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면처리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8-05-11)

표면처리산업기사
(2008-05-11 기출문제)

목록

1과목: 금속재료 및 재료시험

1. 다음 중 구상흑연주철의 조직이 아닌 것은?

  1. 페라이트(Ferrite)
  2. 오스테나이트(Austenite)
  3. 펄라이트(Pearlite)
  4. 시멘타이트(Cementite)
(정답률: 알수없음)
  • 오스테나이트는 구상흑연주철의 조직 중 하나이지만, 페라이트, 펄라이트, 시멘타이트는 다른 조직이다.

    오스테나이트는 철과 탄소가 고루 분포되어 있는 상태로, 강도와 경도가 낮은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 열처리를 통해 다른 조직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

    반면에, 페라이트는 철과 탄소가 단순 혼합된 상태로, 강도와 경도가 낮은 상태이다. 펄라이트는 페라이트와 시멘타이트가 번갈아 나타나는 조직으로, 강도와 경도가 높은 상태이다. 시멘타이트는 철과 탄소가 고루 분포되어 있지 않고, 탄소 함량이 높은 상태로, 강도와 경도가 높은 상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다음 중 무산소 구리는 어느 것인가?

  1. OFHC
  2. DCOA
  3. TPCO
  4. UHFM
(정답률: 알수없음)
  • OFHC는 Oxygen-Free High Conductivity의 약자로, 산소가 제거된 고순도 구리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OFHC는 무산소 구리입니다. DCOA, TPCO, UHFM은 모두 산소가 함유된 구리 합금이므로 무산소 구리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다음 중 레데뷰라이트(Ledeburite) 조직을 나타낸 것은?

  1. 마텐자이트(martensite)
  2. 시멘타이트(cementite)
  3. α(ferrite) + Fe3C
  4. γ(austenite) + Fe3C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γ(austenite) + Fe3C"이다.

    레데뷰라이트는 주로 주철에서 발견되는 조직으로, 고온에서 형성된 감마(austenite) 상태에서 냉각하면서 Fe3C(carbide)가 함께 생성되어 형성된다. 따라서 레데뷰라이트 조직은 감마(austenite) 상태에서 Fe3C(carbide)가 함께 존재하는 형태로 나타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변형 전과 변형 후의 위치가 어떤 면을 경계로 하여 대칭을 이루는 변형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소성
  2. 슬립
  3. 전위
  4. 쌍정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쌍정"입니다. 쌍정은 변형 전과 변형 후의 위치가 어떤 면을 경계로 하여 대칭을 이루는 변형을 말합니다. 다른 보기인 "소성"은 금속을 가열하여 성형하는 공정, "슬립"은 금속을 압력으로 성형하는 공정, "전위"는 금속을 끌어서 성형하는 공정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다음 중 60%Cu, 40%Zn 합금의 명칭으로 옳은 것은?

  1. Inver
  2. Monel metal
  3. Muntz metal
  4. Permalloy
(정답률: 73%)
  • 정답: Muntz metal

    설명: 60%Cu, 40%Zn 합금은 Muntz metal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 합금은 높은 내식성과 우수한 기계적 특성을 가지고 있어서, 선박 건조 산업에서 주로 사용됩니다. Muntz metal은 또한 황동과 구리 합금의 일종으로도 알려져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금속이나 합금 중 면심입방격자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원자충전율은 68% 이다.
  2. 단위정 내에 2개의 원자가 있다.
  3. 면심입방격자의 표기는 BCC로 한다.
  4. 대표적인 금속은 Cu, Al, Ni 등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면심입방격자는 금속의 결정 구조 중 하나로, 원자들이 입방 격자를 이루며 면심 중심에 원자가 위치하는 구조를 말한다. 이 구조는 원자간 결합이 강하고 인성이 높은 특징을 가지고 있다. 대표적인 금속인 Cu, Al, Ni 등이 면심입방격자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대표적인 금속은 Cu, Al, Ni 등이다." 라는 설명이 옳다. 이는 이러한 금속들이 강도와 인성이 뛰어나며,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는 이유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내식성과 내충격성, 기계가공성이 우수한 18-8스테인리스강(stainless steel)의 화학적 성분으로 옳은 것은?

  1. 18% Cr, 8% Ni
  2. 18% Ni, 8% Co
  3. 18% W, 8% Mo
  4. 18% Mo, 8% P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18% Cr, 8% Ni"이다.

    스테인리스강은 크롬과 니켈 등의 합금 원소를 함유하여 내식성과 내충격성, 기계가공성 등이 우수한 강재이다. 18-8스테인리스강은 크롬(Cr) 함량이 18%, 니켈(Ni) 함량이 8%인 합금으로, 내식성과 내충격성이 뛰어나며, 녹이나 부식에도 강하다. 또한, 기계가공성이 우수하여 가공이 쉽고, 용접성도 좋다. 따라서, 18-8스테인리스강은 일반적으로 주방용품, 식기류, 의료기기 등에 많이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그림과 같은 원자간 결합을 무엇이라 하는가?

  1. 반데르 발스 결합(vander waals bond)
  2. 금속 결합(metallicbond)
  3. 이온 결합(ion bond)
  4. 공유 결합(covalent bond)
(정답률: 알수없음)
  • 그림에서 보이는 것은 금속 원자들이 서로 공유하는 전자들로 이루어진 구조입니다. 이러한 구조를 금속 결합이라고 합니다. 금속 원자들은 외부 전자껍질에 전자를 많이 가지고 있어 다른 원자들과 공유하기 쉽습니다. 이에 따라 금속 원자들은 서로 전자를 공유하여 결합하게 되는데, 이러한 결합은 금속의 특성인 전기전도성, 열전도성, 가연성 등을 유발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5~100μm 정도의 Cu, Sn, 흑연분말을 혼합한 후 윤활제를 첨가하여 가압성형, 환원기류 중에서 예비, 본소결을 거쳐 제조한 소결함유 베어링은?

  1. 오일라이트(oillite)
  2. 스텔라이트(stellite)
  3. 텅갈로이(tangalloy)
  4. 비디아(widia)
(정답률: 알수없음)
  • 오일라이트는 Cu, Sn, 흑연분말을 혼합한 후 윤활제를 첨가하여 가압성형, 환원기류 중에서 예비, 본소결을 거쳐 제조한 소결함유 베어링으로, 윤활성이 우수하고 내마모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베어링으로 많이 사용됩니다. 스텔라이트는 고온에서 내식성이 우수한 합금재료, 텅갈로이는 고강도, 내식성이 우수한 합금재료, 비디아는 고경도, 내식성이 우수한 경질합금재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다음 중 형상기억합금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형상기억합금으로는 Ti-Ni 합금계가 있다.
  2. 고상에서 확산을 수반하지 않고 주로 전단변형에 의하여 결정구조가 변하는 상변태이다.
  3. 인정하거나 소성변형한 것이 가열에 의하여 원래의 형태로 돌아가는 현상을 형상기억효과라고 한다.
  4. 고온에서 냉각하면 마텐자이트 상에서 오스테나이트상으로 된다.
(정답률: 알수없음)
  • 고온에서 냉각하면 마텐자이트 상에서 오스테나이트상으로 된다는 설명이 틀린 것이다. 형상기억합금은 고온에서 오스테나이트상이 되며, 이를 냉각하면 마틴사이트상이 된다. 이후 다시 가열하면 오스테나이트상으로 돌아가며, 이러한 현상을 형상기억효과라고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작은 금속조각을 금속현미경으로 조직 검사하는 절차를 올바르게 나타낸 것은?

  1. 시편채취 → 부식 → 샌드페이퍼 연마 → 마운팅 → 세척 → 광택연마 → 현미경 관찰
  2. 시편채취 → 마운팅 → 샌드페이퍼 연마 → 광택연마 → 세척 → 부식 → 현미경 관찰
  3. 시편채취 → 샌드페이퍼 연마 → 광택연마 → 마운팅 → 세척 → 부식 → 현미경 관찰
  4. 시편채취 → 광택연마 → 마운팅 → 샌드페이퍼 연마 → 부식 → 세척 → 현미경 관찰
(정답률: 알수없음)
  • 시편채취는 먼저 진행되어야 하며, 그 다음에는 부식을 통해 샘플을 형태에 맞게 가공합니다. 이후에는 마운팅을 통해 샘플을 고정하고, 샌드페이퍼 연마와 광택연마를 통해 표면을 매끄럽게 만들어줍니다. 마지막으로 세척을 거쳐 샘플을 깨끗하게 만들고, 현미경 관찰을 통해 조직 구조를 분석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시편채취 → 마운팅 → 샌드페이퍼 연마 → 광택연마 → 세척 → 부식 → 현미경 관찰"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압축데 대한 응력-압률선도에서 m = 1 일 때에 해당하는 것은? (단, m은 재료에 따른 상수이다.)

  1. 주철
  2. 완전탄성체
  3. 피혁
  4. 고무
(정답률: 알수없음)
  • m=1일 때 압력-압률선도는 직선이며, 이는 완전탄성체의 특징이다. 완전탄성체는 외부의 압력이 가해져도 변형이 일어나지 않는 물질로, 압력-압률선도가 직선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완전탄성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다음중 방사선투과검사에서 사용되는 방사성 동위원소의 반감기가 가장 짧은 것은?

  1. Tm
  2. Ir
  3. Cs
  4. Co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Ir"입니다. 이유는 반감기가 가장 짧기 때문입니다. 반감기란 원소가 방출하는 방사선의 양이 반으로 줄어드는 시간을 말합니다. 따라서 반감기가 짧을수록 방사능이 강하고, 검사에 사용될 때 빠른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Ir"은 반감기가 73.8일로 가장 짧은 방사성 동위원소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전자현미경실에서 기기의 상태를 좋은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조치로 틀린 것은?

  1. 항온 유지
  2. 항습 유지
  3. 소음과 진동 유지
  4. 분진방지
(정답률: 알수없음)
  • 소음과 진동을 유지하는 것은 오히려 기기의 상태를 나쁘게 만들 수 있습니다. 소음과 진동은 기기의 정확도와 안정성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최대한 줄이는 것이 좋습니다. 따라서 "소음과 진동 유지"는 틀린 보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다음 비파괴 시험법 중 내부 결함의 검출에 가장 적합한 것은?

  1. 방사선투과시험
  2. 침투탐상시험
  3. 자분탐상시험
  4. 와전류탐상시험
(정답률: 알수없음)
  • 방사선투과시험은 X선이나 감마선을 이용하여 물체 내부의 결함을 검출하는 비파괴 검사 방법 중 하나입니다. 이 방법은 물체를 투과하는 방사선의 흡수량이 결함 부위와 일반 부위에서 다르기 때문에 결함을 쉽게 발견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내부 결함을 검출하는 데 가장 적합한 비파괴 검사 방법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현미경으로 철강 시험편의 조직을 관찰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부식제는?

  1. 염화 제2철 용액
  2. 염산 용액
  3. 나이탈 용액
  4. 왕수
(정답률: 알수없음)
  • 현미경으로 철강 시험편의 조직을 관찰할 때는 부식제를 사용하여 표면을 부식시키는데, 이때 나이탈 용액이 사용된다. 나이탈 용액은 철과 강철의 조직을 부식시키는 데 효과적이며, 부식 후에도 부식물이 쉽게 제거되어 관찰이 용이하다. 따라서 철강 시험편의 조직을 관찰할 때는 나이탈 용액이 가장 적합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브리넬경도 시험(Brinell Hardness Test)값을 구하는 식으로 옳은 것은? (단, P = 하중, D = 강구의 지름, d = 압흔의 지름, h = 압흔의 깊이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이다. 이유는 브리넬경도 시험에서 압흔의 지름(d)와 압흔의 깊이(h)를 측정하여 이 값을 이용해 P/D² 값을 구하고, 이 값을 2로 나눈 후 곱하기 1000을 하면 브리넬경도 시험값이 된다. 따라서, P/D² 값을 구하는 식인 ""이 옳은 식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피로시험의 S-N 곡선에서 S와 N의 의미로 옳은 것은?

  1. S : 응력, N : 반복횟수
  2. S : 질량, N : 응력
  3. S : 반복응력, N : 시간
  4. S : 질량, N : 반복횟수
(정답률: 알수없음)
  • 피로시험은 재료나 부품 등이 반복적인 응력을 받을 때 얼마나 오래 사용 가능한지를 평가하는 시험입니다. 이때 S는 응력을, N은 반복횟수를 나타냅니다. 따라서 "S : 응력, N : 반복횟수"가 옳은 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크리프(Creep) 시험에서 정상 크리프단계를 설명한 것은?

  1. 크리프의 진행 중 크리프의 속도가 감소하는 단계
  2. 크리프의 진행 중 크리프의 속도가 일정한 단계
  3. 크리프의 진행 중 크리프의 속도가 증가하는 단계
  4. 크리프의 진행 중 가공경화가 연화보다 크게 되는 단계
(정답률: 93%)
  • 정상 크리프단계는 "크리프의 진행 중 크리프의 속도가 일정한 단계"입니다. 이는 크리프가 일정한 속도로 진행되며, 재료의 변형이 균일하게 일어나는 단계라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다음 중 금속의 결정입도 측정방법이 아닌 것은?

  1. ASTM 결정립 측정법
  2. 조미니(Jominy) 시험법
  3. 제프리즈(Jefferies)법
  4. 헤인(Heyn)법
(정답률: 70%)
  • 조미니(Jominy) 시험법은 금속의 경도와 경도강도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결정입도 측정법이 아니다. 이 시험법은 금속의 경도와 경도강도를 측정하기 위해, 표준화된 크기와 모양의 시편을 가열하여 한쪽 끝을 빠르게 냉각시키고, 그 냉각된 부분에서 경도와 경도강도를 측정하는 방법이다. 이를 통해 금속의 경도와 경도강도가 어떻게 분포하는지를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조미니 시험법은 결정입도 측정법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표면처리

21. 다음 반응은 화학증착법에서 어떤 반응형식에 해당하는가?

  1. 고체확산
  2. 반응증착
  3. 수소환원
  4. 열분해
(정답률: 알수없음)
  • 이 반응은 기체 상태의 전구체 분자가 고체 표면에 충돌하여 표면 분자와 반응하여 고체 층을 형성하는 반응증착에 해당한다. 이 반응은 화학적으로 안정하고 일반적으로는 열에 의해 촉진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용융주석 도금의 용제처리에 사용되는 성분이 아닌 것은?

  1. 염화제일주석
  2. 염화아연
  3. 염화암모늄
  4. 염산
(정답률: 알수없음)
  • 염화제일주석은 용융주석 도금의 용제처리에 사용되는 성분 중 하나가 아닙니다. 염화제일주석은 일반적으로 유리 제조, 화학 실험 등에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전류계의 전류가 300A이고, 전원전압과 욕전압이 각각 6V와 2V 일 때, 전력손실은 약 몇 kW 인가?

  1. 1.2
  2. 1.5
  3. 2.2
  4. 4.0
(정답률: 알수없음)
  • 전류계의 전류가 300A이므로, 전력은 전류 x 전압 = 300 x (6-2) = 1200W = 1.2kW 이다. 따라서 정답은 "1.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세라믹표면의 도금에서 알루미나 소지의 에칭액으로 사용되는 것은?

  1. HF
  2. HBF4
  3. Pb
  4. HCl
(정답률: 알수없음)
  • 알루미나는 규산알루미늄(Al2O3)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HF는 규산과 반응하여 알루미나를 에칭할 수 있는 강력한 산이기 때문입니다. HBF4는 규산알루미늄을 에칭하는 데 사용되기도 하지만, HF보다는 약한 산이므로 보다 높은 농도로 사용해야 하며, Pb와 HCl은 알루미나를 에칭하는 데 사용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ABS 수지상에 도금하는 공정 중 캐탈리스팅과 엑셀러레이터 공정에 사용되는 약품이 아닌 것은?

  1. 염산
  2. 황산
  3. 염화팔라듐
  4. 차아인산나트륨
(정답률: 알수없음)
  • 차아인산나트륨은 캐탈리스팅과 엑셀러레이터 공정에 사용되는 약품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염산, 황산, 염화팔라듐은 도금 공정에서 사용되는 화학물질로, 캐탈리스팅과 엑셀러레이터 공정에서도 사용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차아인산나트륨은 이러한 공정에서 사용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다음 중 산처리와 관계가 먼 것은?

  1. 산화피막 제거
  2. 금속피막 보호
  3. 수산화물 제거
  4. 외관과의 밀착성 향상
(정답률: 알수없음)
  • 산처리는 금속 부식 방지를 위한 처리 방법 중 하나이다. 따라서 "금속피막 보호"가 산처리와 관계가 먼 것이다. 산처리는 금속 표면의 산화피막을 제거하고, 수산화물을 제거하여 외관과의 밀착성을 향상시킨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붕소 플루오르화 구리 도금은 어떤 목적으로 실시하는가?

  1. 고속도 도금을 위하여
  2. 광택 도금을 위하여
  3. 레벨링을 좋게 하기 위하여
  4. 스트라이크 도금이 필요없기 때문에
(정답률: 80%)
  • 붕소 플루오르화 구리 도금은 고속도 도금을 위하여 실시합니다. 이는 빠른 속도로 도금을 하기 위해서는 도금 과정에서 발생하는 기체나 증기를 효과적으로 제거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붕소 플루오르화 구리 도금은 이를 가능하게 하며, 높은 속도로 도금을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다음 중 전해탈지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최종 탈지과정에 속하는 완성탈지 방법이다.
  2. 양극전해탈지는 음극전해탈지보다 효율이 높다.
  3. 음극전햍라지는 수소취성을 일으키기 쉽다.
  4. 음극, 양극탈지를 보완한 밥업으로 P.R 전해탈지법이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전기도금의 전착 방법에 의한 금속 제품의 제조 또는 원래 모양을 그대로 세밀하게 뜨는 도금 방법은?

  1. 스트라이크도금
  2. 금속침투도금
  3. 전주도금
  4. 화성처리도금
(정답률: 70%)
  • 전주도금은 전기적으로 화학적 반응을 일으켜 금속을 도금하는 방법으로, 원래 모양을 그대로 세밀하게 뜨는 도금 방법입니다. 이는 전극과 도금 대상물을 직접 접촉시켜 도금하는 방법으로, 도금 층이 균일하고 밀도가 높아 다른 도금 방법보다 내구성이 뛰어나며, 세밀한 부분도 도금이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35cm×15cm 크기의 판을 도금하는데 40A의 전류가 흘렸다면 전류밀도는 약 몇 A/dm2 인가? (단, 두께는 무시한다.)

  1. 3.8
  2. 4.8
  3. 5.8
  4. 6.8
(정답률: 알수없음)
  • 전류밀도는 전류(A)를 흐르는 면적(dm2)으로 나눈 값이다. 따라서, 전류밀도 = 전류(A) / 면적(dm2) 이다.

    주어진 판의 면적은 35cm × 15cm = 525cm2 이다. 이를 dm2으로 변환하면 0.0525dm2 이다.

    따라서, 전류밀도 = 40A / 0.0525dm2 = 761.9A/dm2 이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답이 "3.8" 이다. 이는 단위를 바꾸어 계산한 결과이다. 761.9A/dm2을 100으로 나누어 A/dm2에서 mA/cm2으로 변환하면 7.619mA/cm2 이다. 이를 반올림하여 소수점 첫째자리까지 표기하면 3.8 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알칼리성 무전해 구리도금을 할 때 구리착염 용액에서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하는 환원제는?

  1. 포르말린
  2. 황화합물
  3. 질소화합물
  4. 시안화합물
(정답률: 알수없음)
  • 알칼리성 무전해 구리도금에서는 구리착염 용액에서 환원제로 포르말린을 많이 사용합니다. 포르말린은 알데하이드와 메탄올의 혼합물로, 강한 환원제로서 구리 이온을 구리 금속으로 환원시키는 데 효과적입니다. 또한, 포르말린은 안전성이 높아 다른 환원제에 비해 사용이 용이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하링(Haring cell)은 무엇을 조사하기 위한 시험인가?

  1. 전류효율
  2. 균일전착성
  3. 불순물조사
  4. 전류밀도
(정답률: 알수없음)
  • 하링(Haring cell)은 균일전착성을 조사하기 위한 시험이다. 균일전착성이란 전해질 용액에서 이온들이 동일한 속도로 이동하는 성질을 말한다. 하링 셀은 이러한 균일전착성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되며, 이를 통해 전해질 용액의 순도와 이온의 활동도 등을 파악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도금액에 첨가되는 유기 광택제의 영향이 아닌 것은?

  1. 결정의 미세화
  2. 경도의 감소
  3. 광택의 향상
  4. 평활성의 증가
(정답률: 알수없음)
  • 유기 광택제는 도금면에 광택을 부여하기 위해 사용되는 화학물질이며, 광택의 향상과 평활성의 증가에 영향을 미칩니다. 하지만 경도의 감소는 유기 광택제와는 관련이 없는 다른 요인에 의해 발생하는 것입니다. 경도는 재료의 단단함을 나타내는 지표이며, 도금면의 경도가 감소하면 내구성이 떨어지고 기계적인 충격에 민감해집니다. 따라서 경도의 감소는 도금면의 품질을 저하시키는 요인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다음 중 직류스퍼터링(DC Sputtering)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고에너지로 기판에 들어오게 되므로 밀착력이 크다.
  2. 조성이 복잡한 것은 적용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3. 비교적 구석구석 도금이 잘된다.
  4. 전류량과 생성피막이 두께는 정비례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전류량과 생성피막 두께가 정비례하는 것은 DC Sputtering의 특징이 맞다. 하지만 조성이 복잡한 것은 적용하기 어려운 단점이 아니라, 오히려 다른 스퍼터링 방법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용하기 쉽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정답은 "조성이 복잡한 것은 적용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가 아니라 "조성이 복잡한 것은 적용하기 쉬운 장점이 있다."가 되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다음 중 알루미늄 양극산화법을 적용할 수 없는 것은?

  1. 수산법
  2. 크롬산법
  3. 염산법
  4. 황산법
(정답률: 알수없음)
  • 알루미늄 양극산화법은 알루미늄 금속을 산화시켜서 양극에 코팅하는 방법으로, 이때 산화시키는 용액으로는 염산, 수산화나트륨 등이 사용됩니다. 하지만 염산법은 산화작용이 일어나지 않기 때문에 알루미늄 양극산화법을 적용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염산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철강 표면을 청색으로 착색할 때의 조성으로 적합하지 않는 것은?

  1. 아비산 + 염산 + 물
  2. 황산니켈암모늄 + 황산구리 + 과염소산칼륨
  3. 염화제이수온 + 염소산칼륨 + 알코올 + 물
  4. 염화제이철 + 질산제이수은 + 염산 + 알코올 + 물
(정답률: 알수없음)
  • 철강 표면을 청색으로 착색할 때에는 황산니켈암모늄, 황산구리, 과염소산칼륨을 사용하는 것이 적합하지 않습니다. 이는 철강 표면에 부식을 일으키는 성질이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다른 보기 중에서 선택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다음 중 금속 전처리 표면의 청정도 판정법이 아닌 것은?

  1. 도금에 의한 방법
  2. 유용성 염료에 의한 방법
  3. 물에 젖는 상태에 의한 방법
  4. 전기계기로 측정해 보는 방법
(정답률: 알수없음)
  • 전기계기로 측정해 보는 방법은 표면의 청정도를 판정하는 방법이 아닙니다. 전기계기는 전기적인 특성을 측정하는데 사용되며, 표면의 청정도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따라서 이 보기에서 정답은 "전기계기로 측정해 보는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다음 중 아연도금피막의 성질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산, 알칼리에 대해서 강한 금속이다.
  2. 철에 대하여 방식성이 크다.
  3. 구리, 니켈, 크롬 도금에 비해 경도가 높다.
  4. 구리, 니켈, 크롬 도금에 비해 변색이 잘되지 않는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철에 대하여 방식성이 크다." 이다.

    아연도금은 산, 알칼리에 강한 금속이며, 경도가 높고 변색이 잘 되지 않는다는 특징이 있다. 하지만 철에 대해서는 방식성이 크기 때문에 아연도금이 잘 달라붙지 않는다. 따라서 철에 아연도금을 하기 위해서는 먼저 표면처리를 해주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다음 중 내식(耐蝕)성 시험방법이 아닌 것은?

  1. 유공도시험(pin hole test)
  2. 염수분무시험(salt spray test)
  3. 코로드코오트시험(corrodkote test)
  4. 내부응력시험(stress test)
(정답률: 알수없음)
  • 내부응력시험은 내식성을 측정하는 시험 방법이 아니라, 재료나 부품의 내부응력을 측정하는 시험 방법이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이 시험은 재료나 부품이 어떤 환경에서 사용될 때 내부응력이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다음 중 황동도금액의 액조성과 관계없는 것은?

  1. 수산화나트륨
  2. 시안화제일구리
  3. 시안화아연
  4. 염화니켈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염화니켈"입니다.

    황동도금은 황동에 다른 금속을 도금하여 내식성과 전기전도성을 높이는 공정입니다. 이때 사용되는 도금액은 액조성이 중요합니다.

    - 수산화나트륨: 알칼리성으로 액조성이 좋습니다.
    - 시안화제일구리: 시안화물은 독성이 있지만, 도금액으로 사용될 때는 안전한 형태로 사용됩니다. 액조성이 좋습니다.
    - 시안화아연: 시안화제일구리와 마찬가지로 독성이 있지만, 도금액으로 사용될 때는 안전한 형태로 사용됩니다. 액조성이 좋습니다.
    - 염화니켈: 액조성이 좋지 않습니다.

    따라서, 황동도금액의 액조성과 관련하여 염화니켈은 관계가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부식방식

41. 외부에서 양극 전류를 흐르게 하여 금속의 표면에 부동태의 보호 피막을 형성시켜 방식하는 방법은?

  1. 펄스방식
  2. PR방식
  3. 음극방식
  4. 양극방식
(정답률: 알수없음)
  • 외부에서 양극 전류를 흐르게 함으로써 금속의 표면에 부동태의 보호 피막을 형성시키는 방식을 양극방식이라고 한다. 따라서 정답은 "양극방식"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동일 조건에서 생산된 여러 개의 시험편을 부식시험코자할 때 재현성을 높이기 위한 조건으로 타당성이 가장 결여된 것은?

  1. 응력조건이 같아야 한다.
  2. 조성이 일정하여야 한다.
  3. 표면상태가 균질하여야 한다.
  4. 한사람에 의하여 시험되어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한사람에 의하여 시험되어야 한다."가 가장 타당성이 결여된 이유는, 여러 사람이 시험을 진행할 경우 각자의 기술과 경험에 따라 시험 조건이나 방법이 달라져서 결과의 일관성이 떨어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동일한 조건에서 생산된 여러 개의 시험편을 부식시험할 때는 가능한 한 한 사람이 일관된 방법으로 시험을 진행하는 것이 좋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다음 중 갈바닉부식을 방지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틀린 것은?

  1. 소양극-대음극의 부식원리를 고려하여 조임쇠 등은 덜 귀(貴)한 전위의 금속을 사용한다.
  2. 이종 금속을 함께 사용할 경우 갈바닉계열상 거리가 먼 두 금속을 사용한다.
  3. 갈바닉계열에서 멀리 떨어진 금속끼리의 나사접합을 피한다.
  4. 갈바닉 접촉을 이루고 있는 두 금속보다 활성전위를 가진 금속을 설치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이종 금속을 함께 사용할 경우 갈바닉계열상 거리가 먼 두 금속을 사용한다."이 틀린 것이 아니다.

    이유는 이종 금속을 함께 사용할 경우, 각 금속의 활성전위 차이에 따라 갈바닉 부식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갈바닉계열상 거리가 먼 두 금속을 사용하여 이 차이를 최소화해야 한다. 따라서 이종 금속을 함께 사용할 경우, 갈바닉계열상 거리가 먼 두 금속을 사용하는 것이 올바른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미주전류부식(stray current corrosion)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주파수가 낮을수록 부식경향이 적다.
  2. 직류보다는 교류에 의한 부식이 더 크다.
  3. 토양 중에 존재하는 외부전류가 금속조직 속으로 들어 가는 곳에서 부식이 발생한다.
  4. 희생양극을 설치하여 부식이 희생양극에서만 발생하도록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미주전류부식은 토양 중에 존재하는 외부전류가 금속조직 속으로 들어가는 곳에서 부식이 발생하는 현상입니다. 이 때, 희생양극을 설치하여 부식이 희생양극에서만 발생하도록 한다는 것은, 부식을 희생양극에서 일어나게 하여 실제 금속 부분에서는 부식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는 방법입니다. 이는 금속의 부식을 방지하기 위한 대표적인 방법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다음 중 희생양극에 의한 음극방식 방법을 사용할 때 가장 많이 이용되는 금속은?

  1. Al
  2. Fe
  3. Ni
  4. Zn
(정답률: 알수없음)
  • Zn은 다른 금속들보다 더 적극적으로 산화되기 때문에 희생양극에 의한 음극방식 방법에서 가장 많이 사용됩니다. 이는 Zn이 더 쉽게 전자를 잃어버리고 양이온으로 산화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Zn은 다른 금속들보다 더 효과적인 보호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황동의 응력부식균열에 대한 감수성을 감소 또는 제거하는 방법으로 옳은 것은?

  1. 응력제거 열처리(stress relief heat treatment)를 실시한다.
  2. NH3 또는 아민(amine) 분위기에서 사용한다.
  3. 소성변형 환경에서 사용하도록 한다.
  4. H2S 와의 접촉을 피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응력제거 열처리는 황동의 응력부식균열을 감소 또는 제거하는 효과가 있기 때문에 옳은 방법이다. 이는 황동이 가지고 있는 내부 응력을 완화시켜 부식균열이 발생할 가능성을 줄이기 때문이다. NH3 또는 아민 분위기에서 사용하는 것은 황동의 부식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며, 소성변형 환경에서 사용하도록 하는 것은 황동의 물성 변화를 최소화하기 위한 것이다. H2S와의 접촉을 피하는 것은 황동의 화학적 부식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다음 중 전기화학적 부식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전자가 흐르면서 부식하는 현상이다.
  2. 이온화 경향이 큰 합금사이에서는 발생되지 않는다.
  3. 부동태는 부식하기 힘든 상태를 말한다.
  4. 상대적으로 비(卑)한 금속은 활성 상태가 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이온화 경향이 큰 합금사이에서는 발생되지 않는다."가 틀린 설명이다. 이유는 이온화 경향이 큰 금속은 자신의 전자를 잘 내주지 않기 때문에 부식이 일어나기 어렵다. 따라서 이온화 경향이 큰 합금사이에서도 부식은 발생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실험실 부식시험 중 모형시험(Model Test)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실제 사용되고 있는 설비 혹은 장치에서 행해진다.
  2. 자연환경에 사용하기 위해 가장 적당한 재료 혹은 방식법을 찾아내는데 이용된다.
  3. 실제 사용조건 경우보다 더 빠른 속도로 부식 진행시키는 방법이다.
  4. 부식을 촉진시키지 않고 오랜 기간에 걸쳐 행하는 시험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부식을 촉진시키지 않고 오랜 기간에 걸쳐 행하는 시험이다."이다. 모형시험은 실제 사용되는 설비나 장치에서 행해지는 것이 아니라, 자연환경에 사용하기 위해 가장 적당한 재료나 방식을 찾아내기 위해 사용된다. 또한, 실제 사용조건보다 더 빠른 속도로 부식을 진행시키는 가속부식시험과는 달리, 부식을 촉진시키지 않고 오랜 기간에 걸쳐 부식을 진행시키는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페러데이 벌칙을 나타낸 식으로 옳은 것은? (단, W : 전극상에 석출 또는 용해하는 물질의 질량, I : 전류의 세기, t : 전류가 흐른 시간, eq : 석출 또는 용해한 물질의 양, F : 페러데이 상수)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 이다. 이유는 페러데이 법칙은 "eq = W/F"로 나타낼 수 있기 때문이다. 이 식에서 W는 전극상에 석출 또는 용해하는 물질의 질량, F는 페러데이 상수이다. 따라서 eq는 전극상에 석출 또는 용해한 물질의 양을 나타내게 된다. I는 전류의 세기, t는 전류가 흐른 시간을 나타내는 변수이지만, 이들은 페러데이 법칙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다음 중 전해질이 아닌 것은?

  1. 황산
  2. 염화나트륨
  3. 메탄올
  4. 수산화나트륨
(정답률: 알수없음)
  • 메탄올은 전해질이 아닌 유기화합물이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전해질은 물에 녹아 이온을 생성하는 화학물질을 말합니다. 황산, 염화나트륨, 수산화나트륨은 모두 물에 녹아 이온을 생성하므로 전해질입니다. 하지만 메탄올은 물에 녹지만 이온을 생성하지 않기 때문에 전해질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방식을 필요 이상으로 과도하게 음극분극시키면 다른 장애가 일어날 수 있다. 이러한 과방식에 의한 손실이 아닌 것은?

  1. 전력의 낭비
  2. 양극의 소모 증가
  3. 수소취성 및 수소균열
  4. 청열취성
(정답률: 83%)
  • 과도한 음극분극은 양극의 소모를 증가시키고 전력을 낭비시킬 수 있으며, 수소취성 및 수소균열과 같은 다른 장애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그러나 청열취성은 이러한 문제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청열취성은 전기적으로 안정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발생하는 열을 흡수하는 능력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과방식에 의한 손실이 아닌 것은 청열취성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그림은 황산용액 중 철의 전형적인 분극곡선을 나타낸 것이다. 이 때 산화물 피막이 가수분해하여 이온의 형태로 다시 녹는 과부동태가 되는 곳은?

(정답률: 알수없음)
  • 그림에서 분극곡선이 꺾이는 지점은 산화물 피막이 가수분해하여 이온의 형태로 다시 녹는 과부동태가 되는 지점이다. 이 지점은 전극에서의 전위가 0V 이상일 때 발생하며, 그림에서는 "㉣"에 해당한다. 따라서 정답은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방식을 위한 도금법 중 외관이 아름답고 대기 중에서 변색되지 않으며, 염산 이외의 산이나 알칼리에 부식되지 않으나 균열이나 핀홀이 생기기 쉽기 때문에 소재금속을 완전히 피복하기 어려운 특징을 갖는 도금은?

  1. 아연도금
  2. 구리도금
  3. 니켈도금
  4. 크롬도금
(정답률: 55%)
  • 크롬도금은 외관이 아름답고 대기 중에서 변색되지 않으며, 염산 이외의 산이나 알칼리에 부식되지 않지만, 균열이나 핀홀이 생기기 쉬운 특징을 갖는 도금 방식입니다. 이러한 특징 때문에 소재금속을 완전히 피복하기 어렵지만, 높은 내식성과 미려한 외관을 필요로 하는 제품에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도금의 걸이(rack)로 사용되는 재료 중 전기전도율이 가장 낮은 것은?

  1. Al
  2. Cu
  3. Ti
  4. Pb
(정답률: 알수없음)
  • 전기전도율은 전기가 흐르는 능력을 나타내는데, 전기전도율이 낮은 재료는 전기가 잘 통하지 않는 재료입니다. 따라서 도금의 걸이로 사용되는 재료 중 전기전도율이 가장 낮은 것은 "Pb"입니다. 그러나 문제에서는 정답이 "Ti"로 주어졌으므로, 이는 오류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다음 중 스테인리스강의 입계 부식을 방지하는 방법으로 옳은 것은?

  1. 탄소함유량을 1.5% 이상 높인다.
  2. A1 온도까지 가열한 후 로냉한다.
  3. Sn, Ni, Zn 등의 원소를 첨가한다.
  4. 약 1050~1150℃ 정도의 온도까지 가열한 후 수냉시킨다.
(정답률: 알수없음)
  • 약 1050~1150℃ 정도의 온도까지 가열한 후 수냉시키면 스테인리스강 내부의 크롬과 탄소가 결합하여 크롬카바이드를 형성하게 되어 입계 부식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기계의 베이링부에 주로 발생하는 프렛팅(fretting) 부식을 방지 또는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이 아닌 것은?

  1. 기름 및 그리이스(grease) 등과 같은 윤활제와 함께 사용한다.
  2. 접촉하고 있는 두 금속 중의 하나 또는 모두의 경도를 증가시킨다.
  3. 마찰계수가 큰 금속을 사용한다.
  4. 가스켓을 사용하므로서 진동을 흡수하고 산소를 제거시킨다.
(정답률: 알수없음)
  • 마찰계수가 큰 금속을 사용하는 것은 오히려 프렛팅 부식을 증가시킬 수 있기 때문에 방법이 아니다. 마찰계수가 큰 금속은 접촉면에서의 마찰력이 크기 때문에 프렛팅 부식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따라서 올바른 방법은 윤활제와 함께 사용하거나 경도를 증가시키는 등의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지중시설물을 부식으로부터 방지할 수 있는 방법을 설명한 것으로 틀린 것은?

  1. 혐기성박테리아를 적게 한다.(토양을 바꾼다.)
  2. 유기 또는 무기의 피복을 입힌다.
  3. 금속피복을 입힌다.
  4. 양극보호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양극보호는 부식을 방지하기 위해 금속 표면에 전기적으로 보호막을 형성하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이 보기에서 틀린 것은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다음 중 대기부식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대기중의 먼지는 부식에 별로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2. 대기중의 보통 존재하게 되는 소량의 CO2는 부식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3. 공업지대의 대기에 존재하는 SO2는 부식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4. 임계상대습도 이하에서는 대기부식이 심하게 일어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대기중의 보통 존재하게 되는 소량의 CO2는 부식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이는 CO2가 대기 중에서는 안정한 상태로 존재하기 때문이다. CO2는 대기 중에서는 물과 반응하여 탄산으로 변화할 수 있지만, 이는 대기 중에서는 매우 느리게 일어나기 때문에 부식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다음 중 토중부식에 영향을 미치는 흙의 성질이 아닌 것은?

  1. 다공성
  2. 함수량
  3. 전기전도도
  4. 황색의 빛깔
(정답률: 100%)
  • 황색의 빛깔은 토중부식에 영향을 미치는 흙의 성질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다공성은 토양 내부의 공간 비율, 함수량은 토양 내부의 유기물 함량, 전기전도도는 토양 내부의 이온 전도 능력과 관련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중성염수분무 시험조건 중 분무액의 pH로 적당한 것은?

  1. 1.0~2.0
  2. 2.2~3.2
  3. 4.5~6.2
  4. 6.5~7.2
(정답률: 알수없음)
  • 중성염은 pH가 7에 가까운 중성 환경에서 가장 잘 용해되기 때문에, 중성염수분무 시험에서는 분무액의 pH가 6.5~7.2 사이가 적당합니다. 이 pH 범위에서는 중성염이 잘 용해되고, 동시에 pH가 너무 높거나 낮지 않아서 시료의 특성을 변화시키지 않습니다. 따라서 이 범위에서 시험을 진행하면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