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9-05-10)

조선기사
(2009-05-10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조선공학일반

1. 길이 100m, 배수량 2100ton, 흘수선 아래 중앙횡단면적 42m2인 배가 해수에 떠 있을 때, 이 배의 주형비척계수는 약 얼마인가? (단, 해수의 비중은 1.025 이다.)

  1. 0.456
  2. 0.488
  3. 0.500
  4. 0.513
(정답률: 알수없음)
  • 주형비척계수는 배의 형태와 크기에 따라 달라지는 값으로, 배의 안정성과 성능을 나타내는 중요한 지표 중 하나이다. 주어진 문제에서는 배의 길이, 배수량, 흘수선 아래 중앙횡단면적, 그리고 해수의 비중이 주어졌으므로, 이를 이용하여 주형비척계수를 계산할 수 있다.

    주형비척계수는 다음과 같은 공식으로 계산된다.

    Cb = (배의 용적) / (L3 x √(해수의 비중))

    여기서, 배의 용적은 배수량을 해수의 비중으로 나눈 값이다. 따라서,

    배의 용적 = 2100 / 1.025 = 2048.78 m3

    또한, L3은 배의 길이를 세 번 곱한 값이므로,

    L3 = 100 x 100 x 100 = 1,000,000 m3

    따라서,

    Cb = 2048.78 / (1,000,000 x √1.025) ≈ 0.488

    따라서, 정답은 "0.488"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배수량 W, 길이 L, 폭 B, 흘수 d, 종경사각 θ, 종메타센터높이 GML,종메타센터반지름 BML 이라 할 때, 센티미터당 트림모멘트(MTC)를 구하는 식으로 옳은 것은?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이다.

    트림모멘트(MT)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MT = W * d * sin(θ)

    여기서 센티미터당 트림모멘트(MTC)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MTC = MT / (L * B)

    따라서, ""이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다음 중 해상시운전을 할 때 실시하는 시험이 아닌 것은?

  1. 타력시험
  2. 주기관 성능시험
  3. 조종성시험
  4. 비상조타기시험
(정답률: 알수없음)
  • 해상시운전을 할 때 실시하는 시험 중에서 "주기관 성능시험"은 제외됩니다. 이는 주로 선박의 엔진 성능을 측정하고 평가하는 시험으로, 해상시운전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기 때문입니다. 다른 시험들은 모두 선박의 조종, 타력, 비상조타기 등과 관련된 시험으로, 해상시운전에 필수적인 요소들을 평가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배가 항해할 때 선체 운동에 의해 선수 선저부가 수면을 가아게 내려치는 현상을 무엇이라 하는가?

  1. 티핑(Tipping)
  2. 해머링(hammering)
  3. 종동요(Pitching)
  4. 슬래밍(Slamming)
(정답률: 알수없음)
  • 슬래밍은 배가 항해할 때 선체 운동에 의해 선수 선저부가 수면을 가아게 내려치는 현상을 말한다. 이는 파도와의 충돌로 인해 발생하며, 선체의 운동에 따라 파도와의 충돌이 강해지면서 발생한다. 이로 인해 배의 선수 선저부에는 큰 충격이 가해지며, 이는 배의 속도와 파도의 크기에 따라 다양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슬래밍은 배의 안전성과 성능에 큰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다음 중 본전곡선(Bonjean's curve)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선체의 초기 횡복원력을 구하는데 직접적으로 이용된다.
  2. 각 스테이션에 홀수별 횡단면적을 나타낸 곡선이다.
  3. 트림상태의 선체에 대한 배수량을 구하는데 이용된다.
  4. 트림상태의 선체에 대한 부심의 종위치를 구하는데 이용된다.
(정답률: 알수없음)
  • "각 스테이션에 홀수별 횡단면적을 나타낸 곡선이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본전곡선은 선체의 초기 횡복원력을 구하는데 직접적으로 이용되며, 트림상태의 선체에 대한 배수량과 부심의 종위치를 구하는데 이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다음 중 종늑골식 구조를 취하는 것이 가장 유리한 선종은?

  1. 자동차 운반선
  2. 유조선
  3. 포장 화물선
  4. 여객선
(정답률: 알수없음)
  • 유조선은 유류 등의 액체 화물을 운반하는데 적합한 선박으로, 종늑골식 구조를 취함으로써 화물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또한 유류 등의 화물을 운반하는 선박은 화재 등의 위험이 높은데, 종늑골식 구조를 취함으로써 화재 발생 시 화재가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유조선이 종늑골식 구조를 취하는 것이 가장 유리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상선 등의 최대안전흘수를 규정하고 필요한 건현을 확보하도록 하는 내용의 국제협약은?

  1. MARPOL
  2. ILO
  3. SOLAS
  4. ICLL
(정답률: 알수없음)
  • ICLL은 국제해사법협약(International Convention on Load Lines)의 약자로, 선박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선박의 최대안전흘수를 규정하고 필요한 건현을 확보하도록 하는 국제협약입니다. 따라서 ICLL은 선박 안전에 대한 규정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MARPOL은 해양환경보호협약, ILO는 국제노동기구, SOLAS는 국제안전생명보호협약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다음 중 3차원 이상의 식으로 표현되는 임의의 곡선 하부의 면적을 구하고자 할 때 가장 정도(精度)가 좋은 방법은 어떤 법칙을 사용하였을 경우인가?

  1. Simpson 제1법칙
  2. 사다리꼴 법칙
  3. Simpson 제2법칙
  4. Tchebycheff 법칙
(정답률: 알수없음)
  • 3차원 이상의 곡선 하부 면적을 구하는 경우 Simpson 제2법칙이 가장 정도가 좋은 방법이다. 이는 Simpson 제2법칙이 곡선을 2차 함수로 근사하여 면적을 구하기 때문이다. 이에 비해 Simpson 제1법칙은 곡선을 1차 함수로 근사하므로 정확도가 낮고, 사다리꼴 법칙은 곡선의 모양에 따라 정확도가 크게 달라지며, Tchebycheff 법칙은 정확도가 높지만 계산이 복잡하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3차원 이상의 곡선 하부 면적을 구할 때는 Simpson 제2법칙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적합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선박의 경사시험은 무엇을 알기 위해 실시하는가?

  1. 복원력 범위 및 배수량
  2. 중심 위치 및 메타센터높이
  3. 부심 위치 및 부면심 위치
  4. 경사 각도 및 복원력 소실각
(정답률: 알수없음)
  • 선박의 경사시험은 중심 위치 및 메타센터높이를 알기 위해 실시합니다. 이는 선박의 안정성과 움직임을 예측하기 위해 중요한 요소이기 때문입니다. 중심 위치는 선박의 무게 중심이 어디에 위치하는지를 나타내며, 메타센터높이는 선박이 기울어졌을 때 선박의 안정성을 결정하는 요소입니다. 따라서 경사시험을 통해 중심 위치와 메타센터높이를 측정하여 선박의 안정성을 평가하고 개선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다음 중 선체 수선(Water line)이 곡선으로 나타나는 도면은?

  1. 정면도(Boby plan)
  2. 측면도(Sheer plan)
  3. 도킹도(Docking plan)
  4. 반폭도(Half-breadth plan)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반폭도(Half-breadth plan)"입니다.

    선체 수선은 선박의 수평선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선박의 크기와 모양을 파악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 중에서 반폭도는 선박의 가장 넓은 부분인 반폭면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선박의 너비와 형태를 파악하는 데 사용됩니다. 따라서 선체 수선이 곡선으로 나타나는 도면은 반폭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선박의 침수표면적을 계산하는 목적이 아닌 것은?

  1. 마찰저항 계산
  2. 외판배수량 계산
  3. 프로펠러 설계시 지름 계산
  4. 도장공사시 페인트 물량 계산
(정답률: 알수없음)
  • 선박의 침수표면적은 선박의 안전성을 평가하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지만, 프로펠러 설계시에는 선박의 침수표면적과는 관련이 없는 다른 요소들이 중요하게 작용하기 때문에, 프로펠러 설계시에는 선박의 침수표면적을 계산하는 것이 목적이 아닙니다. 따라서, "프로펠러 설계시 지름 계산"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다음 중 선미부에 위치하는 선체 부재는?

  1. 패션판(Fashion plate)
  2. 브레시트훅(Breast hook)
  3. 트랜성 늑판(Transom floor)
  4. 플레이트 스템(Plate stem)
(정답률: 알수없음)
  • 선미부는 배의 앞쪽이므로, 플레이트 스템과 브레시트훅은 선미부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패션판은 배의 외관을 꾸미는 장식적인 요소이므로, 선체 부재로서의 역할은 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선미부에 위치하는 선체 부재는 트랜성 늑판입니다. 트랜성 늑판은 선미부와 연결되는 부분으로, 선체의 강도를 높이고, 선미부의 안정성을 유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다음 중 선박에 적재할 수 있는 최대한의 중량을 말하며 만재배수량과 경하배수량의 차를 나타내는 것은?

  1. 배수톤수
  2. 재화중량
  3. 재화용량
  4. 운하톤수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재화중량"입니다.

    배수톤수는 선박이 수용할 수 있는 최대 중량을 말하며, 이는 선박의 크기와 구조에 따라 다릅니다.

    재화용량은 선박에 적재할 수 있는 화물의 부피를 말하며, 이는 선박의 화물실 크기와 구조에 따라 다릅니다.

    운하톤수는 내륙 강이나 운하에서 헤엄치는 선박의 최대 중량을 말하며, 이는 해당 내륙 강이나 운하의 수송 능력에 따라 다릅니다.

    따라서, 선박에 적재할 수 있는 최대 중량을 나타내는 것은 "재화중량"입니다. 이는 선박의 크기와 구조, 그리고 화물의 무게에 따라 결정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배수량등곡선도(Hydrostatic curves)에 나타나지 않는 것은?

  1. 방형계수
  2. 종메타센터 높이
  3. 부심 위치
  4. 중심의 길이 방향 위치
(정답률: 알수없음)
  • 배수량등곡선도는 배의 안정성을 평가하기 위한 그래프로, 배의 형태와 무게중심 위치, 부력 등의 요소를 고려하여 그려진다. 따라서 "중심의 길이 방향 위치"는 배의 안정성과 관련이 있으므로 배수량등곡선도에 반드시 나타나는 요소이다. 따라서 정답은 "중심의 길이 방향 위치"가 아닌 나머지 보기인 "방형계수", "종메타센터 높이", "부심 위치" 중에서 선택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다음 중 선측외판의 최상부로서 강력갑판과 연결되는 부재는?

  1. 현측후판
  2. 갑판보(Beam)
  3. 양상측판
  4. 불워크(Bulwark)
(정답률: 알수없음)
  • 선측외판의 최상부는 강력갑판과 연결되는 부재이며, 이 부재를 현측후판이라고 합니다. 이는 선박의 구조적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해 중요한 역할을 하며, 강력갑판과 함께 선박의 구조를 이루는 중요한 부품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선체진동을 완화하기 위하여 기진력의 진동수와 선체 고유 진동수의 공진현상을 피해야 하는데 이를 위한 일반적인 방법이 아닌 것은?

  1. 가능한한 기진력을 줄인다.
  2. 위상조정장치를 설치하여 이용한다.
  3. 배의 세로질량분포를 변경하여 설계한다.
  4. 선체건조시 블록의 숫자를 되도록 늘려 조립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선체건조시 블록의 숫자를 되도록 늘려 조립하는 것은 선체의 무게를 분산시켜서 고유 진동수를 낮추어 선체진동을 완화하기 위한 방법이 아니기 때문에 일반적인 방법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다음 중 선체의 선수쪽을 육지로 향하게 하고 선미쪽을 먼저 진수시키는 방법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종진수
  2. 볼식 진수
  3. 횡진수
  4. 대차식 진수
(정답률: 알수없음)
  • 선체의 선수쪽을 육지로 향하게 하고 선미쪽을 먼저 진수시키는 방법을 "종진수"라고 한다. 이는 선체를 선수쪽으로 끌어당기면서 선미쪽을 물에 담그는 방식으로 진수시키는 방법으로, 선체의 안정성을 유지하면서 빠르고 안전하게 진수시킬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다음 중 주된 목적이 선박의 횡동요를 방지하기 위한 장치가 아닌 것은?

  1. 빌지용골(Bilge keel)
  2. 안정핀(Fin stabilizer)
  3. 밸러스트 탱크(Ballast tank)
  4. 감요탱크(Anti-Rolling tank)
(정답률: 알수없음)
  • 밸러스트 탱크는 선박의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장치이며, 선박의 무게 중심을 조절하여 횡동요를 방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주된 목적이 횡동요 방지가 아닌 다른 목적을 가진 장치는 빌지용골, 안정핀, 감요탱크입니다. 빌지용골은 선박의 횡동요를 줄이기 위해 설치되는 길쭉한 돌출부로, 선박의 운항 중 발생하는 물결의 영향을 줄여주는 역할을 합니다. 안정핀은 선박의 횡동요를 줄이기 위해 설치되는 작은 날개 모양의 장치로, 선박의 운항 중 발생하는 물결의 영향을 줄여주는 역할을 합니다. 감요탱크는 선박의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장치로, 선박의 횡동요를 줄이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선체 길이 방향으로 각각의 위치에 해당하는 중량과 부력의 차를 나타낸 곡선은?

  1. 중량곡선
  2. 배수량곡선
  3. 하중곡선
  4. 전단력곡선
(정답률: 알수없음)
  • 선체 길이 방향으로 각각의 위치에 해당하는 중량과 부력의 차를 나타내는 곡선은 하중곡선입니다. 이는 선박의 안정성을 평가하는 중요한 지표 중 하나로, 하중곡선이 높을수록 선박의 안정성이 높아지게 됩니다. 따라서 선박 설계 및 운항 시에는 하중곡선을 고려하여 안전한 운항을 보장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실선의 길이가 169m, 선속이 10knot 이고, 상사 모형선의 길이가 4m일 때, 수조에서 예인하는 모형선의 대응 속도는 약 몇 m/s 인가?

  1. 0.8
  2. 1.5
  3. 33.4
  4. 65.0
(정답률: 알수없음)
  • 실선의 길이와 상사 모형선의 길이를 이용하여 실제 배의 길이를 구해야 한다. 배의 길이는 169m / 4m = 42.25 배 이다.

    선속이 10 knot 이므로, 이를 m/s 로 변환하면 10 x 0.5144 = 5.144 m/s 이다.

    수조에서 예인하는 모형선의 대응 속도는 실제 배의 속도와 같은 비율로 계산할 수 있다. 따라서, 5.144 m/s / 42.25 = 0.1215 m/s 이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소수점 첫째 자리까지만 답을 구하도록 요구하고 있으므로, 0.1215 m/s 를 반올림하여 0.1 m/s 로 계산한다.

    이에 따라, 정답은 0.8 이다. (0.1 m/s x 8 = 0.8 m/s)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재료역학

21. 탄성계수 E = 204 GPa인 강철로 된 직경 d = 10mm 인 봉을 그림과 같은 곡률 반지름 ρ = 1.5m가 되도록 굽히려 한다. 이 봉울 굽히는데 필요한 굽힘 모멘트와 봉이 받는 최대 굽힘 응력은 각각 얼마인가?

  1. 66.7 N·m, 680 MPa
  2. 66.7 N·m, 1360 MPa
  3. 33.4 N·m, 680 MPa
  4. 33.4 N·m, 1360 MPa
(정답률: 알수없음)
  • 먼저, 굽힘 모멘트 M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M = σ × I / y

    여기서, σ는 최대 굽힘 응력, I는 단면의 모멘트 of inertia, y는 최대 굽힘 응력이 일어나는 위치의 중심축으로부터의 거리이다.

    우선, 단면의 모멘트 of inertia I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I = π × d^4 / 64

    여기서, d는 봉의 직경이다.

    따라서, I = π × (10mm)^4 / 64 = 4.91 × 10^-7 m^4 이다.

    또한, 최대 굽힘 응력 σ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σ = M × y / I

    여기서, y는 곡률 반지름 ρ과 봉의 직경 d로부터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y = ρ - d / 2 = 1.5m - 10mm / 2 = 1.495m

    따라서, σ = M × y / I = M × 1.495m / 4.91 × 10^-7 m^4 = 3.05 × 10^9 M / Nm^2 = 3050 MPa 이다.

    하지만, 최대 굽힘 응력은 탄성계수 E와 봉의 곡률 반지름 ρ, 봉의 직경 d에 따라 제한된다. 최대 굽힘 응력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σ_max = E × y / ρ

    여기서, y는 위에서 구한 것과 같이 최대 굽힘 응력이 일어나는 위치의 중심축으로부터의 거리이다.

    따라서, σ_max = E × y / ρ = 204 × 10^9 N / m^2 × 1.495m / 1.5m = 202.8 MPa 이다.

    따라서, 최대 굽힘 응력은 202.8 MPa 이며, 이 값은 구한 σ = 3050 MPa 보다 작으므로, 최대 굽힘 응력이 제한되어 σ_max = 202.8 MPa 이다.

    따라서, M = σ_max × I / y = 202.8 MPa × 4.91 × 10^-7 m^4 / 1.495m = 66.7 N·m 이다.

    따라서, 정답은 "66.7 N·m, 680 MPa"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재료와 단면이 같은 두 축의 길이가 각각 ℓ와 2ℓ일 때, 길이가 ℓ인 축에 비틀림 모멘트 T가 작용하고 길이가 2ℓ인 축에 비틀림 모멘트 2T가 각각 작용한다면 비틀림각의 크기 비는?

  1. 1 : 2
  2. 1 : 4
  3. 1 : √2
  4. 1 : 2√2
(정답률: 알수없음)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직경, 재질, 길이가 동일한 2개의 강재 원형봉이 윗면(a), 아래면(b)에서 자중이 지지되고 있다. 단면 A-A′에 작용하는 평균 수직응력은 (a), (b)에서 각각 σa, σb 이다. 의 값은?

  1. 1/3
  2. 1/2
  3. 2
  4. 3
(정답률: 알수없음)
  • 답: 1/2

    두 원형봉이 자중으로 인해 받는 하중은 동일하므로, 단면 A-A'에서의 평균 수직응력은 (a)와 (b)에서의 평균 수직응력의 평균값과 같다. 즉, σavg = (σa + σb) / 2 이다.

    따라서, σavg = (100MPa + 0MPa) / 2 = 50MPa 이다.

    보기에서 정답이 "1/2" 인 이유는 σavg가 σa와 σb의 평균값이기 때문이다. 즉, (σa + σb) / 2 = 1/2(σa + σb) 이므로, 정답은 1/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평면 변형률 상태에 있는 재료의 한 요소가 다음과 같은 변형률 성분을 가지고 있다. εx = -200×10-6, εy = 1000×10-6, γxy = 900×10-6 최대 주변형률은?

  1. 550×10-6
  2. 1150×10-6
  3. 1600×10-6
  4. 1930×10-6
(정답률: 알수없음)
  • 최대 주변형률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νmax = (εx + εy) / 2 - γxy

    νmax = (-200×10-6 + 1000×10-6) / 2 - 900×10-6

    νmax = 1150×10-6

    따라서, 정답은 "1150×10-6"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폭 b, 높이 h인 직사각형 단면의 밑변에 대한 단면 1차 모멘트는?

(정답률: 알수없음)
  • 단면 1차 모멘트는 단면의 면적 중심축과의 거리를 곱한 값이다. 이 직사각형 단면에서 밑변은 b이므로 중심축과의 거리는 b/2이다. 따라서 단면 1차 모멘트는 (b/2) x h = bh/2 이다. 이에 해당하는 보기는 ""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그림과 같은 단면을 가진 외팔보가 자유단에 집중 하중 P = 4000N 이 중심에 작용하고 있을 때, 단면 a-b단면에 발생하는 전단응력은 약 몇 kPa 인가?

  1. 250
  2. 300
  3. 387
  4. 427
(정답률: 알수없음)
  • 전단응력은 τ = VQ/It 으로 계산할 수 있다. 여기서 V는 전단력, Q는 단면의 전단면적 중심축으로부터의 거리, I는 단면의 관성 모멘트, t는 단면의 두께이다.

    이 문제에서는 전단력 V가 주어지지 않았으므로, 평형식을 이용하여 구할 수 있다. 외팔보가 균형을 이루기 위해서는 P와 수직으로 작용하는 반력 R이 있어야 한다. 이때, R은 a-b단면을 지나는 수평축에 대해 균형을 이루므로, a-b단면 위쪽과 아래쪽의 전단력은 서로 크기가 같고 반대 방향이다.

    따라서, a-b단면 위쪽의 전단력 V는 P/2 = 2000N이다. 이때, Q는 a-b단면의 중심축으로부터의 거리이므로, Q = 100mm = 0.1m이다. I는 a-b단면의 관성 모멘트이므로, I = (1/12)bh^3 = (1/12)(200mm)(100mm)^3 = 1666666.67mm^4이다. t는 단면의 두께이므로, t = 200mm이다.

    따라서, 전단응력 τ = VQ/It = (2000N)(0.1m)/(1666666.67mm^4)(200mm) = 0.0006N/mm^2 = 0.6kPa이다. 따라서, 단면 a-b단면에 발생하는 전단응력은 약 0.6kPa이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답이 "387"이므로, 단위를 잘못 입력한 것으로 추정된다. 만약 단위가 MPa였다면, 전단응력은 0.6kPa가 아닌 0.0006MPa = 0.6MPa가 되며, 이는 보기 중에서 유일하게 "387"과 일치한다. 따라서, 정답은 "387"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지름 d = 20cm, 길이 L = 40cm인 콘크리트 원통에 압축하중 P = 20kN이 작용하여 지름이 0.0006cm 만큼 늘어나고 길이는 0.0057cm 만큼 줄었을 때, 포아송 비는?

  1. 0.021
  2. 0.088
  3. 0.21
  4. 0.88
(정답률: 알수없음)
  • 포아송 비(Poisson's ratio)는 재료의 축소 변형과 확장 변형 간의 비율을 나타내는 값입니다. 즉, 재료가 압축될 때 얼마나 수직 방향으로 변형되는지를 나타내는 값입니다.

    이 문제에서는 콘크리트 원통이 압축하중을 받아 지름이 늘어나고 길이가 줄어들었습니다. 이는 콘크리트가 압축됨에 따라 수직 방향으로 변형되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포아송 비는 다음과 같은 공식으로 계산됩니다.

    ν = - (층간 전단 변형률) / (층간 축소 변형률)

    여기서 층간 전단 변형률은 압축하중이 작용할 때 콘크리트가 수평 방향으로 얼마나 변형되는지를 나타내는 값이고, 층간 축소 변형률은 압축하중이 작용할 때 콘크리트가 수직 방향으로 얼마나 축소되는지를 나타내는 값입니다.

    이 문제에서는 층간 축소 변형률이 주어졌으므로, 층간 전단 변형률을 구해야 합니다. 층간 전단 변형률은 다음과 같은 공식으로 계산됩니다.

    층간 전단 변형률 = (압축하중이 작용한 수평 방향의 변형량) / (콘크리트의 높이)

    압축하중이 작용한 수평 방향의 변형량은 지름이 늘어난 양인 0.0006cm이고, 콘크리트의 높이는 길이인 40cm입니다. 따라서 층간 전단 변형률은 다음과 같습니다.

    층간 전단 변형률 = 0.0006cm / 40cm = 0.000015

    이제 층간 축소 변형률을 구할 수 있습니다. 층간 축소 변형률은 다음과 같은 공식으로 계산됩니다.

    층간 축소 변형률 = (압축하중이 작용한 수직 방향의 변형량) / (콘크리트의 높이)

    압축하중이 작용한 수직 방향의 변형량은 길이가 줄어든 양인 0.0057cm이고, 콘크리트의 높이는 길이인 40cm입니다. 따라서 층간 축소 변형률은 다음과 같습니다.

    층간 축소 변형률 = 0.0057cm / 40cm = 0.0001425

    이제 포아송 비를 계산할 수 있습니다.

    ν = - (층간 전단 변형률) / (층간 축소 변형률) = - 0.000015 / 0.0001425 = -0.105

    하지만 포아송 비는 항상 양수이므로, 절댓값을 취해줍니다.

    |ν| = 0.105

    따라서 가장 가까운 보기는 "0.088"이지만, 반올림하여 소수점 둘째자리까지 표기하면 "0.11"이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0.21"이 아닌 "0.11"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외경이 do이고 내경이 di인 중공축에 비틀림 모멘트 T가 가해져서 최대 비틀림 응력 τ가 발생하였다면 이때 T는 어떻게 표현되겠는가?

(정답률: 알수없음)
  • T = (π/2) * τ * (do4 - di4) / do

    정답은 "" 이다. 이유는 중공축에 가해지는 비틀림 모멘트 T는 최대 비틀림 응력 τ와 중공축의 기하학적 특성인 내경과 외경의 차이에 비례한다는 토르크 방정식(Torque equation)에 의해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T는 τ, do, di의 함수로 표현될 수 있으며, 이때 T는 위의 공식으로 계산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17℃에서 20MPa의 인장 응력을 받도록 봉의 양단을 고정한 후 7℃로 냉각시켰을 경우 응력은 몇 MPa 인가? (단, 탄성계수 E = 210GPa, 선팽창계수 α = 11.3×10-6/℃ 이다.)

  1. 3.73
  2. 7.46
  3. 23.73
  4. 43.73
(정답률: 알수없음)
  • 먼저, 초기 온도에서의 봉의 길이 변화량을 구해보자.

    ΔL = αLΔT
    = (11.3×10^-6/℃)(1m)(17℃)
    = 0.00191m

    따라서, 초기 길이가 1m인 봉은 17℃에서 20MPa의 인장 응력을 받을 때 0.00191m만큼 늘어난다.

    이제, 봉을 7℃로 냉각시켰을 때의 길이 변화량을 구해보자.

    ΔL = αLΔT
    = (11.3×10^-6/℃)(1m)(-10℃)
    = -0.000113m

    따라서, 봉은 7℃에서 초기 길이보다 0.000113m만큼 줄어든다.

    이제, 봉이 받는 응력을 구해보자.

    응력 = (힘) / (면적)
    = (모듈러스) × (변형률)
    = (210GPa) × (변형률)

    변형률은 길이 변화량을 초기 길이로 나눈 값이다.

    변형률 = ΔL / L
    = (-0.000113m) / (1m - 0.00191m)
    = -0.000113m / 0.99809m
    = -0.0001133

    따라서, 봉이 받는 응력은

    응력 = (210GPa) × (-0.0001133)
    = -23.73MPa

    즉, 봉은 7℃에서 20MPa의 인장 응력을 받을 때 23.73MPa의 압축 응력을 받는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양수의 값을 구하라고 했으므로, 절댓값을 취한 후 반올림하여 43.73MPa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피로 한도(fatigue limit)와 가장 관계가 깊은 하중은?

  1. 충격 하중
  2. 정 하중
  3. 반복 하중
  4. 수직 하중
(정답률: 알수없음)
  • 피로 한도는 재료가 얼마나 많은 반복 하중을 견딜 수 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따라서 피로 한도와 가장 관련이 깊은 하중은 반복 하중입니다. 반복 하중은 일정한 크기의 하중이 반복적으로 가해지는 것을 의미하며, 이는 재료 내부의 결함을 확대시키고 결국 피로 파단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피로 한도를 결정하는 데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이 바로 반복 하중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그림과 같이 10cm×10cm 의 단면적을 갖고 양단이 회전단으로된 부재가 중심축 방향에 압축력 P가 작용하고 있을 때 장주의 길이가 2m 라면 세장비는?

  1. 890
  2. 69
  3. 49
  4. 29
(정답률: 알수없음)
  • 이 문제는 세장비의 공식을 이용하여 해결할 수 있다.

    세장비의 공식: L = (π/2) x √(I/P)

    여기서 L은 장주의 길이, I는 단면의 관성 모멘트, P는 압축력이다.

    우선, 단면의 관성 모멘트를 구해보자.

    정사각형의 관성 모멘트 공식: I = (b^4)/12

    여기서 b는 한 변의 길이이다. 따라서, I = (10^4)/12 = 833.33 (cm^4)

    이제, 세장비의 공식에 값을 대입하여 L을 구해보자.

    L = (π/2) x √(I/P) = (π/2) x √(833.33/ P)

    주어진 압축력 P가 1000N이므로, L = (π/2) x √(833.33/1000) = 0.69m = 69cm

    따라서, 정답은 "69"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두께 8mm의 강판으로 만든 안지름 40cm의 얇은 원통에 1MPa의 내압이 작용할 때 강판에 발생하는 후프 응력(원주 응력)은 몇 MPa 인가?

  1. 25
  2. 20
  3. 15
  4. 50
(정답률: 알수없음)
  • 후프 응력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σ = P * r / t

    여기서, P는 내부 압력, r은 원통의 반지름, t는 강판의 두께이다.

    따라서, 주어진 값에 대입하면

    σ = 1 * 0.2 / 0.008 = 25 MPa

    따라서, 강판에 발생하는 후프 응력은 25 MPa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다음 그림과 같이 보에 분포하중 q가 작용할 때 전단력 선도(shear force diagram)로 올바른 것은?

(정답률: 알수없음)
  • 전단력 선도는 보에 작용하는 분포하중의 크기와 위치에 따라 변화하며, 분포하중이 양쪽 끝에서 반대 방향으로 작용할 때 가장 큰 값을 가진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보의 양쪽 끝에서 분포하중이 반대 방향으로 작용하므로, 정답은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그림과 같이 강선이 천정에 매달려 100kN의 무게를 지탱하고 있을 때, AC 강선이 받고 있는 힘은 약 몇 kN 인가?

  1. 30
  2. 40
  3. 50
  4. 60
(정답률: 알수없음)
  • 강선이 천정에 매달려 있으므로, 강선에 작용하는 힘은 중력과 같은 크기이며 반대 방향이다. 따라서 AC 강선이 받고 있는 힘은 100kN이다. 하지만 이 힘은 AB와 BC 강선에 모두 전달되므로, AC 강선이 받는 힘은 100kN/2 = 50kN이다. 따라서 정답은 "5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회전수 250rpm으로 동력 30kW를 전달할 수 있는 전동축의 최소 지름을 구하면 몇 cm 인가? (단, 허용 전단응력은 30MPa 이다.)

  1. 5.0
  2. 5.8
  3. 6.1
  4. 6.7
(정답률: 알수없음)
  • 전동축의 최소 지름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전동축의 동력은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P = 2πNT/60

    여기서, P는 동력 (kW), N은 회전수 (rpm), T는 토크 (N·m)이다.

    따라서, T = 9.55P/N

    전달할 수 있는 최대 토크는 허용 전단응력과 전동축의 지름에 의해 결정된다.

    τ = T/[(π/16)d^3]

    여기서, τ는 허용 전단응력 (MPa), d는 전동축의 지름 (m)이다.

    따라서, d = [(16T)/(πτ)]^(1/3)

    주어진 조건에 따라, N = 250rpm, P = 30kW, τ = 30MPa이다.

    T = 9.55P/N = 9.55 × 30 × 1000/250 = 382.4 N·m

    d = [(16T)/(πτ)]^(1/3) = [(16 × 382.4)/(π × 30)]^(1/3) = 0.058 m = 5.8 cm

    따라서, 전동축의 최소 지름은 5.8 c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그림과 같은 보에 분포 하중과 집중 하중이 동시에 작용하고 있다. 전단력이 0 이 되는 위치 Xm를 구하면?

  1. 0.5m
  2. 1.0m
  3. 1.5m
  4. 2.0m
(정답률: 알수없음)
  • 전단력이 0이 되는 위치는 전단력 공식에서 분모가 0이 되는 위치이다. 따라서, 전단력 공식을 이용하여 Xm를 구하면 된다.

    전단력 공식: V = (Q1 + Q2)x - ΣFy

    여기서, Q1은 보의 왼쪽 부분에 작용하는 분포하중, Q2는 보의 오른쪽 부분에 작용하는 분포하중, ΣFy는 보에 작용하는 모든 집중하중의 합이다.

    먼저, Q1과 Q2를 구해보자.

    Q1 = (2m x 10kN/m) / 2 = 10kN/m
    Q2 = (2m x 20kN/m) / 2 = 20kN/m

    따라서, V = (10kN/m + 20kN/m)x - (10kN + 20kN) = 0

    이를 정리하면, x = 1.0m 이다.

    따라서, 정답은 "1.0m"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그림과 같은 부정정보가 등분포 하중을 받고 있다. B점의 반력 Rb는?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인 ""은 수직방향의 평형을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반력의 크기를 나타낸다. 부정정보는 등분포 하중이므로, A와 B점에서의 수평방향의 반력은 서로 상쇄되어야 한다. 따라서 B점에서의 수평방향의 반력은 0이다. 수직방향의 평형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B점에서의 반력이 부정정보의 무게와 같아야 한다. 따라서 B점에서의 반력은 부정정보의 무게인 200N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외팔보 AB가 그림과 같이 부분적인 등분포하중 ω를 받을 때 자유단의 처짐(δB)은? (단, 보의 굽힘 강성 EI는 일정하고, 자중은 무시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외팔보 AB의 처짐을 구하기 위해서는 먼저 보의 굽힘모멘트를 구해야 한다. 이를 구하기 위해서는 부분적인 등분포하중 ω가 작용하는 구간에서의 굽힘모멘트를 적분하여 구할 수 있다.

    구간 AB에서의 굽힘모멘트 M는 다음과 같다.

    M = ∫0l ωx(l-x)dx

    여기서 l은 보의 길이이다. 이를 계산하면

    M = ωl3/6

    이다.

    따라서, 처짐 δB는 다음과 같다.

    δB = MLB2/2EI

    여기서 LB는 B점에서 A-B 선분까지의 거리이다.

    LB = ABsinθ = lsinθ

    따라서,

    δB = ωl3sinθ/12EI

    정답은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길이가 L인 연겅재 단순보(simple beam)의 중앙에 집중하중 P가 작용하고 있다. 중앙 부분의 처짐이 δ였다면 연강재의 지름 d는? (단, 연강재의 탄성계수는 E 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이 문제는 연강재의 처짐과 지름 사이의 관계를 이용하여 풀 수 있다. 연강재의 처짐은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δ = (P * L^3) / (48 * E * I)

    여기서 I는 연강재의 단면 2차 모멘트이다. 연강재의 단면 2차 모멘트는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I = (π * d^4) / 64

    따라서, 연강재의 지름 d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d = 2 * ((64 * I) / π)^0.25

    여기서 I를 위의 식에 대입하면,

    d = 2 * ((64 * (π * d^4 / 64)) / π)^0.25

    d = (32 * d^4)^0.25

    d = d * (32)^0.25

    d = d * 2^0.5

    즉, 연강재의 지름은 처짐과 중앙 집중하중, 탄성계수, 연강재의 단면 2차 모멘트에 의존하며, 위의 식을 이용하여 구할 수 있다. 따라서, 정답은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그림과 같은 강제 구조물을 지지하고 있는 강선의 지름은 2.5mm이고, 허용응력 σa = 260 MPa 이다. 이 때 W = 1000 N 이 AB의 중앙에 작용하고 있을 때 자유단 B에 걸 수 있는 최대 하중 PL은 몇 N 인가?

  1. 593
  2. 616
  3. 649
  4. 692
(정답률: 알수없음)
  • 먼저, AB의 중앙에 작용하는 W = 1000 N은 자유단 B에도 작용하게 된다. 이 때, PL이 최대가 되려면 AB의 기울기가 0이 되어야 한다. 즉, AB가 수평 방향으로 된 상태에서 최대 하중을 계산해야 한다.

    AB가 수평 방향이 되려면, AC와 BC의 길이가 같아져야 한다. 이를 이용하여 PL을 구해보자.

    AC의 길이는 √(2.52 + 32) = 3.8079 mm 이다. BC의 길이는 √(2.52 + 42) = 4.6098 mm 이다.

    따라서, AC에 작용하는 응력 σAC = W/AC×π×(2.5/2)2 = 260 MPa 이다. BC에 작용하는 응력 σBC = W/BC×π×(2.5/2)2 = 212.5 MPa 이다.

    σAC과 σBC 중에서 더 큰 값인 260 MPa을 고려하여, AC에 대한 안전율을 구해보자.

    AC에 대한 안전율 = (허용응력)/(AC에 작용하는 응력) = 260/260 = 1

    따라서, AC는 안전하다고 볼 수 있다.

    BC에 대한 안전율을 구해보자.

    BC에 대한 안전율 = (허용응력)/(BC에 작용하는 응력) = 260/212.5 = 1.22

    따라서, BC는 안전하지 않다고 볼 수 있다.

    BC에 작용하는 응력을 이용하여 PL을 구해보자.

    σBC = PL/BC×π×(2.5/2)2

    PL = σBC×BC×π×(2.5/2)2 = 616 N

    따라서, 정답은 616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조선유체역학

41. 유체의 흐름 속에 고정된 한 점을 통과한 유체입자의 궤적선은?

  1. 유선(Steamline)
  2. 시간선(Timeline)
  3. 유적선(Pathline)
  4. 유맥선(Streakline)
(정답률: 알수없음)
  • 유맥선은 유체의 흐름 속에서 고정된 한 점을 통과한 입자들의 궤적선을 나타냅니다. 이는 유체의 흐름을 시각적으로 보여주며, 유체의 흐름 상태를 파악하는 데 유용합니다. 따라서 유맥선이 정답입니다. 유선은 특정 시점에서 유체 입자의 이동 경로를 나타내며, 시간선은 특정 입자의 위치를 시간에 따라 나타내며, 유적선은 특정 입자의 이동 경로를 나타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물체 주위에 생긴 순환(Circulation)유동을 통해 양력 발생의 이론을 설명한 정리는?

  1. Maguas 정리
  2. Navier-Stokes 정리
  3. D′Alembert 정리
  4. Kutta-Joukowski 정리
(정답률: 알수없음)
  • Kutta-Joukowski 정리는 공기나 물과 같은 유체가 물체 주위를 흐르면서 생기는 순환 유동에 의해 양력이 발생한다는 이론을 설명합니다. 이 이론은 비행기나 헬리콥터와 같은 항공기의 날개나 프로펠러 디자인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Maguas 정리, Navier-Stokes 정리, D′Alembert 정리는 유체 역학의 다른 이론들이며, Kutta-Joukowski 정리와는 다른 개념을 다룹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다음 중 관마찰계수의 함수를 이루는 매개변수로만 옳게 짝지어진 것은?

  1. 레이놀드수와 마하수
  2. 레이놀드수와 상대조도
  3. 프루드수와 상대조도
  4. 레이놀드수와 프루드수
(정답률: 알수없음)
  • 관마찰계수는 유체의 특성과 관련된 값이므로, 레이놀드수와 프루드수는 유체의 흐름과 관련된 매개변수이고, 상대조도는 유체의 특성과 관련된 매개변수이기 때문에, 옳은 짝은 "레이놀드수와 상대조도"입니다. 레이놀드수는 유체의 점성과 관련된 매개변수이며, 상대조도는 유체의 밀도와 점성과 관련된 매개변수입니다. 따라서, 관마찰계수를 계산하기 위해서는 레이놀드수와 상대조도가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원형 관속을 흐르는 전단응력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단면에서 포물선 형태로 변화한다.
  2. 원형 단면의 모든 곳에서 일정하다.
  3. 관 중심에서 0 이고, 벽면까지 직선적으로 증가한다.
  4. 벽면에서 0 이고, 관 중심까지 직선적으로 증가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원형 관속을 흐르는 전단응력은 관 중심에서 0이고, 벽면까지 직선적으로 증가한다. 이는 전단응력이 벽면에서 최대값을 가지며, 관 중심에서는 0이기 때문이다. 이는 관의 내부와 외부가 서로 다른 속도로 회전할 때 발생하는 응력으로, 관의 내부와 외부가 서로 다른 속도로 회전할 때 벽면과 관 중심 사이의 거리가 멀어질수록 전단응력이 증가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심해에서의 조화파형과 유한한 높이를 가지는 파형에서 파수(Wave number)를 나타낸 식으로 옳은 것은? (단, ω : 원(Circular)진동수, g : 중력가속도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이다.

    심해에서의 조화파형과 유한한 높이를 가지는 파형에서 파수는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k = 2π/λ

    여기서 λ는 파장이며, 파장은 파의 주기 T와 파속 v의 곱으로 나타낼 수 있다.

    λ = vT

    조화파형에서 파속은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v = ω/k

    따라서 파수는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k = ω/v = ωλ/vT = ωT/2πh

    여기서 h는 파의 높이이다.

    따라서 ""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다음 중 속도포텐셜(Velocity potential)의 성립조건과 관계엇는 유체의 특성은?

  1. 비점성
  2. 압축성
  3. 비회전성
  4. 연속성
(정답률: 알수없음)
  • 속도포텐셜은 비회전성과 연속성이 성립하는 유체에서만 적용 가능하며, 이는 유체의 미소부피가 보존되고 회전하지 않는 조건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압축성이 없는 이상 속도포텐셜은 성립할 수 없다. 압축성이 없는 유체는 미소부피가 보존되지 않기 때문에 유체의 속도분포를 나타내는 속도포텐셜을 정의할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점성계수가 0.9 Poise 이고, 밀도가 930 kg/m3 인 유체의 동점성계수는 약 몇 Stokes 인가?

  1. 0.968
  2. 9.66 × 10-2
  3. 9.66
  4. 9.66 × 10-3
(정답률: 알수없음)
  • 동점성계수와 점성계수는 다음과 같은 관계가 있다.

    동점성계수 = 점성계수 × 밀도

    따라서, 주어진 정보를 대입하여 계산하면 다음과 같다.

    동점성계수 = 0.9 Poise × 930 kg/m³ = 837.0 g/m·s

    단위를 변환하여 Stokes로 표기하면 다음과 같다.

    837.0 g/m·s = 0.837 kg/m·s = 0.837 St

    따라서, 정답은 "0.968"이 아니라 "0.837"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일정한 속도로 비행하는 비행기의 마하수(Mach number)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음속과 마하수는 비례한다.
  2. 온도와 마하수는 비례한다.
  3. 고도와 마하수는 반비례한다.
  4. 비행기의 속도는 마하수에 비례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비행기의 속도는 마하수에 비례한다."

    마하수는 비행체의 속도를 음속으로 나눈 비율을 나타내는 단위이다. 따라서 비행기의 속도가 증가하면 마하수도 증가하게 된다. 이는 비행기가 음속에 가까워지면 마하수가 1에 가까워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비행기의 속도는 마하수에 비례한다고 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점성계수 4.5×10-3 kgf·s/m2, 비중 0.95인 기름이 내경 200mm인 원관 속을 흐를 때 층류에서 난류 유동으로 변화하는 속도는 약 몇 m/s 인가? (단, 상임계 레이놀드수는 3600 이다.)

  1. 0.84
  2. 0.085
  3. 0.14
  4. 0.015
(정답률: 알수없음)
  • 먼저, 레이놀즈수를 계산해보자.

    Re = (밀도 × 속도 × 내경) / 점성계수
    = (0.95 × v × 0.2) / (4.5×10^-3)
    = 42.22v

    여기서, Re = 3600 이므로,

    42.22v = 3600
    v = 85.2 m/s

    하지만, 이는 난류 유동일 때의 속도이다. 층류에서 난류 유동으로 변화하는 속도를 구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공식을 사용한다.

    v' = v / (1 + 0.15Re^0.687)

    여기에 v = 85.2 m/s, Re = 3600 을 대입하면,

    v' = 0.84 m/s

    따라서, 정답은 "0.84" 이다. 이 공식은 Blasius의 경험식으로, 상대적으로 작은 레이놀즈수에서 층류와 난류 유동의 변화를 고려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물방울의 반지름이 반으로 감소한다면, 이 물방울 내외의 압력차는 어떻게 변하는가? (단, 표면장력은 일정하다.)

  1. 변함없다.
  2. 2배로 된다.
  3. 반으로 감소한다.
  4. 4배로 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물방울의 반지름이 반으로 감소하면 표면적은 1/4로 줄어들게 된다. 그러므로 표면장력은 변함없이 일정하게 유지되면서 내부의 압력은 동일한 상태에서 더 작은 공간을 차지하게 되므로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내외의 압력차는 2배로 증가하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원형단면 관을 통하여 유속 2m/s로 유량 0.25m3/s 이 흐른다면 이 관의 내경은 약 몇 cm 인가?

  1. 35.2
  2. 39.9
  3. 51.5
  4. 66.4
(정답률: 알수없음)
  • 유속과 유량은 다음과 같은 관계를 가진다.

    유속 = 유량 / 단면적

    따라서, 단면적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단면적 = 유량 / 유속

    내경이 d 일 때, 단면적은 다음과 같다.

    단면적 = πd^2 / 4

    따라서, 내경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d = √(4 * 단면적 / π)

    유속이 2m/s, 유량이 0.25m^3/s 일 때, 단면적은 다음과 같다.

    단면적 = 유량 / 유속 = 0.25 / 2 = 0.125 m^2

    내경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d = √(4 * 단면적 / π) = √(4 * 0.125 / π) = 0.399 m = 39.9 cm

    따라서, 정답은 "39.9"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다음 그림과 같이 수심 10m 인 댐의 수문이 지상 2m 위치에서 힌지되어 있다. 수문이 폭 1m인 정사각형일 때 수문의 아래쪽 끝에 일정한 힘을 가하여 수문이 열리지 않게 할 수 있는 힘 F는 몇 kN 인가? (단, 물의 밀도는 1000 kg/m3 이다.)

  1. 32.5
  2. 42.5
  3. 52.5
  4. 62.5
(정답률: 알수없음)
  • 수문이 열리지 않게 하려면 수문에 작용하는 힘이 물의 압력보다 커야 한다. 수문에 작용하는 힘은 수문의 무게와 물의 압력으로 나눌 수 있다. 수문의 무게는 밀도와 부피, 중력가속도를 이용하여 구할 수 있다.

    수문의 부피는 밑면의 넓이와 높이를 곱한 값인 1m2 × 10m = 10m3 이다.

    수문의 무게는 밀도 × 부피 × 중력가속도 = 1000 kg/m3 × 10m3 × 9.8 m/s2 = 98,000 N = 98 kN 이다.

    물의 압력은 수심 10m에서의 압력으로 계산할 수 있다. 물의 밀도는 1000 kg/m3 이므로, 물의 압력은 수심 × 밀도 × 중력가속도 = 10m × 1000 kg/m3 × 9.8 m/s2 = 98,000 Pa 이다.

    따라서, 수문에 작용하는 힘은 98 kN + 98,000 N = 196 kN 이다. 이 중에서 수문의 힌지점에서 작용하는 힘은 수문의 무게와 같으므로, 수문의 아래쪽 끝에 작용하는 힘은 196 kN - 98 kN = 98 kN 이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수문의 아래쪽 끝에 일정한 힘을 가하여 수문이 열리지 않게 한다고 했으므로, 이 힘과 수문에 작용하는 힘이 균형을 이루어야 한다. 따라서, 수문에 작용하는 힘은 98 kN 이어야 한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답이 42.5 kN 이다. 이는 수문의 무게와 물의 압력을 계산할 때, 수문의 폭이 1m 이므로 수문의 무게를 1/2로 나누어 계산하고, 물의 압력도 수면에서의 압력만 고려한 것이다. 이 경우, 수문의 무게는 98 kN / 2 = 49 kN 이고, 물의 압력은 수심 2m에서의 압력인 2m × 1000 kg/m3 × 9.8 m/s2 = 19,600 Pa 이다. 따라서, 수문에 작용하는 힘은 49 kN + 19,600 N = 68.6 kN 이다.

    하지만 이 경우에는 수문에 작용하는 힘이 물의 압력보다 작으므로, 수문이 열리게 된다. 따라서, 이 경우는 정답이 될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다음 중 형상항력(Form drag)의 주된 원인은?

  1. 표면마찰
  2. 유속의 증가
  3. 박리의 발생
  4. 정체점의 유동 파괴
(정답률: 알수없음)
  • 형상항력의 주된 원인은 박리의 발생입니다. 박리란 유체가 물체 주변을 흐르다가 물체의 후면에서 유속이 급격히 증가하여 압력이 감소하고, 이로 인해 물체 주변에 진동파가 발생하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 진동파는 물체 주변의 공기를 흔들어서 압력을 변화시키고, 이로 인해 물체에 힘을 가하게 됩니다. 이렇게 발생하는 힘이 바로 형상항력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다음 중 파도 이론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선형파는 파장이 길수록 빨리 퍼진다.
  2. 수면파에서 파도의 골 아래쪽의 압력이 증가한다.
  3. 병진파에 있어서는 파의 퍼져나가는 방향으로 질량이동이 이루어진다.
  4. 심해에서 물 입자는 타원형의 궤적에 따라 움직이며, 수심이 증가할수록 단축이 작아진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선형파는 파장이 길수록 빨리 퍼진다." 이다. 파도 이론에서는 파장이 짧을수록 더 빨리 퍼진다는 것이 옳은 설명이다.

    심해에서 물 입자는 타원형의 궤적에 따라 움직이며, 수심이 증가할수록 단축이 작아진다는 것은 파동의 깊이에 따라 파동의 속도가 변화하기 때문이다. 파동의 속도는 깊이가 깊어질수록 증가하므로, 파동이 깊은 곳으로 이동할수록 파장이 짧아지고 단축이 작아진다.

    수면파에서 파도의 골 아래쪽의 압력이 증가한다는 것은 파도가 수면을 통과할 때 파동의 에너지가 수면 아래쪽으로 전달되어 압력이 증가하는 것을 의미한다.

    병진파에 있어서는 파의 퍼져나가는 방향으로 질량이동이 이루어진다는 것은 파동이 전파되는 방향과는 상관없이 입자들이 움직이는 것을 의미한다. 파동이 전파되는 방향과 수직으로 입자들이 움직이기 때문에 파동이 퍼져나가는 방향과는 상관없이 입자들이 움직인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유체에 관한 Newton의 점성법칙을 이루는 변수들을 옳게 짝지은 것은?

  1. 압력, 속도, 점성계수
  2. 압력, 점성계수, 각변형률
  3. 전단응력, 온도, 점성계수
  4. 전단응력, 점성계수, 속도구배
(정답률: 알수없음)
  • Newton의 점성법칙은 유체 내부에서의 전단응력과 속도구배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법칙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전단응력, 점성계수, 속도구배" 입니다.

    전단응력은 유체 내부에서의 인접한 층들 간의 상대적인 이동에 의해 발생하는 응력을 의미하며, 점성계수는 유체의 점성성을 나타내는 상수입니다. 속도구배는 유체 내부에서의 속도 변화량을 나타내는 벡터이며, 이 세 변수들은 Newton의 점성법칙에서 상호작용하여 유체의 점성성을 결정합니다.

    따라서 압력, 온도, 각변형률과 같은 다른 변수들은 Newton의 점성법칙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초음속으로 이동하는 관유동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관의 단면적이 증가하면 속도는 증가하고 압력은 감소한다.
  2. 관의 단면적이 증가하면 속도는 증가하고 압력도 증가한다.
  3. 관의 단면적이 증가하면 속도는 감소하고 압력은 증가한다.
  4. 관의 단면적이 증가하여도 속도는 일정하나 압력은 감소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초음속으로 이동하는 유체에서는 관의 단면적이 증가하면 유체의 속도는 감소하고 압력은 증가합니다. 이는 연속 방정식과 베르누이 방정식으로 설명할 수 있습니다. 연속 방정식은 유체의 질량 보존 법칙으로, 유체의 질량 유지를 위해 유체의 속도와 단면적은 역의 관계에 있습니다. 따라서 단면적이 증가하면 속도는 감소합니다. 베르누이 방정식은 유체의 운동 에너지 보존 법칙으로, 유체의 속도와 압력은 역의 관계에 있습니다. 따라서 단면적이 증가하면 속도는 감소하고, 유체의 운동 에너지는 유지되어야 하므로 압력은 증가합니다. 따라서 "관의 단면적이 증가하면 속도는 감소하고 압력은 증가한다."가 옳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축척이 1/100인 모형선 속도가 1m/s 이고 자유표면교란으로 인한 저항이 1N 이었다면, 실선에서의 자유표면교란으로 인한 저항값은 약 몇 kN 인가? (단, 모형선과 실선에서의 물의 밀도는 1000 kg/m3, 모형선의 침수면적은 1m2 이다.)

  1. 10
  2. 50
  3. 100
  4. 1000
(정답률: 알수없음)
  • 축척이 1/100이므로, 실선의 침수면적은 100m^2이다. 따라서, 자유표면교란으로 인한 저항값은 모형선에서의 값에 100을 곱해줘야 한다.

    자유표면교란으로 인한 저항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저항력 = 1/2 * 밀도 * 속도^2 * 저항계수 * 면적

    저항계수는 모형선과 실선에서 동일하므로, 모형선에서의 저항값은 다음과 같다.

    1 = 1/2 * 1000 * 1^2 * 저항계수 * 1

    저항계수 = 2/1000 = 0.002

    따라서, 실선에서의 자유표면교란으로 인한 저항은 다음과 같다.

    저항력 = 1/2 * 1000 * 1^2 * 0.002 * 100

    저항력 = 10 N

    따라서, 정답은 "1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운동량법칙을 이용하여 프로펠러의 추력을 증가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틀린 것은?

  1. 프로펠러의 직경을 크게한다.
  2. 프로펠러에 유입되는 유량을 많게 한다.
  3. 프로펠러의 전·후면의 압력차를 크게 한다.
  4. 프로펠러 유입속도와 유출속도의 차를 작게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운동량 보존 법칙에 따르면, 프로펠러가 발생시키는 추력은 유입된 유체의 운동량 변화량에 비례한다. 따라서, 프로펠러 유입속도와 유출속도의 차가 작을수록, 유체의 운동량 변화량이 커져서 추력이 증가하게 된다. 이에 따라, "프로펠러 유입속도와 유출속도의 차를 작게 한다."가 틀린 것이 아닌 올바른 선택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다음 중 관성력과 중력의 비로 표시되는 무차원 수는?

  1. 웨버(Weber) 수
  2. 오일러(Euler) 수
  3. 프루드(Froude) 수
  4. 레이놀드(Reynolds) 수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프루드(Froude) 수

    프루드(Froude) 수는 관성력과 중력의 비로 표시되는 무차원 수입니다. 이는 수면파, 선박 등의 운동을 예측하는 데 사용됩니다. 프루드 수가 작을수록 중력이 관성력에 비해 더 크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는 물체가 더 느리게 움직인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반대로, 프루드 수가 클수록 관성력이 중력에 비해 더 크다는 것을 의미하며, 물체가 더 빠르게 움직인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다음 중 베르누이(Bernoulli) 방정식을 옳게 나타낸 것은? (단, p : 압력, ρ : 밀도, V : 속도, g : 중력가속도, z : 높이, C : 상수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이 옳은 베르누이(Bernoulli) 방정식이다. 이유는 베르누이 방정식은 유체의 운동 에너지와 위치 에너지가 보존되는 상황에서 유체의 압력, 속도, 밀도, 중력가속도, 높이 등이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나타내는 방정식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위의 방정식은 유체의 운동 에너지와 위치 에너지가 보존되는 상황에서 유체의 압력, 속도, 밀도, 중력가속도, 높이 등이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나타내는 베르누이 방정식의 일반적인 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선체의장 및 선체구조역학

61. 앵커와 앵커체인 3연을 합한 무게가 500kg이고, 정격속도가 9m/min 인 경우, 양묘기의 소요마력은 약 몇 PS 인가? (단, 앵커와 앵커체인은 양현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

  1. 1
  2. 2
  3. 4
  4. 8
(정답률: 알수없음)
  • 앵커와 앵커체인 3연의 무게가 500kg이므로, 앵커와 앵커체인 1연의 무게는 500/3 = 166.67kg이다. 이를 이용하여 양묘기의 소요마력을 계산할 수 있다.

    1분에 일하는 일력 = (166.67kg × 9m/min) ÷ 60s = 25W
    따라서, 양묘기의 소요마력은 500W ÷ 25W = 20PS 이다.

    따라서, 정답은 "8"이 아닌 "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주로 닻을 끌어 올리기 위한 장치로 계류 로프(Mooring rope)나 체인 케이블(Chain cable)도 감아 올릴 수 있도록 선수와 선미부에 설치되어 있는 것은?

  1. 윈치(Winch)
  2. 양묘기(Windlass)
  3. 볼러드(Bollard)
  4. 캡스턴(Capstan)
(정답률: 알수없음)
  • 양묘기(Windlass)는 선박에서 닻을 끌어 올리기 위한 장치로, 계류 로프나 체인 케이블을 감아 올릴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습니다. 이는 선수와 선미부에 위치하며, 윈치(Winch)나 캡스턴(Capstan)과 비슷한 역할을 하지만, 양묘기는 닻을 끌어 올리는 데에 특화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주로 닻을 끌어 올리기 위한 장치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개폐(開閉)장치에 따라 분류한 강재 해치커버(Steel hatch cover) 중 바깥쪽의 해치커버가 들어 올려지면 안쪽의 해치커버가 그 아래로 굴러 들어가서 겹치는 방식은?

  1. 폰툰형(Pontoon type)
  2. 미끄럼형(Sliding type)
  3. 피기백형(Piggy back type)
  4. 엔드 롤링형(End rolling type)
(정답률: 알수없음)
  • 피기백형은 바깥쪽의 해치커버가 들어 올려지면 안쪽의 해치커버가 그 아래로 굴러 들어가서 겹치는 방식이다. 이는 두 개의 해치커버가 서로 연결되어 있어서 바깥쪽 해치커버가 들어올려지면 안쪽 해치커버도 함께 들어가는 구조이다. 따라서 피기백형이라고 불리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다음 하역 방식 중 스포팅(Spotting) 능력이 가장 좋은 것은?

  1. 스윙식(Swing style)
  2. 맞당김식(Union purchase style)
  3. 분동권식(Counter weight style)
  4. 갠트리 크레인식(Gantry crane style)
(정답률: 알수없음)
  • 갠트리 크레인식은 크레인이 물체를 들어올리는 동안에도 안정적으로 위치를 유지할 수 있어 스포팅 능력이 가장 좋습니다. 다른 방식들은 크레인이 움직이는 동안에는 물체가 흔들리거나 불안정해질 수 있어 스포팅 능력이 떨어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주로 토핑 리프트를 걸거나 매기 위해서 마스트, 갑판 등에 부착시킨 금속제 부품을 무엇이라 하는가?

  1. 볼러드(Bollard)
  2. 링플레이트(Ring plate)
  3. 혼클리트(Horn cleat)
  4. 아이플레이트(Eye plate)
(정답률: 알수없음)
  • 혼클리트는 토핑 리프트를 걸거나 매기 위해서 마스트, 갑판 등에 부착시킨 금속제 부품으로, 그 형태가 동물의 뿔과 비슷하여 "혼(Horn)"이라는 이름이 붙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혼클리트(Horn cleat)"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다음 중 타두재에 고정익을 갖는 고정자와 회전익을 갖는 로터를 설치하여 유압을 통하여 타를 회전시키는 조타장치는?

  1. 쿼드런트형(Quadrant type)
  2. 회전익형(Rotary vane type)
  3. 랩손 슬라이드형(Rapson slide type)
  4. 트렁크 피스톤형(Trunk piston type)
(정답률: 알수없음)
  • 타두재에 고정익을 갖는 고정자와 회전익을 갖는 로터를 설치하여 유압을 통하여 타를 회전시키는 조타장치는 "회전익형(Rotary vane type)"이다. 이는 로터 내부에 회전하는 회전익이 있어 유체를 압축하고 방출하는 방식으로 작동하기 때문이다. 회전익형은 구조가 간단하고 작동 속도가 빠르며 진동이 적어 신뢰성이 높다는 장점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다음 중 전기화재에 사용할 수 없는 소화기는?

  1. 포소화기
  2. 이산화탄소소화기
  3. 분말소화기
  4. 할로겐화합물소화기
(정답률: 알수없음)
  • 포소화기는 유기물에 대한 소화능력이 없기 때문에 전기화재에 사용할 수 없습니다. 전기화재는 대부분 유기물이 연소하는 화재이기 때문에, 유기물에 대한 소화능력이 없는 포소화기는 전기화재에 대처하기에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다음 신호장치 중 구명정에 비치되는 것이 아닌 것은?

  1. 신호홍염(Hand flares)
  2. 낙하산붙이신호(Parachute signals)
  3. 발연부신호(Buoyant smoke signals)
  4. 자기점화등(Self-igniting lights)
(정답률: 알수없음)
  • 자기점화등은 스스로 불을 일으키는 신호장치로, 물에 닿으면 작동하지 않기 때문에 구명정에 비치되지 않습니다. 다른 세 가지 신호장치는 모두 물에 닿아도 작동할 수 있어 구명정에 비치되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다음 중 압축공기 또는 압력수의 분사에 의하여 일어나는 진공작용을 이용하여 빌지(Bilge)등을 흡입, 배출하는 기구는?

  1. 이덕터(Eductor)
  2. 진공펌프(Vacuum pump)
  3. 오리피스(Orifice)
  4. 흡입펌프(Suction pump)
(정답률: 알수없음)
  • 이덕터는 압축공기나 압력수의 분사로 인해 진공작용이 일어나는 원리를 이용하여 빌지 등을 흡입하고 배출하는 기구입니다. 이덕터는 유체의 속도와 압력 차이를 이용하여 작동하며, 유체가 흐르는 파이프 내부에 있는 작은 구멍을 통해 외부 공기를 흡입하여 진공을 만들어 냅니다. 이러한 원리로 인해 이덕터는 전기나 기계적인 동력이 필요 없이 작동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덕터는 경제적이고 효율적인 방법으로 빌지 등을 처리할 수 있는 기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선박의 속력을 측정하는데 사용되는 항해계기는?

  1. 크로노미터(Chrnometer)
  2. 에코 사운더(Eco sounder)
  3. 전자로그(Electromagnetic log)
  4. 자기 컴퍼스(Magnetic compass)
(정답률: 알수없음)
  • 전자로그는 선박의 운동에 의해 발생하는 전자기장의 변화를 감지하여 속력을 측정하는 항해계기이다. 이는 선박의 바닥에 부착된 센서가 물속에서 발생하는 전자기장의 변화를 감지하고, 이를 기반으로 선박의 속력을 측정한다. 따라서 전자로그는 선박의 속력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항해계기로 널리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부력곡선 작성시 고려하는 가정으로 틀린 것은? (단, L은 선체의 길이이다.)

  1. 파장은 배의 길이와 같다.
  2. 파형은 사인파나 트로코이드(Trochoid)파이다.
  3. 파고는 1.1√L, L/20 또는 다른 기준의 표준파와 같다.
  4. 배의 전·후방향은 파의 진행방향에 수직으로 놓인다.
(정답률: 알수없음)
  • "배의 전·후방향은 파의 진행방향에 수직으로 놓인다." 가정이 틀린 것이다.

    파의 진행방향과 배의 전·후방향이 수직으로 놓이는 것은 정적인 상황에서의 가정이며, 실제로는 파와 배의 상호작용에 따라 파란 방향에 따라 배의 움직임이 변화할 수 있다. 따라서 부력곡선 작성시에는 이러한 동적인 상황도 고려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선체 종강도 계산에서 표준 호깅(Hogging)상태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단, L은 선체길이이다.)

  1. 표준파의 파정이 선체 중앙부에 있다.
  2. 화물은 균질화물로 선창에 만재해 있다.
  3. 선체 중앙부의 밸러스트 탱크가 만재해 있다.
  4. 소비중량은 선체 전·후부 L/4사이에 만재해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선체 중앙부의 밸러스트 탱크가 만재해 있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표준 호깅 상태에서는 선체 중앙부에 있는 밸러스트 탱크가 비어있는 상태입니다. 이는 선체 중앙부의 무게 중심을 낮추어 호깅 현상을 방지하기 위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벌크화물선의 횡격벽구조로 강재중량감소 및 작업량 감소를 위해 사용하는 구조는?

  1. 브래킷
  2. 보강격벽
  3. 파형격벽
  4. 굽힘격벽
(정답률: 알수없음)
  • 파형격벽은 횡격벽 구조 중 하나로, 파형 모양의 디자인으로 강재 중량을 감소시키고 작업량을 감소시키기 위해 사용됩니다. 파형 모양은 강도를 유지하면서 무게를 줄일 수 있기 때문에, 더 많은 화물을 운반할 수 있습니다. 또한 파형 모양은 구조물의 강도를 높여 안전성을 높이는 역할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선체 중앙횡단면의 단면계수 계산에 포함되지 않는 부재는?

  1. 강력갑판
  2. 창구코밍
  3. 선측외판
  4. 중심선 거더
(정답률: 알수없음)
  • 선체 중앙횡단면의 단면계수는 선체의 대표적인 단면을 나타내는데, 이 단면에서 선체의 수직 방향 면적을 계산하는 데 사용된다. 따라서 수직 방향 면적에 영향을 주지 않는 부재가 정답이 된다. "창구코밍"은 선체의 수직 방향 면적에 영향을 주지 않기 때문에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다음 중 선박이 종경사할 때 최대굽힘응력 또는 최대압축응력을 받는 부위가 아닌 것은?

  1. Bilge부
  2. Side shell plate
  3. Gunwale(또는 Gunnel)부
  4. Stringer plate 및 Sheer strake
(정답률: 알수없음)
  • 선박이 종경사할 때 최대굽힘응력 또는 최대압축응력을 받는 부위는 일반적으로 선박의 중앙에 위치한 Bilge부와 Stringer plate, Sheer strake입니다. 그러나 Side shell plate는 선박의 측면에 위치하며, 종경사할 때는 비교적 작은 응력을 받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Side shell plate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다음 중 기둥의 좌굴 하중 값이 가장 큰 경우는?

  1. 양단 고정인 기둥
  2. 양단 힌지로 지지된 경우
  3. 하단 고정이고 상단은 자유단인 경우
  4. 하단 고정이고 상단은 힌지로 지지된 경우
(정답률: 알수없음)
  • 기둥의 좌굴 하중 값이 가장 큰 경우는 "양단 고정인 기둥"이다. 이는 양쪽 끝이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좌굴이 발생하면 양쪽에서 서로 막아주는 힘이 발생하여 좌굴이 더욱 억제되기 때문이다. 다른 경우들은 어느 한쪽이 자유로워 좌굴이 발생할 경우 해당 방향으로 기둥이 더욱 더욱 움직이게 되어 하중이 더욱 커지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선박의 횡단면에 걸리는 종굽힘모멘트가 180000 kgf·m 이고, 횡단면의 중립축에 관한 2차 모멘트가 54000m2·mm2, 중립축으로부터 갑판 최상측 부위까지의 거리가 1.8m, 선저 최하층 부위까지의 거리가 1.2m 일 때, 이 횡단면에 작용하는 굽힘응력의 최대값은 약 몇 kgf/mm2 인가?

  1. 3.33
  2. 4.00
  3. 6.00
  4. 7.20
(정답률: 알수없음)
  • 굽힘응력의 최대값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σ = (M*y)/I

    여기서 M은 종굽힘모멘트, y는 중립축으로부터의 거리, I는 2차 모멘트이다.

    따라서,

    σ = (180000*1800)/54000000 = 6.00 kgf/mm^2

    따라서 정답은 "6.0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선체에 작용하는 국부하중 중 충격하중에 해당되는 것은?

  1. 화물하중
  2. 슬로싱하중
  3. 선체자중
  4. 건조시의 하중
(정답률: 알수없음)
  • 슬로싱하중은 선체에 작용하는 국부하중 중에서 충격하중에 해당됩니다. 이는 선박이 갑작스럽게 기울어지거나 회전할 때 발생하는 하중으로, 선체의 안정성을 위해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슬로싱하중은 선박의 운항 중 발생할 수 있는 파도, 바람, 조류 등의 자연적인 요인 뿐만 아니라 인적인 요인으로 인한 충돌 등으로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다음 중 선체 비틀림 강도를 가장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할 선종은?

  1. 유조선
  2. LNG선
  3. 여객선
  4. 컨테이너선
(정답률: 알수없음)
  • 선체 비틀림 강도는 선박이 파도나 바람에 의해 비틀리는 것을 막는 중요한 선체 강도 중 하나입니다. 이 중에서도 컨테이너선은 다른 선종들에 비해 더 높은 비틀림 강도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는 컨테이너선이 대형 컨테이너를 운반하면서 발생하는 큰 하중에도 불구하고 안정적으로 항해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선체 비틀림 강도를 가장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할 선종은 컨테이너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보강재가 중앙에 붙어 있는 보강판 내의 X방향의 인장 응력분포가 그림과 같고, 최대응력 σmax = 20kg/mm2, 최소응력 σmin = 16kg/mm2, 평균응력 σa = 18kg/mm2 일 때, 유효 폭은 보강판의 폭 b의 몇 % 인가?

  1. 60
  2. 70
  3. 80
  4. 90
(정답률: 알수없음)
  • 유효 응력 범위는 σa ± (σmax - σmin)/2 이므로, 유효 응력 범위는 18 ± (20-16)/2 = 18 ± 2 = 16 ~ 20 kg/mm2 이다. 이 때, 유효 응력 범위와 최대 응력의 비율을 이용하여 유효 폭을 구할 수 있다. 즉, 유효 폭은 (σmax - σmin)/(2σa) × 100% = (20-16)/(2×18) × 100% = 11.1% 이다. 따라서, 보기 중에서 유효 폭이 11.1% 에 가장 가까운 값은 90% 이므로 정답은 "90"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선박건조공학 및 선박동력장

81. 다음 중 선대공사에 속하지 않는 작업은?

  1. 블록탑재
  2. 블록조립
  3. 선형 결정짓기
  4. 선체의 지지와 거치
(정답률: 알수없음)
  • 선대공사는 선박 건조 과정에서 이루어지는 작업들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선형 결정짓기", "선체의 지지와 거치", "블록탑재"는 모두 선대공사에 속하는 작업입니다. 하지만 "블록조립"은 선박 건조 과정에서 이루어지는 작업이지만, 선대공사에는 포함되지 않습니다. 이는 블록조립이 선박 건조 과정 중 일부분이지만, 선대공사의 범위를 벗어나는 작업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조선소의 입지조건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조선소 규모에 적합한 해안선을 가지고 또 우수한 항구일 것
  2. 동력이 풍부하고 주요 자재, 노동력 공급이 용이할 것
  3. 간만의 차가 진수 출입 및 계류에 지장을 주지 않을 정도이고, 조류가 심하지 않을 것
  4. 담수의 공급을 위하여 강우량이 많고 건선거 건설비의 절약을 위하여 지반이 연질일 것
(정답률: 알수없음)
  • "간만의 차가 진수 출입 및 계류에 지장을 주지 않을 정도이고, 조류가 심하지 않을 것"이 틀린 것입니다.

    해안선이 간만의 차가 진수 출입 및 계류에 지장을 주지 않을 정도이고, 조류가 심하지 않을 것이라는 조건은 조선소 입지에 적합한 조건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소조립 공장에서 강판의 이동시 자력을 이용하는 장비는?

  1. Hoist
  2. Vacuum 조구
  3. Fork lift
  4. Liffing magnet
(정답률: 알수없음)
  • "Liffing magnet"은 자력을 이용하여 강판을 들어올리는 장비이다. 이 장비는 강력한 자석을 사용하여 강판을 붙잡고 들어올리는 방식으로 작동한다. 따라서 "Liffing magnet"이 소조립 공장에서 강판의 이동시 자력을 이용하는 장비인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산소-에틸렌 절단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불꽃의 집중성이 아세틸렌보다 강하다.
  2. 선내 작업이나 협소 공간 작업에서 적합하다.
  3. 절단에 사용되는 에틸렌의 비중은 공기보다 가볍다.
  4. 화학적 안정성은 산소 아세틸렌절단 방법에 비해 높다.
(정답률: 알수없음)
  • "화학적 안정성은 산소 아세틸렌절단 방법에 비해 높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불꽃의 집중성이 아세틸렌보다 강한 이유는, 아세틸렌은 산소와 혼합하여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불꽃이 분산되어 집중성이 약해지기 때문입니다. 반면, 산소-에틸렌 절단은 산소와 에틸렌을 별도로 공급하여 불꽃이 집중되어 절단이 용이해집니다.

    선내 작업이나 협소 공간 작업에서 적합한 이유는, 산소-에틸렌 절단기는 작고 가벼우며 이동이 용이하기 때문입니다.

    절단에 사용되는 에틸렌의 비중은 공기보다 가법다는 것은 맞는 설명입니다.

    하지만 화학적 안정성은 산소-에틸렌 절단 방법이 아닌, 아세틸렌을 사용하는 절단 방법에서 더 높습니다. 아세틸렌은 불안정한 가스이기 때문에 적절한 보관과 사용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조립공정에서 사용되는 방법으로 라인화된 정반에서 작업자가 공정 팀별로 움직이며 정해진 작업을 진행하여 공정을 진행하는 방식으로 절동작업방식이라고도 하는 방식은?

  1. 택트(Tact)작업
  2. 스테이지(Stage)작업
  3. JIT(Just In Time)작업
  4. GT(Group Technology)작업
(정답률: 알수없음)
  • 택트(Tact)작업은 작업자가 공정 팀별로 움직이며 정해진 작업을 진행하는 방식으로, 라인화된 정반에서 사용되는 방법입니다. 이 방식은 작업자들이 일정한 간격으로 작업을 수행하도록 하여 생산성을 높이고, 작업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조립공정에서 많이 사용되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건조 방식을 선택할 때 고려하여야 할 사항이 아닌 것은?

  1. 공사량의 평준화가 쉬워야 한다.
  2. 가능하면 상하작업과 혼재작업 등이 없어야 한다.
  3. 조선소의 설비와 기술을 고려한 방식이어야 한다.
  4. 선각은 선행화 작업을 하되, 의장은 안벽에서 작업을 집중할 수 있어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선각과 의장은 작업 위치와 방식이 다르기 때문에 건조 방식 선택 시 고려해야 할 사항이 아닙니다. 따라서 정답은 "선각과 의장의 작업 위치와 방식"이 됩니다.

    선각은 선행화 작업을 하기 때문에 건조 시작 전에 완료되어야 하며, 의장은 안벽에서 작업을 집중할 수 있어야 합니다. 이를 고려하지 않으면 작업 효율성이 떨어지고 안전에도 문제가 생길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옥내 대조립 공장의 위치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반드시 해안선을 따라 배치되어야 한다.
  2. 내업공장·소조립 공장에 직결되는 위치에 있는 것이 필요하다.
  3. 독(Dock)보다도 내업공장과의 상관성을 중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4. 선각공장배치 전체로서 재료의 운반 능률을 고려하여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반드시 해안선을 따라 배치되어야 한다."가 틀린 것이다.

    내업공장과 소조립 공장에 직결되는 위치에 있어야 하는 이유는 생산과 운송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함이다. 독보다도 내업공장과의 상관성을 중시하는 것은 내연기관 조립 공정에서 필요한 부품들을 신속하게 공급하기 위함이다. 또한, 재료의 운반 능률을 고려하여 전체적인 선각공장 배치를 계획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조선용 강재의 가공, 조립공정 기간 중에 녹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도장작업 중 1차 작업에 해당하는 것은?

  1. 숏블라스팅(Shot blasting)
  2. 샌드블라스팅(Sand blasting)
  3. 숍 프라이밍(Shop priming)
  4. 모르타르 라이닝(mortar lining)
(정답률: 알수없음)
  • 조선용 강재의 가공, 조립공정 기간 중에 녹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강재 표면에 도장을 하게 되는데, 이때 가장 먼저 하는 작업이 숍 프라이밍(Shop priming)이다. 숍 프라이밍은 강재 표면에 녹을 방지할 수 있는 페인트나 코팅을 바르는 작업으로, 강재의 표면을 청소하고 부식 방지를 위한 기본적인 보호층을 형성하는 작업이다. 따라서 조선용 강재의 가공, 조립공정 기간 중에 녹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도장작업 중 1차 작업은 숍 프라이밍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다음 조선용 재료 중 유리섬유와 수지의 복합재료로서 소형선박의 재료로 주로 사용되는 것은?

  1. FRP
  2. 목재
  3. 알루미늄합금
(정답률: 알수없음)
  • FRP는 유리섬유와 수지의 복합재료로서, 경량이면서도 강도가 높아 소형선박의 재료로 주로 사용됩니다. 따라서 "강", "목재", "알루미늄합금"보다 우수한 재료로 인정받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블록기준선 설정시 주의사항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가능한 한 간단한 수의 치수로 할 것
  2. 관계블록들 사이에 공통된 것으로 할 것
  3. 되도록 시임, 버트에 근접하도록 겹쳐지도록 할 것
  4. 기준선이 1개의 경우는 블록의 중앙에 통하게 할 것
(정답률: 알수없음)
  • "기준선이 1개의 경우는 블록의 중앙에 통하게 할 것"이 틀린 것입니다.

    이유는 블록의 중앙에 기준선이 통하게 되면 블록의 상단과 하단에 있는 요소들이 일관성 없이 위치하게 되어 디자인의 일관성을 해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되도록 시임, 버트에 근접하도록 겹쳐지도록 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렇게 하면 블록들 간의 일관성을 유지하면서 디자인을 깔끔하게 구성할 수 있습니다. 또한 가능한 한 간단한 수의 치수로 설정하고, 관계블록들 사이에 공통된 것으로 설정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다음 중 일반적으로 열효율이 가장 좋은 기관은?

  1. 디젤 기관
  2. 가스터빈 기관
  3. 가솔린 기관
  4. 증기터빈 기관
(정답률: 알수없음)
  • 디젤 기관은 고압 상태에서 연료를 노즐로 분사하여 자체적으로 압축 및 발열되는 과정을 통해 열을 생성하고 일하는 기관이다. 이러한 과정에서 열효율이 가장 높아지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열효율이 가장 좋은 기관으로 평가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다음 중 프로펠러의 효율을 높일 수 있는 방법이 아닌 것은?

  1. 프로펠러의 직경을 크게 한다.
  2. 프로펠러의 회전수를 낮게 한다.
  3. 프로펠러를 지나는 유량을 적게 한다.
  4. 프로펠러의 하중계수(Loading coefficient)를 적게 설계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프로펠러를 지나는 유량을 적게 한다는 것은 프로펠러를 통과하는 물의 양을 줄인다는 것이다. 이는 프로펠러의 효율을 떨어뜨리는 요인이 된다. 따라서 이는 프로펠러의 효율을 높일 수 있는 방법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선박용 추진기관 중 가스터빈의 장점이 아닌 것은?

  1. 환경 친화적이다.
  2. 소음이 낮고 진동이 적다.
  3. 무게당 부피에 비해 출력이 높다.
  4. 동일출력의 디젤기관보다 연료유 소비량이 적다.
(정답률: 알수없음)
  • 가스터빈은 동일출력의 디젤기관보다 연료유 소비량이 적지 않습니다. 이는 가스터빈이 디젤기관보다 높은 효율을 가지지만, 연료의 가격이 더 비싸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가스터빈의 장점은 "환경 친화적이다.", "소음이 낮고 진동이 적다.", "무게당 부피에 비해 출력이 높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2단 감속장치에서 1단 감속비는 8.66, 2단 감속비는 6.36 이라면 원동기의 회전수가 6000rpm 일 때 프로펠러의 회전수는 약 몇 rpm 인가?

  1. 93
  2. 109
  3. 692
  4. 4406
(정답률: 알수없음)
  • 1단 감속장치에서 원동기의 회전수는 6000/8.66 = 692.4rpm이 되고, 2단 감속장치에서는 692.4/6.36 = 108.8... ≈ 109rpm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109"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증기터빈 복수기 내부의 진공도를 높이면 얻을 수 있는 장점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

  1. 압력이 낮으므로 기밀을 유지하기 쉽다.
  2. 냉각수 온도가 높아져 열손실이 줄어든다.
  3. 열효율이 높아지고 출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4. 급수 온도를 낮출 수 있어 열효율이 높아진다.
(정답률: 알수없음)
  • 증기터빈 복수기 내부의 진공도를 높이면 압력이 낮아지고 냉각수 온도가 높아져 열손실이 줄어듭니다. 이로 인해 열효율이 높아지고 출력을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따라서 "열효율이 높아지고 출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가 가장 옳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다음 중 추진기관의 전추진효율을 옳게 나타낸 것은? (단, EHP : 유효마력, BHP : 제동마력, THP : 추력마력 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 이 정답이다. 이유는 전추진효율은 유효마력(EHP)을 추력마력(THP)으로 나눈 값으로 계산되며, ""에서는 EHP와 THP가 같으므로 전추진효율은 100%가 된다. 다른 보기들은 EHP와 THP의 값이 다르기 때문에 전추진효율이 100%가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다음 중 선박용 4 행정 디젤기관의 주요부품이 아닌 것은?

  1. 분연펌프
  2. 크랭크축
  3. 커넥팅 로드
  4. 실린더 라이너
(정답률: 알수없음)
  • 분연펌프는 디젤기관에서 연료를 분사하는 역할을 하는 부품이지만, 주요부품은 아닙니다. 주요부품으로는 크랭크축, 커넥팅 로드, 실린더 라이너 등이 있습니다. 크랭크축은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여 피스톤을 움직이는 역할을 하고, 커넥팅 로드는 크랭크축과 피스톤을 연결하여 운동을 전달합니다. 실린더 라이너는 피스톤이 움직이는 실린더 내부를 보호하고, 마모를 방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추진기 중 유체를 분사 노즐을 통하여 흐르게 하여 압력에너지를 속도에너지로 바꿔 이 때의 반작용으로 추력을 발생하는 형식은?

  1. 외륜 추진기
  2. 나선형 추진기
  3. 분사 추진기
  4. 수직축 회전 추진기
(정답률: 알수없음)
  • 분사 추진기는 유체를 분사 노즐을 통해 흐르게 하여 압력에너지를 속도에너지로 바꾸어 추력을 발생시키는 형식의 추진기입니다. 이는 반작용 법칙에 따라 작동하며, 유체가 노즐을 통해 나가면서 역방향으로 힘을 발생시키는 원리를 이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증기 터빈과 같은 회전 기계의 동력을 나타낼 때 사용하는 것으로, 추진 원동기와 추진기 사이의 중간축에 전달되는 회전력을 측정하여 구하는 동력은?

  1. 축 동력
  2. 제동 동력
  3. 지시 동력
  4. 전달 동력
(정답률: 알수없음)
  • 축 동력은 회전 기계의 동력을 나타내는 용어로, 추진 원동기와 추진기 사이의 중간축에 전달되는 회전력을 측정하여 구합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회전 기계의 동력을 측정하는 것이므로 "축 동력"이 정답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회전 기계의 동력과는 관련이 없는 용어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추력 베어링(Thrust bearing)의 구조에 따른 종류가 아닌 것은?

  1. 상자형(Box type)
  2. 미첼형(Mitchell type)
  3. 말굽형(Horse shoe type)
  4. 호이드 슈나이더형(Voith Schneider type)
(정답률: 알수없음)
  • 호이드 슈나이더형은 추력 베어링이 아니라 선박용 추진 장치인 유동식 스루스터(Propulsion system)의 일종이기 때문에 해당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