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과목: 원자력기초
1. 다음 중 원자핵을 구성하고 있는 핵자들간에 작용하는 핵력(Nuclear Force)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2. 다음 방사붕괴 형태 중 원자핵의 양성자 수 및 중 성자 수에 변화가 없는 것은?
3. 중성자와 핵의 비탄성 산란반응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4. 중성자에 대한 미시적 단면적을 설명한 것 중 옳은 것은?
5. 다음 설명 중 옳은 것은?
6. 질량수 A, 양성자수 Z, 수소질량 mH, 중성자질량 mN, 측정질량(Experimental Mass) M일 때 질량결손을 나타낸 것은?
7. 다음 노심증배계수 구성인자 중 제논과 같은 독물질에 의해 가장 많이 영향을 받는 것은?
8. 다음 중 1군 확산 방정식(One-group diffusion Equation)에 사용되는 인자가 아닌 것은?
9. 경수형 원자로에서 핵연료의 도플러효과(Doppler Effect)에 가장 크게 기여하는 핵종은?
10. 천연 우라늄(U) 1g 중에 포함된 235U의 원자수는? (단, 우라늄의 원자량은 238.028이며 천연우라늄에 존재하는 235U의 비율은 0.714% 이다.)
11. 다음 중 같은 양의 핵연료를 가지고 증배계수를 크게 할 수 있는 방법이 아닌 것은?
12. 중성자의 특성과 반응률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3. 원자로의 증배계수가 k=1.000에서 1.001로 변화되었다. 증배계수 변화에 상응하는 반응도는? (단, 원자로의 βeff=0.0065)
14. 경수로 원자로의 반응도 제어와 관련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5. 원자로 재기동 불능시간(Reactor Dead Time)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핵종은?
16. 경수로의 제어봉 반응도값(Rod Worth)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7. 출력이 1,000MWth로 운전되는 원자로에 주기 τ= 80초로 출력변화를 줄 때 80초 후의 출력은?
18. UO2 60톤(Ton)이 장전된 원자로가 정격 열출력 3,000MWth, 이용율 75%로 400일간 운전할 경우 연료의 평균 연소도는?
19. 다음 지발중성자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20. 국내에서 운전 중인 CANDU 원자로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2과목: 핵재료공학 및 핵연료관리
21. 다음 중 “유체의 관성력과 점성력의 비”를 나타내는 무차원 수는?
22. 원자력발전소에서 사용되는 유량측정계시(오리피스, 유량노즐, 벤츄리관)는 어떤 원리를 이용하여 유량을 측정하는가?
23. 가압경수로형 원자로 노심에서 고온수로의 축방향 위치별 출력이 코사인(Cosine) 함수형태 일 때, 고온수로에서 실제 열유속(Actual Heat Flux. q"actual)과 임계열유속(Critical Heat Flux, q"CHF) 및 핵비등이탈률(DNBR) 변화를 축방향 위치별로 적절히 나타낸 것은?
24. 원자로 압력용기가 급격히 냉각됨으로써 야기될 수 있는 문제점은?
25. 가압경수로형 원자로 압력용기는 중성자 조사에 의해 수명말기까지 샤르피 충격시험 곡선의 최대 흡수 에너지가 ( ㉮ ) 아래로 낮아지거나 기준 무연성천이온도(RTNDT)가 ( ㉯ )를 초과하지 않아야 한다. 다음 중 ㉮와 ㉯에 들어갈 값은?
26. 고에너지 중성자 조사에 의한 원자로 압력용기의 취화 현상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27. 감속재의 감속비는 중성자와 감속재간 충돌당 손실되는 중성자에너지와 감소재의 거시적 산란단면적에 비례하고 감속재의 거시적 흡수단면적에 반비례한다. 감속재의 감속비가 큰 순서대로 나열한 것은?
28. 가압경수로형 원자로의 정상출력 운전시 펠렛 중심온도, 피복재 표면온도 및 냉각재 온도의 축방향 분포에 대해 맞게 기술한 것은? (단, 연료봉 길이와 펠렛 적층길이는 동일하다고 가정)
29. 금속우라늄 핵연료와 비교한 이산화우라늄(UO2)핵연료의 특성이 잘못 기술된 것은?
30. 가압경수로형 원자로에서 정상운전 및 비정상운전 기간 동안 핵연료의 파손을 방지하고 가상사고시 노심냉각성능을 유지하기 위해 설정한 설계기준 중 틀린 것은?
31. 가압경수로형 원자로의 노외 중성자계측기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32. 가압경수로형 원자력발전소의 가압기 특성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33. 화학 및 체적 제어계통(CVCS)의 역할이 아닌 것은?
34. 가압경수로형 원자력발전소의 냉각재에 첨가된 붕산수에 대한 설명으로 맞지 않는 것은?
35. 증기발생기 내부 급수 분산환(Feedering)에 J-Type 또는 C-Type의 관을 설치하는 이유는?
36. 증기발생기에서 운전중 발생 가능한 수위팽창(Swelling) 현상과 관계가 없는 것은?
37. 가압경수로형 원자력발전소의 증기발생기에서 발생하는 주요 손상기구가 아닌 것은?
38. 그림 1은 원자로 2차계통의 재열 랭킨(Rankine) 사이클이다. 이 그림의 ④와 ⑤사이 공정은 T-S 선도 (그림 2)의 어느 공정에 해당되는가?
39. 다음의 괄호에 들어갈 합금원소가 순서대로 적절히 나열된 것은?
40. 아래 조건에서 경수로 원동형 우라늄 펠렛의 중심 온도는? (단, 펠렛열전도도(k)는 펠렛온도 및 연소도에 따라 일정하다고 가정)
3과목: 발전로계통공학
41. 가압경수로형 원자력발전소 원자로냉각재의 수화학 관리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42. 액체 방사성폐기물을 제염계수가 5인 이온교환기로 처리하였다. 처리하기 전에 액체 방사성폐기물에 존재하던 방사능 이온교환기를 통해 제거된 방사능의 비율은?
43. 최근 개발되고 있는 고온가스냉각로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44. 우라늄 농축에 소요되는 비용을 기술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단위인 SWU(Separative Work Unit)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45. 핵연료 피복관의 펠렛-피복재 상호작용(PCI)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46. 한국표준형 원자력발전소의 핵연료집합체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47. 금속 핵연료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48. 원자력발전소 구조재료의 부식의 형태 중 틈새부식과 비슷하나 보호피막이 부분적으로 파괴된 경우 혹은 재질이 비균질적인 경우같이 비교적 화학적 활성이 큰 부위부터 집중적으로 부식이 일어나는 형태를 무엇이라 하는가?
49. 원자로 냉각재 중에 존재하며 중성자 흡수단면적이 커서 독물질로 작용하여 반응도에 영향을 주는 핵분열 생성물은?
50. 중수제조나 삼중수소분리 등을 위한 수소동위원소 분리공정으로 이용되지 않는 공정은?
51. 핵연료 제조공정에서 우라늄 원광으로부터 조 엘로우 케이크(Crude Yellow Cake)를 만들어내는 공정을 무엇이라 하는가?
52. 다음 중 초우라늄(TRU) 원소에 해당하지 않는 원소는?
53. 사용후핵연료 재처리 방법은 크게 습식 재처리법과 건식 재처리법으로 나눌 수 있다. 다음 중 습식 재처리 방법이 아닌 것은?
54. 핵연료 피복관 재료의 요건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55. 우라늄 화합물중 탄화물의 특징이 아닌 것은?
56. 원자력 발전소에서 발생되는 폐기물은 여러 가지 방사성 핵종을 함유하고 있다. 다음 중 기체폐기물이 주로 발생되는 곳이 아닌 것은?
57. 다음 방사성폐기물 육지처분시스템의 구성 내용 중 옳지 않은 것은?
58. 원자력발전소 계통의 신뢰도는 수질에 의존한다. 수질 관리를 위하여 행하는 일반적 원자로 수화학의 목적으로 옳은 것은?
59. 다음 나열된 핵종 중 사용되는 산업분야가 옳지 않은 것은?
60. 의료용 가속기에 사용되는 방사성 동위원소로 옳지 않은 것은?
4과목: 원자로 안전과 운전
61. 다음 중 100% 출력으로 정상운전중인 가압경수로의 정지여유도를 확보하기 위한 방법으로 옳은 것은?
62. 다음 중 출력계수에 영향을 주는 값이 아닌 것은?
63. 열출력 1000 MW로 정상운전중이던 원자로의 출력이 900MW 감소하면서, 핵연료의 온도는 100℃, 감속재의 온도는 50℃ 각각 감소하였다. 핵연료 온도계수 및 감속재 온도계수가 모두 -1.0 x 10-5 Δk/k/℃일때, 이 원자로에서 출력감소로 인하여 발생된 반응도 변화량은?
64. 원자력발전소에서 원자로냉각제상실사고가 발생하면 방사성물질이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차단하여야 한다. 이러한 기능과 가장 관련이 있는 공학적안전설비작동신호는?
65. 다음 중 국내 가압경수로의 설계에서 발전소정전 사고(SBO : Station Black Out.가 발생하여 교류전원이 완전히 상실되었을 때, 원자로의 붕괴열 제거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설비는?
66. 다음 중 냉각제상실사고의 진행단계 중 재층수(Refill) 단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67. 다음 중 1단계 확률론적안전성평가(Level 1 PSA_를 수행하여 얻어지는 결과는?
68. 다음은 2011년 3월 일본 후쿠시마 제1발전소 1,2,3호기 사고의 진행과정에서 발생한 주요 현상들이다. 발생 순서를 올바르게 나타낸 것은?
69. 전기출력 100만kWe인 원자력발전소가 있다. 가동률이 80%이고 전기판매 단가가 kWh당 50원일 때, 이 발전소의 연간 전기 판매대금은 얼마인가? (단, 1년은 365일이다.)
70. 다음 중 천연우라늄을 연료로 사용하는 가압중수로(PHWR)형 노형에서 원자로냉각재로 중수를 사용하는 근본적 이유는?
71. 원자력발전소에서는 핵분열의 부산물로 방사성물질이 방출된다. 이러한 방사성물질을 환경으로 방출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방법으로 틀린 것은?
72. 다음의 원자력발전소 사고에서 공통증상으로 맞는 것은?
73. 다음 중 공학적안전설비(ESF)의 기능으로 틀린 것은?
74. 다음 중 핵연료 재장전 운전을 위하여 원자로냉각재 온도를 177℃에서 연료재장전온도까지 냉각하는 계통으로 맞는 것은?
75. 다음 중 중대사고 현상으로 틀린 것은?
76. 다음 중 모든 소내·외 교류전원상실시 안전관련 모선에 자동으로 전력을 공급하는 설비는?
77. 노심에 잉여반응도를 준 이유로 맞는 것은?
78. 최대 선출력밀도(kW/ft)와 관련하여 고온 열수로계수를 제한하는 이유는?
79. 운전중 핵연료 손상 예측에 이용되는 대표적인 핵종은?
80. 가연성 독물질을 원자로에 사용하는 이유로 맞는 것은?
5과목: 방사선이용 및 보건물리
81. 다음 중 BF3 계수기와 직접 관계가 없는 것은?
82. 질량에너지전달계수(μtr/ρ)와 질량에너지흡수계수(μen/ρ)와 차이가 발생하는 주 원인은?
83. 어떤 방사성물질의 유효반감기가 5일인 경우, 생물학적 반감기는? (단, 물리적 반감기는 10일이다.)
84. 10cGy의 방사선이 1kg의 공기 중에서 만드는 이온쌍의 수는 약 얼마인가? (단, 공기에서 1개의 이온쌍을 생성하는 데 필요한 평균에너지는 34eV이다.)
85. 측정값에서 나타난 요동이 방사능붕괴에 대한 분포함수인 포와송(Poisson) 분포에서 벗어난 정도를 평가함으로써 계측시스템의 오작동 여부를 검증하는 방법은?
86. 방사선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87. 자연돌연변이와 방사선에 의한 유전적 영향을 평가하는 척도는?
88. 다음 방사선의 종류 중 연속에너지 스펙트럼을 갖는 것은?
89. 1 MeV 에너지를 지닌 감마선을 방출하는 핵종의 초기 방사선량률을 납을 이용하여 1/16으로 줄이고자 한다. 필요한 납의 두께는 약 얼마인가? (단, 납의 질량 에너지감쇠계수와 밀도는 각각 μ/ρ=0.071cm2/g, ρ=11.34g/cm3이고, 축적인자는 무시한다.)
90. 고순도반도체검출기(HPGe)를 이용한 감마선핵종 분석시스템으로 미지의 시료를 측정한 결과 950keV에 해당하는 채널에서 전에너지 피크(Photo Peak)가 나타났다. 측정된 스펙트럼에서 기대할 수 없는 피크는?
91. Nal(Tl) 섬광계수기로 5,000Bq의 방사능을 갖는 교정용 137Cs 선원을 1분 동안 측정하여 35,000counts를 얻었다. 이때 백그라운드 계수율이 600cpm이었다면 선원에서 방출되는 감마선에 대한 검출기의 계수효율은 약 얼마인가? (단, 137Cs 선원의 감마선 방출률은 85%이다.)
92. 감마선 핵종분석에 앞서 수행하는 에너지교정을 바르게 설명하고 있는 것은?
93. 다음의 설명 중 옳은 것끼리 짝지은 것은?
94. 일반인에 대한 선량한도가 방사선작업자보다 낮게 설정된 이유로 옳지 않은 것은?
95. 발단선량 값이 가장 작은 것으로 평가되는 결정적 영향은?
96. 다음의 방사성동위원소 사용시설 중 표면오염 가능성이 가장 큰 경우는?
97. 방사선 측정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한 방법으로 볼수 없는 것은?
98. 다음 중 삼중수소의 특성이 아닌 것은?
99. 매질 내를 통과하는 하전입자에 대한 설명 중 가장 옳은 것은?
100. 0.1에서 2 MeV 사이의 에너지를 가지는 광자가 물이나 공기와 반응할 경우 가장 많이 일어나는 반응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