회로 해석을 간편하게 하기 위한 방법 중 하나로, 전압원과 내부 저항을 하나의 등가 전압원으로 대체하여 회로 해석을 용이하게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전자계산기일반

16. Computer에서의 세대라는 말은 제작년대가 아닌 변화된 Computer의 주구성 요소가 분류의 기준이 된다. 이러한 Computer의 주구성 요소가 발달한 순서대로 정리된 항을 고르시오.

  1. Transistor - 진공관 - 집적회로
  2. 집적회로 - 진공관 - Transistor
  3. 진공관 - Transistor - 집적회로
  4. 진공관 - 집적회로 - Transistor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진공관 - Transistor - 집적회로"입니다.

    진공관은 초기 컴퓨터에서 사용되었던 주요한 전자 부품 중 하나였습니다. 그러나 진공관은 크기가 크고 발열이 심하며, 많은 전력을 소비하는 등의 단점이 있었습니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개발된 것이 Transistor입니다. Transistor는 진공관보다 작고 경제적이며, 더 적은 전력을 소비합니다. 이로 인해 Transistor는 진공관을 대체하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Transistor의 발전으로 인해 집적회로가 개발되었습니다. 집적회로는 수천 개의 Transistor를 작은 실리콘 칩에 집적시켜서 만든 것으로, 더 작고 경제적이며 더 높은 성능을 제공합니다.

    따라서, 진공관 - Transistor - 집적회로 순으로 Computer의 주요한 전자 부품이 발전해왔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중앙처리장치(CPU)의 운영 프로그램이 위치하고 있는 기억장치는?

  1. 연산 장치
  2. 주기억 장치
  3. 제어 장치
  4. 보조기억 장치
(정답률: 알수없음)
  • CPU가 실행하는 운영 프로그램은 주기억 장치에 위치해야 합니다. 이는 CPU가 데이터를 빠르게 접근하고 처리하기 위해서입니다. 주기억 장치는 RAM(Random Access Memory)으로, CPU가 필요한 데이터를 빠르게 읽고 쓸 수 있습니다. 반면에 보조기억 장치는 하드 디스크, USB 등으로, 데이터 접근 속도가 느리기 때문에 CPU가 직접 접근하지 않고 필요할 때마다 주기억 장치로 옮겨서 사용합니다. 따라서 CPU가 실행하는 운영 프로그램은 주기억 장치에 위치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중앙처리장치의 기억장소에 대한 설명중 틀린 것은?

  1. 각 기억장소에는 어드레스가 할당된다.
  2. 1Byte는 보통 8Bit로 되어있다.
  3. 기억소자는 1또는 0을 기억시킨다.
  4. 1Bit는 1문자를 나타낸다.
(정답률: 알수없음)
  • 1Bit는 1문자를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 1Bit는 2진수에서 0 또는 1을 나타내는 최소 단위이기 때문입니다. 1Byte는 8Bit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문자나 숫자 등을 표현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연산 장치의 더하기 논리 기능을 나타내는 논리회로는?

  1. AND
  2. OR
  3. NOR
  4. NOT
(정답률: 알수없음)
  • 더하기 연산은 입력된 두 비트 중 하나 이상이 1일 때 결과가 1이 되는 논리 연산입니다. 이러한 조건은 OR 게이트로 구현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연산 장치의 더하기 논리 기능을 나타내는 논리회로는 OR 게이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10진수 3327을 16진수로 바꾸면?

  1. BF5
  2. 15F
  3. BFE
  4. CFF
(정답률: 37%)
  • 10진수 3327을 16진수로 바꾸면 CFF가 됩니다. 이는 16진수에서 15는 F로 표기되기 때문입니다. 3327을 16진수로 변환하면 0xCFF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1. 자기테이프에서의 기록밀도를 나타내는 것은?

  1. Second per inch
  2. Block per second
  3. Bits per inch
  4. Bits per second
(정답률: 알수없음)
  • 자기테이프에서의 기록밀도는 비트 당 인치로 나타냅니다. 이는 테이프의 길이에 비례하여 기록 가능한 비트 수를 나타내므로, 더 높은 기록밀도는 더 많은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게 됩니다. 따라서 "Bits per inch"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다음 중 누산기(Accumulator), 가산기(adder)와 관계 깊은 장치는?

  1. 연산 장치(Arithmetic unit)
  2. 제어 장치(Control unit)
  3. 기억 장치(Storage unit)
  4. 출력 장치(Output unit)
(정답률: 알수없음)
  • 누산기와 가산기는 모두 연산 장치의 일부분으로, 연산 장치는 이러한 산술 연산을 수행하는 핵심 장치입니다. 따라서 누산기와 가산기는 연산 장치와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다음 중 컴퓨터를 교육의 도구로 활용하는 시스템은 무엇인가?

  1. CAI(Computer Assisted Instruction)
  2. CAM(Computer Aided Manufacturing)
  3. FMS(Flexible Manufacturing System)
  4. CAD(Computer Aided Design)
(정답률: 알수없음)
  • CAI는 컴퓨터를 교육의 도구로 활용하는 시스템으로, 학습자의 학습 수준에 맞춰 자동으로 학습 내용을 제공하고 평가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CAM은 제조 공정에서 컴퓨터를 활용하는 시스템, FMS는 제조 공정을 자동화하는 시스템, CAD는 제품 설계를 위해 컴퓨터를 활용하는 시스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다음 중에서 원시 프로그램을 기계어로 번역해주는 것은 어느 것인가?

  1. 컴파일러 프로그램
  2. C-언어
  3. 목적프로그램
  4. 운영체제(Operation System)
(정답률: 알수없음)
  • 컴파일러 프로그램은 원시 프로그램을 기계어로 번역해주는 프로그램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원시 프로그램을 번역하는 역할을 하지 않습니다. C-언어는 프로그래밍 언어이며, 목적프로그램은 컴파일러에 의해 생성된 기계어 코드를 포함한 실행 파일입니다. 운영체제는 컴퓨터 시스템의 자원을 관리하고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소프트웨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프로그램 설계를 위하여 순서도를 사용할 경우에 마름모 기호와 타원형 기호가 의미하는 것은?

  1. 처리와 서브루틴
  2. 서브루틴과 판단
  3. 판단과 프로시저의 시작(또는 끝)
  4. 프로시저의 시작(또는 끝)과 보조설명
(정답률: 70%)
  • 마름모 기호는 프로그램에서 판단을 나타내며, 타원형 기호는 프로시저(서브루틴)를 나타냅니다. 따라서, 이 순서도에서 마름모 기호는 판단을, 타원형 기호는 프로시저(서브루틴)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그리고 이 순서도에서 마름모 기호는 "판단과 프로시저의 시작(또는 끝)"을 의미합니다. 이유는 마름모 기호가 프로그램에서 판단을 나타내기 때문에, 판단의 결과에 따라 프로시저(서브루틴)가 시작되거나 끝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판단과 프로시저의 시작(또는 끝)"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전송선로의 특성 임피던스와 부하저항이 같으면 부하에서의 반사계수는 얼마인가?

  1. 0
  2. 0.5
  3. 1
  4. 100
(정답률: 알수없음)
  • 부하저항과 전송선로의 특성 임피던스가 같으면 전기적으로 매칭되어 전기 신호가 완전히 전달되므로 반사계수는 0이 됩니다. 즉, 전기 신호가 부하에서 전송선로로 완전히 전달되어 반사되지 않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케이블연관 연공작업시 파라핀(paraffin)의 사용 목적은?

  1. 토오치의 램프를 가열시키기 위함
  2. 납땜 부분을 식히며, 방수의 효과를 위함
  3. 지관이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시키기 위함
  4. 납땜할 부분을 가열시키기 위함
(정답률: 알수없음)
  • 파라핀은 납땜 작업 후 땜난 부분을 식혀 방수 효과를 주기 위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Cable 심선절연의 누설량 경감법으로 맞지 않는 것은?

  1. 도체간격을 넓힌다.
  2. 절연물을 건조시킨다.
  3. 누설면적을 감소시킨다.
  4. 절연저항을 적게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절연저항을 적게하는 것은 올바른 방법이 아닙니다. 절연저항이 적으면 전기가 누설되어 안전에 위험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올바른 답은 "절연저항을 적게한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CCP 케이블에 대한 다음 설명 중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심선의 사용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만들어진 케이블이다.
  2. 케이블 심선의 절연체는 착색한 PE로 되어있다.
  3. 케이블의 차폐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특수 처리된 케이블이다.
  4. 심선의 식별을 용이하게 하고 대조노력을 경감하는 효과가 있는 케이블이다.
(정답률: 34%)
  • "심선의 사용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만들어진 케이블이다."는 CCP 케이블에 대한 설명이 아니며, "케이블 심선의 절연체는 착색한 PE로 되어있다."와 "심선의 식별을 용이하게 하고 대조노력을 경감하는 효과가 있는 케이블이다."는 CCP 케이블에 대한 설명이지만, "케이블의 차폐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특수 처리된 케이블이다."가 가장 거리가 먼 설명입니다. 이유는 다른 설명들은 CCP 케이블의 특징을 설명하고 있는 반면, "케이블의 차폐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특수 처리된 케이블이다."는 CCP 케이블의 주요 기능 중 하나를 강조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멀티미디어 서비스의 수용을 위하여 16[MHz] 이상의 전송대역을 가지는 구내케이블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폼스킨(FS)케이블
  2. 피브이씨(PVC)케이블
  3. 시시피(CCP)케이블
  4. 유티피(UTP)케이블
(정답률: 55%)
  • 유티피(UTP)케이블은 16MHz 이상의 전송대역을 가지며, 멀티미디어 서비스에 적합한 구내케이블입니다. 이는 UTP케이블이 미세한 신호의 간섭을 최소화하고, 높은 대역폭을 제공하기 때문입니다. 또한, UTP케이블은 비용이 저렴하고 설치가 쉬우며, 일반적으로 네트워크 구성에 많이 사용되는 케이블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통신선로일반

31. 기간통신역무 중 전화역무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시내전화역무
  2. 구내전화역무
  3. 시외전화역무
  4. 국제전화역무
(정답률: 37%)
  • 기간통신역무는 시내전화역무, 시외전화역무, 국제전화역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구내전화역무는 기간통신역무의 종류가 아닙니다. 구내전화역무는 특정 기관이나 회사, 학교 등의 내부에서 사용되는 전화 시스템을 말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전화국 수가 30개인 복국지에서 국간 상호간의 중계선을 망형으로 결선한다면 중계선 수는?

  1. 140
  2. 235
  3. 340
  4. 435
(정답률: 알수없음)
  • 복국지에서 전화국 수가 30개이므로, 각 전화국은 다른 29개의 전화국과 연결될 수 있습니다. 이를 조합하면 총 중계선 수는 다음과 같습니다.

    30C2 + 30C2 + ... + 30C2 (29번)

    이를 계산하면 435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광섬유 통신케이블의 장점이 아닌 것은?

  1. 전기적 유도 방해가 적다.
  2. 선로 잡음 제거가 용이하다.
  3. 다중통신이 가능하다.
  4. 중계기(Repeater)가 거의 필요 없다.
(정답률: 알수없음)
  • 광섬유 통신케이블은 전기적 신호가 아닌 광신호를 이용하기 때문에 전기적 유도 방해가 적다는 것이 장점이다. 하지만 선로 잡음 제거가 용이하다는 것은 장점이 아니라 단점이다. 광섬유 통신케이블은 선로 잡음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선로 잡음 제거가 필요하지 않다. 따라서, "선로 잡음 제거가 용이하다."는 광섬유 통신케이블의 장점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전화 케이블에 장하를 해서 사용하는데 이 장하를 하는 이유는?

  1. 케이블을 보호하기 위하여
  2. 케이블을 교차시키기 위하여
  3. 케이블의 누화를 방지하기 위하여
  4. 케이블의 전송손실을 보상하기 위하여
(정답률: 알수없음)
  • 전화 케이블은 길이가 길어지면 전송손실이 발생합니다. 이를 보상하기 위해 케이블에 장하를 해서 전송손실을 보상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폼스킨(F/S) 케이블에 주입되는 쩨리(Jelly)의 구비조건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방습성이 있어야 한다.
  2. 접착력이 대단히 커야 한다.
  3. 유전손실이 낮아야 한다.
  4. 전기적으로 체적저항이 커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폼스킨(F/S) 케이블에 주입되는 쩨리(Jelly)는 케이블 내부의 수분 및 불순물로부터 보호하고 전기적으로 안정된 신호 전달을 위해 사용됩니다. 따라서 방습성이 있어야 하며, 유전손실이 낮아야 합니다. 그러나 가장 거리가 먼 것은 전기적으로 체적저항이 커야 한다는 것입니다. 이는 케이블 내부의 전기적인 저항을 최소화하여 신호 전달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함입니다. 반면, 접착력이 대단히 커야 하는 이유는 쩨리가 케이블 내부에 고르게 분포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케이블 내부 벽면에 잘 부착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접착력이 대단히 커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다음 장비의 용도 중 틀린 것은?

  1. 랏싱기는 가공 케이블 가설시에 사용된다.
  2. 랫핑기는 짬버선 배선시에 사용된다.
  3. 선통기는 가공케이블 접속시에 사용된다.
  4. 장선기는 강연선 가설시에 사용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선통기는 가공케이블 접속시에 사용되는 것이 아니라, 전선을 교차하거나 연결할 때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동시에 고장 발생된 케이블중 제일 먼저 수리해야할 케이블은?

  1. 가입자 케이블
  2. 피이더 케이블
  3. 예비 케이블
  4. 국간중계 케이블
(정답률: 84%)
  • 국간중계 케이블은 다른 케이블들의 연결을 중계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이 케이블이 고장나면 다른 모든 케이블들의 연결이 끊어지게 됩니다. 따라서 국간중계 케이블이 가장 먼저 수리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다음은 열수축관의 약호이다. 여기에서 "1"은 무엇을 나타내는가?

  1. 밸브 부착품
  2. 심선접속부의 길이
  3. 케이블의 최소외경
  4. 열수축관의 종류
(정답률: 40%)
  • "1"은 밸브 부착품을 나타낸다. 이는 열수축관의 부속품 중 하나로, 열수축관과 다른 파이프나 장치를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보기에서 "밸브 부착품"이 정답인 것이다. 다른 보기들은 열수축관과 관련된 다른 속성들을 나타내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CATV 등에 이용되는 동축 케이블의 설명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고주파 누화 특성이 양호하다.
  2. 평형형 선로에 비해 전송손실이 적다.
  3. 외부도체의 내전압이 매우 낮다.
  4. 중심도체의 도체저항이 매우 적다.
(정답률: 22%)
  • "외부도체의 내전압이 매우 낮다."는 동축 케이블의 설명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입니다. 이는 외부로부터의 전자기 잡음이나 간섭이 동축 케이블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동축 케이블의 외부에는 차폐재가 적용되어 있으며, 이 차폐재가 외부로부터의 전자기 잡음이나 간섭을 차단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외부도체의 내전압이 매우 낮다는 설명은 옳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페란티(ferranti) 현상이란?

  1. 수신단의 신호전압 절대값이 송신단의 신호전압 절대값보다 크게 되는 현상
  2. 서로 성질이 다른 두 금속을 접합하면 열기전력을 발생하는 현상
  3. 송신단의 신호전류는 송신단의 신호전류값의 평방근에 반비례한다.
  4. 환상 소레노이드 중앙에 발생하는 역기전력에 관한 현상
(정답률: 10%)
  • 페란티 현상은 서로 다른 두 개의 전기 회로가 접합되어 있을 때, 수신단의 신호전압 절대값이 송신단의 신호전압 절대값보다 크게 되는 현상입니다. 이는 접합 부분에서 발생하는 열기전력에 의해 발생하며, 이 현상은 전자기학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1. 고층건물의 옥내배선에 주로 사용되는 배관은?

  1. 도관
  2. 석면 시멘트관
  3. 경질 PVC관
  4. 콘크리트관
(정답률: 알수없음)
  • 고층건물의 옥내배선에는 경질 PVC관이 주로 사용됩니다. 이는 경질 PVC관이 가볍고 강하며 내식성이 뛰어나기 때문입니다. 또한 경질 PVC관은 가격이 저렴하고 설치가 쉬워서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다음 선로정수 중 2차정수는 어느 것인가?

  1. 저항
  2. 감쇄량
  3. 정전용량
  4. 인덕턴스
(정답률: 알수없음)
  • 2차정수는 감쇄량입니다. 이는 RLC 회로에서 고유진동수와 감쇄비에 의해 결정되는데, 감쇄비가 1보다 작으면 고유진동수에 대한 감쇄가 작아져서 2차정수가 됩니다. 따라서 감쇄량이 2차정수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특성 임피던스가 동일한 두회선 사이의 누화전류를 측정하였던바 통화전류 20[㎃]에 대해 누화전류는 0.2[㎃]이었다. 이 두회선 사이의 누화량은?

  1. 10[㏈]
  2. 20[㏈]
  3. 30[㏈]
  4. 40[㏈]
(정답률: 알수없음)
  • 누화전류는 전류가 흐르는 회선에서 발생하는 저항으로 인한 전압강하에 의해 발생합니다. 따라서 누화전류는 회선의 특성 임피던스와 회선을 통과하는 전류에 비례합니다. 이 문제에서는 특성 임피던스가 동일한 두 회선에서 통화전류 20[㎃]에 대해 누화전류가 0.2[㎃]이므로, 누화전류와 통화전류의 비율은 0.01입니다. 이 비율은 누화량과 특성 임피던스의 곱과 같으므로, 누화량은 20[㏈] × 0.01 = 0.2[㏈]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4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광섬유 케이블의 중심지지선 또는 폴리에틸렌 외피에 있는 철선(Steel wire)의 용도는 무엇인가?

  1. 포설용 인장선
  2. 전화국간 연락선
  3. 케이블의 경보선
  4. 중계용 급전선
(정답률: 80%)
  • 광섬유 케이블은 매우 얇고 부드러운 소재로 만들어져 있기 때문에 설치 시에 늘어나거나 굽히는 등의 변형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광섬유 케이블의 중심지지선 또는 폴리에틸렌 외피에는 철선이 사용됩니다. 이 철선은 포설용 인장선으로 사용되며, 케이블을 설치할 때 인장력을 가해 케이블을 늘어나거나 굽히는 변형을 최소화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포설용 인장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다음 중 전력유도와 관계가 없는 사항은?

  1. 송전선
  2. 고성능건전지
  3. 전기철도
  4. 전자계
(정답률: 80%)
  • 고성능건전지는 전력유도와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기술입니다. 전력유도는 전기를 전송하는 기술이며, 송전선, 전기철도, 전자계 등이 이에 해당합니다. 하지만 고성능건전지는 전기를 저장하고 공급하는 기술로, 전력유도와는 다른 분야에 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선로설비기준

46. 전기통신역무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전기통신설비에 사용하는 장치, 기기, 부품, 선조 등을 말한다.
  2. 전기통신사업에 제공하기 위한 전기통신 인력을 말한다.
  3. 전기통신설비를 이용하여 타인의 통신을 매개하거나 전기통신설비를 타인의 통신용으로 제공하는 것을 말한다.
  4. 전기통신설비를 대여하거나 제공하는 사업을 말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전기통신역무는 전기통신설비를 이용하여 타인의 통신을 매개하거나 전기통신설비를 타인의 통신용으로 제공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는 다른 사람들이 통신을 할 수 있도록 전기통신설비를 제공하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다음 중 전기통신사업자는?

  1. 대통령
  2. 정보통신부장관
  3. 한국통신
  4. 정보통신공사업자
(정답률: 9%)
  • 한국통신은 정보통신공사업자 중 하나로, 전기통신사업자로서 통신서비스를 제공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대통령과 정보통신부장관은 해당 업무와 직접적인 연관이 있지만, 전기통신사업자는 서비스 제공자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선로설비의 기기 오동작 유도종전압의 제한치는?

  1. 25[V]
  2. 20[V]
  3. 15[V]
  4. 10[V]
(정답률: 30%)
  • 선로설비의 기기 오동작을 방지하기 위해 유도종전압의 제한치는 15[V]로 설정됩니다. 이는 전력선로에서 발생하는 노이즈나 고장 등으로 인해 발생하는 유도전압이 일정 수준 이상이 되면 기기의 오동작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를 제한하기 위해 15[V]로 설정되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선로설비의 회선당 평가잡음전압은 다른 전기통신설비를 접속하지 않은 상태에서 얼마이어야 하는가?

  1. 1[mV]이하
  2. 5[mV]이하
  3. 100[mV]이하
  4. 1[V]이하
(정답률: 알수없음)
  • 선로설비의 회선당 평가잡음전압은 다른 전기통신설비를 접속하지 않은 상태에서 1[mV] 이하이어야 합니다. 이는 전기통신설비와의 간섭을 최소화하기 위한 기준값으로, 이 값을 초과하면 다른 전기통신설비와의 간섭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 값을 준수하여 안정적인 통신환경을 유지할 필요가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전기도체 등으로 300[V] 이상을 전력을 송전하거나 배전하는 전선을 전기통신설비의 기술기준에서 무엇이라고 하는가?

  1. 약전류전선
  2. 중전류전선
  3. 강전류전선
  4. 초전류전선
(정답률: 60%)
  • 300V 이상의 전력을 송전하거나 배전하는 전선을 강전류전선이라고 합니다. 이는 전류의 세기가 강하고, 전압이 높기 때문에 전선의 굵기와 절연체의 두께 등이 중요하며, 안전성을 위해 전기기술자의 전문적인 설치와 유지보수가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한국통신에서 발주하는 광섬유케이블의 포설공사를 수급할 수 있는 공사업자는?

  1. 기간통신공사업자
  2. 별종광통신공사업자
  3. 정보통신공사업자
  4. 별종통신선로공사업자
(정답률: 59%)
  • 한국통신은 정보통신사업자이기 때문에, 광섬유케이블의 포설공사를 수급할 수 있는 공사업자는 정보통신공사업자입니다. 다른 선로공사업자들은 해당 업무를 수행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다음 중 절대 데시벨에 관한 가장 적합한 설명은?

  1. 하나의 전력을 1[mW]에 대한 대수비를 표시한 것을 말하며 그 단위는 [dBm]으로 한다.
  2. 전송계를 600[Ω]계로 하고 그 전송계를 주파수 800[Hz]에서 측정한 때의 동작감쇠량을 말하며 그 단위는 [dBm]으로 한다.
  3. 가입자 전화기 단자로부터 가입자 선로를 통하여 전화교환국 주배선반까지의 동작감쇠량을 말하며 그 단위는 [dB]로 한다.
  4. 전화기의 송화당량, 가입자의 선로손실, 전류공급손, 발신국의 국내손실의 1/2을 모두 합한 것을 말하며 그 단위는 [dB]로 한다.
(정답률: 20%)
  • "하나의 전력을 1[mW]에 대한 대수비를 표시한 것을 말하며 그 단위는 [dBm]으로 한다."가 가장 적합한 설명이다. 이는 전력을 dB로 표시할 때, 기준이 되는 전력이 1[mW]인 경우를 의미한다. dBm은 dB로 표시된 전력값에 1[mW]를 의미하는 0[dB]을 더한 값으로, 전력의 크기를 쉽게 비교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10[dBm]은 1[mW]의 전력보다 10배 큰 10[mW]의 전력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건전한 정보문화를 창달하고 전기통신의 올바른 이용환경을 조성하기 위하여 설립한 기구는?

  1. 한국정보문화센타
  2. 정보통신정책심의회
  3. 통신위원회
  4. 정보통신윤리위원회
(정답률: 알수없음)
  • 정보통신윤리위원회는 전기통신의 올바른 이용환경을 조성하고 건전한 정보문화를 창달하기 위해 설립된 기구입니다. 따라서 이 답이 가장 적절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전기통신설비의 기술기준에서 정의하는 저주파수는?

  1. 300[Hz] 미만의 주파수를 말한다.
  2. 300[Hz] 이상 3400[Hz] 이하의 주파수를 말한다.
  3. 3400[Hz] 이상 5000[Hz] 이하의 주파수를 말한다.
  4. 5000[Hz] 이상의 주파수를 말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전기통신설비에서 사용되는 저주파수는 주로 음성 통화나 데이터 전송 등에 사용되는 주파수 범위이며, 이는 대부분 300[Hz] 이상 3400[Hz] 이하의 범위에 해당합니다. 따라서 300[Hz] 미만의 주파수를 저주파수라고 정의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다음 구내통신선로 설비에 있어 선로의 상호간, 대지간 등에 절연저항의 규정치는?

  1. 직류 500[V]의 절연저항계로 측정하여 10[㏁] 이상이어야 한다.
  2. 교류 500[V]의 절연저항계로 측정하여 10[㏁] 이하이어야 한다.
  3. 교류 250[V]의 절연저항계로 측정하여 10[㏁] 이상이어야 한다.
  4. 직류 250[V]의 절연저항계로 측정하여 10[㏁] 이하이어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선로의 상호간, 대지간 등에 절연저항의 규정치는 "직류 500[V]의 절연저항계로 측정하여 10[㏁] 이상이어야 한다." 입니다. 이유는 직류 500[V]는 교류 250[V]보다 더 높은 전압이기 때문에 더 강한 전기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더 높은 절연저항이 필요합니다. 또한 10[㏁] 이상이어야 하는 이유는 저항이 낮을수록 전류가 더 많이 흐르기 때문에 안전성이 떨어지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다음 중 미리 정보통신부 장관에게 신고한 후 설치 또는 변경하여야 할 중요한 전기통신설비가 아닌 것은?

  1. 해저 광케이블
  2. 위성통신지구국 송수신장치
  3. 국제관문국 교환기
  4. 구내통신설비
(정답률: 알수없음)
  • 구내통신설비는 건물 내부나 사무실 등의 작은 범위에서 사용되는 통신설비로, 미리 정보통신부 장관에게 신고하거나 설치 변경 신고를 하지 않아도 된다. 따라서 구내통신설비가 정답이다. 해저 광케이블, 위성통신지구국 송수신장치, 국제관문국 교환기는 모두 국가적인 규모와 중요도를 가진 전기통신설비로, 미리 정보통신부 장관에게 신고하고 설치 변경 신고를 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정보통신공사업의 등록기준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공사용 기기
  2. 기술능력
  3. 자본금
  4. 기타 필요한 사항
(정답률: 70%)
  • 정보통신공사업의 등록기준에는 기술능력, 자본금, 기타 필요한 사항 등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하지만 "공사용 기기"는 등록기준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이는 공사용 기기는 단순히 공사를 수행하는 데 필요한 도구로서, 기술능력, 자본금 등과는 별개의 요소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공사용 기기는 등록기준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감리원의 자격요건중 인정기술자인 경력자는 공사업무를 몇 년 이상 수행하여야 중급감리원의 자격에 해당하는가?

  1. 3년
  2. 5년
  3. 10년
  4. 20년
(정답률: 알수없음)
  • 인정기술자인 경력자가 중급감리원의 자격에 해당하려면 공사업무를 20년 이상 수행하여야 합니다. 이는 감리원의 역할이 공사의 전반적인 관리와 감독을 담당하기 때문에 충분한 경력과 노하우가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TMN(중앙집중 운용 보전망)의 5개 기능 분야가 아닌 것은?

  1. 성능 관리 분야
  2. 장애 관리 분야
  3. 구성 관리 분야
  4. 설비 관리 분야
(정답률: 40%)
  • TMN의 5개 기능 분야는 성능 관리 분야, 장애 관리 분야, 구성 관리 분야, 보안 관리 분야, 계정 관리 분야입니다. 설비 관리 분야는 TMN의 기능 분야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이는 TMN이 네트워크의 성능, 장애, 구성, 보안, 계정을 관리하는데 초점을 맞추고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설비 관리는 TMN의 범위를 벗어나는 분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통신센터 및 전산실의 환경조건 중에서 가장 적합한 온도의 허용한계는?

  1. 5℃ ∼ 10℃
  2. 10℃ ∼ 20℃
  3. 16℃ ∼ 28℃
  4. 20℃ ∼ 32℃
(정답률: 30%)
  • 통신센터 및 전산실은 컴퓨터와 같은 전자기기가 사용되는 공간으로, 온도가 너무 높거나 낮으면 전자기기의 작동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공간에서는 일정한 온도를 유지해야 합니다.

    그 중에서도 16℃ ∼ 28℃이 가장 적합한 온도의 허용한계입니다. 이유는 5℃ ∼ 10℃은 너무 낮아서 작동에 영향을 미칠 수 있고, 10℃ ∼ 20℃은 낮은 온도 범위에 속하지만 너무 낮은 온도일 경우 전자기기의 작동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또한 20℃ ∼ 32℃은 너무 높은 온도 범위에 속하며, 높은 온도일 경우 전자기기의 작동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따라서 16℃ ∼ 28℃이 가장 적합한 온도 범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