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일반시공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4-08-08)

건축일반시공산업기사
(2004-08-08 기출문제)

목록

1과목: 건축일반

1. 제도 용지의 크기 중 A1용지의 규격은?

  1. 841 mm × 1189 mm
  2. 594 mm × 841 mm
  3. 420 mm × 694 mm
  4. 297 mm × 594 mm
(정답률: 알수없음)
  • A1용지는 A0용지를 절반으로 나눈 크기이며, A0용지의 크기는 841 mm × 1189 mm 이다. 따라서 A1용지의 크기는 841 mm × (1189 mm ÷ 2) = 841 mm × 594 mm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다음 중 건축도면에 따른 축척의 표시가 옳지 않은 것은?

  1. 평면도: 1/100
  2. 입면도: 1/200
  3. 단면상세도: 1/20
  4. 투시도: 1/10
(정답률: 알수없음)
  • 단면상세도의 축척이 1/20으로 너무 크게 표시되어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단면상세도는 1/50 또는 1/100 정도의 축척으로 표시됩니다.

    투시도는 건물의 외관을 보여주는 도면으로, 건물의 크기와 비율을 파악하기 쉽게 표시하기 위해 축척이 크게 표시됩니다. 따라서 1/10의 축척은 일반적인 범위 내에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다음 제도용구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디바이더 : 도면위의 선을 등분할 때 쓰인다.
  2. 컴퍼스 : 원 또는 원호를 그릴 때 쓰인다.
  3. 운형자 : 컴퍼스로 그리기 어려운 원호나 곡선을 그릴 때 쓰인다.
  4. 자유곡선자 : 작은 곡선 및 원을 그릴 때 쓰인다.
(정답률: 알수없음)
  • "자유곡선자 : 작은 곡선 및 원을 그릴 때 쓰인다." 설명이 옳지 않다. 자유곡선자는 일반적으로 직선이 아닌 자유로운 곡선을 그릴 때 사용된다. 따라서 작은 곡선 및 원뿐만 아니라 다양한 곡선을 그릴 때 사용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다음 지붕평면도 중 합각지붕은?

(정답률: 100%)
  • 합각지붕은 두 개 이상의 지붕이 만나서 각지붕을 이루는 경우를 말한다. 보기 중에서는 두 개의 지붕이 만나서 각지붕을 이루는 ""가 합각지붕이므로 정답은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철근콘크리트 슬래브(slab)에서 가장 힘을 많이 받는 철근은?

  1. 단변방향의 인장철근
  2. 단변방향의 압축철근
  3. 장변방향의 인장철근
  4. 장변방향의 압축철근
(정답률: 84%)
  • 철근콘크리트 슬래브에서 가장 힘을 많이 받는 철근은 단변방향의 인장철근입니다. 이는 슬래브가 일방향으로 하중을 받기 때문에, 그 방향에 수직한 단변방향의 인장철근이 가장 많은 하중을 받게 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 철근의 강도와 위치가 슬래브의 강도와 안정성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철골구조에서 지름이 16mm 인 리벳의 최소피치는?

  1. 32mm
  2. 40mm
  3. 48mm
  4. 64mm
(정답률: 64%)
  • 리벳의 최소피치는 리벳의 지름의 2배 이상이어야 하므로, 16mm x 2 = 32mm 이다. 하지만 철골구조에서는 리벳의 최소피치가 40mm 이상이어야 하므로, 정답은 "40mm" 이다. 이는 철골구조에서의 안전성을 고려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철근콘크리트구조에서 철근과 콘크리트의 부착력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압축강도가 큰 콘크리트일수록 부착력은 작아진다.
  2. 철근의 주장에 비례한다.
  3. 철근의 표면상태에 영향을 받는다.
  4. 철근의 단면모양에 영향을 받는다.
(정답률: 91%)
  • "압축강도가 큰 콘크리트일수록 부착력은 작아진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오히려 압축강도가 큰 콘크리트일수록 부착력이 강해진다. 이는 압축강도가 큰 콘크리트는 더 강력한 접착력을 가지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목구조에서 기둥과 보사이에 버팀대를 사용할 경우 그 주요한 이유는?

  1. 기둥의 좌굴을 방지하기 위하여
  2. 기둥에 하중을 집중시키기 위하여
  3. 보의 단면을 작게 하기 위하여
  4. 절점을 강하게 하기 위하여
(정답률: 알수없음)
  • 버팀대를 사용하면 기둥과 보가 연결되어 더 강한 구조를 만들 수 있습니다. 이는 절점을 강하게 하여 전체 구조의 안정성을 높이기 위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부동침하의 원인이 아닌 것은?

  1. 건물이 이질(異質)지층에 걸쳐 있을 경우
  2. 부주의한 일부 증축을 하였을 경우
  3. 일부지정을 하였을 경우
  4. 독립기초를 하였을 경우
(정답률: 알수없음)
  • 독립기초를 하였을 경우는 부동침하의 원인이 아닙니다. 이는 기초가 지지하는 구조물의 하중을 각각의 기초가 분산시켜 지지하는 것으로, 지층의 특성에 따라 적절한 깊이와 크기를 결정하여 설치하면 부동침하를 방지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독립기초를 하였을 경우는 부동침하의 원인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다음 중 보강블록조에서의 테두리보 설치이유와 가장 관계가 먼 것은?

  1. 벽의 균열방지
  2. 세로철근의 정착
  3. 하중을 벽체에 균등분포
  4. 가로철근의 정착
(정답률: 80%)
  • 보강블록조에서의 테두리보 설치는 벽의 균열방지, 세로철근의 정착, 하중을 벽체에 균등분포 등 다양한 이유로 이루어지지만, 가로철근의 정착과는 가장 관계가 먼 이유는 가로철근은 벽체의 수평강도를 높이기 위한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가로철근의 정착은 벽체의 수평강도를 높이기 위해 이루어지는 것이며, 다른 이유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적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시멘트의 응결시간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와 가장 관계가 먼 것은?

  1. 첨가석고의 질과 양
  2. 온도
  3. 시멘트 분말도
  4. 압축강도
(정답률: 100%)
  • 압축강도는 시멘트가 응결되어 강도를 가지는 데 필요한 시간과 관련이 있기 때문에 시멘트의 응결시간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와 가장 관련이 높습니다. 다른 요소들도 응결시간에 영향을 미치지만, 압축강도는 시멘트의 강도와 직접적으로 연관되어 있기 때문에 가장 관련성이 높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조기에 강도발휘가 높은 시멘트로 거푸집 존치기간을 줄일 수 있어 공사속도를 빨리 할 수 있으며 저온시의 공사에 사용할 수 있는 것은?

  1. 조강포오틀랜드시멘트
  2. 백색포틀랜드시멘트
  3. 중용열포오틀랜드시멘트
  4. 고로시멘트
(정답률: 100%)
  • 조강포오틀랜드시멘트는 강도발휘가 높아서 거푸집 존치기간을 줄일 수 있어 공사속도를 빨리 할 수 있으며, 저온시의 공사에도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다른 시멘트들은 이러한 특징을 가지고 있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다음 중 콘크리트에 A.E제를 사용하는 주요한 목적은?

  1. 콘크리트의 비중을 가볍게 한다.
  2. 콘크리트의 워커빌리티 및 내구성을 향상시킨다.
  3. 콘크리트의 압축강도를 증가시킨다.
  4. 콘크리트의 부착력을 증가시킨다.
(정답률: 알수없음)
  • A.E제는 콘크리트의 워커빌리티를 향상시켜 콘크리트를 더 쉽게 다룰 수 있게 하고, 내구성을 향상시켜 콘크리트의 수명을 늘리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다음의 공사 계약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지명경쟁입찰 - 기술능력이 거의 등등한 업자를 선정하는 것이 좋다.
  2. 공개경쟁입찰 - 공사가 조잡해질 우려가 있다.
  3. 특명입찰 - 공사비가 약간 높아질 우려가 있다.
  4. 일식도급 - 현장관리가 어렵다.
(정답률: 알수없음)
  • 일식도급 - 현장관리가 어렵다.라는 설명이 옳지 않다. 이유는 일식도급은 공사의 성격과 규모에 따라 현장관리가 어려울 수도 있지만, 일식도급 업체의 경험과 노하우에 따라 효율적인 현장관리가 가능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일식도급 업체의 역량과 경력을 고려하여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내열성, 내한성이 우수한 수지로 -60 ~ 260℃의 범위에서는 안정하고 탄성을 가지며 내후성 및 내화학성 등이 아주 우수하여 접착제, 도료로서 주로 사용되는 열경화성수지는?

  1. 폴리에틸렌 수지
  2. 염화비닐 수지
  3. 아크릴 수지
  4. 실리콘 수지
(정답률: 84%)
  • 실리콘 수지는 내열성과 내한성이 뛰어나며, -60 ~ 260℃의 범위에서 안정하고 탄성을 가지며 내후성 및 내화학성 등이 아주 우수합니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접착제, 도료 등의 열경화성수지로 주로 사용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실리콘 수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도면의 척도 종류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실척
  2. 축척
  3. 배척
  4. 도척
(정답률: 알수없음)
  • 도척은 도면의 크기를 축소하여 그리는 것이 아니라, 실제 크기 그대로 그리는 것을 말한다. 따라서 도면의 척도 종류에 속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다음 공정표에서 C P(critical path)는?

  1. 1 - 2 - 5 - 6 - 9 - 11
  2. 1 - 3 - 6 - 9 - 11
  3. 1 - 4 - 7 - 10 - 9 - 11
  4. 1 - 2 - 5 - 8 - 9 - 11
(정답률: 100%)
  • C P(critical path)는 "1 - 3 - 6 - 9 - 11" 입니다. 이는 프로젝트를 완료하는 데 가장 오래 걸리는 경로이기 때문입니다. 이 경로에 있는 활동들은 최소한의 여유시간을 가지고 있으므로, 이 경로에서 어떤 활동이든 지연되면 전체 프로젝트가 지연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따라서 이 경로를 관리하고 감시하는 것이 프로젝트 관리의 중요한 부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ㅅ자보와 평보의 맞춤에 쓰이는 보강 철물은?

  1. 꺽쇠
  2. 띠쇠
  3. 관통볼트
  4. 듀벨
(정답률: 알수없음)
  • 관통볼트는 긴 나사 모양의 철물로, 두 개 이상의 부재를 연결할 때 사용됩니다. 따라서, ㅅ자보와 평보를 맞춤에 쓰이는 보강 철물로 사용됩니다. 꺽쇠는 각도를 조절하기 위해 사용되며, 띠쇠는 물체를 고정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등벨은 나사와 볼트를 연결하는데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다음은 도면에 치수를 기입할 때에 주의할 점이다. 잘못된 설명은?

  1. 같은 도면에서 치수선의 양 끝 표시는 화살과 점을 혼용할 수 있다.
  2. 필요한 치수의 기재가 누락되는 일이 없도록 한다.
  3. 계산하지 않아도 알 수 있도록 치수를 기입한다.
  4. 치수의 기입은 원칙적으로 치수선에 따라 도면에 평행하게 쓴다.
(정답률: 93%)
  • "같은 도면에서 치수선의 양 끝 표시는 화살과 점을 혼용할 수 있다."라는 설명이 잘못되었다. 치수선의 양 끝은 일관되게 표시해야 하며, 화살과 점을 혼용해서는 안 된다. 이는 치수를 해석하는 데 있어 혼란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네트워크의 용어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더미(dummy) : 화살표형 네트워크에서 정상표현으로 할 수 없는 작업 상호 관계를 표시하는 화살표
  2. 가장 빠른 개시 시각(EST) : 작업을 시작하는 가장 빠른 시각
  3. 계산공기(T) : 미리 지정된 공기
  4. 플로트(float) : 작업의 여유시간
(정답률: 70%)
  • 정답은 "계산공기(T) : 미리 지정된 공기"이다. 계산공기(T)는 미리 지정된 공기가 아니라, 작업을 완료하기 위해 필요한 최소 시간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조적, 미장, 타일시공 및 재료

21. 점토벽돌의 품질등급에서 1종의 압축강도 기준은?

  1. 100㎏f/cm2 이상
  2. 150㎏f/cm2 이상
  3. 210㎏f/cm2 이상
  4. 250㎏f/cm2 이상
(정답률: 100%)
  • 점토벽돌은 흙과 직접 태양에 노출되어 마르고, 그 후 태양열로 인해 수분이 증발하면서 수축하게 된다. 이 때문에 압축강도가 중요하다. 1종의 압축강도 기준은 건축물의 안정성을 보장하기 위해 210㎏f/cm2 이상으로 설정되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조적조에서 개구부 나비가 얼마 이상일 때 철근콘크리트 인방보를 사용해야 하는가?

  1. 1.2m
  2. 1.5m
  3. 1.8m
  4. 2.1m
(정답률: 90%)
  • 조적조에서 개구부 나비가 일정 크기 이상이 되면, 인방보를 사용하여 보강해야 합니다. 이는 개구부 나비가 일정 크기 이상이 되면, 그 중앙에 위치한 기둥이 더 많은 하중을 받게 되어 기둥이 꺾이거나 무너질 위험이 있기 때문입니다. 이 때, 인방보의 길이는 개구부 나비의 크기에 따라 결정됩니다. 조적조에서는 개구부 나비가 1.8m 이상일 때 인방보를 사용해야 합니다. 이는 1.8m 이상의 크기에서는 기둥이 받는 하중이 매우 크기 때문에, 인방보를 사용하여 보강해야 안전성을 보장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다음 중 한중콘크리트의 초기 동해방지를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콘크리트 응결 및 경화를 촉진시키는 촉진제는?

  1. 염화칼슘
  2. 석회
  3. 알루미늄 가루
  4. AE제
(정답률: 알수없음)
  • 염화칼슘은 콘크리트 응결 및 경화를 촉진시키는 촉진제 중 하나입니다. 이는 염화칼슘이 물과 반응하여 열을 발생시키고, 이 열이 콘크리트 내부의 화학반응을 촉진시켜 응결과 경화를 빠르게 진행시키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초기 동해방지를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선택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그림과 같은 콘크리트블록의 명칭은?

  1. 창쌤 블록
  2. 인방 블록
  3. 창대 블록
  4. 장식 블록
(정답률: 알수없음)
  • 그림과 같은 콘크리트블록은 인방 블록이라고 부릅니다. 이유는 블록의 모양이 정사각형으로 되어 있어 인방이라는 이름이 붙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벽돌벽에 생기는 백화현상의 방지와 관계 없는 것은?

  1. 줄눈모르타르에 석회를 혼입한다.
  2. 양질의 벽돌을 사용한다.
  3. 줄눈사춤을 빈틈없이 다져넣어 빗물이 스며드는 것을 방지한다.
  4. 파라핀 도료를 발라 염류가 나오는 것을 막는다.
(정답률: 100%)
  • 벽돌벽에 생기는 백화현상은 벽돌과 모르타르 사이에 있는 물분자가 증발하면서 생기는 것입니다. 따라서, 줄눈모르타르에 석회를 혼입하는 것은 모르타르가 물을 흡수하는 능력을 줄여 백화현상을 방지하기 때문에 관계가 있습니다. 양질의 벽돌을 사용하거나 줄눈사춤을 빈틈없이 다져넣어 빗물이 스며드는 것을 방지하는 것도 백화현상을 방지하는 데 도움이 되지만, 파라핀 도료를 발라 염류가 나오는 것을 막는 것은 백화현상과는 관계가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벽돌공사에 관한 기술 중 옳지 않은 것은?

  1. 창문틀은 원칙적으로 나중세우기로 한다.
  2. 창문틀을 먼저세우기 할 경우에는 그 밑까지 벽돌을 쌓고 24시간 경과한 다음에 세운다.
  3. 창대벽돌은 그 윗면을 15° 정도의 경사로 옆세워 쌓는다.
  4. 아치쌓기는 아치의 어깨에서부터 좌우 대칭형으로 균등하게 쌓는다.
(정답률: 알수없음)
  • "창문틀은 원칙적으로 나중세우기로 한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창문틀은 벽돌 공사의 초기에 먼저 세우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유는 창문틀을 먼저 세우면 벽돌을 더욱 균일하게 쌓을 수 있고, 창문틀을 기준으로 벽돌을 맞추기 때문이다. 따라서 "창문틀은 원칙적으로 먼저 세우기로 한다."가 맞는 기술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한 켜는 마구리쌓기, 다음 켜는 길이쌓기로 하고 모서리나 끝에는 반절이나 이오토막을 사용하는 벽돌쌓기법은?

  1. 영국식 쌓기
  2. 화란식 쌓기
  3. 프랑스식 쌓기
  4. 미국식 쌓기
(정답률: 93%)
  • 영국식 쌓기는 한 켜는 마구리쌓기와 다음 켜는 길이쌓기를 번갈아가며 하고, 모서리나 끝에는 반절이나 이오토막을 사용하는 벽돌쌓기법입니다. 이 방법은 벽돌을 더욱 견고하게 쌓을 수 있으며, 영국에서 오랫동안 사용되어 영국식 쌓기라고 불립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내력벽을 블록으로 쌓을 경우 내력벽의 두께는 당해 벽높이의 얼마 이상으로 하는가?

  1. 1/16 이상
  2. 1/18 이상
  3. 1/20 이상
  4. 1/22 이상
(정답률: 77%)
  • 내력벽의 두께는 벽의 높이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벽의 높이의 1/16 이상으로 쌓는 것이 안전하다. 이는 내력벽이 지탱해야 할 하중이 많아질수록 벽의 두께도 더 두껍게 만들어야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보기 중에서 정답은 "1/16 이상"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하루 벽돌의 쌓는 높이는 최대 얼마 이하로 하는가?

  1. 1.0m
  2. 1.2m
  3. 1.5m
  4. 1.8m
(정답률: 91%)
  • 하루 벽돌의 쌓는 높이는 인력과 시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지만, 안전상의 이유로 일반적으로 1.5m 이하로 쌓는 것이 권장됩니다. 따라서 이 보기에서는 최대 쌓는 높이가 1.8m까지 나와있지만, 안전상의 이유로 1.5m 이하로 쌓아야 하므로 정답은 1.5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단순조적 블록 공사에 관한 기술 중 옳지 않은 것은?

  1. 살두께가 두꺼운 쪽을 아래로 향하게 쌓는다.
  2. 쌓기전에 모르타르 접합부에 적당히 물을 축인다.
  3. 줄눈나비는 가로, 세로 각각 10mm를 표준으로 한다.
  4. 세로줄눈은 막힌줄눈으로 한다.
(정답률: 85%)
  • "살두께가 두꺼운 쪽을 아래로 향하게 쌓는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살두께란 벽돌의 가장 넓은 면을 말하며, 이것이 아래로 향하게 쌓으면 벽돌이 불안정해지고 무너질 가능성이 높아진다. 따라서 살두께가 얇은 쪽을 아래로 향하게 쌓는 것이 옳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조적조에 있어서 통줄눈을 피하고 막힌줄눈을 사용하는 주된 이유는?

  1. 외관을 좋게 하기 위해서
  2. 시공을 편리하게 하기 위해서
  3. 응력을 분산시키기 위해서
  4. 부착력을 좋게 하기 위해서
(정답률: 92%)
  • 조적조에서 막힌줄눈을 사용하는 이유는 응력을 분산시키기 위해서입니다. 막힌줄눈은 통줄눈보다 더 많은 접촉면을 가지고 있어서 벽돌과의 마찰력이 더 강해지고, 벽돌에 가해지는 응력을 분산시켜줍니다. 이는 조적구조물의 강도와 안정성을 높여주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벽돌내쌓기에서 내미는 정도의 한도는?

  1. 1.0B
  2. 1.5B
  3. 2.0B
  4. 2.5B
(정답률: 알수없음)
  • 벽돌내쌓기는 게임에서 사용되는 가상화폐인 "블록"을 사용하여 진행됩니다. 이 게임에서는 블록을 구매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한 번에 구매할 수 있는 블록의 양에는 제한이 있습니다. 이 한도는 2.0B로 설정되어 있으므로, 이 이상의 블록을 구매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2.0B"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콘크리트블록조에서 테두리보의 춤은 벽두께의 몇 배 이상이어야 하는가?

  1. 1.0배 이상
  2. 1.5배 이상
  3. 2.0배 이상
  4. 2.5배 이상
(정답률: 75%)
  • 테두리보는 콘크리트블록조의 구조적인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요소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테두리보의 춤이 너무 작으면 벽의 안정성이 떨어지고, 너무 크면 비용이 증가하게 됩니다. 일반적으로 테두리보의 춤은 벽두께의 1.5배 이상으로 설정됩니다. 이는 충분한 안정성을 유지하면서도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최적의 값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표준형벽돌로 두께 1.5B 쌓기할 때의 벽두께는? (공간쌓기 아님)

  1. 230 mm
  2. 280 mm
  3. 290 mm
  4. 380 mm
(정답률: 79%)
  • 표준형 벽돌의 실제 크기는 215mm x 102.5mm x 65mm 이다. 따라서 1.5B(벽돌의 두께 1.5배)를 쌓으면 215mm x 1.5 = 322.5mm 이 된다. 하지만 벽돌을 쌓을 때에는 보통 10mm 정도의 여유를 두기 때문에, 이를 빼면 322.5mm - 10mm = 312.5mm 가 된다. 따라서 벽의 두께는 312.5mm 에서 벽돌 2개의 두께(215mm x 2 = 430mm)를 빼면 312.5mm - 430mm = -117.5mm 가 된다. 하지만 벽의 두께는 음수가 될 수 없으므로, 이 값을 양수로 바꾸면 117.5mm 가 된다. 이 값을 2로 나누면 벽의 양쪽에 붙는 벽돌의 두께가 된다. 따라서 117.5mm ÷ 2 = 58.75mm 이다. 이 값을 벽돌의 두께(215mm)에 더하면 벽의 최종 두께가 된다. 따라서 215mm + 58.75mm = 273.75mm 이다. 하지만 다시 한번 10mm 정도의 여유를 두면, 최종적으로 벽의 두께는 273.75mm + 10mm = 283.75mm 가 된다. 이 값을 가장 가까운 보기로 반올림하면 280mm 이지만, 정확한 값은 290mm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벽두께 1.0B, 벽높이 2.4m, 벽길이 5m 일때 표준형 벽돌을 사용한다면 필요한 벽돌 수량으로 가장 적당한 것은? (단, 줄눈 나비 10mm, 정미량 기준)

  1. 1,500장
  2. 1,530장
  3. 1,660장
  4. 1,790장
(정답률: 82%)
  • 먼저 벽의 면적을 구해야 한다. 벽의 면적은 벽의 높이와 길이를 곱한 값이다. 따라서, 벽의 면적은 2.4m x 5m = 12m² 이다.

    다음으로 벽돌의 면적을 구해야 한다. 표준형 벽돌의 크기는 190mm x 90mm 이므로 면적은 0.171m² 이다.

    벽의 면적을 벽돌의 면적으로 나누면 필요한 벽돌 수량을 구할 수 있다. 따라서, 12m² / 0.171m² = 70.18 장이 필요하다.

    하지만, 벽을 쌓을 때는 줄눈과 정미량을 고려해야 한다. 줄눈 나비가 10mm 이므로 벽돌을 쌓을 때마다 10mm씩 간격을 두어야 한다. 또한, 정미량 기준에 따라 벽돌을 쌓을 때마다 10mm씩 간격을 두어야 한다.

    따라서, 실제 필요한 벽돌 수량은 70.18 장보다 더 많아진다. 이를 고려하여 가장 적당한 답은 "1,790장"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벽돌벽을 두께 1.0B로 쌓을 때 표준형벽돌 1000장당 소요되는 모르타르 양은? (단, 시멘트:모래 = 1:3)

  1. 0.27 m3
  2. 0.33 m3
  3. 0.47 m3
  4. 0.52 m3
(정답률: 100%)
  • 시멘트와 모래의 비율이 1:3이므로, 시멘트 1부에 모래 3부를 사용한다. 따라서 모르타르의 총 비율은 1+3=4이다. 벽돌 1000장을 쌓을 때 필요한 모르타르의 양은 벽돌과 벽돌 사이에 들어가는 모르타르의 부피이다. 벽돌의 크기는 보통 19cm x 9cm x 5cm이므로, 벽돌 1000장을 쌓을 때 필요한 모르타르의 부피는 다음과 같다.

    (1000장 x 19cm x 9cm x 1cm) x 0.01m x 4 = 6.84 m3

    여기서 0.01m은 1cm를 미터로 환산한 값이다. 따라서, 벽돌 1000장을 쌓을 때 필요한 모르타르의 양은 6.84 m3이다.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벽돌의 두께가 1.0B로 주어졌으므로, 벽돌 1000장을 쌓을 때 필요한 모르타르의 양은 벽돌과 벽돌 사이에 들어가는 모르타르의 두께가 1.0B이므로, 1.0B의 부피와 같다. 따라서, 벽돌 1000장을 쌓을 때 필요한 모르타르의 양은 1.0 m3이다.

    시멘트와 모래의 비율이 1:3이므로, 모르타르의 총 비율은 4이다. 따라서, 1.0 m3의 모르타르를 만들기 위해서는 시멘트와 모래를 각각 1/4 m3와 3/4 m3씩 사용해야 한다. 따라서, 정답은 0.33 m3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벽돌조 공간쌓기에서 연결재의 최대 수직거리는 얼마 이하로 하는가?

  1. 25㎝
  2. 40㎝
  3. 50㎝
  4. 60㎝
(정답률: 75%)
  • 벽돌조 공간쌓기에서 연결재의 최대 수직거리는 벽돌의 무게와 안정성을 고려하여 결정된다. 연결재의 수직거리가 너무 멀면 벽돌이 무너질 위험이 있고, 너무 가까우면 연결재의 갯수가 많아져 비용이 증가한다. 따라서 연결재의 최대 수직거리는 40㎝ 이하로 하는 것이 안전하면서도 경제적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조적조에서는 일반적으로 통줄눈을 피하는데 오히려 통줄눈으로 하여야 하는 구조는?

  1. 돌구조
  2. 벽돌구조
  3. 조적식블록조
  4. 보강블록조
(정답률: 91%)
  • 보강블록조는 일반적으로 통줄눈을 피하는 조적조에서도 통줄눈으로 하여야 하는 구조입니다. 이는 보강블록조가 철근을 내장하여 강도를 높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보강블록조에서는 철근과 블록을 함께 고려하여 통줄눈을 사용해야 안전하고 견고한 구조물을 만들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한 켜는 길이쌓기로 하고 다음 켜는 마구리쌓기로 하며 모서리 또는 끝에서 칠오토막을 사용하는 벽돌쌓기법은?

  1. 영국식 쌓기
  2. 네덜란드식 쌓기
  3. 프랑스식 쌓기
  4. 미국식 쌓기
(정답률: 50%)
  • 네덜란드식 쌓기는 한 켜는 길이쌓기와 다음 켜는 마구리쌓기를 번갈아가며 사용하며, 모서리나 끝에서 칠오토막을 사용하는 벽돌쌓기법입니다. 이는 벽돌을 더욱 견고하게 쌓을 수 있도록 하며, 벽돌의 무게를 분산시켜 안정성을 높입니다. 따라서 네덜란드식 쌓기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벽돌 바닥 깔기에서 표준형 벽돌을 사용하여 평깔기를 할 때 바닥 넓이 1m2당 필요한 벽돌의 정미수량은?

  1. 50장
  2. 60장
  3. 70장
  4. 80장
(정답률: 88%)
  • 표준형 벽돌의 크기는 보통 20cm x 10cm x 5cm 이다. 따라서 1m2의 바닥면적을 깔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1m2 = 100cm x 100cm = 10,000cm2

    한 벽돌의 밑면적은 20cm x 10cm = 200cm2 이므로, 1m2의 바닥면적을 깔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이 벽돌의 수를 계산할 수 있다.

    10,000cm2 ÷ 200cm2 = 50

    따라서, 1m2의 바닥면적을 깔기 위해서는 50장의 벽돌이 필요하다. 따라서 정답은 "50장"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안전관리

41. 석재에 대한 다음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대리석은 견고하고 색채와 반점이 아름답고 갈면 광택이 나므로 실내장식재, 조각재로 사용된다.
  2. 안산암은 성분이 복잡하므로 성분에 따라 색과 석질이 다르다.
  3. 응회암은 화산재가 응고한 것으로 다공질 석재이다.
  4. 화강암은 견고하나 대형재를 얻기 어려워 구조재로 사용하기 곤란하다.
(정답률: 86%)
  • "화강암은 견고하나 대형재를 얻기 어려워 구조재로 사용하기 곤란하다."라는 설명이 옳지 않다. 이유는 화강암은 대형재를 얻기 어려워 구조재로 사용하기 어렵다는 것은 사실이지만, 이는 오히려 화강암이 견고하고 단단하기 때문이다. 화강암은 대형재를 얻기 어려워 구조재로 사용하기 어렵다는 것은 생산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경제적으로 부담스러울 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KS에 규정된 C종 속빈 콘크리트블록의 전단면적에 대한 압축강도는?

  1. 82 kgf/cm2 이상
  2. 41 kgf/cm2 이상
  3. 61 kgf/cm2 이상
  4. 95 kgf/cm2 이상
(정답률: 알수없음)
  • 문제에서 언급된 KS는 대한민국의 규격인 "한국표준협회"를 의미한다. C종 속빈 콘크리트블록은 KS F 2405에서 규정되어 있으며, 이 규격에 따르면 C종 속빈 콘크리트블록의 전단면적에 대한 압축강도는 82 kgf/cm2 이상이어야 한다. 따라서 정답은 "82 kgf/cm2 이상"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창대 벽돌의 위끝은 창대 밑에 어느 정도 들어가 물리게 하는가?

  1. 1.0cm
  2. 1.2cm
  3. 1.5cm
  4. 2.5cm
(정답률: 86%)
  • 창대 벽돌의 위끝이 창대 밑에 어느 정도 들어가는지는 창대 벽돌의 크기와 설치 방법에 따라 다를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는 1.5cm 정도 들어가게 설치됩니다. 이는 창대 벽돌의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필요한 것으로, 창대 벽돌이 밑으로 미끄러지거나 떨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따라서, 보기 중에서 "1.5cm"이 정답인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쌓아올리는 포대수를 13포로 할 때, 시멘트 400포대를 쌓을 수 있는 시멘트창고의 소요 면적으로 적당한 것은? (통로를 설치할 경우)

  1. 15 m2
  2. 12.3m2
  3. 10.2m2
  4. 9.8m2
(정답률: 알수없음)
  • 시멘트 1포당 약 0.5m²의 면적이 필요하므로, 400포를 쌓기 위해서는 400 x 0.5 = 200m²의 면적이 필요하다.
    포대수 13개를 쌓기 위해서는 최소한 13 x 0.6 = 7.8m²의 면적이 필요하다.
    따라서, 통로를 설치할 경우에도 공간이 충분하려면 200m² + 7.8m² = 207.8m²의 면적이 필요하다.
    그러나, 보기에서 제시된 면적 중에서는 15m²가 너무 크고, 9.8m²는 너무 작으므로, 10.2m²와 12.3m² 중에서 선택해야 한다.
    이 중에서 12.3m²가 더 크기 때문에, 정답은 12.3m²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조적조 내력벽으로 둘러싸인 부분의 바닥면적은 최대 얼말 이하로 하는가?

  1. 60 m2
  2. 80 m2
  3. 100 m2
  4. 120 m2
(정답률: 67%)
  • 조적조 내력벽은 건물의 구조적인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해 지어지는 벽으로, 일반적으로 두께가 20cm 이상이다. 따라서 조적조 내력벽으로 둘러싸인 부분의 바닥면적이 최대가 되려면, 내력벽의 두께가 최소한 20cm 이상이어야 한다. 이를 고려하면, 바닥면적이 80 m2 이하가 되어야 한다. 따라서 정답은 "80 m2"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벽돌조 쌓기의 치장줄눈용 모르타르 표준용적배합비는? (결합재:세골재)

  1. 1 : 0.5 ~ 1.5
  2. 1 : 2.0 ~ 2.5
  3. 1 : 2.5 ~ 3.0
  4. 1 : 3.0 ~ 3.5
(정답률: 55%)
  • 벽돌조 쌓기에서 치장줄눈용 모르타르는 벽돌을 쌓을 때 사용하는 결합재인 세골재와 함께 사용되며, 이 둘의 비율에 따라 품질이 결정됩니다. 따라서 표준용적배합비는 이 둘의 비율을 나타내며, "1 : 0.5 ~ 1.5"는 모르타르 1부에 세골재를 0.5부에서 1.5부까지 사용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 범위 내에서 적절한 비율을 선택하여 사용하면, 벽돌조 쌓기의 품질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벽돌조의 개구부와 개구부 사이의 수평거리는 벽 두께의 최소 몇 배 이상으로 하는가?

  1. 1.0
  2. 1.5
  3. 2.0
  4. 2.5
(정답률: 94%)
  • 벽돌조의 개구부와 개구부 사이의 수평거리는 벽의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해 충분한 강도를 확보해야 한다. 벽돌은 일반적으로 수직으로 쌓이기 때문에 수평으로 쌓인 벽돌은 불안정하다. 따라서 벽돌조의 개구부와 개구부 사이의 수평거리는 벽의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해 벽 두께의 최소 2배 이상으로 하는 것이 안전하다. 따라서 정답은 "2.0"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벽돌조의 내력벽 길이는 최대 얼마 이하로 해야 하는가?

  1. 12m
  2. 10m
  3. 9m
  4. 8m
(정답률: 64%)
  • 벽돌조의 내력벽은 지반의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구조물이다. 따라서 내력벽의 길이는 지반의 상태와 부하 등을 고려하여 적절히 결정되어야 한다. 주어진 보기에서는 "12m"이 가장 큰 값이므로, 이보다 작은 값 중에서 선택해야 한다. "9m"과 "8m"은 너무 짧아서 안정성을 보장하기 어렵고, "10m"은 적절한 길이로서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는 범위 내에 있기 때문에 정답으로 선택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뒷면은 영식쌓기 또는 화란식쌓기로 하고 표면에는 치장 벽돌을 써서 5~6켜는 길이쌓기로 하며, 다음 1켜는 마구리쌓기로 하여 뒷벽돌에 물려서 쌓는 벽돌쌓기법은?

  1. 영국식쌓기
  2. 미국식쌓기
  3. 네덜란드식쌓기
  4. 프랑스식쌓기
(정답률: 86%)
  • 미국식쌓기는 표면에 치장 벽돌을 사용하고, 뒷면은 영식쌓기 또는 화란식쌓기로 하여 벽돌을 쌓은 후 다음 1켜는 마구리쌓기로 뒷벽돌에 물려서 쌓는 방식입니다. 이 방식은 벽돌을 더 견고하게 고정시키기 때문에 미국에서는 건축물의 내구성을 높이기 위해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쌤돌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석조의 개구부 옆 부분에 대는 돌이다
  2. 석조 개구부 밑부분에 대는 돌이다
  3. 석조 개구부 상부에 대는 돌이다
  4. 석조 개구부 윗부분에 차양과 같은 돌림띠이다
(정답률: 80%)
  • 쌤돌은 석조의 개구부 옆 부분에 대는 돌이다. 이는 석조의 구조를 지탱하고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사용되는 돌로, 석조의 개구부와 함께 설계되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A급화재(보통화재)가 발생하여 확대되었다면 소화방법으로 가장 많이 사용하는 것은?

  1. 포말소화기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2. 강화액소화기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3. 분말소화기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4. 물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정답률: 알수없음)
  • 물은 가장 보편적이고 저렴한 소화제이며, 화재 영역을 냉각시켜 연소 반응을 억제하고 화재를 진압할 수 있기 때문에 A급화재에서 가장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다음 기술 중 틀린 것은?

  1. 감각기관에 대한 자극이 한꺼번에 많이 나타날때에는 거부 현상이 일어난다.
  2. 인간의 주의는 일정대상에 오랫동안 집중하거나 계속 할 수 있다.
  3. 대뇌의 기능은 주· 야간에 따라 각각 다르다.
  4. 인간의 능력은 개인차에 따라 다르다.
(정답률: 100%)
  • "인간의 주의는 일정대상에 오랫동안 집중하거나 계속 할 수 있다."가 틀린 것이다. 인간의 주의는 일정 대상에 오랫동안 집중하거나 계속할 수 없으며, 일정 시간이 지나면 주의력이 흐려지거나 산만해질 수 있다. 이는 인간의 주의력이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평균 근로자가 100명이 있는 직장에서 1년동안에 8명의 재해자를 냈을때 천인율은?

  1. 0.8
  2. 8
  3. 80
  4. 800
(정답률: 알수없음)
  • 천인율은 1,000명당 사망자 수를 의미한다. 따라서, 100명의 근로자가 있는 직장에서 1년동안에 8명의 재해자가 발생하면 천인율은 (8/100) x 1,000 = 80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8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1년중 재해자 수가 가장 많이 발생하는 달은?

  1. 2 - 3월
  2. 4 - 5월
  3. 5 - 6월
  4. 7 - 8월
(정답률: 80%)
  • 7-8월은 여름철이며, 이 기간에는 폭염, 태풍, 호우 등의 자연재해가 발생하기 쉽습니다. 또한 여름방학으로 인해 사람들이 많이 이동하고, 해외여행 등으로 인해 국내에 머무르는 외국인 관광객도 많아지기 때문에 교통사고나 다른 사고도 많이 발생합니다. 따라서 1년 중 재해자 수가 가장 많이 발생하는 달은 7-8월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인간의 생리적 욕구 중 통제가 가장 어려운 것은?

  1. 안전욕구
  2. 해갈욕구
  3. 배설욕구
  4. 수면욕구
(정답률: 알수없음)
  • 안전욕구는 인간의 생존에 직결되는 욕구로, 생명을 위협하는 위험 상황에서도 계속해서 유지되는 욕구입니다. 따라서 이 욕구를 통제하는 것은 매우 어렵습니다. 다른 욕구들은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충족될 수 있지만, 안전욕구는 언제든 위험에 노출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작업전, 작업중, 작업종료후 하는 안전점검은?

  1. 정기 점검
  2. 일상 점검
  3. 수시 점검
  4. 임시 점검
(정답률: 73%)
  • 작업전, 작업중, 작업종료후 하는 안전점검은 일상 점검이다. 이는 일상적으로 작업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위험을 예방하고 조기에 대처하기 위해 필요한 점검이기 때문이다. 일상 점검은 작업장 내부의 안전시설, 작업기계, 작업도구 등을 일정 주기로 점검하여 안전한 작업환경을 유지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알고는 있으나 그대로 실천하지 않는 사람을 위해 알고 있는대로 하도록 하는 교육은?

  1. 안전지식교육
  2. 안전기능교육
  3. 안전태도교육
  4. 안전관리교육
(정답률: 알수없음)
  • 안전태도교육은 안전에 대한 지식뿐만 아니라 실제로 안전하게 일하는 방법을 실습하고 체득할 수 있도록 교육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알고는 있지만 실천하지 않는 사람들에게 효과적인 교육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컴퓨터(Computer) 등 값이 비싼 전기기계, 기구 등의 소화에 적당한 소화기는?

  1. 물탱크식 소화기
  2. 산· 알칼리 소화기
  3. 할론(halon)가스 소화기
  4. 이산화탄소 소화기
(정답률: 100%)
  • 컴퓨터 등 값이 비싼 전기기계, 기구 등은 물로 소화하면 손상될 우려가 있기 때문에 물탱크식 소화기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또한 산·알칼리 소화기는 전기기계, 기구 등에는 적합하지 않은 소화제입니다. 이에 반해 할론(halon)가스 소화기는 전기기계, 기구 등에도 손상을 주지 않으면서 빠르고 효과적으로 화재를 진압할 수 있기 때문에 적합합니다. 이산화탄소 소화기도 전기기계, 기구 등에는 적합하지만 인체에 유해한 가스이기 때문에 사용에 주의가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안전조직의 3가지 유형에 해당되지 않은것은?

  1. 라인식 조직
  2. 스태프식 조직
  3. 리더식 조직
  4. 라인스태프식 조직
(정답률: 알수없음)
  • 안전조직의 3가지 유형은 라인식 조직, 스태프식 조직, 라인스태프식 조직입니다. 리더식 조직은 안전조직의 유형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이유는 리더식 조직은 일반적으로 한 명의 리더가 중심이 되어 조직을 이끄는 형태이며, 안전조직에서는 조직 구성원 모두가 안전에 대한 책임을 지는 것이 중요합니다. 따라서 안전조직에서는 리더식 조직보다는 라인식 조직, 스태프식 조직, 라인스태프식 조직과 같은 형태가 더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인간-기계 통합시스템의 인간 또는 기계에 의해서 수행되는 기본 기능의 유형으로 옳은 것은?

  1. 감지 → 정보저장 → 정보처리 및 결정 → 행동
  2. 감지 → 정보처리 및 결정 → 정보저장 → 행동
  3. 정보저장 → 감지 → 정보처리 및 결정 → 행동
  4. 정보저장 → 정보처리 및 결정 → 감지 → 행동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감지 → 정보저장 → 정보처리 및 결정 → 행동" 입니다.

    인간-기계 통합시스템에서 기본적으로 수행되는 기능은 다음과 같습니다.

    1. 감지: 센서 등을 이용하여 외부 환경에서 정보를 수집하는 과정
    2. 정보저장: 수집된 정보를 저장하는 과정
    3. 정보처리 및 결정: 저장된 정보를 분석하여 의사결정을 내리는 과정
    4. 행동: 결정된 내용에 따라 적절한 행동을 취하는 과정

    따라서, 감지 → 정보저장 → 정보처리 및 결정 → 행동 순서로 기본 기능이 수행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