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쇄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5-05-31)

인쇄기사
(2015-05-31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인쇄공학

1. 제책공정에서 책등의 형태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타이트백(tight back)
  2. 플렉시블백(flexible back)
  3. 홀로백(hollow back)
  4. 라운딩백(rounding back)
(정답률: 알수없음)
  • 라운딩백은 책등의 형태 중 하나로, 책의 등판을 둥글게 만들어주는 공정입니다. 타이트백은 등판이 단단하게 고정된 형태, 플렉시블백은 등판이 유연하게 움직이는 형태, 홀로백은 등판이 빈틈없이 매워진 형태입니다. 따라서 라운딩백이 책등의 형태에 해당되지 않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다음 중 Walker-Fetsko의 전이 방정식으로 옳은 것은? (단, k는 용지의 피복 면적비이고, x는 잉크의 공급량, F(x)는 접촉 부분의 단위 면적당 잉크가 접촉한 부분과 접촉하지 않은 부분의 비율이다.)

  1. F(x)=1-e-kx
  2. F(x)=1-e-x/k
  3. F(x)=1+e-kx
  4. F(x)=1+e-x/k
(정답률: 60%)
  • 정답은 "F(x)=1-e-kx"이다.

    Walker-Fetsko의 전이 방정식은 다음과 같다.

    dM/dt = kA(F(x)-M)

    여기서, dM/dt는 시간에 따른 잉크의 변화율, k는 용지의 피복 면적비, A는 용지의 면적, F(x)는 접촉 부분의 단위 면적당 잉크가 접촉한 부분과 접촉하지 않은 부분의 비율, M은 용지에 흡수된 잉크의 양을 나타낸다.

    이 방정식을 풀면 다음과 같은 식이 나온다.

    M = F(x)kA(1-e-kx)

    여기서, M은 용지에 흡수된 잉크의 양이므로, F(x)kA는 용지에 닿은 잉크의 양을 나타낸다. 따라서, F(x)는 접촉 부분의 단위 면적당 잉크가 접촉한 부분과 접촉하지 않은 부분의 비율을 나타내므로, "F(x)=1-e-kx"가 옳은 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망점 면적율이 70%인 인쇄물의 하프톤 값(Halftone value)은 얼마인가?

  1. 30%
  2. 70%
  3. 130%
  4. 170%
(정답률: 알수없음)
  • 망점 면적율이 70%인 경우, 인쇄물의 하얀 부분은 30%만큼 남아있게 됩니다. 따라서 하프톤 값은 30%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1 centipoise의 그라비어 잉크는 kg/m·sec인가?

  1. 0.1
  2. 0.01
  3. 0.001
  4. 0.0001
(정답률: 알수없음)
  • 1 centipoise은 0.001 Pa·s와 같습니다. 그라비어 잉크의 동적 점도는 Pa·s 또는 kg/m·s로 표시됩니다. 따라서 1 centipoise의 그라비어 잉크는 0.001 kg/m·s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Walker-Fetsko의 잉크 전이방정식에서 잉크의 피복저항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인쇄압이 증가하면 피복저항은 감소한다.
  2. 피복저항이 증가하면 필요 최저잉크량이 증가한다.
  3. 평활도와 피복저항은 직접적인 관계가 있다.
  4. 인쇄속도가 증가하면 피복저항은 감소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인쇄속도가 증가하면 피복저항은 감소한다."라는 설명이 틀린 것은 아니다. 인쇄속도가 증가하면 잉크가 더 빠르게 전이되어 피복저항이 감소하기 때문이다. 이는 인쇄속도와 피복저항이 반비례 관계에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다음 점탄성 모델 중 완전 탄성체의 경우 어느 법칙에 따르는가?

  1. Hookean solid
  2. Newtonlan fluid
  3. Maxwell fluid
  4. Voigt solid
(정답률: 60%)
  • 완전 탄성체는 변형력과 변형에너지가 비례하는 선형 탄성체이다. 이러한 성질은 후크 법칙(Hooke's law)에 따른다. 후크 법칙은 변형력과 변형량이 비례하는 선형 관계를 나타내며, 이는 후크 탄성계(Hookean solid)의 특징이다. 따라서, 완전 탄성체는 후크 탄성계에 해당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다음 중 분체 또는 다공체의 접촉각을 측정하는 방법은?

  1. Washburn법
  2. 광반사법
  3. 투영법
  4. 경사판법
(정답률: 알수없음)
  • Washburn법은 분체 또는 다공체의 흡수력을 이용하여 접촉각을 측정하는 방법입니다. 분체 또는 다공체에 액체를 흡수시켜서 액체가 흡수된 시간과 양을 측정하여 접촉각을 계산합니다. 이 방법은 표면에 미세한 구멍이나 채널이 있는 다공체에 대해서도 적용 가능하며, 측정이 비교적 쉽고 정확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잉크나 물 등의 액체가 피인쇄체에 묻었을 때 일어나는 젖음 현상에 해당되는 것은?

  1. 침투젖음
  2. 침적젖음
  3. 접착젖음
  4. 확산젖음
(정답률: 알수없음)
  • 잉크나 물 등의 액체가 피인쇄체에 묻으면, 액체 분자가 피인쇄체의 표면에 부착되어 분자 간의 인력으로 인해 붙어있게 됩니다. 이러한 현상을 접착젖음이라고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지기 가공에서 겉상자 제조공정을 옳게 나열한 것은?

  1. 급지 → 줄내기 → 풀칠 → 설단 → 접기 → 풀 억제
  2. 급지 → 줄내기 → 접기 → 풀칠 → 절단 → 풀 억제
  3. 급지 → 줄내기 → 풀칠 → 접기 → 풀 억제 → 절단
  4. 절단 → 풀 억제 → 풀칠 → 접기 → 급지 → 줄내기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급지 → 줄내기 → 풀칠 → 접기 → 풀 억제 → 절단" 입니다.

    - 급지: 종이를 제품 크기에 맞게 자르는 과정
    - 줄내기: 자른 종이를 접지하기 쉽게 접어놓는 과정
    - 풀칠: 접은 종이를 접착제로 붙이는 과정
    - 접기: 풀칠한 종이를 제품 모양에 맞게 접는 과정
    - 풀 억제: 제품의 모양을 유지하기 위해 풀을 억제하는 과정
    - 절단: 제품을 최종적으로 자르는 과정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접촉각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정지된 상태에서 물방울이 수평한 고체면과 만드는 각도(θ)를 말한다.
  2. 각도가 작을수록 습윤성이 크다.
  3. 액체가 고체를 완전히 적시는 경우 액체는 같은 모양으로 퍼져 접촉각은 180°가 된다.
  4. 측정 방법에는 액적법과 소적법이 있다.
(정답률: 80%)
  • "액체가 고체를 완전히 적시는 경우 액체는 같은 모양으로 퍼져 접촉각은 180°가 된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실제로는 액체가 고체를 완전히 적시하는 경우에도 접촉각이 180°가 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는 액체와 고체의 표면에 따라 다르며, 예를 들어 유리와 물의 경우 접촉각이 약 0°에 가깝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인쇄공정 중 주로 인쇄판과 블랭킷, 블랭킷과 인쇄용지 사이에서 상대적인 운동에 의해 망점이 변하여 나타나는 문제점은?

  1. 더블링
  2. 샤프닝
  3. 슬러
  4. 뒤묻음
(정답률: 알수없음)
  • 인쇄판과 블랭킷, 블랭킷과 인쇄용지 사이에서 상대적인 운동에 의해 망점이 변하여 나타나는 문제점을 슬러라고 부릅니다. 슬러는 블랭킷과 인쇄용지 사이에서 발생하는 마찰력으로 인해 블랭킷의 표면이 손상되어 발생하는 문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모세관 침투이론에 관한 내용 중 Lucas-Washburn이론에 대한 설명이 아닌 것은?

  1. 잉크가 침투되어 들어가는 깊이는 인쇄 압력의 평방근에 반비례한다.
  2. 모세관으로 들어가는 잉크는 시간의 평방근에 비례 한다.
  3. 잉크가 모세관으로 들어가는 깊이는 점도의 평방근에 반비례한다.
  4. Hagen-Poiseuille의 모세관 현상이론을 기초로 한다.
(정답률: 60%)
  • "잉크가 모세관으로 들어가는 깊이는 점도의 평방근에 반비례한다."가 Lucas-Washburn이론에 관한 내용이 아닙니다.

    잉크가 침투되어 들어가는 깊이는 인쇄 압력의 평방근에 반비례하는 이유는, 인쇄 압력이 증가하면 모세관 내부의 액체 분자들이 더욱 밀집하게 배치되어 모세관 내부의 액체 분자 간의 인력이 증가하기 때문입니다. 이에 따라 모세관 내부의 액체 분자들이 더욱 강하게 붙어서 침투 깊이가 감소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인쇄시 잉크의 미스팅(misting)현상을 일으키는 주된 요소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인쇄 속도
  2. 잉크막 두께
  3. 종이의 pH
  4. 점도
(정답률: 알수없음)
  • 잉크의 미스팅 현상은 인쇄 과정에서 잉크가 고속으로 분사되어 공기 중에 분무되면서 발생합니다. 이때 종이의 pH가 높으면 종이 표면에 물방울이 형성되어 잉크가 흡수되지 않고 표면에 머무르게 됩니다. 따라서 종이의 pH가 높을수록 인쇄시 잉크의 미스팅 현상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다음 중 친유성기에 해당하는 것은?

  1. -OH
  2. -COOH
  3. -CONH2
  4. -CH3
(정답률: 알수없음)
  • 친유성기란 다른 분자와 결합할 때 유기화학적으로 친화력이 높은 기를 말합니다. 이 중에서 "-CH3"은 탄소와 수소로 이루어져 있어서 다른 분자와 결합할 때 친화력이 높지 않습니다. 따라서, "-CH3"은 친유성기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반면에, "-OH", "-COOH", "-CONH2"은 분자 내에서 전하를 띄고 있어서 다른 분자와 결합할 때 친화력이 높아 친유성기에 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인쇄실 실내의 압력이 1atm, 증기의 분압은 0.40atm 일 때 절대습도(H)는 약 얼마인가? (단, 물의 분자량은 18, 공기의 분자량은 29이다.)

  1. 18.6%
  2. 26.6%
  3. 41.4%
  4. 43.4%
(정답률: 80%)
  • 절대습도(H)는 증기압(p)과 대기압(P)에 따라 결정된다.

    먼저, 증기압(p)을 구해보자.

    물의 증기압은 온도에 따라 달라지는데, 이 문제에서는 주어졌다.

    증기압(p) = 0.40atm

    다음으로, 대기압(P)을 구해야 한다.

    대기압(P) = 인쇄실 실내의 압력 = 1atm

    이제, 절대습도(H)를 구할 수 있다.

    H = (p / (P - p)) x (Mw / Mg)

    여기서,

    Mw = 물의 분자량 = 18

    Mg = 공기의 분자량 = 29

    H = (0.40 / (1 - 0.40)) x (18 / 29)

    H = 0.414 또는 41.4%

    따라서, 정답은 "41.4%"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프로세스 인쇄에서 M잉크의 농도가 0.2, C잉크의 농도가 1.6일 때, M잉크 위에 C잉크로 중첩인쇄한 B색의 차이 값은 얼마인가?

  1. 0.8
  2. 1.4
  3. 1.6
  4. 1.8
(정답률: 알수없음)
  • 프로세스 인쇄에서 B색은 M잉크와 C잉크를 섞어 만들어지는데, M잉크의 농도가 0.2, C잉크의 농도가 1.6이므로 M잉크와 C잉크의 비율은 1:8이 된다. 따라서 B색의 농도는 M잉크 1부에 C잉크 8부가 섞인 것이다. 이를 계산하면 M잉크 0.2 × 1 + C잉크 1.6 × 8 = 12.6이 된다. 그런데 M잉크와 C잉크를 따로 인쇄할 때의 밀도는 각각 0.2와 1.6이므로, 중첩인쇄할 때의 밀도는 0.2 + 1.6 = 1.8이 된다. 따라서 B색의 밀도는 12.6 ÷ 1.8 = 7이 된다. 이때, M잉크와 C잉크를 따로 인쇄할 때의 밀도 차이는 1.6 - 0.2 = 1.4이므로, 중첩인쇄할 때의 밀도 차이도 1.4이다. 따라서 정답은 "1.4"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어떤 인쇄 잉크의 반사율이 50%라고 할 때, 표준백색광의 반사율이 100%이면 이 잉크의 농도는 약 얼마인가?

  1. 0.10
  2. 0.20
  3. 0.30
  4. 0.50
(정답률: 알수없음)
  • 반사율이 50%인 잉크는 흑백으로 생각하면 회색이다. 따라서 이 잉크의 농도는 표준백색광의 반사율인 100%에 비해 회색이므로 농도는 반으로 줄어든 것이다. 따라서 이 잉크의 농도는 0.50/2 = 0.25이다.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선택지가 소수점 둘째자리까지 주어졌으므로, 0.25를 반올림하여 0.30이라는 답이 나온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인쇄 잉크의 전기 이중층 파괴로, 특히 고속 신문 윤전 인쇄를 할 때 많이 일어나는 인쇄사고는?

  1. 스커밍(scumming)
  2. 롤러 스트리핑(roller stripping)
  3. 틴팅(tinting)
  4. 미스팅(misting)
(정답률: 알수없음)
  • 미스팅은 인쇄 과정에서 잉크가 고속으로 분사되어 작은 입자로 분해되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 작은 입자들은 공기 중에 떠다니며, 종이나 기계 부품 등에 붙어서 인쇄물에 불필요한 점자나 얼룩을 만들어내는 원인이 됩니다. 특히 고속 신문 윤전 인쇄에서는 인쇄물이 빠르게 움직이기 때문에 미스팅이 더욱 심해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단면 또는 면수가 많은 인쇄 용지를 재단하기 전에 일정한 묶음마다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재단 후에 여러 장의 묶음을 반복하여 세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작업은?

  1. 쪽 맞추기
  2. 간지 끼우기
  3. 손 맞추기
  4. 기계 맞추기
(정답률: 100%)
  • 간지 끼우기는 단면 또는 면수가 많은 인쇄 용지를 재단하기 전에 일정한 묶음마다 구별하기 위한 작업이다. 이 작업을 통해 재단 후에 여러 장의 묶음을 반복하여 세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간지란 인쇄 용지의 두께를 의미하며, 간지 끼우기는 이 간지를 이용하여 일정한 두께의 묶음을 만들어 구별하는 것이다. 따라서 정답은 간지 끼우기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내수성이 좋기 때문에 방습, 방수, 내유지성을 주기 위하여 종이컵이나 쥬스컵, 식료품의 포장 가공에 많이 사용되는 표면 가공법은?

  1. 왁스칠
  2. 광택 니스칠
  3. 비닐코팅
  4. 셀룰로이드코팅
(정답률: 알수없음)
  • 왁스칠은 종이나 판지 등의 표면에 왁스를 칠하여 방습, 방수, 내유성을 주는 가공법이다. 이는 내수성이 좋은 종이컵이나 쥬스컵, 식료품 포장 등에 많이 사용된다. 광택 니스칠은 표면에 광택을 주는 가공법, 비닐코팅은 표면에 비닐을 씌워 방수성을 주는 가공법, 셀룰로이드코팅은 표면에 셀룰로이드 필름을 붙여 방수성과 내구성을 주는 가공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인쇄재료학

21. 다음 잉크 중 가장 다른 특성을 가진 잉크는?

  1. 낱장 볼록판 잉크
  2. 낱장 평판 잉크
  3. 볼록판 윤전 잉크
  4. 고무 볼록판 잉크
(정답률: 70%)
  • 정답은 "낱장 평판 잉크"입니다. 이유는 다른 세 가지 잉크는 모두 볼록판에 사용되는 잉크이지만, "낱장 평판 잉크"는 볼록판이 아닌 평판에 사용되는 잉크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다른 세 가지 잉크와는 다른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종이의 표면특성에 관한 내용 중 틀린 것은?

  1. 오프셋인쇄에서는 종이표면의 거치름과 망점소실이 꼭 일치하지 않는다.
  2. 백상지에서 오일과 물의 시간에 따른 흡수곡선은 일치한다.
  3. 종이표면의 기공부피(void volume)와 잉크의 건조는 상관관계가 있다.
  4. 종이표면의 기공의 크기, 부피는 수은 등을 이용하여 측정가능하다.
(정답률: 알수없음)
  • "백상지에서 오일과 물의 시간에 따른 흡수곡선은 일치한다."는 틀린 내용이다. 이는 오일과 물이 종이 표면에 흡수되는 속도가 서로 다르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오일은 더 느리게 흡수되고, 물은 더 빠르게 흡수된다. 따라서 백상지에서 오일과 물의 흡수곡선은 서로 다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종이의 각종 시험을 위하여 세계적으로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방법은?

  1. KS
  2. JIS
  3. TAPPI
  4. ISO
(정답률: 82%)
  • TAPPI는 미국 종이 및 패키징 산업 기술자 협회로, 종이와 관련된 다양한 시험 방법을 개발하고 국제적으로 인정받아 널리 사용되고 있기 때문에 세계적으로 가장 널리 사용되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PS판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암반응이 거의 없어 유효기간이 길다.
  2. 온·습도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는다.
  3. 중크롬산감광액을 사용하므로 재현성이 우수하다.
  4. 처리가 간단하고 수정이 용이하다.
(정답률: 65%)
  • 중크롬산감광액을 사용하므로 재현성이 우수하다는 설명이 틀린 것이 아니다. 이는 PS판의 장점 중 하나이다. 중크롬산감광액은 빛에 노출되면 산화되어 색이 변하는 성질을 가지고 있어, 노출된 부분과 그렇지 않은 부분의 대조가 쉽고 정확하게 이루어진다. 따라서 PS판은 재현성이 뛰어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다음 중 비이온 계면활성제가 아닌 것은?

  1. 라우릴산나트륨
  2. 지방산 에틸렌옥시드
  3. 모노글리세리드
  4. 고급알코올 에틸렌옥시드
(정답률: 알수없음)
  • 라우릴산나트륨은 양이온 계면활성제이며, 나머지 보기들은 모두 비이온 계면활성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오프셋윤전기에 사용되는 고무블랭킷의 두께가 1.8mm라든가 1.9mm라고 하는 것은 어떤 조건하에서 측정한 두께인가?

  1. 일정한 압력을 가하여 측정한 두께다.
  2. 대기압에서 측정한 두께다.
  3. 오프셋인쇄기에 설치한 상태에서 약 20kg/cm2의 장력이 가해졌을 때 측정한 두께다.
  4. 제작사에서 임으로 표시하는 두께다.
(정답률: 80%)
  • 고무블랭킷의 두께는 일정한 압력을 가하여 측정한 것입니다. 이는 고무블랭킷이 인쇄과정에서 일정한 압력을 받아야만 정확한 인쇄가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제조사에서는 이러한 조건에서 두께를 측정하여 표시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잉크의 판식 중 가장 두꺼운 막의 두께를 가진 판식은?

  1. 오프셋평판
  2. 볼록판
  3. 그라비어
  4. 스크린
(정답률: 알수없음)
  • 스크린은 인쇄물에 잉크를 전달하는 과정에서 가장 두꺼운 막을 형성할 수 있는 판식입니다. 스크린은 인쇄물의 표면에 잉크를 직접 스크린 메시를 통해 전달하기 때문에 다른 판식들보다 더 두꺼운 잉크 막을 형성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스크린은 두꺼운 잉크 막이 필요한 인쇄물에 적합한 판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다음 중 평판오프셋 잉크에 적당하지 않은 안료는?

  1. 빅토리아블루(Victoria Blue)
  2. 카미레드6B(Carmine Red 6B)
  3. 디아조옐로우(Diazo Yellow)
  4. 카본블랙(Carbon Black)
(정답률: 알수없음)
  • 평판오프셋 인쇄에서는 빅토리아블루(Victoria Blue)를 사용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이는 빅토리아블루가 빛에 노출되면 쉽게 변색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인쇄물의 내구성과 안정성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다른 안료를 사용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환경문제로 식물성 신문잉크를 만들기 위해 동일한 배합에 용제를 대두유로 치환하였다. 다음 중 어떤 성질이 가장 저하되는가?

  1. 잉크의 건조성
  2. 인쇄광택
  3. 기상안정성
  4. 잉크롤러의 세척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잉크의 건조성"이다. 대두유는 식물성 기름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건조가 느리고, 인쇄 후 잉크가 빨리 마르지 않아 인쇄물이 끈적거리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인쇄물의 품질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잉크의 건조성이 중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습수액의 pH와 상대습도는 잉크의 건조에 영향을 준다. 다음 중 상대습도 75%일 때 올바르게 설명한 것은?

  1. 습수액의 pH를 4이하로 유지하는 것이 건조시간을 줄일 수 있다.
  2. 습수액의 pH가 5.5일 때 가장 건조시간이 짧다.
  3. 습수액의 pH가 7보다 5.5일 때 건조가 유리하다.
  4. 습수액의 Ph가 5.5보다 7일 때 건조시간이 더 짧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습수액의 Ph가 5.5보다 7일 때 건조시간이 더 짧다." 입니다.

    이유는 습수액의 pH가 5.5보다 높을수록 적산성이 강해지기 때문에, 잉크가 빨리 건조됩니다. 또한, 상대습도가 75%일 때는 습기가 많아서 건조가 더디게 일어납니다. 따라서, 습수액의 pH가 5.5보다 높을수록 건조시간이 더 짧아지므로, 이 보기가 올바른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종이코팅제의 구성성분 중에서 접착제 역할을 하지 않는 것은?

  1. 전분
  2. 라텍스(Latext)
  3. 카오린(Kaolin)
  4. PVA
(정답률: 50%)
  • 카오린은 종이코팅제의 구성성분 중에서 접착제 역할을 하지 않는다. 카오린은 주로 종이의 표면을 부드럽게 만들어주는 역할을 하며, 종이의 흡수성을 조절하여 코팅제의 흡수를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종이코팅제의 접착제 역할을 하는 것은 전분, 라텍스, PVA 등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일반적인 평판 인쇄용 축임물의 pH값은 얼마인가?

  1. 3 ~ 4
  2. 5 ~ 6
  3. 8 ~ 9
  4. 10 ~ 11
(정답률: 알수없음)
  • 일반적인 평판 인쇄용 축임물은 산성이며, pH값은 5 ~ 6 사이에 위치합니다. 이는 인쇄용 축적물이 적절한 pH값을 유지하면서도 인쇄 과정에서 적절한 접착성과 인쇄 품질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이 pH값은 종이와 잉크의 pH값과도 조화를 이루어야 하기 때문에 선택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스크린 인쇄에 사용하는 잉크의 적성에 대하여 가장 옳게 설명한 것은?

  1. 잉크의 유동성이 크고, 늘기가 짧으며, 점도가 낮아야 한다.
  2. 잉크의 유동성이 크고, 늘기가 비교적 길며, 점도가 높아야 한다.
  3. 잉크층이 두꺼우므로 점도가 낮고, 유동성이 크며, 늘기가 길어야 한다.
  4. 잉크가 망사를 통과해야 하므로 점도가 높고, 유동성이 작으며, 수성잉크이어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스크린 인쇄에서는 잉크가 스크린을 통과하여 인쇄재료에 도달해야 하므로, 잉크의 유동성이 크고, 늘기가 짧으며, 점도가 낮아야 합니다. 이는 잉크가 스크린을 통과하기 쉽고, 인쇄재료에 잉크가 잘 전달되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따라서 "잉크의 유동성이 크고, 늘기가 짧으며, 점도가 낮아야 한다."가 가장 옳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블랭킷(Blanket)의 품질 요구특성 중 옳은 것은?

  1. 모든 블랭킷은 3층(3-ply)구조로 되어 있다.
  2. 두께의 편차가 균일해야 한다.
  3. 압축성(Compressible) 블랭킷만 통용된다.
  4. 언더패킹(Under packing) 두께는 ±0.05mm까지 허용한다.
(정답률: 80%)
  • 두께의 편차가 균일해야 한다는 것은 블랭킷의 모든 부분에서 두께가 일정하게 유지되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만약 두께의 편차가 크다면, 일부 부분은 너무 얇거나 두껍게 만들어질 수 있으며, 이는 블랭킷의 품질을 저하시킬 수 있습니다. 따라서 블랭킷의 품질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두께의 편차가 균일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잉크 건조시 산소에 의하여 종합촉진을 하는 대신에 건조장치 내의 열이 비이클이나 수지를 중합(방향족 아민류)시키는 것에 의해 건조하는 무용제성 잉크는?

  1. 촉매잉크
  2. 히트세트잉크
  3. 퀵세트잉크
  4. 그라비어잉크
(정답률: 알수없음)
  • 촉매잉크는 건조장치 내의 열이 아닌 산소와 함께 작용하여 건조되는 것이 아니라, 건조장치 내의 열이 비이클이나 수지를 중합시켜 건조시키는 것이 아니라 촉매작용을 통해 건조되는 무용제성 잉크입니다. 따라서 촉매잉크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IPA(이소프로필알코올)를 사용하는 축임물의 장점이 아닌 것은?

  1. 표면장력이 낮다.
  2. 잉크의 건조가 빠르다.
  3. 냉각효과가 있다.
  4. 환경오염이 없다.
(정답률: 알수없음)
  • IPA는 환경오염물질로 분류되며, 사용 후 폐기물 처리가 필요하다. 따라서, "환경오염이 없다."는 장점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종이의 결을 판단하는 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종이를 접어 구부렸을 때의 반발력에 따라 결의 방향은 알 수 없다.
  2. 종이의 신축은 섬유의 방향에 따라 달라진다.
  3. 종이를 찢었을 때 스무스(Smooth)하게 찢어지는 쪽이 섬유가 흐르는 방향, 그렇지 않는 쪽이 섬유가 흐르는 방향의 반대방향이다.
  4. 인쇄 후 제책된 책의 지질이 잘 넘겨지면 섬유가 흐르는 방향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종이를 접어 구부렸을 때의 반발력에 따라 결의 방향은 알 수 없다."가 틀린 이유는, 종이를 접거나 구부렸을 때의 반발력은 결이 아닌 종이의 표면적인 성질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입니다. 결의 방향을 판단하기 위해서는 종이를 찢어보거나 인쇄 후 제책된 책의 지질을 확인하는 등 섬유의 방향과 관련된 특징을 살펴봐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천연수지에 대하여 설명한 내용과 거리가 먼 것은?

  1. 특정인쇄잉크의 비이클로 장기간 사용하여 왔다.
  2. 합성수지의 발달로 사용량이 감소하고 있다.
  3. 송진은 반 합성내지는 합성수지의 원료로 사용한다.
  4. 길소나이트(gilsonite)는 카본블랙과의 상용성이 나쁘다.
(정답률: 알수없음)
  • 천연수지는 식물의 점액 또는 나무의 수액 등에서 추출된 천연 고분자 화합물로, 점착성과 유연성이 뛰어나며 인쇄잉크, 도료, 접착제 등에 사용된다. 이에 비해 "길소나이트(gilsonite)는 카본블랙과의 상용성이 나쁘다."는 것은, 길소나이트가 카본블랙과 혼합하여 사용할 때 상호작용이 좋지 않아서, 인쇄잉크 등에서는 사용이 어렵다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일정한 틈을 가진 링과 로드사이에 잉크를 채우고 로드를 자중으로 낙하시키는 점도계는?

  1. 라레 점도계
  2. 회전 점도계
  3. 잔컵(Zahn-Cap)
  4. 기포 점도계
(정답률: 60%)
  • 라레 점도계는 일정한 틈을 가진 링과 로드사이에 잉크를 채우고 로드를 자중으로 낙하시키는 방식으로 점도를 측정하는 점도계입니다. 이 방식은 잉크의 흐름과 자중의 상호작용을 이용하여 점도를 측정하기 때문에 정확하고 신뢰성이 높은 측정이 가능합니다. 따라서, 라레 점도계가 정답입니다. 회전 점도계는 회전하는 원판의 속도를 이용하여 점도를 측정하는 방식이며, 잔컵과 기포 점도계는 각각 잔컵과 기포의 크기와 수를 이용하여 점도를 측정하는 방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인쇄 잉크 비이클(Vehicle)의 성분이 아닌 것은?

  1. 기름
  2. 용제
  3. 가소제
  4. 색소
(정답률: 알수없음)
  • 인쇄 잉크 비이클(Vehicle)은 인쇄 과정에서 색소를 붙여주는 역할을 하는데, 이때 사용되는 성분은 "기름", "용제", "가소제"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색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특수인쇄학

41. 인쇄면이 불투명하여 광택이 일어나지 않고 잉크의 접착이 매우 나빠 긁힘 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무엇이라 하는가?

  1. 녹아남 현상
  2. 백화 현상
  3. 겹붙음 현상
  4. 가루화 현상
(정답률: 80%)
  • 백화 현상은 인쇄면이 불투명하여 광택이 일어나지 않고, 잉크가 제대로 접착되지 않아 긁힘 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말합니다. 이는 인쇄면의 표면이 부드럽지 않고 거칠어서 잉크가 제대로 흡수되지 않기 때문에 발생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그라비어 인쇄에 있어서 Cratering이 가장 많이 발생되는 피인쇄체는?

  1. 열경화형 니스
  2. 열가소성 수지
  3. 마닐라지
  4. 피혁
(정답률: 알수없음)
  • Cratering은 잉크나 코팅이 인쇄면에서 떨어져서 발생하는 현상입니다. 열경화형 니스는 열경화성 수지로 만들어진 피인쇄체로, 인쇄면에 잉크나 코팅이 잘 붙어서 Cratering이 발생할 확률이 적습니다. 반면에 열가소성 수지나 마닐라지, 피혁 등은 Cratering이 발생하기 쉬운 피인쇄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그라비어 인쇄기에만 있는 장치는?

  1. 잉크장치
  2. 독터장치
  3. 인압장치
  4. 건조장치
(정답률: 92%)
  • 그라비어 인쇄기는 인쇄 시에 독특한 인쇄 방식을 사용하는데, 이 방식은 인쇄판에 도포된 잉크를 인쇄지에 전달하는 과정에서 인쇄판의 표면을 도드라지게 만들어야 합니다. 이를 위해 그라비어 인쇄기에는 인쇄판의 표면을 도드라지게 만들어주는 독터장치가 필요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독터장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입체인쇄에서 입체표시 기술인 다방향 화상법의 종류의 관계있는 것은?

  1. 입체거울법
  2. 렌티큘러법
  3. 2색필터법
  4. 편광필터법
(정답률: 알수없음)
  • 다방향 화상법은 입체표시 기술 중 하나로, 여러 각도에서 찍은 사진을 합성하여 입체감을 표현하는 기술입니다. 이 중 렌티큘러법은 여러 개의 렌즈를 사용하여 하나의 사진을 여러 개로 분할하고, 이를 겹쳐서 입체감을 만들어내는 방식입니다. 따라서 다방향 화상법의 종류 중 렌티큘러법은 입체감을 만들어내는 방식이 다른 방법들과 다르기 때문에 관계가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수동흡착테이블식 스크린인쇄기로 인쇄하기에 가장 적합한 것들을 기술한 것이다. 타당하지 않은 것은?

  1. 수량이 적은 인쇄물
  2. 디자인의 형상변화가 많은 다품종 소량인쇄물
  3. 인쇄품질이 일정하지 않아도 되는 인쇄물
  4. 하프톤 고망점 대량인쇄물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하프톤 고망점 대량인쇄물"

    설명: 수동흡착테이블식 스크린인쇄기는 작은 수량의 인쇄물이나 다양한 디자인의 소량인쇄물에 적합합니다. 또한 인쇄품질이 일정하지 않아도 되는 인쇄물도 가능합니다. 하지만 하프톤 고망점 대량인쇄물은 인쇄물의 크기가 크고 수량이 많기 때문에 이에 적합한 인쇄기가 필요합니다. 수동흡착테이블식 스크린인쇄기는 이러한 대량인쇄물에는 부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유리인쇄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잉크는 유리질 안료의 스퀴지오일로 구성되어 있다.
  2. 속건성 잉크로서 피막의 고착성이 좋다.
  3. 유리 표면에 직접 인쇄하여 800℃이상에서 소성한다.
  4. 스크린인쇄기는 평면 또는 곡면 인쇄기를 사용한다.
(정답률: 80%)
  • 유리인쇄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유리 표면에 직접 인쇄하여 800℃이상에서 소성한다."가 아닌 "잉크는 유리질 안료의 스퀴지오일로 구성되어 있다."입니다.

    유리인쇄는 유리 표면에 인쇄된 잉크를 고온으로 소성하여 내구성을 높이는 기술입니다. 따라서 "유리 표면에 직접 인쇄하여 800℃이상에서 소성한다."는 옳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액정잉크의 제조시 액정 캠슐과 비이클의 혼합 비율은?

  1. 5:1
  2. 5:5
  3. 4:6
  4. 3:7
(정답률: 알수없음)
  • 액정잉크의 제조시에는 액정 캠슐과 비이클을 혼합하여 사용합니다. 이때, 액정 캠슐은 색소와 용매로 이루어져 있고, 비이클은 용매와 보조제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 두 재료를 혼합할 때, 액정 캠슐의 색소 함량이 높아지면서 색감이 짙어지기 때문에 적절한 비율을 유지해야 합니다. 이에 따라, 일반적으로는 액정 캠슐과 비이클의 혼합 비율은 4:6으로 설정됩니다. 즉, 4부 액정 캠슐과 6부 비이클을 혼합하여 액정잉크를 제조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플렉소 인쇄판 중에서 제일 간단한 제판법이며, 대체로 골판지 인쇄나 지대 인쇄에서 문자나 간단한 그림 등에 사용하고 있는 제판법은?

  1. 조각 고무판법
  2. 성형 고무판법
  3. 감광성 수지 제판법
  4. 엔드리스법
(정답률: 알수없음)
  • 조각 고무판법은 고무판을 조각하여 필요한 부분만 인쇄하는 방법으로, 간단한 디자인이나 문자를 인쇄할 때 사용하기 적합합니다. 다른 제판법들에 비해 간단하고 저렴하며, 작업이 쉬워 대량생산에도 용이합니다. 따라서 골판지 인쇄나 지대 인쇄와 같은 대량생산이 필요한 분야에서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플렉소 인쇄기에서 아닐록스 롤러의 역할은?

  1. 잉크를 제거하는 역할
  2. 잉크집에서 판으로 잉크를 옮기는 역할
  3. 원색 인쇄시 무아레(moire)를 방지하는 역할
  4. 원색 인쇄시 가늠 맞춤의 기준
(정답률: 알수없음)
  • 아닐록스 롤러는 인쇄기에서 잉크집에서 판으로 잉크를 옮기는 역할을 합니다. 이는 인쇄물에 잉크를 고르게 전달하여 균일한 인쇄 품질을 유지하기 위함입니다. 따라서 "잉크집에서 판으로 잉크를 옮기는 역할"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TN형 LCD의 제조 방법 중 미세한 홈을 새기는 것으로 표시 품질을 결정하는 공정은?

  1. 배향막 코팅
  2. 라빙 처리
  3. 전극 패턴의 형성
  4. 투명 도전막의 증착
(정답률: 알수없음)
  • 라빙 처리는 TN형 LCD에서 미세한 홈을 새기는 공정 중 하나로, 홈의 깊이와 너비를 조절하여 액정 분자의 회전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표시 품질을 결정합니다. 따라서 라빙 처리는 TN형 LCD의 표시 품질을 결정하는 중요한 공정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입체 인쇄(stereoscopic printing)에서 입체감을 위해 사용되는 것은?

  1. 아포크로매트 렌즈(apochromat lens)
  2. 렌티큘러 렌즈(lenticular lens)
  3. 애너스티그매틱 렌즈(anastigmatic lens)
  4. 슈퍼 애크로매틱 렌즈(super achromatic lens)
(정답률: 알수없음)
  • 렌티큘러 렌즈는 입체 인쇄에서 사용되는 렌즈로, 여러 개의 미세한 렌즈가 모여 만들어진 구조로 인쇄물의 각 부분에 다른 이미지를 보여줌으로써 입체감을 만들어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그라비어 인쇄의 구리도금 두께에 있어서 적산 전류의 값이 300이고, 이때 사용된 총전류의 값이 20이다. 도금의 두께(㎛)는 얼마인가?

  1. 15
  2. 30
  3. 600
  4. 900
(정답률: 알수없음)
  • 도금의 두께와 적산 전류의 값은 비례 관계에 있으므로, 적산 전류의 값이 300일 때 도금의 두께는 300/20 = 15 (㎛)이다. 따라서 정답은 "15"가 되어야 하지만, 보기에서는 "900"이 정답으로 주어졌다. 이는 문제에서 오타가 발생한 것으로 추측되며, 정확한 답은 "15"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스크린인쇄에서 직접감광제판법의 인쇄판에 사용되는 감광액의 구비조건이 아닌 것은?

  1. 온·습도의 변화에 안전하며 수축 등이 일어나지 않아야 한다.
  2. 핀홀(pinhole) 또는 막이 갈라지지 않아야 한다.
  3. 화선이 잘 빠지고 선명하게 현상되어야 한다.
  4. 도포시에는 스크린사와의 접착성이 약하고, 탈막하기 쉬워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온·습도의 변화에 안전하며 수축 등이 일어나지 않아야 한다."

    감광액은 스크린인쇄에서 사용되는 인쇄판에 직접 도포되어 노출되는데, 이때 감광액은 스크린사와의 접착성이 약하고 탈막하기 쉬워야 합니다. 이는 감광액이 스크린사와 강하게 접착되어 탈락이 어려워지면 인쇄판 제작 과정에서 문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감광액은 스크린사와의 접착성이 약하고 탈막하기 쉬워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비지니스폼 인쇄기의 급지부에서 종이가 인쇄부에 공급되기 전에 좌우로 흔들리는 것을 조정하는 역할을 하는 것은?

  1. dancer roll
  2. full auto paster
  3. edge guide
  4. perforating unit
(정답률: 알수없음)
  • "Edge guide"는 종이가 인쇄부에 공급되기 전에 좌우로 흔들리는 것을 조정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이것이 정답입니다. "Dancer roll"은 종이의 길이를 조절하는 역할을 하며, "full auto paster"는 종이를 연결하는 역할을 합니다. "Perforating unit"는 종이를 구멍 내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블랭킷에서 피인쇄체로 100% 잉크의 전이가 가능한 인쇄 방식은?

  1. 전사 인쇄
  2. 셀로판 인쇄
  3. 입체 인쇄
  4. 디지털 인쇄
(정답률: 알수없음)
  • 디지털 인쇄는 컴퓨터를 통해 직접 인쇄물을 만들어내는 방식으로, 100% 잉크의 전이가 가능합니다. 따라서 블랭킷에서 피인쇄체로 전사되는 것이 아니라, 직접 인쇄되는 디지털 인쇄 방식이 해당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플렉소 인쇄기에서 아닐록스 롤러(anilox roller)의 기능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1. 잉크냄 롤리로 부터 잉크 옮김 롤러에 잉크를 균일하게 전이한다.
  2. 판통에 부착된 인쇄판에 잉크를 제어해서 균일한 피막으로 공급한다.
  3. 판통과 압통 사이에 종이가 공급되는 시간을 일정하게 조절하고 무리한 인압을 제어한다.
  4. 압통에 맞물려 장착되어 급지부에서 피인쇄체의 크기와 관계없이 인쇄시 두루마리에 일정한 장력을 유지시켜 준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판통에 부착된 인쇄판에 잉크를 제어해서 균일한 피막으로 공급한다."이다. 아닐록스 롤러는 인쇄판에 잉크를 공급하는 역할을 하며, 잉크의 양과 균일한 분포를 조절하여 인쇄 품질을 향상시킨다. 이는 인쇄물의 색상과 질감을 일정하게 유지하고, 인쇄물의 해상도와 정확도를 높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오프 콘택트(OFF-CONTACT)란 스크린 인쇄에서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고 있다. 가장 정확하게 설명한 것은?

  1. 스크린판의 내경과 스퀴지 이동거리와의 안전거리
  2. 스크린 인쇄시 스퀴지와 잉크 덮개와의 거리(간격)
  3. 스크린 망사의 인장강도를 나타내는 말
  4. 스크린 인쇄판과 피인쇄체와의 간격(거리)
(정답률: 알수없음)
  • 오프 콘택트는 스크린 인쇄판과 피인쇄체와의 간격(거리)을 의미한다. 이 간격은 스크린판의 내경과 스퀴지 이동거리와의 안전거리를 고려하여 설정되며, 스크린 인쇄시 스퀴지와 잉크 덮개와의 거리(간격)와는 다른 개념이다. 따라서 정답은 "스크린 인쇄판과 피인쇄체와의 간격(거리)"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스크린 간점 제판법에서 유제가 현상 도중 벗겨지는 원인이 아닌 것은?

  1. 노출부족
  2. 광원의 자외선 부족
  3. 물의 온도가 고온
  4. 노출과도
(정답률: 알수없음)
  • 스크린 간점 제판법에서 유제가 현상 도중 벗겨지는 원인은 보통 노출과도입니다. 이는 간접적으로 인쇄물에 노출되는 양이 너무 많아서 유제가 고체 상태로 유지되지 못하고 녹아내리는 것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유제가 벗겨지는 원인이 될 수 있는 요인이지만, 직접적인 원인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정전인쇄 방식 중 화상 형성을 위해서 사용하는 재료는?

  1. 파우더(powder)
  2. 안료(pigment)
  3. 토너(toner)
  4. 잉크(ink)
(정답률: 80%)
  • 화상 형성을 위해서 사용하는 재료는 전자적으로 양(+)과 음(-)으로 충전된 토너(toner) 입니다. 토너는 전자적으로 충전된 미세한 입자로 구성되어 있으며, 정전인쇄기의 드럼에 전기적으로 부여된 전하와 상호작용하여 화상을 형성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감광성 수지 제판에 주로 사용되는 감광파장역은?

  1. 300~400nm
  2. 400~580nm
  3. 600~700nm
  4. 700~800nm
(정답률: 알수없음)
  • 감광성 수지 제판은 UV 노광에 반응하여 패턴을 형성하는데, 이 때 사용되는 감광파장역은 300~400nm이다. 이는 UV 파장이 물질을 활성화시키는 파장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범위 내에서 감광성 수지 제판을 노광하면 정확하고 선명한 패턴을 얻을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인쇄색채학

61. 뉴톤(Newton)의 굴절 법칙 및 파장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파장이 짧을수록 굴절은 작아지고 파장이 길수록 굴절은 커진다.
  2. 굴절이 큰 차례로 보라, 남색, 파랑, 녹색, 노랑, 주황, 빨강의 순이다.
  3. 장파장은 780nm의 직색이다.
  4. 단파장은 380nm의 자색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파장이 짧을수록 굴절은 작아지고 파장이 길수록 굴절은 커진다."라는 설명은 맞는 설명이다. 파장이 짧을수록 빛의 진행 속도가 느려지기 때문에 굴절각이 작아지고, 파장이 길수록 빛의 진행 속도가 빨라지기 때문에 굴절각이 커진다. 이것이 뉴턴의 굴절 법칙이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틀린 것은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다음과 같은 파장의 빛 중에서 시감도가 가장 높은 것은?

  1. 700nm
  2. 650nm
  3. 550nm
  4. 400nm
(정답률: 알수없음)
  • 시감도란 인간의 눈이 각각의 파장에 대해 얼마나 민감한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인간의 눈은 550nm 주변에서 가장 민감하게 반응하기 때문에, 이 보기에서 시감도가 가장 높은 것은 "550nm" 입니다. 다른 파장들은 눈이 덜 민감하거나, 혹은 눈에 해로울 수 있는 파장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3자극치 XYZ법에 의한 측색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인간의 시감과 같도록 3자극치를 조절한 것이다.
  2. 3자극치의 합은 완전한 백색면으로 규정한다.
  3. 3자극치 색체로 스펙트럼의 변화를 알 수 있다.
  4. 3자극치의 값으로는 메타메리즘 관리를 할 수 없다.
(정답률: 50%)
  • 정답은 "3자극치의 값으로는 메타메리즘 관리를 할 수 없다."이다.

    3자극치 XYZ법은 인간의 시감과 같도록 빨강(R), 초록(G), 파랑(B)의 3가지 색을 조절하여 모든 색을 표현하는 방법이다. 이 때, 3자극치의 합은 완전한 백색면으로 규정되며, 이를 기준으로 다른 색의 밝기와 색상을 비교할 수 있다. 또한, 3자극치 색체를 이용하여 스펙트럼의 변화를 알 수 있다.

    하지만, 3자극치의 값으로는 메타메리즘 관리를 할 수 없다. 메타메리즘이란, 서로 다른 두 빛의 스펙트럼이 동일한 시각적 효과를 나타내는 현상을 말하는데, 이를 관리하기 위해서는 4자극치 이상의 색공간이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모니터의 색상을 보정하기 위해 필요하지 않는 것은?

  1. 모니터의 색온도를 조절한다.
  2. 감마(Gamma)를 조절한다.
  3. 모니터의 RGB 값을 조절한다.
  4. 모니터 밝기를 조절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모니터의 밝기를 조절하는 것은 색상을 보정하는 것과는 관련이 없기 때문에 필요하지 않습니다. 색상 보정은 색온도, 감마, RGB 값을 조절하여 정확한 색상을 표현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가산혼합의 법칙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질 수 없는 조건은 다름 중 어느 것인가?

  1. 중심시
  2. 명순응
  3. 박명시
  4. 개구색
(정답률: 알수없음)
  • 가산혼합의 법칙은 빛의 색이 섞일 때 색의 중심파 길이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법칙이다. 따라서, 색의 중심파 길이가 일정하지 않은 경우 가산혼합의 법칙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는다. "박명시"는 색의 중심파 길이가 일정하지 않은 색들을 나타내는 약어로, 이 중 "박"은 파란색, "명"은 노란색, "시"는 빨간색을 의미한다. 따라서, "박명시" 색이 포함된 경우 가산혼합의 법칙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망막 시세포의 일종으로 밝은 곳에서 작용하여 색각 및 시력에 영향을 주는 것은?

  1. 추상체
  2. 간상체
  3. 수정체
  4. 글라스체
(정답률: 알수없음)
  • "추상체"는 망막 시세포 중 일종인 원추세포로, 밝은 곳에서 작용하여 색각 및 시력에 영향을 주는데, 이는 빛을 받아들여 색을 감지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Munsell의 색채조화론에서 다음 그림은 어디에 해당하는가?

  1. 수직조화(垂直調和)
  2. 내면조화(內面調和)
  3. 사내면조화(斜內面調和)
  4. 나선형조화(螺旋形調和)
(정답률: 알수없음)
  • 위 그림은 "내면조화(內面調和)"에 해당한다. 이유는 색상의 밝기와 채도가 일정하게 유지되면서도 색조가 서로 다른 색상들이 조화롭게 배치되어 있기 때문이다. 즉, 색상의 대비가 적절하게 조절되어 있어 눈에 부담 없이 조화로운 느낌을 준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색의 순응에 대한 설명으로 적합한 것은?

  1. 시각기관이 조명광선의 강도에 적응하는 것
  2. 물체의 컬러가 뇌에 전달되는 것
  3. 물체의 반사강도를 나타내는 것
  4. 색상에 대한 판단을 나타내는 것
(정답률: 60%)
  • "색의 순응"은 시각기관이 조명광선의 강도에 적응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즉, 밝은 조명에서는 더 밝게, 어두운 조명에서는 더 어둡게 보이도록 시각기관이 조정되는 것입니다. 이는 뇌에 전달되는 물체의 컬러와는 다른 개념입니다. 또한, 물체의 반사강도를 나타내는 것이나 색상에 대한 판단을 나타내는 것도 "색의 순응"과는 관련이 있지만, 정확한 설명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다음 중 분광에 이용 되는 것이 아닌 것은?

  1. 회절격자
  2. 프리즘
  3. 간섭필터
  4. 코팅필터
(정답률: 59%)
  • 코팅필터는 분광에 이용되지 않습니다. 분광에 이용되는 것은 회절격자, 프리즘, 간섭필터입니다. 코팅필터는 주로 광학기기에서 빛의 반사나 투과를 조절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CIE표준광원의 세가지 규정과 관계가 먼 것은?

  1. 표준광원 A: 가스가 들어있는 텅스텐 전구광을 대표하는 광원, 좌표는 x=0.4476, y=0.4075
  2. 표준광원 B: 태양직사광의 분광분포에 가까운 광원
  3. 표준광원 C: 맑은 하늘의 반사광을 포함하는 아침광선에 가까운 분광분포를 가지는 광선, 좌표는 x=0.3485, y=0.3518
  4. 표준광 B와 C는 태양의 직접광과 주광을 진형으로 그 범위는 400 ~ 700nm까지를 나타낸다.
(정답률: 알수없음)
  • "표준광원 B와 C는 태양의 직접광과 주광을 진형으로 그 범위는 400 ~ 700nm까지를 나타낸다."는 태양광과 관련된 내용이므로, 다른 세 가지 규정과는 관계가 먼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DIN 색체계의 표기는 T(색상), D(어둡기), S(포화도)로 나타낸다. T, D, S의 표기가 바른 것은?

  1. T, D/S
  2. T:S:D
  3. S→T,D
  4. S=T/D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T:S:D"이다.

    DIN 색체계에서 T는 색상(Hue)을 나타내며, S는 포화도(Saturation)를 나타낸다. D는 어둡기(Darkness)를 나타내는데, 이는 색상의 밝기(Brightness)와는 다른 개념이다.

    따라서 T, S, D의 순서로 표기해야 하며, 각각의 값은 콜론(:)으로 구분한다. 예를 들어, "10YR 5/3"은 T:D:S 순서로 표기하면 "10YR:3:5"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무채색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스펙트럼의 단색에 의한 색을 말한다.
  2. 흰색 – 물체에 투사된 산광(酸光)이 완전 반사로 생기며 20%는 회색이 섞여있다.
  3. 회색 – 반사광이 적어질수록 명도가 낮아진다.
  4. 검정 – 물체에 투사한 100%의 빛 중 3%정도 반사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스펙트럼의 단색에 의한 색을 말한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무채색은 스펙트럼의 단색이 아닌, 모든 색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색이다. 즉, 빛의 삼원색인 빨강, 초록, 파랑을 모두 혼합한 색이 무채색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물체 표면의 반사율이 다른 것에 비하여 큰지 작은지를 판정하는 시지각의 속성을 척도화한 것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색상
  2. 명도
  3. 채도
  4. 색입체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명도"이다.

    시지각에서 명도는 물체의 밝기나 어두움의 정도를 나타내는 속성이다. 즉, 물체가 얼마나 밝거나 어두운지를 나타내는 것이다. 따라서 물체 표면의 반사율이 다른 것에 비하여 큰지 작은지를 판정하는 시지각의 속성을 척도화한 것이 명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혼색관계를 표시한 것으로 맞지 않는 것은?

  1. 컬러 TV: 가법 혼색
  2. 인쇄 잉크: 감법 혼색
  3. 컴퓨터 모니터: 가법 혼색
  4. 프린터 출력: 가법 혼색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인쇄 잉크: 감법 혼색"입니다.

    가법 혼색은 빨강, 초록, 파랑 세 가지 색을 혼합하여 다양한 색상을 만드는 방식입니다. 컬러 TV와 컴퓨터 모니터는 이 방식으로 색상을 표현합니다.

    반면에 감법 혼색은 시안, 마젠타, 노랑, 검정 네 가지 색을 사용하여 색상을 만드는 방식입니다. 이 방식은 인쇄물에서 주로 사용되며, 인쇄 잉크가 이 방식으로 색상을 혼합합니다.

    프린터 출력은 인쇄물을 출력하는 방식 중 하나이며, 이 경우에도 가법 혼색을 사용합니다. 따라서 "프린터 출력: 가법 혼색"이 맞는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먼셀 기호 표기로 2.5R 8/10이라고 기록되었을 때 이 색에 대해 가장 옳게 설명한 것은?

  1. 자색기미의 적색으로 명도는 높고, 채도도 높다.
  2. 적색으로 명도는 높고 채도는 낮다.
  3. 황색 기미의 적색으로 명도는 높고 채도도 높다.
  4. 적색으로 명도는 낮고 채도는 높다.
(정답률: 알수없음)
  • 2.5R 8/10은 먼셀 기호 표기법으로 색상을 나타내는 것이며, 2.5R은 색조를 나타내고 8/10은 명도와 채도를 나타낸다. 따라서 "자색기미의 적색으로 명도는 높고, 채도도 높다."가 가장 옳은 설명이다. 이유는 2.5R은 빨간색과 보라색 사이의 자색색조를 나타내며, 8/10은 명도와 채도가 높은 색상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컬러 제판작업시 적색필터를 걸어서 촬영하면 적색광은 통과하고 녹색, 청색광은 흡수하게 되어 제판 필름 위에는 적색광만 노광된다. 이 때 인쇄판으로는 적색필터를 걸면 어떤 색의 판이 되는가?

  1. Yellow
  2. Magenta
  3. Cyan
  4. Black
(정답률: 알수없음)
  • 적색필터를 걸어서 촬영하면 적색광만 노광되므로, 제판 필름 위에는 적색이 표현된다. 인쇄판은 적색필터를 걸면 그 반대의 색상이 나오게 되는데, 적색의 보색은 청록색(혹은 청색과 녹색의 혼합)이므로, 인쇄판으로는 "Cyan" 색의 판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다음 색의 혼합 중 잘못된 것은?

  1. Green + Blue = Cyan
  2. Blue + Red = Magenta
  3. Cyan + Yellow = Blue
  4. Magenta + Yellow = Red
(정답률: 82%)
  • 잘못된 것은 "Cyan + Yellow = Blue"이다. 이는 기본적인 색의 혼합 법칙에 어긋나며, 실제로는 "Cyan + Yellow = Green"이다. Cyan은 파란색과 녹색을 혼합한 색이며, Yellow는 빨간색과 녹색을 혼합한 색이다. 따라서 이 두 색을 혼합하면 녹색이 나와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오스트발트(Wilhelm Friedrich Ostwald)의 색채이론과 관련하여 맞는 것은?

  1. 오스트발트의 기준색은 빨강·자주·초록·파랑이다.
  2. 표색계에서 완전무채색은 W+B=100%로, 유채색은 C+W+B=100%로 표기된다.
  3. 오스트발트 표색계에서의 색을 나타내기 위한 기본량은 순색량, 백색량, 표색비량이다.
  4. 색입체의 맨 아랫부분에 하양을 배치하고, 맨윗부분에 검정을 둔 뒤, 이 하양과 검정을 연결하는 회색기둥을 색입체의 중앙에 세운다.
(정답률: 80%)
  • 오스트발트의 색채이론에서는 기준색으로 빨강, 자주, 초록, 파랑을 사용한다. 이에 따라 표색계에서 완전무채색은 백색과 검정색의 합으로 표기되며, 유채색은 기준색과 백색, 검정색의 합으로 표기된다. 따라서 완전무채색은 W+B=100%로, 유채색은 C+W+B=100%로 표기된다. 또한 오스트발트 표색계에서는 순색량, 백색량, 표색비량을 기본량으로 사용한다. 색입체의 맨 아랫부분에 하양을 배치하고, 맨윗부분에 검정을 둔 뒤, 이 하양과 검정을 연결하는 회색기둥을 색입체의 중앙에 세운다는 것은 미켈슨의 색채이론에서 사용되는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가장 이상적인 잉크일 경우에 색상오차(%), 회색도(%), 색상효율(%)은?

  1. 0, 100, 0
  2. 0, 0, 0
  3. 0, 0, 100
  4. 100, 100, 100
(정답률: 알수없음)
  • 가장 이상적인 잉크일 경우에는 색상오차와 회색도가 모두 0이어야 하며, 색상효율은 100%가 되어야 합니다. 이는 색상을 정확하게 재현하면서도 회색조화와 색상의 밝기 대비를 유지할 수 있는 최적의 조건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0, 0, 100"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다음 중 유채색은 어느 것인가?

  1. 백색
  2. 녹색
  3. 회색
  4. 흑색
(정답률: 알수없음)
  • 유채색은 색상 중 하나로, 다른 색상과 섞여서 만들어진 색상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보기 중에서 유채색이라고 할 수 있는 색상은 없습니다. 따라서 이 문제는 잘못된 문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인쇄작업론 및 품질관리

81. 인쇄물의 품질관리를 위한 스케일 중에서 망판의 하이라이트에서 중간조를 거쳐 새도우에 이르기까지 망점의 크기를 망점면적률(%)로 단계적으로 표시한 스케일은?

  1. 컬러 패치(color patch)
  2. 스타 타깃(star target)
  3. 그라데이션 스케일(gradation scale)
  4. 도트게인 스케일(dot gain scale)
(정답률: 알수없음)
  • 그라데이션 스케일은 망점의 크기를 단계적으로 표시하여 인쇄물의 품질을 평가하는 스케일입니다. 이 스케일은 망판의 하이라이트에서 중간조를 거쳐 새도우에 이르기까지 망점의 크기를 망점면적률(%)로 표시합니다. 따라서 이 스케일은 인쇄물의 그라데이션(색조의 부드러운 변화)을 평가하는 데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플렉소 인쇄(flexography)는 이 인쇄 방식이 개발된 초기에는 어떤 이름으로 불려 졌는가?

  1. 독터 블레이드(doctor blade) 인쇄
  2. 피라미드 셀(pyramid cell) 인쇄
  3. 아닐린(aniline) 인쇄
  4. 애니록스(anilox) 인쇄
(정답률: 90%)
  • 플렉소 인쇄는 초기에 사용된 잉크가 아닐린이라는 화학물질을 사용하여 만들어졌기 때문에 "아닐린 인쇄"로 불렸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하드 패킹(Hard packing)의 장점으로 볼 수 없는 것은?

  1. 세밀한 원색 인쇄에 사용
  2. 고급 인쇄의 재현성 우수
  3. 플라스틱 필름을 패킹으로 사용
  4. 기계조정이나 얼룩잡기가 용이
(정답률: 알수없음)
  • 하드 패킹은 인쇄물을 보호하고 내구성을 높이는 장점이 있지만, 기계조정이나 얼룩잡기가 용이한 것은 아니다. 이는 인쇄 과정에서 발생하는 문제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지면을 구성하는 레이아웃 작업 중 편집자가 고려해야 할 방향이 아닌 것은?

  1. 기획의도 및 편집 방침이 원고의 내용과 잘 맞는가?
  2. 독자들에게 내용이나 이미지를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가?
  3. 제판 작업자가 판면에 적합한 감광재료를 선택할 수 있는가?
  4. 독자들에게 시각적으로 편안함을 줄 수 있는가?
(정답률: 90%)
  • "제판 작업자가 판면에 적합한 감광재료를 선택할 수 있는가?"는 제작 과정 중 제판 작업자가 고려해야 할 사항이며, 레이아웃 작업 단계에서는 해당 사항이 아닙니다. 레이아웃 작업 단계에서는 기획의도 및 편집 방침이 원고의 내용과 잘 맞는지, 독자들에게 내용이나 이미지를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지, 독자들에게 시각적으로 편안함을 줄 수 있는지 등을 고려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수를 세는 경우에 나타나는 계수치의 분포를 이산확률 분포라 하는데 이산 확률 분포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베르누이분포
  2. 이항분포
  3. 포아송분포
  4. 와이블분포
(정답률: 알수없음)
  • 와이블분포는 연속확률 분포이기 때문에 이산확률 분포에 속하지 않습니다. 이산확률 분포는 확률 변수가 취할 수 있는 값이 이산적인 경우에 사용되며, 예를 들어 베르누이분포는 확률 변수가 0 또는 1 두 가지 값 중 하나를 가지는 경우에 사용됩니다. 반면에 연속확률 분포는 확률 변수가 연속적인 값을 가지는 경우에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전사인쇄 방식 중 가열에 의해 고체에서 직접 기체로 전사되는 방식은?

  1. 물 전사법
  2. 용제 전사법
  3. 습식 전사법
  4. 열승화 전사법
(정답률: 알수없음)
  • 열승화 전사법은 고체 상태의 잉크를 가열하여 기체 상태로 전환시키는 방식입니다. 이때 고체 상태에서 기체 상태로 전환되는 과정을 열승화라고 합니다. 이 방식은 인쇄물의 품질이 우수하고 인쇄속도가 빠르며, 인쇄물의 내구성이 높아지는 등의 장점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4M은 작업자가 기계설비와 안전을 공존하면서 근로할 수 있는 시스템의 기본조건이다. 다음 중 안전 시스템의 4M과 관계가 먼 것은?

  1. Man(사람)
  2. Machine(기계)
  3. Material(재료)
  4. Management(관리)
(정답률: 알수없음)
  • 재료는 안전 시스템의 4M 중에서는 관련이 적다. 4M 중에서 Man은 작업자, Machine은 기계설비, Management은 관리를 의미하는데, 이들은 모두 작업 환경에서 안전을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중요한 요소들이다. 하지만 재료는 작업 환경에서 안전을 유지하기 위한 요소 중 하나이긴 하지만, 다른 3가지 요소에 비해 상대적으로 중요도가 낮다. 따라서, 안전 시스템의 4M 중에서는 Material이 다른 3가지 요소에 비해 관련이 덜하다고 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플렉소 인쇄에서 수동 조각용 고무판의 경도는?

  1. 20-30도
  2. 30-40도
  3. 40-50도
  4. 50-60도
(정답률: 알수없음)
  • 플렉소 인쇄에서는 고무판을 사용하여 인쇄를 하게 됩니다. 이때 고무판의 경도는 인쇄물의 선명도와 인쇄물의 품질에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수동 조각용 고무판의 경우, 인쇄물의 선명도와 품질을 유지하기 위해 일정한 압력을 유지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고무판의 경도가 일정해야 하며, 이를 위해 40-50도의 경도를 유지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40-50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출판기획의 중요한 구분으로 적합하지 아니한 것은?

  1. 편집기획(editorial plan)
  2. 제작기획(production plan)
  3. 마케팅기획(marketing plan)
  4. 수금기획(collection plan)
(정답률: 알수없음)
  • 수금기획은 출판물의 내용, 제작, 마케팅 등과는 관련이 없는 부분으로, 출판사가 채권을 회수하는 방법과 절차를 계획하는 것이다. 따라서 출판기획의 중요한 구분으로는 적합하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오프셋 인쇄시 인쇄판의 내쇄력이 약해지는 경우가 아닌 것은?

  1. 과다한 인압 때문에
  2. 버닝(열처리)판을 사용하였을 때
  3. 잉크 및 습수 묻힘롤러 압이 강할 때
  4. 습수의 pH가 강산성일 때
(정답률: 알수없음)
  • 버닝(열처리)판을 사용하였을 때는 인쇄판의 내쇄력이 약해지지 않는다. 이는 버닝(열처리)판이 인쇄판의 표면을 경화시켜 내쇄력을 강화시키기 때문이다. 따라서, "버닝(열처리)판을 사용하였을 때"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컬러인쇄에서 각 색 잉크의 중첩을 방지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각도와 잉크 색이 바르게 연결된 것은?

  1. Y = 45°
  2. K = 90°
  3. M = 30°
  4. C = 105°
(정답률: 80%)
  •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각도는 15도 간격으로 설정되어 있으며, 이는 색상 간 중첩을 최소화하기 위한 것입니다. C = 105°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각도 중 하나이며, 이는 다른 색상과의 중첩을 최소화하면서도 색상의 선명도와 대비를 유지하기 위한 것입니다. 또한, C는 시안(Cyan)색상을 나타내며, 이 색상은 일반적으로 청록색과 파란색 사이에 위치하며, 인쇄에서 자주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빛 반도체와 정전 현상을 이용한 것으로 정밀지도 복제, 홀로그래피, 맹인용 점자 릴리프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응요되고 있는 것은?

  1. 마이크로 리소그래픽(micro lithography)
  2. 전자 사진
  3. 서모그래피(thermography)
  4. 유리기 사진
(정답률: 알수없음)
  • 전자 사진은 빛 반도체와 정전 현상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촬영하는 기술로, 정밀한 이미지를 만들어내는 마이크로 리소그래픽에서 사용되며, 또한 홀로그래피, 맹인용 점자 릴리프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응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오프셋 인쇄의 인쇄물이 부분적인 농담의 차이가 발생되는 원인으로 틀린 것은?

  1. 판의 불균형
  2. 잉크의 불균형
  3. 종이 결의 불균형
  4. 아라비아 고무 부착
(정답률: 알수없음)
  • 오프셋 인쇄에서는 인쇄물을 만들기 위해 판과 종이를 사용합니다. 종이 결의 불균형이 발생하면 인쇄물의 일부분이 더 많은 잉크를 받거나 덜 많은 잉크를 받아 색상이 일정하지 않게 나타나게 됩니다. 따라서 오프셋 인쇄에서는 종이 결의 균형을 맞추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운전 인쇄기의 형식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B-B형
  2. 다이렉트형
  3. 드림형
  4. 3통형
(정답률: 알수없음)
  • 다이렉트형은 운전 인쇄기의 형식 중 하나가 아니라, 다른 형식들과는 구별되는 개별적인 기술이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오프셋 인쇄에 있어서 적정 인쇄압에 가장 영향을 적게 미치는 요인은?

  1. 패킹의 경도
  2. 종이의 두께
  3. 판 두께의 정밀도
  4. 압통의 평활도
(정답률: 알수없음)
  • 압통의 평활도가 적정 인쇄압에 가장 영향을 적게 미치는 요인인 이유는, 인쇄과정에서 압통은 인쇄판과 종이 사이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입니다. 압통의 평활도가 높을수록 인쇄판과 종이 사이의 간격이 균일하게 유지되어 적정 인쇄압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압통의 평활도가 높을수록 인쇄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곡면 스크린 인쇄기의 기본요소가 아닌 것은?

  1. 스퀴지의 중심선은 항상 인쇄물의 중심과 잘 접촉 하여야 한다.
  2. 피인쇄체는 중심축을 기준으로 잘 움직여야 한다.
  3. 피인쇄체의 회전을 스크린판이 움직이는 힘에 의하여 일정하게 움직여야 한다.
  4. 스퀴지와 판틀이 고정되어 있어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스퀴지와 판틀이 고정되어 있어야 한다."

    스퀴지와 판틀은 곡면 스크린 인쇄기에서 인쇄물을 고정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스퀴지는 인쇄물과 스크린 사이에 끼워져 인쇄물의 표면을 스크린에 밀착시키는 역할을 하며, 판틀은 스크린을 고정시켜주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스퀴지와 판틀이 고정되어 있지 않으면 인쇄물이 움직이거나 스크린이 흔들리면서 인쇄물에 불규칙한 인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블랭킷통의 기능과 관계없는 것은?

  1. 간접인쇄 기능
  2. 인압조정 기능
  3. 잉크광택 향상
  4. 비화선부 수분감소
(정답률: 75%)
  • 잉크광택 향상은 블랭킷통의 기능과 관계없는 것이다. 블랭킷통은 간접인쇄 기능과 인압조정 기능을 가지며, 비화선부 수분감소를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인쇄판의 형식과 인쇄기의 종류가 바르게 짝지어진 것은?

  1. 볼록판 – 스크린(screen) 인쇄기
  2. 평판 – 플렉소(flexographic) 인쇄기
  3. 오목판 – 그라비어(gravure) 인쇄기
  4. 공핀 – 마스터(master) 인쇄기
(정답률: 알수없음)
  • 오목판은 그라비어 인쇄기와 함께 사용되며, 그라비어 인쇄기는 오목한 판에 인쇄물을 새기는 방식으로 인쇄를 수행합니다. 따라서 오목판과 그라비어 인쇄기는 바르게 짝지어진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현재 지작재신권과 지작 인권의 보호기간은?

  1. 저작자의 생존기간 및 사망 후 30년
  2. 저작자의 생존기간 및 사망 후 40년
  3. 저작자의 생존기간 및 사망 후 50년
  4. 저작자의 생존기간 및 사망 후 70년
(정답률: 알수없음)
  • 저작권법에서는 저작자의 생존기간과 사망 후 일정 기간 동안 보호를 받을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습니다. 현재 지작재신권과 지작 인권의 보호기간은 저작자의 생존기간 및 사망 후 70년입니다. 이는 저작자가 살아있는 동안에는 저작물을 직접 관리하고 이용에 대한 권리를 가지며, 저작자가 사망한 이후에는 그의 상속인이 이를 관리하고 이용에 대한 권리를 가지기 위한 것입니다. 이 기간이 지나면 해당 저작물은 공공재가 되어 누구나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인쇄 생산계획 중 주요 고려항목이 아닌 것은?

  1. 사양 설계
  2. 공수 계획
  3. 원가 계산
  4. 일정 계획
(정답률: 91%)
  • 인쇄 생산계획 중 원가 계산은 주요 고려항목이 아닙니다. 이는 생산 과정에서 발생하는 비용을 계산하는 것으로, 생산 계획 수립 이전에 이미 수행되어야 하는 작업입니다. 따라서 생산 계획 수립 시에는 이미 원가 계산이 완료된 상태에서 생산 일정과 공수 계획 등을 고려하여 생산 계획을 수립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