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업종묘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7-04-01)

임업종묘기능사
(2007-04-01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임의 구분

1. 꽃가루와 배주가 정상적으로 온전하여도 같은 종류의 인자를 가진 개체사이에서 화분관의 신장을 억제하는 물질을 분비하여 수정을 방해하는 현상은?

  1. 꽃가루 붙임성
  2. 위치적붙임성
  3. 자가불화합성
  4. 수술붙임성
(정답률: 91%)
  • 화분관의 신장을 억제하는 물질을 분비하는 것은 자가불화합성입니다. 이는 같은 종류의 인자를 가진 개체 사이에서 발생하는 현상으로, 개체 자신이 분비한 화합물이 자신의 신장을 억제하는 것입니다. 이러한 자가불화합성은 생식적으로 유리한 결과를 가져오기 때문에 진화 과정에서 발생하게 되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열매 및 종자구조는 과피(씨방벽), 배(씨눈), 배유(씨젖), 주심(내종피), 주피(씨껍질)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바깥쪽에서 안쪽으로 배치되는 순서가 옳은 것은?

  1. 과피 - 주피 - 배유 - 주심 - 배
  2. 주피 - 과피 - 배유 - 주심 - 배
  3. 과피 - 주피 - 주심 - 배유 - 배
  4. 주피 - 과피 - 주심 - 배유 - 배
(정답률: 66%)
  • 열매 및 종자구조는 바깥쪽에서 안쪽으로 과피(씨방벽) - 주피(씨껍질) - 주심(내종피) - 배유(씨젖) - 배(씨눈) 순서로 배치된다. 이는 과피가 열매의 바깥쪽을 둘러싸고 있고, 그 안에 주피가 있으며, 주피 안에는 주심이 위치하고, 주심 안에는 배유가 있고, 마지막으로 배유 안에는 배가 위치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정답은 "과피 - 주피 - 주심 - 배유 - 배"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A×B 를 교잡시킬 때 부(父)쪽은 어느 것인가?

  1. A
  2. B
  3. A 또는 B
  4. A, B 모두 아니다
(정답률: 80%)
  • A와 B는 유전자의 두 형태인 알렐입니다. 부(父)쪽은 아버지의 유전자를 의미하며, 어떤 유전자가 아버지로부터 전달되었는지는 알 수 없습니다. 따라서 A와 B 중 어느 것이 부(父)쪽인지는 알 수 없으며, A, B 모두 아닌 "A 또는 B"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다음 중 질적 형질에 해당하는 것은?

  1. 화색
  2. 수고
  3. 직경
  4. 생장량
(정답률: 87%)
  • 화색은 색깔을 나타내는 질적 형질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양적 형질이나 크기를 나타내는 형질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표현형이 탁월하나 유전력은 아직 검증되지 않은 것은?

  1. 모수
  2. 수형목
  3. 채종목
  4. 정형목
(정답률: 75%)
  • 수형목은 표현형이 탁월하지만 유전력은 아직 검증되지 않은 나무 종류입니다. 이는 수형목이 인공적으로 번식되어서 유전적 다양성이 부족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수형목은 특정한 환경에서 잘 자라지만, 다양한 환경에서 적응력이 부족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AA×aa에서 생긴 잡종Aa는?

  1. 단성잡종
  2. 양성잡종
  3. 3성잡종
  4. 다성잡종
(정답률: 66%)
  • 단성잡종은 유전자형이 다른 두 종이 교배하여 생긴 잡종으로, 유전자형이 다르기 때문에 자손의 특성이 중간형으로 나타나는 것을 말합니다. AA와 aa는 서로 다른 유전자형이므로 교배하면 Aa가 생기며, 이는 단성잡종에 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소나무 구과의 한개 인편(실편)당 종자수는?

  1. 1개
  2. 2개
  3. 3개
  4. 4개
(정답률: 72%)
  • 소나무는 수컷 꽃과 암컷 꽃이 따로 있고, 구과는 암컷 꽃에서 발달하는 열매입니다. 소나무의 구과에는 종자가 2개 들어있으며, 이는 수컷 꽃에서 발생하는 꽃가루가 암컷 꽃의 구과에 착색되어 수컷과 암컷의 유전자가 섞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소나무 구과의 한 개 인편(실편)당 종자수는 2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다음 중 4배체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

  1. 생장이 4배나 빠른 나무이다.
  2. 꽃의 크기가 보통 것 보다 4개 크다.
  3. 염색체 수가 보통의 4배가 된다.
  4. 염색체 크기가 보통의 4배가 된다.
(정답률: 90%)
  • 4배체란 일반적인 생물체의 염색체 수가 4배가 되는 현상을 말한다. 이는 보통의 염색체 수가 2개씩 존재하는 이집트법칙에 따라 2n으로 표현되는데, 4배체는 4n으로 표현된다. 이는 보통의 염색체 수가 2개씩 존재하는 것보다 2배 많은 염색체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염색체 수가 보통의 4배가 된다고 설명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다음 밤나무 품종 중 도입품종이 아닌 것은?

  1. 축파
  2. 은기
  3. 이평
  4. 옥광
(정답률: 81%)
  • 옥광은 도입품종이 아니라 국내 원예업자들이 개발한 국내 육성품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콜히친(colchicine)은 무엇인가?

  1. 살충제
  2. 생장조절제
  3. 발근촉진제
  4. 돌연변이 유발물질
(정답률: 71%)
  • 콜히친은 식물에서 생장과 발달을 조절하는데 사용되는 약물입니다. 그러나 과다한 양이 사용될 경우 돌연변이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콜히친은 돌연변이 유발물질로 분류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우리나라에 식재되어 있는 낙엽송은?

  1. 일본에서 도입한 수종이다.
  2. 우리나라에서 교잡육종한 수종이다.
  3. 우리나라에서 선발육종한 수종이다.
  4. 우리나라에서 돌연변이 육종한 수종이다.
(정답률: 89%)
  • 정답은 "일본에서 도입한 수종이다." 입니다. 이유는 낙엽송은 원래 북반구의 온대 지방에서 자생하는 종이지만, 일본에서 우리나라로 도입되어 번식하면서 우리나라에 식재되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제 1 세대 채종원과 제 2 세대 채종원의 개량효과를 설명한 것 중 옳은 것은?

  1. 제1세대 보다 제2세대의 개량효과가 크다.
  2. 제1세대 보다 제2세대의 개량효과가 작다.
  3. 제1세대와 제2세대의 개량효과가 불변이다.
  4. 제1세대 및 제2세대의 개량효과는 예측할 수 없다.
(정답률: 93%)
  • "제1세대 보다 제2세대의 개량효과가 크다." 이유는 제2세대는 제1세대에서 이미 개량된 특성을 유지하면서 더욱 발전된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즉, 제1세대에서 개량된 특성을 기반으로 더욱 발전된 특성을 추가로 개량한 것이기 때문에 개량효과가 더 크다고 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외국 수종의 성공적인 도입을 결정하는 요인으로 중요도가 가장 낮은 것은?

  1. 한 수종의 자연분포에서의 생장과 성질에 대한 고려
  2. 원산지와 도입지와의 기후 유사성에 대한 고려
  3. 단형목(monotypic genera)에 대한 고려
  4. 자연분포지의 크기에 대한 고려
(정답률: 66%)
  • 자연분포지의 크기는 도입할 수종의 개체 수와 유전적 다양성에 영향을 미치기는 하지만, 다른 요인들보다는 상대적으로 중요도가 낮습니다. 이는 도입할 수종의 개체 수와 유전적 다양성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충분한 개체 수와 다양한 유전적 배경을 가진 원산지에서 채취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자연분포지의 크기는 고려해야 하지만, 다른 요인들보다는 상대적으로 덜 중요한 요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다음 수종 중 우리나라에서 인공 교배한 수종은?

  1. 스트로브잣나무
  2. 리기다소나무
  3. 리기테다소나무
  4. 은백양나무
(정답률: 85%)
  • 정답은 "리기테다소나무"입니다. 이는 일본의 기테다소나무와 리기다소나무를 교배하여 만든 인공적인 수종으로, 우리나라에서는 경북 포항에서 최초로 인공 교배되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다음 중 여교잡을 나타낸 것은?

  1. ((A×B)×A)×B
  2. (A×B)×B
  3. (A×B)×(B×A)
  4. (A×B)×C
(정답률: 78%)
  • 여교잡은 두 개의 벡터를 외적하여 새로운 벡터를 만드는 것을 말합니다. 따라서 "(A×B)×B"가 여교잡을 나타낸 것입니다.

    이유는 외적의 성질 중 하나인 "분배법칙"을 이용하면 쉽게 설명할 수 있습니다.

    (A×B)×B = (B×(A×B))

    여기서 (A×B)는 벡터이고, B는 벡터이기 때문에 (A×B)와 B의 순서를 바꾸면 안 됩니다.

    그리고 (A×B)와 B의 외적은 스칼라가 아닌 벡터가 됩니다.

    따라서 (B×(A×B))는 새로운 벡터가 되며, 이것이 여교잡을 나타내는 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다음 중 클론(Clone)을 가장 옳게 설명한 것은?

  1. 유성번식으로 순계 배양한 것
  2. 모수와 다른 유전자를 가진 것
  3. 1개의 모수에서 무성번식으로 증식한 것
  4. 다른 나무의 화분과 수정해서 교잡되어 모수와 다른 형질을 가진 묘목이 생긴 것
(정답률: 58%)
  • 클론(Clone)은 1개의 모수에서 무성번식으로 증식한 것입니다. 이는 모든 자손들이 동일한 유전자 정보를 가지기 때문에 모두 동일한 형질을 가지게 됩니다. 따라서 클론은 유전적으로 동일한 개체들의 집합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100개의 종자를 갖고 발아시험을 한 결과 각 조의 평균값이 다음과 같을 때 발아세는 얼마인가?

  1. 20%
  2. 55%
  3. 72%
  4. 76%
(정답률: 84%)
  • 각 조의 평균값이 55%이므로, 100개의 종자 중 55개가 발아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발아율은 55%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접목의 활착률을 높이기 위한 대목과 접수의 조건으로 가장 적당한 것은?

  1. 대목과 접수의 활동이 활발하여야 한다.
  2. 대목보다 접수의 활동이 활발하여야 한다.
  3. 대목의 활동이 접수보다 활발하여야 한다.
  4. 대목과 접수가 같이 휴면상태에 있어야 한다.
(정답률: 88%)
  • 정답: 대목의 활동이 접수보다 활발하여야 한다.

    접목이란 두 개 이상의 식물을 이어 붙여 하나의 식물로 만드는 기술입니다. 이 때, 대목은 접목의 기본이 되는 식물이고, 접수는 대목에 이식되는 식물입니다. 따라서 대목의 활동이 활발하지 않으면 접목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습니다. 대목이 활발하게 자라면 접수도 대목에 잘 붙어서 성장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대목의 활동이 접수보다 활발하여야 접목의 활착률을 높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적응시험의 결과에 따라 우리나라에서 장려된 이태리포플러 클론은?

  1. I-154 와 I-476
  2. I-154 와 I-415
  3. I-214 와 I-476
  4. I-214 과 I-216
(정답률: 84%)
  • 적응시험 결과에 따라 우리나라에서 장려된 이태리포플러 클론은 I-214와 I-476입니다. 이는 이 두 클론이 우리나라의 기후와 토양 조건에 가장 적합하다는 것을 입증했기 때문입니다. I-154와 I-415, 그리고 I-214와 I-216은 적응시험 결과에서 우수한 성적을 보이지 못했기 때문에 선택되지 않았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많은 나무들 가운데 특히 우수한 특성을 가진 나무를 골라서 종자, 삽목 또는 접목에 의하여 자손을 증식시키는 육종은?

  1. 교잡육종
  2. 도입육종
  3. 배수체육종
  4. 선발육종
(정답률: 95%)
  • 선발육종은 많은 나무들 가운데 우수한 특성을 가진 나무를 선발하여 그 나무의 자손을 증식시키는 육종 방법입니다. 따라서 우수한 특성을 가진 나무를 선택하여 육종을 진행하므로 다른 보기들과는 구분됩니다. 교잡육종은 서로 다른 종의 나무를 교배시켜 새로운 특성을 얻는 방법, 도입육종은 다른 지역에서 발견된 나무를 도입하여 육종하는 방법, 배수체육종은 특정한 배수체를 가진 나무를 선발하여 육종하는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임의 구분

21. 종자를 60% 이상의 황산에 30~60분간 담갔다가 2~3일간 물로 씻은 다음 그늘에서 말려 발아촉진 시키는 수종은?

  1. 소나무
  2. 밤나무
  3. 옻나무
  4. 단풍나무
(정답률: 80%)
  • 옻나무는 발아촉진을 위해 황산처리와 물씻기를 거쳐야 하는 수종 중 하나입니다. 다른 나무들은 이러한 처리 없이도 발아가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매미의 유충으로 당속에서 어린 묘목의 뿌리를 가해하는 것은?

  1. 굼벵이
  2. 거세미
  3. 깍지벌레
  4. 땅강아지
(정답률: 78%)
  • 굼벵이는 매미의 유충이 뿌리를 먹어 치명적인 피해를 줄 수 있는 땅속 해충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땅 위에서 활동하는 해충이거나 뿌리를 먹지 않는 해충이기 때문에 정답이 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파종상에 해가림을 하여야 할 수종들로만 구성되어 있는 것은?

  1. 소나무, 해송
  2. 분비나무, 포플러류
  3. 잣나무, 리기다소나무
  4. 전나무, 주목
(정답률: 88%)
  • 전나무와 주목은 그늘이 많이 드는 나무로, 파종상에 해가림을 하여야 할 수종들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그늘이 적게 드는 나무들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조림용 묘목의 규격을 표시하는데 쓰이지 않는 것은?

  1. 간장
  2. 근원경
  3. 근장
  4. 흉고직경
(정답률: 65%)
  • 조림용 묘목의 규격을 표시하는데 쓰이지 않는 것은 "흉고직경"입니다. 이는 나무의 가장 넓은 부분인 흉부와 가장 좁은 부분인 가지의 연결 부분인 직경을 합쳐서 나타내는 것으로, 조림용 묘목의 규격을 표시하는데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대신에 간장, 근원경, 근장 등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접목의 친화력이 적다는 증거로서 틀린 것은?

  1. 비슷한 접목 방법을 썼는데도 활착이 되지 않을 경우
  2. 처음 접착은 되었지만 1~2년이 지나서 죽는 경우
  3. 수세가 현저하게 강하거나, 가을에 늦게 낙엽이 질 경우
  4. 대목과 접수의 생장속도에 차이가 심할 경우
(정답률: 78%)
  • 수세가 강하거나 가을에 늦게 낙엽이 질 경우는 접목의 친화력이 적다는 증거입니다. 이는 대목과 접목된 부분이 서로 잘 맞지 않아 영양분과 물이 원활하게 전달되지 않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 보기가 틀린 것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점뿌림(점파)으로 종자 파종하는 것이 가장 좋은 수종은?

  1. 은행나무
  2. 전나무
  3. 느티나무
  4. 옻나무
(정답률: 90%)
  • 은행나무는 점뿌림(점파)으로 종자 파종하기에 적합한 수종입니다. 이는 은행나무의 종자가 작고 가벼워서 바람에 쉽게 날아다니며 분포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은행나무는 빠른 생장력과 높은 생존율을 가지고 있어서 점뿌림으로 파종한 종자들이 잘 자라서 살아남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잣나무 파 종상에서 제일 처음 솎아주기 작업을 실시하는 시기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발아 완료 직후
  2. 발아된 해의 여름
  3. 발아된 해의 가을
  4. 파종한 다음해 봄 해빙 직후
(정답률: 75%)
  • 잣나무는 겨울철에 발아하며, 발아 후 1년 정도가 지나야 솎아주기 작업을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파종한 다음해 봄 해빙 직후가 가장 적합한 시기입니다. 이유는 파종한 다음해 봄에는 발아한 잣나무가 충분히 자라서 작업이 가능하며, 해빙 직후에는 땅이 충분히 습해져서 작업이 용이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봄에 묘목을 가식할 때 묘목의 끝은 어느 방향으로 향하게 묻는가?

  1. 동쪽
  2. 서쪽
  3. 남쪽
  4. 북쪽
(정답률: 97%)
  • 봄에 묘목을 가식할 때 묘목의 끝은 북쪽으로 향하게 묻습니다. 이는 묘목이 자라는 방향이 북쪽에서 가장 많은 햇빛을 받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묘목이 더욱 건강하게 자라기 위해서는 북쪽으로 묻는 것이 좋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단근작업의 주목적으로 옳은 것은?

  1. T/R율을 더 크게하기 위하여 실시한다.
  2. 잔뿌리의 발달을 촉진시키기 위하여 실시한다.
  3. 식재시 작업을 편리하게 하기 위하여 실시한다.
  4. 양분의 소모를 억제하기 위하여 실시한다.
(정답률: 97%)
  • 단근작업은 잔뿌리의 발달을 촉진시키기 위해 실시합니다. 잔뿌리는 식물의 생장과 생존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잔뿌리가 발달하면 토양 속에서 더 많은 양분을 흡수할 수 있고, 뿌리가 더 깊숙이 파고들어 더 많은 물을 흡수할 수 있습니다. 이는 작물의 성장과 수확량을 증가시키는 데 도움이 됩니다. 따라서 단근작업은 작물의 생장을 촉진시키기 위해 필수적인 작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다음 중 개화결실을 촉진하는 방법이 아닌 것은?

  1. 지베렐린을 처리한다.
  2. 접목법을 이용한다.
  3. 제웅을 해 준다.
  4. 환상박피(環狀剝皮)를 한다.
(정답률: 75%)
  • 제웅은 나무의 껍질을 벗겨서 상처를 내어 나무가 자신의 생명력을 보호하기 위해 새로운 조직을 생성하는 것을 말합니다. 따라서 제웅을 해 주는 것은 나무가 새로운 조직을 생성하고 성장하는 데 도움을 주는 것이므로 개화결실을 촉진하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제웅을 해 준다."가 아닌 다른 보기들이 개화결실을 촉진하는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다음 중 오동나무의 일반적 특성으로 틀린 것은?

  1. 생장이 빠르다.
  2. 비중이 가볍다.
  3. 5월 상순에 개화한다.
  4. 잎의 이면에 털이 없다.
(정답률: 84%)
  • 잎의 이면에 털이 없다는 것은 틀린 내용입니다. 오동나무는 잎의 이면에 털이 있습니다. 이는 잎의 표면을 보호하고 수분과 영양분을 보존하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수피가 수평으로 종이장처럼 떨어지며, 그 빛깔이 백색을 띄고 있는 수종은?

  1. 서어나무
  2. 소사나무
  3. 자작나무
  4. 오리나무
(정답률: 92%)
  • 수피가 수평으로 떨어지며 백색을 띄는 것은 자작나무의 특징입니다. 다른 나무들은 수평으로 떨어지지 않거나, 빛깔이 백색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해안지방의 방풍림 조성 및 수지 채취에 가장 적합한 수종은?

  1. 곰솔
  2. 측백나무
  3. 리기테다소나무
  4. 스트로브잣나무
(정답률: 86%)
  • 해안지방은 바람이 강하고 염분이 많은 환경이기 때문에 방풍력이 강한 나무가 적합합니다. 또한 수지 채취를 위해서는 나무의 수액이 많아야 하며, 이는 곰솔이 가장 뛰어납니다. 따라서 해안지방의 방풍림 조성 및 수지 채취에 가장 적합한 수종은 곰솔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다음 중 침엽수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밑씨가 씨방 속에 들어있다.
  2. 잎맥이 평행으로 발달되어 있다.
  3. 헛물관을 가지고 있다.
  4. 일반적으로 잎이 좁은 바늘잎이다.
(정답률: 77%)
  • "밑씨가 씨방 속에 들어있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침엽수는 밑씨가 아닌 상씨에 씨가 들어있습니다. 밑씨는 속씨에 속하는 식물들이 가지고 있는 특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잎의 색깔을 녹색으로 만드는 유전자를 G, 노랗게 만드는 유전자를 g로 나타낼 때 G가 g에 대하여 완전한 우성이라면 Gg가 나타내는 잎의 색은?

  1. 녹색
  2. 연두색
  3. 노란색
  4. 청색
(정답률: 80%)
  • G가 g에 대하여 완전한 우성이므로 Gg는 녹색을 나타냅니다. 이는 G가 g보다 우세하게 작용하여 녹색이 나타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다음 중 차대검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임목에서는 모수를 보고 형질을 쉽게 알 수 있으므로 차대검정을 하지 않는다.
  2. 임목에서는 기간이 많이 소요됨으로 삽목으로만 차대검정을 실시한다.
  3. 자식세대 생욱상황의 우열로서 어버이의 우열을 판단하는 것이다.
  4. 삽목 및 접목이 잘 되는가 판단하여 일반에게 공급하고자 실시한다.
(정답률: 78%)
  • 자식세대 생욱상황의 우열로서 어버이의 우열을 판단하는 것은, 부모의 유전자가 자식에게 어떻게 전달되는지를 알아보기 위한 검정 방법입니다. 이를 통해 어떤 부모가 더 우수한 유전자를 가지고 있는지를 판단할 수 있습니다. 다른 보기들은 임목이나 삽목 등의 특정 상황에서 차대검정을 실시하는 이유를 설명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나무를 식재하는 순서로서 가장 적합한 것은?

  1. 구덩이 파기 → 낙엽제거 → 묘목넣기 → 밟기 → 잡초제거
  2. 잡초제거 → 구덩이 파기 → 뿌리펴기 → 흙덮기 → 낙엽덮기
  3. 구덩이 파기 → 묘목넣기 → 밟기 → 잡초제거 → 낙엽제거
  4. 잡초제거 → 구덩이 파기 → 낙엽넣기 → 묘목넣기 → 밟기
(정답률: 95%)
  • 잡초제거를 먼저 해야 나무가 성장하는데 방해가 되는 잡초들이 제거되어 성장에 방해가 없기 때문입니다. 구덩이 파기는 나무가 뿌리를 깊게 내리고 물과 영양분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기 때문에 두 번째로 해야 합니다. 뿌리펴기는 나무가 뿌리를 펴서 더 많은 영양분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므로 세 번째로 해야 합니다. 흙덮기는 나무가 안정적으로 자라기 위해 필요한 것이므로 네 번째로 해야 합니다. 마지막으로 낙엽덮기는 나무 주변의 토양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켜주고, 토양의 수분 증발을 막아주는 역할을 하므로 마지막으로 해야 합니다. 따라서 "잡초제거 → 구덩이 파기 → 뿌리펴기 → 흙덮기 → 낙엽덮기"가 가장 적합한 순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강한 음수인 경우 또는 찬바람으로부터 묘목을 보호하기 위해서 실시되는 밑깍기 방법은?

  1. 둘레깍기
  2. 전면깍기
  3. 줄깍기
  4. 점깍기
(정답률: 80%)
  • 강한 음수나 찬바람으로 인해 묘목이 꺾이거나 부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묘목의 밑부분을 깎아내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이때 둘레깍기 방법을 사용하는 이유는 묘목의 전체적인 균형을 유지하기 위해서입니다. 전면깍기나 줄깍기는 묘목의 일부분만 깎아내기 때문에 균형이 깨질 수 있고, 점깍기는 깍아낸 부분이 너무 작아서 효과가 미미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둘레깍기 방법을 사용하여 묘목의 전체적인 균형을 유지하면서도 안정적으로 보호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다음 증 발근 촉진 처리제로 사용하지 않는 것은?

  1. 인돌부티르산
  2. 인돌아민산
  3. 인돌아세트산
  4. 나프탈렌아세트산
(정답률: 59%)
  • 인돌아민산은 증 발근 촉진 처리제로 사용되지 않습니다. 이는 인돌아민산이 식물 성장을 촉진시키는 효과가 없기 때문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증 발근 촉진 처리제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일반적인 잣나무의 1m2당 파종량은 약 얼마인가?

  1. 10g
  2. 100g
  3. 350g
  4. 600g
(정답률: 61%)
  • 일반적인 잣나무의 1m2당 파종량은 350g입니다. 이는 잣나무가 적은 양의 씨앗으로 번식하며, 1kg의 씨앗으로 약 3m2를 파종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1m2당 약 350g의 씨앗이 필요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임의 구분

41. 군상개벌 작업시 군상지의 크기는 3~10a로 하는데 보통 몇 년 간격으로 다음 군상지를 벌채 하는가?

  1. 2~3년
  2. 4~5년
  3. 6~7년
  4. 8~10년
(정답률: 73%)
  • 군상지는 나무가 자라는 속도에 따라 다양한 크기로 나타납니다. 보통 군상개벌 작업시 군상지의 크기는 3~10a로 하는데, 이는 나무가 충분히 자라서 벌채할 만큼의 크기가 된 후에 작업을 진행하기 때문입니다.

    또한, 군상지를 벌채한 후에는 새로운 나무가 자라서 다시 군상지가 형성되는데, 이 과정은 보통 4~5년 정도가 걸립니다. 따라서 보통은 이 정도의 간격으로 다음 군상지를 벌채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국토 보안 및 지력유지에 가장 적합한 작업종은?

  1. 택벌작업
  2. 왜림작업
  3. 중림작업
  4. 개벌작업
(정답률: 77%)
  • 택벌작업은 산림을 복원하고 새로 심어 나가는 작업으로, 산림의 생태계를 회복시키고 지속적인 산림관리를 통해 국토 보안과 지력유지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 또한, 산림은 대기 오염물질을 흡수하고 수질 보호에도 효과적이므로 환경 보호에도 큰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택벌작업은 국토 보안과 지력유지를 위한 가장 적합한 작업종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다음 중 개벌작업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인공갱신을 목적으로 일정 구역내 입목을 모두 벌채하는 작업이다.
  2. 인공갱신을 목적으로 일정 구역내 입목을 골라 벌채하는 작업이다.
  3. 인공갱신을 목적으로 일정 구역내 입목 중 좋은 나무만 벌채하는 작업이다.
  4. 인공갱신을 목적으로 일정 구역내 입목 중 나쁜 나무만 벌채하는 작업이다.
(정답률: 83%)
  • "인공갱신을 목적으로 일정 구역내 입목을 모두 벌채하는 작업이다."가 옳은 설명입니다. 개벌작업은 인공갱신을 위해 일정 구역 내 모든 나무를 벌채하는 작업입니다. 이를 통해 새로운 나무가 자라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하고, 숲의 생태계를 회복시키는 것이 목적입니다. 따라서 나무를 골라서 벌채하거나, 나쁜 나무만을 벌채하는 것은 개벌작업의 목적과는 다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다음 중 천연갱신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나무의 씨앗이 자연적으로 떨어져 새로운 어린나무가 자라게 되는 것을 말한다.
  2. 씨앗이 새나 짐승에 의해 땅에 떨어져 싹이 나오는 것도 천연갱신이라 할 수 있다.
  3. 벌채한 나무의 그루터기에서 맹아가 나오는 것도 천연갱신이라 할 수 있다.
  4. 사람이 직접 씨앗을 뿌려 숲을 만드는 것도 천연갱신이하 할 수 있다.
(정답률: 97%)
  • 사람이 직접 씨앗을 뿌려 숲을 만드는 것은 인위적인 방법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천연갱신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천연갱신은 자연적인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말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다음 증 하목의 요건을 가장 바르게 설명한 것은?

  1. 내음성이 약할 것
  2. 낙엽의 분해가 어려울 것
  3. 가지가 밀생하여 그늘을 만들어 줄 수 있을 것
  4. 작은 나무로 이용가치가 낮을 것
(정답률: 76%)
  • 하목의 요건은 가지가 밀생하여 그늘을 만들어 줄 수 있을 것입니다. 이는 나무가 크면서도 가지가 많이 붙어 그늘을 제공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내음성이 약하거나 분해가 어렵다는 등 나무의 단점을 지적하는 것이므로 요건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다음 중 방화림(防火林) 조성용으로 가장 적합한 수종은?

  1. 삼나무
  2. 소나무
  3. 참나무류
  4. 녹나무
(정답률: 82%)
  • 방화림은 대부분의 나무가 불에 잘 타는 특성을 가지고 있지만, 참나무류는 불에 잘 타지 않는 특성을 가지고 있어 방화림 조성에 가장 적합한 수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수목에서 발생하는 근두암종병의 병징을 바르게 설명한 것은?

  1. 뿌리나 줄기의 땅 접촉 부분에 많이 발생되고 처음에는 병환부가 비대하여 흰색을 뛴다.
  2. 껍질의 안쪽이 검은색으로 변색이 되고 약간 오목하게 들어간다.
  3. 껍질의 안쪽이 검은색으로 변색이 되고 나쁜 냄새를 낸다.
  4. 뿌리를 둘러싸고 있는 갈색 또는 흑갈색의 가늘고 긴 실모양의 균사덩어리를 볼 수 있다.
(정답률: 56%)
  • 근두암종병은 뿌리나 줄기의 땅 접촉 부분에 많이 발생하며, 처음에는 병환부가 비대하여 흰색을 띠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바람에 의하여 비화(飛火)하는 현상은 어느 종류의 산불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는가?

  1. 수관화
  2. 수간화
  3. 지표화
  4. 지중화
(정답률: 79%)
  • 수관화는 수분이 많은 지역에서 발생하는 산불로, 바람에 의해 불길이 번지면서 수증기가 발생하고 이 수증기가 공기 중에 떠다니면서 불꽃을 실어 나르는 현상이 발생합니다. 따라서 바람이 강한 지역에서는 수관화가 가장 많이 발생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파이토플라스마(Phytoplasma)와 관계없는 수병은?

  1. 오동나무빗자루병
  2. 대추나무빗자루병
  3. 뽕나무오갈병
  4. 벚나무빗자루병
(정답률: 88%)
  • 벚나무빗자루병은 바이러스에 의해 발생하는 병이며, 파이토플라스마와는 관계가 없습니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파이토플라스마에 의해 발생하는 병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소나무잎녹병에 있어서 여름포자(하포자)의 중간숙주가 되는 것은?

  1. 황벽나무
  2. 잎갈나무
  3. 까치밥나무
  4. 참나무류
(정답률: 65%)
  • 소나무잎녹병의 여름포자는 황벽나무의 잎에 감염되어 중간숙주가 됩니다. 이는 황벽나무가 소나무잎녹병의 병원균을 감염시키는 역할을 하기 때문입니다. 다른 나무들은 이 병원균에 감염되지 않거나 감염되더라도 중간숙주가 되지 않기 때문에 정답은 황벽나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모잘록병의 방제법으로 틀린 것은?

  1. 모판을 배수와 통풍이 잘되게 하고 밀식을 삼간다.
  2. 질소질비료를 많이 주어 묘목을 튼튼하게 기른다.
  3. 토양소독 및 종자소독을 한다.
  4. 발병했을 때에는 묘목을 제거하고, 그 자리에 토양 살균제를 관주한다.
(정답률: 89%)
  • "질소질비료를 많이 주어 묘목을 튼튼하게 기른다."가 틀린 이유는, 모잘록병은 질소질비료를 많이 주면 오히려 병균의 번식을 촉진시키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질소질비료는 적정량으로만 주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다음 중 보르도액을 만드는데 사용되는 약품들은?

  1. 황산구리와 석회질소
  2. 황산구리와 생석회
  3. 황산구리와 유황합제
  4. 황산구리와 탄산소다
(정답률: 84%)
  • 보르도액은 식물병 예방 및 치료를 위해 사용되는 액체로, 황산구리와 생석회를 혼합하여 만듭니다. 황산구리는 식물병균을 죽이는 효과가 있고, 생석회는 식물의 잎과 줄기를 강화하여 식물의 내성을 높이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이 두 가지 약품을 혼합하여 사용하면 보다 효과적인 식물병 예방 및 치료가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잣나무넓적잎벌의 월동 형태는?

  1. 유충
  2. 번데기
  3. 성충
(정답률: 65%)
  • 잣나무넓적잎벌은 번데기와 성충 모습이 유사하지만, 월동 형태는 유충으로서 지하에서 지내기 때문에 정답은 "유충"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유아등으로 등화유살 할 수 있는 해충은?

  1. 오리나무잎벌레
  2. 솔잎혹파리
  3. 밤나무순혹벌
  4. 어스랭이나방
(정답률: 82%)
  • 어스랭이나방은 유아 등으로 등화유살 할 수 있는 해충 중 하나입니다. 이는 어스랭이나방이 작고 부드러운 모습으로 인해 유아들이 귀여워하고 만지고 놀기 쉬워서입니다. 반면, 다른 보기들인 오리나무잎벌레, 솔잎혹파리, 밤나무순혹벌은 모습이 덜 귀여우며, 유아들이 만지기에는 부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다음 중 진딧물과 루비깍지벌레의 구제에 가장 효과적인 약제는?

  1. 만코지 수화제
  2. 메치온 유제
  3. 다조메 입제
  4. 디코폴 유제
(정답률: 52%)
  • 메치온 유제는 진딧물과 루비깍지벌레에게 효과적인 식물성 살충제이며, 식물에 대한 안전성이 높아 사용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또한, 다른 약제에 비해 잔류성이 낮아 환경오염의 위험이 적다는 점도 장점으로 꼽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옥시테트라싸이클린 수화제를 수간에 주입하여 치료하는 수병은?

  1. 포플러모자이크병
  2. 대추나무빗자루병
  3. 근두암종병
  4. 잣나무털녹병
(정답률: 62%)
  • 옥시테트라싸이클린은 대추나무빗자루병의 치료에 사용되는 항생제이기 때문에, 이 질병을 치료하는 수병이 옥시테트라싸이클린을 수간에 주입하여 치료하는 것입니다. 다른 질병들은 이 항생제로 치료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곤충은 생활하는 도중에 환경이 좋지 않으면 발육을 일시적으로 정지한다. 이것을 가르키는 것은?

  1. 휴면
  2. 이주
  3. 탈피
  4. 변태
(정답률: 97%)
  • 환경이 좋지 않을 때, 곤충은 생존을 위해 활동을 일시적으로 멈추고 에너지를 절약하는 상태인 휴면에 들어갑니다. 이는 생존 전략 중 하나로, 환경이 좋아질 때까지 기다리는 것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휴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오리나무잎벌레는 어떤 상태로 월동을 하는가?

  1. 유충
  2. 성충
  3. 번데기
(정답률: 60%)
  • 오리나무잎벌레는 성충으로 월동을 합니다. 이는 오리나무잎벌레가 번식을 마치고 성장한 후, 가을에 나무의 줄기나 가지에 붙어 월동을 하기 때문입니다. 유충이나 알, 번데기는 월동을 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해충의 발생량 예찰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깍지벌레와 같은 고착성 해충의 밀도표시는 가지의 길이를 단위로 한다.
  2. 해충의 발생예찰은 발생시기와 발생량의 예찰을 주목적으로 방제수단의 강구에 필요하다.
  3. 해충의 분포는 한 나무내에서의 상하,또는 방위별 변이가 지역내 임목간의 변이보다 크다
  4. 땅속의 해충, 솔잎혹파리 월동유충의 밀도는 면적 단위이다.
(정답률: 60%)
  • "해충의 분포는 한 나무내에서의 상하,또는 방위별 변이가 지역내 임목간의 변이보다 크다"는 설명이 틀린 것입니다. 실제로는 해충의 분포는 지역내 임목간의 변이가 크며, 한 나무내에서도 상하, 좌우 등 다양한 요인에 따라 분포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이는 해충의 생태와 환경에 따라 다양한 영향을 받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밤나무줄기마름병과 관련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밤나무줄기마름병은 잣나무털녹병, 느릅나무시들음병과 더블어 20세기의 3대 수목 병해였다.
  2. 병환부의 수피가 처음에는 황갈색 내지 적갈색으로 변한다.
  3. 밤나무줄기마름병은 서양의 풍토병으로 미국과 유럽의 밤나무림을 황폐화시켰다.
  4. 병원균은 병환부에서 균사 또는 포자의 형으로 월동한다.
(정답률: 78%)
  • 정답은 "밤나무줄기마름병은 서양의 풍토병으로 미국과 유럽의 밤나무림을 황폐화시켰다."가 아닌 "밤나무줄기마름병은 잣나무털녹병, 느릅나무시들음병과 더블어 20세기의 3대 수목 병해였다."입니다. 밤나무줄기마름병은 식물의 혈관을 파괴하는 균에 의해 발생하는 병으로, 미국과 유럽의 밤나무림을 심각하게 피해를 입혔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