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조기능장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5-07-17)

주조기능장
(2005-07-17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임의 구분

1. 후란수지를 점결제로 사용하는 주형사에서 모래 100에 대한 경화제의 적당한 사용량은?

  1. 30∼40%
  2. 0.3∼0.4%
  3. 3∼4%
  4. 4∼6%
(정답률: 65%)
  • 후란수지는 점결제로 사용되는 수지 중 하나입니다. 이 수지는 경화제와 함께 사용되어 경화되어 강도가 높은 캐스팅 모델을 만들어냅니다. 모래 100은 표준 모래로, 이 모래에 적당한 양의 경화제를 첨가하여 사용합니다.

    적당한 경화제의 사용량은 모래 100의 양에 따라 다르며, 일반적으로 0.3∼0.4% 정도가 적당합니다. 이유는 경화제의 양이 너무 적으면 모델의 경도가 충분하지 않아 파손될 수 있고, 너무 많으면 경도가 너무 높아져 모델의 표면이 거칠어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적당한 양의 경화제를 첨가하여 적절한 경도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0.3∼0.4%"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표면모래는 어느 성질이 가장 필요한가?

  1. 점결력이 클 것
  2. 통기도가 좋을 것
  3. 내화도가 높을 것
  4. 성형성이 좋을 것
(정답률: 69%)
  • 표면모래는 내화도가 높을 것이 필요합니다. 이는 모래가 고온에 노출될 때 내화성을 유지하고 안정적인 성질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내화도가 낮은 모래는 고온에 노출될 때 변형되거나 붕괴될 수 있으며, 이는 모래의 사용 가능성을 제한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내화도가 높은 표면모래는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사용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상형,하형부분의 모형이 분리선(parting line)을 구성하는 평판의 양측에 붙어있고 일반적으로 탕구계(湯口系) 탕도계(湯道系)도 함꼐 붙어있는 소형주물의 다량 생산에 적합한 모형은?

  1. master pattern
  2. pattern plate
  3. pattern draft
  4. match plate
(정답률: 55%)
  • 상형, 하형 부분의 모형이 분리선을 구성하는 평판의 양측에 붙어있고, 탕구계와 탕도계도 함께 붙어있는 소형 주물의 다량 생산에 적합한 모형은 match plate입니다. 이는 다량 생산에 적합한 이유는 한 번에 여러 개의 주물을 만들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분리선이 명확하게 구분되어 있어 생산 과정에서 정확한 위치를 파악하기 쉽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수축여유와 가공여유를 이중으로 주는 원형은?

  1. 목형
  2. 금형
  3. 석고형
  4. 플라스틱형
(정답률: 71%)
  • 금형은 주로 금속이나 플라스틱 등의 소재를 가공할 때 사용되는 도구로, 원형을 가공하여 그 형태를 복제할 수 있습니다. 이 때, 금형은 원형을 가공할 때 수축여유와 가공여유를 이중으로 주어 원형과 동일한 형태를 만들어내는데, 이는 다른 보기들인 목형, 석고형, 플라스틱형에서는 어렵거나 불가능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금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압력제어 밸브 고장의 원인 중 압력이 너무 높거나 지나치게 낮을 때의 원인이 아닌 것은?

  1. 스프링의 강도가 적절한 경우이다.
  2. 조정핸들에 대한 압력설정이 적당치 않다.
  3. 니들밸브가 정확하게 맞지 않고 있다.
  4. 밸런스 피스톤의 작동 불량이다.
(정답률: 79%)
  • 압력제어 밸브는 스프링의 강도에 따라 압력을 조절하는데, 스프링의 강도가 적절하면 압력을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압력제어 밸브 고장의 원인이 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스프링의 강도가 적절한 경우이다."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주물사의 통기도를 구하는 식이 맞는 것은? [단, V = 시험편을 통과한 공기의 양(cc), h = 시험편의 높이(㎝), P = 시험편 상하의 압력차이에 의한 수주의 높이(㎝/Hg), A = 시험편의 단면적(cm2), t = 공기가 통과하는데 걸리는 시간(분)]

  1. Vh / PAt
  2. VA / Pht
  3. PV / Aht
  4. PA / Vht
(정답률: 70%)
  • 주물사의 통기도를 구하는 식은 Vh / PAt 입니다. 이는 다음과 같은 이유로 설명할 수 있습니다.

    주물사의 통기도는 시험편을 통과한 공기의 양(V)을 시간(t)으로 나눈 값입니다. 따라서 V/t는 시험편을 통과하는 공기의 유속을 나타냅니다.

    시험편을 통과하는 공기의 유속은 시험편 상하의 압력차이(P)와 시험편의 단면적(A)에 비례합니다. 즉, 유속은 P/A와 비례합니다.

    또한, 시험편 상하의 압력차이(P)는 수주의 높이(h)와 밀도(d)에 비례합니다. 즉, P는 hd와 비례합니다.

    따라서, V/t는 hd/A와 비례합니다. 이를 식으로 나타내면 V/t = (hd/A)입니다. 이를 정리하면 V = hAd/t가 됩니다.

    따라서, 주물사의 통기도를 구하는 식은 Vh / PAt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동합금 주물에서 Mold reaction 을 촉진시키고 유동성을 가장 좋게 하는 원소는?

  1. Ca
  2. Al
  3. S
  4. P
(정답률: 65%)
  • 정답은 "P"입니다.

    동합금 주물에서 Mold reaction을 촉진시키는 원소는 주로 황(S)과 인(P)입니다. 그 중에서도 인(P)은 유동성을 가장 좋게 합니다. 이는 인(P)이 주물 내부에서 황(S)과 결합하여 황화물을 형성하면서, 주물 내부의 황(S) 함량을 감소시키기 때문입니다. 황(S) 함량이 감소하면 주물의 유동성이 향상되어 Mold reaction이 촉진됩니다. 따라서, "P"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150번 도가니에서 Al을 약 몇 Kg정도 녹일 수 있는가? (단, Cu 비중 8.9, Al 비중 2.7)

  1. 약 27.5kg
  2. 약 45.5kg
  3. 약 105.5kg
  4. 약 130.5kg
(정답률: 71%)
  • Cu와 Al의 비중을 비교해보면, Cu가 더 높기 때문에 도가니에서 녹이면서 먼저 Cu가 녹아나갈 것입니다. 따라서, 남은 도가니에서 녹일 수 있는 Al의 양은 Cu가 녹아나간 후에 남은 Al의 비중인 2.7이 됩니다.

    150번 도가니의 무게는 주어지지 않았으므로, 답을 구하기 위해서는 먼저 도가니의 총 무게를 구해야 합니다.

    Cu와 Al의 비중을 합하면 8.9 + 2.7 = 11.6 입니다. 따라서, 150번 도가니의 총 무게는 Cu와 Al의 비중을 합한 값으로 나누면 됩니다.

    150 / 11.6 ≈ 12.93

    즉, 150번 도가니의 총 무게는 약 12.93kg 입니다.

    이제, Cu가 녹아나간 후에 남은 도가니에서 녹일 수 있는 Al의 양을 구해보겠습니다.

    Cu가 녹아나간 후에 남은 도가니의 무게는 150 - 27.5 = 122.5kg 입니다. (27.5kg은 Cu의 무게)

    이 도가니에서 녹일 수 있는 Al의 양은 남은 도가니의 무게에 Al의 비중을 곱한 값입니다.

    122.5 x 2.7 ≈ 330.75

    즉, 122.5kg의 도가니에서 녹일 수 있는 Al의 양은 약 330.75kg 입니다.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약 몇 Kg" 이므로, 소수점 이하를 버리고 정수로 계산하면

    330kg

    따라서, 150번 도가니에서 Al을 약 45.5kg 정도 녹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다이캐스팅용 Al합금이 갖추어야 할 조건으로 틀린 것은?

  1. 열간 취성이 적을 것
  2. 응고 수축에 대한 용탕보급성이 좋을 것
  3. 금형에 소착되지 않을 것
  4. 점성이 대체로 클 것
(정답률: 75%)
  • 다이캐스팅용 Al합금이 갖추어야 할 조건 중 "점성이 대체로 클 것"은 틀린 것입니다. 다이캐스팅은 고속으로 용융된 금속을 금형 내부로 주입하여 형상을 만드는 공정으로, 이 때 금속의 유동성이 중요합니다. 따라서 점성이 낮은 것이 유리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제도용지의 폭과 길이의 비율은 얼마인가?

  1. 1 : 2
  2. 2 : 1
  3. 1 : √2
  4. √2 : 1
(정답률: 72%)
  • 제도용지의 폭과 길이의 비율은 "1 : √2" 입니다.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제도용지는 A0 크기의 종이를 2번 접어서 만들어진 A4 크기의 종이입니다. A0 크기의 종이는 가로와 세로의 길이가 같고, 가로와 세로의 비율은 1 : √2 입니다. 따라서 A4 크기의 제도용지는 가로와 세로의 비율이 1 : √2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주철을 용해하는데 적합한 것은?

  1. 용광로
  2. 고로
  3. 용선로
  4. 균열로
(정답률: 66%)
  • 주철을 용해하는 과정에서는 높은 온도와 산소가 필요합니다. 이 중에서도 용선로는 고온과 고압으로 인해 높은 에너지를 발생시키며, 산소를 통해 연소가 일어나 용해에 적합한 환경을 제공합니다. 따라서 용선로가 주철을 용해하는데 가장 적합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다음 그림은 목재의 조직을 도시한 것이다. ①,②,③의 명칭은?

  1. ①적재 ②성장테 ③추재
  2. ①춘재 ②수선 ③정목
  3. ①변재 ②조재 ③수재
  4. ①수선 ②변재 ③수피
(정답률: 71%)
  • ①은 목재의 세로 방향을 따라 있는 섬유를 말하며, 수선이라고 부릅니다. ②는 목재의 가로 방향을 따라 있는 연결 조직을 말하며, 변재라고 부릅니다. ③은 목재의 바깥쪽을 덮고 있는 껍질을 말하며, 수피라고 부릅니다. 따라서, 보기 중 정답은 "①수선 ②변재 ③수피"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규사에 규산나트륨을 4∼6% 첨가, 혼련시켜 CO2가스를 불어넣어 경화시키는 주형법은?

  1. 자경성 주형법
  2. 마그네틱 주형법
  3. CO2 주형법
  4. 시멘트계 주형법
(정답률: 83%)
  • 규산나트륨과 혼련시켜 CO2가스를 불어넣어 경화시키는 주형법은 CO2 주형법이다. 이는 CO2 가스가 반응하여 경화시키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쇳물 온도 측정기로서 전구의 필라멘트의 밝기를 저항기에 바꿔 밝기를 표준으로 해서 고온체 광도와 전구의 색을 일치시켜 온도를 측정하는 휴대가 가능한 쇳물 측정기는?

  1. 열전 고온도계(Thermo eletric Pyrometer)
  2. 광고 온도계(Optical Pyrometer)
  3. 색 고온계(Pyroversum Pyrometer)
  4. 복사 고온계(Radiation Pyrometer)
(정답률: 74%)
  • 광고 온도계는 전구의 필라멘트의 밝기를 저항기에 바꿔 밝기를 표준으로 해서 고온체 광도와 전구의 색을 일치시켜 온도를 측정하는 쇳물 측정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Cupola 조업시 바닥에 물이 고이면 어떤 현상이 일어나는가?

  1. 코크스 비가 저하한다.
  2. 수증기 폭발의 위험이 있다.
  3. 출선량이 증가한다.
  4. 소화작업이 쉬워진다.
(정답률: 80%)
  • Cupola 조업시 바닥에 물이 고이면, 물과 용융된 금속이 반응하여 급격한 증기 발생이 일어납니다. 이 증기는 폭발성이 있으며, 수증기 폭발의 위험이 있습니다. 따라서 Cupola 조업시 바닥에 물이 고이면 즉시 제거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구멍과 축이 억지 맞춤일 때는 어느 경우인가?

  1. 구멍의 최소 허용치수 > 축의 최대 허용치수
  2. 구멍의 최대 허용치수 > 축의 최소 허용치수
  3. 구멍의 최대 허용치수 < 축의 최소 허용치수
  4. 구멍의 최소 허용치수 = 축의 최대 허용치수
(정답률: 76%)
  • 구멍과 축이 억지 맞춤일 때는 구멍의 최대 허용치수 < 축의 최소 허용치수인 경우입니다. 이는 구멍의 최대 허용치수가 축의 최소 허용치수보다 작기 때문에 축이 구멍 안으로 들어가지 못하고 맞지 않게 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구멍과 축이 맞지 않으므로 적절한 크기의 구멍과 축을 선택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전동기의 정, 역전회로 등에서 다른 계전기의 동시 동작을 금지시키는 회로는?

  1. 인터로그회로
  2. 입력우선회로
  3. 기동우선회로
  4. 정지우선회로
(정답률: 79%)
  • 인터로그회로는 다른 계전기의 동시 동작을 금지시키는 회로로, 입력 신호가 들어오면 출력 신호가 차단되어 다른 계전기의 동작을 막습니다. 따라서 전동기의 정, 역전회로 등에서 다른 계전기의 동시 동작을 막기 위해 인터로그회로를 사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최초로 주입된 용탕을 포착하여 불순물등을 제거하는 탕구계의 부위는?

  1. 탕구
  2. 주입구
  3. 탕도
  4. 탕도선
(정답률: 56%)
  • 탕도선은 최초로 주입된 용탕을 포착하여 불순물 등을 제거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탕도선이 탕구계의 부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합금의 수축으로 체적이나 치수가 감소하는데 아무 장해가 없을 때의 수축을 무슨 수축이라고 하는가?

  1. 체적수축
  2. 선수축
  3. 자유수축
  4. 주조수축
(정답률: 72%)
  • 자유수축은 합금이 외부 제약 없이 자유롭게 수축하는 것을 말합니다. 즉, 합금이 주변 환경과 상호작용하지 않고 자유롭게 수축할 때 발생하는 수축을 의미합니다. 다른 세 가지 수축은 외부 제약이나 조건에 따라 발생하는 수축이므로, 자유수축과 구분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구상 흑연주철품에 해당하는 기호는?

  1. GC
  2. GCD
  3. BSC
  4. SC
(정답률: 71%)
  • 구상 흑연주철품은 Graphite Composite Design의 약자인 GCD로 표기됩니다. 이는 해당 제품이 흑연과 철을 혼합하여 만들어진 복합재료임을 나타내며, GC와 BSC는 각각 Graphite Composite와 Black Steel Composite의 약자이며, SC는 Steel Composite의 약자입니다. 따라서 GCD가 구상 흑연주철품에 해당하는 기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임의 구분

21. 도면에 40 + 0.005 ∼ -0.003 으로 표시된 공차의 범위에 해당되는 것은?

  1. 0.002
  2. -0.002
  3. 0.008
  4. 0.0002
(정답률: 69%)
  • 도면에 표시된 공차의 범위는 40에서 0.003을 뺀 값부터 0.005를 더한 값까지이므로,

    40 - 0.003 + 0.005 = 40.002 ~ 40 + 0.005 = 40.005

    따라서, 가능한 범위는 40.002에서 40.005까지이며, 이 범위의 차이는 0.005 - 0.002 = 0.003이므로, 정답은 0.003의 2배인 0.006이 아닌, 0.008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탄소강을 기름에 소입하였을때 600℃Ar' 변태 부근에서 나타나는 조직은?

  1. 퍼얼라이트(pearlite)
  2. 마르텐사이트(martensite)
  3. 트루스타이트(troostite)
  4. 소르바이트(sorbite)
(정답률: 56%)
  • 탄소강을 기름에 소입하면 냉각속도가 느리기 때문에, 주로 소프트한 마이크로조직인 소르바이트가 형성됩니다. 그러나 600℃Ar' 변태 부근에서는 탄소강의 미세조직이 변화하여, 소르바이트 대신에 트루스타이트가 형성됩니다. 이는 소르바이트보다 더 높은 인성과 인장강도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일부 고강도 부품 제작에 이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그림의 탕구는 어느 것인가?

  1. parting line gate
  2. bottom gate
  3. top gate
  4. top pencil gate
(정답률: 70%)
  • 그림에서 탕구는 부재의 상단과 하단을 연결하는 선 상에 위치하고 있으며, 이는 부재의 형상을 나누는 경계선인 parting line과 연결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이 탕구는 parting line gate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후란(Furan)계 수지의 종류를 열거 하였다. 틀린 것은?

  1. 훌후릴알콜/포름알데히드계 수지(FA/F)
  2. 요소 포름알데히드/훌후릴알콜계 수지(UF/FA)
  3. 페놀-포름알데히드/훌후릴알콜계 수지(PF/FA)
  4. 요소-페놀/훌후릴알콜계 수지(UP/FA)
(정답률: 57%)
  • "요소-페놀/훌후릴알콜계 수지(UP/FA)"가 틀린 것입니다. 이유는 "UP/FA"는 존재하지 않는 수지 종류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그림과 같은 결함(A)의 명칭은 무엇인가?

  1. cold shot
  2. shrinkage cavity
  3. inculusion
  4. blister
(정답률: 70%)
  • 이 결함은 "shrinkage cavity"라고 불리며, 주조 과정에서 물질이 축소되어 공기가 포집되어 생긴 결함입니다. "cold shot"은 주조 과정에서 물질이 냉각되어 생긴 결함을 뜻하며, 이와는 다른 결함입니다. 따라서 "cold shot"은 이 문제와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용선로 용해에 있어서 컴퓨터 제어 항목이 아닌 것은?

  1. 용해속도
  2. 용선제고량
  3. 주입속도
  4. 주물냉각속도
(정답률: 71%)
  • 주물냉각속도는 용선로 용해에 관련된 항목이 아니라, 주물이 형성된 후 냉각되는 과정에서의 제어 항목입니다. 따라서 이는 용선로 용해에 관련된 항목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다음 중 Core box로 사용되는 것으로 틀린 것은?

  1. 동합금형
  2. 목형
  3. Shell형
  4. Al형
(정답률: 64%)
  • Shell형은 Core box가 아닌 Mold box에 사용되는 형태입니다. Core box는 주로 캐스팅 제작 과정에서 코어를 만들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코어를 만들기 위한 형태를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Shell형은 Core box로 사용되는 것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주철주물에 있어서 인장강도가 급격히 저하되는 온도는?

  1. 300℃
  2. 400℃
  3. 550
  4. 650℃
(정답률: 58%)
  • 주철주물은 400℃ 이상의 온도에서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인장강도가 급격히 저하됩니다. 이는 주철주물의 구조적인 변화로 인해 발생하는데, 400℃ 이상의 온도에서 주철주물 내부의 탄화물이 용융되어 결합력이 약해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400℃ 이상의 온도에서는 주철주물의 인장강도가 급격히 감소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구리, 황동, 청동의 현미경 조직시험에 필요한 부식액으로 맞는 것은?

  1. 피크린산 5% + 알코올 용액
  2. 염화제이철 5g + 진한 염산 50cc + 물 100cc
  3. 피크린산 2g + 가성소오다 25g을 물에 녹여 100cc로 한 것
  4. 염산 15cc + 피크린산 1g + 알코올 100cc
(정답률: 65%)
  • 구리, 황동, 청동은 모두 금속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부식액으로 염화제이철과 진한 염산을 사용하는 것이 적합합니다. 이는 염화제이철이 금속의 부식을 촉진시키는 효과가 있고, 진한 염산은 금속의 표면을 청소하여 부식액이 더욱 효과적으로 작용할 수 있도록 합니다. 따라서, 염화제이철 5g + 진한 염산 50cc + 물 100cc이 구리, 황동, 청동의 현미경 조직시험에 적합한 부식액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코어프린트 부착목적 중 관련이 가장 적은 것은?

  1. 코어의 위치결정
  2. 코어의 부상방지
  3. 가스배출
  4. 코어사 제거용이
(정답률: 61%)
  • 코어프린트는 제품의 정확한 위치 결정과 부상 방지를 위해 부착됩니다. 또한 가스배출을 돕기도 합니다. 하지만 코어사 제거용이는 코어프린트의 부착 목적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코어사 제거용이란 코어를 제거할 때 쉽게 분리할 수 있는 기능을 말하는데, 이는 코어프린트의 부착과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습니다. 따라서 코어사 제거용이가 코어프린트 부착 목적 중에서는 관련이 가장 적은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탄소와 실리콘의 함량이 가장 높은 범위에 속하는 주철 재료는?

  1. 강인주철
  2. 흑심가단 주철
  3. 백심가단 주철
  4. 구상흑연 주철
(정답률: 62%)
  • 구상흑연 주철은 탄소와 실리콘 함량이 가장 높은 범위에 속하는 주철 재료입니다. 이는 구상흑연 주철이 탄소 함량이 3.2~4.5%, 실리콘 함량이 1.5~3.0%로 높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구상흑연 주철은 경도와 내마모성이 뛰어나며, 고온에서도 안정적인 성질을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원판을 만드는데 가장 편리한 목공기계는?

  1. band saw
  2. circular saw
  3. planner
  4. belt sander
(정답률: 67%)
  • 원판은 둥근 모양이기 때문에, 원목을 둥근 모양으로 자르는 것이 가장 효율적입니다. 이를 위해서는 블레이드가 곡선을 따라 자를 수 있는 목공기계가 필요합니다. 따라서, 가장 적합한 목공기계는 "band saw"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수동식 졸트 스퀴즈 조형기에 사용할 메치플레이트로 가장 적합한 재료는?

  1. 알루미늄제
  2. 목제
  3. 주철제
  4. 청동제
(정답률: 50%)
  • 수동식 졸트 스퀴즈 조형기는 압력을 가해야 하므로 강도가 높은 재료가 필요합니다. 이 중에서도 알루미늄은 경량이면서도 강도가 높아 가공성이 우수하며 내식성과 내화성도 뛰어나기 때문에 메치플레이트로 가장 적합한 재료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알루미늄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다음의 예는 주물재질과 탈산제 또는 탈가스제를 짝지은 것이다. 이중에 틀린 것은?

  1. 구리합금-인동(燐銅)
  2. Al합금 - Cl2가스
  3. 주강 - Al
  4. 주철 - Ca
(정답률: 58%)
  • 주철은 탈산제로 Si, Mn, Mg 등이 사용되는데 Ca는 탈산제로 사용되지 않습니다. 대신에 Ca는 주철의 결정화를 개선하는데 사용됩니다. 따라서 "주철 - Ca"가 틀린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강자성체의 금속은?

  1. Co
  2. Ag
  3. Cu
  4. Bi
(정답률: 64%)
  • 강자성체는 자기장에 의해 자기적으로 정렬되는 성질을 가진 물질을 말합니다. 이러한 성질을 가진 금속 중에서는 Co (코발트)가 가장 강한 강자성체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Co"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강의 냉간가공시 감소되는 기계적 성질은?

  1. 경도
  2. 항복점
  3. 인장강도
  4. 연신율
(정답률: 69%)
  • 강의 냉간가공은 강을 압력을 가해 성형하는 과정으로, 이 과정에서 강의 결정 구조가 변화하면서 기계적 성질이 변화합니다. 이 중에서 연신율은 강의 냉간가공시 감소되는 기계적 성질입니다. 연신율은 강이 얼마나 늘어나는지를 나타내는 지표로, 강이 냉간가공되면 결정 구조가 조밀해지고 결함이 증가하면서 연신율이 감소합니다. 따라서 강의 냉간가공시 연신율이 감소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회주철품의 주조품 시험검사에서 주조품을 파괴하여야 할 수 있는 검사법은?

  1. 외형검사
  2. 치수검사
  3. 중량검사
  4. 조직검사
(정답률: 78%)
  • 주조품의 내부 구조나 결함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주조품을 파괴하여 내부를 살펴볼 수 있는 검사법이 필요합니다. 이러한 검사법 중에서도 조직검사는 주조품의 내부 구조를 파악하기 위해 주조품을 잘라내어 조직을 채취하여 현미경으로 살펴보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주조품의 내부 결함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조직검사가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다음 중 주물사의 노화원인으로 틀린 것은?

  1. 사립의 이상팽창에 의한 균열
  2. 점결제의 점결력 상실
  3. 주물사와 접결제의 mold reaction 저하
  4. 사립의 형상 변형
(정답률: 68%)
  • 주물사와 접결제의 mold reaction 저하가 주물사의 노화원인이 아닙니다. 주물사와 접결제의 mold reaction은 주물사의 형태를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이것이 저하되면 주물사의 형태 변형이나 결함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주물사의 노화원인으로는 사립의 이상팽창에 의한 균열, 점결제의 점결력 상실, 사립의 형상 변형 등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불량목형을 방지하여 우수한 주물을 생산하려면 종합적인 대책이 필요하다. 바람직하지 않은 것은?

  1. 목형제작자에게 주형 조형 기술에 대한 교육보다 목형제작교육이 필요하다.
  2. 목형 제작 방안을 확립하여 목형을 제작한다.
  3. 검사 부문을 강화시켜서 검사원이 반드시 검사하도록 한다.
  4. 정기적 교육과 검사에 따른 품질관리 교육도 겸하여 실시한다.
(정답률: 77%)
  • "목형제작자에게 주형 조형 기술에 대한 교육보다 목형제작교육이 필요하다."가 바람직하지 않은 것이다. 이유는 목형제작자가 주형 조형 기술을 알지 못하면 올바른 목형을 제작할 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주형 조형 기술에 대한 교육과 함께 목형제작교육도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목재를 톱으로 잘라가면 톱날이 끼여서 톱질이 어려워진다. 이와 같은 현상을 줄이기 위하여 날끝을 양쪽으로 엇갈리게 구부린 것은 ?

  1. 날어김
  2. 피치
  3. 절삭각
  4. 측면 경사각
(정답률: 77%)
  • 날어김은 톱날의 날끝을 양쪽으로 엇갈리게 구부려서 톱질 시 톱날이 끼이는 현상을 줄이는 기술입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정답은 "날어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임의 구분

41. 원심 주조법의 특징을 설명한 것 중 틀린 것은?

  1. 편석이 발생하기 쉽다.
  2. 주로 원통형의 제작에 용이하다.
  3. 내부조직이 외부조직보다 치밀하다.
  4. Core가 필요없다.
(정답률: 62%)
  • "내부조직이 외부조직보다 치밀하다."는 원심 주조법의 특징이 아닙니다. 원심 주조법은 금속을 높은 압력으로 주조하는 방법으로, 편석이 발생하기 쉽고 주로 원통형의 제작에 용이하며, Core가 필요하지 않은 등의 특징이 있습니다. 내부조직이 외부조직보다 치밀하다는 특징은 다른 주조 방법 중 하나인 사주조법의 특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목재가 원형제작에 가장 많이 사용되는 이유로 볼 수 없는 것은?

  1. 금속에 비해 재료비, 가공비가 싸며, 다량생산, 특별한 정도를 고려하지 않은 경우에 유리하다.
  2. 석재, 시멘트 등에 비해 가볍고 가공성이 좋으며 취성이 적다.
  3. 합성수지에 비해 값이 싸고, 소량의 경우에도 가공비가 싸다.
  4. 기계적 강도가 금속 및 합성수지보다 약하며, 치수의 정밀성을 유지하지 못한다.
(정답률: 66%)
  • 목재가 원형제작에 가장 많이 사용되는 이유는 "석재, 시멘트 등에 비해 가볍고 가공성이 좋으며 취성이 적다.", "금속에 비해 재료비, 가공비가 싸며, 다량생산, 특별한 정도를 고려하지 않은 경우에 유리하다.", "합성수지에 비해 값이 싸고, 소량의 경우에도 가공비가 싸다." 이지만, "기계적 강도가 금속 및 합성수지보다 약하며, 치수의 정밀성을 유지하지 못한다."는 이유로 볼 수 없는 것은, 이유가 목재의 단점을 나타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다음중 염기성 내화물은?

  1. 규사
  2. 돌로마이트
  3. 내화점토
  4. 납석
(정답률: 67%)
  • 염기성 내화물은 화학적으로 염기성 환경에서도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내화물을 말합니다. 이 중에서 돌로마이트는 칼슘과 마그네슘의 탄산염으로 이루어져 있어 염기성 환경에서도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돌로마이트는 염기성 내화물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용금의 물리적 침투나 화학반응이 일어나는 것을 막고 주형 표면을 곱게하기 위하여 주형표면에 도장을 하는 것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이형제
  2. 도형제
  3. 첨가제
  4. 점결제
(정답률: 73%)
  • 주형표면에 도장을 하는 것은 도형제라고 합니다. 이는 주형의 표면을 보호하고, 물리적 침투나 화학반응을 막아서 주형의 수명을 연장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됩니다. 또한, 도형제는 주형표면을 곱게 만들어서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키는 역할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연천인율을 바르게 설명한 것은?

  1. (평균근로자수 / 재해자수) ×1000
  2. (연근로시간 / 재해건수) ×1000
  3. (재해자수 / 평균근로자수) ×1000
  4. (근로손실일수 / 연근로시간수) ×1000
(정답률: 71%)
  • 연천인율은 일하는 도중에 발생한 재해의 빈도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따라서 재해가 발생한 사람의 수를 일하는 사람의 수로 나누어서 비율을 구합니다. 이 비율을 1000으로 곱하여 천 명당 재해 발생 건수를 구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재해자수 / 평균근로자수) ×1000"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흑연이 존재하지 않는 것은?

  1. 흑심가단주철
  2. 구상흑연주철
  3. 백주철
  4. 회주철
(정답률: 79%)
  • 흑연은 탄소 원자들이 평면 구조로 배열된 것을 말합니다. 그러나 백주철은 탄소 원자가 아니라 철 원자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흑연이 존재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백주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주조품의 내부결함을 찾아낼 수 있는 비파괴 시험법은?

  1. 육안검사법
  2. 염색침투탐상법
  3. 초음파탐상법
  4. 침투탐상법
(정답률: 81%)
  • 초음파탐상법은 고주파음파를 이용하여 주조품 내부의 결함을 탐지하는 비파괴 시험법입니다. 이는 육안으로는 확인하기 어려운 내부 결함도 탐지할 수 있어 매우 유용합니다. 따라서 주조품의 내부 결함을 찾아낼 수 있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모형공장 규모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모형공장의 크기는 주물공장 크기의 1/3 - 1/4 정도가 적당하다.
  2. 모형공장의 작업면적은 1인당 약 10 - 17m2 정도가 적당하다.
  3. 정숙한 환경으로 밝기가 100럭스(Lx) 이상이어야 한다.
  4. 작업장에는 작업의 능률상 기계, 작업대, 조립 정반 등을 함께 동시에 배치함이 좋다.
(정답률: 70%)
  • 작업장에는 작업의 능률상 기계, 작업대, 조립 정반 등을 함께 동시에 배치함이 좋다는 설명이 틀립니다. 이는 오히려 작업의 효율성을 떨어뜨릴 수 있습니다. 작업장 내에서 각각의 작업에 필요한 장비와 도구를 분리하여 배치하는 것이 더 효율적입니다. 예를 들어, 조립 작업을 하기 위해서는 작업대와 조립 정반이 필요하지만, 주물 작업을 하기 위해서는 작업대와 주물용 기계가 필요합니다. 따라서 작업장 내에서 각각의 작업에 필요한 장비와 도구를 분리하여 배치하는 것이 더 효율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컴퓨터에 의한 공정계획(CAPP)시스템의 장점 중 틀린 것은?

  1. 공정합리화와 표준화
  2. 다른 응용프로그램의 통합
  3. 공적계획 리드타임의 증가
  4. 공정계획 입안자의 생산성증가
(정답률: 67%)
  • 공적계획 리드타임의 증가는 CAPP 시스템의 장점이 아니라 단점입니다. CAPP 시스템은 공정합리화와 표준화, 다른 응용프로그램의 통합, 공정계획 입안자의 생산성 증가 등의 장점이 있습니다. 공적계획 리드타임의 증가는 시스템 구현이나 운영에 문제가 있거나, 시스템 사용자의 능력 부족 등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목형의 주체가 되는 부분이나 치수의 정밀을 요하는 부분에 사용되는 목재는?

  1. 정목(柾目)
  2. 판목(板目)
  3. 종목(縱目)
  4. 변재(邊材)
(정답률: 73%)
  • 정목은 목재의 섬유가 일직선으로 나열되어 있어서 강도와 안정성이 뛰어나며, 부드러운 질감과 아름다운 무늬가 특징입니다. 따라서 목형의 주체가 되는 부분이나 치수의 정밀을 요하는 부분에 사용되는 것이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부식이 가장 일어나기 쉬운 금속재료는?

  1. Fe
  2. Au
  3. Pt
  4. Cu
(정답률: 77%)
  • Fe는 철이며, 산화되기 쉽고 습기에 노출되면 산화가 더욱 심해져 부식이 일어나기 쉬운 금속재료입니다. 따라서 Fe가 가장 일어나기 쉬운 금속재료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cupola 조업에서 슬랙(slag)의 염기도를 구하는 식은 ?

  1. (CaO+MgO) / SiO2
  2. (CaO+SiO2) / MgO
  3. (SiO2+MgO) / CaO
  4. SiO2 / (CaO+MgO)
(정답률: 72%)
  • 슬랙은 주로 SiO2, CaO, MgO 등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 중에서 염기성을 띄는 것은 CaO와 MgO입니다. 따라서 슬랙의 염기도를 구하기 위해서는 CaO와 MgO의 함량을 분자에 더해주고, 산성을 띄는 SiO2의 함량을 분모에 더해주면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CaO+MgO) / SiO2"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주물사에 사용되는 점결제중 유기질 점결제에 속하는 것은 ?

  1. 벤토나이트(Bentonite)
  2. 피치(Pitch)
  3. 내화점토(Fire clay)
  4. 몬트모리노 나이트(Montmorilonite)
(정답률: 53%)
  • 주물사에서 사용되는 유기질 점결제는 피치(Pitch)입니다. 이는 나무에서 추출한 유기화합물로, 점도가 높아 주물사에서 사용됩니다. 벤토나이트, 내화점토, 몬트모리노 나이트는 무기질 점결제에 속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작업환경과 관련이 가장 먼 것은?

  1. 온도
  2. 냉수관리
  3. 소음
  4. 분진
(정답률: 80%)
  • 작업환경은 일하는 공간과 관련된 것이며, 온도, 소음, 분진 등은 작업환경과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하지만 냉수관리는 작업환경과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따라서 냉수관리가 작업환경과 관련이 가장 먼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다음 중 로트별 검사에 대한 AQL 지표형 샘플링검사 방식은 어느 것인가?

  1. KS A ISO 2859-0
  2. KS A ISO 2859-1
  3. KS A ISO 2859-2
  4. KS A ISO 2859-3
(정답률: 67%)
  • 정답은 "KS A ISO 2859-1"입니다. 이는 로트별 검사에서 AQL(Acceptable Quality Level) 지표를 사용하여 샘플링 검사를 수행하는 방식을 의미합니다. 이 방식은 제품의 불량률을 허용 가능한 수준으로 제한하고, 샘플링 검사를 통해 제품의 품질을 평가합니다. KS A ISO 2859-1은 일반적으로 제품의 수량이 2,500개 이하인 경우에 적용되며, 제품의 수량에 따라 다른 AQL 수준을 적용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다음 데이터로부터 통계량을 계산한 것 중 틀린 것은?

  1. 중앙값(Me) = 24.3
  2. 제곱합(S) = 7.59
  3. 시료분산(s2) = 8.988
  4. 범위(R) = 7.6
(정답률: 70%)
  • 제곱합(S) = 7.59이 틀린 것입니다.

    제곱합(S)는 각 데이터와 평균값의 차이를 제곱한 값의 합으로 계산됩니다. 따라서 S = (19.5-24.3)2 + (22.1-24.3)2 + (23.4-24.3)2 + (24.1-24.3)2 + (25.2-24.3)2 = 7.59이 아니라 S = (19.5-23.86)2 + (22.1-23.86)2 + (23.4-23.86)2 + (24.1-23.86)2 + (25.2-23.86)2 = 8.988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제곱합(S) = 7.59"이 아니라 "제곱합(S) = 8.988"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여력을 나타내는 식으로 가장 올바른 것은?

  1. 여력 = 1일 실동시간 × 1개월 실동시간 × 가동대수
  2. 여력 = (능력 - 부하) ⒡ 1/100
  3. 여력 = (능력 - 부하)/능력 ⒡ 100
  4. 여력 = (능력 - 부하)/부하 ⒡ 100
(정답률: 69%)
  • 가장 올바른 식은 "여력 = (능력 - 부하)/능력 ⒡ 100" 입니다. 이는 여력을 능력과 부하의 차이를 능력으로 나눈 후 100을 곱해 퍼센트로 나타낸 것입니다. 여기서 능력은 일정 기간 동안 할 수 있는 일의 양이며, 부하는 실제로 일을 하는 시간입니다. 따라서 여력은 능력에서 부하를 뺀 나머지 일을 얼마나 잘 수행할 수 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다음 중 계량치 관리도는 어느 것인가?

  1. R 관리도
  2. nP 관리도
  3. C 관리도
  4. U 관리도
(정답률: 53%)
  • R 관리도는 측정값들의 변동성을 관리하는데 사용되는 계량치 관리도입니다. R 관리도는 측정값들의 범위를 추적하여 공정의 안정성을 평가하고, 공정의 변동성을 줄이기 위한 개선점을 찾는데 유용합니다. 따라서, R 관리도가 계량치 관리도 중에서 측정값들의 변동성을 관리하는데 사용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생산보전(PM:Productive Maintenance)의 내용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사후보전
  2. 안전보전
  3. 예방보전
  4. 개량보전
(정답률: 63%)
  • 안전보전은 생산설비의 안전성을 유지하고 개선하는 활동으로, 생산보전과는 다른 분야입니다. 생산보전은 생산설비의 가동률과 성능을 유지하고 개선하는 활동으로, 예방보전, 사후보전, 개량보전 등이 포함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다음 중에서 작업자에 대한 심리적 영향을 가장 많이 주는 작업측정의 기법은?

  1. PTS법
  2. 워크 샘플링법
  3. WF법
  4. 스톱 워치법
(정답률: 57%)
  • 스톱 워치법은 작업자가 작업을 수행하는 데 걸리는 시간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자의 성과를 가장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작업자는 자신의 성과를 인식하고, 성과 향상을 위해 노력하게 됩니다. 따라서 작업자에게 가장 큰 심리적 영향을 주는 작업측정의 기법으로 평가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