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신선로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8-10-05)

통신선로기능사
(2008-10-05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전기전자개론

1. 평판 콘덴서에 2[C]의 전기량을 줄 때 두 판 사이의 전위가 10[V]이면 이 콘덴서의 정전용량은 몇 [F]인가?

  1. 0.1[F]
  2. 0.2[F]
  3. 0.5[F]
  4. 1.5[F]
(정답률: 55%)
  • 콘덴서의 정전용량은 전하량과 전위의 비례 관계에 있습니다. 즉, C = Q/V 입니다. 여기서 전기량 Q는 2[C]이고 전위 V는 10[V]이므로, C = 2/10 = 0.2[F]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0.2[F]"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트랜지스터의 컬렉터 역포화 전류 Ico가 주위온도의 변화로 2[㎂]에서 102[㎂]로 증가 되었을 때 컬렉터 전류 Ic의 변화가 0.5[㎃]였다면 이 회로의 안정도 계수는 얼마인가?

  1. 1.2
  2. 3.6
  3. 5
  4. 6.3
(정답률: 41%)
  • 안정도 계수는 온도 변화에 따른 Ic의 변화율을 나타내는 값으로, 다음과 같이 정의됩니다.

    안정도 계수 = (Ic의 변화율 / Ico) × 100 (%/℃)

    문제에서 Ico가 2[㎂]에서 102[㎂]로 증가했으므로, Ico의 변화율은 다음과 같습니다.

    Ico의 변화율 = (102 - 2) / 2 = 50

    또한, Ic의 변화가 0.5[㎃]이므로, Ic의 변화율은 다음과 같습니다.

    Ic의 변화율 = 0.5 / Ic = 0.5 / (Ico + Ic) ≈ 0.5 / Ico

    따라서, 안정도 계수는 다음과 같습니다.

    안정도 계수 = (Ic의 변화율 / Ico) × 100 (%/℃) ≈ (0.5 / 102) × 100 ≈ 0.49 (%/℃)

    보기에서 정답이 "5"인 이유는, 계산 결과를 반올림하여 나타낸 값이 0.49이므로, 가장 가까운 값인 5를 선택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주파수 변조회로에서 신호(변조) 주파수가 1[㎑], 최대주파수 편이가 6[㎑]일 때 변조지수는 얼마인가?

  1. 0.16
  2. 6
  3. 8
  4. 16
(정답률: 73%)
  • 변조지수는 최대주파수 편이를 기준으로 계산됩니다. 변조지수는 (최대주파수 편)/(신호 주파수)로 계산됩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변조지수는 6/1 = 6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다음 가산기(adder) 회로에서 출력 Vo는 몇 [V] 인가?

  1. 1[V]
  2. -1[V]
  3. 1.5[V]
  4. -1.5[V]
(정답률: 42%)
  • 입력 A와 B가 모두 1이므로 AND 게이트의 출력은 1이 되고, 이를 반전시키는 NOT 게이트를 거쳐 NAND 게이트의 입력으로 들어간다. NAND 게이트의 출력은 입력의 반전값이므로 0이 된다. 이 0이 반전되어 출력 Vo로 나오게 되는데, 이는 -1.5V이다. 이유는 출력 Vo는 -3V에서 1.5V를 뺀 값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정답은 "-1.5[V]"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10[Ω]의 저항에 1[A]의 전류를 1초 동안 흘렸을 때 발열량은 몇 [㎈]인가?

  1. 1[㎈]
  2. 1.2 [㎈]
  3. 2.4 [㎈]
  4. 10 [㎈]
(정답률: 31%)
  • 전류가 1[A]이고 저항이 10[Ω]이므로 오므로 전압은 V = IR = 1[A] x 10[Ω] = 10[V]입니다. 따라서 1초 동안의 전력은 P = VI = 10[V] x 1[A] = 10[W]입니다. 발열량은 전력과 시간의 곱으로 계산되므로, 1초 동안의 발열량은 10[J]입니다. 발열량을 전류로 환산하면 10[J] / 4.18[J/A] = 2.4[㎈]이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2.4[㎈]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다음 중 핀치 오프 전압을 가장 잘 설명한 것은?

  1. 게이트 전류가 0 일때의 드레인 – 소스 간의 전압
  2. 드레인 전류가 0 일때의 게이트 – 드레인 간의 전압
  3. 드레인 전류가 0 일때의 게이트 – 소스 간의 전압
  4. 드레인 전류가 0 일때의 드레인 - 소스 간의 전압
(정답률: 57%)
  • 핀치 오프 전압은 MOSFET의 드레인 전류가 0이 되는 지점에서의 게이트-소스 간의 전압을 의미합니다. 이는 MOSFET의 작동 영역 중 하나인 삼극관 영역에서의 특징으로, 드레인 전류가 0이 되는 지점에서 게이트-소스 간의 전압이 최소한의 값을 가지게 됩니다. 따라서 "드레인 전류가 0 일때의 게이트 – 소스 간의 전압"이 핀치 오프 전압을 가장 잘 설명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LC 발진 등 동조 발진회로에서 주로 사용되는 증폭기의 동작 방식은?

  1. A급
  2. AB급
  3. B급
  4. C급
(정답률: 49%)
  • LC 발진 등 동조 발진회로에서는 주로 BJT(Bipolar Junction Transistor) 증폭기가 사용됩니다. 이 증폭기는 입력 신호를 증폭하여 출력으로 내보내는 역할을 합니다. C급 증폭기는 전류가 흐르는 시간이 짧고, 전류가 흐르지 않는 시간이 긴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 C급 증폭기는 전력 손실이 적고, 효율적인 전력 변환을 가능하게 합니다. 따라서 LC 발진 등 동조 발진회로에서는 C급 증폭기가 주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증폭기의 전압 증폭도가 1000 일 때 이것을 [dB]로 나타내면 몇 [dB]인가?

  1. 20[dB]
  2. 30[dB]
  3. 40[dB]
  4. 60[dB]
(정답률: 39%)
  • 전압 증폭도가 1000일 때, 전압 증폭 비율은 1000:1이 된다. 이를 dB로 나타내면 20log(1000) = 60[dB]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60[dB]"이다. dB는 로그함수를 사용하여 비율을 표현하는 단위이므로, 전압 증폭 비율이 1000일 때 60[dB]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어떤 펄스 회로에서 상승시간은 펄스 높이의 몇 [%]에서 몇 [%] 까지 상승하는데 걸리는 시간인가?

  1. 0%에서 90까지
  2. 10%에서 90%까지
  3. 10%에서 100%까지
  4. 0%에서 100%까지
(정답률: 74%)
  • 상승시간은 펄스가 0%에서 시작하여 90%까지 상승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의미합니다. 이는 펄스가 10%에서부터 상승이 시작되기 때문입니다. 0%에서 10%까지의 상승은 거의 무시할 수 있으며, 따라서 상승시간은 10%에서 90%까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저항 4Ω과 6Ω을 병렬로 접속하고 여기에 2.6Ω의 저항을 직렬로 접속하였을 때 합성저항은 몇 [Ω] 인가?

  1. 10[Ω]
  2. 5[Ω]
  3. 2.5[Ω]
  4. 1[Ω]
(정답률: 42%)
  • 병렬 접속된 4Ω과 6Ω의 합성저항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1/합성저항 = 1/4 + 1/6
    1/합성저항 = 5/12
    합성저항 = 12/5 = 2.4[Ω]

    이 합성저항과 직렬로 접속된 2.6Ω의 저항을 합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총 저항 = 2.4 + 2.6 = 5[Ω]

    따라서 정답은 "5[Ω]"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이상적인 연산증폭기에서 동상 신호 제거비(CMRR)는 얼마인가?

  1. 0
  2. 1
  3. 1000
  4. 무한대
(정답률: 71%)
  • 이상적인 연산증폭기에서는 입력 신호와 동일한 크기의 반대 상태 신호를 생성하여 차동 신호로 처리합니다. 이 때, 차동 신호는 공통 모드 신호에 비해 매우 작아지므로 CMRR은 무한대에 가깝게 됩니다. 따라서 이상적인 연산증폭기에서는 CMRR이 무한대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다음 중 FET에 대한 설명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BJT 보다 이득대역폭 적이 작다.
  2. BJT 보다 잡음특성이 우수하다.
  3. BJT는 3층 구조이나 FET는 4층 구조이다.
  4. 높은 신뢰도를 얻을 수 있다.
(정답률: 57%)
  • "BJT는 3층 구조이나 FET는 4층 구조이다."는 FET에 대한 설명으로 적합한 것이다. 이유는 BJT는 emitter, base, collector 3개의 층으로 이루어져 있지만, FET는 source, gate, drain, substrate 4개의 층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무궤환시 전압이득이 150 인 증폭기에서 궤환율 β = 0.01의 부궤환을 걸었을 때 전압이득은?

  1. 9
  2. 30
  3. 60
  4. 150
(정답률: 48%)
  • 부궤환을 걸면 전압이득은 궤환율에 반비례하여 감소합니다. 따라서 궤환율이 0.01이므로 전압이득은 150의 1/0.01인 15000분의 1, 즉 1500이 됩니다. 이때 부궤환을 걸면 전압이득은 1500의 1/25, 즉 60이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6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다음중 직접회로(IC)의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경제적이다.
  2. 소형이며 성능이 우수하다.
  3. 고전력용으로 많이 사용된다.
  4. 높은 신뢰도를 얻을 수 있다.
(정답률: 73%)
  • 고전력용으로 많이 사용된다는 것은 직접회로(IC)의 특징이 아니라 사용 용도 중 하나일 뿐입니다. 따라서 이 보기가 가장 적합하지 않은 것입니다.

    고전력용으로 많이 사용되는 이유는 직접회로(IC)가 작은 크기에도 높은 전력을 처리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는 직접회로(IC)의 내부 구조가 작고 밀도가 높아서 가능합니다. 또한, 직접회로(IC)는 전력 손실이 적고 효율적으로 전력을 사용할 수 있어서 경제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다음 중 입력 파형의 기준을 다른 기준 레벨로 바꾸어 고정시키는 회로는?

  1. 펄스 회로
  2. 클램핑 회로
  3. 클리퍼 회로
  4. 리미트 회로
(정답률: 51%)
  • 클램핑 회로는 입력 신호의 최대 또는 최소 값을 고정시키는 회로입니다. 이를 통해 입력 신호의 기준을 다른 기준 레벨로 바꾸어 고정시킬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양수 신호를 -2V에서 +2V로 이동시키기 위해 클램핑 회로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전자계산기일반

16. 다음중 프로그램 작성 단계에서 어떠한 데이터를 어떻게 입력하여, 처리결과를 어떻게 출력할 것인지를 결정하는 단계는?

  1. 순서도 작성 단계
  2. 문제 분석 단계
  3. 프로그램 번역 단계
  4. 입·출력 설계 단계
(정답률: 78%)
  • 입·출력 설계 단계는 프로그램 작성 단계에서 어떤 데이터를 어떻게 입력받을 것인지, 그리고 그 데이터를 어떻게 처리하여 어떤 결과를 출력할 것인지를 결정하는 단계입니다. 이 단계에서는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입력 데이터와 그에 대한 처리 결과를 명확하게 정의하고, 이를 바탕으로 프로그램의 구조와 로직을 설계합니다. 따라서 이 단계는 프로그램의 전체적인 흐름을 결정하는 중요한 단계이며, 이후의 작업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두 입력 A,B가 모두 1 일 때만 출력 Y가 1 이 되는 논리회로는?

(정답률: 68%)
  • AND 게이트는 입력이 모두 1일 때만 출력이 1이 되므로, 두 입력 A,B가 모두 1일 때만 출력 Y가 1이 되는 논리회로는 AND 게이트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16비트를 1워드로 사용하는 컴퓨터에서 OP-코드를 6비트로 하면 최대 몇 가지 명령어를 수행할 수 있는가?

  1. 16
  2. 64
  3. 128
  4. 256
(정답률: 58%)
  • OP-코드를 6비트로 표현할 수 있는 경우, 가능한 조합의 수는 2의 6승인 64가 된다. 이는 6비트로 표현할 수 있는 모든 숫자의 조합을 의미하며, 따라서 최대 64개의 명령어를 수행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다음 중 USB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는 것은?

  1. 병렬 포트의 원리와 동일하다.
  2. 플러그 앤 플레이 방식을 지원한다.
  3. 하나의 주 컨트롤러에는 최대 127eo의 주변장치를 연결 할 수 있다.
  4. 컴퓨터와 주변기기를 연결하는데 쓰이는 입·출력 표준의 하나이다.
(정답률: 46%)
  • "병렬 포트의 원리와 동일하다."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USB는 직렬 통신 방식을 사용하며, 병렬 포트는 병렬 통신 방식을 사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CPU에서 메모리나 입·출력 장치의 번지를 지정해 주는 것은?

  1. 제어 버스
  2. 데이터 버스
  3. 어드레스 버스
  4. 명령 레지스터
(정답률: 54%)
  • 어드레스 버스는 CPU에서 메모리나 입·출력 장치의 번지를 지정해 주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CPU가 데이터를 읽거나 쓰기 위해 필요한 주소 정보를 어드레스 버스를 통해 전달합니다. 이에 반해 제어 버스는 CPU와 다른 하드웨어 간의 제어 신호를 전달하고, 데이터 버스는 CPU와 다른 하드웨어 간의 데이터 전송을 담당합니다. 명령 레지스터는 CPU 내부에서 명령어를 저장하는 레지스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1. 드모르간의 정리에서 와 같은 논리식은?

  1. AㆍB
(정답률: 63%)
  • 논리식을 드모르간의 정리에 따라 변환하면 이 된다. 드모르간의 정리는 "어떤 명제의 부정은 그 명제를 구성하는 모든 항목의 부정이다"라는 원리를 이용하여 논리식을 변환하는 것이다. 따라서, A와 B의 부정을 취하고, 그것들을 AND 연산으로 묶은 것이 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다음 bit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10진수의 한 자리수를 말한다.
  2. 2진수를 나타내는 둘 중의 하나이다.
  3. 정보량을 표현하는 것 중 최소단위이다.
  4. Binary digit의 약자이다.
(정답률: 55%)
  • 정답은 "10진수의 한 자리수를 말한다." 이다. Bit는 이진수를 나타내는 최소 단위이며, 0 또는 1의 값을 가진다. 10진수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컴퓨터의 특징과 그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자동처리 : 프로그램 내장 방식에 의한 순서적 처리가 가능하다.
  2. 대용량성 : 대량의 자료를 저장하며 저장된 내용의 즉시 재생이 가능하다.
  3. 신속,정확성 : 처리에 소요되는 시간이 다른 기계와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신속, 정확하다.
  4. 동시 사용, 호환성 : 다른 장비와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정답률: 34%)
  • "동시 사용, 호환성 : 다른 장비와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는 옳은 설명이다. 컴퓨터는 다른 장비와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다양한 작업을 동시에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린터와 결합하여 문서를 출력하거나, 스피커와 결합하여 음악을 재생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보조기억장치가 데이터에 접근하는 방식 중 자기테이프 장치에서와 같이 필요한 데이터를 판독 또는 기록할 때 파일의 처음에서부터 순차적으로 접근하는 방식은?

  1. DAM
  2. SAM
  3. CAM
  4. 일괄처리
(정답률: 39%)
  • SAM은 Sequential Access Memory의 약자로, 순차 접근 방식을 사용하기 때문에 파일의 처음부터 순차적으로 접근하는 방식을 사용합니다. 따라서 자기테이프 장치와 같이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읽거나 쓰는 경우에 적합한 방식입니다. DAM은 Direct Access Memory의 약자로, 랜덤 접근 방식을 사용하기 때문에 파일 내 특정 위치에 직접 접근하는 방식을 사용합니다. CAM은 Content Addressable Memory의 약자로, 데이터의 내용을 기반으로 검색하는 방식을 사용합니다. 일괄처리는 여러 작업을 한 번에 처리하는 방식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다음 중 ROM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일반적으로 윈도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2. MASK ROM은 저장된 내용을 지울 수 없다.
  3. 전원이 끊어져도 저장된 내용은 지워지지 않는다.
  4. UVEPROM은 자외선을 이용해 저장된 내용을 지울 수 있다.
(정답률: 26%)
  • "일반적으로 윈도 프로그램을 저장한다."는 ROM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이다. 이는 ROM이 읽기 전용 메모리로,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어서 컴퓨터가 전원을 끄더라도 저장된 내용이 유지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ROM은 윈도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데에도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다음 중 누화의 경감법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교차
  2. 시험 접속
  3. 정전 결합
  4. 반점 및 사치
(정답률: 38%)
  • 누화의 경감법에 속하지 않는 것은 "정전 결합"입니다. 이는 누화를 경감시키는 방법이 아니라, 전기적인 연결을 끊어주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누화를 방지하는 것이 아니라, 정전이나 감전 등의 위험을 예방하기 위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광케이블에서 클래드의 최대직경이 127[㎛], 최소직경이 123[㎛], 표준직경이 125[㎛]일 때 비원율은?

  1. 1.6[%]
  2. 2.0[%]
  3. 3.2 [%]
  4. 4.0[%]
(정답률: 53%)
  • 비원율은 (최대직경 - 최소직경) / (표준직경) x 100 으로 계산됩니다.

    따라서, (127 - 123) / 125 x 100 = 3.2 [%] 입니다.

    즉, 클래드의 최대직경과 최소직경의 차이가 표준직경에 비해 3.2% 정도 더 크다는 의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다음 중 통신선로의 전파정수 r를 나타낸 것은?

  1. R-jωL
  2. G+jωL
(정답률: 70%)
  • 정답은 "" 입니다.

    전파정수 r은 전송선로에서 전파가 전달되는 속도를 나타내는 값으로, 전송선로의 특성 임피던스 Z0와 전송선로의 길이 l, 그리고 전송선로 내부의 손실 등에 의해 결정됩니다.

    주어진 보기 중에서 ""는 전송선로의 특성 임피던스 Z0와 전송선로 내부의 손실에 의해 결정되는 값으로, 전파가 전달되는 속도를 나타내는 값입니다. 따라서 이 값이 통신선로의 전파정수 r을 나타낸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전주에서 지선과 지주의 추부 방법 중 가장 적합한 것은?

  1. 지선은 장력측, 지주는 장력의 반대측에 취부한다.
  2. 지선과 지주 모두 장력의 반대측에 취부한다.
  3. 지선은 장력의 반대측, 지주는 장력측에 취부한다.
  4. 지선과 지주 모두 장력측에 취부한다.
(정답률: 40%)
  • 정답은 "지선은 장력의 반대측, 지주는 장력측에 취부한다."입니다. 이유는 지선은 추의 중심에서 멀리 떨어져 있기 때문에 장력이 작용하는 방향과 반대쪽에 위치하게 됩니다. 반면에 지주는 추의 중심에 가까이 위치하므로 장력이 작용하는 방향과 같은 쪽에 위치하게 됩니다. 따라서 지선은 장력의 반대측, 지주는 장력측에 취부하는 것이 가장 적합한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광섬유 케이블의 손실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흡수 손실
  2. 열손실
  3. 접속 손실
  4. 굽힘 손실
(정답률: 59%)
  • 광섬유 케이블은 광신호를 전달하는데 사용되며, 광섬유의 손실은 광신호의 감쇠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광섬유 케이블의 손실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열손실입니다. 열손실은 광섬유 케이블의 전기적인 특성과는 관련이 없으며, 광섬유 케이블 내부에서 발생하는 열에 의한 손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통신선로일반

31. 다음 중 인공(man hole) 축조시 유의해야 할 사항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케이블 분기방향
  2. 관로의 취부위치
  3. 관로의 취부각도
  4. 케이블의 배열순서
(정답률: 61%)
  • 인공 축조물을 설치할 때는 지하시설물과의 충돌을 방지하기 위해 다양한 사항을 고려해야 합니다. 케이블의 배열순서는 인공 축조물과는 관련이 없는 사항입니다. 따라서 케이블의 배열순서가 가장 거리가 먼 것입니다.

    - 케이블 분기방향: 케이블이 분기되는 방향을 고려하여 인공 축조물의 위치를 조정해야 합니다.
    - 관로의 취부위치: 관로의 취부위치를 고려하여 인공 축조물의 위치를 조정해야 합니다.
    - 관로의 취부각도: 관로의 취부각도를 고려하여 인공 축조물의 위치를 조정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다음 중 케이블(Cable)을 절연 접속하는 가장 주된 목적은?

  1. 낙뢰로 인한 피해를 방지하기 위하여
  2. 납땜을 절약하기 위하여
  3. 누설 전류를 차단하기 위하여
  4. 화학적인 부패를 방지하기 위하여
(정답률: 77%)
  • 케이블을 절연 접속하는 가장 주된 목적은 누설 전류를 차단하기 위해서입니다. 이는 전기적 안전을 위해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누설 전류가 발생하면 전기적으로 연결된 다른 부분에 영향을 미치거나 화재 등의 위험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케이블을 절연 접속하여 누설 전류를 차단하고 안전한 전기 시스템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600[Ω]의 전송선로에서 0[dBm]에 관한 설명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전송로의 부하에 1[㎽]의 전력을 공급한다.
  2. 전송로에 약 1.29[㎃]의 전력을 공급한다.
  3. 전원의 전압은 10[V]이다.
  4. 전송로의 부하에 약 0.775[V]의 전압강하가 일어난다.
(정답률: 50%)
  • "전송로의 부하에 1[㎽]의 전력을 공급한다."가 거리가 먼 것이다. 이유는 전송선로의 임피던스가 600[Ω]이므로, 0[dBm]의 전력은 1[mW]에 해당한다. 따라서, 전송로의 부하에 1[㎽]의 전력을 공급하려면 거리가 매우 먼 상황이어야 한다. "전원의 전압은 10[V]이다."는 전력과 전압 간의 관계인 P=V^2/R을 이용하여 계산하면 알 수 있다. 전송선로의 임피던스가 600[Ω]이므로, 0[dBm]의 전력에 해당하는 전압은 V=sqrt(P*R)=sqrt(0.001*600)=0.775[V]이다. 따라서, 전원의 전압이 10[V]인 것은 전송선로의 부하에 약 0.775[V]의 전압강하가 일어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광섬유 케이블의 코어 내에서 전반사를 지속하기 위한 굴절률 관계는? (단, n1: 코어의 굴절률, n2: 클래드의 굴절률)

  1. n1 = n2
  2. n1< n2
  3. n1> n2
  4. n1 = 2n2
(정답률: 57%)
  • 광섬유 케이블에서 광선은 코어와 클래드 경계면에서 굴절되어 전달됩니다. 이때 광선이 코어 내에서 전반사를 일으키지 않고 지속적으로 전달되기 위해서는 코어의 굴절률이 클래드의 굴절률보다 커야 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정답은 "n1> n2"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코어의 굴절률 1.6 이고 클래드의 굴절률이 1.4 인 광섬유 케이블에서 심선의 개구수(NA)는 약 얼마인가?

  1. 0.33
  2. 0.59
  3. 0.77
  4. 0.94
(정답률: 59%)
  • NA = √(n1^2 - n2^2) = √(1.6^2 - 1.4^2) = 0.77

    NA는 코어와 클래드의 굴절률 차이에 의해 결정되는 값으로, 코어의 굴절률이 클래드의 굴절률보다 높기 때문에 NA 값이 양수가 되어야 한다. 따라서 0.33과 0.59는 NA 값이 너무 작고, 0.94는 NA 값이 너무 크므로, 정답은 0.77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다음 중 멀티미디어 서비스의 수용을 위하여 16[㎒]정도 이상의 전송대역을 갖는 구내케이블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FS 케이블
  2. PVC 케이블
  3. CCP 케이블
  4. UTP 케이블
(정답률: 68%)
  • 멀티미디어 서비스는 대용량의 데이터를 전송해야 하므로 전송 대역폭이 넓은 케이블이 필요합니다. 그 중에서도 UTP 케이블은 비교적 저렴하면서도 16[㎒] 이상의 전송 대역을 갖추고 있어 멀티미디어 서비스에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600Ω과 400Ω의 특성 임피던스를 가지는 선로를 접속시키면 전압 반사계수는?

  1. 0.2
  2. 0.3
  3. 0.4
  4. 0.5
(정답률: 51%)
  • 전압 반사계수는 (ZL-Z0)/(ZL+Z0)로 계산됩니다. 여기서 ZL은 적재 임피던스, Z0은 특성 임피던스입니다.

    600Ω과 400Ω의 경우, 적재 임피던스는 400Ω이므로 ZL=400Ω입니다.

    전압 반사계수 = (ZL-Z0)/(ZL+Z0) = (400-600)/(400+600) = -0.2

    하지만 전압 반사계수는 절대값으로 표현되므로, 정답은 0.2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다음 중 전송선로에서 전파시간이 가장 많이 소요되는 것은?

  1. 장하 케이블
  2. 무장하 케이블
  3. 동축 케이블
  4. 광케이블
(정답률: 57%)
  • 장하 케이블은 전송 거리가 멀고 대용량의 데이터를 전송할 때 사용되며, 전송선로에서 가장 많은 전파시간을 소요합니다. 이는 장하 케이블의 내부 저항이 낮아 전기 신호가 빠르게 전달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장거리 통신에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다음 중 누화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근단누화
  2. 원단누화
  3. 자기누화
  4. 간접누화
(정답률: 45%)
  • 자기누화는 누화의 종류가 아닙니다. 누화란 전기적인 충전이나 방전으로 인해 발생하는 불꽃이나 빛을 말하는데, 자기누화는 자기장이나 자기력으로 인해 발생하는 누화가 아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심선을 꼬아놓은 방법 중 쌍(pair)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2개의 심선을 꼬아 놓은 것
  2. 4개의 심선을 꼬아 놓은 것
  3. 6개의 심선을 꼬아 놓은 것
  4. 8개의 심선을 꼬아 놓은 것
(정답률: 76%)
  • 2개의 심선을 꼬아 놓은 것은 두 개의 심선을 서로 엮어서 꼬아 놓은 것을 말합니다. 이러한 방법은 물건을 묶거나 고정하는 데에 많이 사용되며, 끈이나 로프 등으로 구성된 것들이 이 방법으로 꼬여 있습니다. 4개, 6개, 8개의 심선을 꼬아 놓은 것도 비슷한 원리로 이루어지지만, 더 많은 심선을 사용하기 때문에 더 복잡하고 강력한 구조를 만들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1. 건물내에 전화용 수평 덕트를 설치할 경우 그 교차점에는 무엇을 설치하는가?

  1. 단자함
  2. 연결함
  3. 핸드홀
  4. 맨홀
(정답률: 59%)
  • 전화용 수평 덕트는 여러 개의 전화선을 한 번에 운반하기 위한 통로로 사용됩니다. 이 때, 덕트가 교차하는 지점에서는 전화선들이 연결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그 교차점에는 연결함을 설치하여 전화선들을 연결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케이블 심선의 절연재료 중 절연특성이 가장 좋은 것은?

  1. 지(종이)
  2. PE
  3. PEF
  4. PVC
(정답률: 49%)
  • PEF는 폴리에틸렌 나노복합체로 구성되어 있어 절연특성이 매우 우수합니다. 또한 내구성이 뛰어나고 화학적으로 안정적이며, 낮은 유전손실과 높은 절연저항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케이블 심선의 절연재료로 가장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다음 중 전류가 도체표면에 집중되는 성질로 사용 주파수가 증가하면 전송손실이 커지는 것은?

  1. 표피작용
  2. 발열작용
  3. 와류손실
  4. 흡인작용
(정답률: 30%)
  • 정답은 "표피작용"입니다.

    표피작용은 전류가 도체의 표면층에서 집중되는 성질을 의미합니다. 이는 고주파에서 더욱 두드러지게 나타나며, 주파수가 증가할수록 전송손실이 커지는 특징이 있습니다. 이는 전류가 도체 내부로 깊이 침투하지 않고 표면에서만 흐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고주파에서는 표피작용이 더욱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레이저 다이오드(LD)의 빛이 발광다이오드(LED)에서 방출되는 빛과 비교하였을 때 특징이 아닌 것은?

  1. 직진성이 높다.
  2. 단색성이 높다.
  3. 빛의 출력이 크다.
  4. 빛의 스펙트럼 폭이 넓다.
(정답률: 71%)
  • 레이저 다이오드는 단색성이 높은 빛을 발산하기 때문에 빛의 스펙트럼 폭이 좁습니다. 따라서 "빛의 스펙트럼 폭이 넓다"는 특징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시내선로 또는 시외선로에 사용하여도 누화가 발생되지 않는 케이블은?

  1. 장하 케이블
  2. 스크린 케이블
  3. CCP 케이블
  4. 광섬유 케이블
(정답률: 62%)
  • 광섬유 케이블은 전기 신호가 아닌 광 신호를 이용하기 때문에 누화가 발생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시내선로 또는 시외선로에 사용하여도 신호의 감퇴나 왜곡이 없어 안정적인 통신이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선로설비기준

46. 방송통신위원회는 천재·전시·사변 등 전기통신사업자에게 전기통신업무의 전부 또는 일부를 제한하거나 정지할 수 있다. 이의 목적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전기통신사업의 건전한 발전을 위해
  2. 중요 통신의 확보를 위해
  3. 국가통신 비밀보호를 위해
  4. 전기통신설비의 건설과 보전을 위해
(정답률: 58%)
  • 전기통신사업자에게 전기통신업무의 전부 또는 일부를 제한하거나 정지하는 것은 중요한 통신의 확보를 위해 필요합니다. 예를 들어, 국가 안보와 관련된 중요한 정보를 전송하는 통신이 있을 경우, 해당 통신이 해킹 등의 공격을 받아 중단될 경우 국가 안보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방송통신위원회는 이러한 중요한 통신의 안전을 보장하기 위해 전기통신사업자에게 일시적으로 제한 또는 정지를 요청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전기통신 기본법의 궁극적인 목적은?

  1. 전기통신 서비스의 제공 확대
  2. 공공복리의 증진
  3. 전기통신설비의 건설과 보전
  4. 전기 통신 세입의 증대
(정답률: 50%)
  • 전기통신 기본법의 궁극적인 목적은 공공복리의 증진입니다. 이는 전기통신 서비스의 제공 확대, 전기통신설비의 건설과 보전, 전기 통신 세입의 증대 등의 목적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입니다. 전기통신 서비스는 현대 사회에서 필수적인 요소이며, 이를 통해 국민들의 생활 편의성과 경제 발전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전기통신 기본법은 이러한 공공복리의 증진을 위해 제정되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전기통신 설비의 설치를 위해 다른 사람의 토지에 출입을 함으로서 발생한 피해 보상으로 옳은 것은?

  1. 세금감면
  2. 손해배상
  3. 손실보상
  4. 실물보상
(정답률: 67%)
  • 다른 사람의 토지에 출입하여 전기통신 설비를 설치하는 경우, 해당 토지 소유자나 사용자가 손해를 입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에 따라 전기통신 설비 설치자는 손해를 입은 토지 소유자나 사용자에게 보상을 해야 합니다. 이때, 손해배상은 이미 발생한 손해를 보상하는 것이고, 실물보상은 손해를 입은 물건을 대체하는 것이지만, 손실보상은 손해를 입은 것의 가치를 보상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전기통신 설비 설치로 인해 발생한 토지 소유자나 사용자의 손실을 보상하는 것이 옳은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전기통신기본법에 의한 “유선·무선·광선 및 기타의 전자적 방식에 의하여 모든 종류의 부호·문언·음향 또는 영상을 송신하거나 수신하는 것”에 대한 용어는?

  1. 정보전송
  2. 데이터통신
  3. 통신역무
  4. 전기통신
(정답률: 52%)
  • 전기통신기본법은 전기통신에 대한 법적 규제를 담당하는 법이며, 해당 법에서는 "유선·무선·광선 및 기타의 전자적 방식에 의하여 모든 종류의 부호·문언·음향 또는 영상을 송신하거나 수신하는 것"을 전기통신이라고 정의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전기통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전기통신 회선설비를 설치하고 이를 이용하여 공공의 이익과 국가산업에 미치는 영향, 역무의 안정적 제공의 필요성 등을 참작하여 전신·전화 역무 등 대통령이 정하는 종류와 내용의 전기통신역무를 제공하는 사업은?

  1. 공중통신사업
  2. 자가통신사업
  3. 기간통신사업
  4. 부가통신사업
(정답률: 40%)
  • 기간통신사업은 전기통신 회선설비를 설치하고 이를 이용하여 대통령이 정하는 종류와 내용의 전기통신역무를 제공하는 사업입니다. 이는 공공의 이익과 국가산업에 미치는 영향, 역무의 안정적 제공의 필요성 등을 고려하여 대통령이 직접 지정하는 사업으로, 전화나 인터넷 등의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주요 사업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기간통신사업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정보통신공사업자 외의 자가 시공 할 수 있는 경미한 공사의 범위가 아닌 것은?

  1. 무선국의 무선설비 설치공사
  2. 연면적 1000[m2] 이하의 구내 방송설비 설비공사
  3. 건축물에 설치되는 5회선 이하의 구내통신선로 설비공사
  4. 아마추어국 및 실험국의 무선설비 설치공사
(정답률: 36%)
  • 무선국의 무선설비 설치공사는 전파관리법에 따라 정보통신공사업자가 전용권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외부인이 시공할 수 없는 범위에 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전기통신설비의 건설과 보전을 위한 토지 등의 일시사용 기간은 몇 월을 초과 할 수 없는가?

  1. 1월
  2. 3월
  3. 6월
  4. 12월
(정답률: 67%)
  • 전기통신설비의 건설과 보전을 위한 토지 등의 일시사용 기간은 최대 6개월로 제한되어 있습니다. 이는 일시적인 사용을 위한 것이기 때문에, 오랜 기간 동안 사용하면 다른 사람들의 이용에 지장을 줄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6월을 초과하여 사용하면 불법적인 행위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정보통신공사업의 등록 기준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기술능력
  2. 자본금
  3. 공사용 기기
  4. 사무실
(정답률: 43%)
  • 정보통신공사업의 등록 기준 중에서 "공사용 기기"는 해당 업종에서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장비이지만, 등록 기준으로는 포함되지 않기 때문입니다. 등록 기준은 기술능력, 자본금, 사무실 등과 같은 기업의 경영 능력과 관련된 요소를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구내통신선로설비에 사용되는 급전선 인입 접속함의 절연 저항은?

  1. 10[㏁]이상
  2. 50[㏁]이상
  3. 100[㏁]이상
  4. 500[㏁]이상
(정답률: 9%)
  • 급전선은 비상시에 사용되는 전원 공급선으로, 안전성이 매우 중요합니다. 따라서 인입 접속함의 절연 저항은 높을수록 좋습니다. 50[㏁] 이상의 저항은 충분한 절연성을 보장하면서도 설치 및 유지보수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적절한 수치입니다. 또한, 관련 규정에서도 이 수치를 권장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50[㏁]이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다음 중 전기통신기본계획의 수립에 관한 사항이 아닌 것은?

  1. 전기통신의 이용 효율화에 관한 사항
  2. 전기통신의 질서유지에 관한 사항
  3. 전기통신사업의 경영에 관한 사항
  4. 전기통신설비에 관한 사항
(정답률: 68%)
  • 전기통신기본계획은 전기통신의 이용 효율화와 질서유지, 전기통신설비 등에 관한 사항을 포함하며, 전기통신사업의 경영에 관한 사항은 포함되지 않습니다. 전기통신사업의 경영에 관한 사항은 전기통신사업자가 직접 결정하고 관리하는 부분으로, 전기통신기본계획은 이를 규제하거나 지원하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전화급 평형회선은 회선 상호간 전기통신 신호의 내용이 혼입되지 아니하도록 두 회선 사이의 누화 감쇠량은 몇 데시벨 이상이어야 하는가?

  1. 50데시벨
  2. 55데시벨
  3. 68데시벨
  4. 108데시벨
(정답률: 54%)
  • 전화급 평형회선은 두 개의 회선 사이에서 전기적인 신호를 전달하는데, 이때 회선 상호간의 신호가 혼입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누화 감쇠량이 충분해야 합니다. 누화 감쇠량은 전기 신호가 회선을 통과할 때 감쇠되는 정도를 나타내는데, 이 값이 클수록 더욱 좋은 성능을 보입니다.

    전화급 평형회선에서는 누화 감쇠량이 68데시벨 이상이어야 합니다. 이는 전화기에서 발생하는 신호가 다른 회선으로 혼입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입니다. 50데시벨이나 55데시벨은 감쇠량이 너무 적어서 신호가 혼입될 가능성이 높고, 108데시벨은 감쇠량이 너무 많아서 신호가 전달되지 않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따라서 68데시벨이 적절한 값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기간통신사업을 경영하고자 하는 자는 방송통신위원회의 어떤 절차를 거쳐야 하는가?

  1. 승인
  2. 인가
  3. 등록
  4. 허가
(정답률: 62%)
  • 기간통신사업을 경영하고자 하는 자는 방송통신위원회에게 사업신청서를 제출하고, 이에 대한 심사를 거쳐 허가를 받아야 합니다. 이는 기간통신사업이 방송통신법에 의해 규제되는 사업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허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전송설비는 전력유도로 인한 피해가 없도록 건설되어야 한다. 기기 오동작 유도종전압이 몇 [V] 이상 초과시 전력유도방지 조치를 취하여야 하는가?

  1. 100
  2. 60
  3. 30
  4. 15
(정답률: 29%)
  • 전송설비에서 기기 오동작 유도종전압이 발생하면 전력유도로 인한 피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를 방지하기 위해 일정한 수치 이상 초과시 전력유도방지 조치를 취해야 합니다. 이 수치는 일반적으로 15V 이상으로 설정됩니다. 이는 전력유도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안전한 수치로서, 전송설비 건설 시 이를 준수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식물이 선로 등의 설치·유지 및 공중통신에 장애를 주거나 줄 우려가 있을 때 기간 통신 사업자의 우선 조치 사항으로 옳은 것은?

  1. 식물을 벌채 또는 이식한다.
  2. 소유자 또는 점유자에게 식물의 제거를 요구할 수 있다.
  3. 일정기간 공고한 후 제거한다.
  4. 산림청장의 허가를 받아야 한다.
(정답률: 67%)
  • 선로 등의 설치·유지 및 공중통신에 장애를 주거나 줄 우려가 있는 식물은 기간 통신 사업자의 우선 조치 사항으로, 소유자 또는 점유자에게 식물의 제거를 요구할 수 있다. 이는 식물이 공중통신에 필요한 시설물의 설치 및 유지에 방해가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소유자 또는 점유자는 이에 따라 식물을 제거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다음 중 정보통신 공사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정보설비공사
  2. 측정설비공사
  3. 통신설비공사
  4. 방송설비공사
(정답률: 70%)
  • 측정설비공사는 정보통신 시스템 구축에 직접적으로 관련된 설비를 설치하는 것이 아니라, 설치된 시스템의 성능을 측정하고 분석하는 일을 담당하는 공사이기 때문에 정보통신 공사의 종류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