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면처리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5-05-29)

표면처리산업기사
(2005-05-29 기출문제)

목록

1과목: 금속재료 및 재료시험

1. 순 구리(Cu)의 냉각곡선을 나타낸 것 중 맞는 것은?

  1. 냉각시 수평선이 생기는 경우는 흡열반응에 의한 용융 잠열 현상 때문이다.
  2. 수평선구간에서는 2상이 존재한다.
  3. 수평선구간의 자유도는 1로 가변계이다.
  4. 수평선구간에 해당되는 온도는 약 158℃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냉각시 수평선이 생기는 경우는 흡열반응에 의한 용융 잠열 현상 때문이다."입니다.

    수평선은 상변화가 일어나지 않는 온도 구간을 의미합니다. 이는 물질의 상태 변화가 일어나는 열역학적인 상태 변화 온도와 관련이 있습니다.

    순 구리의 냉각 곡선에서 수평선이 생기는 구간은 약 1080℃에서 1083℃ 사이입니다. 이 구간에서는 용융 잠열이 발생하여 온도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것입니다.

    따라서, 이 구간에서는 고체와 액체 상태가 공존하므로 2상이 존재합니다. 수평선구간의 자유도는 1로 가변계이며, 해당되는 온도는 약 1080℃에서 1083℃이 아니라 158℃이 아닌 1080℃에서 1083℃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순수한 알루미늄과 티타늄의 일반적인 성질을 비교한 것 중 틀린 것은?

  1. 알루미늄과 티타늄은 경금속에 속한다.
  2. 알루미늄과 티타늄은 융점이 같으며 비교적 낮다.
  3. 알루미늄에 비해 티타늄의 열전도율이 낮다.
  4. 알루미늄에 비해 티타늄의 전기저항이 크다.
(정답률: 알수없음)
  • "알루미늄과 티타늄은 융점이 같으며 비교적 낮다."가 틀린 것이다. 실제로 알루미늄의 융점은 660℃이고, 티타늄의 융점은 1668℃로 알루미늄에 비해 티타늄의 융점이 높다. 따라서, 알루미늄과 티타늄은 융점이 다르다.

    알루미늄과 티타늄은 모두 경금속에 속하며, 알루미늄에 비해 티타늄의 열전도율이 낮고 전기저항이 크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Fe-C 상태도에서 (L)C ⇄ [γ-Fe]E + [Fe3C]F의 3상이 공존하는 공정점(eutectic point)은?

  1. 1,492℃, 0.1~0.5%C점
  2. 1,130℃, 4.3%C점
  3. 723℃, 0.86%C점
  4. 723℃1, 0.0218~6.68%C점
(정답률: 알수없음)
  • Fe-C 상태도에서 eutectic point는 L, γ-Fe, Fe3C 3상이 공존하는 지점을 말한다. 이때, eutectic point는 용융점이 가장 낮은 지점으로, Fe-C 상태도에서는 1,130℃, 4.3%C점이 eutectic point이다. 이는 Fe-C 상태도에서 L 상태에서 냉각하다가 1,130℃, 4.3%C점에서 고체가 동시에 γ-Fe와 Fe3C로 변화하는 지점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정답은 "1,130℃, 4.3%C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초경합금의 특성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고온 경도가 높다.
  2. 강도가 양호하다.
  3. 고온에서 변형이 적다.
  4. 압축강도가 낮다.
(정답률: 알수없음)
  • 초경합금은 고온에서도 높은 강도와 고온 경도를 유지하며, 고온에서 변형이 적은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압축강도는 낮은 편입니다. 이는 초경합금의 구조상 인성이 높아서 발생하는 현상으로, 압축하면 구조가 더욱 복잡해지고 인성이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어떤 재료의 단면적이 40mm2이던 것이 시험 후에 측정하였더니 38mm2로 나타났다. 이 재료의 단면 수축율은 얼마인가?

  1. 2%
  2. 3%
  3. 4%
  4. 5%
(정답률: 알수없음)
  • 단면 수축율은 (원래 단면적 - 시험 후 단면적) / 원래 단면적 x 100 으로 계산할 수 있다. 따라서, (40 - 38) / 40 x 100 = 5% 이므로 정답은 "5%"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구리의 성질 중 틀린 것은?

  1. 고유의 담적색이나 공기 중에서 표면이 산화되어 암적색이 된다.
  2. 자성체이며 전기 전도율이 나쁘다.
  3. 용융점은 약 1083℃ 이며, 비중은 약 8.96 이다.
  4. 면심입방격자이며 열전도율이 크다.
(정답률: 알수없음)
  • 구리는 전기 전도율이 매우 높은 금속 중 하나이므로 "자성체이며 전기 전도율이 나쁘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구리는 자성체이지만 전기 전도율이 매우 높기 때문에 전기 선으로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순철에서 γ-Fe(FCC 면심입방정)의 슬립계(slip system)는?

  1. 슬립면 {110}, 슬립방향 <111>
  2. 슬립면 {111}, 슬립방향 <110>
  3. 슬립면 {111}, 슬립방향 <112>
  4. 슬립면 {110}, 슬립방향 <112>
(정답률: 알수없음)
  • γ-Fe는 FCC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FCC 구조에서는 슬립이 일어나는 면이 {111} 면이고, 슬립이 일어나는 방향이 <110> 방향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슬립면 {111}, 슬립방향 <110>"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금속 침투법의 연결이 옳은 것은?

  1. 세라다이징- Si 침투
  2. 칼로라이징- Aℓ침투
  3. 크로마이징- C 침투
  4. 실리코나이징- Zn 침투
(정답률: 알수없음)
  • 칼로라이징은 알루미늄을 침투시키는 방법으로, 알루미늄 산화막을 형성하여 내식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습니다. 따라서 Aℓ침투와 연결이 옳습니다. 다른 보기들은 각각 다른 금속을 침투시키는 방법이므로 연결이 옳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비정질합금의 특성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결정이방성이 없다.
  2. 강도가 높고 가공경화성이 크다.
  3. 전기저항이 크고 그온도의 의존성작다.
  4. 구조적으로 장거리의 규칙성이 없다.
(정답률: 알수없음)
  • "결정이방성이 없다."가 틀린 것입니다. 비정질합금은 결정이방성이 없는 것이 아니라, 결정이 없거나 작은 결정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는 비정질합금의 특징 중 하나입니다.

    강도가 높고 가공경화성이 큰 이유는, 비정질합금이 결정이 없거나 작은 결정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결정 경계에서 발생하는 결함이 적어 강도가 높아지고, 가공시에도 결정 경계에서 발생하는 결함이 적어 가공경화성이 크기 때문입니다.

    전기저항이 크고 그 온도의 의존성이 작은 것은, 비정질합금이 구조적으로 장거리의 규칙성이 없기 때문에 전자의 이동이 어렵고 전기저항이 크게 나타나며, 그 온도의 의존성이 작은 것은 결정이 없거나 작은 결정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결정 경계에서 발생하는 열팽창이 적어 온도의 영향을 적게 받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고속도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단속절삭에 견디는 강인성을 갖고 있으며 자경성이 있다.
  2. 열전도율이 좋지 않고 주조상태에서는 취성이 크다.
  3. 고속도강의 대표는 18(W)-4(Cr)-1(V)형이다.
  4. 절삭공구로 부적합하고 구조용으로 사용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절삭공구로 부적합하고 구조용으로 사용한다."는 틀린 설명이다. 고속도강은 단속절삭에 견디는 강인성과 자경성을 갖고 있어 절삭공구로도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금속의 조직검사법 중 육안 조직검사법은?

  1. 매크로 검사
  2. 응력 측정 검사
  3. 정량조직 검사
  4. 현미경조직 검사
(정답률: 80%)
  • 매크로 검사는 미시적인 구조보다는 눈으로 볼 수 있는 큰 구조물을 검사하는 방법으로, 금속의 외관적인 손상, 크기, 형태, 색상 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육안 조직검사법으로 분류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피로한도를 알기 위해 반복회수와 응력과의 관계를 표시한 선도를 무엇이라고 하는가?

  1. S-N 곡선
  2. Creep 곡선
  3. T.T.T 곡선
  4. 용해도 곡선
(정답률: 알수없음)
  • S-N 곡선은 반복회수와 응력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곡선으로, S는 응력(stress)을 나타내고 N은 반복회수(number of cycles)를 나타낸다. 이 곡선은 재료의 피로한도를 알기 위해 사용된다. S-N 곡선은 특정 응력 수준에서 재료가 얼마나 많은 반복하면 파괴될지를 보여주는데, 이를 통해 재료의 피로한도를 예측할 수 있다. 따라서 S-N 곡선은 피로실험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곡선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교육적 원인이 아닌 기술적인 원인의 산업재해는?

  1. 건물과 기계장치 등의 설계 불량
  2. 안전지식의 부족
  3. 교육 불충분
  4. 경험과 훈련 등의 서투름
(정답률: 90%)
  • "건물과 기계장치 등의 설계 불량"은 기술적인 원인으로, 제품이나 시설물의 설계나 제조과정에서 문제가 발생하여 안전성이 보장되지 않은 경우에 발생합니다. 이는 교육적인 부분과는 관련이 없으며, 설계나 제조과정에서의 문제점을 해결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전단 응력의 크기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로 틀린 것은?

  1. 날의 각도
  2. 공구와 재료간의 마찰력
  3. 다이스와 펀치의 틈
  4. 다이스의 재질
(정답률: 알수없음)
  • 다이스의 재질은 전단 응력의 크기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 중 하나가 아니다. 전단 응력의 크기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는 날의 각도, 공구와 재료간의 마찰력, 다이스와 펀치의 틈 등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소음의 측정 단위는?

  1. dB
  2. PL
  3. LG
  4. BM
(정답률: 알수없음)
  • 소음의 측정 단위는 "dB"이다. 이는 데시벨(decibel)의 약자로, 소리의 크기를 나타내는 단위이다. 소리의 크기는 소리의 진폭(amplitude)에 비례하므로, 데시벨은 소리의 진폭을 로그 스케일로 변환하여 표현한다. 이로 인해 소리의 크기를 더욱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연신율 산출공식으로 맞는 것은?

  1. 연신된표점간의거리-표점거리/표점거리 × 100(%)
  2. 표점거리-연신된표점간의거리/표점거리 × 100(%)
  3. 표점거리/연신된표점간의거리-표점거리 × 100(%)
  4. 표점거리/표점거리-연신된표점간의거리 × 100(%)
(정답률: 알수없음)
  • 연신율은 연신된 표점간의 거리와 표점거리의 비율을 백분율로 나타낸 것입니다. 따라서 "연신된표점간의거리-표점거리/표점거리 × 100(%)"가 정답입니다. 이 공식은 연신된 표점간의 거리를 표점거리로 나눈 후 100을 곱해 백분율로 표현한 것입니다. 이를 통해 연신율을 쉽게 계산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현미경조직 시험의 부식제로 잘못된 것은?

  1. 철강 : 질산알콜용액, 피크린산알콜용액
  2. 구리, 황동, 청동 : 염화제이철용액
  3. Ni및 그 합금 : 질산초산용액
  4. Zn합금 : 왕수
(정답률: 알수없음)
  • Zn합금은 왕수로 부식시키면 안 되는데, 왕수는 Zn합금을 부식시키기 때문입니다. 왕수는 강한 산성 용액으로, Zn합금과 반응하여 부식을 일으키기 때문에 부식제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압입체를 사용하지 않는 경도기는?

  1. 브리넬 경도기
  2. 쇼어 경도기
  3. 비커즈 경도기
  4. 로크웰 경도기
(정답률: 알수없음)
  • 압입체를 사용하지 않는 경도기는 쇼어 경도기입니다. 쇼어 경도기는 시료의 표면에 작은 충격을 가해 경도를 측정하는 방식으로, 압입체를 사용하지 않습니다. 반면 브리넬 경도기, 비커즈 경도기, 로크웰 경도기는 모두 압입체를 사용하여 경도를 측정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금속의 비파괴검사법과 관계가 없는 것은?

  1. 방사선투과검사법
  2. 크리프검사법
  3. 초음파탐상검사법
  4. 와전류탐상검사법
(정답률: 알수없음)
  • 크리프검사법은 금속의 물성 변화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비파괴검사법 중 하나이다. 따라서, 다른 보기들인 방사선투과검사법, 초음파탐상검사법, 와전류탐상검사법은 모두 금속의 비파괴검사법과 관련이 있지만, 크리프검사법은 관련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자기 탐상시험법의 자화에 따른 방법으로 틀린 것은?

  1. 프로드법
  2. 전류 관통법
  3. 직각 통전법
  4. 수직 탐상법
(정답률: 알수없음)
  • 수직 탐상법은 존재하지 않는 방법입니다. 다른 세 가지 방법은 모두 자기 탐상시험법의 자화에 따른 방법으로, 각각 프로드법은 자화 방향과 수직으로 자기장을 인가하여 자화된 코어의 상태를 파악하는 방법, 전류 관통법은 코어를 통과하는 전류의 크기와 방향에 따라 자화된 코어의 상태를 파악하는 방법, 직각 통전법은 코어에 직각으로 전류를 인가하여 자화된 코어의 상태를 파악하는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표면처리

21. 진공 중에서 이온화된 아르곤 등이 음극에 충돌할 때 유리되는 물질 혹은 그 화합물을 소재에 피복하는 도금 방법은?

  1. 음극 스퍼터링
  2. 전해 도금
  3. 이온 도금
  4. 화학 증착
(정답률: 알수없음)
  • 음극 스퍼터링은 진공 상태에서 이온화된 아르곤 등이 음극에 충돌하여 유리되는 물질 혹은 그 화합물을 소재에 피복하는 도금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이온화된 아르곤 등이 음극 표면에 충돌하여 표면을 유리하게 만들고, 이 유리한 표면에서 분자가 분리되어 소재 표면에 피복되는 원리를 이용합니다. 따라서 이 방법은 소재 표면을 깨끗하게 유지하면서도 높은 품질의 도금을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연마 입자를 액체와 더불어 피가공면의 표면에 압축된 공기로서 강하게 불어서 분사가공하는 방법은?

  1. 침투법
  2. 액체 호우닝
  3. 샌드 블라스트
  4. 쇼트 브라스트
(정답률: 90%)
  • 액체 호우닝은 연마 입자를 액체와 함께 사용하여 피가공면의 표면을 부드럽게 연마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연마 입자가 액체에 녹아들어 표면에 부드럽게 분산되어 연마력이 일정하게 유지되며, 또한 액체가 피가공면에 침투하여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효과도 있습니다. 이 방법은 샌드 블라스트나 쇼트 브라스트와 달리 부드러운 연마 효과를 가지므로, 미세한 부분까지 깨끗하게 처리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철강 및 구리합금 등에 직접 도금을 하는 방식과 장식을 목적으로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도금은?

  1. Ni 도금
  2. Zn 도금
  3. Cu 도금
  4. Pb 도금
(정답률: 알수없음)
  • Ni 도금은 철강 및 구리합금 등에 직접 도금을 할 수 있으며, 내식성과 내구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자동차 부품, 가전제품, 항공기 부품 등에 널리 사용됩니다. 또한, 장식을 목적으로 가장 널리 사용되는 도금 중 하나이기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철강이 575℃ 이상의 고온에서 산화될 때 형성되는 스케일과 저온에서 생성되는 녹을 제거하는 산세 방법으로 적합하지 못한 것은?

  1. 10% 내외의 황산 70℃ 에서 산세
  2. 10∼20% 정도의 염산 상온에서 산세
  3. 강알칼리 용액에 장시간 침지
  4. PR 전해 산세
(정답률: 알수없음)
  • 강알칼리 용액은 강한 알칼리성을 가지고 있어서 철강의 표면을 부식시키고 파괴시킬 수 있기 때문에 적합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철강의 스케일과 녹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10% 내외의 황산에서 70℃ 에서 산세하거나 10∼20% 정도의 염산을 상온에서 산세하거나 PR 전해 산세를 사용하는 것이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도금한 면에 피트(pit)가 발생되는 주 원인은?

  1. 도금과정 중 발생되는 수소가스가 피도금체에 부착하므로
  2. 표면 활성제를 첨가하므로
  3. 도금액의 저항이 적어 전류가 같은 전압에서 잘흐르므로
  4. 보조 양극을 사용하므로
(정답률: 알수없음)
  • 도금 과정 중에는 수소가스가 발생하게 된다. 이 수소가스는 피도금체에 부착되어 피트(pit)를 발생시키게 된다. 따라서 도금 과정에서 수소가스 발생을 최소화하는 것이 중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용융아연 도금 중 생성하는 드로스(Dross)란?

  1. Fe-Sn합금과 산화석의 혼합물
  2. Fe와 Zn이 공정 결합한 물질
  3. Fe와 Pb가 공정 결합한 물질
  4. Pb와 Zn이 공정 결합한 물질
(정답률: 알수없음)
  • 용융아연 도금 중 생성하는 드로스는 Fe와 Zn이 공정 결합한 물질이다. 이는 용융아연 도금 공정에서 Fe가 아연과 반응하여 Fe-Zn 합금을 형성하고, 이 합금이 산화되어 드로스가 생성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시안화물폐수를 처리할 때 2단계반응에서 발생하는 생성물이 아닌 것은?

  1. 탄산가스
  2. 시안화염소
  3. 염화나트륨
  4. 질소가스
(정답률: 알수없음)
  • 시안화화합물을 분해하는 2단계반응에서 생성되는 생성물은 탄산가스, 염화나트륨, 질소가스이다. 시안화염소는 시안화화합물을 분해하는 반응에서 생성되는 것이 아니라, 시안화염소는 염소와 시안화수소가 반응하여 생성되는 화합물이다. 따라서 시안화염소는 시안화화합물을 처리하는 과정에서 생성되는 것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제품의 내식성시험에 속하는 것은?

  1. 광택시험
  2. 조성액분석시험
  3. 파괴두께시험
  4. 유공도시험
(정답률: 알수없음)
  • 제품의 내식성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제품의 표면에 구멍이나 흠집 등의 결함이 없어야 하며, 이를 확인하기 위해 유공도시험이 필요합니다. 유공도시험은 제품의 표면에 인공적으로 구멍을 뚫고 그 크기와 수를 측정하여 내식성을 평가하는 시험입니다. 따라서, 유공도시험은 제품의 내식성시험에 속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철강상의 착색에서 철강표면에 산화피막(Fe2O, Fe3O4) 및 인산염 피막을 만드는 처리방법은?

  1. 아노다이징(Anodizing)
  2. 파카라이징(Parkerizing)
  3. 세라다이징(Sheradizing)
  4. 센시타이징(Sensitizing)
(정답률: 알수없음)
  • 철강상의 착색에서 철강표면에 산화피막 및 인산염 피막을 만드는 처리방법은 파카라이징(Parkerizing)이다. 이는 철강표면에 인산염 용액을 적용하여 철과 인산염 사이의 화학반응을 일으켜 산화피막과 인산염 피막을 형성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철강의 내식성을 향상시키고, 도장작업 전에 철강표면을 처리하는데에도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인산염 피막 시공법의 공정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표면청정
  2. 인산염 피막처리
  3. 시일링
  4. 감수성 여부
(정답률: 알수없음)
  • 인산염 피막 시공법의 공정에는 표면청정, 인산염 피막처리, 시일링이 포함되지만, 감수성 여부는 시공법의 공정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이는 시공법의 기술적인 측면과는 관련이 없으며, 개인의 성향과 경험에 따라 달라지는 주관적인 요소입니다. 따라서 감수성 여부는 시공법의 공정에 속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플라스틱상의 도금공정이 아닌 것은?

  1. 에칭
  2. 센시타이징
  3. 캐탈리스트
  4. 디-스맛트
(정답률: 알수없음)
  • 디-스맛트는 도금공정이 아니라, 디지털 스마트 기술을 활용한 스마트 환경 구축을 의미한다. 따라서 정답은 디-스맛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다음 그림은 철강이 수용액 중에서 부식 될 때의 부식속도와 PH와의 관계를 나타내었다. 이 중 수소가스가 발생되기 시작하는 부분은?

(정답률: 80%)
  • 정답은 "㉱"이다. 이유는 그래프에서 부식속도가 급격하게 증가하면서 PH가 4.5 이하로 떨어지기 시작하는 부분부터 수소가스가 발생하기 시작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그래프 상에서는 "㉱"이 수소가스 발생 시작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Plastic에 도금할 때 감수성 부여 처리와 가장 관계가 깊은 것은?

  1. HNO3
  2. NaCN
  3. SnCl2·2H2O
  4. CrO3
(정답률: 알수없음)
  • Plastic에 도금할 때 감수성 부여 처리는 표면에 적층된 금속이 더 잘 달라붙도록 하기 위한 처리이다. 이때 SnCl2·2H2O는 금속의 적층성을 높여주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가장 관계가 깊다. HNO3는 산성처리, NaCN은 전기화학적 처리, CrO3은 산화처리에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광택제의 조건이 아닌 것은?

  1. 불순물에 예민할 것
  2. 평활성이 클것
  3. 전류밀도의 범위가 넓을 것
  4. 각 부분에 완전 광택이 생길 것
(정답률: 알수없음)
  • "불순물에 예민할 것"은 광택제의 조건이 아닙니다. 이는 광택제가 불순물을 제거하는 역할을 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광택제의 조건은 평활성이 클 것, 전류밀도의 범위가 넓을 것, 각 부분에 완전 광택이 생길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패러데이(faraday) 법칙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화학당량은 원자량 X 원자가 이다.
  2. 전기량은 전류 X 시간으로 나타낸다.
  3. 1화학당량을 석출시키는데 필요한 전기량은 1 패럿(F)이다.
  4. 전기화학당량은 화학당량 ÷ 96500 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화학당량은 원자량 X 원자가 이다."라는 설명은 틀린 것이다. 화학당량은 원자량 또는 분자량과 화학반응에서 참여하는 물질의 비율에 따라 결정되는 값이다.

    화학당량은 원자량 X 원자가가 아니라, 원자량 또는 분자량과 화학반응에서 참여하는 물질의 비율에 따라 결정된다. 예를 들어, 수소(H)의 원자량은 1이고, 산소(O)의 원자량은 16이다. 따라서, 물(H2O)의 화학당량은 2(수소의 원자량) X 1(수소의 원자가) + 1(산소의 원자량) X 2(산소의 원자가) = 18이 된다.

    전기화학당량은 화학당량을 전하(전자 수)로 나눈 값이다. 따라서, 전기화학당량은 화학당량 ÷ 96500이 된다.

    전기량은 전류 X 시간으로 나타낸다. 이는 아무런 오류가 없는 정확한 설명이다.

    1화학당량을 석출시키는데 필요한 전기량은 1 패럿(F)이다. 이는 패러데이 법칙에 따라 결정되는 값으로, 1화학당량의 양성이온 또는 음성이온을 전기분해하여 석출시키는데 필요한 전기량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전원전압이 10V이며 50A의 전류를 보내어 도금을 하고 싶을 때 얼마의 저항을 주면 되는가? (단, 도금액의 저항은 없다.)

  1. 0.02(Ω)
  2. 0.2(Ω)
  3. 0.8(Ω)
  4. 0.03(Ω)
(정답률: 알수없음)
  • 오머의 법칙에 따라 전압(V)은 전류(A)와 저항(Ω)의 곱으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저항(Ω)은 전압(V)을 전류(A)로 나눈 값으로 구할 수 있습니다.

    저항(Ω) = 전압(V) / 전류(A) = 10V / 50A = 0.2(Ω)

    따라서 정답은 "0.2(Ω)"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붕소 플루오르화 구리 도금은 어떤 목적으로 행하는가?

  1. 고속도 도금을 위하여
  2. 광택도금을 위하여
  3. 레베링을 좋게 하기 위하여
  4. 스트라이크가 필요없기 때문에
(정답률: 67%)
  • 붕소 플루오르화 구리 도금은 고속도 도금을 위하여 행해진다. 이는 붕소 플루오르화 구리 도금이 높은 내열성과 내부식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고속도 회전하는 부품에 사용되어 내구성과 내식성을 높이기 위함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흑색크롬도금액의 조성시 주성분은?

  1. 탄산소다
  2. 황산니켈
  3. 무수크롬산
  4. 수산화칼슘
(정답률: 알수없음)
  • 흑색크롬도금액은 크롬을 이용하여 도금하는데, 이때 사용되는 주성분은 무수크롬산입니다. 무수크롬산은 크롬의 원료로 사용되며, 도금액의 산성도를 조절하여 도금 효과를 높이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흑색크롬도금액의 조성시 무수크롬산이 주성분으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크롬폐액 처리의 환원제가 아닌 것은?

  1. 아황산 가스
  2. 황산 제일철
  3. 아염소산 소오다
  4. 아황산 소오다
(정답률: 알수없음)
  • 아염소산 소오다는 산업용 청소제나 살균제로 사용되는 화학물질이며, 크롬폐액 처리의 환원제로 사용되지 않습니다. 대신, 아황산 가스, 황산 제일철, 아황산 소오다는 크롬폐액 처리의 환원제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다음의 반응 중 산화반응에 속하는 것은?

  1. N2 + 3H2 → 2NH3
  2. CuO + H2 → Cu + H2O
  3. 2FeCl2 + Cl2 →2FeCl3
  4. 2KI + Cl2 → 2KCl + I2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2FeCl2 + Cl2 →2FeCl3"입니다. 이는 산화반응에 속합니다. FeCl2에서 철의 산화수는 +2이고, FeCl3에서는 +3입니다. Cl2는 0의 산화수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 반응에서 Cl2가 FeCl2를 산화시켜 FeCl3를 만들어내는 것이기 때문에 산화반응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부식방식

41. 오스테나이트(Austenite)계 스테인리스강 소재에서 자주 관찰되며, 전류와 전압을 높게 하면 양극 표면에 산화물층이 생기고 불활성 상태로 되는 현상은?

  1. 부동태
  2. 수소취성
  3. 입계부식
  4. 부식피로
(정답률: 알수없음)
  • 전류와 전압을 높게 하면 양극 표면에 산화물층이 생기고, 이 산화물층이 불활성 상태로 되어 부식을 방지하는 현상을 부동태라고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부동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알루미늄의 음극방식 재료로 적합한 것은?

  1. 구리
  2. 마그네슘
  3. 니켈
(정답률: 73%)
  • 알루미늄과 마그네슘은 전기음극쌍으로 적합한 조합입니다. 이는 두 금속의 전기화학적 특성이 유사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마그네슘은 알루미늄의 음극방식 재료로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전위변화에 의한 방식방법의 설명 중 틀린 것은?

  1. 금속의 전위를 활성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음극방식이라 한다.
  2. 금속의 전위를 활성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양극방식이라 한다.
  3. 과방식은 황화물 분위기에서 수소취성에 대한 저항력이 높다.
  4. 양극방식은 전해액의 부식성에 관계 없이 사용될 수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금속의 전위를 활성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양극방식이라 한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올바른 설명은 "금속의 전위를 활성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음극방식이라 한다."입니다. 전위변화에 의한 방식은 금속의 화학적인 부식을 방지하기 위해 전위를 조절하여 부식방지를 하는 방식입니다. 이 방식은 음극방식과 양극방식으로 나뉘며, 음극방식은 금속의 전위를 활성방향으로 이동시켜 부식을 방지하는 방식이고, 양극방식은 금속의 전위를 역방향으로 이동시켜 부식을 방지하는 방식입니다. 과방식은 전해액의 부식성에 대한 저항력이 높아 부식방지 효과가 높은 방식이며, 양극방식은 전해액의 부식성에 관계 없이 사용될 수 있어 유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다음은 공식(pitting)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설명이다. 틀린 내용은?

  1. 공식 억제제를 사용하면 임계공식전위가 천(賤)한 방향으로 움직인다.
  2. 용액이 움직이면 국부적인 환경인자의 차이를 없애주어 공식의 발생이 적어진다.
  3. 공식은 할로겐이온에 의하여 촉진되며, 특히 대부분의 공식은 염소이온에 의하여 발생한다.
  4. 염소이온이 공식발생에 미치는 영향은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커진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염소이온이 공식발생에 미치는 영향은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커진다."이 틀린 내용이다.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염소이온의 공식발생에 미치는 영향은 줄어든다.

    공식 억제제를 사용하면 임계공식전위가 낮아지기 때문에 천(賤)한 방향으로 움직인다. 이는 공식 발생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 용액이 움직이면 국부적인 환경인자의 차이를 없애주어 공식의 발생이 적어진다. 공식은 할로겐이온에 의하여 촉진되며, 특히 대부분의 공식은 염소이온에 의하여 발생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산소가 결핍된 환경에서도 철의 부식을 촉진시키는 생물(박테리아)은?

  1. 유황 박테리아
  2. 황산염 환원 박테리아
  3. 철 박테리아
  4. 수소 박테리아
(정답률: 알수없음)
  • 황산염 환원 박테리아는 황산염을 환원시켜 황화물로 만들어내는 능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 과정에서 황화물은 철과 결합하여 철 황화물을 생성하는데, 이 과정에서 철의 부식이 촉진됩니다. 따라서 산소가 결핍된 환경에서도 철의 부식을 촉진시키는 능력을 가진 생물로서 황산염 환원 박테리아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해수중에 철을 담궜을 때 생기는 붉은 녹은?

  1. Fe2O3
  2. FeCl3
  3. Fe(SOH)2
  4. Fe(OH)3
(정답률: 알수없음)
  • 해수중에 철을 담그면 철은 산화되어 Fe(II) 이온으로 녹아들어가고, 이후 산소와 반응하여 Fe(III) 이온으로 산화됩니다. 이 Fe(III) 이온은 수소 이온과 결합하여 Fe(OH)3으로 침전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Fe(OH)3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도금의 내마모성을 위한 시험방법으로 틀린 것은?

  1. 모래 낙하에 의한 방법
  2. 연삭재 분사에 의한 방법
  3. 굴곡에 의한 방법
  4. 연마지에의 왕복운동에 의한 방법
(정답률: 90%)
  • 굴곡에 의한 방법은 도금된 표면을 굴곡시켜 내마모성을 시험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도금된 부품이 실제 사용 중에 굴곡하거나 굽히는 상황을 모방하여 내마모성을 평가할 수 있다. 다른 방법들은 모래 낙하나 연삭재 분사, 연마지에의 왕복운동 등으로 도금된 표면을 마모시켜 내마모성을 시험하는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부식시험 중에서 모형시험(Model Test)에 대한 설명이 옳은 것은?

  1. 실제 사용되고 있는 설비 혹은 장치에서 행해진다.
  2. 자연환경에 사용하기 위해 가장 적당한 재료 혹은 방식법을 찾아내는데 이용된다.
  3. 실제 사용조건 경우보다 더 빠른 속도로 부식진행 시키는 방법이다.
  4. 부식을 촉진시키지 않고 오랜 기간에 걸쳐 행하는 시험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부식을 촉진시키지 않고 오랜 기간에 걸쳐 행하는 시험이다." 이다. 모형시험은 실제 사용되고 있는 설비 혹은 장치에서 행해지는 것이 아니라, 자연환경에 사용하기 위해 가장 적당한 재료 혹은 방식법을 찾아내는데 이용된다. 또한, 실제 사용조건 경우보다 더 빠른 속도로 부식진행 시키는 방법이 아니라 부식을 촉진시키지 않고 오랜 기간에 걸쳐 행하는 시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전기방식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금속체의 습식을 근본적으로 방지
  2. 상용금속의 내구수명연장
  3. 해중 또는 토중의 가설구조물방식
  4. 보수관리가 불필요
(정답률: 알수없음)
  • 전기방식은 금속체의 습식을 근본적으로 방지하고 상용금속의 내구수명을 연장시키며, 해중 또는 토중의 가설구조물 방식으로 설치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보수관리가 불필요한 것은 아닙니다. 모든 시설물은 일정한 주기로 점검과 보수가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토양환경에서의 부식원인의 설명이 옳은 것은?

  1. 수분이 포화된 토양의 부식성이 가장 크다.
  2. 토양중에 있는 황산염은 박테리아에 의한 부식을 억제시킨다.
  3. 매설강재가 상이한 토질에 걸쳐 설치된 경우 산소 부족에서 부식이 발생한다.
  4. 토양중에서 강관보다 귀금속이 연결되어 있으면 강관의 부식속도는 감소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매설강재가 상이한 토질에 걸쳐 설치된 경우 산소 부족에서 부식이 발생한다. - 이유: 매설강재가 상이한 토질에는 산소가 부족하기 때문에 부식이 발생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음극방식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활성태-부동태 금속에 적용된다.
  2. 설치비용은 적다.
  3. 전류 배전효과가 적다.
  4. 작동비용이 비교적 크다.
(정답률: 알수없음)
  • "활성태-부동태 금속에 적용된다."가 틀린 설명이다. 음극방식은 활성태-부동태 금속이 아닌 전해질에 적용되며, 전해질 내부에서 화학반응을 일으켜 전기를 발생시키는 방식이다. 따라서 음극방식은 전해질 내부에서 일어나는 화학반응에 따라 작동하므로, 전류 배전효과가 적고 설치비용은 적지만 작동비용이 비교적 크다는 특징을 가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도금 두께 계산시 필요치 않은 것은?

  1. 전류밀도
  2. 전압
  3. 비중
  4. 시간
(정답률: 알수없음)
  • 도금 두께 계산에 필요한 것은 전류밀도, 비중, 시간이다. 전압은 전류밀도와 시간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이지만, 직접적으로 도금 두께와 관련이 없기 때문에 필요하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부식반응의 전기화학적 과정을 이용한 전지의 구성요소가 아닌 것은?

  1. 전자
  2. 음극
  3. 양극
  4. 전해질
(정답률: 알수없음)
  • 전자는 전지의 구성요소가 아니라 전자의 이동이 전지 작동에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입니다. 전지의 구성요소는 음극, 양극, 전해질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철(Fe)양극에 2A(암페어)로 5분간 흘렸다면 전기량은 몇 쿨롱인가?

  1. 10
  2. 100
  3. 60
  4. 600
(정답률: 알수없음)
  • 전기량은 전류(A) x 시간(s)으로 계산됩니다. 따라서, 2A x 300s(5분 = 300초) = 600쿨롱이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60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내식성 금속재를 선택시 고려하여야 할 사항으로 틀린 것은?

  1. 전기적 성질
  2. 기계적 성질
  3. 가공성
  4. 열적 성질
(정답률: 알수없음)
  • 전기적 성질은 내식성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는 성질이기 때문에, 내식성 금속재를 선택할 때 고려해야 할 사항이 아니다. 따라서, 정답은 "전기적 성질"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지하에 매설된 파이프라인의 방식을 위해 마그네슘을 파이프와 연결하였을 때 사용된 마그네슘은 철에 대하여 애노드(Anode)로 작용하여 철 구조물을 보호하는 작용은?

  1. 희생양극
  2. 보조전지
  3. 백필
  4. 부식억제제
(정답률: 알수없음)
  • 마그네슘은 철보다 활성이 높기 때문에 파이프라인에서 마그네슘을 애노드로 사용하면 마그네슘이 철보다 먼저 부식되어 손상되는 것을 말합니다. 이렇게 마그네슘이 희생하여 부식되는 것을 "희생양극"이라고 합니다. 이러한 방식으로 마그네슘이 희생하여 부식되면 파이프라인의 철 구조물은 보호되어 부식되지 않게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희생양극"입니다. "보조전지", "백필", "부식억제제"는 파이프라인 보호에 사용되는 다른 방법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냉각수 순환계에서 서로 같이 쓸 수 있는 금속은?

  1. 강과 니켈
  2. 네이벌황동과 문츠메탈
  3. 알루미늄과 청동
  4. 니켈과 구리
(정답률: 알수없음)
  • 냉각수 순환계에서는 물과 함께 금속이 사용되는데, 이때 금속은 부식되지 않고 내구성이 높아야 합니다. 강과 니켈은 부식이 심하고 내구성이 낮아서 사용하기 어렵습니다. 알루미늄과 청동은 부식이 심하고 녹이 물에 녹아서 사용하기 어렵습니다. 그러나 네이벌황동과 문츠메탈은 부식이 적고 내구성이 높아서 냉각수 순환계에서 함께 사용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네이벌황동과 문츠메탈"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그림과 같은 전지 중 양극에서 일어나는 반응은?

  1. Cu → Cu2+ + 2e-
  2. Cu2+ + 2e- → Cu
  3. Zn → Zn2+ + 2e-
  4. Zn2+ + 2e- → Zn
(정답률: 알수없음)
  • 전지에서 양극은 양이였던 금속이 전자를 잃어 이온이 되고, 이온은 전해질 용액에서 이온으로 존재합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양극이 양이였던 Zn이 전자를 잃어 Zn2+ 이온이 되는 반응이 일어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선박용, 내해수용, 내열용, 내가스용 등 구조물에 적용하는 방식도금은?

  1. 용융납도금
  2. 용융주석도금
  3. 용융아연도금
  4. 용융알루미늄도금
(정답률: 알수없음)
  • 용융알루미늄도금은 알루미늄을 용융시켜 구조물 표면에 적용하는 방식의 도금이다. 이 방식은 내해수용, 내열용, 내가스용 등 다양한 용도에 적용할 수 있으며, 알루미늄의 경량성과 내식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선박용 도금에도 많이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금속의 부식이 아닌 것은?

  1. 직접부식( direct corrosion )
  2. 전기화학적부식( electro-chemical corrosion )
  3. 산화( oxidation )
  4. 환원(reduction)
(정답률: 알수없음)
  • 환원은 금속의 부식이 아닌 반면, 나머지 보기들은 모두 금속의 부식과 관련된 용어들이다. 환원은 화학 반응에서 전자를 받아들이는 과정을 의미하며, 금속의 부식과는 관련이 없다. 따라서, 정답은 "환원(reduction)"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