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oT지식능력검정 필기 기출문제복원 (2020-11-15)

IoT지식능력검정
(2020-11-15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임의 구분

1. 아래 내용이 설명하는 것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모비우스 (Mobius)
  2. 메시 네트워크 (Mesh Network)
  3.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4. RFI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정답률: 76%)
  • 위 그림은 메시 네트워크 (Mesh Network)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메시 네트워크는 여러 개의 노드들이 서로 연결되어 있는 네트워크로, 각 노드들은 서로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구조는 중앙 서버가 없어도 노드들끼리 통신이 가능하며, 노드들이 추가되거나 제거되어도 네트워크가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 메시 네트워크는 재해 발생 시 통신망이 끊어진 지역에서도 통신이 가능하며, 인터넷이나 전화망이 불안정한 지역에서도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사물인터넷 응용서비스 분야 중, 웰니스(Wellness)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건강한 상태의 유지
  2. 웰빙(Well-Being)과 행복(Happiness)이 합쳐진 단어
  3. 질병이나 질환의 치료만을 위한 행위
  4. 균형 잡힌 건강하고 행복한 삶의 추구
(정답률: 78%)
  • "질병이나 질환의 치료만을 위한 행위"는 웰니스와는 거리가 먼 것입니다. 웰니스는 건강한 상태의 유지와 균형 잡힌 건강하고 행복한 삶의 추구를 포함하는 개념이며, 질병이나 질환의 치료만을 위한 행위는 웰니스와는 별개의 의료적인 개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oneM2M 기능 아키텍처의 엔티티 중, 단대단(Endto-End) 사물인터넷 솔루션을 위한 서비스 로직을 제공하는 엔티티는?

  1. AE (애플리케이션 엔티티)
  2. CSE (공통 서비스 엔티티)
  3. NSE (네트워크 서비스 엔티티)
  4. NDE (노드 디바이스 엔티티)
(정답률: 61%)
  • AE (애플리케이션 엔티티)는 oneM2M 기능 아키텍처에서 단대단(End-to-End) 사물인터넷 솔루션을 위한 서비스 로직을 제공하는 엔티티입니다. 즉, AE는 사물인터넷 디바이스나 애플리케이션과 같은 최종 사용자와 직접 상호작용하는 역할을 합니다. AE는 oneM2M 플랫폼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활용하여 최종 사용자에게 다양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사물인터넷 플랫폼 사례로, 블루투스나 와이파이로 연결된 가전제품을 애플의 운영체제인 iOS 8에 통합시켜 스마트플러그, 스위치, 가전 등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플랫폼은?

  1. HomeKit
  2. Xively
  3. EVRYTHING
  4. ThingSpeak
(정답률: 75%)
  • HomeKit은 애플의 운영체제인 iOS 8에서 가전제품을 제어할 수 있는 플랫폼으로, 블루투스나 와이파이로 연결된 가전제품을 통합하여 스마트플러그, 스위치, 가전 등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지능정보기술의 특징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사물의 데이터화
  2. 실시간 반응
  3. 자율 기계학습
  4. 수동 의사결정
(정답률: 78%)
  • 수동 의사결정은 인간의 개입이 필요한 것으로, 인공지능이 자동으로 판단하거나 결정하는 것과는 거리가 먼 특징이다. 다른 세 가지 특징은 모두 인공지능이 갖추어야 할 요소들이다. 사물의 데이터화는 인공지능이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할 수 있어야 하며, 실시간 반응은 인공지능이 빠르게 대응할 수 있어야 하며, 자율 기계학습은 인공지능이 스스로 학습하고 발전할 수 있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아래의 설명에 해당하는 표준은?

  1. 공식적 표준
  2. 사실상 표준
  3. 포럼 표준
  4. 컨소시엄 표준
(정답률: 68%)
  • 이미지에서 보이는 것은 "웹 색상"을 나타내는 RGB 값과 해당 색상의 이름을 정의한 것으로, 이는 "사실상 표준"이다. 이는 웹 디자인에서 많이 사용되며, 대부분의 브라우저와 그래픽 소프트웨어에서 지원되기 때문이다. 하지만 공식적으로 표준화된 것은 아니며, 포럼이나 컨소시엄에서 제안된 것도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사물인터넷 플랫폼의 가장 기본이 되는 기능은 사물 및 서비스와의 연결성을 보장해주기 위한 커넥티비티 제공이다. 이러한 커넥티비티 서비스와 관련이 없는 기능은?

  1. 리소스 관리 기능
  2. 서비스 관리 기능
  3. 디스커버리 기능
  4. 요금 부과 기능
(정답률: 78%)
  • 요금 부과 기능은 사물인터넷 플랫폼의 가장 기본이 되는 기능인 커넥티비티 제공과는 관련이 없는 기능이다. 사물인터넷 플랫폼은 사물과 서비스를 연결하고 관리하는 기능을 제공하는데, 이를 위해 리소스 관리, 서비스 관리, 디스커버리 기능 등이 필요하다. 따라서 요금 부과 기능은 사물인터넷 플랫폼의 가장 기본이 되는 기능과는 관련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RFID/USN/M2M과 비교하여, 사물인터넷의 발전 방향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디바이스의 형태 : 센서 중심에서 데이터와 프로세스 등을 포함한 Virtual Thing으로 확대됨
  2. 서비스 적응성 : 즉시적 스마트 서비스 제공에서 통시적 서비스 제공으로 발전함
  3. 서비스 관리 규모 : 수천만 개의 사물에서 수백억 개 이상의 사물로 확대됨
  4. 서비스 플랫폼 : 모니터링 정보 처리에서 의미 기반 모니터링 및 자율 제어로 발전함
(정답률: 70%)
  • 서비스 적응성이 가장 거리가 먼 이유는, 다른 보기들은 사물인터넷의 발전 방향에 대한 기술적인 측면을 다루고 있지만, 서비스 적응성은 비즈니스적인 측면을 다루고 있기 때문입니다. 즉, 사물인터넷이 발전하면서 서비스 제공 방식도 변화하게 되는데, 초기에는 즉시적인 스마트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중요했지만, 이제는 통시적인 서비스 제공이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고객의 요구사항이 변화하고, 기업들이 더 많은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하여 더 나은 서비스를 제공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사물인터넷 오픈소스 하드웨어 디바이스 플랫폼 중의 하나인 라즈베리파이(Raspberry Pi)에서 공식 지원하는 운영체제는?

  1. Centos
  2. Debian
  3. RHEL
  4. Ubuntu
(정답률: 66%)
  • 라즈베리파이에서 공식 지원하는 운영체제는 Debian입니다. 이는 라즈베리파이 재단에서 Debian을 기반으로 한 Raspbian OS를 개발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Raspbian은 라즈베리파이의 하드웨어와 최적화된 운영체제로, 라즈베리파이를 사용하는 개발자들이나 학생들에게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사물인터넷 표준화기구 중, oneM2M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플랫폼이 제공하는 기능을 공통서비스 기능(CSF, Common Service Function)으로 정의하였다.
  2. 다양한 인더스트리 사물인터넷 플랫폼 및 네트워크 연동에 주목적을 두었다.
  3. 보다 높은 디바이스 및 애플리케이션의 호환성을 보장하기 위해 우선적으로 산업용 디바이스에 대한 데이터 모델을 정의한다.
  4. 프로토콜 바인딩은 동시 송수신(Full-duplex)을 지원하는 Websocket이 추가되었다.
(정답률: 58%)
  • 보다 높은 디바이스 및 애플리케이션의 호환성을 보장하기 위해 우선적으로 산업용 디바이스에 대한 데이터 모델을 정의한다. - 이유: 산업용 디바이스는 다양한 종류와 모델이 존재하며, 이들 간의 호환성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표준화된 데이터 모델이 필요하다. 이를 우선적으로 정의함으로써 다양한 디바이스와 애플리케이션 간의 상호운용성을 높일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사물인터넷 응용서비스 분야 중, 스마트 시티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스마트 가로등이나 스마트 빌딩 등 개별적인 분야에서만 스마트화 및 효율화를 달성하고자 함
  2. 스마트 시티의 적용 분야는 교통, 에너지, 환경안전 등과 같이 다양한 분야가 있음
  3. 일반적으로 스마트 시티를 구현하는 단계는 우선기반 시설을 조성하고, 일부 지역에 시범적으로 적용을 하고나서, 성공사례와 모델을 전 도시에 적용하는 과정을 거침
  4. 도시 내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문제들을 첨단 정보통신기술을 이용해 거시적인 관점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노력의 집합체임
(정답률: 74%)
  • "스마트 가로등이나 스마트 빌딩 등 개별적인 분야에서만 스마트화 및 효율화를 달성하고자 함"은 스마트 시티의 전반적인 분야에 대한 적용이 아닌, 일부 개별적인 분야에서만 스마트화 및 효율화를 추구하고자 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다시 말해, 스마트 시티는 교통, 에너지, 환경안전 등 다양한 분야에서 발생하는 문제를 첨단 정보통신기술을 이용해 거시적인 관점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노력의 집합체이지만, 이 중에서 일부 개별적인 분야에서만 스마트화 및 효율화를 추구하고자 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아래의 설명에 해당하는 사물인터넷 아키텍처 프레임 워크는?

  1. IoTivity
  2. Thread
  3. AllJoyn
  4. API
(정답률: 64%)
  • 위의 사물인터넷 아키텍처 프레임워크는 "AllJoyn"이다. "IoTivity"는 다른 사물인터넷 아키텍처 프레임워크 중 하나로, "AllJoyn"과 유사한 역할을 하지만 다른 기술적 특징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IoTivity"는 이 문제와 관련이 없다. "Thread"와 "API"는 사물인터넷 기술과 관련이 있지만, 아키텍처 프레임워크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아래의 내용은 무엇에 대한 설명인가?

  1. 클라이언트-서버 방식
  2. OMA(Open Mobile Alliance) DM(Device Management) 기술
  3. Service Choreography 기술
  4. P2P(Peer-to-Peer) 방식
(정답률: 58%)
  • 이미지에서 보이는 네트워크 구성은 P2P(Peer-to-Peer) 방식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이다. P2P 방식은 중앙 서버 없이 각각의 컴퓨터가 서로 직접 연결되어 데이터를 주고받는 방식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아래의 내용은 사물인터넷 플랫폼 기술 중, 어떤 기술을 설명한 것인가?

  1. 식별체계 기술
  2. 검색 기술
  3. 서비스 컴포지션 기술
  4. 시맨틱 기술
(정답률: 53%)
  • 위 그림은 검색 기술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검색 기술은 사물인터넷에서 수많은 디바이스들이 생성하는 데이터를 수집하고, 이를 분석하여 원하는 정보를 검색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기술입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원하는 정보를 빠르고 정확하게 찾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사물인터넷 플랫폼 기술 중, '장치관리 기술'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디바이스의 고장 진단 및 모니터링 등을 할 수 있게 한다.
  2. 물리적 환경에 존재하는 사물의 정보를 플랫폼이나 디바이스에 표현한다.
  3. 추상화된 형태로 리소스를 생성한다.
  4. 가상화된 리소스를 서비스와 연결하거나 매쉬업(mashup) 서비스를 구성할 수 있게 한다.
(정답률: 57%)
  • 장치관리 기술은 디바이스의 고장 진단 및 모니터링 등을 할 수 있게 한다. 이는 디바이스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문제가 발생하면 즉시 대응할 수 있도록 해주는 기술이다. 이를 통해 디바이스의 안정성과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의 필수 구성 요소로 옳지 않은 것은?

  1. 리더 (Reader)
  2. 태그 (Tag)
  3. 미들웨어 (Middleware)
  4. 게이트웨이 (Gateway)
(정답률: 70%)
  • RFID 시스템에서 게이트웨이는 필수 구성 요소가 아닙니다. 리더는 RFID 태그에서 정보를 읽고 쓰는 역할을 하며, 태그는 RFID 칩과 안테나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미들웨어는 리더와 기업의 정보 시스템 간의 통신을 관리합니다. 게이트웨이는 다른 네트워크와 RFID 시스템 간의 통신을 관리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게이트웨이는 필수 구성 요소가 아니며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와이파이(Wi-Fi)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와이파이는 Wireless Fidelity의 약자이다.
  2. 와이파이는 이더넷이라 불리는 유선랜을 무선화하였다는 의미에서 무선랜(Wireless LAN)이라고도 한다.
  3. 와이파이는 IEEE의 상표명이다.
  4. 와이파이의 구체적인 기술 스펙은 IEEE 802.11산하의 다양한 표준에서 정의하고 있다.
(정답률: 72%)
  • 와이파이는 IEEE의 상표명이 아니라, IEEE 802.11 산하의 다양한 표준에서 정의된 구체적인 기술 스펙을 가진 무선 통신 기술이다. 따라서 "와이파이는 IEEE의 상표명이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블루투스(Bluetooth) 기술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블루투스 기술 구현을 위한 허브앤스포크(hub-and-spoke) 네트워크 기술은 메시 네트워크(mesh network) 기술을 의미한다.
  2. 블루투스 기술은 IPv6를 지원한다.
  3. 블루투스 기술은 128bit AFS 암호화 기술을 지원한다.
  4. 블루투스 기술은 ISM 대역을 지원한다.
(정답률: 59%)
  • "블루투스 기술 구현을 위한 허브앤스포크(hub-and-spoke) 네트워크 기술은 메시 네트워크(mesh network) 기술을 의미한다." 이것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블루투스 기술은 허브앤스포크 네트워크 기술을 사용하여 구현됩니다. 메시 네트워크 기술은 블루투스 메시 네트워크 프로토콜(BLE Mesh Network Protocol)을 사용하여 구현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ZigBee 네트워크 구성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ZigBee 코디네이터(Coordinator)
  2. ZigBee 백본(Backbone)
  3. ZigBee 종단 장치(End Device)
  4. ZigBee 라우터(Router)
(정답률: 61%)
  • ZigBee 백본(Backbone)은 ZigBee 네트워크에서 사용되지 않는 용어입니다. 따라서, 옳지 않은 것은 "ZigBee 백본(Backbone)"입니다. ZigBee 네트워크는 ZigBee 코디네이터(Coordinator), ZigBee 종단 장치(End Device), ZigBee 라우터(Router)로 구성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RFID 주파수 대역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135kHz 이하 대역 : 수동형 RFID 대역으로 이력관리, 보안, 동물관리 분야에서 활용
  2. 13.56MHz 대역 : 수동형 RFID 대역으로 교통카드,도서관리, 재고관리 분야에서 활용
  3. 433MHz 대역 : 수동형 RFID 대역으로 유통, 물류관련 분야에서 활용
  4. 2.45GHz 대역 : 수동형 및 능동형 RFID 대역으로 여권 및 ID 카드 분야에서 활용
(정답률: 59%)
  • "433MHz 대역 : 수동형 RFID 대역으로 유통, 물류관련 분야에서 활용"이 옳지 않은 설명이다. 433MHz 대역은 능동형 RFID 대역으로도 활용되며, 물류뿐만 아니라 자동차 키, 출입통제 시스템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1. 아래 내용이 설명하는 것은?

  1. 6LoWPAN
  2. ZigBee
  3. Wi-Fi
  4. IPv4
(정답률: 60%)
  • 위 그림은 IoT 기기들이 서로 통신하기 위해 사용하는 프로토콜들을 나타내고 있다. 이 중에서 IPv4는 인터넷에서 사용되는 프로토콜이며, Wi-Fi는 무선 인터넷을 제공하는 기술이다. ZigBee는 저전력 무선 통신 기술로 주로 스마트 홈 기기에서 사용되며, 6LoWPAN은 IPv6를 이용하여 ZigBee와 같은 저전력 무선 통신 기술에서도 인터넷 프로토콜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다. 따라서, IoT 기기들이 저전력 무선 통신을 사용하면서도 인터넷 프로토콜을 사용해야 할 때 6LoWPAN을 사용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정답은 "6LoWPAN"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아래 내용에 해당하는 ZigBee 통신기술은?

  1. ZigBee Pro
  2. ZigBee IP
  3. ZigBee TCP
  4. ZigBee RF4CE
(정답률: 65%)
  • 위 그림은 IPv6 기반의 네트워크에서 ZigBee IP를 사용하는 것을 보여줍니다. 따라서 정답은 "ZigBee IP"입니다. ZigBee Pro는 저전력 무선 통신 기술로서, ZigBee IP와는 다른 프로토콜을 사용합니다. ZigBee TCP는 존재하지 않는 기술입니다. ZigBee RF4CE는 리모컨 등의 제어용으로 사용되는 ZigBee 기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아래 내용에 해당하는 와이파이(Wi-Fi) 표준은?

  1. IEEE 802.11ac
  2. IEEE 802.11ad
  3. IEEE 802.11g
  4. IEEE 802.11n
(정답률: 56%)
  • 이미지에서 보이는 주파수 대역은 60GHz 이상이므로, 이에 대응하는 와이파이 표준은 IEEE 802.11ad 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이 주파수 대역을 지원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아래 내용이 설명하는 사물인터넷 근거리 통신 기술은?

  1. Z-Wave
  2. UWB (Ultra WideBand)
  3. WirelessHART
  4.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정답률: 62%)
  • 위 그림은 Z-Wave 기술을 사용한 스마트홈 제품들의 상호작용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Z-Wave는 저전력 무선 통신 기술로, 스마트홈 제품들 간의 통신에 많이 사용됩니다. 또한, Z-Wave는 다른 근거리 통신 기술에 비해 더 넓은 범위의 주파수 대역폭을 사용하여 더 많은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위 그림에서 보여지는 스마트홈 제품들의 상호작용은 Z-Wave 기술을 사용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아래 내용이 설명하는 사물인터넷 전용망 통신 기술은?

  1. LoRa
  2. SigFox
  3. LTE-M
  4. NB-IoT
(정답률: 61%)
  • 위 그림은 NB-IoT의 통신 기술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NB-IoT는 Narrowband IoT의 약자로, 좁은 대역폭을 사용하여 대량의 IoT 디바이스들이 저전력으로 통신할 수 있는 기술입니다. 따라서 위 그림에서 보이는 것처럼, NB-IoT는 기존의 LTE망을 활용하여 IoT 전용망을 구축할 수 있습니다. 이와 달리 LoRa와 SigFox는 전용망을 구축해야 하고, LTE-M은 대역폭이 넓어서 전력 소모가 크며, NB-IoT보다는 덜 보급된 기술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NB-IoT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임의 구분

26. 아두이노(Arduino)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물리적인 하드웨어 인터페이스, 통합 개발 환경,스케치, 확장보드 등이 어우러져 사용자에게 친숙한 환경을 제공하고 있으며, 유사 제품들 까지도 이들을 따르게 하는 생태계를 만들어냈다.
  2. IoT 디바이스의 OSHW 분야에서 ARM 기반의 칩이 시장을 장악하는 것에 대응하기 위해 출시되었으며, Linux를 기본 OS로 수용하고 있다.
  3. 버튼 등 더 작은 웨어러블 기기에 적용하기 위한 디바이스 플랫폼으로, 가방, 팔찌, 단추 등 실질적인 의류나 악세서리로의 적용을 고려한다.
  4. 각종 기능을 SoC화 하거나 모듈화 하여 전력이나 비용을 절감하는 전략으로 발전하고 있다.
(정답률: 50%)
  • 아두이노는 물리적인 하드웨어 인터페이스, 통합 개발 환경, 스케치, 확장보드 등이 어우러져 사용자에게 친숙한 환경을 제공하고 있으며, 유사 제품들 까지도 이들을 따르게 하는 생태계를 만들어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사물인터넷 응용계층 프로토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HTTP : 웹상에서 데이터를 주고받기 위한 프로토콜로 서버/클라이언트 모델을 따른다.
  2. MQTT : 한정된 자원을 가진 소형 디바이스나 낮은 대역폭의 시스템에 최적화된 경량화 메시지 프로토콜이다.
  3. CoAP : 전송지연과 데이터 손실이 발생하는 네트워크 환경에서 사용되며 TCP 프로토콜 위에서 동작한다.
  4. XMPP : XML에 기반한 메시지 지향 통신 프로토콜로서 인스턴트 메시지 프로토콜로 표준화되었다.
(정답률: 57%)
  • CoAP는 TCP 프로토콜 위에서 동작하는 것이 아니라 UDP 프로토콜 위에서 동작한다. 따라서 "CoAP : 전송지연과 데이터 손실이 발생하는 네트워크 환경에서 사용되며 TCP 프로토콜 위에서 동작한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사물인터넷 디바이스 H/W 플랫폼 중, 아래 내용이 설명하는 것은?

  1. OSHW 칩 벤더
  2. 라즈베리파이 (Raspberry Pi)
  3. 링크잇원 (Linkit One)
  4. 에디슨 (Edison)
(정답률: 68%)
  • 위 그림은 라즈베리파이의 외형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라즈베리파이는 저렴한 가격으로 구매할 수 있는 오픈소스 하드웨어 플랫폼으로, 리눅스 기반의 운영체제를 지원합니다. 이를 이용하여 다양한 사물인터넷 디바이스를 개발할 수 있습니다. 또한 GPIO (General Purpose Input/Output) 핀을 제공하여 다양한 센서와 액추에이터를 연결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사물인터넷 분야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H/W 플랫폼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아래 내용에 해당하는 센서는?

  1. 근접(Proximity) 센서
  2. 기압(Pressure) 센서
  3. 자이로(Gyro) 센서
  4. 지자기(Magnetic Field) 센서
(정답률: 71%)
  • 이 센서는 회전 각도를 측정하는 센서로, 자이로(Gyro) 센서입니다. 이는 센서 내부의 질량이 회전할 때 발생하는 코리올리력을 이용하여 회전 각도를 측정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오픈소스 하드웨어(OSHW) 관련 자료 중, 누구나 이와 동일하거나 보다 향상된 제품을 개발할 수 있도록 공개하는 자료로 옳지 않은 것은?

  1. 펌웨어 (Firmware)
  2. 자재명세서 (Bill of Materials)
  3. PCB 도면 (Printed Circuit Board)
  4. MEMS (Micro Electro Mechanical Systems)
(정답률: 56%)
  • MEMS는 하드웨어 기술 중 하나로, 다른 보기들은 OSHW 관련 자료 중 누구나 이와 동일하거나 보다 향상된 제품을 개발할 수 있도록 공개하는 자료이지만, MEMS는 개발자들이 직접 개발하거나 구매해야 하는 하드웨어 기술이므로 옳지 않은 보기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아래 내용이 설명하는 사물인터넷 디바이스 S/W 플랫폼은?

  1. 리눅스 (Linux)
  2. 콘티키 (Contiki)
  3. mbed OS
  4. IoTivity
(정답률: 57%)
  • 위 그림은 ARM사의 mbed OS를 사용한 사물인터넷 디바이스의 예시이다. mbed OS는 ARM 아키텍처 기반의 마이크로컨트롤러를 위한 오픈소스 운영체제로, 저전력 디바이스에서도 안정적인 동작을 보장하며, 개발자들이 쉽게 사용할 수 있는 API와 개발도구를 제공한다. 따라서 위 그림에서 보이는 디바이스가 mbed OS를 사용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아래 내용이 설명하는 사물인터넷 보안과 관련된 공격 유형은?

  1. 부채널 공격
  2. 비인가 접근
  3. 서비스 거부 공격
  4. 메모리 공격
(정답률: 67%)
  • 위 그림은 비인가 접근 공격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이는 해커가 인터넷을 통해 사물인터넷 기기에 접근하여 불법적으로 제어하거나 정보를 탈취하는 공격입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강력한 암호화와 접근 제어 등의 보안 기술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사물인터넷 응용계층 프로토콜인 CoAP의 메시지 타입이 아닌 것은?

  1. CON
  2. NON
  3. ACK
  4. UDP
(정답률: 61%)
  • UDP는 CoAP의 메시지 타입이 아니라 전송 계층 프로토콜이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CoAP의 메시지 타입은 CON, NON, ACK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IoTivity의 특징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OCF(Open Connectivity Foundation)에서 공개한 표준에 기반한 사물인터넷 오픈소스 기술이다.
  2. 멀티 플랫폼을 지원하기 위한 JVM 위에서 동작하도록 구현되어 있어서 Windows, Linux, iOS를 지원한다.
  3. 고사양 기기를 위한 프레임워크와 저사양 기기를 위한 프레임워크 모두를 지원한다.
  4. 최신 사물인터넷 기술을 지속적으로 확대 적용하며, 라즈베리파이(Raspberry Pi), 에디슨(Edison) 등 다양한 오픈소스 하드웨어를 지원한다.
(정답률: 47%)
  • IoTivity의 특징 중에서 멀티 플랫폼을 지원하기 위한 JVM 위에서 동작하도록 구현되어 있어서 Windows, Linux, iOS를 지원한다는 것이 가장 거리가 먼 특징이다. 이는 IoTivity가 Java Virtual Machine(JVM) 위에서 동작하도록 구현되어 있어서 다양한 운영체제에서 동작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다른 특징들은 OCF에서 공개한 표준에 기반한 사물인터넷 오픈소스 기술이며, 고사양 기기와 저사양 기기를 모두 지원하며, 최신 사물인터넷 기술을 지속적으로 확대 적용하며, 다양한 오픈소스 하드웨어를 지원한다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사물인터넷 공통보안 7대 원칙 중, '사물인터넷 장치 및 서비스 운영/관리/폐기 단계'의 보안 요구 사항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사물인터넷 제품 및 서비스의 취약점 보안패치 및 업데이트 지속 이행
  2. 안전한 초기 보안 설정 방안 제공
  3. 안전한 운영 및 관리를 위한 정보보호 및 프라이버시 관리체계 마련
  4. 사물인터넷 보안 침해사고 대응체계 및 책임추적성 확보 방안 마련
(정답률: 60%)
  • 안전한 초기 보안 설정 방안 제공이 가장 거리가 먼 이유는 다른 보안 요구 사항들은 사물인터넷 장치 및 서비스가 운영되는 과정에서 필요한 보안 요구 사항들이지만, 초기 보안 설정은 제품이나 서비스를 처음 구매하거나 사용할 때 필요한 보안 요구 사항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초기 보안 설정은 제품이나 서비스를 운영하면서 필요한 보안 요구 사항들과는 별개로 고려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기존의 센서와 비교하여, '스마트 센서'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측정대상의 검출만을 위한 검출기로 정의된다.
  2. 복합기능 요소로 인하여 고전력에서 구동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3. 마이크로프로세서와 통신기능은 포함되어 있지 않다.
  4. 센싱소자와 신호처리가 결합하여 데이터 처리, 자동보정 및 진단 등의 의사결정 기능을 수행한다.
(정답률: 58%)
  • 스마트 센서는 센싱소자와 신호처리가 결합하여 데이터 처리, 자동보정 및 진단 등의 의사결정 기능을 수행한다. 이는 기존의 센서와는 달리 더욱 정확하고 신뢰성 높은 측정 결과를 제공할 수 있으며, 자동화 및 IoT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아래 내용에서 괄호 안에 공통으로 들어갈 용어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소프트웨어 서비스 검증
  2. 시큐어 코딩
  3. 시큐어 하드웨어 장치 활용
  4. 소프트웨어 보안 기술과 하드웨어 보안 기술 융합
(정답률: 64%)
  • 위 그림은 보안에 대한 내용을 다루고 있으며, 보안에 대한 대응책으로 "시큐어 코딩"이 가장 적합한 용어이다. "소프트웨어 서비스 검증"은 보안 검증의 일환으로 이루어지는 작업이며, "시큐어 하드웨어 장치 활용"은 하드웨어적인 보안 대책을 이야기하는 것이다. "소프트웨어 보안 기술과 하드웨어 보안 기술 융합"은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를 함께 사용하여 보안을 강화하는 방법을 이야기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빅데이터를 다루기 위한 오픈소스 소프트웨어인 '하둡(Hadoop)의 구성요소'를 옳게 고른 것은?

  1. (가), (나)
  2. (가), (라)
  3. (나), (라)
  4. (다), (라)
(정답률: 64%)
  • 정답은 "(가), (라)"이다.

    - (가) HDFS(Hadoop Distributed File System): 분산 파일 시스템으로, 대용량 데이터를 분산 저장하고 처리할 수 있도록 해준다.
    - (라) MapReduce: 분산 데이터 처리를 위한 프로그래밍 모델로, 데이터를 분산 처리하고 결과를 모아서 분석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아래 내용에 해당하는 분석에 가장 적합한 빅데이터 분석 기법은?

  1. 군집분석 (Clustering Analysis)
  2. 회귀분석 (Regression Analysis)
  3. 상관분석 (Correlation Analysis)
  4. 연관규칙분석 (Association Rule Analysis)
(정답률: 62%)
  • 이미지에서 보이는 상품들의 판매 데이터를 분석하고, 상품 간의 연관성을 파악하여 고객들에게 추천 상품을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므로, 연관규칙분석 (Association Rule Analysis) 기법이 가장 적합하다. 이 기법은 데이터에서 항목 간의 연관성을 찾아내는 분석 기법으로, 상품 간의 연관성을 파악하여 고객들에게 추천 상품을 제공하는 데 활용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아래 내용에 해당하는 자율 기계학습 유형은?

  1. 지도학습 (Supervised Learning)
  2. 비지도학습 (Unsupervised Learning)
  3. 반지도학습 (Semi-Supervised Learning)
  4. 강화학습 (Reinforcement Learning)
(정답률: 49%)
  • 위 그림은 에이전트가 환경과 상호작용하며 보상을 최대화하는 방향으로 학습하는 강화학습의 예시입니다. 강화학습은 보상을 통해 학습하는 방식으로, 에이전트가 특정 상태에서 어떤 행동을 취하면 그에 따른 보상이 주어지고, 이 보상을 최대화하는 방향으로 학습합니다. 따라서 위 그림에서는 에이전트가 미로를 탈출하기 위해 어떤 경로를 선택해야 하는지를 학습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1. 사물인터넷 아키텍처 중, oneM2M 레퍼런스 아키텍처 모델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노드 : 장치노드들과 네트워크 인프라스트럭처 노드를 연결해 주는 사물인터넷 게이트웨이
  2. 애플리케이션 전용 노드 : 애플리케이션 뿐만 아니라 공통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물인터넷 장치
  3. 중간 노드 : 네트워크 인프라스트럭처에 위치해 사물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해주는 사물인터넷 서버
  4. NoDN : 관리 등을 포함하여 상호 연동할 목적을 위해 oneM2M 시스템에 붙어있는 노드
(정답률: 39%)
  • oneM2M 레퍼런스 아키텍처 모델에서 NoDN은 oneM2M 시스템에 붙어있는 노드로, 관리 등을 포함하여 상호 연동할 목적을 위해 사용됩니다. 이는 다른 노드들과의 상호작용을 위한 인터페이스 역할을 하며, oneM2M 시스템의 기능을 보완하고 확장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NoDN은 oneM2M 시스템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노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아래 내용이 설명하는 클라우드 기술은?

  1. 가상화
  2. 분산컴퓨팅
  3. 프로비저닝
  4. 시스템관리
(정답률: 70%)
  • 위 그림은 여러 대의 컴퓨터가 하나의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작업을 분산 처리하는 모습을 보여줍니다. 이러한 방식을 분산컴퓨팅이라고 합니다. 분산컴퓨팅은 여러 대의 컴퓨터를 하나의 시스템으로 사용하는 기술로, 가상화와 프로비저닝, 시스템 관리 등 다양한 기술이 함께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클라우드 서비스 모델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SaaS (소프트웨어 제공 서비스)
  2. WaaS (웹 개발환경 제공 서비스)
  3. IasS (스토리지 제공 서비스)
  4. PaaS (응용프로그램 개발 환경 제공)
(정답률: 51%)
  • WaaS는 웹 개발환경을 제공하는 서비스로, 사용자가 웹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고 배포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합니다. 다른 클라우드 서비스 모델들은 모두 기업이나 개인이 사용하는 소프트웨어, 스토리지, 응용프로그램 개발 환경 등을 제공하는 반면, WaaS는 개발자들이 사용하는 개발환경을 제공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따라서 다른 클라우드 서비스 모델들과는 목적과 대상이 다르기 때문에 가장 거리가 먼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블록체인의 특징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분산화
  2. 안전성
  3. 신뢰성
  4. 폐쇄성
(정답률: 69%)
  • 블록체인은 분산화된 시스템으로, 중앙화된 시스템과 달리 개인이 직접 참여하여 데이터를 검증하고 저장한다. 이러한 분산화된 특성으로 인해 블록체인은 안전성과 신뢰성이 높아지는데, 이는 블록체인에 저장된 데이터가 위조나 변조가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블록체인은 폐쇄성이 높은 편이다. 즉, 블록체인에 참여하려면 일정한 조건을 충족해야 하며, 이를 충족하지 못한 개인은 참여할 수 없다는 것이다. 이러한 폐쇄성은 블록체인의 참여자 수를 제한하고,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하는 서비스나 애플리케이션의 범위를 제한하는 요인이 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미국의 정보 기술 연구 및 자문 회사인 가트너에서 매년 시장에 영향력을 미치게 되는 10대 전략 기술을 발표해 왔다. 가트너는 새로운 기술의 전망을 시각적 으로 쉽게 표현한 하이프 사이클(Hype Cycle)을 5단계로 정의하는데 그 순서가 옳은 것은?

  1. 태동기 → 각성기 → 재조명기 → 거품기 → 안정기
  2. 재조명기 → 각성기 → 태동기 → 거품기 → 안정기
  3. 거품기 → 태동기 → 각성기 → 안정기 → 재조명기
  4. 태동기 → 거품기→ 각성기 → 재조명기 → 안정기
(정답률: 63%)
  • 정답은 "태동기 → 거품기→ 각성기 → 재조명기 → 안정기"이다.

    - 태동기: 새로운 기술이 처음 소개되고 관심을 받는 단계
    - 거품기: 기술에 대한 과대 평가와 과도한 투자가 일어나는 단계
    - 각성기: 실제로 기술이 적용되기 시작하고 성공적인 사례가 나타나는 단계
    - 재조명기: 기술의 한계와 문제점이 드러나면서 다시 평가되는 단계
    - 안정기: 기술이 성숙하고 안정화되어 일상적으로 사용되는 단계

    이 순서는 새로운 기술이 처음 소개되어 관심을 받는 태동기에서 시작하여, 과대 평가와 과도한 투자가 일어나는 거품기를 거쳐 실제로 기술이 적용되기 시작하고 성공적인 사례가 나타나는 각성기, 그리고 기술의 한계와 문제점이 드러나면서 다시 평가되는 재조명기를 거쳐 기술이 성숙하고 안정화되어 일상적으로 사용되는 안정기로 이어지는 것을 나타낸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사물인터넷 환경의 데이터 트래픽 특징인 '가벼운 연결'에 있어서 디바이스의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넓은 대역폭의 네트워크가 필수
  2. 저전력, 저비용, 소형의 제한된 자원 환경으로 구성된 디바이스
  3. 작은 크기의 센서정보나 단순메시지 전송
  4. 1회용 제품에 사용될 수 있을 정도의 저비용 디바이스 구현
(정답률: 68%)
  • "넓은 대역폭의 네트워크가 필수"는 다른 보기들과는 달리 사물인터넷 디바이스의 특징과는 거리가 먼 설명입니다. 사물인터넷 디바이스는 대부분 저전력, 저비용, 소형의 제한된 자원 환경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작은 크기의 센서정보나 단순메시지 전송이 주요한 기능입니다. 또한 1회용 제품에 사용될 수 있을 정도의 저비용 디바이스 구현도 중요한 특징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사물인터넷 환경에서는 대역폭이 크게 필요하지 않으며, 오히려 저전력과 저비용을 중시하는 환경이므로 대역폭이 큰 네트워크는 필수적이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아래 내용이 설명하는 기업 생태계의 건강성과 경쟁력을 측정하는 요소는?

  1. 강건성
  2. 생산성
  3. 혁신성
  4. 신시장 창출능력
(정답률: 48%)
  • 기업 생태계의 건강성과 경쟁력을 측정하는 요소 중에서 "생산성"은 기업이 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하여 생산성을 높이는 능력을 의미합니다. 즉, 기업이 제품 또는 서비스를 생산하는 데 있어서 효율적인 생산 방식과 생산 과정을 갖추고 있으며, 이를 통해 비용을 절감하고 품질을 향상시키는 능력을 말합니다. 따라서 생산성이 높은 기업은 경쟁력이 높아지며, 시장에서 더욱 강한 지위를 차지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아래 내용에서 각 괄호 안에 들어갈 용어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 API ㉡ 앱
  2. ㉠ 앱 ㉡ 애플리케이션
  3. ㉠ 운영체제 ㉡ 웹
  4. ㉠ 웹 ㉡ 운영체제
(정답률: 56%)
  • 위 그림은 스마트폰에서 웹 브라우저를 실행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이때 스마트폰의 운영체제는 웹 브라우저를 실행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 운영체제 ㉡ 웹"이 가장 적합한 용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클라우드와 에지 디바이스의 사이에서 네트워크와 스토리지에 접근하는 서비스 인프라로, 클라우드의 혼잡과 처리지연에 대한 대안으로 적용하고 있는 기술은?

  1. 포그 컴퓨팅
  2. 미스트 컴퓨팅
  3. 클라우드렛
  4. 모바일 컴퓨팅
(정답률: 53%)
  • 포그 컴퓨팅은 클라우드와 에지 디바이스 사이에서 네트워크와 스토리지에 접근하는 서비스 인프라로, 클라우드의 혼잡과 처리지연에 대한 대안으로 적용되고 있습니다. 이는 클라우드와 에지 디바이스 사이에서 데이터 처리와 분석을 수행하여 빠른 응답성과 효율성을 제공하며, 인터넷 대역폭을 절약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따라서 포그 컴퓨팅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사물인터넷 비즈니스 모델 중 하나인 'TISSUE 모델'의 구성요소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기술 (Technology)
  2. 사용자 (User)
  3. 구조 (Structure)
  4. 서비스 (Service)
(정답률: 60%)
  • TISSUE 모델은 사물인터넷 기술을 이용하여 휴지, 수건 등의 생활용품을 관리하고 배송하는 비즈니스 모델이다. 이 모델의 구성요소로는 기술, 사용자, 구조, 서비스가 있다. 이 중에서 구조는 다른 요소들과는 달리 비즈니스 모델의 전체적인 구조와 조직을 의미한다. 따라서 다른 요소들은 비즈니스 모델의 구성요소로서 직접적인 역할을 수행하지만, 구조는 비즈니스 모델의 전체적인 틀을 제공하고, 비즈니스의 방향성과 전략을 결정하는 역할을 한다. 이에 따라 구조는 다른 요소들과는 거리가 먼 요소로 볼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