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oT지식능력검정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5-11-22)

IoT지식능력검정
(2015-11-22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임의 구분

1. 다음 중 사물인터넷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사례와 거리가 가장 먼 것은?

  1. 인터넷에 연결되어 농업‧환경‧에너지‧유통 등 다양한 분야의 모니터링을 통해 정보 제공 및 분석
  2. 인터넷에 연결되어 건강의 측정, 판단 및 예측
  3. 인터넷에 연결되어 가격비교를 통한 제품의 합리적 구매
  4. 주변의 다양한 제품의 지능화를 통한 부가가치의 증가
(정답률: 77%)
  • "인터넷에 연결되어 가격비교를 통한 제품의 합리적 구매"가 가장 먼 것이다. 이는 단순히 인터넷을 통해 제품 가격을 비교하고 구매하는 것으로, 사물인터넷의 개념과는 거리가 멀다. 사물인터넷은 다양한 사물들이 인터넷에 연결되어 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하여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다음 중 기술적 측면에서의 사물인터넷 활성화 요인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제품의 소형화
  2. 비표준화
  3. 디바이스 및 소자의 저가격화
  4. 디바이스의 고성능ㆍ저전력화
(정답률: 87%)
  • 정답: 비표준화

    설명: 사물인터넷에서는 다양한 디바이스와 시스템이 상호 연결되어야 하기 때문에 표준화가 매우 중요합니다. 하지만 비표준화된 제품이 많아서 서로 호환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표준화된 기술과 규격을 사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다른 요인들은 모두 사물인터넷 기술의 발전을 촉진하는 요인으로 작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다음 중 헬스케어(Healthcare) 서비스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1. 질병이나 질환을 체계적이고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것을 헬스케어라 한다
  2. 지속적으로 다양한 유형의 신체 상태를 측정한 후, 주요 값들의 수준이나 변화량을 바탕으로 건강상태를 알려주고 그에 적합한 대응 방안을 제시해 주는 것이 헬스케어의 기본 구조이다
  3. 헬스케어 플랫폼은 실시간으로 수집된 건강 데이터를 바탕으로 그에 알맞은 피트니스 및 의료 서비스를 연결해 줄 수 있도록 개방형 API를 제공한다
  4. 스마트도어락, 스마트밸브, 스마트램프 등과 같은 디바이스들이 헬스케어 서비스를 위해 주로 사용된다
(정답률: 87%)
  • "스마트도어락, 스마트밸브, 스마트램프 등과 같은 디바이스들이 헬스케어 서비스를 위해 주로 사용된다"는 설명이 잘못되었다. 이러한 디바이스들은 주로 스마트홈 서비스나 에너지 관리 등 다른 분야에서 사용된다. 헬스케어 서비스에서는 주로 건강 관련 센서, 웨어러블 기기, 의료기기 등이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다음 중 누구든지 쉽게 사물인터넷 생태계에 참여할 수 있게 해주는 요소를 설명한 내용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기술의 표준화
  2. 새로운 무선통신기술의 채택
  3. 칩셋과 기술의 모듈화
  4. 표준 응용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API)의 제공
(정답률: 76%)
  • "새로운 무선통신기술의 채택"은 다른 요소들과는 달리 어떤 새로운 기술이 도입되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에 다른 요소들과는 거리가 먼 것입니다. 이는 새로운 기술이 도입되어야만 더욱 발전된 사물인터넷 생태계가 형성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5G와 같은 무선통신 기술의 도입은 더욱 빠르고 안정적인 데이터 전송을 가능하게 하여 사물인터넷 기술의 발전을 촉진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2014년 이후로 정부는 ICT 분야의 패러다임으로 스마트폰 시대를 넘어서 진행될 사물인터넷 생태계 구조를 SPNDSe 관점에서 접근을 시도하고 있다. 다음 중 SPNDSe는 무엇을 의미하는가?

  1. 네트워크(Network), 디바이스(Device), 서비스(Service)와 보안(Security)이 별도로 상호 호환성만을 강조하는 글로벌 생태계
  2. 네트워크(Network)만이 아니라 디바이스(Device)로부터 서비스(Service)에 이르기까지 전체가 보안(Security)을 기반으로 서로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상호 호환성을 전제로 진화하는 글로벌 생태계
  3. 네트워크(Network), 디바이스(Device), 서비스(Service)와 보안(Security)의 상호 호환성을 강조하는 로컬 생태계
  4. 네트워크(Network), 디바이스(Device), 서비스(Service)와 보안(Security)이 상호 호환성이 배제된 시스템
(정답률: 79%)
  • SPNDSe는 "네트워크(Network)만이 아니라 디바이스(Device)로부터 서비스(Service)에 이르기까지 전체가 보안(Security)을 기반으로 서로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상호 호환성을 전제로 진화하는 글로벌 생태계"를 의미한다. 이는 보안을 중요시하며, 네트워크, 디바이스, 서비스가 상호 호환성을 가지며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진화하는 글로벌 생태계를 말한다. 즉, 모든 요소가 보안을 고려하여 연결되어 있으며, 상호 호환성을 가지며 발전하는 생태계를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다음 중 2012년 결성된 단체로 사물인터넷 공통서비스 플랫폼 개발을 위해서 발족된 사실상 표준화 국제 표준 단체는 무엇인가?

  1. ISO/IEC JTC1 IoT
  2. ITU-T Reference Model(Y.2060)
  3. oneM2M
  4. InternationalM2M
(정답률: 79%)
  • 정답은 "oneM2M"이다. 이는 2012년 결성된 사물인터넷 공통서비스 플랫폼 개발을 위해서 발족된 사실상 표준화 국제 표준 단체이다. oneM2M은 국제적인 기술 표준화를 위한 협력체로서, 다양한 사물인터넷 기술 및 서비스를 통합하여 상호 운용성을 보장하고, 새로운 사물인터넷 서비스 개발을 촉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다음 중 사물인터넷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사용량에 따라 보험료를 다르게 내는 자동차보험을 지칭하는 용어는 무엇인가?

  1. UBI (Usage-Based Insurance)
  2. OBD (On-Board Diagnostics)
  3. ESL (Electronic Shelf Label)
  4. O2O (Online-to-Offline)
(정답률: 82%)
  • 정답: UBI (Usage-Based Insurance)

    설명: UBI는 사물인터넷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자동차 운전자의 운전 습관, 주행 거리, 시간대 등을 수집하여 보험료를 책정하는 자동차보험을 지칭하는 용어입니다. OBD는 자동차의 상태를 진단하기 위한 시스템이며, ESL은 전자식 가격표, O2O는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연결하는 비즈니스 모델을 지칭하는 용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다음 중 사물인터넷 디바이스들이 보안에 취약하게 만드는 요소로 거리가 먼 것은?

  1. 제한된 배터리 용량 및 컴퓨팅 파워
  2. 데이터 전송과 관련된 경량 알고리즘의 부재
  3. 매시업(Mash-up) 보안 기술의 부재
  4. 짧은 통신 거리
(정답률: 72%)
  • 짧은 통신 거리는 사물인터넷 디바이스들이 보안에 취약하게 만드는 요소로 거리가 먼 것입니다. 이는 디바이스들이 직접적으로 인터넷에 연결되지 않고 중간에 게이트웨이를 거쳐서 통신하기 때문에, 게이트웨이가 해킹당하면 디바이스들도 쉽게 공격받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통신 거리가 짧을수록 보안 위험이 적어지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다음 괄호안에 들어갈 알맞은 용어는 무엇인가?

  1. 사물인터넷 디바이스
  2. 사물인터넷 네트워크
  3. 사물인터넷 애플리케이션
  4. 사물인터넷 플랫폼
(정답률: 77%)
  • 위 그림은 사물인터넷에서 디바이스, 네트워크, 애플리케이션, 그리고 이들을 연결하여 관리하는 플랫폼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따라서 이 그림에서는 "사물인터넷 플랫폼"이 알맞은 용어입니다. 사물인터넷 디바이스는 센서나 액추에이터 등의 기기를 말하며, 사물인터넷 네트워크는 이들 디바이스들을 연결하는 네트워크를 말합니다. 사물인터넷 애플리케이션은 이들 디바이스들로부터 수집된 데이터를 활용하여 유용한 기능을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을 말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사물인터넷 구성요소별 보안 위협의 종류 중 장치/센서와 관련된 보안 위협에 해당하는 것은?

  1. 복제 공격
  2. 데이터 위ㆍ변조
  3. 서비스 거부
  4. 프라이버시 침해
(정답률: 70%)
  • 복제 공격은 장치나 센서를 복제하여 불법적으로 접근하거나 제어하는 공격입니다. 이를 통해 해커는 해당 장치나 센서의 데이터를 수집하거나 조작할 수 있으며, 이를 이용해 다른 보안 위협을 가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장치나 센서의 보안 취약점을 이용한 복제 공격은 사물인터넷 보안에서 중요한 이슈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사물인터넷의 보안 공격의 유형 중 다음이 설명하고 있는 것은 무엇인가?

  1. 프라이버시 침해
  2. 서비스 거부
  3. 데이터 위ㆍ변조
  4. 비인가 접근
(정답률: 68%)
  • 이미지에서 보이는 것은 비인가 접근을 시도하는 해커의 모습이다. 따라서 정답은 "비인가 접근"이다. 비인가 접근은 사물인터넷 기기에 무단으로 접근하여 제어하거나 데이터를 탈취하는 공격이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강력한 인증 및 암호화 기술을 적용하고, 보안 업데이트를 지속적으로 수행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사물인터넷 플랫폼은 초기의 응용서비스 도메인 분야 별로 별도의 플랫폼을 구축하고 서비스를 추진하였으나 최근에는 기존의 서비스들 간의 융합서비스 확산 및 생태계 활성화를 위해 수평적 통합 플랫폼 구조를 지향하고 있다. 미래의 사물인터넷 플랫폼의 모습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개방형 구조기반 디바이스 및 서비스 연동
  2. 수평적 통합, 개방형 인프라구조
  3. 인터넷 기반 글로벌 규모
  4. 도메인 중심 생태계 형성
(정답률: 78%)
  • 도메인 중심 생태계 형성은 기존의 서비스들을 분리된 도메인으로 구축하고 운영하는 것이며, 이는 서로 다른 도메인 간의 융합 및 협업을 어렵게 만들어 사물인터넷 플랫폼의 발전을 제한할 수 있다. 따라서 미래의 사물인터넷 플랫폼은 도메인 중심 생태계 형성보다는 수평적 통합 플랫폼 구조를 지향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사물인터넷 플랫폼은 사물인터넷 서비스 구조상에서 사물과 서비스가 요구하는 공통기능을 제공함으로써 다양한 사업자들을 위한 서비스를 쉽게 개발할 수 있다. 서비스 개발자들을 위한 플랫폼의 기능들이 제공되는 인터페이스를 무엇이라고 하는가?

  1. XML
  2. HTTP
  3. SOAP
  4. API
(정답률: 72%)
  • API는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의 약자로, 서비스 개발자들이 플랫폼에서 제공하는 기능들을 활용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인터페이스를 말한다. 따라서 API는 서비스 개발자들이 플랫폼에서 제공하는 기능들을 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한다. XML, HTTP, SOAP은 모두 웹 서비스에서 사용되는 프로토콜이나 데이터 형식이지만, API는 이러한 프로토콜과 데이터 형식을 활용하여 서비스 개발자들이 플랫폼에서 제공하는 기능들을 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인터페이스를 말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사물인터넷 장치관리 기술 중 자원 제약적인 디바이스 (수십 KB RAM, 수백 KB 플래시메모리)를 관리하기 위한 목적으로 개발된 것은?

  1. BBF TR-069
  2. OMA LWM2M
  3. OMA DM
  4. BBF WT-131
(정답률: 69%)
  • OMA LWM2M은 작은 자원을 가진 디바이스를 관리하기 위한 경량화된 프로토콜로, 수십 KB RAM과 수백 KB 플래시 메모리를 가진 디바이스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자원 제약적인 디바이스를 관리하기 위한 목적으로 OMA LWM2M이 개발되었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사물인터넷에서 시맨틱 기술은 주로 물리적 환경에 존재하는 다양한 사물들 간의 상호연동을 하기 위하여 의미기반의 정보이해와 사물로부터 수집된 데이터의 의미를 분석하여 지능형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시맨틱 기술에서 리소스의 (웹 문서, 파일, 서비스 등) 관계-의미 정보를 처리할 수 있는 형태로 표현하는 기술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온톨로지
  2. 서비스 컴포지션
  3. 사물 가상화
  4. 객체 식별자
(정답률: 75%)
  • 온톨로지는 시맨틱 웹에서 리소스의 관계-의미 정보를 처리할 수 있는 형태로 표현하는 기술이다. 이를 통해 사물인터넷에서 다양한 사물들 간의 상호연동을 가능하게 하고, 데이터의 의미를 분석하여 지능형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정답은 "온톨로지"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다음 중 아래 내용에 해당하는 것은 무엇인가?

  1. NAT
  2. TCP
  3. 6LoWPAN
  4. NFC
(정답률: 84%)
  • 이 그림은 IoT(Internet of Things)에서 사용되는 프로토콜들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그 중에서도 6LoWPAN은 IPv6 over Low power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의 약자로, 저전력 무선 통신망에서 IPv6 프로토콜을 사용하기 위한 프로토콜입니다. 즉, IoT 기기들이 저전력 무선 통신망에서도 인터넷에 연결되기 위해 사용되는 프로토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다음 중 인터넷 서비스를 전제로 한 인터넷상의 통일된 정보 자원의 식별 체계는 무엇인가?

  1. OID (Object Identifier)
  2. MSISDN (Mobile Station International Subscriber Directory Number)
  3. URI (Uniform Resource Identifier)
  4. ISBN (International Standard Book Number)
(정답률: 76%)
  • URI는 인터넷 상의 자원을 식별하기 위한 통일된 체계로, 웹 페이지, 이미지, 동영상 등 모든 종류의 자원을 식별할 수 있다. 다른 보기들은 각각 다른 분야에서 사용되는 식별 체계이지만, URI는 인터넷 서비스를 전제로 한 자원 식별 체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다음 중 와이파이(Wi-Fi) 기술과 관련된 설명과 거리가 먼 것은?

  1. 와이파이는 이더넷이라 불리는 유선랜 기술을 무선화한 것이다.
  2. 와이파이와 관련된 구체적인 기술 스팩은 와이파이 얼라이언스(Wi-Fi Alliance)에서 정의하고 있다.
  3. ISM 대역인 2.4GHz, 5GHz 외에도 다른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는 와이파이 기술도 존재한다.
  4. 와이파이 기술은 채널폭이 20MHz 혹은 22MHz인 채널들을 5MHz 간격으로 배치한다.
(정답률: 66%)
  • "와이파이 기술은 채널폭이 20MHz 혹은 22MHz인 채널들을 5MHz 간격으로 배치한다."는 와이파이 기술과 관련된 설명과 거리가 먼 것입니다. 와이파이 기술에서 채널폭과 채널 간격은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지만, 이는 와이파이 얼라이언스에서 정의하는 구체적인 기술 스팩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다음 중 블루투스 기술과 관련된 설명과 거리가 먼 것은?

  1. 블루투스는 넓은 공간에 설치된 여러 장치들 사이의 통신을 제공할 목적으로 개발된 메시 네트워킹(Mesh Networking) 기술이다.
  2. 블루투스는 와이파이와 동일하게 2.4GHz ISM 대역을 이용한다.
  3. 블루투스 클래식이 79개의 1MHz 채널을 이용하는 반면, 블루투스 스마트는 40개의 2MHz 채널을 이용한다.
  4. 일반속성 프로파일(GATT)는 두 저전력 블루투스(BLE) 장치들 사이의 데이터 교환 방법을 정의하고 있다.
(정답률: 60%)
  • "블루투스는 넓은 공간에 설치된 여러 장치들 사이의 통신을 제공할 목적으로 개발된 메시 네트워킹(Mesh Networking) 기술이다." 이 설명은 블루투스와 관련이 있으며, 다른 보기들은 블루투스와 관련이 있다. 블루투스는 무선 기술 중 하나로, 주로 근거리 통신에 사용된다. 블루투스는 와이파이와 동일한 2.4GHz ISM 대역을 사용하며, 블루투스 클래식과 블루투스 스마트는 각각 다른 주파수 대역을 사용한다. 일반속성 프로파일(GATT)은 블루투스 저전력 장치들 간의 데이터 교환 방법을 정의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일정한 간격으로 정해진 신호를 방송하는 장치를 비콘(beacon)이라고 한다. 다음 중 사물인터넷에서 상시 전원이 필요 없고 50m 반경 내에서도 서비스를 구동 시킬 수가 있어 비콘용 통신기술로 가장 많이 사용 되는 것은?

  1. 와이파이 (Wi-Fi)
  2. 저전력 블루투스 (Bluetooth Low Energy)
  3. RFID와 NFC
  4. 지웨이브 (Z-Wave)
(정답률: 76%)
  • 저전력 블루투스는 이름 그대로 전력 소모가 적은 블루투스 기술로, 상시 전원이 필요 없고 50m 반경 내에서도 서비스를 구동할 수 있어 비콘용 통신기술로 가장 많이 사용됩니다. 이는 사물인터넷에서 많이 사용되는 이유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1. 다음 중 저전력 블루투스(BLE : Bluetooth Low Energy)에 대하여 설명할 때 맞지 않는 것은?

  1. BLE 단독으로 구현될 때의 브랜드 이름은 블루투스 스마트(Bluetooth Smart)이다
  2. 40개의 2MHz 채널을 사용한다.
  3. 전력소모를 줄이기 위해 신호 전달 거리는 훨씬 짧으나 패킷 크기는 블루투스 클래식과 동일하다.
  4. 애플의 아이비콘은 BLE를 적용한 것이다.
(정답률: 88%)
  • "전력소모를 줄이기 위해 신호 전달 거리는 훨씬 짧으나 패킷 크기는 블루투스 클래식과 동일하다." 이 설명이 맞지 않는 이유는 BLE은 패킷 크기를 줄이고 전송 주기를 늘리는 등의 방법으로 전력 소모를 줄이기 때문에, 블루투스 클래식과는 패킷 크기가 다릅니다. BLE은 주로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기기와의 연결에 사용되며, 전력 소모가 적은 것이 특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다음 중 RFID에 많이 적용되는 주파수와 거리가 먼 것은?

  1. 433MHz
  2. 2.4GHz
  3. 5GHz
  4. 13.56MHz
(정답률: 80%)
  • 정답은 "5GHz"이다. 이는 주로 Wi-Fi와 같은 무선 통신에 사용되는 주파수이며, 높은 주파수는 짧은 거리에서만 통신이 가능하다. 따라서 RFID와 같은 장거리 통신에는 적합하지 않다. 반면, 433MHz와 13.56MHz는 장거리 통신에 적합하며, 2.4GHz는 중거리 통신에 적합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다음 중 NFC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주파수대는 13.56MHz를 적용하였다.
  2. 100m 안의 원거리 통신 기술로 기존의 RFID와 달리 읽기와 쓰기가 모두 가능하다.
  3. NFC가 대중화 되는 중요한 사건 중의 하나는 안드로이드 OS 기반의 스마트폰에 NFC를 적용한 것이다.
  4. 피어 투 피어(Peer to Peer), 리더/라이터(Reader/Wirter), 카드 에뮬레이션(Card Emulation)의 3가지 모드가 있다.
(정답률: 77%)
  • 100m 안의 원거리 통신 기술로 기존의 RFID와 달리 읽기와 쓰기가 모두 가능하다. - NFC는 근거리 무선 통신 기술로, 최대 10cm까지만 통신이 가능하며, 읽기와 쓰기가 모두 가능하다. RFID와는 다른 기술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다음 중 아래 내용에 해당하는 것은 무엇인가?

  1. SOA (Service Oriented Architecture)
  2. REST (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
  3. OSI (Open Systems Interconnection)
  4. MDA (Model Driven Architecture)
(정답률: 70%)
  • 이미지에서 보이는 것은 REST 아키텍처의 구성요소인 HTTP 메소드(GET, POST, PUT, DELETE)와 URI(Uniform Resource Identifier)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REST (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다음 중 빅데이터 활용에 필요한 요소기술이 아닌 것은?

  1. 빅데이터 생성 기술
  2. 빅데이터 처리 기술
  3. 빅데이터 저장/관리 기술
  4. 빅데이터 분석 기술
(정답률: 79%)
  • 빅데이터 생성 기술은 이미 생성된 대규모 데이터를 다루는 기술이 아니라, 데이터를 생성하는 기술이기 때문에 빅데이터 활용에 필요한 요소기술이 아니다. 빅데이터 처리 기술은 대규모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술, 빅데이터 저장/관리 기술은 대규모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기술, 빅데이터 분석 기술은 대규모 데이터를 분석하는 기술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임의 구분

26. 다음 중 스마트 커넥티드 디바이스(Smart Connected Device)라 불리는 사물인터넷 디바이스들이 본격적으로 출시되게 된 계기에 해당하는 제품은?

  1. 데스크탑 PC
  2. 휴대용 노트북
  3.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ce)
  4. 스마트폰
(정답률: 87%)
  • 스마트폰은 모바일 인터넷과 무선 통신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인터넷에 연결되어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스마트 커넥티드 디바이스의 대표적인 제품으로 자리 잡았습니다. 따라서 스마트폰이 스마트 커넥티드 디바이스 출시의 계기가 되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다음 중 사물인터넷 플랫폼을 기반으로 사물에 대한 가상화를 통해서 손쉽게 사물기반의 서비스를 생성하고 다양한 데이터 표현 방식을 사용하더라도 상호 의미를 이해하며 지능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필요한 기능은 무엇인가?

  1. 시맨틱 (semantic)
  2. 커넥티비티 (connectivity)
  3. 프라이버시 (privacy)
  4. 디바이스 관리 (device management)
(정답률: 70%)
  • 사물인터넷 플랫폼에서는 다양한 데이터 표현 방식을 사용하게 되는데, 이러한 데이터들이 상호 의미를 이해하고 지능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시맨틱 기능이 필요합니다. 시맨틱은 데이터의 의미와 관련된 기능으로, 데이터 간의 관계를 이해하고 추론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따라서 시맨틱 기능을 통해 사물인터넷 플랫폼에서는 다양한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활용하여 지능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동일한 와이파이 공유기(Wi-Fi AP)에 여러 대의 노트북 이나 스마트폰을 연결하여 이용하면 통신 속도가 떨어진다. 다음 중 그 이유를 설명하는 것은?

  1. 동일 채널에 의한 간섭(Co-Channel Interference)
  2. 인접 채널에 의한 간섭(Adjacent-Channel Interference)
  3. 애드혹 모드 (Ad-Hoc Mode)
  4. MIMO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정답률: 81%)
  • 여러 대의 노트북이나 스마트폰이 동일한 채널을 사용하면, 각 기기가 서로의 신호를 방해하여 통신 속도가 떨어지는 현상이 발생한다. 이를 동일 채널에 의한 간섭(Co-Channel Interference)이라고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사물인터넷 서비스는 사람이나 사물, 공간과 같은 구체적인 객체나 프로세스 등과 같은 추상적인 객체가 만들어내는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다. 이러한 객체들은 기본적으로 자기 자신을 나타내는 고유한 ID 값을 갖고 있으며 자신과 관련된 혹은 자신을 둘러싸고 있는 다양한 환경 요인이나 위치, 시간, 혹은 자원 등과 관련된 다양한 값들을 부가적인 데이터로 제공하게 된다. 다음 중 이와 같은 물리적인 값들을 전기적인 신호로 만드는 장치는 무엇인가?

  1. 링크잇원 (Linkit One)
  2. 엑츄에이터 (Actuator)
  3. 센서 (Sensor)
  4.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정답률: 79%)
  • 센서는 물리적인 값들을 전기적인 신호로 만드는 장치이다. 예를 들어, 온도 센서는 주변 온도를 감지하여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물리적인 값들을 측정하고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 센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다음 중 OSHW(Open Source Hardware)의 목적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H/W의 설계 소스 결과물(회로도, 자재명세서, PCB 도면 등)만 무료로 공개한다
  2. H/W의 설계 소스 결과물(회로도, 자재명세서, PCB 도면 등)뿐 아니라 그 것을 목적에 맞게 구동하는 S/W(Firmware, 응용프로그램 등)의 설계 소스 결과물까지도 무료로 공개하는 것을 포함한다.
  3. H/W의 설계 소스 결과물(회로도, 자재명세서, PCB 도면 등)뿐 아니라 그것을 목적에 맞게 구동하는 S/W(Firmware, 응용프로그램 등)의 설계소스 결과물의 일부를 무료로 공개하는 것을 포함한다.
  4. H/W의 설계 소스 결과물(회로도, 자재명세서, PCB 도면 등)뿐 아니라 그것을 목적에 맞게 구동하는 S/W(Firmware, 응용프로그램 등)의 설계 소스 결과물까지도 유료화하는 것을 말한다.
(정답률: 81%)
  • 정답은 "H/W의 설계 소스 결과물(회로도, 자재명세서, PCB 도면 등)뿐 아니라 그 것을 목적에 맞게 구동하는 S/W(Firmware, 응용프로그램 등)의 설계 소스 결과물까지도 무료로 공개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다. OSHW의 목적은 하드웨어의 설계 소스를 공개하여 누구나 자유롭게 사용, 수정, 배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혁신적인 제품과 서비스를 만들어내는 것이다. 이에 따라 하드웨어의 설계 소스뿐 아니라 소프트웨어의 설계 소스도 무료로 공개하여 개발자들이 더욱 쉽게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결합하여 새로운 제품과 서비스를 만들 수 있도록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다음 중 2005년 이탈리아에서 탄생하여 널리 사용되는 오픈 소스 하드웨어 플랫폼 중의 하나로 Atmel사의 AVR이나 Cortex-M3를 탑재한 마이크로컨트롤러 보드로써 임베디드 시스템 개발 경험이 전혀 없는 사람들도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개발툴, 회로도 등 관련된 모든 내용을 오픈소스 형태로 제공하고 있는 사물인터넷 디바이스 하드웨어 플랫폼은 무엇인가?

  1. 블랙 이글 (Black Eagle)
  2. 아두이노 (Arduino)
  3. 라즈베리파이 (Raspberry Pi)
  4. 워터멜론 (Water Melon)
(정답률: 80%)
  • 아두이노는 오픈소스 하드웨어 플랫폼으로, 임베디드 시스템 개발 경험이 없는 사람들도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개발툴, 회로도 등 모든 내용을 오픈소스 형태로 제공합니다. 이탈리아에서 탄생하여 널리 사용되며, Atmel사의 AVR이나 Cortex-M3를 탑재한 마이크로컨트롤러 보드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아두이노 (Arduino)"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다음 중 사람 뇌파의 종류와 변화 패턴을 측정하여 사람의 의도를 파악할 수 있는 센싱 기술로 적합한 것은?

  1. BCI (Brain Computer Interface)
  2. 빅데이터 기술 (BigData Technology)
  3. 임베디드 기술 (Embedded Technology)
  4. 마이크로시스템 기술 (Micro-system Technology)
(정답률: 84%)
  • BCI (Brain Computer Interface)는 사람의 뇌파를 측정하여 의도를 파악하는 기술로, 뇌파의 종류와 변화 패턴을 분석하여 컴퓨터와 인터페이스하는 기술이다. 따라서 BCI가 다른 보기들과 달리 사람의 의도를 파악하는 센싱 기술로 적합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다음 중 아래 내용에 해당되는 것은 무엇인가?

  1. IPv4 (Internet Protocol version 4)
  2. IPv6 (Internet Protocol version 6)
  3. Wi-Fi (Wireless Fidelity)
  4.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정답률: 84%)
  • 이미지에서 보이는 주소가 IPv6 주소이기 때문에 정답은 "IPv6 (Internet Protocol version 6)"입니다. IPv6는 인터넷에서 사용되는 주소 체계 중 하나로, 기존의 IPv4 주소 체계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개발되었습니다. IPv6는 주소 공간이 더 크고 보안성이 높으며, 다양한 기기와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다음 중 소형, 저전력, 저비용, 저거리 무선통신을 지향하며 IEEE802.15.4 기반으로 사물인터넷 디바이스들 사이의 통신에 필요한 특수한 요구사항들을 고려하여 초기부터 꾸준히 발전되어 온 표준 기술은 무엇인가?

  1. 지그비 (Zigbee)
  2. 지웨이브 (Z-Wave)
  3. 블루투스 (Bluetooth)
  4. RFI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정답률: 71%)
  • 정답은 "지그비 (Zigbee)"입니다. 지그비는 소형, 저전력, 저비용, 저거리 무선통신을 지향하며 IEEE802.15.4 기반으로 사물인터넷 디바이스들 사이의 통신에 필요한 특수한 요구사항들을 고려하여 초기부터 꾸준히 발전되어 온 표준 기술입니다. 지웨이브는 주로 스마트홈 분야에서 사용되는 기술이며, 블루투스는 주로 스마트폰과 주변기기 간의 통신에 사용되는 기술입니다. RFID는 무선식별기술로, 물건이나 동물 등에 부착하여 인식하는 기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다음 중 빅데이터 분석 알고리즘 중 고객들의 구매결정, 해지, 소비율 등을 설명할 기준이 되는 명확한 가정이나 데이터가 있을 경우 이용하며, 군집화와 상반되는 것은?

  1. 연관규칙 학습
  2. 분류
  3. 감성분석
  4. 회귀분석
(정답률: 69%)
  • 분류는 명확한 가정이나 데이터를 기반으로 고객들을 여러 그룹으로 분류하고, 각 그룹의 특성을 파악하여 구매결정, 해지, 소비율 등을 예측하는 알고리즘이다. 이에 반해 군집화는 미리 정해진 기준이나 가정 없이 데이터의 유사성을 기반으로 그룹을 형성하는 알고리즘이다. 따라서 분류는 명확한 가정이나 데이터가 필요한 알고리즘이며, 군집화와 상반된다. 연관규칙 학습은 상품 간의 연관성을 파악하여 추천 시스템에 이용되며, 감성분석은 텍스트 데이터에서 긍정적인 또는 부정적인 감성을 분석하는 알고리즘이다. 회귀분석은 독립변수와 종속변수 간의 관계를 파악하여 예측하는 알고리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다음 중 전송지연과 패킷손실률이 높은 네트워크 환경에서 저사양의 하드웨어로 동작되는 센서 디바이스의 RESTful 웹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경량 프로토콜로 개발된 것은?

  1. HTTP (Hyper Text Transfer Protocol)
  2. CoAP (Constrained Application Protocol)
  3. MQTT (Message Queue Telemetry Transport)
  4. XMPP (Extensible Messaging and Presence Protocol)
(정답률: 74%)
  • CoAP는 전송지연과 패킷손실률이 높은 네트워크 환경에서도 작동 가능하며, 저사양의 하드웨어에서도 동작 가능한 경량 프로토콜이다. 따라서 센서 디바이스의 RESTful 웹서비스를 지원하기에 적합하다. HTTP는 무겁고 복잡한 프로토콜이므로 센서 디바이스에서는 부적합하다. MQTT와 XMPP는 메시지 지향 프로토콜로, RESTful 웹서비스를 지원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 따라서 정답은 CoAP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다음 중 미세가공기술을 이용하여 소형화된 기계나 전기기계 소자를 만드는데 사용되는 기술로 실리콘이나 수정, 유리 등을 가공해 초고밀도 집적회로나 머리카락 보다도 가는 기어 장치, 혹은 손톱 크기의 하드디스크 등 초미세 기계구조물을 만드는 기술은 무엇인가?

  1. 엑츄에이터 (Actuator)
  2. 글로나스 (GLONASS)
  3. MEMS (Micro Electro Mechanical Systems)
  4. 나노 (Nano)
(정답률: 79%)
  • MEMS는 미세가공기술을 이용하여 소형화된 기계나 전기기계 소자를 만드는 기술로, 실리콘이나 수정, 유리 등을 가공해 초고밀도 집적회로나 머리카락 보다도 가는 기어 장치, 혹은 손톱 크기의 하드디스크 등 초미세 기계구조물을 만드는 기술입니다. 따라서 MEMS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다음 중 빅데이터의 특성을 나타내는 3가지 키워드(3V)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데이터 양 (Volume)
  2. 다양성 (Variety)
  3. 속도 (Velocity)
  4. 인증 (Validity)
(정답률: 77%)
  • 인증 (Validity)은 빅데이터의 특성 중 하나가 아니며, 데이터의 정확성과 신뢰성을 보장하기 위한 과정이다. 따라서 인증은 데이터의 특성이 아니라 데이터의 품질을 보장하기 위한 과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다음 중 클라우드 서비스를 설명한 내용과 거리가 먼 것은?

  1. 다양한 단말과 데이터 동기화 서비스를 지원하는 스토리지 제공 서비스
  2. 사업자가 지정하는 고정적인 형태의 서비스
  3. 가상화된 서버/데스크탑 서비스
  4. 사용자별 환경의 간편 구성이 가능한 소프트웨어 제공 서비스
(정답률: 77%)
  • "사업자가 지정하는 고정적인 형태의 서비스"는 클라우드 서비스의 개념과 거리가 먼 내용입니다. 클라우드 서비스는 유연하고 변화에 적응할 수 있는 서비스를 의미하며,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유동적으로 제공됩니다. 따라서 "사업자가 지정하는 고정적인 형태의 서비스"는 클라우드 서비스의 개념과 맞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클라우드 컴퓨팅의 주요 기술 중 다음이 설명하고 있는 것은 무엇인가?

  1. 분산컴퓨팅
  2. 가상화
  3. 시스템 관리
  4. 플랫폼
(정답률: 73%)
  • 이미지에서 보이는 것은 클라우드 컴퓨팅의 가상화 기술을 나타내고, 이는 클라우드 컴퓨팅의 기본 기술 중 하나입니다. 가상화 기술은 물리적인 서버 자원을 가상화하여 가상 서버를 생성하고, 이를 통해 여러 대의 서버를 하나의 플랫폼으로 관리할 수 있게 해줍니다. 따라서 정답은 "플랫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1. 다음 중 클라우드 서비스에서 자원 활용 효율성 증대 및 사용자별 자원 할당 간편화를 위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호스트 컴퓨터에서 다수의 운영체제를 동시에 실행하기 위한 가상 플랫폼으로 가상 머신 모니터라고도 불리우는 것은?

  1. 프로비저닝 (Provisoning)
  2. 자원가상화 (Resource Virtualization)
  3. 하이퍼바이저 (Hypervisor)
  4. 와이기그 (WiGig)
(정답률: 74%)
  • 하이퍼바이저는 가상화 기술 중 하나로, 호스트 컴퓨터에서 다수의 운영체제를 동시에 실행하기 위한 가상 플랫폼입니다. 이를 통해 자원 활용 효율성을 증대하고 사용자별 자원 할당을 간편화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다음 중 클라우드 컴퓨팅을 구성함에 있어 기술 구성시 유의해야 할 사항이 아닌 것은?

  1. 사용자 가상 서버 및 서버 확장성 (Scalability)
  2. 시스템 가용성 (Availability)
  3. 부하관리에 따른 활용률 (Utilization)
  4. IT자원의 독립성 (Independency)
(정답률: 68%)
  • IT자원의 독립성은 클라우드 컴퓨팅에서 구성시 유의해야 할 사항이 아닙니다. 이는 클라우드 컴퓨팅의 핵심 가치 중 하나인 유연성과 관련이 있습니다. 클라우드 컴퓨팅은 사용자가 필요한 IT자원을 필요한 만큼 빠르게 확장하거나 축소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습니다. 이를 위해서는 IT자원의 독립성이 보장되어야 합니다. 즉, 사용자가 필요한 IT자원을 선택하고 구성할 수 있어야 하며, 이를 위해 클라우드 제공업체는 다양한 IT자원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IT자원의 독립성은 클라우드 컴퓨팅에서 구성시 유의해야 할 사항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다음 중 연결 중심의 사물인터넷 시대의 3가지 주요 변화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가벼운 연결
  2. 웹 중심의 플랫폼
  3. 대용량 데이터 트래픽
  4. 개방형 API
(정답률: 69%)
  • 대용량 데이터 트래픽은 다른 세 가지 변화와 달리 기존의 인터넷과는 다른 차원의 문제를 제기하며, 기존의 인프라와 기술적인 한계를 동시에 도전하고 있다. 사물인터넷 기기들이 생성하는 대량의 데이터를 처리하고 저장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기술과 인프라가 필요하며, 이는 대규모 투자와 기술적인 혁신이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다음 중 괄호안에 들어갈 수 있는 적절한 용어는 무엇인가?

  1. 제품의 회로도
  2. 사용자 매뉴얼
  3. API
  4. 홈페이지
(정답률: 87%)
  • 이미지에서 보이는 것은 프로그래밍 코드이며, 이 코드를 다른 프로그램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것이 API이다. 따라서 정답은 "API"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다음 중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자가 이용자의 요구하는 성능에 맞추어 가상화된 하드웨어를 구성 ㆍ 제공하는 서비스는 무엇인가?

  1. IaaS (Infrastructure as a Service)
  2. PaaS (Platform as a Service)
  3. LaaS (Location as a Service)
  4. SaaS (Software as a Service)
(정답률: 70%)
  • 정답은 "IaaS (Infrastructure as a Service)"입니다. IaaS는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자가 가상화된 하드웨어를 제공하여 이용자가 필요한 성능에 맞추어 인프라를 구성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서비스입니다. 이용자는 가상 서버, 스토리지, 네트워크 등을 필요에 따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용자는 인프라를 직접 구축하거나 유지보수할 필요 없이 필요한 성능을 제공받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IT시장조사 업체인 가트너(Gartner)는 매 년 새로운 기술의 현황 및 전망을 주기 곡선(Hype Cycle)에 표현하고 기술의 발전 단계를 5단계로 정의하는데 다음 중 5단계의 순서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태동기 → 거품기 → 각성기 → 재조명기 → 안정기
  2. 태동기 → 거품기 → 각성기 → 안정기 → 재조명기
  3. 태동기 → 각성기 → 거품기 → 안정기 → 재조명기
  4. 태동기 → 거품기 → 재조명기 → 각성기 → 안정기
(정답률: 67%)
  • 정답은 "태동기 → 거품기 → 각성기 → 재조명기 → 안정기"입니다.

    태동기에서는 새로운 기술이 처음 소개되고 관심을 받습니다. 거품기에서는 기술에 대한 과대평가와 과도한 투자가 일어납니다. 각성기에서는 실제로 유용한 기술들이 선별되고 적용되기 시작합니다. 재조명기에서는 기존 기술들이 다시 새롭게 조명되고 개선됩니다. 마지막으로 안정기에서는 기술이 성숙하게 발전하고 일상적으로 사용되는 수준에 이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다음 중 아래에서 설명하는 IT생태계의 건강성과 경쟁력을 측정하는 평가지표로 알맞은 것은?

  1. 생산성
  2. 혁신성
  3. 강건성
  4. 신시장 창출 능력
(정답률: 82%)
  • 위의 평가지표는 IT생태계의 건강성과 경쟁력을 측정하는 지표 중 하나인 "지속가능성 지수"이다. 이 지수는 IT산업이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발전할 수 있는 환경을 갖추고 있는지를 평가하는 지표이다. "강건성"은 이러한 지속가능성 지수를 높이기 위해 중요한 요소 중 하나로, IT시스템이 장애나 공격 등의 위험에도 견딜 수 있는 강한 내구성을 갖추고 있는지를 의미한다. 따라서 "강건성"은 IT생태계의 건강성과 경쟁력을 높이는 중요한 평가지표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다음 괄호안에 들어갈 알맞은 용어는 무엇인가?

  1. 디바이스 요소
  2. 미들웨어 운영
  3. 네트워크 운영
  4. 플랫폼 요소
(정답률: 68%)
  • 위 그림은 컴퓨터 시스템의 구성요소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이 중에서 네트워크 운영은 컴퓨터들 간의 연결과 통신을 관리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네트워크 운영은 다른 요소들과 함께 시스템을 구성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다음 중 비즈니스 모델을 설계하기 위해서 참조 할 모델로 거리가 먼 것은?

  1. TISSUE 모델(테크노 비즈니스 통합분석 모델)
  2. 균형성과관리(Balanced Score Card)
  3. 비즈니스 모델 캔버스
  4. 5-Force 모델
(정답률: 77%)
  • 균형성과관리(Balanced Score Card)는 비즈니스 모델을 설계하는 것이 아니라, 기업의 전략적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성과 측정 도구로 사용되는 모델이기 때문에 다른 모델들과는 목적과 적용 분야가 다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Michael E. Porter는 한 기업이 속해 있는 특정 산업의 경쟁 질서를 결정하는 다섯 가지 요인/힘에 대해 설명하였다. 다음 중 Michael E. Porter가 제시한 스마트, 커넥티드 제품의 세 가지 요소가 아닌 것은?

  1. 경쟁적 요소
  2. 물리적 요소
  3. 스마트 요소
  4. 연결성 요소
(정답률: 60%)
  • 정답: "물리적 요소"

    설명: Michael E. Porter가 제시한 다섯 가지 요인/힘은 경쟁적 요소, 공급자의 교섭력, 구매자의 교섭력, 대체 제품/서비스의 위협, 새로운 진입의 위협이다. 스마트, 커넥티드 제품의 세 가지 요소는 스마트 요소, 연결성 요소, 경쟁적 요소이다. 경쟁적 요소는 산업 내 경쟁 구도를 결정하는 요소로, 경쟁사들 간의 경쟁력, 시장 점유율, 가격 경쟁 등이 해당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