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산양식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7-04-01)

수산양식기능사
(2007-04-01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수산양식

1. 피조개 양성장으로 가장 알맞은 곳은?

  1. 바닥이 개흙질이고 해수의 흐름이 좋은 곳
  2. 수심이 얕아 간출이 길며 먹이 생물이 많은 곳
  3. 수심이 깊고 갈조류가 번성한 곳
  4. 육수의 영향을 받지 않는 곳
(정답률: 70%)
  • 피조개는 바닥이 개흙질이고 해수의 흐름이 좋은 곳에서 가장 잘 자라며 번식하기 때문에, "바닥이 개흙질이고 해수의 흐름이 좋은 곳"이 피조개 양성장으로 가장 알맞은 곳입니다. 이러한 환경에서는 먹이 생물도 많이 존재하므로 피조개가 영양분을 충분히 섭취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김사상체 배양관리기간 중 수온의 변화에 따른 조도 조절이 맞는 것은?

  1. 수온 상승에 따라 어둡게 한다.
  2. 수온 상승에 따라 밝게 한다.
  3. 수온과는 관계없이 성장과정에 따라 조절한다.
  4. 수온과 관계없이 일장조도를 유지한다.
(정답률: 84%)
  • 김사상체는 높은 수온에서 성장하는 특성이 있으므로 수온이 상승하면 광합성 작용이 증가하여 광에너지를 더 많이 필요로 합니다. 따라서 어둡게 조절하여 광합성 작용을 조절하고 광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김 성육의 최적 수온은?

  1. 1~3℃
  2. 3~4℃
  3. 5~8℃
  4. 8~12℃
(정답률: 64%)
  • 김 성육은 빙어 낚시를 즐기는데, 빙어는 5~8℃의 물 온도에서 가장 활발하게 움직입니다. 따라서 김 성육의 최적 수온은 5~8℃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빙어가 활발하지 않은 온도 범위이므로 선택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다음 미역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세대교변을 한다.
  2. 우리나라 전 연안에 분포한다.
  3. 1년생 해조류이다.
  4. 포자체 세대와 배우체 세대가 모양이 같은 동형 세대를 가진다.
(정답률: 55%)
  • 정답은 "세대교변을 한다."입니다. 미역은 포자체 세대와 배우체 세대가 모양이 같은 동형 세대를 가지기 때문에 세대교변이 없습니다. 즉, 성체가 생기면 그 모양이 포자체와 같으며, 성체에서 생산되는 생식세포도 포자체와 같은 모양을 가집니다. 따라서 미역은 세대교변을 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방어의 양식 적지조건의로 적합하지 못한 것은?

  1. 해수의 순환이 좋은 곳
  2. 사료의 공급과 출하가 용이한 곳
  3. 강우시 다량의 담수가 유입되는 곳
  4. 수온이 18~29℃로 오래 유지되는 곳
(정답률: 77%)
  • 방어는 염분 농도가 일정한 바다에서 서식하는데, 강우시 다량의 담수가 유입되는 곳은 염분 농도가 낮아지기 때문에 적합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강우시 다량의 담수가 유입되는 곳"이 적지조건으로 적합하지 못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실뱅장어의 포획방법 중 잘못된 것은?

  1. 만조와 사리때 포획한다.
  2. 담수를 유입시키면 대량 포획이 가능하다.
  3. 주로 낮에 포획한다.
  4. 밤에 등불 등 관선으로 모이게 하여 포획한다.
(정답률: 86%)
  • 정답은 "주로 낮에 포획한다."가 아닌 "만조와 사리때 포획한다."입니다.

    실뱅장어는 주로 밤에 활동하며, 물속에서 먹이를 찾아다니기 때문에 낮에는 잠자는 경우가 많습니다. 따라서 주로 밤에 포획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다음 중 순환여과식 사육장치의 시설이 아닌 것은?

  1. 사육조
  2. 침전조
  3. 사료조
  4. 여과조
(정답률: 75%)
  • 사료조는 사료를 저장하는 용기이기 때문에, 순환여과식 사육장치의 시설이 아닙니다. 순환여과식 사육장치는 물을 여과하여 재순환시키는 시스템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사료를 저장하는 용도로 사용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사료조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사료 제조시설로만 짝지워진 것은?

  1. 분쇄기, 초퍼, 펠렛 제조기
  2. 초퍼, 냉장고, 창고
  3. 분쇄기, 사료찌는 솥, 축양사
  4. 분쇄기, 냉장고, 부화실
(정답률: 84%)
  • 사료 제조시설에서는 원료를 분쇄하여 작은 입자로 만들고, 초퍼를 사용하여 원료를 혼합하고, 펠렛 제조기를 사용하여 압축하여 고형 사료로 만듭니다. 따라서 "분쇄기, 초퍼, 펠렛 제조기"가 짝지어진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잉어와 붕어의 종묘가 같은 크기에서 외향으로서 가장 쉽게 구별할 수 있는 특징은?

  1. 붕어는 잉어보다 꼬리지느러미가 유난히 길다.
  2. 잉어는 주둥이 주위에 수염이 있다.
  3. 붕어는 잉어보다 등(체고)이 높다.
  4. 잉어는 붕어보다 몸통이 길다.
(정답률: 92%)
  • 잉어와 붕어는 종묘가 같은 크기에서 외형으로 구별하기 어려운데, 잉어는 주둥이 주위에 수염이 있기 때문에 붕어와 구별하기 쉽습니다. 붕어는 주둥이 주위에 수염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새꼬막의 부유 유생이 부착기에 가까워지면 어떤 변화가 나타나는가?

  1. 면반이 발달하고 섬모운동이 활발해진다.
  2. 발이 발달하고 면반은 퇴화한다.
  3. 발과 면반이 모두 발달하여 유영력이 활발해진다.
  4. 발과 면반이 모두 퇴화한다.
(정답률: 70%)
  • 새꼬막의 부유 유생이 부착기에 가까워지면 발이 발달하고 면반은 퇴화합니다. 이는 부착에 필요한 발의 기능이 강화되고, 유영에 필요한 면반의 기능이 줄어들기 때문입니다. 발은 부착에 필요한 접착력을 발휘하고, 면반은 유영력을 발휘합니다. 따라서 부착에 필요한 발의 기능이 강화되면 면반의 기능은 줄어들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아래 그림은 전복의 발생단계 중 한 기(stage)에 해당하는 것이다. 무엇을 그린 것인가?

  1. 담륜자기
  2. 상실기
  3. 피면자기
  4. 원각기
(정답률: 67%)
  • 그림은 "상실기"에 해당한다. 전복의 발생단계는 "담륜자기", "상실기", "피면자기", "원각기" 순으로 진행된다. "상실기"는 전복이 첫 번째로 껍질을 형성하는 단계로, 껍질의 모양이 뚜껑 모양으로 생겨 "상실기"라고 부른다. "피면자기"는 두 번째로 껍질을 형성하는 단계로, 껍질의 모양이 둥근 모양으로 생겨 "피면자기"라고 부른다. "원각기"는 세 번째로 껍질을 형성하는 단계로, 껍질의 모양이 삼각형 모양으로 생겨 "원각기"라고 부른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금붕어 중 가장 흔한 종류로 몸이 길고 몸 색깔은 적색 또는 적ㆍ백이 섞인 것이 있고, 꼬리는 짧으며, 세꼬리, 네꼬리, 벚꼬리 등을 가진 것은?

  1. 화금
  2. 유금
  3. 난금
  4. 출목
(정답률: 93%)
  • 화금은 금붕어 중에서 가장 흔한 종류이며, 몸이 길고 몸 색깔은 적색 또는 적ㆍ백이 섞인 것이 있고, 꼬리는 짧으며, 세꼬리, 네꼬리, 벚꼬리 등을 가진 특징을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냉장김발의 냉장시기는 해수 수온이 몇 ℃일 때가 가장 좋은가?

  1. 1~6℃
  2. 7~10℃
  3. 13~18℃
  4. 19~23℃
(정답률: 54%)
  • 냉장김발은 해수 수온이 너무 낮으면 굳어지고, 너무 높으면 빨리 상하기 때문에 적절한 수온이 필요합니다. 13~18℃는 김발이 유지하기에 적절한 온도 범위로, 이 범위 내에서 김발이 신선하게 유지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냉장김발의 냉장시기는 13~18℃일 때가 가장 좋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부유 유생 기간을 끝낸 후 일생동안 부착생활을 하는 종류는?

  1. 개량조개
  2. 우렁쉥이
  3. 키조개
  4. 가무락
(정답률: 85%)
  • 우렁쉥이는 부유 유생 기간을 끝낸 후에도 부착생활을 유지하는 종류입니다. 이는 우렁쉥이가 부유생활을 하면서 발달한 부착기관이 강력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우렁쉥이는 일생동안 바닷물 속에서 부착생활을 하며 살아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천연산 채묘 중 비부착성 채묘로 적당한 방법은?

  1. 부동식
  2. 고정식
  3. 완류식
  4. 조위망식
(정답률: 80%)
  • 천연산 채묘 중 비부착성 채묘는 물속에서 자유롭게 떠다니기 때문에, 완류식 방법이 적당합니다. 완류식 방법은 물속에서 자유롭게 떠다니는 채묘를 물의 흐름을 이용하여 수직으로 배치하여 물속에서 안정적으로 유지시키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채묘의 위치를 일정하게 유지시키기 때문에 채수 및 관리가 용이하며, 채묘의 성장에도 도움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다음 중 미역의 포자엽으로 좋지 못한 것은?

  1. 광택이 있는 것
  2. 크고 두꺼운 것
  3. 질기고 점액이 적은 것
  4. 다갈색 또는 흑갈색으로 가장자리의 색이 짙은 것
(정답률: 73%)
  • 미역의 포자엽은 젤리 같은 물질로 이루어져 있어서 부드럽고 쫀득한 식감이 특징입니다. 따라서 질기고 점액이 적은 미역은 식감이 부드럽지 않고 먹기 불편할 뿐만 아니라, 영양가도 낮아서 좋지 않은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우리나라에 서식하고 있는 전복 중 한류계 전복은?

  1. 말전복
  2. 시볼트전복
  3. 둥근전복
  4. 참전복
(정답률: 77%)
  • 한류계 전복은 참전복입니다. 이는 한국에서 가장 많이 잡히는 전복 종류이며, 맛과 품질이 우수하기 때문에 한류계에서도 인기가 높습니다. 또한, 참전복은 해양환경이 깨끗한 지역에서 자라기 때문에 건강에도 좋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담수 어류의 산란 촉진제로 가장 잘 쓰이는 것은?

  1. 링거액
  2. 비타민 C
  3. 뇌하수체
  4. 알코올
(정답률: 80%)
  • 뇌하수체는 성장 호르몬과 난소 호르몬을 분비하여 어류의 성숙과 산란을 촉진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담수 어류의 산란 촉진제로 가장 잘 쓰이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다음 그림은 무엇의 유생인가?

  1. 연어
  2. 잉어
  3. 뱀장어
  4. 방어
(정답률: 80%)
  • 그림에서 유생의 몸길이와 비율이 가장 유사한 것은 "뱀장어"이기 때문입니다. 뱀장어는 몸길이가 길고 머리와 몸통이 길쭉하며, 그림과 같은 형태를 가지고 있습니다. 연어와 잉어는 몸이 더 둥글고 비율이 다르며, 방어는 머리와 몸통의 비율이 다릅니다. 따라서 정답은 "뱀장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다음 중 산란시 수컷이 암컷의 몸을 감고 압력을 주면서 산란행동을 하는 종류는?

  1. 붕어
  2. 잉어
  3. 미꾸라지
  4. 감성돔
(정답률: 84%)
  • 미꾸라지는 산란시 수컷이 암컷의 몸을 감고 압력을 주면서 산란행동을 하는 종류입니다. 이는 미꾸라지의 수컷이 암컷의 몸을 감아서 산란을 유도하는 특별한 산란행동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수산생물

21. 다음 해양 생물 중 가장 먼저 생겨난 것은?

  1. 남조류
  2. 석회조류
  3. 갈조류
  4. 녹조류
(정답률: 58%)
  • 남조류는 지구상에서 가장 오래된 해양 생물 중 하나로, 약 20억 년 전에 이미 존재하였습니다. 이는 지구의 초기에 바다에서 생겨나고 발전해왔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다른 보기들인 석회조류, 갈조류, 녹조류보다 더 먼저 생겨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다음 중 해수에 가장 많이 함유된 성분은?

  1. NaCl
  2. MgCl2
  3. CaCl2
  4. Na2SO4
(정답률: 67%)
  • 해수는 대부분의 경우 염분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그 중에서도 가장 많이 함유된 성분은 나트륨 염화물(NaCl)입니다. 이는 바다에서 수증기가 증발하면서 남은 염분이 물에 녹아들어가는 과정에서 생기는 것입니다. 따라서 해수는 NaCl이 가장 많이 함유된 염분 용액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하램(harem)을 형성하는 수생 포유류는?

  1. 물개
  2. 수달
  3. 해달
  4. 고래
(정답률: 75%)
  • 물개는 수생 포유류 중 하람을 형성하는 종 중 하나입니다. 물개 수컷은 여러 마리의 암컷과 함께 살며, 이들 암컷과 교미하여 번식합니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물개는 하람을 형성하는 수생 포유류로 알려져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다음 중 공기호흡을 할 수 있는 것은?

  1. 농어
  2. 가물치
  3. 가시고기
  4. 뱀장어
(정답률: 65%)
  • 가물치는 물고기 중에서도 머리에 있는 기관을 통해 공기를 흡입하여 호흡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기능을 가진 물고기를 폐쇄형 수어라고도 부릅니다. 다른 보기인 농어, 가시고기, 뱀장어는 모두 아가미를 통해 물 속에서 산소를 흡입하여 호흡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생물 분류의 단계를 바르게 나타낸 것은?

  1. 과 - 목 - 문 - 강 - 속 - 종
  2. 과 - 목 - 문 - 강 - 종 - 속
  3. 문 - 강 - 목 - 과 - 종 - 속
  4. 문 - 강 - 목 - 과 - 속 - 종
(정답률: 67%)
  • 생물 분류는 크게 분류군, 분류계, 문, 강, 목, 과, 속, 종의 단계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 중에서도 분류의 가장 큰 단위는 분류군이며, 이후 분류계, 문, 강, 목, 과, 속, 종 순으로 작은 단위로 분류됩니다. 따라서 "문 - 강 - 목 - 과 - 속 - 종"이 올바른 단계 순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참조기 성어가 우리나라 서해안의 남서방 해역에서 연평도 근해로 회유하는 것은?

  1. 유기회유
  2. 성육회유
  3. 산란회유
  4. 색이회유
(정답률: 79%)
  • 참조기는 번식기에 난알을 낳고 바다에 떠내려가게 되는데, 이때 난알은 물에 녹아서 바다 속으로 흘러들어가게 됩니다. 이러한 난알들이 바다에서 산란하여 분산되는 현상을 산란회유라고 합니다. 따라서 참조기 성어가 우리나라 서해안의 남서방 해역에서 연평도 근해로 회유하는 것은 산란회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경골어류의 표준체장은?

  1. 주둥이 앞 끝에서 항문까지
  2. 주둥이 앞 끝에서 꼬리지느러미 기저까지
  3. 주둥이 앞 끝에서 꼬리지느러미 뒤끝까지
  4. 아감딱지에서 항문까지
(정답률: 77%)
  • 경골어류의 표준체장은 주둥이 앞 끝에서 꼬리지느러미 기저까지이다. 이는 경골어류의 체형이 길쭉하고 민첩하며, 꼬리지느러미가 중요한 역할을 하는 물고기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꼬리지느러미의 길이도 체장에 포함되어야 한다. 항문까지나 아감딱지에서 항문까지는 경골어류의 체형과는 관련이 없는 부분이므로 표준체장에 포함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다음 중 가장 원시적인 종류로 알려진 갑각류는?

  1. 보리새우
  2. 젓새우
  3. 곤쟁이
  4. 풍년새우
(정답률: 64%)
  • 풍년새우는 가장 원시적인 종류로 알려진 갑각류 중 하나입니다. 이는 그들이 가장 간단한 형태의 몸을 가지고 있으며, 다른 갑각류와 비교하여 가장 원시적인 생물학적 특징을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새우류의 유생단계가 바르게 연결된 것은?

  1. 노플리우스 → 조에아 → 미시스
  2. 노플리우스 → 조에아 → 메갈로파
  3. 노플리우스 → 메갈로파 → 미시스
  4. 노플리우스 → 미시스 → 조에아
(정답률: 73%)
  • 새우류의 유생단계는 노플리우스, 조에아, 미시스 순서로 연결됩니다. 이는 새우류의 생명주기에서 노플리우스가 알에서 부화하여 나온 이후에 조에아로 성장하고, 그 후에 미시스로 성장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노플리우스 → 조에아 → 미시스가 올바른 연결 순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해삼의 유생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글라우코토에
  2. 아우리쿨라리아
  3. 비핀나리아
  4. 에키노프루테우스
(정답률: 72%)
  • 해삼의 유생을 아우리쿨라리아라고 하는 이유는, 아우리쿨라리아가 해삼의 유생을 형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입니다. 아우리쿨라리아는 해삼의 몸 안에 있는 작은 구조물로, 해삼의 몸을 지탱하고 영양분을 공급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해삼의 유생을 아우리쿨라리아라고 부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다음 중 알긴산을 가장 많이 가지고 있는 것은?

  1. 남조식물
  2. 갈조식물
  3. 녹조식물
  4. 와편모조식물
(정답률: 75%)
  • 알긴산은 갈조식물에 가장 많이 존재합니다. 이는 갈조식물이 해조류 중에서 가장 큰 종류이며, 다양한 해양 생물들이 이 식물을 먹어서 알긴산을 흡수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다음 중 홍조식물만으로 짝지어진 것은?

  1. 미역, 다시마
  2. 김, 우뭇가사리
  3. 파래, 청각
  4. 감태, 곰피
(정답률: 82%)
  • 홍조식물은 해조류 중에서도 붉은 색소를 가진 해조류를 일컫는 말입니다. 이 중에서 김과 우뭇가사리는 홍조식물에 속하며, 미역, 다시마, 파래, 청각, 감태, 곰피는 홍조식물이 아닙니다. 따라서 정답은 "김, 우뭇가사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녹조식물(chlorophyta)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생식세포의 편모는 2개뿐이다.
  2. 동화 저장물은 녹말이다.
  3. 해산종도 단세포로서 부유생활을 하는 것이 있으나 대부분이 다세포이다.
  4. 대부분 엽록체 내에 단백질의 소체인 피레노이드를 가진다.
(정답률: 70%)
  • 녹조식물의 생식세포는 일반적으로 한 개의 편모를 가지며, 이 편모는 성숙한 생식세포가 형성될 때까지 붙어있는 상태입니다. 따라서 "생식세포의 편모는 2개뿐이다."는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미역, 감태 등의 해조류를 먹고 사는 것은?

  1. 담치
  2. 소라
  3. 가리비
(정답률: 65%)
  • 소라는 해조류를 먹는 것뿐만 아니라, 해조류를 먹이로 하는 다른 조개류들과 함께 해양 생태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담수어에 주로 기생하는 닻벌레의 분류학상 위치는?

  1. 십각류
  2. 만각류
  3. 다모류
  4. 요각류
(정답률: 62%)
  • 닻벌레는 요각류에 속합니다. 이는 닻벌레의 체형이 요각형이기 때문입니다. 요각류는 척추동물 중 하나로, 체형이 요각형이며 다리가 6쌍인 동물들을 말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비브리오병이 가장 많이 발병되는 시기를 바르게 나타낸 것은?

  1. 7~8월로서 수온이 20~30℃ 일 때
  2. 5~6월로서 수온이 10~15℃ 일 때
  3. 9~10월로서 수온이 10℃ 이하 일 때
  4. 3~4월로서 수온이 5℃ 내외 일 때
(정답률: 70%)
  • 비브리오균은 따뜻한 해수에서 번식하며, 수온이 20~30℃일 때 가장 빠르게 번식하므로 이 기간에 가장 많이 발병됩니다. 따라서 7~8월로서 수온이 20~30℃ 일 때가 비브리오병 발병이 가장 많은 시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트리코디나충병을 정확하게 진단하려면 어떤 방법이 가장 좋은가?

  1. 몸의 색깔을 보아 검은색으로 변화하는가의 여부
  2. 비늘이 탈락되고, 몸표면이 충혈되는가의 여부
  3. 운동이 활발하지 않은가의 여부
  4. 체표, 아가미 일부를 떼어 100배 정도의 현미경 관찰, 기생충 검색확인
(정답률: 79%)
  • 트리코디나충은 몸의 색깔이나 비늘 탈락, 운동 활발성 등으로 진단하기 어렵기 때문에, 체표와 아가미 일부를 떼어 100배 정도의 현미경으로 관찰하여 기생충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 가장 정확한 진단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대합의 흡충류인 바시저(Bacciger)속 기생충의 스포로시스트 기생부위는?

  1. 소화기관과 아가미
  2. 중장선과 창자
  3. 생식소와 아가미
  4. 소화기관과 새입정맥
(정답률: 70%)
  • 바시저속 기생충은 대합의 아가미에 기생하는 기생충으로, 스포로시스트 기생부위는 생식소와 아가미입니다. 이는 바시저 기생충이 아가미 내부에서 생식하고, 그 결과로 생산된 스포로시스트가 생식소에서 형성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생식소와 아가미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다른 섬모충과 달리 표피조직 내에 충이 침입해 있기 때문에 완전히 구제하기 힘든 병은?

  1. 백점병
  2. 트리코디나병
  3. 비브리오병
  4. 솔방울병
(정답률: 74%)
  • 백점병은 표피조직 내에 침입한 섬모충으로 인해 발생하는 병으로, 다른 섬모충과 달리 완전히 구제하기 어렵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질소나 산소가 과다하게 용존된 양어장에서 생기기 쉬운 병은?

  1. 가스병
  2. 백점병
  3. 새신병
  4. 비타민 결핍증
(정답률: 77%)
  • 가스병은 질소나 산소가 과다하게 용존된 양어장에서 생기기 쉬운 병으로, 양어가 물 속에서 살아가면서 체내에 쌓인 공기가 물압력의 감소로 인해 확장되어 발생합니다. 이로 인해 양어의 내부 조직이 파괴되고, 증상으로는 눈이 튀어나오고 배가 부어오르며, 심한 경우에는 사망에 이르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양식장 수질관리 및 양식생물 질병

41. 바이러스병이 가장 심하게 피해를 주는 어류는?

  1. 연어, 송어
  2. 잉어, 붕어
  3. 미꾸라지, 뱀장어
  4. 초어, 백연어
(정답률: 65%)
  • 연어와 송어는 대표적인 참치과 어류로, 이들은 높은 가격과 인기로 인해 양식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들은 바이러스병에 매우 취약합니다. 특히 연어는 ISA 바이러스, 송어는 VHS 바이러스 등 다양한 바이러스에 감염될 가능성이 높아서, 양식 시에는 매우 조심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잉어 등의 어류에서 생기는 등여윔병의 주 발생 원인은?

  1. 산화지방의 독성
  2. 탄수화물의 과잉투여
  3. 단백질 성분의 결핍증
  4. 지방의 결핍현상
(정답률: 82%)
  • 잉어 등의 어류에서 생기는 등여윔병의 주 발생 원인은 "산화지방의 독성"입니다. 이는 어류의 지방이 공기 중 산소와 접촉하여 산화되면서 발생하는 독성 물질로 인해 발생합니다. 이 독성 물질은 어류의 간에 부담을 주어 간 기능을 저하시키고, 심한 경우에는 사망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연어과 어류에서 IHN과 IPN질병의 말기증상의 외관상 공통점은?

  1. 나선 선회 운동
  2. 복부팽만
  3. 삼투압 조절의 저해
  4. 평행감각 기능 상실
(정답률: 70%)
  • IHN과 IPN질병의 말기증상에서 복부팽만은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증상입니다. 이는 각각의 질병에서 바이러스에 의해 간이나 췌장 등의 내장기관이 파괴되어서 발생하는 것으로, 내장기관의 파괴로 인해 소화기능이 저하되어 복부에 물질이 축적되어 복부팽만이 발생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노출부족, 광선부족 등에 의한 생리적 장애로 생기는 김의 병은?

  1. 흰 갯병
  2. 구멍 갯병
  3. 녹반병
  4. 호상균병
(정답률: 73%)
  • 김의 병은 광합성에 필요한 빛과 영양분이 부족하여 생기는 생리적 장애로 인해 발생합니다. 이 중에서 광선 부족으로 인한 김의 병을 흰 갯병이라고 합니다. 흰 갯병은 광합성에 필요한 빛이 부족하여 김체가 흰색으로 변하고, 갯바닥에 흰색으로 덮이는 증상이 나타나는 김의 병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어떤 물질의 질량과 이것과 같은 부피를 가진 표준물질의 질량과 비를 무엇이라고 하는가?

  1. 비용
  2. 비중
  3. 질량
  4. 밀도
(정답률: 70%)
  • 비중은 어떤 물질의 질량과 이것과 같은 부피를 가진 표준물질의 질량과의 비율을 말합니다. 이 비율은 해당 물질의 밀도를 나타내며, 밀도는 단위 부피당 질량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비중은 해당 물질의 밀도를 비교하기 위한 지표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담수 양어장에서 하루 중 용존산소가 가장 낮은 때는?

  1. 일출직전
  2. 정오경
  3. 일몰직전
  4. 자정경
(정답률: 80%)
  • 일출직전은 해가 뜨기 전이므로 어장에서는 아직 해가 떠오르지 않아서 광합성이 일어나지 않아서 용존산소가 가장 낮은 시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양어지의 고기가 입오림을 할 때 취하는 올바른 방법은?

  1. 먹이 부족이므로 먹이를 준다.
  2. 해적 침입으로 인한 도핑 중이므로 해적을 구제하여 준다.
  3. 기생충이 어체에 번식하여 자극을 주기 때문에 못을 소독하여 준다.
  4. 호흡관란 때문이므로 산소공급장치를 설치하고 산소를 공급한다.
(정답률: 87%)
  • 양어지의 고기가 입오림을 할 때는 호흡관란이 막히기 때문에 산소를 공급해야 합니다. 따라서 산소공급장치를 설치하여 산소를 공급하는 것이 올바른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수온과 어류의 호흡으로 인한 산소 소비와의 관계를 바르게 설명한 것은?

  1. 어류는 수온이 높을 수록 소량의 산소를 소비한다.
  2. 어류는 수온이 높을 수록 다량의 산소를 소비한다.
  3. 어류는 수온이 낮을 수록 다량의 산소를 소비한다.
  4. 어류의 산소 소비량과 수온변화는 관계가 없다.
(정답률: 82%)
  • 수온이 높을수록 어류의 신진대사가 증가하고 호흡이 활발해지기 때문에 다량의 산소를 소비하게 된다. 따라서 "어류는 수온이 높을 수록 다량의 산소를 소비한다."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일반적으로 봉산온도계의 눈금은 얼마까지 읽는가?

  1. 0.1℃ 까지
  2. 1℃ 까지
  3. 0.01℃ 까지
  4. 10℃ 까지
(정답률: 77%)
  • 봉산온도계는 정밀한 온도 측정을 위한 기기가 아니기 때문에, 보통 0.1℃ 까지 눈금을 읽습니다. 이는 충분히 정확한 측정을 할 수 있는 범위이면서도, 측정값을 더 세밀하게 나타내는 것보다는 측정의 편의성과 가독성을 높이는 것이 목적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1℃ 까지나 10℃ 까지 눈금을 읽는 것은 측정의 정확도와는 별개의 문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해수의 비중과 가장 관계가 깊은 것은?

  1. 염분량
  2. 해류속도
  3. 조석
  4. 수소이온농도
(정답률: 80%)
  • 해수의 비중은 염분량에 크게 영향을 받습니다. 염분이 많이 포함된 해수는 더욱 높은 밀도를 가지게 되어 비중이 높아집니다. 따라서, 염분량이 많은 해수일수록 비중이 높아지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다음 중 pH의 변화가 가장 적은 것은?

  1. 호소의 물
  2. 기수
  3. 하천수
  4. 외해수
(정답률: 88%)
  • 외해수는 해양에서 pH의 변화가 가장 적은 것입니다. 이는 해양의 크기와 해양 생태계의 안정성 때문입니다. 해양은 대기와 다르게 큰 부피를 가지고 있어서 pH의 변화에 대한 완충능력이 높습니다. 또한 해양 생태계는 다양한 생물들이 서로 상호작용하며 균형을 이루고 있기 때문에 pH의 변화에도 상대적으로 안정적으로 대처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외해수는 다른 보기들에 비해 pH의 변화가 적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포렐 수색계(Forel scale)는 몇 단계의 색으로 되어 있는가?

  1. 7단계
  2. 9단계
  3. 11단계
  4. 13단계
(정답률: 67%)
  • 포렐 수색계는 물의 색을 11단계로 분류하는데, 이는 물의 색이 어떤 범위에 속하는지를 보다 정확하게 판단하기 위함이다. 각 단계는 색의 진하기와 채도에 따라 구분되며, 높은 단계일수록 더 진하고 채도가 높은 색상을 나타낸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다음 중 음파를 이용한 유속계에 속하는 것은?

  1. 안데라 유속계
  2. ADCP
  3. 에크만 유속계
  4. 지오다인 유속계
(정답률: 73%)
  • 음파를 이용한 유속계에는 안데라 유속계, ADCP, 에크만 유속계, 지오다인 유속계가 있습니다. 그 중 ADCP는 Acoustic Doppler Current Profiler의 약자로, 음파를 이용하여 수심 내부의 유속을 측정하는 장비입니다. ADCP는 수심 내부의 모든 방향의 유속을 측정할 수 있으며, 대형선박이나 해양조사선 등에서 널리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현탁물이 많은 시료의 전 증발 잔유물을 측정하기 위하여 시료수를 취할 때 가장 좋은 것은?

  1. 메스실린더
  2. 피펫
  3. 메스플라스크
  4. 비중계
(정답률: 54%)
  • 메스실린더는 용량이 정확하게 측정되어 있어서 정확한 양의 시료를 취할 수 있으며, 현탁물이 많은 시료에서도 측정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측정 후에는 쉽게 청소할 수 있어서 재사용이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pH를 계산하는 옳은 식은?

  1. pH = log 1/[H+]
  2. pH = log [OH+]/[H+]
  3. pH = log 1/[OH+]
  4. pH = log [H+]
(정답률: 84%)
  • 정답은 "pH = log 1/[H+]" 입니다.

    pH는 음이온의 로그값으로, 산성 또는 염기성 용액의 수소 이온 농도를 나타냅니다. 수소 이온 농도가 높을수록 용액은 산성이며, 수소 이온 농도가 낮을수록 용액은 염기성입니다. 따라서 pH를 계산하기 위해서는 수소 이온 농도를 알아야 합니다.

    pH = -log[H+]

    하지만 이 식은 계산이 불편하므로, 수소 이온 농도의 역수를 취한 후 로그값을 취하는 방식으로 pH를 계산합니다.

    pH = -log(1/[H+]) = log 1/[H+]

    따라서 "pH = log 1/[H+]"가 옳은 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채수한 후 용존산소의 고정은 어떻게 하는 것이 가장 좋은가?

  1. 실험실로 운반하여 즉시 냉암소에서 한다.
  2. 실험실로 운반하여 24시간 정치한 후 한다.
  3. 채수현장에서 즉시 한다.
  4. 잘 흔들어 햇볕이 있는 곳에 1시간 방치한 후 한다.
(정답률: 73%)
  • 채수한 후 용존산소의 농도는 시간이 지날수록 감소하므로, 채수현장에서 즉시 고정하는 것이 가장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다른 방법들은 운반과 정치 시간 등의 요인으로 인해 용존산소 농도가 변동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적조가 일어나는 원인이 아닌 것은?

  1. 낮은 수온이 계속되고 해수의 유동이 없음
  2. 강우로 인한 많은 육수의 주입으로 해수 중 영양염이 급격히 증가
  3. 수온이 급격히 상승하여 적조생물의 신진대사를 촉진
  4. 무풍상태가 계속됨으로 저층수가 표면으로 올라오지 않는 연안에서 김노디니움 등의 플랑크톤이 폭발적으로 번식
(정답률: 67%)
  • 적조는 해양 생태계에서 생물이 지나치게 번식하여 발생하는 현상입니다. 이 중에서 "낮은 수온이 계속되고 해수의 유동이 없음"은 적조가 발생하지 않는 원인입니다. 적조는 생물이 지나치게 번식하여 발생하는 것이므로, 수온이 낮아지고 해수의 유동이 없어져도 적조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보기에서 "낮은 수온이 계속되고 해수의 유동이 없음"은 적조가 발생하지 않는 원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군집밀도에 차이가 나타나는 한계농도를 무엇이라 하는가?

  1. 치사량
  2. 불호량
  3. 혐기량
  4. 영향량
(정답률: 50%)
  • 한계농도는 군집밀도에 차이가 나타나는 농도의 한계를 말합니다. 이 때, 불호량은 군집밀도가 감소하는 농도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불호량은 한계농도와는 반대로 군집밀도가 감소하는 농도를 나타내므로 정답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다음 중 해수 오염을 일으키는 것이 아닌 것은?

  1. 방류
  2. 해상투기물
  3. 공장폐수
  4. 인공어초
(정답률: 73%)
  • 인공어초는 해양 생태계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해수 오염을 일으키지 않습니다. 반면, 방류, 해상투기물, 공장폐수는 모두 해양 환경에 유해한 물질을 배출하여 해수 오염을 일으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바닥갈이 대상지구로 가장 적합한 곳은?

  1. 진흙 또는 환원성 저질
  2. 단단하게 굳은 저질
  3. 바위나 자갈로 이루어진 저질
  4. 간석지 또는 모래가 많은 저질
(정답률: 67%)
  • 바닥갈이는 지구의 토양을 교체하는 작업으로, 이를 위해서는 바닥갈이 대상지구가 튼튼하고 단단한 저질이어야 합니다. 따라서 "단단하게 굳은 저질"이 가장 적합한 곳입니다. 진흙이나 환원성 저질은 바닥갈이를 하면 지구가 무너질 위험이 있고, 바위나 자갈로 이루어진 저질은 바닥갈이를 하기 어렵기 때문입니다. 간석지나 모래가 많은 저질도 바닥갈이를 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