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산양식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3-03-30)

수산양식기능사
(2003-03-30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수산양식

1. 굴 양식에서 채묘기 설치 시기는?

  1. 산란후 1주
  2. 산란후 2주
  3. 산란후 3주
  4. 산란후 4주
(정답률: 59%)
  • 굴은 산란 후 약 2주가 지난 후에 채묘기 설치를 해야 합니다. 이는 굴이 산란 후 약 2주가 지나면 알에서 부화하여 유충이 나오기 때문에, 유충이 채묘기에 붙어서 성장할 수 있도록 설치하는 것입니다. 산란 후 1주일에는 아직 유충이 부화하지 않아 채묘기 설치가 이루어지지 않습니다. 산란 후 3주 이후에는 유충이 이미 크기 때문에 채묘기에 붙어서 성장하기 어렵습니다. 따라서 산란 후 2주가 가장 적절한 시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피조개는 산란후 약 몇시간 만에 D형 자패가 되는가?

  1. 5시간 정도
  2. 10시간 정도
  3. 22시간 정도
  4. 48시간 정도
(정답률: 70%)
  • 피조개의 산란 후 D형 자패가 되기까지의 시간은 일반적으로 10시간 정도 걸립니다. 이는 피조개의 생물학적 특성으로 인해 알에서부터 자패까지의 발달 과정이 비교적 빠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5시간 정도나 22시간 정도는 너무 짧거나 긴 시간이며, 48시간 정도는 너무 오래 걸리는 시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대합 양식장에 조위망 시설을 하는 주된 이유는?

  1. 구획표시
  2. 도피방지
  3. 오염방지
  4. 성장촉진
(정답률: 75%)
  • 조위망 시설은 대합 양식장에서 도피방지를 위해 설치됩니다. 대합은 자연적으로 도망을 시도하거나 다른 생물에게 먹히는 것을 피하기 위해 바닥에 파고들기 때문에, 조위망은 대합이 탈출하지 못하도록 막아줍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자연 상태에서 김의 성장 적온은?

  1. 4℃ 이하
  2. 5∼8℃
  3. 12∼13℃
  4. 15℃ 이상
(정답률: 77%)
  • 김은 해양생물로서 5~8℃의 저온에서 가장 적극적으로 성장하며, 이는 김이 자연적으로 서식하는 온도 범위이기 때문입니다. 4℃ 이하에서는 김의 성장이 둔화되고, 12~13℃에서는 김의 성장이 멈추며, 15℃ 이상에서는 김이 죽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김의 성장 적온은 5~8℃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미역의 양성중 어미줄의 시기별 수심조절이 가장 알맞는 것은?

  1. 4∼5월은 1∼2m 수심층으로 올려준다.
  2. 2∼3월은 4m 이하로 내려준다.
  3. 12∼1월은 1m 수심층으로 둔다.
  4. 10∼11월은 4m 이하로 내려준다.
(정답률: 84%)
  • 미역은 겨울철에 성장이 가장 잘 되는 해조류이기 때문에 12∼1월에는 미역의 성장을 촉진시키기 위해 수심을 얕게 유지해야 합니다. 또한, 미역은 높은 염분 농도를 좋아하므로 수심이 얕으면 해수의 염분 농도가 높아지기 때문에 미역의 성장에도 도움이 됩니다. 따라서 12∼1월은 1m 수심층으로 둔다는 것이 가장 알맞은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대하 양식장에서 급이량이 부족할 때 일어나는 현상과 관계가 깊은 것은?

  1. 탈피
  2. 공식
  3. 기형
  4. 잠입
(정답률: 100%)
  • 대하 양식장에서 급이량이 부족할 때 일어나는 현상과 관계가 깊은 것은 "공식"입니다. 이는 대하가 영양분을 충분히 섭취하지 못하면 성장이 둔화되고, 그 결과로 공식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대하 양식장에서는 적절한 양의 먹이를 공급하여 공식 발생을 예방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다음 중 잉어 양식에 필요 없는 곳은?

  1. 친어지
  2. 산란지
  3. 섭이지
  4. 치어지
(정답률: 77%)
  • 섭이지는 잉어 양식에 필요 없는 곳입니다. 친어지는 잉어의 부화와 유충 성장에 필요한 곳이며, 산란지는 산란을 위한 장소입니다. 치어지는 어린 잉어들이 성장하는 곳입니다. 하지만 섭이지는 잉어가 살아가는 데 필요한 환경을 제공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자연에 있어서 홑파래의 유주자가 가장 많이 방출되는 시기는?

  1. 9월 상.중순경 대조시의 아침
  2. 9월 상.중순경 소조시의 저녁
  3. 5월 상.중순경 대조시의 아침
  4. 5월 상.중순경 소조시의 저녁
(정답률: 85%)
  • 홑파래는 해수면이 따뜻한 여름철에 번식하며, 그 후 2~3개월 후인 9월 상.중순경에 유주자를 방출합니다. 따라서 "9월 상.중순경 대조시의 아침"이 가장 많이 방출되는 시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다음 중 수하식양식의 장점이라고 할 수 있는 것은?

  1. 양식생물의 성장이 빠르다.
  2. 시설비가 적게 든다.
  3. 양식장의 노화현상이 없다.
  4. 풍파의 영향을 안 받는다.
(정답률: 85%)
  • 수하식양식은 물 속에서 직접 양식하는 방식으로, 물의 영양분을 직접 이용하여 양식생물의 성장이 빠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송어의 인공수정용 야코비(jacobi)부화기는 다음 중 어디에 해당되는가?

  1. 유통식
  2. 폐쇄식
  3. 습식
  4. 침지식
(정답률: 64%)
  • 송어의 인공수정용 야코비 부화기는 침지식에 해당합니다. 이는 부화기 내부에 물이 고여있는 상태로 알을 넣어 부화를 유도하는 방식입니다. 이 방식은 물의 온도와 산소 농도를 조절하기 쉽고, 알의 부유성이 높아 부화율이 높아지는 장점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모래가 많은 장소는 못둑의 가운데에 진흙을 다져서 넣는데 이것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제방
  2. kettle (집수부)
  3. core (강벽)
  4. overflow (물넘기)
(정답률: 70%)
  • 모래가 많은 장소는 바다나 강 등의 물이 밀려오는 것을 막기 위해 강벽을 세우는 곳이다. 이 강벽은 바깥쪽에 돌이나 콘크리트 등으로 만들어진 제방이 있고, 그 안쪽에는 진흙을 다져서 넣는데 이것이 바로 강벽의 핵심 부분인 코어(core)이다. 따라서 정답은 "core (강벽)"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알받이(魚集)관리에 가장 좋은 방법은?

  1. 부화한 후 깨끗이 씻어서 그늘에 말린다.
  2. 부화한 후 깨끗이 씻어서 햇빛에 말린다.
  3. 부화한 후 바로 걷어서 햇빛에 말린다.
  4. 부화한 후 10일 후에 씻어서 햇빛에 말린다.
(정답률: 80%)
  • 알받이는 부화한 후에 물고기가 살아날 때까지 물 속에서 살아야 하므로 물에 노출되어 있어야 합니다. 따라서 부화한 후 깨끗이 씻어서 그늘에 말리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물에 노출되지 않거나, 물에 노출되는 시기가 적절하지 않아 알받이의 생존율을 떨어뜨릴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냉장 그물발을 사용하기 위한 목적이 아닌 것은?

  1. 가능한 어기를 연장하려고
  2. 갯병으로 인한 피해가 있을 때 발을 교체하려고
  3. 우량품종을 생산하려고
  4. 어장의 밀식을 방지하려고
(정답률: 58%)
  • 냉장 그물발은 어종의 생존율을 높이기 위해 가능한 어기를 연장하거나 갯병으로 인한 피해가 있을 때 발을 교체하거나 어장의 밀식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하지만 우량품종을 생산하기 위해서는 다른 방법들이 필요하며, 냉장 그물발은 그 목적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말목식 굴 양식법을 바르게 설명한 것은?

  1. 수심 10m 이상되는 고요한 내만에 설치
  2. 적은 재료로서 많은 생산을 올릴 수 있게 고안한 방법
  3. 풍파가 조용한 내만에서 간조시 수심이 4m 내외되는 곳에 시행
  4. 해저가 비교적 단단한 곳에 채묘시기에 돌을 넣어 양성하는 방법
(정답률: 64%)
  • 말목식 굴 양식법은 풍파가 조용한 내만에서 간조시 수심이 4m 내외되는 곳에 시행하는 것이 이상적입니다. 이는 굴이 바닷속에서 안정적으로 자라기 위해서는 적절한 수심과 파도의 영향을 받지 않는 환경이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다음 중 어란(魚卵) 운반시 잘못된 것은?

  1. 얼음을 넣어 운반한다.
  2. 봄,겨울의 수온이 낮은 시기를 택하여 운반함이 좋다
  3. 송어는 발안후 4∼5일 전까지 운반이 가능하다.
  4. 포장은 많은 구멍을 뚫어 공기가 잘 유통되도록 한다
(정답률: 77%)
  • 정답은 "얼음을 넣어 운반한다."입니다. 어란은 얼음에 녹아서 물이 생기면서 상하기 쉬우므로 얼음을 넣어 운반하는 것은 오히려 잘못된 방법입니다. 포장은 많은 구멍을 뚫어 공기가 잘 유통되도록 하는 것이 좋은 이유는 어란이 숨을 쉬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어란은 산소를 흡수하고 이산화탄소를 배출해야 하기 때문에 공기가 잘 유통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잉어의 종묘 6 cm 이상과 이하를 선별하려면 선별기 체눈의 적당한 크기는?

  1. 1 cm
  2. 2 cm
  3. 3 cm
  4. 6 cm
(정답률: 90%)
  • 잉어의 종묘를 6 cm 이상과 이하로 선별하려면, 선별기 체눈의 크기는 6 cm과 5 cm 사이여야 합니다. 따라서, 2 cm가 가장 적당한 크기입니다. 이유는 2 cm의 체눈 크기를 가진 선별기를 사용하면, 4 cm 이상 6 cm 이하의 잉어는 체눈을 넘어가지 못하고 걸러지고, 2 cm 이상 4 cm 미만의 잉어는 체눈을 지나갈 수 있어서 걸러지지 않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실뱀장어가 하구에 많이 올라오는 시기와 거리가 먼 것은?

  1. 해수의 수온이 8∼10℃ 이상으로 올라가는 시기
  2. 하천과 연안 바다와의 수온차가 가장 적을 때
  3. 해가 질 때부터 간조시 또는 조금 때
  4. 해가 질 때부터 만조 때
(정답률: 84%)
  • 실뱀장어는 해가 질 때부터 간조시 또는 조금 때에 많이 올라오는 것은, 이 시기에는 조류가 많아져서 먹이가 풍부해지기 때문입니다. 또한, 이 시간대에는 물이 조금씩 썰물이 되면서 뱀장어가 이동하기에 적합한 환경이 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다른 보기들과는 거리가 멀다고 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참돔의 자어가 운동력과 시각이 발달하는 시기는 부화 후 언제 부터인가?

  1. 3∼4일
  2. 5∼6일
  3. 7∼8일
  4. 9∼10일
(정답률: 75%)
  • 참돔은 부화 후 5~6일이 지난 후에 운동력과 시각이 발달하기 때문입니다. 이 시기에는 먹이를 찾아 다니며 자신의 생존에 필요한 기본적인 움직임을 익히게 됩니다. 따라서 이 시기가 중요한 성장기로서 생존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방어의 종묘로 가장 적당한 것은?

  1. 3∼4월에 잡히는 5g 내외의 것
  2. 7∼8월에 잡히는 100g 이상 되는 것
  3. 5∼6월에 잡히는 8∼50g 되는 것
  4. 9∼10월에 잡히는 130g 이상 되는 것
(정답률: 62%)
  • 방어는 5~6월에 번식기가 끝나고 체력이 회복되어 영양가가 높아지기 때문에 맛과 품질이 가장 좋습니다. 또한 크기도 8~50g 정도로 적당하며, 이 때는 아직 미성숙한 개체가 많아서 육질이 부드럽고 신선합니다. 따라서 방어의 종묘로는 "5~6월에 잡히는 8~50g 되는 것"이 가장 적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산란기가 되면 결혼색을 나타내고 숫컷은 주둥이 모양이 구상(鉤狀)으로 굽어지는 고기는?

  1. 연어
  2. 은어
  3. 뱀장어
  4. 잉어
(정답률: 75%)
  • 산란기가 되면 연어는 결혼색을 나타내고, 숫컷은 주둥이 모양이 구상(鉤狀)으로 굽어지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수산생물

21. 조개와 속살이게 사이에 일어나고 있는 상호작용(coaction)은?

  1. 기생(Parasitism)
  2. 상호부조(Mutualism)
  3. 포식(Predation)
  4. 편리공생(Commensalism)
(정답률: 90%)
  • 조개와 속살이게 사이의 상호작용은 편리공생입니다. 속살이게는 조개의 껍데기에 붙어서 이동하며, 조개에게는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따라서 속살이게는 조개에게 이익을 주지 않지만, 조개에게 해를 끼치지도 않으므로 편리공생 관계에 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다음 동물 중 가장 광염성인 것은?

  1. 전복
  2. 진주조개
  3. 가리비
  4. 바지락
(정답률: 86%)
  • 바지락은 다른 세 개의 동물과 달리 광합성을 수행하는 식물성 동물인 조류의 일종입니다. 따라서 바지락은 광염성이 가장 높은 동물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식물성 플랑크톤의 50%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것은?

  1. 규조류
  2. 차축조류
  3. 편모조류
  4. 접합조류
(정답률: 91%)
  • 규조류는 식물성 플랑크톤 중에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규조류는 해양 생태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해양 생태계의 생산성과 영양소 순환에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또한 규조류는 해양 생태계의 다양성을 유지하는 데도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장수고래라고도 하며 두장이 체장의 1/4이 되고 세계적으로 분포하며 포획이 금지된 고래는?

  1. 참고래
  2. 대왕고래
  3. 귀신고래
  4. 긴수염고래
(정답률: 75%)
  • 두장이 체장의 1/4이 되는 것으로 보아, 이 고래는 상당히 큰 크기를 가지고 있을 것으로 추정됩니다. 또한 세계적으로 분포하며 포획이 금지된 고래이므로, 멸종 위기에 처한 고래종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 조건들을 모두 만족하는 고래는 "긴수염고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다음 중 우리나라 천연기념물로 보호를 받는 어류는?

  1. 틸라피아
  2. 버들붕어
  3. 칠성장어
  4. 황쏘가리
(정답률: 77%)
  • 우리나라 천연기념물로 보호를 받는 어류는 황쏘가리입니다. 황쏘가리는 우리나라에만 서식하는 희귀한 어종으로, 수직적인 물결 모양의 무늬가 특징입니다. 또한, 황쏘가리는 물이 깨끗한 계곡이나 강에서 서식하며, 환경오염 등으로 인해 멸종 위기에 처해있기 때문에 보호 대상 어류로 지정되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보통 때는 해양에 살다가 산란할 때에는 강으로 올라오는 올림회유를 하는 어류는?

  1. 뱀장어
  2. 송어
  3. 숭어
  4. 멸치
(정답률: 73%)
  • 송어는 산란할 때 강으로 올라와서 올림회유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어류의 성장기에 있어서 후기 자어기를 설명한 것은?

  1. 부화 직후에서 노란자위를 흡수할 때 까지의 시기
  2. 종(species)의 특징을 나타내는 시기로 반문과 색채가 나타나는 시기
  3. 노란자위 흡수후 부터 지느러미의 가지와 연조의 정수가 나타날 때 까지의 시기
  4. 체형이나 반문, 색채등은 성어와 같으나 아직 성적으로 미숙한 시기
(정답률: 70%)
  • 성장기 중 후기 자어기는 노란자위를 흡수한 후 지느러미의 가지와 연조의 정수가 나타나는 시기이기 때문입니다. 이 시기에 어류는 체형이나 반문, 색채 등은 성어와 같으나 아직 성적으로 미숙합니다. 따라서 이 시기는 어류의 성장과 발달에 매우 중요한 시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연골어류의 특징에 해당되는 것은?

  1. 턱이 없다.
  2. 비늘이 잘 발달되어 있다.
  3. 전부 아깜 딱지를 가진다.
  4. 일반적으로 방패비늘을 가지고 있다.
(정답률: 80%)
  • 연골어류는 턱이 없는 대신에 아래턱 대신에 연골로 된 구조물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비늘이 잘 발달되어 있으며, 방패비늘은 연골어류의 특징 중 하나입니다. 방패비늘은 몸통을 보호하고 외부 충격으로부터 방어하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다음 어류 중 태생종인 것은?

  1. 청어
  2. 망상어
  3. 대구
  4. 감성돔
(정답률: 79%)
  • 망상어는 한국의 원산 어종으로, 다른 어종과는 달리 인공 번식이 아닌 자연 번식으로 번식합니다. 따라서 망상어는 태생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조개류의 이동성에 대한 것 중 가리비에 해당되는 것은?

  1. 발을 신축시켜 이동한다.
  2. 분미물질로 풍선을 만들어 그 부력으로 이동한다.
  3. 패각을 개폐시켜 그 반동으로 이동한다.
  4. 고착 또는 부착하여 이동하지 못한다.
(정답률: 84%)
  • 가리비는 패각을 개폐시켜 그 반동으로 이동합니다. 패각은 가리비의 몸 안쪽에 있는 근육으로, 이를 조절하여 물속에서 움직입니다. 패각을 닫으면 물을 밀어내어 가리비가 앞으로 나아갑니다. 반대로 패각을 열면 물이 들어와 가리비가 뒤로 물러갑니다. 이러한 패각의 개폐 움직임으로 가리비는 물속에서 이동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해조류의 생장에 특히 중요한 영양소는?

  1. 인산염과 칼륨
  2. 질산염과 요오드
  3. 질산염과 철분
  4. 질산염과 인산염
(정답률: 91%)
  • 해조류는 광합성을 통해 자신의 생장에 필요한 영양소를 만들어내지만, 이 과정에서 질산염과 인산염이 필요합니다. 질산염은 질소의 원자를 포함하고 있어 단백질 합성에 필요한 영양소입니다. 인산염은 인의 원자를 포함하고 있어 DNA, RNA, ATP 등의 핵산 및 에너지 생성에 필요한 영양소입니다. 따라서 해조류의 생장에는 질산염과 인산염이 특히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한천의 원료로 쓰이지 않는 해조류는?

  1. 꼬시래기
  2. 비단풀류
  3. 감태
  4. 우뭇가사리
(정답률: 55%)
  • 감태는 해조류 중에서 식용으로 많이 이용되는데, 한천의 원료로는 사용되지 않습니다. 이는 감태가 해양에서 자라는 해조류이기 때문에, 한천에서는 자라지 않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한천의 원료로는 사용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분포상 지리적 차이로 기본종과 차이가 생겼을 때 붙이는 이름은?

  1. 속명
  2. 아속명
  3. 아종명
  4. 과명
(정답률: 77%)
  • 분포상 지리적 차이로 인해 기본종과 차이가 생겼을 때 붙이는 이름은 "아종명"입니다. 이는 같은 종 내에서 지리적으로 분리된 개체군을 구분하기 위한 것으로, 아종은 생물 분류학에서 종보다 더 작은 분류 단위입니다. 따라서 아종명은 같은 종 내에서 지리적 차이를 나타내는 이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수산생물을 생태적으로 분류하는데 그 기준이 잘못된 것은?

  1. 부유생물
  2. 표층생물
  3. 유영생물
  4. 저서생물
(정답률: 73%)
  • 표층생물은 수면 위에서 생활하는 생물로서, 생태적으로 분류하는 것은 부적절합니다. 이는 수산생물의 분류 기준 중 하나인 서식층에 해당하는데, 서식층은 수온, 염분, 산소 등의 환경 조건에 따라 다양한 생물군이 분포하는 지역을 말합니다. 따라서, 서식층에 따라 분류하는 것이 더 적절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다음 중 정온동물에 속하는 것은?

  1. 대구
  2. 상어
  3. 고래
  4. 꽃게
(정답률: 84%)
  • 고래는 정온동물에 속합니다. 이는 고래가 체온을 일정하게 유지하며, 외부 환경의 온도 변화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다음 중 물곰팡이의 효과적인 예방약제는?

  1. 테라마이신(teramycin)
  2. 후란다스-10(furandas-10)
  3. 말라카이트 그리인(malachite green)
  4. 머큐로크롬(mercurochrome)
(정답률: 73%)
  • 물곰팡이는 말라카이트 그리인에 민감하게 반응하여 예방 및 치료에 효과적으로 사용됩니다. 말라카이트 그리인은 물곰팡이를 죽이는데 효과적이며, 물고기의 질병 예방에도 사용됩니다. 다른 약제들은 물곰팡이 예방에는 효과적이지만, 치료에는 한계가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백점충의 생활사를 그림으로 표시하였다. 발육과정 중의 피낭체는 어느 시기인가?

  1. 1
  2. 2
  3. 3
  4. 4
(정답률: 86%)
  • 정답인 "3"은 그림에서 발육과정 중의 세포분열이 일어나는 시기를 나타내는 것입니다. 그림에서 피낭체는 세포분열이 일어나는 초기 단계를 나타내며, 이후에는 배아가 발달하면서 다른 구조물들이 형성됩니다. 따라서, 발육과정 중의 피낭체는 세포분열이 일어나는 초기 단계인 "3" 시기에 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잉어가 많은 점액을 분비하며 죽었다. 점액을 현미경으로 보니 트리코디나병에 감염된 것을 알았다. 현미경에 나타난 병원충은 어느 것인가?

(정답률: 93%)
  • 현미경으로 본 병원충의 모양이 ""와 가장 유사하다. 이 모양은 트리코디나병의 원인인 트리코모나스 원충의 모양과 일치한다. 따라서 이 잉어는 트리코디나병에 감염되어 죽은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복부 종양이란 어떤 증상인가?

  1. 복부에 복수가 가득 차 팽만된 증상
  2. 복부에 가스가 가득찬 증상
  3. 장만이라 하며 산란 곤란증을 일으키는 증상
  4. 복부에 효모의 발효작용으로 위가 팽만된 증상
(정답률: 67%)
  • 복부 종양은 복부에 종양이 생겨서 발생하는 증상입니다. 이 중에서 "장만이라 하며 산란 곤란증을 일으키는 증상"이 정답인 이유는, 종양이 장을 압박하면서 장 운동이 원활하지 않아 변비와 같은 증상이 나타나고, 이로 인해 소화가 원활하지 않아 산란 곤란증이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무지개 송어의 경우에 부족시 성장이 억제되고 뼈가 굽어져서 기형이 되는 것은?

  1. 비타민 C
  2. 비타민 A
  3. 비타민 B2
  4. 비타민 B12
(정답률: 77%)
  • 무지개 송어는 비타민 C를 스스로 합성하지 못하므로 외부에서 섭취해야 합니다. 따라서 비타민 C가 부족하면 성장이 억제되고 뼈가 굽어지는 기형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양식장 수질관리 및 양식생물 질병

41. 2종의 독물이 상호작용해서 무독성이 되는 작용은?

  1. 길항작용
  2. 협력작용
  3. 영향작용
  4. 혐기작용
(정답률: 82%)
  • 길항작용은 두 종류의 독물이 서로 상호작용하여 무독성을 나타내는 작용입니다. 이 작용은 두 독물이 같은 대상에 결합하여 경쟁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대상에 결합하여 상호작용을 일으키기 때문에 무독성이 나타나게 됩니다. 예를 들어, A 독물은 대상 X에 결합하여 독성을 나타내지만, B 독물은 대상 Y에 결합하여 독성을 나타내는 경우, A와 B가 함께 존재하면 A는 X에 결합하지 못하고 B는 Y에 결합하지 못하여 무독성이 나타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염분이 생물에 미치는 영향은 매우 큰데, 수중의 염분이 변화하기 쉬운 곳으로 짝지어진 것은?

  1. 연안과 기수구역
  2. 연안과 원양구역
  3. 원양과 심해구역
  4. 심해와 해저구역
(정답률: 84%)
  • 연안과 기수구역은 해안가에 위치하고 있어서, 해양과 육지의 영향을 모두 받기 때문에 수온, 염분, 영양물 등의 환경 조건이 불안정하게 변화하기 쉽습니다. 따라서 생물들은 이러한 환경 변화에 적응하기 위해 다양한 생존 전략을 갖추고 있습니다. 반면에 다른 보기들은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환경 조건을 갖고 있어서, 생물들이 적응하기에는 덜 어려운 환경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다음 중 산소 용존량이 높은 물속에서 사는 것은?

  1. 뱀장어
  2. 미꾸리
  3. 송어
  4. 블루우길
(정답률: 62%)
  • 송어는 산소 용존량이 높은 물속에서 사는 물고기 중 하나입니다. 이는 송어가 산소를 많이 필요로 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다음 중 수중에서 산소 결핍에 가장 약한 동물은?

  1. 갑각류
  2. 패류
  3. 해면류
  4. 어류
(정답률: 100%)
  • 어류는 물 속에서 호흡을 하기 위해 물을 통해 산소를 얻는데, 물 속에서 산소가 부족해져도 물을 통해 산소를 흡수할 수 있기 때문에 다른 동물들보다 산소 결핍에 덜 민감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작은 용기속에 많은 수의 활어를 운반할 때 수질관리 사항 중 가장 중요한 것은?

  1. 용존산소 보충
  2. 먹이 투여
  3. pH 유지
  4. 염분 유지
(정답률: 100%)
  • 작은 용기속에 많은 수의 활어를 운반할 때 수질관리 사항 중 가장 중요한 것은 "용존산소 보충"입니다. 이는 활어들이 호흡을 하기 위해 필요한 산소를 공급해주어 생존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용기 내의 물이 충분한 산소를 포함하고 있지 않으면 활어들은 질식하거나 질병에 걸릴 수 있습니다. 따라서 용기 내의 산소 농도를 유지하기 위해 정기적으로 용존산소를 보충해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해양관측시 수심별 수온 측정에 주로 사용하는 온도계는?

  1. 최고 최저 온도계
  2. 봉상 온도계
  3. 방압 및 피압 전도 온도계
  4. 해수용 자기 온도계
(정답률: 87%)
  • 해양에서는 수심이 깊어질수록 압력이 증가하고, 이에 따라 온도계의 정확도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습니다. 따라서 방압 및 피압 전도 온도계는 수심별 압력 변화에 대응하여 정확한 수온 측정이 가능하며, 해양관측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온도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일반 해수용 아카누마식 비중계(B호)의 비중 범위는?

  1. 1.000 ∼ 1.010
  2. 1.000 ∼ 1.020
  3. 1.020 ∼ 1.030
  4. 1.000 ∼ 1.030
(정답률: 64%)
  • 일반 해수의 밀도는 1.000 ~ 1.010 g/cm³ 이며, 아카누마식 비중계는 이 범위를 벗어나는 물질의 비중을 측정하는데 사용됩니다. 그러나 일부 물질은 이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아카누마식 비중계의 비중 범위는 더 넓은 1.020 ~ 1.030 g/cm³로 설정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이 범위를 벗어나는 물질의 비중을 측정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다음 중 해수에서 크게 중요시 되지 않는 영양 염류는?

  1. 규산염
  2. 질산염
  3. 인산염
  4. 칼륨염
(정답률: 70%)
  • 해수에서 칼륨은 매우 풍부하게 존재하지만, 식물이나 동물의 성장에 필요한 영양 역할을 하지 않기 때문에 크게 중요시 되지 않는 영양 염류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칼륨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포렐 수색계 (Forel scale)는 몇 단계의 색으로 되어 있는가?

  1. 7단계
  2. 9단계
  3. 11단계
  4. 13단계
(정답률: 92%)
  • 포렐 수색계는 물의 색을 11단계로 분류하는데, 이는 물의 색이 어떤 범위에 속하는지를 보다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함입니다. 따라서 7단계나 9단계보다 더 세분화된 11단계로 분류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판단되어 이와 같은 수색계가 사용되고 있습니다. 13단계는 포렐 수색계에서 사용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공기중의 산소량에 대한 일반적인 수중 용존 산소량은?

  1. 1/20 정도이다.
  2. 1/30 정도이다.
  3. 1/40 정도이다.
  4. 1/50 정도이다.
(정답률: 74%)
  • 공기는 대략적으로 21%의 산소와 78%의 질소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하지만 수중에서는 공기와 달리 산소가 물에 용해되어 있기 때문에 수중에서의 산소 농도는 공기와는 다릅니다. 일반적으로 수온, 염분농도, 압력 등에 따라 수중에서의 산소 농도는 다양합니다. 하지만 대략적으로 수온이 20도일 때, 수중에서의 산소 농도는 1/30 정도이며, 이는 공기와 비교하여 매우 낮은 수준입니다. 따라서 수중에서는 산소 공급이 중요하며, 다양한 방법으로 산소를 공급하는 장치가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해수는 담수보다 pH 변화가 어떠한가?

  1. 적다.
  2. 크다.
  3. 일정한 관계가 없다.
  4. 똑같다.
(정답률: 92%)
  • 해수는 담수보다 pH 변화가 적다. 이는 해수가 물에 포함된 염분들로 인해 pH 값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해양 생물들이 pH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기 때문에 자연적으로 pH 값을 조절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경도를 측정할 때 사용되는 적정 용액은?

  1. CaCO3
  2. EBT
  3. EDTA
  4. HCl
(정답률: 92%)
  • EDTA는 금속 이온에 강한 힘으로 작용하여 금속 이온과 결합하고, 이로 인해 적정 용액으로 사용됩니다. 따라서, 경도를 측정할 때에도 EDTA가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pH 지시지를 어떤 용액에 넣었을 때 색깔이 진한 갈색으로 변했다면 그 용액의 수소이온농도는?

  1. 약한 산성
  2. 강한 산성
  3. 약한 알칼리성
  4. 강한 알칼리성
(정답률: 100%)
  • pH 지시지가 갈색으로 변하는 것은 pH 값이 매우 낮아서 산성 용액임을 나타냅니다. 따라서, 이 용액은 강한 산성 용액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야외의 현장 조사에서 많이 이용하는 영양염류 분석의 측정 방법은?

  1. 비탁법
  2. 비색법
  3. 용량법
  4. 중량법
(정답률: 70%)
  • 영양염류 분석에서는 비색법이 많이 이용됩니다. 이는 샘플에 존재하는 영양염류를 산화시켜 색을 만들어내고, 이 색의 진한 정도를 측정하여 영양염류의 양을 파악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간단하고 빠르며 정확도가 높아서 많이 이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용존 산소량 측정에서 반응의 종점을 확정시키는 지시약은?

  1. 티오황산나트륨
  2. 단백질
  3. 탄산마그네슘
  4. 녹말
(정답률: 72%)
  • 용존 산소량 측정에서 녹말은 산화-환원 반응에서 산소가 모두 소비되면 색이 변하는 지시약으로 사용됩니다. 따라서 반응의 종점을 확정시키는 데에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일반적으로 수산 생물이 수중 온도에 따라 독물에 대한 저항력이 약한 경우는?

  1. 저온
  2. 고온
  3. 적온
  4. 항온
(정답률: 75%)
  • 일반적으로 수산 생물은 고온에서 독물에 대한 저항력이 약합니다. 이는 고온에서 생물체의 대사 활동이 증가하면서 독물의 효과가 더욱 강해지기 때문입니다. 또한, 고온에서는 생물체의 면역력이 약해지기 때문에 독물에 대한 저항력이 떨어지게 됩니다. 따라서 수산 생물이 독물에 대한 저항력이 약한 경우는 고온일 때가 많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바퀴벌레나 물벼룩이 양만장에서 대량 발생하면 수색이 황색 내지 황갈색 으로 변하며 뱀장어에게 위험을 준다. 이들이 대량 번식하면 뱀장어에 좋지 않는 이유는?

  1. 치어에게는 먹이가 되어도 성어에게는 먹이가 되지 못하기 때문
  2. 수색변화로 태양광선의 투과를 억제하기 때문다. 이들이 분비한 유독물질로 뱀장어에 각종질병을 유발하기 때문
  3. 이들이 분비한 유독물질로 뱀장어에 각종질병을 유발하기 때문
  4. 용존산소의 소비량이 급증하여 산소부족을 초래하기 때문
(정답률: 82%)
  • 바퀴벌레나 물벼룩이 대량 번식하면 뱀장어의 양이 많아지고, 이들이 호흡하는 물 속의 산소를 소비하는 양도 증가합니다. 이로 인해 뱀장어 주변의 물에서 산소가 부족해지면서 산소부족 상태가 발생하게 됩니다. 따라서 뱀장어에게 위험을 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산소가 부족된 수중에는 혐기성 세균이 작용하여 유기물을 분해하는데 이 때 유독 물질로 분해되는 것이 아닌 것은?

  1. 황화물
  2. 염소물
  3. 메탄
  4. 황화수소
(정답률: 84%)
  • 산소가 부족한 수중에서는 혐기성 세균이 작용하여 유기물을 분해합니다. 이 때, 황화물, 메탄, 황화수소는 유독 물질로 분해될 수 있지만, 염소물은 그렇지 않습니다. 염소물은 산소가 부족한 환경에서도 안정적으로 존재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다음 중 양식장의 바닥갈이 목적과 효과가 아닌 것은?

  1. 바닥의 딱딱해진 조개류 양식장의 저질을 연하게 한다.
  2. 환원 상태인 저질을 갈아주어 산화를 촉진한다.
  3. 잘피류, 종밋등의 유해 생물을 제거한다.
  4. 양식장내의 해수의 유동을 저해하고 있는 퇴적된 퇴사를 제거한다.
(정답률: 74%)
  • 양식장내의 해수의 유동을 저해하고 있는 퇴적된 퇴사를 제거하는 것은 바닥갈이의 목적과 효과가 아닙니다. 이는 양식장의 환경을 개선하고 생산성을 높이기 위한 것이 아니라, 해양생태계의 균형을 유지하기 위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물의 유동 환경의 개선 방법으로 적합하지 못한 것은?

  1. 수중암초의 폭파
  2. 와동초
  3. 골파기
  4. 물길둑
(정답률: 92%)
  • 수중암초의 폭파는 해양 생태계에 매우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물의 유동 환경 개선 방법으로 적합하지 않습니다. 수중암초는 해양 생태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폭파로 인해 생태계의 균형이 깨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수중암초의 폭파는 환경 파괴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적합하지 않은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